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838A - 실리콘상의 비결정성 유전체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실리콘상의 비결정성 유전체 커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838A
KR20010014838A KR1020000022497A KR20000022497A KR20010014838A KR 20010014838 A KR20010014838 A KR 20010014838A KR 1020000022497 A KR1020000022497 A KR 1020000022497A KR 20000022497 A KR20000022497 A KR 20000022497A KR 20010014838 A KR20010014838 A KR 2001001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ate
dielectric material
amorphous
barium
niob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던콤피터리차드
레이보비츠로버트벤자민
뉴메이어데보라안
쇼토마스맥캐롤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1001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막을 사용하여 매우 낮은 누설을 보이고 적절히 높은 유전 상수를 나타내는 고정전 용량 커패시터 및 게이트 절연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바륨 티탄산염, 스트론튬 티탄산염,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BST), 납 티탄산염, 납 지르콘산 티탄산염, 납 란탄 지르코늄 티탄산염, 바륨 란탄 티탄산염 및 바륨 지르코늄 티탄산염과 같은 티탄산염계 물질과, 란탄 알루미늄산염 및 이트륨 알루미늄산염과 같은 알루미늄산염과, 납 마그네슘 니오븀산염, 리튬 니오븀산염, 리튬 탄탈산염,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 스트론튬 알루미늄 탄탈산염 및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과 같은 니오븀산염 또는 탄탈륨산염계 물질과, 바륨 스트론튬 니오븀산염, 납 바륨 니오븀산염, 바륨 티타늄 니오븀산염과 같은 텅스텐-청동계 물질과, 그리고 스트론튬 창연 탄탈륨산염, 창연 티탄산염과 같은 Bi 층의 퍼로브스카이트계 물질을 포함하며, 약 450 ℃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실리콘 표면 상에 직접 디포지션된다.

Description

실리콘상의 비결정성 유전체 커패시터{AMORPHOUS DIELECTRIC CAPACITORS ON SILICON}
본 발명은 고정전 용량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실리콘상에 직접 형성되는 커패시터 내에서 유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높은 유전 상수의 비결정성(amorphous)(또는 저온) 상태인 박막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DRAM) 내의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내의 게이트 유전체(gate dielectrics) 및 감결합 커패시터(decoupling capacitor)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 유전체 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트랜지스터 내의 게이트 유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박막 물질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물질이 고밀도 회로에 사용되는 경우로는 DRAM 내의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내의 게이트 유전체 및 감결합 커패시터가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유전체 물질로는 이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3N4), 산화 알루미늄(Al2O3) 또는 이 물질들의 임의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는 통상 9.0 또는 그 이하이다. 오늘날, 회로가 더욱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유전체 물질은 그 소형화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더욱 얇아져야만 한다. 이러한 오늘날의 회로에 얇고 유전 상수가 낮은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그 물질로 인해 회로가 누설 회로(leaky circuit)로 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회로에 사용되는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공지된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로는 바륨 티탄산염, 스트론튬 티탄산염,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BST), 납 티탄산염, 납 지르콘산 티탄산염, 납 란탄 지르코늄 티탄산염, 바륨 란탄 티탄산염 및 바륨 지르코늄 티탄산염과 같은 티탄산염계 물질과, 란탄 알루미늄산염 및 이트륨 알루미늄산염과 같은 알루미늄산염과, 납 마그네슘 니오븀산염, 리튬 니오븀산염, 리튬 탄탈산염,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 스트론튬 알루미늄 탄탈산염 및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과 같은 니오븀산염 또는 탄탈륨산염계 물질과, 바륨 스트론튬 니오븀산염, 납 바륨 니오븀산염, 바륨 티타늄 니오븀산염과 같은 텅스텐-청동계 물질과, 그리고 스트론튬 창연 탄탈륨산염, 창연 티탄산염과 같은 Bi 층의 퍼로브스카이트계(perovskite system) 물질을 포함하는 퍼로브스카이트형(perovskite-type) 산화물의 결정형이 있다. 이러한 결정질의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유전 상수가 약 200 이상이지만, 디포지션(deposition)되는 온도가 약 500 ℃ 이상이다. 위 물질을 이러한 고온에서 실리콘상에 직접 디포지션한다면, 그 접촉면에서의 소자의 성능이 경감될 것이다. 