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647A -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647A
KR20010039647A KR1020000030992A KR20000030992A KR20010039647A KR 20010039647 A KR20010039647 A KR 20010039647A KR 1020000030992 A KR1020000030992 A KR 1020000030992A KR 20000030992 A KR20000030992 A KR 20000030992A KR 20010039647 A KR20010039647 A KR 2001003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ilm
film
separator
peeling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와다야스오
이노세쯔토무
세쯔다타카시
타나카타쯔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3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6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2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60In a particular environment
    • B32B2309/65Dust free, e.g. clean ro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01J2209/015Machin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4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shaping, scarifying, or cleaning joining surface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에 부착할 때 먼지 등의 부착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착제를 상기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기능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세퍼레이터 박리부와,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에 의해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기능필름 부착부와, 적어도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기능필름 부착부까지 기능필름을 흡인함으로서 유지하여 상기 기능필름을 반송하고, 기능필름을 부착하기 위해 롤러가 제공된 필름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에는 세퍼레이터를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가 제공되어 있거나 기능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할 때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기능필름을 제품상에 부착할 때 공기 또는 이물질의 포획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그에 따라, 기능필름이 상부에 부착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FUNCTIONAL FILM STICKING APPARATUS AND FUNCTIONAL FILM STICKING METHOD}
본 발명은 CRT(Cathod-Ray Tube : 음극선관), 각종 플랫 디스플레이 및 표시장치용 필터 각각의 패널 표면상에 반사 방지기능을 갖는 기능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사 및 대전을 방지하고 불필요하게 복사된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기능필름이 CRT 및 각종 플랫 디스플레이 각각의 패널 표면상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방지기능을 하는 기능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전형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상에 산화실리콘막/ITO(Indium Tin Oxide : 이하 ITO라고 한다)/산화실리콘막/ITO/산화실리콘막의 층 구조로 된 다층막을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제조된다.
기능성 박막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지 않는 표면은 점착제로 코팅되어 있고, 세퍼레이터는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상기 점착제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필름은 점착제를 노출시키기 위해 기능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벗겨, 상기 기능필름을 부착 대상의 패널 표면에 위치 결정시키고, 기능필름을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상기 패널 표면상에 접착시킴으로서 상기 패널 표면상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에 밀착하기 위해 기능필름은 롤러에 의해 프레싱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평11-297201호는 기능필름을 대형 패널 표면상에 부착할 때 현저하게 발생되는 소위 공기의 포획(air entrapment)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필름 부착장치 및 상기 상기 기능필름 부착장치를 이용한 부착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필름을 부착하는 상기 관련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이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세퍼레이터가 기능필름으로부터 벗겨질 때, 세퍼레이터 등의 상부에 부착되는 먼지, 기능필름 및 세퍼레이터의 엣지상에 붙어 있는 부스러기(chips)(예를 들면, 표시 패널의 크기에 맞춰 기능필름을 절단했을 때 발생하는 기능막, 필름기판, 점착제 및 세퍼레이터의 부스러기)가 점착제상에 부착되고, 기능필름과 패널 표면 사이에 포획되게 된다. 상기 부스러기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포획으로 말미암아 표시 품질이 저하되고 또한 기능필름을 각각 사용하는 제품의 제조 수율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필름 부착장치는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기능필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세퍼레이터 박리부와,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기능필름 부착부와, 적어도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상기 기능필름 부착부까지 기능필름을 반송함과 동시에 상기 기능필름을 흡인함으로써 지지하는 필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고정부에는 기능필름을 부착하는 롤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가 제공되거나,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가 제공되거나,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의 박리시에 비산하는 부스러기 및 먼지를 흡인 장치에 의하여 흡인하거나, 대전에 기인한 부스러기 및 먼지의 부착을 정전기 제거장치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퍼레이터가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이후에 기능필름의 점착제상에 부스러기 및 먼지의 점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필름 부착방법은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기능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함과 동시에 필름 고정부에 의해 기능필름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고정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 윗쪽으로 반송하는 단계와, 필름 고정부상에 제공된 롤러의 압착력에 의해 상기 기능필름을 상기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의 박리단계는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가 흡인되면서 이루어지거나, 상기 세퍼레이터의 박리단계는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가 제거되면서 이루어 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세퍼레이터는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가 흡인되거나,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가 제거되면서 이루지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의 박리시에 비산하는 부스러기 및 먼지를 흡인 장치에 의하여 흡인하거나, 대전에 기인한 부스러기 및 먼지의 부착을 정전기 제거장치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퍼레이터가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이후에 기능필름의 점착제상에 부스러기 및 먼지의 점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필름 부착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기능필름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흡인장치 설명하는 부분 개략도.
