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089A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089A
KR20010007089A KR1020000026907A KR20000026907A KR20010007089A KR 20010007089 A KR20010007089 A KR 20010007089A KR 1020000026907 A KR1020000026907 A KR 1020000026907A KR 20000026907 A KR20000026907 A KR 20000026907A KR 20010007089 A KR20010007089 A KR 2001000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value
detected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684B1 (ko
Inventor
하츠카와가이치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0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1Circuits comprising an inverter, a boost transformer and a magnetron
    • H05B6/682Circuits comprising an inverter, a boost transformer and a magnetron wherein the switching control is based on measurements of electrical values of the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38)에는 제품출하전의 단계에서 전류검출회로(32)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커런트 트랜스(31)를 통하여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 및 전압검출회로(34)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입력전압을 강압 트랜스(17)를 통하여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이 각각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으로서 미리 기억되고, 제어유닛(36)은 조리동작중에 전류검출회로(32) 및 전압검출회로(34)가 검출하는 전류값 및 전압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이 산출시에는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가 검출한 전원주파수, 및 온도검출회로(37)가 검출한 온도도 가미되는 것으로,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를 높이고 그 검출결과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에 있어서는 커런트 트랜스 등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가열수단 등의 부하의 출력량 제어(통단전제어를 포함)나 과전류 보호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제공되어 있고, 또한 이에 더하여 전원전압의 변동을 검출하고 이에 의해 가열수단의 출력을 컨트롤하는 것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류검출수단이나 전압검출수단에서는 그 검출전류나 검출전압이 회로정수의 경시변화 등에 의해 변동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정확한 검출동작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예를 들어 전자렌지에서는 조리속도의 향상을 위해 그 가열출력(고주파 출력)을 매우 높이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경우, 가정용 배선의 콘센트 용량이나 브레이커 용량은 15A로 설정된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전자렌즈의 최대정격전류는 이것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매우 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된다. 단, 실제로는 전자렌즈의 입력전류는 전원전압의 변동이나 주위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대소 변동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최대정격전류를 15A에 대하여 충분한 여유도를 계산한 값(예를 들어 13A 전후)으로 설정하고 있고, 이것이 조리 속도의 향상을 방해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정에 대처하기 위해 상기 전류검출수단을 통하여 입력전류를 검출하고, 그 입력전류에 여유가 있는 상태일 때에는 가열수단의 출력을 인버터 회로 등을 통하여 증대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정확한 전류검출동작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에서는 이와 같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가열출력을 충분히 높일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첫번째 목적은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검출전류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두번째 목적은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에 더하여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압의 검출정밀도도 높일 수 있고, 그 검출전류 및 검출전압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적 구성도,
도 2는 주요부의 회로구성도,
도 3은 커런트 트랜스의 일차측 입력전류와 이차측 출력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도 4는 커런트 트랜스의 출력의 온도특성도 및
도 5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히터 13: 상용교류전원
17: 강압트랜스 26: 모터
29: 전원장치 30: 마그네트론(가열수단)
31: 커런트 트랜스 32: 전류검출회로(전류검출수단)
33: 정전압 전원회로 34: 전압검출회로(전압검출수단)
35: 주파수 신호발생회로(신호발생수단)
36: 제어유닛(전류연산수단, 전압연산수단, 제어수단)
37: 온도검출회로(온도검출수단) 38: 비휘발성 메모리(기억수단)
상기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조리동작을 실시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소정부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이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을 기준전류값으로서 미리 기억하여 이루어진 기억수단과, 조리동작 중에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전류연산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로정수의 경시변화 등에 의해 조리동작 중에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이 편차가 나는 상황이 된 경우에도 그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이,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된 기준전류값(즉, 상기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므로,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가 높아져, 그 검출전류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전류검출수단 및 기억수단을, 동일한 기판 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복수의 기판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수단에 대하여 기준전류값을 기억시키는 작업을, 가열조리기의 조립공정시가 아니고, 예를 들어 기판제조시의 검사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열조리기의 조립공정시 또는 수리교환시에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기준전류값의 기억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검출수단 및 기억수단 중 한쪽 또는 쌍방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그 전체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므로, 