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830A - 지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830A
KR20010032830A KR1020007006151A KR20007006151A KR20010032830A KR 20010032830 A KR20010032830 A KR 20010032830A KR 1020007006151 A KR1020007006151 A KR 1020007006151A KR 20007006151 A KR20007006151 A KR 20007006151A KR 20010032830 A KR20010032830 A KR 2001003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lever
stacker
bi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525B1 (ko
Inventor
이토유키오
고다마야스유키
야마기시노보루
하타마치다다시
Original Assignee
아카이 가즈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이 가즈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filed Critical 아카이 가즈유키
Publication of KR2001003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2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5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and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star wheel
    • B65H2404/659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and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star wheel particular arrangement
    • B65H2404/6591Pair of opposite elements rotating around parallel axis, synchronously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51)의 지폐반려 방지레버(80)는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 내에 돌출하여 다음의 반송지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가급적 막기 위해 제1 축(26)을 거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보다 짧은 제1 레버(25), 제1 레버(25)를 지폐반송로(4)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1 편향수단(28), 제1 레버(25)가 지폐반송로(4)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32), 제1 레버(25)의 선단부(25c)에 제2 축(74)을 거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레버(79), 제2 레버(79)가 지폐반송로(4)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76), 및 제2 레버(79)를 지폐반송로(4)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2 편향수단(77)을 적어도 구비한다.

Description

지폐 처리장치 {BANK-NOTE PROCESSING DEVICE}
일반적으로 지폐(쿠폰 등을 포함)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 본체내에는 삽입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진권임이 확인된 지폐만을 축적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지폐 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20은 종래의 지폐 처리장치(1)를 나타내는 요부파단 개념 측면도이다.
이 지폐 처리장치(1)는 장치본체(2), 및 장치본체(2)의 배면(2a)에 설치되는 스태커(stacker)(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장치본체(2)에는 지폐삽입구(3)에 연통하는 L자 형상의 지폐반송로(4), 지폐삽입구(3)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4)로 안내하는 지폐반송수단(11), 지폐반송로(4)를 개폐하는 셔텨수단(18), 지폐반송수단(11)에 의해 반송되어 상기 셔텨수단(18)을 통과한 기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헤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수단(19), 상기 지폐식별수단(19)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단된 지폐를 1매씩 스태커(37) 측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20), 및 상기 지폐이동수단(20)에 의해 일단 스태커(37)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4) 내에 동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중에 L자 형상의 지폐반송로(4)는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98-141350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슈트(chute)(5, 6)로 이루어지는 수평부(4a), 및 슈트(7, 8)로 이루어지는 수직부(4b)로 이루어지고, 이 가운데 수평부(4a)의 하부 슈트(6) 전체와 수직부(4b)의 하부 슈트(8) 상류는 대체로 L자 형상인 박스(9)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박스(9)는 도 21의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박스(9)의 양 측면과 장치본체(2)의 내주면 양 측방에 형성된 예를 들면 가이드 홈과 그 가이드 홈 속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는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 화살표 A 방향을 향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21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평면도로서, 도 20과 동일 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지폐반송수단(11)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 및 수직부(4b)를 따라 팽팽하게 설치된 무단(無端)의 지폐반송 벨트(12) 및 그 지폐반송 벨트(12)를 회전구동하는 풀리(13, 14, 15, 16)로 이루어지는 지폐반송 벨트 구동수단(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폐이동수단(20)은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93-276592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20에서 나타내는 장치본체(2)의 양 사이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상하단을 축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지폐안재 드럼(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폐안내 드럼(21)의 둘레면에는 지폐의 폭방향 단부를 끼워 삽입하는 슬릿(22)이 지폐반송로(4)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22)은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개념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 22와 같이 초기위치에 있어서 지폐반송로(4)와 위치결정되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이 지폐이동수단(20)의 상세사항에 관해서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93-276592호의 명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지폐반려방지 레버(30)는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21) 사이에 설치되어 축(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L자형상의 레버(25)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25)는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장축(25a), 및 장치본체(2)의 하우징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31)에 지지된 스프링(27)으로 이루어지는 편향수단(28)에 연결되어 있는 단축(2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장축(25a)은 장치본체(2)의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29)으로부터 지폐안내 드럼(21)을 향해 선단부(25c)가 출몰 가능하며, 그 선단(25e)은 편향수단(28)에 의해 항상 지폐반송로(4) 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또, 단축(25b)에는 선단(25d)에 레버가 지폐반송로(4)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삽입구(3) 내에 지폐(101)(도 22)를 삽입하면 지폐검출센서에 의해 삽입지폐(101)의 유무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는 지폐반송 벨트(12)의 반송력에 의해 삽입지폐(101)는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를 따라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수평반송된다. 동시에 셔터수단(18)(도 20)이 구동되고 그것에 의해 셔터를 도면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폐반송로(4)의 수직부(4b)를 확장하여 열어준다.
한편, 삽입지폐(101)가 지폐반송 벨트(12)의 정회전에 의해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를 따라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수평반송되고, 다음으로 지폐반송로(4)의 수직부(4b)를 따라 약 90도 위쪽으로 반송되면 지폐반송로(4)의 수직부(4b)에 설치된 지폐식별수단(19)에 의해 삽입지폐(101)의 진위(眞僞)가 판정된다.
지폐식별수단(19)에 의해 삽입지폐(101)가 그릇된 지폐로 판단된 경우는 지폐반송 벨트(12)가 반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당해 삽입지폐(101)는 지폐삽입구(3)로부터 되돌려진다.
