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918A -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918A
KR20100003918A KR1020080063975A KR20080063975A KR20100003918A KR 20100003918 A KR20100003918 A KR 20100003918A KR 1020080063975 A KR1020080063975 A KR 1020080063975A KR 20080063975 A KR20080063975 A KR 20080063975A KR 20100003918 A KR20100003918 A KR 2010000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database
mode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옥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918A/ko
Publication of KR201000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감지 센서에 의한 지문인식을 통하여 사용자를 등록 및 식별하고, 선호하는 모드를 데이터베이로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열에 의한 지문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 및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장치를 기 설정된 모드로 설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63975
열 감지 센서, 지문 감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등록, 선호모드

Description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digital image capable of recognizing user}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감지 센서에 의한 지문인식을 통하여 사용자를 등록 및 식별하고, 선호하는 모드를 데이터베이로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문 입력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소유자 또는 소유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함으로 지문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하우징 내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지문 접촉 시에 지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발생시키는 지문 입력수단이 하우징 내에 내장된다. 지문입력 수단은 렌즈와 연동되어 렌즈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로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렌즈에 지문이 묻을 경우, 상 흐림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인식하는 사용자는 많지 않다. 따라서 렌즈를 통하여 지문 입력 이 가능한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촬영된 영상에 큰 손실을 줄 수 있으며, 이를 인식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사용 시에 매번 렌즈를 통한 지문 입력 후, 다시 지문을 지워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열감지 센서에 의한 지문인식을 통하여 사용자를 등록 및 식별하고, 선호하는 모드를 데이터베이로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열에 의한 지문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장치를 기 설정된 모드로 설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센서가 감지한 지문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장치의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센서로부터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부의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장치를 해당 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제일 많이 세팅한 모드 및 메뉴 정보, 선호하는 화질 정보, 얼굴인식 등록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상기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지문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모드로 상기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제일 많이 세팅한 모드 및 메뉴 정보, 선호하는 화질 정보, 얼굴인식 등록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등록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b-2) 샘플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b-3)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정보, 얼굴인식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설정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c-2)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드 정보, 화질 정보, 얼굴인식 등록정보로 상기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감지 센서에 의한 지문인식을 통하여 사용자를 등록 및 식별하고, 선호하는 모드를 데이터베이로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기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기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열감지 센서(25)는 사용자로부터 지문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열 감지 센서(25)는 센서 표면의 온도 차이를 통해 사용자의 전체 지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열 감지 센서(25),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 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열감지 센서(25)로부터 지문정보를 수신하여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기 설정된 모드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데이터베이스(39-1), 검색부(39-2) 및 제어부(39-3)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9-1)에는 열감지 센서(25)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 및 해당 지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또는 닉네임 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9-1)에는 사용자 입력부(31)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값, 매뉴얼값,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질(색감, 화이트밸런스, 노출 포커스 등), 얼굴인식 모드 시에 가족, 친구등을 등록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특히 얼굴인식 등록 정보의 경우, 기존에는, 지정할 수 있는 인물의 수가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뀔때마다 다시 삭제하고 지정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 별로 얼굴인식 모드 시 가족, 친구 등으로 등록한 인물을 등록하고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9-1)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깔의 아이콘 및 배경 색을 저장하여 추후에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검색부(39-2)는 열감지 센서(25)로부터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39-1)로부터 동일한 사용자가 있는지 검색한다. 또한 검색부(39-2)는 지문정보가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9-1)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설정값, 화질, 얼굴인식 등록 정보를 검색한다.
제어부(39-3)는 검색부(39-2)의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9-1)로부터 독취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해당 모드로 설정한다.
제어부(39-3)는 열감지 센서(25)가 감지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9-1)를 구축하고 사용자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사용자 등록 시에 제어부(39-3)는 택스트(text)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39-3)는 선호하는 모드 중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샘플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39-3)는 열감시 센서(25)가 감지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가 등록한 이름 및 설정한 아이콘 등을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한다. 아이콘 설정 시에 제어부(39-3)는 장치 내부의 디폴트 아이콘을 제공하거나, 셀프 촬영을 통해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직접 아이콘으로 등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아이콘과 이름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님 반갑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제어부(39-3)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모드나 메뉴 등에 대한 정보를 카운트하여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하고, 추후에 이 값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를 자동으로 세팅해 주도록 하며, 이외 메뉴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질을 미리 지정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 방향을 유도한다.
본 발명을 통해서 기존 렌즈를 통해 사용자 식별을 하게 되어, 렌즈에 지문이 묻어 화질의 영상이 흐려지는 결과나 렌즈를 매번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경우 수많은 모드와 세팅값이 존재하는데 일일이 매번 사용하고자 하는 모드와 세팅값을 지정하기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 식별 후 자동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설정해주므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중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등록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열감지 센서(25)를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수신한다(401단계).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수신한 지문 정보가 내부 데이터베이 스(39-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한다(403단계).
수신한 지문 정보가 내부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처리한다(405단계).
수신한 지문 정보가 내부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39-1)에 등록할 것인지 판단한다(407단계).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39-1)에 등록할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9-1)를 구축한 후 사용자로 등록한다(409단계).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텍스트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 정보 즉 사용자 이름 또는 닉네임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수신 후 데이터베이스(39-1)가 구축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샘플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411단계).
샘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샘플 영상을 보면서 선호하는 화질(색감, 화이트 밸런스, 노출, 포커스 등) 정보를 설정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이를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한다(413단계).
이어서, 사용자는 매뉴얼 설정 및 사용자가 반복해서 사용하는 모드를 설정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이를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한다(41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모드나 메뉴 등에 대한 정보를 카운트하여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하고, 추후에 이 값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자동으로 세팅해 주도록 하며, 이외 메뉴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통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열감지 센서(25)를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수신한다(501단계).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수신한 지문 정보가 내부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 판단한다(503단계).
수신한 지문 정보가 내부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사용자를 데이터베이스(39-1)에 등록하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505단계).
그러나 수신한 지문 정보가 내부 데이터베이스(39-1)에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사용자가 등록한 이름 및 설정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한다(509단계). 아이콘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자는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아이콘 설정 시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장치 내부의 디폴트 아이콘을 제공하거나, 셀프 촬영을 통해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직접 아이콘으로 등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아이콘과 이름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님 반갑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데이터베이스(39-1) 정보를 통해 사용자 가 통계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한 모드값이나 메뉴값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자동으로 세팅한다(51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데이터베이스(39-1)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선호하는 화질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세팅한다(513단계).
이외에 얼굴인식을 통한 영상 촬영 시에 데이터베이스(39-1)에 등록된 인물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중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등록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통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7)