도 4의 A 및 B는 필름 고정 플레이트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도 4의 A의 S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메인 롤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단계를 도 7에 도시된 단계로부터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개략도.
도 9는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단계를 도 8에 도시된 단계로부터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개략도.
도 10은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단계를 도 9에 도시된 단계로부터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개략도.
도 11은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단계를 도 10에 도시된 단계로부터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개략도.
도 12는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단계를 도 11에 도시된 단계로부터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 : 세퍼레이터 박리부 B : 기능필름 부착부
F : 기능필름 F4 : 세퍼레이터
10 : 박리기 본체 11 : 박리 테이프
12 : 박리 롤러 13 : 흡인장치
22 : 필름 고정 플레이트 23 : 메인 롤러
24 : 청소용 롤러 25 : 가동 실린더
26 : 필름받이 27 : 댐퍼
이하, 본 발명의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능필름 부착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능필름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기능필름(F)의 구성이 기술될 것이다.
상기 기능필름(F)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으로 구성된 필름기판(F2), 및 반사 방지기능, 대전 방지기능, 전자 차폐 기능 등을 하는 기능막(F1)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능필름(F)상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방지기능을 갖는 상기 기능막(F1)은 산화실리콘막/ITO(Indium Tin Oxide)/산화실리콘막/ITO/산화실리콘막의 층 구조로 된 다층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점착제(F3)는 상기 필름기판(F2)의 기능막(F1)이 형성된 표면의 반대측 표면상에 세퍼레이터(F4)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기능필름(F)을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세퍼레이터(F4)는 점착제(F3)를 노출하도록 벗겨지고, 기능필름(F)은 점착제(F3)의 점착력에 의해 패널 표면상에 붙여진다.
상기 기능필름(F)은 긴 모양(long-size)을 하고 있는 필름기판(F2)상에 기능막(F1), 점착제(F3) 및 세퍼레이터(F4)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획득한 후, 소정의 부착 사이즈(예를 들면, 패널 표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절단한다. 전술한 절단 공정에서 발생한 부스러기 및 먼지가 발생하여 기능필름(F)의 주변 엣지 및 표면상에 부착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가 비산(scattering)하면 상기 부스러기 및 먼지는 패널 표면상에 기능필름(F)을 부착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필름(F)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은 상기 부스러기와 먼지의 비산 및 패널 표면상으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필름(F)을 부착하는 부착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부착장치는 기본적으로 기능필름(F)상에 점착하는 세퍼레이터(F4)를 박리하는 기능을 갖는 세퍼레이터 박리부(A)와, 세퍼레이터(F4)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CRT(음극선관) 등의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필름 부착부(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A)는 박리기 본체(10), 박리 테이프(11), 박리 롤러(12), 흡인(suction)장치(13), 권취롤러(winding roller)(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A)는 도 1의 화살표(a1)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A)의 전진이동 중에, 박리 테이프(11)가 감겨 붙는 박리 롤러(12)는 기능필름(F)의 세퍼레이터(F4) 표면상에서 회전하고, 박리 테이프(11)의 점착력에 의해 세퍼레이터(F4)를 기능필름(F)으로부터 벗겨낸다. 