또한, 삽입지폐(101)가 지폐식별수단(19)에 의해 올바른 지폐로 판단된 경우는 그 검출신호에 따라 지폐반송 벨트(12)의 정회전이 지속되어 삽입지폐(101)는 다시 지폐반송로(4)의 하류로 반송된다.
그 후, 삽입지폐(101)의 선단(101a)이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 하단(22a)에 끼워 삽입되면 삽입지폐(101)는 동시에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의 단부와 지폐반송 벨트(12)(도 20)의 사이에 끼워져 있게되므로 이에 따라 삽입지폐(101)는 다시 지폐반송 벨트(12)의 반송력에 의해 슬릿(22)을 따라 도 22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22와 동일 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101)의 하단(101b)이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 내의 소정위치에 도달한 것이 도시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되면, 지폐반송 벨트(12)(도 20)의 정회전이 정지되는 동시에 지폐안내 드럼(21)이 반대방향으로 동위상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슬릿(22) 내에 삽입된 지폐(101)는 도 23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37) 측으로 평행이동한다.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37)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통상의 길이방향의 치수를 갖는 지폐(101)는, 도 22와 동일 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의 하단(101b)이 레버(25)의 장축(25a)에 맞닿는 동시에 레버(25)를 축(2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므로 이에 따라 레버(25)는 구멍(29) 속으로 서서히 퇴피(退避)되고, 지폐(101)는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다시 스태커(37) 측으로 평행이동한다.
또,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37) 측으로 평행이동하여 스태커(37)에 도달하면, 즉 지폐(101)를 끼워 삽입하는 슬릿(22)이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에 도달하면, 지폐(101)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스프링을 거쳐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주면 사이에 협지(挾持)되고, 그와 동시에 지폐반송로(4)를 구성하여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스태커(37) 측으로 이동하는 슈트(34)(도 28)에 의해 눌려지므로, 지폐(101)는 슬릿(22)으로부터 해방되고 이에 따라 스태커(37) 내에 확실하게 밀려들어가 수용된다.
한편, 레버(25)는 장축(25a)의 길이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 22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101)를 끼워 삽입하는 슬릿(22)이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에 도달하기 전에 지폐(101)의 하단(101b)은 장축(25b) 선단(25e)에서 거리를 두고 떠어지고, 레버(25)는 편향수단(28)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투입지폐(101)는 도 22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37) 내에 적재수용되는 동시에 그 하단(101b)이 지폐반려 방지레버(30)와 체결되므로, 이에 따라 일단 스태커(37) 내에 수용된 지폐(101)가 지폐반송로(4) 내에 돌출하고,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한다.
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스태커(37)가 장치본체(2)의 배면(2a)에 착탈가능하므로, 스태커(37) 내의 수용지폐를 회수할 때에는 스태커(37)를 장치본체(2)로부터 이탈하여 그 작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처리장치(1)의 박스(9)는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를 구성하는 아래 슈트(6) 전역과 수직부(4b)를 구성하는 아래 슈트(8) 상류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 상기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 장치본체(2)에 화살표 A 방향을 향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지폐반송수단(11), 셔터수단(18), 또는 지폐식별수단(19)의 보수점검이나 청소를 행할 때에 작업자는 박스(9)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박스(9)를 상기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 장치본체(2)의 반대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이에 따라 박스(9)를 장치본체(2)로부터 이탈시킨 후, 그러한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25)는 장축(25a)의 길이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한편, 지폐는 그 성질상 길이방향의 치수에 변동이 있으므로, 질이방향의 치수가 짧은 지폐가 투입되고, 당해 지폐가 스태커(37)에 수용된 경우에는 도 27, 및 도27의 개념 상면도로 나타내는 도 28과 같이, 그 지폐(102)가 지폐반려 방지레버(30)의 선단부(25c)에 맞물리지 않고, 스태커(37) 내에 먼저 수용된 다른 지폐 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에 의해 눌려서 그것의 폭방향 대략 중앙(102c)이 지폐반송로(4)에 돌출하고, 이에 따라 일단 스태커(37) 내에 수용된 지폐(102)는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37) 내에 수용된 지폐(102)는 폭방향 대략 중앙(102c)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지폐반송로(4) 측으로 팽창되기 쉬우므로 전술한 우려는 더욱 현저해진다.
전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37)는 장치본체(2)에 착탈가능하며, 또한 장치본체(2)로부터 반송된 지폐(101)를 수용하는 구조이므로, 스태커(37) 내의 수용지폐를 회수할 때, 스태커(37)를 장치본체(2)로부터 이탈시키면 스태커(37) 내에 수용된 지폐(101)가 장치본체(2)의 배면(2a)을 향해 형성된 스태커(37)의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9)는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를 구성하는 아래 슈트(6) 전역과 수직부(4b)를 구성하는 아래 슈트(8) 상류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 장치본체(2)에 화살표 A 방향을 향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이므로, 지폐반송수단(11) 또는 지폐식별수단(19)의 보수점검이나 청소를 행할 때, 작업자는 박스(9)를 지지하는 동시에 박스(9)를 상기 슬라이드 지지수단을 거쳐 장치본체(2)의 반대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이에 따라 박스(9)를 장치본체(2)로부터 이탈시킨 후, 그러한 작업을 행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지폐반송수단(11) 또는 지폐식별수단(19)의 보수점검작업 또는 청소작업을 하는 동안 박스(9)를 지지하지 않으면 안되고, 한 손으로만 그러한 보수점검작업이나 청소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당해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전술한 각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 내에 돌출하여 다음의 반송지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가급적 막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 내에 돌출하여 다음의 반송지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가급적 막을 뿐 아니라 지폐를 회수할 때 스태커 내의 수용지폐의 낙하를 가급적 막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지폐반송로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보수점검이나 청소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게 하고, 그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빠찡코구슬 대여기, 메탈코인 대여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파단(要部破斷) 개념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개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장치본체로부터 스태커를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파단 개념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스태커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스태커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평면도.
