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617B1 -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617B1
KR101613617B1 KR1020090114066A KR20090114066A KR101613617B1 KR 101613617 B1 KR101613617 B1 KR 101613617B1 KR 1020090114066 A KR1020090114066 A KR 1020090114066A KR 20090114066 A KR20090114066 A KR 20090114066A KR 101613617 B1 KR101613617 B1 KR 10161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ve view
edge
view image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603A (ko
Inventor
강태훈
송원석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 상태에 추천 구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좋은 구도로 촬영을 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촬영구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복수 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하고, 장면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하여 분할된 단위블록 각각에 대한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하여,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추천구도를 선정하고, 선정된 추천구도를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 상태에 추천 구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좋은 구도로 촬영을 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편리한 기능들, 예를 들어 자동초점조절(AF), 자동노출(AE), 자동 화이트 밸런스(AWB), 그리고 촬영될 장면에 따라 적절한 셔터 스피드, 포커스, 그리고 화이트 밸런스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자동 설정 제어 기능 덕택에, 사용하기 쉽고 사용자가 뛰어난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화상 데이타가 각종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가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경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은 디지털 영상처리장치에서는 촬영을 돕고자 보조 가이드라인으로 구도의 격자를 제공하는 기능은 구현되어 있다. 이것은 단지 사용자에게 촬영하고자 하는 장면에 따른 구도를 가이드라인에 맞추어서 사용자가 직접 구도를 알아서 선택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촬영구도에 대한 지식이 있는 고급 사용자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어도, 촬영구도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초보 사용자에게는 유용하지 못한 기능에 불과하다.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상에서 직접 최적의 구도를 제공해 주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구도를 잘 잡는 것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에게는 어려운 일이고, 따라서 잘못된 구도로 촬영된 영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각종 소프트웨어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이미 촬영한 영상에 대한 구도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후에 영상에 대한 구도를 변경한다 하더라도, 이는 촬영구도를 직접 변경하는 것이 아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촬영된 영상의 구도를 최적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에게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주피사체를 중심으로 하는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배치의 추천구도의 가이드라인을 함께 자동으로 표시하여 추천구도로 촬영을 유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촬영구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도저장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복수 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하는 분할부; 장면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하여 분할된 단위블록 각각에 대한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하는 에지추출부;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추천구도를 선정하는 추천구도 선정부; 및 선정된 추천구도를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추천구도선정부는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의 주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하여 주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추천구도선정부는 촬영구도 내의 단위블록의 위치에 따라 촬영구도 각각에 차등할당된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에 적용하여 합산한 값을 비교하여 추천구도를 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에지는 수평방향의 에지, 수직방향의 에지, 대각방향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촬영 방법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복수 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하는 단계; 장면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하여 분할된 단위블록 각각에 대한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추천구도를 선정하는 추천구도 선정단계; 및 선정된 추천구도를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추천구도 선정단계는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의 주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하여 주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추천구도 선정단계는 촬영구도 내의 단위블록의 위치에 따라 촬영구도 각각에 차등할당된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에 적용하여 합산한 값을 비교하여 추천구도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추천구도를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추천구도에 따라 촬영을 유도함으로써 구도를 잘 모르는 초보 사용자도 촬영을 할 때 사진 촬영에서의 주요 구도에 대해 별다른 지식이 없어도 최적의 구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별도의 구도 프레이밍을 위해,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후처리 작업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되며, 궁 극적으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자동구도추천기능 활성화버튼(B) 및 디스플레이부(23) 등을 구비한다.
.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자동구도추천기능 활성화 버튼(B)은 디스플레이부의 옆부분에 구비되고, 터치센서 혹은 접점식 스위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자동구도추천기능 활성화버튼(B)을 눌러 구도추천기능을 ON 상태로 키면, 현재의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인식하여 추천구도의 가이드라인을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여기에서 다시 구도추천기능 활성화 버튼을 눌러서 OFF 상태로 끄는 경우에는 추천구도의 가이드라인 없이, 라이브뷰 영상만 디스플레이된다.
이는 본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가 제공하는 각종 씬 모드(scene mode) 즉, 인물, 야경, 풍경, 야간 인물, 불꽃놀이, 설경, 해변(scene mode) 중에서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한 이후의 촬영모드 상태 뿐만 아니라, 프리뷰 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작동할 수 있다.
