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413A - 글래이징 패널의 릴리징 - Google Patents

글래이징 패널의 릴리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413A
KR20010072413A KR1020017001794A KR20017001794A KR20010072413A KR 20010072413 A KR20010072413 A KR 20010072413A KR 1020017001794 A KR1020017001794 A KR 1020017001794A KR 20017001794 A KR20017001794 A KR 20017001794A KR 20010072413 A KR20010072413 A KR 2001007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ulse
light energy
panel
glaz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어난마이클노엘
데이비스크리스토퍼
클레멘트로버트마크
Original Assignee
카프렌스키 페터
카글라스 록셈브르그 사르-주그 브렌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프렌스키 페터, 카글라스 록셈브르그 사르-주그 브렌치 filed Critical 카프렌스키 페터
Publication of KR2001007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4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16Severing by using heat by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6Making non-permanent or releasabl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50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 B23K26/57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the laser beam entering a face of the workpiece from which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orkpiece material to work on a different workpiece face, e.g. for effecting removal, fusion splicing, modifying or re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 B29C66/5346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45Assembling sealing arrangements with 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지지 프레임(7)에 접착된 차량의 방풍유리(16)과 같은 글래이징 패널은 먼저 빛 에너지 방출 수단을 패널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다음으로 빛 에너지가 그 방출 수단(2)으로부터 패널(16)을 통과하게 하여 프레임으로부터 패널의 분리를 실행함으로써 분리된다. 빛은 설정된 조건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급속히 감소되는 강도를 갖는 방전램프 또는 준 연속파 펄스 레이저에 의하여 방출된다. 패널 분리 장치는 접착재의 열적 감소성, 패널의 표면 또는 몸체 내 소재의 분열, 또는 그러한 장치들의 결합에 따른다.

Description

글래이징 패널의 릴리징{Releasing Of Glazing Panels}
차량의 방풍유리(windscreen)는 일반적으로 강화 글래이징 패널이나 합판 패널구조(일반적으로는 외측 유리층과, 내측 유리층, 그리고 외측과 내측의 유리층 사이에 끼워지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짐)로 이루어진다. 글래이징 패널은 특정한 파장(특히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을 선호함에 따라 색조를 띨 수 있다. 합판 방풍유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중간층이 색조를 띤다.
WO-A-9617737은 서로 접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접착된 투명 스크린(일반적으로 차량 방풍유리)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공개한다. 기재된 그 기술은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린의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유도된 레이저 에너지를 사용한다. 상기 기술은 레이저 에너지가 레이저 헤드로부터 접착 비드/글래이징 패널 인터페이스로 유도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에너지가 글래이징 패널의 몸체에서 과열이 발생시키지 않고 방출되는 것을 보장함에 있어서 문제가 있고, 또한 고에너지 레이저장치의 특성에 기인하여 건강과 안전에 본질적인 문제가 있다.
본발명은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을 분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글래이징 패널이란 패널, 스크린 또는 창유리, 플라스틱, 또는 실질적으로 스펙트럼의 가시영역에서 파장을 통과시키는 기타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선된 기술이 안출되었다.
첫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널이 삽입된 접착재에 의하여 접착된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ⅰ) 빛 에너지 방출수단을 글래이징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ⅱ)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빛 에너지를 글래이징 패널을 통하여 통과시키는 빛 에너지 방출수단을 동작시켜 이루어지는 방법을 제공한다.
두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널이 삽입된 접착재에 의하여 접착된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글래이징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 가능하고,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빛 에너지를 글래이징 패널을 통과시키도록 조작 가능한 빛 에너지 방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공한다.
방출된 빛 에너지는 대체로 300㎚ - 1500㎚ 범위(되도록이면 400㎚ ∼ 700㎚ 범위)의 파장이 좋다.
방출된 빛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키며, 바람직하게는 펄스 발생기간(T on)은 인터-펄스 간격(T off)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방출된 단일 펄스 발생 빛 에너지는 접착재의 길이를 따라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에너지이다.
본 장치는 바람직하게 본 장치를 빛 펄스 발생을 일으키도록 하는 펄스형성 회로망(캐패시터와 인덕터 배열을 포함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바람직하게 펄스형성 회로망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트리거 회로망을 더 포함한다.
제어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후속하는 빛 펄스 발생 사이에 경과되는 최소 허용시간을 포함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은 바람직하게 트리거 회로망 그리고/또는 펄스형성 회로망에 연결된다. 안전 연동장치는 빛 펄스 발생의 우발적인 개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유익하게 제공된다. 안전 연동장치 작동구조의 바람직한 특징은 본문과 첨부된 청구항에서 기술된다.
방출된 빛의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좋다. 이는 다양한 색조를 띤 글래이징 패널들이 파장의 범위에서 빛에너지를 흡수할 것으로 예측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장치는 글래이징 패널의 색조에 따라 비접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다르게 설정된 파라미터 세팅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빛 에너지는 접착재 자체 또는 패널을 이루는 흡수층(예컨데 통상 차량 글래이징 패널에 존재하는 혼합물층) 또는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는 적절한 빛 흡수 코팅에 의해 접착재/패널 인터페이스에서 흡수될 수 있다.
빛 에너지 방출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빛 에너지 방출수단의 힘과 펄스 조건에 따라 설정된 속도로 글래이징 패널의 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트랙킹 수단(바람직하게 자동화된 트랙킹 수단)은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빛 에너지 방출수단은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글래이징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헤드가 조작자가 만족하는 곳에 위치될 때 상기 방출수단은 빛 펄스를 개시하기 위한 수동의 트리거를 가질 수 있다.
