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538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538A
KR20010004538A KR1019990025227A KR19990025227A KR20010004538A KR 20010004538 A KR20010004538 A KR 20010004538A KR 1019990025227 A KR1019990025227 A KR 1019990025227A KR 19990025227 A KR19990025227 A KR 19990025227A KR 20010004538 A KR20010004538 A KR 2001000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signal
voltage sour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4937B1 (ko
Inventor
김생환
이준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937B1/ko
Priority to US09/606,774 priority patent/US6307400B1/en
Publication of KR2001000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데이타 신호가 제 1 논리값을 가질때 데이타 저장 명령에 의해 제 1 출력 노드로 제 1 전원전압원을 출력하고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출력된 첫번째 데이타 신호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저장된 데이타를 계속 래치시키는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데이타 출력 명령에 의해 완충시켜 출력 단자로 각각 출력시키는 버퍼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레지스터에 데이타가 일단 저장되면 데이타를 리셋하기 전에는 데이타를 변경하기 못하게 하여 노이즈나 주파수 증가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Data registe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지스터에 데이타가 일단 저장되면 데이타를 리셋(reset)하기 전에는 데이타를 변경하기 못하게 함으로써 노이즈(noise)나 주파수 증가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시킨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데이타 입력부(10), 데이타 저장부(20), 데이타 출력 버퍼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타 입력부(10)는 전원전압(Vcc) 파워라인과 노드(Nd1)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데이타 페치 신호(DATA_FETCH)(데이타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라는 명령 신호)와 데이타 신호(DATA)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P1,P2)와, 상기 노드(Nd1)와 접지전압(Vss) 파워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데이타 리셋 신호(DATA_RESET)에 의해 스위칭되는 NMOS 트랜지스터(N1)로 구성된 데이타 신호(DATA) 입력수단과, 그리고 전원전압(Vcc) 파워라인과 노드(Nd2)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데이타 페치 신호(DATA_FETCH)와 데이타바 신호(DATAb)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P3,P4)와, 상기 노드(Nd2)와 접지전압(Vss) 파워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데이타 리셋 신호(DATA_RESET)에 의해 스위칭되는 NMOS 트랜지스터(N2)로 구성된 데이타바 신호(DATAb) 입력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타 저장부(20)는 상기 노드(Nd2)의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접속된 2개의 인버터(INV1,INV2)로 구성된 제 1 메모리부와, 상기 노드(Nd1)와 상기 제 1 메모리부의 출력 신호를 NAND 연산하여 노드(Nd5)로 출력하는 NAND 게이트(NA1)와, 상기 노드(Nd1)의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접속된 2개의 인버터(INV3,INV4)로 구성된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노드(Nd2)와 상기 제 2 메모리부의 출력 신호를 NAND 연산하여 노드(Nd6)로 출력하는 NAND 게이트(NA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타 출력 버퍼부(30)는 전원전압(Vcc) 파워라인과 제 1 출력단자(pd)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상기 노드(Nd5)의 신호와 데이타 출력바 신호(DATAb_out)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P5,P6)와, 상기 제 1 출력단자(pd)와 접지전압(Vss) 파워라인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데이타 출력 신호(DATA_out)와 상기 노드(Nd2) 신호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N3,N4)로 구성된 제 1 출력 버퍼단과, 그리고, 전원전압(Vcc) 파워라인과 제 2 출력단자(pu)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상기 노드(Nd6)의 신호와 데이타 출력바 신호(DATAb_out)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P7,P8)와, 상기 제 2 출력단자(pu)와 접지전압(Vss) 파워라인 사이에 직렬접속되고 데이타 출력 신호(DATA_out)와 상기 노드(Nd1) 신호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는 2개의 NMOS 트랜지스터(N5,N6)로 구성된 제 2 출력 버퍼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데이타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는 데이타 리셋 신호(DATA_RESET)(저장된 데이타를 리셋하라는 명령 신호)에 의해 노드(Nd1 및 Nd2)는 '로우' 상태를 갖는다.
