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394B1 -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394B1
KR100874394B1 KR1020030049505A KR20030049505A KR100874394B1 KR 100874394 B1 KR100874394 B1 KR 100874394B1 KR 1020030049505 A KR1020030049505 A KR 1020030049505A KR 20030049505 A KR20030049505 A KR 20030049505A KR 100874394 B1 KR100874394 B1 KR 10087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eed
antenna
radiation electrode
dielectr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266A (ko
Inventor
호리에료
도요다센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4001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01Q9/045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eed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실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안테나는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 표면에 형성되는 접지 전극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에 접속되는 방사 전극과,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되는 급전 단자와, 일단이 상기 급전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에 접속되는 급전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급전 전극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상기 방사 전극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방사 전극을 유도 결합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여진시킨다.

Description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SURFACE-MOUNTED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상측 투시도.
도 1b는 도 1a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하측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투시도.
도 4a는 관련 기술의 역 L형 안테나의 투시도.
도 4b는 상기 관련 기술의 역 L형 안테나의 측면도.
도 5는 관련 기술의 역 F형 안테나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기판
2 : 방사 전극
3 : 급전 전극
3a : 급전 단자
4 : 접지 전극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휴대형 무선 장치 등에 탑재하기에 적합하고, 소형이어서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직접 실장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급전 전극과 방사 전극의 전기적 결합을 개선함으로써 급전 전극을 방사 전극과 고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형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할 수 있는 이러한 타입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에는 역 F형 안테나로 불리는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 평면 역 F형 안테나)와 선단(forefront) 용량 급전 역 L형 안테나가 흔히 사용된다. 역 F형 안테나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유전체 기판(21)의 하나의 주 표면으로부터 측 표면까지 도전성 막이 형성되어 있다. 일단이 개방되고 측 표면에 더 가까이 위치한 타단은 유전체 기판(21)의 이면에 형성된 접지 전극(23)에 접속되도록 방사 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접지 전극(23)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에 가까이 위치한 급전부(22a)에, 유전체 기판(21)과 접지 전극(23)을 관통하는 관통 홀을 통해, 급전 핀(24)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역 L형 안테나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21)의 표면에는 방사 전극(22)이 급전 전극(24)과 대향하면서 용량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21)의 이면에는 접지 전극(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역 L형 안테나의 구조에 있어서, 방사 전극(22)은 그 일단이 개방되어 급전 전극(24)과 용량 결합되어 있고, 그 타단은 접지 전극(23)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각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 전극은 그 일단이 개방되어 있고 그 타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약 λ/ 4(λ= 동작 주파수의 파장)의 전기 길이를 갖는다. 방사 전극은 공진 모드에서 여진되어 동작된다.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공진 주파수)는 주로 방사 전극의 전기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양쪽 타입의 안테나 모두에 있어서, 그 이점은 방사 전극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거의 독립적으로 동작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은 방사 전극에 급전하는 전력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을 동작 주파수와는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역 F형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 전극은 그 일단이 개방(최대 전압)되어 있고 그 타단은 접지(제로 전압)되어 있으며, 급전 핀의 임피던스가 접지 단자에 가까이 위치한 방사 전극의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지점에서 급전 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방사 전극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한 결과, 급전 핀이 접속되어 있는 급전 지점의 임피던스가 급전 핀의 임피던스와 달라지는 경우에는, 접속 지점을 이동시킬 필요가 생겨, 급전선의 접속 위치를 변경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 연속적인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단 용량 결합 역 L형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 전극의 개방단과 급전 전극 사이에는 결합 갭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 갭을 통해 방사 전극과 급전 전극이 서로 용량 결합되어 있다. 