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195A -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195A
KR20010021195A KR1020000044979A KR20000044979A KR20010021195A KR 20010021195 A KR20010021195 A KR 20010021195A KR 1020000044979 A KR1020000044979 A KR 1020000044979A KR 20000044979 A KR20000044979 A KR 20000044979A KR 20010021195 A KR20010021195 A KR 2001002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evaporation
fuel
failure
pur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8361B1 (ko
Inventor
다카츠카다카시
가나오히데츠구
사카가미토모노부
사이토켄지
구메다테오
후쿠다하루키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2001002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 있어서,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증발 경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수단과, 캐니스터의 대기 개방구에 설치된 제 1 밸브를 폐쇄하여 증발 경로 내를 내연기관의 흡기 통로 내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 감압시키는 감압수단과, 당해 감압수단이 작동한 후에 제 2 밸브를 폐쇄하여 증발 경로 내를 복압하는 복압수단과, 당해 감압수단 및 복압수단을 복수회 작동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당해 압력 검출수단의 출력에 근거하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이상 판정을 허용하는 고장 판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Trouble Diagnosis Apparatus for Evaporating Purge System}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의 증발 가스를 캐니스터에 흡착시키고, 상기 캐니스터에 흡착된 흡착 연료를 내연기관의 흡기 통로에 퍼지시키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내연기관에는 연료 탱크 내에서 발생한 증발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발 퍼지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당해 증발 퍼지 시스템은 연료 탱크 내에서 발생한 증발 가스를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를 연통하는 베이퍼 통로를 통하여 캐니스터에 흡착시키고, 상기 캐니스터에 흡착된 흡착 연료를 캐니스터와 내연기관의 흡기 통로를 연통하는 퍼지 통로를 통하여 흡기 통로로 퍼지한다.
이러한 증발 퍼지 시스템이 구비된 내연기관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베이퍼 통로나 퍼지 통로가 손상되면, 그러한 손상부로부터 증발 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베이퍼 통로나 퍼지 통로의 손상을 검출하기 위한 고장 진단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제6-159157호 공보(US 5,425,344)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증발 경로를 흡기 통로의 부압에 의해 감압시키고, 그 후 증발 경로를 폐쇄하여 복압시키고, 이 때의 압력 변화에 의거하여 증발 경로의 손상(증발 가스의 리크(리크))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연료 탱크 내의 연료로 튀게(이하, 슬로싱(sloshing)이라 한다)) 되고, 이 때 연료로부터의 증발 가스량이 증가하여 증발 퍼지 시스템이 고장이라고 오진단할 우려가 있다. 즉, 슬로싱에 의해 연료로부터의 증발 가스량이 증가하면, 증발 경로를 감압시킨 후에 증발기를 폐쇄하여 복압시켰을 때, 증발 가스량의 증가에 수반되는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증대에 따라 증발 경로의 복압이 조기에 높아진다. 그 결과, 당해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는 증발 경로가 손상(증발 가스의 리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손상이라고 판정하여 증발 경로가 고장이라고 진단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는 연료 탱크 내의 슬로싱 발생을 검출하고, 이러한 슬로싱 발생시에는 고장 판정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US 5,398,661 특허공보(EP 0559854)에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 탱크가 가득찬 상태에서는 아주 근소한 연료 증발에 의해서도 단시간에 복압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고장 판정을 중단하는 동시에, 아이들링(idling)에서도 차속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에서 고장 판정을 행하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이들 종래의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 있어서는 슬로싱 발생시 혹은 연료 탱크가 가득찬 상태에서는 고장 판정을 중단시키도록 되어 있고,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을 오진단하는 일이 없다.
