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374A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374A
KR20090105374A KR1020080030800A KR20080030800A KR20090105374A KR 20090105374 A KR20090105374 A KR 20090105374A KR 1020080030800 A KR1020080030800 A KR 1020080030800A KR 20080030800 A KR20080030800 A KR 20080030800A KR 20090105374 A KR20090105374 A KR 2009010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umbnail
face
generating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5374A/ko
Publication of KR2009010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 H04N2201/3251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where the 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is relating to a person or fac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화면에 다수의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을 주제에 맞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 촬영 시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인물 영상 촬영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인물/풍경 판단, 인물 중심 썸네일 영상 생성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화면에 다수의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을 주제에 맞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 촬영 시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할 때, 한 가지 영상 뿐만 아니라, 다수의 영상을 한 화면에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4분할, 16분할 32분할 등으로 축소된 썸네일 영상을 보여주며, 사용자는 썸네일 영상을 봄으로서, 영상을 하나 하나 일일이 넘겨 볼 필요없이 대략적으로 지금까지 촬영한 영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영상은 영상 촬영 후 JPEG으로 인코딩 시에 미리 설정된 영상의 해상도로 인코딩 하는 것에 더해서, 전체 영상을 그대로 160×120 크기로 리사이즈 하여 인코딩 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얼굴인식 기능은 사용자가 인물 영상을 촬영할 때,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노력없이 인물 이 잘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얼굴인식 기능은 영상 촬영 시와 마찬가지로 재생시에도 적용되며, 재생 시에는 주로 얼굴을 자동으로 확대하여 재생시켜 주어, 얼굴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한 화면에 다수의 영상을 재생할 때, 전체 영상을 축소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영상의 디테일한 사항을 확인하기 어렵고, 영상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이 부분은 더욱 문제가 된다. 특히 인물을 촬영한 경우 전체 영상을 축소한다면, 인물이 누구인지 알아보기 어렵고, 인물을 주인공으로 촬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인물을 중심으로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의 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한 화면에 다수의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을 주제에 맞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영상 촬영 시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인물 영상 촬영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촬영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풍경인지 인물인지 판단하는 인물/풍경 판단부; 및 상기 풍경 영상 촬영 시에 상기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물 영상 촬영 시에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처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처리부는 단일 인물 영상 촬영시에 상기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및 상기 크기가 검출된 얼굴영역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여 상기 얼굴영역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처리부는 복수의 인물 영상 촬영시에 상기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산출된 거리가 가까운 얼굴들을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및 상기 대표 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인물 영상 촬영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촬영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풍경인지 인물인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풍경 영상 촬영 시에 상기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물 영상 촬영 시에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단일 인물 영상 촬영시에 상기 크기가 검출된 얼굴영역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여 상기 얼굴영역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 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복수의 인물 영상 촬영시에 (b-21) 상기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b-22) 상기 검출된 얼굴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b-23) 상기 산출된 거리가 가까운 얼굴들을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b-24) 상기 대표 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24)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시에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 및 저장하여 한 화면에 다수의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을 주제에 맞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5)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 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인물 영상 촬영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인물/풍경 판단부(39-1), 썸네일 처리부(39-2) 및 제어부(39-3)를 포함한다.
인물/풍경 판단부(39-1)는 제어부(39-3)의 제어 하에 촬영할 라이브뷰 영상이 풍경인지 인물인지 판단한다. 인물/풍경 판단부(39-1)는 촬영할 라이브뷰 영상에 얼굴인식 결과를 적용하여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풍경 촬영모드로 판단하고, 얼굴이 검출될 경우 인물 촬영모드로 판단한다.
썸네일 처리부(39-2)는 제어부(39-3)의 제어 하에, 인물/풍경 판단부(39-1)의 판단결과가 풍경 촬영모드인 경우, 셔터-릴리즈 버튼(11) 입력에 의해 풍경 영상이 촬영되면, 촬영된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도 5a에는 풍경 촬영모드에 의해 촬영된 풍경 영상과 썸네일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인물/풍경 판단부(39-1)의 판단결과가 인물 촬영모드인 경우, 셔터- 릴리즈 버튼(11) 입력에 의해 인물 영상이 촬영되면, 썸네일 처리부(39-2)는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도 5b에는 인물 촬영모드에 의해 촬영된 인물영상과 썸네일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풍경 촬영모드인 경우,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지만, 인물 촬영모드인 경우 인식된 인물의 얼굴을 중심으로 썸네일 영상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에는 인물 촬영 모드 시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처리부(39-2)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썸네일 처리부(39-2)는 얼굴 인식부(39-21), 거리 산출부(39-22), 그룹 생성부(39-23), 비교부(39-24) 및 썸네일 생성부(39-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인물 촬영 모드 시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 방법이 실행된다. 첫째, 1명의 인물에 대한 단독 촬영인 경우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둘째, 2명 이상의 인물을 한 화면으로 촬영하는 경우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먼저, 1명의 단독 촬영인 경우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썸네일 처리부(39-2)는 얼굴 인식부(39-21) 및 썸네일 생성부(39-25)를 이용한다.
