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155A -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155A
KR20000069155A KR1019997004687A KR19997004687A KR20000069155A KR 20000069155 A KR20000069155 A KR 20000069155A KR 1019997004687 A KR1019997004687 A KR 1019997004687A KR 19997004687 A KR19997004687 A KR 19997004687A KR 20000069155 A KR20000069155 A KR 2000006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outer ring
compartment
sheet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미스제임스더블류.
로저스애비게일엘.
릴리토마스이.쥬니어
홈즈마크더블류.
라킨로버트지.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6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ackag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유연성 파우치(10)는 바닥면이 있는 유연성 격실(16)을 포함하고 있다. 격실의 바닥면(32) 주변에 외륜(34)이 형성되어 있고 격실 바닥면의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다. 파우치가 외륜에 의해 지탱될 때 파우치를 안정하게 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외륜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은 파우치가 납작하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외륜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파우치의 격실이 채워지게 되면 동일면상의 받침은 외륜의 가장 낮은 부위로 형성될 것이다. 파우치가 동일면상의 받침에 의해 지탱되면 지지면(50) 위에 안정한 상태로 놓이게 될 것이다. 이러한 파우치 설계는 파우치가 뒤뚱거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피하게 하고 따라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파우치의 제조방법은 격실이 있는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격실 바닥면 주변에 외륜을 마련하는 단계와, 격실 바닥면으로부터 외륜을 떨어져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외륜의 일부는 바깥 테두리(46, 48)에서 제거되어 다수의 동일면상의 받침을 형성한다. 또한 비교적 넓은 입구가 파우치에 마련되어 쉽게 빨대를 삽입할 수 있으며, 반면에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A STABLE FLEXIBLE POUCH AND METHOD FOR MAKING THE POUCH}
종래 기술에는 다양한 유연성 파우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연성 파우치는 지지면에 놓여 있을 때 불안정한 경우가 있다. 유연성 파우치는 예를 들어 서로 밀폐된 두 장의 시트(sheet), 돌출형 튜브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파우치들이 채워지게 되면, 지지면에 놓여 있을 때 종종 불안정하다. 이것은 불필요하게 엎질러지는 원인이 되어 내용물을 버리게 되고 오물을 만들어 낸다.
공지된 유연성 파우치는 일례로서 음료수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들이 테이블 위에 놓여 있을 때 흔들리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불안정하다. 이러한 종래의 파우치들은 쉽게 쓰러지게 되어 쥬스나 기타 음료가 쏟아진다. 이것은 아이들이 파우치를 다룰 때 특히 문제가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는 지지면에 안정하게 놓일 수 있는 유연성 파우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유연성(flexible) 격실(compartment)이 있는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pouch)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파우치는 상기 격실의 바닥면을 둘러싸는 외륜(rim)이 있고, 외륜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안정하게 하는 동일면상의 받침(feet)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발명의 설명 및 실시예와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첨부되는 도면은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연성 파우치의 정면도로서, 파우치 내부의 일부분을 보여주고;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비어 있는 파우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파우치의 아랫부분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의 형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유사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의 아랫부분을 보여주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의 밑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지지면에 안정하게 놓일 수 있는 유연성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유연성 있는 격실을 가지고 있으며 채워졌을 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거나 혹은 뒤뚱거리지 않는 유연성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쉽고 경제적으로 생산되고 다루기 쉬운 유연성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바닥면을 가지는 유연성 격실과;
상기 격실의 바닥면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격실 바닥면과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륜과;
상기 외륜에 마련되어 있고 파우치가 외륜으로 지탱되고 있을 때 파우치를 안정하게 하는 셋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
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연성 파우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은
파우치에 격실이 있고 상기 격실은 바닥면이 있는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격실의 바닥면 주위로 외륜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외륜을 상기 격실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하며 외륜의 바깥 테두리를 격실로부터 간극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외륜의 바깥 테두리에서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외륜에 다수의 동일면상의 받침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어 있는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바닥면을 가지는 유연성 격실과, 상기 격실이 비어 있을 때는 납작하고 격실이 채워졌을 때는 팽창되는 파우치와;
상기 격실의 바닥면을 둘러싸면서 격실 바닥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외륜부와 제 2 외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륜부와 제 2 외륜부의 각 선단부분은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각각의 외륜부는 중앙부와 두 개의 경사진(beveled) 선단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륜부의 바깥 테두리를 격실로부터 간극을 유지하도록 한 외륜과;
상기 외륜에 마련되어 있어서 파우치가 바닥면에서 상기 외륜 위에 놓일 때 파우치를 안정하게 하며, 파우치가 상기 외륜 위에 놓일 때 바닥면과 맞닿게 되고, 상기 외륜부의 각각의 중앙부에 동일면상의 받침이 하나 이상 있으며,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이 상기 경사진 선단부분을 넘어 바깥쪽으로 연장됨으로써 경사진 선단부분이 파우치가 놓여지는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게 하는 셋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
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연성 파우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용가능 범위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해야한다.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본 발명의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도면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면, 특히 도 1은 유연성 파우치(10)를 보여준다. 이러한 유연성 파우치는 플라스틱 물질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로 피복된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열-밀봉(heat-sealable), 열-용접(heat-weldable) 또는 초음파 밀봉한 유연성 라미네이트(laminate)로부터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10)는 음료와 같은 액체, 유동체, 반죽물, 미분물(fine granular material) 또는 다른 알맞은 대상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는 주로 음료 파우치로 사용될 것으로 고려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유연성 파우치(10)는 일반적으로 모래시계의 형태 또는 8자 형태를 가진다. 상기 파우치는 제 1 시트(12)와 제 2 시트(14)로부터 만들어진다. 도 1을 보면, 제 1 시트(12)가 제 2 시트(14)의 앞쪽에 있다. 제 1 시트(12)의 형태는 최상부의 테두리를 제외하고는 제 2 시트(14)와 대응된다. 특히, 제 2 시트(14)는 제 1 시트(12)보다 다소 길어 제 2 시트의 상부 테두리는 제 1 시트의 상부 테두리 위로 연장된다. 상기 두 시트(12, 14)는 외면을 따라 서로 밀폐되어 있어서 격실(16)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시트(12)와 제 2 시트(14)에 의해 형성된 격실(16)은 상기 유연성 파우치(10)의 내용물을 담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격실(16) 안에 음료를 담을 수 있다. 이 격실은 최초부터 밀폐되어 봉해질 것으로 고려해야 한다.
