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316A -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316A
KR20070058316A KR1020060113774A KR20060113774A KR20070058316A KR 20070058316 A KR20070058316 A KR 20070058316A KR 1020060113774 A KR1020060113774 A KR 1020060113774A KR 20060113774 A KR20060113774 A KR 20060113774A KR 20070058316 A KR20070058316 A KR 20070058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image
masking pattern
masking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481B1 (ko
Inventor
다케시 가키누마
미츠노리 스기우라
요시노리 야마구치
타카미츠 이시카와
마사타카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화상에 의한 등록 오락자(registered player)의 검출율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으며, 검출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검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화상 취득부(21)는, 카메라(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취득하며, 마스킹 처리부(31)에 공급한다. 마스킹 처리부(31)는,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예정 마스킹 패턴 조정부(41) 및 가동 마스킹 에리어 설정부(45)에 의해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의 특징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조정된 마스킹 패턴을 판독하며, 공급된 화상에 대하여 마스킹 처리를 시행하며, 얼굴 화상 추출부(32)에 공급한다. 얼굴 화상 추출부(32)는, 구형상의 얼굴 화상을 추출하고, 송신부(33)에 공급한다. 송신부(33)는, 공급된 구형상의 얼굴 화상을 얼굴 인식 서버(3)에 송신한다.
얼굴 인식 서버, 통보부, 화상 취득부, 스위치, 마스킹 처리부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등록 오락자 래점 방치 시스템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카메라의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화상 처리 유닛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얼굴 인식 서버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전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주사선 형상으로 얼굴 화상을 분할할 때의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주사선 형상의 분할 처리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주사선 형상의 분할 처리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마스킹 영역의 트레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가동 부위에 의한 마스킹 패턴의 이동에 수반한 마스킹 패턴의 확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얼굴 화상을 분할할 때의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주사선 형상의 분할 처리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주사선 형상의 분할 처리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주사선 형상의 분할 처리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그 밖의 분할 처리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등록 오락자 통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8은 매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1-1 내지 1-5 : 카메라 2 : 화상 처리 유닛
3 : 얼굴 인식 서버 4 : 통보부
21 : 화상 취득부 22 : 스위치.
23 :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 24 :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
31 : 마스킹 처리부 32 : 얼굴 화상 추출부
41 : 마스킹 패턴 조정부 41a : 분할부
42b : 얼굴 화상 추출부 42 : 마스킹 패턴 기억부
43 :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 44 : 가동 부위 동작 제어부
45 :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록자의 오검출을 저하시킴과 함께, 검출률을 향상시키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등록자가 도래한 것을 통보하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파찡코점이나 파치슬롯점으로 대표되는 오락실의 출입구에 감시 카메라를 배치하고, 감시 카메라로 촬상된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 미리 등록된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을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검색하고, 등록 오락자가 래점한 때에, 등록된 오락자가 래점한 것을 통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예를 들면 출입구 부근에 마련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얼룩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 오락자를 대조하는 수법에서는, 촬상 영역 내에 포스터, 또는 입간판 등 인물 얼굴 화상 이외의 얼굴 화상이 존재한 경우, 포스터 등의 얼굴 화상을, 래점자의 얼굴 화상으로서 검출하여 버리는 일이 있어서, 불필요한 얼굴 화상 인식 처리를 반복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감시를 목적으로 한 촬상 영역에 대해, 감시 불필요 영역을 설정하고, 마스킹 한다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27954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1-245278호 공보
그러나, 촬상 영역의 얼굴 화상을 추적하여 자동 검출하는 얼굴 화상 검출 방법에서는, 촬상 인물의 얼굴 화상이 마스킹 범위 내를 통과하여 촬상 영역을 이동할 때, 마스킹 범위의 크기에 따라서는, 얼굴 화상의 자동 검출이 중단되어 버리기 때문에 마스킹 범위 통과 전과 통과 후에서 다른 인물의 얼굴 화상으로서 검출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포스터나 입간판 등에 포함되는 얼굴 화상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불필요한 얼굴 화상 인식 처리를 배제하면서, 실제 래점자의 얼굴 화상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는, 상기 얼굴 화상을 소정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을 또한 포함시킬 수 있고,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는,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의 단위로,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의 단위로, 순차위치 및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반복한다.
상기 소정의 분할 영역에는, 상기 화상을 주사선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분할 영역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인 경우,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는, 상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의 영역의 개략 중심부분으로부터 소용돌이 형상으로 순차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분할 영역의 일부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은, 상기 도래자가 도래하는 일이 없는 조건이 라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얼굴 화상으로 할 수 있다.
가동 설비의 가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추출될 수 없는 상태의,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동 위치에 의거하여,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수단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마스킹 패턴 기억 수단에는, 상기 트레이스 수단에 의해 상기 마스킹 패턴이 트레이스된 범위를 포함하여 마스킹 패턴으로서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등록자의 얼굴 화상을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마스킹 패턴에 의해 상기 화상을 마스킹하는 마스킹 수단과, 상기 마스킹 수단에 의해 마스킹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되는 얼굴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을 인식하기 위한 특징량에 의거하여,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얼굴 화상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등록자의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 수단과,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유사도에 의거하여, 상기 등록자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프로그램은,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화상이 촬상되고,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이 추출되고,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이 발생되고,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이 변화시켜지면서 반복되고,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이 기억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이란, 예를 들면 카메라이고,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수단이란, 예를 들면 얼굴 화상 추출부이고,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이란, 예를 들면 마스킹 패턴 조정부이고,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란, 예를 들면 마스킹 패턴 기억부이다.
