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050A - 투사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050A
KR20010034050A KR1020007007658A KR20007007658A KR20010034050A KR 20010034050 A KR20010034050 A KR 20010034050A KR 1020007007658 A KR1020007007658 A KR 1020007007658A KR 20007007658 A KR20007007658 A KR 20007007658A KR 20010034050 A KR20010034050 A KR 2001003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corative
image data
data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859B1 (ko
Inventor
이토타카푸미
아카이와쇼이치
미야시타키요시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3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09G5/39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o the screen simultaneously, e.g. for mixing or over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않고서, 투사되는 화상에 장식효과를 중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투사형표시장치는, 임의의 화상을 장식하기 위해서 쓰이는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효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메모리와,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과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함으로써,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장식 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소마다 구동되는 광변조수단과, 광변조수단의 구동에 의해 얻어지는 장식 필 화상을 상기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광학계를 구비한다. 투사형화상장치는,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않고서, 투사되는 화상에 장식효과를 중첩한다.

Description

투사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PROJECTION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FOR, AND IMAGE DISPLAY}
투사형표시장치는, 입력된 화상을 투사스크린 위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에 사용되는 것이 많다. 프레젠테이션에 있어서는, 투사된 화상에 의거하여 설명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투사화상 위의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화살표도형 등의 장식효과화상(장식화상)을 그 화상에 중첩시키면 편리하다.
종래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퍼스널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퍼스널컴퓨터에 있어서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고 있었다. 투사형표시장치는, 퍼스널컴퓨터에서 출력된 중첩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된 화상을 투사스크린 위에 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투사형표시장치에서의 지령에 의거하여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퍼스널컴퓨터에 미리 인스톨(install)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투사형표시장치에 입력되는 신호가 비디오레코더나 텔레비전에서 출력된 화상신호일 때에는, 원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킬 수 없었다. 즉, 투사된 화상에 장식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지 여부는, 투사형표시장치에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 특히,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스크린 위에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기술에 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영상신호변환회로(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식효과 메모리(24),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 프레임 메모리(2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장식효과중첩회로(1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프레임 메모리(22)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중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에 전개되어 있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퍼스널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퍼스널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b)에 나타내는 장식효과화상이 전개되어 있을 때의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투명한 장식효과를 중첩하였을 때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였을 때의 장식효과화상의 표시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영상신호변환회로(6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비디오프로세서(62)내부의 데이터 셀렉터(64)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영상신호변환회로(2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 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사용자가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하는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화상 데이터(DV2)에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가 중첩된 제1의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제1의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가 중첩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SDV3)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는 특정형상의 장식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장식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원화상에 사각형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원화상에 사각형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원화상에 사각형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시점 포인터(BPS)의 위치(SP)와, 종점(EP)의 위치를 지정하는 BOX 좌표지정 포인터(BP)의 위치(CP)와의 관계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원화상에 마커(marker)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원화상에 마커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원화상에 마커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원화상에 라인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원화상에 라인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투사되는 화상에 장식효과를 중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투사형표시장치는, 임의의 화상을 장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효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메모리와,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나태내어지는 원화상과, 상기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는 것에 의해, 장식 필(畢)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소마다 구동되는 광변조수단과, 상기 광변조수단의 구동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장식 필 화상을 상기 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기 위한 화상장식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사형표시장치내부에 있어서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할 수가 있고,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서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상기 장식효과화상을 상기 원화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중첩하는 화상중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화상중첩부에 의해 원화상의 임의의 위치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는 자유도가 커진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효과 메모리는, 복수종류의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복수종류의 장식효과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화상중첩부는,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장식효과화상을, 상기 원화상의 각각 지정된 위치에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복수종류의 장식효과화상 중에서 임의의 장식효과화상을 선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장식효과화상을 선택하여 원화상에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중첩부는, 상기 장식효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비트 맵(bit map)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와,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광변조수단의 전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메모리영역을 가지고,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판독출력된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광변조수단에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된 원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한 장식 필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입력되기 위해서, 프레임 메모리에서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판독출력하면 장식 필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혹은,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중첩부는, 상기 장식효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비트 맵 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와, 상기 광변조수단의 전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메모리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된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광변조수단에 주어지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의 투사형표시장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다만,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하여 표시하는 상기의 투사형표시장치에 대하여, 본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출력하면서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기 때문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기 위한 지령으로부터 장식 필 화상의 표시까지의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화소마다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셀렉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 셀렉터가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로 치환(置換)하는 것에 의해 원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에 각각의 계수를 화소마다 곱셈하기 위한 곱셈부와, 상기 곱셈부에서 곱셈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화소마다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도, 계수를 적당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화상과 원화상의 농도(휘도)의 비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곱셈부에서의 상기 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와의 합성비율을 바꾸어 장식효과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계수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곱셈부의 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의 투명도를 바바꿀 수가 있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설정부는, 상기 곱셈부에서의 상기 계수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와의 합성비율을 바꾸어 장식효과의 투명도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곱셈부의 계수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의 투명도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투사형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의 장식 메모리와, 형상을 닮은 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의 장식 메모리와,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에, 종류가 다른 제1종의 장식화상 및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중첩하여,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표시신호를 생성하는 화상표시신호생성부와, 상기 화상표시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출하는 전기광학장치와, 상기 전기광학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영하는 투사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장식화상을 원화상에 중첩하기 위한 화상장식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사형표시장치내부에 있어서 장식화상을 중첩할 수가 있고,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서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 및 형상을 닮은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원화상에 중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원화상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장식을 할 수 있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장식 메모리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n분의 1(n은 1이상의 정수)의 라인수 및 n분의 1의 화소수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이 중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기억영역에,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는,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원화상에 중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원화상 데이터에, 제1의 장식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와 제2의 장식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한쪽이 중첩되어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에 기록입력된 원화상 데이터를 변경하는 일없이,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n은 2이상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프레임 메모리에 비하여 적은 기억 용량으로 제1의 장식화상을 기억시킬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원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의 장식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에 각각의 계수를 화소마다 곱셈하기 위한 곱셈부와, 상기 곱셈부에서 곱셈된 상기 원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화소마다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계수를 적당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원화상과, 제1의 장식화상 또는 제2의 장식화상과의 농도(휘도)의 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화상장식부는, 상기 곱셈부에서의 상기 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와의 합성비율을 바꾸어 중첩된 상기 제1종 또는 제2종의 장식화상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계수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곱셈부의 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1의 장식화상이나 제2의 장식화상의 투명도를 바꿀 수 있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그 위에,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로서 복수종류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격납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에는, 상기 격납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개의 장식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미리 준비된 복수종류의 장식화상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장식화상을 선택하여, 보다 효과적인 장식화상을 원화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설정된 묘화조건에 따라서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을 묘화하는 묘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묘화부는,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묘화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 선택된 특정한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인 묘화지정화상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에 적어도 의거하여,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을 상기 제1의 장식 메모리 내에 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묘화부가 제1의 장식화상을 묘화하기 위해서 설정되어져야 하는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를, 제1종의 장식화상의 묘화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 선택된 특정한 제2종의 장식화상인 묘화지정화상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화부는, 적어도 2개의 상기 묘화지시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가 설정될 때에, 설정되려고 하고 있는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2개의 묘화지시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격납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하여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제1종의 장식화상을 설정할 때에, 설정되려고 하고 있는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화상표시장치는,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의 장식 메모리와, 형상을 닮은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의 장식 메모리와,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에, 종류가 다른 제1종의 장식화상 및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중첩하여,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표시신호를 생성하는 화상표시신호생성부와, 상기 화상표시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출하는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고,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서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원화상에 의해 효과적인 장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표시방법은, 광변조수단을 구비한 투사형표시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스크린 위에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화상을 장식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효과 데이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과, 상기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는 것에 의해,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소마다 광변조수단을 구동하는 공정과, 상기 광변조수단의 구동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장식 필 화상을 상기 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의 본 발명의 제1의 투사형표시장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지고,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서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의 표시방법은, 투사형표시장치에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에 장식을 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정과,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정과, 형상을 닮은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에, 종류가 다른 제1종의 장식화상 및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중첩하여,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의 본 발명의 제2의 투사형표시장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고, 화상입력장치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서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제어방법은,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표시제어방법으로서,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메뉴화면을 중첩 표시시키는 공정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메뉴화면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장식화상 중에서 장식하고 싶은 장식화상을 선택하고, 또한 상기 메뉴화면에 있어서 상기 장식화상의 색 등의 표시조건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메뉴화면을 소거(消去)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한 장식화상 및 그 표시조건을 심볼릭화한 표시 포인터(pointer)화상을 중첩 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표시 포인터화상을 이동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장식화상의 시점을 결정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장식화상의 시점위치를 나타내는 시점 포인터화상을 중첩 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표시 포인터화상을 다시 이동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장식화상의 종점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장식화상의 시점위치와 종점위치의 2점 사이에 상기 장식화상을 중첩 표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는 것에 의해, 투사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투사면에 화상표시하여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에, 발표자는 투사면 및 투사형표시장치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원화상에 있어서의 주목하여 받고 싶은 개소에 장식화상을, 부가하고 중첩표시할 수 있다. 특히, 장식화상이 복수준비 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 포인터화상(아이콘)이 장식화상의 종류와 그 화상의 색 등의 표시조건을 심볼릭화한 것이기 때문에, 발표자의 조작이 용이하여 진다. 또, 이 경우, 시점 포인터화상도, 장식화상의 종류와 그 표시조건(색이나 선폭 등)을 심볼릭화한 화상으로 되어있으면, 그 위에 장식화상의 표시제어가 취급하기 쉽게 된다.
상기 표시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점위치 포인터화상은, 상기 장식화상의 중첩되는 위치의 방향을 나타내는 복수 종류의 포인터화상을 가지고, 상기 시점위치를 기점으로 한 상기표시 포인터화상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복수종류의 포인터화상으로부터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표시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화상은, 선 또는 범위가 적어도 색이 복수색 중에서 선택가능함으로서, 적어도 상기 표시 포인터화상은 해당 선택된 색에 따른 색이 부가된 화상으로서 중첩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하는 것에 의해, 원화상에 대하는 장식화상의 중첩표시제어가 사용자에게 있어서 제어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에 상기 발명의 각 공정 또는 각부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도 향하여지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A.제1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투사형표시장치는, 영상신호변환회로(10)와, 장식효과중첩회로(12)와,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와,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과, 프레임 메모리(22)와, 장식효과 메모리(24)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와, 조명광학계(100)와, 투사광학계(102)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신호변환회로(10)와, 장식효과중첩회로(12)와, 장식효과 메모리(24)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는, 버스(1)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도 버스(1)에 접속되어 있지만, 도 1에서는 그 접속을 생략하고 있다.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은, 조명광학계(100)에서 거의 균일하게 조명되어 있고,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표시된 화상은, 투사광학계(102)에 의하여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광학계(100, 102)는, 간략화되어 있다.
영상신호변환회로(10)는, 입력된 아나로그화상신호(AV1)를 AD변환하여, AD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하거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2)로부터 판독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아나로그화상신호(AV1)로서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컴퓨터화면을 나타내는 RGB신호(S1)나, 비디오 레코더나 텔레비전에서 출력된 동화(動畵)를 나타내는 컴포지트화상신호(S2)등의 화상신호가 공급된다.
