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954A -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954A
KR20010029954A KR1020000040817A KR20000040817A KR20010029954A KR 20010029954 A KR20010029954 A KR 20010029954A KR 1020000040817 A KR1020000040817 A KR 1020000040817A KR 20000040817 A KR20000040817 A KR 20000040817A KR 20010029954 A KR20010029954 A KR 2001002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operating body
switch
flange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7860B1 (ko
Inventor
야마사키마사토
사토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2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6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spherical b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housing or bez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3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more than one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condition in one or both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쪽 개구부가 대략 사각형이고, 바닥면에 중심접점(33), 외측접점(34) 및 개구부 모서리부에 주변접점(35∼38)을 배치한 수지제품의 케이스(31)와, 개구부 내부에서 외측접점(34)에 맞닿아 배치한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과, 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윗쪽에 배치되어, 플랜지부(46B)와 그 아랫면에 접촉편(47)을 구비한 조작체(46)와, 개구부를 덮는 동시에 조작체(46)의 축부(46A)가 관통한 커버(32)로 구성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축부(46A)를 누름조작하여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 사이를, 또 기울임 조작하여 원형 돔형상 가동 접점(45)을 반전시키면서 주변접점(35∼38)에 인접하는 어느 두 곳 사이를 스위칭시킨다.

Description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로 휴대전화와 호출기 등의 이동체 통신기기나 리모콘과 오디오 기기와 게임 기기와 카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시스템과 전자 카메라 등의 각종 전자기기의 입력조작부 등에 사용되어, 조작축의 기울임 및 누름조작에 의해 기능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도 13∼16에 따라 설명한다.
도 13의 정단면도에서, 수지제품의 상자형상의 케이스(1)는, 그 평면의 개구부가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2)로 덮여있다.
이 케이스(1)의 바닥면부에는, 도 14의 일부 절단 분해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접점(3A), 외측접점(3B)과 이것으로부터 바깥쪽의 좌우 전후방향의 같은 거리위치에 설치된 네 개의 주변접점(4∼7)이 삽입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접점은 각각 외부접속용 단자(14A, 14B)와 (15∼18)에 접속되어 있다. 외측 접점(3B)상에는 원형돔형상 가동접점(8)이 올려져 있다. 주변접점(4∼7)의 상부에는 공통가동 접점체(9)가, 그 탄성접촉편(10∼13)이 각각의 주변접점(4∼7)에 대향하도록 맞춤못(dowel)(1A)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공통가동 접점체(9)는 케이스(1) 바닥면부의 접점(19)을 통해 외부 접속용의 단자(19A)에 접속되어 있다.
지지체(21)는 공통가동 접점체(9)의 윗쪽에 올려져 케이스(1)의 측벽부의 내주를 따르도록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20)에 의해, 윗쪽으로 밀어올리도록 힘이 가해져 지지체(21)의 사각형의 상단부(21A)가 커버(2)의 하면에 탄성접촉한다. 지지체(21)의 중앙의 오목부(21B)에는 반구형상의 회전체(22)가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체(22)는 그 하단부 외주의 플랜지부(22A)가 지지체(21)의 중앙의 오목부(21B)의 바닥면상에 올려지고, 그 상부 구면부(22B)가 커버(2) 중앙의 구면의 원형 구멍(2A)에 끼워지도록 맞닿아 있다. 회전체(22)의 비원형의 중앙 수직구멍(22C)에는 막대기 형상의 금속재료 제품의 조작축(23)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끼워 맞추어져 유지된다.
그리고, 이 조작축(23)은 하단부(23A)가 회전체(22)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케이스(1) 바닥면부 중앙의 원형돔 형상 가동접점(8)에 맞닿는다. 케이스(1)의 윗쪽으로 돌출한 조작축(23)의 선단부(23B)에는 조작 손잡이(24)가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체(21)의 외주부 하면에는 공통가동 접점체(9)의 각 탄성접촉편(10∼13)에 각각 대응한 누름부(25A∼25D)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3은 본 스위치의 한 방향만을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탄성접촉편(12, 13)에 대응하는 누름부(25C, 25D)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이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조작축(23)이 수직중립위치에 있고, 그 하단부(23A)가 중앙의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8)을 누르지 않는 도 13의 상태에서는,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어느 접점간도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의 정단면도에 화살표(10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23) 윗쪽의 선단부(23B)에 장착된 조작 손잡이(24)의 왼쪽 윗면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조착축(23)이 기울어지는 동시에 회전체(22)가 커버(2)의 구면의 원형구멍(2A)에 맞닿으면서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전체(22) 하면의 플랜지부(22A)의 단부가 지지체(21)의 오목부(21B)의 바닥면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눌러진 면과 반대측의 사각형의 주변의 상단부(21A)를 지점으로 하여 지지체(21)는 왼쪽으로 기울고, 누름부(25A)에 대응한 탄성접촉편(10)은 아래쪽으로 눌려져 주변접점(4)에 접촉한다. 그 결과, 공통가동 접점체(9)와 주변접점(4)의 사이가 도통하여, 외부 접속용 단자(19A, 15) 사이를 도통상태로 한다.
이 때, 지지체(21) 외주의 상단부(21A)의 좌측부분이 압축코일 스프링(20)을 아래쪽으로 눌러 줄이면서 커버(2)의 아랫면으로부터 분리되다.