즉,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은,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될 때까지, 얼굴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발생하고,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의 마스킹 패턴이 마스킹 패턴 기억 수단에 기억되게 된다. 여기서,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이란, 도래자가 도래하는 일이 없는 조건이라도,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화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이란, 예를 들면 오락실 내의 벽에 부착되어 있는 포스터나 입간판에 포함되어 있는 얼굴 화상이다. 즉, 도래자가 아닌, 포스터나 입간판에 포함되어 있는 얼굴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함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도록 하고,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이 추출되는 것을 없앰에 의해, 본래의 도래자의 얼굴 화상에 관해서만, 축적된 등록자의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가 계산되고, 계산된 유사도에 의거하여, 등록자가 도래하였다고 판정하도록 시킬 수 있다. 결과로서, 도래자가 아닌, 포스터나 입간판에 포함되어 있는 얼굴 화상에 대해서까지, 등록자와의 유사도를 계산한다는 처리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본래의 도래자의 얼굴 화상과, 등록자의 얼굴 화상과의 비교를 신속하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의 마스킹은, 얼굴 화상의 일부만을 마스킹할 뿐이기 때문에, 진정한 도래자의 얼굴 화상과, 등록자와의 유사도의 계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도래자중에서 등록자를 검출하는 검출률을 저감시키는 일 없이, 처리를 신속하게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며, 본 발명의 구성 요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의 형태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 대응한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 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에 대응한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실시의 형태가 구성 요건에 대응한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 요건 이외의 구성 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카메라(1))와,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얼굴 화상 추출부(41b))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마스킹 패턴 조정부(41))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마스킹 패턴 기억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마스킹 패턴 조정부(41))에는, 상기 얼굴 화상을 소정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분할부(41a))을 또한 포함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는,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의 단위로,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의 단위로, 순차위치 및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반복한다.
상기 소정의 분할 영역에는, 상기 화상을 주사선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분할 영역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인 경우,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마스킹 패턴 조정부(41))에는, 상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의 영역의 개략 중심부분으로부터 소용돌이 형상으로 순차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분할 영역의 일부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은, 상기 도래자가 도래하는 일이 없는 조건이라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얼굴 화상 추출부(41b))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얼굴 화상으로 할 수 있다.
가동 설비의 가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가동 위치 검출 확인부(43))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추출될 수 없는 상태의,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동 위치에 의거하여,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수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스킹 패턴 기억 수단에는, 상기 트레이스 수단에 의해 상기 마스킹 패턴이 트레이스된 범위를 포함하여 마스킹 패턴으로서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등록자의 얼굴 화상을 축적하는 축적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등록 오락자 데이터베이스(83))과,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마스킹 패턴에 의해 상기 화상을 마스킹하는 마스킹 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마스킹 처리부(31))과, 상기 마스킹 수단에 의해 마스킹된 상기 화상 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되는 얼굴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을 인식하기 위한 특징량에 의거하여,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얼굴 화상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등록자의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유사도 계산부(82))과,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유사도에 의거하여, 상기 등록자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예를 들면 도 4의 판정부(8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예를 들면 도 6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23의 처리)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스텝(예를 들면 도 6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24의 처리)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예를 들면 도 6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28의 처리)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예를 들면 도 6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37의 처리)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오락실의 등록 오락자 래점 통보 시스템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카메라(1-1 내지 1-5)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오락실의 출입구 부 근, 또는, 오락실 내의 유기대(오락기기) 등이 설치되는 섬(독립)설비의 사이에 마련된 감시 카메라이고, 상점 내의 각각의 위치에서 오락자를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화상 처리 유닛(2-1 내지 2-5)에 공급한다. 또한, 카메라(1-1 내지 1-5) 또는 화상 처리 유닛(2-1 내지 2-5)은, 각각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카메라(1) 또는 화상 처리 유닛(2)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고, 그 밖의 구성도 마찬가지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카메라(1)가 오락실 내의 5개소에 설치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설치 개소의 수는 그 밖의 수라도 좋다. 또한, 카메라(1)는, 각각 팬/틸트(pan/tilt) 기능이나 망원 기능 등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에서는, 카메라(1)에 대해, 화상 처리 유닛(2)이 1대1로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지만, 화상 처리 유닛(2)이, 복수의 카메라(1)에 대해, 예를 들면 시분할 처리하는 등으로 병렬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는 경우, 1대1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1대의 화상 처리 유닛(2)이, 복수의 카메라(1-1 내지 1-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에 대해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화상 처리 유닛(2-1 내지 2-5)은, 각각 카메라(1-1 내지 1-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화상 내의 래점하는 오락자의 얼굴 화상을 추출하고, 얼굴 인식 서버(3)에 공급한다.
얼굴 인식 서버(3)는, 화상 처리 유닛(2)으로부터 공급된 얼굴 화상을 취득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 비교하여 대조함에 의해, 공급된 얼굴 화상이 등록 오락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얼굴 인식 서버(3)는, 판정 결과 및 얼굴 화상을 통보부(4)에 공급한다.
통보부(4)는, 얼굴 인식 서버(3)로부터 공급되는 얼굴 화상, 및 등록 오락자 판정 처리에 의거한 판정 결과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등록 오락자를 나타내는 얼굴 화상의 취득에 의해, 등록 오락자 래점 정보를 발생하고, 오락실의 담당자에 대해 통보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화상 처리 유닛(2)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화상 취득부(21)는, 카메라(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촬상된 화상을 취득하고, 스위치(22)를 통하여,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 또는,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에 공급한다. 스위치(22)는, RTC(Real Time CLock)(25)에 의해 발생되는 시각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시각을 판독하고, 미리 설정된 시각인 경우,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에 접속하여,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을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에 공급시키고, 설정된 시각이 아닌 경우,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에 접속하여,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을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에 공급시킨다.
