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609A -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 Google Patents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609A
KR20010040609A KR1020007008478A KR20007008478A KR20010040609A KR 20010040609 A KR20010040609 A KR 20010040609A KR 1020007008478 A KR1020007008478 A KR 1020007008478A KR 20007008478 A KR20007008478 A KR 20007008478A KR 20010040609 A KR20010040609 A KR 2001004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inner
member according
internal structural
structur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548B1 (ko
Inventor
브뤼크에두아르트
Original Assignee
일브루크 아우토모티브 인테르나쇼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브루크 아우토모티브 인테르나쇼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일브루크 아우토모티브 인테르나쇼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4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외측부와 내부라이닝(7)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 (1)의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관한 것이다. 중량을 최소화하는 반면에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체성형공정을 이용한 제조중에 밀폐동체(12)가 변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DOOR INNER ELEMENT}
차량용 도어에 사용되는 이러한 형태의 도어내부구성부재는 다수의 기능부분과 이들의 고정요소를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내부구성부재는 강철판으로 구성된다. 기본설계에 따라서 이러한 지지체는 너무 무거운 것을 지지하게 된다. 더욱이, 통공들을 밀봉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끝으로, 성형의 선택이 제한된다. 또한 플라스틱물질로 구성되는 도어내부구성부재가 도어구성요소의 지지체로서 사용되어 왔다. 중량을 줄이는 것 이외에 이러한 선택은 음향에 관련된 문제점에 당면하게 되는데, 이는 현저한 방음 또는 완화기능이 없다. 이러한 방식은 또한 방수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름 또는 포일, 댐핑시이트 등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요구된 제조기술면에서 간단한 도어내부구성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외측부와 내부라이닝사이에 배치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도어내부구성부재의 측면도.
도 2 는 도어내부구성부재가 결합된 차량도어의 단면도.
도 3 은 도어내부구성부재와 도어의 도어내부판사이의 변부측 밀폐동체를 보인 도 2 의 III-III 부분 확대도.
도 4 는 케이블 홀더를 보인 도 1 의 IV-IV 선 단면도.
도 5 는 안내칼라를 갖는 케이블 부싱을 보인 도 1 의 V-V 선 단면도.
도 6 은 변부부재를 갖는 케이블 부싱을 보인 도 1 의 VI-VI 선 단면도.
도 7 은 삽입성형된 부싱을 보인 도 1 의 VII-VII 선 단면도.
도 8 은 점선으로 보인 라우드스피커가 취부되는 삽입성형 취부칼라를 보인 도 1 의 VIII-VIII 선 단면도.
도 9 는 모터를 취부하기 위한 지지판을 보인 도 1 의 IX-IX 선 단면도.
도 10 은 보우덴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영역을 형성하는 도 1 의 X-X 선 단면도.
도 11 은 다른 형태의 도어내부구성부재를 보인 측면도.
도 12 는 동 정면도.
도 13 은 밀폐동체의 구성과 고정공의 형성을 보인 도 11 의 XIII-XIII 선 확대단면도
도 14 는 경계층에 연속한 주연단부면을 보인 도 11 의 XIV-XIV 선 확대단면도.
도 15 는 스크류의 연결을 위하여 두꺼운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두꺼운 중간층을 갖는 도어내부구성부재의 영역을 보인 단면도.
도 16 은 고정영역을 형성하는 도어내부구성부재의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17 은 고정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18 은 고정전에 고정수단을 정확히 배치한 것을 보인 도 16 의 평면도.
도 19 는 고정수단이 작동위치에 정확히 배치된 것을 보인 도 16 과 유사한 단면도.
도 20 은 도어내부구성부재의 일부의 확대단면도.
도 21 은 고정수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일부를 제거하는 하는 것을 보인 도 16 과 유사한 단면도.
도 22 는 고정수단이 정확한 작동위치에 놓인 것을 보인 단면도.
도 23 은 고정상태를 점선으로 보인 도 22 의 평면도.