상기와 같이 벗겨진 세퍼레이터(F4)는 박리기 본체(10)에 끌려 들어가 권취롤러(14) 둘레에 감겨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는 상기 박리기 본체(10)의 이동에 의해 기능필름(F)으로부터 세퍼레이터(F4)를 박리할 때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부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흡인장치(13)는 전형적인 예로 연장되어 있는 호스가 제공된 터보팬의 흡인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는, 세퍼레이터(F4)의 박리시에 상기 흡인장치(13)는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기압을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하여 박리부분 및 그 주변부에서 비산하는 먼지나 부스러기를 빨아 들인다. 그에 따라, 상기 먼지나 부스러기가 세퍼레이터(F4)가 벗겨진 기능필름(F)의 점착 부분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흡인장치(13) 대신에, 또는 상기 흡인장치(13)와 함께, 정전기 제거장치, 전형적인 예를 들면, 정전기 제거 송풍기(blower)는 세퍼레이터(F4)가 박리되는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4)를 박리할 때, +4 내지 12kv의 정전기가 점착제(F3)측에 발생하고, -4 내지 -12kv의 정전기가 세퍼레이터(F4)측에 발생한다. 따라서, 정전기 제거장치에 의해 상기 정전기를 제거함으로써 기능필름(F)상에 부스러기 및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흡인장치를 설명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흡인장치(13)는 기능필름(F)으로부터 세퍼레이터(F4)를 박리하는 박리 롤러(12)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장치(13)는 흡인구(suction port)가 되는 노즐(13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즐(13a)은 복수개의 노즐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세퍼레이터(F4)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홀쪽한 모양을 갖는 흡인구(elongated suction port)를 포함하는 단일의 노즐일 수도 있다.
상기 흡인장치(13)가 기능필름(F)에 과도하게 가깝게 오면, 흡인장치(13)의 노즐(13a)은 박리기 본체(10)(도 1을 참조)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기능필름(F)의 점착제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반면에, 흡인장치(13)가 기능필름(F)으로부터 과도하게 떨어지면, 흡인장치(13)의 흡진능력이 떨어진다. 노즐(13a)의 경사각(θ)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13a)이 기능필름(F)에 대해 세퍼레이터(F4)의 박리각(본 실시예에서는 90°)의 반정도로 설정된 각도(θ)로 경사진 경우에 상기 흡인장치(13)는 부스러기 및 먼지를 효과적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 실험결과로부터 밝혀졌다.
따라서, 흡인장치(13)의 노즐(13a)이 기능필름(F)으로부터 1mm 내지 5mm 정도 떨어져 배치되고, 경사각(θ)이 기능필름(F)이 홀딩되는 방향에 대하여 약 45°± 15°정도가 되도록 흡인장치(13)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인장치(13)의 상기와 같은 배치에 의해, 세퍼레이터(F4)의 박리시에 먼지나 부스러기가 발생하여도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에서 먼지나 부스러기가 비산하기 전에 확실히 흡인될 수 있다.
이하, 기능필름 부착부(B)가 기술될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기능필름 부착부(B)는 CRT를 상부 방향으로 향해진 그 패널 표면과 유지시키는 유지구(holder)(21)와, 전형적인 예로 흡인에 의해 기능필름(F)을 유지하는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와, 상기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단부(end portion)에 부착된 메인 롤러(23)와, 상기 메인 롤러(23)의 축단(axial end)에 부착된 암(arm)까지 상하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청소용 롤러(24)와, 상기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지지 각도를 조정하는 가동 실린더(25)와, 기능필름(F)이 패널 표면상에 부착되는 때에 기능필름(F)의 종단(tailing end)을 받는 필름받이(26)와, 상기 필름받이(26)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댐퍼(2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필름 고정 플레이트(22)는 기능필름(F)을 유지한 상태로 세퍼레이터 박리부(A)로부터 CRT의 패널 표면의 윗쪽까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a2)의 방향으로이동된다. 상기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일단에 부착된 메인 롤러(23)는 상기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에 의해 유지되는 기능필름(F)을 CRT의 패널 표면상에 압착하는데 사용된다.