얼굴 인식부(39-21)는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1개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한다. 얼굴 인식부(39-1)는 얼굴 크기 검출 시에, 컬러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거나, 에지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등 의 방법을 이용하며, 얼굴 개수 및 크기 검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썸네일 생성부(39-25)는 크기가 검출된 얼굴영역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여 검출된 얼굴영역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도 6에는 단독 인물 영상으로부터 썸네일 영상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얼굴인식부(39-21)로부터 얼굴 크기 즉, 얼굴의 세로 픽셀 수 A 및 얼굴의 가로 픽셀부 B를 수신한 썸네일 생성부(39-25)는 얼굴의 세로 픽셀수 A에 배율 C(예를 들어 약 2), 얼굴의 가로 픽셀수 B에 배율 K(예를 들어 약 2.5)를 곱하여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썸네일 영상의 크기는 160×120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배율 C 및 K가 걸정된다. 이와 같이 얼굴영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영역에 저장된다.
다음에, 2명의 인물을 한 화면으로 촬영하는 경우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썸네일 처리부(39-2)는 얼굴 인식부(39-21), 거리 산출부(39-22), 그룹 산출부(39-23), 비교부(39-24) 및 썸네일 생성부(39-25)를 이용한다.
얼굴 인식부(39-21)는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두 개의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한다.
거리 산출부(39-22)는 얼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도 7a에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얼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서 검출된 얼굴이 각각 701, 703 두 개라고 가정한다. 거리 산출부(39-22)는 먼저, 701 얼굴영역의 중심점 (a, b) 및 703 얼굴영역의 중심점 (c, d)를 산출한다.
먼저 701 얼굴영역의 중심점 (a, b)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24021933-PAT00001
여기서, i는 701 얼굴영역의 왼쪽 위 꼭지점의 x좌표, j는 701 얼굴영역의 오른쪽 위 꼭지점의 x 좌표, g는 701 얼굴영역의 오른쪽 위 꼭지점의 y좌표, h는 701 얼굴영역의 아래 꼭지점의 y좌표 이다.
703 얼굴영역의 중심점 (c,d)는 701 얼굴영역의 중심점을 구하는 방법과 좌표값만 다를 뿐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701 얼굴영역의 중심점 (a, b) 및 703 얼굴영역의 중심점 (c, d)가 산출되면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두 얼굴 사이의 거리를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08024021933-PAT00002
이와 같이 두 인물 사이의 거리가 구해지면, 그룹 생성부(39-23)는 두 인물 사이에 모여있는 그룹의 가지수를 판단한다. 도 7b에는 그룹 생성부(39-23)가 그룹의 가지수를 판단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서 인식된 얼굴영역의 개체 A, B, C, D, E가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그룹 판단이 가능한 두 개체 사이의 조합 수는 (A,B), (A,C), (A,D), (A,E), (B,C) 및 (B, D)가 된다. 이후 그룹 생성부(39-23)는 두 개체의 거리(도 7a 참조)가 K 이하가 되는 조합을 결정하는데, 도 7b로부터 두 개체 사이의 거리가 K 이하가 되는 개체 (A,B), (A,C), (B,C), (D,E)를 검색한다. 이후, 그룹 생성부(39-23)는 제1 그룹을 (A,B), (A,C), (B,C)를 포함하는 (A,B,C)로 결정하고, 제2 그룹을 (D,E)로 결정한다.
비교부(39-24)는 각 그룹의 얼굴 크기를 비교하여, 각 그룹 중 가장 큰 얼굴 크기를 갖는 대표 얼굴을 검출한다. 도 7b에서 제1 그룹의 경우 B가 대표 얼굴이 되고, 제2 그룹의 경우 D가 대표 얼굴이 된다. 또한 비교부(39-24)는 각 대표 얼굴의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썸네일 생성부(39-25)로 출력한다.
썸네일 생성부(39-25)는 대표 얼굴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대표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대표얼굴의 크기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그룹의 얼굴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지금까지는 복수의 그룹에 대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단일 그룹만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생성부(39-25)는 해당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다.
