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503A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503A
KR20010007503A KR1020000034782A KR20000034782A KR20010007503A KR 20010007503 A KR20010007503 A KR 20010007503A KR 1020000034782 A KR1020000034782 A KR 1020000034782A KR 20000034782 A KR20000034782 A KR 20000034782A KR 20010007503 A KR20010007503 A KR 2001000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electrode
electrode
dielectric substrate
fe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103B1 (ko
Inventor
나구모소지
츠바키노부히토
가와하타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0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6Surface waveguide constituted by a single conductor, e.g. strip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05Patch antenna using one or more coplanar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한쪽 측면에서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와 무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서 상기 단락부들이 형성된 측면 이외의 상호 다른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2개의 주파수대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표면실장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휴대 전화 등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2개의 주파수대에서의 통신에 적합한 종래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안테나 장치 100은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다르고,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용량결합을 통해 1개의 신호원(signal source) 103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 101, 10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가 서로 다른 2개의 패치 안테나를 일렬로 배치함으로써 2개의 주파수대에 응답하는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안테나 장치에서, 2개의 패치 안테나 101, 102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2개의 패치 안테나 사이에서 불필요한 간섭이 발생하며, 필요한 특성을 얻는 것이 방해받는다. 2개의 패치 안테나간의 상호 간섭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저하시키도록, 양자의 간격을 3/10 파장 이상으로 넓힐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가 전체적으로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는 휴대 전화 등의 통신장치의 소형화가 촉진되고 있지만, 2개의 패치 안테나를 일렬로 배치시킨 구성에서는 통신장치의 소형화를 촉진하는데에 장애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통신장치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해서, 안테나 장치를 집적 회로 구성으로 제조하는 기술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2개의 주파수대를 가지고 있는 표면실장 안테나 장치를 개발하는 제 1 단계에서, 제 1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제 1 표면실장 안테나 장치와, 제 2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제 1 표면실장 안테나를 제작하였고, 이 2개의 표면실장 안테나를 실장기판에 근접하게 배치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2개의 표면실장 안테나 장치를 준비하는 것은 안테나 장치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고, 통신장치의 대폭적인 소형화를 이루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를 표면실장형으로 구성하여 소형화한다면, 이득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한다. 이 새로운 문제는 안테나 장치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지만, 안테나 장치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안테나 장치들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연구 개발에서 다양한 시도를 행한 후에, 2개의 주파수에서 응답하는 것이 가능한 1개의 칩구성으로 구성된 안테나 전극의 독특한 구성을 발명함으로써 획기적으로 발전을 달성하였다. 이에 의해, 2개의 안테나 전극 패턴이 1개의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근방에 배치되더라도, 이득의 악화를 저하시킬 수 있고, 전극들 사이의 상호 신호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환경하에서, 2개의 주파수에서 응답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전극의 독특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성능으로 소형의 단일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방사전극의 영역을 연장시킨 각종의 안테나 장치의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도 6은 내부에 캐버티가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의 각종의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도 7은 유전체 기판의 실장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사용예(통신장치에의 실장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종래 안테나 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유전체 기판 2 ... 상면
3 ... 급전 방사전극 4 ... 무급전 방사전극
8, 9 ... 단락부 13 ... 신호원
15 ... 실장기판 16 ... 접지면
17, 22 ... 개방단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는,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한쪽 측면에서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와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서 상기 단락부들이 형성된 측면을 피하여 상호 다른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을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안테나 장치에서,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은 유전체 기판의 상호 대면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은 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이 실질적으로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 기판은 평행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급전 방사전극 또는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한쪽 방사전극은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서 한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쪽 방사전극은 상면의 남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다른쪽 전극은 상기 한쪽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반대쪽 상면의 다른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방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다른쪽 전극에 인접해 있는 상기 한쪽 전극의 외주는, 상기 외주와 상기 다른쪽 전극 사이의 거리가 상기 한쪽 전극의 사변형 영역의 폭의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의 방향을 따라서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아울러, 급전 방사전극 및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꼬불꼬불한(meande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홀이 형성되거나 저측에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캐버티(cavity)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corner portion)에 실장되고,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은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장기판은 긴 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무급전 방사전극은 실장기판의 긴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이 유전체 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유전체 기판을 실장기판에 실장할 때에, 상기 개방단들과 접지전극(접지면) 사이의 전자계 결합을 높은 강도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상기 개방단들에서 전계의 강도가 강화되어서, 안테나를 1개의 칩으로 형성함으로 인한 안테나의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이득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이 유전체 기판, 예를 들어 유전체 기판의 대면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므로, 개방단과 단락부를 결합시키는 방향(공진 전류의 방향)으로 표현되는 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은 실질적인 직교 방향 등(급전 방사전극으로 방사되는 전파의 편파면의 방향과 무급전 방사전극으로 방사되는 전파의 편파면의 방향이 서로 직교 등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정)으로 교차한다. 그 결과,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을 1개의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서로 근접하게 배치할 때에도, 양 방사전극 사이의 신호 간섭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이로 인해 2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각 단락부는 각 방사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최대인 경우에 도체 전극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하기 기술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제 1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6은 각종의 전극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 1의 표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서, 유전체 기판 1은 높은 유전율을 가지고 있는 세라믹, 수지 등의 재료로 직사각형의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에는, 급전 방사전극 3 및 무급전 방사전극 4가 각각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무급전 방사전극 4는 직사각형 상면 2의 좌측에서 긴 가장자리를 따라서 사변형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사변형 영역은 상면 2의 좌측에서 긴 가장자리의 전 길이에 연장되어 있다. 급전 방사전극 3은 상면 2의 상부 우측에서 짧은 가장자리의 구석을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면 2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무급전 방사전극 4와 우측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 3은 갭 5에 의해 떨어져 있다.
