KR20010093310A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310A
KR20010093310A KR1020017009717A KR20017009717A KR20010093310A KR 20010093310 A KR20010093310 A KR 20010093310A KR 1020017009717 A KR1020017009717 A KR 1020017009717A KR 20017009717 A KR20017009717 A KR 20017009717A KR 20010093310 A KR20010093310 A KR 2001009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ircuit breaker
mover
fixed contact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389B1 (ko
Inventor
츠키마미츠루
미츠하시다카오
후시미마사히로
야마가타신지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9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01H71/0257Strength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01H1/2058Rotating bridge being assembled in a cassette, which can be placed as a complete unit into a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2009/348Provisions for recirculation of arcing gasses to improve the arc extinguishing, e.g. move the arc quicker into the arcing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Breaker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의 발생에 의해서 생기는 가압 가스를 이용하여, 치밀하고 차단 성능이 높은 회로 차단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고정 접점(34)을 갖는 고정자(33)와, 일단부에 고정 접점(34)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가동 접점(32)을 갖고 타단부에 회전 중심(31a)을 갖는 회전 가능한 가동자(31)와, 고정자(33) 및 가동자(31)를 둘러싸며 전류 차단시 고정 접점(34)과 가동 접점(32)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가압된 가압 가스를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측에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축압 공간을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측에 형성하는 케이스(3)와, 전류 차단시 축압 공간에 보존된 가압 가스가 고정 접점(34)과 가동 접점(32)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되도록 케이스(3)내의 아크의 발생 위치의 다른 쪽에 설치된 배기구(3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회로 차단기에서는 고정자의 고정 접점과 가동자의 가동 접점을 접촉 및 분리시킴으로써 회로의 접속 및 차단이 이루어지지만, 회로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차단시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에 아크(arc)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회로 차단에 있어서는 이 아크를 얼마나 빨리 소호(消弧, arc extinguishing)할 수 있는가가 문제가 된다. 가동자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접촉 및 분리시키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해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소호판을 설치하고 이 소호판에 의해 아크를 소호하였다.
도 16은 가동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회로 차단을 실행하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a는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회로 차단기의 바닥면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참조부호(101)는 용기이고, 참조부호(102)는 용기(101)상에 씌워지는 커버이며, 이 커버에서는 전류 차단시에 커버내의 고압력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 가스가 외부로 유출한다.
참조부호(103)는 기구부(10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동 접점(103a)을 갖는 가동자이고, 참조부호(104)는 용기(101)에 고정되며 가동 접점(103a)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고정 접점(104a)을 갖는 고정자이고, 참조부호(105a, 105b)는 가동자(103)와 고정자(104)의 단자이고, 참조부호(106)는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배치된 소호판이고, 참조부호(107)는 가동자(101)를 회전시키는 기구부이며, 이 기구부는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107a)을 갖는다. 참조부호(108)는 커버(102)에 설치된 배기구이며, 참조부호(109)는 이상 전류를 검출하고 기구부(5)를 동작시키는 릴레이부이다.
이러한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점(103a)과 고정 접점(104a)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단자(105a, 105b)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한편, 각 단자(105a, 105b)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핸들(107a)에 의한 수동 조작 또는 정격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자동 조작에 의해 기구부(107)를 동작시키고, 가동자(103)를 회전시켜 가동 접점(103a)을 고정 접점(104a)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때, 가동 접점(103a)과 고정 접점(104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지만, 이 아크는 가동자(103)의 회전 운동 및 가동자(103)와 고정자(104) 사이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서 신장된 후, 소호판(106)에 의해 분단 및 냉각되어 소호에 도달한다. 또한, 그 후 가동자(103)가 고정자(104)로부터 분리된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의 차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자(10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아크를 신장시키고, 이 신장된 아크를 소호판(106)에 의해 분단 및 냉각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차단 성능은 소호판(106)의 개수와 가동자(103)의 최대 분리 거리, 나아가서는 소호실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크의 발생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가압된 아크 가스를 배출하도록 소호실내의 일측에 배기구(108)를 설치하지만,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용기내의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배기구(108)의 반대측으로 흐르는 가압된 아크 가스(이하, 가압 가스라고 함)는 아크의 소호에 전혀 이용되지 않고, 기구부나 릴레이부, 용기와 커버 사이 등으로부터 방출된다.