그런데, 차량의 주행중에 연료 탱크가 흔들리기 때문에, 슬로싱이 다소 발생된다. 그 결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제6-159157호 공보의 장치에서는 슬로싱 발생시에 고장 판정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을 실시하는 기회가 제한되어, 충분한 고장 진단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US 5,398,661 특허공보의 장치에서도 단지 연료 탱크가 가득찬 상태가 아니라, 아이들링에서도 차속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에서 고장 판정을 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운전상태에서도 슬로싱 발생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고, 오판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로싱에 의한 증발 퍼지 시스템이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오판정을 방지하고, 어떠한 운전상태에서도 확실하게 고장 판정을 행할 수 있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증발 퍼지 시스템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증발 경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수단과, 캐니스터의 대기 개방구에 설치된 제 1 밸브를 폐쇄하여 증발 경로 내를 흡기 통로 내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 감압시키는 감압수단과, 감압수단의 작동 후에 퍼지 통로에 설치된 제 2 밸브를 폐쇄하여 증발 경로 내를 복압하는 복압수단과, 감압수단 및 복압수단을 복수회 작동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압력 검출수단의 출력에 근거하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이상 판정을 허용하는 고장 판정수단을 제공한다.
즉, 증발 경로 내의 감압과 복압을 복수회 작동시킴으로써 증발 경로 내의 공기가 방출되어 증발 가스로 채워진 포화상태가 되기 때문에, 슬로싱에 의한 압력 변화가 거의 없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압력 검출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을 행하면 정확한 고장 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잔량을 검지하는 잔량 검지수단과, 잔량 검지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감압수단 및 복압수단의 작동 회수를 설정하는 작동 회수 설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연료 탱크의 연료 잔량에 따라서 증발 가스의 발생량이 다르기 때문에, 이 연료 잔량에 따라 감압 및 복압의 작동 회수를 설정함으로써, 정확한 고장 판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료 잔량에 의거하여 감압 및 복압의 작동 회수를 설정하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 있어서, 이 연료 잔량의 감소에 따라 증발 경로 내의 감압과 복압의 작동 회수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고장 판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고장 판정수단은 잔량 검지수단에 의한 연료 잔량이 연료 탱크의 용량의 40% 이상일 때 작동시키는 것이 고장 진단 계속시간을 단축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작동 회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실행 회수는 연료 온도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 인하여 실행 회수의 적정화가 도모되고 고장 진단 계속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잔량을 검지하는 잔량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그곳에 있어서, 당해 고장 판정수단은 잔량 검지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감압수단 및 상기 복압수단의 기준 작동 회수를 설정하는 작동 회수 설정수단과, 잔량 검지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복압 기준치를 설정하는 기준치 설정수단을 가지며, 또한, 당해 고장 판정수단은 감압수단 및 복압수단의 실행 회수가 한 번 이상 또한 작동 회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 작동 회수 이내에 압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 통로 내의 복압이 기준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복압 기준치 이하가 되었을 때 증발 퍼지 시스템이 정상이라고 판정되고, 감압수단 및 복압수단의 실행 회수가 작동 회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기준 작동 회수를 상회하며, 또한 실행 회수마다 압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증발 통로 내의 복압이 기준치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복압 기준치를 초과할 때 증발 퍼지 시스템이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증발 퍼지 시스템이 정상인 것을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이상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의 고장 진단 계속시간의 단축화가 도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의 동작 플로우차트.
도 3은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타임 차트.
도 4는 연료 잔량에 대한 압력 변화 및 실행 회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연료 잔량에 대한 처리시간 및 실행 회수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흡기관 12 : 서지 탱크
13 : 엔진 15 : 연료 탱크
17 : 캐니스터 20 : 벤트 제어 밸브
21 : 배출관 23 : 레벨 센서
25 : 압력 센서 26 : ECU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증발 퍼지 시스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에어 크리너는 흡기관(11)에 의해 서지 탱크(12)를 통하여 엔진(13)의 흡기 포토에 연결되어 있다. 흡기관(11)에는 스로틀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15)는 배출관(베이퍼 통로)(16)을 통하여 캐니스터(17)가 연결되어 있다. 이 캐니스터(17)는 퍼지 제어 밸브(제 2 밸브)(18)를 구비한 공급관(퍼지 통로)(19)을 통하여 흡기관(11)에 연결되는 동시에, 벤트 제어 밸브(제 1 밸브)(20)를 구비한 배출관(21)이 연결되어 있다. 이 배출관(21)의 선단부에는 필터(2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캐니스터(17)는 연료 탱크(15) 내에서 발생한 증발 가스(HC 등의 유해물질)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놓고, 엔진(13)의 운전중(예를 들면, 시동시)에 부압에 의해 흡기관(11)에 흡입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 탱크(15), 배출관(16), 캐니스터(17), 공급관(19), 배출관(21)에 의해서 증발 경로가 구성된다.