그 후, 조작 손잡이(24)에 가하고 있던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체(21) 및 회전체(22)가 원래의 도 13의 중립위치로 되밀린다. 동시에 탄성접촉편(10)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주변접점(4)으로부터 분리되어 원래의 도 13의 상태까지 복귀하여, 스위치 접점은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같은 방법으로 하여, 조작축(23)에 장착된 조작 손잡이(24)의 상면을 누르는 위치를 우·전·후로 바꿈으로써, 그 방향에 대응한 외부 접속용 단자(16∼18)의 어느 하나와 단자(19A) 사이를 도통시킨다.
또, 도 16의 정단면도에 화살표(200)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24)의 중앙 상면, 즉 조작축(23) 윗쪽에서 수직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여 눌러 내리면, 그 하단부(23A)가 케이스(1) 바닥면부의 원형돔 형상 가동접점(8)을 눌러 이것을 반전작동시킨다. 바닥면부의 원형돔 상태 가동접점(8)은 이것으부터 감촉반응(tactile response)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중심접점(3A)과 외측접점(3B)의 사이를 도통시켜 단자(14A)와 (14B)를 도통상태로 한다. 그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형 돔 형상 가동접점(8)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축(23)이 밀어 올려져, 원래의 도 13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최근의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상기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구성부품이 많기 때문에, 외형 및 두께를 작게하기 어려워 비용이 높았다. 또, 조작축을 비스듬히 기울여 스위칭을 행할 때의 감촉반응감이 없기 때문에, 그 스위치가 작동되는 것을 감각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수가 작고, 조작축을 비스듬히 기울여 스위칭을 행할 때에도, 감촉반응감을 동반하여 확실하게 스위칭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a) 바닥면에 중심접점 및 그 중심접점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외측 접점 및 다수개의 주변접점이 배치된 윗쪽을 개구한 케이스와, (b) 상기 중심접점의 위에 배치된 중심부를 가지고 또 상기 외측접점상에 외주 하단부가 접촉하는 원형 돔 형상 가동접점과, (c) 원형돔 형상 가동접점과 동심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커버와, (d)이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축부와, 그 하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면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래지부의 아랫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를 가지고, 회전은 하지 않지만, 축부의 기울임 조작 및 상하 움직임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원형돔 형상 가동접점에 의해 윗쪽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아,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가 상기 커버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 조작체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를 아래쪽으로 누름조작하면 상기 플랜지부의 오목부가 상기 원형돔 형상 가동접점을 누름 ·반전시키고, 상기 중심접점과 상기 외측접점 사이를 도통시켜 상기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임 조작하면, 상기 플랜지부 하면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두 개의 주변접점끼리를 도통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체의 축부를 수직방향으로 밀어내려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의 사이를 도통시키는 경우에 더해, 조작체의 축부를 비스듬이 기울여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에도, 케이스 내에 장착된 하나의 원형돔 형상 가동접점에 따라 소정의 감촉반응감이 얻어지는 동시에, 확실한 스위칭을 행할 수 있는 조작성이 뛰어난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작은 구성부품으로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개구부가 대략 사각형이고, 주변접점이 그 모서리부에 배치된 케이스에, 상기 개구부와 서로 닮은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수용된 구성의 것이다. 본 구성에 의해, 조작체의 조작시 등에 케이스 내에서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양자를 소정 위치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체를 기울이는 경우에, 대략 사각형의 플랜지부 하면의 주변이 케이스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케이스의 모서리부에 배치된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의 중간방향으로 조작력을 확실하게 기울여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가 도통상태가 될 때의 조작체의 축부가 기운 각도를 용이하게 같은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네 방향으로 같은 각도에서 기울임 조작하여 스위칭할 수 있는 외형이 작은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간단한 구조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케이스의 개구부 및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서로 닮은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구성에 의해, 앞서 기재한 장점에 더하여, 직사각형의 개구부 및 플랜지부가 긴 변과 짧은 변의 길이 비율의 설정에 의해, 조작체의 축부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다른 각도로 기울여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를 도통상태로 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개구부가 대략, 오, 육 또는 팔각형이고, 주변접점이 그 모서리부에 배치된 케이스에, 상기 개구부와 서로 닮은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체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본 구성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원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을 채용함으로써, 조작체의 축부를 원하는 수의 방향으로 기울임 조작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개구부가 원형이고, 주변접점이 그 중심에 대해 동일한 거리와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에, 상기 개구부보다도 작은 원형으로 형성된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수용되어 있다. 또, 조작체의 플랜지부와 케이스 내의 주변접점과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커버의 관통구멍과 조작체의 축부의 걸어맞춤 부분에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원형이기 때문에, 조작체의 축부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축부 선단이 원형을 그리도록 조작할 수 있어 다수개 배치되어 있는 주변접점을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변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원형의 플랜지부를 가지는 조작체의 회전방지수단으로서, 커버의 관통구멍과, 이것에 끼워 통과하는 조작체의 축부를 원형 이외의 단면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케이스 내에서의 조작체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상기 구성에서, 적어도 조작체의 플랜지부 하면에 설치된 볼록부가 절연재료로 형성된 것이다. 이 볼록부는 주변접점간의 스위치 접점회로군과,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을 통해 중심접점 및 외측접점간의 스위치 접점회로군을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커버를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조작체의 축부와 플랜지부 하면의 볼록부를 강성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이것에 도전성 판형상의 접촉편을 고정한 것이다.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스위치 접점부분을 절연성의 커버로 덮는 구성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정전 노이즈 등이 스위치 회로내에 진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의 플랜지부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커버를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조작체의 축부와 플랜지부를 도전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절연재료제품의 볼록부를 플랜지부의 하면 중심에 고정한 것이다. 조작체의 축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소정 조작시에 이들의 부위가 덜컹거리지 않고 확실히 연동하여 움직여 각 접점에 대해 확실하게 스위칭시킬 수 있다. 본 구성은 또 필요에 따라 오목부의 형상 및 크기를 선택하여 장착함으로써, 조작시의 감촉반응의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조작체의 플랜지부를 탄성을 가지는 도전재료로 형성한 것이다. 