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86726A1 -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86726A1
WO2017086726A1 PCT/KR2016/013305 KR2016013305W WO2017086726A1 WO 2017086726 A1 WO2017086726 A1 WO 2017086726A1 KR 2016013305 W KR2016013305 W KR 2016013305W WO 2017086726 A1 WO2017086726 A1 WO 20170867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release film
display module
separator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3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산
유재한
정봉수
박천호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754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58970B2/ja
Priority to US15/554,330 priority patent/US10677784B2/en
Priority to CN201680019008.XA priority patent/CN107430298B/zh
Publication of WO20170867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867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58Neurologic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33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Clostridium (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26Using direct fluid current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32Using vacuum directly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4Using roller for delamination [e.g., roller pairs operating at differing speeds or direction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95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28Differential fluid pressure delaminating means
    • Y10T156/1944Vacuum delaminating means [e.g., vacuum chamb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5Delaminating rolle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94Means for 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display module, in which a suction unit is coupled to a separator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easily discharged when peeling off a release film from a polarizing plate.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 FPDs flat panel displays
  • a flat panel display is a thinner and lighter image display device than a cathode ray tube (CRT), which has been mainly used as a display for a TV or a computer monitor,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 CTR cathode ray tube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PDP Plasma Display Panel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clear image quality, a very low driving power, and various necessities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small information device. have.
  •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 display panel capable of displaying an electrical signal as an image.
  • a polarizer for attaching optical characteristics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polarized light that vibrates in all directions is converted into light that vibrates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to realize a desired image.
  • the polarizing plate is an optical film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ch as PCs, notebooks, mobile phones, and camcorders, and the polarizing plate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asses only light having a desired direction component according to the voltage on / off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optical characteristic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termined through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 a release film for protecting th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such a polarizing plate.
  • the release film is peeled off and removed from the polarizing plate, and then the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 foreign substances such as adhesive components present in the polarizing plate may fall or scatter, and may flow into the attachment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plate, thereby increasing the defective rate of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and lowering the yield rate. There is a problem.
  • a separate suction device provided with a nozzle is install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falling or flying.
  • suction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spac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plate is narrow and the nozzle can be locate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ozzle of the suction dev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model change of the panel.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discharged when the release unit is separated from the polarizing plate by the suction unit is coupled to the separator is formed a flow path that can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
  • the release film is peeled off from the polarizing plate, foreign matter falling from the release film when the release film is peeled off
  • a separator in which a flow path may be formed and a suction unit coupled to the separator to suck the foreign matter.
  • the separator the main body; A peeling part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cting the release film to release the releas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And a first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eeling part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 the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scattering prevent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peeling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peeling part, and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 the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low passage passing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from the first flow path to the second flow path so that the foreign matter of the first flow path may move to the second flow path.
  • the second flow paths may be provided in pairs,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ppos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 suction uni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 the suction unit may include a vacuum ejector or a vacuum pump.
  • a display modul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may be provided.
  • the suction unit is coupled to the separator in which the flow path for the foreign material is discharg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flow path by operating the suction unit when peeling the release film from the polarizing plate. .
  • the suction unit is coupled to the separator,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uction unit irrespective of the model change of the panel,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ction of the foreign matter can be provided to simplify and facilitate the suc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general polarizing plate assembly.
  •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bonding' or 'connection' is used in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another member through a joint member as well as when one member and the other member are directly joined or directly connected.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general polarizing plate assembly.
  • the polarizing plate 410 may include a polarizing film 411, a protective support film 412, and an adhesive layer 413.
  • the polarizing film 411 is provided to polarize incident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may be formed of polyvinyl alcohol (PVA) in which an iodine material is oriented.
  • the protective support layer 412 may be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layer 411 to protect and support the polarizing layer 411, and may be formed of a triacetyl cell (TAC) film that is an isotropic film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film.
  • TAC triacetyl cell
  • the adhesive layer 413 may be bonded to the protective support layer 412 and may include an adhesive component to b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300.
