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257A - 분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257A
KR20010053257A KR1020007014938A KR20007014938A KR20010053257A KR 20010053257 A KR20010053257 A KR 20010053257A KR 1020007014938 A KR1020007014938 A KR 1020007014938A KR 20007014938 A KR20007014938 A KR 20007014938A KR 20010053257 A KR20010053257 A KR 20010053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s
film forming
powder coating
coating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962B1 (ko
Inventor
링존
크라페가레쓰데일
키틀케벤제프리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코팅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코팅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코팅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1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or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35Coloring agents, e.g.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체 도료 조성물은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한 조성물에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과 왁스 코팅(wax-coated) 실리카를 포함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추가 성분이 건식 혼합(dry blending)에 의해 혼입된다. 외관 개질 첨가제는 광택 감소 성분, 조직감 부여 성분, 금속 또는 운모 성분, 착색 안료, 또는 제1 필름 형성 성분과 상용성이며 그와는 다른 색상의 추가의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및,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왁스 코팅 실리카와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왁스 코팅 실리카일 수 있는 추가의 첨가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중의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혼합하기 전의 개개의 첨가제 성분들을 포함한다. 이 키트는 광택성 분체 도료 조성물로부터 다양한 상도, 예컨대, 무광택 또는 조직감 부여 또는 금속성 또는 스파클 상도 또는 무광택 조직감 부여 상도, 무광택 금속성 상도, 고풍스러운 상도 또는 대조적인 조직 또는 금속 스파클 상도를 융통성 양호하게 생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분체 도료 조성물{POWDER COATING COMPOSITION}
최근, 분체 도료 제조 방법은 제조업자로 하여금 상업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일련의 완전 광택성 도막을 제공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상이한 마무리 용도에 유용한 일련의 제품은 제한되어 있다.
어떤 다른 낮은 수준, 예컨대, 공단(satin) 광택(55-65% 광택)이나 무광택 (matt)(<30% 광택)으로의 광택 저하는 현미경적 수준의 표면 거칠기를 만드는 것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거칠기는 입사각의 산란에 의한 필름으로부터의 거울 반사의 저하를 초래하기에 충분하여야만 한다; 그렇지만, 거칠기가 육안으로 인지 가능하면, 필름에 조직감 부여(texturing) 효과가 얻어진다.
액상 페인트에 있어서, 이러한 광택 감소는 통상적으로 큰 부피 농도의 충진재 입자 및/또는 안료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고농도의 충진재 입자는 경화중에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표면 유동성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이 기술은 분체 도료에 있어 광택을 감소시키는 유일한 방안이 될 수 없다.
분체 도료에 있어서의 광택 감소 및/또는 조직감은 비상용성 성분 또는 비상용성을 초래하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폴리에스테르-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 성분과 비상용성이며, 단일한(안정한) 상(phase)을 형성하도록 혼합될 수 없다. 필름 형성중의 비상용성 역시, 초기에는 혼합가능하지만(상용성이지만) 경화중에는 비상용성으로 되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화학적으로 유사하고 대략 동일한 겔화 시간을 갖는 두 시스템은 상용성이나, 상이한 겔화 시간을 갖는 것은 초기에는 상용성이나 경화(및 분자량 증가)가 진행됨에 따라 비상용성이 된다. 필름 형성중 비상용성인 물질은 무광택과 같은 비상용성 효과를 일으키도록 상이한 상 영역(phase domain)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필름 표면에서 상이한 표면장력을 가지며 분리된 구역/영역 내의 두 물질의 존재는 표면 교란(조직감 부여)을 일으킬 수 있다.
실제적으로, 광택 저하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경화 매트릭스 내에서 두 개의 상이한 겔화 속도가 설정되도록 하는 바와 같이 경화 필름 내의 반응이 설정되어야 한다. 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빠른 겔화(반응) 분체와 느린 겔화 분체를 상이한 기능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별개로 제조하거나, 미분 단계후에 혼합하거나, 또는 더욱 통상적인 것으로서, 성분들을 미분하기 전에 혼합한다. 상기한 성분들은 동일한 색상 및 입자 크기를 가져야 한다. 빠른 겔화 영역은 매트릭스중의 느린 겔화 구역의 표면 유동성을 교란하는 입자들을 형성한다. 그러나, 감소된 광택 도료 조성물을 작은 뱃치로 형성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미분 단계후의 혼합시에는, 종종 Tiger사 제의 '광택 킬러 (gloss killer)'라 불리는 제품이 사용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입자 크기의 순수한 분체 도료인 상기한 제품은, 필름중의 광택 킬러 분체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스파클(sparkle)에 의해 광택 킬러의 존재가 인지 가능하게 되기 전에, 통상적인 착색 분체 도료에 제한된 양으로만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품은 광택 조절을 위해 불과 몇 퍼센트 정도의 첨가량으로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왁스 및 각종 익스텐더가 공단 광택 상도(上塗:finish)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나, 무광택 상도를 생성하는데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광택 감소제가 필름의 경화에 사용되는 제1 촉매보다 더욱 빠른 겔화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촉매를 포함하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는 Ciba-Geigy사 제 "XG 125"(아연 N-에틸-N-페닐-디티오카바메이트) 및 "XB-3329"(아연염과, 가능하게는 비상용성을 통하여 광택 수준을 더욱 낮추기 위한 무광택 왁스), 그리고 순수한 에폭시 및 에폭시-폴리에스테르 (혼성) 시스템에 대해서는 경화시 두 가지의 경화 속도를 야기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촉매, 예컨대, GB 1,545,780호에 기재된 제품 및 파이로멜리트산과 2-페닐이미다잘린의 부가물인 Huls사 제의 B55 및 B68을 들 수 있다.
조직감 부여를 위해서는 중합체 필름의 유동성을 교란시키도록 작용하는 수 많은 제제들이 상이한 표면 효과 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점묘(點描) 상도를 위해서는 미분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가 사용된다. 주름(wrinkle) 상도를 위해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수지(CAB) 또는 아실레이트 호모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통상적으로는 고분자량의 열가소성인 조직감 부여제를 열경화성 분체 도료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표면을 가로질러 불균일하게 열등한 유동성을 갖도록 하여 그 자체가 조직감을 드러내도록 한다. PTFE는 압출전에 사전 혼합체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물중에 완전히 혼입된다. 그러나, 미분된 PTFE는 뱃치 대 뱃치 일관성을 갖도록 특정한 양식으로 제조되어야만 한다. CAB는 마무리 처리된 분체에 첨가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압출전 사전 혼합 단계에서도 첨가될 수 있다: 이것은 압출기 내에서 용융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생성된 불균질한 분산물은 조직감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몇몇 조직감 부여제, 예컨대, Acronal 4F(TM)는 압출후에 첨가되야 하며, 그 이유는 압출 과정에서 이들이 도료 시스템의 연속상과 철저히 혼합되어 이들이 비효과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첨가제를 포함하는 분체는 분체 도장시의 조직감 부여 효과에 일관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다른 후압출 조직감 부여 첨가제는 Troy사에 의해 시판되는 에스테르 개질 폴리에테르 제품인 Powdermate 508TEX이다. 그러나, 이 제품은 원래의 광택이 사용되는 제형에 따라 좌우되는 분체에 첨가되어야만 한다.
금속 효과 분체 도료의 생성은 통상적으로 분체 도료에 금속 안료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안료가 압출기 내에서 다른 구성 성분들과 함께 분체 도료 조성물내로 혼입되는 경우, 광택 효과는 압출기내에서 및 후속하는 미분 단계에서 생성되는 강한 전단력에 의해 파괴되기 쉽다. 그러나, 금속 플레이크 (flake)가 건식 혼합에 의해 단순하게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중에 점착성이 없는 금속 플레이크들이 분무 건 내에서 원치않는 전기 방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분체 내에 유리된 금속 안료의 존재는 또한 폭발 위험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는 기계적용융법(mechanofusion Process)에 의한 상업적 조작에 의해 극복되며, 상기한 방법에 의해 통상적인 분체 입자의 표면에 개개의 금속 안료 플레이크가 결합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 기술은 금속 또는 광택 상도의 특정한 분야 이 외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회피하면서도, 일련의 광택 저하 상도와 조직감있는 금속 상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심미감있는 상도 처리를 위한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을 가지며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한 조성물에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과 왁스 코팅(wax-coated) 실리카를 포함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성분이 건식 혼합(dry blending)에 의해 혼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의 75부피% 이하, 통상적으로는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한 조성물에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과 왁스 코팅(wax-coated) 실리카를 포함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성분이 건식 혼합(dry blending)에 의해 혼입된다.
외관 개질 첨가제의 예로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1) 광택 감소 첨가제
(2) 조직감 부여제
(3) 금속 또는 운모 안료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5) 제1 필름 형성 성분과 상용성이며 색상이 다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원한다면, 1종 또는 그 이상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이, 필름 비형성 첨가제 입자가 필름 형성 중합성 분체 물질에 결합된 결합 마스터뱃치(masterbatch)의 형태로 존재시킬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부피 백분율 d(v,x)는 언급된 입자 크기 d에서 입자 총 부피중 언급된 입자 크기 미만인 입자의 부피 퍼센트(x)를 지칭한다. 따라서, 예컨대, d(v,50)은 시료의 평균 입자 크기이며, 입자 크기 분포 그래프상에서 d(v,70)은 이 입자 크기 이하의 곡선 아래의 영역이 입자의 70부피% 를 나타내는 입자 크기축을 따라 읽은 곡선상의 위치이다. 따라서, d(v,70)=70 미크론은 입자의 70부피%가 70 미크론 미만(그러나 69 미크론 이하인 것은 아니다)을 나타낸다(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하여, 본 명세서 중에서 인용된 모든 입자 크기는 부피%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부피 백분율은 레이저 회절 기술, 예컨대 Malvern Mastersizer로 측정 가능하다.