도 2는, 영상신호변환회로(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영상신호변환회로(10)는, 동기분리부(30)와, AD변환부(32)와, 비디오프로세서(34)를 구비하고 있다.
동기분리부(30)는, 입력되는 아나로그화상신호(AV1)가 컴포지트화상신호(S2)인 경우에는, 컴포지트화상신호(S2)를 동기신호(WSYNC)와 컴포넨트(component)화상신호(S3)(동기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아나로그화상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이 컴포넨트화상신호(S3)는, RGB의 3색의 화상을 나타내는 3개의 색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되는 아나로그화상신호(AV1)가 RGB신호(S1)인 경우에는, 별도 그 동기신호가 입력되기 위해서, 동기분리부(230)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AD변환부(32)는, RGB신호, 혹은 동기분리부(30)로부터 출력된 컴포넨트화상신호(R, G, B 신호)(S3)를, AD변환부(32)내의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AD변환기에 의해서, 색신호마다 화상 데이터(DV1)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복수의 AD 변환기에 있어서의 AD 변환의 타이밍은, 동기신호(WSYNC)에 의거하여 비디오프로세서(34)내부에서 생성되는 도트클럭(DCLK)에 의해 제어된다.
비디오프로세서(34)는, 프레임 메모리(22)에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입력 제어나 판독출력제어 등의 여러가지의 화상처리를 행하기 위한 회로(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AD변환부(3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DV1)는, 일단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되고,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22)로부터 판독출력된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22)에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입력은, 동기신호(WSYNC)에 동기하여 행하여진다. 또, 프레임 메모리(2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출력이나, 비디오프로세서(3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DV2)의 후단(後段)의 회로에서의 처리는, 후술하는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도 1)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 RSYNC)에 동기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제1의 동기신호(WSYNC)와 제2의 동기신호( RSYNC)는 서로 비동기(非同期)이다. 물론, 제1의 동기신호(WSYNC)와, 제2의 동기신호(RSYNC)로서, 서로 동기하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비디오프로세서(34)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입력제어신호생성회로와 판독출력제어신호생성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신호생성회로는,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할 때의, 혹은 판독출력할 때의, 어드레스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프레임 메모리(22)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상 데이터는, 기록입력제어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어드레스나 제어신호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된다. 또,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된 화상데이터는, 판독출력제어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어드레스나 제어신호에 따라서 판독출력된다. 또한, 이들의 어드레스나 제어신호는, 동기신호(WSYNC 혹은 RSYNC)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메모리(24)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기 위한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효과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 데이터는, 압축되어 장식효과압축데이터로서 장식효과 메모리(24)에 격납되어 있다. 또, 장식효과압축 데이터를 전개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 격납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식효과 메모리(24),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 프레임 메모리(2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은, 장식효과 메모리(24)내부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부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c)은, 프레임 메모리(22)내부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메모리(24)내에는, 복수종류의 장식효과압축 데이터(CPD)가 격납되어 있고, 또, 장식효과압축 데이터(CPD)를 비트 맵형식으로 전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은 장식효과 메모리(24)의 메모리공간의 어드레스「0000」이후에 격납되어 있고, 압축 데이터(A, B, C)는, 각각 어드레스「0A00」,「0BO0」,「OCO0」이후에 격납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는, 장식효과 메모리(24)내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비트 맵형식으로 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l) (직사각형의 장식효과화상)과, 입력화상 데이터에의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위치 및 중첩범위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PD)가 격납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의 메모리공간의 어드레스「0000」이후에 전개되어 있다. 또, 좌표데이터(PD)는, 어드레스「AAAA」이후에 격납되어 있고, 2점의 좌표{(x1, y1), (x2, y2)}를 포함하고 있다. 제1의 좌표(x1, yl)는, 화상 데이터중의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2개의 좌표(x1, yl), (x2, y2)로, 장식효과화상의 중첩범위(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프레임 메모리(22)내에는, 입력된 1프레임분(分)의 화상 데이터(나무의 도형)가 비트 맵형식으로 기억되어 있다. 도 3(c)에 나타내어지고 있는 좌표{(x1, yl), (x2, y2)}는, 프레임 메모리(22)내의 어드레스「0000」를 좌표(0, 0)로 하였을 때의 좌표이다. 이 좌표{(x1, yl), (x2, y2)}가, 도 3(b)에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PD)에 대응한다. 도 3(b)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좌상점(a)이 좌표(x1, yl)에 대응하고, 우하점(b)이 좌표(x2, y2)에 대응한다.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는, 사용자가, 복수종류의 장식효과화상 중에서, 임의의 종류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전개된다. 또, 좌표 데이터(PD)는, 사용자가 화상 데이터중의 중첩위치, 혹은 중첩위치와 중첩범위를 지정하는것에 의해 얻어진다. 중첩위치만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좌표(x1, yl)가 결정되고, 장식효과화상의 종류에 의해서 미리 정해지고 있는 크기에 의해 좌표 데이터(x2, y2)가 결정된다. 또, 중첩위치와 중첩범위의 쌍방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중첩위치의 지정에 의해 좌표(x1, y1)가 결정되고, 중첩범위(크기)의 지정에 의해 좌표(x2, y2)는, (x2+x, y2+y)로 치환된다. 이것에 의해, 장식효과화상을 임의의 크기로 확대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좌표 데이터(PD)에 관해서는, 그 위에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 및 좌표 데이터(PD)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 격납되어 있지만, 장식효과 메모리(24)에 격납하여도 좋다.
장식효과중첩회로(12)는, 입력된 화상과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장식효과중첩회로(12)는, 영상신호변환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DV2)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에 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 BMD1){도 3(b)}를 중첩한다.
도 4는, 장식효과중첩회로(1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장식효과중첩회로(12)는, 2개의 곱셈부(40, 42)와, 1개의 가산부(44)와, 계수설정부(46)를 포함하고 있다. 2개의 곱셈부(40, 42)와, 1개의 가산부(44)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RGB의 각 색마다 설치되어 있다. 비디오프로세서(3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DV2)는 제1의 곱셈부(40)에 입력되고,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 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는 제2의 곱셈부(42)에 입력된다.
계수설정부(46)는,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계수 kl, k2는, 각각 「0」부터「1」까지의 값을 설정할 수가 있고, 통상, k1과 k2와의 합이「1」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계수(kl, k2)는, 좌표 데이터(PD) {(도 3(b)}에 의거하여 계수설정부(46)에 의해 제어된다.
곱셈부(40,42)는, 각각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 데이터를 순차, 정수를 곱하기 위한 회로이다. 화상 데이터(DV2)는, 곱셈부(40)에 있어서 k1배의 신호로 변환된다. 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는, 곱셈부(42)에 있어서 k2배의 신호로 변환된다. 곱셈부(40, 42)에 있어서 변환되고, 출력된 화상 데이터(DV3) 및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2)는, 가산부(44)에 입력된다.
가산부(44)는, 입력되는 2개의 화상신호의 화소 데이터를 순차, 가산하기 위한 회로이다. 가산부(44)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DV3)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 (BMD2)가 가산되고,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가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곱셈부(40, 42)와 가산부(44)와 계수설정부(46)가 본 발명의 제1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합성부에 상당한다.
장식효과중첩회로(12)로부터 출력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는,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도 1)에 공급된다.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는, 이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에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된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표시된 화상은, 광학계(100, 102)를 사용하여 투사 스크린(104)위에 투사된다. 즉, 조명광학형(100)에 의해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입사한 광이,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주어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변조되고,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로부터의 출사광이 투사광학계(102)에 의하여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이 본 발명의 제1의 투사형표시장치 에 있어서 광변조수단에 상당한다.
리모콘제어부(28)(도 1)는, 리모콘(29)으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투사형표시장치의 각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리모콘제어부(28)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은, 주로 장식효과에 관하는 처리이다. 예컨대, 리모콘(29)으로부터의, 장식효과화상의 종류의 선택이나,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위치, 중첩범위, 장식효과화상의 표시비표시 등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영상신호변환회로(10)와, 장식효과중첩회로(12)와, 리모콘제어부(28)의 기능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할 수있다. 이들의 각부의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은, 플로피디스크나 CD-ROM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컴퓨터(투사형표시장치)는, 그 기록매체로부터 컴퓨터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내부기억장치 또는 외부기억장치에 전송(轉送)한다. 혹은, 통신경로를 거처서 프로그램공급장치로부터 컴퓨터에 컴퓨터프로그램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컴퓨터의 기능을 실현하는 때에는, 내부기억장치에 격납된 컴퓨터프로그램이 컴퓨터의 CPU(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직접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란, 하드웨어장치와 오퍼레이션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오퍼레이션시스템의 제어 하에서 동작하는 하드웨어장치를 의미하고 있다. 또, 오퍼레이션시스템이 불필요하여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단독으로 하드웨어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그 하드웨어장치자체가 컴퓨터에 상당한다. 하드웨어장치는, CPU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프로그램은, 이러한 컴퓨터에, 상술의 각 수단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술의 기능의 일부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아니고, 오퍼레이션시스템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발명에 있어서「기록매체」로서는, 플렉시블디스크나 CD-R0M, 광자기 디스크, IC카드, R0M카트릿지, 펀치카드, 바코드 등의 부호가 인쇄된 인쇄물, 컴퓨터의 내부기억장치(RAM이나 R0M 등의 메모리) 및 외부기억장치 등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여러가지의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프레임 메모리(22)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중첩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프레임 메모리(22)내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고, 화상 데이터(문서)가 기억되어 있다. 도 5(b)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고,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l)(직사각형)가 기억되어 있다. 또,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는, 중첩위치 및 중첩범위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PD)가 기억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PD)의{(x1, yl), (x2, y2)}는, 도 5(a)에 나타내는 좌표{(x1, yl), (x2, y2)}에 대응하고 있다. 도 5(c)는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중첩한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가 나타내는 장식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중첩은, 좌표 데이터( PD)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장식효과중첩회로(12)(도 4)내의 제1의 곱셈부(40)에는, 화상 데이터가 순차 입력되지만, 제2의 곱셈부(42)에는, 중첩하는 부분, 즉 좌표(x1, yl)와(x2, y2)와의 범위내에 있어서만의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입력된다.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곱셈부(42)에 입력시키는 타이밍은, 좌표 데이터(PD)에 의거하여 CPU(2025)에 의해 제어된다. 또, 곱셈부(42)에의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입력과 동시에,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변경한다. 즉, 곱셈부(42)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는, 곱셈부(40, 42)의 계수(k1, k2)는 (1, 0)으로 설정되고, 곱셈부(42)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는, 계수(k1, k2)는 0, 1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좌표 데이터(x1, yl)와(x2, y2)와의 범위이외의 화소에 관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원화상의 화상 데이터(문서 데이터)가 장식효과중첩회로(12)로부터 출력되고, 2개의 좌표{(x1, yl), (x2, y2)}의 범위내의 화소에 관해서는, 도 5(b)의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장식효과중첩회로(12)로부터 출력된다. 이와같이 하여,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중첩되어, 도 5(c)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가 생성된다.