도 20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파단 개념 측면도.
도 21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박스의 착탈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평면도.
도 22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24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27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개념 단면도.
도 28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지폐반송로 내에 스태커에 수용된 지폐가 돌출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개념 상면도.
전술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1의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紙幣搬送路)를 따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폭방향 양단부를 그 지폐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 삽입하는 슬릿(slit)이 형성된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가지며, 그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동일 위상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릿 내에 끼워 삽입된 지폐를 스태커(stacker) 측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상기 지폐반송로 속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여기서 지폐반려 방지레버는 제1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폐안내 드럼의 외경보다 짧은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를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1 편향수단,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stopper), 상기 제1 레버의 선단부에 제2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2 레버를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2 편향수단을 가짐―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2의 발명에서는,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폭방향 양단부를 그 지폐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 삽입하는 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가지며, 그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동일 위상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릿 내에 끼워 삽입된 지폐를 배면(背面)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을 구비한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지폐이동수단을 거쳐 지폐를 내부에 수용하는 스태커, 및 상기 스태커를 장치본체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상기 지폐반송로 속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는 상기 스태커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커를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지폐반려 레버에 의해 상기 스태커에 수용된 상기 지폐가 상기 스태커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3의 발명에서는,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로 안내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수단을 통과한 지폐의 진위(眞僞)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을 구비한 장치본체,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수단을 거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박스(box)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의 내주면 양측방에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박스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가이드 홈 종단(終端)의 직전에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의 위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 돌기 탈출공(脫出孔), 및 상기 장치본체의 양측면에 있고 상기 가이드 홈 종단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이드 돌기 탈출공을 거쳐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 삽입하였을 때 상기 장치본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에 끼워 삽입하였을 때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박스는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이드 돌기 탈출공을 거쳐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탈출시켜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파단 개념 측면도로서, 도 20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에 비해 이하에 열거하는 세가지 점에 관하여 구조가 크게 다르다.
(1) 지폐반려 방지레버의 구조(본 원의 제1의 발명에 따른 부분).
(2) 장치본체로부터 스태커를 이탈시킬 때,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스태커의 아래쪽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지폐 낙하방지수단의 구조(본 원의 제2의 발명에 따른 부분).
(3) 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박스의 착탈수단의 구조(본 원의 제3의 발명에 따른 부분).
이제, 상기 (1) 내지 (3)에 관하여 차례로 그 구조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며, 우선 본 원의 제1의 발명에 따른 (1) 지폐반려 방지레버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지폐처리장치(51)는 직사각형의 장치본체(52), 및 그 장치본체(52)의 배면(52a)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태커(71)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장치본체(52)에는 지폐삽입구(3)에 연통하는 L자형상의 상기 지폐반송로(4), 지폐삽입구(3)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4)로 안내하는 상기 지폐반송수단(11), 지폐반송로(4)를 개폐하는 상기 셔텨수단(18), 지폐반송수단(11)에 의해 반송되어 상기 셔터수단(18)을 통과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헤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폐식별수단(19), 및 그 지폐식별수단(19)에 의해 진권(眞券)이라고 판단된 지폐를 1매씩 스태커(71) 측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지폐이동수단(20)이 설치된다.
이 중에서 지폐반송수단(11)은 종래와 같이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 및 수직부(4b)를 따라 팽팽하게 설치된 무단의 지폐반송벨트(12), 그 지폐반송벨트(12)를 회전구동하는 풀리(13, 14, 15, 16)로 이루어지는 지폐반송벨트 구동수단(17)으로 구성된다.
한편, 스태커(71)는 종래의 스태커(37)(도 20)에 상당하는 하우징(35), 그 하우징(35)에 설치되어 일단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4) 속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80)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지폐반려 방지레버(8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71) 정면(71a)에 형성된 절결부(72)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에 상당하는 제1 레버(25), 상기 편향수단에 상당하는 제1의 편향수단(28), 상기 스토퍼에 상당하는 제1 스토퍼(32), 제2 레버(79), 제2의 편향수단(77), 및 제2 스토퍼(76)로 구성된다. 또한, 도 2는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개념 사시도로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71)에 형성된 절결부(72)는 스태커(71)를 장치본체(52)에 장착하였을 때, 장치본체(52) 배면(52a)에 형성된 절결부(53)에 맞닿고, 구멍(54)을 형성한다.
이 가운데 제1 레버(25)는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21) 사이(도 1)에 설치된 L자형 레버로 이루어지고, 이 제1 레버(25)는 지폐안내 드럼(21)(도 1)의 외경(21a)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장축(25a)과 스태커(71)에 형성된 절결부(72)의 하면(72a)에 맞닿는 돌출부(25f)가 설치된 단축(25b)으로 구성된다. 또, 제1 레버(25)의 절곡부(25g)는 절결부(72)의 양단에 걸쳐있는 제1 축(26)에 끼워 삽입된다. 또, 단축(25b)에 형성된 돌출부(25f)는 제1 스토퍼(32)를 구성한다.
제1 레버(25)의 장축(25a)은 그 선단부(25c)에 상하 방향으로 절결부(7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73)에는 대략 중앙에 제2 축(74)이 걸쳐져 있다. 또, 절결부(73)에는 제2 축(74)에 의해 약간 지폐반송로(4) 측 아래쪽에 제2 스토퍼(76)를 구성하는 축(75)이 걸쳐져 있다.