유전체 기판 1의 전방 측면 7 상에는,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최내측의 꼬불꼬불한 패턴 4a에 도전되는 단락부 8, 급전 방사전극 3의 최내측의 꼬불꼬불한 패턴 3a에 도전되는 단락부 9, 접지부 10 등의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 1의 저면의 실질적인 전면에는 접지전극 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락부 8과 접지부 10은 이 접지전극 6에 도전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 기판 1의 저면에서 상기 접지전극 6 내에는 유전체 영역 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전체 영역 11 내에 급전 접속전극 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급전 접속전극 12는 상기 단락부 9에 도전되어 있다. 이 급전 접속전극 12에 신호원 13이 접속됨으로써, 신호원 1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급전 방사전극 3까지 신호가 급전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상기 단락부 8, 9가 상호 전자계 결합(전자 결합)을 형성하도록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신호원 13으로부터 급전 방사전극 3까지 급전된 신호는 전자계 결합을 통해서 무급전 방사전극 4에 인가되고,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는 둘 다 합전된 신호의 파장의 1/4 파장을 따라서 공진하여 안테나 작동을 행한다. 급전 방사전극 3에서 안테나 작동용 파장과 무급전 방사전극 4에서 안테나 작동용 파장은 상호 다른 파장이 되게 설정된다.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에는 급전 방사전극 3이 높이 방향의 중간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 1이 실장기판 15의 접지면(접지전극) 16 상에 실장되어 있어서, 이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과 접지면 16은 용량결합되며, 이 우측면 14의 용량 결합부는 급전 방사전극 3의 강한 강도의 전계부 18로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 1의 좌측면 19에는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 22에 도전되어 있는 개방단 전극 20이 무급전 방사전극 4측으로부터 하향의 접지면 16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단 전극 20의 하단과 접지면 16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개방단 전극 20과 접지면 16은 용량결합되어서, 이 좌측면 19의 용량결합부는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강한 강도의 전계부 2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는,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참조부호 20 및 21로 표현된 부분)이 유전체 기판 1의 상호 대면하는 측면 14, 19에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 1의 후방 측면 23의 저부 근방에는 접지부 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락부 10은 접지전극 6에 도전되어 있다.
제 1 구현예의 안테나 장치에서 유전체 기판 1의 전극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안테나 작동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신호원 13으로부터의 신호가 급전 방사전극 3에 직접적으로 급전되면서, 신호 전류의 강도가 최대가 되는 단락부 8, 9간의 전자계 결합에 의해 무급전 방사전극 4에도 신호원 13의 신호가 급전된다. 급전 방사전극 3에 급전된 신호 전류는 단락부 9로부터 개방단 17을 향하여 흐르며, 설정 주파수 f1에서의 공진에 의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발진한다. 한편, 무급전 방사전극 4에 급전된 신호 전류는 단락부 8로부터 개방단 20을 향하여 흐르며, f1과 다른 설정 주파수 f2에서의 공진에 의해 화살표 B의 방향(화살표 A의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발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원 13으로부터 급전된 신호는 주파수 f1및 주파수 f2에서 각각 안테나 작동을 행한다. 급전 방사전극 3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화살표 A 방향의 발진 방향과 유사하며, 무급전 방사전극 4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화살표 B 방향의 발진 방향과 유사하다. 따라서, 급전 방사전극 3을 통해 흐르는 전류(공진 전류)의 방향은 무급전 방사전극 4에 흐르는 전류(공진 전류)의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1개의 칩 유전체 기판 1 상에 각기 다른 주파수로 안테나 작동을 행하는 방사전극 3, 4를 상호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대폭 소형화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체 기판 1은 유전율이 높아서, 신호의 관내 파장(방사전극을 통해 전파되는 신호의 파장)을 단축시키는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것은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 전극(개방단 20, 22)이 유전체 기판 1의 상호 대면하는 측면 14, 19측에 형성됨으로써, 급전 방사전극 3을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은 무급전 방사전극 4를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과 직교한다. 그 결과, 양 방사전극 3, 4의 발진 방향(또는, 편파 방향) A, B도 직교 관계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를 유전체 기판 1의 상면에 상호 근접하게 배치하더라도, 급전 방사전극 3측의 신호와 무급전 방사전극 4측의 신호간의 간섭이 억제되어서, 고성능의 안테나 작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을 유전체 기판 1의 대면하는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강한 강도의 전계부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급전 방사전극 3측의 신호와 무급전 방사전극 4측의 신호와의 간섭이 억제되게 방사전극 3, 4의 각 공진이 행해지며, 또한 각 방사전극 3, 4의 개방단 17, 20은 유전체 기판 1의 접지면 16과 정전 결합하도록 형성되므로, 이 개방단 17, 20에서 전계가 집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사전극들 사이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테나 장치의 소형에도 불구하고 이득의 저하를 억제하는 고품질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제 2 구현예를 도시한다. 제 2 구현예에서, 급전 방사전극 3은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의 전방측을 따른 사변형 영역(상면 2를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상측의 짧은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무급전 방사전극 4는 상면 2의 좌측의 하부 구석을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방사전극 3, 4의 상기 배치 구성에 대응하여,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의 전극은 유전체 기판 1의 전방 측면 7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락부 8, 9의 전극은 유전체 기판 1의 좌측면 19에 형성되고,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 전극(개방단) 20이 유전체 기판 1의 후방 측면 23에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상기 제 1 구현예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도 상기 제 1 구현예와 유사하게 작동되며, 제 1 구현예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를 도시한다. 제 3 구현예는, 급전 방사전극 3에 신호가 용량결합에 의해 급전된다는 특징이 있다. 제 3 구현예에서는,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에서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배치 구성이 상기 제 1 구현예와 유사하다. 또한,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와 좌측면 19의 전극 패턴도 도 1에 도시된 패턴과 유사하다. 도 3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는 용량결합에 의해 급전이 달성되므로,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에서 급전 접속전극 12가 저면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서, 급전 접속전극 12의 연장 선단(상단)과 급전 방사전극 3과의 사이의 간격 24를 통해서 급전 접속전극 12와 급전 방사전극 3과의 용량결합이 이루어진다.
