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372B1 -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372B1
KR100510372B1 KR10-2002-0028849A KR20020028849A KR100510372B1 KR 100510372 B1 KR100510372 B1 KR 100510372B1 KR 20020028849 A KR20020028849 A KR 20020028849A KR 100510372 B1 KR100510372 B1 KR 10051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diagnosis
failure
pressure
engine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332A (ko
Inventor
사이토켄지
나가시마사토시
안도요이치로
카나오히데츠구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는, 연료 탱크(1)와 엔진 흡기통로(6)를 접속하는 증발연료의 퍼지경로(4)를 대기와 차단하여 엔진 흡기 부압을 도입한 상태에서의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감소상태를 감시하여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1 고장 진단장치(13)와, 연료 탱크 내를 소정 부압까지 감압시킨 후 대기와 차단된 밀폐상태에서의 압력 상승상태를 감시하여 작은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14)를 가지며,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B)을,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A)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여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보다 저흡기 부압측으로 확대 설정하였다.

Description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FAILURE DIAGNOSTIC SYSTEM OF EVAPORATED FUEL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증산(蒸散) 연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을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본 특허공개 20O0-282972호에는,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를 파라미터로 한 소정 영역에서 지름 0.5인치 정도의 큰 누설 고장을 진단하는 제1 고장 진단장치(모드 C)와, 소정 영역에서 스로틀 개방도 변화가 작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지름 0.02인치 정도의 작은 누설 고장을 진단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모드 B)를 갖는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큰 누설 고장은 부압 도입 불량으로 검출되고, 구체적으로는 부압(負壓) 도입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탱크 내압이 소정치보다 저압으로 되지 않으면 부압도입 불량, 즉 큰 누설 고장이라고 판정하였다. 이러한 판정수법을 채용하는 경우, 정상 상태에서 소정 시간내에 소정의 감압상태를 달성할 수 있을 만큼의 흡기 부압이 필요하게 되므로 큰 누설 고장진단이 실행되는 소정 영역은 필연적으로 결정되어 버리고, 어느 정도의 흡기 부압이 얻어지는 엔진 운전 영역이 된다. 작은 누설 고장에 관해서는 상술한 큰 누설 고장과는 달리, 소정 부압으로 감압한 후의 밀폐 상태에서의 압력 상승상태를 검출하여 고장진단을 행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지만, 진단이 실행되는 영역은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에 관해 큰 누설 고장과 같은 소정 영역으로 되어 있다.
작은 누설 고장에 관해서는, 감압 후의 압력 상승상태에 의거하는 진단이기 때문에, 반드시 소정 시간 내에 소정의 감압상태를 달성할 수 있을 만큼의 흡기 부압이 얻어지는 영역으로 할 필요는 없고, 소정 시간보다 긴 시간을 요하더라도 소정의 감압상태를 달성할 수 있으면 진단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것은, 이러한 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작은 누설의 진단영역을 큰 누설 고장의 진단영역과 동일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작은 누설 고장의 진단영역을 불필요하게 좁혀 버려 고장진단 기회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것은, 아이들시에 소정의 엔진 회전수 이상이면서 또한 공연비피드 백 제어(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중에 작은 누설 고장을 진단하는 별도의 진단장치(모드 A)를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별도 장치를 부가하여 작은 누설의 검출 기회를 늘리는 데 불과하고 제어 로직 등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어, 효율 있게 진단 기회를 늘릴 수는 없다.
