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973A -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난연성 케이블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난연성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973A
KR20010050973A KR1020000059953A KR20000059953A KR20010050973A KR 20010050973 A KR20010050973 A KR 20010050973A KR 1020000059953 A KR1020000059953 A KR 1020000059953A KR 20000059953 A KR20000059953 A KR 20000059953A KR 20010050973 A KR20010050973 A KR 2001005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weight
type resin
resin composition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455B1 (ko
Inventor
후루카와하루히코
하타나카히데카쓰
시로모토고지
우에키히로시
나카니시고지
모리타요시쓰구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에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 100중량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 30 내지 200중량부 및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여기서, R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1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은 전기 케이블용 난연성 피막으로서 유용하다.
화학식 1
RaSiO(4-a)/2
위의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이다),
a는 0.75 내지 2.5이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케이블 {Flame-retardant polyolefin-typ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flame retardant cables}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들 조성물로 피복된 난연성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탁월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고 난연성과 성형능이 우수한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막을 갖는 난연성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한가지 방법은 폴리올레핀-유형 수지를 할로겐 함유 화합물(할로겐의 전형적인 예는 염소이다)과 블렌딩시킴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할로겐화 화합물 로딩(loading)된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은 연소하는 동안 검은 연기를 다량으로 방출할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해로운 가스를 발생시키고 금속을 부식시킨다. 할로겐화 화합물에 대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산화알루미늄 분말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분말과 같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을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에 가하는 방법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방법에서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화된 금속 화합물을 다량으로 첨가해야 하며, 이러한 높은 로딩량을 필요로 하는 조건으로 인해 성형능이 불량하고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이외의 수지는 생성되지 못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5-339510호 (제339,510호/1993년)에는 알콕시 관능성 측쇄 오가노실록산 수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금속 수산화물을 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여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교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이 갖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난연성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이 수득된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사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특정 용도 및 인 화합물에 의한 토양 오염 측면에서의 폐기 방법에 따라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가들은 위에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약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을 성취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능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이러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 100중량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 30 내지 200중량부 및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여기서, R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1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이다.
RaSiO(4-a)/2
위의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이다),
a는 0.75 내지 2.5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막을 갖는 난연성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 100중량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 30 내지 200중량부 및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여기서, R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1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이다.
화학식 1
RaSiO(4-a)/2
위의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이다),
a는 0.75 내지 2.5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막을 갖는 난연성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로서 공지된 고분자량 화합물, 즉 주쇄가 에틸렌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되는 고분자량 중합체를 포함한다. 특정 유형 등과 같은 특성은 중요치 않다. 고려되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의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C3내지 C12α-올레핀(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및 1-데센)과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C2내지 C12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및 1-데센)과의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과 비닐계 단량체(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와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불포화 카복실산(예를 들면, 아크릴산 및 말레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 개질시켜 수득한 공중합체; 및 상기한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들 중에서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은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수 성분이다. 분해 개시 온도가 150 내지 450℃인 성분(B)가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러한 성분(B)는 높은 난연 활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성분(B)는 평균 입자 크기가 0.0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이 경우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에 우수한 분산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10㎛인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성분(B)의 예로는 수산화마그네슘 분말, 수산화알루미늄 분말, 및 상기 분말을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또는 고급 지방족 산과 같은 표면 처리제로 표면처리한 분말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분말 중에서 수산화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B)는 성분(A) 100중량부당 30 내지 200중량부의 양으로 도입되어야 하며, 성분(A) 100중량부당 50 내지 150중량부의 양으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를 30중량부 미만으로 가할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에 바람직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는 반면, 200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가할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은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성분이다. 성분(C)는 성분(B)와 함께 사용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난연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 성분(C)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형능을 개선시키는 작용도 한다. 성분(C)는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RaSiO(4-a)/2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RaSiO(4-a)/2와 RSiO3/2중의 R은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R에 포함되는 C1내지 C12알킬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및 헥실을 들 수 있고, C6내지 C12아릴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및 톨릴을 들 수 있다. 아릴은 성분(C) 중의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해야만 하며,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여야 한다. 화학식 RaSiO(4-a)/2에서 a는 0.75 내지 2.5이다. 상기한 화학식의 R 그룹으로는 프로필 및 페닐이 바람직하다.