또한, 연료 탱크(15)에는 연료 잔량을 검지하는 잔량 검지수단으로서의 레벨 센서(23)와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검출수단으로서의 온도 센서(24)와 증발 경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수단으로서의 압력 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센서(23, 24, 25)는 전자 제어 유니트(이하, ECU라고 한다)(26)에 접속되어 검출 결과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ECU(26)는 엔진(13)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퍼지 제어 밸브(18)와 벤트 제어 밸브(20)를 개폐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벤트 제어 밸브(20)를 폐쇄하여 증발 경로 내를 흡기관(11) 내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 감압(감압수단)시킨 후, 벤트 제어 밸브(20)를 폐쇄한 상태로 퍼지 제어 밸브(18)를 폐쇄하여 증발 경로 내를 복압(복압수단)시키고 이 때의 증발 경로의 압력 변화에 의거하여, 그 손상(증발 가스의 리크)을 검출(고장 판정수단)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감압 및 복압을 복수회 행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고장 진단(증발 퍼지 시스템의 이상 판정)을 허용하고 있다.
여기서,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 의한 진단방법에 관하여, 도 2의 플로우 차트 및 도 3의 타임 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에 있어서, 레벨센서(23)에 의해 검출된 연료 잔량과, 온도센서(24)에 의해 검출된 연료 온도를 읽어 들이고, 스텝 S2에서 고장 진단조건이 허용되는 운전상태인지의 여부, 즉, 연료 온도가 극 고온이 아닌지 연료 잔량이 소정량, 예를 들면, 40% 이하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연료 온도가 극 고온이 아니고, 연료 잔량이 40%를 초과하는 상태라면 여기서부터 고장 진단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3에서 복압 기준치(Pt)와 증발 경로 내에서의 감압 및 복압의 기준 실행 회수(기준 작동회수)(Nt)를 설정한다. 이 복압 기준치(Pt)는 미리 실험에 의해 설정된 맵,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료 잔량에 대한 압력 변화(복압)를 도시한 맵에 의거하여 설정된다(기준치 설정수단). 또한, 도 4의 그래프 중 괄호 내의 숫자는 증발 경로 내의 압력이 연료 탱크(15) 내의 연료의 증발에 의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즉 거의 포화상태로 될 수 있는 실행 회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기준 실행 회수(Nt)도 미리 실험에 의해 설정된 맵,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료 잔량에 대한 실행 회수(처리시간)를 도시한 맵에 의거하여 설정된다(작동 회수 설정수단).
이와 같이 복압 기준치(Pt) 및 기준 실행 회수(Nt)는 연료 잔량에 따라서 변경되는 외에 연료 온도에 따라서도 변경된다.
그리고, 스텝 S4에서는 퍼지 제어 밸브(18)를 폐쇄하고, 스텝 S5에서는 벤트 제어 밸브(20)를 폐쇄함으로써 증발 경로 내를 대기압 상태에서 밀폐상태로 한다(도 3의 영역 A 내지 B). 계속해서, 스텝 S6에서 실행 회수(N)를 리셋하고 나서 스텝 S7에서 실행 회수(N)에 1를 가산, 즉, N=1로 하고, 스텝 S8에서 퍼지 제어 밸브(18)를 개방한다. 그러면, 스텝 S9에서 증발 경로(공급관(19))가 흡기관(11)에 연통되고, 이 흡기관(11) 내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증발 경로가 감압된다(도 3의 영역 C1). 그리고, 스텝 S10에서 퍼지 제어 밸브(18)를 폐쇄하면 증발 경로 내가 다시 밀폐상태로 되어 증발 가스의 발생에 의해 혹은, 증발 경로 내에 손상이 있으면 증발 가스의 리크에 의해 복압한다(도 3의 영역 D1). 스텝 S11에서, 퍼지 제어 밸브(18)를 폐쇄 후 및 소정시간 경과 후에 각각 증발 경로 내의 압력을 압력 센서(25)에 의해 검출한다. 그리고, 스텝 S12에서 증발 경로 내의 소정 시간경과 후의 압력 변화로서의 복압(△P)과 복압 기준치(Pt)를 비교한다.