또한, 장식효과화상은, 화상 데이터중의 중첩위치에 대응하도록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에 전개되어도 좋다. 도 6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내에 전개되어 있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분에 상당하는 메모리용량이 장식효과화상의 전개에 할당되어 있고, 장식효과도형은 좌표{(x1, yl), (x2, y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전개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화상중의 같은 위치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가 동시에, 각각 곱셈부(40, 42)에 입력된다. 이때, 좌표 데이터(PD)의 좌표(x1, yl)와(x2, y2)와의 범위외에서는, 계수(kl, k2)는(1, 0)으로 설정되고, 좌표(x1, yl)와(x2, y2)와의 범위내에서는, 계수(kl, k2)는 (0, 1)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도,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중첩시켜, 도 5(c)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를 생성할 수가 있다.
상술과 같이, 장식효과화상을 도 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전개하는 경우에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기억영역으로서, 1프레임분의 메모리용량이 필요하게 되지만, 도 5(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전개하는 경우에는, 비트 맵전개된 장식효과도형의 크기와 같은 정도의 메모리용량을 가지면 좋기 때문에, 메모리용량이 작아도 좋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에서는, 입력화상(막대 그래프)에, 포인터(손가락질 도형)의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7(b)에서는, 입력화상(흐름도)에, 포인터(체크의 도형)의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7(c)에서는, 입력화상(문서)에 수평방향의 직선의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또, 도 8도,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 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에서는, 입력화상(문서)에 마커의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8(b)에서는, 입력화상(비행기의 도형)에 타원의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8(c)에서는, 입력화상(문자「A」)에 직사각형의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표 데이터(PD)는,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위치 및 중첩범위를 나타내는 2점의 좌표를 포함할 뿐이기 때문에, 도 7(a, b) 및 도 8(b)에 나타내는바와 같은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2점의 좌표에 의해서 지정된 범위 중,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관해서는 중첩시키지 않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도 9는, 도 7(b)에 나타내는 장식효과화상이 전개되어 있을 때의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중, 사선을 붙인 체크도형의 부분이외의 화소에 관해서는, 입력화상에 중첩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의 화소에 관해서는, 특정의 화소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는 화소로는, 사용하지 않는 화소 데이터, 예컨대, RGB의 3색의 화소 데이터의 모든 비트가 「0」과같은 화소 데이터로 전개하면좋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계수설정부(46)에 입력하여, 계수설정부(46)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조사하고,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화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화소인 것을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곱셈부(40, 42)에 주어지는 계수(kl, k2)을(1, 0)로 변경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의 일부의 도형만이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중첩시킬 수 있다. 물론, 좌표 데이터(PD)를,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다수점의 좌표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좌표 데이터(PD)만에 의해서,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는 부분만을 중첩시킬 수 있다.
도 7(a)~(c)에 나타내는 장식효과화상(포인터, 직선 등)은, 투사화상중의 중첩위치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중첩된다. 이 때, 좌표 데이터(PD)는, 지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x1, yl)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 장식효과화상의 크기로 결정되는 좌표(x2, y2)로 구성된다. 또, 도 8(a)~(c)에 나타내는 장식효과화상(마커, 타원, 직사각형 등)은, 투사화상중의 중첩위치 및 중첩범위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중첩되어 있다. 이 때, 좌표 데이터(PD)는, 미리 설정된 좌표(x1, y1)와, 지정된 크기에 대응하는 좌표(x2, y2)로 구성된다. 또한, 장식효과화상으로서는, 도 7, 도 8에 예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도형을 장식효과화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8(a)~(c)에 나타내는 마커, 타원, 직사각형 등의 장식효과화상이면, 도 1에 나타내는 장식효과 메모리(24)에 미리 장식효과화상을 격납하지 않더라도, 묘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비트 맵 데이터를 생성할 수가 있다. 즉, 리모콘(29)으로 묘화한 도형의 비트 맵 데이터를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에 직접 기록입력하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에 중첩시키는 장식효과화상은, 미리 장식효과 메모리(24)에 격납된 장식효과화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 이러한 묘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리모콘(29)으로 지정한 임의형상의 장식효과화상, 예컨대, 자유곡선 등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는, 화상중의 중첩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PD)를 포함하기 때문에, 리모콘(29)으로 지정한 임의의 위치에 장식효과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 및 좌표 데이터(PD)의 내용은, 항상, 동기신호(RSYNC)에 동기하여, 갱신되어 있기 때문에, 리모콘(29)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화상을 투사화상내의 모든 위치에 리얼타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임의의 종류의 복수 장식효과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고, 장식효과화상을 표시한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다. 또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생성은, 리모콘(29)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리모콘제어부(28)가, 장식효과 메모리(24)내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화상은, 입력된 원화상의 위에 빈틈없이 모두 칠해져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때, 입력된 원화상의 일부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로 치환되어져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장식효과중첩회로(12)에 있어서, 장식효과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관해서는, 곱셈부(40,42)의 계수(kl, k2)는 (1,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장식효과가 부가되어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계수(kl, k2)는 (0, 1)로 설정되어 있다.
또,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투명의 장식효과를 부가할 수가 있다. 예컨대,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동시에「1/2」로 하면, 장식효과를 부가하는 부분에 관해서도, 입력화상이 장식효과를 투과하고 있 는 것 처럼 보인다.
도 10은, 투명한 장식효과를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a)은, 도 7(c)의 장식효과를, 투명한 장식효과로서 중첩시킨 투사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b)은, 도 8(c)의 장식효과를, 투명의 장식효과로서 중첩시킨 투사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장식효과중첩회로(12)(도 4)의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동시에「1/2」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투명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도 7, 도 8, 도 10에 나타내는 장식효과는,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0」, 「1」, 「1/2」과 같이 항상 일정한 값으로서 얻어졌지만, 계수(k1, k2)의 값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켜도 좋다. 예컨대, 장식효과를 부가한 부분에 관해서, 처음에 계수(kl, k2)를 (0, 1)로 설정하고, 시간과 함께 서서히 (0.1, 0.9), (0.2, 0.8)(1, 0)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시간과 함께 계수(kl, k2)를 변화시킨 경우, 장식효과를 부가한 부분에 관해서는, 처음에 입력화상이 장식효과화상에 의해 빈틈없이 모두 칠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과 동시에 서서히 투명한 장식효과를 부가한 것처럼 보이고, 최종적으로, 장식효과가 소실한 것처럼 보인다. 곱셈부(40, 42)의 계수 (k1, k2)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이러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계수치의 변경은, CPU(20)으로부터의 지령에 의거, 계수설정부(46)에 의해 제어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시키었을 때에는, 표시시키는 확대부분의 변경에 따라, 장식효과화상의 표시위치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1은,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였을 때의 장식효과화상의 표시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a)은, 1프레임분의 원화상(알파벳의 문자열)에 사각형의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킨 경우의 투사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장식효과화상(사각형)은, 도 11(a)의 중앙부분에 중첩되어 있고, 장식효과화상에 의해 원화상의「M」의 문자가 숨겨져 있다. 도 11(b)은, 도 11(a)에 나타내는 화상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하였을 때의 투사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장식효과화상은「M」의 문자의 위치에 중첩되어 있다. 도 11(c)은, 도 11(a)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서 일점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부분을 변경하였을 때의 투사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표시시키는 확대부분을 변경한 경우에도, 장식효과화상은, 「M」문자의 위치에 중첩된다.
도 11(b, 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확대하는 경우에는, 확대부분의 범위내의 화소만을 프레임 메모리(22) 및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로부터 판독출력한다. 예컨대, 도 11(b)에 나타내는 화상에 관해서는, 원화상의 화소 데이터는, 도 11(a)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범위내에만 프레임 메모리(22)로부터 판독출력되고, 순차, 제1의 곱셈부(40)(도 4)에 입력된다. 또, 파선으로 둘러싸인 범위 중, 좌표{(x1, yl), (x2, y2)}의 범위내의 원화상의 화소 데이터를 판독출력할 때에는, 대응하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화소 데이터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로부터 판독출력되고, 제2의 곱셈부(42)에 입력된다. 이 때,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는, 좌표{(x1, yl), (x2, y2)}의 범위 이외에서는, (1, 0)으로 설정되고, 좌표{(x1, yl), (x2, y2)}의 범위내에서는, (0, 1)으로 설정된다. 또한, 확대부분은, 리모콘으로 지정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지정된 범위의 원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정된 범위의 확대처리에 관해서는, 확대율에 따라서 확대부분의 판독출력을 제어한다. 즉, 확대부분중 일부 혹은 전부의 화소를 복수회(複數回) 판독출력하는 것에 의해, 지정된 범위가 확대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11(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표시하는 확대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일점 파선으로 둘러싸인 범위내의 화소를 판독출력하는 것에 의해 확대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원화상과 장식효과화상이, 좌표 데이터 (PD)에 의거하여 중첩되는 것에 의해, 확대된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표시하는 확대부분의 변경에 따라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식효과중첩회로(12)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와 프레임 메모리(22)가, 본 발명의 제1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장식부 및 화상중첩부에 상당한다.
B.제2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투사형표시장치는, 영상신호변환회로(60)와,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와,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과, 프레임 메모리(22)와, 장식효과 메모리(24)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와, 조명광학계(100)와, 투사광학계(102)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신호변환회로(60)와, 장식효과 메모리(24)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은, 버스(1)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도 버스(1)에 접속되어 있지만, 도 12에서는 그 접속을 생략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투사형표시장치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의 장식효과중첩회로(12) 및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변환회로(60)가 원화상과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장식효과 메모리(24)내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가 기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신호변환회로(60)와 프레임 메모리(22)와 장식효과 메모리(24)가, 본 발명의 제1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장식부 및 화상중첩부에 상당한다.
도 13은, 영상신호변환회로(6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영상신호변환회로(60)는, 동기분리부(30)와, AD변환부(32)와, 비디오프로세서(62)를 구비하고 있다. 동기분리부(30)와, AD변환부(32)와의 기능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투사형표시장치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비디오프로세서(62)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와의 중첩처리와, 장식효과화상이 중첩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메모리(22)에의 기록입력과 판독출력과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비디오프로세서(62)에는, AD변환부(3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DV(1)와, 버스(1)를 거처서 장식효과 메모리(24)내에 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입력된다. 비디오프로세서(62)는, 화상 데이터(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로부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한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22)에의 장식 필 화상 데이터의 기록입력은, 동기신호( WSYNC)에 동기하여 행하여진다. 또, 프레임 메모리(22)로부터의 장식 필 화상 데이터의 판독출력은,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도 12)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RSYNC)에 동기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제1의 동기신호(WSYNC)와 제2의 동기신호 (RSYNC)는 서로 비동기이다. 물론, 제1의 동기신호(WSYNC)와, 제2의 동기신호( RSYNC)로서, 서로 동기하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비디오프로세서(6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입력제어신호생성회로와 판독출력제어신호생성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신호생성회로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할 때의, 혹은 판독출력할때의, 어드레스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프레임 메모리(22)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장식 필 화상 데이터는, 기록입력제어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어드레스나 제어신호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된다. 또,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는, 판독출력제어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는 어드레스나 제어신호에 따라서 판독출력된다. 또한, 이들의 어드레스나 제어신호는, 동기신호(WSYNC 혹은 RSYNC)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비디오프로세서(62)에 있어서의 장식 필 화상 데이터의 작성은, 화상 데이터 (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선택하여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화상 데이터(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선택은, 비디오프로세서(62)내부의 데이터셀렉터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도 14는, 비디오프로세서(62)내부의 데이터셀렉터(64)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데이터 셀렉터(64)는, RGB의 각 색마다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셀렉터(64)에는, 화상 데이터(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입력되고, 또, 선택신호 (SEL)가 입력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선택은, 화소 데이터마다 행하여지고, 선택신호(SEL)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셀렉터(64)는, 선택신호(SEL)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DV1) 혹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어느 한쪽의 화소 데이터를 선택하고,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한다.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된 데이터는, 입력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한 장식 필 화상 데이터로 되어있다. 또, 선택신호(SEL)는, 좌표 데이터 (PD)에 의거하여, CPU(20)에 의해 생성된다.