본 발명은, 고장진단 기회를 합리적으로 증대하여 고장진단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에서는, 연료 탱크와 엔진 흡기 통로를 접속하는 증발연료의 퍼지 경로를 대기와 차단하여 엔진 흡기 부압을 도입한 상태에서의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감소상태를 감시하여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1 고장 진단장치와, 연료 탱크 내를 소정 부압까지 감압시킨 후 대기와 차단된 밀폐상태에서의 압력 상승상태를 감시하여 작은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를 가지며,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을,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여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보다 저 흡기부압측으로 확대 설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1 고장 진단장치는, 연료 탱크와 엔진 흡기통로를 접속하는 증발연료의 퍼지 경로를 대기와 차단하여 엔진 흡기 부압을 도입한 상태에서의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감소상태를 감시하여, 부압 도입 불량을 검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동영역이 엔진 흡기 부압과의 균형으로 스스로 결정되어 버린다. 작은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는, 연료 탱크 내를 소정 부압까지 감압시킨 후 대기와 차단된 밀폐상태에서의 압력 상승상태를 검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압 도입시의 압력 감소상태가 작아도 소정 부압까지 감압할 수 있으면 진단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보다 저 흡기 부압측으로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을 확대 설정한 본원에 있어서는, 양 고장 진단장치의 특성의 차이를 유효 활용할 수 있으며, 제2 고장 진단장치에 의한 고장진단 기회가 불합리하지 않게 증대하여, 고장진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1 및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은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를 파라미터로서 각각 정하고,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이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보다 저 부하측 및/또는 저 회전수측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면, 제1 및 제2 고장 진단장치마다의 최적한 작동영역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이, 제1 고장 검출장치의 작동영역을 완전히 포함하도록 설정하면,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만이 실행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작은 구멍에 의한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정상 판정되는 일이 없고, 고장진단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형태에 관한 증발연료 처리장치인 증발 퍼지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비되는 연료 탱크(1) 내에서 발생하는 증산 연료(증기)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는, 연료 탱크(1)로부터의 증산 연료를, 증기 통로(2)로 연결되는 캐니스터(3) 내로 증기 통로(2)를 통하여 도입되고, 이 캐니스터(3) 내에 흡착된 증산 연료를 소정 조건하에서 퍼지통로(4)를 통하여 내연기관(5)의 흡기통로(6)로 방출(퍼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퍼지 통로(4)에는, 이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서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캐니스터(3)에는 대기 도입부(12)를 개폐하는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가 부착되어 있다.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 및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는, 고장진단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들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 및 벤트솔레노이드 밸브(8)는, 제어장치로서의 엔진 컨트롤 유닛(이하「ECU」라고 기재한다)(11)과 접속되어 있고, ECU(1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개폐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는, 온(on)되면 개방상태로 되어 퍼지 통로(4)를 개방하고, 오프(off)되면 폐쇄상태로 되어 퍼지통로(4)를 폐쇄한다.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는, 오프에서는 대기 도입부(12)를 개방하고, 온 되면 대기 도입부(12)를 폐쇄한다. 이 증발 퍼지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는 온 되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는 오프(off)되어 있다. 그리고, 고장 판정하기 위한 판정 조건이 설립되면,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를 오프하여 퍼지 통로(4)를 폐쇄하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온 하여 대기 도입부(12)를 폐쇄하면, 연료 탱크(1) 내는 대기압 정도로 증압된다. 이 상태에서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를 온 하여 퍼지 통로(4)를 개방하면, 연료 탱크(1)와 흡기통로(6)가 증기통로(2), 퍼지 통로(4)를 통하여 연통하고, 흡기통로(6) 내의 부압 작용에 의해 탱크 내압이 감압된다.
연료 탱크(1)에는, 연료 잔량 검출장치로서의 연료 레벨 센서(9)가 부착되어 있으며, 탱크 내의 연료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료 탱크(1)에는, 상황 검출장치로서 압력 검출장치가 되는 압력 센서(10)가 부착되어 있고, 탱크 내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연료 레벨 센서(9), 압력 센서(10)로부터의 검출정보는 ECU(11)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연료 탱크(1)의 급유구(17)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필러캡(16)이 장착되어 있다. 이 필러캡(16)은, 급유구(17)에 정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는 급유구(17)를 밀폐상태로 하고, 급유구(17)로부터 연료 탱크(1) 내로 대기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증발 퍼지 장치에는, 증발 퍼지 장치의 고장에 의해 증산 연료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증발 퍼지 장치의 리크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진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고장 진단장치는,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 및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제어함으로써, 연료 탱크(1) 내의 압력 하강상태(△PD)나, 압력 상승상태(△P)를 감시하여 고장 판정을 행하는 것이다.