  • the release film 420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413 to protect the adhesive component may be coupled to the polarizing plate 410, and the release film 420 may be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410 by the adhesive layer 413. I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and attachable.
  •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ttaches the polarizing plate 410 on which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off to the display panel 300.
  • 300 is moved toward the separator 100 by the supply conveyor 500.
  • the polarizing plate 410 that is, the polarizing plate assembly 400, to which the release film 420 is attached, is provided to the separator 100, and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from the polarizing plate 410 on the separator 100.
  • the polarizing plate 410 is then bo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through the adhesive layer 413.
  •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A schematic plan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separator in a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parator 100 peels the release film 420 from the polarizer 410. That is, when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410 and the release film 420 contacts the separator 100 and is pressed,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off from the flat plate. In this case, since the polarizing plate 410 and the release film 420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adhesive layer 413, when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from the polarizing plate 410, an adhesive component or the like present in the polarizing plate 410 may be used. Foreign matters are scattered, and the foreign matters flow into the attachment area of the display panel 300 and the polarizer 410 to contaminate the corresponding parts.
  • the separator 100 is form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falling from the release film 420 may be discharged when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from the polarizer 410. . That is, since foreign matters during peeling of the polarizing plate 410 and the release film 4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separator 100, contamination of the attaching part of the display panel 300 and the polarizing plate 410 due to the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 the separator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peeling unit 120, and a first flow path 130.
  • the main body 110 has a peeling part 120 extended to support the peeling part 120.
  • the main body 110 may be fixed to other members by various methods such as welding, bolting, pin coupling, etc., and may have various shapes capable of supporting the peeling unit 120, and manufactured by various materials. Can be.
  • the peeling unit 1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10 and contacts the release film 420 to peel the release film 420 from the polarizing plate 410.
  • the first flow path 130 is formed between the peeling part 120 and the main body 110.
  • the first flow path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peeling portion 120 and the shatterproof portion 140, the shatterproof portion 140 Is not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he first flow path 130 may be formed to be open between the peeling part 120 and the main body 110.
  • the second flow path 150 may not be formed and the suction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low path 130. That is,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30 by the suction unit 200.
  • the separator 100 may include a second flow path 150 and a through hole 160.
  • the second flow path 150 may pass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110.
  • the second flow path 15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ow path 130 and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suction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 the second flow paths 150 may be provided in pairs, and the pair of second flow paths 150a and 150b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5, the pair of second flow paths 150a and 150b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 the pair of second flow paths 150a and 150b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separated, and the second flow path 150 may form one flow path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ody 110 and the other end thereof.
  • the pair of second flow paths 150a and 150b are separated, the pair of second flow paths 150a and 150b are not necessarily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pair of second flow paths 150a and 150b are asymmetrically positioned. It is also possible.
  • the through hole 16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o penetrate from the first flow path 130 to the second flow path 150. That is, when the suction unit 200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operates,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130 and then moves to the second flow path 150 through the through hole 160.
  • the through hole 160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minimum width of the release film 420.
  •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60 is to be found that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 the suc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separator 100 to suck foreign matter.
  • the su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to have a vacuum ejector or a vacuum pump. In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flow path 130 is formed, the suction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low path 130, but when both the first flow path 130 and the second flow path 150 are formed, the suction unit 200 is formed. )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That is, when the suction unit 200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is opera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flow path 130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50 along the through hole 160.
  •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off from the polarizing plate 410, foreign matter falling together with air mov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50 along the through hole 160 from the first flow path 130 and the separator 100. Can be discharged completely to outside.
  • the suction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through a pipe or the lik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a predetermined suction efficiency without.
  • the nozzle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display panel 300 and the polarizing plate 410, so that the width of the polarizing plate 410 changes according to the model change of the display panel 300.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ozzle also changed continuously.
