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347A -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347A
KR20010087347A KR1020010011458A KR20010011458A KR20010087347A KR 20010087347 A KR20010087347 A KR 20010087347A KR 1020010011458 A KR1020010011458 A KR 1020010011458A KR 20010011458 A KR20010011458 A KR 20010011458A KR 20010087347 A KR20010087347 A KR 20010087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transmission belt
combustion engine
temperature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685B1 (ko
Inventor
히로세키유
카토센지
타카하시준
이토유키카츠
키타무라투루
Original Assignee
사이토 아키히코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토 아키히코,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이토 아키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8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60K6/547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the transmission being a stepp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mbustion engines
    • B60L2240/44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76Engin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1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2041/389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for injecting directly into the 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15Specific drive or transmission adapted for hev
    • Y10S903/917Specific drive or transmission adapted for hev with transmission for changing gear ratio
    • Y10S903/919Stepped shift

Abstract

내연기관의 운전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내연기관을 신속하게 재시동시키는 것으로서,
제어 유닛(60)은, 전동 벨트(16)의 에너지 흡수 상태에 따라서 결정한 반전 위상 전류치(Eon)를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입력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을 제동한다. 제어 유닛(60)은,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반전 위상 전류치(Eon)을 입력한 후, 전자식 클러치(15)를 ON 하여 크랭크 샤프트와 보기 구동용 모터(31)를 연결시킨다. 반전 위상 전류치(Eon)의 값은 전동 벨트(16)의 에너지 흡수 상태에 따라서 변경되기 때문에,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동력도 전동 벨트(16)의 에너지 흡수 상태에 따라서 변경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Control apparatus for idling stop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vehicle with the apparatus mounted thereon}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행 상태에 따라서 실행되는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을 제어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차량 주행 중에 있어서의 신호 대기와 같은 일시적인 차량 정지시에 내연기관의 운전을 정지시켜, 운전자의 시동 요구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소위 아이들링 스톱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내연기관의 자동 운전 정지·운전 재개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에서는, 보기 구동용 전동기가 내연기관 및 보기와 팬 벨트를 통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시에는 보기 구동용 전동기에 의해서 워터 펌프 등의 보기가 구동되고, 내연기관의 운전시에는 내연기관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된다. 또한, 보기 구동용 전동기에 의한 보기 구동시에 내연기관을 구동계로부터 차단하여 보기 구동용 전동기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서 내연기관과 보기 구동용 전동기 사이에는 내연기관과 보기 구동용 전동기의 연결을 해방·연결하는 클러치(연결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보기 구동용 전동기는,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할 때에 내연기관을 시동시키는 전동기로서도 기능하고, 내연기관의 운전개시시에는 클러치에 의해서 내연기관과 보기 구동 중인 보기 구동용 전동기가 연결됨으로써 내연기관의 회전수가 시동 회전수까지 상승된다.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시에는, 보기 구동중인 보기 구동용 전동기와 내연기관 사이의 회전수 차에 기인하는 충격, 진동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보기 구동용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감한 후에 클러치를 연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는, 클러치의 연결에 따르는 충격, 진동(에너지)가 팬 벨트에 의해서 충분히 흡수되지 않지 않는 일이 있었다. 예를 들면, 냉간시 등에는 팬 벨트의 온도가 낮은 것과도 더불어,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하에서의 내연기관의 재시동에 있어서, 클러치의 연결에 따르는 충격, 진동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사태에 대비하여, 보기 구동용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크게 하면, 내연기관의 신속한 재시동의 요구에 따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내연기관의 운전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내연기관의 운전을 신속하게 재운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로서 사용되는 엔진과 보기, 보기 구동용 모터의 배치 관계를 전동 벨트가 장착되어 있는 측에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시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의 이행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는 엔진의 운전 재개시에 실행되는 전자식 클러치의 제어 처리의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전동 벨트의 온도를 반영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입력하는 반전 위상 전류치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루틴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엔진의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냉각액 온도 보정치(Ew)를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외기 온도, 보기 구동용 모터의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에 의거하여 모터 적산 회전수 보정치(Em)를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전자식 클러치의 연결 타이밍, 보기 구동용 모터의 동작 상태, 댐퍼 회전수, 크랭크 샤프트 회전수의 경시적 변화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
11 … 크랭크 샤프트
12 … 인젝터
13 … 점화 플러그
14 … 이그나이터
15 … 다판식 전자식 클러치
16, 17 … 전동 벨트
18 … 라디에이터
20 … 토크 컨버터
22 … 자동식 유단 변속기(AT)
24 … 드라이브 샤프트
25 … 디퍼렌셜 기어
26 … 차축
27 … 차륜
30 … 보기
31 … 보기 구동용 모터
40 … 링 기어
41 … 시동용 모터
45 … 오일 펌프 구동 모터
46 … 계기반
47 …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50 … 냉각액 온도 센서
51 … 외기 온도 센서
52 … 모터 회전수 센서
53 … 엔진 회전수 센서
54 … 차속 센서
55 … 시프트 포지션 센서
56 …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
57 … 브레이크 페달 센서
58 …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
60 … 제어 유닛
124 … 보기 풀리
125 … 크랭크 샤프트 풀리
126 … 보기 구동용 모터 풀리
151 … 클러치 플레이트
152 … 플라이휠
200 … 인버터
210 … 고전압 배터리
220 … DC/DC 컨버터
230 … 배터리
301 …워터 펌프
302 … 에어컨디셔너용 컴프레서
303 … 파워 스티어링용 펌프
600 … 아이들링 스톱 ECU
610 … 엔진 ECU
620 … 브레이크 ECU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효과)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내연기관 또는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의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과는 연결 기구를 통해 연결 또는 해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에는 상기 연결 기구가 해방됨과 동시에 전동 벨트를 통해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의 정지 조건 또는 재개 조건을 판정하는 운전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감하기 위해서 상기 전동기에 주어지는 제동 부하량을 결정하는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가 해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에 상기 제동 부하를 부여한 후,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서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시키는 운전 개시 준비 수단과,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서 상기 내연기관과 상기 전동기가 연결된 후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내연 기관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에 의하면,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감하기 위해서전동기에 주어지는 제동 부하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내연기관을 신속하게 재시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탄성을 검출하는 전동 벨트 탄성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탄성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탄성이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은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란, 예를 들면, 충격, 진동등의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지 여부의 상태를 의미하며, 전동 벨트의 탄성, 경도와 같은 물성과 상관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전동 벨트의 탄성을 검출함으로써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벨트의 탄성, 경도와 같은 물성은 전동 벨트의 온도와 상관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이들의 물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전동 벨트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전동 벨트가 경화하여, 탄성을 잃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연결 기구의 연결에 따르는 충격, 진동(에너지)을 흡수하기 어렵고, 한편, 전동 벨트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연결 기구의 연결에 따르는 충격, 진동을 흡수하기 쉽다. 