수리교환시에 기준전류값을 기억시키기 위한 작업, 즉 소정의 전류를 발생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 수리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를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기준전류값과 상기 기준전류값을 검출했을 때의 전원주파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을 조리동작중에서 상기 주파수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전원주파수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전원주파수의 차이를 가미한 보정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열조리기의 전원이 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50㎐ 또는 60㎐)가 다른 경우에도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전류검출기능 및 전류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기능을 항상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나타낸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다른 전원주파수의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각각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각 경우의 검출값을 전원주파수정보와 대응한 상태의 기준전류값으로서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을 조리동작중에서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중 상기 주파수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정보에 대응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하게,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도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전류검출기능 및 전류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기능을 항상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전류검출수단이 놓여있는 분위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전류연산수단을 조리동작중에서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온도도 가미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후에 전류연산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검출전류값이 주위의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부정확해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조리동작을 실시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소정 부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상기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 및 상기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입력전압을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을 각각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으로서 미리 기억하여 이루어진 기억수단과, 조리동작 중에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전류연산수단과, 조리동작중에 상기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전압연산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로정수의 경시변화 등에 의해 조리동작중에서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이 편차가 있는 상황이 된 경우에도, 그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이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즉, 상기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 및 전압을 각각 검출했을 때의 각 검출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므로,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가 높아지고, 그 검출전류 및 검출전압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전류검출수단, 전압검출수단 및 기억수단을 동일한 기판 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복수의 기판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수단에 대해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각각 기억시키는 작업을, 가열조리기의 조립공정시는 아니고, 예를 들어 기판제조시의 검사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가열조리기의 조립공정시 또는 수리교환시에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의 기억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검출수단, 전압검출수단 및 기억수단 중 어떤 것 또는 2이상의 수단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 전체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므로, 수리교환시에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기억시키기 위한 작업, 즉 소정의 전류 및 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필요한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져, 그 수리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도시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과, 상기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검출했을 때의 전원주파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을, 조리동작 중에서 상기 주파수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전원주파수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전원주파수의 차이를 가미한 보정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열조리기의 전원이 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50㎐ 또는 60㎐)가 다른 경우에도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전류검출기능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한 전압검출기능, 및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기능을 항상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다른 전원주파수의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 및 입력전압을 각각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각 경우의 검출값을 전원주파수 정보와 대응한 상태의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으로서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을, 조리동작중에서 상기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상기 주파수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 정보에 대응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하게,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도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전류검출기능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한 