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012A -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 - Google Patents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012A
KR20010031012A KR1020007003807A KR20007003807A KR20010031012A KR 20010031012 A KR20010031012 A KR 20010031012A KR 1020007003807 A KR1020007003807 A KR 1020007003807A KR 20007003807 A KR20007003807 A KR 20007003807A KR 20010031012 A KR20010031012 A KR 2001003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layer
anionic
weight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이스만카를-하인쯔
부흐홀쯔마르티나
기르제멜볼프강
바우어작스볼프강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바우어사흐스, 만트레트 쉬비
프리트 프로두크티온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바우어사흐스, 만트레트 쉬비, 프리트 프로두크티온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볼프강 바우어사흐스, 만트레트 쉬비
Publication of KR2001003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0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 B41J29/3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for cancelling or correcting errors by overprinting
    • B41J29/367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for cancelling or correcting errors by overprinting sheet media carrying a pigmented transferable correction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1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using carbon pap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41J31/09Ink ribbons characterised by areas carrying media for obliteration or removal of typing e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with outer strippable or 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Prosthes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착색 전이층은 양이온성이고 다른 하나의 착색 전이층은 음이온성인 두개의 결합제-포함 착색 전이층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킹(backing) 및 감압 점착층, 백킹과 감압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고 백킹보다 감압 점착층에 더 큰 점착을 나타내는 결합제-포함 착색 전이층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MULTI-LAYER, FLEXIBLE TRANSFER TAPE}
상기에 기재된 유형의 전이 테잎은 예를 들어, DE 196 17 850 C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착색된, 특히 백색으로 착색된 전이층, 이어서 비-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또 다른 착색된 전이층 및 최종적으로 점착 점착층이 통상적인 백킹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전이 테잎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테잎은 어떠한 상당한 "백색"의 손실도 없이 전이층을 커버링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공지 테잎은 바람직하게는, 손에 쥘 만한 크기의 "롤러"에서 두루말이 형태로 사용되어 텍스트 또는 도면에서 프린팅/타이핑 에러를 커버하기 위해 전이층이 간단하고 빠르며 균일하게 기재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정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어서 적용된 전이층 상에 예를 들어 만년필 또는 볼펜으로 글씨를 쓸 수 있다. 어떤 경우는 그와 같은 정정과 관련하여 테잎으로 커버된 문자의 염료가, 특히 습기의 영향 하에, 적용된 커버층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커버된 문자가 다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커버된 문자의 "스트라이크-쓰루(strike-through)"가 바람직한 특성, 특히 전이층의 커버력에 어떠한 불리한 효과도 없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서두에서 언급한 전이 테잎을 더 발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백킹(backing) 및 감압 점착층, 백킹과 감압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고 백킹보다 감압 점착층에 보다 큰 점착을 나타내는 결합제-포함 착색 전이층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문제의 해결책은 하나의 착색 전이층은 양이온성이고 다른 하나의 착색 전이층은 음이온성인 두개의 결합제-포함 착색 전이층을 함유하는 전이 테잎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종속하는 청구항에 정의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두개의 전이층은 두께가 약 5 내지 25 g/m2이고, 총 두께가 약 15 내지 30 g/m2이다. 별도의 점착층은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g/m2,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 g/m2범위 내이다. 음이온성 전이층 및/또는 점착층에 미립자 금속 분말, 보다 구체적으로 미립자 알루미늄이 존재하면 특히 양호한 효과가 수득된다. 미립자 금속 분말은 작은판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판-같은 알루미늄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약 3 내지 10 ㎛, 및 직경이 약 4 내지 17 ㎛이다. 사용되는 미립자 금속 분말의 양은, 특정 건조층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3.5 중량 % 이다. 음이온층이 양이온성 전이층 및 점착층 사이에 위치하면 특히 바람직한 효과가 수득된다. 미립자 금속 분말이 점착층에 존재하면,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전이층의 배열은 관련성이 없다. 