또한, 아크 가스에는 차단에 유효한 가스도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으며, 그 차단 성능은 소호판(106)의 개수와 가동자(103)의 최대 분리 거리, 나아가서는 소호실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아크의 발생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 가스를 이용하여, 치밀하고 차단 성능이 높은 회로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크의 발생에 따라 소호에 유효한 가압된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가스를 이용하여, 치밀하고 차단 성능이 높은 회로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자와, 일단부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가동 접점을 갖고 타단부에 회전 중심을 갖는 회전 운동 가능한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 및 가동자를 둘러싸며 전류 차단시 상기 고정자 및 상기 가동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가압된 가압 가스를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측에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축압(蓄壓) 공간을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단부에 형성하는 소호실 용기와, 상기 소호실 용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류 차단시 상기 축압 공간에 보존된 가압 가스가 상기 고정자 및 가동자에 형성된 아크 스폿(arc spot)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되도록 상기 소호실 용기 및 본체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타단부에 설치된 배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대략 육면체로 구성된 소호실 용기에 있어서, 가동자의 회전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c, 가동자의 초기 분리 방향의 길이를 b, 상기 b 및 c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a라고 할 때, a>b>c이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가동자 및 고정자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아크 스폿의 중심을 통과하고 가동자의 회전 운동면에 수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소호실 용기내의 공간을 절단하여 생긴 2개의 공간에 있어서, 배기구를 구비한 쪽의 공간의 용적이 다른 쪽의 용적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배기구를 고정 접점 근방 또는 분리시의 가동 접점 근방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가동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자를 유지하는 도체부를 용기내에 설치하고, 축압 공간을 상기 도체부 근방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가압 가스가 축압 공간으로부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를 흐르는 경로내의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앞쪽 위치에서의 상기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아크의 발생 위치 근방의 용기측벽에 상기 아크의 방향에 개구부를 갖는 챔버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용기를 유기계 절연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용기내의 아크의 발생 위치 근방에 유기계 절연물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분리시의 가동 접점 근방 또는 고정 접점 근방의 어느 한쪽에 배기구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유기 절연물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자의 고정 접점 근방 또는 가동자의 가동 접점 근방에 각각의 아크 스폿이 전류(轉流)하는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아크 스폿이 전류하는 면의 법선 방향은 근접하는 가동 접점 또는 고정 접점 접촉면의 법선 방향보다 상기 배기구측을 향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소호실 용기에 있어서, 다른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배기구 이외의 미소한 개구를 막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가동자의 가동 접점을 고정자의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회로 차단이 이루어지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소호 유닛을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소호 유닛의 이음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c는 도 2의 소호 유닛의 일부 및 가동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d는 도 2의 소호 유닛의 일부 및 가동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전류 차단시의 도 1에 도시된 회로 차단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회로 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험을 실시했을 때의 전류와 압력의 시간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금속 증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배기구의 위치를 변경하였을 때의 금속 증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고정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고정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고정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소호 유닛의 개략적인 상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소호 유닛의 상면 단면도,
도 16a는 종래의 회로 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b는 도 16a의 회로 차단기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제 1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1)는 소호 유닛(3) 등이 수납되는 베이스이고, 참조부호(2)는 베이스(1)에 씌워지는 커버이고, 참조부호(3)는 고정자와 가동자 등의 소호 장치를 수납하는 용기(이하, 소호 유닛이라고 함)이며, 이 소호 유닛(3)은 좌측 부분(3a)과 우측 부분(3b)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소호 유닛(3)의 기밀성은 높게 유지되어 있고, 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가압 가스가 이 소호 유닛(3)내의 축압 공간에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4)는 이상 전류를 검출하고 기구부(5)를 동작시키는 릴레이부이고, 참조부호(5)는 크로스 바(3c)를 통해 접점을 개폐시키는 기구부이며, 이 기구부는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핸들(5a)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각 구성 부품을 유닛화하고, 이들을 조합시켜 회로 차단기를 구성하면, 조립이 간단하게 되어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호 장치를 소호 유닛(3)내에 수납함으로써, 차단 동작시 회로 차단기내의 압력 상승은 베이스(1) 및 커버(2)에 의해 직접 수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차단 동작시 내압 상승에 견디기 위해, 기계적 강도가 크고 고가인 몰드재(molding material)에 의해 베이스 및 커버를 구성했지만, 내부에 소호 유닛(3)을 설치함으로써, 압력을 받는 하우징체의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호 장치가 소호 유닛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차단시 고온 가스가 릴레이부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금속 증기를 포함하는 고온 가스가 다른 극에 침입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차단 동작후의 상간 절연(inter-phase insulation)의 열화가 억제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소호 유닛에서 소호 유닛의 우측 부분(3b), 한쪽 측의 소호측판 및 로터를 생략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31)는 일단부가 유지 도체(38)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 중심(3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동자이고, 참조부호(31b)는 기구부(5) 및 크로스 바(3c)를 통해 가동자(31)에 회전 운동를 전달하는 로터이며, 참조부호(31c)는 접압 스프링(contact pressure spring)이다.
참조부호(32)는 가동자(31)의 타단부에 고정 장착된 가동 접점이고, 참조부호(33)은 소호 유닛의 2개의 부분(3a, 3b)에 의해 고정된 고정자이고, 참조부호(34)는 고정자(33)에 고정 장착된 고정 접점이며, 이 고정 접점은가동자(31)의 회전에 의해 가동 접점(32)과 접촉 및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폐쇄 상태일 때에는, 가동자(31)의 가동 접점(32)은 접압 스프링(31c)에 의해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며, 고정자(33)의 고정 접점(34)과 접촉된다.