  • the suc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the polarizing plate 410 according to the model change of the display panel 300. Even if the width of the suction unit 200 is not installe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affected by this, an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ction of foreign matter can be simplified and facilitated.
  • the display panel 300 to which the polarizer 410 is not attached moves to the separator 100 through the supply conveyor 500.
  •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from the polarizing plate 410, and the polarizing plate 410 from which the release film 420 is peeled off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for example. do.
  • the display panel 300 having the polarizing plate 410 attached thereto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wing conveyor 600.
  • a first flow path 130 is formed between the peeling part 120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140, and a second flow path 150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 the first flow path 130 and the second flow path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hrough hole 160.
  • the suc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second flow path 150.
  • the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manufactured by the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TV, a computer, a monitor.
  • a display module manufactured by the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TV, a computer, a monitor.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는, 이형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있어서, 편광판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시키며, 상기 이형필름의 박리시 상기 이형필름으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세퍼레이터에 흡입유닛이 결합되어 편광판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는, 종전에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 표시 장치로서, 이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특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평면디스플레이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화질이 선명하고 구동 전력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소형 정보 기기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고화질 TV(HDTV : High Definition Television)용 방송 송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선명한 화질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면에는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편광판이 부착되며,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을 구현시킨다. 즉, 편광판은 PC, 노트북, 모바일 폰 및 캠코더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서, 이러한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에 위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온오프에 따라 원하는 방향 성분의 빛만 통과시키는 기능을 통해 액정 표시 장치의 광특성을 결정짓는다.
이와 같은 편광판에는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형필름이 편광판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된 후 편광판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다. 여기서, 이형필름이 편광판으로부터 박리되면 편광판에 존재하는 점착 성분 등의 이물질이 낙하 또는 비산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편광판의 부착 영역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편광판 부착의 불량률이 증가하고 양품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즐이 구비된 별도의 흡입 장치를 설치하여 낙하 또는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였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과 편광판의 부착 부분이 협소하여 노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흡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패널의 모델 변경에 따른 편광판 폭 변화에 따라 흡입 장치의 노즐의 설치 위치가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세퍼레이터에 흡입유닛이 결합되어 편광판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이물질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공간의 협소 정도에 관계없이 소정의 흡입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패널의 모델 변경에 상관없이 흡입유닛의 위치 변경이 필요없으며, 이물질의 흡입이 간소화되고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형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있어서, 편광판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시키며, 상기 이형필름의 박리시 상기 이형필름으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어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및 상기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박리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박리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박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본체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의 이물질이 상기 제2 유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로로부터 상기 제2 유로까지 관통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로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2 유로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유닛은 진공 이젝터 또는 진공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세퍼레이터에 흡입유닛이 결합되며, 편광판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시 흡입유닛이 작동되어 이물질이 유로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이 구비된 별도의 흡입 장치의 필요없이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이물질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공간의 협소 정도에 관계없이 소정의 흡입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유닛이 