이 역 L형 안테나에 있어서, 그 이점은 결합 갭 사이즈를 조정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조정과는 독립적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 단점은 방사 전극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 방 사 전극의 개방단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결합 갭 사이즈가 변경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동작 주파수 조정과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용량 결합량은 이론적으로 유전률 및 유전체 효과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유전 손실로 인한 결합 손실의 발생은 불가피한 것이다. 이것은 안테나 손실의 원인이 된다. 또한, 용량 결합부는 이론적으로 전계가 최대인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용량 결합부 주위에 분포한 전계가 용량 결합부 주위에 존재하는 유전체 재료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결합량이 변하기 쉽다. 그 결과, 정합 특성도 변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급전 전극은 그 선단이 개방되어 있다. 이것은 동작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DC에 이르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고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 안테나는 들어오는 잡음 및 정전기에 민감하고, 그 안테나가 설치된 장치에 부하가 걸리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추가로, 이론적으로 결합 용량은 결합 갭 치수에 민감하다. 따라서, 정합 특성은 결합 갭 치수의 변화에 민감하고, 그 제품의 정합 특성은 그 제조 단계에서 변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 F형 안테나 또는 용량 결합형 안테나에서와 같이 공진 주파수 조정과 정합 특성 조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용량 결합형 안테나의 결점을 개선한 소형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러한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를 제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 표면에 형성되는 접지 전극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에 접속되는 방사 전극과,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되는 급전 단자와,
일단이 상기 급전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에 접속되는 급전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급전 전극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상기 방사 전극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방사 전극을 유도 결합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여진시키는 것인 안테나를 제공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전 단자에 입력되는 급전 신호는 접지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가 되어 접지점(급전 전극의 타단)에서 최대 전류가 된다. 그 전류에 의해 유도된 자계는 급전 전극에 평행한 부분의 방사 전극에 전류를 유도한다. 그러면, 방사 전극이 급전 전극과 자계 결합되어 여진된다. 그 결합은 급전 전극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설계하고 급전 전극과 급전 단자의 결합 부분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동작 주파수와는 독립적으로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 전극의 상기 제1 부분의 전기 길이를 상기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의 1/4과 거의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더 충분한 유도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 전극의 일부분을 상기 방사 전극의 상기 일단 근처에서 연장시켜, 그 사이를 용량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급전 전극과 방사 전극을 자계 결합 이외에도 용량 결합시킴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결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휴대형 무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전 전극과 방사 전극의 유도 결합을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동작 주파수 조정과 정합 조정을 역 F형 안테나 또는 선단 용량 급전 역 L형 안테나보다 쉽게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용량 결합형 안테나의 결점을 성공적으로 개선한, 성능과 안정성이 우수한 소형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를 휴대 전화기와 같이 소형화가 요구되는 휴대형 무선 장치에 쉽게 탑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그것은 고성능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상기 목적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실장형 안테나의 구조에 대한 상측 및 하측 투시도이다.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진 유전체 기판(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주로 접지 전극(4)이 형성되어 있다. 일단이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접지 전극(4)에 접속되어 있는 방사 전극(2)은 유전체 기판(1) 내에 또는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형 성되어 있다. 접지 전극(4)이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는 급전 단자(3a)가 접지 전극(4)과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방사 전극(2)과 급전 단자(3a)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급전 전극(3)은 유전체 기판(1) 내에 및/또는 그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급전 전극(3)은 그 일단이 급전 단자(3a)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은 접지 전극(4)에 접속되어 있다. 급전 전극(3)은 적어도 그 일부분이 방사 전극(2)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평행 부분은 방사 전극(2)과 유도 결합되어 비접촉 방식으로 방사 전극(2)을 여진시킨다.