본 스위치의 축부의 기울임 조작시에는, 먼저 소정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가 도통하고, 이어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탄성변형함으로써 플랜지부의 볼록부가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을 눌러 중심접점과 외측접점 사이를 도통시킨다. 본 구성은, 축부의 기울임 조작력의 크기에 따라,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 접점끼리 도통한 후의 중심 및 외측접점간의 접촉·분리상태를 적당히 변환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본 스위치가 탑재된 전자기기의 표시부 등에 표시된 각종 항목의 스크롤 속도 등을 상기 주변접점만의 도통상태에서는 늦게 이동시키고, 거기에 더해 중심 및 외측접점이 도통상태가 되면 빨리 이동시키는 등의 설정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부주의로 조작체에 큰 힘이 가해져, 축부가 크게 기운 한 경우에도 플랜지부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변접점 등의 접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탑재함으로써, 각종 다방향 조작장치에서는, 다양한 조작의 집중과 간편화 및 소형·얇은 형태·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동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 스위치의 주요부인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동 스위치의 주요부인 조작체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동 스위치의 기울임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동 스위치의 수직 아래쪽으로의 누름 조작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동 스위치의 주요부인 다른 조작체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정단면도,
도 9는 동 스위치의 기울임 조작시에서 플랜지부와 주변접점이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동 스위치의 기울임 조작시에서 조작체의 축부가 기울어져 칸막이 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정단면도,
도 14는 동 스위치의 케이스의 일부 절단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동 스위치의 기울임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6은 동 스위치의 수직 아래쪽으로의 누름 조작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74, 84 : 케이스 31A : 단부
32, 66 : 커버 39, 40, 41∼44 : 단자
32B : 중앙 관통구멍 33 : 중심접점
34 : 외측접점 35∼38, 73, 85 : 주변접점
45 : 원형 돔 형상 가동접점 45A : 중앙 정점부
45B : 외주 하단부 46, 60, 70, 80 : 조작체
46A, 63, 83 : 축부 46B, 50, 62, 71, 81 : 플랜지부
46C, 64 : 볼록부 47, 72, 82 : 접촉편
48 : 조작 손잡이 48A : 아래쪽 구멍부
49, 65 : 상단부 51 : 징
61 : 막대기 형상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 대해서 도 1∼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정단면도, 도 2는 상기 조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성형 수지제품의 상자형상의 케이스(31)에는 윗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윗쪽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가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32)에 의해 덮여지는 것은 종래의 기술의 경우와 같다.
그리고, 이 케이스(31)의 안쪽 바닥면에는, 도 3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접점(33) 및 이 중심접점(33)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외측접점(34)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중심접점(33)으로부터 외측접점(34)까지의 거리를 반 직경으로 하는 원보다도 바깥쪽에 소정 높이의 단부(31A)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의 네 지점의 각부에 위치하는 단부(31A) 위에는 네 주변접점(35∼38)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주변접점(35∼38)은 중심접점(33)으로부터 좌우 전후의 동일한 거리·동일한 각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중심, 외측 및 주변접점(33, 34) 및 (35∼38) 각각에 대응한 외부 도출용의 단자(39, 40) 및 (41∼44)는 각각 케이스(3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금속박판제품의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은, 케이스(31)의 바닥면에 배치된 중심접점(33)에 중앙 정점부(45A)의 하면이 대향하고, 또 외주 하단부(45B)는 케이스(31)의 외측접점(34)의 위에 맞닿도록 올려져 있다.
그리고, 절연 수지제품의 조작체(46)는 축부(46A)와,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대략 정사각형의 플랜지부(46B)와, 축부(46A)와 같은 축에서 플랜지부(46B)의 하면 중심에 설치된 누름용 볼록부(46C)로 구성된다. 조작체(46)의 볼록부(46C)는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중앙 정점부(45A)에 맞닿아 지지된다. 축부(46A)는 상기 커버(32)의 중앙 관통구멍(32B)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여, 플랜지부(46B)가 케이스(31)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윗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인 케이스(31)의 개구부 중에 그것과 닮은꼴 형상의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조작체(46)의 플랜지부(46B)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31) 내에서 조작체(46)는 회전하지 않고 소정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4의 조작체의 하면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작체(46)의 플랜지부(46B)의 하면부분에는, 플랜지부(46B)와 같은 크기의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접촉편(47)이 아웃서트(outsert)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접촉편(47)에 의해 플랜지부(46B)는, 그 하면 중앙에 설치한 볼록부(46C)를 제거하는 하면 전체의 부분이 도통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 조작체(46)에는 플랜지부(46B) 하면중앙의 볼록부(46C)를 통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윗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따라서, 축부(46A)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은 통상상태에서는 그 가해진 힘에 의해 플랜지부(46B)가 커버(32)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어, 축부(46A)가 중립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작체(46), 즉 축부(46A)는 소정의 상하이동 조작 및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체(46)의 축부(46A) 윗쪽에 아래쪽 구멍부(48A)가 압입 결합됨으로써 소정 형상의 조작 손잡이(4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 손잡이(48)의 외형 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 등 어떤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조작체(46)의 축부(46A)에 조작력을 가하지 않은 도 1에 도시한 통상상태에서는, 축부(46A)는 수직중립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본 스위치의 어느 접점 사이도 열린 상태, 즉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의 정면 단면도에 화살표(100)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48)에 대해 케이스(31) 바닥면에 배치된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 사이, 예컨대 (35)와 (37) 사이의 위치를 눌러내리는 누름력을 가한 경우를 설명한다. 가압력에 의해 조작체(46)는 그 가압력을 가한 위치와는 반대쪽의 플랜지부(46B)의 상단부(49)가 지지점이 되어 기울어진다. 그 결과, 조작체(46) 하면의 볼록부(46C)는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누름·반전시켜 감촉반응를 발생시킨다. 동시에, 플랜지부(46B) 하면의 접촉편(47)이 주변접점(35)과 (37)에 접촉하여 주변접점(35)과 (37)을 도통시킨다. 그 결과, 주변접점(35) 및 (37)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 도출용 단자(41) 및 (43)의 사이를 도통시킨다.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조작체(46)의 플랜지부(46B)는 그것보다도 조금 큰 윗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케이스(31)의 개구부 가운데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4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예에서는, 주변접점(35)과 (37)의 사이, 일반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주변 스위치 접점끼리를 확실히 도통상태로 할 수 있다.