신호원 13은 우측면 14에서 급전 접속전극 12에 접속되고, 단락부 8, 9는 실장기판 15의 접지면 16에 도전되게 배열되어 있다.
제 3 구현예에서는, 신호원 13으로부터의 신호가 급전 접속전극 12를 통해서 급전 방사전극 3에 용량결합에 의해 급전되고, 급전 방사전극 3의 공진 전류는 개방단 17과 단락부 9를 직선으로 연결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단락부 8, 9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최대가 되고, 근접하게 배치된 단락부 8, 9는 전자계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신호원 13으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전자계 결합에 의해 무급전 방사전극 4에 급전된다. 무급전 방사전극 4에서는, 단락부 8과 개방단 22(개방단 전극 20)를 직선으로 연결한 화살표 B 방향으로 공진 전류가 흐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구현예에서는, 상기 제 1 구현예와 유사하게, 급전 방사전극 3을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은 무급전 방사전극 4를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제 1 구현예와 유사한 동작에 의해 제 1 구현예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 4 구현예를 도시한다. 또한, 제 4 구현예에서도, 급전 방사전극 3에 신호가 용량결합에 의해 급전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신호가 직접 여진에 의해 급전되는 제 2 구현예에 도시된 장치에서 용량결합 방식이 변형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는,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와 좌측면 19의 전극 패턴은 도 2에 도시된 패턴과 유사하다.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용량결합 방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에서 급전 접속전극 12가 상방으로 연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급전 접속전극 12의 연장 선단(상단)과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 사이의 간격 24를 통해서 급전 접속전극 12와 급전 방사전극 3과의 용량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4 구현예에서는,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이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에 형성되고,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개방단 전극 20)이 후방 측면 23에 형성됨에 따라서,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은 상호 직각의 각기 다른 측면 14, 23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강한 강도의 전계부 사이의 상호 신호 간섭을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체 기판 1의 좌측면 19에서 단락부 8과 단락부 9는 함께 실장기판 15의 접지면 16에 접속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 4 구현예에서는, 상기 제 3 구현예와 유사하게, 신호원 13으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급전 접속전극 12를 통해서 급전 방사전극 3에 용량결합에 의해 급전되고, 무급전 방사전극 4에는 단락부 8과 단락부 9간의 전자계 결합에 의해 급전되어서, 상기 각 구현예와 유사하게 안테나 작동이 행해진다.
상기 안테나 작동에서, 상기 각 구현예와 유사하게, 급전 방사전극 3을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A 방향)은 무급전 방사전극 4를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B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여서, 상기 각 구현예들과 유사한 작동에 의해 유사한 효과를 달성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특성이 한층 더 개선된 상기 각 구현예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제 1 구현예(도 1)의 장치의 개선예를 도시하고, 도 5b는 제 2 구현예(도 2)의 장치의 개선예를 도시하며, 도 5c는 제 3 구현예(도 3)의 장치의 개선예를 도시하고, 도 5d는 제 4 구현예(도 4)의 장치의 개선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각 개선예는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에 방사전극 3, 4가 형성되지 않는 무용 공간(dead space) 또는 영역에 형성된 방사전극 3 또는 방사전극 4의 패턴을 신장시켜서, 안테나 특성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
도 5a에서, 무급전 방사전극 4에 인접한 측에서 급전 방사전극 3의 외주 25는, 전방 측면 7측으로부터 후방 측면 23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외주 25와 무급전 방사전극 4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외주 25가 반대측 측면 23에 이르게 되고 급전 방사전극 3의 영역이 증가한다. 따라서,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은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의 실질적인 전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에서, 급전 방사전극 3의 돌출부 3b가 전방 측면 7의 근방에 실장기판 15의 접지면 16을 향하여 연장하게 형성되어서, 접지면 16과 급전 방사전극 3과의 용량결합이 국부적으로 강화된다.