즉, 증발 경로에 손상(대기 개방부)이 없으면 여기서의 복압(△P)은 복압 기준치(Pt) 이하(도 3의 영역(D1)에서 도시하는 실선)로 되지만, 증발 경로에 손상이 있으면 공기 유입에 의해, 여기서의 복압(△P)은 복압 기준치(Pt)보다도 크게(도 3의 영역(D1)에서 도시하는 일점쇄선) 되어 대기압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스텝 S12에서 복압(△P)이 복압 기준치(Pt) 이하 이면, 스텝 S13에서 증발 경로에 손상이 없고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스텝 S16에서 벤트 제어 밸브(20)를 개방하여 고장 진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2에서 복압(△P)이 복압 기준치(Pt)보다도 크면, 증발 경로에 손상이 있든지, 또는 슬로싱이 발생했던지의 어느 한쪽이다. 즉, 스텝 S12에서 Yes의 경우는, 스텝 S14에서 증발 경로 내의 감압 및 복압의 실행 회수(N)가 기준 실행 회수(Nt)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14는 복압(△P)의 증가 원인이 증발 경로의 손상인지 슬로싱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증발 경로 내에서의 감압 및 복압을 복수회 실행함으로써, 슬로싱이 발생하여도 복압량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상황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 경로 내에서 감압 및 복압을 복수회 실행하면, 증발 경로 내의 공기가 방출되어 증발 가스로 채워진 포화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에, 슬로싱에 의한 압력 변화는 거의 없게 되고, 이 상태에서도 복압(△P)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증발 경로에 손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텝 S12에서 복압(△P)이 복압 기준치(Pt)로 판정되지 않았을 때 스텝 S14에서 실행 회수(N)가 기준 실행 회수(Nt)를 상회할 때까지 스텝 S7로 되돌아가 스텝 S7 내지 S14(S13은 제외한다)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이 기준 실행 회수(Nt)는 연료 온도나 연료 잔량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텝 S7 내지 S14의 처리를 반복하면, 증발 경로에 손상이 없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증발 경로 내가 증발 가스의 포화상태로 되어 증발 가스에 의한 복압(△P)이 억제되기 때문에, 스텝 S12에서 복압(△P)이 복압 기준치(Pt) 이하로 되고, 스텝 S13으로 이행하여 여기서에 증발 경로에 손상이 없고 정상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스텝 S7 내지 S14의 처리를 반복하여도, 증발 경로에 손상이 있으면, 손상부(대기 개방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에 의해 복압(△P)이 복압 기준치(Pt)를 상회하기 때문에, 스텝 S14에서 실행 회수(N)가 기준 실행 회수(Nt)를 상회한다.
따라서, 스텝 S14에 있어서, 감압 및 복압의 실행 회수(N)가 기준 실행 회수(Nt)를 상회한 것을 조건으로서 증발 퍼지 시스템의 이상 판정이 허용된다. 그리고, 스텝 S15에서 증발 경로에 손상이 있기 때문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드라이버에 대하여 경고 램프나 경고음을 발하고, 스텝 S16에서 벤트 제어 밸브(20)를 개방하여 고장 진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로는 증발 경로 내에서 감압 및 복압을 복수회 실행하고, 증발 경로 내가 증발 가스로 채워진 포화상태로 함으로써 슬로싱에 의한 압력 변화는 거의 없는 상황으로 하여 복압(△P)의 크기를 판정하는 것으로, 증발 경로의 손상(증발 가스의 리크)을 적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2에 있어서의 고장 진단의 허용 조건을 연료 잔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했지만,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단 처리시간의 단축화를 꾀하는 경우에는 진단 조건의 연료 잔량을, 예를 들면 40%보다도 크게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준 실행 회수(Nt)는 연료 잔량과 연료 온도에 의거하여 설정하였지만, 맵 등의 간소화를 꾀하기 위하여 연료 잔량만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7)