즉,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는, 오락실이 영업하지 않는 시간대(보다 상세하게는, 오락객이 래점하지 않고, 점원 등도 오락실 내를 걷고 있지 않는 시간대)에만 동작한다. 즉,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의 마스킹 처리부(31)에 의한 화상에의 마스킹 처리는, 어디까지나 화상중 포스터나 입간판 등의 오락자의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 때문에, 그 마스킹 패턴을 생성하는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 부(24)는, 검출하여야 할 오락자나 종업원 등이 오락실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간대, 즉,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경우, 곧바로 검출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는 조건이 충족되는 시간대에 동작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설정된 시각으로서, 오락실의 영업 시작 시각으로부터 폐점 시각까지의 시간 내로 하지만, 상술한 조건이 충족되는 한에서는, 그 이외의 시간이라도 좋다.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는,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의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마스킹 패턴을 마스킹 패턴 기억부(42)로부터 판독하여,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에 마스킹을 시행한 다음, 얼굴 화상을 추출하여 얼굴 인식 서버(3)에 공급한다.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는,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에 의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에서 얼굴 화상을 추출할 때에 이용되는 마스킹 패턴을 설정하고,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시킨다.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의 마스킹 처리부(31)는,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마스킹 패턴에 의거하여,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중, 포스터나 입간판 등에 포함되어 있는, 오락자로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필요 최저한의 소정의 부위에 마스킹 처리를 시행하고, 얼굴 화상 추출부(32)에 공급한다.
얼굴 화상 추출부(32)는, 마스킹 처리부(31)로부터 공급된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이 되는 직사각형 부위 부분을 추출하고, 각 얼굴 화상을 송신부(33)에 공급한다. 송신부(33)는, 얼굴 화상을 얼굴 인식 서버(3)에 송신한다.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분할부(41a) 및 얼굴 화상 추출부(41b)를 포함한다. 얼굴 화상 추출부(41b)는, 얼굴 화상 추출부(32)와 동일한 구성이고, 화상 취득부(21)로부터 스위치(22)를 통하여 공급되어 오는 화상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을 추출한다.
분할부(41a)는, 얼굴 화상 추출부(41b)에 의해 추출된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을 주사선 형상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시킨다.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분할부(41a)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얼굴 화상을 분할하는 최소 영역) 단위로, 얼굴 화상의 일부를 순차로 마스킹하고,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 내를 순차로 이동시키면서, 마스킹 영역을 크게 한다. 이때,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얼굴 화상 추출부(41b)를 제어하여, 마스킹을 변화시킬 때마다 얼굴 화상을 추출시키고,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가등록시킴과 함께, 마스킹 패턴의 정보를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에 공급한다. 즉, 마스킹 패턴은,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최소의 상태에서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가등록된다.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는,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로부터 마스킹 패턴이 공급되어 오면, 가동 부위 동작 제어부(44)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오락실 내의 자동문이나 회전하는 광고탑으로 대표되는, 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가동 부위를 동작시킨다. 이때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는,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마스킹 패턴의 부위가 이동하는 이동 범위를 계측하고, 계측 결과와 마스킹 패턴을 가동 마스킹 에어리어 설정부(45)에 공급한다. 가동 마스킹 에어리어 설 정부(45)는, 가동 부위의 이동에 수반한 마스킹 패턴의 이동 범위에 맞추어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로부터 공급된 마스킹 패턴이 이동함에 의해 생기는 마스킹 영역과, 상술한 가등록되어 있는 마스킹 패턴을 아울러서 마스킹 패턴으로서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시킨다. 마스킹 패턴 기억부(42)는, 마스킹 패턴 조정부(41) 및 가동 마스킹 영역 설정부(45)에 의해 설정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함과 함께, 마스킹 처리부(31)에 대해 기억하고 있는 마스킹 패턴의 정보를 공급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얼굴 인식 서버(3)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얼굴 화상 취득부(81)는, 화상 처리 유닛(2)으로부터 공급되는 얼굴 화상을 취득하고, 유사도 계산부(82)에 공급한다. 유사도 계산부(82)는, 얼굴 화상 취득부(81)로부터 공급된 얼굴 화상과 등록 오락자 데이터베이스(83)에 등록되어 있는 얼굴 화상을 하나하나 비교하여 대조하고, 유사도를 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판정부(84)에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사도 계산부(82)는, 예를 들면 눈과 눈의 간격, 턱부터 이마까지의 길이와, 턱부터 코까지의 길이의 비율 등의 각종의 얼굴의 특징량을 구하고, 각각의 차분합(差分和), 평균 비율, 또는 비율합 등을 유사도로서 구한다. 또한, 유사도 계산부(82)는, 얼굴 화상마다 구하여진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마다의 유사도중,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는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 및 촬상된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를 판정부(84)에 공급한다. 또한, 유사도의 계산 방법은, 그 밖의 방법이라도 좋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등록 오락자 데이터베이스(83)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에 관해서는, 새로운 등록 오락자를 수시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판정부(84)는, 유사도 계산부(82)로부터 공급된 사람 ID가 부착된 얼굴 화상마다의 유사도에 관해, 임계치 테이블(86)에 격납되어 있는, 등록 오락자 데이터베이스(83)에 등록된 얼굴 화상마다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공급된 얼굴 화상이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통보부(4)에 공급한다.