도 5a의 실시예에서는, 급전 방사전극 3의 전극 영역의 신장으로 인해 안테나의 체적이 증가하여, 급전 방사전극 3의 안테나 특성이 방사전극의 한도까지 개선된다. 또한, 급전 방사전극 3의 개방단 17의 영역이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도록 신장됨으로써, 강한 강도의 전계 영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이득이 증대되며,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급전 방사전극 3의 외주 25는 무급전 방사전극 4와 외주 25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방향에서는,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 사이의 신호 간섭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간섭 억제 효과에 의해 특성이 개선되며, 양 방사전극 3, 4의 임피던스 정합의 조절이 용이하며, 방사전극 3, 4간의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b는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전극 영역이 유전체 기판 1의 상면 2 상의 무용 공간에서 신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급전 방사전극 3에 인접한 측에서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외주 25는, 좌측면 19으로부터 우측면 14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외주 25와 급전 방사전극 3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외주 25가 반대측 측면 23에 이르게 되고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영역이 증가한다. 따라서,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 21은 유전체 기판 1의 후방 측면 23의 전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서는,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전극 영역의 신장으로 인해 안테나의 체적이 증가하여,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안테나 특성이 방사전극의 한도까지 개선된다. 또한,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개방단 21의 영역이 유전체 기판 1의 후방 측면 23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도록 신장됨으로써, 강한 강도의 전계 영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이득이 증대되며,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외주 25는 급전 방사전극 3과 외주 25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방향에서는,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 사이의 신호 간섭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간섭 억제 효과에 의해 특성이 개선되며, 양 방사전극 3, 4의 임피던스 정합의 조절이 용이하며, 방사전극 3, 4간의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c는 도 5a의 경우에서처럼 급전 방사전극 3의 전극 영역이 신장되어, 도 5a의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5d는 도 5b의 경우에서처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전극 영역이 신장되어, 도 5b의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상술한 각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기판 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구현예는 유전체 기판 1의 내부에 캐버티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기판 1의 내부에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2개의 홀 26이 그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기판 1의 내부에 폭이 보다 넓은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홀 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들 26은 유전체 기판 1의 우측면 14로부터 좌측면 19까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저면 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 1 내부에 캐버티 27을 형성시켜, 저면 개구의 상자 형상의 유전체 기판 1를 구성한다.
홀 26 또는 캐버티 27의 형성으로, 유전체 기판 1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유전체 기판 1의 실효 유전율을 저하시킴으로써, 광대역화, 고이득화가 실현되고, 방사전극과 접지전극간의 전계 집중이 완화된다. 또한, 각 방사전극 3, 4의 개방단에서 용량결합이 강화되어, 전계 강도가 강해지며, 이득이 향상되고, 아울러 안테나 특성도 한층 더 향상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실장기판 15에 유전체 기판 1를 실장시키는 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는 제 1 구현예(도 1)에 도시된 유전체 기판 1의 실장배치 구성을 도시하고, 도 7b는 제 2 구현예(도 2)에 도시된 유전체 기판 1의 실장배치 구성을 도시하며, 도 7c는 제 3 구현예(도 3)에 도시된 유전체 기판 1의 실장배치 구성을 도시하고, 도 7d는 제 4 구현예(도 4)에 도시된 유전체 기판 1의 실장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유전체 기판 1의 실장 배치 구성에서는, 유전체 기판 1이 실장기판 15의 직사각형 실장면(접지면 16)의 구석에 실장되며, 또한 무급전 방사전극 4를 실장기판 15의 긴측의 가장자리 28을 따라서 배치하고, 급전 방사전극 3을 실장기판 15의 짧은측의 가장자리 29를 따라서 배치한 실장기판 15에 유전체 기판 1이 실장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구현예들에서는, 유전체 기판 1이 실장기판 15의 직사각형 실장면(접지면 16)의 구석에 실장되며,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가 실장기판 15의 가장자리 28, 29를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기판단 실장에 따른 에지 효과에 의해 전계 집중이 완화됨으로써 대역폭이 협소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실장기판 15를 통해 흐르는 이미지(image) 전류가 실장기판 15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도전됨으로써 이득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무급전 방사전극 4를 실장기판 15의 긴측의 가장자리 28을 따라서, 급전 방사전극 3을 실장기판 15의 짧은측의 가장자리 29를 따라서 배치하는 구성으로, 양 방사전극 3, 4의 이득 저하가 방지되며, 또한 급전 방사전극 3측과 무급전 방사전극 4측의 감도가 밸런스를 맞추게 된다. 보다 상세히하면, 안테나 작동에서, 방사전극 3, 4를 실장기판 15의 가장자리들을 따라서 위치결정함으로써 감도가 향상될 것이고, 여기에서 긴측이 짧은측보다 감도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구현예들에서,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를 감도가 향상되는 실장기판 1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함으로, 양 방사전극 3, 4의 이득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의 감도를 비교하면, 신호원 13에 의해 직접적으로(일차적으로) 급전되는 급전 방사전극 3측의 감도가 간접적으로(이차적으로) 급전되는 무급전 방사전극 4측 보다 높다. 이에 대해서, 본 구현예에서는, 이차 여진에 의해 감도가 떨어지는 무급전 방사전극 4를 감도가 높은 실장기판 15의 긴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하고, 일차 여진에 의해 감도가 우수한 급전 방사전극 3을 감도가 낮은 실장기판 15의 짧은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하므로, 방사전극 3과 방사전극 4의 감도의 밸런스에 의해 양호한 안테나 작동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예의 안테나 장치의 사용예(통신장치에의 탑재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통신장치 30의 케이스 31 내에는 실장기판 15가 형성되어 있고, 실장기판 15에는 급전회로 32가 형성되어 있다. 실장기판 15의 접지면(접지전극) 16 상에는,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 등의 전극 패턴이 형성된 유전체 기판 1이 표면실장 안테나로서 실장되어 있다. 급전 방사전극 3은 신호원 13을 구비하고 있는 급전회로 32에 직접 또는 용량결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급전회로 32는 스위칭회로 33을 통해서 송신회로 34 및 수신회로 35에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장치 30에서는, 급전회로 32의 신호원 13의 급전신호가 유전체 기판 1의 안테나에 공급되어, 상술한 원하는 안테나 작동을 실행하며, 스위칭회로 33의 스위칭 작동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실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구현예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구현예를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구현예에서는, 유전체 기판 1를 평행직육면체 형상(긴 사변형 형상의 상면 2를 가지고 있는 직사각의 입방체 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정사각형 형상의 상면 2를 가지고 있는 직사각의 입방체 형상이어도 되고, 그 외에도 상면 2가 다각형(예를 들어, 6각형 또는 10각형 등) 또는 원통체 등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각 구현예에서, 급전 방사전극 3과 무급전 방사전극 4는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반드시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낮은 주파수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방사전극의 패턴이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꼬불꼬불한 형상이 사용 주파수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각 주파수에 응답하여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이 1개의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주파수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형성된 방사전극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안테나 장치의 대폭의 소형화를 달성함으로써, 통신장치의 소형화의 요구에 충분하게 부합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기판의 한쪽 측면에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들이 전자계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고,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이 유전체 기판의 단락부들의 형성면을 피하여 유전체 기판의 다른 표면에 형성되므로,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 각각을 통해 흐르는 공진 전류의 방향은 상호 교차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 등으로 교차한다. 