접합선(seam)(18)은 제 1 시트(12)와 제 2 시트(14)의 측면을 따라 뻗어있다. 상기 접합선은 도면상에서 연속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상기 격실(12)이 밀폐될 수 있는한 불연속적일 수도 있는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상기 접합선(18)은 제 1 시트(12) 와 제 2 시트(14)를 함께 열-밀봉, 열-용접 또는 초음파 밀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접착제, 크림핑(crimping) 또는 기타 적당한 장치가 사용되어 두 시트를 함께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돌출형 튜브가 상기 두 시트(12, 14)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하나의 시트를 그 자체로 접어 포개지게 하고 남은 선단부분을 서로 접촉하게 하여 밀폐된 격실(12) 부분을 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단지 적절하게 밀폐된 격실(12)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뿐이다. 상기 격실(12)은 상기한 바대로 유동적이며 빈틈없이 밀폐될 것으로 고려한다.
제 1 시트(12)의 첫번째 테두리(20)와 제 2 시트(14)의 첫번째 테두리(22)는 도 1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파우치(10)의 왼쪽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합선(18)은 이 테두리(20, 22)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와 함께, 제 1 시트(12)의 두번째 테두리(24)와 제 2 시트(14)의 두번째 테두리(26)는 상기 유연성 파우치(10)의 오른쪽 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제 2 시트(14)의 테두리(22, 26)는 제 1 시트(12)의 테두리(20, 24)의 뒤쪽에 있다. 왼쪽 테두리(20, 22)와 오른쪽 테두리(24, 26)는 같은 모양을 이루고 있어 제 1 및 제 2 시트(12, 14)의 형태는 파우치(10)의 측면을 따라서 동일하게 된다. 물론 격실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측면에서 한 시트가 다른 시트보다 다소 클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첫번째 테두리(20, 22)는 서로 밀봉되어 있고, 두번째 테두리(24, 26)도 서로 밀봉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파우치에서, 상기 파우치(10)의 상부 끝에 포켓(28)이 마련되어 빨대(straw)(30)가 꼽히게 된다. 상기 빨대(30)는 포켓 물질을 관통하여 상기 격실(1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파우치(10)의 내용물이 방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비자는 빨대(30)를 통하여 상기 파우치(10) 안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외륜(34)이 격실(16)의 바닥면(32)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외륜은 제 1 외륜부(38)와 제 2 외륜부(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외륜부(36)는 실제로 제 1 시트(12)와 격실의 바닥면(32) 물질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접합선이다. 상기 제 2 외륜부(38)는 제 2 시트(14)와 격실(16)의 바닥면(32) 물질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접합선이다. 이러한 외륜부(36, 38)는 함께 완전한 외륜(34)을 형성한다. 외륜부(36, 38)의 선단은 서로 맞닿아 접착되어 있다. 열-밀봉, 열-용접 또는 초음파 결합 등에 의해 파우치를 형성시킬 때 접합선(18) 및 외륜(34)의 접합선이 형성된다. 접합선(18)은 외륜(34)의 높이를 따라 완전하게 뻗어 있다. 다시 말하면, 격실(16)의 바닥면(32)은 낮은 접합선의 끝에 인접한, 따라서 외륜(34)에 인접한 모서리를 가진다. 외륜(34)은 격실의 바닥면(32) 주위로 완전하게 뻗어 있어 상기 바닥면(32)을 둘러싸게 된다. 외륜의 높이는 다음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변화할 것이다. 외륜을 형성하는 접합선은 두 측면의 접합선(18)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보여지듯이, 왼쪽 접합선(18)은 부분적으로 앞쪽으로 굽어져 있고, 오른쪽 접합선(18)은 뒤쪽으로(즉, 도면 안쪽으로) 굽어져 있다. 도 1에는 특정 디자인이 보여지고 있지만, 상기 접합선(18)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양 접합선이 모두 앞쪽 또는 뒤쪽으로 향할 수도 있고, 곧게 뻗을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도 1에서 보면, 파우치(10)의 격실(16)이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파우치(10)는 바깥쪽으로 부풀게 될 것이다. 격실이 비어 있을 때는 도 2에서 보듯이 파우치가 납작할 것이다.