그 후, 조작 손잡이(48)에 가해져 있던 누름력을 제거하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플랜지부(46B) 하면의 볼록부(46C)를 밀어올린다. 그리고, 플랜지부(46B) 하면의 접촉편(47)이 주변 접점(35, 37)으로부터 분리되어, 주변 스위치 접점이 개방상태가 되는 동시에, 조작체(46)는 축부(46A)가 수직중립상태인 도 1에 도시한 통상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48)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임의의 두 주변접점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를 눌러내리면, 그 방향으로 조작체(46)가 기울어 대응하는 주변 스위치 접점 사이가 도통상태가 된다. 그것에 따른 도출용의 단자(41, 42)사이, (42, 44) 사이, (44, 43)사이 및 (43-41) 사이 중 어느 한 곳을 도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주변 스위치 접점 사이가 도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외부 도출용의 단자(41∼44)에 접속된 스위칭 인식수단인 마이크로 컴퓨터 등(도시하지 않음)으로 판독하여 판별함으로써, 축부(46A)가 상기 인접하는 임의의 두 주변 스위치 접점의 중간방향으로 기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조작 손잡이(48)의 기울임 조작시에는, 조작체(46)의 축부(46A)와 조작 손잡이(48)의 구멍부(48A)와의 결합부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기운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축부(46A)와 구멍부(48A)를 긴 치수로 끼워맞춤·결합하도록 구성하면, 양자간의 덜컹거림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주변접점(35, 37)을 도통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48)에 대한 조작위치가 어긋나 버려, 주변접점(35)측에 가까운 부분을 눌러내리는 경우에는, 먼저 조작체(46)의 축부(46A)는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 주변접점(35)과 그것에 대응하는 플랜지부(46B) 하면의 접촉편(47)의 모서리부가 맞닿게 된다. 그러나,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플랜지부(46B)는 그 모서리부에 이어진 바닥주변을 따라 주변접점(35)과 (37)의 중간방향으로 기울어 정지하고, 결과로서 주변접점(35)과 (37)이 도통상태가 된다.
상기 기울임 조작시에서,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이 반전할 때에, 원형 돔 형상 가동접점(45)과 중심접점(33)이 접촉하여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의 사이가 도통해 버려, 신호가 외부도출용의 단자(39, 4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는 경우도 있다. 이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무시하고, 인접한 두 주변접점의 도통신호만으로 기울임 조작방향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 6의 정단면도에 화살표(200)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48)의 중앙상면, 즉 조작체(46)의 축부(46A)에 아래쪽을 향하도록 수직인 누름력을 가하면, 조작체(46)는 수직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46B) 하면의 볼록부(46C)가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누름·반전시켜 감촉반응를 발생한다. 동시에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중앙 정점부(45A)의 하면과 중심접점(33)이 접촉하여,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이 원형 돔형상 가동 접점(45)을 통해 도통된다. 그 결과 중심접점(33)으로부터 연장된 외부도출용의 단자(39)와 외측접점(34)으로부터 연장된 외부도출용 단자(40)가 도통상태가 된다.