고장 진단장치는,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 및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제어하고, 퍼지경로(4)를 대기와 차단하여 엔진 흡기 부압을 도입한 상태에서의 연료 탱크(1) 내의 압력 감소상태(△PD)를 감시하여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1 고장 진단장치(13)와,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 및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제어하고, 연료 탱크(1) 내를 소정 부압까지 감압시킨 후 대기와 차단된 밀폐상태에서의 압력 상승상태(△P)를 감시하여 작은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14)와, 제1 고장 진단장치(13) 또는 제2 고장진단 실장치를 선택하는 선택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고장 진단장치(13), 제2 고장 진단장치(14), 선택장치(15)는, ECU(11)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제1 고장 진단장치(13)가 작동하는 작동영역(A)과, 제2 고장 진단장치(14)가 작동하는 작동영역(B)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세로축은 엔진 등의 부하(Ev), 가로축은 엔진 회전수(Ne)를 각각 나타낸다. 본 형태에 있어서, 작동영역(B)은 작동영역(A)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이 작동영역(A)보다 저흡기 부압측으로 확대 설정되어 있다. 즉, 작동영역(A, B)은, 엔진 회전수(Ne) 및 부하(Ev)를 파라미터로서 각각 정하고 있고, 작동영역(B)이 작동영역(A)보다 저부하측 및 또는 저회전수측을 포함하는 동시에, 작동영역(B)이 작동영역(A)을 완전히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작은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이란, 약 1.0mm 정도의 구멍으로부터의 리크의 유무를 진단하는 것이며,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이란, 1.0mm 보다도 큰 구멍으로부터의 리크나 필러캡(16) 등이 조여지지 않은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다. ECU(11)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는, 제1 고장 진단장치(13)에서 사용하는 리크 판정치(M)와, 제2 고장 진단장치(14)에서 사용하는 리크 판정치(L)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제1 고장 진단장치(13), 제2 고장 진단장치(14), 선택장치(15)의 동작을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스텝 R1에서, 엔진 회전수(Ne), 부하(Ev)를 도시하지 않은 회전 센서 및 스로틀 개방도 센서 등의 검출장치에서 판독하는 외에, 수온, 흡기온, 공연비 학습치(연료 잔량) 등의 각 운전상태를 판독하고, 스텝 R2에서 엔진 회전수(Ne), 엔진 부하(Ev)를 제외하는 운전상태가 제1 고장진단을 실행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는, 스텝 R3에서 엔진 회전수(Ne), 엔진 부하(Ev)로부터 도 2를 사용하여 작동영역(A)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작동영역(A)인 경우에는, 스텝 R4로 진행하여 제1 고장 진단장치(13)를 선택하여 후술하는 제1 고장 진단장치를 실행한다.
스텝 R4에서의 제1 고장진단의 실행을 종료한 후, 또는 스텝 R2에서 실행 조건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나, 스텝 R3에서 A영역이 아닌 경우는 스텝 R5로 진행한다. 이 스텝에서는, 엔진 회전수(Ne), 엔진 부하(Ev)를 제외하는 운전상태가 제2 고장진단을 실행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경우는, 스텝 R6에서 엔진 회전수(Ne), 엔진 부하(Ev)로부터 도 2를 사용하여 작동영역(B)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작동영역(B)인 경우에는, 스텝 R7로 진행하여 제2 고장 진단장치(14)를 선택하고 후술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R7에서의 제2 고장진단의 실행을 종료한 후, 또는 스텝 R5에서 실행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나, 스텝 R6에서 B영역이 아닌 경우는 종료한다.
도 4는, 도 3중의 스텝 R7에서 행하여지는 제2 고장 진단장치(14)에 의한 처리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제2 고장 진단장치(14)에서는, 스텝 S1에서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를 온 하여 탱크 내압을 도 6에 도시한 소정 부압(P2)까지 감압한 후, 오프 하는 제어를 행하여 연료 탱크(1)를 밀폐상태로 하고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연료 탱크(1)의 탱크 내압의 상승량을 계측하고(도 6 참조), 스텝 S3에서 계측 결과로부터 압력 상승상태(△P)(소정 부압(P2)으로부터의 압력 상승량)를 산출한다. 스텝 S4에서는, 압력 상승상태(△P)와 리크 판정치(L)를 비교하고, 압력 상승상태(△P)가 리크 판정치(L)를 초과하지 않으면, 증발 퍼지 장치에 리크(누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오프(off)하여 제2 고장진단을 종료한다.
스텝 S4에서 압력 상승상태(△P)가 리크 판정치(L)를 초과하면, 연료계에 리크(누설)가 있을 우려가 있다고 하여 스텝 S5에 있어서, 리크 있음 상태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회수가 스텝 S6에서 미리 ECU(11)의 메모리에 기억한 소정 회수 카운트가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소정 회수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스텝 S1 내지 스텝 S6까지의 각 스텝을 반복하고, 압력 상승상태(△P)가 리크 판정치(L)를 넘은 카운트 수가 소정 회수, 예를 들면 2회를 초과하면, 리크 있음으로 하여 스텝 S7로 진행하고, 도시하지 않은 경고등을 점등하여 고장인 것을 경고하는 동시에, 벤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오프하여 제2 고장진단을 종료한다.
도 5는, 도 3중의 스텝 R4에서 행하여지는 제1 고장 진단장치(13)에 의한 처리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제1 고장진단에서는, 스텝 T1에서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를 온하는 제어를 하고, 스텝 T2로 진행한다. 스텝 T2에서는 연료 탱크 내압의 하강량을 소정 시간 계측한다. 스텝 T3에서 계측 결과로부터 압력 하강상태(△PD)를 산출한다. 여기서는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7)가 온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하강된 탱크 내압의 압력 하강상태(△PD)가 산출된다. 스텝 T4에서는 압력 하강상태(△PD)와 리크 판정치(M)를 비교한다.