아릴이 성분(C) 중의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값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몰%이다. 아릴 함량이 50몰%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난연성이 저하된다.
성분(C)의 각 분자는 하이드록실을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 함유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하이드록실 함량이 1중량% 미만이거나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될 것이다.
성분(C)는 분자당 하나 이상의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T 단위)(여기서, R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를 가져야 한다. T 단위 이외에, 성분(C)는 화학식 R3SiO1/2의 실록산 단위(M 단위)(여기서, R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R2SiO2/2의 실록산 단위(D 단위)(여기서, R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및 화학식 SiO4/2의 실록산 단위(Q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다른 단위들이 존재할 경우, T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다. 성분(C) 중의 D 단위의 존재와 관련하여, D 단위 : T 단위의 몰 비는 바람직하게는 0:100 내지 10: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9 내지 5:95이다.
하기의 평균 화학식 2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성분(C)로서 바람직하다.
(R1 3SiO1/2)a(R1 2SiO2/2)b(R1SiO3/2)c(SiO4/2)d(HO1/2)e
위의 화학식 2에서,
R1은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탄화수소 그룹이고,
a는 0 또는 양수이며,
b는 0 또는 양수이고,
c는 양수이며,
d는 0 또는 양수이고,
e는 양수이다.
R1에 포함되는 C1내지 C12알킬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및 헥실을 들 수 있고, C6내지 C12아릴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및 톨릴을 들 수 있다.
성분(C)의 연화점은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의 연화점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비교적 연화점이 낮은 성분(A)가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일 경우, 성분(C)의 연화점은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온에서 고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300 내지 500,000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0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C) 함량은 성분(A) 100중량부당 0.01 내지 50중량부이여야 하며, 성분(A) 100중량부당 0.1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C)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을 거의 부여할 수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함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A), 성분(B) 및 성분(C)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첨가제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이들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칼륨 티타네이트, 활석, 점토, 운모 및 실리카와 같은 무기 충전제, 산화 억제제, 윤활제, 안료,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화제, 내광성 개선제, 분산제 및 점착 억제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A), 성분(B) 및 성분(C)를 균질해질 때까지 단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성분(A) 중의 성분(C)의 분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서, 성분(A)와 성분(B)를 먼저 성분(A)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면서 서로 혼합한 다음 성분(C)를 가열하면서 혼합한다.
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성분(A), 성분(B) 및 성분(C)를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혼합 수단의 예로는 혼합 장치 및 배합 장치, 예를 들면, 2-롤 밀, 밴버리 혼합기 및 혼련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탁월한 성형능으로 인해,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 및 사출 성형과 같은 통상의 플라스틱 성형 방법으로 당해 조성물을 필름, 시트, 보드 및 파이프 성형품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성형품은 탁월한 난연성과 탁월한 기계적 강도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중요시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 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기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하기에서 작용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 기재된 점도값은 25℃에서 측정한 것이며,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의 난연성은 JIS K 7201에 기초하여 산소 지수를 측정(참조; "Plastics-Determination of Burning Behavior by the Oxygen Index")함으로써 평가한다. 기계적 강도는 JIS K 7113에 기초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참조; "Testing Method for the Tensile Properties of Plastics")함으로써 평가한다.