또한, 결정 입계(grain boundary) 누설 경로 및 낮아진 장벽 높이로 인해 소자의 누설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유전체 물질의 단점을 비추어 볼 때, 실리콘상에 직접 디포지션될 수 있는 새로운 유전체 물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새로운 유전체 물질은 현재 당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전체 물질에 비해 누설이 적고 유전 상수가 약 10 이상이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실리콘상에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박막 유전체 물질 또는 게이트 유전체 물질로서의 박막 유전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SiO2(ε= 4), Si3N4(ε= 7) 및 Al2O3(ε= 8)와 같은 종래 유전체 물질 보다 유전 상수가 더 크고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에 적합한 박막 유전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누설 전류가 1 A/㎠ 이하, 양호하게는 1×10-4A/㎠ 이하 정도로 낮으며, 함께 사용되는 전극 물질과 잘 부합하는 박막 유전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 및 장점은 박막 유전체 물질로서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의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인 박막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고정전 용량 커패시터(1 nF/㎟ 또는 그 이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전체 물질은 계면층(interfacial layer)의 형성을 최소화하고 소자의 성능을 저감시키는 결정 입계를 최소화하면서 실리콘의 상부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트랜지스터 내의 게이트 유전체 물질로서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인 물질의 박막으로 구성되는 게이트 전극 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CMOS 공정의 후반부와, BEOL 구조 및 유기 FET와 같은 적용에 있어서, 주위 온도는 500 ℃ 미만으로 낮아야만 하므로, 본 발명의 신규한 커패시터 및 트랜지스터는 그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저온 디포지션 및 어닐링(annealing) 공정을 사용한다. 이러한 저온 공정은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의 유전체 물질이 형성되도록 한다. 예컨대,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의 저온(또는 비결정성) 상태에서의 유전 상수가 약 25 까지로 결정되었는데, 이 값은 회로에 사용되는 통상의 유전체의 유전 상수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기타 납 란탄 티탄산염과 같은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비결정성 상태에서 훨씬 더 큰 유전 상수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특정 형태의 저온 유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커패시터 및 트랜지스터는 누설이 작고 좋은 부합성을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정전 용량 커패시터 또는 게이트 절연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0 보다 큰 비결정성 박막 유전체 물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결정성(amorphous)"이란 용어는 규칙적인 결정 구조(odered crystal structure)가 아닌 물질을 지칭한다. 이는 고도로 규칙적인 결정 구조가 관찰되는 물질의 결정 상태와는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는 바륨 티탄산염, 스트론튬 티탄산염,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 납 티탄산염, 납 지르콘산 티탄산염, 납 란탄 지르코늄 티탄산염, 바륨 란탄 티탄산염 및 바륨 지르코늄 티탄산염과 같은 티탄산염계 물질을 포함하는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과, 란탄 알루미늄산염 및 이트륨 알루미늄산염과 같은 알루미늄산염과, 납 마그네슘 니오븀산염, 리튬 니오븀산염, 리튬 탄탈산염,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 스트론튬 알루미늄 탄탈산염 및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과 같은 니오븀산염 또는 탄탈륨산염계 물질과, 바륨 스트론튬 니오븀산염, 납 바륨 니오븀산염, 바륨 티타늄 니오븀산염과 같은 텅스텐-청동계 물질과, 그리고 스트론튬 창연 탄탈륨산염, 창연 티탄산염과 같은 Bi 층의 퍼로브스카이트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비결정성 또는 저온 상태인 유전체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상태의 유전체 물질은 약 450 ℃ 이하의 저온 디포지션 및 어닐링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a) 실리콘, 실리콘 함유 물질, 반도체 유기 물질 또는 반도체 무기 물질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형성되는 하부 반도체 전극을 제공하는 단계와,
(b) 하부 반도체 전극 상부면상에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 물질(ε가 10 이상임)을 형성하는 단계와,
(c) 비결정성 유전 물질의 유전 상수뿐만 아니라 그 품질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온도에서 비결정성 유전 물질을 어닐링하는 단계와,
(d) 어닐링된 유전체 물질 상에 상부 전도성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 선택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e) 상기 상부 전도성 전극에 패시베이팅 코팅(passivating coating)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비결정성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a) Si와 같은 반도체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상에 비결정성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와,
(b)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뿐만 아니라 그 품질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온도에서 비결정성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어닐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어닐링된 유전체 물질상에 게이트 도체(gate conductor)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의 추가 선택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상기 게이트 도체상에 패시베이팅 코팅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용량성 소자(capacitive element)로서 비결정성(amorphous)(또는 저온)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단면도.
