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39B1 -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39B1
KR101421939B1 KR1020080015529A KR20080015529A KR101421939B1 KR 101421939 B1 KR101421939 B1 KR 101421939B1 KR 1020080015529 A KR1020080015529 A KR 1020080015529A KR 20080015529 A KR20080015529 A KR 20080015529A KR 101421939 B1 KR101421939 B1 KR 10142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photographed
pers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210A (ko
Inventor
주석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에 얼굴인식 기능을 적용하여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 횟수를 산출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표시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굴 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여 얼굴 축소영상을 생성하고, 검출된 인물의 명수를 카운트하여 촬영된 횟수를 산출한 후 라이브뷰 영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축소영상 및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얼굴면적, 인물 카운트, 라이브뷰 영상, 얼굴 축소영상, 촬영된 횟수

Description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using face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에 얼굴인식 기능을 적용하여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 횟수를 산출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표시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검출하여 인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인물이 없는 경우에는 풍경 영상이라고 판단하고, 인물이 있는 경우에는 인물 영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인물 영상의 경우 얼굴 면적을 산출하여 소정 비율 이상이고, 인원수가 소정 인원수 이하인 경우 포토레이트 영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 영상으로부터 풍경 모드, 인물 모드, 포토레이트 모드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최적의 영상 출력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지만, 단순한 씬(scene) 판별 기능만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회식이나 등산 등과 같은 여러 모임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참석한 모든 사람들을 골고루 촬영해야 하는데, 특정 인물만 계속 촬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영상 촬영 시에 특정 인물에만 촬영이 편중되지 않고, 여러 사람들을 골고루 촬영할 수 있도록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에 얼굴인식 기능을 적용하여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 횟수를 산출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표시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얼굴 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여 얼굴 축소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검출된 인물의 명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검출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산출한 후 라이브뷰 영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얼굴 축소영상 및 상기 검출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인물을 검출하는 얼굴인식부; 상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는 얼굴면적 산출부; 상기 산출된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인물을 카운트하는 인물 카운트부; 상기 카운트된 인물이 소정 명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카운트된 인물들의 얼굴 축소 영상을 생성하는 얼굴영상 생성부; 및 상기 얼굴 축소영상 및 카운트된 인물의 촬영된 횟수를 산출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된 횟수를 산출하여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인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인물을 카운트하는 단계; (c) 상기 카운트된 인물이 소정 명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카운트된 인물들의 얼굴 축소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얼굴 축소영상 및 카운트된 인물의 촬영 횟수를 라이브뷰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a) 내지 (c) 단계를 재 수행하여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에 얼굴인식 기능을 적용하여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 횟수를 산출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표시함으로써, 어느 한 인물에만 촬영이 편중되지 않고, 여러 사람들을 골고루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5)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 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여 얼굴 축소영상을 생성하고, 검출된 인물의 명수를 카운트하여 촬영된 횟수를 산출한 후 라이브뷰 영상의 소정 위치에 얼굴 축소영상 및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 인식부(39-1), 얼굴면적 산출부(39-2), 인물 카운트부(39-3), 얼굴영상 추출부(39-4) 및 제어부(39-5)를 포함한다.
얼굴 인식부(39-1)는 저장부(37)에 저장된 임의의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인물들의 얼굴을 검출한다.
얼굴면적 산출부(39-2)는 얼굴 인식부(39-1)가 검출한 얼굴의 면적 즉, 크기를 산출한다. 얼굴면적 산출부(39-2)는 얼굴면적 산출 시에, 컬러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거나, 에지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며, 얼굴면적 산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39-5)는 얼굴면적 산출부(39-2)로부터 얼굴면적 정보를 수신하여,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인지 판단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얼굴면적 비율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a 및 도 4b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39-5)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이다.
도 4a의 영상에는 3명의 인물 A, B, C가 검출되고, 얼굴면적 산출부(39-2)는 인물 A, B, C에 대한 얼굴면적 a, b, c를 제어부(39-5)로 출력한다. 도 4a에 도시된 전체 영상의 면적을 T라고 가정하면, 도 4a에 도시된 얼굴면적 비율은 {(a+b+c)/T}×100%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9-5)는 계산된 얼굴면적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전체 영상 면적의 10%) 이상이 되는지 판단하고, 계산된 얼굴면적 비율이 소정의 비율 이상이 되는 경우, 인물 카운트부(39-3)를 동작시킨다.