이러한 상태를 고려하여 제동 부하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연결 기구의 연결에 따르는 충격, 진동의 흡수 요구와, 내연기관의 신속한 재시동의 요구의 쌍방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냉각액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검출 수단이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냉각액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전동 벨트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상기 내연기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는 기관 회전수 적산 수단이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기관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적산된 상기 기관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는 전동기 회전수 적산 수단이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활주 이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고려하여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또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의 저감의 정도를 크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외기 온도를 고려하여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주행 상태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정지 및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은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중에는 상기 내연기관에 의하여 상기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따른 차량은,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 또는 해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 상기 보기의 입력축, 및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 벨트와, 상기 전동 벨트가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상태를 판정하는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상기 결정된 저감의 정도만큼 저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해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시킨 후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 처리를 실행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에 의하면,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감의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따라서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차량을 재운전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전동 벨트의 탄성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탄성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은 또한,상기 전동 벨트의 윗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을 냉각한 냉각액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 수단과, 상기 냉각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전동 벨트는 방열 수단으로부터 방열된 열량, 즉, 냉각액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냉각액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전동 벨트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은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는 기관 회전수 적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기관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는 전동기 회전수 적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활주이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고려하여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냉각액 온도, 상기 적산 기관 회전수 및 상기 적산 전동기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더하여,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외기 온도를 고려하여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해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내연기관의 운전 중은 내연기관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고, 주행 상태에 따라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정지 및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은 전동 벨트를 통해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차량은,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 또는 해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에 앞서서 상기 전동기를 제동할 때의 목표 제동 회전수를 결정하는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를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로서 운전시킴과 동시에, 상기연결 기구를 통해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시킨 후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 처리를 실행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차량에 의하면,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전동기를 제동할 때의 목표 제동 회전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따라서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차량을 신속하게 재운전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차량은 또한,상기 전동 벨트의 윗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을 냉각한 냉각액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 수단과, 상기 냉각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함과 동시에, 검출된 상기 냉각액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전동 벨트는 방열 수단으로부터 방열된 열량, 즉, 냉각액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냉각액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차량은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차량과 동일하게 하여, 적산된 기관 회전수,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활주 이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반영하면서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온도를 고려하여 목표 제동 회전수의 증가의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해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주행 상태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정지 및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갖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에는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은, 상기 내연기관, 상기 전동기 및 상기 보기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기 위한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내림 폭만큼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하시킨 후,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해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과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을 연결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에 의하면,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결정하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내연기관을 신속하게 재시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은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탄성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탄성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탄성이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전동 벨트에 의한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은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냉각액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판정하고, 상기 냉각액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전동 벨트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은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상기 내연기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고, 상기 적산한 기관 회전수를 또한 고려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판정하고, 상기 적산한 기관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고, 상기 적산한 전동기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활주 이동에 따라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반영하면서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에 있어서, 또한 외기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외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의 저감의 정도를 증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외기 온도를 고려하여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의 저감의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차량의 개략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동 벨트와 엔진, 보기 및 보기 구동용 모터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차량은, 동력원으로서의 엔진(내연기관)(10), 엔진(10)의 출력 토크를 증폭하는 토크 컨버터(20), 최대 감속비와 최소 감속비 사이에서 감속비를 자동적으로 유단계로 변경 가능한 자동 유단 변속 장치(AT)(22)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10)은 크랭크 샤프트(출력축)(11)를 통해 토크 컨버터(20)의 동력 입력축과 결합되어 있고, 토크 컨버터(20)의 동력 출력축은, AT(22)의 동력 입력축과 결합되어 있고, AT(22)의 동력 출력축은 드라이브 샤프트(24)와 결합되어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24)는 디퍼렌셜 기어(파이널 기어를 포함한다)(25) 및 차축(26)을 통해 차륜(27)과 결합되어 있다.
엔진(10)은, 연료(예를 들면, 가솔린 연료)가 실린더내에 직접 분사되는 형식의 직접 분사식 가솔린 엔진이고, 가솔린 연료를 실린더내에 분사하기 위한 고압식 인젝터(12), 실린더내에 분사된 가솔린과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혼합기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13)를 구비하고 있다. 고압식 인젝터(12)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해서 승압된 고압력의 가솔린 연료가 딜리버리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어 있고, 제어 유닛(60)으로부터의 분사 신호에 의거하여 고압식 인젝터(12)가 밸브 개방하면 실린더내에 가솔린 연료가 분무된다. 점화 플러그(13)에는 제어 유닛(60)으로부터의 점화 신호에 의거하여 이그나이터(14)로부터 고전압이 공급된다. 엔진(10)에는, 엔진(10)을 냉각하는 냉각액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냉각액 온도 센서(50)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10)의 차량 진행측(도 1에 있어서 좌측)에는, 외기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외기 온도 센서(51)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0)의 주위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터 펌프(301), 에어컨디셔너용 컴프레서(302), 파워 스티어링용 펌프(303) 등의 보기(30), 및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의한 엔진 정지시에 보기(30)를 구동하기 위한 보기 구동용 모터(전동기)(31)가 배치되어 있다. 각 보기(301, 302, 303)의 동력 입력축, 엔진(10)의 크랭크 샤프트(11)의 일단에는 풀리(124, 125)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엔진(10)의 풀리(125)와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풀리(126)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서 엔진(10)을 시동시키기 위한 전동 벨트(16)가 장착되어 있다. 풀리(125)와 풀리(126)의 풀비는 일반적으로, 1:2 내지 1:3정도이다. 각 풀리(124, 125)에는 전동 벨트(17)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동 벨트(17)를 통해 엔진(10)의 출력이 보기(30)의 동력 입력축으로 전달되며, 또한 전동 벨트(16) 및 전동 벨트(17)를 통해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출력이 보기(30)의 동력 입력축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동 벨트(16, 17)로서는,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인 소위 V 벨트, 또는 두께가 V 벨트보다도 얇고 폭이 넓음과 동시에 그 회전 방향에 따라서 V자 형상의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소위 V 리브 벨트 등이 사용되어 있고, 온도에 의존하여 충격, 진동 등의 흡수 특성이 변화하는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동 벨트(16, 17)의 전방(윗자리)측에는 엔진(10)을 순환한 냉각액이 갖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18)가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11)와 풀리(125) 사이에는 습식 다판식의 전자식 클러치(15)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식 클러치(15)는, 클러치 플레이트(151)와 플라이휠(152)을 구비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풀리(125)와 별도로 구비되어도 되고, 풀리(125)에 내장되어도 된다. 상기 전자식 클러치(15)에 의해서, 크랭크 샤프트(11)와 전동 벨트(16) 사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의 절단 및 접속이 실현된다. 또한, 전자식 클러치(15)에는, 연결시에 생기는 충격, 진동의 경감을 꾀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댐퍼가 내장되어 있다.
