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062A -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062A
KR20010073062A KR1020017002578A KR20017002578A KR20010073062A KR 20010073062 A KR20010073062 A KR 20010073062A KR 1020017002578 A KR1020017002578 A KR 1020017002578A KR 20017002578 A KR20017002578 A KR 20017002578A KR 20010073062 A KR20010073062 A KR 2001007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nge
viscous
joining
damp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539B1 (ko
Inventor
이소다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시미즈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시미즈겐세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5Anti-seismic device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8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점성계 제진벽(1)의 장착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8) 위에 강철제 측판을 세워 그 양편에 플랜지 플레이트(11)를 배치하여 상단을 개방한 케이스(20)로 하고 중판(14)을 삽입하여 간격 부분에 점성체를 집어넣어 구성하고 있는 점성계 제진벽(1)을, 하층 큰 대들보(3)에 설치한 증축 플레이트(6)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9)과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에 접합하고, 상층 큰 대들보(4)에 장착한 거싯 플레이트(13)에 중판(14)을 직접 접합하고 있다.

Description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Viscosity system damping wall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건축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을 높이고 바람 등의 동적 외력에 대한 구조물의 거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조물의 감쇠(減衰) 성능을 높이는 대책이 예전부터 강구되어 왔다. 그 구체적인 해결책으로서 점성계의 제진벽이 실용화되어 최근 그 채용실적도 증가 경향에 있다.
점성계의 내진벽은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두는 강철제 측판과 그 양편에 있는 플랜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상면의 열린 케이스를 하층의 대들보와 일체화하고 그 중에 상층의 대들보와 일체화한 중판을 삽입하여 양자 사이에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소정의 두께만큼 집어넣은 것이다.
제진벽을 건물 내에 조리브하기 위해서는 본체 구조와의 균형이 필요하게 되는데, 현 상태에서의 점성계 제진벽과 균형을 맞추는 본체 구조로부터의 접합 철물은, 다수의 리브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접합부를 복잡하게 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제조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의 점성계 제진벽과 본체 구조의 균형을 도 8에 의해 설명하면, 제진벽(30)을 구성하는 케이스(31)의 베이스 플레이트(32)는 하층 큰 대들보(33)에 설치된 증축 플레이트(34)의 플랜지면에 볼트로 조여지고 제진벽의 중판(35)은 그 끝단에 톱 플레이트(36)를 용접하고 있으며, 상층 큰 대들보(37)에 설치된 장착 플레이트(38)의 플랜지면에 볼트로 조여져 있다.
이 상태에서 제진벽(30)이 외력에 의한 수평력을 부담하면, 상하단의 톱 플레이트(36)와 베이스 플레이트(32)에는 부담전단력에 의한 굽힘 모멘트가 발생한다.
접합부에 작용하는 응력은, 접합면의 볼트에 대해 수평 방향의 전단력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굽힘 모멘트에 의해 접합면의 볼트에는 제진벽(3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큰 분포가 되는 연직 방향의 축력이 발생한다. 이로써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볼트구멍을 갖는 톱 플레이트(36)와 베이스 플레이트(32)에는 커다란 굽힘 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각 플레이트에 대해 대응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결과,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2), 톱 플레이트(36)와 이에 대응하는 증축 플레이트(34), 장착 플레이트(38)에 다수의 연직 방향의 리브 플레이트(39, 40)를 설치하고, 특히 제진벽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다대한 보강을 하게 되어 방대한 제조비용상승이 발생함과 동시에 대들보에 직교하는 부재와의 균형이나 설비 슬리브 관통공으로의 장해가 되고 있다.