유전체 기판(1)에는 가능한 한 유전률이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러한 재료를 사용하면 방사 전극(2)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BaO-TiO2-SnO2, MgO-CaO-TiO2 등의 세라믹을 사용하면 비유전률이 약 30 이상 확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전체 기판(1)은 예컨대 세라믹 등의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세라믹 시트 등의 적절한 도전성 막을 적층 소결하여 형성한 것이나, 도전성 막을 가진 글래스 에폭시 막을 적층하여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블루투스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경우, 유전체 기판은 그 재료의 비유전률이 약 30일 때, 그 크기는 12 mm(길이) ×4 mm(폭) ×3 mm(높이)이다. 그 재료의 비유전률이 약 8일 때, 그 크기는 대략 15 mm ×7 mm ×6 mm 내지 15 mm ×3 mm ×2 mm이다. 길이(유전체 기판의 세로 길이)는 희망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체 기판(1)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직방체 또는 플레이트 형태를 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체 기판(1)의 표면에는 유전체 기판(1)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 W로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다. 방사 전극(2)의 폭 W가 넓을수록 대역 특성이 넓어지기 때문에, 유전체 기판(1)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사 전극의 폭을 유전체 기판(1)의 폭보다 좁게 선택할 수도 있다. 유전체 기판(1)에는 세라믹 시트의 적층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사 전극은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적층 구조 내에 형성된다. 방사 전극(2)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유전체 기판(1)의 측 표면까지 연장되어 유전체 기판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지 전극(4)에 접속되어 있다. 방사 전극(2)의 일단(2a)에서부터 타단(2b)까지의 길이(길이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 : L1 + L2)는 희망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기 길이가 약 λ/ 4가 되도록 선택된다. 전기 길이는 유전체 기판(1)의 비유전률 εr의 제곱근에 역비례(1/εr 1/2에 비례)한다. 이 사실로부터, 유전률이 큰 유전체 기판(1)을 사용함으로써 그 물리적 길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급전 전극(3)은 방사 전극(2)과 통신 신호 급전부를 자계 결합시킨다. 도 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급전 전극(3)은 유전체 기판(1)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급전 단자(3a)에서부터, 유전체 기판의 측 표면(1a)을 지나,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급전 전극(3)은 유전체 기판의 측 표면(1a)과 대향하는 측 표면(1b)에서 방사 전극(2)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방사 전극(2)에 평행한 평행 부분(3b)을 갖는다. 방사 전극(2)의 선단은 유전체 기판(1)의 이면까지 연장되어 접지 전극(4)에 접속되어 있다. 평행 부분(3b)은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을 자계 결합시킨다. 평행 부분(3b)은 방사 전극(2)의 개방단(2a)에서부터 측정할 때 약 λ/ 4(L3 + L4)의 길이로 형성되며, 이 길이에서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이 충분한 결합 레벨로 자계 겹합됨으로써 방사 전극(2)이 여진된다. 원한다면, 길이 (L3 + L4)를 λ/ 4보다 짧게 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급전 전극(3)의 평행 부분(3b)이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1)의 표면과는 다른 측 표면(1b)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방사 전극(2)을 유전체 기판(1)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하지 않고, 급전 전극(3)의 일부분을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방사 전극(2)에 평행하게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방사 전극(2)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급전 전극(3)의 일부분과, 유전체 기판(1)의 측 표면(1b)에 형성되어 있는 급전 전극(3)의 다른 부분이 평행 부분(3b)으로서 기능하여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을 자계 결합시킨다. 이 측 표면(1b)에 형성되어 있는 급전 전극(3)의 일부분은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1)의 측 표면과 동일한 측 표면(도 2에서 우측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있어서, 편의상,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제3 실시예와 같이, 급전 전극(3)을 유전체 기판(1)의 하나의 측 표면(1b)에만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3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아니지만, 급전 전극(3)을 유전체 기판(1) 내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급전 전극(3)의 평행 부분은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사 전극(2)에 수직으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급전 전극(3)이 방사 전극(2)의 개방단(2a)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간의 간격을 크게 선택하여 용량 결합을 줄이는 경우,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의 주된 결합은 방사 전극(2)의 개방단(2a)과 대향하는 부분의 급전 전극(3)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그 결합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의 결합도는 급전 전극(3)의 동작 주파수와는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급전 전극(3)에 흐르는 전류 밀도와 자계 결합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지 전극(4)은 방사 전극(2)이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기판(1)의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에서 급전 단자(3a)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면을 차지한다. 접지 전극(4), 방사 전극(2) 및 급전 전극(3)은 은 막 등의 도전성 막을 인쇄 또는 진공 증착 및 패터닝에 의해 유전체 기판(1)의 소정의 표면에 형성하면 쉽게 유전체 기판(1)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컨대 도전선 또는 도체판을 유전체 기판(1)에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성 막이 형성되어 있는 유전체 시트를 적층하여 그러한 상태로 방사 전극(2), 급전 전극(3) 및 접지 전극(4) 또는 그 일부를 유전체 기판(1) 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급전 단자(3a)로부터의 급전 신호는 급전 전극(3)의 전류로 나타나고 이 전류는 접지 전극(4)과의 접속 지점에서 최대가 된다. 