전압검출기능, 및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기능을 항상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놓여 있는 분위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을, 조리동작중에서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을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온도도 가미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후에 전류연산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검출전류값,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후에 전압연산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검출전압값이 주위의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부정확해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기억수단에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적어도 한쪽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리동작의 실행 또는 특정의 부하의 동작을 금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류검출 및 전압검출의 기준이 되는 값이, 부품불량 등으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리동작의 실행 또는 특정 부하의 동작이 금지되고 나서, 그것이 이상동작상태에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기억수단에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적어도 한쪽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정의 알림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류검출 및 전압검출의 기준이 되는 값이, 부품불량 등으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알림동작이 실시되므로 이상조리동작이 실시되는 사태에 미연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이 산출한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체의 입력전류가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입력전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에 의해 산출된 정확한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체의 입력전류가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나서, 전체의 입력전류가 제약받는 상황하에서도 조리속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전압연산수단에 대해서, 가열수단이나 다른 부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을 보정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조리동작중에 가열수단 이외의 부하가 동작정지되어 입력전압이 변동된 경우에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검출전압값을 정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기억수단을, 전원차단상태에서도 기억내용을 유지하는 비휘발성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 전류값이나 기준전압값이 소실될 우려가 거의 없어지므로, 검출전류값 또는 검출전압값의 산출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전류검출수단을,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류 또는 특정의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열조리기 전체의 입력전류 또는 개개의 부하에 흐르는 입력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전자렌지에 적용한 한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 5에 있어서, 캐비넷(1)은 전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그 내부에 전면이 개구한 직사각형 용기형상의 조리실(2)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면부에 조리실(2)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비넷(1)내에는 조리실(2)의 측방에 인접하여 기계실(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기계실 내에는 후술하는 마그네트론(가열수단에 상당: 도 1에 부호"30"를 붙여 나타냄) 및 그 구동을 위한 전원장치(도 1에 부호 "29"를 붙여 나타냄) 등이 수납되어 있다. 캐비넷(1)에서의 기계실의 전면측 위치에는 조작패널(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4)에는 조리개시용 스타트 스위치(5), 복수종류의 조리 메뉴에 대응한 자동조리스위치(6), 조리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 다이얼(7), 조리정보나 시간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LED 패널(8)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2) 내의 천정부에는 오븐 조리 및 그릴 조리용 히터(9)가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2) 내의 바닥부에는 원형의 회전판(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판(10)은 예를 들어 강판과 같은 도전재료의 표면에 에나멜 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특히 렌지 조리시에는 회전판(10) 상에 원형의 조리접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조리접시는 유리나 세라믹 등과 같은 마이크로파 투과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는 전자렌지의 전기적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한쌍의 전원선(11,12) 간에는 상용교류전원(13)으로부터 퓨즈(14), 노이즈 필터(15) 및 서멀스위치(16)를 통하여 소정 주파수(50㎐ 또는 60㎐)의 교류전압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양 전원선(11,12) 간에는 강압 트랜스(17)의 일차 권선(17a)이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팬모터(18) 및 릴레이 스위치(19)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팬모터(18)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기계실 내에 설치된 것이고, 그 구동상태에서 기계실 내부의 전기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도시하지 않음)이 운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쪽의 전원선(11)은 도어(3)의 폐쇄시에 온하는 도어스위치(20, 21)를 직렬로 끼워 전원선(11a)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전원선(12)은 메인릴레이 스위치(22)를 통하여 전원선(12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스위치(20, 21)의 공통 접속점과 전원선(12) 사이에는 쇼트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도어 스위치(23)가 접속되어 있고, 이 도어 스위치(23)는 도어(3)의 개방시에 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선(11a,12a) 간에는 조리실(2) 내를 조명하기 위한 고내등(24), 릴레이 스위치(25) 및 회전판(10) 구동용 모터(26)의 직렬회로, 릴레이 스위치(27) 및 상기 히터(9)의 직렬회로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원선(11a,12a) 사이에 릴레이 스위치(28)를 통하여 접속된 전원장치(29)는 마그네트론(30)에 공진용 전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정류평활회로, 인버터 회로, 승압 트랜스, 고압 컨덴서, 고압 다이오드 등을 구비한 주지구성의 것이다.