구도추천기능 활성화 버튼을 터치 센서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접점식 스위치로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고, 접점식 스위치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터치 센서로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디스플레이부(23)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위해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자동구도추천기능 활성화버튼(B) 등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 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라이브뷰 영상의 에지검출을 통하여 장면을 인식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유사한 추천구도를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표시하여 추천구도로 촬영을 유도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추천구도를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촬영구도를 추천구도로 변경한 후 제2 셔터-릴리즈 버튼(12)이 입력되면 추천구도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구도저장부(39-1), 분할부(39-2), 에지추출부(39-3), 추천구도선정부(39-4) 및 제어부(39-5)를 포함한다.
구도저장부(39-1)는 현재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촬영 구도를 보정해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최적의 촬영 구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분할부(39-2)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인식하여 이를 복수의 단위블록으로 분할한다.
에지추출부(39-3)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으로부터 에지(edge)를 추출하여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한다.
라이브뷰 영상을 YUV 혹은 Gray 영상으로 변환 후 Edge를 계산한다. 속도 향상을 위해 원본의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재조정(resize)하여 에지를 추출할 수 있 다. 에지(Edge)란,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가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화하는 부분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피사체의 위치, 모양, 크기, 무늬 등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에지 추출(Edge Detection) 알고리즘으로는, 1차 미분을 이용하는 방법인 Sobel , Prewitt, Roberts Edge Detection 등과 2차 미분을 이용하는 방법인 Laplacian Edge Detec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지 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에지(edge)는, 수평방향의 에지, 수직방향의 에지 및 대각방향의 에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구도저장부(39-1)에 저장된 촬영구도에 따라 에지추출부(39-3)는 서로 다른 방향의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격자에 맞춘 수평 또는 수직구도나, 수평 또는 수직 라인 구도의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에지와 수직방향의 에지에 대하여 단위블록 별 에지개수를 산출하고, 황금분할구도 및 황금나선구도의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에지와 수직방향의 에지 외에도 대각 방향의 에지에 대하여 단위블록 별 에지개수를 산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에지 추출에는 Prewitt Edge Detection이, 대각 방향의 에지 추출에는 Sobel Edge Detection이 효율적이므로, 격자에 맞춘 수평 또는 수직구도나, 수평 또는 수직 라인 구도의 경우에는 Prewitt Edge Detection을, 황금분할구도나 황금나선구도의 경우에는 Sobel Edge Detecti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에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관련한 하나의 예 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블록별로 나누어서 에지를 추출하여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하는 것은 영상 전 영역에 대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것에 비해 알고리즘의 속도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블록 단위로 그 주피사체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어서 주 피사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이에 적합한 추천구도를 찾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도선정부(39-4)는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구도저장부(39-1)에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추천구도를 선정한다.
예컨대, 추천구도선정부(39-4)는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에서의 주피사체의 위치 즉, 주피사체가 어떤 단위블록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고,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검출된 위치에 위치한 주피사체에 가장 적합한 촬영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구도저장부(39-1)는 촬영구도에 관한 정보로써, 주피사체의 위치 예컨대, 단위블록의 식별번호 등을 저장하고, 추천구도선정부(39-4)에서 이를 검색하여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구도저장부(39-1)에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해당 구도를 표현하는 가이드라인의 위치와 방향이 서로 다른 다양한 세부구도를 갖는 황금분할구도나 황금나선구도의 경우에는 가이드 라인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각 세부구도별로 촬영구도 내의 단위블록의 위치에 따라 차등할당된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저장하고, 추천구도선정부(39-4)에서는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에 적용하여 합산한 값을 각 세부구도별로 비교하여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세 부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에서의 주피사체의 위치 즉, 주피사체가 어떤 단위블록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고,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검출된 위치에 위치한 주피사체에 가장 적합한 촬영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39-5)는 추천구도선정부(39-4)에서 선정된 추천구도를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추천구도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컨데, 격자에 맞춘 수평/수직구도의 경우에는 라이브뷰 영상 내에서 주피사체가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가이드 라인을 강조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수평/수직라인 구도인 경우에는 주피사체의 형상을 이루는 에지들 중 수평방향의 에지가 많은지 수직방향의 에지가 많은지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의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고, 황금분할구도와 황금나선구도인 경우에는 추천구도로 선정된 세부구도에 해당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a 내지 도 4h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수평/수직라인 구도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도 4b와 같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입력받는다(S410).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가로 5개, 세 로 4개의 총 20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한다(S420).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수평 방향의 에지와 수직 방향의 에지를 검출하고(S430), 단위블록 별 수평 방향의 에지개수 및 수직방향의 에지개수를 산출한다(S440).
도 4f를 참조하면, S440단계에서 산출된 단위블록 별 수직방향의 에지 개수를 기초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의 주 피사체의 수직위치를 검출한다(S450).