차량 주행시, 또는, 엔진(10)이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차량 정지시에는 전자식 클러치(15)는 연결되어 크랭크 샤프트(11)의 구동력이 전동 벨트(17)에 전달되기 때문에 워터 펌프(301), 에어컨디셔너용 컴프레서(302) 및 파워 스티어링용 펌프(303)는 엔진(10)에 의해서 구동된다. 한편,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의한엔진(10)의 운전 정지시에는, 전자식 클러치(15)는 해방되어, 크랭크 샤프트(11)와 전동 벨트(17)(풀리(125))는 기계적으로 분단되고, 워터 펌프(301), 에어컨디셔너용 컴프레서(302) 및 파워 스티어링용 펌프(303)가 전동 벨트(16) 및 풀리(125)를 통해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 때, 크랭크 샤프트(11)는 풀리(125), 전동 벨트(16, 17)는 기계적으로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크랭크 샤프트(11)를 구동할 필요는 없고,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고정자측에 3상 코일을 갖는 3상식 모터이고, 엔진(10)을 재시동시킬 때에 크랭크 샤프트(11)를 구동하는 구동력원 및 보기(30)를 구동하는 구동력원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엔진(10)의 운전시에는 엔진(10)에 의해서 구동되어 발전하는 얼터네이터로서 기능한다.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제어 유닛(60)으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인버터(200)에 의해서 구동 제어된다. 인버터(200)는, 고전압 배터리(210) 및 DC/DC 컨버터(220)와 접속되어 있다. 고전압 배터리(210)는 오로지 보기 구동용 모터(31)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되고, 보기 구동용 모터(31)가 얼터네이터로서 기능하고 있을 때에는 발전된 전력을 축전한다. DC/DC 컨버터(220)는, 제어 유닛(60)과 접속되어 있고, 고전압 배터리(210)의 전압 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서 발전된 전력의 전압을 하강시켜 배터리(230)를 충전한다. 배터리(230)는, 후술하는 시동용 모터(41), 오일 펌프 구동 모터(45), 및 제어 유닛(6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기 구동용 모터(31)를 구동하기 위한 고전압배터리(210)와 제어 유닛(60), 그 밖의 모터(41, 45)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230)를 각각 구비하고 있지만, 고전압 배터리(210)만을 구비하여, 제어 유닛(60), 그 밖의 모터(41, 45)에 대하여는 DC/DC 컨버터(220)를 통해 하강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엔진(10)과 토크 컨버터(20) 사이에는 시동용 링 기어(40)가 크랭크 샤프트(11)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고, 시동용 링 기어(40)에는 시동용 모터(41)의 기어가 연결하고 있다. 시동용 모터(41)는 배터리(230)를 전원으로서 이그니션 스위치의 조작을 따르는 엔진 시동시에만, 즉,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따르는 엔진 재시동시를 제외한 엔진 시동시에 엔진(10)을 구동 회전시킨다. 시동용 모터(41)의 기어는,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58)가 이그니션 포지션의 ON에서 STA에의 전환을 검출하는 엔진 시동시에만 링 기어(40)와 연결하고, 통상시는 링 기어(40)와는 연결하지 않고 이간한 위치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따르는 엔진(10)의 재시동시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가 스타터 모터로서 기능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엔진(10)의 운전 개시시(첫회 시동시)에는 시동용 모터(41)에 의해서 엔진(10)의 시동 처리가 실행되고, 엔진(10)의 재시동시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서 엔진(10)의 시동 처리가 실행된다. 시동용 모터(41)에 의한 엔진(10)의 시동은, 기어 노이즈를 수반하는 링 기어(40)를 통한 시동이고, 빈번히 시동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기어 노이즈가 문제가 된다. 또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하에서는 빈번한 시동에 따르는 기어의 마모도 문제가 된다. 한편,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전동 벨트(16)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11)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냉간시 등, 윤활유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크랭크 샤프트(11)를 구동(회전)할 수 없고, 엔진(10)을 시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엔진(10)의 시동시에는 시동용 모터(41)에 의해 엔진(10)을 시동하고, 엔진(10)이 일단, 시동한 후의 재시동시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서 엔진(10)을 시동시킨다.
토크 컨버터(20)는, 일반적인 유체식 토크 컨버터이고, 입력축에 입력된 구동 토크를 증폭하여 출력축으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토크 컨버터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공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자동식 유단 변속기(AT)(22)는 내부에 플라네터리 기어를 갖는 자동 변속기이고, 차속 및 액셀러레이터 밟는 량 등에 따라서 유압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기어의 편성을 자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변속비를 바꾼다. AT(22)의 출력축은 드라이브 샤프트(24)에 연결되어 있고, AT(22)의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은, 드라이브 샤프트(24), 디퍼렌셜 기어(25), 차축(26)을 통해 차륜(27)에 전달된다. AT(22)의 근방에는, 엔진(10)의 운전 정지시에도 구동계의 유압을 유지하기 위한 오일 펌프 구동 모터(45)가 배치되어 있다. 오일 펌프 구동 모터(45)는 배터리(230)를 전원으로서 운전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어 유닛(60)은, 아이들링 스톱 ECU(전자 제어 유닛)(600), 엔진 ECU(610), 및 브레이크 ECU(6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ECU(600, 610, 620)에는 CPU, ROM, RAM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들 ECU는 예시이고, 예를 들면, AT(22)를 제어하는 ECU를아이들링 스톱 ECU(600)와는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에 있어서 제어 유닛(6O)의 중핵을 이루는 ECU이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 ECU(610), 및 브레이크 ECU(620)와 쌍방향 통신 가능하게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에는, 엔진 냉각액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온도 센서(50),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센서(51),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모터 회전수 센서(52), 엔진(10)의 크랭크 샤프트(1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53),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54), 기어 포지션을 검출하는 시프트 포지션 센서(55),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위치를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로서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개방도 센서(56),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의 유무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57), 및 이그니션 스위치의 포지션을 검출하는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58)가 각각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에는, 인버터(200), 시동용 모터(41), 전자식 클러치(15), DC/DC 컨버터(220), 오일 펌프 구동 모터(45), AT(22), 계기반(46)이 접속되어 있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인버터(200)를 통해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의해 엔진(1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보기(30)의 구동을 실현한다. 또한, 아이들링 스톱 상태로부터 엔진(10)의 운전을 재개시킬 때는, 시동용 모터(41)를 대신하여 엔진(10)의 크랭크 샤프트(11)를 구동 회전시켜 엔진 회전수를 시동 회전수까지 상승시킨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전자식 클러치(15)의 전자식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클러치 플레이트(151)의 플라이휠(152)에 대한 연결 및 해방을 실현하고,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을 제어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차속 센서(54), 시프트 포지션 센서(55),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56)로부터의 검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압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최적의 변속 포인트에 있어서 변속비를 변경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내의 ROM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엔진 ECU(610)는, 아이들링 스톱 ECU(600)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인젝터(12)를 통해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고, 이그나이터(14)를 통해 점화시기를 제어함으로써 엔진(10)의 운전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의한 차량 정지시에는, 아이들링 스톱 ECU(6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엔진(10)에 대한 인젝터(12)를 통한 연료 분사를 정지하여 엔진(10)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브레이크 ECU(620)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47)와 접속되어 있고, 아이들링 스톱 상태로부터의 재발진시에는, 엔진(10)의 구동력이 충분히 상승하는 동안까지, 브레이크 유압을 유지하도록 브레이크 액추에이터(47)를 제어한다. 