(p1)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p2)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및/또는
(p3) 입자의 75% 이하, 통상적으로는 70%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물질이 전체 필름 형성 물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분체 도료 조성물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한 건식 혼합 첨가제로서 왁스 코팅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은 본 출원인에 의한 동시 계류중인 1998.7.3일자로 출원된 영국특허출원 9814519.6 및 국제 출원 PCT/GB99/ (대리인 케이스 번호 IP/A16/JAFFAII)에 기재되어 있다. 박막 도막의 제조를 위한 첨가제로서 알루미나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은 WO 94/11446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은 크기 50 미크론 이하, 특히 10 미크론 이하인 입자를 고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박막 도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특정한 입자 크기를 갖는 필름 형성 성분을 이용한다는 어떠한 기재도 없다. 더욱이, WO 94/11446은 무광택, 조직감 또는 금속성 상도(上塗) 또는 다른 심미적인 효과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수한 효과의 도막을 얻도록 광택 분체 도료 조성물에 각종 첨가제 성분을 도입할 수가 있다. 예컨대, 임의의 광택 수준을 갖는 금속성 외관 및 조직감(texture) 부여 상도를 얻기 위하여 금속 안료 및 광택 감소제 또는 조직감 부여제의 조합물을 동시에 혼입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배합안 (scheme)은 상이한 외관적 특성을 지닌 일련의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신속하고도 유연한 수단을 제공한다.
일련의 상이한 심미적 효과를 갖는 착색 분체 도료의 유연한 생산에 관한 다른 배합안이 EP 539385 A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배합안에 따르면, 무광택 또는 조직감 부여제 또는 다른 첨가제를 응집 기술에 의해 분체 도료 조성물내로 혼입시킬 수가 있으며, 이에 의해 다양한 입자화 성분들이 융합 또는 결합되어 복합 입자를 형성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심미적 첨가제가 조성물내로 건식 혼합될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분체 도료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분체 도료는 도료 시장에 있어서 급성장 분야를 형성하고 있다. 분체 도료는 일반적으로 분체 도료 입자가 스프레이 건에 의해 정전적으로 하전되고 기재(基材: substrate)는 접지되는 정전 분무법(electrostatic spray process)에 의해서 도포되는 고체 조성물이다. 스프레이 건 내에서의 분체의 하전은 전압의 인가 또는 마찰의 이용(마찰대전(tribo-charging))에 의해 일어난다. 도포된 조성물은 이어서 입자들이 용융되어 융합되도록 가열하여 도막을 경화시킨다. 기체에 점착되지 않은 분체 도료 조성물은 재사용을 위해 회수될 수 있어서, 분체 도료는 그 구성 성분들의 이용에 있어서 경제적이다. 또한, 분체 도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용제가 첨가되지 않으며, 특히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오염적이다.
일반적으로 분체 도료 조성물은 고체 필름 형성 수지, 통상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료와 같은 착색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능 첨가제 (performance additives)를 또한 포함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예컨대, 필름-형성 중합체 및 상응하는 경화제(그 자체가 다른 필름-형성 중합체일 수 있음)가 혼입된 열경화성계이다.
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압출기 내에서, 필름 형성 중합체(들)의 연화점 이상이나 심각한 사전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하에서, 구성 성분들(착색제 및 성능 첨가제를 포함)을 철저히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압출물은 통상적으로 평평한 시트 형상으로 롤에 의해 펴지고, 예컨대 그라인딩에 의해 원하는 입자 크기로 빻아진다("미분(微粉):micronising").
가장 상업적인 정전 분무 장치에서 요구되는 입자 크기 분포는 120 미크론 이하, 흔하게는 10에서 120 미크론 사이이며, 그 평균 입자 크기는 15에서 75 미크론 범위, 바람직하게는 25에서 50 미크론, 더욱 특별하게는 20에서 45 미크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식 혼합된 유동화 가능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한 혼합물은 하기의 미립자 성분들로 구성된다:
(I) (i) (a)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또는 입자의 75부피% 이하, 통상적으로는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 및,
(b) 하기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량 성분:
(1) 광택 감소 성분,
(2) 조직감 부여 성분,
(3)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성분,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또는
(5) 상기한 제1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과 상용성이며,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이하인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
또는
(ii)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또는 입자의 75부피% 이하, 통상적으로는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2종 또는 그 이상의 상용성인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 및, 선택적으로 소량 성분으로서의 상기한 (b)(1)에서 (b)(5)에 열거한 것중 1종 또는 그 이상의 성분,
(II) 소량 성분으로서, 왁스 코팅 실리카를 포함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다른 첨가제.
비록 왁스 코팅 실리카 단독을 가능한 다른 첨가제 성분으로서 의도하고는 있지만, 상기한 조성물은, 예컨대,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특히 알루미나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나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의 조합도 특별히 거론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는, 왁스 코팅 실리카는 상기한 혼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한 다른 첨가제는 왁스 코팅 실리카, 선택적으로는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왁스 코팅 실리카이거나,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함께 알루미나일 수 있다.
단일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또는 복수의 이들 물질 각각은 적어도 1종의 고체 필름 형성 수지를 포함하며 그에 필요한 임의의 경화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들)은 착색되어 있으며, 임의의 경화제가 더해진 이러한 착색제(들)(안료 및/또는 염료)는 필름 형성 수지(들)과 함께 압출되어 그로부터 형성된 입자들은 필름 형성 수지, 착색제 및, 적절한 경우, 경화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 I(i)(a) 및 I(ii)는 당연히 통상적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유동화 가능한 분체 도료 조성물이다. 예컨대, 이러한 성분(들)은 크기 분포가 120 또는 125 미크론 이하, 일반적으로는 10∼120 미크론의 범위(또는 10∼125 미크론)인 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및 100 미크론 사이이고, 통상적으로는 75부피% 이하, 특별하게는 70부피% 이하의 입자가 50미크론 미만이다. 평균 입자 크기는 15∼75 미크론의 범위내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60 미크론 이하, 통상적으로는 55 미크론 이하이며, 가장 흔하게는 50 미크론 이하이나, 특별하게는 적어도 20 미크론, 종종 적어도 35 미크론이다. 가장 흔하게는 분체가 60∼120 미크론의 범위인 d(v,99)이다. 가장 흔하게는, 평균이 25∼50 미크론의 범위이고, 45 미크론 이하의 평균이 특히 거론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평균은 35∼45 미크론의 범위이다; 상응하는 d(v,99) 범위는 80∼100 미크론이며, d(v,50)값은 45 미크론 이하이고, 40 미크론 이하, 예컨대, 25∼30 미크론의 범위이며, 30∼40 미크론도 관심의 대상이다; 상응하는 d(v,99) 범위는 각각 60∼80 미크론과 80∼120 미크론이다. 이러한 분체는, 예컨대, 각각 12% 미만 및 10 미크론 아래의 8% 미만일 수 있다. d(v,95)값은, 예컨대, 60∼120 미크론의 범위이다.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형성 물질의 입자 크기는 수 많은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입자 크기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d(v,50)을 사용하거나, 또는 예컨대, d(v,50) 및 d(v,99)의 조합, 또는 그 자체 d(v,99)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들) I(i)(a) 및 선택적으로 I(ii)는 d(v,70) 및/또는 d(v,20)값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성분 I(i)(a) 및 I(ii)는 바람직한 평균 d(v,70)값이 30 미크론, 더욱 특별하게는 40 미크론, 바람직한 평균 d(v,70)값이 60 미크론인 d(v,70)값이 25∼70 미크론의 범위인 분체를 포함한다. d(v,20)값은, 바람직한 평균 d(v,20)값이 15 미크론, 바람직한 평균 d(v,20)값이 25 미크론인, 예컨대 8∼30 미크론, 예컨대 10∼30 미크론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분체 각각은 개개의 입자들로 이루어지나, 통상적인 입자 크기 미만의 2종 또는 그 이상의 분체들의 융합 또는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 입자들도 가능하다. 이러한 생성물은 EP 372860 A 및 EP 539385 A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원한다면, 상기한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의 외관 개질 첨가제가 필름 형성 중합체에 융합 또는 결합되어 EP 539385 A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합 입자를 형성하는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성분들을 2종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입자가, 바람직하게는 미착색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융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마스터뱃치"는 조성물의 나머지 성분들과 건식 혼합된다. 결합 응집체에 사용되는 필름 형성 물질은, 예컨대, 성분 I(i)(a) 및 I(ii)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입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예컨대, 감소된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관 개질 첨가제에의 결합에 사용되는 필름 형성 물질은, 15∼50 미크론의 범위(예컨대 20∼50 미크론)의 범위인 d(v,50) 또는 20∼70 미크론의 범위(예컨대 20∼50 미크론)의 범위인 d(v,70)을 갖는다; d(v,20)의 수는, 예컨대, 5∼30 미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50 미크론 미만인 입자가 100부피%까지일 수 있다. 마스터뱃치는, 예컨대,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그리고 특별하게는 60∼120 미크론 범위의 d(v,99)를 갖거나, 또는 입자 크기가, 예컨대,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또는 50 미크론 미만인 입자가 75부피% 이하, 통상적으로는 70부피% 이하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뱃치 내의 중합체 물질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은, 예컨대, 더욱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갖는 상이한 입자 크기의 마스터뱃치 분체도 거론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분체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2종 또는 그 이상이 융합 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이어서 이 분체는 조성물의 나머지 성분들과 건식 혼합된다.
본 발명은 특히 하기의 미립자 성분, 즉
a) (p1)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및 60∼120 미크론 범위의 d(v,99)를 갖거나, 또는
(p2)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및 8∼30 미크론 범위의 d(v,20)을 갖거나,
또는
(p3) 50 미크론 미만인 입자가 75부피% 이하, 통상적으로는 70부피% 이하인 적어도 1종의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및
b) 1) 광택 감소 첨가제 성분,
2) 조직감 부여 첨가제 성분,
3) 미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될 수 있는, 1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20∼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금속 또는 운모 안료,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성분, 또는
5) 제1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과 상용성이며,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이하인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
6) 상기한 필름 형성 성분(a)와 상용성이며 그와는 다른 색상이고 위에서 정의된 입자 크기 p1, p2, 또는 p3를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 및
c)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알루미나,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왁스 코팅 실리카,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 첨가제의
건식 혼합 혼합물로 구성되며:
여기서 성분(a) 및 선택적 성분(b6)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과 선택적 성분(b3)에 있어서의 금속 또는 운모 안료에 결합되며 상기한 기준 (p1), (p2) 또는 (p3)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은 함께 조성물의 주요 중량 부분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이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가지며 및/또는 입자의 75부피% 이하, 통상적으로는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이고, 개개의 성분으로서 건식 혼합되어 존재하던지 또는 결합 마스터뱃치 내에 존재하던지 간에 모든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바람직하게는 또한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60중량%, 특히 적어도 70중량% 및, 흔하게는 적어도 80중량%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조성물이 이러한 특정된 입자 크기의 착색 필름 형성 물질의 적어도 60중량%, 특히 적어도 70중량%, 흔하게는 적어도 80중량%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기(선택적으로 성분(b1)에서 (b5)의 1종 또는 그 이상을 가짐)의 2종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하게 착색된 상용성인 필름 형성 성분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최종 도막에 혼합 색상(스펙클:speckled)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얻어진다.