참조부호(35)는 가동자(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유지 도체(38)의 단자부이고, 참조부호(36)는 고정자(33)의 고정 접점(34)의 반대측의 단자부이고, 참조부호(37)는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배치된 소호판이며, 이 소호판은 소호측판(37a)에 고정되어 있다. 참조부호(38)는 가동자(3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도체이고, 참조부호(39)는 소호 유닛 하우징체 본체(3a)에 설치된 배기구이며, 이 배기구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시의 가동 접점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소호 유닛(3)은 배기구(39)를 제외하고는 내부의 가스(가압 가스)가 누설되기 어렵도록 거의 밀봉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류 차단시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서 가압된 가압 가스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축압 공간(U)이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측에 형성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호 유닛(3)내에서의 가동자(31)의 가동 중심(31a)의 근방[유지 도체(38) 근방]에 축압 공간(U)이 형성되어 있다.
소호 유닛(3)의 2개의 부분(3a, 3b)은 나사나 리벳, 접착제 등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기 때문에, 소호 유닛(3)의 기밀성은 높게 유지된다. 또한, 베이스(1)와 커버(2)의 이음면과 소호 유닛(3)의 2개의 부분(3a, 3b)의 이음면은 대략 수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음면으로부터의 가스의 유출량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호 유닛(3)의 이음면 부근에는 중첩부(3d)가 설치되고, 소호 유닛(3)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이음면이 근소하게 개방되더라도, 가스의 유출이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3b 이외의 도면에서는 이 중첩부의 기재는 생략했다.
도 3c는 소호 유닛(3)의 좌측 부분(3a)과 가동자(31)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소호 유닛(3)에는 크로스 바(3c)가 관통하고 변위할 수 있기 위한 U자 홈(3e)이 설치된다. 그러나, 소호 유닛의 내측에는 원형의 오목부(3f)가 설치되며, 로터(31b)를 소호 유닛(3)에 내장한 상태에서는, 로터(31b)와 소호 유닛(3)이 거의 밀착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U자 홈(3e)으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의 양은 억제된다.
또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1b)와 소호 유닛(3) 사이에 가요성의 얇은 판(31d)을 배치하고, 로터(31b)를 원활하게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압 상승시에 소호 유닛(3)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U자 홈(3e)을 막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호 유닛(3)내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소호 유닛(3)의 재질로서는 전류 차단시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4)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차단성이 높은 가스가 발생되도록, 플라스틱 재질 등의 유기계(organic) 절연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류 차단시의 도 1에 도시된 회로 차단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소호판(37)과 소호측판(37a)의 기재는 생략한다.
통상의 개폐 동작은 핸들(5a)을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이 핸들조작에 의해, 기구부(5)와 크로스 바(3c)를 통해 로터(31b)가 회전하고, 가동자(31)가 개폐 동작을 한다. 또한, 단락 전류 등의 대전류가 흐르면, 가동자(31)와 고정자(33)간의 전자기 반발력 또는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4) 사이의 전자기 반발력에 의해, 기구부(5)의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서 가동자(31)가 회전하고,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4)이 분리하여, 아크(A)가 발생한다. 아크(A)로부터의 발열은 주위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므로, 주위 가스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압된 가압 가스는 배기구(39)측에서는 직접 배기구(39)를 통과하여 방출되지만, 배기구(39)와 반대측의 축압 공간(U)측에서는 가압 가스는 축압 공간(U)에 일시 보존된 후 축압 공간(U)으로부터 배기구(39)를 향하여 집중적으로 강한 가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가스류는 축압 공간(U)과 배기구(39)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3) 사이를 통해 배기구(39)로부터 방출된다. 즉, 가압 가스에 의한 가스류는 옆으로부터 가동 접점(32)과 고정 접점(33)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A)에 분사되게 된다. 그 결과, 이와 같이 강한 가스류의 분사에 의해 아크는 냉각되고 전극간의 절연이 회복되어, 소호에 이른다.
또한, 소호 유닛(3)을 유기계 절연부재로 형성하기 때문에, 아크(A)로부터의 방사광(放射光)이 이 유기계 절연물을 광 마멸하거나 또는 고온 가스가 접촉함으로써, 압력 상승에의 기여가 높고 전기 도전율이 낮은 분해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분해 가스의 발생에 따라 축압 공간(U)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보다 강한 가스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이 분해 가스는 전기 도전율이 낮기 때문에, 우수한 차단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가스류의 분사 작용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A)가 오른쪽 방향으로 만곡되기 때문에, 분리 동작시의 가동 접점 근방의 위치에 소호판(37)을 배치함으로써, 아크의 냉각 작용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차단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으로, 소호 유닛를 모의한 기초 실험을 이하에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모의한 플라스틱제의 용기(300)를 만들고, 용기(300)의 배기구(301)측에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을 모의한 구리 전극(302, 303)을 설치하여, 전극(302, 303) 사이에 교류 전원(304)에 의해 교류 전류를 흐르게 했다. 또한, 아크 발생시의 축압 공간(U)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용기(300)의 바닥부[배기구(301)와 반대측]에 압력 측정기(305)를 설치했다. 또, 용기(300)는 1곳의 배기구(301)를 제외하고는 밀폐 형성된다. 본 실험에 있어서, 구리 전극(302, 303) 사이의 거리를 20㎜, 교류 전원(304)의 교류 전압을 600V, 교류 전류를 60Hz, 피크 전류값을 8.5kA로 했다.