또한, 여기서는, 유사도는, 예를 들면 비율합으로 나타나는 등록 오락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얼굴 화상에 가까울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도 높은 값인 때, 그 유사도에 대응하는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인 것으로서 판정하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사도가 촬상된 얼굴 화상과 등록 오락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얼굴 화상과의 각각의 특징량에서의 차분합으로서 표현되어 있는 경우, 판정부(84)는, 유사도가 임계치보다도 작으면, 촬상된 얼굴 화상이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이라고 간주하는 것으로 되고, 또는, 평균 비율 등의 경우, 0 내지 1의 범위에서 소정의 값 이상이고, 1에 가까운 값이면, 동일한 인물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위치(22)에 의한 전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스위치(22)는, RTC(25)에 문의하여 영업 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예를 들면 영업 시간 외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에서, 마스킹 패턴 설정부(24)에 접속하고, 그 처리는, 스텝 S1로 되돌아온다. 한편, 스텝 S1에서, 영업 시간 내라고 판정된 경우, 스위치(22)는,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에 접속하고, 그 처리는, 스텝 S1로 되돌아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시간대에 따라, 스위치(22)는,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 또는 마스킹 패턴 설정부(24)로 전환된다. 결과로서, 포스터나 입간판 등이 날마다 이동하는 일이 있어도, 후술하는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가 반복 실시됨에 의해, 오락실에서는, 특히 화상 처리 유닛(2)의 설정을 변경하는 일 없이 마스킹 패턴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얼굴 화상 추출 처리에서도 효율 좋게, 포스터나 입간판에 기재되어 있는 얼굴 화상 등의, 실제의 오락실에의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3의 화상 처리 유닛(2)에 의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그리고,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는, 상술한 마스킹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스텝 S1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스위치(22)가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에 대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될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5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 S2의 처리에 의해, 스위치(22)가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부(24)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서, 카메라(1)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21로 되돌아온다. 즉, 스위치(22)가 마스킹 패턴 설정부(24)에 접속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21, S22의 처리가 반복된다. 소정의 시간으로서는, 감시의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250m초 정도라도 좋다.
스텝 S22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에서, 카메라(1)는, 설치되어 있는 범위의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화상 처리 유닛(2)에 공급한다. 화상 처리 유닛(2)의 화상 취득부(21)는, 공급된 화상을 취득하고, 마스킹 조정부(41) 및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에 공급한다.
스텝 S24에서, 마스킹 조정부(41)는, 얼굴 화상 추출부(41b)를 제어하여, 얼굴 화상이 추출 가능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4에서, 예를 들면 얼굴 화상이 추출 가능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21로 되돌아온다. 즉, 스위치(22)가 마스킹 패턴 설정부(24)에 접속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얼굴 화상이 추출 가능하다고 판정될 때까지, 스텝 S21 내지 S24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4에서, 예를 들면 얼굴 화상 추출부(41b)에 의해 얼굴 화상이 추출 가능한 경우, 스텝 S25에서, 마스킹 조정부(41)는, 얼굴 화상 추출부(41b)를 제어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을 추출시켜서 분할부(41a)에 공급한다. 또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분할부(41a)를 제어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의 분할수를 결정시킨다. 이때, 얼굴 화상은,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에 비하여 충분히 작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분할부(41a)는, 예를 들면 해상도의 관점에서 분할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이란, 예를 들면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상(121)이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온 경우, 화상(121) 내의 자동문(124-1)의 앞을 걷는 인물의 얼굴 화상(123), 또는, 자동문(124-2) 위에 부착되어 있는 포스터(125) 위의 얼굴 화상(122)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킹 그 자체는, 화상중 포스터나 입간판 등의 오락자의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이기 때문에, 그 마스킹 패턴을 생성하는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는, 검출하여야 할 오락자나 종업원 등이 오락실 내에 존재하지 않는 시간대, 즉, 얼굴 화상이 검출된 경우, 곧바로 검출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타이밍에 동작할 필요가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업원의 얼굴 화상(123)이 포함되어 있는 화상(121)은,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일이 없는 것이 전제로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상(121) 중, 얼굴 화상(122)만이 추출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26에서, 분할부(41a)는, 결정한 분할수로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을 분할한다. 분할부(41a)는, 얼굴 화상을,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사선 형상으로 분할하고,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도 8에서는, 얼굴 화상(122)은,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주사선 형상으로 위로부터 하방향을 향하여 n개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 부분은, n0 내지 nn의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스텝 S27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X)를 0, Z 를 0으로 초기화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카운터(X)는, 어드레스를 카운트하는 것이고, 카운터(Z)는, 마스킹한 주사선 형상의 부위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는 값이다.
스텝 S28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어드레스(nX 내지 n(x+Z))의 범위를 마스킹한다. 즉, 지금의 경우, X, Z은 0이기 때문에, 도 9의 좌부(左部)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상단의 부위에 마스킹 영역(131a)이 시행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말하는 마스킹이란, 마스킹 영역을 흑, 백, 또는, 그 밖의 색 등으로 빈틈없이 칠하는 처리이다.
스텝 S29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얼굴 화상 추출부(41b)를 제어하여, 마스킹된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추출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즉, 얼굴 화상 추출부(41b)는, 얼굴 화상 추출부(32)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은, 지금 현재의 마스킹 패턴으로는, 얼굴 화상으로서 처리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검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마스킹 패턴을 변경시키는 처리로 진행한다(즉, 처리는,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카운터(X)를 하나 증가한다. 스텝 S31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카운터(X)가 최대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최대치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28로 되돌아와, 재차 마스킹이 시행된다. 이때, 카운터(X)가 하나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의 왼쪽부터 2번째의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사선 형상의 마스킹 패턴은 수직 방향으로 1라 인분 아래방향으로 벗어나게 되고, 최상단의 부위보다 1라인 아래의 마스킹 영역(131b)이 시행되게 된다.
결과로서,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도 9의 우방향으로 순차로 진행되도록, 마스킹 영역(131c, 131d)과 마스킹되는 영역이 변화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9의 우부(右部)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마스킹 영역(131n)이 시행되게 된다.