외관 개질 성분들의 조합이 특별한 관심의 대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조성물은 성분(b3)가 종종 마스터뱃치의 형태로 된 성분(b1), (b2) 및 (b3)중 임의의 2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최종 도막에 무광택 조직감 부여 상도(성분(b1)+(b2)), 무광택 금속성 상도(성분(b1)+(b3)) 또는 고풍스러운(antique) 상도(성분(b2)+(b3))가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유용한 조합은 성분(b2)와 안료 성분(b4)이며, 최종 도막에 대조적인 조직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수 많은 상이한 상도에 있어서의 분체 도료 제조용 분체 도료 조성물 내로 건식 혼합되는 하기한 별도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키트(kit)를 제공한다:
ㆍ(1) 광택 감소제,
(2) 조직감 부여제,
(3)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성분 및,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성분 및,
(5) 20 미크론 이하의 d(v,90)을 갖는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과;
ㆍ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왁스 코팅 실리카,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 즉,
(i)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ii) 알루미나와 왁스 코팅 실리카
(iii)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왁스 코팅 실리카
(iv)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왁스 코팅 실리카, 또는
(v) 왁스 코팅 실리카,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키트가 성분 (1), (2) 및 (3)과, 또한 선택적으로 (4) 및 (5)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모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성분의 입자 크기는 비록 1종 또는 그 이상의 성분들이 분체 형태로 밀링되는 경우 예컨대 분체 도료 칩 물질과 함께 사용전에 분쇄될 수 있기는 하지만 분체 도료 조성물에 도입될 때 유동화 가능한 정도이다.
본 발명의 키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업자는 상도 광택성 분체 도료 조성물로부터 또는 그 전구체 칩 물질로부터, 또는 제한된 수의 다른 성분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조성물/물질의 조합으로부터 다양한 상도 도료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적절한 경우, 상기한 키트 중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은 선택적으로 결합 마스터뱃치(즉, 비필름 형성 첨가제가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되어 있다)의 형태이며 및/또는 상기한 키트가 원한다면 비필름 형성 외관 개질 첨가제와의 결합을 위한 15∼50 미크론 범위의 d(v,50), 20∼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비착색 중합체 필름 형성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한 키트는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ㆍ금속 또는 운모 안료 및
ㆍ그와의 선택적 결합을 위한 비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 또는 사전 결합된 금속 또는 운모 마스터뱃치.
이것은, 예컨대, 상도 분체 도료 조성물 내로 운모, 결합 운모 또는 운모와 비착색 중합체 성분을 도입시킬 수 있는 선택적 가능성을 부여하며, 결과의 상도에 있어서 상이한 효과를 달성 가능케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 수준 및 제조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고객에 대해서는 매우 신속하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분체 도료 조성물을 요구에 따라 소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들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주요 필름 형성체와는 다른 겔화 시간을 가지며 그와 초기 상용성인 필름 형성체를 사용하여 광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성분 (a))에 대해서는, 다른 겔화 시간을 가지며 다른 가능성을 갖는 것과 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전형적으로는, 이소페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a))와 경화되는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시스템에 대해서는, 다른 겔화 시간을 가지며 라디칼적으로 다른 가능성을 갖는 것과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예컨대, 기능성 7의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를 기능성 2인 것에 첨가한 것)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광택 감소 첨가제(b1)로서 중합체 필름 형성 물질 (a)와 그 자체 비상용성인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외관 개질 첨가제로서 아크릴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광택 감소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착색 또는, 예컨대, 제1 성분과 동일한 색상인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수 많은 다른 색상과 건식 혼합하기에 적당한 색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의 광택 감소 첨가제는 일련의 적색 광택성 도료 조성물과 건식 혼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백색의 광택 감소 첨가제는 일련의 남색 광택성 도료 조성물과 건식 혼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필름 형성 성분이 폴리에스테르이며 광택 감소제가 고기능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비착색 분체 도료 조성물이고, 상기한 조성물은 미분체로 밀링된다. 이 필름 형성 성분량을 증가시키면 비착색 분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종래의 광택 감소법에 비하여 광택 감소 정도가 커지게 되며, 착색 분체의 광택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광택 감소제의 백분율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광택 감소제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30중량% 이하의 양,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더욱 특별하게는 적어도 90부피%가 <10 미크론이고, 바람직한 평균 입자 크기가 1.5∼12 미크론의 범위, 예컨대 3∼5 미크론 또는 8∼12 미크론인 광택 감소제가 거론되어야 한다. <90부피%가 <20 미크론인 광택 감소제도 사용될 수 있다. 광택 감소제 (b1)는, 90부피%가 <50 미크론, 예컨대 90부피%가 <40 미크론인 입자 크기를 갖고 평균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5∼25 미크론, 예컨대 8∼23 미크론의 범위, 예컨대 실질적으로 18 미크론인 것이 유리하다. 착색 분체 도료의 광택성을 90 광택 유니트의 전통적인 완전 광택성으로부터 70 광택 유니트(공단 상도) 또는 20 광택 유니트(무광택 상도)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감소된 크기의 폴리에스테르 첨가제를 예컨대 15% 이하, 예컨대 5∼15% 사이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분체 도료를 개질시키기 위하여 미분체 도료를 사용하는 것은 그 도포 특성을 개질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 큰 크기의 입자와 함께 미세 분체는 도포 설비를 통하여 스피팅(spitting) 및 서징(surging)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부 양극 대전은 광택성 변화가 도장품 상에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체 조성물은 운송 및 분무 후에 있어서 조차 균질한 제품을 산출한다.
원한다면, 필름-형성 광택성-감소 첨가제는 다른 외관 개질 첨가제와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복합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종래의 조직감 부여제가 건식 혼합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필름 비형성 중합체 PTFE 및, CAB 또는 다른 적절한 필름 형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Troy사에 의해 제조되는 에스테르 개질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조직감 부여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공지의 건식 혼합 조직감 부여 첨가제이다.
조직감 부여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른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알루미늄 및 수 많은 다른 금속 및 합금,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구리, 주석, 황동 및 놋쇠가 '광휘(luster)' 또는 '매혹(glamour)' 상도로 지칭되는 것, 또는 '플롭(flop)', 다색성 및, 스파클(sparkle) 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플롭'은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필름 내의 플레이크 배향성에 직접 관련된다). 운모 안료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또는 철(III) 옥사이드로 코팅된 천연 광물 운모의 박판체이다.
금속 또는 운모 안료는,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원한다면, 금속 또는 운모 안료는, 예컨대, EP 539 385 A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체에,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융합(mechanofusion)에 의해서 융합 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이어서 분체 성분 a) 및 c)(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한 (b)에 열거된 다른 성분들)와 건식 혼합에 의해 혼입되어, 특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예컨대, 광휘 또는 금속성 스파클 효과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없다). 마스터뱃치 내에 혼입되는 필름 형성 물질은 미착색인 것이 종종 편리하다. 결합 "마스터뱃치"는 운모 또는 금속 안료를 2∼40중량%, 예컨대 약 25중량% 함유하며, 운모 또는 금속 안료가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다. 이 방법은 결합에 대한 종래의 관행, 예컨대, 금속 안료를 표준 분체 전체 뱃치에 대하여 3%로 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상기한 조성물은 또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착색 안료(b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직감 부여 첨가제와 함께 안료를 도입하는 것은 대조적인 조직감을 갖는 상도를 산출한다.
안료는, 예컨대, 안료 마스터뱃치의 형태일 수 있다. 그 자체가 필름 비형성성인 중합체 물질 중에 매우 고농도로 미리 분산시킨 안료로 구성되는 안료 마스터뱃치는 일반적으로 칩 또는 분체 형태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기재에 도포되어 가열되는 경우, 이러한 중합체는 용융되어 기재상에 젖어 번져나갈 수 있으나 (wet out), 마스터뱃치는 필름 형성체로 제형화되지 않으며 어떠한 경화제도 포함하지 않는다.
제1 필름 형성 성분(a)와 상용성이며 그와 색상이 상이한 필름 형성 성분도 조성물 내로 건식 혼합될 수 있다. 제1 필름 형성 성분(a)은 착색되며 임의의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은 선택적으로 미착색될 수 있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상이하게 착색된다.
이러한 성분은, 예컨대, 통상적인 분체 도료 조성물일 수 있다. 필름 형성 성분(a)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은 입자 크기를 가지며 성분(a)와는 색상이 다른 1종 또는 그 이상의 필름 형성 성분(b6)을 사용하면 스펙클 상도가 얻어지며, 그 결과는 필름 형성 성분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변화된다. 성분(a) 및, 존재한다면, (b6)는 조성물 중량의 적어도 60%가 바람직하며, 특별하게는 적어도 70%, 흔하게는 적어도 80%이다.
안료 성분(b4) 또는 제1 필름 형성 성분(a)와 상용성인 추가의 필름 형성 성분(b5)은, 예컨대, 미착색 분체 도료 조성물(a)의 색조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특히 추가적인 성분이 필름 형성 성분(a)의 색조와 유사한 것이라면, 그 조성물의 색상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이 추가적인 성분의 양 및 입자 크기가 충분히 작은 것이라면, 최종 상도에 있어서의 상이하게 착색된 입자로부터 나타나는 색상 차이는 육안으로 식별 불가하며 시각적으로 균질한 도막이 결과로서 얻어질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상기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로 첨가된다; 상기한 성분은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크론 미만인 입자 크기 및, 1.5∼12 미크론 범위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여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제품 적용 융통성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필름 비형성 외관 개질 첨가제(별개의 미립자 성분으로서 존재하거나 결합 마스터뱃치 분체 성분중에 존재)는, 예컨대, 조직감 부여제(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5중량% 또는 그 이상), 금속 또는 운모 안료(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1중량% 또는 그 이상) 및/또는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01중량%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필름 형성 외관 개질 첨가제(별개의 미립자 성분으로서 존재하거나 결합 마스터뱃치 분체 성분중에 존재)는, 예컨대, 광택-감소 필름-형성 첨가제(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5중량% 또는 그 이상) 및/또는 필름 형성 성분(a)와 상용성인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01중량%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추가적인 미립자 성분(c)로서는 하기한 조합을 언급하여야 한다:
i)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ii) 알루미나와 왁스 코팅 실리카
iii)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왁스 코팅 실리카, 또는
iv)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왁스 코팅 실리카
v) 왁스 코팅 실리카.