그 결과, 급전 방사전극측의 신호와 무급전 방사전극측의 신호와의 발진 방향(또는 편파 방향)도 상호 교차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교 등으로 교차한다. 이에 의해,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이 1개의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더라도, 양 방사전극들의 신호간의 간섭이 억제되며, 급전 방사전극측과 무급전 방사전극측의 양측에서 각 주파수에 응답하여 안정한 공진 작동의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이 유전체 기판의 다른측면에 배치됨에 따라서,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강한 강도의 전계부들간의 상호 신호 간섭이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간섭 억제 효과에 의해, 임의의 한쪽의 방사전극이 조정되더라도, 다른쪽의 방사전극의 특성상의 조정 효과도 억제될 것이며, 이에 의해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양측의 공진 주파수 특성 사이의 조정을 일치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따라서, 방사전극들 사이의 간섭의 억제에 의해, 광대역화 및 고이득화가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급전 방사전극측의 신호와 무급전 방사전극측의 신호간의 간섭 방지의 효과에 부가하여, 전계의 강도가 최대가 되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이 유전체 기판의 각기 다른 측면에 배치되므로, 양 개방단의 전계 사이의 간섭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테나 특성이 향상되며, 급전 방사전극측과 무급전 방사전극측의 안테나 작동의 이득이 향상되고,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통신에 필요한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유전체 기판이 평행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서는, 급전 방사전극 또는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한쪽 방사전극이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서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방사전극은 상면의 남은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른쪽 전극은 상기 한쪽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반대쪽 상면의 다른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방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다른쪽 전극에 인접해 있는 상기 한쪽 전극의 외주는, 상기 외주와 상기 다른쪽 전극 사이의 거리가 상기 한쪽 전극의 사변형 영역의 폭의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의 방향을 따라서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외주가 굴곡된 방사전극의 영역이 신장되어, 유전체 기판의 상면의 실질적인 전면에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양 전극을 형성한다.
외주가 굴곡된 방사전극의 영역이 신장되더라도, 외주는 대면하는 방사전극으로부터 거리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며, 양 방사전극들 사이의 신호 간섭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안테나의 체적이 증가하고, 안테나의 특성이 그의 한도까지 향상된다.
아울러,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된 방사전극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고, 저주파수의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2개의 주파수가 폭넓게 분리되면, 한쪽의 방사전극은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높은 주파수로 설정되고, 다른쪽의 방사전극은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낮은 주파수로 설정되고, 이에 의해 1개의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높은 주파수에서 발진되는 방사전극과 낮은 주파수에서 빌진되는 방사전극을 지장없이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아울러, 유전체 기판의 내부에 홀을 형성하거나 저측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캐버티를 구비하고 있는 유전체 기판의 구성에서는, 안테나 장치를 경량화시켜 제작할 수 있고, 유전체 기판의 실효 유전율을 저하시켜서, 양 방사전극과 접지전극간의 전계 집중이 완화되고, 광대역화, 고이득화가 실현된다. 또한, 유전체 기판의 실효 유전율의 저하에 의해,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사전극 상의 전계가 분산 효과에 의해 약해지며, 역으로, 방사전극의 개방단에서는 용량결합(접지면과의 용량결합)이 강화되어 전계의 강도도 강화되고, 이에 의해 안테나 특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이 형성된 유전체 기판을 실장기판의 구석에 실장하는 구현예에서, 안테나 작동의 이득을 향상시키는(이득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급전 방사전극을 감도가 최대인 긴 사변형 형상의 실장기판의 긴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실장시킴으로써, 일차 급전측의 급전 방사전극 보다 감도가 낮은 이차 급전측의 무급전 방사전극의 감도를 상대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급전 방사전극의 감도와 무급전 방사전극의 감도의 밸런스를 맞추어서 한층 더 양호한 안테나 작동을 실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장치에서는, 이러한 소형의 표면 실장 안테나(안테나 장치)를 통신장치에 실장시킴으로써, 통신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조립 비용을 의 감소가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해서만 특히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당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변형 및 그 외의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1)

  1.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한쪽 측면에서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와 무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서 상기 단락부들이 형성된 측면 이외의 상호 다른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은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호 대면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이 실질적으로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이 실질적으로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평행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제 1 전극은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서 한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방사전극들 중의 제 2 전극은 상기 상면의 남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반대쪽 상면의 다른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방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전극에 인접해 있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주는, 상기 외주와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전극의 사변형 영역의 폭의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의 방향을 따라서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평행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제 1 전극은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서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방사전극들 중의 제 2 전극은 상기 상면의 남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반대쪽 상면의 다른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방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전극에 