실시예에 사용되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평균 화학식을 가지며 다음의 표 2에 기재된 특성을 갖는다. 다음의 약어가 실시예에 사용된다: Me 메틸, Pr n-프로필, Ph 페닐, D Me2SiO2/2단위, T MeSiO3/2단위, TPrPrSiO3/2단위 및 TPhPhSiO3/2단위.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의 분자 구조는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로 측정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공지된 폴리스티렌 표준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 평균 단위 화학식 평균 분자식
SR1 Pr0.30Ph0.70(HO)0.43SiO1.29 TPr 0.30TPh 0.70(HO1/2)0.43
SR2 Me1.00(Meo)0.90SiO1.05 T1.00(MeO1/2)0.90
SR3 Me1.67(Meo)0.56SiO0.89 D0.67T0.33(MeO1/2)0.56
SR4 Me1.14(HO)0.05SiO1.41 D0.14T0.86(HO1/2)0.05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 페닐 함량(몰%) 하이드록실 함량(중량%) 중량 평균분자량 연화점(℃)
SR1 70 6.0 2300 60 - 100
SR2 0 0 1500 〈25
SR3 0 0 1300 〈25
SR4 0 1.2 16000 40 - 60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4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은 표 3와 표 5에 기재된 비율로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유형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품명; Hizex 5303E, 제조원; Mitsui Kagaku Kabushiki Kaish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품명; Jaylex EEA A1150, 제조원; Japan Polyolefin, 약어로 EEA 수지) 및 말레산 무수물-개질된 폴리에틸렌이다. 사용되는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은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제품명; Kisuma 5A, 제조원; Kyowa Kagaku Kabushiki Kaisha)이다.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 표 1에 기재된 SR1 내지 SR4가 사용된다. 혼합 과정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올레핀-유형 수지를 혼합기(제품명; Labo-Plast Mill, 제조원; Toyo Seiki Seisakusho)에 도입하고 180 내지 220℃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그후,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을 혼합하면서 도입한다. 이어서,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혼합하면서 도입하여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생성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180 내지 220℃에서 사출성형시킨다. 생성된 성형품의 특성(산소 지수 및 인장 강도)을 측정하여 이들 결과를 다음 표 3과 표 5에 기재한다.
실시예 5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은 실시예 1에 기재된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을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SR1)과 표 4에 기재된 비율로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제조한다. 혼합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기(제품명; Labo-Plast Mill, 제조원; Toyo Seiki Seisakusho)에 도입하고 180 내지 220℃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그후, 수산화마그네슘 분말을 혼합하면서 도입한다. 이어서,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SR1)을 혼합하면서 도입하여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생성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180 내지 220℃에서 사출성형시킨다. 생성된 성형품의 산소 지수를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한다.
실시예 6
전기 케이블은 전선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로 피복시켜 제조한다. 와이어(도체 단면=8mm2)는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절연체로 피복된 코어 와이어(피막 두께=1mm)를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은 이들 와이어를 실시예 1의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1.8mm 두께로 피복시켜 제조한다.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로 피복된 전기 케이블은 탁월한 외관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기 케이블의 난연성을 UL 표준 758의 VW-1 화염 시험법으로 평가한 결과, 시험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켰다.
비교 실시예 5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로 피복된 전기 케이블을 실시예 6의 과정에 따라 제조하되, 실시예 6에서 사용되었던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대신에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다. 생성된 전기 케이블은 외관이 양호하지만, 이후에 UL 표준 758의 VW-1 화염 시험법으로 평가한 결과, 시험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지는 못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성분(중량부)고밀도 폴리에틸렌EEA 수지말레산 무수물-개질된폴리에틸렌수산화마그네슘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SR1 10010010 1005010 10010010 901010010
특성산소 지수인장 강도(MPa) 340.17 29- 34- 37-
실시예 5
성분(중량부)고밀도 폴리에틸렌EEA 수지수산화마그네슘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SR1 10010010
특성산소 지수 30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4
성분(중량부)고밀도 폴리에틸렌수산화마그네슘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SR2SR3SR4 100100 10010010 10010010 10010010
특성산소 지수인장 강도(MPa) 270.18 27- 27- 27-
본 발명에 따르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과 성형능이 탁월하며 전기 케이블용 난연성 피막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 100중량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 30 내지 200중량부 및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여기서, R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1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RaSiO(4-a)/2
    위의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이다),
    a는 0.75 내지 2.5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C)가 평균 화학식 2의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인,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R3SiO1/2)a(R2SiO2/2)b(RSiO3/2)c(SiO4/2)d(HO1/2)e
    위의 화학식 2에서,
    R은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한다)이고,
    a는 0 또는 양수이며,
    b는 0 또는 양수이고,
    c는 양수이며,
    d는 0 또는 양수이고,
    e는 양수이며,
    하이드록실 함량은 분자당 1 내지 10중량%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C)의 1가 유기 그룹이 프로필 및 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내지 10,000인,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성분(C)가 실온에서 고체인,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B)가 수산화마그네슘 분말 및 수산화알루미늄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성분(B)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10㎛인,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아릴이 성분(C) 중의 총 1가 유기 그룹의 60 내지 90몰%를 차지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성분(C)의 각 분자가 2 내지 8중량%의 하이드록실을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성분(C)를 성분(A) 100중량부당 0.1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12.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 100중량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 30 내지 200중량부 및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여기서, R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1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제품.