  1. 연료 탱크(15) 내에서 발생한 증발 가스를 상기 연료 탱크(15)와 캐니스터(17)를 연통하는 베이퍼 통로(16)를 통하여 상기 캐니스터(l7)에 흡착시키고, 상기 캐니스터(l7)에 흡착된 흡착 연료를 상기 캐니스터(17)와 내연기관의 흡기 통로(11)를 연통하는 퍼지 통로(l9)를 통하여 상기 흡기 통로(l1)로 퍼지하는 증발 퍼지 시스템과,
    상기 연료 탱크(15)를 포함하는 증발 경로(15, 16, 17, 19, 21)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수단(25)과,
    상기 캐니스터(17)의 대기 개방구에 설치된 제 1 밸브(20)를 폐쇄하여 상기 증발 경로 내를 상기 흡기 통로(11) 내에서 생기는 부압에 의해 감압시키는 감압수단(26)과,
    당해 감압수단이 작동한 후에 상기 퍼지 통로(19)에 설치된 제 2 밸브(18)를 폐쇄하고 상기 증발 경로(15, 16, 17, 19, 21) 내를 복압하는 복압수단(26)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 검출수단(25)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을 행하는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압수단 및 상기 복압수단을 복수회 작동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압력 검출수단의 출력에 근거한 상기 증발 퍼지 시스템의 이상 판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l5) 내의 연료 잔량을 검지하는 잔량 검지수단(23)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장 판정수단(26)은 당해 잔량 검지수단(23)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감압수단(26) 및 상기 복압수단(26)의 기준 작동회수(Nt)를 설정하는 작동 회수 설정수단(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회수 설정수단(26)은 상기 잔량 검지수단(23)에 의해 검출된 연료 잔량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감압수단(26) 및 상기 복압수단(26)의 기준 작동 회수(Nt)를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정수단(26)은 상기 잔량 검지수단(23)에 의해 검출된 연료 잔량이 상기 연료 탱크(15) 용량의 40%를 초과할 때 고장 진단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l5)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검출수단(24)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작동 회수 설정수단은 상기 잔량 검지수단(23)의 연료 잔량 및 상기 연료 온도 검출수단(24)의 연료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감압수단(26) 및 상기 복압수단(26)의 기준 작동 회수(Nt)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15) 내의 연료 잔량을 검지하는 잔량 검지수단(23)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장 판정수단(26)은 당해 잔량 검지수단(23)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감압수단(26) 및 상기 복압수단(26)의 기준 작동 회수(Nt)를 설정하는 작동 회수 설정수단(26)과, 당해 잔량 검지수단(23)의 출력에 근거하여 복압 기준치 (Pt)를 설정하는 기준치 설정수단(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정수단(26)은 상기 감압수단(26) 및 상기 복압수단(26)의 실행 회수(N)가 한 번 이상 및 상기 작동 회수 설정수단(26)에 의해 설정된 기준작동 회수(N1) 이내로 상기 압력 검출수단{25)에 의해 검출된 상기 증발 통로(15, 16, 17, 19, 21) 내의 복압(△P)이 상기 기준치 설정수단(26)에 의해 설정된 복압 기준치(Pt)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증발 퍼지 시스템이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감압수단(26) 및 상기 복압수단(26)의 실행 회수(N)가 상기 작동 회수 설정수단(26)에 의해 설정된 기준 작동 회수(Nt)를 상회하며, 또한 상기 실행 회수 마다 상기 압력 검출수단(25)에 의해 검출된 상기 증발 통로(15, 16, 17, 19, 21) 내의 복압이 상기 기준치 설정수단(26)에 의해 설정된 복압 기준치(Pi)를 초과할 때 상기 증발 퍼지 시스템이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정수단.