도 2는 게이트 절연체(gate insulator)로서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영역(gate region)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실리콘 웨이퍼
20: 하부 Si 함유 전극
30: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유전체 물질
40: 상부 전도성 전극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전 용량 커패시터 또는 게이트 절연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전 상수가 10 보다 큰 비결정성 박막 유전체 물질에 관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의 각 도면 부호는 동일한 소자 및/또는 해당 소자를 설명하는 데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단면도로서, 실리콘 웨이퍼(10)상에서 귀금속(noble metal), 귀금속 산화물, 전도성 산화물 또는 이들의 화합물인 상부 전도성 전극(40)과 고농도로 도핑된(heavily doped) 폴리실리콘인 하부 Si 함유 전극(20) 사이에 비결정성(또는 저온)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30)이 개재(介在)되어 있다. 또한, 기타 반도체도 가능하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영역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구조는 하부 반도체 전극(50)과, 이 반도체 전극상에 형성된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30) 및 이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 물질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으로 구성된다. 그 반도체 전극은 실리콘, 실리콘 함유 물질, 반도체 유기 물질 또는 반도체 무기 물질과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도핑 또는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전도성으로 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은 위에서 설명한 상부 전도성 전극(40)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은 전도성 물질 중 하나이다. 비록 이 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무기성 또는 유기성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패시베이팅 코팅을 상부층, 즉 상부 전도성 전극(40) 또는 게이트 도체(60)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물질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 물질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물질 및 제조 공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하지 않았다. 그 대신, 이하에서는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과 그 제조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박막 물질은 원소 주기율표(CAS 버젼)상의 IVB족(Ti, Zr 또는 Hf), VB족(V, Nb 또는 Ta), VIB족(Cr, Mo 또는 W), VIIB족(Mn 또는 Re), IIIA족(Al, Ga 또는 In) 또는 IB족(Cu, Ag 또는 Au)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금속과 약 1 내지 약 3의 양의 형식 전하(formal charge)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추가 양이온(cation)을 함유하는 하나의 산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물질인 퍼로브스카이트형 금속 산화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반드시 그런 것을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그 일반식이 ABO3이며, 여기서 A는 전술한 양이온 중 하나이고 B는 전술한 금속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로는 바륨 티탄산염, 스트론튬 티탄산염,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 납 티탄산염, 납 지르콘산 티탄산염, 납 란탄 지르콘산 티탄산염, 바륨 란탄 티탄산염 및 바륨 지르코늄 티탄산염과 같은 티탄산염계 물질과, 란탄 알루미늄산염 및 이트륨 알루미늄산염과 같은 알루미늄산염과, 납 마그네슘 니오븀산염, 리튬 니오븀산염, 리튬 탄탈산염,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 스트론튬 알루미늄 탄탈산염 및 칼슘 탄탈륨 니오븀산염과 같은 니오븀산염 또는 탄탈륨산염계 물질과, 바륨 스트론튬 니오븀산염, 납 바륨 니오븀산염, 바륨 티타늄 니오븀산염과 같은 텅스텐-청동계 물질과, 그리고 스트론튬 창연 탄탈륨산염, 창연 티탄산염과 같은 Bi 층의 퍼로브스카이트계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은 반드시 비결정성 또는 저온 상태여야 하며,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의 결정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작용 가능한 적절한 디포지션 공정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그 디포지션 온도는 약 45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성 또는 저온 상태의 박막 유전체 물질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디포지션 공정으로는 금속 유기 분해, 졸-겔(sol-gel)을 포함하는 금속 