도 4b의 영상에는 3명의 인물 A, B, D가 검출되고, 얼굴면적 산출부(39-2)는 인물 A, B, D에 대한 얼굴면적 a, b, d를 제어부(39-5)로 출력한다. 도 4b에 도시 된 전체 영상의 면적을 Y라고 가정하면, 도 4b에 도시된 얼굴면적 비율은 {(a+b+d)/Y}×100%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9-5)는 계산된 얼굴면적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전체 영상 면적의 10%) 이상이 되는지 판단하고, 계산된 얼굴면적 비율이 소정의 비율 이상이 되는 경우, 인물 카운트부(39-3)를 동작시킨다.
인물 카운트부(39-3)는 제어부(39-5)의 제어하에, 해당 영상으로부터 인물의 명 수를 카운트한다. 도 4a 및 도 4b로부터 인물 카운트부(39-3)는 3명의 인물을 카운트하여 제어부(39-5)로 출력한다.
제어부(39-5)는 카운트된 인물의 명 수가 소정의 명 수(예를 들어 9명) 이하가 되는지 판단하고, 카운트된 인물의 명 수가 소정의 명 수 이하기되는 경우, 얼굴 영상 생성부(39-4)를 동작시킨다. 카운트된 인물의 명 수는 추후에 해당 인물의 촬영 횟수와 동일하다.
얼굴 영상 생성부(39-4)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얼굴면적이 산출된 인물의 얼굴의 축소영상을 생성한다. 도 4c에는 디스플레이부(23) 상단에 얼굴 영상 생성부(39-4)에서 생성된 얼굴 축소 영상이 제어부(39-5)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제어부(39-5)는 영상 촬영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부(23)의 소정 위치에 얼굴 영상 생성부(39-4)가 생성한 얼굴 축소영상 및 해당 얼굴 축소영상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4c에는 디스플레이부(23) 상단에 얼굴 영상 생성부(39-4)에서 생성된 얼굴 축소 영상 및 인물 카운트부(39-3)가 카운트한 해당 얼굴 축소영상이 촬영된 횟수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도 4c의 라이브뷰 영상에는 인물 A, B, E, F 가 나타나 있고, 라이브뷰 영상의 상단에는 얼굴 축소영상 및 촬영된 횟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라이브뷰 영상의 인물 A 및 B는 이전에 2번씩 촬영된 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라이브 영상이 촬영되면, 제어부(39-5)는 얼굴 검출을 통한 얼굴면적 비율 소정 비율 이상이고, 인원수가 소정 명 수 이하인 경우,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해당 인물의 촬영된 횟수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한다. 동일 인물에는 영상 촬영 횟수를 1회 증가 시키고, 다른 경우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된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와 같이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에 얼굴인식 기능을 적용하여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 횟수를 산출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표시함으로써, 어느 한 인물에만 촬영이 편중되지 않고, 여러 사람들을 골고루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저장부(37)에 저장된 영상들 중 임의의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인물들의 얼굴을 검출한다(50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 검출 유/무를 판단하고(503단계). 얼굴이 검출된 경우, 검출된 얼굴의 면적을 산출한다(50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면적 산출 시에, 컬러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거나, 에지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며, 얼굴면적 산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산출된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인지 판단한다(507단계). 도 4a의 영상에는 3명의 인물 A, B, C가 검출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인물 A, B, C에 대한 얼굴면적 a, b, c를 산출한다. 도 4a에 도시된 전체 영상의 면적을 T라고 가정하면, 도 4a에 도시된 얼굴면적 비율은 {(a+b+c)/T}×100%로 계산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산출된 얼굴면적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전체 영상 면적의 10%) 이상이 되는지 판단한다.