도 6은 상기의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했을 때의 전류와 압력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300)의 축압 공간(U)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전류가 차단될 때까지 축압 공간(U)내의 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전류가 차단될 때까지, 용기의 축압 공간(U)으로부터 배기구(301)의 방향으로 가스류(화살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험에 부가하여, 용기를 제거한 경우, 용기의 축압 공간(U)측에배기구를 추가한 경우에 있어서도 실험한 결과, 이들의 경우에는, 아크에 작용하는 가스류가 없어지거나 저하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배기구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한 경우에 대해서도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이 경우에는 압력이 그다지 상승하지 않으므로 충분한 강도의 가스류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결과를 얻었다. 배기구를 대략 절반 이하로 했을 때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상기 실험에 부가하여, 배기구의 형성 위치를 변경한 경우에 대해서도 실험을 실시했다. 도 7a 및 도 7b는 배기구의 위치를 바꾼 경우의 소호 유닛내의 금속 증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배기구를 중앙에 설치했을 때의 도면이고, 도 7b는 배기구를 중앙으로부터 한쪽으로 이동시켜 설치했을 때의 도면이다.
배기구(301)를 중앙에 설치한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02, 303)으로부터 방출되는 금속 증기는 거의 좌우 대칭으로 되고, 양 전극(302, 303)으로부터의 흐름은 중앙에서 충돌면을 형성하여, 가스류에 의해 배기되지만, 일부는 용기(300)의 영역내를 이분하도록 대류한다. 그에 반하여, 배기구(301)를 한쪽에 설치한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300)내의 흐름은 비대칭으로 된다.
즉, 배기구(301)측에 있는 전극(302)으로부터 방출되는 금속 증기의 흐름은 가스류에 의해 대부분이 배기되고, 다른쪽 전극(303)으로부터 방출되는 금속 증기의 일부만이 용기(300)내를 크게 대류한다. 따라서, 배기구(301)를 중앙에 설치한경우 쪽이 금속 증기가 단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축압 공간(U)내의 가스에 혼합되기 때문에 차단 성능이 불량하게 된다. 즉, 비대칭 흐름인 쪽이 금속 증기가 혼합되기 어렵기 때문에 차단 성능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전극 부근에 가스류를 집중시키면, 아크 스폿이 전류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금속 증기의 방출 방향이 배기구측을 향하기 쉬워져, 차단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험에 부가하여, 용기(300)의 전극(302, 303)보다 하부의 용적(축압 공간)을 변화시킨 경우에 대해서도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용적을 작게 하면, 가스가 용기내에 저장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가스는 조기에 유출되고(용기내의 압력은 조기에 저하됨) 차단 성능은 저하하게 된다. 반대로, 용적이 지나치게 크면 내압이 그다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차단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차단 성능이 가장 높아지는 이상적인 용적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실적인 차단기의 크기를 상정할 경우, 소호실의 용적은 이상적인 값보다 충분히 작고, 따라서 소호실의 용적이 클수록 차단 성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가압된 가압 가스를 이중 용기로 구성되는 축압 공간에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이 축압 공간에 축적된 가압 가스를 가동자와 고정자의 각각에 형성되는 아크 스폿의 사이를 통해 배기구에 의해 배기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가압 가스를 아크에 분사할 수 있어, 치밀하고 차단 성능이 높은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호 유닛을 유기계 절연물로 형성하기 때문에, 아크에 의해 차단성이높은 가압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고, 가스압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차단성이 높은 가압 가스에 의해 아크의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기구를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예컨대, 고정 접점 근방 또는 개방시의 가동 접점 근방)에 배치하기 때문에, 소호 유닛내의 가압 가스의 흐름을 비대칭으로 할 수 있어, 차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호 유닛은 배기구 이외의 작은 개구부를 중첩부나 다른 부재에 의해 거의 밀폐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아크가 소호에 이를 때까지, 강한 가스류를 지속시킬 수 있어, 높은 차단 성능을 갖는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호 유닛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가동자의 회전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스류의 대부분을 아크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 높은 차단 성능을 갖는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호 유닛은 단자간 방향이 가장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압 공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차단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호 유닛의 가동자의 초기 분리 방향의 길이를 최대로 분리된 가동자와 고정자를 수납할 수 있는 최소의 길이로 함으로써, 가스류가 아크 이외의 유로를 흐르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어, 가스류를 아크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호 유닛(3)에 있어서, 아크(A)로부터 보았을 때에 배기구측의 용적은 반대측의 용적과 비교하여 작게, 또한 축압 공간을 크게 취하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축압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많은 배선용 차단기에서는 가동자와 릴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가요성 도체를 이용하여 상기 축압 공간을 점유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동자를 유지 도체에 의해 유지하기 때문에, 넓은 축압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차단 성능을 갖는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주로 가스류에 의한 블로(blow)에 의해 아크를 소호하도록 하지만,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가스류에 의한 블로와 전자기력에 의한 블로를 강화함으로써 아크를 소호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제 2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소호 유닛의 우측 부분, 한쪽 측의 소호측판 및 로터를 생략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33a)는 전류 차단시에 전자기력에 의한 블로가 강화된 역 U자형상의 고정자(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1-32031 호)이고, 참조부호(40)는 고정자(33a)에 장착된 절연부재이다. 또한, 역 U자형상 고정자를 취출했을 때의 사시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그 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동작에 대해서는, 전류 차단시에 고정자(33a) 근방에 강력한 전자기력에 의한 블로가 또한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고정자의 형상 이외에,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U자형상 고정자(33b), 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1980-96548 호에 기재된 고정자(2)로 하면, 도 8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스류에의한 블로 이외에 전자기력에 의한 블로도 아크에 작용하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차단 성능을 갖는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가압 가스가 축압 공간으로부터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를 흐르는 경로내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위치에서의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과,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앞쪽 위치에서의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위치에서의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앞쪽 위치에서의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제 3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a는 소호판, 소호측판 및 소호 유닛 하우징체 덮개를 생략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b는 소호 유닛을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41)는 소호 유닛(3)의 측벽에 있어서의 아크 발생 위치 근방을 두텁게 한 두께 부분으로, 이 두께 부분(41)을 설치함으로써 아크 발생 위치에서의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작게 된다. 또한, 도 12b에서의 화살표는 가압 가스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른 설명은 생략한다.