유기 화학적 용착(chemical solution deposition; CSD) 공정 및 발산(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및 펄스 레이져 디포지션(pulsed laser deposition)을 포함하는 물리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공정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보조(plasma assited) 화학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고농도 플라즈마 CVD와 같은 화학적 증착 공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상태인 높은 유전 상수의 물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고 1999년 1월 4일에 출원된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출원 제09/225,526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은 단일 산화물(single oxide) 물질 또는 다중 산화물(multi-oxide)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상태의 박막 유전체 물질을 형성하는 데 포스트 디포지션 어닐링(post deposition annealing)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비결정성 또는 저온 상태의 박막 유전체 물질의 형성에 사용되는 어닐링 공정은 디포지션된 막의 유전 상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그 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유효한 온도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그 어닐링 공정은 약 0.1 내지 3 시간 동안에 약 150 ℃ 내지 약 45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산소, N2O 및 O3, 또는 산화 가스의 혼합물 자체 또는 공기와 같은 비활성 기체를 더 첨가한 그 혼합물이 어닐링 공정에 사용된다.
그러나,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의 형성에 사용되는 정확한 조건은 특정 사용 기술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유일한 임계적 제한은 디포지션 및 어닐링 온도가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의 결정화 온도 이하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박막(thin film)"이란 용어는 디포지션 공정으로 퍼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상태인 고도로 동형인(highly conformal) 층을 약 15 nm 내지 약 2000 nm의 두께로 제공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더욱 양호하게는, 본 발명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의 두께는 약 1 nm 내지 200 nm의 범위 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 ε는 약 10 이상이다. 더욱 양호하게는, 본 발명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는 약 10 내지 약 50이다. 비록 본 발명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가 그 물질의 해당 결정화 상태 보다 더 낮지만, 본 발명의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의 유전 상수는 대부분의 집적 회로에 사용되는 통상의 실리콘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 보다 훨씬 더 높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용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성 또는 저온 박막 유전체 물질을 화학적 용착으로 제조한 경우를 설명한다. 질소 교반(nitrogen with stirring) 하에서, 0.035 몰의 바륨 메톡시에톡사이드(methoxyethoxide), 0.015 몰의 스트론튬 메톡시에톡사이드 및 0.050 몰의 티타늄 메톡시에톡사이드를 2-메톡시에탄올과 함께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상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여, 250 ml 용적 플라스크 내의 표시선까지 희석시켰다. Ba0.7Sr0.3Ti 메톡시에톡사이드 원액의 1 부분을 이소판올의 일부로 희석시켜 스핀 용액(spin solution)을 만들었다. 이 스핀 용액을 주사기에 채우고, 0.45 ㎛ 및 0.1 ㎛의 워트먼지(Whatman) 주사기 필터를 부착시켰다. 이 용액을 고농도로 도핑된 p 형 붕소 도핑 실리콘 기판상에 이 기판이 완전히 젖을 때까지 주사하였다. 그 다음, 이 기판을 2500 rpm으로 약 30 초 동안 회전시켰다. 코팅된 기판을 화로 내의 산소 환경(oxygen atmosphere) 속에서 400 ℃로 5 분 내지 10 분 동안 구웠다. 이 공정을 반복하여 2 층 및 3 층의 막을 만들었다.
그 다음, Pt 상부 전극을 비결정성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의 상부에서 발산에 의한 디포지션하였다. 그 결과적인 45 nm 두께의 2 층의 막은 1 V의 전압에서 누설 전류가 10-5A/㎠이고 유전 상수가 13이 되었다. 그 결과적인 77 nm 두께의 3 층 막은 1 V의 전압에서 누설 전류가 10-7A/㎠이고 유전 상수가 19가 되었다. 코팅된 기판을 화로 내의 산소 환경(oxygen atmosphere) 속에서 400 ℃로 30 분 동안 구운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공정과 모두 동일한 공정으로 또 다른 2 층의 막을 만들었다. 그 결과적인 580 nm 두께의 두꺼운 막은 1 V의 전압에서 누설 전류가 10-6A/㎠이고 유전 상수가 21이 되었다.