이때, 스텝 S31에서는, X는 최대치로 되기 때문에, 스텝 S32에서, 카운터(X)가 0으로 초기화됨과 함께, 카운터(Z)가 증가된다. 결과로서, 스텝 S28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어드레스(n0 내지 n1)의 범위를 마스킹한다. 즉, 한번에 마스킹되는 영역이 2라인으로 변화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처리가 반복되게 되고,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는 상태로 될 때까지, 같은 처리가 반복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29에서,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3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그 시점에서의 마스킹 패턴을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가등록함과 함께, 가등록한 마스킹 패턴을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에 공급한다.
스텝 S34에서,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는, 가동 부위 동작 제어부(44)를 제어하여, 상점 내의 가동 부위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자동문(124-1, 124-2) 등을 개폐시키는 등의 동작을 시킨다.
스텝 S35에서,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는,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온 마스킹 패턴을, 스텝 S2의 처리로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오 는 화상 내에서, 가동 부위의 움직임에 맞추어 트레이스시킨다. _
스텝 S36에서,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는, 공급되어 온 마스킹 패턴이, 화상(121) 내에서 최대 가동 범위에 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4로 되돌아와, 최대 가동 범위에 달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스텝 S34 내지 S36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얼굴 화상(122)이, 도 7의 상태인 경우, 최대 가동 범위에 달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자동문(124-1, 124-2)이 동작함에 의해, 각각 도면중 좌우로 개방됨으로써,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얼굴 화상(122)은, 포스터(125)가 부착되어 있는 자동문(124-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얼굴 화상(122a 내지 122c)의 순서로 트레이스되고, 자동문(124-1)이 닫힐 때, 얼굴 화상(122c 내지 122a)의 순서로. 트레이스된다. 또한, 이때,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킹의 대상이 아니지만, 얼굴 화상(123)이 화상(121) 내에 존재한 경우,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오는 화상(121)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얼굴 화상(123a 내지 123c)과 같이 트레이스되게 된다.
도 10의 경우, 얼굴 화상(122a)은 도 7에 있어서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기 때문에, 문(124-1)의 개폐에 따라, 얼굴 화상(122c)까지 이동하고, 문(124-1)이 닫혀짐에 따라 얼굴 화상(122a)까지 되돌아오고, 재차, 개방될 때, 얼굴 화상(122c)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최대 가동 범위는 얼굴 화상(122a 내지 122c)의 범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 스텝 S36에서, 최대 가동 범위에 달하였다고 판정되고, 그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한다.
스텝 S37에서,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는, 최대 가동 범위의 정보를 가동 마스킹 에어리어 설정부(45)에 공급한다. 가동 마스킹 에어리어 설정부(45)는, 최대 가동 범위의 정보에 의거하여, 가동 범위까지 고려한 마스킹 패턴을 설정하고, 상술한 가등록되어 있는 가동 부위가 정지한 상태의 마스킹 패턴과 아울러서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시킨다. 즉,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얼굴 화상(122a 내지 122c)으로 나타나는 범위가 최대 가동 범위인 경우,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망라하는 마스킹 영역(131, 141 및 142)의 마스킹 패턴을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시킨다. 마스킹 영역(131)은 스텝 S33의 처리에 의해 가등록된 마스킹 패턴(131)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마스킹 영역(141)은 도면중 마스킹 영역(131)의 수평 우방향으로 연장한 영역이고, 마스킹 영역(142)은 도면중의 마스킹 영역(131)의 수평 좌방향으로 연장한 영역이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는, 도 7에서 도시되는 얼굴 화상(122)에 대해,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마스킹 영역(131, 141 및 142)이 마스킹 패턴으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포스터 위에 그려져 있는 얼굴 화상(122)에 관해서는, 자동문(124-2)이 개방된 상태라도, 닫힌 상태라도, 마스킹 처리부(31)에 의해,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121)에,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마스킹이 행하여짐에 의해, 얼굴 화상이 검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영업 시간 내에서, 후술하는 등록 오락자 통보 처리에서도, 얼굴 화상으로서 검출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마스킹 영역(131, 141 및 142)은, 화상(121)에 대해 충분히 작은 범위이기 때문에, 영업 시간 내에서, 화상(121) 내에 촬상되는 다른 얼굴 화상의 추출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후술하는 등록 오락자 통보 처리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결과로서, 후술하는 등록 오락자 판정 처리에도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만을 인식하지 않도록 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등록 오락자 판정 처리의 인식률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처리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매일같이 영업 시간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매트릭스 패턴 설정 처리를 실행시킴에 의해, 예를 들면 포스터를 갈아 대거나, 입간판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행위가 상점 내에서 행하여지는 일이 있어도, 매일 마스킹 패턴은 갱신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오락실을 관리하는 종업원 등은, 마스킹 패턴의 갱신을 의식하는 일 없이, 얼굴 화상으로서 검출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검출하지 않도록 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문(124-1, 124-2) 등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포스터 위의 얼굴 화상 등의 경우, 가동 부위가 동작되어도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경우, 상술한 도 11의 마스킹 영역(131)의 범위만이, 마스킹 패턴으로서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기억되게 되고, 마스킹 패턴을 보다 작게 함으로써, 등록 오락자 판정 처리에 의한 등록 오락자의 판정에 있어서의 인식률의 저하를 더욱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원주형상의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간판이 상점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대 가동 범위의 설정은, 1회전한 곳에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이상의 처리에서는, 얼굴 화상의 분할 패턴을 주사선 형상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여 왔지만,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하여 마스킹 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2의 플로우 차트는, 얼굴 화상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한 경우의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12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71 내지 S74, 및 스텝 S85 내지 S89의 처리는,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21 내지 S24, 및 스텝 S34 내지 S37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텝 S85, S86의 처리에 있어서는, 스텝 S33, S35에서 경우와 어드레스의 표기가 다를 뿐이고, 처리 그 자체는 마찬가지이다.
