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18A -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18A
KR20160000118A KR1020140077037A KR20140077037A KR20160000118A KR 20160000118 A KR20160000118 A KR 20160000118A KR 1020140077037 A KR1020140077037 A KR 1020140077037A KR 20140077037 A KR20140077037 A KR 20140077037A KR 20160000118 A KR20160000118 A KR 2016000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material
liquid coating
polym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수
조근식
Original Assignee
윤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수 filed Critical 윤기수
Priority to KR102014007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18A/ko
Publication of KR2016000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외력의 작용에 대응하여 대상물을 보호하는 동시에 점착력과 박리성을 이용하여 간단히 제거 가능한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도료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영향 없이 점착되며,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00~2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50~10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로 혼합된 수용성 액상 도료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도포되어 접착되며, 투명 또는 안료가 첨가된 상태로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50~3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75~15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형성하여; 도색 여부 및 재질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물리적 영향이 없으며 대상 표면을 보호할 수 있어 적용성 및 활용도가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Coating of the paint composition and the coating of the paint coating material and the coating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코팅도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재질이나 형태를 갖는 대상물에 적용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수용성 베이스 코팅으로 휘발성 유해물질 등으로 대상물을 보호하며 상도부분 역시 탄성기능과 다양한 기능을 극대화로 대상물을 보호하는 동시에 점착과 박리 특징으로 제거 가능한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그 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도료 코팅(도장)은 기본적으로 전착 코팅된 막, 중간 코팅막, 및 베이스 코팅막 및 투명한 코팅막으로 구성된 상부 코팅막을 코팅대상 강판에 연속적으로 코팅함으로써 실행된다.
종래의 이러한 코팅막은 각각의 코팅막의 기능에 따라 조정된 제형을 갖는 도료 조성물을 코팅하고, 모든 코팅막을 베이킹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왔다.
이렇게, 경화된 코팅막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되어 이탈되며 차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호 코팅막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도료는 접착력 증대를 위해 샌딩과 같은 전처리 가공을 거쳐야 하고, 유성을 대상물에 표면에 직접 도포할 경우 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변색이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상물의 표면과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반드시 샌딩 가공이나 프라이머를 시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도료는 대상물의 표면과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 결합으로 대상물과 결합됨으로써 긁어 내거나 별도 약품으로 제거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변색, 오염 등의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다양한 재질이나 도장이나 코팅된 대상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용성 베이스코팅막을 점착되게 형성함으로써 대상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으며 외부에 노출되는 쪽에는 탄성(연질)을 갖는 유성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필요에 따라 대상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로 베이스코팅막을 필름 형태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제조된 도료와 도료의 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특허등록번호 제10-0641962호 2. 공개번호 제10-2003-0022870호 3. 특허등록번호 제10-1024131호 4. 공개번호 제10-2004-008233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본적인 도색 여부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물리적 영향이 없으며 대상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의 표면과 점착력을 유지하고 박리 기능이 있어 간단하게 필름 형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대상물의 표면을 보호하며 점착력에 의해 변형을 방지 및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점착되는 베이스도막층과 외관도막층이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대상물의 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로 제거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이나 햇볕에 영향을 받지않는 외관도막층에 색상이나 유해물질차단 및 미관적 기능을 부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영향 없이 점착되며,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00~2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50~10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로 혼합된 수용성 액상 도료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도포되어 접착되며, 투명 또는 안료가 첨가된 상태로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50~3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75~15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형성하여, 상기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일체형 코팅층을 형성 후 건조하면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대상물 표면에 대한 점착성 및 박리성은10N/2.5cm~30N/2.5cm 범위, 신율 200~500% 범위를 이루어 일체형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인 도색 여부 및 재질에 관계없이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물리적 영향이 없으며 대상 표면을 보호할 수 있어 적용성 및 활용도가 큰 효과가 있다.