이 때, 플랜지부(46B) 하면의 접촉편(47)과 주변접점(35∼38)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주변접점(35∼38)끼리는 도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작 손잡이(48)로의 누름력을 제거하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은 그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조작체(46)는 밀어 올려져 도 1에 도시한 통상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기울임 조작 및 누름 조작에 따른 소정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스위치는 이것이 사용된 전자기기에서, 예컨대 기울임 조작으로 얻어진 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 등을 이동시켜 소정 항목의 선택을 행하여, 누름조작으로 얻어진 신호로 그것을 확정하는 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조작체(46)의 축부(46A)를 비스듬히 경사시켜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을 도통상태로 할 때, 및 조작체(46)의 축부(46A)를 수직아래쪽으로 눌러,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 사이를 도통시킬 때의 감촉반응감을 케이스(31)내에 장착된 하나의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구성은 구성부품이 작아짐과 동시에, 조작감·조작성이 뛰어나, 확실히 안정된 스위칭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다방향 조작력 스위치를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체(46)의 플랜지부(46B) 하면에 접촉편(47)을 고정한 것을 예로 설명했지만, 조작체를 도전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접촉편(47)을 없애는 동시에, 커버를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하여 스위치 접점부를 덮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작체를 제작하기 쉽고 또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체의 기울임 조작시에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에 더해 외측접점(34)도 도통상태로 할 수 있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 재료제품의 플랜지부(50)의 아래쪽에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징(51) 등을 고착하면, 도 1의 것과 마찬가지로 소정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 구성된 스위치부와,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으로 구성된 스위치부를 절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구성으로 하면 다른 부품을 바꾸지 않고 소정 형상의 징(51)을 선택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상기에는 조작체의 플랜지부 및 케이스의 개구부가 모두 대략 정사각형인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어떤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양자를 직사각형의 것으로 하면, 직교하는 방향에서 기울임 각도가 다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변접점을 케이스의 대략 정사각형의 개구부 각부에 설치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주변접점을 개구부 내의 각 변에 2개씩 설치하고, 이들 두 개 접점간을 도통시키면, 각 기울임 방향의 접점에 접속하는 회로군 끼리를 확실히 분리할 수 있다. 또, 조작체를 도전재료로 형성하면, 주변접점을 개구부 내의 각 변에 1개씩 설치하여, 도전성의 플랜지부를 통해 이 접점과 외측접점과의 사이를 도통상태로 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도 8의 정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것에 대해 조작체(60) 및 커버(66)의 구성이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조작체(60)는 강성 절연재료제품의 막대기 형상체(61)의 아래쪽 위치에, 탄성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도전성의 대략 정사각형의 플랜지부(62)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 막대기 형상체(61)의 상부를 축부(63)로 하고, 또, 플랜지부(62) 아래쪽에 돌출하고 있는 막대기 형상체(61)의 하단부를 누름용 볼록부(64)로서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체(60)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62) 하면의 볼록부(64)가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중앙정점부(45A)상에 맞닿게 올려져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윗쪽으로 가해진 힘을 받고 있다. 이 가해진 힘으로 플랜지부(62) 상면이 커버(66) 하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플랜지부(62)는 케이스(31)에 수납되고, 축부(63)는 커버(66)의 중앙관통구멍(66A)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이 조작체(60)에서도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스(31)에 대해 회전을 하지 않지만, 축부(63)의 상하 이동조작 및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의 개구부를 덮고 있는 커버(66)는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정전 노이즈 등이 스위치 회로에 진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체(60) 및 커버(66) 이외의 구성부분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화살표(1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63) 윗쪽에 장착된 조작 손잡이(48)에 대해서 케이스(31) 바닥면에 배치된 임의의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 사이, 예컨대 (35)와 (37) 사이의 위치를 눌러내리면, 조작체(60)는 그 누름력을 가한 위치와는 반대쪽의 플랜지부(62)의 상단부(65)가 지지점이 되어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축부(63)와 일체의 볼록부(64)가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누름·반전시켜 감촉반응을 발생하면 동시에 도전성의 플랜지부(62)의 하면이 주변접점(35)과 (37)에 접촉한다.
이 때, 도전성 플랜지부(62)를 통해, 주변접점(35, 37)의 사이가 도통상태가 되어 다방향 외부도출용의 단자(41, 43) 사이가 도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도전성의 플랜지부(62) 하면과 주변접점(35∼38)상면과의 사이에 갭(도 8에 도시한 치수(L))를 두고 있다. 이 갭은 조작체(60)의 기울임 조작시에,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이 반전하여 감촉반응을 발한 후,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이 중심접점(33)과 맞닿기 전에, 도전성 플랜지부(62)가 주변접점(35, 37)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후, 다시 기울임력을 강화해 가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62)가 변형되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형태가 된다. 최종적으로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하면이 중심접점(33)에 맞닿아,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이 도통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조작 손잡이(48)에 가하고 있던 누름력을 제거하면, 플랜지부(62) 및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작체(60)는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플랜지부(62)의 하면이 주변접점(35, 37)으로부터 분리되어 축부(63)가 수직중립상태인 도 8에 도시한 통상상태로 되돌아간다.
마찬가지로 하여, 조작 손잡이(48)에 대해, 인접하는 임의의 두 주변접점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를 눌러 내리면, 그 방향으로 조작체(60)가 기울어 대응하는 주변 스위치 접점이 도통상태가 된다. 그 결과 그것에 따른 단자 사이를 도통상태로 할 수 있는 것, 및 그 단자 사이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검치함으로써 조작체(60)의 기울임 조작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은 실시형태 1에 의한 경우와 같다.