스텝 S75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분할부(41a)를 제어하여, 분할수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마스킹 패턴을 설정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분할수가 결정된다.
스텝 S76에서, 분할부(41a)는, 결정한 분할수로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을 분할한다. 분할부(41a)는, 얼굴 화상을, 예를 들면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하고,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도 13에서는, 얼굴 화상(122)은, 수평 방향의 좌측을 향하여 m0 내지 mm의 (m+1)개로 분할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수직 방향의 하방향을 향하여 n0 내지 nn의 (n+1)개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 부분은 (m0, n0) 내지 (mm, nn)의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스텝 S77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X, Y)=0, Z=1로 초기화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카운터(X, Y)는 어드레스(mX, nY)를 카운트하는 것이고, 카운터(Z)는 마스킹한 매트릭스 형상의 부위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는 값이다.
스텝 S78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어드레스(mx, nY)를 우상의 정점(頂点)으로 하는(또는 좌상, 우하, 또는 좌하의 어느 한쪽을 정점으로 하여도 좋다) Z×Z의 범위를 마스킹한다. 즉, 지금의 경우, X, Y는 0이고, Z는 1이기 때문에, 어드레스(m0, n0)를 정점으로 하여 1×1의 범위를 마스킹한다. 결과로서, 도 14의 좌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우열 최상단의 부위에 마스킹 영역(151a)이 시행되게 된다.
스텝 S79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얼굴 화상 추출부(41b)를 제어하여, 마스킹된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추출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스텝 S80으로 진행한다. 즉, 얼굴 화상 추출부(41b)는, 얼굴 화상 추출부(32)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은, 지금 현재의 마스킹 패턴으로는, 얼굴 화상으로서 처리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검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마스킹 패턴을 변경시키는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80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카운터(X)를 하나 증가한다. 스텝 S81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카운터(X)가 최대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최대치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76으로 되돌아와, 다시 마스킹이 시행된다. 이때, 카운터(X)가 하나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도 14의 왼쪽부터 2번째의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의 마스킹 패턴은 수평 방향으로 1열분 좌방향으로 벗어나게 되고, 1열 좌의 마스킹 영역(151b)이 시행되게 된 다.
결과적으로,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도 14의 좌방향으로 순차로 진행되도록, 마스킹 영역(151c …)으로 마스킹되는 영역이 변화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14의 우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좌열의 마스킹 영역(151d)이 시행되게 된다.
이때, 스텝 S81에서는, X는 최대치로 되기 때문에, 스텝 S82에서, 카운터(X)가 0으로 초기화됨과 함께, 카운터(Y)가 하나 증가된다. 이로써, 도 14의 우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킹 영역(151e)이 마스킹된다. 또한, 스텝 S83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카운터(Y)가 최대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최대치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78로 되돌아와,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즉, 마스킹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좌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고, 최좌열로 이동한 경우, 수직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이 처리의 결과, 최종적으로는, 도 14의 우측 도면에서 도시되는 마스킹 영역(151f)까지가 순차로 마스킹되게 된다. 이때, 스텝 S83에서, Y는 최대치로 되기 때문에, 스텝 S84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카운터(X, Y)를 0으로 초기화함과 함께 카운터(Z)를 하나 증가하고, 그 처리는 스텝 S78로 되돌아온다.
즉, 카운터(Z)가 하나 증가됨에 의해 도 15의 좌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스킹 영역(151g)은 2×2로 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4배의 크기로 되고, 그 상태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도 15의 우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얼굴 화상의 안쪽 눈이 마스킹 영역(151h)에 의해 완전히 은페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텝 S79에서, 예를 들면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85에서, 마스킹 패턴 조정부(41)는 그 시점에서의 마스킹 패턴(마스킹 패턴의 좌표(mX, nY) 및 마스킹의 크기(Z×Z))을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등록함과 함께, 등록한 마스킹 패턴을 가동 검출 위치 확인부(43)에 공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얼굴 화상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하여 마스킹 패턴을 설정함에 의해, 포스터나 입간판에 포함되는 얼굴 화상으로서 인식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인식하지 않도록 시킴으로써, 처리 부하를 저감시킴과 함께, 마스킹 영역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등록 오락자 판정 처리에서의 판정 오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한 마스킹 영역을 우측 상으로부터 순차로 수평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특징량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고, 마스킹 패턴으로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여 왔지만, 마스킹의 조정은, 반드시 얼굴 화상의 우측 상으로부터 나오지 않아도, 좌상, 우하, 좌하의 어느 하나로부터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도 16의 좌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각선을 긋고, 그 교점상에 존재하는 화소를 중심으로 하여, 도 16의 중앙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마스킹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특징량이 추출되지 않는 상태를 검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6의 좌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각선을 긋고, 그 교점상에 존재하는 화소를 중심으로 하여, 도 16의 우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마스킹 영역을 늘리도록 하여 얼굴 화상이 추출되지 않는 상 태를 검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도 1의 등록 오락자 래점 방치 시스템에서의 등록 오락자 통보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서,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는, 스위치(22)가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될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접속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스텝 S102에서, 카메라(1)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소정 시간으로서는, 감시의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250m초 정도라도 좋다.
스텝 S102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03에서, 카메라(1)는 설치되어 있는 범위의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화상 처리 유닛(2)에 공급한다. 화상 처리 유닛(2)의 화상 취득부(21)는 공급된 화상을 취득하고,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에 공급한다.