그리고, 대상물의 표면과 점착력을 유지하고 박리 기능이 있어 간단하게 필름 형태로 제거할 수 있어 시공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대상물의 표면을 보호하며 점착력에 의해 변형을 방지 및 유지하도록 하여 외력에 영향을 많이 받는 재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점착되는 베이스도막층과 외관도막층이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대상물의 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로 제거가능함으로써 회수에 관계없이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이나 햇볕에 영향을 받지않는 외관도막층에 색상이나 유해물질차단 및 미관적 기능을 부가하여 제품완성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대상물의 표면에 점착되는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유성 액상이 일체로 결합되어 필름 형태로 건조되면 동시에 대상물의 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제거되는 코팅도료를 구성한다.
먼저, 상기 대상물은 목재나 합성수지재, 유리재, 금속재, 석재 등에 제한없으며, 대상물 표면에 미관이나 보호를 위한 도색 및 코팅이 이루어진 것이나 비 도색 및 비 코팅이 이루어진 것에 제한받지 않고 본 발명의 코팅도료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코팅도료를 구성하는 조성물을 살펴보면 크게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수용성 액상 도료의 조성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용성 액상 도료는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영향 없이 점착되며,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00~2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50~10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로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를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이소부틸 메탈크릴레이트산염(Isobutyl methacrylate)와 메탈크릴산(Methacrylic acid) 그리고 이소부틸 에스터(Isobutyl ester)의 중합체 45~65중량%를 혼합한다.
그리고, 메탈리 메탈크릴레이트산염(Methyl methacrylate) 5~17중량%를 혼합한다.
아울러, 1-부타놀, 3-메톡시-3-메탈리(1-Butanol,3-methoxy-3-methyl)의 중합체 7~20중량%를 혼합한다.
또한, 비스페놀 A(Bisphenol A) 2~7중량%를 혼합하여 고형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1-부텐(1-Butene), 2-메탈리-1-프로펜(2-methyl-1-Propene)의 중합체 1~3중량%를 혼합한다.
추가로, 디부틸아민(Dibutylamine) 또는 디이소부틸아민 (Diisobutylamine) 2~5중량%으로 혼합하여 박리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과 트라이크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또는 아세트산(Acetic acid) 1~3중량%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중합체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트라이크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또는 아세트산(Acetic acid)은 수용성이다.
아울러,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를 구성하는 탄화수소계 중합체는 물과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렌헥소에이트(Triethylene glycol Di-2-ethylhexoate) 혼합물 35~55중량%를 혼합한다. 헥사노산, 2-에틸렌-1,2-이수화물 에스터(Hexanoic acid, 2-ethyl-1,2-ethanediylbis ester)의 중합체 24~45중량%,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5~22중량%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중합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도포되어 접착되며, 투명 또는 안료가 첨가된 상태로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50~3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75~15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우레탄 중합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투명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유성 액상 도료에 사용되는 주재인 폴리올과 경화제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대상물 표면에 점착되는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와 결합력을 강화시켜 일체의 필름을 형성하는 역할 수행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안료 1~3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색상이 표현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첨가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dioxide)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파바류, 살리실레이트류, 신나메이트류, 디벤조일메탄류, 폴리에칠메탈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도록 하여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첨가제는 나프토피란, 파라사이클로판 펄가이드, 디스펄스 레드(disperse Red), 펄기마이드, 다이아릴에텐, 풀기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도록 하여 빛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첨가제에는 펄(pearl)의 기능을 위한 우레탄 펄, 알루미나 펄, 운모계 티탄 펄, 운모 플레이크를 기체로 하여 동염을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 선택된 것이나 대전 방지제, 정전기 방지의 기능을 위한 설포네이트, 치환된페닐 설포네이트, 나프틸 설포네이트, 치환된 페닐 설포네이트기,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테트라에틸포스포늄,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등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포스포늄을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 선택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 탈크, 마이카, 산화철, 세리사이트, 보론니트라이드, 실리카, 카오린,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나이론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코팅도료를 구성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를 100~110℃에서 55분~60분 가열 혼합한다.
