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165A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165A
KR20100075165A KR1020080133792A KR20080133792A KR20100075165A KR 20100075165 A KR20100075165 A KR 20100075165A KR 1020080133792 A KR1020080133792 A KR 1020080133792A KR 20080133792 A KR20080133792 A KR 20080133792A KR 20100075165 A KR20100075165 A KR 2010007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ignal
auto focus
are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권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5165A/ko
Priority to US12/633,847 priority patent/US8243181B2/en
Publication of KR2010007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여,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여,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을 영상 표시소자에 표시하여 보여주고,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의하여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AF(auto focus)를 행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영역에서 AF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영역의 선택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정해진 영역 또는 Center/Multi선택 등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어 있고, 촬영 전에 메뉴→영역 선택 메뉴→영역 선택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도 1a는 센터(Center) AF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AF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화면을 이미 정해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소정 영역을 선택하여 AF 처리를 수행한 후 촬영을 진행한다.
도 1b는 멀티(multi) AF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AF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화면을 이미 정해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 영역에 대해서 각각 AF 처리를 수행한 후 촬영을 진행한다.
또는 도 1c와 같이 터치 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피사체를 터치 패드 LCD상에서 선택하여 AF를 수행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촬영자가 촬영을 위해 뷰파인더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피사체에 집중하고 있는 동안에는 AF 영역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즉,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즉,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AF 영역을 이동시키려면, 사용자는 잠시 촬영을 중단하고 방향키를 누르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AF 영역을 이동한 후, 다시 촬영에 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의도했던 찰나의 순간을 놓칠 수 있으며, 이전의 구도를 다시 잡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촬영자는 초점영역 선택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AF 잠금 버튼을 입력하여 초점을 고정한 후,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를 이 동시켜 구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오차로 인해 AF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AF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AF 영역을 이동하지 못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여,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버튼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소정의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 조절, 줌 조절, AE(auto exposure)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좌우 방향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AF(auto focus) 영역이 상기 방향 이동 신호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상기 방향 이동 신호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이동된 AF(auto focus) 영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AF(auto focus)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는 상기 다방향 버튼의 전후좌우 방향 조작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상기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되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된 AF(auto focus) 영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AF(auto focus)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되는 단계는, 상기 AF(auto focus) 영역의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AF(auto focus) 영역을 설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셔터-릴리스 버튼(10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또한, 셔터-릴리스 버튼(10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도 3의 113 참조)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스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이와 같은 셔터- 릴리스 버튼(101)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 버튼(10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0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0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0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111w), 망원-줌 버튼(111t), 디스플레이부(113) 및 터치 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111w) 또는 망원-줌 버튼(11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11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1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11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셔터-릴리스 버튼(101)으로서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도 2에는 이와 같은 다방향 버튼의 일 예로써 5방향 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5방향 버튼은 사용자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버튼이다. 즉, 5방향 버튼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앙 부위를 축으로 전(F: front), 후(B: back), 좌(L: left) 및 우(R: right)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구현된 버튼이다. 또한, 사용자가 도 2의 화살표 P 방향으로 버튼을 가압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 역시 가능한 버튼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 구비되는 다방향 버튼이 5방향 버튼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대각선 방향으로까지 작동하도록 구현된 9방향 버튼 또는 그 이상의 방향 버튼 등,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다방향 버튼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 및 스위치 조작에 따른 키 입력 센싱 동작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도 2의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일반적인 셔터-릴리스 버튼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스 신호와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스 신호를 차례로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는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도 2의 화살표 P 방향으로 일정 정도 가압한, 즉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전(F: front), 후(B: back), 좌(L: left) 및 우(R: right) 방향으로 조작하여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AF 영역을 이동시키려면, 잠시 촬영을 중단하고 방향키를 누르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AF 영역을 이동한 후, 다시 촬영에 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는 셔터-릴리스 버튼(101)으로서 다방향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AF 영역 이동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뷰파인더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원하는 구도를 설정한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도 2의 화살표 P 방향으로 가압하여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센터(Center) AF가 설정되어 있다면,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의 중앙에 AF(auto focus) 영역(P1)이 설정된다. 이처럼 구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초점 영역만을 인물 쪽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전(F: front), 후(B: back), 좌(L: left) 및 우(R: right) 방향으로 조작하여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우(R: right) 방향으로 밀어주면,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F(auto focus) 영역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새롭게 AF(auto focus) 영역(P2)이 설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a에는 초기 AF 영역이 디스플레이부의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초기 AF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다양한 영역에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방향 버튼으로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AF 영역의 이동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조정, AE LOCK, 줌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101)을 전(F: front), 후(B: back), 좌(L: left) 및 우(R: right)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AF(auto focus)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113), 사용자 입력부(121), 촬상부(123), 영상 처리부(125), 저장부(12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2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스 버튼(10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0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111w) 및 망원-줌 버튼(111t)과, 문자 또는 메뉴 설정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 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12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디스플레이되고, 저장부(12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2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 태에서 전(F: front), 후(B: back), 좌(L: left) 및 우(R: right) 방향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AF(auto focus) 영역이 상기 방향 이동 신호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이동하는 AF(auto focus)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한 후,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도 2의 101 참조)을 전후좌우로 조작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AF(auto focus) 영역이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도 2의 101 참조)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된 AF(auto focus) 영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AF(auto focus)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AF 영역 설정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설정 영역에 AF를 맞춘 RAW 데이터 영상을 저장부(127)에 저장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29)는 제2 셔터-릴리스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프리뷰 영상을 캡처하고, 영상 처리부(125)에서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 JPEG 파일을 저장부(127)에 저장한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 사체의 구도를 설정하는 단계(S110 단계),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S120 단계), AF(auto focus)를 수행하는 단계(S130 단계), AF(auto focus) 영역이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단계),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하는 단계(S150 단계), AF(auto focus)를 재수행하는 단계(S160 단계), 제2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0 단계) 및 영상 파일이 생성 및 저장되는 단계(S18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는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S110 단계)한다. 즉, 디스플레이부(도 3의 113 참조)에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을 보면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화면 내의 위치 및 크기 등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S120 단계)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도 3의 129 참조)는 AF(auto focus)를 수행(S130 단계)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도 3의 129 참조)는 AF(auto focus) 영역이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40 단계)한다. 상기 판단 결과, AF(auto focus) 영역이동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도 3의 129 참조)는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S150 단계)하고, AF(auto focus)를 재수행(S160 단계)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셔터-릴리스 버튼(도 2의 101 참조)으로서 다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여기서, 다방향 버튼의 일 예로서 예시된 5방향 버튼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중앙 부위를 축으로 전(F: front), 후(B: back), 좌(L: left) 및 우(R: right)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도록 구현된 버튼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셔터-릴리스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일반적인 셔터-릴리스 버튼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스 신호와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셔터-릴리스 신호를 차례로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는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하여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뷰파인더나 라이브 뷰 화면을 통해 원하는 구도를 설정한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을 가압하여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센터(Center) AF가 설정되어 있다면,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에 AF(auto focus) 영역이 설정된다. 이처럼 구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초점 영역만을 인물 쪽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셔터-릴리스 버튼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하여 AF(auto focus) 영역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반-셔터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을 우측으로 밀어주면, AF(auto focus) 영역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새롭게 AF(auto focus) 영역이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는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방향 버튼으로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AF 영역의 이동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조정, AE LOCK, 줌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제1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릴리스 버튼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사체의 구도 및 AF 영역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제2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70 단계)한다.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제2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에서 촬영된 영상을 JPEG 영상파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저장부에 저장(S180 단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용이하게 AF(auto focus)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영역선택을 설명하기 위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1: 셔터-릴리스 버튼
121: 사용자 입력부 123: 촬상부
125: 영상 처리부 127: 저장부
129: 디지털 신호 처리부