스텝 S104에서, 얼굴 화상 추출 처리부(23)의 마스킹 처리부(31)는 마스킹 패턴 기억부(42)에 문의하여, 상술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마스킹 패턴을 판독하고, 화상 취득부(21)로부터 공급되어 온 화상을, 판독 마스킹 패턴에 의거하여 마스킹하여 얼굴 화상 추출부(32)에 공급한다.
스텝 S105에서, 얼굴 화상 추출부(32)는, 공급된 화상으로부터 오락자의 얼굴 화상을 추출하고, 송신부(33)에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얼굴 화상 추출 부(32)는, 예를 들면 촬상된 화상의 색 등으로부터 피부가 노출한 부분으로서, 눈이나 코라는 특징적인 부위의 배치 등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한다. 또한, 이에 따라, 얼굴 화상 추출부(32)는 직사각형 형상의 얼굴 화상을 추출하여, 송신부(33)에 공급한다. 또한, 스텝 S106에서, 송신부(33)는 얼굴 화상을 얼굴 인식 서버(3)에 송신한다.
스텝 S121에서, 얼굴 인식 서버(3)의 얼굴 화상 취득부(81)는 얼굴 화상을 취득한다. 스텝 S122에서, 얼굴 화상 추출부(81)는 공급된 얼굴 화상중 어느 하나의 미처리의 하나를 추출하고, 유사도 계산부(82)에 공급한다.
스텝 S123에서, 유사도 계산부(82)는 등록 오락자 데이터베이스(83)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각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 추출된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이 등록 오락자 데이터베이스(83)의 정보에 의거하여 유사도 계산부(82)는, 얼굴 화상 취득부(81)로부터 공급된 얼굴 화상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눈과 눈의 간격, 턱부터 이마까지의 길이와, 턱부터 코까지의 길이의 비율 등의 각종 얼굴의 특징량을 구하고, 각각의 차분합, 평균 비율, 또는 비율합 등을 유사도로서 계산하고, 가장 유사하고 있는 등록 오락자의 유사도 및 얼굴 화상을 판정부(84)에 공급한다.
스텝 S124에서, 판정부(84)는 유사도 계산부(82)로부터 공급된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여기서는, 유사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 촬상된 얼굴 화상이 유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 되기 때문에, 촬상된 얼굴 화상과, 가장 비슷한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의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도의 정의에 의해 촬상된 얼굴 화상과 가장 유사하고 있는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는, 그 값 그 자체가 가장 높은 것으로는 한하지 않기 때문에, 유사도와 임계치와의 대소 관계는 이 예의 경우와는 다른 것이 있다.
스텝 S124에서, 유사도 계산부(82)로부터 공급된 유사도가 임계치(등록 오락자라고 판정된 유사도의 임계치)보다도 크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5에서, 판정부(84)는, 추출된 얼굴 화상이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이라고 간주하고, 추출된 얼굴 화상을 통보부(4)에 공급한다.
스텝 S141에서, 통보부(141)는, 예를 들면 스텝 S125의 처리에 의해 얼굴 인식 서버(3)로부터 공급되는 얼굴 화상을 취득하면, 스텝 S142에서,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제어하여, 등록 오락자가 래점한 것을 통보한다.
한편, 스텝 S124에서, 유사도 계산부(82)로부터 공급된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25의 처리가 스킵되고, 등록 오락자가 래점하고 있다는 통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텝 S126에서, 얼굴 화상 추출부(81)는, 모든 얼굴 화상을 처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모든 얼굴 화상에 관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122로 되돌아온다.
또한, 스텝 S126에서, 모든 얼굴 화상이 처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121로 되돌아온다.
이상에 의하면, 등록 오락자 래점 방치 시스템에서, 스텝 S104의 처리에 의해, 상술한 마스킹 패턴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마스킹 패턴에 의해 마스킹된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이 추출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포스터나 입간판 등에 그려져 있는 얼굴 화상에 관해서는, 얼굴 화상 추출부(32)에 의해 검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도래자로서 간주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에 대해, 하나하나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 유사도를 계산한다는 처리가 없어지기 때문에, 검출하여야 할 도래자의 얼굴 화상에 대해서만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만으로 끝나고,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유사도의 계산이나 판정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처리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포스터나 입간판의 얼굴 화상 등이 만일 등록 오락자의 얼굴 화상과 비슷하게 되어 있는 일이 있어도, 오검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킹 패턴은, 최소의 상태로부터, 포스터나 입간판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검출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까지 서서히 크게 하여 가면서, 최종적으로 얼굴 화상을 검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의 패턴이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필요한 최소한의 마스킹 패턴이 설정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마스킹 패턴에 의해 본래 검출하여야 할 오락자의 얼굴 화상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오검출(본래 검출하여야 할 오락자가 도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얼굴 화상을 검출하지 않는다는 오검출도 포함한다)을 저감시켜서, 검출률(본래 검출하여야 할 오락자가 도래한 때에, 도래한 오락자의 얼굴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한 측면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의하면, 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고,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하고,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고, 발생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을 마스킹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도록 하였다. 결과로서, 이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화상을 마스킹하여, 마스킹한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도록 함에 의해, 등록 오락자의 오검출을 저하시킴과 함께, 검출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처리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을 마스킹에 의해 검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처리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일련의 감시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18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퍼스널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를 내장하고 있다. CPU(301)에는 버스(30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05)가 접속되어 있다. 버스(304)에는, R0M(Read Only Memory)(302) 및 RAM(Random Access Memory)(303)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05)에는, 사용자가 조작 커맨드를 입력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입력부(306), 처리 조작 화면이나 처리 결과의 화상을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부(307),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308), LAN(Local Area Network) 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부(30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기 디스크(3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322)(CD-R0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323)(MD(Mini Disc)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324)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판독 기록하는 드라이브(310)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R0M(3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자기 디스크(321) 내지 반도체 메모리(324)로부터 판독되어 기억부(308)에 인스톨되고, 기억부(308)로부터 RAM(3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303)에는 또한, CPU(30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본래 얼굴 인식 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얼굴 화상과, 등록자와의 비교 처리를 반복한다는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등록자의 검출률을 저감시키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등록자를 검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오락실에의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과, 오락실에 과거에 등록한 등록자와의 비교 처리를 반복한다는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등록 오락자의 검출률을 저감시키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처리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은, 상기 얼굴 화상을 소정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은,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의 단위로,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분할 영역의 단위로, 순차위치 및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 