만약, 데이타 신호(DATA)가 '로우'로 입력되면, 상기 데이타 페치 신호(DATA_FETCH)에 의해 노드(Nd1)가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노드(Nd2)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Nd5)는 '로우' 상태가 되고 노드(Nd6)는 '하이' 상태가 되어 데이타 출력 신호(DATA_out)가 입력되면 제 1 출력 신호(pd)는 '하이'로 출력되고 제 2 출력 신호(pu)는 '로우'로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에 있어서는, 데이타 신호(DATA)가 '로우'로 입력된 상태에서 노이즈(noise)나 크로스 토크(cross talk) 또는 주파수의 증가로 인하여 상기 데이타바 신호(DATAb)에도 '로우'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레지스터에 저장된 신호가 바뀌면서 출력 신호(pd 및 pu)가 모두 '로우'가 되어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지스터에 데이타가 일단 저장되면 데이타를 리셋하기 전에는 데이타를 변경하기 못하게 함으로써 노이즈나 주파수 증가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시킨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데이타 입력부 20,120 : 데이타 저장부
30 : 데이타 출력 버퍼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는,
적어도, 데이타 신호가 제 1 논리값을 가질때 데이타 저장 명령에 의해 제 1 출력 노드로 제 1 전원전압원을 출력하고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출력된 첫번째 데이타 신호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저장된 데이타를 계속 래치시키는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데이타 출력 명령에 의해 완충시켜 출력 단자로 각각 출력시키는 버퍼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논리값은 '로직 로우' 전위이고, 상기 제 1 전원전압원은 전원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원전압원은 접지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저장 수단은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과, NAND 게이트로 된 플립플럽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모리 셀은 병렬연결된 2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로서, 데이타 입력부(10), 데이타 저장부(120), 데이타 출력 버퍼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타 입력부(10)와 데이타 출력 버퍼부(30)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것과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상기 데이타 저장부(20)는 데이타 리셋 신호(DTAT_RESET)가 입력되기 전에는 먼저 입력된 데이타 신호를 계속 래치시키도록 구현한 것으로, 상기 노드(Nd1)의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접속된 2개의 인버터(INV1,INV2)로 구성된 제 1 메모리부와, 상기 노드(Nd2)의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병렬접속된 2개의 인버터(INV3,INV4)로 구성된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래치된 신호를 노드(Nd5)로 출력하는 NAND 게이트(NA3,NA4)로 된 제 1 플립플럽 회로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래치된 신호를 노드(Nd6)로 출력하는 NAND 게이트(NA5,NA6)로 된 제 2 플립플럽 회로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데이타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는 데이타 리셋 신호(DATA_RESET)에 의해 노드(Nd1 및 Nd2)는 '로우' 상태를 갖는다.
데이타 페치 신호(DATA_FETCH)가 '로우'로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데이타 신호(DATA)가 '로우', 데이타바 신호(DATA_RESET)가 '하이'로 각각 입력된다면, 상기 노드(Nd1)는 데이타 입력부(10)의 PMOS 트랜지스터(P1,P2)를 통해 전원전위(Vcc)가 인가되어 '하이(Vcc)' 전위를 갖고 제 1 메모리부로 구성된 인버터(INV1,INV2)에 의해 그 값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노드(Nd2)는 데이타 입력부(10)의 NMOS 트랜지스터(N2)를 통해 접지전위(Vss)가 인가되어 '로우(Vss)' 전위를 갖고 제 2 메모리부로 구성된 인버터(INV3,INV4)에 의해 그 값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플립플럽 회로부(NA3,NA4)는 상기 노드(Nd1)가 '하이'이고 상기 노드(Nd2)가 '로우'일때 노드(Nd5)로 출력되는 '로우' 신호를 래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타 신호(DATA)가 '로우'로 입력된 상태에서 노이즈(noise)나 크로스 토크(cross talk) 또는 주파수의 증가로 인하여 상기 데이타바 신호(DATAb)에도 '로우' 펄스 신호로 입력되더라도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INV1,INV2)와 상기 제 1 플립플럽 회로부(NA3,NA4)의 출력단에는 변화가 없다. 즉, 상기 노드(Nd1)가 '하이' 상태에서 노드(Nd2)가 '하이'로 변하더라도 상기 제 1 플립플럽(NA3,NA4)의 출력단(Nd5)은 이전의 '로우' 신호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데이타바 신호(DATAb)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메모리부(INV3,INV4)와 NAND 게이트로 된 제 2 플립플럽(NA5,NA6)의 동작도 상기 제 1 메모리부(INV1,INV2)와 NAND 게이트로 된 제 1 플립플럽(NA3,NA4)의 동작과 동일하다.