도 4의 A는 필름 고정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의 S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기능필름(F)의 흡인 및 지지(holding)면은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흡인 및 유지(holding)면상에서의 흡인에 의해 유지된 기능필름(F)의 주변 엣지에 대응하는 선을 따라 연장되는 그루브(22a)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세퍼레이터(F4)가 박리 롤러(12)(도 1 참조)에 의해 압착된 기능필름(F)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기능필름(F)의 점착제(F3)는 압착력에 의해 밀려나와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흡인 및 유지(holding)면상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기능필름 흡인 및 유지면상으로 밀려나온 점착제는 흡인에 의해 기능필름(F)을 유지하는 다음 단계에서 오염 또는 기능필름(F)의 위치 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의 그루브(22a)를 제공함으로써 밀려나온 점착제(F3)가 그루브(22a) 내에 들어가게 하여, 다음의 기능필름(F)상에의 밀려나온 점착제의 전사를 막아, 다음 기능필름(F)의 위치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도 6은 메인 롤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메인 롤러(23)는 기능필름(F)을 CRT의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기 위해 CRT의 패널 표면의 중앙부를 압착하는데 사용된다. 사이드 롤러(23a)는 상기 메인 롤러(23)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롤러(23a)는 기능필름(F)의 주변 엣지부를 CRT의 패널 표면의 만곡된 엣지부에 밀착하기 위해 CRT의 패널 표면의 만곡된 엣지부를 압착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롤러(23a)는 패널 표면의 만곡된 엣지부에 맞춰진 각도로 미리 경사지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롤러(23) 및 사이드 롤러(23a) 각각의 지지부는 롤러가 패널 표면을 추종시키도록 하는 이퀄라이즈 기구(equalizing mechanism)(25a)를 구비하고 있다. CRT의 패널 표면이 다소 비스듬하게 되어 있더라도 메인 롤러(23) 및 사이드 롤러(23a)는 이퀄라이즈 기구(25a)의 작용에 의해 패널 표면상에 균일하게 압착력을 줄 수 있고, 그에따라 기능필름(F)을 패널 표면상에 확실히 부착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따르면, 필름 고정 플레이트(22)가 세퍼레이터 박리부(A)로부터 동일 도면의 화살표(a2)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메인 롤러(23)의 축단(axial end)에 설치된 암(arm)까지 상하로 자유롭게 운동하도록 부착된 청소용 롤러(24)는 메인 롤러(23)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이동에 따라 CRT의 패널 표면상에서 전동된다. 상기와 같은 청소용 롤러(24)의 가동으로 인하여, 기능필름(F)이 패털 표면상에 부착되기 직전에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청소용 롤러(24)에 의해 깨끗해진 패널 표면상에 기능필름(F)을 붙일 수 있다.
기능필름(F)이 패널 표면에 부착될 때에 기능필름(F)의 종단(trailing end)을 받아 들이는 필름받이(26)에는 상기 필름받이(26)의 가동시에 발생된 진동을 완충하는 댐퍼(27)가 제공되어 있다. 기능필름(F)이 메인 롤러(23) 등에 의해 패널 표면상에 부착될 때, 기능필름(F)의 종단은 상기 기능필름의 탄성력에 의해 강하게 패널 표면에 접촉하고, 그에 따라 기능필름(F)과 패널 표면 사이에서 공기를 포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필름받이(26)가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필름(F)의 종단은 패널 표면상에 부착되기 전에 필름받이(26)에 가볍게 접촉된다.