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분할 영역은, 상기 화상을 주사선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 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분할 영역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인 경우,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은, 상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의 영역의 개략 중심부분으로부터 소용돌이 형상으로 순차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분할 영역의 일부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은, 상기 도래자가 도래하는 일이 없는 조건이라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얼굴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가동 설비의 가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얼굴 화상이 추출될 수 없는 상태의,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동 위치에 의거하여,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패턴 기억 수단은, 상기 트레이스 수단에 의해 상기 마스킹 패턴이 트레이스된 범위를 포함하여 마스킹 패턴으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등록자의 얼굴 화상을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제 1항에 기재된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마스킹 패턴에 의해 상기 화상을 마스킹하는 마스킹 수단과,
    상기 마스킹 수단에 의해 마스킹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되는 얼굴 화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화상을 인식하기 위한 특징량에 의거하여,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얼굴 화상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등록자의 얼굴 화상과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 수단과,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유사도에 의거하여, 상기 등록자가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8.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스텝과,
    상기 화상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는 얼굴 화상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의 일부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패턴을 발생시키고,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까지 상기 마스킹 패턴을 변화시키면서 반복하는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과,
    상기 마스킹 패턴 발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마스킹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이 마스킹되므로서, 상기 얼굴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으로부터 도래자가 아닌 얼굴 화상을 추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된 마스킹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60113774A 2005-12-02 2006-11-17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KR100835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9166A JP4779610B2 (ja) 2005-12-02 2005-12-02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5-00349166 2005-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316A true KR20070058316A (ko) 2007-06-08
KR100835481B1 KR100835481B1 (ko) 2008-06-04

Family

ID=3811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74A KR100835481B1 (ko) 2005-12-02 2006-11-17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96786B2 (ko)
JP (1) JP4779610B2 (ko)
KR (1) KR100835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39B1 (ko) * 2008-02-20 2014-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133B2 (ja) * 2007-02-09 2011-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EP2131321B1 (en) * 2007-03-29 2012-06-27 Fujitsu Limited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US20100291995A1 (en) * 2007-07-23 2010-11-18 Futurelog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romotional couponing system
JP5045344B2 (ja) * 2007-09-28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登録装置、登録方法、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JP4508257B2 (ja) 2008-03-19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構図判定装置、構図判定方法、プログラム
JP5338248B2 (ja) * 2008-10-20 2013-11-13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0110181A1 (ja) * 2009-03-27 2010-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ターン照合装置、パターン照合方法及びパターン照合プログラム
JP5617627B2 (ja) * 2010-12-28 2014-11-05 オムロン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44119B2 (en) * 2011-01-12 2014-06-03 Gary S. Shuster Graphic data alteration to enhance online privacy
US11080513B2 (en) 2011-01-12 2021-08-03 Gary S. Shuster Video and still image data alteration to enhance privacy
CN109408173B (zh) * 2018-09-27 2021-10-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9538D0 (en) * 1990-09-07 1990-10-24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Tracking a moving object
JPH11196398A (ja) 1997-12-26 1999-07-2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
KR20000032853A (ko) * 1998-11-18 2000-06-15 김운용 3차원 마스킹법에 의한 형상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45278A (ja) 2000-02-28 2001-09-07 Ty Assist:Kk 監視装置及び方法
JP4631187B2 (ja) * 2001-03-16 2011-02-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監視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画像監視システム
US7406184B2 (en) * 2002-07-03 2008-07-29 Equin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rmal infrared for face recognition
JP4281338B2 (ja) * 2002-11-22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検出装置及び画像検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39B1 (ko) * 2008-02-20 2014-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56693A (ja) 2007-06-21
KR100835481B1 (ko) 2008-06-04
US7796786B2 (en) 2010-09-14
US20070127788A1 (en) 2007-06-07
JP4779610B2 (ja)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481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KR101870902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CN105426827B (zh) 活体验证方法、装置和系统
Sidla et al. Pedestrian detection and tracking for counting applications in crowded situations
KR101972918B1 (ko) 영상 마스킹 장치 및 영상 마스킹 방법
US9384407B2 (en)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tracking and counting human objects of interest
US6690814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208898B2 (ja) 対象物追跡装置および対象物追跡方法
JP6364743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システム
JP2007334623A (ja) 顔認証装置、顔認証方法、および入退場管理装置
CN110287826A (zh) 一种基于注意力机制的视频目标检测方法
KR20090037275A (ko) 인체 부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5896B1 (ko) 깊이 정보 기반 사람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Li et al. Robust multiperson detection and tracking for mobile service and social robots
JP2003178303A (ja) 物体認識装置
CN114495006A (zh) 遗留物体的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917589A (zh) 攀爬行为预警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08288684A (ja) 人物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Ryabchikov et al. Integrating computer vision technologies for smart surveillance purpose
JP2005128815A (ja) 人物検出装置及び人物検出方法
JP2002027480A (ja) 動画像処理方法および動画像処理装置
CN113313062A (zh) 路径获取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446355A (zh) 一种公共场所行人识别方法及人流统计系统
JP2011043863A (ja) 対象領域判定・追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対象領域判定装置
JP7256314B2 (ja) 位置関係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