따라서, 노드(Nd5)는 '로우' 상태가 되고 노드(Nd6)는 '하이' 상태가 되어 데이타 출력 신호(DATA_out)가 입력되면 제 1 출력 신호(pd)는 '하이'로 출력되고 제 2 출력 신호(pu)는 '로우'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에 의하면, 데이타 신호가 제 1 논리값을 가질때 데이타 저장 명령에 의해 제 1 출력 노드로 제 1 전원전압원을 출력하고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출력된 첫번째 데이타 신호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저장된 데이타를 계속 래치시키는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데이타 출력 명령에 의해 완충시켜 출력 단자로 각각 출력시키는 버퍼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레지스터에 데이타가 일단 저장되면 데이타를 리셋하기 전에는 데이타를 변경하기 못하게 하여 노이즈나 주파수 증가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데이타 신호가 제 1 논리값을 가질때 데이타 저장 명령에 의해 제 1 출력 노드로 제 1 전원전압원을 출력하고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제 2 전원전압원을 출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제 2 출력 노드로 출력된 첫번째 데이타 신호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데이타 리셋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저장된 데이타를 계속 래치시키는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데이타 출력 명령에 의해 완충시켜 출력 단자로 각각 출력시키는 버퍼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논리값은 '로직 로우'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원은 전원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원전압원은 접지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과, NAND 게이트로 된 플립플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은 병렬연결된 2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KR1019990025227A 1999-06-29 1999-06-29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KR10032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227A KR100324937B1 (ko) 1999-06-29 1999-06-29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US09/606,774 US6307400B1 (en) 1999-06-29 2000-06-28 Data register circuit in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227A KR100324937B1 (ko) 1999-06-29 1999-06-29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538A true KR20010004538A (ko) 2001-01-15
KR100324937B1 KR100324937B1 (ko) 2002-02-28

Family

ID=1959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227A KR100324937B1 (ko) 1999-06-29 1999-06-29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07400B1 (ko)
KR (1) KR100324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508B2 (en) 2007-01-04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xed control data generat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driving IC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860B2 (en) * 2002-05-01 2004-08-24 Ovonyx, Inc. High voltage row and column driver for programmable resistance memory
US6642749B1 (en) * 2002-09-27 2003-11-04 Lsi Logic Corporation Latching sense amplifier with tri-state output
US7580291B2 (en) * 2006-06-08 2009-08-25 Atmel Corporation Data register with efficient erase, program verify, and direct bit-line memory access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4956A (en) * 1995-12-29 1998-11-10 Intel Corporation Core clock correction in a 2/N mode clocking scheme
KR19990026457A (ko) * 1997-09-24 1999-04-15 윤종용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레지스터제어 회로
US5867453A (en) * 1998-02-06 1999-02-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lf-setup non-overlap clock generator
JP3953206B2 (ja) * 1998-09-24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高速クロックに対応可能な入力バッファを持つ集積回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508B2 (en) 2007-01-04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xed control data generation circuit and display device driving IC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4937B1 (ko) 2002-02-28
US6307400B1 (en)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3872A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for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KR20000020260A (ko) 외부 클럭 신호를 가지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230396242A1 (en) Dynamic d flip-flop, register, chip,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US6373782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reduced error operation caused by threshold voltage variation
KR10032493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레지스터 회로
KR100692985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및 펄스 신호 생성 방법
JP2004362744A (ja) メモリ素子
KR100609484B1 (ko) 저전력 소모의 플립플롭
US20060176747A1 (en) Circuit for interfacing local bitlines with global bitline
KR100650775B1 (ko) 출력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는 차동 증폭기
KR20100016301A (ko) 메모리 어레이에서의 저전압 데이터 경로
KR19990002136A (ko) 어드레스 천이 검출회로
KR100670728B1 (ko) 플립플롭 회로
KR20030058254A (ko) 클럭드 감지증폭기와 래치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KR100706778B1 (ko) 입력버퍼
US5455531A (en) Flip-flop circuit
KR20000043230A (ko) 데이타 입력버퍼
KR100213802B1 (ko) 클럭 에지 제어 레지스터
KR100210858B1 (ko) 집적 회로
KR100511909B1 (ko) 클럭 동기 회로
KR930006630B1 (ko) 동작상태 변화에 의한 오동작 방지회로를 부가한 sram
KR0182011B1 (ko) 출력 데이타 안정화를 위한 라이트 드라이버
KR100631932B1 (ko) 버츄얼 채널 디램
KR0154737B1 (ko) 멀티포트 레지스터 화일
KR20000073441A (ko) 글로벌 데이터 버스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