대전류 차단시의 소호 유닛(3)내의 유속은 음속에 가까운 값으로 되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호 유닛(3)내의 형상을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서 좁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아크에 분사되는 가스류가 더욱 강해진다(노즐 효과).따라서, 차단 성능이 우수한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아크 근방에서의 가스류가 흐르는 면적을 작게 하지만, 이는 이러한 특별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크 근방의 측벽을 내측으로 오목하게 하거나, 또는 다른 부재를 새롭게 내벽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횡방향의 측벽 사이의 거리가 작게 하지만,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의 측벽간의 거리를 작게 하여도 무방하다.
(제 4 실시예)
본 제 4 실시예에서는 가동자와 고정자의 접점측에 아크 호온(arc horn)이나 아크 런너(arc runner) 등의 전극을 구비하고, 전류 차단시 이 전극면의 방향에 배기구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도 13은 본 제 4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소호판, 소호측판 및 소호 유닛 하우징체 덮개를 생략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42)는 가동자(31)의 선단부를 신장함으로써 형성된 전극(이하, 아크 호온이라고 함)이고, 참조부호(43)는 고정자(33)의 선단부를 신장함으로써 형성된 전극(이하, 아크 런너라고 함)이며, 참조부호(39)은 배기구로, 개방 상태에서 아크 호온(42)의 하면이 이 배기구(39)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전류 차단시 접점(32, 34)간에 발생한 아크는 그 후에 전극(42, 43) 사이로 이동하지만, 이 아크 발생시에는 아크와 전극(42, 43)의 경계면으로부터 전극 재료인 금속이증기로 되어 분출한다. 이러한 금속 증기가 축압 공간내의 가압 가스에 대부분 포함되는 것은 차단에 있어서는 불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32) 표면의 법선 방향에 비해 아크 호온(42) 표면의 법선 방향이 배기구(39)측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아크와 아크 호온(42)의 경계로부터 분출되는 금속 증기가 배기구(39)로부터 배기되기 쉽게 되어 접점간의 절연이 저하하기 어렵우므로 차단 성능이 우수한 회로 차단기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 호온을 가동자로부터 연장하여 형성하고, 아크 런너를 고정자로부터 연장하여 형성하도록 하지만, 다른 부재로서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 호온의 하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기구를 배치하도록 하지만, 아크 런너의 상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기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제 5 실시예)
본 제 5 실시예에서는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유기계 절연부재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도 14는 본 제 5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의 소호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소호판, 소호측판 및 소호 유닛 하우징체 덮개를 생략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44)는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설치된 유기계 절연부재이고, 참조부호(45)는 로터(31b)에 장착된 유기계 절연부재이다. 또한, 그 외에는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유기재료는 일반적으로는 아크에 노출되면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유기재료(44, 45)로서는 어떠한 유기재료여도 상관없지만, 비교적 다량으로 분해 가스를 발생하는 폴리아세탈 등의 폴리머계 다공성 재료 등을 이용하면 무방하다. 이러한 부재를 이용하면, 아크에 노출되었을 때에 다량의 분해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호 유닛(3)내의 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강한 가스류가 얻어지기 때문에, 차단 성능이 우수한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아크 발생시의 소호 유닛(3)내의 가스는 주로 접점이나 도체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금속 증기와 소호 유닛(3) 등의 절연물로부터 발생하는 유기 가스와 공기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금속 증기는 전기 전도율이 높은 가스이기 때문에 차단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며, 다른 2개의 가스는 전기 전도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차단 성능에 공헌한다. 그러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호 유닛(3)내에 차단성이 높은 유기 가스를 발생하는 유기계 절연부재를 배치하면, 전기 전도율이 낮은 유기 절연물의 가스를 적극적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소호 유닛(3)내의 압력이 더욱 상승하고, 아크에 강한 가스류를 작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유기 가스 자체가 차단 효력을 갖기 때문에,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계 절연부재의 형상 등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 발생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자(33a)의 절연부재(40)를 유기계의 가스 발생부재와 겸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아크로부터 보았을 때 배기구와 반대 방향에 유기계 절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압력 발생원인 유기계 절연부재로부터 유출구인 배기구를 향하는 이상적인 가스류가 아크에 대해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차단 성능을 갖는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자(33a)측에 절연부재(40)를 배치한 경우, 가동자의 분리 직후부터 소호성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압 가스량이 증가하고, 블로가 강화되어, 보다 높은 차단 성능을 갖는 회로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예)