각각의 경우, 백킹으로부터 보아, 양이온성 전이층이 먼저 적용되고, 이어서추가의 감압 점착층을 갖지 않는 점착성 음이온성 전이층, 구체적으로 미립자 금속, 보다 구체적으로 미립자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점착성 음이온성 전이층이 적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전이 테잎의 층구조에 있어서 배열에 관계없이, 전이 테잎이 양이온성 및 선택적으로 음이온성 전이층을 함유하는 것이다. 용어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은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전이층은 결합제 분산제, 즉 작은 고체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수성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구매 가능한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수성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상표명 Acronal 280 KD(BASF AG 제품), Butonal LS170 K(BASF AG 제품), Jagotex AL 2463(Jager 제품)로서 구매 가능한 양이온성 수성 분산제, 예를 들어 상표명 Worleecryl(양이온성 순수 아크릴레이트 용액, 투명 내지 약간 우유빛 용액, 어떤것은 25 % 수용액(7712 W)이고, 어떤것은 40 % 수/이소프로판올(40:20)(7712)용액이며 각각의 경우 pH 5이다)(함부르그 소재 Worlee Chemie GmbH 제품)로서 구매가능한 양이온성 용액 및 상표명 Acronal S 725 및 S 726(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BASF AG 제품), Acronal V 205 (BASF AG 제품), Styrofan D 422 및 Propiofan 6D(BASF AG 제품)로서 구매가능한 음이온성 수성 분산제가 있다. 언급된 활성은 유화중합공정에서 사용되는 특정 계면활성제에 기인한다. 양이온성 분산제의 경우, 술포네이트(-SO3 -), 술페이트(-O-SO3 -) 또는 카르복실기(-COO-) 형태의 친수성 또는 극성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중합에서 안정화제로서 사용된다. 상기 기들은 분산 중합체 입자로부터 바깥쪽을 향한다. 양이온성 분산제의 경우, 거의 예외없이 친수성 기로서 4급 암모늄 이온(-N+(R3)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중합공정에서 사용된다. 상기 정보가, 당업자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구매 가능한 이온성 수성분산제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전부이다. 상기와 관련된 참고문헌은 [Dr.H.Stache "Tensid-Taschenbuch", Carl Hanser Verlag Munchen/Wien, 1979, pp.2/3] 및 [Rompps Chemie-Lexikon, 7판, Georg Thieme verlag, 1992, Vol. 6, p.4495 우단 내지 4499 좌단] 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수성분산제 및 용액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전이층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에 열거한 수성 분산제/용액은 결코 전부가 아니고, 특히 그 선택의 한계가 아니다. 이와 달리, 특히 본 발명의 본질은 사용되는 결합제의 유형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전이층의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특성에 달려 있으므로, 기타 결합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분산제에서 결합제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대략적인 지침으로서, 약 25 내 70 중량 %가 될 수 있고, 약 40 내지 60 중량 %가 바람직하다. 전이층 형성용 수성 분산제를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5 g/m2(건조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25 g/m2의 양으로 백킹에 적용하고, 상기 양은 두 전이층 즉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전이층의 총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거품 방지제, 습윤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가 다양한층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감압 점착층은 예를 들어 Freihoff-Dispersion VP 859/6인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압력-감지 점착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이 테잎의 각 층의 상기 기재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언급된 백킹 및 전이층 사이의 점착장력이 전이층 및 감압 점착층 사이 보다 낮다는 기본적인 요구를 만족한다(참고. DE 196 17 850 C1).
기술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경필용액(wrighting fluids)에서 대부분의 염료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을 기재로하는 합성 염료이다. 상기 염료는 이온성(예를 들어 모두 수용성 염료) 이거나 비이온성 화합물(예를 들어 분산염료)이다. 이온성 염료에는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유형이 있다. 양이온성 염료는 양으로 부하된 염료이온을 가지는 반면 음이온성 염료는 음으로 부하된 염료이온을 가져 먼저 일반적으로 산성 및 염기성 염료로 구별된다. 문자의 특정 유형, 즉 그것이 음이온성 염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양이온성 염료를 포함하거나 관계없이 본 발명은 예를들어 경필/프린팅 에러의 커버에 있어서 커버층을 통한 염료의 이동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문자가 음이온성 염료를 포함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이 테잎의 양이온성층이 이동을 차단한다. 양이온성 염료의 경우, 차단효과는 음이온성 커버층(양이온성 염료가 음이온성층에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 진다. 여기서 염료는 중합체 자체를 통해 이동하지 않고 전이층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보이드(microvoid)를 통해 이동한다. 염료가 상기 보이드를 통해 이동하면, 그것은 자동적으로 중합체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활성이고 바깥을 향한 부분과 접촉하여 상응하는 상호작용에 의해 포획된다.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하기로 요약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커버한 문자의 스트라이크-쓰루가, 전이층의 바람직한 특성 또는 커버력에 어떠한 불리한 효과도 없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배제된다. 경필/프린팅은 영구히 커버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전이 테잎의 다양한 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하기의 수성 분산제를 제조한다.