인접해 있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주는, 상기 외주와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전극의 사변형 영역의 폭의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의 방향을 따라서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평행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제 1 전극은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서 한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방사전극들 중의 제 2 전극은 상기 상면의 남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반대쪽 상면의 다른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방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전극에 인접해 있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주는, 상기 외주와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전극의 사변형 영역의 폭의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의 방향을 따라서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꼬불꼬불한(meandering)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적어도 1개의 캐버티(cavity)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적어도 1개의 캐버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적어도 1개의 캐버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적어도 1개의 캐버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적어도 1개의 캐버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corner portion)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기판은 긴 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긴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4.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과 무급전 방사전극;
    상기 유전체 기판의 한쪽 측면에서 상호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와 무급전 방사전극의 단락부; 및
    상기 유전체 기판에서 상기 단락부들이 형성된 측면 이외의 상호 다른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을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의 개방단은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호 대면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의 발진 방향이 실질적으로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평행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제 1 전극은 상기 유전체 기판의 상면에서 한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사변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방사전극들 중의 제 2 전극은 상기 상면의 남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반대쪽 상면의 다른 가장자리의 전 길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개방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전극에 인접해 있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주는, 상기 외주와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전극의 사변형 영역의 폭의 한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의 방향을 따라서 길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 및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 중의 적어도 하나는 꼬불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기판은 내부에 적어도 1개의 캐버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전체 기판은 사변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실장기판의 구석부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급전 방사전극과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기판은 긴 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급전 방사전극은 상기 실장기판의 긴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00034782A 1999-06-25 2000-06-23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 KR100343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79676 1999-06-25
JP17967699A JP3554960B2 (ja) 1999-06-25 1999-06-25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503A true KR20010007503A (ko) 2001-01-26
KR100343103B1 KR100343103B1 (ko) 2002-07-05

Family

ID=1606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782A KR100343103B1 (ko) 1999-06-25 2000-06-23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81848B1 (ko)
EP (1) EP1063722B1 (ko)
JP (1) JP3554960B2 (ko)
KR (1) KR100343103B1 (ko)
DE (1) DE6000460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32A2 (ko) * 2008-03-20 2009-09-2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페라이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8305B1 (en) 1999-05-25 2002-12-24 Intel Corporation Interconnect mechanics for electromagnetic coupler
US6576847B2 (en) 1999-05-25 2003-06-10 Intel Corporation Clamp to secure carrier to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upler
CN1151588C (zh) * 1999-09-09 2004-05-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表面安装型天线和包括它的通信装置
EP1258054B1 (en) 2000-01-19 2005-08-17 Fractus, S.A. Space-filling miniature antennas
JP3503556B2 (ja) * 2000-02-04 2004-03-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装備した通信装置
US6784843B2 (en) * 2000-02-22 2004-08-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resonance antenna
JP3468201B2 (ja) * 2000-03-30 2003-1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JP3658639B2 (ja) * 2000-04-11 2005-06-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機
JP2001298320A (ja) * 2000-04-13 2001-10-26 Murata Mfg Co Ltd 円偏波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DE10114012B4 (de) * 2000-05-11 2011-02-24 Amtran Technology Co., Ltd., Chung Ho Chipantenne
JP2001358517A (ja) * 2000-06-15 2001-12-26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機
DE60123963T2 (de) * 2000-08-04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Antenne und funkkommunikationsgerät mit einer derartigen antenne
JP2002076756A (ja) * 2000-08-30 2002-03-15 Philips Japan Ltd アンテナ装置
JP3554971B2 (ja) * 2000-09-25 2004-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円偏波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49844A1 (de) * 2000-10-09 2002-04-1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Miniaturisierte Mikrowellenantenne
DE10049843A1 (de) * 2000-10-09 2002-04-1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Fleckenmusterantenne für den Mikrowellenbereich
DE10049845A1 (de) * 2000-10-09 2002-04-1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Mehrband-Mikrowellenantenne
TW529203B (en) * 2000-11-14 2003-04-21 Ind Tech Res Inst Planar antenna device having slit
US6515627B2 (en) * 2001-02-14 2003-02-04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Multiple band antenna having isolated feeds
JP2002299933A (ja) * 2001-04-02 2002-10-11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の電極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JP2002314330A (ja) * 2001-04-10 2002-10-25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装置