전원선(12)에는 커런트 트랜스(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커런트 트랜스(31)의 이차측 출력은 전류검출회로(32)(전류검출수단에 상당)에 부여된다. 또한, 상기 강압 트랜스(17)의 이차권선(17b)에는 정전압 전원회로(33), 전압검출회로(34)(전압검출수단에 상당),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신호발생수단에 상당)이 접속되어 있다. 이 커런트 트랜스(31), 전류검출회로(32), 정전압 전원회로(33), 전압검출회로(34),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는, 후술하는 비휘발성 메모리(38)(기억수단에 상당)와 함께 동일한 기판 또는 납땜 등에 의해 연결(접속)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복수의 기판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검출회로(32), 정전압 전원회로(33), 전압검출회로(34) 및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전류검출회로(32)는 커런트 트랜스(31)의 이차측 출력을 전파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31a)와, 이 정류회로(31a)의 출력단에 접속된 충전용 저항(31b) 및 컨덴서(31c)의 직렬회로(적분회로)와, 상기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된 방전용 저항(31d)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전류검출회로(32)에서는 컨덴서(31c)의 양단에, 상용교류전원(13)으로부터의 입력전류값에 따른 전압 레벨의 전류검출신호(Iin)가 나타나는 것이고, 그 전류검출신호(Iin)는 제어유닛(36)(전류연산수단, 전압연산수단, 제어수단에 상당)에 부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전압 전원회로(33)는 이차권선(17b)을 통하여 부여받은 교류전류를 전파 정류하는 센터탭형식의 정류회로(33a)와, 그 정류출력을 평활하는 컨덴서(33b)와, 그 평활출력을 받는 정전압 회로(33c)와, 그 정전압 출력의 안정화를 위한 컨덴서(33d)를 구비한 것으로, 그 출력을 제어용 전원으로서 제어 유닛(36)에 부여함과 동시에 전원단자+Vcc를 통하여 다른 회로요소에 부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압검출회로(34)는 이차권선(17b)의 양단에 음극이 접속된 다이오드(34a 및 34b), 이 다이오드(34a 및 34b)의 양극과 상기 전원단자+Vcc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34c), 이 저항(34c)과 병렬로 접속된 비교적 큰 저항값의 저항(34d 및 34e)의 직렬회로, 및 저항(34d)과 병렬로 접속된 컨덴서(34f)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압검출회로(34)에서는 저항(34d,34e)의 공통접속점에 상용교류전원(13)으로부터의 입력전압값에 따른 전압레벨의 전압검출신호(Vin)가 나타나는 것이고, 그 전압검출신호(Vin)는 제어유닛(36)에 부여된다.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는 에미터가 상기 전원단자+Vcc에 접속되고 콜렉터가 저항(35a)을 통하여 그랜드 단자에 접속된 pnp형 트랜지스터(35b)와, 상기 트랜지스터(35b)의 베이스와 이차권선(17b)의 한단에 접속된 저항(35c)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베이스간에 저항된 바이어스용 저항(35d)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에서는 트랜지스터(35b)의 콜렉터로부터 상용교류전원(13)의 주파수에 따른 주기의 펄스형 주파수 신호(Ps)를 발생하는 것이고, 그 펄스신호(Ps)는 상용교류전원(13)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제어유닛(36)에 부여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검출회로(37)(온도검출수단에 상당)는 전류검출회로(32) 및 전압검출수단(34)이 놓여있는 분위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배치된 예를 들어 서미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그 검출온도에 따른 전압레벨의 온도검출신호(Vt)를 제어유닛(36)에 부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38)에는 제품출하전의 단계에서, 후술하는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이 전원주파수 정보와 대응지어진 상태에서 기억되는 것이고, 제어유닛(36)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닛(36)에는 상술한 전류검출신호(Iin), 전압검출신호(Vin), 펄스신호(Ps), 온도검출신호(Vt) 외에, 상기 스타트 스위치(5), 자동조리스위치(6), 시간설정 다이얼(7) 등을 포함하는 조작수단(39)으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36)은 상기 입력신호, 비휘발성 메모리(38)의 기억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메인 릴레이 스위치(22), 릴레이 스위치(19,25,27,28)의 온오프 제어, 상기 LED 패널(8)이나 도시하지 않는 전자 부저 등을 포함하는 표시·알림수단(40)의 제어, 전원장치(29) 내의 도시하지 않는 인버터 회로의 동작제어 등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19,22,25,27,28)의 온오프 제어는 그 릴레이 코일(19a,22a,25a,27a,28a)의 통단전을 릴레이 구동회로(41)를 통하여 제어함에 의해 실시된다.