본 장치는 바람직하게 빛 에너지가 방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작동(시동)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는 안전 연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연동장치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는 (주된) 수동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바람직하게 빛 에너지가 방출되는 방출헤드(바람직하게 이동하는 빛 방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헤드는 유익하게 안전 연동장치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방출헤드 상의 두 입력장치는 빛 에너지가 방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을 요구한다.
안전 연동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입력장치는 바람직하게 전기적 입력장치(예컨데 스위치 수단)로 구성된다. 작동 후, 연동장치를 구성하는 입력장치는 바람직하게 비-작동 상태로 재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출된 빛 에너지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펙트럼의 가시영역에 있는 다수의 파장으로 이루어 진다. 일 실시예에서, 빛 에너지는 비-간섭성인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 상기 빛 에너지는 예컨데 에너지 방출수단으로 부터 수 센티미터(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 미만)에서 빛 에너지 밀도가 최고치로부터 현저히 감소(바람직하게는 최고치의 50% 또는 그 이하로 떨어짐)되는것과 같이 거리에 비례하여 급격히 감소한다.
펄스 조건은 바람직하게 선행하는 빛 펄스가 설정된 시기 내에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후행하는 빛 펄스 발생이 저지되는 것으로 제어된다. 이것은 장치가 매우 급격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이는 글래이징 패널 그리고/또는 가스방전 튜브의 과열을 초래할 수 있다). 만약 트리거(또는 다른 엑튜에이터)가 조작자에 의해 영구적으로 작동되는 상태로 유지되면, 장치제어는 일련의 펄스 발생이 설정된 시간 간격(대체로 최소 허용시간 간격보다 더 큼)으로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설정된 시간 간격은 제어수단에 의하여 설정되고 방전에너지 레벨 설정에 의존한다. 대체로, "연속적인" 작동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은 0.5 - 5s(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s)이다. 펄스 방전 에너지 설정이 높아질수록 최소 허용간격과 "연속적인" 작동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의 설정 레벨 또한 길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선행하는 빛 펄스 발생 후 경과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크다면, 후행하는 빛 펄스 발생이 저지되도록 펄스 조건이 제어된다. 이것은 일련의 펄스 발생을 위한 다음의 사용시 장치가 무의도적으로 동작상태로 남아있지 않게 한다. 예컨데, 이 장치는 "준비" 모드로 복귀한다.
방출된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펄스당 100주울 - 10,000주울(보다 바람직하게는 펄스당 500 - 1,500주울)이다. 상기 펄스 기간(T on)은 바람직하게는 대체적으로 1㎲ - 100㎳, 더 바람직하게 1㎳ - 2㎳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너지 방출수단은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로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방전장치의 작동은 펄스 비율 그리고/또는 빛 펄스 기간을한정하도록 제어된다.
가스 방전장치의 작동은 바람직하게
ⅰ) 캐패시터 장치 충전;
ⅱ) 캐패시터 장치 방전을 위한 트리거 펄스 개시;
ⅲ) 인덕터를 통한 가스방전장치로의 캐패시터장치 방전에 의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방출수단을 포함한다.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는 방출된 빛의 펄스 비율을 제한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빛 펄스를 발생시키는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패시터가 인덕터를 통하여 방전하게 되는 캐패시터와 인덕터 배열을 갖는 펄스 발생 회로망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 펄스발생 회로망의 캐패시터가 방전되도록 개시시키기 위한 트리거 회로망을 더 포함한다.
제어수단은 바람직하게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의 연속적인 방전 펄스사이에 경과되는 최소 허용시간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전기 가스 방전장치는 바람직하게 전기적 가스 방전튜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가스 방전장치는 방출된 빛이 설정된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 반사체(바람직하게는 포물선형 반사체)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체는 바람직하게는 은 소재를 포함하는 내열재의 반사코팅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바람직하게 방출된 빛이 관통하여 글래이징 패널을 통과하도록 정해진 윈도우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장치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으며, 윈도우를 생략하는 것은 빛 방출장치(방전튜브)의 냉각을 유익하게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 본 장치는 글래이징 패널의 외면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모서리 가이드(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한 "스냅 핏-snap fit")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가이드는 수동상태에서 조작자가 본 장치를 글래이징 패널을 고정하는 본딩비드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장치는 설정된 위치에서 빛 에너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구비되는 초점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에너지 방출수단의 트래킹과 펄스를 발생시키는 동작은 연속하는 빛 펄스들이 글래이징 패널의 적절한 부분에서 공간적으로 겹쳐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작동은 접착재/패널내층 인터페이스에서 프레임으로부터 패널이 잘 분리되도록 한다.