구조물에 부가할 수 있는 감쇠 성능은, 배치하는 제진벽의 수량에 비례하므로 많은 채용이 요구되는데, 장치에 요구되는 제조비용도 역시 사용 수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진벽 구성법의 제조비용을 저감하여 다른 시공 작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플랜지 부분을 전부 철거해 버리는 구성법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평10-46865호 참조)
이 제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쪽 대들보 아래에 고정하려는 제진벽(50)의 내벽강판(51) 또는 이것을 보강한 부분과 동일한 판두께의 볼트 고정용 강판(52)을 설치하며, 그 바로 아래에 제진벽 내벽 강판(51)을 배치하고, 그 양면에 볼트 고정용 첨판(53, 53)을 배치하여 3장의 강판을 고력(高力)볼트(54)로 체결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또 하층쪽은 제진벽 외벽 강판(55) 아래에 볼트 고정용 하부 강판(56)을 용접해 놓고, 하층쪽 대들보 위에 볼트 고정용 하부 강판(56)과 동일한 판두께의 강판(57)을 설치하여 상측과 같이 일체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상하 각부에서의 플랜지 결합을 배제한 구성에 의해 응력의 전달 기구를 합리화함과 동시에 제진벽 자체의 제작과 고정부를 함께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진벽 구성법 전체에 필요한 제조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의 제진벽에서는, 제진벽 자체에 볼트 고정용 하부 강판을 별도로 설치함과 동시에 내벽 강판에는 상부 보강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접합을 위한 고력 볼트 마찰 접합도 제진벽의 단부측에 다수의 볼트를 배치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들 구성은 제진벽에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대해 볼트 고정용 하부 강판이나 내벽 강판이 전단력과 인장력 양쪽을 동시에 견디기 위한 당연한 결과이며 볼트 고정용 하부 강판도 상당한 두께를 확보하게 되어 제진벽 자체의 제조비용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크게 변함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제진벽의 취급방법에 관해서도, 자립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운반, 보관, 현장세팅의 각 상황 하에서 안전성과 작업성에 있어서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점성계 제진벽을 본체 구조에 장착할 때의 접합 구조를 개량하여 간결하고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장치할 수 있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및 그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구조와의 장착구조를 개량하여 접합구조가 간결하고 충분한 내력을 가지면서 저비용으로 제조하여 신속하게 장치할 수 있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을 본체 구조에 장착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층 큰 대들보로의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상태도이고,
도 4는 상층 큰 대들보에 대한 다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복수의 점성계 제진벽을 본체 구조에 병치(倂置)하는 장착 상태도이고,
도 7은 복수의 점성계 제진벽을 접합하는 다른 장착 상태도이고,
도 8은 종래의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상태도이고,
도 9는 종래의 다른 점성계 제진벽 장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강철제 측판을 세워 그 양편에 플랜지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상단을 개방한 케이스로 하고, 해당 케이스 안에 중판을 삽입하여 간격 부분에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집어넣어 구성한 점성계 제진벽의 설치 구조로서, 하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 증축 플레이트을 설치하고 증축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과 측면에 배치한 플랜지 접합 거싯(gusset) 플레이트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플랜지 플레이트를 접합하고, 상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 장착한 거싯 플레이트에 상기 중판을 직접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플랜지플레이트와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의 접합은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를 집어넣은 고력 볼트 1면 마찰 접합이고, 중판과 거싯 플레이트의 직접 접합은 고력 볼트 1면 마찰 접합 또는 스프라이스 플레이트를 1장 또는 분할하여 사용한 고력 볼트 2면 마찰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제진벽 구성법에 사용하고 있던 각 부위의 톱 플레이트나 브라켓 및 보강용 리브 플레이트가 불필요해지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판두께나 볼트 갯수의 저감을 꾀하고 있으며 자립 안정됨으로써 공사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방법은, 설치한 증축 플레이트에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과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를 구비한 하층 큰 대들보를 장착하고, 이어서 중판를 구비한 거싯 플레이트에 접합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가설 리프팅 피스로 결합하여 점성계 제진벽을 일체화한 상층 큰 대들보를 소정 위치에 세팅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플랜지 플레이트를 하층 큰 대들보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 및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에 고력 볼트 마찰 접합하고 나서 가설 리프팅 피스를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취급이 간결하고 신속한 장치를 실시하면서 점성계 재료의 전단 변형을 방지하고 제진벽의 가동화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강철제 측판를 세워 