기능필름(F)의 종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받이(26)에 접촉되므로, 기능필름(F)의 점착제(F3)(도 2를 참조)는 상기 필름받이(26)의 선단(tip)상에 부착된다. 필름받이(26)가 진퇴이동 되면, 점착제(F3)는 필름받이(26)의 선단으로부터 제거되어 필름받이(26)의 진퇴이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패널 표면상에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받이(26)의 진퇴운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필름받이(26)상에 제공된 댐퍼(27)에 의해 완충될 수 있고, 그에따라 점착제(F3)가 패널 표면상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름받이(26)에는 필름받이(26)의 선단과 CRT의 패널 표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가능한 기구의 제공으로 인하여, CRT의 패널 표면의 배치 위치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동 가능한 기구에 의한 CRT의 패널 표면의 배치 위치의 편차를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름받이(26) 받아들이는 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필름을 부착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의 기능필름 부착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우선, 도 7에 따르면, CRT는 패널 표면(P)을 위로 향한 상태로 유지구(21)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필름받이(26)는 상기 CRT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상기 기능필름(F)은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에 위치되고 기능필름(F)의 기능막(F1)(도 2를 참조) 측은 흡인에 의해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상에 고정된다. 그 후, 박리기 본체(10)는 도 7의 화살표(a3)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에 따르면, 박리기 본체(10)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a4)(도 7의 화살표 (a3)에 대응한다)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면, 박리 롤러(12)가 기능필름(F)의 세퍼레이터(F4)를 가압하면서 전동하여, 박리 테이프(11)를 세퍼레이터(F4)상으로 압착하고, 그에 따라 박리 테이프(11)의 점착력에 의해 세퍼레이터(F4)를 박리한다. 이 경우, 권취롤러(14)의 회전은 정지되어, 박리 테이프(11)는 박리기 본체(10)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박리 롤러(12)에 보내진다. 상기와 같이 박리된 세퍼레이터(F4)는 박리 테이프(11)와 함께 박리기 본체(10) 내로 감겨 들어간다.
상기 세퍼레이터(F4)를 박리하는 공정에서, 흡인장치(13)가 작동되어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를 흡인한다. 그로 인해, 세퍼레이터(F4)의 박리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나 부스러기를 흡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퍼레이터(F4)가 벗겨진 기능필름(F)상에 먼지 및 부스러기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인장치(13) 대신에, 또는 흡인장치(13)와 함께 정전기 제거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되어 세퍼레이터(4)의 박리시에 발생된 정전기에 기인한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세퍼레이터(F4)가 벗겨진 후에, 박리기 본체(10)는 동 도면의 화살표(a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하강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간다. 이 경우, 권취롤러(14)는 박리기 본체(10) 내로 말려 감겨진 박리 테이프(11)상에 부착되는 세퍼레이터(F4)를 순차적으로 감도록 회전된다.
도 10에 따르면, 필름 고정 플레이트(22)는 동 도면의 화살표(a6)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청소용 롤러(24)는 CRT의 패널 표면(P)의 높이까지 하강되어, 필름 고정 플레이트(22)의 이동에 따라 패널 표면(P)을 깨끗하게 하고, 그에 따라, CRT의 패널 표면상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에 따르면, 청소용 롤러(24)는 튀어올려져 CRT로부터 벗어나고, 동시에 필름받이(26)는 CRT측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필름받이(26)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댐퍼(27)에 의해 완충되므로, 필름받이(26)상에 부착된 점착제나 먼지가 CRT의 패널 표면(P)상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기능필름(F)을 CRT의 패널 표면(P)상에 부착하는 동작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따르면, 필름 고정 플레이트(22)는 가동 실린더(25)를 연장함으로써 경사지게 되고, 기능필름(F)의 일단(필름 엣지)는 메인 롤러(23)에 의해 CRT의 패널 표면(P)상에 압착된다. 이 경우, 청소용 롤러(24)(도 11을 참조)가 사전에 튀어 올라와 있으므로, 기능필름(F)은 메인 롤러(23)에 의해 압착된 때에 청소용 롤러(24)를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의 상태에서, 필름 고정 플레이트(22)는 도 12의 화살표(a7)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에 따라서, 메인 롤러(23)가 전동되어 기능필름(F)을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CRT의 패널 표면(P)상에 압착하여 부착한다. 메인 롤러(23) 및 도 6에 도시된 사이드 롤러(23a)는 전술한 이퀄라이즈 기구(25a)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CRT의 패널 표면(P)을 추종하면서 기능필름(F)을 CRT의 패널 표면상에 확실히 압착할 수 있다.