그 전류에 의해 유도된 자계는 급전 전극(3)에 평행한 부분의 방사 전극(2)에 전류 I를 유도한다(도 1의 영역 A, B). 그러면, 방사 전극(2)이 여진되어 신호를 공기 중에 방사한다. 또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도, 수신된 신호가 급전 단자에 나타난다. 즉, 방사 전극(2)은 급전 전극(3)과 자계 결합되어 여진됨으로써,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는 선로의 평행 부분에 의한 유도 자계 결합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안테나는 이론적으로 유전체 손실로 인한 결합 손실과 주위의 유전체 재료로 인한 결합 변동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급전 전극(3)의 일단이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저주파수에 있어서의 임피던스는 낮은 값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는 성능이 안정화되고 정전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유도 자계 결합은 용량 결합보다 결합 갭 치수에 대한 의존도가 낮다. 따라서, 치수 변화에 대해 특성이 안정적이어서, 본 발명의 안테나는 양산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방사 전극(2)의 개방단(2a) 근처에 급전 전극(3)이 형성되기 때문에, 급전 전극(3)과 접지 전극(4)의 접속 부분에서 최대 전류가 나타난다. 따라서, 방사 전극(2)의 개방단(2a)과 급전 전극(3)간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급전 전극(3)과 방사 전극(2)이 주로 유도 자계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유전체 손실 로 인한 결합 손실과 주위의 유전체 재료로 인한 결합 변동을 회피하면서 약간의 용량 결합도 확보할 수 있다. 넓은 영역에 걸쳐 분산시켜 결합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결합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결합 제어가 쉬워진다.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내에는 통신 회로 등을 탑재한 회로 기판이 조립되어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안테나를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안테나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 부분의 이면 상의 접지 도체를 제거하고, 적어도 안테나 정면에 위치한 케이스 부분을 전자파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휴대형 무선 장치는 소형이고 안테나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성능이 뛰어나다.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이하의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역 F형 안테나 또는 용량 결합형 안테나에서와 같이 공진 주파수 조정과 정합 특성 조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용량 결합형 안테나의 결점을 개선한 소형의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러한 표면 실장형 안테나를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제1 표면에 형성되는 접지 전극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에 접속되는 방사 전극과;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되는 급전 단자와;
    일단이 상기 급전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에 접속되는 급전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급전 전극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상기 방사 전극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방사 전극을 유도 결합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여진시키는 것인,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전극의 제2 부분은 상기 방사 전극의 상기 일단 근처에서 연장되어, 그 사이를 용량 결합시키는 것인,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전극의 상기 제1 부분의 전기적 길이는 상기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에서의 파장의 1/4과 같은 것인, 안테나.
  4. 무선 통신 회로가 형성되고, 제1항에 기재된 안테나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휴대형 무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전극은, 상기 방사 전극의 상기 일단 근처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것인,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전극은, 상기 제1 표면을 제외한, 상기 유전체 기판의 내부 또는 표면에 제공되는 것인, 안테나.
KR1020030049505A 2002-07-19 2003-07-19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 KR100874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1428 2002-07-19
JP2002211428A JP3921425B2 (ja) 2002-07-19 2002-07-19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携帯無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266A KR20040010266A (ko) 2004-01-31
KR100874394B1 true KR100874394B1 (ko) 2008-12-17

Family

ID=2977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505A KR100874394B1 (ko) 2002-07-19 2003-07-19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59719B2 (ko)
EP (1) EP1383198B1 (ko)
JP (1) JP3921425B2 (ko)
KR (1) KR100874394B1 (ko)
CN (1) CN100492760C (ko)
DE (1) DE60319918D1 (ko)
TW (1) TWI293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0587B2 (ja) * 2005-05-11 2009-12-09 日立電線株式会社 分布位相型円偏波受信モジュール及び携帯無線機器
TWI273738B (en) * 2005-10-12 2007-02-11 Benq Corp Antenna structure formed on circuit board
FI118782B (fi) * 2005-10-14 2008-03-14 Pulse Finland Oy Säädettävä antenni
JP2009105782A (ja) * 2007-10-25 2009-05-14 Brother Ind Ltd 回路基板および電話装置
WO2009063695A1 (ja) 2007-11-13 2009-05-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容量給電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機
JP5333235B2 (ja) * 2007-12-21 2013-11-06 Tdk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