그 양편에 플랜지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상단을 개방한 케이스로 하고,케이스 내에 중판을 삽입하여 간격 부분에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집어넣어 구성한 점성계 제진벽을 장착하는 데 있어서, 하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 설치한 증축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과 측면에 배치한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플랜지 플레이트를 접합하고, 상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 장착한 거싯 플레이트에 중판을 직접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진벽 구성법에 사용하고 있던 각 부위의 톱 플레이트나 브라켓 및 보강용 리브 플레이트를 소형 경량화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판두께나 볼트 갯수의 저감을 꾀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자립 안정됨으로써 공사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방법은, 설치한 증축 플레이트에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과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를 구비한 하층 큰 대들보에 장착하고, 이어서 중판을 상기 거싯 플레이트에 접합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가설 리프팅 피스로 일체화한 상층 큰 대들보를 소정 위치에 세팅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플랜지 플레이트를 하층 큰 대들보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 및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에 고력 볼트 마찰 접합하고 나서 가설 리프팅 피스를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취급이 간결하고 점성계 재료의 전단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진벽의 가동화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을 본체 구조에 장착한 상태의 입면도면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점성계 제진벽(1)은, 기둥(2, 2)과 하층 큰 대들보(3) 및 상층 큰 대들보(4)로 구성되어 있는 구면(構面, 5) 중에 배치되며 하층 큰 대들보(3)와 상층 큰 대들보(4)의 증축 플레이트(6)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하층 큰 대들보(3)의 플랜지면에 용접된 증축 플레이트(6)는, 그 상부 표면에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9)을 설치하고, 측면에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를 용접으로 장착하여 하층 큰 대들보(3)와 일체화하고 있다. 증축 플레이트(6)의 채용은 하층 큰 대들보(3)의 모재를 볼트구멍 등으로 손상시키지 않고 점성계 제진벽(1)의 고력 볼트 마찰 접합 작업면을 바닥슬래브 위로 하는 것으로서, 만일 점성계 제진벽(1)을 교환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점성계 제진벽(1)은, 증축 플레이트(6) 위에 배치되며, 점성계 제진벽의 베이스 플레이트(8)와 증축 플레이트(6)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9)을 고력 볼트(10)로 1면 마찰 접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점성계 제진벽의 양측에 있는 플랜지 플레이트(11)와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를 플랜지 접합 플레이트(12)를 개재시켜 고력 볼트(10)로 1면 마찰 접합시킴으로써 점성계 제진벽(1)과 하층 큰 대들보(3)를 일체로 접합하고 있다.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는, 점성계 제진벽(1)이 지진시에 부담하는 전단력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가 점성계 제진벽의 양측에 있는 플랜지 플레이트(11)의 부분에서는 연직 방향의 힘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고력 볼트의 전단력으로서 처리하고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력 및 점성계 제진벽의 가장자리 부분에 크게 발생하는 연직력을 억제하여 감쇠시키고 있다.
따라서, 점성계 제진벽(1)의 베이스 플레이트(8)와 증축 플레이트(6)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9)은, 종래와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형으로 되어 있는데, 종래의 점성계 제진벽과는 달리 그 접합 볼트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 플레이트도 얇은 판두께로 소형 소수의 간결한 접합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상층 큰 대들보(4)의 아래쪽 플랜지면에는 동일한 큰 대들보의 웨브(web)와 동렬로 거싯 플레이트(13)가 용접으로 장착되어 있다.
점성계 제진벽(1)의 중판(14)은, 거싯 플레이트(13)와 함께 2장의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로 삽입되어 고력 볼트(10)로 2면 마찰 접합되어 직접 접합하고 있음과 동시에, 양측의 단부 부분에 있어서는 플랜지 플레이트(16)를 설치하여 상층 큰 대들보(4)에서 늘어뜨려지는 거싯 플레이트(13)의 플랜지 플레이트(17)과 2장의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8)로 삽입되어 고력 볼트(10)에 2면 마찰 접합하여 직접 접합하고 있으며 점성계 제진벽(1)과 상층 큰 대들보(4)는 이들에 의해 일체로 접합한다.
중판(14)과 거싯 플레이트(13)의 직접 접합은, 종래의 중판에 설치하는 톱 플레이트와 상층 큰 대들보에서 매다는 브라켓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점성계 제진벽의 높이를 크게 하여 점성계 제진재료의 전단면적을 증대시켜 감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점성계 제진벽(1)에 대해 중판(14)을 1장의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점성계 제진벽 중에는 중판을 복수로 하여 지진력에 대한 감쇠력을 강하게 하고 있는 것도 존재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및 그 장착 방법에 있어서도 중판의 수도 포함하여 특정의 점성계 제진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점성계 제진벽의 사시도이다.