엔진(10)의 구동력이 충분히 상승하는 상태란, 예를 들면, 비탈길 발진시, 브레이크 페달이 해방되어 있더라도 차량이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차량의 일반적인 동작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3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프트 포지션이 파킹(P) 또는 뉴트럴(N)의 상태로서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58)가 이그니션 포지션의 ON에서 엔진 시동 위치 STA 에의 전환을 검출하면,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시동용 모터(41)의 기어를 링 기어(40)에 연결시킨 후, 시동용 모터(41)를 작동시켜 크랭크 샤프트(11)를 엔진 시동시 회전수까지 회전시킨다. 병행하여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 ECU(610)에 대하여 엔진(10)의 시동 처리를 요구한다. 엔진 ECU(610)는, 인젝터(12)를 통해 소정의 연료를 엔진(10)의 실린더내에 공급시킴과 동시에, 이그나이터(14) 및 점화 플러그를 통해 실린더내에 공급된 연료에 점화하는 엔진 시동 처리를 실행한다. 엔진의 운전이 개시하면, 시동용 모터(41)의 기어는 링 기어(40)로부터 이간한 격납 위치에 대피시켜진다. 시프트 포지션이 드라이브(D)로 변경되고, 액셀러레이터가 밟아지면 차량은 발진하고, 아이들링 스톱 ECU(600), 엔진 ECU(610)는 엔진 회전수 센서(53), 차속 센서(54),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56) 등으로부터의 검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엔진(10)의 운전 제어 및 AT(22)의 변속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주행 중에 신호 정지 등으로 일시적으로 차량이 정지하면,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엔진(10)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소위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에 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시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의 이행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이다.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47)가 OFF에서 ON으로의 포지션의 전환을 검출하면,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아이들링 스톱 처리 이외의 처리에 의한 엔진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0)를 선택한다. 이 상태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처리를 실행 중인 취지를 표시하는 계기반(46)상의 표시 램프는 소등하고 있다.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47)가 이그니션 포지션의 ON에서 STA에의 전환을 검출하면, 이미 기술된 바와같이 시동용 모터(14)를 사용한 엔진(10)의 운전이 개시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10)이 운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1)를 선택한다. 모드(1)의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은 이미 기술된 차량 주행 상태, 또는, 엔진(10)이 운전된 상태에서의 차량 정지 상태에 있다. 상기 모드(1) 상태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전자식 클러치(15)를 온하여 크랭크 샤프트(11)와 전동 벨트(17)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보기(30)는 엔진(10)의 구동력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전동 벨트(16)를 통해 엔진(10)에 의해서 구동되고, 얼터네이터로서 기능하는 것 이외에, 고전압 배터리(210)가 완전 충전 상태인 경우에는 공회전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 조건의 성립을 판정하면, 엔진(10)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모드(2)를 선택한다.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속 센서(54)에 의해서 검출되는 차속이 0이고, 브레이크 페달 센서(57)에 의해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가 검출되어 있는 것, 시프트 포지션 센서(55)에 의해서 검출되는 시프트 포지션이 뉴트럴(N)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모드(2)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 ECU(610)에 대하여 연료 공급의 정지를 요구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브레이크 ECU(620)에 대하여 브레이크 상태의 유지를 요구한다. 브레이크 ECU(620)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47)를 제어하여 브레이크 페달 밟는 량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유압을 유지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 회전수 센서(53)로부터의 검출 데이터에 의해서 엔진(10)의 운전 정지를 판정하면, 아이들링 스톱에 의한 엔진(10)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3를 선택한다. 모드(3)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계기반(46)상의 표시 램프를 점등시켜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를 실행 중인 취지를 표시한다. 또한,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전자식 클러치(15)를 오프하여 크랭크 샤프트(11)와 전동 벨트(16, 17)의 결합을 해방하여, 전동 벨트(17)를 통해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서 각 보기(301, 302, 303)를 구동시킨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 종료 요구를 검출하면, 엔진(10)의 운전을 재개시키기 위한 엔진 시동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4)를 선택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예를 들면, 시프트 포지션이 뉴트럴(N)에서 드라이브(D)로 시프트되었을 때, 브레이크 페달이 해방되었을 때, 배터리의 충전율이 충전율의 하한치인 충전 요구치를 하회하였을 때, 에어컨디셔너의 냉각 성능이 부족하고 있을 때, 어떠한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의 요구를 검출한다. 모드(4)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전자식 클러치(15)의 연결에 앞서서 일단, 보기 구동용 모터(31)를 제동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를 저감시킨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전자식 클러치(15)를 후술하는 전자식 클러치 연결 타이밍 지연 처리에 의해서 결정된 연결 타이밍으로서 연결시킨 후,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를 엔진 시동시 회전수까지 상승시킴과 동시에, 엔진 ECU(610)에 대하여 연료 공급, 불꽃 점화의 실행을 요구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주행 불능인 시스템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모드(0)를 선택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10)의 시동을 판정하면, 모드(1)를 선택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예를 들면, 엔진 회전수 센서(53)에 의해 검출된 엔진 회전수가 500r.p.m. 이상인 경우에 엔진(10)은 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브레이크 ECU(620)에 대하여 유지되어 있는 브레이크 유압의 해방을 요구한다. 브레이크 ECU(620)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47)를 제어하여 유지되어 있는 브레이크 유압을 해방하고, 비제동 상태를 실현한다. 모드(1)의 상태로서, 이그니션 포지션 센서(47)가 포지션의 ON에서 OFF에의 전환을 검출하면,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모드(0)를 선택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10)의 운전 재개시에 실행되는 전자식 클러치(15) 및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어 처리에 관해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엔진(10)의 운전 재개시에 실행되는 전자식 클러치(15) 및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어 처리의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반영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발전량(반전 위상 전류치)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엔진(10)의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냉각액 온도 보정치(Ew)를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외기 온도,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 적산치에 의거하여 모터 적산 회전수 보정치(Em)를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맵을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전자식 클러치(15)의 연결 타이밍,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동작 상태, 전자식 클러치(댐퍼)의 회전수, 크랭크 샤프트 회전수가 경시적 변화를 도시하는 타이밍챠트이다.