일반적으로 전류값이 작은 아크에서는 아크가 갖는 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발생 압력이 작아진다. 그 결과, 아크에 분사되는 가스의 유속도 작아지며, 축압 공간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충분한 가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소호 유닛의 내벽에 있어서의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작은 챔버를 설치하도록 하고, 이 작은 챔버를 축압 공간으로 하여, 전류값이 작은 아크의 경우에도, 아크에 충분한 가스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5는 본 제 6 실시예의 소호 유닛를 상측에서 본 상면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46)는 소호 유닛(3)의 측벽에 있어서의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설치된 작은 챔버이다. 이 작은 챔버(46)는 아크 발생 위치 근방에 설치하도록 하면 무방하지만, 아크 발생 위치를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도록 하고, 이 개구부 이외의 부분은 밀봉하여 축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이 개구부로부터분출되는 가압 가스가 아크에 접촉하도록, 개구부가 배기구측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은 챔버(46)를 설치함으로써 아크 발생시 가압된 가압 가스가 작은 챔버(46)내의 축압 공간에 일시 보존되고, 그 후 도 15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작은 챔버(46)로부터 아크에 가스류가 분사되게 된다. 여기서, 작은 챔버(46)내의 용적이 작기 때문에, 큰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압력은 용적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작은 챔버(46)의 용적이 작으면, 작은 에너지라 하더라도 큰 압력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크의 에너지에 의해 가스를 다량으로 발생하는 재료를 설치하여, 작은 챔버내의 발생 압력을 높게 하면, 차단 성능이 보다 우수한 회로 차단기가 얻어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자와, 일단부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가동 접점을 갖고 타단부에 회전 중심을 갖는 회전 운동 가능한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 및 가동자를 둘러싸며 전류 차단시에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가압된 가압 가스를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측에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축압 공간을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단부에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소호실 용기와, 상기 소호실 용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류 차단시에 상기 축압 공간에 보존된 가압 가스가 상기 고정자 및 가동자의 접점 근방에 형성된 2개의 아크 스폿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되도록 상기 소호실 용기 및 본체 케이스에서의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타단부에 설치된 배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아크가 소호될 때까지 아크에 강한 가스류를 분사할 수 있어, 우수한 차단 성능이 실현된다.
또한, 대략 육면체로 구성된 소호실 용기에 있어서, 가동자의 회전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c, 가동자의 초기 開離 방향의 길이를 b, 상기 b 및 c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a라고 할 때, a>b>c이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축압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압 가스를 아크에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가동자 및 고정자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아크 스폿의 중심을 통과하며 가동자의 회전 운동면에 수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소호실 용기내의 공간을 절단하여 생기는 2개의 공간에 있어서, 배기구를 구비한 쪽의 공간의 용적이 다른 쪽의 용적보다 작도록 구성한 경우, 치밀한 소호 유닛내에서도 축압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를 고정 접점 근방 또는 분리시의 가동 접점 근방에 배치한 경우에는, 용기내의 가압 가스의 흐름을 비대칭으로 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자를 유지하는 도체부를 용기내에 설치하고, 축압 공간을 상기 도체부 근방에 형성한 경우에는, 횡방향으로부터 아크에 가압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가압 가스가 축압 공간으로부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를 흐르는 경로내의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앞쪽 위치에서의 상기 가압 가스의유통 면적보다 작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위치에서의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아크에 강한 가스류를 분사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아크의 발생 위치 근방의 용기 측벽에 상기 아크의 방향에 개구부를 갖는 챔버를 구비하도록 한 경우에는, 소전류 아크에 있어서도 충분히 강한 가스류를 아크에 분사할 수 있어, 우수한 차단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용기를 유기계 절연물로 형성한 경우에는, 아크에 의해 차단성이 높은 가압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스압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차단성이 높은 가압 가스에 의해 아크의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용기내의 아크의 발생 위치 근방에 유기계 절연물을 배치한 경우에는, 가스압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차단성이 높은 가압 가스에 의해 아크의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시의 가동 접점 근방 또는 고정 접점 근방의 어느 한쪽에 배기구를 배치하고, 또한 다른쪽에 상기 유기 절연물을 배치한 경우에는, 가스의 발생원인 유기 절연물로부터 유출구인 배기구를 향하는 균일한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자의 고정 접점 근방 또는 가동자의 가동 접점 근방에 각각의 아크 스폿이 전류하는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아크 스폿이 전류하는 면의 법선 방향은 가동 접점 또는 고정 접점 접촉면의 법선 방향보다 상기 배기구측을 향해 보다 근접하게 지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극으로부터 분사된 금속 증기가 배기구로부터 용이하게 배기 되기 때문에, 우수한 차단 성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호실 용기에 있어서, 배기구 이외의 미소한 개구를 다른 부재를 결합시켜 막음으로써, 가압 가스의 배기구 이외로부터의 유출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 가스를 아크에 강하게 또한 긴 시간동안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전류가 발생했을 때에 전기 회로를 차단하여 보호하는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전기 회로나 전기 기기의 보호 개폐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자와,
    일단부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한 가동 접점을 갖고 타단부에 회전 중심을 갖는 회전 운동 가능한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 및 가동자를 둘러싸며 전류 차단시에 상기 고정자 및 상기 가동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가압된 가압 가스를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측에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축압 공간을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일단부에 형성하는 소호실 용기와,