도 8에는 그룹에 대한 썸네일 영상의 생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의 경우 단일 그룹에 대하여 해당 그룹을 중심으로 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8b의 경우 복수의 그룹에 대하여 대표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 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8c의 경우, 복수의 그룹에 대하여 얼굴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 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촬영 시에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한 화면에 다수의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을 주제에 맞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 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영상 촬영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1001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한다(1003단계).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라이브뷰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썸네일 영상 생성을 위해 라이브뷰 영상의 인물/풍경을 판단한다(100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라이브뷰 영상에 얼굴인식 결과를 적용하여 얼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풍경 촬영모드로 판단하고, 얼굴이 검출될 경우 인물 촬영모드로 판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라이브뷰 영상이 인물인지 판단하여(1007단계), 라이브뷰 영상이 풍경인 경우, 풍경 라이브뷰 영상을 캡쳐하고,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 후, 도 9의 썸네일 영상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1009단계). 도 5a는 풍경 촬영모드에 의해 촬영된 풍경 영상과 썸네일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라이브뷰 영상이 인물인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 인식을 통한 인물의 명 수를 검출한다(1011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라이브뷰 영상에 디스플레이된 인물의 명 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얼굴인식 알고리즘은 이미 공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판단결과 복수의 인물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1013단계), 즉 단일 인물이 검출된 경우, 인물 라이브뷰 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상 의 얼굴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한 후 도 9의 썸네일 영상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1015단계). 도 6에는 단독 인물 영상으로부터 썸네일 영상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러나 복수의 인물이 검출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각 인물별 거리를 산출하여 모여있는 인물들을 그룹화하고, 그룹의 개수를 검출한다(1017단계). 도 7a에는 두 개의 얼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그룹 생성 및 그룹의 가지수를 판단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 크기로 각 그룹의 대표 얼굴을 검색한다(1019단계). 도 7b에서 제1 그룹의 경우 B가 대표 얼굴이 되고, 제2 그룹의 경우 D가 대표 얼굴이 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대표 얼굴의 크기와 기준값을 비교하고(1021단계). 각 그룹의 대표 얼굴의 크기가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라이브뷰 영상을 캡쳐함과 동시에 캡쳐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개수가 가장 많은 인물 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한다(1023단계).
그러나,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비교 결과, 각 그룹의 대표 얼굴의 크기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 해당 라이브뷰 영상을 캡쳐함과 동시에, 캡쳐된 영상으로부터 대표 얼굴 크기가 가장 큰 인물 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한다(1025단계).
지금까지는 복수의 그룹에 대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단일 그룹만 존재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해당 라이브뷰 영상을 캡쳐함과 동시에, 캡쳐된 영상으로부터 단일 그룹을 중심으로한 새로운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도 8에는 그룹에 대한 썸네일 영상의 생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의 경우 단일 그룹에 대하여 해당 그룹을 중심으로 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8b의 경우 복수의 그룹에 대하여 대표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 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8c의 경우, 복수의 그룹에 대하여 얼굴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 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썸네일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5는 도 3의 장치에서 풍경 및 인물 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 생성의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장치에서 단일 인물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장치에서 복수 인물영상 사이의 거리 측정 및 그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장치에서 다수 그룹의 인물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 생성의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썸네일 영상이 저장되는 Exif 파일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10)

  1.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인물 영상 촬영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촬영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풍경인지 인물인지 판단하는 인물/풍경 판단부; 및
    상기 풍경 영상 촬영 시에 상기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물 영상 촬영 시에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처리부는 단일 인물 영상 촬영시에
    상기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및
    상기 크기가 검출된 얼굴영역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여 상기 얼굴영역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처리부는 복수의 인물 영상 촬영시에
    상기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산출된 거리가 가까운 얼굴들을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및
    상기 대표 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6.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인물 영상 촬영시에 라이브뷰 영상에 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촬영할 상기 라이브뷰 영상이 풍경인지 인물인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풍경 영상 촬영 시에 상기 풍경 영상 전체를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인물 영상 촬영 시에 얼굴인식을 통하여 인식된 얼굴을 중심으로 축소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단일 인물 영상 촬영시에
    상기 크기가 검출된 얼굴영역에 소정의 배율을 곱하여 상기 얼굴영역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복수의 인물 영상 촬영시에
    (b-21) 상기 인물 영상으로부터 얼굴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b-22) 상기 검출된 얼굴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b-23) 상기 산출된 거리가 가까운 얼굴들을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b-24) 상기 대표 얼굴의 크기가 가장 큰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24)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얼굴의 개수가 많은 그룹을 중심으로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영상 생성 방법.
KR1020080030800A 2008-04-02 2008-04-02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90105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00A KR20090105374A (ko) 2008-04-02 2008-04-02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00A KR20090105374A (ko) 2008-04-02 2008-04-02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74A true KR20090105374A (ko) 2009-10-07

Family

ID=4153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800A KR20090105374A (ko) 2008-04-02 2008-04-02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53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036A3 (ko) * 2009-10-30 2011-08-04 (주)올라웍스 이미지 컨텐츠에 대해 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804022B1 (en) 2013-02-28 2014-08-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3036A3 (ko) * 2009-10-30 2011-08-04 (주)올라웍스 이미지 컨텐츠에 대해 트리밍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306359B2 (en) 2009-10-30 2012-11-06 Intel Corporatio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imming a piece of image content
US8804022B1 (en) 2013-02-28 2014-08-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33219A1 (en) * 2013-02-28 2014-09-04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64091B2 (en) 2013-02-28 2015-02-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3701A (ko) 사람 수 체크를 이용한 셀프타이머 촬영 장치 및 방법
US8446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ace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or
KR201000137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00003918A (ko)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6355B1 (ko) 연사촬영된 영상들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90067913A (ko) 영상 트리밍 장치 및 방법
KR20100025967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동영상 파일 미리보기 장치 및 방법
KR200901053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900725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8452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정지영상의슬라이드쇼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10141131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10146787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4561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446941B1 (ko) 고속 촬영 시에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113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촬영 범위 확대 장치 및 방법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KR10141781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3022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32295A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