WO2010120001A1 (ko) * 2009-04-15 2010-10-21 (주)에이스안테나 관형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US8325103B2 (en) * 2010-05-07 2012-12-04 Nokia Corporation Antenna arrangement
WO2011141860A1 (en) 2010-05-14 2011-11-17 Assa Abloy Ab Wideband uhf rfid tag
US20150022402A1 (en) * 2013-07-18 2015-01-22 Nvidia Corporation Capacitively coupled loop antenna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E102013113977A1 (de) * 2013-12-12 2015-06-1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Planare invertierte F-Antenne
CN105981487B (zh) * 2014-02-12 2019-01-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噪声降低用电子部件
CN107090521A (zh) * 2017-05-09 2017-08-25 广州海力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人类免疫缺陷病毒ⅰ型总核酸hiv‑1 tna的试剂盒及其应用
TWI732691B (zh) * 2020-09-30 2021-07-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立體電子構件及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4A (en) * 1865-05-23 Improvement in boring-tools for artesian wells
JP2777280B2 (ja) * 1990-11-06 199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H04135007U (ja) * 1991-06-07 1992-1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マイクロストリツプアンテナ
JP2712931B2 (ja) * 1991-09-30 1998-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H0669715A (ja) * 1992-08-17 1994-03-11 Nippon Mektron Ltd 広帯域線状アンテナ
AU1892895A (en) * 1994-03-08 1995-09-25 Hagenuk Telecom Gmbh Hand-held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pparatus
US5969680A (en) * 1994-10-11 1999-10-1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tenna device having a radia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a wiring substrate and a case
JP3114605B2 (ja) * 1996-02-14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EP1641070A1 (en) * 1996-06-20 2006-03-29 Kabushiki Kaisha Yokowo (also trading as Yokowo Co., Ltd.) Antenna
US5841406A (en) * 1996-08-19 1998-11-24 Smith; Sidney C. Critically coupled bi-periodic driver antenna
JPH11340726A (ja) * 1998-05-28 1999-12-10 Mitsubishi Materials Corp アンテナ装置
JP3427750B2 (ja) * 1998-10-16 2003-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JP3351363B2 (ja) * 1998-11-17 2002-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3554960B2 (ja) * 1999-06-25 2004-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3639753B2 (ja) * 1999-09-17 2005-04-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3554972B2 (ja) * 2000-10-04 2004-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の実装構造および無線装置
JP3468201B2 (ja) * 2000-03-30 2003-1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DE10049843A1 (de) * 2000-10-09 2002-04-1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Fleckenmusterantenne für den Mikrowellenbereich
JP2002299933A (ja) * 2001-04-02 2002-10-11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の電極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KR100533624B1 (ko) * 2002-04-16 2005-12-06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피딩 포트를 갖는 멀티밴드 칩 안테나 및 이를사용하는 이동 통신 장치
US6765536B2 (en) * 2002-05-09 2004-07-20 Motorola, Inc. Antenna with variably tuned parasitic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3198A1 (en) 2004-01-21
KR20040010266A (ko) 2004-01-31
EP1383198B1 (en) 2008-03-26
DE60319918D1 (de) 2008-05-08
TW200403886A (en) 2004-03-01
JP2004056506A (ja) 2004-02-19
JP3921425B2 (ja) 2007-05-30
US20050259007A1 (en) 2005-11-24
CN1486116A (zh) 2004-03-31
TWI293214B (en) 2008-02-01
US7259719B2 (en) 2007-08-21
CN100492760C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8316B1 (en) Antenna and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114621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US7728785B2 (en) Loop antenna with a parasitic radiator
JP3114605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EP1858114B1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it
JP4189306B2 (ja) 誘電体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能を有する電気機器
EP1202382B1 (en) Antenna
JP3279205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通信機
US6369762B1 (en) Flat antenna for circularly-polarized wave
JP2004088218A (ja) 平面アンテナ
JP2007089234A (ja) アンテナ
KR100874394B1 (ko)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그것을 탑재한 휴대형 무선 장치
JP3739740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装置
KR20030007718A (ko) 이동 통신용 내장형 다중 대역 안테나
JP366143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JP4823433B2 (ja) 移動電話のための統合アンテナ
WO2011086723A1 (ja)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JPH1032413A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
JP5794300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EP1253667B1 (en) Patch antenna
KR20080046609A (ko) 칩 안테나 실장용 인쇄회로기판
JP2002171118A (ja) 誘電体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