제1 편향수단(28)은 스태커(71)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84)에 지지된 일단(27a)과 제1 레버(25)의 단축(25b)에 연결된 타단(27b)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27)에 의해 구성된다.
또, 제2 레버(79)는 그 후단(79b)이 지폐반송로(4)(도 1) 측에 형성된 설편(舌片)(79c), 및 제2 축(74)을 끼워 삽입하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인 축지지부(79d)로 구성되어 있고, 그 후단(79b) 전체는 제1 레버(25)의 절결부(73)에 끼워져 있다.
제2 편향수단(77)은 제2 축(74)에 감겨져 제1 레버(25)의 장축(25a)에 연결되는 일단(78a)과 제2 레버(79)에 연결되는 타단(78b)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7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폐반려 방지레버(80)에서는 제1 레버(25)가 제1 축(2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1 편향수단(28)에 의해 항상 지폐반송로(4) 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제1 레버(25)의 지폐반송로(4) 측으로의 회전은 제1 레버(25)에 형성된 돌출부(25f)가 절결부(72)의 하면(72a)에 맞닿음으로써 소정 회전각도 이내로 규제된다. 또, 제2 레버(79)는 제2 축(7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2 편향수단(77)에 의해 상시 지폐반송로(4) 측에 편향된다. 또, 제2 레버(79)의 지폐반송로(4) 측으로의 회전은 설편(79c)이 축(75)에 맞닿음으로써 소정 회전각도 이내로 규제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지폐처리장치(51)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지폐반송로(4), 지폐반송수단(11), 셔터수단(18), 및 지폐식별수단(19)은 종래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므로, 여기서는 진권으로 판단된 삽입지폐가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 내에 끼워 삽입되는 동작 이후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도 2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3과 같이, 초기위치에 있어서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은 지폐반송로(4)에 위치결정되어 맞추어져 있다.
지폐반려 방지레버(80)는 초기위치에 있어서, 제1 레버(25)가 돌출부(25f)의 절결부(72) 하면(72a)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장축(25a) 선단(25e)을 지폐반송로(4)와 평행인 방향으로 지폐안내 드럼(21) 측을 향해 구멍(54)을 통해 돌출시켜 놓고, 제2 레버(79)는 설편(79c)에 의해 축(75)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레버 전체를 지폐반송로(4)와 평행인 방향으로 지폐안내 드럼(21) 측을 향해 구멍(54)을 통해 돌출시킨다.
한편, 진권인 삽입지폐(101)가 지폐반송수단(11)에 의해 지폐반송로(4)를 따라 반송되고, 그 선단이 지폐안내 드럼의 슬릿(22)의 하단(22a)(도 22)에 끼워 삽입되면, 삽입지폐(101)는 동시에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 단부와 지폐반송벨트(12)(도 1)의 사이에 협지되므로 이로써 삽입지폐(101)는 다시 지폐반송벨트(12)의 반송력에 의해 슬릿(22)을 따라 그 상방으로 반송된다.
그래서, 지폐(101)의 하단(101b)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안내 드럼(21)가 슬릿(22) 내의 소정위치에 도달한 것이 도시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되면, 지폐반송벨트(12)의 정회전이 정지하는 동시에 지폐안내 드럼(21)이 반대방향으로 동위상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슬릿(22) 내에 끼워 삽입된 지폐(101)는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한다.
이와 같이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통상의 길이방향 치수를 가지는 지폐(101)는,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4와 같이, 그 하단(101b)이 제1 레버(25)의 장축(25a)에 맞닿는 동시에 제1 편향수단(28)의 편향력에 맞서 제1 레버(25)를 누르고, 제1 축(2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이에 따라 제1 레버(25)는 장축(25a)의 하단측으로부터 서서히 구멍(54) 속으로 퇴피되고, 지폐(101)는 다시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한다. 또한,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지폐의 하단(101b)이 제1 레버(25)에 맞닿는 위치는 제1 레버(25) 선단(25e) 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또, 제2 레버(79)는 설편(79c)이 축(75)에 맞닿는 초기위치를 유지하면서 제1 레버(25)와 함께 회전한다.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더욱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지폐(101)의 하단(101b)은,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5와 같이, 제1 레버(25)로부터 멀어져서 제2 레버(79)에 맞닿는다. 그러면 제1 레버(25)는 제1 편향수단(28)의 편향력에 의해 제1 축(2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한편, 제2 레버(79)는 지폐(101)의 하단(101b)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제2 편향수단(77)의 편향력에 맞서 제2 축(7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선단(79a)을 서서히 구멍(54) 속으로 퇴피시키므로, 지폐(101)는 다시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한다. 또한, 지폐(101)가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지폐의 하단(101b)이 제2 레버(79)에 맞닿는 위치는 제2 레버(79) 선단(79a) 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다시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지폐(101)의 하단(101b)은,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6과 같이, 제2 레버(79)의 선단(79a)으로부터 멀어진다. 지폐(101)의 하단(101b)이 제2 레버(79)의 선단(79a)으로부터 멀어지면, 제2 레버(79)는 제2 편향수단(77)의 편향력에 의해 제2 축(7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한편, 제1 레버(25)는 제1 편향수단(28)의 편향력에 의해 제1 축(2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마침내 제1 및 제2 레버(25, 79)는 모두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 지폐(101)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다시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되어 스태커(71)에 도달하면, 지폐(101)는 도시되지 않은 스택 스프링을 거쳐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주면의 사이에 협지되고, 그와 동시에 지폐반송로(4)를 구성하여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스태커(71) 측으로 이동하는 슈트(34)(도 28)에 의해 밀리게 되므로, 지폐(101)는 슬릿(22)에서 해방되고, 이에 따라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7과 같이, 스태커(71) 내에 확실히 밀려들어가 수용된다. 