기능필름(F)의 타단이 CRT의 패널 표면(P)상에 부착되는 경우, 일단, 필름받이(26)의 선단에 접촉하고, 그 후, 전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 롤러(23)의 압력에 의해 필름받이(26)의 선단으로부터 벗어나서 패널 표면(P)상에 부착된다. 즉, 기능필름(F)의 타단은 동작에 의해 발생한 시간적인 차이를 가지고 패널 표면(P)상에 부착되어 필름받이(26)의 선단으로의 접촉 및 선단으로부터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기능필름(F)의 타단이 기능필름(F)의 탄성력에 의해 급격히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능필름(F)과 패널 표면(P) 사이에서 공기의 포획을 일으킴이 없이 기능필름(F)의 타단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기능필름(F) 부착장치에 의해 기능필름(F)을 패널 표면(P)상에 부착하는 방법에 따르면, 예컨대, 세퍼레이터(F4)를 박리하는 단계로부터 기능필름(F)을 부착하는 단계까지의 처리 단계에서 패널 표면(P)과 기능필름(F) 사이에서 공기의 포획 및 먼지와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의 부착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함이 없이 기능필름(F4)은 패널 표면(P)상에 확실히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RT의 패널 표면상에 기능필름(F)을 부착하는 예가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 어드레스 표시장치와 같은 플랫 디스플레이의 패널 표면상에, 또는 OA필터 등의 패널 표면상에 기능필름(F)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패널 표면에 기능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공기 및 부스러기와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획을 감소시킴으로써 기능필름이 부착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기능필름이 배치된 제품의 이물질의 부착에 기인한 불량을 감소시킬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수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 실시예는 특정의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하의 클레임의 범위 또는 기술사상의 본질을 벗어남이 없이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기능필름 부착장치에 있어서,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기능필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세퍼레이터 박리부와,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기능필름 부착부와,
    적어도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상기 기능필름 부착부까지 기능필름을 반송함과 동시에 상기 기능필름을 흡인함으로써 유지하는 필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고정부에는 기능필름을 부착하는 롤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되는 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2. 기능필름 부착장치에 있어서,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기능필름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세퍼레이터 박리부와,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기능필름 부착부와,
    적어도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로부터 상기 기능필름 부착부까지 기능필름을 반송함과 동시에 상기 기능필름을 흡인함으로써 유지하는 필름 고정부를 포함하고, 기능필름을 부착하는 롤러가 제공된 필름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 박리부에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능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 제거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부의 상기 기능필름의 흡인 및 유지면은 상기 필름 고정부의 상기 기능필름의 흡인 및 유지면상에서 흡인에 의해 유지되는 기능필름의 주변 엣지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르는 그루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표면상에 상기 기능필름이 부착되기 이전에 상기 패널 표면을 깨끗이 하기 위해 상기 필름 고정부와 함께 이동하는 클리닝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부의 상기 롤러의 지지부에는 상기 롤러가 패널 표면을 추종하도록 하는 이퀄라이즈 기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패널 표면의 중앙부분을 압착하는 메인 롤러와, 상기 패널 표면의 주변 엣지부를 압착하는 서브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즈 기구는 상기 메인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 각각의 상부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부에는 기능필름의 부착 후단(rear end)을 받는 필름 받이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 받이에는 상기 필름받이의 진퇴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완충하는 완충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장치.
  8. 기능필름 부착방법에 있어서,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기능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함과 동시에 필름 고정부에 의해 기능필름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고정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 윗쪽으로 반송하여, 필름 고정부상에 제공된 롤러의 압착력에 의해 상기 기능필름을 상기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의 박리단계는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공기가 흡인되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방법.