점성계 제진벽(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8) 위에 강철제 측판(19)을 세워 그 양편에 플랜지 플레이트(11)을 배치하여 상단을 개방한 케이스 (20)를 형성하고, 케이스(20) 내에 중판(14)을 삽입하고 있다. 케이스(2O)와 중판 (14)의 간격부에는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집어넣고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판(14) 사이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평력을 감쇠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방식은, 운반, 보관, 현장 세팅시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으며, 경량이어서 공사 안전성을 높이고, 현장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는, 외관상으로는 종래의 점성계 제진벽과 다른 것이 없게 보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력을 견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강용 리브 플레이트도 소형이고 판두께 또한 얇아도 되는 간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 및 플랜지 플레이트(11)에는 증축 플레이트에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 및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와 1면 마찰 접합을 하기 위한 고력 볼트용 볼트구멍(21, 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판(14)의 선단부에는 상기 거싯 플레이트(13)와 직접 접합할 때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와 2면 마찰 접합하기 위한 고력 볼트용 볼트구멍(2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중판과 거싯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구체예에서는, 거싯 플레이트(13)와 중판(14)은 직접 접합하고 있다. 즉, 거싯 플레이트(13)와 중판(14)을 2장의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에 삽입하고,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에 병행으로 배열된 고력 볼트(10)로 2면 마찰 접합함으로써 접합되어 있으며, 점성계 제진벽(1)과 상층 큰 대들보(4)는 이것에 의해 일체로 접합하게 된다.
거싯 플레이트(13)과 중판(14)의 직접 접합은, 반드시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상층 큰 대들보의 웨브의 심(芯)과 중판의 심이 일치하도록 거싯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를 상층 큰 대들보의 웨브심에서 비켜 놓음으로써 거싯 플레이트(13)와 중판(14)을 직접 접합시켜 고력 볼트에 의한 1면 마찰 접합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 1면 마찰 접합 채용은, 스프라이스 플레이트의 사용을 없앰으로써 제조비용 저감에 공헌하는 것이다.
도 4는, 중판과 거싯 플레이트를 접합하기 위한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중판에는 특별한 변경은 없지만, 스프라이스 플레이트를 중앙부(24)와 측부(25, 25)로 분할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스프라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24)에는 1열로 볼트구멍을 배치하고 있으며, 측부의 스프라이스 플레이트 (25, 25)에는 상하 2열의 볼트구멍을 배치하여 분담하는 전단응력에 대처하고 있다.
스프라이스 플레이트의 분할은, 응력 분담에 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건축 정도에서 오는 거싯 플레이트와 중판의 불일치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1개소 당 중량 저감도 꾀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중기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원의 인력으로 충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도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장착 작업은, 증축 플레이트(6)를 용접하여 일체화한 하층 큰 대들보(3)를 기둥(미도시)에 장착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한편, 상층 큰 대들보(4)에는 가설 리프팅 피스(26)를 개재시켜 점성계 제진벽(1)의 케이스(20)을 장착하고, 동시에 거싯 플레이트(13)와 중판(14)에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를 사용하여 고력 볼트에 의한 2면 마찰 접합을 실시하여 직접 접합시키고 있다.
더욱이, 스프라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고력 1면 마찰 접합의 직접 접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점성계 제진벽(1)과 일체화한 상층 큰 대들보(4)는, 들어올려져 소정 위치에 세팅되는데, 가설 리프팅 피스(26)의 사용으로 점성계 제진벽의 자중(自重)에 의해 점성계 재료가 전단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성계 제진벽이 가동 상태가 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리프팅 당시의 대들보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점성계 제진벽(1)을 증축 플레이트(6) 위에 설치하기 위해 리프팅이 실시되며, 점성계 제진벽(1)의 안정감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필라 플레이트 등의 간격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점성계 제진벽(1)이 증축 플레이트(6) 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자리잡도록 하고 있다.