조합 (i),(ii) 및 (iii)은 특히 언급되어야 한다.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사전 혼합된 알루미나,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왁스 코팅 실리카의 조합은 특히 양호한 결과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실리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코팅(coating)"이란 용어는 다공성 실리카 물질의 함침(impregnation)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코팅 실리카(coated silica)"라는 표현은 이와 같이 이해되어져야만 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실리카"라는 용어는 열분해 및, 바람직하게는, 침전 실리카 또는 실리카겔을 만드는 습식법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과, 그 이외에 원칙상 혼합 금속-규소 산화물 및, 예컨대 규조토와 같은 천연 물질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실리카는 일반적으로 무정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실리카"라는 용어는 규산(silicic acid) 물질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규산염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물질은 미분(微粉) 실리카겔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왁스"라는 용어는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i) 천연 동물 왁스(예컨대, 밀랍, 라놀린);
ii) 천연 식물 왁스(예컨대, 카르나우바 왁스);
iii)천연 석유 왁스(예컨대, 파라핀 왁스, 미정질(microcrystalline) 왁스);
iv) 합성 왁스(예컨대, 에틸렌성 중합체 및 폴리올 에테르-에스테르류).
석유 왁스 이외의 광물 왁스도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왁스의 중요한 기는 장쇄 지방산(전형적으로 C16및 그 이상)과 장쇄 지방족 알코올(전형적으로 C16및 그 이상)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스테르 및 산은 바람직하게는 장쇄 화합물이며, 포함 또는 불포화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산의 예로서는 스테아린산, 팔미트산 및 올레인산과 이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쇄 지방족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왁스로서는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쇄 산 에스테르류 외에,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염류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바락직한 왁스 물질은 분체 도료 조성물의 중합체 성분(들)과 양호한 상용성, 즉 심각한 상 분리 없이 상기한 중합체들과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는 물질이다. 몇몇 왁스 물질(예컨대, 할로겐화 왁스류)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견지에서 분체 도료 중합체(들)와 상용성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물질들의 사용은 상도 도막의 표면 외관에 결함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의 사용에 적합한 왁스 코팅 실리카로서는, 예컨대, Crosfield사 제의 GASIL 937(미정질 파라핀 왁스로 코팅된 실리카겔) 및 Degussa사 제의 OK 607(단쇄 [C6] 포화 아민 또는 알킬 암모늄 성분도 포함하는 코팅을 갖는 유사물)과 같은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물질을 들 수 있다.
실리카 물질의 코팅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컨대, 실리카와 고체 왁스 물질의 공동-밀링, 또는 적당한 용매 중에 용해시킨 왁스 물질에 실리카 물질을 혼합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리카 상에 코팅되는 왁스의 양은, 예컨대, 실리카 전 중량에 대하여 2∼1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왁스 코팅 실리카에 관한 더 이상의 정보는 미합중국 특허 제3 607 337호 및 제3 816 154호와 WO 97/08250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왁스 코팅 실리카 외에, 본 발명의 분체 도료 조성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건식 혼합하여 혼입시킬 수도 있다.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외에 또는 그 대신에 알루미늄 옥시하이드록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의 단독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임의의 주요 구조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α-Al2O3강옥
α-Al(OH)3베이어라이트
γ-Al2O3
γ-Al(OH)3집사이트
바람직한 것은 γ-구조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체 도료 조성물에 혼입되는 추가 성분(c)의 전체 함량은 대체적으로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5중량% 이하이고,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0.002중량%, 통상적으로는 적어도 0.05중량%, 예컨대 0.1∼5중량%의 범위이며, 유리하게는 2중량% 이하, 특히 1.5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중량%이며, 가장 특별하게는 0.3∼1.0중량%이다. 별도의 성분(들)으로서 존재하며 (외관 개질 첨가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마스터뱃치 성분(들)에 결합되는 필름 비형성 물질의 전체 함량이 10중량% 이하인 조성물을 특별히 언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분체 도료 조성물 중에 혼입되는 왁스 코팅 실리카의 비율은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002∼2.0중량%의 범위이며, 유리하게는 0.02∼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4∼1.0중량%, 더욱 특별하게는 적어도 0.2중량%, 특별하게는 0.3∼0.7중량%, 예컨대, 0.3∼0.5중량%이다.
건식 혼합 첨가제 중의 1종이 알루미나인 경우에 있어서는, 혼입되는 알루미나의 비율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0.01중량%이며, 유리하게는 적어도 0.02중량%이고, 일반적으로는 0.2∼0.4중량%의 범위이다. 정전 현상에 대한 상대적으로 강한 효과 때문에, 알루미나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1.0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전형적으로, 상기한 성분이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인 경우에 있어서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의 함량은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3%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는 1%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알루미나 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의 비율이 90:10∼10:90, 예컨대 12:88∼45:55인 것이 특히 거론되어야 한다.
분체 도료 조성물이 왁스 코팅 실리카 및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건식 혼합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경우, 실리카 대 알루미늄 옥사이드의 상대적 비율은 일반적으로 99:1∼1:99, 유리하게는 80:20∼20:80, 바람직하게는 70:30∼30:70, 예컨대 50:50일 수 있다.
건식 혼합 첨가제가 왁스 코팅 실리카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실리카 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의 상대적 비율은 일반적으로 99:1∼30:70, 유리하게는 90:10∼40:60, 바람직하게는 80:20∼50:50, 예컨대 65:35일 수 있다.
건식 혼합 첨가제가 왁스 코팅 실리카 및 알루미늄 옥사이드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첨가제의 상대적 비율은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을 수 있다.
SiO2Al2O3Al(OH)3
1∼98% 1∼98% 1∼70%
유리하게는 5∼50% 10∼90% 1∼60%
바람직하게는 10∼30% 20∼85% 1∼55%
각각의 건식 혼합된 첨가제(c)는 일반적으로 미분된 형태이며 입자 크기는 5 미크론 이하,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심지어 10 미크론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입자 크기가 2 미크론 이하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1 미크론 이하이다.
성분(c)가 2종 또는 그 이상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과 건식 혼합시키기 전에, 적어도 상기한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고전단(high-shear) 기술에 의하여 철저하고도 균질하게 사전 혼합시키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다. 성분(c)가 왁스 코팅 실리카를 포함하며 그 물질이 별도로 건식 혼합에 의해 혼입되는 경우도 거론되어져야만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도료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의 필름 형성 수지를 포함하는 단일의 필름 형성 분체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성분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성분이 필름 형성 물질이 필름 비형성 물질에 결합된 마스터뱃치의 형태일 수 있다.
필름 형성 수지(중합체)는 안료를 습윤(wetting)시키고 안료 입자들 사이에 응집력을 제공하는 능력과 기재에 습윤 또는 결합시키는 능력을 갖는 결합제로서 작용하며, 기재에의 도포후 균질한 필름을 형성시키기 위한 경화/스토빙 공정 중에 용융되어 유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필름 형성 분체 도료 성분 또는 성분들 각각은 일반적으로 열경화성계(thermosetting system)일 것이나, 원칙상 열가소성계 (thermoplastic system: 예컨대, 폴리아미드계)도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고체 중합체 결합제계는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수지에 대한 고체 경화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는 2종의 공반응성 필름 형성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분체 도료 조성물의 필름 형성 성분의 제조시 사용되는 필름-형성 중합체는 카복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류, 하이드록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류, 에폭시 수지류 및, 기능성 아크릴 수지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한 조성물의 필름 형성 성분은, 예컨대, 폴리에폭사이드 경화제와 함께 사용되는 카복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필름-형성 수지를 포함하는 고체상 중합체 결합제계(solid polymeric binder system)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카복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계는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체 도료 물질이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10∼100 범위의 산가, 1,500∼10,000 범위의 수평균 분자량 Mn 및, 30℃∼8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의 유리 전이 온도 Tg를 갖는다. 폴리에폭사이드는, 예컨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TGIC)와 같은 저분자량 에폭시 화합물, 디글리시딜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테레프탈레이트 축합 글리시딜 에테르와 같은 화합물 또는 광-안정성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카복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형성 수지는, 선택적으로, 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에틸) 아디프아미드와 같은 비스(베타-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이드록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기능성 경화제 또는, 예컨대, 멜라민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또는 글리콜 우랄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같은 아민-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 예컨대, 시아나미드(Cyanamid)사에 의해 제공되는 "Powderlink 1174" 물질, 또는 헥사하이드록시메틸 멜라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예컨대, 유렛 디이오네 타입과 같이 내부적으로 블록화되거나, 또는 카프롤락탐-블록 타입, 예컨대, 이소페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서는, 에폭시 수지가, 예컨대, 디시안디아미드와 같은 아민-기능성 경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에 대한 아민-기능성 경화제 대신에, 페놀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과잉량의 비스페놀 A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물질(말하자면, 비스페놀 A와 에폭시 수지의 부가 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폴리페놀)이 사용될 수 있다. 기능성 아크릴 수지, 예컨대, 카복시-, 하이드록시- 또는 에폭시-기능성 수지가 적당한 경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필름 형성 중합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카복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가 카복시-기능성 아크릴 수지 및 전술한 양 중합체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비스(베타-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와 같은 경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는, 혼합 결합제계에 대해서, 카복시-, 하이드록시- 또는 에폭시-기능성 아크릴 수지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카복시- 또는 하이드록시-기능성)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조합물은 공동 경화(co-curing)를 위해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폭시 수지와 공동 경화되는 카복시-기능성 아크릴 수지, 또는 글리시딜-기능성 아크릴 수지와 공동 경화되는 카복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통상적으로는, 이러한 혼합 결합제계는 단일 결합제로 경화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예컨대, 하이드록시-기능성 아크릴 수지 및 하이드록시-기능성 폴리에스테르를 경화시키기 위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 다른 바람직한 제형화로서는, 2종의 중합체 결합제 혼합물의 각각의 결합제에 대한 상이한 경화제 사용을 들 수 있다(예컨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경화 하이드록시 기능성 아크릴 수지와 연합 사용되는 아민-경화 에폭시 수지).