또, 슬릿(22) 내의 지폐(101)가 스태커(71)에 도달할 때,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의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통상의 길이방향 치수를 가지는 투입지폐(10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71) 내에 적재수용되는 동시에 그 지폐의 하단(101b)가 지폐반려 방지레버(80)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일단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101)가 스태커(71) 내에 앞서 수용된 다른 지폐 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에 의해 눌려져 그 폭방향의 대략 중앙(101c)이 지폐반송로(4) 내에 돌출하고,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한편, 슬릿(22) 내에 끼워져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는 지폐가 길이방향의 치수가 짧은 지폐(102)인 경우에는 그 지폐(102)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8과 같이, 지폐(102) 하단(102b)이 제2 레버(79)에 맞닿는 동시에 제2 편향수단(77)의 편향력에 맞서 상기 제2 레버(79)를 누르고, 제2 축(7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이에 따라 제2 레버(79)는 서서히 지폐(102)의 이동방향에서 퇴피되고, 지폐(102)는 다시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한다. 또한, 지폐(102)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지폐의 하단(102b)이 제2 레버(79)에 맞닿는 위치는 제2 레버(79)의 선단(79a) 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또한 제1 레버(25)는 제2 레버(79)가 제2 편향수단(77)의 편향력에 맞서 회전하므로, 제2 편향수단(77)의 반발력에 의해 제1 축(26)을 중심으로 제1 편향수단(28)의 편향력에 맞서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지폐(102)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다시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하면, 지폐(102)의 하단(102b)은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9와 같이, 제2 레버(79)의 선단(79a)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러면 제2 레버(79)는 제2 편향수단(77)의 편향력에 의해 제2 축(7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한편 제1 레버(25)도 제1 편향수단(28)의 편향력에 의해 제1 축(2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침내 제1, 제2 레버(25, 79)는 모두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 지폐(102)가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다시 스태커(71) 측으로 평행이동되고 슬릿(22) 내의 지폐(102)가 스태커(71)에 도달하면, 지폐(102)는 도시되지 않은 스택스프링을 거쳐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주면의 사이에 협지되고, 그와 동시에 지폐반송로(4)를 구성하여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스태커(71) 측으로 이동하는 슈트(34)(도 28)에 의해 밀리게 되므로, 지폐(102)는 슬릿(22)에서 해방되고, 이에 따라 도 3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0과 같이, 스태커(71) 내에 확실히 밀려들어가 수용된다. 또, 슬릿(22) 내의 지폐(102)가 스태커(71)에 도달할 때,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은 도시된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의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길이방향의 치수가 짧은 투입지폐(101)에 관하여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71) 내에 적재수용되는 동시에 그 지폐의 하단(102b)이 지폐반려 방지레버(80)의 제2 레버(79)의 선단(79a)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일단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102)가 스태커(71) 내에 먼저 수용된 다른 지폐 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에 의해 눌려져 그 폭방향의 대략 중앙(101c)이 지폐반송로(4) 내에 돌출하고,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지폐반려 방지레버(80)는 제1 축(26)을 거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에 의해 짧은 제1 레버(25), 그 제1 레버(25)를 지폐반송로(4)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1 편향수단(28), 제1 레버(25)가 지폐반송로(4)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32), 제1 레버(25)의 선단부(25c)에 제2 축(74)을 거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레버(79), 그 제2 레버(79)가 지폐반송로(4)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76), 및 제2 레버(79)를 지폐반송로(4)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2 편향수단(77)을 적어도 구비하도록 하였으므로, 지폐를 스태커(71) 내에 수용하여 복귀한 초기위치에 있어서, 지폐안내 드럼(21)을 향해 구멍(54)을 통해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삽입지폐가 길이방향 치수가 짧은 지폐(102)인 경우에도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는 확실하게 지폐반려 방지레버(80)에 맞물릴 수 있다.
이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제2 레버(79)는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보다 짧게 제1 편향수단(28)에 의해 지폐반송로(4) 측으로 항상 편향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제1 레버(25)의 선단부(25c)에 제2 축(74)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2 편향수단(77)에 의해 지폐반송로(4) 측으로 항상 편향되어 있으므로, 지폐안내 드럼(21)의 회전구동에 의해 지폐반송로(4)에 대해 평행이동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80)가 지폐안내 드럼(21)의 외경(21a)에 도달하기 전, 즉 지폐가 스태커(71)에 도달하기 전에 지폐 하단은 제2 레버(79)의 선단(79a)으로부터 멀어지고, 이에 따라 지폐가 스태커(71)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지폐반려 방지레버(80)를 확실하게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놓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반려 방지레버(80)가 스태커(71) 내에 앞서 수용된 다른 지폐 등에 의해 눌려지는 당해 지폐의 하단에 맞물려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없는 우려는 가급적 없어진다.
따라서, 삽입지폐가 길이방향의 치수가 짧은 지폐(102)인 경우에도 스태커(71)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당해 지폐(102)는 확실하게 지폐반려 방지레버(80)에 맞물릴 수 있고, 일단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102)가 스태커(71) 내에 먼저 수용된 다른 지폐 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에 의해 눌려져 그 폭방향의 대략 중앙(102c)이 지폐반송로(4)로 돌출하여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즉, 길이방향의 치수에 변동이 있는 성질을 갖는 지폐를 스태커(71) 내에 수용하였을 때, 확실하게 지폐반려 방지레버(80)에 맞물리게 할 수 있고, 일단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4) 내에 돌출하여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특히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는 폭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공기가 들어가서 지폐반송로(4) 측으로 팽창하기 쉬우므로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80)를 구비하는 것은 전술한 우려를 없애기 위해 효과적이다.