위치 결정이 종료되면 베이스 플레이트(8)와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9) 및 플랜지 플레이트(11)와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 사이에 고력 볼트(10)를 사용한 1면 마찰 접합을 실시하여 본체 구조로의 점성계 제진벽(1)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 단계에 이르러 상술한 가설 리프팅 피스(26)을 철거하면, 점성계 제진벽(1)은 본래의 제진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가동 상태가 되어 시공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을 병렬로 배치한 상태의 입면도이다.
점성계 제진벽(1, 1)은 기둥(2, 2)과 하층 큰 대들보(3) 및 상층 큰 대들보(4)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면(5) 중에 병렬로 배치되며 하층 큰 대들보(3)와 상층 큰 대들보(4)에 일체가 되어 접합되어 있다.
하층 큰 대들보(3)의 플랜지면에 용접된 증축 플레이트(6)는, 2개의 점성계 제진벽(1, 1)을 배치할 수 있는 길이로 하층 큰 대들보(3)과 일체화 되어 있으며,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를 도 1의 예와 마찬가지로 증축 플레이트(6)의 양측에 장착하고 있다.
점성계 제진벽(1, 1)은, 서로 대치하는 한쪽의 플랜지 플레이트(11, 11) 사이를 고력 볼트(10)로 1면 마찰 접합시키고 있으며 일체화된 상태에서 증축 플레이트(6) 위에 배치하고 있다.
점성계 제진벽(1, 1)은, 각 베이스 플레이트(8)와 증축 플레이트(6)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9)을 고력 볼트(10)로 1면 마찰 접합하고, 점성계 제진벽의 양측에 있는 플랜지 플레이트(11)와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를 플랜지 접합 플레이트(12)를 개재시켜 고력 볼트(10)로 1면 마찰 접합시킴으로써 하층 큰 대들보 (3)와 일체로 접합하고 있다.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7)는, 일체로 접합된 점성계 제진벽(1, 1)이 지진시에 부담하는 전단력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고력 볼트의 전단력으로서 받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력 및 점성계 제진벽의 가장자리 부분에 발생하는 연직력을 처리하고 있다.
상층 큰 대들보(4)의 아래쪽 플랜지면에는,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큰 대들보의 웨브와 동렬로 2개의 거싯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각 점성계 제진벽(1)의 중판은, 거싯 플레이트와 함께 2장의 스프라이스 플레이트(15)에 삽입되어 고력 볼트(10)에 의한 2면 마찰 접합되어 있으며, 점성계 제진벽(1, 1)과 상층 큰 대들보(4)는 이것에 의해 일체로 접합한다.
도 7은 복수의 점성계 제진벽을 서로 접합하는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점성계 제진벽(1)의 대치하고 있는 각 플랜지 플레이트(11)에는, 상하층 큰 대들보와 병행으로 거싯 플레이트(27)를 배치하여 고력 볼트구멍을 설치하고 있다.
양 점성계 제진벽(1, 1)을 일체로 할 때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거싯 플레이트(27, 27를 근접시켜 2장의 스프라이스 플레이트(28)에 의해 끼워넣고 고력 볼트(10)로 2면 마찰 접합하여 병치하는 점성계 제진벽을 일체로 접합한다.
본 구체예의 경우에는, 도 6에 설명한 예와 같이 증축 플레이트(6)를 일체의 강재로 구축하지 않고, 개개의 점성계 제진벽(1)에 대응시켜 서로 분할한 상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증축 플레이트(6)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각종 형태로부터의 선택이 가능하다.