또한, 제어유닛(36)은 특히 마그네트론(30)에 의한 렌지조리시에서 전류검출회로(32)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I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류값 및 전압검출회로(34)로부터의 전압검출신호(V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압값에 기초하여 마그네트론(30)의 출력을 인버터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증감시키는 제어를 후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제어유닛(36)은 전류검출회로(32)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I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류값 및 전압검출회로(34)로부터의 전압검출신호(V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압값을, 비휘발성 메모리(38)의 기억데이터,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로부터의 주파수 신호(Ps) 및 온도검출회로(37)로부터의 온도검출신호(Vt)에 기초하여 보정하면서 산출하는 것이고, 이하 그 산출동작에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38)에는 제품출하전의 단계에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전원주파수정보와 대응지은 상태에서 기억하는 것이다.
이 경우, 기준전류값의 기억작업은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우선, 적어도 커런트 트랜스(31), 전류검출회로(32) 및 비휘발성 메모리(38)를 기판에 조합한 기판조립상태에서, 커런트 트랜스(31)의 일차측에 이미 알려진 레벨의 교류전류를 흘린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98.5V/60㎐의 교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14.3A의 전류를 저항부하에 흘리는 것이고, 이 때 전류검출회로(32)가 검출한 전류값(전류검출신호(Iin)의 전압레벨에 의해 나타내어진다)를 양자화한 상태의 기준전류값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전원주파수가 60㎐인 것을 나타내는 전원주파수정보를, 상기 기준전류값과 대응지어 기억한다.
기준전압값의 기억작업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한다. 우선, 적어도 강압 트랜스(17), 정전압전원회로(33), 전압검출회로(34),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 및 비휘발성 메모리(38)를 기판에 조립한 기판조립상태에서, 강압 트랜스(17)의 일차측에 이미 알려진 레벨의 교류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소정의 부하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98.5V/60㎐의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이 상태에서 릴레이 스위치(19,22,25,28)(마그네트론(30)이 동작할 때 동시에 동작상태가 되는 부하)를 동작시키는 것이고, 이 때 전압검출회로(34)가 검출된 전압값(전압검출신호(Vin)의 전압레벨에 의해 나타난다)을 양자화한 상태의 기준전압값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전원주파수가 60㎐인 것을 나타내는 전원주파수 정보를, 상기 기준전압값과 대응지어 기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19,22,25,28)를 동작시키는 것은 렌지 조리시에 있어서 이것의 부하가 동작하는 데에 따라 강압 트랜스(17)의 부하전류가 증가하고, 그 출력전압이 저하되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제어유닛(36)은 렌지조리동작 중에서 전류검출회로(32)를 통하여 검출한 입력전류에 여유가 있는 상태일 때, 및 전압검출회로(34)를 통하여 검출된 입력전압(전원전압)이 저하된 상태일 때에는 마그네트론(30)의 출력을 인버터 회로를 통하여 소정 레벨까지 증대시키는 제어를, 상기 검출입력전류 및 검출입력전압에 기초하여 실시하고, 따라서 전체의 입력전류가 15A(가정용 배선의 콘센트 용량이나 브레이커 용량의 대응)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마그네트론(30)의 출력(더 나아가서는 조리속도)를 최대한으로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유닛(36)은 전류검출회로(32)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Iin)에 의해 나타나는 전류값을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전류검출회로(32)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함과 동시에, 전압검출회로(34)로부터의 전압검출신호(V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압값을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기준전압값(전압검출회로(34))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압을 검출했을 때의 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회로정수의 경시변화 등에 의해, 전류검출회로(32)가 검출하는 입력전류값 및 전압검출회로(34)가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이 편차가 나는 상황이 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산출제어에 의해 전류검출회로(32) 및 전압검출회로(34)에 의한 검출정밀도가 높아지고, 그 검출전류 및 검출전압에 기초한 제어, 즉 전체의 입력전류가 상한값인 15A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예를 들어 14.6A±0.2A의 범위)에서 마그네트론(30)의 출력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전체의 입력전류가 제약받는 상황하에서도 조리속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류검출신호(Iin)의 출력에 필요한 커런트 트랜스(31)에 있어서는 그 일차측의 입력전류와 이차측의 출력전압의 관계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주파수의 차이에 따라서 다른 상태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압검출신호(Vin)의 출력에 필요한 강압 트랜스(17)에 있어도, 그 일차측의 입력전압과 이차측의 출력전압의 관계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전원주파수의 차이에 따라서 다른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 대처하기 위해 제어유닛(36)은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로부터의 주파수 신호(Ps)에 기초하여 전원 주파수가 50㎐,60㎐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함과 동시에, 그 판단결과가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전원주파수 정보(이 실시예에서는 「60㎐」의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류검출신호(I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류값 및 상기 전압검출신호(V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압값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그 전원주파수의 