본 처리 루틴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실행된다. 본 처리 루틴가 개시되면,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 종료 요구(엔진 재시동 요구)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스텝 S100)한다. 즉, 도 9에 있어서 재시동 요구 신호가 OFF에서 ON으로 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 재시동 요구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0:No)에는,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하는 한편,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엔진 재시동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100:Yes)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공급하는 반전 위상 전류치(Eon)를 결정한다(스텝 S110). 즉, 전동 벨트(16)의 에너지 흡수 상태를 고려한,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동력(역 토크)의 크기를 결정한다. 또한, 반전 위상 전류치(Eon)의 결정 처리에 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결정한 반전 위상 전류치(Eon)에서 보기 구동용 모터(31)를 구동 제어한다(스텝 S120). 이 결과, 보기 구동용 모터(31)에는 역 토크가 발생하여, 그 회전동작이 규제되어 회전수가 저하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전자식 클러치(15)를 연결시키고(스텝 S130),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재시동 요구 신호가 OFF에서 ON으로 전환되어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동이 개시된 후에, 전자식 클러치 제어 신호가 ON 되어 자력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의 흡인(클러치 흡인)이 개시된다. 클러치 플레이트(151)와 플라이휠(152)이 연결(접촉)을 개시하고 나서 완전히 연결하기 까지는, 소위 클러치 활주의 상태로 되고, 전자식 클러치(15)(댐퍼)의 회전수가 저하하여, 크랭크샤프트(11)의 회전수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클러치 플레이트(151)와 플라이휠(152)이 완전히 연결하면 전자식 클러치(15)의 회전수와 크랭크 샤프트(11)의 회전수는 같아진다. 전자식 클러치(15)가 완전히 연결하면,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엔진(10)을 시동시키기 위한 크랭크 샤프트(11)를 엔진 시동시 회전수까지 회전(시동 상태)시킨다. 엔진 ECU(610)에 의해 엔진(10)의 시동 처리가 실행되고, 엔진(1O) 중 어느하나의 기통에 있어서 폭발 연소가 개시(初爆)하면, 보기 구동용 모터(31)는 엔진(10)에 의해서 구동되어 발전 상태 또는 공회전 상태가 된다.
다음에, 반전 위상 전류치(Eon)의 결정 처리에 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동 벨트(16)의 운동 에너지(충격, 진동)의 흡수 상태는 온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동 벨트(16)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직접 검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렇지만, 가동체인 전동 벨트(16)에 직접 접촉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서 전동 벨트(16)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온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벨트(16)의 온도의 판정은, 절대적인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관련지어져 있는 냉각액 온도(Tempo),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의 변화에 대한 전동 벨트(16)의 상대적인 온도의 판정을 의미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 등에 의해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여도 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냉각액 온도 센서(50)로부터 냉각액 온도(Tempw)를 취득(스텝 S200)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맵을 사용하여 냉각액 온도(Tempw)에서냉각액 온도 보정치(Ew)를 결정(스텝 S210)한다. 전동 벨트(16)는,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18)의 뒷편에 배치되어 있고, 라디에이터(18)를 통과하는 바람에 노출되기 때문에, 전동 벨트(16)의 온도는 라디에이터(18)의 온도(냉각액 온도 Tempw)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그래서, 냉각액 온도(Tempw)를 전동 벨트(16)의 온도의 지표로서 사용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액 온도 보정치(Ew)와 냉각액 온도(Tempw)를 관련지을 수 있는 연결 타이밍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 판정치로 한다. 도 7에 있어서, 냉각액 온도 보정치(Ew)의 변화 비율은, 라디에이터(18)의 서모스타트가 개방하는 온도, 예를 들면, 약 80℃로 변화한다. 즉, 엔진(10)의 난기가 완료하는 온도 근방에서는, 전동 벨트(16)의 온도도 충분한 에너지의 흡수를 기대할 수 있는 온도 영역에 달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액 온도 보정치(Ew)의 저감율을 증대시킨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다음에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를 취득한다. 상기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는, 아이들링 스톱 처리에 의해 엔진(10)이 정지한 후, 보기 구동용 모터(31)가 회전을 개시하고 나서 제동 처리를 받기까지의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적산 회전수를 의미한다. 전동 벨트(16)의 온도는, 기본적으로는 라디에이터 통과풍의 온도(냉각액 온도 Tempw)에 비례하지만, 회전시에는 전동 벨트(16)는 풀리(125, 126)와 서로 마찰하기 위한 마찰열에 의해 냉각액 온도 (Tempw)와는 독립하여 상승할 수 있다. 마찰열에 의한 전동 벨트(16)의 온도상승은,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적산 회전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를 마찰열에 의한 전동 벨트(16)의 온도 상승의 지표로 한다. 마찰열에 의한 전동 벨트(1)의 온도 상승에는 외기 온도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외기 온도 센서(51)로부터 외기 온도(Tempo)를 취득(스텝 S230)한다. 즉, 외기 온도가 높으면 전동 벨트(16)의 온도는 쉽게 상승하고, 외기 온도가 낮으면 전동 벨트의 온도는 상승하기 어렵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도 8에 도시하는 맵을 사용하여, 취득한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 및 외기 온도(Tempo)에서 모터 회전수 보정치(Em)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 회전수 보정치(Em)는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의 증가에 비례하여 단순히 감소한다. 또한, 맵은, 외기 온도에 대하여 저온(예를 들면, 0℃ 미만), 고온(예를들면 30℃ 이상), 중간 온도(예를 들면, 0℃ 이상 30℃ 미만)의 3가지의 특성선을 갖고 있다. 동일의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이어도 외기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서 대응하는 모터 회전수 보정치(Em)는 증가한다. 아이들링 스톱 ECU(600)는, 냉각 온도 보정치(Ew)와 모터 회전수 보정치(Em)의 합을 반전 위상 전류치(Eon)로서(스텝 S250), 도 5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동 제어(발전량 제어)에 의한 효과를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재시동 요구 신호를 제외하고, 실선은 제동력이 증대되지 않은 경우(종래 예를 포함한다)를 도시하며, 파선은 제동량이 증대된 경우(지연시)를 도시한다. 또한, 크랭크 샤프트 회전수와 전자식 클러치 회전수는 동일의 회전수축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제동력이 전동 벨트(16)의 온도의 저하에 동반하여 증대되면,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을 제동하는 힘(발전량, 반전 위상 전류치가 크다)이 크기 때문에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의 저감율은 크고, 전자식 클러치(15)의 연결이 개시하는 클러치 활주의 개시 시점에서는, 전자식 클러치 회전수는 제동력이 증대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 60 내지 70%정도 저감되어(클러치 연결시에 있어서의 회전수차) 있고, 크랭크 샤프트 회전수와의 회전수차는 축소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식 클러치(15)의 연결에 따라서 발생하는 충격, 진동은 저감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충격, 진동의 에너지가 낮기(작음) 때문에 전동 벨트(16)의 온도가 낮고 운동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는 상태일지라도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 진동은 저감된다. 또한, 반전 위상 전류치(Eon)는 전동 벨트(16)의(온도를 지표로 한다) 운동 에너지 상태에 의거하여 변경되기 때문에, 전자식 클러치(15)의 연결에 따라서 발생하는 충격, 진동이 전동 벨트(16)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경우에는 연결 타이밍을 진행시킴으로써 엔진(10)의 시동성을 우선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제동력이 전동 벨트의 온도에 관계 없이 일정한 경우에는, 냉간시를 고려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대한 제동력을 크게하면, 전동 벨트의 온도가 높은 경우일지라도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회전수는 필요 이상으로 저하하여 엔진의 재시동에 요하는 시간이 지연한다. 한편, 엔진의 시동성을 중시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의 제동력을 작게하면, 특히, 전동 벨트의 온도가 낮고 운동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발생한 충격, 진동이 그대로 차체에 전달되어 버린다.