양이온성 전이층용 분산제
수성 아크릴레이트 용액 35.0 중량부
(25 % 수/Worleecryl 7712 W(함부르그 소재 Worlee Chemie GmbH 제품)
물 15.3 중량부
폴리카르복실산의 알킬암모늄염 1.0 중량부
(상표명 Lactimon WS, Byk Chemie GmbH 제품)
제포제(광유 중 친수성 실리콘-유사 성분) 0.2 중량부
무정형 실리카(상표명 Syloid 244, 미국 Grace 제품) 5.0 중량부
티타늄 디옥시드(금홍석)(Finntitan RDD, 핀란드 Kemira 제품) 43.5 중량부
100 중량부
음이온성 전이층용 분산제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수성 공중합체 분산제 36.0 중량부
(45 %)(상표명 Acronal S 725, BASF AG 제품)
수성 카르복시작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 중량부
(69 %)(상표명 Acronal V 205, BASF AG 제품)
수성 폴리비닐 프로피오네이트 1.0 중량부
(50 %)(상표명 Propiofan 6D, BASF AG 제품)
물 4.5 중량부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40 % 수용액) 0.5 중량부
(상표명 Indunal NKS, Indulor Chemie 제품)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1.0중량부
(상표명 Lumiten IRA, BASF AG 제품)
지방산, 폴리글리콜 유도체 및 탄화수소의 혼합물 1.0중량부
(상표명 Dehydran 1227)
티타늄 디옥시드(금홍석)(Finntitan RDD, 핀란드 Kemira 제품) 50.0 중량부
소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2.0 중량부
(상표명 Ketjensil SM 405, Akzo-Chemie 제품)
100 중량부
압력-감지 점착 생성용
수성 아크릴레이트 분산제(50%) 65.0 중량 %
(Freihoff-Dispersion VP 859/6, Freihoff-Chemie 제품)
25 % 암모니아 수용액 1.5 중량부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1.0중량부
(상표명 Lumiten IRA, BASF AG 제품)
물 32.5 중량부
100 중량부
상기 양이온성층 형성용 분산제를 50 ㎛ 두께 실리콘화 종이 지지체 상에 10 g/m2의 양으로 나이프-코팅한다. 이어서 100℃ 부근에서 가온 공기를 통과시켜 물을 증발시킨다. 이어서 음이온성층 형성용 수성 분산제를 이미 형성된 양이온성층 표면 상에 같은 방법으로 나이프-코팅하고 이어서 물을 증발시킨다. 이어서 상기 층 위에 상기 기재 수성 분산제를 5 g/m2의 양으로 적용하여 감압 점착층을 결합 형성시킨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물을 증발시킨다.
실시예 2
음이온성층을 형성시키기 위해 하기 조성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과 같다.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수성 공중합체 분산제 30.0 중량부
(45 %)(상표명 Acronal S 725, BASF AG 제품)
수성 카르복시작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69 %)(상표명 Acronal V 205, BASF AG 제품)
수성 폴리비닐 프로피오네이트 1.0 중량부
(50 %)(상표명 Propiofan 6D, BASF AG 제품)
물 4.0 중량부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40 % 수용액) 0.5 중량부
(상표명 Indunal NKS, Indulor Chemie 제품)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1.0중량부
(상표명 Lumiten IRA, BASF AG 제품)
지방산, 폴리글리콜 유도체 및 탄화수소의 혼합물 1.0중량부
(상표명 Dehydran 1227)
티타늄 디옥시드(금홍석)(Finntitan RDD, 핀란드 Kemira 제품) 50.0 중량부
소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2.0 중량부
(상표명 Ketjensil SM 405, Akzo-Chemie 제품)
수성 알루미늄 페이스트 0.5 중량부
(65 %(Aquasilber LPW 1380, Schlenk AG 제품)
100 중량부
상기 분산제가 음이온성 전이층을 형성하는 실시예 1의 분산제 대신 사용된다. 상기 조성은 끈적끈적하게 고안되어 여기서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감압 점착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분산제는 10 g/m2의 양으로 적용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재된 감압 점착층 생성용 분산제를 하기의 조성으로 교체 변형시켜 실시예 1을 반복한다.