차이를 가미한 보정(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런트 트랜스(31)에서의 일차측 입력전류와 이차측 출력전압의 관계, 및 강압 트랜스(17)에서의 일차측 입력전압과 이차측 출력전압의 관계를 가미한 보정)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결과, 전자렌지의 전원이 되는 상용교류전원(13)의 주파수(50㎐ 또는 60㎐)가 다른 경우에도, 전류검출회로(32)에 의한 전류검출기능 및 전압검출회로(34)에 의한 전압검출기능, 및 제어유닛(36)에 의한 검출전류 및 검출전압의 연산기능을 항상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런트 트랜스(31)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온도의 고저에 따라서 출력이 변동한다는 사정이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 대처하기 위해 제어유닛(36)은 온도검출회로(37)로부터의 온도검출신호(Vt)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검출신호(I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류값 및 상기 전압검출신호(Vin)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전압값을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그 온도검출신호(Vt)에 의해 나타나는 온도를 가미한 보정(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런트 트랜스(31)에서의 출력의 온도특성을 가미한 보정)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결과, 전류검출회로(32)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Iin)에 의해 나타나는 전류값을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얻은 검출전류값이, 주위의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부정확해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마그네트론(30)의 출력제어를 더욱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32), 전압검출회로(34) 및 비휘발성 메모리(38)를, 동일한 기판 또는 용이하게 분리 불가능한 복수의 기판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비휘발성 메모리(38)에 대하여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각각 기억시키는 작업을, 전자렌지의 조립공정시가 아니고, 예를 들어 기판제조시의 검사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결과, 전자렌지의 조립공정시 또는 수리교환시에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의 기억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검출회로(32), 전압검출회로(34) 및 비휘발성 메모리(38)의 어느 것 또는 2이상의 수단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그 전체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므로, 수리교환시에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기억시키기 위한 작업, 즉 소정 전류 및 전압을 발생하는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있는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 수리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은 전원차단상태에서도 기억내용을 유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되는 구성이므로, 일단 기억한 기준전류값이나 기준전압값이 소실될 우려가 거의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전류검출회로(32)에 의해 검출한 전류값 또는 전압검출수단(34)에 의해 검출한 전압값의 산출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와 같은 변형 또는 확대가 가능하다.
제어유닛(36)에 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의 적어도 한쪽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렌지조리동작의 실행 또는 특정의 부하(예를 들어 마그네트론(30))의 동작을 금지하는 제어기능을 부가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류검출 및 전압검출의 기준이 되는 값이, 부품불량 등으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렌지조리동작의 실행 또는 특정 부하의 동작이 금지되므로, 그것이 이상동작상태에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어유닛(36)에 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준 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적어도 한쪽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때, 예를 들어 LED 패널(8)을 통하여 소정의 알림동작을 실시하는 제어상태를 추가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류검출 및 전압검출의 기준이 되는 값이, 부품불량 등으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알림동작이 실시되므로, 이상한 조리동작이 실시되는 사태에 미연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제어유닛(36)에 대하여 마그네트론(30)이나 다른 부하(모터(26)등)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전압검출회로(34)가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을 보정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조리동작중에 마그네트론(30) 이외의 부하가 동작정지되어 입력전압이 변동된 경우에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검출전압값을 정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38)에 대하여 주파수가 60㎐의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 및 전압에 기초하여 얻은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전원주파수가 60㎐인 것을 나타내는 전원주파수 정보와 함께 기억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외에 전원주파수가 50㎐인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 및 전압을 각각 전류검출회로(32) 및 전압검출회로(34)에 의해 검출한 각 경우의 검출값을, 전원주파수가 50㎐인 것을 나타내는 전원주파수 정보와 대응한 상태의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으로서 기억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어유닛(36)은 전류검출회로(32) 및 전압검출회로(34)가 검출하는 전류값 및 전압값을, 비휘발성 메모리(38)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로부터의 주파수 신호(Ps)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 정보에 대응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것이 된다.