언급할 수 있는 다른 필름-형성 중합체로서는, 각각 하이드록시-기능성 또는 카복시-기능성일 수 있는, 기능성 플루오로중합체, 기능성 플루오로클로로중합체 및 기능성 플루오로아크릴 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일 필름-형성 중합체로서 또는 기능성 중합체에 대한 적절한 경화제와 함께, 1종 또는 그 이상의 기능성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에폭시 수지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다른 경화제로서는, 에폭시 페놀 노볼락 및 에폭시 크레졸 노볼락; 메틸 에틸 케트옥심으로 블록화된 이소페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아세톤 옥심으로 블록화된 테트라메틸렌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에틸 케트옥심으로 블록화된 데스모듀르 W(Desmodur W :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몬산토(Monsanto)사에 의해 제공되는 "Santolink LSE 120"과 같은 광-안정성 에폭시 수지; 및 다이셀(Daicel)사에 의해 제공되는 "EHPE-3150"과 같은 알리사이클 폴리에폭사이드를 들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안료의 예로서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화이트, 적색 및 황색 아이런 옥사이드, 크롬 안료 및 카본 블랙과 같은 무기 안료 및, 예컨대, 프탈로시아닌, 아조, 안트라퀴논, 티오인디고, 이소디벤즈안트론, 트리펜디옥산 및 퀴나크리돈 염료, 건염 염료 안료 및, 산성, 염기성 및 매염성 염료 안료와 같은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염료는 안료 대신에 또는 안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료 조성물중 각각의 착색 필름 형성 성분은 단일 착색제(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무엇보다도 불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1종 또는 그 이상의 익스텐더(extender)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더욱 일반적으로는 희석제로서 사용된다.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예컨대, (a) 또는 (b6))의 전체 안료/충진제/익스텐더 함량은 하기한 범위이어야 한다: 0중량%∼55중량%, 0중량%∼50중량%, 10중량%∼50중량%, 0중량%∼45중량%, 및 25중량%∼45중량%. 전체 안료/충진제/익스텐더 함량 중에서, 안료 함량은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의 ≤4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어두운 색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10중량% 미만의 안료 함량에서 불투명하게 될 수 있기는 하나, 통상적으로는 25∼30%의 안료 함량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분체 도료 조성물은 1종 또는 그 이상의 성능 첨가제, 예컨대, 유동성 개선제, 가소제, UV 분해에 대한 안정화제와 같은 안정화제, 벤조인과 같은 기포 생성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분체 도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표준 첨가제이다.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의 전체 성능 첨가제 함량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은 범위가 사용되어야 한다: 0중량%∼5중량%, 0중량%∼3중량% 및, 1중량%∼2중량%.
일반적으로, 이들 착색제 및 성능 첨가제는, 건식 혼합에 의해서가 아니라, 압출 또는 다른 균질화 과정 전 및/또는 중에 필름 형성 물질내로 혼입되어야 한다. 필름 형성 성분(들)은 종래의 용융 압출 및 다른 미분화 공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EP 539 385 A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융 또는 결합 방법이 후속된다. 따라서, 예컨대, 2종 또는 그 이상의 별개의 분체들이 압출 및 미분화 에 의해 형성되며, 이어서 복합 입자로 융합 또는 결합된다. 다른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외관 개질 첨가제(b)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 비형성 첨가제에의 융합 또는 결합에 이어서 용융 압출 및 미분화가 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 성분들(성분 (b) 및 (c))은 임의의 유용한 건식 혼합법, 예컨대,
(a) 칩과 함께 첨가제(들)을 밀 내로 동시에 도입하는 주입법;
(b) 밀링후 시빙(sieving) 단계에서의 도입법; 및
(c) "텀블러(tumber)" 또는 다른 적당한 혼합 장치 중에서의 후제조(post-production) 혼합법에 의하여 분체 도료 조성물 중에 혼입될 수 있다.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성분 (a) 및 (b)를 함께 혼합한 다음, 성분 (c)를 혼합기로부터 토출시키기 전에 첨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종래의 용융 압출 단계에서 일련의 기본적인 착색 분체 도료 조성물이 생성되며, 따라서 광범위한 범위의 상이한 상도 도료가 단순한 혼합 단계에 의해서 요구에 따라 용이하게 생성될 수가 있으므로, 소량 생산이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된다.
광택 감소 성분은, 예컨대, 미리 제조된 미분 입자 크기의 미착색 도료 조성물이거나 또는 사용 직전에 크기를 감소시키는 통상적인 크기의 것일 수 있다. 어떤 특정한 유형의 필름 형성 화학물(예컨대, 산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하이드록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상기한 키트가 그 화학물로 된 종래의 모든 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해 적합한 "보편적인(universal)" 광택 감소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외관 개질 첨가제는, 예컨대,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첨가제이거나 또는 상기한 금속 또는 운모 마스터뱃치의 경우에 잇어서와 같은 결합 방법에 의하여 그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도료 조성물은, 원칙상, 분체 도장 기술에 있어서의 임의의 적당한 방법, 예컨대, 정전 분무 도장법, 또는 유동층 또는 정전 유동층법에 의해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분체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한 후에는, 결과의 점착 입자들을 연속적인 도막으로의 변환(적절한 경우, 도포된 조성물의 경화를 포함)은 열처리 및/또는 방사 에너지, 현저하게는 적외선, 자외선 또는 전자빔 방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비록 몇몇 수지, 특히 에폭시 수지류에 대해서는 90℃ 미만의 온도가 사용되지만, 통상적으로 150∼220℃ 범위의 온도에서 통상적으로 5∼30분 동안 열을 가하는것에 의하여 분체는 기재 상에서 경화된다(스토빙법); 분체 입자들은 용융되어 유동하여 필름을 형성한다. 경화 시간 및 온도는 사용되는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상호 의존적이며, 그 전형적인 범위는 하기와 같이 언급할 수 있다:
온도/℃ 시간
280∼100*10초∼40분
250∼150 15초∼30분
220∼160 5분∼20분
*90℃로 감온된 온도가 몇몇 수지류, 특히 특정한 에폭시 수지류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 상에의 도막 형성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예컨대 정전 분무 도장 방법에 의해서 기재 상에 도포하고, 도포된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켜 입자들을 융합시켜서 도막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막(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두께일 수 있다. 장식적 상도용으로서는, 20 미크론 정도의 얇은 도막 두께가 필요하나, 25∼120 미크론 범위 내의 필름 두께가 더욱 통상적이며, 어떤 용도에 있어서는 30∼80 미크론 범위가 일상적이고, 다른 용도에 있어서는 60∼120 미크론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20 미크론 범위인 한편, 필름 두께 80∼150 미크론의 도막 두께는 덜 통상적이나 드문 것은 아니다.
지지층은 금속, 열 안정성 플라스틱 소재, 목재, 유리, 또는 섬유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금속 기재를 조성물 도포에 앞서 화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세정하며, 화학적 전처리, 예컨대, 인산철, 인산 아연 또는 크롬산염으로 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이외의 기재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도포에 앞서 가열하거나, 또는 정전 분무 도장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로 전처리한다.
하기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알루미늄 옥사이드는 Deussa사 제의 알루미늄 옥사이드 C였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0.2 미크론이었다; 사용된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는 Omya Croxton & Garry사 제의 Martinal OL 103C였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0.8 미크론이었다. 사용된 왁스 코팅 실리카는 Crosfield사 제의 Gasil 937이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6.5 미크론이었다(미정질 파라핀 왁스로 코팅된 미분 실리카겔).
실시예에 보고된 입자 크기 분포 데이타는 Marvern Instruments로부터의 Mastersizer X 레이저광-산란 장치를 사용하여 얻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개개의 성분들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프탈로시아닌 남색 안료 18g
흑색 철 옥사이드 안료 8g
티타늄 디옥사이드 17g
충진재(바륨 설페이트) 100g
충진재(칼슘 카보네이트) 200g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618g
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즉, EMS Grilon사 제의 PRIMID) 23g
아크릴 유동성 개질제 8g
벤조인 4g
폴리에틸렌 왁스 4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20 미크론, d(v,50)=38 미크론, d(v,70)=52 미크론, d(v,95)=79 미크론, d(v,99)=94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8%가 50 미크론 미만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백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티타늄 디옥사이드 300g
충진재(바륨 설페이트) 100g
충진재(칼슘 카보네이트) 70g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756g
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 28g
아크릴 유동성 개질제 8g
벤조인 4g
폴리에틸렌 왁스 4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22 미크론, d(v,50)=40 미크론, d(v,70)=52 미크론, d(v,95)=78 미크론, d(v,99)=99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4%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황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티타늄 디옥사이드 164g
황색 철 옥사이드 안료 7g
황색 퀴노프탈론 안료 29g
충진재(칼슘 카보네이트) 140g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621g
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 23g
아크릴 유동성 개질제 8g
벤조인 4g
폴리에틸렌 왁스 4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20 미크론, d(v,50)=40 미크론, d(v,70)=51 미크론, d(v,95)=82 미크론, d(v,99)=102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3%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회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카본 블랙 안료 9g
티타늄 디옥사이드 76g
황색 철 옥사이드 안료 15g
충진재(바륨 설페이트) 210g
충진재(칼슘 카보네이트) 100g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561g
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 21g
벤조인 4g
폴리에틸렌 왁스 4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19 미크론, d(v,50)=40 미크론, d(v,70)=51 미크론, d(v,95)=80 미크론, d(v,99)=97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7%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갈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카본 블랙 안료 3g
티타늄 디옥사이드 4g
황색 철 옥사이드 안료 44g
적색 철 옥사이드 안료 9g
충진재(바륨 설페이트) 170g
충진재(칼슘 카보네이트) 120g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619g
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 23g
벤조인 4g
폴리에틸렌 왁스 4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22 미크론, d(v,50)=42 미크론, d(v,70)=52 미크론, d(v,95)=84 미크론, d(v,99)=106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2%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맑은(clear)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920g
TGIC 경화제 60g
아미드 개질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유동 보조제 13g
페놀 항산화제 6g
벤조인 1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19 미크론, d(v,50)=40 미크론, d(v,70)=50 미크론, d(v,95)=80 미크론, d(v,99)=97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8%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적색 폴리에스테르/에폭시 혼성 광택계 조성물
티타늄 디옥사이드 10g
보나릴아미드 적색 안료 68g
충진재(바륨 설페이트) 52g
충진재(칼슘 카보네이트) 52g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34mg KOHg-1) 605g
에폭시 수지 경화제(EEW=610g/mol) 247g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촉매 2g
아크릴 유동성 개질제 10g
벤조인 3g
폴리에틸렌 왁스 3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1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20 미크론, d(v,50)=40 미크론, d(v,70)=52 미크론, d(v,95)=81 미크론, d(v,99)=98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8%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백색 에폭시 광택계 조성물
티타늄 디옥사이드 295g
에폭시-기능성 중합체(EEW=530g/mol) 657g
디시안디아미드 교차결합제 32g
아미노 페놀 촉매 4g
아크릴 유동성 개질제 10g
벤조인 2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1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20 미크론, d(v,50)=39 미크론, d(v,70)=52 미크론, d(v,95)=80 미크론, d(v,99)=96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6%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남색 폴리에스테르 착색료 첨가제 조성물
상기한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을 더욱 밀링하고 시빙하여 d(v,50)=5 미크론, d(v,90)=12 미크론, d(v,99)=13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분체를 생성시켰다.