본 실시예 있어서는, 장식효과는, 입력된 화상의 위에 빈틈없이 모두 칠해져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장식효과중첩회로(12)(도 4)의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를,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는 부분에 관해서 (0, 1)로 하였을 때에 상당한다.
또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도 5(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전개되어 있을 때, 데이터셀렉터(64)에는, 좌표 데이터(PD)의 좌표(x1, yl)와(x2, y2)와의 범위내에서만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입력된다.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데이터셀렉터(64)에 입력시키는 타이밍은, 동기신호(WSYNC)와 좌표 데이터(PD)에 의거하여 CPU(2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좌표 데이터(PD)에서, 중첩위치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DV1)의 화소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을 구하는 것에 의해,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입력시키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의 입력과 동시에, 선택신호(SEL)에 의해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화상 데이터(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선택은, 화상중의 같은 위치에 대응하는 화소마다 행할 수 있다.
또,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가 도 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전개되어 있을 때에는, 화상 데이터(DV1)와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와의, 화상중의 같은 위치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가 동시에 데이터셀렉터(64)에 입력된다. 입력시키는 화소 데이터의 지정은, 동기신호(WSYNC)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즉, 비디오프로세서(62)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DV1)에 동기하여, 장식효과 메모리(24)로부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1)를 판독출력하는 것에 의해, 화상중의 같은 위치에 있는 화소 데이터를 대응시킬 수 있다. 또, 좌표 데이터(PD)에 의거하여 선택신호(SEL)를 데이터셀렉터(64)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입력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 있어서는, 상기한바와 같이, 장식 필 화상 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22)에 직접 기록입력하는 것에 따라 얻어진다.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프로세서(62)에 의해 판독출력된다.
영상신호변환회로(60)(도 12)부터 출력되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2)는, 액정디스플레이구동히로(14)(도 12)에 공급된다. 액정디스플레이구동회로(14)는, 이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2)에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장식효과가 중첩된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에 표시된 화상은, 광학계(100, 102)를 사용하여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1및 제2실시예에서는, 투사형표시장치내부에 있어 입력화상에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화상신호 뿐만 아니라, 비디오레코더나 텔레비전에서 출력된 화상신호에 대해서도 장식효과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장식효과화상은, 좌표 데이터(PD)에 의해, 화상 데이터중의 임의의 위치에 중첩가능하고, 장식효과화상을 확대축소하여 중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C.제3실시예:
C-1.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 및 동작개요: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투사형표시장치는, 영상신호변환회로(210)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와, 액정라이트밸브구동회로(214)와, 액정라이트밸브(216)와, 프레임 메모리(222)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와, 조명광학계(100)와, 투사광학계(102)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신호변환회로(210)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는, 버스(1)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 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도 버스(1)에 접속되어 있지만, 도 15에는 그 접속을 생략하고 있다. 액정라이트밸브(216)는, 조명광학계(100)에 의해서 거의 균일히 조명되어 있고, 액정라이트밸브(216)에 의해서 형성된 화상은, 투사광학계(102)에 의해서 투사 스크린(104)위에 투사된다. 또, 도 15에 있어서는, 광학계(100, 102)는, 간략화되어 있다.
영상신호변환회로(210)는, 입력된 아나로그화상신호(AV1)를 AD변환하여, AD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록입력하거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22)로부터 판독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아나로그화상신호(AV1)로서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컴퓨터화면을 나타내는 RGB신호(S1)나, 비디오레코더나 텔레비전수신기로부터 출력된 동화를 나타내는 컴퍼지트화상신호(S2) 등의 화상신호가 공급된다.
도 16은, 영상신호변환회로(2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영상신호변환회로(210)는, 동기분리부(230)와, AD변환부(232)와, 비디오프로세서(23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동기분리부(230)와, AD변환부(232)와, 비디오프로세서(234)와의 기능은, 도 2에 나타내는 각부(30, 32, 34)의 기능과 거의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는, 입력된 화상(이하, 「원화상」이라고 한다)에 중첩시키고 싶은 특정종류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다.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내에는, 복수종류의 장식화상 데이터(격납 데이터)가 정해진 격납 포멧으로 격납되어 있고, 또, 격납 데이터를 비트 맵형식으로 전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는 특정종류의 장식화상 데이터는, 미리 정해져 있는 특정형상이나 색의 화상(이하, 「특정화상」이라고 한다. )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이다.
또,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는, 원화상 데이터에 중첩하기 위한 장식화상을 비트 맵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는,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내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전개된 장식화상데이터가 기억된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는, 프레임 메모리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화상 메모리이고,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장식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된다.
장식화상중첩회로(212)는, 후술하는바와 같이, 원화상에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나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을 중첩하기 위한 회로이다.
장식화상중첩회로(212)로부터 출력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는, 액정라이트밸브구동회로(214)(도 15)에 공급된다. 이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나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이 중첩된 화상이다. 액정라이트밸브구동회로(214)는, 이 장식 필 화상 데이터(DDV1)에 따라, 조명광학계(100)의 조명광을 액정라이트밸브(216)를 거처서 변조한다. 액정라이트밸브(216)에 있어서 변조된 조명광은, 투사광학계(102)에 의하여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되고, 투사스크린(104)에는, 장식 필 화상이 표시된다. 또, 본 실시예의 액정라이트밸브(216)가 본 발명의 제2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전기광학장치에 상당하고, 액정라이트밸브구동회로(214)가 화상표시신호생성회로에 상당한다. 또, 본 발명의「투사광학계」는, 협의의 투사광학계가 아니고, 조명광학계를 포함하는 광의의 투사광학계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장식화상중첩회로(212)로부터 출력된 장식 필 화상(DDV1)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와 액정라이트밸브구동회로(214)와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확대/축소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축소 또는 확대처리되도록 하여도 좋다.
리모콘제어부(28)(도15)는, 리모콘(리모콘컨트롤러)(29)으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투사형표시장치의 각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리모콘제어부(28)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은, 주로 장식화상에 관하는 처리이다. 예컨대, 리모콘(29)로부터의, 장식화상의 종류의 선택이나, 장식화상의 중첩위치, 중첩범위, 장식화상의 표시비표시 등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영상신호변환회로(210)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와, 리모콘제어부(28)의 기능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
C-2.장식화상중첩회로의 구성 및 동작:
도 17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장식 화상중첩회로(212)는, 중첩처리부(240)와, 2개의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부(250,260)와, 메뉴화면표시제어부(290)를 구비하고 있다. 메뉴화면표시제어부(290)는, 중첩처리부(24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SDV3)에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메뉴화면 데이터를 합성하고, 메뉴화면이 합성된 화상 데이터(DDV1)를 출력한다. 즉, 메뉴화면표시제어부(290)는, 사용자가 각종의 선택이나 설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리모콘(29)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리모콘제어부(28)에 의해서 제어되어, 각 지시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메뉴화면에 따라서, 리모콘(29)을 조작하여 여러가지의 설정을 할 수가 있다.
제1의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부(250)는,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된 격납 데이터(CPD)를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록입력하는 제어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 데이터를 판독출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2의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부(260)은,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장식화상 데이터를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록입력하는 제어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을 판독출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 있어서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 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a)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내부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a)에 나타내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는,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내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전개된 특정화상의 전개 데이터가 기억된다. 이 전개화상 데이터는, 화상정보(ID)와,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와, 표시배율 데이터(MD)와, 좌표 데이터(PD)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정보(ID)는, 화상의 폭이나 높이 등의 내용에 관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는, 전개된 특정화상의 화소 데이터열(列)(도면에서는, 화살표 커소르 포인터의 화상 데이터)을 나타내고 있고, 실제로 중첩시키고 싶은 화상 데이터(SBMDa) 및 배경화상 데이터(SBMDb)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배율 데이터(MD)는, 세로 및 가로방향의 확대율, 즉, 닮은꼴의 확대율을 나타내고 있다. 좌표 데이터(PD)는,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장식화상을 원화상에 중첩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x1, y1)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의 선두 데이터(특정화상의 원점위치(화상의 좌상위치))가 좌표(x1, y1)의 위치에 대응되어지고 있다. 도 18(a)에 나타내는 전개화상 데이터중 화상정보(ID)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의 메모리공간의 어드레스「0X00바이트」이후에 전개되어 있다. 또한,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는, 어드레스「OX10 바이트」이후에 전개되어 있고, 표시배율 데이터(MD)는 어드레스「0X30바이트」이후에 기억되어 있다. 좌표 데이터(PD)는 어드레스「0X32바이트」이후에 기억되어 있다. 또, 「X」는, 16진수로 나타내는 0~F까지의 임의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로부터 판독출력될 때에, 장식화상중첩회로(212)(도 17)에 있어서 표시배율 데이터(MD)에 따라닮은꼴로 확대되어 원화상에 중첩된다. 이 확대처리는, 제1의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부(250)에 있어서 판독출력클럭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종횡2배{(표시배율: 200%)(화상의 면적은 4배)}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등배(等倍) 시의 1/2의 주파수의 화소 클럭으로 판독출력을 행하면, 종횡으로 인접하는 2화소에 동일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어 종횡2배의 확대표시가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종횡4배(표시배율: 400%)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등배시의 1/4의 주파수의 화소 클럭으로 판독출력을 행하면 좋다. 즉, 종횡2의 n승배(乘倍)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2의 n승분(乘分)의 1주파수의 화소 클럭으로 판독출력을 행하면 좋다. 또, 임의의 배율로 확대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용의 확대처리회로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전개된 데이터중 비트 맵 특정화상데이터(SBMD)는, 사용자가 리모콘(29)등의 조작에 의해, 소망의 장식화상이 대응되어지고 있는 「장식화상표시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장식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으로 전개된다. 또, 장식화상표시키에 대응하는 장식화상은, 사용자가 리모콘(29)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표시된 메뉴화면에 따라서,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장식화상 중에서, 임의의 종류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대응되어지고 있다. 또, 표시배율 데이터(MD)는, 사용자가 리모콘(29)등의 조작에 의해서, 설정 가능한 표시배율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도 19는, 사용자가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하는 메뉴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사용자가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서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메뉴화면 중에서 에펙트(장식효과의 조건설정 모드)를 선택하고, 그 위에, 복수의 에펙트(장식효과) 중에서 에펙트1(포인터화상)을 선택한 경우의 메뉴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는, 5종류의 포인터형상이 나타내어져있고, 리모콘(29)의「셀렉트키」에 의해서 소망의 포인터형상을 설정할 수가 있다. 또, 도 19에는, 3종류의 표시배율이 나타내어지고 있고, 리모콘(29)의 셀렉트키에 의해서 소망의 표시배율을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표시배율 데이터(MD)는, 미리 정해진 값에 설정되어 격납 데이터에 포함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전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메뉴화면에 의해서 설정하는 형상이나 표시배율 등은, 장식화상(도 19에서는 포인터)을 표시시킬 때에, 「장식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매회 메뉴화면을 표시하여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메뉴화면은 일례이고, 형상이나 표시배율도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많은 형상으로부터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임의의 표시배율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좌표 데이터(PD)는, 사용자가 리모콘(29)에 붙어 있는 포인팅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조작하여 원화상 데이터중의 중첩위치를 지정하는것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는 장식화상 데이터(격납 데이터)는, 플로피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거처서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고, 리모콘(29)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통신회선을 거처서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는 표시화상중에서 특정화상을 추출하여,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하여도 좋다.