이러한 목적은 발포체사출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중에 밀폐동체가 변부에 조립될 수 있게 되어 있는 청구항 1 항의 특징부에 따른 도어내부구성부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내부구성부재는 제조가 용이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현저히 경량화된 단일동체에 지지기능과 밀폐기능이 조합된다. 성형의 선택이 개선된다. 시이트형 도어내부구성부재의 이러한 다양성은 도어내부구성부재가 보다 견고하게 한다. 발포체사출공정의 한 특성인 유리질 표피형성은 다른 안정화 요인이 된다. 이는 양호한 방음 및 음향완화특성에 의하여 보충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형 도어내부판과 같은 도어내부구성요소를 지지하는 도어구성부로의 전환은 변부의 밀폐동체에 의하여 그 밀폐기능면에서 특히 유리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어내부구성부재의 발포체사출성형으로 발포체사출성형된 동체의 표피에 접착될 수 있는 밀폐동체에 대하여 최상의 조건을 제공한다. 탄성중합체 씨일이 발포체사출성형동체에 직접 성형되고 발포체사출성형동체의 비교적 얇은 표피층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물질의 성형온도는 발포체사출성형동체의 표피층이 편향되어 탄성중합체 물질, 즉 밀폐동체가 어떠한 간극없이 밀착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온도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에 의하여 발포체사출성형동체가 손상되지 않는다. 유연적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밀폐동체는 연속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료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특허문헌 DE 295 11 492 U 및 유럽특허출원 제 97115150.1 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은 그 전체내용과 이들 문헌의 특징이 본 발명의 인용문헌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어내부구성부재에 케이블 홀더를 성형하는데 유리한 것임이 입증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홀더수단을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라우드스피커를 고정하기 위한 취부칼라가 성형될 수 있다. 라우드스피커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의 변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이러한 칼라가 예를 들어 스크류와 같은 부착수단을 위한 충분한 고정기부와 밀폐전환점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블 부싱을 돌출되게 성형하는 것도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 코드와 케이블 부싱사이에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블 부싱은 연질 플라스틱(TPE)으로 구성되는 변부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도 탄성붕합체 씨일에도 그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탄성이 매우 우수한 환상의 박막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고정요소의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가 도어내부구성부재에 고려되어 도어구성부재가 삽입성형된 부싱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싱은 내부스크류나선을 갖는다. 상기 언급된 취부칼라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부싱은 경질의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자연적으로 이러한 케이블 부싱과 같은 요소는 특정한 기본설계를 고려하여 다수가 제공된다. 또한, 도어내부구성부재는 모터를 취부하기 위한 삽입지지판을 가질 수 있다. 편의상 이러한 지지판은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는 사전에 특정한 조립구조를 위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이러한 형태의 지지판에 모터의 기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치고정공 또는 클립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끝으로 도어내부구성부재는 발포체사출성형기술에 의하여 성형되고 그 하측부가 노출되는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루프형 구조의 배면측으로 케이블 또는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이 지날 수 있는 요소가 나선결합될 수 있다. 끝으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어내부구성부재는 스트립형 삽입체의 배치로와 같은 구조로 벽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변형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강철제 삽입체를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동체가 도어내부구성부재의 광역면에 적용되는 비이드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음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로버트를 이용하여 정확히 조립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만약에 발포체사출성형동체에 남아 있는 열을 부분적으로 적당히 이용하는 경우 각 구성부분이 자동적으로 서로 접착된다. 밀폐동체는 일체로 형성된 요구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요구가 취약점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구는 배면측, 즉 타측 광역면에서 발포체사출성형 비이드를 돌출되게 형성토록 변형된 벽부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의 전체 두께는 단지 약 5 mm 정도가 가능하다. 발포체사출성형 동체의 방향으로 요구를 형성하는 것이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점에 관하여 비이드는 실질적으로 안정화 리브를 구성한다. 도어내부구성부재의 밀도가 단면부위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 즉 미발포경계영역에서 0.7 ~ 1.4 g/㎤ 이고 중앙의 발포층에서 0.1 ~ 0.6 g/㎤ 인 경우에 구성부분은 고도로 안정적으로 구성된다. 치밀한 중합체 물질의 밀도는 약 1 g/㎤ 이다. 이러한 샌드위치형 구조에 의하여 비교적 강도가 높고 중량이 가벼우며 큰 통합잠재력을 갖는 구성부분의 제조가 가능하다. 더욱이 발포체사출성형물질은 PP 를 기초로 한 상당한 HMS(High Melt Strength)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중합체의 용융안정성을 증가시킨다. 그 기초성분은 약 90 % 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으로 이성질체인 프로필렌 중합체에 의하여 가공영역(processing window)은 넓어지고 셀의 크기가 균일한 가운데 안정된 셀성장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가능한 한 균질의 구조물이 제공된다. 더욱이, 발포체사출성형물질에는 충전제 또는 보강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물질은 경량 구성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보강물질로서 약 20 % 의 유리섬유 또는 탈크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단부면에 고정공이 제공되며, 이 고정공은 일체의 돌출성형의 결과로서 통공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치되는 통공라이닝을 갖는다. 양 단부에서 이러한 형태의 슬리이브 웨브가 횡방향으로 놓인 도어내부구성부재의 경계층에 결합된다. 통공라이닝은 이 영역을 보강하여 예를 들어 자동탭핑형 스크류 또는 클립 등과 같이 이를 관통하는 고정요소가 낮은 밀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저항을 받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고정공이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일체의 발포형 탭부분에 의하여 유리하게 둘러싸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탭은 통공을 둘러싸는 면적을 증가시키며 보다 두껍게 한다. 또한 도어내부구성부재에 부싱이나 나선형 삽입체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그 둘레에 사출성형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부싱이나 나선형 삽입체는 금속제 삽입체일 수 있다. 달리 중요한 구성의 하나는 저밀도의 중앙영역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광역면에서 도어내부구성부재를 연삭 또는 절삭하여 그 물질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도어내부구성부재의 통공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이 유지된다. 경계층의 단 하나에만 접근창이 구비되며 이로써 고정요소로 요구한 바에 따라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고정수단에 대한 접근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중앙층의 노출영역에 의하여 구체화될 수 있다. 끝으로, 다른 방법으로서 일체의 외측표피를 남기고 도어내부구성부재에 클립이 고정될 수 있다. 이들 요소는 적당히 중앙으로 배치되는 홈으로 삽입되고 그 별모양의 고정암이 홈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로타리 앵커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서 수직단면으로 보인 차량용 도어(1)는 그 내부공간(2)에 도어내부구성부재(3)를 수용한다. 도어가 조립되었을 때 이 도어내부구성부재는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어내부구성부재(3)는 프레임형 도어내부판(5)의 개방부(4)에 결합된다. 이는 개방부(4)를 폐쇄하는 동시에 이를 밀폐한다.