세퍼레이터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패널의 모델 변경에 상관없이 흡입유닛의 위치 변경이 필요없으며, 이물질의 흡입이 간소화되고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 조립체(400)는, 편광판(410)과, 이형필름(420)을 포함하며, 편광판(410)을 보호하도록 편광판(410)에 부착되는 보호필름(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410)은 편광막(411)과, 보호지지막(412)과, 점착층(413)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막(411)은 입사광을 소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도록 마련되며, 요오드 물질이 배향된 PVA(Poly Vinyl Alcohol)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지지막(412)은 편광막(411)의 양면에 부착되어 편광막(411)을 보호하여 지지하며 광학 필름에 해당되는 등방성 필름인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413)은 보호지지막(412)에 결합되며 점착 성분이 함유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편광판(410)에는, 점착층(413)에 부착되어 점착 성분을 보호하는 이형필름(4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형필름(420)은 점착층(413)에 의해 편광판(410)에 탈착 및 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10)는, 이형필름(420)이 박리된 편광판(410)을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부착시키는데, 우선,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공급 컨베이어(500)에 의해 세퍼레이터(100)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형필름(420)이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410), 즉, 편광판 조립체(400)가 세퍼레이터(100)에 제공되며, 세퍼레이터(100)에서 편광판(410)으로부터 이형필름(420)이 박리된 후 점착층(413)을 통해 편광판(410)이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하측에 결합된다. 다만, 편광판(410)이 반드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하측에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편광판(410)은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다양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인출 컨베이어(600)를 통해 편광판(41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외부로 인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퍼레이터(100)는 편광판(410)으로부터 이형필름(420)을 박리시킨다. 즉, 편광판(410)과 이형필름(420)의 부착 부분이 세퍼레이터(100)에 접촉되어 가압되면 이형필름(420)이 평광판으로부터 박리된다. 이 경우, 편광판(410)과 이형필름(420)은 점착층(413)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형필름(420)이 편광판(410)으로부터 박리되면 편광판(410)에 존재하는 점착 성분 등의 이물질이 비산하게 되며, 비산하는 이물질이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편광판(410)의 부착 영역으로 유입되어 해당 부분을 오염시킨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편광판(410)의 부착 부분에 불량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세퍼레이터(100)에는 편광판(410)으로부터 이형필름(420)의 박리시 이형필름(420)으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즉, 편광판(410)과 이형필름(420)의 박리시의 이물질은 세퍼레이터(100)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편광판(410) 부착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세퍼레이터(100)는 본체(110)와, 박리부(120)와, 제1 유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박리부(120)가 연장형성되며, 박리부(120)를 지지한다. 그리고, 본체(110)는 용접, 볼팅, 핀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다른 부재들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박리부(12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재료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박리부(120)는 본체(1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이형필름(420)에 접촉되어 편광판(410)으로부터 이형필름(420)을 박리한다. 그리고, 제1 유로(130)는 박리부(120)와 본체(110)의 사이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비산방지부(140)가 본체(1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경우 제1 유로(130)는 박리부(120)와 비산방지부(1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비산방지부(140)가 본체(110)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제1 유로(130)는 박리부(120)와 본체(110) 사이에서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로(150)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흡입유닛(200)은 제1 유로(1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물질이 흡입유닛(200)에 의해 제1 유로(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세퍼레이터(100)에는 비산방지부(140)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만약, 비산방지부(140)가 형성되지 않다면, 편광판(410)으로부터 낙하되는 점착 성분 등의 이물질이 제1 유로(130)를 통해 흡입유닛(200)으로 흡입될 수도 있지만, 세퍼레이터(100)의 외부로 비산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산방지부(140)는 박리부(120)로부터 이격되고 박리부(120)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1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박리부(120)는 본체(110) 하측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비산방지부(140)는 박리부(120)로부터 이격되어 본체(110) 상측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박리부(120)와 비산방지부(140) 사이에 제1 유로(130)가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100)는 제2 유로(150)와, 관통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150)는 본체(110)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유로(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150)는 제1 유로(13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이며, 제2 유로(1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로(150)에는 흡입유닛(2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로(15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유로(150a, 150b)는 본체(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유로(150a, 150b)는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제2 유로(150a, 150b)가 반드시 분리될 필요는 없으며, 제2 유로(150)는 본체(1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결되어 관통되는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유로(150a, 150b)가 분리되더라도 반드시 본체(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될 필요는 없으며, 한 쌍의 제2 유로(150a, 150b)가 비대칭으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관통공(160)은 제1 유로(130)로부터 제2 유로(150)까지 관통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다. 