    상기 소호실 용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전류 차단시에 상기 축압 공간에 보존된 가압 가스가 상기 고정자 및 가동자에 형성된 아크 스폿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되도록 상기 소호실 용기 및 본체 케이스에서의 상기 아크의 발생 위치의 타단부에 설치된 배기구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대략 육면체로 구성되는 소호실 용기에 있어서, 가동자의 회전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c, 가동자의 초기 분리 방향의 길이를 b, 상기 b 및 c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a라고 할 때, a>b>c이도록 구성되는
    회로 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 및 고정자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아크 스폿의 중심을 통과하고 가동자의 회전 운동면에 수직인 평면에 의해 상기 소호실 용기내의 공간을 절단하여 생기는 2개의 공간에 있어서, 배기구를 구비한 쪽의 공간의 용적이 다른 쪽의 용적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회로 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가 고정 접점 근방 또는 분리시의 가동 접점 근방에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자를 유지하는 도체부가 상기 소호실 용기내에 설치되고 상기 축압 공간이 상기 도체부 근방에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가스가 상기 축압 공간으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를 흐르는 경로내의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위치에서의 상기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이 상기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사이의 앞쪽 위치에서의 상기 가압 가스의 유통 면적보다 작도록 설정되는
    회로 차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 발생 위치 근방의 상기 소호실 용기 측벽에 상기 아크의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 챔버를 구비하는
    회로 차단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실 용기가 유기계 절연물로 형성되는
    회로 차단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실 용기내의 아크의 발생 위치 근방에 유기계 절연물을 배치하는
    회로 차단기.
  10.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분리시의 상기 가동 접점 근방 또는 상기 고정 접점 근방의 어느 한쪽에 배기구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유기계 절연물을 배치하는
    회로 차단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상기 고정 접점 근방 또는 상기 가동자의 상기 가동 접점 근방에 각각의 아크 스폿이 전류하는 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아크 스폿이 전류하는 면의 법선 방향이 상기 가동 접점 또는 상기 고정 접점의 접촉면의 법선 방향보다 상기 배기구측을 향해 보다 근접하게 지향되도록 구성되는
    회로 차단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실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이외의 미소한 개구를 다른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막는
    회로 차단기.
KR10-2001-7009717A 1999-12-02 2000-06-30 회로 차단기 KR100439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26999 1999-12-02
JPJP-P-1999-00343269 1999-12-02
PCT/JP2000/004363 WO2001041168A1 (fr) 1999-12-02 2000-06-30 Disjon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310A true KR20010093310A (ko) 2001-10-27
KR100439389B1 KR100439389B1 (ko) 2004-07-09

Family

ID=1836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17A KR100439389B1 (ko) 1999-12-02 2000-06-30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73815B1 (ko)
EP (1) EP1152440B1 (ko)
JP (1) JP4376483B2 (ko)
KR (1) KR100439389B1 (ko)
CN (1) CN1222966C (ko)
DE (1) DE60030840T2 (ko)
ES (1) ES2272295T3 (ko)
TW (1) TW451238B (ko)
WO (1) WO20010411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77U (ko) * 2012-03-05 2013-09-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0023B2 (ja) 2005-02-25 2011-03-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4529769B2 (ja) * 2005-04-05 2010-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4725276B2 (ja) * 2005-10-05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4522362B2 (ja) * 2005-12-21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DE102006028696A1 (de) * 2006-06-22 2007-12-27 Siemens Ag Leistungsschalter oder Leitungsschutzschalter
US7716816B2 (en) * 2006-09-22 2010-05-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 assembly
US7551050B2 (en) * 2006-09-22 2009-06-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ontactor assembly with arc steering system
DE102008005101A1 (de) * 2008-01-16 2009-07-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insbesondere Leistungsschaltgerät
DK2482299T3 (da) 2008-04-01 2014-01-13 Ewac Holding B V Elektrisk drejekontakt
US8592709B2 (en) * 2008-04-15 2013-11-26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path arrangement for a circuit breaker
DE102008050754A1 (de) * 2008-10-07 2010-04-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stungsschalter, Schaltpol für Leistungsschalter sowie Schaltpolgehäuseteil
KR101004074B1 (ko) 2008-10-16 2010-12-27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소호장치
US8164018B2 (en) * 2009-03-23 2012-04-24 Siemens Industry, Inc. Circuit breaker arc chamb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RU2556240C2 (ru) * 2009-09-18 2015-07-10 Шнейдер Электрик Эндюстри Сас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однополюсной отключающий блок, содержащий контактный мостик, и прерыватель цепи, содержащий одно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5313933B2 (ja) * 2010-01-18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5665716B2 (ja) * 2011-09-30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N102427007A (zh) * 2011-11-10 2012-04-25 江苏辉能电气有限公司 一种防止低压断路器动触头反弹的装置