JP3678167B2 (ja) 2001-05-02 2005-08-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この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無線通信機
EP1263079B1 (en) * 2001-05-25 2004-07-14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antenna
JP4044302B2 (ja) * 2001-06-20 2008-02-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機
GB0117882D0 (en) * 2001-07-21 2001-09-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a arrangement
JP3654214B2 (ja) * 2001-07-25 2005-06-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面実装アンテナ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た無線通信機
US6518924B1 (en) * 2001-08-13 2003-02-11 Ethertronics, Inc. Integrated multifrequency slot/patch antenna and method
KR100444217B1 (ko) * 2001-09-12 2004-08-16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칩 안테나
KR100444219B1 (ko) * 2001-09-25 2004-08-16 삼성전기주식회사 원형편파용 패치 안테나
US7088198B2 (en) * 2002-06-05 2006-08-08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coupling strength in electromagnetic bus coupling
JP3921425B2 (ja) * 2002-07-19 2007-05-30 株式会社ヨコオ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携帯無線機
AU2002333900A1 (en) 2002-09-10 2004-04-30 Fractus, S.A. Coupled multiband antennas
CN1723587A (zh) 2002-11-07 2006-01-18 碎云股份有限公司 含微型天线的集成电路封装
US6887095B2 (en) * 2002-12-30 2005-05-03 Intel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upler registration and mating
EP1586134A1 (en) 2003-01-24 2005-10-19 Fractus, S.A. Broadside high-directivity microstrip patch antennas
US6842149B2 (en) * 2003-01-24 2005-01-11 Solectron Corporation Combined mechanical package shield antenna
JP2005064938A (ja) 2003-08-14 2005-03-10 Nec Access Technica Ltd 小型無線機用アンテナ装置
JP4189306B2 (ja) 2003-12-04 2008-12-03 株式会社ヨコオ 誘電体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FI118748B (fi) 2004-06-28 2008-02-29 Pulse Finland Oy Pala-antenni
WO2006000650A1 (en) 2004-06-28 2006-01-05 Pulse Finland Oy Antenna component
WO2006008180A1 (en) 2004-07-23 2006-01-26 Fractus S.A. Antenna in package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on chip elements
US20090140947A1 (en) * 2004-11-08 2009-06-04 Misako Sasagawa Antenna Device and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FI20041455A (fi) 2004-11-11 2006-05-12 Lk Products Oy Antennikomponentti
FI20055353A0 (fi) 2005-06-28 2005-06-28 Lk Products Oy Sisäinen monikaista-antenni
FI20055420A0 (fi) 2005-07-25 2005-07-25 Lk Products Oy Säädettävä monikaista antenni
FI119009B (fi) 2005-10-03 2008-06-13 Pulse Finland Oy Monikaistainen antennijärjestelmä
FI118872B (fi) 2005-10-10 2008-04-15 Pulse Finland Oy Sisäinen antenni
FI118782B (fi) 2005-10-14 2008-03-14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antenni
FI118837B (fi) 2006-05-26 2008-03-31 Pulse Finland Oy Kaksoisantenni
US8618990B2 (en) 2011-04-13 2013-12-31 Pulse Finland Oy Wideband antenna and methods
US8738103B2 (en) * 2006-07-18 2014-05-27 Fractus, S.A. Multiple-body-configuration multimedia and smartphone multifunction wireless devices
US20080024366A1 (en) * 2006-07-25 2008-01-31 Arcadyan Technology Corporation Dual band flat antenna
US10211538B2 (en) 2006-12-28 2019-02-19 Pulse Finland Oy Direction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FI20075269A0 (fi) 2007-04-19 2007-04-19 Pulse Finland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antennin sovittamiseksi
KR100867507B1 (ko) 2007-07-12 2008-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안테나
WO2009013817A1 (ja) * 2007-07-25 2009-01-29 Fujitsu Limited 無線タグ
FI120427B (fi) 2007-08-30 2009-10-15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monikaista-antenni
JP2009105782A (ja) * 2007-10-25 2009-05-14 Brother Ind Ltd 回路基板および電話装置
JP5375614B2 (ja) * 2007-10-26 2013-12-25 Tdk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JP4924399B2 (ja) * 2007-12-13 2012-04-25 Tdk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JP5018488B2 (ja) 2008-01-15 2012-09-05 Tdk株式会社 アンテナモジュール
JP5218251B2 (ja) * 2009-04-24 2013-06-2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Rfidタグ読取装置
TWI383539B (zh) * 2009-08-14 2013-01-21 Univ Nat Chiao Tung 共平面天線單元及共平面天線
FI20096134A0 (fi) 2009-11-03 2009-11-03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antenni
FI20096251A0 (sv) 2009-11-27 2009-11-27 Pulse Finland Oy MIMO-antenn
US8847833B2 (en) 2009-12-29 2014-09-30 Pulse Finland Oy Loop resonator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ed field control
FI20105158A (fi) 2010-02-18 2011-08-19 Pulse Finland Oy Kuorisäteilijällä varustettu antenni
US9406998B2 (en) 2010-04-21 2016-08-02 Pulse Finland Oy Distributed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WO2011141860A1 (en) * 2010-05-14 2011-11-17 Assa Abloy Ab Wideband uhf rfid tag
JP5494310B2 (ja) * 2010-06-22 2014-05-14 Tdk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GB2484540B (en) 2010-10-15 2014-01-29 Microsoft Corp A loop antenna for mobile handset and other applications
FI20115072A0 (fi) 2011-01-25 2011-01-25 Pulse Finland Oy Moniresonanssiantenni, -antennimoduuli ja radiolaite
US8648752B2 (en) 2011-02-11 2014-02-11 Pulse Finland Oy Chassis-excit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673507B2 (en) 2011-02-11 2017-06-06 Pulse Finland Oy Chassis-excit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8866689B2 (en) 2011-07-07 2014-10-21 Pulse Finland Oy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for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system
US9450291B2 (en) 2011-07-25 2016-09-20 Pulse Finland Oy Multiband slot loop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123990B2 (en) 2011-10-07 2015-09-01 Pulse Finland Oy Multi-fe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531058B2 (en) 2011-12-20 2016-12-27 Pulse Finland Oy Loosely-coupled radio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9484619B2 (en) 2011-12-21 2016-11-01 Pulse Finland Oy Switchable diversity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8988296B2 (en) 2012-04-04 2015-03-24 Pulse Finland Oy Compact polarized antenna and methods
KR101378847B1 (ko) * 2012-07-27 2014-03-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대역 특성을 갖는 내장형 안테나