Claims (12)

  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버튼은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소정의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화이트 밸런스 조절, 줌 조절, AE(auto exposure)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후좌우 방향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AF(auto focus) 영역이 상기 방향 이동 신호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상기 방향 이동 신호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이동된 AF(auto focus) 영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AF(auto focus)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셔터-릴리스 버튼으로써 다방향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는 상기 다방향 버튼의 전후좌우 방향 조작에 의해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릴리스 신호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가압되어 상기 제1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릴리스 버튼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되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된 AF(auto focus) 영역에 대하여 자동으로 AF(auto focus)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F(auto focus) 영역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AF(auto focus) 영역이 이동되는 단계는,
    상기 AF(auto focus) 영역의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133792A 2008-12-24 2008-12-24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5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92A KR20100075165A (ko) 2008-12-24 2008-12-24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633,847 US8243181B2 (en) 2008-12-24 2009-12-09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92A KR20100075165A (ko) 2008-12-24 2008-12-24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65A true KR20100075165A (ko) 2010-07-02

Family

ID=422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92A KR20100075165A (ko) 2008-12-24 2008-12-24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43181B2 (ko)
KR (1) KR201000751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1011B (zh) * 2020-12-07 2022-12-02 广东省电信规划设计院有限公司 自动拍摄控制方法及其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242A (en) * 1996-10-17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531540B2 (ja) * 1999-06-10 2004-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900749B2 (ja) * 1999-07-16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43181B2 (en) 2012-08-14
US20100157132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77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751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다중 심도를 가진 3차원 메뉴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137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078120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3918A (ko)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11313B1 (ko)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200900725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7516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2009011239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678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90090210A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13702A (ko) 후보정 awb를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동작 방법
KR20090032295A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0008483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12394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81881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3012B1 (ko) 전자 다이어리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
KR2010000391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메뉴를 일괄 설정 및수행하는 방법
KR1014113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촬영 범위 확대 장치 및 방법
KR101464531B1 (ko) 양손 촬영이 편리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2009006257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KR20090072504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9956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5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02

Effective date: 201605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02

Effective date: 2016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