이상, 몇개의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링 스톱 제어장치를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 및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동 벨트(16, 17)가 라디에이터(18)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엔진(10)의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전동 벨트(16)의 온도(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지만, 전동 벨트(16, 17)가 라디에이터(18)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외기 온도 센서(51)에 의해 검출된 외기 온도에 의거하여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판정하여도 된다. 또한, 전동 벨트(16)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비접촉 형식으로 검출하도록 하여도 되고,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열전쌍, 적외선 센서 등의 비접촉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전동 벨트(16)가 접촉하는 어느 하나의 풀리(125, 126)의 온도를 검출하여 전동 벨트(16)의 온도를 판정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보기 구동 개시시부터의 적산 회전수인 모터 회전수 적산치(Nmsum)를 사용하여 마찰열에 의한 전동 벨트(16)의 온도 상승을 판정하고 있지만, 엔진(10)의 운전 정지까지의 크랭크 샤프트(11)의 적산 회전수를 사용하여도 된다. 어느쪽의 경우에도, 전동 벨트(16)와 각 풀리(125, 126)의 마찰에 따르는 온도 상승을 어림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자식 클러치(15)내에 댐퍼가 내장되어 있지만, 전자식 클러치(15)와 댐퍼는 별개로 구비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설명의 형편상, 도 1에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125)와 전자식 클러치(15)는 별개로 기재되어 있지만, 전자식 클러치(15)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125)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랜스미션(22)으로서 자동식 유단 변속기를 사용하였지만 자동식 유단 변속기를 대신하여 수동식 변속기, 자동식 무단 변속기를 사용하여도 된다. 어느 것의 경우에도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자동식 유단 변속기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동력력원으로서 엔진(10)만을 구비하는 차량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구동력원으로서 엔진(10) 및 차량 구동용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아이들링 스톱 제어 처리 실행 중에는 보기 구동용 모터(31)에 의해 보기(30)가 구동되어 있고, 엔진 재시동시에 전자식 클러치(15)를 연결하여 보기 구동용 모터(31)의 로터와 엔진(10)의 크랭크 샤프트(11)를 결합하여 엔진(10)을 시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전자식 클러치(15)의 연결에 따르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에 있어서의 연결 기구의 연결 동작에 따라서 발생하는 충격, 진동을 저감 또는 제거함과 동시에 내연기관의 운전을 신속하게 재운전시킬 수 있다.

Claims (31)

  1. 내연기관 또는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補機)가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의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은 연결 기구를 통해 연결 또는 해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에는 상기 연결 기구가 해방됨과 동시에 전동 벨트를 통해 상기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의 정지 조건 또는 재개 조건을 판정하는 운전 조건 판정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감하기 위해서 상기 전동기에 주어지는 제동 부하량을 결정하는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가 해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에 상기 제동 부하를 부여한 후,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서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시키는 운전 개시 준비 수단과,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서 상기 내연기관과 상기 전동기가 연결된 후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내연 기관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탄성을 검출하는 전동 벨트 탄성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탄성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탄성이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전동 벨트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냉각액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검출 수단이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검출된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된 냉각액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상기 내연기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는 기관 회전수 적산 수단이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기관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적산된 상기 기관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는 전동기 회전수 적산 수단이고,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온도 검출 수단은 또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부하량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제동 부하량의 저감의 정도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8. 주행 상태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정지 및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은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중에는 상기 내연기관에 의해서 상기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으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 또는 해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 상기 보기의 입력축, 및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 벨트와,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상태를 판정하는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상기 결정된 저감의 정도만큼 저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해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시킨 후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 처리를 실행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전동 벨트의 탄성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탄성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저감의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내연기관을 냉각한 냉각액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 수단과,
    상기 냉각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는 기관 회전수 적산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기관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는 전동기 회전수 적산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제 12 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냉각액 온도, 상기 적산 기관 회전수 및 상기 적산 전동기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더하여,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제 13 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 벨트 상태 판정 수단은 상기 냉각액 온도, 상기 적산 기관 회전수 및 상기 적산 전동기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더하여,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구하고, 그 구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내연기관의 운전 중은 내연기관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고, 주행 상태에 따라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정지 및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은 전동 벨트를 통해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으로서,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 또는 해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재개에 앞서서 상기 전동기를 목표 제동 회전수로 운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을 연결시킨 후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 처리를 실행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과,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전동기를 제동할 때의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를 결정하는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벨트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내연기관을 냉각한 냉각액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 수단과,
    상기 냉각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액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함과 동시에, 검출된 상기 냉각액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상기 내연기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는 기관 회전수 적산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기관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함과 동시에, 상기 적산된 기관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는 전동기 회전수 적산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고려함과 동시에, 상기 적산된 전동기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1. 제 19 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목표 제동 회전수의 상승의 정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2. 제 20 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의 상승의 정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 결정 수단은, 검출된 상기 외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목표 제동 회전수의 상승의 정도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링 스톱 제어 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기구를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5. 주행 상태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정지 및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갖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중에는 전동기에 의해서 보기가 구동되는 차량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내연기관, 상기 전동기 및 상기 보기에 장착되어 있는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하기 위한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운전 재개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판정된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내림 폭만큼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를 저하시킨 후, 상기 연결 기구를 통해 상기 전동기의 출력축과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축을 연결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탄성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탄성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탄성이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운동 에너지 흡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검출한 전동 벨트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냉각액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냉각액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판정하고,
    상기 냉각액 온도의 저하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개시시로부터 운전 정지시까지의 상기 내연기관의 기관 회전수를 적산하고,
    상기 적산한 기관 회전수를 또한 고려하여 상기 전동 벨트의 온도를 판정하며,
    상기 적산한 기관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정지 후로부터의 상기 전동기의 전동기 회전수를 적산하고,
    상기 적산한 전동기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폭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또한
    외기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외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수의 내림 폭의 저감의 정도를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방법.