전류검출회로(32)에 의해 전자렌지 전체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특정의 부하(예를 들어 마그네트론(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마그네트론(3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전류검출회로(32)로부터의 전류검출신호(Iin) 및 전압검출회로(34)로부터의 전압검출신호(Vin)의 쌍방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적어도 전류검출신호(Iin)를 이용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전압검출회로(34)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좋다. 또한, 주파수 신호발생회로(35)나 온도검출회로(37)도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좋다.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의 기억작업을, 기판조립의 단계에서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최종적으로 제품이 완성한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제품의 전원 콘덴서로부터 강압 트랜스(17)의 일차측에 이르는 경로에서의 전압강하를 가미한 전원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터조리기능을 갖는 전자렌지에 적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렌지 조리전용기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열수단으로서 마그네트론(30)을 예시했지만, 히터(9)이어도 좋고 또한 유도가열코일이나 할로겐 램프히터 등과 같은 다른 가열수단이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에서는 조리동작중에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검출전류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검출전류의 연산기능에 더하여, 조리동작중에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압값을, 상기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압을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전류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밀도에 더하여, 사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압의 검출정밀도도 높일 수 있고, 그 검출전류 및 검출전압에 기초한 제어를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6)

  1. 상용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조리동작을 실시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소정 부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
    상기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을 기준전류값으로서 미리 기억하여 이루어진 기억수단, 및
    조리동작중에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전류연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 및 기억수단은 동일한 기판 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복수의 기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도시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기준전류값과 상기 기준전류값을 검출했을 때의 전원주파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은 조리동작중에서 상기 주파수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전원주파수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전원주파수의 차이를 가미한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도시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다른 전원주파수의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각각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각 경우의 전류값을 전원주파수정보와 대응한 상태의 기준전류값으로서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은 조리동작중에서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중 상기 주파수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 정보에 대응한 기준 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이 놓여져 있는 분위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전류연산수단은 조리동작중에서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 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온도도 가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상용 교류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조리동작을 실시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소정부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
    상기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
    상기 전류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를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 및 상기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이미 알려진 레벨의 입력전압을 검출했을 때의 검출값을 각각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으로서 미리 기억하여 이루어진 기억수단,
    조리동작 중에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전류연산수단 및
    조리동작 중에 상기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전압연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 전압검출수단 및 기억수단은 동일한 기판 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복수의 기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도시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과, 상기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을 검출했을 때의 전원주파수 정보를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하고,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은 조리동작중에서 상기 주파수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전원주파수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한 전원주파수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에 전원주파수의 차이를 가미한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도시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을 설치하고,