도 4b의 영상에는 3명의 인물 A, B, D가 검출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인물 A, B, D에 대한 얼굴면적 a, b, d를 산출한다. 도 4b에 도시된 전체 영상의 면적을 Y라고 가정하면, 도 4b에 도시된 얼굴면적 비율은 {(a+b+d)/Y}×100%로 계산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산출된 얼굴면적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전체 영상 면적의 10%) 이상이 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산출된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인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해당 영상으로부터 인원수를 카운트 한다(509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도 4a 및 도 4b로부터 3명의 인물을 카운트 한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카운트된 인물의 명 수가 소정의 명 수 (예를 들어 9명) 이하가 되는지 판단하고(511단계), 카운트된 인물의 명 수가 소정의 명 수 이하기되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면적이 산출된 인물의 얼굴의 축소영상을 생성한다. 도 4c에는 디스플레이부(23) 상단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39)가 생성한 얼굴 축소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후, 영상 촬영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디스플레이부(23)의 소정 위치에 얼굴 축소영상 및 해당 얼굴 축소영상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 한다(515단계). 도 4c에는 디스플레이부(23) 상단에 얼굴 축소 영상 및 해당 얼굴 축소영상이 촬영된 횟수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도 4c의 라이브뷰 영상에는 인물 A, B, E, F 가 나타나 있고, 라이브뷰 영상의 상단에는 얼굴 축소영상 및 촬영된 횟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라이브뷰 영상의 인물 A 및 B는 이전에 2번씩 촬영된 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라이브뷰 영상이 촬영된 경우(517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라이브뷰 영상을 저장하고(519단계), 얼굴 검출을 통한 얼굴면적 비율 소정 비율 이상이고, 인원수가 소정 명 수 이하인 경우,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해당 인물의 촬영된 횟수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한다. 동일 인물에는 영상 촬영 횟수를 1회 증가 시키고, 다른 경우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된 횟수를 카운트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촬영된 영상의 인물 썸네일 및 촬영 횟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5)

  1.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여 얼굴 축소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검출된 인물의 명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검출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산출한 후 라이브뷰 영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얼굴 축소영상 및 상기 검출된 인물이 촬영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인물을 검출하는 얼굴인식부;
    상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는 얼굴면적 산출부;
    상기 산출된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인물을 카운트하는 인물 카운트부;
    상기 카운트된 인물이 소정 명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카운트된 인물들의 얼굴 축소 영상을 생성하는 얼굴영상 생성부; 및
    상기 얼굴 축소영상 및 카운트된 인물의 촬영된 횟수를 산출하여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축소영상 생성 및 촬영된 횟수를 산출하여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a) 임의의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인물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인물의 얼굴면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얼굴면적이 소정 비율 이상이 되는 인물을 카운트하는 단계;
    (c) 상기 카운트된 인물이 소정 명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카운트된 인물들의 얼굴 축소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얼굴 축소영상 및 카운트된 인물의 촬영 횟수를 라이브뷰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a) 내지 (c) 단계를 재 수행하여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20080015529A 2008-02-20 2008-02-2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529A KR101421939B1 (ko) 2008-02-20 2008-02-2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529A KR101421939B1 (ko) 2008-02-20 2008-02-2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10A KR20090090210A (ko) 2009-08-25
KR101421939B1 true KR101421939B1 (ko) 2014-07-22

Family

ID=4120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529A KR101421939B1 (ko) 2008-02-20 2008-02-20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48B1 (ko) 2020-03-24 2021-12-30 주식회사 인포랩 안면 인식을 이용한 환자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2379549B1 (ko) 2020-03-24 2022-03-28 주식회사 인포랩 안면 인식을 이용한 무인 접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213A (ko) * 2003-02-03 2004-08-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사진촬영장치, 프린트 시트,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사진촬영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70058316A (ko) * 2005-12-02 2007-06-0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213A (ko) * 2003-02-03 2004-08-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사진촬영장치, 프린트 시트,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사진촬영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70058316A (ko) * 2005-12-02 2007-06-0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10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77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1272A (ko) 셀프 촬영 안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10147568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80101277A (ko) 히스토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96355B1 (ko) 연사촬영된 영상들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900725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200901053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KR10141131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KR10141781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765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446941B1 (ko) 고속 촬영 시에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36239B1 (ko) 촬영한 영상에서 오토 포커스 영역의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4561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11307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6787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368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광 역광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데이터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44853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기반으로 한 브라케팅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396338B1 (ko)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