수성 아크릴레이트 분산제(50%) 65.0 중량부
(Freihoff-Dispersion VP 859/6, Freihoff-Chemie 제품)
수성 알루미늄 페이스트 2.0 중량부
(65 %)(Aquasilber LPW 1380, Schlenk AG 제품)
25 % 암모니아 수용액 1.5 중량부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1.0중량부
(상품명 Lumiten IRA, BASF AG 제품)
물 30.5 중량부
100 중량부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미리 생성된 음이온성 전이층 상에 5 g/m2의 양으로 상기 조성을 나이프-코팅한다.

Claims (10)

  1. 하나의 착색 전이층은 양이온성이고 다른 하나의 착색 전이층은 음이온성인 두개의 결합제-포함 착색 전이층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킹(backing) 및 감압 점착층, 백킹과 감압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고 백킹보다 감압 점착층에 더 큰 점착을 나타내는 결합제-포함 착색 전이층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
  2. 제 1 항에 있어서, 두개의 전이층의 두께가 약 5 내지 25 g/m2이고 총 두께가 약 15 내지 3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두께가 약 1 내지 5 g/m2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 g/m2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전이층 및/또는 점착층에 미립자 금속 분말, 보다 구체적으로 미립자 알루미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5. 제 4 항에 있어서, 미립자 금속 분말이 작은판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6. 제 5 항에 있어서, 작은판-같은 알루미늄 입자의 두께가 약 3 내지 10 ㎛ 이고 직경이 약 4 내지 17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7. 제 4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미립자 금속 분말의 양이 특정 건조층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3.5 중량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8. 제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전이층이 양이온성 전이층 및 점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9.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킹으로부터 보아, 양이온성 전이층이 먼저 적용되고, 이어서 추가적인 감압 점착층을 갖지 않는 점착성, 음이온성 전이층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10. 제 9 항에 있어서, 점착성 음이온성 전이층이 구체적으로 미립자 금속, 보다 구체적으로 미립자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 테잎.
KR1020007003807A 1997-10-10 1998-09-29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 KR20010031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4957A DE19744957C1 (de) 1997-10-10 1997-10-10 Mehrschichtiges, flexibles Korrekturband
DE19744957.3 1997-10-10
PCT/EP1998/006172 WO1999019149A1 (de) 1997-10-10 1998-09-29 Mehrschichtiges, flexibles übertragungs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012A true KR20010031012A (ko) 2001-04-16

Family

ID=784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807A KR20010031012A (ko) 1997-10-10 1998-09-29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576327B1 (ko)
EP (1) EP1023181B1 (ko)
JP (1) JP4570772B2 (ko)
KR (1) KR20010031012A (ko)
CN (1) CN1099347C (ko)
AT (1) ATE204537T1 (ko)
AU (1) AU735966B2 (ko)
BR (1) BR9812757B1 (ko)
CA (1) CA2305904A1 (ko)
CZ (1) CZ294044B6 (ko)
DE (2) DE19744957C1 (ko)
DK (1) DK1023181T3 (ko)
ES (1) ES2162470T3 (ko)
GR (1) GR3036933T3 (ko)
HK (1) HK1032026A1 (ko)
PT (1) PT1023181E (ko)
TR (1) TR200000911T2 (ko)
WO (1) WO1999019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1214B4 (de) * 2000-06-27 2005-10-27 Silu Verwaltung Ag Montageklebeband zur verbesserten Fugenabdichtung und Montagebanddispenser
US7709070B2 (en) * 2001-12-20 2010-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and methods for applying color on surfaces
US7316832B2 (en) 2001-12-20 2008-0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and methods for applying color on surfaces
US20040161564A1 (en) 2003-02-14 2004-08-19 Truog Keith L. Dry paint transfer laminate
JP2006517874A (ja) * 2003-02-14 2006-08-03 アベリー・デニソン・コーポレイション 感圧接着剤を有する自己巻きされた装飾用多層ドライペイント積層体のための示差剥離系
US20050196607A1 (en) 2003-06-09 2005-09-08 Shih Frank Y. Multi-layer dry paint decorative laminate having discoloration prevention barrier
US20040247837A1 (en) * 2003-06-09 2004-12-09 Howard Enlow Multilayer film