도 7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시간 경과시점에서의 탱크 내압력(P3)이 소정 부압(P1)(△PD=M에 상당) 보다도 높고, 압력 하강상태(△PD)가 리크 판정치(M)로서의 기준 압력 하강상태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증발 퍼지 장치에 큰 구멍이 있는 것으로 하여 스텝 T5로 진행한다. 스텝 T5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경고등을 점등하여 고장인 것을 경고하고, 스텝 T6으로 진행하여 밴트 솔레노이드 밸브(8)를 오프(off)하여 제1 고장진단을 끝낸다. 스텝 T4에서 압력 하강상태(△P)가 리크 판정치(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큰 구멍은 없는 것으로 하고, 계속해서 작은 구멍 대응의 제2 고장진단을 행하기 위해 도 3의 스텝 R5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고장진단을 행할 때, 제2 고장 진단장치(14)의 작동영역(B)을, 제1 고장 진단장치(13)의 작동영역(A)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여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보다 저흡기 부압측으로 확대 설정함으로써, 양 고장 진단장치의 특성의 차이를 유효 활용하여 제2 고장 진단장치(14)에 의한 고장진단 기회를 불합리함이 없이 증대시킬 수 있고, 고장진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은 구멍 진단을 행하는 제2 고장 진단장치(14)에 있어서는, 전기적 노이즈나 정밀도 오차 등을 고려하여, 연료 탱크(1) 내의 압력 상승상태(△P)를 복수회 검출하여 진단하기 때문에 진단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작동영역(B)이 작동영역(A)보다 저부하측 및 또는 저회전수측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고장 진단장치(13, 14)마다의 최적인 작동영역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동영역(B)이 작동영역(A)을 완전히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만이 실행되는 일이 없으므로, 작은 구멍에 의한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정상 판정되는 일이 없고, 고장진단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제1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보다 저 흡기 부압측으로 제2 고장 진단장치의 작동영역을 확대 설정한 본원에 있어서는, 양 고장 진단장치의 특성의 차이를 유효 활용할 수 있으며, 제2 고장 진단장치에 의한 고장진단 기회가 불합리하지 않게 증대하여 고장진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증발연료 처리장치 및 고장 진단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1 및 제2 고장 진단장치 각각의 작동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또는 제2 고장 진단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제2 고장진단의 한 형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제1 고장진단의 한 형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6은 제2 고장진단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트.
도 7은 제1 고장진단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2 : 증기 통로
3 : 캐니스터 4 : 퍼지통로
5 : 내연기관 6 : 흡기통로
7 :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 12 : 대기 도입부

Claims (5)

  1.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에 있어서,
    연료 탱크와 엔진 흡기통로를 접속하는 증발연료의 퍼지경로를 대기와 차단하여 엔진 흡기 부압을 도입한 상태에서의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압력 감소상태를 감시하여 큰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1 고장진단요소와,
    상기 연료 탱크 내를 소정 부압까지 감압시킨 후 대기와 차단된 밀폐상태에서의 압력 상승상태를 감시하여 작은 구멍 대응의 고장진단을 행하는 제2 고장진단요소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장진단요소의 작동영역을, 상기 제1 고장진단요소의 작동영역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 고장진단요소의 작동영역보다 저흡기 부압측으로 확대 설정한 작동영역 설정요소의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 고장진단요소는, 상기 압력 감소상태가 판정치보다도 작을 때, 고장이라고 판정하여 경고를 통지하며,
    상기 제2 고장진단요소는, 상기 압력 상승상태가 판정치보다 클 때, 고장이라고 판정하여 경고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검지하는 엔진 회전수 검지요소와,
    엔진 부하를 검지하는 엔진 부하 검지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영역 설정요소는, 상기 제1 및 제2 고장진단요소의 작동영역을, 상기 엔진 회전수 및 상기 엔진 부하에 의거하여 각각 설정함과 함께, 상기 제2 고장진단요소의 작동영역이 상기 제1 고장 진단요소의 작동영역보다 엔진 저부하측 및 또는 엔진 저회전수 측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28849A 2001-05-25 2002-05-24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KR100510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6812A JP4487440B2 (ja) 2001-05-25 2001-05-25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JP-P-2001-00156812 2001-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332A KR20020090332A (ko) 2002-12-02
KR100510372B1 true KR100510372B1 (ko) 2005-08-24

Family

ID=1900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49A KR100510372B1 (ko) 2001-05-25 2002-05-24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51491B2 (ko)
JP (1) JP4487440B2 (ko)
KR (1) KR100510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0437B2 (ja) * 2002-04-11 2007-06-13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
DE10248627B4 (de) * 2002-10-18 2014-05-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Brennkraftmaschine sowie Steuergerät hierfür
JP4110931B2 (ja) * 2002-11-05 2008-07-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4210626B2 (ja) * 2004-04-14 2009-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燃料蒸気パージ装置および燃焼機関
DE102008001447A1 (de) * 2008-04-29 2009-11-05 Robert Bosch Gmbh Diagnose der Funktionsfähigkeit von Kraftstoffdampfzwischenspeichern