외측에서 도어외부판넬(6)이 내부공간(2)을 폐쇄한다.
탑승차측 내부에서 내부공간(2)을 폐쇄하는 라이닝(7)은 이러한 탑승자측 내부의 폐쇄수단을 형성한다. 이 라이닝은 내부에 배치되는 패딩소재와 같은 내부충전물(8)이다.
개방부(4)의 변부(11)는 도어의 외측부를 향하는 스텝(9)의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부를 연속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지지턱(10)을 형성하며 이에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주연이 충분히 지지된다.
이러한 도어내부구성부재의 지지는 밀폐동체(12)의 개재하에 이루어진다. 이 밀폐동체는 발포체사출공정에 의한 제조중에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변부에 균일하게 성형된다. 윤곽을 따라 지지턱(10)에 대한 밀폐작용은 실질적으로 밀폐작용을 하는 밀폐동체(12)의 내부에 공간부 (13)를 형성함으로서 증가된다. 밀폐동체는 내부에 연속한 공간부 (13)를 갖는 탄성중합체 씨일이다. 공간부(13)는 밀폐동체의 제조시에 동시에 수행되는 가스주입공정으로 형성된다. 요구된 유체는 하나 이상의 주입관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으며 유체의 주입후 주입관의 주입을 위한 통공은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변부(11)를 향하는 밀폐동체(12)의 고정각(14)은 도어의 외측부를 향하는 변부(11)의 모서리 영역에 결합한다. 자연적으로 직각을 이루어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고정각(14)의 이러한 부분은 변부(11)의 전체 단부면(15)을 덮거나 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에서 확대하여 보인 바와 같이, 표피층(16)이 전체 접촉영역을 덮는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이 영역을 통하여 침투하지 않는다. 이 영역은 사전에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도어모듈, 즉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대하여 이는 PP, PA, ABS 또는 PET 와 발포성형을 위한 발포제(흡열 또는 발열 발포제)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물질은 그 초기 밀도의 약 50 % 로 발포된다. 도어내부구성부재(3)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일발포공정에 의하여 최종발포되어 완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밀폐동체(12)의 적당한 물질로서는 TPE(TPR-V 또는 SEBS)가 있다. 이 물질은 또한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통공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2 색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 도어내부구성부재(3)는 발포공정의 잇점을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다. 복잡한 구조를 갖거나 벽두께에서 변화가 있는 구조의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다른 요소들의 결합이 가능하다. 도어내부구성부재(3)는 경량이며 안정적이고 방음 또는 소음의 완화가 가능하다.
케이블 홀더(17)가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성형된다. 케이블은 부호 18 로 표시하였다(도4 참조). 특정한 조건으로 두개의 돌출탄편(19)이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평면에서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돌출탄편의 기부는 판넬동체를 향하여 확장되어 있다. 케이블 홀더(17)의 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개방부(20)는 저면측이 가볍게 확장되어 탁월한 클립형의 홀더를 구성토록 한다.