JP4471280B2 (ja) * 2004-08-31 2010-06-02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変色性感圧転写修正テープおよび転写具
JP2006168164A (ja) * 2004-12-15 2006-06-29 Tombow Pencil Co Ltd 感圧転写修正テープ
JP2010012671A (ja) * 2008-07-02 2010-01-21 Plus Stationery Corp 転写テープ
US10954422B2 (en) 2014-10-13 2021-03-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Weldable and vibration damping silicone adhesiv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4393B2 (de) * 1970-12-30 1973-09-20 Victor Westbury N.Y. Barouh (V.St.A.) Korrekturmatenal zum Ausbessern von Schreibfehlern beim Maschinenschreiben
US4055704A (en) * 1975-08-01 1977-10-25 John Fahimian Typing correction paper
US4891260A (en) 1987-12-03 1990-01-02 Pelikan Aktiengesellschaft Multilayer flexible transfer ribbon
US5135798A (en) * 1987-12-03 1992-08-04 Pelikan Aktiengesellschaft Multilayer, flexible transfer strip
DE3741022C3 (de) * 1987-12-03 1994-12-22 Pelikan Ag Mehrschichtiges, flexibles Übertragungsband
DE3925130A1 (de) 1989-07-28 1991-01-31 Pelikan Ag Mehrschichtiges, flexibles markierband
US5175058A (en) 1990-05-29 1992-12-29 General Electric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EP0479221B1 (en) * 1990-10-05 1996-07-31 Fuji Kagakushi Kogyo Co., Ltd. Transfer tape for masking correction
GB9211760D0 (en) * 1992-06-03 1992-07-15 Gillette Co Correction fluids
CZ285897A3 (cs) 1995-03-14 1998-03-18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Mbh Vícevrstvý pružný přenosový pás, způsob jeho výroby a jeho použití
DE19617850C1 (de) * 1996-05-03 1997-06-05 Henkel Kgaa Mehrschichtiges, flexibles Übertragungs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1268D1 (de) 2001-09-27
EP1023181B1 (de) 2001-08-22
JP4570772B2 (ja) 2010-10-27
AU735966B2 (en) 2001-07-19
CA2305904A1 (en) 1999-04-22
ES2162470T3 (es) 2001-12-16
GR3036933T3 (en) 2002-01-31
CZ294044B6 (cs) 2004-09-15
BR9812757B1 (pt) 2008-11-18
PT1023181E (pt) 2002-02-28
HK1032026A1 (en) 2001-07-06
CZ20001292A3 (cs) 2001-01-17
TR200000911T2 (tr) 2001-07-23
US6576327B1 (en) 2003-06-10
DK1023181T3 (da) 2001-11-12
DE19744957C1 (de) 1999-07-29
EP1023181A1 (de) 2000-08-02
JP2001519469A (ja) 2001-10-23
WO1999019149A1 (de) 1999-04-22
CN1099347C (zh) 2003-01-22
CN1274318A (zh) 2000-11-22
BR9812757A (pt) 2000-08-29
ATE204537T1 (de) 2001-09-15
AU9541498A (en) 199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5186B1 (en) Ink-receptor sheet for ink-jet printing
JP312612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KR20010031012A (ko) 다층 가요성 전이 테잎
CA2604483C (en) Inkjet anti-curl compositions for media and systems for processing the media
JP3871373B2 (ja) 表示物の作製方法
ITSV990029A1 (it) Foglio recettore per stampa a getto di inchiostro comprendente gelatina e un sale metallico.
EP0549894B2 (en) Recording sheet
JPH03205181A (ja) 感熱記録材料
JP435363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H079665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MXPA00003547A (es) Cinta de transferencia flexible de capas multiples
US5709738A (en) Coating composition for ink jet printing
JP200205281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4237276B2 (ja) 記録材料
JP2655035B2 (ja) 記録シート
JP2001247825A (ja) 安定な被覆剤の製造方法
JP2898998B2 (ja) ノーカーボン感圧複写紙
JP2866657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組成物
JP433444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3078425B2 (ja) ラベル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H111070A (ja) 溶融型熱転写記録用受容シート
JPH11277881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材
JPH0422676A (ja) ノーカーボン感圧複写紙用発色剤シートの製造方法
JPH0627052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および記録物
JPS6153081A (ja) 感圧複写紙顕色シ−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02

Effective date: 200701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