US10283854B2 (en) * 2012-10-08 2019-05-07 Taoglas Group Holdings Limited Low-cost ultra wideband LTE antenna
EP2904660B1 (en) * 2012-10-08 2019-09-25 Taoglas Group Holdings Limited Low cost ultra-wideband lte antenna
US9979078B2 (en) 2012-10-25 2018-05-22 Pulse Finland Oy Modular cel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10069209B2 (en) 2012-11-06 2018-09-04 Pulse Finland Oy Capacitively coupl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KR20140082438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조 방법
US10079428B2 (en) 2013-03-11 2018-09-18 Pulse Finland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s
US9647338B2 (en) 2013-03-11 2017-05-09 Pulse Finland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s
US9634383B2 (en) 2013-06-26 2017-04-25 Pulse Finland Oy Galvanically separated non-interacting antenna sector apparatus and methods
JP5726983B2 (ja) 2013-10-30 2015-06-03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アンテナ装置及び送受信用通信回路基板
US9680212B2 (en) 2013-11-20 2017-06-13 Pulse Finland Oy Capacitive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US9590308B2 (en) 2013-12-03 2017-03-07 Pulse Electronics, Inc. Reduced surface area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US9350081B2 (en) 2014-01-14 2016-05-24 Pulse Finland Oy Switchable multi-radiator high band antenna apparatus
US9948002B2 (en) 2014-08-26 2018-04-17 Pulse Finland Oy Antenna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methods
US9973228B2 (en) 2014-08-26 2018-05-15 Pulse Finland Oy Antenna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methods
US9722308B2 (en) 2014-08-28 2017-08-01 Pulse Finland Oy Low passive intermodulatio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9906260B2 (en) 2015-07-30 2018-02-27 Pulse Finland Oy Sensor-based closed loop antenna swapping apparatus and methods
US9755310B2 (en) 2015-11-20 2017-09-05 Taoglas Limited Ten-frequency band antenna
US10454174B2 (en) 2016-05-10 2019-10-22 Novatel Inc. Stacked patch antennas using dielectric substrates with patterned caviti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8223A (ja) * 1992-04-28 1993-11-19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2周波共用アンテナ
JPH05347507A (ja) * 1992-06-12 1993-12-27 Junkosha Co Ltd アンテナ
JPH0669715A (ja) * 1992-08-17 1994-03-11 Nippon Mektron Ltd 広帯域線状アンテナ
JPH06283924A (ja) * 1993-03-30 1994-10-07 Tokimec Inc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レイアンテナ
JPH0758539A (ja) * 1993-08-13 199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JPH07162225A (ja) * 1993-12-07 1995-06-23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
JP3319268B2 (ja) * 1996-02-13 2002-08-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JP3114605B2 (ja) * 1996-02-14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JPH09260934A (ja) * 1996-03-26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JP3277812B2 (ja) * 1996-06-18 2002-04-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
JP3114621B2 (ja) * 1996-06-19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JPH1032422A (ja) * 1996-07-16 1998-02-03 N T T Ido Tsushinmo Kk 平面回路型ノッチアンテナ
JP3279205B2 (ja) * 1996-12-10 2002-04-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通信機
JPH10190344A (ja) * 1996-12-20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ンテナ
JPH114113A (ja) * 1997-04-18 1999-01-06 Murata Mfg Co Ltd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JP3695123B2 (ja) * 1997-04-18 2005-09-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JPH11127014A (ja) * 1997-10-23 1999-05-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アンテナ装置
JP3252786B2 (ja) * 1998-02-24 2002-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JP2000134029A (ja) * 1998-10-23 2000-05-1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3468201B2 (ja) * 2000-03-30 2003-1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32A2 (ko) * 2008-03-20 2009-09-2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페라이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WO2009116832A3 (ko) * 2008-03-20 2009-12-2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페라이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04609T2 (de) 2004-06-17
KR100343103B1 (ko) 2002-07-05
US6281848B1 (en) 2001-08-28
JP3554960B2 (ja) 2004-08-18
EP1063722A2 (en) 2000-12-27
JP2001007639A (ja) 2001-01-12
DE60004609D1 (de) 2003-09-25
EP1063722B1 (en) 2003-08-20
EP1063722A3 (en)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103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장치
JP3678167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の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無線通信機
TWI628846B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的無線通訊裝置
KR100663018B1 (ko) 안테나 및 무선통신기
JP4297164B2 (ja)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機
US6977616B2 (en) Dual-band antenna having small size and low-height
JP3468201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US8654013B2 (en) Multi-band antenna
KR20000035069A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장치
JP2004088218A (ja) 平面アンテナ
US9142884B2 (en) Antenna device
KR20200003907A (ko)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WO2002013312A1 (fr) Antenne et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comprenant cette antenne
JP328691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KR100874394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
US20190393603A1 (en) Antenna Arrangement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An Antenna Arrangement
JP4645603B2 (ja)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JP5794300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2002151930A (ja)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装置
JP2006287986A (ja) 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JP6825429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516830B1 (ko) 이동 통신 단말용 내장형 패치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JP355497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の実装構造および無線装置
JP2012095121A (ja) アンテナおよび携帯無線機
KR100533625B1 (ko) 간접 급전 방식을 이용한 트리플 밴드 내장형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