이때,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고형분 함량이 40~60%(Solids % by Weight), 점도는 25℃에서 LVT4, 60rpm의 조건으로 700~1200cps를 나타내며, 칙소성은 25℃에서 LVT4, 6rpm/60rpm의 조건으로 4~6을 나타내고, 비중은 25℃에서 1.05~1.10이 되도록 제조한다.
이러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를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00~200μm에서 상온에서 15~25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7분 건조 후 도막 두께가 50~100μm로 되도록 제조한다.
이후,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도포되어 건조된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상부로 130~150℃에서 25~35분 가열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고형분 함량이34%~36%(Solids % by Weight), 점도는 25℃에서 LVT4, 60rpm의 조건으로 52~58KU를 나타내며, 비중은 25℃에서 0.93~0.99가 되도록 한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일체화 되도록 도포한다.
이러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50~300μm이며 상온에서 60~80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5~43분 건조 후 도막 두께가 75~150μm가 되도록 제조된 코팅층이 탄성을 띄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에 유성 액상 도료의 순서로 도포하거나 수용성 액상 도료 도포 후 수용성 액상 도료를 재 도포한 다음 유성 액상 도료로 순차적으로 다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유성 액상 도료에는 스크래치 방지기능나 스크래치 발생시 복원기능, 지문 자국 방지기능 또는 온도나 빛에 의한 변색되는 기능이나, 외부환경에 의해 항변기능을 위한 다양한 첨가재를 첨가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코팅도료는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에서 유성 액상 도료가 접착된 수용성 액상 도료에 의해 화학적, 물리적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도료를 구성하는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는 각각 전용 용기에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스프레이 방식에 이용하는 저장용기 등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코팅도료는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서로 화학적으로 가교 결합으로 일체형 코팅층을 형성 후 건조하면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대상물 표면에 대한 점착성 및 박리성은10N/2.5cm~30N/2.5cm 범위, 신율 200~500% 범위를 이루어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성(adhesion peel) 및 박리성을 10N/2.5cm~30N/2.5cm 범위, 신율(Elongation) 200~500%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대상물을 자동차의 도장면으로 적용한 일례로 들면 아래와 같다.
이렇게, 상기 코팅층은 자동차의 특성에 의해 고온이나 영하의 온도 조건dpt는 팽창 및 수축의 변형적 외력, 주행시에는 기류의 물리적 외력, 우천시에는 수분의 화학적 영향을 받게되며, 고압 세차시의 고압 분사력 같은 인위적인 물리적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코팅층이 도장면에서 자연 탈락되지 않으며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도장면에서 제거시 코팅층의 끝단부터 코팅층을 인력을 이용하여 도장면에서 박리시킬 경우 찢어지거나 깨지지 않고 일체적인 필름으로 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여러 번의 테트스를 거친 시험적인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 값인 이유에서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도료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코팅도료를 이용하여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성 액상 도료를 도막 두께가 100~200μm가 되도록 도포한다.
이때,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는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이물직이나 유지 성분을 제거한 후 일액형으로 수소이온농도는 pH7~8의 상태에서 외부의 온도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도포한다.
이후,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를 도포 후 상온에서 15~25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7분의 조건에서 도막 두께가 50~100μm가 되도록 건조한다.
이렇게, 상기 대상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건조된 수용성 액상 도료는 대상물의 도색 여부나 코팅 여부에 관계없이 화학적인 영향이나 반응 없이 접착 개념이 아닌 점착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는 건조된 상태에서 대상물의 표면에서 제거시 물리적 영향 없이 필름형태로 깨끗하게 박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건조된 상부로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도막 두께가 150~300μm가 되도록 도포한다.
이러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도포된 수용성 액상 도료가 건조된 후 도포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수용성 액상 도료가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도포하여 유성 액상 도료와 수용성 액상 도료를 동시에 건조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를 상온에서 60~80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5~43분의 조건에서 도막 두께가 75~150μm가 되도록 건조한다.
즉,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는 완전히 건도되면 총 두께가 약 225~450μm를 이루는 코팅막을 대상물의 표면에 형성하게 된다.
공통적으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나 유성 액상 도료의 도포 방법은 스프레이방식, 브러싱, 침지법 중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존의 도료와 본 발명의 코팅도료의 차이점을 표 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팅도료 기존 도료 비 고