즉, 제2 유로(150)에 결합된 흡입유닛(200)이 작동하면 이물질이 제1 유로(130)로 유입된 후 관통공(160)을 통해 제2 유로(150)로 이동하며, 제2 유로(150)를 통해 세퍼레이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관통공(160)은 생산되는 이형필름(420) 모델들 중에서 최소의 폭을 가지는 이형필름(420)의 폭을 기준으로, 이형필름(420)의 최소 폭 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공(160)이 이형필름(420)의 최소 폭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이유는, 이형필름(420)의 폭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관통공(160)은 여전히 이형필름(420)의 폭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모델 변화에 따른 별도의 대응이 없더라도 이물질이 관통공(160)으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관통공(160)이 이형필름(420)의 폭의 외측에 위치한다면 이형필름(420)의 폭의 외측에 위치한 관통공(160)으로 유량이 집중되므로, 이물질의 포집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관통공(160)은 이형필름(420)의 최소 폭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 관통공(16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로(15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관통공(160a, 160b)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제2 유로(150a, 150b)의 각각을 관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흡입유닛(200)은 세퍼레이터(100)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흡입한다. 흡입유닛(20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공 이젝터 또는 진공 펌프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130)만 형성되는 경우 흡입유닛(200)은 제1 유로(130)에 결합될 수 있지만, 제1 유로(130)와 제2 유로(150)가 모두 형성되는 경우 흡입유닛(200)은 제2 유로(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유로(150)에 결합된 흡입유닛(200)이 작동하게 되면, 공기는 제1 유로(130)로부터 관통공(160)을 따라 제2 유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편광판(410)으로부터 이형필름(420)이 박리될 때 낙하하는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제1 유로(130)로부터 관통공(160)을 따라 제2 유로(150)를 통해 이동하면서 세퍼레이터(100)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편광판(410)의 부착 부분이 협소하여 노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였으며, 노즐을 정확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흡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10)의 경우, 흡입유닛(200)은 외부에 설치되고 파이프 등을 통해 제2 유로(150)에 결합되므로, 공간의 협소 정도에 관계없이 소정의 흡입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노즐이 구비된 별도의 흡입 장치의 경우 노즐이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편광판(410)의 근접하게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모델 변경에 따른 편광판(410)의 폭이 변화하게 되면 노즐의 설치 위치도 계속적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10)의 경우, 흡입유닛(200)이 제2 유로(1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모델 변경에 따른 편광판(410)의 폭이 변화하더라도 흡입유닛(200)의 설치 위치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이물질의 흡입이 간소화되고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판(410)이 부착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공급 컨베이어(500)를 통해 세퍼레이터(100)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00)에서 이형필름(420)이 편광판(410)으로부터 박리되며, 이와 같이 이형필름(420)이 박리된 편광판(410)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하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편광판(410)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인출 컨베이어(60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세퍼레이터(100)에는, 박리부(120)와 비산방지부(140) 사이에 제1 유로(130)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제2 유로(150)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유로(130)와 제2 유로(150)는 관통공(1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유로(150)에는 흡입유닛(200)이 결합된다.
즉, 이형필름(420)이 편광판(410)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편광판(410)에 존재하는 점착 성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낙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제1 유로(130)로부터 관통공(160)을 통해 제2 유로(150)를 따라 흡입유닛(200)에 흡입되어 세퍼레이터(100)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의해, 편광판(410)을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부착시 이물질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편광판(410)이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이 해당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1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10)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이형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있어서,
    편광판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시키며, 상기 이형필름의 박리시 상기 이형필름으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형필름에 접촉되어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상기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및
    상기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박리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박리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박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본체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의 이물질이 상기 제2 유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로로부터 상기 제2 유로까지 관통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호 분리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2 유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진공 이젝터 또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모듈.