스트린이나 패널의 몸체(특히, 합판 글래이징 패널의 중간층)에서 흡수 에너지는 최소화되기 때문에 펄스발생 모드에서 빛 에너지 방출수단의 작동은 글래이징 패널(특히, 색조를 띤 중간층을 포함하는 것)에 이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ⅰ)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빛 방출 소자를 포함하는 빛 에너지 방출헤드;
ⅱ) 방출헤드로부터 떨어지고, 방출헤드의 빛 방출 소자를 위한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그리고,
ⅲ) 방출헤드와 베이스유닛이 연결되도록 베이스유닛과 방출헤드 사이에 연장되는 유연성 연결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빛 에너지의 펄스 발생 동작과, 글래이징 패널 및 혼합물(frit) 온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도표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서 연속파 레이저 방사와 혼합물 및 글래이징 판넬 온도에대한 효과를 나나내는 도 1에서 보인 것과 유사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빛 에너지 방출수단의 일 실시예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장치의 빛 에너지 방출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면들의 빛 에너지 방출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의 시스템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시스템의 네트워크 중 펄스 형성 망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도 7에서 나타낸 시스템 중 트리거 망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1)는 삽입되어 프레임(7)과 접촉하는 패널(16)의 전체 외면 주위로 퍼지는 어두운 색의 폴리우레탄 본딩비드(8)에 의하여 접착된 지지 프레임(7)으로부터 차량의 글래이징 패널(방풍유리-windscreen)(16)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방풍유리 패널(16)은 외측 유리층(9)과, 내측 유리층(10) 및 그 사이에 위치하며 가시광의 파장은 통과시키지만 그 이외의 파장 및 자외선(U.V.)은 통과시키지 않는 색조를 띄는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중간층(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층(11)의 목적은 충격을 가했을 때 스크린이 원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풍유리(16)에 대하여 구조적인 내구력을 제공하고, 또한 자외선 차단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딩비드(8) 가까이에 인접하는, 방풍유리 패널(16)의 내측층(10)의 외면에는 대체로 어두운 색(더 일반적으로는 검정색)을 띠는 접착된 유리 혼합물(frit)층(12)이 제공된다. 상기 혼합물층의 목적은 자외선이 스크린을 통과하여 일반적으로 자외선 방사에 노출되면 화학분해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본딩비드(8)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합판형태의 방풍유리에 관련된 구체적인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강화된" 차량의 글래이징 패널 등과 같이 유사하게 접착된 다른 글래이징 패널에 관하여 마찬가지로 사용상 적합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이하에서 상세히 기재됨)의 바람직한 펄스발생 조건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키는 빛과 WO-A-9617737에 공개된 종래기술 시스템으로부터 알려진 연속파 레이저 효과, 및 본래 상태의 글래이징 패널의 임계값(특히 합판 방풍패널용 패널 중간층(11)에서 갈라짐)과 관련하여 혼합물층(12)의 온도에 대한 연관 효과를 비교한다.
연속파 레이저 방사의 사용은 패널(16)의 몸체 내(특히 합판형태 스크린의 중간층(11))에 과도한 열 상승을 초래한다. 이는 현저한 열 상승이 패널(16) 몸체 내에서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증가된 힘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낳는다. 더욱이, 패널(16)의 몸체 내의 열 상승은 글래이징 패널의 몸체(또는 합판 스크린에서 중간층(11))에서 유리의 깨짐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패널(16)의 몸체 내에 에너지 흡수를 증가시켜 점진적으로 더 많아지는 방출된 에너지량이 패널(16)의 몸체 내부에 흡수되는 "연쇄 사건(chain event)"을 야기한다. 이는 더 적은 에너지가 혼합물층(12)/본딩비드(8) 인터페이스에 도달하고 그로 인하여 분리 효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글래이징 패널의 몸체 내에서의 과흡수는 '강화유리(toughened glass)'의 방풍유리 글래이징 패널과 같은 합판 구조가 아닌 방풍유리(특히 색조를 띤)에도 일어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공개된 레이저 시스템의 다른 문제는 크게 관리되지 않는 상태에서 강한 레이저 장치의 사용은 심각한 건강과 안전 문제를 낳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레이저 시스템과 장치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경향이 있다.
펄스를 발생시키는 빛 작용을 이용하는 것은 에너지 버스트(burst)가 아주 짧은 시간에 혼합물층(12)/본딩비드(8) 인터페이스에 방출되게 하여 분리를 위한 충분한 에너지가 글래이징 패널(16)의 몸체에서 해로운 열 상승없이 본딩비드(8)/혼합물층(12) 인터페이스에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글래이징 패널의 부분적인 분리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는 단일펄스 버스트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특히 더 어두운 색을 띤 글래이징 패널에서 반복적인 연속펄스/버스트가 바람직할 것이다. 연속펄스/버스트가 이용될 경우 펄스형 에너지 버스트간의 시간(T off)은 글래이징 패널(내층(11)을 포함)의 몸체 내에 흡수된 열이 방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하게 제공된다.비평행한빛의 사용은 본 장치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에너지의 급격한 감소를 촉진하고 본 장치를 건강과 안전의 관점에서 보다 적합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의 본 장치는 대체로 제논(Xenon) 또는 크립톤(Krypton)과 같은 고압의 희(稀)/불활성가스를 함유하는 전기 가스 방전튜브(2)를 포함하는 방출헤드(4)로 이루어진다. 방전튜브는 가시 스펙트럼(대략 400㎚ - 70㎚)에 있는 파장 범위의 빛의 출력 버스트를 일으키도록 작동된다. 펄스당 방출되는 에너지는 보통 500 ∼ 1500 주울의 범위에 있으나 그 에너지는 튜브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급속히 방산(약화)된다(이는 이하에서 기재되는 바와 같이, 작용적 측면에서 중요하다).
하우징/케이싱(3)은 방전튜브를 둘러싸며, 차폐 측벽(5, 6)과 가시광선이 투과 가능한 윈도우(7)를 포함한다. 포물선모양의 반사벽(8)은 빛을 방전튜브(2)의 뒤쪽으로부터 윈도우(7)를 통과하도록 반사시키기 위하여 윈도우(7)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반사벽(8)은 대체로 은 소재를 포함하는 내열 반사 코팅재로 이루어진다.