또, 조작 손잡이(48)의 중앙상면, 즉 조작체(60)의 축부(63)에 아래쪽을 향하는 수직인 누름력을 가하면, 조작체(6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볼록부(64)가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누름·반전시켜 감촉반응을 생성하여,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과 중심접점(33)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의 사이가 도통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력을 제거하면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은 그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고, 조작체(60)는 밀어올려져 도 8에 도시한 통상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들의 동작도 실시형태 1의 경우과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스위치의 기능에 더해, 축부(63)를 기울임 조작하여, 주변접점(35∼38) 중 임의의 두 개를 도통 상태로 한 후에,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통해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기울임 조작으로 얻어진 주변접점(35∼38)의 스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 등을 소정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또 그 상태에서 축부(63)를 밀어넣어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의 스위치 신호에 의해 그 이동속도를 보다 빠른 제2 속도로 이동시키는 방법 등도 나올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스위치를 이단 동작으로 사용할 때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서, 주변접점(35∼38) 중의 두 접점간의 스위치 신호 및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의 스위치 신호의 도통 시간차를 검지할 수도 있다. 이 검출결과에서 축부(63)에 가한 기울임 조작 속도, 강도 등을 산출하여 그것에 따른 속도로 커서 등을 스크롤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에는 조작체(60)의 축부(63)를 기울임 조작했을 때에,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이 반전하여 감촉반응을 발한 후, 인접하는 임의의 두 주변 스위치 접점이 도통상태로 이행하고, 그 후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이 도통상태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축부(63)를 기울임 조작함으로써, 비로소 도전성 플랜지부(62)와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을 접속시켜 도통상태로 하고, 그 후에 가한 축부(63)로의 기울임력으로 플랜지부(62)를 변형시켜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아래쪽으로 눌러,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반전시켜 감촉반응감을 얻는 동시에, 중심접점(33)과 외측접점(34)을 도통상태로 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을 행하도록 하면, 축부(63)의 기울임 조작시의 감촉반응은 주변 스위치 접점이 도통상태가 된 후에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실제 사용상에서는 주변 스위치 접점이 도통상태가 되는 타이밍과, 감촉반응이 발해진 타이밍은 매우 근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변 스위치 접점을 조작할 때에 감촉반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조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에서도, 그 기울임 방향을 인식하기 위해 배치된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가 주변 스위치 신호로부터의 스위치 신호 및 중심접점(33)과 외부접점(34)의 스위치 신호가 소정시간 내에 얻어졌을 때에만, 주변 스위치 접점으로부터의 스위치 신호가 유효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처리를 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기울임 조작시의 감촉반응에 의해 조작의 유효성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스(31)의 개구부를 덮고 있는 커버(6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외부로부터의 정전 노이즈 등이 스위치 접점부 등에 진입하기 어려워, 미소한 전압 및 전류에서도 신뢰성 높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그 플랜지부(62)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63)에 가한 과도한 조작력을 플랜지부(62)에서 흡수할 수도 있고, 접점부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 1에 의한 것에 대해, 케이스 개구부 및 조작체의 플랜지부의 형상을 다른 것으로 한 거이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조작체(70)의 플랜지부(71)는 대략 팔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71)의 하면에는 플랜지부(7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도전재료제품의 접촉편(72)이 플랜지부(71) 하면 중앙에 설치된 아래쪽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제거한 부분을 덮도록 아웃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71)는 그보다도 조금 큰 닮음꼴 형상의 윗면에서 보아 대략 팔각형의 윗쪽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74)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74)의 개구부 모서리부의 내바닥면에 주변접점(73)이 각각 설치되고, 그 주변접점(73)으로부터의 단자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71)의 수용형태 및 그 다른 구성부분 등은 실시형태 1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그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의 경우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플랜지부(71) 및 케이스(74)의 개구부를 모두 대략 팔각형의 형상으로 조합하는 동시에, 케이스(74) 개구부의 모서리부 내 바닥면에 여덟개의 주변접점(73)이 동일 거리·동일 각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여덟 방향의 기울임 조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조작체의 플랜지부 및 케이스 개구부의 형상을 원하는 기울임 방향의 수에 맞추어, 오,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조합시키는 동시에, 그 케이스 개구부 모서리부 내 바닥면에 주변접점을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수의 방향으로 기울임 가능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네 번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 1 또는 3에 의한 것에 대해, 케이스 개구부 및 조작체의 플랜지부 형상을 원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조작체(80)의 원형상의 플랜지부(81)에는 플랜지부(81)와 같은 형상의 도전재료제품의 접촉편(82)이 아웃서트 성형법에 의해 장착되어 하면이 도통상태가 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1 또는 3에 따른 경우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 조작체(80)의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축부(83)는, 커버(32)의 중앙 관통구멍(32B)에 끼워 통과하고 있어, 양자의 걸어맞춤 부분에서 조작체(80)의 회전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조작체(80)의 플랜지부(81)는 윗면에서 보아 원형의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84)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84) 내 바닥면에는, 상기 축부(83)의 모서리부의 방향에 맞추도록 주변접점(85)이 케이스(84)의 개구부 중심에 대해 네 방향의 동일 거리 동일 각도로 배치되어 있고, 그 외부 접속용 단자는 케이스(84)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84)의 개구부 내에 대한 상기 플랜지부(81)의 수용 형태 및 그 다른 구성부분 등은 실시형태 1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그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는, 그 동작시에서의 케이스(84)내에서의 조작체(80)의 회전은, 상기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 회전방지수단으로는, 상기에 설명한 구성 이외에, 다각형상끼리의 조합, 또는 타원끼리의 조합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팔각형 등의 모서리부를 많이 가지는 정다각형끼리를 조합한 것으로 한 스위치에서는,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인 상태에서, 축부선단이 원을 그리도록 연속 조작한 것도 가능하게 되어, 주변고정접점을 일정한 원주상에서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변환해 갈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체 통신기기를 하나의 예로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나 호출기 등의 이동체 통신기기에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한 것에서는, 사용자는 축부를 기울임 조작함으로써 액정화면 등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커서 이동이나 메뉴, 문자 등의 스크롤이나 검색을 행하여, 축부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메뉴를 확정하고, 또 푸시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메뉴의 실행, 즉 발신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리모콘이나 오디오 기기를 하나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리모콘이나 오디오 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한 것에서는, 사용자는 축부의 푸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전원의 ON, OFF나 재생, 정지를 순차 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축부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이는 조작과 좌우로 기울이는 조작에, 선국(選局)이나 선곡, 음량의 업다운,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의 명령을 적당히 조합하여 할당해 두면, 사용자는 축부의 기울임 조작을 함으로써 미리 할당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축부를 푸시조작함으로써 다방향 조작장치에 할당된 명령을 변환할 수도 있다.