도 5 는 케이블(18)이 그 고정요소에 지지되어 연장되는 대신에 판넬동체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판넬동체에 형성된 통공(22)과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단부측을 향하여 케이블(18)의 단면크기에 가깝게 또는 단면크기보다 작게 좁아지는 만곡형 밀봉연결편(23)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부싱(21)이 형성된다. 밀봉연결편(23)은 밀폐동체(12)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면이 유리질화되거나 경질표피를 갖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외측면에 성형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와 같은 경우 표피층(16)에서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형상으로 구성하는 대신에 밀봉연결편(23)은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적당한 경우 케이블(18)의 연장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케이블 부싱(21)은 상기 연결편의 형태처럼 돌출되지 않고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두께영역에 형성된 통공(22)의 라이닝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 부싱(21)은 이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동일한 접착조건하에서 밀폐동체(12)에 사용된 물질을 적당히 이용하여 연질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는 변부부재(24)로 구성된다. 내부에 공간부(25)가 형성된다. 실제로 통공측으로 향하는 환상 박막이 형성되어 그 중앙개방부는 케이블(18)이 삽입될 때 이 케이블에 밀착된다.
도 7 에서는 부싱(26)이 성형기술을 이용하여 조립됨을 보이고 있다. 이 부싱(26)은 스크류가 나선결합될 수 있는 내부나선(27)을 가지며, 고정요소(28)인 스크류는 외부나선을 갖는다. 이 부싱(26)은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평면, 특히 사다리형 구조물(29)의 평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부싱(26)은 그 기부가 사다리형 구조물의 좁은 단부면에 놓이고 변형벽부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공간부(30)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향하는 그 길이는 고정요소(28)의 길이보다 길지 않다. 부싱(26)의 단부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좌측외면에 일치한다.
도 8 은 점선으로 보인 라우드스피커(32)의 플랜지에 대하여 사용되는 고정칼라(31)를 보이고 있다. 라우드스피커는 취부플랜지(33)를 갖는다. 라우드스피커(32)의 크기는 그 변부가 노출된 고정칼라(31)에 지지될 수 있는 크기이다. 고정컬라(31)는 경질 PVC 로 구성될 수 있다.
링의 형태인 고정칼라(31)의 노출위치는 변부의 부근에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부분의 절두원추형 구조물(34)에 기초한다. 고정칼라 (31)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다.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판넬동체를 향하는 그 외측변부는 판넬에 평행한 방향으로 링의 단면의 전폭부분과 횡방향으로는 링 두께의 반정도 부분에 매입된다. 여기에서도 상기 언급된 동일한 접착효과가 있다.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형성된 통공(35)은 고정칼라(31)의 내측부와 동일한 평면에서 끝난다.
절두원추형 구조물(34)을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대칭으로 구성된 변형벽부는 고정칼라(31)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을 안정화한다.
도 9 에는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도면에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판넬동체의 오프셋트 평면영역에 이러한 구성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 부분은 점선으로 보인 모터(37)를 지지하기 위한 적당한 지지베이스를 형성하는 삽입형 지지판(36)을 구성한다. 도 9 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변형벽부는 부호 38 로 표시하였다. 판넬의 윤곽에 따라 요구(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구에는 노출영역에 변부턱(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턱은 윈도우형 통공(41)의 전방에서 끝나 모터(37)가 부호 42 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지지된다.
도시된 지지판(36)은 탄력적인 결합으로 개방부(41)에 결합되는 돌출부(43)를 갖는다. 이러한 결합은 분리되지 않는 탄력결합이다. 돌출부(43)는 개방부의 턱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버섯형 결합요소이다.
지지판(36)은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에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형성되는 브릿지형 연결부(45)를 보이고 있다. 이 브릿지형 연결부의 하측부(46)는 노출되어 있다. 브릿지형 연결부는 판넬의 평면으로부터 프레스로 절취한 절결루우프로 구성된다. 이들은 도 10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케이블 또는 보우덴 케이블(48)이 지나는 통공(47)을 형성한다. 이러한 절결부의 구조는 도 1 에서 부호 X-X 로 보인 영역에 형성된다.
경사면을 갖는 내향 엘보우의 형태로 도시된 브릿지 연결부의 하측부(46)는 보우덴 케이블(48)을 측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돌기(도시하지 않았음)를 가질 수 잇다.
필요한 경우에 보우덴 케이블(48)의 단면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요구부분은 양측에서 밀봉제로 폐쇄될 수 있다.
끝으로 도 2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변형벽부(49)가 제공된다. 이 변형벽부는 차량용 도어(1)의 탑승자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예를 들어 강철로 된 스트립형 삽입체(51)의 형태인 안정화 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 배치로(50)가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형성된다. 이 배치로는 단면이 사다리형인 채널이다.
이와 같이 보강된 부분 또는 지지판(36)과 같이 크게 보강된 부분은 창유리승강용 크랭크 핸들이나 스핀들 또는 승강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양호한 베이스를 형성한다.