KR10-2001-0011458A 2000-03-06 2001-03-06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0403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0139A JP4066589B2 (ja) 2000-03-06 2000-03-06 内燃機関の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2000-60139 2000-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47A true KR20010087347A (ko) 2001-09-15
KR100403685B1 KR100403685B1 (ko) 2003-10-30

Family

ID=1858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58A KR100403685B1 (ko) 2000-03-06 2001-03-06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53865B2 (ko)
EP (1) EP1132245B1 (ko)
JP (1) JP4066589B2 (ko)
KR (1) KR100403685B1 (ko)
CN (1) CN1219969C (ko)
DE (1) DE6011014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734A2 (en) * 2006-05-29 2008-01-24 Edgar Villa Energy recycling electric power gen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3051C2 (de) * 1992-07-14 1996-12-19 Rolf Paul Prof Dr Claus Verwendung von diätetischen Produkten zur gezielten Hemmung der intestinalen Bildung von 3-Methylindol bei Schweinen
JP3777272B2 (ja) * 1999-07-05 2006-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始動/停止装置
US6463900B1 (en) * 1999-08-11 2002-10-15 Transportation System & Electric Co., Ltd. Engine idling stop apparatus, system thereof and signal display apparatus used in the system
JP2002256921A (ja) * 2001-02-28 2002-09-11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3712684B2 (ja) * 2001-06-01 2005-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815261B2 (ja) * 2001-06-08 2006-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3925111B2 (ja) * 2001-06-14 2007-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オイルポンプ制御装置
JP3714266B2 (ja) * 2002-03-15 2005-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イドルストップ車の補機駆動装置
US6752741B2 (en) * 2002-05-31 2004-06-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SA engine start-stop strategy
US6848552B2 (en) * 2003-04-16 2005-02-01 Ntn Corporation Starter pulley with integral clutch
KR100551306B1 (ko) * 2003-12-30 2006-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이들 스톱 & 고 시스템 제어방법
KR100634605B1 (ko) * 2004-10-05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회생 제동 제어방법
DE102004023503A1 (de) * 2004-05-10 2005-12-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otorstopp-Motorstart von Hybridfahrzeugen
US8437935B2 (en) * 2004-10-05 2013-05-07 Vision Works Ip Corporation Absolute acceleration sensor for use within moving vehicles
US7146960B2 (en) * 2004-11-16 2006-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shut down using fluid pump to control crankshaft stopping position
US7191756B2 (en) * 2004-11-16 2007-03-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crankshaft position during engine shutdown using cylinder pressure
DE502004005090D1 (de) * 2004-11-17 2007-11-08 Ford Global Tech Llc Verfahren zum kontrollierten Abstellen einer mit einer hydraulischen Lenkunterstützung ausgestatteten Brennkraftmaschine
ITBO20040801A1 (it) * 2004-12-23 2005-03-23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Metodo per la gestione della modalita' "stop and start" in un autoveicolo provvist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DE102005034602B4 (de) * 2005-07-25 2015-07-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Brennkraftmaschine, Computerprogramm-Produkt, elektrisches Speichermedium für eine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sowie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524266B2 (en) * 2005-09-30 2009-04-28 Mazda Motor Corporation Engine starting system for power train
US7395803B2 (en) * 2006-11-03 2008-07-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oil pump system and controls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DE102006060872A1 (de) * 2006-12-22 2008-06-26 Dr.Ing.H.C. F. Porsche Ag Hybrid-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US7695400B2 (en) * 2007-03-12 2010-04-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peed-limiting accessory driv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peed of a driven accessory
WO2008113186A1 (en) * 2007-03-20 2008-09-25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Starter and accessory drive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drive vehicles
US7846051B2 (en) * 2007-05-11 2010-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ybrid powertrain with an engine input clutch and method of control
DE102007026889A1 (de) * 2007-06-11 2008-12-18 Robert Bosch Gmbh Hybridantrieb mit Abgasenergienutzung und Verfahren hierzu
DE102007027898A1 (de) * 2007-06-18 2008-12-24 Robert Bosch Gmbh Elektrowerkzeug mit Kaltstartfunktion
US20090000836A1 (en) * 2007-06-30 2009-01-01 Paul Harriman Kydd Balanced Belt or Chain Drive for Electric Hybrid Vehicle Conversion
US8808124B2 (en) * 2008-04-15 2014-08-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elt alternator starter systems for hybrid vehicles
JP4527793B2 (ja) * 2008-06-26 2010-08-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US20100090625A1 (en) * 2008-10-09 2010-04-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utomotive system and power converter assembly with a braking circuit
US8370051B2 (en) 2009-01-05 2013-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ssisted direct start control
US20100288570A1 (en) * 2009-05-18 2010-1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andem dual pumps for a hybrid propulsion system
US8423214B2 (en) * 2009-09-15 2013-04-16 Kpit Cummins Infosystems, Ltd. Motor assistance for a hybrid vehicle
WO2011039772A2 (en) * 2009-09-15 2011-04-07 Kpit Cummins Infosystems Ltd. Hybrid drive system for vehicle having engine as prime mover
US8606443B2 (en) 2009-09-15 2013-12-10 Kpit Cummins Infosystems, Ltd. Motor assistance for a hybrid vehicle based on user input
US20110130929A1 (en) * 2009-12-01 2011-06-02 Chang Ten-Lee Smart electron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8141534B2 (en) 2010-02-03 2012-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ssisted direct start control
DE112010005355B4 (de) * 2010-03-05 2018-08-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zur steuerung einer wasserpumpe
CN102803038B (zh) * 2010-03-31 2015-05-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混合动力车辆
US20110260529A1 (en) * 2010-04-22 2011-10-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n-demand electric power control strategy
US8864623B2 (en) 2010-07-09 2014-10-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coupled to an engine that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US8414456B2 (en) 2010-07-09 2013-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starting an engine
US8328687B2 (en) 2010-07-09 2012-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that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JP5699520B2 (ja) * 2010-10-18 2015-04-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アイドル制御装置
JP5794745B2 (ja) * 2010-10-20 2015-10-14 マック トラ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ンジンが燃料供給停止モードにある間に回転されるクランクシャフトを含む内燃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を動作させる方法
DE102010050123A1 (de) * 2010-11-03 2012-05-03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m Hybridantrieb und Verfahren zur Auswahl einer Elektromaschine und/oder eines Anlassers zum Anlassen eines Verbrennungsmotors
CN103429873B (zh) * 2010-12-13 2017-10-20 拉里·C·威尔金斯 包括凸轮的曲柄销、包括从动件的连杆、以及包括曲柄销和连杆的内燃机
US20120152644A1 (en) * 2010-12-20 2012-06-21 Paul Harriman Kydd Compliant, balanced belt or chain drive
CN102529947B (zh) * 2010-12-29 2015-06-1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系统的控制方法