본 구체예의 경우는, 접합 작업을 점성계 제진벽에 대해 직각방향의 자세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 플레이트(11)을 직접 접합하는 경우에 비해 동작에 자유도가 있으며, 편한 자세로 간결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는, 단독의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점성계 제진벽을 병렬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병치하는 점성계 제진벽은 갯수에 상관없이 서로 대치하는 측의 플랜지 플레이트끼리 고력 볼트 1면 마찰 접합함으로써 전체를 1개의 점성계 제진벽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상층 큰 대들보와의 장착에 있어서도 가설 리프팅 피스를 바깥쪽 플랜지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상층 큰 대들보와의 일체화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강철제 측판을 세워 그 양편에 플랜지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상단을 개방한 케이스로 하고, 해당 케이스 안에 중판을 삽입하여 간격 부분에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집어넣어 구성한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로서,
    하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 증축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해당 증축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과 측면에 배치한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플랜지 플레이트를 접합하고, 상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 장착한 거싯 플레이트에 상기 중판을 직접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 플레이트와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의 접합이,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를 끼운 고력 볼트 1면 마찰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판과 상층 큰 대들보의 플랜지에서 늘어뜨린 거싯 플레이트의 직접 접합이 고력 볼트 1면 마찰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판과 거싯 플레이트의 직접 접합이, 스프라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한 고력 볼트 2면 마찰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스프라이스 플레이트가, 중앙부와 가장자리부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축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해당 증축 플레이트에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과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를 구비한 하층 큰 대들보를 장착하고, 이어서 중판을 플랜지에서 늘어뜨린 거싯 플레이트에 접합함과 동시에 케이스를 가설 리프팅 피스로 결합하여 점성계 제진벽을 일체화한 상층 큰 대들보를 소정 위치에 세팅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플랜지 플레이트를 하층 큰 대들보의 베이스 플레이트 접합공 및 플랜지 접합 거싯 플레이트에 고력 볼트 마찰 접합하고 나서 가설 리프팅 피스를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 구조에 적용하는 장착 방법.
KR1020017002578A 1998-09-02 1999-09-01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KR10062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797098A JP3864363B2 (ja) 1998-09-02 1998-09-02 粘性系制震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10-247970 1998-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062A true KR20010073062A (ko) 2001-07-31
KR100622539B1 KR100622539B1 (ko) 2006-09-11

Family

ID=1717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578A KR100622539B1 (ko) 1998-09-02 1999-09-01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57284B1 (ko)
EP (1) EP1111163B1 (ko)
JP (1) JP3864363B2 (ko)
KR (1) KR100622539B1 (ko)
CN (1) CN1128914C (ko)
TR (1) TR200100612T2 (ko)
TW (1) TW475957B (ko)
WO (1) WO2000014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361B2 (ja) * 1998-09-01 2006-12-27 清水建設株式会社 粘性系制震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TW445334B (en) * 1999-06-01 2001-07-11 Ohbayashi Corp Elevated bridge infrastructure and design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US6681536B1 (en) * 1999-09-01 2004-01-27 Shimizu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viscosity system damping wall
CN1413282A (zh) 2000-10-24 2003-04-23 奥依列斯工业株式会社 减震构造
CN102661009B (zh) * 2000-10-24 2015-08-26 奥依列斯工业株式会社 减震构造
JP2003049558A (ja) * 2001-08-07 2003-02-21 Kazuhiko Kasai 制振間柱
CN1303295C (zh) * 2005-01-20 2007-03-07 东南大学 索、缆、细长杆用形状记忆合金超弹性阻尼器
CA2524547A1 (en) * 2005-10-26 2007-04-26 Constantin Christopoulos Fork configuration dampers and method of using same
US8881491B2 (en) 2011-01-14 2014-11-11 Constantin Christopoulos Coupling member for damping vibrations in building structures