비록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세부 사항의 전술한 변경 및 기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유전체 물질 보다 유전 상수가 더 크고, 누설 전류가 작고, CMOS 공정에 적합하며, 함께 사용되는 전극 물질과 잘 부합하는 박막 유전체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커패시터에 있어서,
    실리콘 함유(silicon-containing) 전극상에 직접 디포지션(deposition)되며, 유전 상수가 10 또는 그 이상인 비결정성(amorphous)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은 약 450 ℃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제조되는 커패시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은 약 1 nm 내지 약 2000 nm 두께의 박막인 커패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은 일반식이 ABO3이며, 여기서 B는 원소 주기율표상의 IVB족, VB족, VIB족, VIIB족, IIIA족 및 IB족의 금속 중 하나를 포함하는 최소한 하나의 산성 산화물이고, A는 약 1 내지 약 3의 양의 형식 전하(positive formal charge)를 갖는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인 양이온인 퍼로브스카이트형(perovskite-type) 산화물인 커패시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은 티탄산염(titanate), 니오븀산염(niobate), 알루민산염(aluminate) 또는 탄탈산염계(tantalte system) 물질, 텅스텐-청동계 물질 또는 Bi-층계(Bi-layered system) 물질인 커패시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은 바륨 스트론튬 티탄산염, 바륨 티탄산염, 스트론튬 티탄산염, 납 지르코늄 티탄산염, 바륨 지르코늄 티탄산염, 탄탈 티탄산염, 납 란란 티탄산염, 바륨 스트론튬 니오븀산염, 바륨 란탄 티탄산염, 란탄 알루민산염, 이트륨 알루민산염, 스트론튬 알루미늄 탄탈산염 또는 바륨 티탄 니오븀산염인 커패시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 위에 상부 전도성 전극을 형성한 커패시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도성 전극은 귀금속, 귀금속 산화물, 전도성 산화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인 커패시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도성 전극 위에 패시베이팅층(passivating layer)을 형성한 커패시터.
  10. 실리콘 함유 물질상에 직접 디포지션되며, 유전 상수가 10 또는 그 이상인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Si 또는 Si 함유 물질로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하부 전극상에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을 이 물질의 유전 상수 및 품질(quality)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온도에서 어닐링(annealing)하는 단계와,
    (d) 상기 어닐링된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상에 상부 전도성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는 약 450 ℃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화학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보조(plasma assisted) 화학적 증착, 저압 화학적 증착,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적 증착, 금속 유기 분해, 졸-겔(sol-gel), 발산(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펄스 레이져 디포지션(pulsed laser deposition)에 의해 수행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e) 상기 상부 전도성 전극 위에 패시베이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패시터 제조 방법.
  14.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게이트 절연체(gate insulator)에 있어서,
    유전 상수가 10 또는 그 이상인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체.