(제7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게임 기기나 카네비게이션 기기를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게임기기나 카네비게이션 기기에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한 것에서는, 사용자는 축부를 기울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상의 캐릭터나 지도를 축부의 기울임 방법에 따라 이동시켜, 축부를 푸시조작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명령, 즉 지도 배율의 변환 및 캐릭터를 점프시키는 등의 동작의 변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8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카메라를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전자 카메라에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한 것에서는, 사용자는 축부를 기울임 조작함으로써 셔터 속도나 압축값 등의 설정을 행한 후에 축부를 푸시조작함으로써, 상기 설정한 내용을 확정할 수 있다. 또, 축부를 기울임 조작함에 따라 파인더(finder) 내에서의 초점대상위치를 설정한 후 축부를 푸시조작함으로써 핀트맞춤을 하고, 일정시간내에 다시 푸시조작을 함으로써 셔터를 누르는 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9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기기를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컴퓨터 기기에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장착한 것에서는, 사용자는 축부를 기울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상의 커서 이동이나 메뉴 선택을 하여, 푸시조작함으로써 메뉴의 확정, 실행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부품이 작아 스위치의 외형 및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 저비용인 동시에, 조작체를 비스듬히 기울여 스위칭을 행할 때에도 감촉반응감이 있고, 그 스위치 동작도 확실하고 안정되어 있는 유리한 장점을 가진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사용한 다방향 조작장치에서는 다양한 조작의 집중과 간편화와, 소형·얇은 형태·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바닥면에 중심접점(33) 및 이 중심접점(33)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외측 접점(34) 및 다수개의 주변접점(35-38)이 배치된 윗쪽을 개구한 케이스(31)와,
    상기 중심접점(33)의 위에 배치된 중심부를 가지고 또 상기 외측접점(34)상에 외주 하단부가 접촉하는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과,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과 동심의 관통구멍(32B)을 구비한 커버(32)와,
    이 커버(32)의 관통구멍(32B)을 관통하는 축부(46A)와, 그 하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아랫면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아랫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46C)를 가지는 조작체(46)로서, 상기 조작체(46)는 회전은 하지 않지만 축부(46A)의 기울임 조작 및 상하이동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에 의해 윗쪽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아,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가 상기 커버(32)의 하면에 맞닿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고,
    상기 축부(46A)를 아래쪽으로 누름조작하면 상기 플랜지부의 볼록부(46C)가 상기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45)을 누름·반전시키고, 상기 접점(33)과 상기 외측접점(34)의 사이를 도통시켜, 상기 조작체의 축부(46A)를 기울임 조작하면 상기 플랜지부 하면이 기울임 방향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조작체의 플랜지부의 형상은 닮음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접점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의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접점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의 상기 바닥면의 주변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는 원형이고, 상기 주변접점은 그 중심에 대해 동일한 거리와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조작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개구부보다도 작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의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조작체의 상기 축부와의 걸어맞춤 부분에 상기 조작체의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커버의 비원형의 관통구멍과, 상기 조작체의 비원형의 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커버의 사각형상의 관통구멍과, 상기 조작체의 사각 기둥부를 가지는 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조작체의 플랜지부 하면에 설치된 상기 볼록부는 절연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축부와 플랜지부 하면의 볼록부를 강성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플랜지부 하면에 도전성의 판 형상의 접촉편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강성 절연재료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축부와 플랜지부를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절연재료 제품의 볼록부를 플랜지부의 하면중심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탄성을 가지는 도전재료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축부의 기울임 조작시에 먼저 인접하는 두 주변접점끼리가 도통하고, 이어서 조작체의 플랜지부가 탄성변형함으로써 플랜지부의 볼록부가 원형 돔형상 가동접점을 눌러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을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13. 제 1항에 기재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여 인접한 두 주변접점의 도통상태를 검지하여 다수 항목 중에서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에 축부를 수직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얻어지는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의 도통상태를 검지하여 상기 선택한 항목을 확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장치.
  14. 제 1항에 기재된 다방향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조작체의 축부를 기울여 인접한 두 주변접점의 도통상태를 검지하여 벡터 방향의 미리 할당된 다수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어 있는 대상물을 선택한 신호의 벡터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축부를 수직으로 눌러내림으로써 얻어지는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의 도통상태를 검지하여 상기 이동한 대상물에 대해 미리 할당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일정시간 내에 축부를 수직으로 다수회 연속하여 눌러내림으로써 얻어지는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으로부터 연속한 스위치 신호를 검지하고, 이 신호에 따라 미리 결정된 다수의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장치.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축부를 중립위치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임 조작함으로써, 미리 기울어진 각각의 방향에 따라 할당된 명령을 각각 처리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장치.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축부를 수직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얻어지는 중심접점과 외측접점의 도통상태를 검지하여, 축부를 기울이는 각각의 방향을 따라 할당된 명령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변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장치.