도어내부구성부재(3)는 지지턱(10)에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 에서 보인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다른 형태는 발포체사출성형물질로 구성된다. 이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물질로서는 PP, PA, ABS, PET, PC+, PBT 등이 있다. 특정한 재료의 특성을 얻기 위하여 두 PP 급의 물질이 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약 90 % 까지의 베이스 성분이 중합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저급 α-올레핀, 좋기로는 에틸렌을 함유하는 블록공중합체가 양호한 충격강도를 갖는다. 공중합체의 용융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P 를 베이스로 한 HMS(High Melt Strength) 중합체가 베이스 성분에 혼합된다. 이러한 구조적으로 이성질인 프로필렌중합체에 의하여 공정영역이 확장되고 셀의 크기가 균일하게 안정된 셀의 성장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충전제 또는 보강물질, 즉 중합체물질이 발포체사출성형 물질에 혼합된다. 이들 충전제 또는 보강물질은 20 % 까지 혼합되는 유리섬유 또는 탈크이다. 이 성분의 견고도는 이들 보강물질에 의하여 증가된다.
이러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기초가 되는 스프레이 발포형 구성부분의 샌드위치형 구조는 상이한 밀도에 기초하는 바, 미발포경계층(52)에 근접한 단면영역에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밀도는 0.7 ~ 1.4 g/㎤ 이다. 경계층(52)은 구성부분의 광역면에 의하여 점유된 영역을 의미하며 경계층 (52)의 연장부분에 근접하기는 하나 단부면(15)에 의하여 점유된 영역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단부의 층, 즉 단부면(15)의 주연배부측의 층은 부호 53 으로 표시하였다. 두 경계층(52) 및 단부층(53)으로 둘러싸인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코어, 즉 이 경우에 있어서 발포된 다공질의 중간층(54)의 형태인 코어의 밀도는 대조적으로 0.1 ~ 0.6 g/㎤ 이다.
열가소성 발포동체의 발포구조는 경계층(52)을 향하여 경계면의 형태를 이루는 고도의 균질성을 보이므로서 요구된 주연의 경질외각이 모든 면에서 폐쇄된다.
단부층(53)을 포함하는 경계층(52)에 미리 통공이 형성될 수 없으나 치밀하게 둘러싸인 다공질 중간층(54)은 비교적 작은 힘을 가하여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얻게되는 잇점은 추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경계층은 이들이 비록 두께의 비교적 작은 부분을 형성하기는 하나 요구된 고탄성율을 보인다. 예를 들어 모든 구성부분의 두께가 약 5 mm 정도이면 경계층의 두께는 0.4 ~ 0.7 mm 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경계층에 대한 강도의 값은 2500 N/㎟ 정도이다. 다른 한편으로 중간층(54)에서는 그 값이 600 N/㎟ 으로 떨어진다.
이들 모두는 라우드스피커, 라우드스피커 박스, 케이블 홀더(17), 케이블(18) 등과 같이 차량용 도어(1)내에 수용되는 기본구성부분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문제가 없는 기초구조물을 구성한다.
밀폐동체(12)에 대하여, 이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상 로버트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를 위하여 밀폐동체(12)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광역면(55)에 형성되는 단부폐쇄형 비이드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비이드는 고탄성의 표피(56)가 일체로 형성된 발포동체이다. 도 1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표피(56)는 단일경계선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밀폐동체(12)를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이 경우에 있어서 단면이 버섯형태인 그 동체는 그 기부가 광역면(55)으로부터 시작하는 요구(57)에 이르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요구는 발포체사출공정시 구성된다. 이러한 요구는 광역면(55)에 배치되는 구성부분의 경계층(52)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요구(57)의 측면과 기부는 안정되며 그 자체가 강인한 발포동체의 코아부분, 즉 중간층(54)에 의하여 지지된다.
최상의 안정조건은 요구(57)가 변형벽부에 의하여 구성되므로 밀폐동체(12)가 전개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구성부분의 두께감소는 없다. 대신에 변형벽부가 배면측, 즉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타측 광역면(59)에 배치되는 비이드(58)를 형성한다.
비이드(58)는 요구(57)의 전 폭을 능가하는 폭을 갖는다. 그 비율은 약 1 : 2 이다.