이용상, 광학적 방출헤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고 수동으로 작동되는 트리거는 스크린(6)을 통과하여 혼합물층(12) 그리고/또는 본딩비드(8)에 흡수되는 단일 빛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혼합물층(12)이나 본딩비드는 급속히 가열되고 일반적으로는 유리침식, 비드(8)의 탄화온도, 또는 다른 열 구조에 의하여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다중 샷이 사용될 수 있지만(예를들어 용융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낮은 전원에서 또는 스크린이 어두운 색을 띄는 경우), 단일 샷/펄스는 방전튜브(2)의 길이(대체로 5 ∼ 15㎝)와 비슷한 스크린의 전 길이에서 분리를 실행하는데 충분하다. 전형적인 시스템에서 5㎝ × 2㎝의 에너지 발자국(footprint)이 글래이징 패널 위로 투영된다. 그때, 조작자는 다음의 빛 펄스를 일으키기 전에 스크린 외면의 인접한 부분으로 이동한다. 그 절차는 완전한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패널의 전 영역에 대해 반복된다.
바람직한 설치에 있어서(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출헤드(4)는 연결물(41)에 의해 베이스유닛(40)에 연결된다. 베이스유닛(40)은 트리거 회로망(30), 펄스형성 회로망(31), 캐패시터 저장소(32), 인덕터(34) 및 캐패시터 충전 전원장치(33)를 포함하는 본 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원장치와 제어시스템(29)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장치와 제어시스템은 도 7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된다. 상기 연결물(41)은 섬광램프 방전튜브(2a, 2b)와 냉각팬(45, 46)을 포함하는 조명헤드(4)의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한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헤드는 끝단 컨넥터(47, 48) 간에 연장되고 하우징(3)내의 틈(47, 48)을 통과하여 평행하게 배치된(그러나 전기적으로는 직렬 연결) 한 쌍의 섬광램프(전기적 가스 방전튜브)(2a, 2b)를 포함한다. 평행한 섬광램프(2a, 2b)를 제공함에 따라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빛 에너지가 방출될 수 있고 또한 열적/전기적 효율을 향상된다. 대체로 평행하게 설치된(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연결된) 튜브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패널의 색조에 따라) 20,000에서 1백만 펄스 발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일 튜브는 감퇴하기 이전에 약 200 - 500 펄스 발생이 가능할 뿐이다. 전기적 직렬연결은 전하가 직렬로 연결된 튜브를 연속하여 직렬로 흐르기 때문에 최적의 캐패시터 효용을 향상시킨다.
하우징(3)의 내벽은 반사성의 내열재료(대체로 은 소재를 포함)로 코팅되고, 섬광램프(2a, 2b)로부터 하우징(3)의 열린 끝단(48)을 통하여 하측으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굽은 모양의 반사체 표면으로 한정된다. 상기 하우징(3)은 하부 케이싱부(50)로부터 돌출된 덮개(49)를 수용한다. 돌출된 덮개(49)의 최하측 연장단은 구멍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55)에 의하여 고정되는 석영 윈도우(54)로 맞추어 진다. 상기 윈도우(54)는 섬광램프(2a, 2b)에 의해 발생된 조명 빛이 하우징(3)의 외부로 통과하게 한다. 고정 플레이트(55)의 하면은 주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테(57)를 포함하는 "스냅 핏(snap fit)" 이동가능한 천공 플레이트(56)로 맞추어 진다. 상기 테(57)는 글래이징 패널의 주변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본딩비드(8)를 향하여 헤드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돕는 모서리 가이드로 작용한다.
상기 하우징(3)의 상측부는 섬광램프 튜브 (2a, 2b)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공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각각의 경사진 덕트(52, 53)에 냉각팬(45, 46)을 대향된 끝단에 설치한 캐스팅(51)에 고정된다. 섬광램프 튜브의 냉각은 튜브수명을 최대화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섬광램프 튜브는 (다른 적용예에서) 물로 냉각된다. 조명헤드는 비교적 경량이어야 하고 조작자의 취급이 간편해야 하기 때문에 수냉방법은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서는 비현실적이다. 냉각수를 헤드로 운반해야 한다면 상기 연결물(41)은 너무 거추장스러워질 것이고, 냉각수로 채워지는 냉각수통이 헤드구조로 결합되면 헤드는 다루기 어려워질 것이다. 더욱이, 상기 헤드에 존재하는 냉각수는 섬광램프 튜브(2a, 2b)로부터 방출된 유용한 빛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할 것이다. 상기 설치된 냉각팬, 평행한 램프튜브 및 반사체는 구조적인 면에서 개별적으로 그리고 조합되어 중요한, 신규한, 창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캐스팅(58)은 캐스팅(53)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캐스팅(58)은 연결물(41)이 고정되는 중공(中空) 보스(59)를 포함하며 상측으로 연장된 모서리(60)를 포함한다. 껍질 모양의 몰드 캡(61)은 상측으로 연장된 캐스팅(58)의 한 지점(회전 축(62))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캡(61)은 냉각팬(45, 46)이 공기를 본 장치의 내부로 끌어들이도록 하기 위한 통기구(68, 69)를 포함한다.