즉, 가로 5개, 세로 4개의 총 20개로 분할된 단위블록들 중 세로 4개씩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서 수직영역1(v_area_1)부터 수직영역5(v_area_5)까지의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위블록들의 수직방향의 에지 개수를 합산하여 영역별 에지 개수를 구한다.
그리고, 주피사체 위치 검출을 위한 기준값(threshold)값으로 지정된 수치인 1000 이상인 영역을 탐색한 후,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영역1(v_area_1) 및 수직영역2(v_area_2)의 2개의 영역이 도출된 경우에는 주피사체가 수직영역1 및 2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피사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또 다른 예로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수직영역1(v_area_1) 및 수직영역2(v_area_2)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과, 수직영역2(v_area_1)와 수직영역3(v_area_3) 및 수직영역4(v_area_4)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 그리고 수직영역4(v_area_4)와 수직영역5(v_area_5)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수직영역1(v_area_1) 및 수직영역2(v_area_2)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주피사체가 좌측에 있다고 판단하고, 수직영역2(v_area_2)와 수 직영역3(v_area_3) 및 수직영역4(v_area_4)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주피사체가 중앙에 있다고 판단하고, 수직영역4(v_area_4)와 수직영역5(v_area_5)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우측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Vertical Location) = Max(Average(EdgeSumv_area1, EdgeSumv_area2), Average(EdgeSumv_area2, EdgeSumv_area3, EdgeSumv_area4), Average(EdgeSumv_area4, EdgeSumv_area5))
도 4g를 참조하면, S440단계에서 산출된 단위블록 별 수평방향의 에지 개수를 기초로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의 주 피사체의 수평위치를 검출한다(S460).
즉, 가로 5개, 세로 4개의 총 20개로 분할된 단위블록들 중 가로 5개씩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서 수평영역1(h_area_1)부터 수평영역4(h_area_4)까지의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위블록들의 수평방향의 에지 개수를 합산하여 영역별 에지 개수를 구한다.
즉, 가로 5개, 세로 4개의 총 20개로 분할된 단위블록들 중 가로 4개씩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서 수평영역1(h_area_1)부터 수평영역5(h_area_4)까지의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위블록들의 수평방향의 에지 개수를 합산하여 영역별 에지 개수를 구한다.
그리고, 주피사체 위치 검출을 위한 기준값(threshold)값으로 지정된 수치인 800 이상인 영역을 탐색하여 주피사체가 위치한 영역을 검출하거나,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수평영역1(h_area_1) 및 수평영역2(h_area_2)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과, 수평영역2(h_area_1) 및 수평영역3(h_area_3)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 그리고 수평영역3(h_area_4) 및 수평영역4(h_area_5)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수평영역1(h_area_1) 및 수평영역2(h_area_2)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주피사체가 상부에 있다고 판단하고, 수평영역2(h_area_2) 및 수평영역3(h_area_3)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주피사체가 중앙에 있다고 판단하고, 수평영역3(h_area_3) 및 수평영역4(h_area_4)의 에지 개수의 평균값이 가장 큰 경우에는 하부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Horizontal Location) = Max(Average(EdgeSumh_area1, EdgeSumh_area2), Average(EdgeSumh_area2, EdgeSumh_area3), Average(EdgeSumh_area3, EdgeSumh_area4))
그리고, S450 내지 S46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주피사체의 위치가, 수직영역1, 2와 수평영역 3,4에 있다고 판단하거나, 좌측부 및 상부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를 기초로 수직방향의 가이드라인 및 수평방향의 가이드라인을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70).
도 5a 내지 도 5e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황금분할 구도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먼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입력받는다(S510).
입력받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가로 5개, 세로 4개의 총 20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한다(S520).
그리고, 에지를 검출하고(S530), 단위블록 별 에지개수를 산출한다(S540).
본 실시예에서의 황금분할 구도의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의 위치와 방향이 서로 다른 다양한 세부구도 1 내지 4를 갖는다.
최적의 추천구도로서, 세부구도 1 내지 4 중 하나를 판별하기 위해 각 세부구도 별로 주요 포인트가 되는 위치의 단위블록에 추가적인 가중치를 주어 계산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데, 세부구도 3의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가지며, 세부구도 4의 경우에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의 단위블록 별 가중치값은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S540단계에서 산출된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에 적용하여(곱하여) 합산한 값을 각각의 세부구도 별로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을 갖는 세부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S550).