    화학식 1
    RaSiO(4-a)/2
    위의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이다),
    a는 0.75 내지 2.5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성분(C)가 평균 화학식 2의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인 제품.
    화학식 2
    (R3SiO1/2)a(R2SiO2/2)b(RSiO3/2)c(SiO4/2)d(HO1/2)e
    위의 화학식 2에서,
    R은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한다)이고,
    a는 0 또는 양수이며,
    b는 0 또는 양수이고,
    c는 양수이며,
    d는 0 또는 양수이고,
    e는 양수이며,
    하이드록실 함량은 분자당 1 내지 10중량%이다.
  14. 폴리올레핀-유형 수지(A) 100중량부, 수화된 금속 화합물 분말(B) 30 내지 200중량부 및 화학식 RSiO3/2의 실록산 단위(여기서, R은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다)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는 화학식 1의 평균 단위를 갖는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C) 0.01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는 난연성 케이블.
    화학식 1
    RaSiO(4-a)/2
    위의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하고, 분자당 하이드록실 함량은 1 내지 10중량%이다),
    a는 0.75 내지 2.5이다.
  15. 제14항에 있어서, 성분(C)가 평균 화학식 2의 측쇄 오가노폴리실록산인, 난연성 케이블.
    화학식 2
    (R3SiO1/2)a(R2SiO2/2)b(RSiO3/2)c(SiO4/2)d(HO1/2)e
    위의 화학식 2에서,
    R은 C1내지 C12알킬 및 C6내지 C12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가 유기 그룹(여기서, 아릴은 총 1가 유기 그룹의 50 내지 100몰%를 차지한다)이고,
    a는 0 또는 양수이며,
    b는 0 또는 양수이고,
    c는 양수이며,
    d는 0 또는 양수이고,
    e는 양수이며,
    하이드록실 함량은 분자당 1 내지 10중량%이다.
KR1020000059953A 1999-10-13 2000-10-12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케이블 KR100664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17799A JP4399061B2 (ja) 1999-10-13 1999-10-13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JP99-291177 1999-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973A true KR20010050973A (ko) 2001-06-25
KR100664455B1 KR100664455B1 (ko) 2007-01-04

Family

ID=1776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53A KR100664455B1 (ko) 1999-10-13 2000-10-12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케이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03681B1 (ko)
EP (1) EP1092751B1 (ko)
JP (1) JP4399061B2 (ko)
KR (1) KR100664455B1 (ko)
CN (1) CN1117121C (ko)
BR (1) BR0004777B1 (ko)
CA (1) CA2322734C (ko)
DE (1) DE60017331T2 (ko)
NL (1) NL1016362C2 (ko)
TW (1) TWI2457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81B1 (ko) * 2005-12-14 2010-02-1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비할로겐 난연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9304A (ja) * 2000-08-24 2002-03-08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91547A1 (de) * 2000-09-20 2002-03-27 Nexans Langgestreckter Gegenstand
US6706409B2 (en) * 2000-10-13 2004-03-16 Hitachi Chemical Co., Ltd. Incombustible resin composition, prepreg, laminated plate, metal-clad laminated plate, printed wiring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2002265699A (ja) * 2001-03-15 2002-09-18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012807B2 (ja) * 2002-03-19 2007-11-21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光ファイバコードおよび製造方法
CN100339446C (zh) * 2002-04-15 2007-09-26 日本瑞翁株式会社 清漆、成型物、电绝缘膜、层压物、阻燃剂淤浆以及阻燃剂粒子和清漆的制造方法
JP2004168878A (ja) 2002-11-19 2004-06-17 Fujikura Ltd エチレン系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線・ケーブル
US20040147650A1 (en) * 2003-01-24 2004-07-29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stabilization of polymer compositions
DE102004007456A1 (de) * 2004-02-13 2005-09-01 Degussa Ag Hochgefüllte Polyolefin-Compounds
CN101296978B (zh) * 2005-10-27 2012-03-21 普雷斯曼电缆及系统能源有限公司 低烟自熄电缆和含天然氢氧化镁的阻燃组合物
US8330045B2 (en) * 2005-12-26 2012-12-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re-resistant wire/cable
JP2010084103A (ja) * 2008-10-02 2010-04-15 Kurabe Ind Co Ltd 難燃性組成物及び電線
JP4957928B2 (ja) 2009-07-08 2012-06-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電線又はケーブル
JP6077924B2 (ja) * 2013-05-09 2017-02-08 神島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FR3009562B1 (fr) * 2013-08-06 2017-12-08 Arkema France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ignifugees souples a haute tenue thermomecanique, en particulier pour les cables electriques.