하향의 수동 압력이 캡(61)에 가해질 때, 캐스팅(58)과 관련한 캡의 미세한 회전 '폐쇄' 이동(바이어스 스프링(미도시)에 대응)은 캡(61)에 제공되는 내부 구조와 캐스팅(58)에 수반되는 리미트 스위치(63)가 맞물리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결국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폐쇄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63)가 폐쇄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시스템(29)은 섬광램프 펄스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이런 방법에서,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충분한 압력이 캡(61)에 가해지지 않는 경우), 리미트 스위치(63)와 회전 캡(61) 장치는 섬광램프의 발광을 방지하는 안전 연동장치로 작용한다. 연동장치의 보조수동장치로, 캡(61) 상의 외부스위치(66)는 제어시스템(29)이 섬광램프 발광 시퀀스를 개시하기 전에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동장치는 섬광램프 펄스가 유발되기 전에 제어시스템(29)으로 통과되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의 입력신호를 필요로 한다. 달리 구상된 연동장치는, 예를들어 압력 또는 글래이징 패널과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서 헤드에 설치되는 다른 센서, 그리고/또는 케이싱에 제공되며 수동으로 작동되는 확실한 두번째 스위치(67)(두 스위치는 개시된 섬광램프 발광 시퀀스에 대하여 작동되어야 함)로 구성될 수 있다.
현저히 향상된 결과가 방출된 빛이 스펙트럼의 가시영역에 있을 때 달성되며, 그 빛은 일련의 분리성 빛 펄스가 통과되는 조건, 펄스기간(T on)이 대체로 1㎲ - 100㎳(더 바람직하게는 1㎳ - 2㎳)이고 펄스 반복 주파수가 대체로 0.1㎐ - 10㎐(더 바람직하게는 0.3㎐ - 1㎐), 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문에 기재된 펄스를 발생시키는 조건과 빛의 낮은 파장(가시 스펙트럼에서)의 사용은 방출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혼합물층(12)/본딩비드(8) 인터페이스에 집중되며, 삽입층(11)에서의 과도한 열 상승(그리고 수반되는 유리 균열)은 회피되거나 적어도 개선되는 현저히 향상된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방출헤드(4)는 에너지가 혼합물층(12)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하여 빛에너지를 글래이징 패널을 통하여 방출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프레임(7)으로부터의 패널(6)의 분리는 급속한 가열과 상기 패널(6)을 구성하는 혼합물 재료(12)의 분열 또는 소모, 또는 본딩비드(8)를 구성하는 재료의 소모(또는 본딩비드에 접촉하여 설치되기 이전에 글래이징 패널에 사용되는 초벌 도금의 소모)에 따른 혼합물층(12)/본딩비드(8) 인터페이스에서의 에너지 흡수의 결과로서 실행된다. 분리 구조는 기재된 구조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튜브(2a, 2b)는 수동 트리거와 결합되어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제어유닛(29)에 의하여 설정된 펄스 조건에 부합하는 고강도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된다. 제어유닛(29)은 원하는 특성을 가진 빛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튜브(2a, 2b)에 전류를 공급하는 펄스 형성 회로망(31)을 구동시키는 트리거 회로망(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장치의 다른 특징은 본 장치가 동작중이거나 "대기" 모드일 때 실제로 연속적인 누설/세류 전류를 섬광램프(2a 또는 2b)에 공급하기 위하여 소위 "시머 회로(simmer circuit)"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캐패시터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섬광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시머 회로"는 일반적으로 가스 방전장치로부터 알려졌다. 본 장치의 독특한 특성은 누설/세류 전류가 안전특성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며, 그 이유는 섬광램프(2a, 2b)에 의하여 유인된 전류는 (제어유닛(29)에 의해) 연속적으로 측정되고, 만약 상기 전류가 유인되지 않으면(램프의 고장 또는 파손에 기인하여) 전류는 컷 오프(cut off)된 섬광램프(2a, 2b)에 공급되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펄스발생 회로망(31)은 전원장치(33)에 의해 설정된 전압으로 충전되는 캐패시터 저장소(32)를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 저장소(32)에 저장된 전하가 인덕터(34)와 2차 트리거 변압기(35)를 통하여 튜브(2)로 방전될 때, 트리거 회로망으로부터 트리거 펄스가 방전튜브(2)에서 방전을 개시할 때까지 상기 캐패시터 저장소(32)는 충전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방전의 시상수(즉 빛 펄스 지속시간과 "프로파일(prifile)")는인덕터(34)와 캐패시터 저장소(32)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작동 시스템에 있어서 1㎳ ∼ 2㎳의 펄스 지속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펄스 지속시간은 빛의 세기가 최고치의 반에 이르게 되고 연속하여 최고치의 반으로 감소하는 사이의 시간 간격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요구되는 펄스시간은 분리될 글래이징 패널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들어, 서로 다른 글래이징 색조는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에너지 즉 서로 다른 전력 레벨을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캐패시터 저장소(32)와 인덕터(34)는 분리되는 글래이징 패널에 따라 "프로파일"과 방출된 펄스의 에너지를 수정하기 위하여 적당한 값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40) 상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 가능한 제어수단(70)은 섬광튜브(2a, 2b)의 출력에너지 그리고/또는 펄스 지속시간을 대상 글래이징 패널의 색에 따라 수정되도록 한다. 본 장치는 조작자에 의하여(또는 자동으로) 일반적인 글래이징 색조 또는 다른 알려진 변수에 적합하도록 선택 가능한 세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의 광학적 힘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원 충전 캐패시터는 변경될 수 있다.