또, 이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삽입지폐를 지폐안내 드럼(21)의 슬릿(22) 내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할 때, 삽입지폐가 그 위치결정의 불량에 의해 소정위치보다 위쪽으로 위치결정되고, 그 지폐가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경우에도 당해 지폐는 지폐반려 방지레버(80)에 맞물릴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지 않고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당해 지폐가 지폐반려 방지레버(80)에 맞물리지 않고 지폐반송로(4) 내에 돌출하여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다음에, 본 원의 제2의 발명에 따른 (2)에 기재된 장치본체로부터 스태커를 이탈시킬 때,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스태커의 아래쪽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지폐 낙하방지수단의 구조부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용지폐 낙하방지수단(91)은 장치본체와 스태커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개념 파단면도로 나타낸 도 11과 같이, 전술한 지폐반려 방지레버(80)로 구성된다.
또, 지폐반려 방지레버(80)는 도 11 및 스태커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 12와 같이, 스태커(71)의 정면(71a)으로서 하우징(35)의 아래쪽 대략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92)에 설치된다.
또한, 스태커(71)의 정면(71a)에는 하우징(35)의 위쪽 대략 중앙에 돌출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지폐 낙하방지수단(91)을 구비한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71)의 아래쪽에 형성된 돌출부(92)를 도시되지 않은 장치본체(52)의 배면(52a)에 있고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삽입 홈에 끼워맞추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72)를 장치본체(52)의 절결부(53)에 위치결정하여 맞추고, 구멍(5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스태커(71)의 위쪽에 형성된 돌출부(93)를 장치본체(52)의 배면(52a)에 있고 길이방향 위쪽에 형성된 장착용 홈에 끼워맞추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71)를 장치본체(5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이탈된 스태커를 장치본체에 장착하였을 때의 스태커의 정면을 나타내는 개념 평면도이다.
전술한 순서와 반대의 동작을 행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2)로부터 스태커(71)를 이탈시킬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장치본체(52)로부터 이탈시킨 스태커(71)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101)는 지폐의 대략 중앙(101c)에 있고, 지폐(101)의 측면 아래쪽 및 하단을 지폐반려 방지레버(80)의 제1 레버(25) 및 제2 레버(79)에 의해 덮혀 구속되므로, 장치본체(52)로부터 스태커(71)를 이탈시킬 때, 당해 스태커(71) 내에 수용된 지폐(101)가 스태커(71)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이 가급적 방지되고, 이에 따라 지폐의 회수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원의 제3의 발명에 따른 상기 (3)에 기재된 박스의 착탈수단의 구조부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박스(9)는 종래와 같이 L자형 지폐반송로(4)를 구성하는 수평부(4a)의 아래 슈트(6) 전역과 수직부(4b)의 아래 슈트(8) 상류부를 일체로 형성한 단면이 L자형인 박스(9)이다. 또한, L자형의 지폐반송로(4)는 슈트(6, 7)로 이루어지는 수평부(4a)와 슈트(8, 9)로 이루어지는 수직부(4b)로 구성된다.
이 박스(9)는, 도 1과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4와 같이, 착탈수단(61)에 의해 장치본체(52)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일시적으로 장치본체(52)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14는 지폐처리장치(51)의 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박스(9)에 설치된 풀리(15, 16)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착탈수단(61)은 장치본체(52)의 내주면 양측방에 형성된 가이드 홈(62), 박스(9)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가이드 홈(62)에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65), 가이드 홈(62) 종단(62b)에서 위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 돌기 탈출공(66), 장치본체(52)의 양측면에 있고 가이드 홈(62) 종단(62b)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67)으로 구성된다.
상기 착탈수단(61)을 구비한 지폐처리장치(51)에서는 장치본체(52)에 박스(9)가 장착된 도 14에 나타낸 초기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65)는 가이드 홈(62)의 일단(62a)에 삽입되어 있다.
장치본체(52)로부터 박스(9)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 홈(62) 내의 가이드 돌기(65)를 가이드 홈(62)을 따라 장치본체(52) 배면(52a) 측으로 안내하고, 도 14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5와 같이, 그 가이드 돌기(65)를 가이드 홈(62)의 종단(62b)에 맞닿게 한다. 또한 이 때, 가이드 돌기(65)는 가이드 돌기지지용 구멍(67)에 삽입되어 있으나 가이드 돌기(65)의 위쪽이 가이드 홈(62)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위쪽으로 안내할 수 없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65)를 장치본체(52) 정면(52b) 측으로 가이드 홈(62)을 따라 안내하면 가이드 돌기(65)는, 도 14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6과 같이, 끼워진 가이드 지지용 구멍(67)의 일부(67a)에 맞닿으므로, 다시 가이드 지지용 구멍(67)의 형상을 따라 위쪽으로 안내하면, 가이드 돌기(65)는 도 14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7과 같이 가이드 돌기 탈출공(66)을 통과하여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홈(62)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도 14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2)로부터 박스(9)를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이탈한 박스(9)를 전술한 동작을 역순으로 행하면 박스(9)를 장치본체(52)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가이드 돌기(65)가 가이드 홈(62) 종단(62b)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65)는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67)에 끼워져 있고, 이에 따라 박스(9)는 장치본체(52)에 대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때 박스(9)를 지지하고 있는 손을 박스(9)로부터 떼면 박스(9)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 돌기(65)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박스(9)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박스(9)의 가이드 돌기(6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도시되지 않은 저면이 장치본체(52)의 저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절결부에 맞닿아 그 회전이 규제되므로, 박스(9) 전체는 도 14와 동일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 도 19와 같이, 가이드 돌기(65) 및 가이드 지지용 구멍(67)을 통해 장치본체(52)에 지지되어진다.