FR3009555B1 (fr) 2013-08-08 2015-08-07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peroxydes organiques
GB201516038D0 (en) * 2015-09-09 2015-10-28 Dow Corning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CN105295049A (zh) * 2015-12-04 2016-02-03 江苏涌新材料科技有限公司 有机硅无卤环保协效阻燃剂、阻燃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3661721B1 (en) * 2017-07-31 2023-10-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oisture curable composition for wire and cable insulation and jacket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084A (en) 1971-03-04 1973-06-26 Minnesota Mining & Mfg Corona-resistant electrically insulating organic polymeric compositions
US3865897A (en) 1973-08-03 1975-02-11 Dow Corning Method of blending polyolefins and polydiorganosiloxane gums and blends thereof
US3979356A (en) 1973-08-22 1976-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meric composition and insulated products
JPS59140242A (ja) * 1983-01-31 1984-08-11 Shin Etsu Chem Co Ltd 難燃性ゴム組成物
JPH05339510A (ja) 1992-06-11 1993-12-21 Shin Etsu Chem Co Ltd 難燃樹脂組成物
IL117216A (en) * 1995-02-23 2003-10-31 Martinswerk Gmbh Surface-modified filler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381B1 (ko) * 2005-12-14 2010-02-1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비할로겐 난연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2751B1 (en) 2005-01-12
NL1016362A1 (nl) 2001-04-17
DE60017331D1 (de) 2005-02-17
KR100664455B1 (ko) 2007-01-04
BR0004777A (pt) 2001-05-29
CA2322734C (en) 2010-03-09
CA2322734A1 (en) 2001-04-13
TWI245784B (en) 2005-12-21
DE60017331T2 (de) 2006-03-30
BR0004777B1 (pt) 2011-12-13
JP2001114945A (ja) 2001-04-24
US6303681B1 (en) 2001-10-16
NL1016362C2 (nl) 2001-11-20
EP1092751A1 (en) 2001-04-18
JP4399061B2 (ja) 2010-01-13
CN1298897A (zh) 2001-06-13
CN1117121C (zh)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455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케이블
JP584342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EP1664171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US20100101822A1 (en) Stress/Thermal Cracking Resistant Cable Sheath Material
EP2199335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A3015614C (en) Halogen-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nsile properties
PT92058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uma composicao de copolimeros de silano reticulavel com agua, contendo cargas e de artigos a base dessa composicao
CA2388393A1 (e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JPH08505169A (ja) ハロゲン非含有難燃性組成物
JPWO2007026735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2145632A (ja) 無機難燃剤高充填難燃性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JPH07179675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JPH07102128A (ja) 耐熱性に優れる架橋性高難燃組成物
JP4454737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JP2001002845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JP200115195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4790606B2 (ja) 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H07173339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JP200115194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3280104B2 (ja) 耐摩耗性難燃組成物
JPH0790135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MXPA00010083A (en) Flame-retardant polyolefin-typ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flame-retardant cables
JP3445119B2 (ja) 難燃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難燃性電線・ケーブル
JPH07173338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JPH03134041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