백색 폴리에스테르 착색료 첨가제 조성물
상기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을 더욱 밀링하고 시빙하여 d(v,50)=5 미크론, d(v,90)=12 미크론, d(v,99)=13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분체를 생성시켰다.
응집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
동등한 비율의 상기한 남색 및 백색 폴리에스테르 착색료 첨가제 조성물 상기한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조성물을 54℃의 온도로 유지된 자켓이 설치된 Henschel FM10 혼합기에서 총 10분 동안 함께 혼합하였다. 응집된 분체를 시빙하여 d(v,20)=10 미크론, d(v,50)=16 미크론, d(v,70)=25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분체를 생성시켰다.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조성물 1
카복시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수지(AV=80mg KOHg-1) 575g
하이드록시알킬아미드 경화제 65g
페놀 항산화제 2g
벤조인 4g
아크릴 유동성 개질제 16g
충진재(바륨 설페이트) 325g
아미드 개질 카스토 오일 왁스 레올로지제(Rheological Agent) 10g
폴리에틸렌 왁스 2g
구성분들을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5 미크론, d(v,50)=11 미크론, d(v,70)=15 미크론, d(v,95)=28 미크론, d(v,99)=35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100%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조성물 2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조성물 1의 구성분들은 혼합기 내에서 건식 혼합하였으며 120℃에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물을 충격 밀링하였으며 시빙하여 d(v,20)=10 미크론, d(v,50)=20 미크론, d(v,70)=27 미크론, d(v,95)=48 미크론, d(v,99)=62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96%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맑은(clear) 폴리에스테르 광택성 운모 마스터뱃치 조성물
맑은 폴리에스테르 광택계(상기 참조) 750g
운모 안료 250g
구성분들을 고속 Henschel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기 내의 온도가 70℃에 도달될 때까지 1000r.p.m.에서 9분간 함께 융합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에 방치하여 냉각시킨 다음, 토출시키고 시빙하여 d(v,20)=19 미크론, d(v,50)=40 미크론, d(v,70)=51 미크론, d(v,95)=79 미크론, d(v,99)=97 미크론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며, 입자의 68%가 ≤50 미크론인 분체를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1
알루미늄 옥사이드 6g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24g
구성분들을 Moulinex II 고전단 혼합기에 장입하고, 30초간 혼합하고, 냉각시켰으며, 이러한 혼합 및 냉각 절차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조작분(operation)을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2
알루미늄 옥사이드 13.5g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16.5g
구성분들을 Moulinex II 고전단 혼합기에 장입하고, 30초간 혼합하고, 냉각시켰으며, 이러한 혼합 및 냉각 절차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조작분을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3
알루미늄 옥사이드 24g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6g
구성분들을 Moulinex II 고전단 혼합기에 장입하고, 30초간 혼합하고, 냉각시켰으며, 이러한 혼합 및 냉각 절차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조작분(operation)을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4
알루미늄 옥사이드 19.2g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4.8g
왁스 코팅 실리카 6.0g
구성분들을 Moulinex II 고전단 혼합기에 장입하고, 30초간 혼합하고, 냉각시켰으며, 이러한 혼합 및 냉각 절차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조작분을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5
알루미늄 옥사이드 10g
왁스 코팅 실리카 10g
구성분들을 Moulinex II 고전단 혼합기에 장입하고, 30초간 혼합하고, 냉각시켰으며, 이러한 혼합 및 냉각 절차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조작분(operation)을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6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7g
왁스 코팅 실리카 13g
구성분들을 Moulinex II 고전단 혼합기에 장입하고, 30초간 혼합하고, 냉각시켰으며, 이러한 혼합 및 냉각 절차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조작분을 생성시켰다.
건식 혼합 첨가제 7
왁스 코팅 실리카
실시예 (1)
남색 폴리에스테르 무광택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865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130g
건식 혼합 첨가제 1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무광택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황색 폴리에스테르 무광택 조성물
황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867.8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2 129.7g
건식 혼합 첨가제 3 2.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무광택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남색 폴리에스테르 공단광택(Satin)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47.6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47.4g
건식 혼합 첨가제 2 5.0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공단광택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회색 폴리에스테르 조직(Texture) 조성물
회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75g
에스테르 개질 폴리에테르 올리고머 조직감 부여 첨가제 20g
(Troy Powdermate 508TEX)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5)
회색 폴리에스테르 미세 조직(Fine Texture) 조성물
회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65g
PTFE 조직감 부여 첨가제(Hoechst Hostaflon TF1702) 30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미세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6)
회색 폴리에스테르 거친 조직(Coarse Texture) 조성물
회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85g
CAB 조직감 부여 첨가제(Eastman Chemical CAB 551-0.2) 10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거친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7)
갈색 폴리에스테르 거친 조직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91g
d(v,50)=40 미크론으로 미분된 유동 보조제(DSM Uralac P6188) 4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거친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8)
회색 폴리에스테르 대조적인 조직(Contrast Texture) 조성물
회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82g
CAB 조직감 부여제(Eastman Chemical CAB 551-0.2) 10g
티타늄 디옥사이드 2g
적색 철 옥사이드 안료 1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거친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과장된 스파클(sparkle)로서 나타나는 암회색 피크를 갖는 밝은 회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9)
남색 폴리에스테르 무광택 조직(Matt Texture)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845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130g
에스테르 개질 폴리에테르 올리고머 조직감 부여 첨가제 20g
(Troy Powdermate 508TEX)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무광택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남색 폴리에스테르 금속성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65g
운모 안료 30g
건식 혼합 첨가제 4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금속성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1)
남색 폴리에스테르 금속성 스파클(Metallic Sparkle)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00g
맑은 폴리에스테르 광택성 운모 마스터뱃치 100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금속성 스파클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2)
남색 폴리에스테르 무광택 금속성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840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125g
운모 안료 30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무광택 금속성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3)
갈색 폴리에스테르 고풍(Antique) 조성물
갈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45g
에스테르 개질 폴리에테르 올리고머 조직감 부여 첨가제 20g
(Troy Powdermate 508TEX)
운모 안료 30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고풍스러운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4)
폴리에스테르 혼합 색조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497.5g
백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497.5g
건식 혼합 첨가제 2 5.0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혼합(스파클) 색조의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5)
백색 에폭시 조직 조성물
백색 에폭시 광택계 975g
에스테르 개질 폴리에테르 올리고머 조직감 부여 첨가제 20g
(Troy Powdermate 508TEX)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조직감 부여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6)
적색 혼성 금속성 조성물
적색 혼성 광택계 965g
운모 안료 30g
건식 혼합 첨가제 2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금속성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7
남색 폴리에스테르 무광택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867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130g
건식 혼합 첨가제 5 3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무광택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8
남색 폴리에스테르 공단광택 조성물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48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47g
건식 혼합 첨가제 6 5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공단광택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9
황색 폴리에스테르 무광택 조성물
황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867g
폴리에스테르 무광택계 1 130g
건식 혼합 첨가제 7 3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무광택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0
연남색 색조 광택 조성물
백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67g
남색 폴리에스테르 착색료 첨가제 30g
건식 혼합 첨가제 2 3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단일하고 균질한 연남색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1
남색 폴리에스테르 금속성 조성물
응집 남색 폴리에스테르 광택계 967g
운모 안료 30g
건식 혼합 첨가제 2 3g
구성분을 Waring Laboratory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5초간씩 2회 혼합하는 건식 혼합을 하였다. 이 분체 혼합물을 인가 전압 -50∼-100kV(Ransberg Gema PG 1 gun)로 알루미늄 패널 상에 필름 두께 50∼110 미크론으로 분무하고 200℃에서 15분간 스토빙하여, 남색의 금속성 상도 도막을 얻었다. 변동 범위 조건에 걸쳐 필름 외관상의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32)

  1. (p1)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p2)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또는
    (p3)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1종 또는 그 이상의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성분이 조성물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 및 왁스 코팅 실리카로 구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지는 추가의 첨가제가 건식 혼합(dry blending)에 의해 혼입되어 있는
    분체 도료(powder coating) 조성물.