EP2674951B1 (en) * 2012-06-11 2018-08-08 ABB Oy Electric current switching apparatus
US9040864B2 (en) * 2013-05-27 2015-05-26 Asco Power Technologies, L.P. Profiled arc splitter plate
KR101513209B1 (ko)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DE102014002902B4 (de) * 2014-02-27 2019-08-01 Schaltbau Gmbh Löschkammer für ein Schütz und ein Schütz zum Löschen von Lichtbögen
CN104239063B (zh) * 2014-09-23 2018-08-10 福建星网视易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网页浏览器及通过网页浏览器调用本地应用程序的方法
JP6626004B2 (ja) * 2014-12-17 2019-12-25 大塚テクノ株式会社 ブレーカの製造方法とこのブレーカを備える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101855915B1 (ko) * 2016-09-06 2018-05-1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크 소호부 구조체
CN117524757B (zh) * 2024-01-05 2024-05-17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开关触头和插拔式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7325A (en) * 1960-12-21 1965-04-06 Ite Circuit Breaker Ltd Mechanical and electrical pivot between removable arc chute and stationary contact structure
US3516090A (en) * 1965-05-21 1970-06-02 Gen Electric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independent acting high speed opening means
DE2029252C3 (de) * 1970-06-13 1975-04-03 Siemens Ag Elektrischer Schalter
GB2042263B (en) * 1979-02-08 1983-10-19 Terasaki Denki Sangyo Kk Circuit interrupters
JPS5663735A (en) 1979-10-27 1981-05-30 Fuji Electric Co Ltd Circuit breaker
JPS57141363U (ko) * 1981-02-27 1982-09-04
US4453053A (en) * 1981-07-21 1984-06-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ircuit breaker with arc restricting device
US4581511A (en) 1984-09-28 1986-04-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an improved internal venting system
DE3443122A1 (de) * 1984-11-27 1986-05-28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Vorrichtung zur unterbrechung von stromkreisen
IT208624Z2 (it) * 1986-12-11 1988-05-28 Sace Spa Camera d'arco, in particolare per interruttori di bassa tensione.!
JPH0631635Y2 (ja) * 1987-04-21 1994-08-22 富士電機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
JP2559682B2 (ja) 1987-07-22 1996-12-04 東光株式会社 感湿素子の製造方法
JP2965331B2 (ja) * 1990-07-10 1999-10-18 テンパール工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
FR2682531B1 (fr) * 1991-10-15 1993-11-26 Merlin Gerin Disjoncteur multipolaire a blocs unipolaires.
JP3432327B2 (ja) 1995-03-30 2003-08-04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H09115410A (ja) * 1995-10-17 1997-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JPH09330642A (ja) * 1996-04-08 1997-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JPH10334785A (ja) 1997-05-30 199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気中直流遮断器、気中交流遮断器、及び気中直流遮断器の結線方法
KR100348564B1 (ko) 1998-12-28 2002-08-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한류장치 및 한류기능을 갖는 회로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77U (ko) * 2012-03-05 2013-09-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0840T2 (de) 2007-03-15
KR100439389B1 (ko) 2004-07-09
CN1222966C (zh) 2005-10-12
EP1152440A4 (en) 2004-04-21
DE60030840D1 (de) 2006-11-02
WO2001041168A1 (fr) 2001-06-07
EP1152440A1 (en) 2001-11-07
EP1152440B1 (en) 2006-09-20
US6573815B1 (en) 2003-06-03
ES2272295T3 (es) 2007-05-01
JP4376483B2 (ja) 2009-12-02
TW451238B (en) 2001-08-21
CN1343367A (zh)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389B1 (ko) 회로 차단기
US7186941B2 (en) Arc extinguisher assembly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4650023B2 (ja) 回路遮断器
US6373014B1 (en) Current limiting device and circuit interrupter having a current limiting function
US5969308A (en) Rotary switch including spring biased knife blade contacts
JP5260702B2 (ja) 配線用遮断器
JP2006294511A (ja) 回路遮断器
JP2005353404A (ja) 回路遮断器
KR940022962A (ko) 개폐장치
US6288621B1 (en) Pole for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wide arc extinguishing chamber
JP4382601B2 (ja) 接地開閉器
JP2014154449A (ja) 蓄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
CN214012878U (zh) 断路器的灭弧系统
JP4475020B2 (ja)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CN218274296U (zh) 一种静触头及电的开关
CN218351400U (zh) 一种断路器
JPH07282710A (ja) 開閉器
JP7493480B2 (ja) 回路遮断器
JP2993896B2 (ja) 回路遮断器
JPS5919292Y2 (ja) ア−ク回転形しや断器
KR100324761B1 (ko) 회로차단기용 복합소호장치
JPH019064Y2 (ko)
JPH0620550A (ja) 開閉器
JP2022165074A (ja) 回路遮断器
RU6645U1 (ru) Разъединитель с повышенной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