도 18(b)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내부의 메모리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는, 상술한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와 마찬가지인 구성을 가지는 화상 메모리이다. 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는, R, G, B마다 기억하기 위한 3개의 기억영역을 가지고, 각 화소의 기억 용량은 1화소의 데이터폭에 따른 폭을 가지고 있다. 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는,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비트 맵 묘화화상 데이터(DBMD)가 기억된다. 비트 맵 묘화화상 데이터(DBMD)는,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묘화 데이터(DBMDa) 및 그 이외의 배경화상 데이터(DBMDb)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의 기억 용량은, 프레임 메모리(222)의 기억 용량에 대하여(1/4)2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비트 맵 묘화화상 데이터(DBMD)는,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될 때에 42배로 확대되어 원화상과 같은 화소수로 중첩된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되는 장식화상 데이터를 42배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상술한바와 같이 1/4주파수의 화소 클럭으로 판독출력을 행한다. 또한,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의 기억 용량은, 프레임 메모리(222)의 기억 용량의 (1/4)2일 필요는 없고, (1/2)2, (1/3)2,하여도 좋다. 또, 프레임 메모리(222)와 같은 기억 용량으로 하여도 좋다. 즉, 프레임 메모리(222)의 기억 용량이 MN 화소라고 하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는, (M/n)(N/n)화소(다만, n은 1이상의 정수)의 기억 용량을 가지도록 하면좋다. 즉,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가 프레임 메모리(222)의 1/n2배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화상 메모리라고 하면 , CPU(2O)에 의해서 묘화된 장식화상 데이터의 크기 및 중첩위치가 전체에 1/n2배로 축소되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된다. 다만,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의 기억 용량을 프레임 메모리(222)의 기억 용량보다도 작게 하면, 장치의 소형화, 저가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n의 값은, 2의 m승(m은 정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의 기억 용량을 프레임 메모리(222)의 기억 용량의 2의(2m)승(m은 정수)분의 1이라고 하면, 전용의 확대처리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장식화상 데이터를 판독출력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화소 클럭의 주파수를 2의 m승분의 1로 하는 것만으로, 2의(2m)승배의 확대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중첩처리부(240)는, 4개의 곱셈부(270, 272, 276, 278)와, 2개의 가산부(274, 280)와, 계수설정부(282)를 구비하고 있다. 중첩처리부(240)는, R, G, B의 각 색마다 설치되어 있다.
곱셈부(270, 272, 276, 278)는, 각각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 데이터를 순차, 정수배(定數倍)하기 위한 회로이다.
계수설정부(282)는, 곱셈부(270, 272, 276, 278)의 계수(Kl, K2, K3, K4)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계수(Kl, K2, K3, K4)는, 각각「O」부터「1」까지의 값을 설정할 수가 있고, 통상, (KlK3)과 (K2K3)와 K4와의 합이「1」이 되도록 설정된다.
비디오프로세서(234)(도 16)부터 출력된 원화상 데이터(DV2)는 제1의 곱셈부(270)에 입력되고,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된 장식화상 데이터 (DBMD)는 제2의 곱셈부(272)에 입력된다. 또,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로부터 판독출력된 장식화상 데이터(SBMD)는 제4의 곱셈부(278)에 입력된다. 원화상 데이터 (DV2)는, 제1의 곱셈부(270)에 있어서 K1배의 신호로 변환된다. 또,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비트 맵묘화화상 데이터)}는, 제2의 곱셈부(272)에 있어서 K2배의 신호로 변환된다.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 (비트 맵특정화상 데이터)}는, 제4의 곱셈부(278)에 있어서 K4배의 신호로 변환된다. 제1,제2의 곱셈부(270, 272)에 있어서 변환되고, 출력된 원화상 데이터(DV3) 및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1)는, 제1의 가산부(274)에 있어서 가산된다. 제1의 가산부(274)로부터 출력된 중첩화상 데이터(SDV1)는, 제3의 곱셈부(276)에 있어서 K3배의 신호로 변환된다. 제3,제4의 곱셈부(276, 278)에 있어서 변환되고, 출력된 중첩화상 데이터(SDV2) 및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2)는, 제2의 가산부(280)에 있어서 가산된다. 이 결과, 제2의 가산부(280)로부터는, 원화상 데이터(DV2)에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 및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가 중첩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SDV3)가 출력된다.
도 20은, 화상 데이터(DV2)에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비트 맵 묘화화상 데이터)(DBMD)}가 중첩된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c)에 나타내는 중첩화상 데이터(SDV1)는, 도 20(a)에 나타내는 원화상 데이터(DV2)에 도 20(b)에 나타내는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가 1화소마다 순차 중첩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계수(Kl , K2)를 (0.5, 0.5)로 설정하면, 도 20(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의 묘화 데이터{(DBMDa)(사각형의 화상)}은 반투명화상(원화상 데이터 (DV2)의 문자열「KLMNO」이 들여다 보이는 화상)으로서 원화상 데이터(DV2)에 중첩된다. 또한, 계수(Kl, K2)(도 17)를 (0, 1)로 설정하면,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의 묘화 데이터{(DBMDa)(사각형의 화상)}을 불투명화상(원화상 데이터 (DV2)의 문자열「KLMNO」가 들여다 보이지 않은 화상)으로서 중첩할 수 있다. 제1의 장식화상을 반투명화상으로 하든지 불투명화상으로 하는지는, CPU(20)에 의해서 제1의 장식화상(DBMD)가 묘화되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될 때에 설정된다.
또,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중, 배경화상 데이터(DBMDb)의 부분이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로서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배경화상 데이터(DBMDb)를 원화상 데이터(DV2)에 중첩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서, 이 배경화상 데이터(DBMDb)의 부분에는 특정한 값을 가지는 투명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 특정한 투명화상 데이터가 판독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수(Kl , K2)를 (1, 0)으로 설정하여, 중첩을 행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배경화상 데이터(DBMDb)를 반투명화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계수 (Kl , K2)를 (0.5, O.5)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의 각 화소 데이터에 플래그를 설치하도록 하여, 이 플래그에 따라서 중첩을 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1은,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가 중첩된 장식 필 화상 데이터(SDV3)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c)에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SDV3)는, 도 21(a)에 나타내는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도 21(b)에 나타내는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가 좌표(x1, y 1)의 위치를 원점으로하여 표시배율100%(종횡 가각 1배)배로 순차 중첩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의 중첩은, 화상정보(1D)나 표시배율 데이터(MD), 좌표 데이터(PD)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장식화상중첩회로(212)(도 17)내의 제1및 제2의 곱셈부(270, 272)에는, 원화상 데이터(DV2)와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가 순차 입력되지만, 제4의 곱셈부(278)에는, 중첩하는 부분, 즉 좌표(x1, yl)와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의 폭 및 높이(화상정보1D 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표시배율(MD)에 의하여 결정되는 영역에서만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가 입력된다.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를 제4의 곱셈부(278)에 입력시키는 타이밍은, 좌표(x1, yl)와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의 폭 및 높이와 표시배율(MD)에 의거하여, 제1의 기록입력/판독출력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된다.
계수(K3, K4)(도 17)를 (0, 1)로 설정하면, 중첩화상(SDV1)에 제2의 장식화상 (SBMD)가 불투명화상(중첩화상 (SDV1)이 들여다 보이지 않는 화상)으로하여 중첩된다. 계수(K3, K4)를 (0.5, 0.5)로 설정하면, 중첩화상(SDV1)이 들여다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중, 배경화상 데이터(SBMDb)의 부분이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로서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중첩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서, 이 배경화상 데이터(SBMDb)의 부분에는 특정한 값을 가지는 투명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 특정의 투명화상 데이터가 판독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수(K3, K4)를 (1, O)으로 설정하여, 중첩을 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배경화상 데이터(SBMDb)를 반투명화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계수(K3, K4)를 (0.5, 0.5)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 데이터에 플래그를 설치하도록 하여, 이 플래그에 따라서 중첩을 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와 같은 계수(Kl, K2, K3, K4)의 설정은, 계수설정부(282)에 있어서, 장식화상 데이터(SBMD, DBMD)를 조사하여 각 조건에 따라서 각 화소마다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에 나타낸 각 계수의 값은, 일례이고, 그 사용조건에 따라서 각각 O에서 1까지의 여러가지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 상기 계수(Kl, K2, K3, K4)를 1 또는 0으로 설정하는 경우, 즉 장식화상을 불투명화상으로하여 중첩하는 경우에는, 중첩처리부(240)를 곱셈부(270, 272, 276, 278)와 가산부(274, 280)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원화상과, 제1의 장식화상과, 제2의 장식화상중 어느 하나를 각 화소마다 선택하는 셀렉터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바와 같이, 장식화상중첩회로(212)는, 비디오프로세서(234)로부터 출력된 원화상 데이터(DV2)에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된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DBMD)(비트 맵 묘화화상 데이터)}나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로부터 판독출력된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SBMD)(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를 중첩할 수가 있다. 또,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메뉴화면 데이터를 중첩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여러가지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다.