  2.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며,
    ㆍ광택 감소 성분,
    조직감 부여 성분,
    금속 또는 운모 성분,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성분, 또는
    상기한 첫 번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과 상용성이며 그와 색상이 상이한 추가의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상기한 성분, 및
    ㆍ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왁스 코팅 실리카와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가 건식 혼합에 의하여 혼입되고,
    여기서, 조성물의 적어도 대부분이
    (p1)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p2)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및 8∼30 미크론 범위의 d(v,20), 또는
    (p3)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3. a)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및 60∼120 미크론 범위의 d(v,99)를 갖거나, 또는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b) 1) 광택 감소 첨가제 성분,
    2) 조직감 부여제 성분,
    3)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될 수 있는 금속 또는 운모 안료,
    4) 착색 안료 성분, 또는
    5) 상기한 필름 형성 성분(a)와 상용성이며 그와는 색상이 상이하고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이하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및
    6) 상기한 필름 형성 성분(a)와 상용성이며 그와는 색상이 상이하고,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및 60∼120 미크론 범위의 d(v,99)를 갖거나, 또는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성분,
    c) (i)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ii) 알루미나와 왁스 코팅 실리카
    (iii)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왁스 코팅 실리카
    (iv)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왁스 코팅 실리카
    (v)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인
    미립자 성분들의 건식 혼합 혼합물로 구성되며,
    여기서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및 60∼120 미크론 범위의 d(v,99)를 갖거나, 또는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을 적어도 60중량% 함유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20∼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미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된 금속 또는 운모 안료로 구성되는 금속 또는 안료 성분을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된 금속 또는 운모 안료가 2∼40중량%로 함유되는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성분을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입자 크기 (p1), (p2) 또는 (p3)인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을 적어도 70중량%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택 감소 첨가제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30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광택 감소 첨가제의 함량이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20중량% 이하인 분체 도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한 입자 크기 (p1), (p2) 또는 (p3)의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이 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며, 광택 감소 성분이 고기능성인 산-기능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감소된 입자 크기의 미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광택 감소 첨가제가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50 미크론 미만이고 평균 입자 크기가 30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체 도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직감 부여제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5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운모 안료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10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주성분과 상용성이며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이하인 착색 안료 또는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이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5중량% 이하로 함유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첨가제 성분(c)의 양이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5중량% 이하로 함유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추가의 첨가제 성분(c)의 양이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2중량% 이하로 함유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첨가제 성분(c)가
    (i)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ii) 알루미나와 왁스 코팅 실리카,
    (iii)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한 입자 크기 (p1), (p2) 또는 (p3)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이 복합 입자로 이루어지는 융합 또는 결합 응집체의 형태로 된 분체이거나 또는 이러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의 대부분이 35∼45 미크론 범위의 d(v,50) 및 80∼100 미크론 범위의 d(v,99)를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의 대부분이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며, 여기서 추가의 첨가제(c)가 왁스 코팅 실리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의 대부분이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한 조성물이 광택 감소 성분, 조직감 부여 성분,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된 금속 또는 운모 성분, 비결합 금속 또는 운모 안료(이 경우 특정된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은 복합 입자로 이루어지는 융합 또는 결합 응집체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함),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또는 상기한 조성물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필름 형성 성분과 상용성이며 그와는 색상이 상이하고 입자의 적어도 90부피%가 20 미크론 이하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외관 개질 성분 및,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의 대부분이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을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며, 더 작은 크기의 필름 형성 입자로부터 형성되는 융합 또는 결합 응집체 형태의 분체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의 대부분이 40∼60 미크론 범위의 d(v,70) 및 15∼25 미크론 범위의 d(v,20)을 갖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택 감소 성분 및 조직감 부여 성분,
    광택 감소 성분 및 금속 또는 운모 성분,
    조직감 부여 성분 및 금속 또는 운모 성분, 또는
    조직감 부여 성분 및 착색 안료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4. 수 많은 상이한 상도의 분체 도료 제조용 분체 도료 조성물에 건식 혼합에 의해 혼합되는 하기의 별개의 미립자 성분들을 포함하는 키트:
    ㆍ(1) 광택 감소 성분,
    (2) 조직감 부여 성분,
    (3)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성분 및,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성분, 및
    (5) d(v,90)이 20 미크론 이하인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외관 개질 첨가제 성분과,
    ㆍ(i)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ii) 알루미나와 왁스 코팅 실리카
    (iii)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와 왁스 코팅 실리카
    (iv)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왁스 코팅 실리카
    (v)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첨가제.
  25. 제24항에 있어서,
    ㆍ 성분 (1),(2) 및 (3)과, 선택적으로
    ㆍ 1종 또는 그 이상의 착색 안료 및/또는 안료 농축물(4) 및/또는 착색 필름 형성 증합체 물질(5)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외관 개질 첨가제는 필름 비형성 첨가제가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 마스터뱃치의 형태인 분체 도료 조성물.
  27. 제24항 내지 제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분체 도료 조성물.
  28. 표준 광택 분체 도료 조성물 내에
    (1) 광택 감소 성분,
    (2) 조직감 부여 성분,
    (3)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성분,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성분, 또는
    (5) 표준 광택 분체 도료 조성물중의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성분과,
    왁스 코팅 실리카로 구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지는 추가의 성분을
    건식 혼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원하는 상도를 산출하기 위한 표준 광택 분체 도료 조성물의 개질 방법.
  29. (a) 착색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과,
    (b) (1) 광택 감소 성분,
    (2) 조직감 부여 성분,
    (3) 금속 또는 운모 안료 성분,
    (4) 착색 안료 또는 안료 농축물 성분, 또는
    (5) 상기 주요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과 상용성이며 그와는 색상이 다른 추가의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
    또는 2종 또는 그 이상의 이러한 성분과,
    (c) 알루미나와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왁스 코팅 실리카와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왁스 코팅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첨가제의
    미립자 성분들을 건식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한 조성물의 적어도 대부분이
    (p1) 25∼50 미크론 범위의 d(v,50), 또는
    (p2) 25∼70 미크론 범위의 d(v,70) 및 8∼30 미크론 범위의 d(v,20), 또는
    (p3) 입자의 70부피% 이하가 50 미크론 미만인
    필름 형성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원하는 상도 도료로의 분체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분체 도료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23항중 어느 한 항 또는 제30항에 따른 조성물을 기재(基材: substrate)애 도포하고 연속적 도막을 형성하도록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분체 도장 방법.
  32. 제3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도장된 기재.
KR1020007014938A 1998-07-03 1999-07-02 분체 도료 조성물 KR100641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14534.5 1998-07-03
GBGB9814534.5A GB9814534D0 (en) 1998-07-03 1998-07-03 Powder coating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257A true KR20010053257A (ko) 2001-06-25
KR100641962B1 KR100641962B1 (ko) 2006-11-06

Family

ID=1083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938A KR100641962B1 (ko) 1998-07-03 1999-07-02 분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531524B2 (ko)
EP (1) EP1095110B1 (ko)
JP (1) JP2002519498A (ko)
KR (1) KR100641962B1 (ko)
CN (1) CN1222581C (ko)
AT (1) ATE293149T1 (ko)
AU (1) AU761729B2 (ko)
BR (1) BR9911823A (ko)
CA (1) CA2336535A1 (ko)
CZ (1) CZ302571B6 (ko)
DE (1) DE69924731T2 (ko)
ES (1) ES2241290T3 (ko)
GB (2) GB9814534D0 (ko)
HU (1) HU226974B1 (ko)
ID (1) ID27418A (ko)
MX (1) MXPA00012807A (ko)
MY (1) MY123435A (ko)
NO (1) NO20010007L (ko)
NZ (1) NZ509485A (ko)
PL (1) PL193768B1 (ko)
PT (1) PT1095110E (ko)
TR (1) TR200003816T2 (ko)
TW (1) TW512167B (ko)
WO (1) WO2000001774A1 (ko)
ZA (1) ZA2000077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64A (ko) * 2002-09-04 2004-03-11 리트머스화학 주식회사 저광택 분체 도료의 원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4519D0 (en) * 1998-07-03 1998-09-02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Powder coating compositions
US6737467B1 (en) * 2000-11-21 2004-05-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gloss powder coatings
US6710103B2 (en) * 2001-09-27 2004-03-23 Basf Corporation Curable, powder-based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a color effect-providing pigment
US7041737B2 (en) 2001-11-28 2006-05-09 Rohm And Haas Company Coating powder composition, method of use thereof,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6749939B2 (en) * 2002-02-19 2004-06-15 Ppg Industries, Ohio, Inc. Composition having sealing and sound dampening propert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6841251B2 (en) * 2002-02-19 2005-01-11 Ppg Industries Ohio, Inc. Composition having sealing and sound dampening propert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7649034B2 (en) * 2002-03-20 2010-01-19 Spraylat Corporation Coating powder compositions and method
US20030181570A1 (en) * 2002-03-20 2003-09-25 Ladatto Steven M. Coating powder compositions and method
US7141618B2 (en) * 2002-06-03 2006-11-28 Ppg Industries Ohio, Inc. Coating compositions with modified particl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105201B2 (en) * 2002-07-26 2006-09-12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Versatile processes for preparing and using novel composite particles in powder coating compositions
GB0217899D0 (en) * 2002-08-01 2002-09-11 Int Coatings Ltd Toner/developer compositions
WO2004083320A1 (ja) * 2003-03-17 2004-09-30 Nippon Paint Co., Ltd. 艶消し粉体塗料組成物
TWI392713B (zh) * 2003-03-26 2013-04-11 Atotech Deutschland Gmbh 粉體塗料及在製造印刷電路板中製備薄層的方法
JP4532090B2 (ja) * 2003-09-11 2010-08-2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塗装処理方法
US20050202270A1 (en) * 2004-03-10 2005-09-15 Skoog Andrew J. Powder coating of gas turbine engine components
US20070104886A1 (en) * 2005-11-10 2007-05-10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static spray for coating aircraft engine components
US20060134402A1 (en) * 2004-12-20 2006-06-22 Uwe Wilkenhoene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wder coating compositions
US20060134432A1 (en) * 2004-12-20 2006-06-22 Decker Owen 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wder coatings
IT1364636B (it) 2005-02-07 2009-07-31 Achille Bardelli Rivestimento di pigmenti organici ed inorganici con resine aldeidiche e chetoniche
US8436095B2 (en) * 2005-06-23 2013-05-07 Ppg Industries Ohio, Inc. Powder coating compositions, mid-gloss range coatings, related methods and substrates
US20090017209A1 (en) * 2005-07-11 2009-01-15 Andrew Robert Morgan Process for preparing a powder coating composition
EP1798268A1 (en) * 2005-12-15 2007-06-20 Dupont Powder Coatings France S.A.S. Low gloss coil powder coating composition for coil coating
EP1881041A1 (en) * 2006-07-21 2008-01-23 Steel Belt Systems S.R.L. Method for exalting powder paint
AT503115B1 (de) * 2006-08-01 2007-08-15 Tigerwerk Lack Und Farbenfabri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rtstoffpartikel enthaltenden pulverlacken
US20080132606A1 (en) * 2006-12-01 2008-06-05 Dotterer Timothy J Crackle finish powder compositions and coatings and films made therefrom
US7960482B2 (en) * 2006-12-11 2011-06-14 Dupont Powder Coatings France Sas Low gloss coil powder coating composition for coil coating
JP2008303276A (ja) * 2007-06-06 2008-12-18 Akebono Brake Ind Co Ltd 粉体塗料の製造方法および塗膜付き鉄系部材の製造方法
EP2379652B1 (de) * 2009-01-06 2016-03-30 Ewald Dörk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ulverlacks
DE102009042447A1 (de) * 2009-09-23 2011-04-07 Sasol Germany Gmbh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Dialkylether, daraus hergestellte Beschichtungen und Verwendung von Dialkylethern
FR2954343A1 (fr) * 2009-12-23 2011-06-24 Armony Signaletique Materiau photoluminescent en poudre, procede de preparation dudit materiau, et procede d’application d’un revetement a base dudit materiau.