  9. 기능필름 부착방법에 있어서,
    점착제를 매개로 하여 기능필름상에 부착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기능필름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함과 동시에 필름 고정부에 의해 기능필름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고정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세퍼레이터가 박리된 기능필름을 패널 표면 윗쪽으로 반송하여, 필름 고정부상에 제공된 롤러의 압착력에 의해 상기 기능필름을 상기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의 박리단계는 박리부분 및 그 주변의 정전기가 제거되면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필름을 상기 패널 표면상에 부착하기 이전에, 상기 패널 표면을 깨끗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필름 부착방법.
KR1020000030992A 1999-06-09 2000-06-07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KR20010039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216199A JP3339467B2 (ja) 1999-06-09 1999-06-09 機能フィルムの貼付装置および機能フィルムの貼付方法
JP??11?????1621 1999-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647A true KR20010039647A (ko) 2001-05-15

Family

ID=1574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92A KR20010039647A (ko) 1999-06-09 2000-06-07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78919B1 (ko)
EP (1) EP1059157A3 (ko)
JP (1) JP3339467B2 (ko)
KR (1) KR20010039647A (ko)
SG (1) SG93240A1 (ko)
TW (1) TW45282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63B1 (ko) * 2007-11-02 200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접착용 지그
KR20140022666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판용 백패드의 이형 시트 제거 장치
WO2017086726A1 (ko) * 2015-11-19 2017-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7972B1 (fr) 2001-07-25 2003-10-03 Eastman Kodak Co Dispositif d'application de bandes adhesives a eliminateur rigide de charge electrostatique
JP3837320B2 (ja) 2001-11-07 2006-10-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貼合装置
KR100824417B1 (ko) * 2001-12-27 2008-04-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필름 타입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합착장치 및 방법
DE10311267B4 (de) * 2003-03-14 2006-11-02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ierten Applizieren von Lackfolie auf Karosserieteile und Verwendung eines ausgespannten Haftklebebandes dabei
DE10339067B4 (de) * 2003-08-26 2005-08-18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ierten Applizieren von Lackfolie auf Karosserieteile
EP1666247A1 (en) * 2004-11-29 2006-06-07 Spanolux S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 floor panels comprising at least a base layer and a top layer of plastics material, and such laminate floor panel
JP4697780B2 (ja) * 2005-03-29 2011-06-0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テープ剥離装置
JP2008083418A (ja) * 2006-09-27 2008-04-10 Sharp Corp 保護シート剥離装置および保護シート剥離方法
JP4812125B2 (ja) * 2007-07-27 2011-11-09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基板組立装置及び組立方法
US20140034246A1 (en) * 2011-01-12 2014-02-06 Siband LLC Methods and system for producing on-demand reduction in coupling strength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2013022760A (ja) * 2011-07-15 2013-02-04 Fuk:Kk フィルム貼付装置
US9195929B2 (en) * 2013-08-05 2015-11-24 A-Men Technology Corporation Chip card assembling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JP6277052B2 (ja) * 2013-12-19 2018-02-07 山本印刷株式会社 遊技機用化粧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676484B2 (ja) * 2016-06-28 2020-04-08 Nissha株式会社 貼合装置
JP2018073276A (ja) * 2016-11-02 2018-05-10 日立化成株式会社 導電パターン付き基材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CN107813588B (zh) * 2017-10-23 2019-10-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分离装置和分离方法
KR102406807B1 (ko) * 2018-01-04 2022-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CN108372656B (zh) * 2018-04-08 2023-10-27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Mylar纸贴附设备
CN109795099B (zh) * 2019-01-30 2021-03-05 深圳市邦尼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贴膜机及自助贴膜方法
JP7390118B2 (ja) * 2019-05-31 2023-12-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フィルム貼付方法
CN112571918B (zh) * 2020-12-07 2024-03-08 安徽坤源铝业有限公司 一种铝板除尘覆膜装置
US11883933B1 (en) 2022-08-24 2024-01-30 Ifixit Screw-driven spreading tool with a disengag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461A (en) 1974-11-18 1976-03-16 Globe Glass & Trim Company Machine for laminating glass