보호 기능적 측면



연질재로 탄성 보유.



외부충격이 있을 경우 크랙발생.
기존 도료는 외부의 충격이 있을 경우 흡수나 탄성력에 작아 크랙이나 흠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탄성력을 지녀 외력을 흡수/분산시키며 탄성에 의해 대상물의 변형방지 및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개선된 특징이 있다.




도장 방법적 측면



대상물의 자체 표면이나 도장, 도색, 코팅된 표면의 상부로 도포.

대상물의 표면을 샌딩과 같은 방식으로 표면처리 후 수용성이나 유성 도포 후 유성 클리어로 도포하여 표면 마무리.
기존 도료는 접착력 증대를 위해 샌딩과 같은 전처리 가공을 거쳐야 하고, 유성을 대상물에 표면에 직접 도포할 경우 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변색이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수용성 을 도포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이나 도장, 도색에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는 개선된 특징이 있다.




도장 공정적 측면

1. 수용성 액상 도료 도포
2. 상온이나 열 건조.
3. 건조된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우성 액상 도료 도포
4. 건조

1.샌딩공정이나 프라이머 별도 시공.
2. 주 도료(도색)도포.
3. 열 건조.
4. 클리어 도료 도포.
5. 열 건조
기존도료는 대상물의 표면과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반드시 샌딩 가공이나 프라이머를 시공함으로써 총 5단계에 걸쳐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점착력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전처리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총 4단계에 걸쳐 시공할 수 있으므로, 기존도료 보다 간단한 공정과 공정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된 특징이 있다.



대상물과 결합 측면



대상물의 표면에 점착됨.



대상물의 표면에 접착됨.
기존도료는 대상물의 표면과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되는 결합인 반면,
본 발명은 대상물의 표면과 점착 시공되어, 건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대상물의 표면에서 간단히 벗겨서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특징이 있다.





시공적 측면




대상물과 점착되어 있어 간단하게 박리시켜 제거 가능.




대상물에 접착되어 있어 간단히 제거 불가능.
기존도료는 접착으로 대상물과 결합됨으로써 박리의 개념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긁어 내거나 별도 약품으로 제거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변색, 오염 등의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건조된 상태에서는 필름 형태로 시공 끝단을 잡고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대상물의 표면에 물리적 영향을 주지않는 개선된 특징이 있다.












도막 두께적 측면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의 도포/건조 후 합산 도막 두께는 0.125~0.250mm로 탄성을 잦는 동시에 도막의 두께를 대상물에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








일반적인 도장보호필름(PPF)의 경우 0.15~0.18mm이고,
자동차의 루프등에 사용하는 캐스트필름은 0.05mm로 이루어짐.
기존 보호필름은 대부분 대상물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탄성력보다 경화성을 대부분이어서 외력의 작용시 흠집이나 크랙이 발생되어 대상물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용도에 따라 도막 두께를 일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 조건이나 대상물에 따른 능동적 대응력이 제한, 대량 생산으로 경제적 부담감이 발행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유성 액상 도료는 연질 탄성력을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첨부함으로써 기능적 향상과 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대상물의 표면 경도나 재질에 따라 수용성 액상 도료나 유성 액상 도료의 각각 도막 두께를 다르게 도포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 조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있는 개선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량 생산이 가능하여 소량 사용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에 유성 액상 도료가 일체화로 접착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는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과 점착된 상태에서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가능하도록 건조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와 탄성을 갖는 유성 액상 도료가 접착 일체로 결합된 코팅층은 탄성력을 지니게 되어 외력으로부터 도색이나 기존의 코팅층이 존재할 경우나 대상물의 본연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코팅도료의 유성 액상 도료가 외부환경에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수분이나 햇볕에 장기간 노출되도라도 변색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7)