본 발명에 따른 황금나선구도의 경우에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가이드라인의 위치와 방향이 서로 다른 다양한 세부구도 1 내지 4를 가지므로, 이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그에 속하는 세부구도를 추천구도로 선정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선정된 추천구도에 따라, 추천구도를 표시하는 가이드라인을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60).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격자에 맞춘 수평/수직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점선 형태의 격자로 분할하고, 주피사체가 위치한 부분에 대응하는 격자의 선 부분을 밝고 진하게 표시하여, 이러한 격자의 선 부분에 주피사체가 걸치게 촬영하도록 유도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수평/수직 라인 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주피사체를 구성하는 에지들 중 수평 방향의 에지가 수직방향의 에지보다 많은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가이드라인을 표시하여 이러한 수평방향의 가이드라인에 주피사체의 수평방향의 에지부분이 걸치게 촬영하도록 유도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황금분할 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주피사체가 위치한 위치가 황금분할 구도의 두 개의 대각 가이드라인 사이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주피사체의 에지들이 두개의 대각 가이드라인에 걸치게 촬영하도록 유도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황금나선 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면, 주피사체가 위치한 쪽을 향하는 나선형의 가이드라인을 표시하여 나선형의 가이드라인의 중심과 주피사체의 중심이 일치하게 촬영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추천구도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여 촬영을 유도함으로써 구도를 잘 모르는 초보 사용자도 촬영을 할 때 사진 촬영에서의 주요 구도에 대해 별다른 지식이 없어도 최적의 구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별도의 구도 프레이밍을 위해,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후처리 작업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자에 맞춘 수평/수직 구도, 수평/수직 라인 구도, 황금분할 구도, 황금 나선 구도 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h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수평/수직라인 구도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다.
도 5a 내지 도 5e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황금분할 구도를 추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격자에 맞춘 수평/수직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수평/수직 라인 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황금분할 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황금나선 구도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7)

  1. 복수의 촬영구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도저장부;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복수 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장면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하여 상기 분할된 단위블록 각각에 대한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하는 에지추출부;
    상기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촬영구도 중에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추천구도를 선정하는 추천구도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추천구도를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구도는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갖고,
    상기 추천구도 선정부는, 상기 복수의 촬영구도 각각에 대해 상기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한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합산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구도 중 상기 추천구도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구도선정부는 상기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의 주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주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구도를 상기 추천구도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는 수평방향의 에지, 수직방향의 에지, 대각방향의 에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5.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을 복수 개의 단위블록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장면으로부터 에지를 추출하여 상기 분할된 단위블록 각각에 대한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기저장된 복수의 촬영구도 중에서 상기 라이브뷰 영상에 대한 추천구도를 선정하는 추천구도 선정단계; 및
    상기 선정된 추천구도를 상기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구도는 단위블록 별 가중치를 갖고,
    상기 추천구도 선정단계는,
    상기 복수의 촬영구도 각각에 대해 상기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한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합산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구도 중 상기 추천구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구도 선정단계는 상기 단위블록 별 에지 개수를 기초로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장면 내의 주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주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구도를 상기 추천구도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
  7. 삭제
KR1020090114066A 2009-11-24 2009-11-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66A KR101613617B1 (ko) 2009-11-24 2009-11-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66A KR101613617B1 (ko) 2009-11-24 2009-11-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603A KR20110057603A (ko) 2011-06-01
KR101613617B1 true KR101613617B1 (ko) 2016-04-19

Family

ID=4439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66A KR101613617B1 (ko) 2009-11-24 2009-11-24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435B2 (en) 2020-06-25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of smart card and smart card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928B1 (ko) * 2012-05-04 2013-01-17 (주)비즈텍 구도 설정 촬영장치
KR102352682B1 (ko) * 2015-06-23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818263B (zh) * 2020-07-09 2022-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参数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063A (ja) * 2005-12-08 2007-06-2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063A (ja) * 2005-12-08 2007-06-2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435B2 (en) 2020-06-25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of smart card and smart card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603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9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JP4980982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合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21163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8284264B2 (en) Imag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070237513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00138141A (ko)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JP2004185555A (ja) 顔領域抽出方法及び装置
JP2008085737A (ja) 電子カメラ
JP5027580B2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96163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based on objective body in a taken image
KR20100042916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5048599B2 (ja) 撮像装置
CN110771142A (zh) 摄像装置、摄像装置的控制方法及摄像装置的控制程序
JP647606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504447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7239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054693A1 (en) Apparatuses for and methods of previewing a moving picture file in digital image processor
JP2010103672A (ja) 撮像装置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5217843B2 (ja) 構図選択装置、構図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73319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based on face detection and photography conditions
KR101396335B1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