  15. 게이트 절연체로서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반도체 전극을 포함하는 구조상에 유전 상수가 10 또는 그 이상인 비결정성 유전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을 이 물질의 유전 상수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어닐링된 비결정성 유전체 물질상에 게이트 도체(gate conductor)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전극은 실리콘, 실리콘 함유 물질, 반도체 유기 물질 또는 반도체 무기 물질인 것인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20000022497A 1999-04-27 2000-04-27 실리콘상의 비결정성 유전체 커패시터 KR20010014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00,185 1999-04-27
US09/300,185 US6255122B1 (en) 1999-04-27 1999-04-27 Amorphous dielectric capacitors on silic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838A true KR20010014838A (ko) 2001-02-26

Family

ID=2315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497A KR20010014838A (ko) 1999-04-27 2000-04-27 실리콘상의 비결정성 유전체 커패시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6255122B1 (ko)
KR (1) KR20010014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75B1 (ko) * 2009-10-09 2010-09-2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가변 대역통과 능동 여파기 및 구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075A (ja) * 1999-02-12 2000-08-29 Sony Corp 誘電体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323874B1 (ko) * 1999-12-22 2002-02-16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산화막 형성 방법
KR100356473B1 (ko) * 1999-12-29 2002-10-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옥사이드 박막 형성 방법
US6541280B2 (en) * 2001-03-20 2003-04-01 Motorola, Inc. High K dielectric film
US6770923B2 (en) * 2001-03-20 2004-08-0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 K dielectric film
US6593181B2 (en) * 2001-04-20 2003-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ilored insulator properties for devices
US6511873B2 (en) * 2001-06-15 2003-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dielectric constant insulators for FEOL capacitors
US6573193B2 (en) * 2001-08-13 2003-06-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Ozone-enhanced oxidation for high-k di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US6559014B1 (en) * 2001-10-15 2003-05-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eparation of composite high-K / standard-K dielectrics for semiconductor devices
AU2003236143A1 (en) * 2002-05-22 2003-12-02 Masashi Kawasaki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comprising same
US6984592B2 (en) * 2002-08-28 2006-01-10 Micr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metal-doped alumina
CN100367502C (zh) * 2002-09-19 2008-02-06 自由度半导体公司 高k介质膜及其制造方法
US20040121566A1 (en) * 2002-12-23 2004-06-24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Method to produce low leakage high K materials in thin film form
KR100518577B1 (ko) 2003-05-26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타임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반도체 집적회로와 그 제조방법
CN100517608C (zh) * 2004-02-28 2009-07-22 三星电子株式会社 非晶电介质薄膜及其制造方法
GB0427900D0 (en) * 2004-12-21 2005-01-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emiconductor device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gate ins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985995B2 (en) 2006-08-03 2011-07-26 Micron Technology, Inc. Zr-substituted BaTiO3 films
US20120196189A1 (en) 2007-06-29 2012-08-02 Johnson Ip Holding, Llc Amorphous ionically conductive metal oxides and sol gel method of preparation
US8211496B2 (en) * 2007-06-29 2012-07-03 Johnson Ip Holding, Llc Amorphous lithium lanthanum titanate thin films manufacturing method
US9034525B2 (en) * 2008-06-27 2015-05-19 Johnson Ip Holding, Llc Ionically-conductive amorphous lithium lanthanum zirconium oxide
US7851307B2 (en) * 2007-08-17 2010-12-1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complex oxide nanodots for a charge trap
US20090092903A1 (en) * 2007-08-29 2009-04-09 Johnson Lonnie G Low Cost Solid State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974856B2 (en) 2009-06-02 2015-03-10 Uchicago Argonne, Llc Method for fabrication of ceramic dielectric films on copper foils
WO2013131005A2 (en) 2012-03-01 2013-09-06 Excellatron Solid State, Llc High capacity solid state composite cathode, solid state composite separator, solid-state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084168B2 (en) 2012-10-09 2018-09-25 Johnson Battery Technologies, Inc. Solid-state battery separator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10186570B2 (en) 2013-02-08 2019-01-22 Entegris, Inc. ALD processes for low leakage current and low equivalent oxide thickness BiTaO films