  1.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화학적 영향 없이 점착되며,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00~2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50~10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acrylate co-polymer)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로 혼합된 수용성 액상 도료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도포되어 접착되며, 투명 또는 안료가 첨가된 상태로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50~300μm이며 건조 후 도막 두께가 75~150μm로 형성되는 동시에 연질이며 탄성을 갖는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형성하여,
    상기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일체형 코팅층을 형성 후 건조하면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대상물 표면에 대한 점착성 및 박리성은10N/2.5cm~30N/2.5cm 범위, 신율 200~500% 범위를 이루어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이소부틸 메탈크릴레이트산염(Isobutyl methacrylate)와 메탈크릴산(Methacrylic acid) 그리고 이소부틸 에스터(Isobutyl ester)의 중합체 45~65중량%, 메탈리 메탈크릴레이트산염(Methyl methacrylate) 5~17중량%, 1-부타놀, 3-메톡시-3-메탈리(1-Butanol,3-methoxy-3-methyl)의 중합체 7~20중량%, 비스페놀 A(Bisphenol A) 2~7중량%, 1-부텐(1-Butene), 2-메탈리-1-프로펜(2-methyl-1-Propene)의 중합체 1~3중량%, 디부틸아민(Dibutylamine) 또는 디이소부틸아민 (Diisobutylamine) 2~5중량%, 폴리프로필렌과 트라이크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또는 아세트산(Acetic acid) 1~3중량%로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중합체는 물과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렌헥소에이트(Triethylene glycol Di-2-ethylhexoate) 혼합물 35~55중량%, 헥사노산, 2-에틸렌-1,2-이수화물 에스터(Hexanoic acid, 2-ethyl-1,2-ethanediylbis ester)의 중합체 24~45중량%,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5~22중량%로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투명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안료 1~3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색상이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dioxide)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파바류, 살리실레이트류, 신나메이트류, 디벤조일메탄류, 폴리에칠메탈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7. 제 4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나프토피란, 파라사이클로판 펄가이드, 디스펄스 레드(disperse Red), 펄기마이드, 다이아릴에텐, 풀기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 탈크, 마이카, 산화철, 세리사이트, 보론니트라이드, 실리카, 카오린,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나이론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에 유성 액상 도료의 순서로 도포하거나 수용성 액상 도료 도포 후 수용성 액상 도료를 재 도포한 다음 유성 액상 도료로 순차적으로 다층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조성물.
  10. 아크릴레이트 중합체(acrylate co-polymer)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를 100~110℃에서 55분~60분 가열 혼합으로 고형분 함량이 40~60%(Solids % by Weight), 점도는 25℃에서 LVT4, 60rpm의 조건으로 700~1200cps를 나타내며, 칙소성은 25℃에서 LVT4, 6rpm/60rpm의 조건으로 4~6을 나타내고, 비중은 25℃에서 1.05~1.10이 되도록 하여 도포시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00~200μm에서 상온에서 15~25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7분 건조 후 도막 두께가 50~100μm로 되도록 제조된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로 130~150℃에서 25~35분 가열 혼합으로 고형분 함량이34%~36%(Solids % by Weight), 점도는 25℃에서 LVT4, 60rpm의 조건으로 52~58KU를 나타내며, 비중은 25℃에서 0.93~0.99가 되도록 한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일체화 되도록 도포하여 비 건조 도막 두께가 150~300μm이며 상온에서 60~80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5~43분 건조 후 도막 두께가 75~150μm가 되도록 제조된 코팅층이 탄성을 띄게 형성하여,
    상기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일체형 코팅층을 형성 후 건조하면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대상물 표면에 대한 점착성 및 박리성은10N/2.5cm~30N/2.5cm 범위, 신율 200~500% 범위를 이루어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이소부틸 메탈크릴레이트산염(Isobutyl methacrylate)와 메탈크릴산(Methacrylic acid) 그리고 이소부틸 에스터(Isobutyl ester)의 중합체 45~65중량%, 메탈리 메탈크릴레이트산염(Methyl methacrylate) 5~17중량%, 1-부타놀, 3-메톡시-3-메탈리(1-Butanol,3-methoxy-3-methyl)의 중합체 7~20중량%, 비스페놀 A(Bisphenol A) 2~7중량%, 1-부텐(1-Butene), 2-메탈리-1-프로펜(2-methyl-1-Propene)의 중합체 1~3중량%, 디부틸아민(Dibutylamine) 또는 디이소부틸아민 (Diisobutylamine) 2~5중량%, 폴리프로필렌과 트라이크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또는 아세트산(Acetic acid) 1~3중량%로 구성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중합체는 물과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렌헥소에이트(Triethylene glycol