JP5812613B2 (ja) * 2010-03-09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音響整合材及び人体組織模擬材料
MX2012010247A (es) * 2010-03-10 2013-02-07 Akzo Nobel Powder Coatings Ningbo Co Ltd Recubrimiento de polvo que tiene una apariencia anodizada.
CN102666754B (zh) * 2010-09-13 2015-08-19 阿克苏诺贝尔粉末涂料(宁波)有限公司 超耐久粉末涂料组合物
WO2012034507A1 (en) * 2010-09-13 2012-03-22 Akzo Nobel Powder Coatings (Ningbo) Co. Ltd. Superdurable powder coating composition
US10072156B2 (en) 2010-11-02 2018-09-11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Matte textured powder monocoat coating compositions
US20130230696A1 (en) * 2010-11-02 2013-09-05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Matte textured powder monocoat coating compositions
KR101287991B1 (ko) 2010-11-17 2013-07-24 피켐스 주식회사 방열성 분체도료
CN102206460B (zh) * 2011-02-28 2012-09-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车身面漆用花鸟纹路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DE102011014250A1 (de) * 2011-03-17 2012-09-20 Clariant International Ltd. Pulverlackzusammensetzung zum Strukturieren und Texturieren von Lackoberflächen
WO2012139520A1 (en) * 2011-04-13 2012-10-18 Akzo Nobel Powder Coatings (Ningbo) Co., Ltd. Soft feel powder coating having anodized look
CN103443212B (zh) * 2011-04-13 2016-03-16 阿克苏诺贝尔粉末涂料(宁波)有限公司 具有阳极化外观的柔感粉末涂料
US9011893B2 (en) 2012-11-14 2015-04-21 U.S. Cosmetics Corporation Aluminum hydroxide pigments having improved coloring capability
JP2015002978A (ja) * 2013-05-23 2015-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音響用血液モデル
KR101348514B1 (ko) 2013-08-09 2014-01-07 이훈 색상 분체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1481316B1 (ko) * 2013-09-05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분체도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15134860A1 (en) * 2014-03-07 2015-09-11 Ticona Llc Sintered polymeric particles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for porous structures
KR20160000118A (ko) 2014-06-24 2016-01-04 윤기수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WO2016012254A1 (en) * 2014-07-25 2016-01-28 Dsm Ip Assets B.V. Matt powder coatings
CN109705703A (zh) * 2018-12-06 2019-05-03 浙江双金粉末涂料有限公司 一种环保耐候型大花纹铜金粉
TW202045140A (zh) * 2019-02-22 2020-12-16 英商康泰倫特英國斯文敦載迪斯有限公司 保存水性懸浮液中以無溶劑混合方法製備的功能性塗覆之活性醫藥成份微粒
MX2021009679A (es) 2019-02-22 2021-09-10 Catalent Uk Swindon Zydis Ltd Minimizacion de aglomeracion, aireacion y conservacion del revestimiento de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mprenden ibuprofeno.
IL276355A (en) * 2019-08-06 2021-03-01 Tambour Ltd A multi-variable particle size powder coating and method thereof
EP3919573A1 (en) 2020-06-03 2021-12-08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One-component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substrate coated with such powder coating composition
EP3919574A1 (en) * 2020-06-03 2021-12-08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One-component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substrate coated with such powder coating composition
EP3919572A1 (en) * 2020-06-03 2021-12-08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substrate coated with such powder coating composition
WO2024079131A1 (en) 2022-10-12 2024-04-18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Powde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dry blended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1989A (de) 1967-10-12 1972-12-31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ganisch modifizierten Kieselsäuren und Silikaten
US3816154A (en) 1973-05-18 1974-06-11 Goury T Mc Silica gel flatting agent
US3965042A (en) * 1973-12-07 1976-06-22 W. R. Grace & Co. Formation of alumina-containing particles with aluminum hydroxide binder
IL46416A (en) * 1974-01-22 1978-09-29 Paturle Sa Ets Construction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its production
DE2507786A1 (de) * 1975-02-22 1976-09-02 Veba Chemie Ag Verfahren zum ueberziehen von metallrohren
FR2417533A1 (fr) 1978-02-20 1979-09-14 Rhone Poulenc Ind Compositions saturees reticulables pour peinture en poudre a surface mate et/ou satinee
JPS55123678A (en) 1979-03-19 1980-09-24 Toshiba Corp Fluorescent substance for electrostatic coating
WO1989000598A1 (en) 1987-07-22 1989-01-26 Ici Australia Operations Proprietary Limited Powder coatings
AU599415B2 (en) * 1987-08-31 1990-07-19 Nippon Paint Co., Ltd. Metal particle
JPH0711005B2 (ja) * 1988-09-09 1995-02-08 昭和アルミパウダー株式会社 メタリック顔料用整粒金属粉末及び整粒金属粉末の製造方法
GB9012315D0 (en) 1990-06-01 1990-07-18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Powder coating compositions
US5470893A (en) 1990-06-01 1995-11-28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Limited Powder coating compositions
DE68922898T2 (de) * 1988-12-02 1995-12-21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Gefärbte Pulver-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US5856378A (en) 1988-12-02 1999-01-05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Limited Powder coating compositions
GB8828225D0 (en) 1988-12-02 1989-01-05 Int Paint Plc Coating compositions
JPH0713206B2 (ja) * 1989-11-17 1995-02-15 ソマール株式会社 密着性及び電気特性の良好な粉体塗料
DE4042191C1 (ko) 1990-12-29 1992-07-30 Skw Trostberg Ag, 8223 Trostberg, De
US5171653A (en) * 1991-09-06 1992-12-15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ic developing composition with carrier having external additive
GB9223300D0 (en) * 1992-11-06 1992-12-23 Courtaulds Coatings Holdings Powder coat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3211469B2 (ja) * 1993-04-09 2001-09-25 日本油脂ビーエーエスエフコーティングス株式会社 艶消粉体塗料組成物、塗装方法および塗膜
US5506083A (en) * 1995-01-27 1996-04-09 Xerox Corporation Conductive developer compositions with wax and compatibilizer
US5516614A (en) * 1995-01-27 1996-05-14 Xerox Corporation Insulative magnetic brush developer compositions
DE19522475C1 (de) 1995-06-21 1996-09-26 Byk Chemie Gmbh Verwendung rieselfähiger Additivzubereitungen in Pulverlacken
GB9517607D0 (en) * 1995-08-29 1995-11-01 Unilever Plc Silica products and uv curable systems
DE69609389T2 (de) * 1995-10-20 2001-01-04 Ciba Sc Holding Ag Gefärbtes Metallpigment sowie dessen Herstellung
JPH09255896A (ja) * 1996-03-26 1997-09-30 Nippon Paint Co Ltd 篩分けが容易な粉体塗料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64A (ko) * 2002-09-04 2004-03-11 리트머스화학 주식회사 저광택 분체 도료의 원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0007D0 (no) 2001-01-02
AU761729B2 (en) 2003-06-05
ES2241290T3 (es) 2005-10-16
US6531524B2 (en) 2003-03-11
PT1095110E (pt) 2005-08-31
DE69924731T2 (de) 2006-02-16
CZ200130A3 (cs) 2001-08-15
TR200003816T2 (tr) 2001-07-23
PL193768B1 (pl) 2007-03-30
ZA200007768B (en) 2002-01-21
TW512167B (en) 2002-12-01
GB9814534D0 (en) 1998-09-02
GB2357516A8 (en) 2001-07-10
HU226974B1 (en) 2010-03-29
CN1222581C (zh) 2005-10-12
HUP0204204A3 (en) 2005-04-28
CZ302571B6 (cs) 2011-07-20
US20010006993A1 (en) 2001-07-05
JP2002519498A (ja) 2002-07-02
ATE293149T1 (de) 2005-04-15
GB0102600D0 (en) 2001-03-21
CN1308658A (zh) 2001-08-15
MXPA00012807A (es) 2002-05-06
BR9911823A (pt) 2001-09-25
GB2357516A (en) 2001-06-27
AU4632899A (en) 2000-01-24
HUP0204204A2 (hu) 2003-04-28
ID27418A (id) 2001-04-05
KR100641962B1 (ko) 2006-11-06
NO20010007L (no) 2001-02-20
CA2336535A1 (en) 2000-01-13
GB2357516B (en) 2002-09-04
WO2000001774A1 (en) 2000-01-13
EP1095110B1 (en) 2005-04-13
EP1095110A1 (en) 2001-05-02
PL345168A1 (en) 2001-12-03
DE69924731D1 (de) 2005-05-19
NZ509485A (en) 2003-07-25
MY123435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962B1 (ko) 분체 도료 조성물
KR100312960B1 (ko) 기재에의도막형성방법및분체도료조성물의제조방법
EP1095111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s
EP1129143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s
JPWO2006057241A1 (ja) 複合粉体塗料、その製造方法及び粉体塗料の調色方法
KR100678792B1 (ko) 분체 도료 조성물
US6858257B1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
MXPA00012815A (en) Powder coat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