비이드(58)의 높이는 차량용 도어(1)의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형성된 스텝(9)의 지지턱(10)으로 구성되는 정지면이 다른 경우에만 평면의 일부를 남기고 연속한다. 요구(57)의 깊이는 요입형의 경계층(52)에 의하여 형성된 기부가 배면측에 위치하는 경계층(52)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밀폐동체(12)의 고정각은 접촉면의 접착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연질발포체로 구성되는 밀폐동체(12)의 열가소성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에 조합하여 상기 언급된 밀폐동체의 구성을 보인 도 13 은 고정요소가 결합될 수 있는 특별한 통공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1 의 XIII-XIII 선으로 보인 영역에서, 도 11 은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주연에 불규칙하게 형성된 고정통공(60)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비록 이들 통공은 기계적인 천공작업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천공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들 통공(60)은 발포체사출성형공정중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공(60)(도 13 참조)의 내부에는 경계층(52) 및 단부층(53)에 관련하여 언급된 바와 같은 동일한 경질표피층이 형성된다. 환언컨데,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고정통공(60)은 내부에 안정화된 통공라이닝(6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슬리이브형의 단면을 이루며 중간층(54)에 의하여 간격을 둔 두 경계층(52)사이에 관상 리벳트의 형태인 고정형의 브릿지연결부를 구성한다. 변부는 횡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구성부분은 스크류와 같은 고정요소가 나선결합될 때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큰 힘이 가하여져도 쉽게 압축되지 않는다. 대신에 회복력에 의하여 스프링 탄지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용은 고정요소의 고정에 도움이 된다. 상기 고정통공(60)은 층을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다. 요구(57)에 근접하여 있으므로 안정화 작용은 밀폐동체(12)를 위한 취부영역에 이른다. 이러한 영역에서 발포체사출동체의 전 주연이 안정화된다.
도 1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통공(60)은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에 일체로 형성된 탭부분(6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탭부분(62)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은 반원형이거나 사다리형으로 돌출된 플랜지 탭으로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단부면(15)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통공의 윤곽을 따라 원형을 이루는 고정통공(60)의 둘레를 를 이루는 영역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전체 영역에 형성된 고정통공(60) 또는 기타 다른 통공에는 사출성형으로 결합되는 부싱, 나선형 삽입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점에 관하여,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변형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5 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 고정요소를 결합시 그 결합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충분한 나선결합 깊이를 제공토록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광역면(59), 즉 배면측에 돌출부(63)가 형성된다. 경계층(52)이 돔형의 형태로 돌출부를 둘러싼다. 그러나, 타측의 경계층(52)은 판넬과 평행하게 연속된다. 이러한 형태로 부분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는 기본구성에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 와 도 9 는 이에 참조될 수 있다. 이들 도면은 변부턱(40)에 지지판(36)을 만족스럽게 고정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며, 그 내부영역이 요구(39)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평면상인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두께보다 두꺼운 단면을 갖는다.
연속적인 고정통공(60)이 밀폐동체(12)의 가장자리 외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통공은 밀폐동체(12)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분할방삭의 밀폐작용이 충분히 유지된다. 습기가 통과할 가능성은 없다.
케이블 홀더, 보우덴 케이블 가이드 등 적당한 고정수단(64)은 두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한가지 방식은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광역면을 연삭하여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도 21 ~ 도 23 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부호는 이미 설명한 바 있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발포사출과정중에 중간층(54)에 이르는 요입부가 요구된 광역면에 형성된다. 도 21 과 도 2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요입부는 도21의 하측에 놓이는 경계층(52)에 가깝게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중간층의 발포구조물이 남아 있는 슬로트형 요구(65)이다. 밀링컷터(도시하지 않았음)를 삽입하여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하는 전체 요구벽(66)을 잘라낸다. 적당한 고정수단(64)이 삽입되고 이 수단(64)을 회전시킴으로서 요구된 고정이 이루어진다. 저밀도의 다공질 중간층(54)으로의 접근이 밀링컷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회전시키는데에는 적은 힘을 가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조물에 삽입되어 침투고정되는 앵커(67)는 그 칼날부분(67')이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연장방향으로 평행하게 작용한다. 칼등에는 앵커(67)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68)이 형성되어 있다.
만약 앵커(67)의 침투깊이를 더 깊게 하고자 하는 경우 요구(65)에 대하여 설치측으로부터 원격한 경계층(52)의 외향배치부분을 통하여 상기 언급된 돌출부(63)를 형성함으로서 도 2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발포물질의 일부 두께를 두껍게할 수 있다.