Di-2-ethylhexoate) 혼합물 35~55중량%, 헥사노산, 2-에틸렌-1,2-이수화물 에스터(Hexanoic acid, 2-ethyl-1,2-ethanediylbis ester)의 중합체 24~45중량%,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5~22중량%로 구성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투명하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안료 1~3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색상이 표현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dioxide)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파바류, 살리실레이트류, 신나메이트류, 디벤조일메탄류, 폴리에칠메탈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나프토피란, 파라사이클로판 펄가이드, 디스펄스 레드(disperse Red), 펄기마이드, 다이아릴에텐, 풀기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 탈크, 마이카, 산화철, 세리사이트, 보론니트라이드, 실리카, 카오린,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나이론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에 유성 액상 도료의 순서로 도포하거나 수용성 액상 도료 도포 후 수용성 액상 도료를 재 도포한 다음 유성 액상 도료로 순차적으로 다층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19.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중합체(acrylate co-polymer) 40~60중량%와 탄화수소계 중합체 40~6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성 액상 도료를 도막 두께가 100~200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를 도포 후 상온에서 15~25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7분의 조건에서 도막 두께가 50~100μm가 되도록 건조하며,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건조된 상부로 우레탄 중합체인 유성 액상 도료를 도막 두께가 150~300μm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기 유성 액상 도료를 상온에서 60~80분 건조하거나 38~42℃열에서 35~43분의 조건에서 도막 두께가 75~150μm가 되도록 건조하여,
    상기 도색 또는 비 도색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상물의 표면에 수용성 액상 도료와 유성 액상 도료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일체형 코팅층을 형성 후 건조하면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대상물 표면에 대한 점착성 및 박리성은10N/2.5cm~30N/2.5cm 범위, 신율 200~500% 범위를 이루어 필름 형태로 박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이소부틸 메탈크릴레이트산염(Isobutyl methacrylate)와 메탈크릴산(Methacrylic acid) 그리고 이소부틸 에스터(Isobutyl ester)의 중합체 45~65중량%, 메탈리 메탈크릴레이트산염(Methyl methacrylate) 5~17중량%, 1-부타놀, 3-메톡시-3-메탈리(1-Butanol,3-methoxy-3-methyl)의 중합체 7~20중량%, 비스페놀 A(Bisphenol A) 2~7중량%, 1-부텐(1-Butene), 2-메탈리-1-프로펜(2-methyl-1-Propene)의 중합체 1~3중량%, 디부틸아민(Dibutylamine) 또는 디이소부틸아민 (Diisobutylamine) 2~5중량%, 폴리프로필렌과 트라이크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또는 아세트산(Acetic acid) 1~3중량%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중합체는 물과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렌헥소에이트(Triethylene glycol Di-2-ethylhexoate) 혼합물 35~55중량%, 헥사노산, 2-에틸렌-1,2-이수화물 에스터(Hexanoic acid, 2-ethyl-1,2-ethanediylbis ester)의 중합체 24~45중량%,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5~22중량%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투명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액상 도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25~35중량%, 톨루엔 5~15 중량%, 크실렌 10~2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20중량%, 안료 1~3중량%, 첨가제 1~2중량%로 이루어져 색상이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titaniumdioxide)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파바류, 살리실레이트류, 신나메이트류, 디벤조일메탄류, 폴리에칠메탈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5. 제 22 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나프토피란, 파라사이클로판 펄가이드, 디스펄스 레드(disperse Red), 펄기마이드, 다이아릴에텐, 풀기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부분적으로 가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 탈크, 마이카, 산화철, 세리사이트, 보론니트라이드, 실리카, 카오린,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및 나이론가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27.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액상 도료의 상부에 유성 액상 도료의 순서로 도포하거나 수용성 액상 도료 도포 후 수용성 액상 도료를 재 도포한 다음 유성 액상 도료로 순차적으로 다층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KR1020140077037A 2014-06-24 2014-06-24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KR20160000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37A KR20160000118A (ko) 2014-06-24 2014-06-24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37A KR20160000118A (ko) 2014-06-24 2014-06-24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18A true KR20160000118A (ko) 2016-01-04