JP6763965B2 (ja) 2015-12-21 2020-09-30 ジョンソン・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エルエルシー 固体電池、セパレータ、電極および製造方法
US10218044B2 (en) 2016-01-22 2019-02-26 Johnson Ip Holding, Llc Johnson lithium oxygen electrochemical engine
US9881747B2 (en) 2016-01-29 2018-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olid state ultracapacitor
CN112151357B (zh) * 2020-09-24 2023-03-21 欧阳俊 一种钛酸钡基超顺电膜及其中低温溅射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6761A (ja) * 1990-11-20 1992-07-03 Seiko Epson Corp 高誘電体記憶装置
JPH04370967A (ja) * 1991-06-20 1992-12-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6140385A (ja) * 1992-10-26 1994-05-20 Fujitsu Ltd 高誘電率誘電体薄膜の製造方法
JPH06140570A (ja) * 1992-10-26 1994-05-20 Fujitsu Ltd 高誘電率誘電体薄膜を有する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H0917949A (ja) * 1995-06-30 1997-01-17 Nec Corp 高誘電率膜キャパシ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26208T2 (de) 1993-08-05 2001-05-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Halbleiterbauelement mit Kondensator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KR0174594B1 (ko) 1994-11-26 1999-04-01 이재복 실리콘 웨이퍼상에 백금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실리콘 기판 및 그 기판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JP3363301B2 (ja) 1995-03-08 2003-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強誘電体薄膜被覆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強誘電体薄膜被覆基板によって構成された不揮発性メモリ
KR100322695B1 (ko) 1995-03-20 2002-05-13 윤종용 강유전성캐패시터의제조방법
JP2802262B2 (ja) 1995-06-26 1998-09-24 現代電子産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キャパシター製造方法
US5716875A (en) 1996-03-01 1998-02-10 Motorola, Inc. Method for making a ferroelectric device
KR970076816A (ko) 1996-05-06 1997-12-12 김광호 누설 전류를 이용한 다진법 강유전체 랜덤 액세서 메모리
JP2838196B2 (ja) 1996-08-20 1998-12-16 東京工業大学長 単一トランジスタ型強誘電体メモリへのデータ書込み方法
JPH10116964A (ja) * 1996-10-09 1998-05-06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装置
US5784310A (en) 1997-03-03 1998-07-21 Symetrix Corporation Low imprint ferroelectric material for long retention memo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498097B1 (en) 1997-05-06 2002-12-24 Tong Yang Ce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preferred orientation-controlled platinum film using oxygen
TW331029B (en) * 1997-07-28 1998-05-01 Ti Acer Co Ltd The crown shape stack capacitor and its produc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6761A (ja) * 1990-11-20 1992-07-03 Seiko Epson Corp 高誘電体記憶装置
JPH04370967A (ja) * 1991-06-20 1992-12-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6140385A (ja) * 1992-10-26 1994-05-20 Fujitsu Ltd 高誘電率誘電体薄膜の製造方法
JPH06140570A (ja) * 1992-10-26 1994-05-20 Fujitsu Ltd 高誘電率誘電体薄膜を有する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H0917949A (ja) * 1995-06-30 1997-01-17 Nec Corp 高誘電率膜キャパシ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75B1 (ko) * 2009-10-09 2010-09-2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가변 대역통과 능동 여파기 및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4505A1 (en) 2001-08-16
US20010014484A1 (en) 2001-08-16
US6255122B1 (en)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4838A (ko) 실리콘상의 비결정성 유전체 커패시터
US6172385B1 (en) Multilayer ferroelectric capacitor structure
JP3207110B2 (ja) コンデンサとその形成方法
KR100493040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30052357A1 (en) Interlayer oxide containing thin films for high dielectric constant application
US20040018747A1 (en) Deposition method of a dielectric layer
US9887083B2 (en)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JPH11204746A (ja) 強誘電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26808A (ko) 핀형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3720A (ko) 강유전체 캐패시터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캐패시터를이용한 메모리셀
KR20000053364A (ko) Beol 감결합 커패시터
US7575940B2 (en) Dielectric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capacitor having the dielectric film
KR100275121B1 (ko)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방법
US7180119B2 (en) Capaci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18518B1 (ko)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23243A1 (en) Ferroelectric capacitor
US6339007B1 (en) Capacitor stack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description
KR100238210B1 (ko) 산화티탄마그네슘 박막을 이용한 fram 및 ffram 소자
JP3123448B2 (ja) 薄膜キャパシタ
JPH0513676A (ja) 半導体装置
JP2001127267A (ja) 相互作用の防止方法および多層電気装置
KR100398661B1 (ko) 집적화 전자기소자용 박막 커패시터 제조 방법
JPH0748448B2 (ja) 薄膜キャパシタとその製造方法
KR10028221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10045968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27

Effective date: 200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