펄스반복 주파수(인터 펄스간격(T off)의 길이와 일치하는)는 연속하는 펄스간의 기간이 스크린의 두께에 흡수된 열이 더 많은 에너지가 방출되기 전에 분산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램프튜브(2a, 2b)의 과열은 이 수단과 늘어난 램프수명에 의해 개선된다. 상기 제어수단(29)은 요구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트리거 회로망(30)이 방전을 개시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수동트리거에 따라 작동한다. 발광 사이의최소 간격은 대체로 0.3㎐ - 1㎐ 범위 내로 제어된다. 발광 사이의 최대 간격은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대체로 10 - 20초 또는 그 이상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만약 조작자가 이전의 발광로부터 최대 간격이 경과한 후에 섬광튜브를 발광시켰다면, 제어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캐패시터 배열을 접지로 방전시키고 전원장치를 대기모드로 전환시킨 후; 베이스유닛(40) 상의 전원장치는 본 장치가 작동되기 전에 '활성' 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 최대시간지연 '타임아웃' 특성은 본 장치가 다음의 사용에서 우발적으로 작동모드로 남게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본 실시예 사용상 중요한 안전특성이다.
빛펄스당방출된 에너지는 글래이징 패널의 색 또는 다른 성질에 따라 선택되나 대체로 500 - 1500 주울 사이에서 변화한다. 레이저가 아닌 빛이 사용되기 때문에 에너지는 광학헤드(4)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고, 따라서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에 충분하지만 비정상적인 또는 우발적인 조작자의 오용이 허락되지 않는다. 이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 중요한 안전특성이다.
일 실시예로서, 방출헤드(4)는 프레임(7)으로부터 패널(6)의 완전한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헤드(4)가 글래이징 패널(7)의 전체 외면을 따라가도록 설치되는 자동 트랙킹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주위를 따라가는 속도가 설정된 비율로 유지되는 것과 같이 트랙킹 시스템(4)의 작동과 헤드(4)에 의한 빛 에너지 방출은 (미도시된 제어수단에 의해) 상호 조정된다.
최적의 수행을 위하여, 펄스를 발생하는 빛의 연속 펄스들이 공간적으로 포개지는 것이 좋다.

Claims (44)

  1. 패널이 삽입된 접착재에 의하여 접착된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ⅰ) 빛 에너지 방출수단을 글래이징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ⅱ)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빛 에너지를 글래이징 패널을 통과시키는 빛 에너지 방출수단을 동작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된 빛 에너지가 실질적으로 300㎚ - 1500㎚ 범위의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방출된 빛 에너지가 실질적으로 400㎚ - 700㎚ 범위의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된 빛 에너지는 다수의 파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는 방출수단으로부터 수 ㎝에서 빛에너지 밀도가 최고치로부터 현저히 감소되는 것과 같이 거리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방출수단으로부터 5㎝ 또는 그 이하의 거리에서 빛 에너지 밀도는 최고치의 50%,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방법.
  7.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가 비-간섭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된 빛 에너지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빛 펄스 발생의 펄스기간(T on)이 실질적으로 1㎲ - 1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빛 펄스 발생의 펄스기간은 실질적으로 1㎳ - 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행하는 빛 펄스 발생 후에 경과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짧다면, 후행하는 빛 펄스 발생을 방지하도록 펄스 조건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행하는 빛 펄스 발생 후에 경과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짧다면, 후행하는 빛 펄스 발생을 방지하도록 펄스 조건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펄스기간(T on)이 최소허용 인터펄스간격(T off)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상기 청구항 8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펄스가 접착재의 길이를 따라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린의 분리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 방출수단이 작업자에 의해 손으로 들리어 수동으로 글래이징과 관련하여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너지 방출수단은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가스 방전장치의 작동은 펄스비율 그리고/또는 빛 펄스의 기간을 제한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가스 방전장치의 작동은:
    ⅰ) 캐패시터 장치 충전;
    ⅱ) 캐패시터 장치 방전을 위한 트리거 펄스 개시;
    ⅲ) 인덕터를 통한 가스 방전장치로의 캐패시터 장치 방전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가스방전 빛 방출장치는 펄스 발생 기간과 다른 시간에 누설/세류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소량의 누설 세류전류는 가스방전 빛 방출장치의 작동가능성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패널이 삽입된 접착재에 의하여 접착된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글래이징 패널에 인접하게 배치 가능하고, 프레임으로부터 글래이징 패널의 분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빛 에너지를 글래이징 패널을 통하여 통과시키도록 조작 가능한 빛 에너지 방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를 빛 펄스의 형태로 방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빛 펄스 발생의 펄스 반복비율; 그리고/또는,빛펄스 발생기간; 그리고/또는, 방출된 빛의 강도를 조절 또는 제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전기 가스 방전장치의 연속적인 방전 펄스간에 경과되는 최소 허용시간을 포함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에 있어서, 방출수단은 방출헤드가 조작자가 만족하는 곳에 위치될 때 빛 펄스를 개시하기 위한 수동의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1 항 내지 25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가 방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전에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가 방출되는 방출헤드를 포함하며, 그 방출헤드는 안전 연동장치를 이루는 적어도 두 개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두 입력장치는 빛 에너지가 방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작동을 필요로 하는 장치.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전기적 입력장치(예컨데 스위치 수단)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비-작동상태로 리셋되는 동작이 뒤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된 빛의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장치는 분리된 글래이징 패널의 색조 또는 다른 요인에 따라, 방출된 빛 에너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는 다른 설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빛에너지 파라미터는: 빛의 강도; 그리고/또는, 펄스기간; 그리고/또는, 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2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빛 에너지 방출수단은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전장치는 빛 방출 방전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는 병행하여 배열된 한 쌍의 빛 방출 방전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2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장치가 빛 에너지 방출수단의 빛 방출 소자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냉각수단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팬과 같은 공기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 33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적 가스 방전장치가 빛 펄스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캐패시터가 인덕터를 통하여 방전하게 되는 캐패시터 및 인덕터배열을 갖는 펄스 형성 회로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펄스발생 회로망의 캐패시터가 방전을 개시하도록 하는 트리거 회로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 2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장치는 방출된 빛이 설정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설치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2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장치는 방출된 빛이 통과하여 글래이징 패널을 통과하도록 의도된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2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글래이징 패널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모서리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21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장치는:
    ⅰ)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빛 방출소자를 포함하는 빛에너지 방출헤드;
    ⅱ) 방출헤드로부터 떨어지고 방출헤드의 빛 방출 소자를 위한 전기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 과,
    ⅲ) 방출헤드를 베이스유닛에 연결하기 위하여 베이스유닛과 방출헤드 간에연장된 유연성 연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4 항에 있어서, 방출헤드의 빛 방출 소자는 전기적 가스방전 빛 방출장치, 연결물을 경유하여 헤드내 전기적 가스방전 빛 방출장치틀 통하여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는 전기적 전원배열로 이루어지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베이스유닛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1794A 1998-08-11 1999-07-01 글래이징 패널의 릴리징 KR20010072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17441A GB2340528B (en) 1998-08-11 1998-08-11 Releasing of glazing panels
GB9817441.0 1998-08-11
PCT/GB1999/002086 WO2000009302A1 (en) 1998-08-11 1999-07-01 Releasing of glazing pane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413A true KR20010072413A (ko) 2001-07-31

Family

ID=1083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794A KR20010072413A (ko) 1998-08-11 1999-07-01 글래이징 패널의 릴리징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EP (2) EP0979710B1 (ko)
JP (2) JP2983975B1 (ko)
KR (1) KR20010072413A (ko)
CN (1) CN1240527C (ko)
AR (1) AR020104A1 (ko)
AT (2) ATE267073T1 (ko)
AU (1) AU770878B2 (ko)
BG (1) BG64545B1 (ko)
BR (1) BR9912892A (ko)
CA (1) CA2339383C (ko)
CZ (1) CZ297295B6 (ko)
DE (2) DE69823991T2 (ko)
DK (2) DK0979710T3 (ko)
ES (2) ES2221975T3 (ko)
GB (2) GB2340528B (ko)
HK (3) HK1025533A1 (ko)
HR (1) HRP20010093B1 (ko)
HU (1) HU225745B1 (ko)
IL (1) IL141287A (ko)
MY (1) MY124666A (ko)
NO (1) NO20010695L (ko)
NZ (1) NZ509791A (ko)
PL (1) PL192063B1 (ko)
PT (2) PT979710E (ko)
RU (1) RU2233221C2 (ko)
SK (1) SK284567B6 (ko)
TR (1) TR200100445T2 (ko)
TW (1) TW404897B (ko)
UA (1) UA73923C2 (ko)
WO (1) WO2000009302A1 (ko)
YU (1) YU10001A (ko)
ZA (1) ZA2001011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0813A1 (de) * 1999-05-06 2001-06-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Materialabtragen bei Werkstücken mittels Laserstrahl
DE19943013A1 (de) * 1999-09-09 2001-08-09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ösen geklebter Scheiben, insbesondere Fahrzeugscheiben
JP2001270328A (ja) * 2000-03-24 2001-10-02 Asahi Glass Co Ltd 窓用板材の取外し方法
US6653592B2 (en) 2001-01-30 2003-11-25 Svein Andersen Appliance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coated elements
EP1228834A1 (de) * 2001-01-31 2002-08-07 Svein Andersen Vorrichtung für die Oberflächenbehandlung von beschichteten Elementen
US7896053B2 (en) 2007-09-27 2011-03-01 Babcock & Wilcox Services Y-12, LLC Non-destructive component separation using infrared radiant energy
DE102011087663A1 (de) * 2011-12-02 2013-06-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ntfernen einer durch Verklebung in einen Rahmen eingesetzten Scheibe
DE102012008402B4 (de) * 2012-04-20 2015-10-15 Jowat Ag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s Kantenbands, Kantenband, damit hergestellte Produkte sowie deren Verwendung
GB2526308B (en) 2014-05-20 2021-06-09 Belron Int Ltd Glazing panel removal
GB201519082D0 (en) * 2015-10-28 2015-12-09 Vlyte Innovations Ltd An autonomous vehicle that minimizes human reactions
CN108705202A (zh) * 2018-08-09 2018-10-26 王宁玉 一种手机屏幕与框分离设备及其分离方法
CN112171050B (zh) * 2019-07-05 2022-10-14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显示屏的拆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2259A (en) * 1964-12-18 1968-07-09 United Aircraft Corp Portable beam generator
DE2741107A1 (de) * 1977-09-13 1979-03-29 Heldt Gert Dipl Ing Dr Verfahren zum loesen von ineinandergefuegten bauteilen
EP0215960A3 (en) * 1985-08-20 1988-08-10 Group II Manufacturing Ltd. Creation of a parting zone in a crystal structure
EP0185139A1 (de) * 1984-08-29 1986-06-25 Avaris Ag UV-Bestrahlungsgerät
DE3501490A1 (de) * 1985-01-18 1986-07-2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In den rahmen einer autokarosserie mittels eines elastomeren vernetzten klebers eingeklebte glasscheibe
FR2585210B1 (fr) * 1985-07-19 1994-05-06 Kollmorgen Technologies Corp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ttes a circuits d'interconnexion
US5269868A (en) * 1989-10-12 1993-12-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eparating bonded substrates, in particular disassembl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U1789150C (ru) * 1990-04-24 1993-01-23 Кишинев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С.Лазо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ечени животных
DE59206897D1 (de) * 1991-07-03 1996-09-19 Gurit Essex Ag Lösbare Klebeverbind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Vorrichtungen zum Lösen solcher Klebeverbindungen
US5272716A (en) * 1991-10-15 1993-12-21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Hand held laser apparatus
RU2008042C1 (ru) * 1992-03-27 1994-02-28 Ассоциация "Пакт"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FR2699165B1 (fr) * 1992-12-16 1995-01-20 Ceca Sa Procédé de collage verre-métal par adhésif prégélifiable et dispositif d'irradiation pour obtenir la prégélification.