GB2159763B (en) 1984-06-06 1987-11-18 Nitto Electric Ind Co Process for sticking adhesive tape on thin article
EP0271621A1 (en) 1984-10-25 1988-06-22 528569 Ontario Limited Apparatus for applying plastic film material to a glass sheet
DE3912242A1 (de) * 1989-04-14 1990-10-18 Gurit Essex Ag Vorrichtungen zum maschinellen aufbringen von flexiblen, einseitig klebbaren schichtkoerpern auf werkstuecke und verwendung derselben
JPH0737530A (ja) * 1993-07-21 1995-02-07 Sony Corp 陰極線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5653837A (en) * 1994-05-31 1997-08-05 Sony Corporation Method for adhering film on surface of cathode-ray tube
GB2298816B (en) * 1995-03-15 1998-04-29 Sony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film to a substrate
JPH08287826A (ja) * 1995-04-10 1996-11-01 Sony Corp パネル面にフィルムが貼付けられた物品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貼付け装置
JPH09306360A (ja) * 1996-05-20 1997-11-28 Sony Corp 陰極線管パネルへのフィルム貼付方法および装置
JPH10199422A (ja) * 1997-01-07 1998-07-31 Sony Corp 機能性フィルムを有する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10225989A (ja) * 1997-02-17 1998-08-25 Sony Corp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フィルム貼付装置
JPH10334807A (ja) * 1997-05-29 1998-12-18 Sumitomo Chem Co Ltd ブラウン管用光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貼着装置
JPH1111408A (ja) * 1997-06-24 1999-01-19 Sony Corp 粘着フィルム貼着装置及び粘着フィルムの貼着方法
JP3758314B2 (ja) * 1997-06-30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の貼付方法及び機能性フィルム貼付装置
US6371186B1 (en) * 1997-10-01 2002-04-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vice for manufacturing panel with functional film
JPH11185619A (ja) * 1997-12-25 1999-07-09 Sony Corp 陰極線管の機能性フィルムの貼着方法および貼着装置
JP3284965B2 (ja) 1998-04-14 2002-05-27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のフィルムの貼着方法及びフィルム貼着装置
DE19835496B4 (de) 1998-08-06 2006-03-16 Haverkamp Gmbh Verfahren und Beschichtungs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wenigstens einachsig gebogenen Verbundscheib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63B1 (ko) * 2007-11-02 200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접착용 지그
KR20140022666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판용 백패드의 이형 시트 제거 장치
WO2017086726A1 (ko) * 2015-11-19 2017-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US10677784B2 (en) 2015-11-19 2020-06-09 Lg Chem,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2825B (en) 2001-09-01
JP3339467B2 (ja) 2002-10-28
US6478919B1 (en) 2002-11-12
SG93240A1 (en) 2002-12-17
EP1059157A2 (en) 2000-12-13
EP1059157A3 (en) 2001-05-09
JP2000353472A (ja)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9647A (ko)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JP4850721B2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フィルム貼付装置
JP4780559B2 (ja) フィルム貼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41194B1 (ko) 광학 시트 첩합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것들에 사용하는 점착 시트
CN204701238U (zh) 一种全自动贴膜机
KR20140130676A (ko) 첩부 장치
CN111438998A (zh) 一种屏贴合结构、贴合装置及贴合工艺
JP2010056113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方法
KR20140123741A (ko) 유리 기판 필름 제거 장치
JPH11185619A (ja) 陰極線管の機能性フィルムの貼着方法および貼着装置
JPH10225989A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フィルム貼付装置
JP2001170593A (ja) ガラス基板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2001291A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04356240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S6118044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02549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0300314B1 (ko) 음극선관용기능성필름부착방법및부착장치
JPH07242350A (ja) 薄板の剥離及び貼付け方法
JP2002186923A (ja) 基板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KR101447577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용 분진 제거장치
JPH09314677A (ja) フィルム貼着用位置決め装置
JP2012047815A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03276091A (ja) フィルム貼り合わせ方法及びフィルム貼合機
JP7184286B2 (ja) 保護フィルムの剥離装置
JPH10334807A (ja) ブラウン管用光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貼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