이 때, 장치본체(52)에 지지된 박스(9)의 위쪽(9a)에는 해방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을 이용하여 지폐반송수단(11), 셔터수단(18), 또는 지폐식별수단(19)의 보수점검이나 청소를 행할 수 있고, 그 경우, 작업자는 박스(9)를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박스(9) 전체는 도 19에 나타낸 장치본체(52)에 지지된 상태로부터 가이드 돌기(65)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5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시킨 후, 전술한 동작을 행하면, 박스(9)를 장치본체(52)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제1의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지폐반려 방지레버는 제1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안내 드럼의 외경보다 짧은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를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1 편향수단, 제1 레버가 지폐반송로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 제1 레버의 선단부에 제2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가 지폐반송로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 제2 레버를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2 편향수단을 적어도 구비하도록 하였으므로, 지폐를 스태커 내에 수용하였을 때 복귀해 있는 초기위치에 있어서, 드럼을 향해 구멍을 통해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삽입지폐가 길이방향의 치수가 짧은 지폐인 경우에도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는 확실히 지폐반려 방지레버에 맞물릴 수 있다. 또, 제1의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제2의 레버는 지폐안내 드럼의 외경보다 짧고, 제1 편향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제1 레버의 선단에 제2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2 편향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되어 있으므로, 지폐안내 드럼의 회전구동에 의해 지폐반송로에 대해 평행이동하는 슬릿이 지폐안내 드럼의 외경에 도달하기 전, 즉, 지폐가 스태커에 도달하기 전에 지폐 하단은 제2 레버로부터 멀어지고, 이에 따라 지폐가 스태커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지폐반려 방지레버는 확실히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놓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반려 방지레버가 스태커 내에 먼저 수용된 다른 지폐 등에 의해 눌리는 당해 지폐의 하단에 맞물리고,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없는 우려는 가급적 없어진다.
따라서, 삽입지폐가 길이방향의 치수가 짧은 지폐인 경우에도 스태커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는 당해 지폐는 확실히 지폐반려 방지레버에 맞물릴 수 있고, 일단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는 스태커 내에 먼저 수용된 다른 지폐 또는 도시되지 않은 스태커 플레이트에 의해 눌려져 그 폭 방향의 대략 중앙이 지폐반송로로 돌출하고,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즉, 제1의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는 길이방향의 치수에 변동이 있는 성질을 가지는 지폐는 스태커 내에 수용하였을 때, 확실히 지폐반려 방지레버에 맞물리게 할 수 있고, 일단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 내에 돌출하여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를 가급적 없앨 수 있다.
특히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는 폭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 공기가 유입하여 지폐반송로 측으로 팽창하기 쉬우므로, 이 지폐반려 방지레버를 구비하는 것은 전술한 우려를 없애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제2의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스태커를 장치본체에 장착하였을 때,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 사이에 배치되어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 내에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를 스태커에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태커를 장치본체로부터 이탈시킬 때, 이 지폐반려 방지레버에 의해 스태커에 수용된 지폐가 스태커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지폐반송로 내에 돌출하여 다음의 반송지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가급적 막을 뿐 아니라 지폐를 회수할 때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의 낙하를 가급적 막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3의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에서, 착탈수단은 장치본체의 내주면 양측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 박스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가이드 홈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 가이드 홈 종단의 직전에 있고 가이드 홈의 위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 돌기 탈출공, 및 장치본체의 양측면에 있고 가이드 홈 종단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박스는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돌기 탈출공을 통해 가이드 홈에 끼워 삽입하였을 때, 장치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에 끼워 삽입하였을 때, 장치본체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박스는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돌기 탈출공을 통해 가이드 홈으로부터 탈출시켜 장치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였으므로,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홈 종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박스를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면, 박스의 위쪽에는 해방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간을 이용하여 지폐반송수단이나 지폐식별수단의 보수점검작업이나 청소작업을 행하도록 하면, 작업자는 이러한 작업을 하는 동안 박스를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들 작업을 양 손으로 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당해 작업이 간단해지고, 그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로써 지폐반송로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보수점검이나 청소작업을 간단히 하여 그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빠찡코구슬 대여기, 메탈코인 대여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에 적용된다.