도 22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는 특정형상의 장식화상을 중첩하였을 때의 투사 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a)에서는, 입력화상(표)에, 포인터(화살표도형)의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22(b)에서는, 입력화상(막대 그래프)에, 포인터(손가락질 도형)의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22(c)에서는, 입력화상(흐름도)에, 포인터(체크의 도형)의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상기의 포인터와 같은 특정형상의 화상(특정화상)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고, 입력된 화상(원화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 장식화상 데이터는, 도 18(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SBMD)를 중첩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PD)를 포함하고 있고, 리모콘(29)(도 15)에 탑재된 포인팅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이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스크린(104)의 표시는, 표시용의 동기신호(RSYNC)에 동기하여, 항상 갱신되어 있기 때문에,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장식화상(포인터)를 스크린(104)에 표시된 화상내의 임의의 위치에 거의 리얼타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2(a, b, c)에서는, 1개의 포인터화상을 중첩하는 예를 게시하고 있지만,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복수의 포인터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복수의 포인터를 중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23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에CPU(20)에 의해서 묘화된 장식화상을 중첩했을 때의 투사스크린(104)위에 투사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a)에서는, 입력화상(문서)에 사각형의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23(b)에서는, 입력화상에 다른 선폭(線幅)을 가지는 라인의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23(c)에서는, 다른 선폭 및 방향(세로방향 혹은 가로방향)을 가지는 라인마커의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CPU(20)의 도형묘화에 의한 장식화상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표시화면과 등가(等價)인 상태로 기억되고, 입력된 화상(원화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 장식화상은 불투명화상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상술한바와 같이, 같은 형상으로 반투명화상의 장식화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반투명화상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또, 도 23에 있어서, 장식화상은 반투명화상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상술한바와 같이, 불투명색을 선택하여 CPU(20)에 의해서 화상을 재묘화하는 것에 의해 불투명화상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는 제2의 장식화상 데이터(비트 맵 묘화화상 데이터)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는 제1의 장식화상 데이터(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의 원화상 데이터에의 중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바와 같은 여러가지의 장식화상을 원화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C-3. BOX 화상묘화:
도 24, 도 25, 도 26은, 원화상에 사각형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a)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24(b)는,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c)는, 투사 스크린(10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원화상에 사각형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리모콘(29)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BOX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BOX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한다. 여기서, 「사각형의 장식화상」은, 표시화면상의 임의의 2점을 맺는 선을 대각선으로 하는 사각형화상이고, 이하, 「BOX화상」이라고 한다. 또한, BOX화상의 조건설정은, 도 19에 나타내는 메뉴화면과 마찬가지인 메뉴화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다. 예컨대, BOX화상의 조건설정메뉴화면에는, BOX화상의 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색(예컨대, 파랑, 빨강, 초록, 노랑, 자홍, 흰색, 분홍, 등)중에서, 리모콘(29)의 키조작에 의해 색선택하는 것으로, BOX화상의 색을 설정한다. 또, 반투명화상으로 하는지 불투명화상으로 하는지, 또 그 BOX화상영역내의 표시도 트패턴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러한 BOX화상의 조건설정은, BOX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매회 메뉴화면을 표시하여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투사스크린 위에 표시한 메뉴화면을 사용자가 보면서,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BOX화상의 색 등의 조건을 선택하고,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BOX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하면, BOX화상의 대각선을 나타내는 2점의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BOX좌표지정 포인터{(BP)(표시 포인터)}의 화상 데이터가, 도 24(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이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화상 데이터로서는,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색 등의 화상조건에 따른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다.
BOX화상표시기능이 기동하면,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여기서, 이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정보(좌상 포인터정보)와,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좌상 이미지데이터)와, 좌표 데이터{표시좌표(xc , y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BOX좌표지정 포인터(BP)의 화상 데이터가 화면상의 표시위치(CP)의 좌표(xc, yc)의 위치에 중첩되어 도 24(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 스크린(104)에 표시된다. 또한,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는, 도 24 (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이 시점에서는 아직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다.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표시위치(CP)의 좌표(xc, yc)는, 리모콘(29)에 탑재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도 24(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상하좌우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BOX 좌표지정포인터(BP)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켜, 리모콘(29)의 도시하지 않은 결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BOX화상의 대각선상의 단점(端点)의 1개(시점SP)의 좌표(x1, y 1)를 지정한다.
시점(SP)의 위치를 지정하면, 도 25(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지정한 위치(SP)를 시점으로 하는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이, BOX좌표지정포인터(BP)에 가하여 새롭게 표시된다. 이 때,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는, 도 25(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 데이터와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다.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 마찬가지로 BOX좌표지정포인터(BP)를 이동시켜, BOX화상의 대각선위의 시점포인터(BPS)의 위치(SP)와는 반대의 단점(종점 EP)의 좌표(x2, y2)를, 리모콘(29)의 결정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지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26(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BOX화상을 나타내는 대각의 2점(시점SP, 종점EP)의 좌표(x1, yl), (x2, y2)가 결정되어, CPU(20)에 의해서 실행되는 BOX화상묘화를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는 도 25(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종점(EP)의 좌표가 지정될 때까지는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점(SP)을 결정한 후, 시점켄슬키(cancel key)를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된 시점을 켄슬할 수가 있다.
시점(SP) 및 종점(EP)의 위치가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지정되면, 이 2점의 좌표(x1, yl), (x2, y2)에 의해서 결정되는 4각형의 영역과 같은 크기로, 또한 미리 지정된 색 등의 화상조건으로,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BOX화상의 화상데이터가, 도 26(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된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BOX화상데이터가 기억되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던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 데이터는 소거되어, 스크린(104)의 표시로부터 소거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 데이터에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BOX화상데이터가 중첩되어, 장식이 행하여진 화상이 도 26(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스크린(104)에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입력된 원화상에 BOX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순서를 되풀이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BOX화상을 원화상에 중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곱셈부(276, 278)의 계수(K3, K4)를 (1, 0)으로 설정하여,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는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 데이터를 남긴 채,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의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로부터 판독출력을 정지하여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의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7은, 시점 포인터(BPS)의 위치(SP)와, 종점(EP)의 위치를 지정하는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위치(CP)와의 관계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은, 시점(SP)과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위치(CP)와의 위치관계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시점 포인터(BPS)의 위치(SP)를 나타내는 좌표를(x1, yl)로 하고,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위치(CP)를 나타내는 좌표를(xc, yc)로 하면,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은, 아래와 같이 변화한다.
xc 및 yc가 x1및 y1이상의 경우에는, 도 27(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으로서, 좌측상시점 포인터(BPS1)의 화상이 선택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xc가 x1보다 작고 yc가 y1이상의 경우에는, 도 27(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시점포인터(BPS)의 화상으로서, 우상시점포인터(BPS2)의 화상이 선택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xc 및 yc가 x1및 y1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도 27(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시점포인터(BPS)의 화상으로서, 우하시점포인터(BPS3)의 화상이 선택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xc가 x1이상이고 yc가 y1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도 27(d)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시점포인터(BPS)의 화상으로서, 좌하시점포인터(BPS4)의 화상이 선택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 시점 포인터(BPS)의 화상은,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좌표(x1, y1) (xc, yc)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점 포인터(BPS)의 위치(SP)와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위치(CP)와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이들 2개의 포인터에 의해서 지정되는 장식화상의 시점(SP)에서의 전개방향이 시점포인터(BPS)의 화상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포인터화상이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소망의 위치에 BOX화상을 중첩시킬 때에, 간단히 그 지정영역을 파악하면서 지정할 수가 있다. 또, 시점포인터(BPS)나 BOX좌표지정포인터(BP)는, 설정가능한 색 등의 화상조건마다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고, 미리 설정한 BOX화상의 색 등의 화상조건에 대응한 포인터화상이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가 설정한 BOX화상의 색 등의 화상조건을 간단히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시점 포인터(BPS)의 장식화상 뿐만 아니라 BOX좌표지정포인터(BP)도, 좌우상하방향을 나타내는 4화상의 중에서, 시점 포인터(BPS)의 위치(SP)와 BOX좌표지정포인터(BP)의 위치(CP)와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이들 2개의 포인터에 의해서 지정되는 장식화상의 외형형상이 파악할 수 있는 포인터화상이 선택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보다 한층 BOX화상의 파악이 용이하다.
C-4. 마커화상묘화:
도 28, 도 29, 도 30은, 원화상에 마커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a)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28(b)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c)은, 투사스크린(104)에 표시되어있는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입력된 원화상 위에 마커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리모콘(29)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마커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마커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한다. 여기서, 「마커의 장식화상」은, 표시화면상의 임의의 2점 사이를 맺는 선화상이고, 이하,「마커화상」이라고 한다. 또한, 마커화상의 조건설정은, 도 19에 나타내는 메뉴화면과 같은 메뉴화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다. 예컨대, 마커화상의 조건설정메뉴화면에는, 선의 색과 선폭을 설정하는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메뉴화면으로써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선의 색과 선폭을 설정한다. 선의 색이나 폭은, BOX화상묘화때와 마찬가지로,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색이나 선폭의 중에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다. 또, 반투명화상으로 하든지 불투명화상으로 하든지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위에, 점선이나 일점쇄선이나 파선 등의 선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러한 마커화상의 조건설정은, 마커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매회 메뉴화면을 표시하여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투사스크린 위에 표시한 메뉴화면을 사용자가 보면서,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마커화상의 색이나 폭 등의 조건을 선택하고,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시키도록 하면 좋다.
마커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하면, 마커화상의 좌표를 지정하기 위한 마커포인터{(MP)(표시 포인터)}의 화상 데이터가, 도 28(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이 마커포인터(MP)의 화상 데이터로서는, 선폭이나 선색 등의 화상조건에 따른 복수종류의 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다.
마커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하면, 리모콘(29)등의 조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선폭이나 선색 등의 화상조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예컨대, 설정한 색에 대응한 색 및 설정한 폭에 대응크기의 펜의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여기서, 이 마커포인터(MP)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정보(마커포인터정보)와,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마커이메지데이타)와, 좌표 데이터(표시좌표(xc , yc))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 데이터에 마커포인터(MP)의 화상 데이터가 화면상의 표시위치(CP)의 좌표(xc, yc)의 위치에 중첩되어 도 28(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스크린(104)에 표시된다. 또한,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는, 도 28(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이 시점에서는 아직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다.
마커포인터(MP)의 표시위치(CP)의 좌표(xc, yc)는,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상하좌우의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마커포인터(MP)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켜, 리모콘(29)의 결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마커화상의 단점의 1개{시점(SP)}의 좌표(x1, yl)를 지정한다.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 마커포인터(MP)의 위치(CP)를 이동시켜서 결정 버튼에 의해 시점(SP)의 위치를 지정하면, 도 29(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지정한 위치(CP)를 시점으로 하는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이, 마커포인터(MP)에 가하여 새롭게 표시된다. 이때,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는,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 데이터와 마커포인터(MP)의 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되어져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다.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 데이터와 마커포인터(MP)의 화상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장식되는 마커화상의 색 등의 조건을 반영한 색 등의 조건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투사스크린 위에 표시된 시점 포인터(MPS)와 마커포인터(MP)의 화상은, 마커화상으로서 설정한 색이 부가된 화상으로 되어있다.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마찬가지로 마커포인터(MP)를 이동시켜, 리모콘(29)의 결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마커화상의 또 한쪽의 단점(종점EP)의 좌표를 지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30(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마커화상의 2점(시점SP, 종점EP)의 좌표(x1, y1), (x2, y2)가 결정되어, CPU(20)에 의해서 실행되는 마커화상묘화를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는 도 29(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종점(EP)의 좌표가 지정될 때까지는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점(SP)을 결정한 후, 시점켄슬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된 시점을 켄슬 할 수가 있다.