도 21 ~ 도 23 에서, 앵커수단(64)은 단 하나의 앵커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 ~ 도 20 의 상황은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이용한 점에서 상이하다. 이 구성에서, 요구(65)는 몰타십자의 형태이다. 즉 이는 십자가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달리 가공할 필요는 없다. 요구(65)는 본래 형성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클립형상인 고정수단(64)이 도어내부구성부재 (3)에 고정되고 일체의 외피도 그대로 보존된다. 이는 접근측의 경계층(67)이 요구의 부근에서 제거되지 않고 또한 요구벽(66)도 제거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앵커로서 적당한 것은 십자형 앵커이다.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4 개의 앵커(67) 또는 칼날부분(67')은 남아 있는 발포동체의 나머지부분 하측에 결합되어 이들이 요구벽(66)을 통하여 진로를 절삭하여 열어간다. 요구벽(66)의 복원력은 절삭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다시 가깝게 붙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앵커(67)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68)이 제공된다. 이로써, 고정수단의 십자형 회전앵커가 요구의 측면을 자동탭핑방식으로 침투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앵커(67)의 평면으로부터 시작하고 요구의 변부밖으로 돌출된 십자형 앵커의 지지대(70)는 측벽에서 회전되지 않아 회전공구의 취부에 의하여 고정수단(64)을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지지대(70)는 동축상의 인접한 클립(71)과 일체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평면상의 클립(71)이 실제 핸들처럽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지지대(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또한 클립(71)이 예를 들어 보우덴 케이블과 같이 고정될 물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정열된다. 따라서 지지대(70)의 위치 또는 회전단부위치는 그 회전각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22)

  1. 도어 외측부와 내부라이닝(7)사이에 배치되는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있어서, 발포체사출공정을 이용한 제조중에 밀폐동체(12)가 변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케이블 홀더(17)가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3.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우드스피커(32)를 취부하기 위한 고정칼라(32)가 성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4.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싱(21)이 돌출성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5.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부싱(21)이 연질 플라스틱으로 된 변부부재(2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6.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가 삽입성형된 부싱(26)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가 모터(37)를 취부하기 위한 삽입형 지지판(36)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8.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판(36)이 금속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9.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가 사출성형기술에 의하여 돌출되게 성형되고 하측부(46)가 노출되는 브릿지형 연결부(45)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0.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스트립형 삽입체(51)의 배치를 위한 배치로로서 부분적으로 변형된 변형벽부(49)가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1.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동체(12)가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광역면(55)에 전개되는 비이드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2.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동체(12)가 일체로 성형된 요구(57)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3.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구(57)가 배면측인 다른 광역면(59)에 발포체사출성형된 비이드(58)를 성형하도록 변형벽부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4.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의 밀도가 단면의 부분에 따라 다르며 그 밀도가 미발포의 경계층(52)에서는 0.7 ~ 1.4 g/㎤ 이고 발포된 중간층(54)에서는 0.1 ~ 0.6 g/㎤ 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5.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체사출성형물질이 HMS 중합체의 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6.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체사출물질이 충전제 또는 보강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통공(60)이 단부면에 제공되고 이 고정통공이 일체의 성형에 의하여 통공의 방향으로 놓이는 통공라이닝(61)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8.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통공(60)이 단부면으로 돌출되는 일체발포형의 탭부분(62)으로 둘러싸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19.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싱이나 나선형 삽입체 등이 이들의 둘레에 사출성형함으로서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20.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밀도의 중간층(54)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그 재료의 일부가 제거되거나 관통되지 않는 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21.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층(54)의 노출영역이 고정수단(64)을 위한 접근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22.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71)이 일체의 외피를 남기고 도어내부구성부재(3)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KR1020007008478A 1998-02-06 1999-02-05 차량 도어용 내부 구성 부재 KR100575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4781.9? 1998-02-06
DE19804781A DE19804781A1 (de) 1998-02-06 1998-02-06 Türinnen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609A true KR20010040609A (ko) 2001-05-15
KR100575548B1 KR100575548B1 (ko) 2006-05-03

Family

ID=785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478A KR100575548B1 (ko) 1998-02-06 1999-02-05 차량 도어용 내부 구성 부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053119B1 (ko)
JP (1) JP2002502747A (ko)
KR (1) KR100575548B1 (ko)
CN (1) CN1126673C (ko)
AT (1) ATE269234T1 (ko)
AU (1) AU2723499A (ko)
BR (1) BR9907656A (ko)
DE (2) DE19804781A1 (ko)
ES (1) ES2222685T3 (ko)
HU (1) HUP0100771A3 (ko)
PL (1) PL192304B1 (ko)
PT (1) PT1053119E (ko)
SK (1) SK285654B6 (ko)
WO (1) WO19990399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06B1 (ko) * 2005-09-16 2007-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암레스트 부설 풀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6758A1 (de) 2000-04-04 2001-10-18 Illbruck Gmbh Kraftfahrzeugtür mit Isolationselement