Family

ID=5516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37A KR20160000118A (ko) 2014-06-24 2014-06-24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1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70A (ko) 2000-07-21 2003-03-17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우레탄 수지 필름 및 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KR20040082338A (ko) 2003-03-18 2004-09-24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코팅된 복합 필름의 제조방법
KR100641962B1 (ko) 1998-07-03 2006-11-06 인터내셔널 페인트 리미티드 분체 도료 조성물
KR101024131B1 (ko) 2003-05-13 2011-03-22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층 적층된 코팅된 막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962B1 (ko) 1998-07-03 2006-11-06 인터내셔널 페인트 리미티드 분체 도료 조성물
KR20030022870A (ko) 2000-07-21 2003-03-17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기능성 우레탄 수지 필름 및 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KR20040082338A (ko) 2003-03-18 2004-09-24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코팅된 복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024131B1 (ko) 2003-05-13 2011-03-22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층 적층된 코팅된 막의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0655T3 (es) Revestimiento temporal pelable.
ES2745076T3 (es) Recubrimientos que contienen polisilazanos para superficies metálicas y poliméricas
JP3648183B2 (ja) 透明シリコーン系被膜形成組成物及びその硬化方法。
CN101939389B (zh) 塑料基材用涂料组合物、由其形成的涂膜、以及成形体
KR101877782B1 (ko) 페인트 보호 필름
KR20040026708A (ko) 방오염성 보호 필름 및 이 방오염성 보호 필름을 표면에갖는 접착 시이트
ES2792083T3 (es) Procedimiento para reparar una película de revestimiento, uso de una imprimación adherente en este procedimiento y sustrato con una película de revestimiento reparada
BRPI0408664A (pt)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curável, substrato, carroceria externa de automóvel ou caminhão e processo para revestir um substrato
WO2015118098A2 (en) Flexible multilayer coating
JP2855482B2 (ja) 表面塗料及びその塗布方法
JP2003342526A (ja) 自己浄化性水性塗料組成物、及び自己浄化性部材
KR20160000118A (ko) 코팅도료의 조성물 및 코팅도료의 제조방법 및 코팅도료의 시공방법
JP2005524530A (ja) 色を与えおよび/または効果を与えるマルチコートを上塗りする方法
JP2008138074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826058B1 (ko) 내오염성 투명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보호막의 형성방법
KR20160078091A (ko) 비철금속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KR101223412B1 (ko) 내지문성이 우수한 다층 도막 및 다층 도막을 갖는 제품
KR101362391B1 (ko) 유리병 차광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유리병 제조방법
JPH0881643A (ja) クリヤー塗料およびその塗装法
US20110250352A1 (en) Vehicular clear coat scratch repair composition and method
KR101673687B1 (ko) 화이트펄 베이스 도료 조성물
KR101567236B1 (ko) 방오 도료 조성물
KR20170117945A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1776304B1 (ko) 금 나노입자를 함유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
JP7264563B2 (ja) 基材飛散防止塗膜用組成物、基材飛散防止塗膜、飛散防止性基材、飛散防止性基材の形成方法及び基材飛散防止塗膜の形成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