KR10-2000-0044979A 1999-08-06 2000-08-03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KR100408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236 1999-08-06
JPJP-P-1999-00223635 1999-08-06
JP22363599A JP3587093B2 (ja) 1999-08-06 1999-08-06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195A true KR20010021195A (ko) 2001-03-15
KR100408361B1 KR100408361B1 (ko) 2003-12-06

Family

ID=1680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79A KR100408361B1 (ko) 1999-08-06 2000-08-03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97824B1 (ko)
JP (1) JP3587093B2 (ko)
KR (1) KR100408361B1 (ko)
DE (1) DE10037939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372B1 (ko) * 2001-05-25 2005-08-24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KR100659995B1 (ko) * 2004-09-07 2006-12-2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증발 연료 처리 장치의 고장 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0991B2 (ja) * 2001-05-15 2010-10-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KR100471209B1 (ko) * 2001-12-07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증발가스 누설 진단방법
DE102011014713B4 (de) * 2011-03-23 2016-05-19 Audi Ag Tankent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935081B2 (en) 2012-01-13 2015-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system blockage detection and blockage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038489B2 (en) 2012-10-15 2015-05-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cuum pump that is used to check for leaks in an evaporative emissions system
KR101361918B1 (ko) 2013-02-25 2014-02-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증발가스 누출진단 방법
US9176022B2 (en) 2013-03-15 2015-1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low through a purge valve based on a fuel system pressure sensor
US9316558B2 (en) 2013-06-04 2016-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to diagnose fuel system pressure sensor
CN115087801B (zh) * 2020-02-18 2023-11-2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蒸发燃料处理装置的故障诊断方法以及故障诊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723B2 (ja) * 1991-06-10 1998-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DE4132055A1 (de) * 1991-09-26 1993-04-0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uefen der funktionsfaehigkeit einer tankentlueftungsanlage
DE4243983C2 (de) * 1991-12-28 1999-07-15 Suzuki Motor Co Diagnose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dampfsteu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S5425344A (en) * 1992-01-21 1995-06-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agnostic apparatus for evaporative fuel purge system
JP3265655B2 (ja) * 1992-11-18 2002-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DE4335126B4 (de) * 1993-10-15 2006-07-06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Dichtheitsprüfung eines Tankentlüftungssystems
JPH0835452A (ja) * 1994-07-26 1996-02-06 Hitachi Ltd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診断方法
JP3561034B2 (ja) * 1995-04-27 2004-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DE19518292C2 (de) * 1995-05-18 2003-07-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iagnose eines Tankentlüftungssystems
JPH0932658A (ja) * 1995-07-14 1997-02-0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エバポパージ装置における機能診断装置
JP3132344B2 (ja) * 1995-07-21 2001-0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蒸発ガス排出抑止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US5614665A (en) * 1995-08-16 1997-03-25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evaporative purge system
JPH09158793A (ja) * 1995-12-05 1997-06-17 Denso Corp 燃料蒸散防止機構用異常検出装置
JP3322119B2 (ja) * 1996-03-04 2002-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3147001B2 (ja) * 1996-09-24 2001-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367373B2 (ja) * 1997-03-28 2003-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US6082337A (en) * 1997-07-11 2000-07-04 Denso Corporatio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fuel gas emission
US6016690A (en) * 1997-09-05 2000-01-25 Siemens Canada Limited Automotive evaporative emission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3607968B2 (ja) * 1998-03-04 2005-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US6257050B1 (en) * 1998-03-09 2001-07-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vaporative fuel leak diagnosing apparatus
JP4022982B2 (ja) * 1998-04-20 2007-1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JP3707520B2 (ja) * 1998-04-28 2005-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JP3707522B2 (ja) * 1998-08-21 2005-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US6164123A (en) * 1999-07-06 2000-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system leak det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372B1 (ko) * 2001-05-25 2005-08-24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KR100659995B1 (ko) * 2004-09-07 2006-12-2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증발 연료 처리 장치의 고장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8361B1 (ko) 2003-12-06
DE10037939B4 (de) 2014-06-05
US6397824B1 (en) 2002-06-04
JP3587093B2 (ja) 2004-11-10
DE10037939A1 (de) 2001-06-21
JP2001050116A (ja) 200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17506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KR100408361B1 (ko)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JP2004270534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367472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4497293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20020090332A (ko)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JP2827648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284881B2 (ja) 燃料蒸気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H0681727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4156497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830628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H05180101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4175301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616625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H06235354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及び蒸発燃料供給系の保護装置
KR20070037251A (ko)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센서 고장 진단 방법
JP2748761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
JPH05180098A (ja) 車両の蒸発燃料制御システムの診断装置
JP2580928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618272B2 (ja)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及び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
JP2699756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044995B2 (ja) 燃料蒸発ガス抑止装置の診断装置
JP2699772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536420B2 (ja) 蒸発燃料供給系の故障診断装置
JPH0681728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