Claims (3)

  1.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紙幣搬送路)를 따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폭방향 양단부를 그 지폐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 삽입하는 슬릿(slit)이 형성된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가지며, 그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동일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를 스태커(stacker) 측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상기 지폐반송로 속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紙幣返戾) 방지레버―여기서 지폐반려 방지레버는 적어도
    제1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폐안내 드럼의 외경보다 짧은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를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1 편향수단,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
    상기 제1 레버의 선단부에 제2 축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레버,
    상기 제2 레버가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소정 회전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2 레버를 상기 지폐반송로 측으로 항상 편향시키는 제2 편향수단을 가짐―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폭방향 양단부를 그 지폐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 삽입하는 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가지며, 그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을 동일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를 배면(背面)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을 구비한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폐이동수단을 거쳐 상기 지폐를 내부에 수용하는 스태커, 및 상기 스태커를 장치본체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지폐안내 드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가 상기 지폐반송로 속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는 상기 스태커에 설치되고,
    상기 스태커를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지폐반려 레버에 의해 상기 스태커에 수용된 상기 지폐가 상기 스태커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지폐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로 안내하는 지폐반송수단, 상기 지폐반송수단을 통과한 지폐의 진위(眞僞)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을 구비한 장치본체,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수단을 거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박스(box)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의 내주면 양측방에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박스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가이드 홈 종단(終端)의 직전에 있고 상기 가이드 홈의 위쪽을 향해 형성된 가이드 돌기 탈출공(脫出孔), 및
    상기 장치본체의 양측면에 있고 상기 가이드 홈 종단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이드 돌기 탈출공을 거쳐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 삽입하였을 때 상기 장치본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돌기 지지용 구멍에 끼워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박스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이드 돌기 탈출공을 거쳐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탈출시켜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020007006151A 1998-10-06 1999-10-04 지폐 처리장치 KR100352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4518 1998-10-06
JP28451898A JP3779077B2 (ja) 1998-10-06 1998-10-06 紙幣処理装置
PCT/JP1999/005442 WO2000021042A1 (fr) 1998-10-06 1999-10-04 Dispositif de traitement de billets de ban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30A true KR20010032830A (ko) 2001-04-25
KR100352525B1 KR100352525B1 (ko) 2002-09-12

Family

ID=1767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151A KR100352525B1 (ko) 1998-10-06 1999-10-04 지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6609661B1 (ko)
EP (1) EP1037175A4 (ko)
JP (1) JP3779077B2 (ko)
KR (1) KR100352525B1 (ko)
CN (3) CN1173303C (ko)
CA (1) CA2313000C (ko)
MY (1) MY126716A (ko)
NZ (1) NZ505550A (ko)
WO (1) WO2000021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0996B1 (en) * 2002-10-18 2011-01-18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4585946B2 (ja) * 2005-05-18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10089244A1 (en) * 2009-10-20 2011-04-21 Symbol Technologies, Inc. Electro-optical reader with visible indication of successful decode in line of sight of operator
US8317187B2 (en) * 2010-10-06 2012-11-27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5708064B2 (ja) * 2011-03-10 2015-04-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6242882B2 (ja) 2012-06-15 2017-12-06 コモンウェルス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オーガナイゼーション 植物細胞における長鎖多価不飽和脂肪酸の産生
CN105321260A (zh) * 2014-07-30 2016-02-10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助金融服务设备上的读卡插口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847A (en) * 1973-10-11 1975-12-09 Umc Ind Anti-retrieval device
JPH01308352A (ja) * 1987-06-24 1989-12-13 I M Denshi Kk 紙幣スタック装置
US4858744A (en) * 1988-02-16 1989-08-22 Ardac, Inc. Currency validator
JPH03288762A (ja) * 1990-04-05 199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収納装置
US5254841A (en) * 1990-07-12 1993-10-19 Nippon Conlux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US5195739A (en) * 1991-02-01 1993-03-23 Nippon Conlux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KR970005397B1 (ko) * 1992-07-29 1997-04-16 가부시끼가이샤 닛뽄곤락스 지폐처리장치
US5310173A (en) * 1993-04-21 1994-05-10 Coin Acceptors, Inc. Bill validator with bill transport system
JPH06325241A (ja) * 1993-05-11 1994-11-25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JP3228827B2 (ja) * 1993-06-29 2001-11-12 桂川電機株式会社 転写材ガイド板
JP2932338B2 (ja)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3336210B2 (ja) * 1996-02-29 2002-10-2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US5756985A (en) * 1996-04-04 1998-05-26 Coin Acceptors, Inc. Cash box system for bill validator
JPH11339098A (ja) * 1998-05-22 1999-12-10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US6119936A (en) * 1998-06-12 2000-09-19 Coin Acceptors, Inc. Bill validator having a magnetic read head with pressuriz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79077B2 (ja) 2006-05-24
US20030102368A1 (en) 2003-06-05
KR100352525B1 (ko) 2002-09-12
MY126716A (en) 2006-10-31
CN1591484A (zh) 2005-03-09
US6708889B2 (en) 2004-03-23
US20030136845A1 (en) 2003-07-24
EP1037175A1 (en) 2000-09-20
EP1037175A4 (en) 2008-01-23
CN100346361C (zh) 2007-10-31
CA2313000C (en) 2004-06-08
CN1308211C (zh) 2007-04-04
CA2313000A1 (en) 2000-04-13
JP2000113281A (ja) 2000-04-21
WO2000021042A1 (fr) 2000-04-13
NZ505550A (en) 2002-03-28
US6609661B1 (en) 2003-08-26
CN1287648A (zh) 2001-03-14
CN1590261A (zh) 2005-03-09
CN1173303C (zh) 2004-10-27
US6641047B2 (en) 200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524B1 (ko) 지폐처리장치
KR20010085419A (ko) 지폐처리장치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KR100352525B1 (ko) 지폐 처리장치
JPH06325241A (ja) 紙幣処理装置
KR100300641B1 (ko) 지폐처리장치
US8215634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0335678B1 (ko) 지폐처리장치
US10189670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KR101801497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GB2402801A (en) Bank-note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mmodating notes of different widths
JP6927011B2 (ja) 紙葉類収容装置、紙葉類処理装置
JP3779094B2 (ja) 紙幣処理装置
JP3779093B2 (ja) 紙幣処理装置
EP0960846B1 (en) Sheet material guide
JP2004070647A (ja) 紙幣処理装置
JPS61124473A (ja) 紙幣選別装置
AU733543B2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H1186071A (ja) 紙幣処理装置
JPH07129816A (ja) 紙幣処理装置
JPH05310354A (ja) 紙幣収納装置
JPH0643770U (ja) 紙幣取扱装置
JP2002260064A (ja) 紙幣識別収納装置
JP2004013499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