JP5426048B1 (ja) * 2013-09-25 2014-02-26 孝典 佐藤 制震壁構造
WO2015051464A1 (en) * 2013-10-11 2015-04-16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Viscous wall coupling damper for use in an outrigger building configuration
CN103835392B (zh) * 2014-03-20 2016-08-17 陈明中 多段铰接式粘滞阻尼墙
CN104088373B (zh) * 2014-06-12 2016-03-23 清华大学 黏滞阻尼墙
CN104196145A (zh) * 2014-09-01 2014-12-10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抗震建筑消能减震阻尼器构件
CN104947827B (zh) * 2015-06-25 2017-03-15 河北鸿筑源科技有限公司 一种粘弹性‑防屈曲耗能支撑
CN106436974A (zh) * 2016-12-07 2017-02-22 福建工程学院 一种带组合竖缝防屈曲钢板剪力墙
JP7175962B2 (ja) 2017-04-13 2022-11-21 ノベル・ストラクチャーズ・エルエルシー 部材間接続アセンブリ
US10544577B2 (en) * 2017-04-13 2020-01-28 Novel Structures, LLC Member-to-member laminar fuse connection
CN107299697B (zh) * 2017-06-22 2019-03-01 同济大学 耗能型剪力墙墙脚
CN110715849A (zh) * 2018-07-11 2020-01-21 宁国市中英橡胶有限公司 拉力机夹具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069A (ja) * 1982-09-18 1984-03-26 清水建設株式会社 壁板の取付け構造
JP2610243B2 (ja) * 1994-03-08 1997-05-14 有限会社新技研 構造物の制振方法
JP3554755B2 (ja) * 1995-06-14 2004-08-18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制震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H09157450A (ja) * 1995-12-13 1997-06-17 Nippon Petrochem Co Ltd 高粘性流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振動エネルギー減衰装置
AU1401997A (en) * 1996-01-12 1997-08-01 Penguin Engineering Limited Energy absorber
JPH09310531A (ja) 1996-05-23 1997-12-02 Shimizu Corp 制振力制限付き制振装置
JPH1046865A (ja) 1996-07-30 1998-02-17 Dynamic Design:Kk 制震壁の固定方法
US5875589A (en) * 1996-12-10 1999-03-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s having damped floors and a method of damping floors
JPH10220063A (ja) * 1997-02-04 1998-08-18 Nkk Corp 耐震壁
JP2000027485A (ja) * 1998-07-14 2000-01-25 Sumitomo Constr Co Ltd 制震壁、制震壁の取付方法および制震壁を用いる制震構造物
JP3760296B2 (ja) * 1998-07-15 2006-03-29 清水建設株式会社 粘性系制震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3864361B2 (ja) * 1998-09-01 2006-12-27 清水建設株式会社 粘性系制震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US6681536B1 (en) * 1999-09-01 2004-01-27 Shimizu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viscosity system damping wall
JP3831160B2 (ja) * 1999-10-25 2006-10-1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制振壁
JP2001227193A (ja) * 2000-02-18 2001-08-24 Shimizu Corp 制震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64363B2 (ja) 2006-12-27
US6457284B1 (en) 2002-10-01
EP1111163B1 (en) 2004-07-21
EP1111163A4 (en) 2002-03-20
JP2000073612A (ja) 2000-03-07
CN1128914C (zh) 2003-11-26
WO2000014362A1 (fr) 2000-03-16
TW475957B (en) 2002-02-11
KR100622539B1 (ko) 2006-09-11
CN1317065A (zh) 2001-10-10
TR200100612T2 (tr) 2001-09-21
EP1111163A1 (en) 200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539B1 (ko)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KR100685500B1 (ko) 점성계 제진벽의 부착 구조 및 그 부착 방법
KR100695568B1 (ko) 점성계 제진벽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AU6270898A (en) Moment-resistant structure, sustain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2002339590A (ja) ブレース型ダンパーの取付け構造
JP3760296B2 (ja) 粘性系制震壁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3407237B2 (ja) 鋼板ブロックを用いた耐震及び制振構造
JP3999591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材料によるコンクリート系構造物の制震構造
JP2001065189A (ja) 間柱タイプの制振装置
JPH1037481A (ja) 既存建築物の制振補強構造
JPH1018637A (ja) 建築物の制振構造
JPH02128035A (ja) Rc造躯体開口部の耐震補強方法
JP3270326B2 (ja) 鉄骨造建屋の組立柱
JP2005282229A (ja) 建物の制震構造
JPH10176369A (ja) バルコニーの支持構造
JP2003227235A (ja) 耐震補強構造
JP2000008539A (ja) 建築用金物、建築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の吊り方法
CN113638496A (zh) 一种方钢管混凝土柱-钢梁外环盖板连接节点
JP2000073608A (ja) 粘弾性壁の設置構造
JPH02248577A (ja) 既存rc造の鉄骨による耐震補強構造
JP4314130B2 (ja) 建物の間柱構造
JP4324317B2 (ja) 既存建築物の制振補強用間柱
JP2936433B2 (ja) コアーウォール構造を備えた建築構造物
JPH0628030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部
JP2001262840A (ja) 制震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