KR1020000040817A 1999-07-16 2000-07-15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 KR100347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07599A JP3900749B2 (ja) 1999-07-16 1999-07-16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99-203075 1999-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954A true KR20010029954A (ko) 2001-04-16
KR100347860B1 KR100347860B1 (ko) 2002-08-07

Family

ID=1646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817A KR100347860B1 (ko) 1999-07-16 2000-07-15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44619B1 (ko)
EP (1) EP1069581B1 (ko)
JP (1) JP3900749B2 (ko)
KR (1) KR100347860B1 (ko)
DE (1) DE60009803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71B1 (ko) * 2005-08-17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다방향 조작버튼 장치
KR200452021Y1 (ko) * 2009-04-28 2011-01-27 주식회사 태건상사 분전반의 조립식 재치대
KR101133856B1 (ko) * 2009-09-14 2012-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6052C2 (de) * 1997-12-17 2002-06-27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Mehrfunktionsschalter
JP3593285B2 (ja) * 1999-09-06 2004-11-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スイッチ・インレットユニット及び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
JP3896734B2 (ja) * 1999-10-04 2007-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GB2355143A (en) * 1999-10-08 2001-04-11 Nokia Mobile Phones Ltd Fast scrolling through data by simultaneous depression and displacement of user input device
TW535037B (en) * 2000-06-20 2003-06-01 Swatch Group Man Serv Ag Electric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at least three different contacts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DE10118015A1 (de) * 2001-04-10 2002-10-24 Cimosys Ag Goldingen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zum Verstellen von Teilen eines Möbels relativ zueinander
US7333092B2 (en)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JP2004006069A (ja) * 2002-03-26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スイッチならびに多方向操作ユニット
US20050061639A1 (en) * 2003-09-22 2005-03-24 Stringwell Roderick W. Switch stabilizer
JP2005302462A (ja) *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552589B2 (ja) * 2004-10-13 2010-09-29 株式会社Inax リモコン
JP4729991B2 (ja) * 2005-06-13 2011-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US7145087B1 (en) * 2005-08-29 2006-12-05 Zippy Technology Corp. Multi-instruction switch
CN2891254Y (zh) * 2006-04-10 2007-04-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274479B2 (en) * 2006-10-11 2012-09-2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EP2113819B1 (en) * 2008-05-02 2011-11-16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apparatus
JP5295678B2 (ja) * 2008-07-31 2013-09-18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小型スイッチ
EP2361042B1 (en) * 2008-09-12 2016-11-30 Ethicon Endo-Surgery, Inc. Ultrasonic device for fingertip control
US9107688B2 (en) * 2008-09-12 2015-08-18 Ethicon Endo-Surgery, Inc. Activation feature for surgical instrument with pencil grip
KR20100075165A (ko)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045051B (zh) * 2009-10-13 2014-07-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开关
US8994666B2 (en) * 2009-12-23 2015-03-31 Colin J. Karpfinger Tactile touch-sensing interface system
JP5879500B2 (ja) * 2011-05-31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多段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表示システム
TWM430646U (en) * 2011-08-02 2012-06-01 Howay Corp Capacitive pointing device
US9467730B2 (en) * 2013-10-02 2016-10-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8476A (en) * 1954-06-25 1957-10-01 Gen Motors Corp Electric switch
US3005055A (en) * 1957-10-08 1961-10-17 Bell Telephone Labor Inc Tilting dial circuit selector
US3828148A (en) * 1972-09-20 1974-08-06 Otto Engineering Multi-position electrical switch and spring biasing means for universal-type actuator
US4428649A (en) * 1981-06-26 1984-01-31 Cherry Electrical Products Corporation Power mirror control switch
US4501939A (en) * 1983-11-04 1985-02-26 Personal Peripherals Inc. Digital joystick controller
US4896003A (en) 1989-06-30 1990-01-23 Hsieh Man Ching Multi-position electrical switch
JP2638395B2 (ja) 1992-06-30 1997-08-06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コントロールキー装置
US5498843A (en) 1992-06-30 1996-03-12 Sega Enterprises, Ltd. Control key multiple electrical contact switching device
US5298706A (en) 1992-08-13 1994-03-29 Key Tronic Corporation Membrane computer keyboard and improved key structure
JP2878532B2 (ja) * 1992-10-21 1999-04-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操縦杆式入力装置
US5889242A (en) 1996-10-17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0261349A (ja) * 1997-03-19 1998-09-29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US6160225A (en) * 1997-07-03 2000-12-12 Alp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JP3694392B2 (ja) * 1997-08-22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4464471B2 (ja) * 1997-10-23 2010-05-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71B1 (ko) * 2005-08-17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다방향 조작버튼 장치
KR200452021Y1 (ko) * 2009-04-28 2011-01-27 주식회사 태건상사 분전반의 조립식 재치대
KR101133856B1 (ko) * 2009-09-14 2012-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00749B2 (ja) 2007-04-04
DE60009803D1 (de) 2004-05-19
EP1069581A3 (en) 2002-08-21
JP2001035319A (ja) 2001-02-09
US6344619B1 (en) 2002-02-05
EP1069581A2 (en) 2001-01-17
KR100347860B1 (ko) 2002-08-07
EP1069581B1 (en) 2004-04-14
DE60009803T2 (de)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860B1 (ko) 다방향 조작 스위치 및 이것을 이용한 다방향 조작장치
US5889242A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53154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903731B2 (ja)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896734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4013507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入力装置
KR20020072775A (ko) 2 개의 가동접점을 통하여 전환조작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20020071462A (ko) 다방향 스위치장치
JP381200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KR100279397B1 (ko) 다방향 스위치
US20030155217A1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JP2002075129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814959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4375381B2 (ja)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68893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7164995A (ja) 複合スイッチ
JP200227006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210191A (ja) 多方向入力用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入力装置
JP200315140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H1064373A (ja) スイッチ装置
JP2000339082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0149718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0896663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1035321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