    기억수단에는 다른 전원주파수의 이미 알려진 레벨의 전류 및 입력전압을 각각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각 경우의 검출값을 전원주파수정보와 대응한 상태의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으로서 미리 기억하도록 구성되며,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은 조리동작 중에 상기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상기 주파수 신호로 나타나는 전원주파수 정보에 대응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놓여 있는 분위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은 조리동작 중에서 전류검출수단 및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을 기억수단에 기억된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 상기 온도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온도도 가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에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적어도 한쪽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리동작의 실행 또는 특정 부하의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에 기준전류값 및 기준전압값 중 적어도 한쪽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정의 알림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연산수단 및 전압연산수단이 산출한 전류값 및 입력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체의 입력전류가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입력전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전압연산수단에는 가열수단이나 다른 부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전압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입력전압값을 보정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전원차단상태에서도 기억내용을 유지하는 비휘발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은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류 또는 특정의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2000-0026907A 1999-06-30 2000-05-19 가열조리기 KR100401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501499A JP3735491B2 (ja) 1999-06-30 1999-06-30 加熱調理器
JP11-185014 199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89A true KR20010007089A (ko) 2001-01-26
KR100401684B1 KR100401684B1 (ko) 2003-10-17

Family

ID=1616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07A KR100401684B1 (ko) 1999-06-30 2000-05-19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35491B2 (ko)
KR (1) KR100401684B1 (ko)
CN (1) CN100353118C (ko)
TW (1) TW46067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73B1 (ko) * 2006-10-26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110789B1 (ko) * 2010-04-09 2012-02-24 쿠쿠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의 히터 불량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39B1 (ko) * 2010-02-11 2010-08-23 주식회사 윌링스 지능적 정상부하 판정기능을 구비한 유도가열기 및 그 구동방법
EP3000283B2 (en) 2013-05-21 2021-12-01 Goji Limited Calibration of an rf processing system
CN103813556B (zh) * 2014-02-17 2015-10-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磁加热装置及其功率控制方法和功率控制系统
JP6690079B2 (ja) * 2016-05-24 2020-04-2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779369B2 (ja) * 2017-04-06 202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172B1 (ko) * 1987-07-06 1991-08-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전기기기의 제어장치
JP2643430B2 (ja) * 1989-04-10 1997-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GB2239330B (en) * 1989-11-28 1994-06-22 Toshiba Kk Microwave oven and heating cooking appliance
JPH03173357A (ja) * 1989-11-30 1991-07-26 Toshiba Corp インバータの電力制御方法
JPH0495386A (ja) * 1990-07-31 1992-03-27 Toshiba Corp 高周波加熱調理装置
KR940005058B1 (ko) * 1992-02-14 1994-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출력안정화회로 및 그 방법
JPH0676941A (ja) * 1992-08-25 1994-03-18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3202111B2 (ja) * 1993-10-13 2001-08-27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高周波加熱装置
JP3168842B2 (ja) * 1994-09-28 2001-05-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H10208857A (ja) * 1997-01-29 1998-08-07 Hitachi Home Tec Ltd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73B1 (ko) * 2006-10-26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08051050A1 (en) * 2006-10-26 2008-05-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KR101110789B1 (ko) * 2010-04-09 2012-02-24 쿠쿠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의 히터 불량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9376A (zh) 2001-01-10
JP3735491B2 (ja) 2006-01-18
CN100353118C (zh) 2007-12-05
JP2001015262A (ja) 2001-01-19
TW460677B (en) 2001-10-21
KR100401684B1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4208A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US7113075B2 (en) Power supply methods and apparatus
US5352865A (en) Programmable load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food oven
KR100401684B1 (ko) 가열조리기
US4984184A (en) Controlling device for electric apparatus
KR0122727B1 (ko) 고주파 가열조리장치
JP4417595B2 (ja) 加熱調理器及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値補正方法
KR970009071B1 (ko) 전자렌지
EP0040638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heat cooker
KR920010577B1 (ko) 가열조리기
JP3322417B2 (ja) 温度制御装置
JPH05313758A (ja) 温度制御装置
JP3286520B2 (ja) 電子レンジ
JP2001193939A (ja) 加熱調理器
JP32849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8077384A1 (en) Method for calibrating a power control loop of an induction hob
KR100607504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파워 디스플레이방법
CA1329828C (en)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power supply or magnetron has failed
JPH04236013A (ja) 調理器
KR100415938B1 (ko) 전자레인지의 릴레이 동작 시간 보상 회로
JP5334767B2 (ja) 加熱調理器
KR960007116B1 (ko) 전자렌지의 자동조리 강약 조절방법
JP2012072968A (ja) 空気調和機
JPH11176569A (ja) 電子レンジ
JPS59191623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