DE4320341C2 (de) * 1993-06-21 1996-09-26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m Abtragen von Deckschichten auf Glasbauteilen mit Laserstrahlung,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mit dem Verfahren hergestellte Glasbauteile
GB9424659D0 (en) * 1994-12-07 1995-02-01 Belron Int Nv Releasing of bonded screens
JPH09193249A (ja) * 1995-08-15 1997-07-29 Dainippon Ink & Chem Inc ディスク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装置
US5895589A (en) * 1996-05-30 1999-04-20 Opto Power Corporation Apparatus, including a diode laser array, for removing automobile windshields
JPH11267627A (ja) * 1998-03-20 1999-10-05 Honda Motor Co Ltd ガラス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105264E (pt) 2004-10-29
SK284567B6 (sk) 2005-06-02
TR200100445T2 (tr) 2001-06-21
NO20010695L (no) 2001-04-09
GB9817441D0 (en) 1998-10-07
HUP0103211A2 (hu) 2001-12-28
HRP20010093B1 (en) 2005-08-31
ES2221975T3 (es) 2005-01-16
ES2222033T3 (es) 2005-01-16
NO20010695D0 (no) 2001-02-09
DE69823991D1 (de) 2004-06-24
CA2339383C (en) 2007-01-30
CZ2001498A3 (cs) 2002-02-13
HK1049810B (zh) 2003-12-12
JP2983975B1 (ja) 1999-11-29
PL346047A1 (en) 2002-01-14
CZ297295B6 (cs) 2006-11-15
GB2378479A (en) 2003-02-12
AR020104A1 (es) 2002-04-10
GB0227070D0 (en) 2002-12-24
HK1025533A1 (en) 2000-11-17
IL141287A0 (en) 2002-03-10
DK1105264T3 (da) 2004-09-27
BG64545B1 (bg) 2005-07-29
GB2378479B (en) 2003-06-18
JP2000054761A (ja) 2000-02-22
EP1105264B1 (en) 2004-05-26
GB2340528B (en) 2003-06-04
BR9912892A (pt) 2001-10-09
AU4526999A (en) 2000-03-06
DE69917652D1 (de) 2004-07-01
AU770878B2 (en) 2004-03-04
HUP0103211A3 (en) 2002-02-28
HU225745B1 (en) 2007-07-30
BG105235A (en) 2001-10-31
HK1028582A1 (en) 2001-02-23
CN1312752A (zh) 2001-09-12
ATE267673T1 (de) 2004-06-15
EP0979710B1 (en) 2004-05-19
DE69823991T2 (de) 2005-08-11
TW404897B (en) 2000-09-11
DE69917652T2 (de) 2005-06-23
IL141287A (en) 2006-08-01
UA73923C2 (en) 2005-10-17
JP2002522247A (ja) 2002-07-23
SK2032001A3 (en) 2001-10-08
EP0979710A1 (en) 2000-02-16
WO2000009302A1 (en) 2000-02-24
PL192063B1 (pl) 2006-08-31
CN1240527C (zh) 2006-02-08
CA2339383A1 (en) 2000-02-24
PT979710E (pt) 2004-10-29
MY124666A (en) 2006-06-30
GB2378479C (en) 2003-06-18
ZA200101139B (en) 2001-10-22
GB2340528A (en) 2000-02-23
ATE267073T1 (de) 2004-06-15
NZ509791A (en) 2003-07-25
EP1105264A1 (en) 2001-06-13
YU10001A (sh) 2003-02-28
RU2233221C2 (ru) 2004-07-27
DK0979710T3 (da) 2004-08-30
HRP20010093A2 (en) 2002-02-28
HK1049810A1 (en) 200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413A (ko) 글래이징 패널의 릴리징
CA2309662A1 (en) Strobe light curing apparatus and method
EP0879146B1 (en) A method for activating photoinitiators in photosensitive substrates and an apparatus for curing such substrates
GB2070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ealing semiconductors
US6833525B1 (en) Releasing of glazing panels
RU2001103894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вобождения стеклянных панелей
US6770838B1 (en) Releasing of glazing panels
US20030127442A1 (en) Releasing of glazing panels
MXPA01001506A (es) Liberacion de paneles vidriados
US6943815B2 (en) Thermal printer and electromagnetic wave source device
JP2004066483A (ja) 光定着装置及びカラー感熱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