DE10031811A1 (de) * 2000-07-04 2002-01-17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Kraftfahrzeugtür
DE10110753A1 (de) * 2001-03-07 2002-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tür
EP1258377A1 (de) * 2001-05-18 2002-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 subsidiary of Ford Motor Company Trägervorrichtung für einzelne Funktionskomponenten einer Fahrzeugtür zum Einbau in dieser
JP2003002130A (ja) * 2001-06-20 2003-01-08 Fuji Heavy Ind Ltd シール機能を持った内装材
DE10217831A1 (de) * 2002-04-16 2003-11-06 Sai Automotive Sal Gmbh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R2848150B1 (fr) * 2002-12-06 2006-05-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 de vehicule
DE102004053622A1 (de) * 2004-11-03 2006-05-04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ür- oder Seitenwandmoduls
JP4453549B2 (ja) * 2004-12-28 2010-04-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DE102005014570B4 (de) * 2005-03-31 2016-07-07 Man Truck & Bus Ag Fahrzeugtür für ein Nutzfahrzeug
JP4836570B2 (ja) * 2005-12-26 2011-12-1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樹脂パネル及び自動車のドア
DE202007003905U1 (de) * 2007-03-12 2008-07-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Türmodul für eine Fahrzeugtür mit einer flächig ausgebildeten Kunststoffträgerplatte
ES2390599T3 (es) * 2007-05-16 2012-11-14 Uniteam Italia Srl Artículo de cubierta provisto de un elemento de sellado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l mismo
UA112663C2 (uk) * 2011-09-30 2016-10-10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іон І Десаррольо, С.Л. Легкі сталеві двері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і спосіб для їх виготовлення
US8993091B2 (en) * 2012-03-27 2015-03-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oam-filled panel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DE102012018293A1 (de) 2012-09-14 2014-03-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Folie zur Abtrennung von einem Nassbereich zu einemTrockenbereich eines Türkastens einer Fahrzeugtür
DE102015217349A1 (de) 2015-05-05 2016-11-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ürmodul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6531742B2 (ja) * 2016-09-13 2019-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US11511610B2 (en) 2018-11-12 2022-11-29 Shape Corp. Vehicle door carrier with integrated edge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915A (ja) * 1981-10-01 1983-04-04 Nissan Motor Co Ltd 内板トリム
DE3707196C1 (de) * 1987-03-06 1988-09-29 United Carr Gmbh Trw Einschaeumbares Befestigungselement fuer eine geschaeumte Hartschaumverkleidung
JPS63309431A (ja) * 1987-06-11 1988-12-16 Tonen Sekiyukagaku Kk 架橋ポリプロピレン発泡体の製造方法
EP0425240A3 (en) * 1989-10-25 1992-03-04 Bridgestone Australia Ltd., Moulded panel
JPH0546608U (ja) * 1991-11-28 1993-06-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用ワイヤーハーネス
DE4444406A1 (de) * 1994-12-14 1996-06-20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tür
US6000959A (en) * 1996-02-07 1999-12-14 Lear Corporation Door panel wiring system
DE19620148B4 (de) * 1996-05-07 2005-06-30 Sommer-Allibert-Lignotock Gmbh Fahrzeugtür
DE19654956B4 (de) * 1996-06-04 2005-06-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tü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606B1 (ko) * 2005-09-16 2007-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암레스트 부설 풀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053119E (pt) 2004-10-29
PL342194A1 (en) 2001-05-21
PL192304B1 (pl) 2006-09-29
CN1290217A (zh) 2001-04-04
JP2002502747A (ja) 2002-01-29
EP1053119B1 (de) 2004-06-16
WO1999039931A1 (de) 1999-08-12
SK11492000A3 (sk) 2001-06-11
KR100575548B1 (ko) 2006-05-03
HUP0100771A2 (hu) 2001-06-28
ATE269234T1 (de) 2004-07-15
AU2723499A (en) 1999-08-23
DE59909747D1 (de) 2004-07-22
ES2222685T3 (es) 2005-02-01
CN1126673C (zh) 2003-11-05
BR9907656A (pt) 2000-10-24
SK285654B6 (sk) 2007-05-03
DE19804781A1 (de) 1999-08-19
EP1053119A1 (de) 2000-11-22
HUP0100771A3 (en)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0609A (ko) 차량도어용 내부구성부재
EP2576293B1 (en) Acoustic baffle device
US7077461B2 (en) Sound insulating device designed to be mounted in a tubular part,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body part
US7344181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weather strip molded part
US6375254B1 (en) Cover of a motor vehicle roof with a plastic frame and an edge gap seal and a process for producing one such cover
US6910722B2 (en) Side moulding for motor vehicle
MX2011013096A (es) Unidad de panel y metodo para producirla.
WO2007097278A1 (ja) ドア用シール材
JP3554736B2 (ja) 車輌密封体
US5783016A (en) Instrument panel having integrated airbag deployment door
EP3118064B1 (en) Door hole seal for automobile
WO2001024989A1 (en) Cavity sealing article with articulated support
JP2007076441A (ja) ガラスラン
US4979333A (en) Weather strip for motor vehicle
JP2007152977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7383567B2 (ja) ドアホールキャップの取付構造、ドアホールキャップおよびシール部材
JP2006298071A (ja) ガラスラン
JP2005178455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US6112468A (en) Door weatherstripping for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0213536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ツプ
JP3580412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CN220314687U (zh) 门孔密封件
CZ20002705A3 (cs) Vnitřní dveřní prvek
JP2002316537A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部材
JP2004026089A (ja) 車両用の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