US8539938B2 (en) 2009-03-12 2013-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el systems in a vehicle with multiple fuel tanks
JP5333532B2 (ja) * 2011-07-14 2013-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蒸気漏れ検出装置
JP5880159B2 (ja) * 2012-03-09 2016-03-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JP5998529B2 (ja) * 2012-03-09 2016-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の診断装置
JP5892012B2 (ja) 2012-09-11 2016-03-23 日本精工株式会社 車載電子制御装置
US9243592B2 (en) * 2013-04-18 2016-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nister purge valve self-cleaning cycle
JP2016003575A (ja) * 2014-06-13 2016-01-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CN114352442B (zh) * 2021-11-30 2023-04-21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燃油蒸发系统诊断方法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824A (ja) * 1993-12-28 1995-07-28 Nissan Motor Co Ltd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H09317573A (ja) * 1996-03-29 1997-12-09 Mazda Motor Corp 蒸発燃料供給系の故障診断装置
KR19990020439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이베퍼레이티브 시스템의 리크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H11190256A (ja) * 1997-12-25 1999-07-13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蒸発ガス処理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0282972A (ja) * 1999-03-29 2000-10-10 Mazda Motor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KR20010021195A (ko) * 1999-08-06 2001-03-15 나까무라히로까즈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983C2 (de) * 1991-12-28 1999-07-15 Suzuki Motor Co Diagnosevorrichtung für eine Kraftstoffdampfsteue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2688674B2 (ja) * 1992-01-20 1997-1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内圧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及び故障補償装置
JPH1061504A (ja) * 1996-06-11 1998-03-03 Toyota Motor Corp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3729683B2 (ja) * 1998-12-04 2005-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824A (ja) * 1993-12-28 1995-07-28 Nissan Motor Co Ltd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H09317573A (ja) * 1996-03-29 1997-12-09 Mazda Motor Corp 蒸発燃料供給系の故障診断装置
KR19990020439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이베퍼레이티브 시스템의 리크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H11190256A (ja) * 1997-12-25 1999-07-13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蒸発ガス処理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0282972A (ja) * 1999-03-29 2000-10-10 Mazda Motor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KR20010021195A (ko) * 1999-08-06 2001-03-15 나까무라히로까즈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7440B2 (ja) 2010-06-23
KR20020090332A (ko) 2002-12-02
US20020189328A1 (en) 2002-12-19
JP2002349362A (ja) 2002-12-04
US6651491B2 (en) 200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372B1 (ko)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US6837224B2 (en) Evaporated fuel treatmen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05361B1 (en) Evaporative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same
JP2004156498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H04300727A (ja) タンク通気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H10169516A (ja) エバポシステムの診断装置
US10801917B2 (en) Fuel vapor processing device
US6679111B2 (en) Malfunction diagnostic apparatus for evaporated fuel purge system
JP2002004958A (ja)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異常診断方法及び異常診断装置
KR100408361B1 (ko) 증발 퍼지 시스템의 고장 진단장치
JP2007064117A (ja)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及び故障診断方法
JPH08232782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100510371B1 (ko) 증발연료 처리장치의 고장 진단장치
JP3284881B2 (ja) 燃料蒸気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7124971B2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KR20160071576A (ko) 차량의 연료누설 진단 방법
JP3888287B2 (ja)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及び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KR101240936B1 (ko) 자동차용 연료시스템의 연료넘침 고장진단방법
JP4560991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3044995B2 (ja) 燃料蒸発ガス抑止装置の診断装置
KR100428323B1 (ko) 연료 증기압 추정 제어방법
JPH09264207A (ja) 蒸発燃料供給系の故障診断装置
JP3539303B2 (ja) 蒸発燃料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H06235354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及び蒸発燃料供給系の保護装置
JPH05332204A (ja)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