  9. 제8항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PCT/KR2016/013305 2015-11-19 2016-11-18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WO20170867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45657A JP6458970B2 (ja) 2015-11-19 2016-11-18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製造装置
US15/554,330 US10677784B2 (en) 2015-11-19 2016-11-18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CN201680019008.XA CN107430298B (zh) 2015-11-19 2016-11-18 制造显示模块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24A KR102024905B1 (ko) 2015-11-19 2015-11-19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KR10-2015-0162724 2015-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6726A1 true WO2017086726A1 (ko) 2017-05-26

Family

ID=5871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305 WO2017086726A1 (ko) 2015-11-19 2016-11-18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7784B2 (ko)
JP (1) JP6458970B2 (ko)
KR (1) KR102024905B1 (ko)
CN (1) CN107430298B (ko)
TW (1) TWI651555B (ko)
WO (1) WO2017086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3878B (zh) * 2021-03-18 2021-06-22 昀厨智能制造工程(烟台)有限公司 一种用于食品加工的开封及传送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647A (ko) * 1999-06-09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KR20100067910A (ko) * 2008-12-12 2010-06-22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롤 상의 이물질 제거용 블레이드 장치
KR20130119404A (ko) * 2013-10-10 2013-10-31 정양수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KR20140035635A (ko) * 2012-09-14 2014-03-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필름 세정 장치
JP2015025948A (ja) * 2013-07-26 2015-02-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体からの異物除去方法、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2528B1 (en) 1999-01-20 2001-01-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Charge sharing circuit for fanout buffer
JP4417824B2 (ja) * 2004-12-03 2010-02-17 第一精工株式会社 フィルム貼着装置およびフィルム貼着方法
KR100710079B1 (ko) 2005-07-13 2007-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필름부착장치
KR20070090422A (ko) 2006-03-02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기구를 구비한 포토 레지스트 도포장치
KR100819818B1 (ko) 2006-07-27 2008-04-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라인형 편광판 부착장치 및 편광판 부착방법
JP5356449B2 (ja) * 2011-04-28 2013-12-04 住友化学株式会社 ナイフエッジ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
JP6101431B2 (ja) * 2012-04-16 2017-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US9914289B2 (en) * 2014-01-08 2018-03-13 Lg Chem, Ltd. System for laminating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ni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647A (ko) * 1999-06-09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기능필름 부착장치 및 기능필름 부착방법
KR20100067910A (ko) * 2008-12-12 2010-06-22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롤 상의 이물질 제거용 블레이드 장치
KR20140035635A (ko) * 2012-09-14 2014-03-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필름 세정 장치
JP2015025948A (ja) * 2013-07-26 2015-02-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体からの異物除去方法、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30119404A (ko) * 2013-10-10 2013-10-31 정양수 식품 포장용 필름 원단 이물질 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0598A (zh) 2017-09-01
CN107430298A (zh) 2017-12-01
KR102024905B1 (ko) 2019-09-24
TWI651555B (zh) 2019-02-21
JP2018511076A (ja) 2018-04-19
JP6458970B2 (ja) 2019-01-30
US20180044557A1 (en) 2018-02-15
KR20170058735A (ko) 2017-05-29
US10677784B2 (en) 2020-06-09
CN107430298B (zh)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9652A1 (en) Display panel with camera function
JP2009086073A (ja) 液晶表示装置
WO201012620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87006A1 (zh) 一种显示模组及显示器
US20050264689A1 (en) Display panel having a video camera
CN101957513A (zh) 带保护板的电子部件
WO2017015978A1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WO2017086726A1 (ko)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장치
US20050219807A1 (en) Portable multi-display device
KR1020290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7576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부착하는 방법
WO2021025312A1 (en) Display modu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WO2014032332A1 (zh) 显示装置
WO2021031394A1 (zh) 背光模组、显示装置
KR1020608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893B1 (ko) 디스플레이모듈 세정장치 및 디스플레이모듈 세정방법
WO202015915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629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2830516A (zh) 显示装置
WO2017188667A1 (ko) 코팅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KR102601572B1 (ko) 이물 제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이물 제거 방법
WO2007023534A1 (ja) 表示パネル装置
CN113625482A (zh) 一种液晶电视的直下式液晶显示模组及安装方法
KR101470960B1 (ko) 비아홀이 구비된 기판을 이용한 전계구동표시장치용 구동소자의 주입방법
KR101201302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66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4565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433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66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