시점(SP) 및 종점(EP)의 위치가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지정되면, 이 2점의 좌표(x1, yl), (x2, y2)사이에, 미리 지정된 선폭 및 선색 등의 화상조건으로, CPU(20)에 의해서 묘화된 마커화상이, 도 30(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된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마커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면 ,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던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 데이터는 소거되어, 스크린(104)의 표시로부터 소거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 데이터에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마커화상 데이터가 중첩되어, 장식이된 화상이 도 30(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 스크린(104)에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입력된 화상에 마커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순서를 되풀이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마커화상을 원화상에 중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28 내지 도 30의 예는, 수평방향으로 펴지는 마커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수직방향으로 펴지는 마커를 끌어당길 수도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낸 곱셈부(276, 278)의 계수(K3, K4)를 (1, 0)으로 설정하여,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남긴 채로,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의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로부터 판독출력을 정지하여,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의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시점 포인터(MPS)의 화상으로서, 도 27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마커포인터(MP)의 폭이나 방향, 설정 색을 나타내는 화상이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있다. 도 29에서는, 묘화되는 마커의 시점에서의 일부에 상당하는 화상이 시점 포인터(MPS)로서 표시되어 있다. 삼각형의 정점이 마커포인터(MP)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C-5. 라인화상묘화:
도 31 및 도 32는, 원화상에 라인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순서에 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a)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31(b)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c)은, 투사스크린(10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원화상에 라인의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리모콘(29)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라인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라인화상설정기능을 기동한다. 여기서, 「라인의 장식화상」은, 스크린의 좌우 가득히 펴지는 수평한 선선(線線)화상이고, 이하, 「라인화상」이라고 한다. 또한, 라인화상의 조건설정은, 도 19에 나타내는 메뉴화면과 같은 메뉴화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다. 예컨대, 라인화상의 조건설정메뉴화면에는, 라인화상의 선의 색이나 선폭을 설정하는 화면이 표시되어, 메뉴화면으로써 리모콘(29)을 조작하여 선의 색이나 선폭을 설정한다. 선의 색이나 폭은, 상기 BOX화상묘화나 마커화상묘화와 마찬가지로, 설정가능한 복수의 색이나 선폭 중에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또, 반투명화상으로 하든지 불투명화상으로 하든지, 점선이나 일점쇄선, 파선 등의 라인종류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러한 라인화상의 조건설정은, 라인화상표시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매회 메뉴화면을 표시하여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투사스크린 위에 표시한 메뉴화면을 사용자가 보면서, 리모콘(29)의 조작에 의해, 라인화상의 색이나 폭등의 조건을 선택하고,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시키도록 하면 좋다.
라인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하면, 라인화상의 좌표를 지정하기 위한 라인 포인터{(LP)(표시 포인터)}의 화상 데이터가, 도 31(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로부터 판독출력되어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에 기억된다. 이 라인 포인터(LP)의 화상 데이터로서는, 선색 등의 화상조건에 따른 복수종류의 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되어 있다.
라인화상표시기능을 기동하면, 화상조건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예컨대, 설정한 색에 대응한 색 및 설정한 폭에 해당한 라인화상 데이터)가 선택된다. 여기서, 이 라인 포인터(LP)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정보(라인 포인터정보)와, 비트 맵 특정화상 데이터(라인이미지데이터)와, 좌표 데이터{표시좌표(y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에 라인 포인터(LP)의 화상이 표시좌표(yc)의 위치에 중첩되어 도 31(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스크린(104)에 표시된다. 또,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는, 도 31(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이 시점에서는, 아직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다.
라인 포인터(LP)의 표시좌표(yc)는, 리모콘(29)의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상하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포인팅디바이스에 의해서 라인 포인터 (LP)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켜, 리모콘(29)의 결정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라인화상의 위치(수직방향의 위치)의 좌표(yl)를 지정한다.
라인화상의 위치가 지정되면, 이 라인 포인터(LP)의 화상 데이터가, 도 32 (b)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대응하는 좌표(y1)의 위치 및 선폭 및 선색으로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카피되어 기억된다.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라인화상 데이터가 기억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원화상에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라인화상이 중첩되어 도 32(c)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투사스크린(104)에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원화상에 라인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순서를 되풀이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라인화상을 원화상에 중첩시킬 수 있다.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에 격납하여 놓은 라인 포인터(LP)의 화상 데이터로서는, 특정한 선폭과 선장(線長)을 가지는 화상 데이터만으로 하고,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에 전개하는 경우에, 표시화면의 수평방향의 사이즈 및 설정한 선폭에 따라서 라인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C-6. 장식화상의 소거:
원화상에 중첩된 장식화상을 스크린(104)의 표시로부터 소거하는데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 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는 장식화상 데이터를 클리어하면 좋다. 이 경우에, 다시 한번 같은 장식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다시 한번 장식화상의 선택 및 설정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내는 장식화상중첩회로(212)에 있어서, 계수(Kl, K2, K3, K4)를 (1, 0, 1, 0)으로 설정하여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 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되는 장식화상을 중첩시키지 않도록 하면 좋다. 혹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 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로부터 판독출력을 정지하여, 장식화상의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장식화상 데이터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및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라도 재표시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투사형표시장치 내부에 있어서 입력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시킬 수 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화상신호뿐만 아니라, 비디오레코더나 텔레비전에서 출력된 화상신호에 관해서도 장식화상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BOX화상이나 마커화상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포인터화상이, 선택한 화상의 종류(형상)나 색, 선폭, 지정하는 2점사이의 위치관계 등의 표시조건에 따라서 심볼릭화된 화상(아이콘)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화상에 중첩시키는 장식화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변환회로(210)와 장식화상중첩회로(212)와 리모콘제어부(28)와 CPU(20)가, 본 발명의 제2의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장식부에 상당한다. 또한, CPU(20)가 본 발명의 제2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묘화부에 상당한다.
또,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태양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은, 장식효과중첩회로(12)(도 4)내부의 2개의 곱셈부(40,42) 및 1개의 가산부(44)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지만, 이것을 바꾸어, 도 14에 나타내는 데이터셀렉터(64)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도, 곱셈부(40, 42)의 계수(kl, k2)가 (1, 0) 혹은 (0, 1)에 상당하는 빈틈없이 모두 칠해지는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은, 데이터셀렉터(64)(도 14)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지만, 이것을 바꾸어 도 4에 나타내는 곱셈부(40, 42) 및 가산부(44)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빠짐없이 모두 칠해지는 장식효과뿐만 아니라, 투명의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화상의 중첩은, 장식효과중첩회로(12)(도 4)내부의 2개의 곱셈부(40,42) 및 1개의 가산부(44)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지만, 계수(kl, k2)가 함께「1/2」일 때의 투명의 장식효과이면, 곱셈부(40, 42)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즉, 가산부(44)에 있어서, 가산된 데이터의 하위1비트를 소거하 도록 비트시프트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같은 투명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가, 도 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분에 상당하는 메모리용량이 장식효과화상에 할당되어 전개될 때에는, 좌표 데이터로 바꾸어 1프레임분의 플래그를 사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중 장식효과도형이 존재하는 부분의 화소 데이터에, 예컨대, 1비트의 플래그를 설치하여, 플래그의 유무로 장식효과도형의 유무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플래그의 유무에 의해,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곱셈부(40, 42)(도 4)의 계수(kl, k2)를 변경할 수 있고,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셀렉터(64)(도 14)의 선택을 변경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좌표 데이터의 때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BMDl)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 혹은 장식효과 메모리(24)내에 전개되어 격납되어 있지만, 전개하는 것은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26)및 장식효과 메모리(24)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타 기억영역을 준비하여 격납하여도 좋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 나타낸 포인터화상은, 일례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보다 장식효과가 얻어지는 여러가지의 포인터화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각 메모리, 예컨대, 제3실시예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낸 프레임 메모리(222)와 장식화상격납 메모리(224)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26)와 장식화상묘화 메모리(227)는, 각각 독립한 메모리 어드레스공간을 가지고, 각각 독립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 CPU(20)에 의해서 제어되는 공통의 어드레스공간 위의 메모리 에어리어로서 각각 정의되도록 하여도 좋다.
제1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투사형표시장치의 광변조수단으로서 액정디스플레이패널(16)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변조수단으로서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휘도변화가 얻어지는 것이면 좋다. 예컨대, 화소에 따라서 배치된 경면소자에 있어서의 반사를 이용한 광변조수단을 사용하여도 좋고, 통상은 광변조수단이라고 불리지 않는 CRT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전기광학장치로서 액정라이트밸브(216)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기광학장치로서는, 화상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출 하는 여러가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DMD(디지털마이크로미러디바이스) (TI사의 상표)를 사용하여도 좋고, CRT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투사형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화상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투사형표시장치로 사용하고 있던 라이트밸브 등의 전기광학장치(광변조수단)은 화상표시장치로서 기능하고, 투사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은, 화상표시장치의 화면에 직접 화상표시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소프트웨어로 치환하도록 하여도 좋고, 반대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 치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투사형표시장치 등의 여러가지의 화상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사용한 투사형표시장치는, 예컨대, 컴퓨터나 비디오 레코더 등으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스크린 위에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로서,
    임의의 화상을 장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효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메모리와,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과, 상기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함으로써,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소마다 구동되는 광변조수단과,
    상기 광변조수단의 구동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장식 필 화상을 상기 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상기 장식효과화상을 상기 원화상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중첩하는 화상중첩부를 구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효과 메모리는, 복수종류의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복수종류의 장식효과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화상중첩부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효과화상을, 상기 원화상의 각각 지정된 위치에 중첩하는 투사형표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중첩부는,
    상기 장식효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비트 맵(bit map)전개된 장식효과 비트맵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와,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상기 장식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합성부와,
    상기 광변조수단의 전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메모리영역을 가지고,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장식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광변조수단에 주어지는 투사형표시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중첩부는,
    상기 장식효과 데이터에 의거하여 비트 맵 전개된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와,
    상기 광변조수단의 전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메모리영역을 가지고,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된 상기 장식 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광변조수단에 주어지는 투사형표시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의 어느 한 쪽을 화소마다 선택함으로써 상기 장식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셀렉터(selector)를 구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에 각각의 계수를 화소마다 곱셈하기 위한 곱셈부와,
    상기 곱셈부에서 곱셈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를 화소마다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를 구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곱셈부에서의 상기 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와의 합성비율을 바꾸어 장식효과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계수설정부를 구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설정부는,
    상기 곱셈부에서의 상기 계수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효과 비트 맵 데이터와의 합성비율을 바꾸어 장식효과의 투명도를 시간과 동시에 변화시키는 투사형표시장치.
  10.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로서,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의 장식 메모리와,
    형상을 닮은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의 장식 메모리와,
    상기 원화상 데이터에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에, 종류가 다른 제1종의 장식화상 및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중첩하여,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상기 장식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표시신호를 생성하는 화상표시신호생성부와,
    상기 화상표시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출하는 전기광학장치와,
    상기 전기광학장치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영하는 투사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장식 메모리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n분의 1(n은 1이상의 정수)의 라인수 및 n분의 1의 화소수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이 중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기억영역에,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는,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원화상에 중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를 적어도 기억하는 투사형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n은 2이상의 정수인 투사형표시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원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의 장식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에 각각의 계수를 화소마다 곱셈하기 위한 곱셈부와,
    상기 곱셈부에서 곱셈된 상기 원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화소마다 가산하기 위한 가산부를 구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상기 곱셈부에서의 상기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원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와의 합성비율을 바꾸어, 중첩된 상기 제l종 또는 제2종의 장식화상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계수설정부를 구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로서 복수종류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격납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에는, 상기 격납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화상 데이터가 더 기억되는 투사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장식부는,
    설정된 묘화조건에 따라서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을 묘화하는 묘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묘화부는,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묘화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 선택된 특정한 상기 제2종의 장식화상인 묘화지정화상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에 적어도 의거하여,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을 상기 제1의 장식 메모리내에 묘화하는 투사형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묘화부는, 적어도 2개의 상기 묘화지시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가 설정될 때에, 설정되려고 하고 있는 상기 제1종의 장식화상의 형상과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2개의 묘화지시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격납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한 상기 제2의 장식 메모리에 기억하는 투사형표시장치.