  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열에 의한 지문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장치를 기 설정된 모드로 설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센서가 감지한 지문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장치의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센서로부터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부의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장치를 해당 모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제일 많이 세팅한 모드 및 매뉴 정보, 선호하는 화질 정보, 얼굴인식 등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4.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상기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지문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등록과 함께 선호하는 모드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모드로 상기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제일 많이 세팅한 모드 및 메뉴 정보, 선호하는 화질 정보, 얼굴인식 등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감지된 지문이 처음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등록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b-2) 샘플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b-3)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정보, 얼굴인식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감지된 지문이 기저장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설정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c-2)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드 정보, 화질 정보, 얼굴인식 등록정보로 상기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
KR1020080063975A 2008-07-02 2008-07-02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003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75A KR20100003918A (ko) 2008-07-02 2008-07-02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75A KR20100003918A (ko) 2008-07-02 2008-07-02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18A true KR20100003918A (ko) 2010-01-12

Family

ID=4181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975A KR20100003918A (ko) 2008-07-02 2008-07-02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9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4195A (zh) * 2013-12-30 2015-07-0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4853092A (zh) * 2015-04-30 2015-08-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装置
GB2574101A (en) * 2018-04-05 2019-11-2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capture command source identific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100204B2 (en) 2018-07-19 2021-08-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granting increasing operational access with increasing authentication factors
US11605242B2 (en) 2018-06-07 2023-03-1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multiple persons within an environment of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4195A (zh) * 2013-12-30 2015-07-0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2890101A1 (en) * 2013-12-30 2015-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camera and method for user registration and settings saving
US9661222B2 (en) 2013-12-30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754195B (zh) * 2013-12-30 2018-09-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4853092A (zh) * 2015-04-30 2015-08-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装置
GB2574101A (en) * 2018-04-05 2019-11-2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capture command source identific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0757323B2 (en) 2018-04-05 2020-08-25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capture command source identific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s
GB2574101B (en) * 2018-04-05 2022-06-2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Capture Command Source Identific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605242B2 (en) 2018-06-07 2023-03-1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multiple persons within an environment of an electronic device
US11100204B2 (en) 2018-07-19 2021-08-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granting increasing operational access with increasing authentication fa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77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86754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13701A (ko) 사람 수 체크를 이용한 셀프타이머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0137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00042916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100003918A (ko)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078120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053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20090032295A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JP2010098589A (ja)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KR2009011239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678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46941B1 (ko) 고속 촬영 시에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2765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07516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391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메뉴를 일괄 설정 및수행하는 방법
KR20090129745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73012B1 (ko) 전자 다이어리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
KR20090081881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68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