CN102529949B (zh) * 2010-12-31 2015-06-1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系统的过程控制方法
US9352739B2 (en) * 2011-02-15 2016-05-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operating a hybrid vehicle
US8757119B2 (en) 2011-06-16 2014-06-24 Honda Motor Co., Ltd. Engine stopping and restarting system
TWI553500B (zh) 2011-07-26 2016-10-11 英屬開曼群島商睿能創意公司 用於車輛中之電力儲存器件之實體保全之裝置、方法及物品
CN103891089B (zh) 2011-07-26 2016-10-12 睿能创意公司 用于如电池之类的电力存储设备的认证、安全和控制的装置、方法及物品
CN103858305A (zh) 2011-07-26 2014-06-11 Gogoro有限公司 用于在预订电能存储设备的收集、充电及分配机处预订电能存储设备的装置、方法及物品
EP2737594B1 (en) 2011-07-26 2019-02-13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artment
WO2013016554A2 (en) 2011-07-26 2013-01-3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hysical security of power storage devices in vehicles
JP2014529118A (ja) 2011-07-26 2014-10-30 ゴゴロ インク 電力蓄積デバイス収集、充電、および分配マシンにおける電力蓄積デバイスの可用性に関係する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物品
US10055911B2 (en) 2011-07-26 2018-08-2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ased on user profiles
TWI584976B (zh) 2011-07-26 2017-06-01 睿能創意公司 用於最佳努力經濟之動態限制車輛操作
CN103875154B (zh) 2011-07-26 2016-11-09 睿能创意公司 用于在收集、充电及分配机之间重新分配诸如电池的电能存储设备的装置、方法及物品
ES2791691T3 (es) 2011-07-26 2020-11-05 Gogoro Inc Aparato, método y artículo para la recogida, carga y distribución de dispositivos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como por ejemplo baterías
US10186094B2 (en) 2011-07-26 2019-01-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locations of power storage device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TWI569992B (zh) * 2011-10-05 2017-02-11 睿能創意公司 電動車輛待命模式之可偵測指示
JP6351110B2 (ja) 2011-11-08 2018-07-04 ゴゴロ インク 車両セキュリティ用装置、車両セキュリティ方法及び車両セキュリティ用品
JP5716844B2 (ja) * 2011-12-22 2015-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車両、および、車両制御方法
DE102012006249A1 (de) 2012-03-28 2013-10-02 Emitec Denmark A/S Fördereinheit für ein flüssiges Additiv mit einem Temperatursensor
BR112015011290A2 (pt) 2012-11-16 2017-07-11 Gogoro Inc aparelho, método e artigo para sinais de realização de curva de veículo
JP5857950B2 (ja) * 2012-12-19 2016-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US9854438B2 (en) 2013-03-06 2017-12-26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rtable charging devi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JP2016521389A (ja) 2013-03-12 2016-07-21 ゴゴロ インク ポータブル電力蓄積デバイス交換プランを変更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物品
US11222485B2 (en) 2013-03-12 2022-01-1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vehicle via a mobile device
CN105210257B (zh) 2013-03-15 2018-11-13 睿能创意公司 用于对电存储设备进行收集和分配的模块化系统
US9290092B2 (en) * 2013-06-11 2016-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in drive power take off for hydraulic pump
WO2015021195A1 (en) 2013-08-06 2015-02-12 Gogoro Taiwan Limited Adjusting electric vehicle systems based on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thermal profile
EP3030453B1 (en) 2013-08-06 2019-06-19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ing electric vehicles using a single or multiple power cells
JP2015071341A (ja) 2013-10-02 2015-04-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
US9124085B2 (en) 2013-11-04 2015-09-01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ower storage device failure safety
JP6446045B2 (ja) 2013-11-08 2018-12-26 ゴゴロ インク 車両イベントデータ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物品
WO2015112584A1 (en) 2014-01-23 2015-07-30 Gogo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n array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TWI603552B (zh) 2014-08-11 2017-10-21 睿能創意公司 多方向性的電連接器、插頭及系統
USD789883S1 (en) 2014-09-04 2017-06-20 Gogoro Inc.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device for portabl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CN104234851A (zh) * 2014-09-17 2014-12-24 东南(福建)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发动机转速的控制方法
FR3028584B1 (fr) * 2014-11-13 2016-12-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commande d'une facade accessoir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7873006B (zh) 2015-06-05 2021-02-02 睿能创意公司 一种车辆及一种判定一电动车辆的一特定型式的负载的方法
GB2540789A (en) * 2015-07-28 2017-02-01 Wright En-Drive Ltd Power unit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10118464B2 (en) * 2016-09-29 2018-11-06 Deere & Company Off-road utility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6697045B2 (ja) * 2018-09-18 2020-05-20 株式会社Subaru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KR20200124466A (ko) * 2019-04-24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hsg 냉각 제어 장치 및 그의 hsg 냉각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353B2 (ja) 1984-06-21 1990-07-19 Teijin Ltd Taikotaagetsutoshikisupatsutasochi
JP3368669B2 (ja) 1994-06-30 2003-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動発電装置
FR2727902A1 (fr) 1994-12-09 1996-06-14 Valeo Thermique Habitacle Dispositif pour la climatisation d'un vehicule en circulation et en stationnement
JP3572369B2 (ja) 1995-12-27 2004-09-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補機駆動装置
US6048288A (en) * 1997-11-18 2000-04-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trai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3536627B2 (ja) 1997-11-18 2004-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駆動装置
DE69919925T2 (de) * 1998-04-17 2005-09-22 Toyota Jidosha K.K., Toyota Steuerungsvorrichtung mit Schaltkupplungsdrucksteuerung zur Startwiederholung eines Fahrzeugsmotors
US6360834B1 (en) * 2000-07-14 2002-03-26 Ford Global Tech., Inc. Hybrid electric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734A2 (en) * 2006-05-29 2008-01-24 Edgar Villa Energy recycling electric power generator
WO2008010734A3 (en) * 2006-05-29 2008-04-03 Edgar Villa Energy recycling electric power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2245B1 (en) 2005-04-20
CN1219969C (zh) 2005-09-21
KR100403685B1 (ko) 2003-10-30
CN1312188A (zh) 2001-09-12
US20010018903A1 (en) 2001-09-06
DE60110142D1 (de) 2005-05-25
JP4066589B2 (ja) 2008-03-26
DE60110142T2 (de) 2006-03-02
JP2001248469A (ja) 2001-09-14
EP1132245A3 (en) 2004-04-14
EP1132245A2 (en) 2001-09-12
US6453865B2 (en) 200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685B1 (ko) 내연기관의 아이들링 스톱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US929744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drive belt tensioner system
KR101453252B1 (ko) 제어장치
JP622239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フェイルセーフ制御装置
US20090140521A1 (en) Generator power-based cold start strategy
KR20020012120A (ko) 차량의 제어 장치
KR20090045990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동식 오일펌프 구동 제어 방법
WO2013005593A1 (ja) 車両の制御装置
US10953879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5765426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345417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
JP2000328980A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両
JP2001263123A (ja) 内燃機関の自動始動・自動停止
JP2000154753A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JP3870660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
WO2014080721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6117449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4095352A (ja) 車両の制御装置
JP4557528B2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6406835B2 (ja) 制御装置
WO2018096604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JP2001248470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4003563B2 (ja) 内燃機関の補機駆動装置及び車両
JP2000287306A (ja) 車両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
KR102506763B1 (ko) 구동 모터를 구비한 차량 및 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