  18.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로서,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의 장식 메모리와,
    형상을 닮은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의 장식 메모리와,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에, 종류가 다른 제1종의 장식화상 및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중첩하여,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장식부와,
    상기 장식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표시신호를 생성하는 화상표시신호생성부와,
    상기 화상표시신호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광을 사출하는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9. 광변조수단을 구비한 투사형표시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스크린 위에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화상을 장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식효과화상을 나타내는 장식효과 데이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과, 상기 장식효과화상을 중첩함으로써,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장식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소마다 광변조수단을 구동하는 공정과,
    상기 광변조수단의 구동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장식필 화상을 상기 스크린 위에 투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20. 투사형표시장치에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에 장식을 행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입력되는 원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정과,
    형상과 사이즈를 설정 가능한 제1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1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정과,
    형상을 닮은꼴로 보전하면서 사이즈를 변경 가능한 제2종의 장식화상을 나타내는 제2종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나타내어지는 원화상에, 종류가 다른 제1종의 장식화상 및 제2종의 장식화상중 적어도 한쪽을 중첩하여, 장식 필 화상을 나타내는 장식 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21. 입력되는 원화상에, 장식화상을 중첩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표시제어방법으로서,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메뉴화면을 중첩표시시키는 공정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메뉴화면에서 복수종류의 장식화상중에서 장식하고 싶은 장식화상을 선택하고, 또한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장식화상의 색 등의 표시조건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메뉴화면을 소거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한 장식화상 및 그 표시조건을 심볼릭화한 표시 포인터화상을 중첩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표시 포인터화상을 이동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장식화상의 시점을 결정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장식화상의 시점위치를 나타내는 시점포인터화상을 중첩표시하는 공정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표시 포인터화상을 다시 이동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장식화상의 종점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장식화상의 시점위치와 종점위치의 2점 사이에 상기 장식화상을 중첩표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위치 포인터화상은, 상기 장식화상의 중첩되는 위치의 방향을 나타내는 복수의 종류의 포인터화상을 가지고, 상기 시점위치를 기점으로 한 상기 표시 포인터화상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복수종류의 포인터화상으로부터 선택되어 표시되는 표시제어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화상은, 선 또는 범위가 적어도 색이 복수색 중에서 선택가능하므로서, 적어도 상기 표시 포인터화상은 그 선택된 색에 따른 색이 부가된 화상으로서 중첩표시되는 표시제어방법.
KR10-2000-7007658A 1998-02-03 1999-02-01 투사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KR100403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6715 1998-02-03
JP3671598 1998-02-03
JP21861898 1998-07-15
JP10/218618 1998-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050A true KR20010034050A (ko) 2001-04-25
KR100403859B1 KR100403859B1 (ko) 2003-11-07

Family

ID=2637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658A KR100403859B1 (ko) 1998-02-03 1999-02-01 투사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176850B1 (ko)
EP (3) EP1881478A3 (ko)
KR (1) KR100403859B1 (ko)
CN (1) CN1183500C (ko)
DE (1) DE69940921D1 (ko)
TW (1) TW417404B (ko)
WO (1) WO1999040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6307B2 (ja) * 1997-05-28 2007-07-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3840898B2 (ja) 1998-02-03 2006-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表示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US6386985B1 (en) * 1999-07-26 2002-05-14 Guy Jonathan James Rackham Virtual Staging apparatus and method
JP4761603B2 (ja) * 2000-03-31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DE10127620A1 (de) 2001-06-07 2002-12-12 Zeiss Carl Jena Gmbh Anordnung zum Projizieren eines mehrfarbigen Bildes auf eine Projektionsfläche
DE10127621A1 (de) 2001-06-07 2002-12-12 Zeiss Carl Jena Gmbh Anordnung zum Projizieren eines Bildes auf eine Projektionsfläche
DE10127617A1 (de) 2001-06-07 2002-12-12 Zeiss Carl Jena Gmbh Projektionsanordnung
GB0129787D0 (en) * 2001-12-13 2002-01-30 Hewlett Packard Co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user-interest information regarding a picture
JP2004173213A (ja) * 2002-11-22 2004-06-17 Canon Inc 記録装置及び方法、再生装置及び方法
JP4168748B2 (ja) * 2002-12-20 2008-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FR2853857B1 (fr) * 2003-04-16 2006-07-14 Michelin Soc Tech Procede et dispositif pour effectuer un traitement sur un ensemble de composants d'une roue de vehicule
US7176937B2 (en) * 2003-09-23 2007-0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ultiple data categories
JP4289269B2 (ja) * 2004-03-01 2009-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表示装置、光学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光学表示装置制御方法
US7644369B2 (en) * 2004-03-19 2010-01-05 Rocket Software, Inc. Controlling display screen legibility
US20070044028A1 (en) * 2004-04-01 2007-02-22 Dunn Michael H Virtual flip chart method and apparatus
US7948448B2 (en) 2004-04-01 2011-05-24 Polyvision Corporation Portable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7834819B2 (en) * 2004-04-01 2010-11-16 Polyvision Corporation Virtual flip chart method and apparatus
US8046790B2 (en) * 2004-07-06 2011-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Media projector system for preventing the display of on-screen display information
JP2006121181A (ja) * 2004-10-19 2006-05-11 Casio Comput Co Ltd プロジェクタ装置、表示出力方法及び表示出力プログラム
EP1684262A1 (en) * 2005-01-21 2006-07-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Electronic Information
TW200840354A (en) * 2007-03-23 2008-10-01 Avermedia Information Inc Method for image displaying for document projector
JP4759081B2 (ja) * 2009-11-11 2011-08-31 1st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チャート描画装置およびチャート描画方法
JP5598232B2 (ja) * 2010-10-04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472018B2 (en) * 2011-05-19 2016-10-18 Arm Limited Graphics processing systems
USD754191S1 (en) * 2013-02-23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3702040B (zh) * 2013-12-31 2018-03-23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实时视频图饰叠加处理方法及系统
US10462381B2 (en) 2014-04-30 2019-10-29 Freedom Scientific,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with reduced latency
ES2905435T3 (es) * 2014-04-30 2022-04-08 Freedom Scientific Inc Sistema y método de procesamiento de una señal de vídeo con latencia reducida
JP2017169086A (ja) * 2016-03-17 2017-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86202B2 (en) 2016-03-28 2018-05-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ectrum pre-shaping in video
US10264213B1 (en) 2016-12-15 2019-04-16 Steelcase Inc. Content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087A (en) * 1979-09-25 1981-04-28 Tokyo Shibaura Electric Co Cursor control system
JPS5667475A (en) * 1979-11-06 1981-06-06 Toshiba Corp Picture information editing device
JPS58163992A (ja) * 1982-03-25 1983-09-28 ソニー株式会社 Crtデイスプレ−装置
JPS59186065A (ja) 1983-04-08 1984-10-22 Canon Inc 画像情報の抽出装置及び抽出方法
US5073013A (en) * 1984-10-22 1991-12-17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JP2557880B2 (ja) * 1987-04-30 1996-11-27 株式会社東芝 カ−ソル制御装置
JPH01265291A (ja) * 1988-04-18 1989-10-23 Hitachi Ltd 連続移動図形表示装置
JPH0252396A (ja) 1988-08-15 1990-02-21 Canon Inc 表示制御装置
JPH03150592A (ja) * 1989-11-08 1991-06-2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3257520A (ja) 1990-03-08 1991-11-18 Toshiba Corp 情報表示装置
EP0484981B1 (en) * 1990-11-09 1998-07-08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972325B2 (ja) * 1990-11-28 1999-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JPH04280294A (ja) 1991-03-08 1992-10-06 Hitachi Ltd ポインタ表示装置
US5293540A (en) * 1991-07-29 1994-03-08 Nview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independently generated internal video with external video
JPH0556348A (ja) * 1991-08-27 1993-03-05 Sony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
JPH05120405A (ja) 1991-10-25 1993-05-18 Sony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JP2618145B2 (ja) * 1991-11-21 1997-06-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図形アイコンを用いた図形作成方法及び作成装置
JPH05265412A (ja) 1992-03-18 1993-10-15 Hitachi Ltd 発表支援システム
JPH05266108A (ja) * 1992-03-23 1993-10-15 Hitachi Eng Co Ltd ドキュメント情報確認処理方法及び装置
JPH06214538A (ja) * 1992-05-08 1994-08-05 Apple Computer Inc 統合されたビデオおよびグラフィック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588100A (en) * 1992-05-18 1996-12-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freeform drawing object
JP3536312B2 (ja) 1992-06-10 2004-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5357603A (en) * 1992-06-15 1994-10-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a shape type while maintaining existing graphic characteristics
US5488687A (en) * 1992-09-17 1996-01-30 Star Technologies, Inc. Dual resolution output system for image generators
JPH06139042A (ja) * 1992-10-29 1994-05-20 Hitachi Ltd カーソル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5428417A (en) * 1993-08-02 1995-06-27 Lichtenstein; Bernard Visual lecture aid
US5682181A (en) * 1994-04-29 1997-10-28 Proxima Corporation Method and display control system for accentuating
JP3419046B2 (ja) * 1993-09-27 2003-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H08161142A (ja) 1994-12-08 1996-06-21 Hitachi Vlsi Eng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システム
US5666499A (en) * 1995-08-04 1997-09-09 Silicon Graphics, Inc. Clickaround tool-based graphical interface with two cursors
EP0798690B1 (de) * 1996-03-25 2008-09-10 Micronas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Bild-im-Bild-Einblendung
US5850232A (en) * 1996-04-25 1998-12-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lipping images in a window using overlays
US6091408A (en) * 1997-08-13 2000-07-18 Z-Axis Corporation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units on multiple presentation units
JPH114395A (ja) 1997-06-12 1999-01-06 Sony Corp 画像投影装置
US6209061B1 (en) * 1998-03-02 2001-03-27 Hewlett-Packard Co. Integrated hierarchical memory overlay having invariant address space span that inactivates a same address space span in main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6850B1 (en) 2007-02-13
US7170531B2 (en) 2007-01-30
KR100403859B1 (ko) 2003-11-07
US20030117385A1 (en) 2003-06-26
WO1999040563A8 (fr) 1999-11-25
TW417404B (en) 2001-01-01
CN1289434A (zh) 2001-03-28
EP1056071A4 (en) 2005-08-10
CN1183500C (zh) 2005-01-05
EP1881478A3 (en) 2009-01-07
EP1056071A1 (en) 2000-11-29
EP1881478A2 (en) 2008-01-23
EP1881477A2 (en) 2008-01-23
DE69940921D1 (de) 2009-07-09
EP1056071B1 (en) 2009-05-27
EP1881477A3 (en) 2009-01-07
WO1999040563A1 (fr) 199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859B1 (ko) 투사형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US5502462A (en) Display list management mechanism for real-time control of by-the-line modifiable video display system
US54737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ly indicating image boundaries in digital image cropping
KR100417464B1 (ko) 투사형 표시장치
EP120224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535455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EP1998572A2 (en) Projector,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3840898B2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表示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8051848A (ja) 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同期制御方法、同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123273B2 (en) Overlay of plural images
JP4079163B2 (ja) 投影型画像表示装置
WO2005006772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7249482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ポインタプログラム
JP2007233450A (ja) 画像合成装置
JP4395940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383432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1350585A (ja) 座標入力機能付き画像表示装置
JP2008083593A (ja) 投影装置
JPH10124039A (ja) 図形表示装置
JP2004007238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H10215410A (ja) 合成描画データの生成方法および合成描画装置
JP2000011201A (ja) 画像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03204686A (ja) 画像情報表示装置
JPH08147481A (ja) 画像作成方法及び画像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