특히 도 2에는 납작한 파우치(10)의 정단면을 보이고 있으며, 접합선 요소들이 강조되어 있다. 도 2에서 제 2 외륜부(38)는 제 1 외륜부(36)의 뒤쪽에 위치해 있다. 상기 두 외륜부는 용기가 납작할 때는 서로 접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제 1 외륜부(36)를 따르는 접합선은 각각의 측면 접합선(18)으로 계속 이어진다. 또한, 가로지른 접합선(40)이 격실(16)의 왼쪽 저부에 형성되어 있고 또 하나의 가로지른 접합선(42) 격실의 오른쪽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격실의 바닥면(32)은 상기 가로지른 접합선(40, 42)을 따라 시트(12, 14)와 연결되어 있으나 측면 접합선(18)에 연장되는 외륜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기 가로지른 접합선(40, 42)은 용기의 외부를 관찰할 때는 직접 보이지 않는다. 단지, 열-밀봉, 열-용접, 초음파 밀봉 또는 기타 방법으로 형성된 접합선을 표시하는 얇은 선이나 패턴 부위가 용기의 외부에 보일 수 있고, 그러한 표시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접합선을 형성함으로써 방열부(44)를 제공하게 된다. 방열부(44)는 파우치(10)를 형성할 때 밀봉 주형(seal dies)으로부터 생략되거나 잘리워진 부위에 불과하다. 방열부(44)는 적절하게 어떠한 크기, 모양, 개수로도 사용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여지듯이 제 1 외륜부의 바깥 테두리는 경사져 있다.(46, 48) 제 1 외륜부와 유사하게 제 2 외륜부(38)도 대응되는 경사진 선단(46, 48)을 가진다. 도 2에 파우치(10)가 놓여지는 지지면(50)이 보이고 있다. 상기 지지면은 테이블일 수도 있고 다른 적당한 면이 될 수도 있다. 파우치(10)는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지지면(50) 위에 세워져 있다. 다시 말하면 파우치(10)의 종축이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지지면의 상부와 직각을 이루게 될 것이다. 도 2의 왼쪽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외륜부(36)의 경사진 선단(46, 48)은 지지면(50)과 간격(52)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간격은 일례로서 1/8인치(0.13인치)가 될 수 있다. 오른쪽 경사진 선단(48)도 동일하게 지지면(5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오른쪽에는 경사진 선단(48)을 더욱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지지면(50)이 보이고 있지 않다. 간격(54) 즉, 경사진 선단(46)의 길이는 일례로서 3/4인치(0.75인치)가 될 수 있다. 오른쪽 경사진 선단(48)도 왼쪽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으로 고려한다. 다시 말하면 파우치(10)의 바닥면은 대칭적일 것이다.
물론 원하는 경우 상기 바닥면은 비대칭적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의 길이(54)나 경사부의 깊이(52)는 파우치의 각 측면에 따라 바람직하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어떤 적당한 길이(54)와 깊이(52)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치수는 파우치(10)의 바닥면 설계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보다 큰 격실을 갖는 넓은 파우치라면 작고 폭이 좁은 파우치에 비해 다른 크기로 잘려진 경사진 선단(46, 48)을 갖게 될 것이다.
상기 바깥쪽 경사진 선단(46, 48)을 마련함으로써 제 1 외륜부(36)는 실제로 제 1 경사부(56), 중앙부(58) 및 제 2 경사부(60)로 나누어지게 된다. 중앙부(58)는 제 1 경사부(56)와 제 2 경사부(60) 사이에 위치한다. 도 2에 상기 부위(56, 58, 60)를 갖는 제 1 외륜부가 나타나지만, 제 2 외륜부도 역시 동일한 부분(56, 58, 60)을 가지는 것으로 고려해야 한다. 상기 외륜부(36, 38)는 같은 크기를 가지며 따라서 외륜(34)은 앞면과 뒷면이 대칭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물론 원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의 길이나 깊이는 제 1 외륜부(36)와 제 2 외륜부(38)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경사부는 제 1 외륜부(36)와 제 2 외륜부(38) 사이에서 조화되어야 한다.
파우치(10)를 형성할 때 빈 캔이 만들어진다. 상기 빈 캔은 바닥의 모서리가 잘려지게 되어 경사진 선단 부위(56, 60)를 형성할 것이다. 파우치의 모서리를 절단하게 되는 이 단계는 제 1 및 제 2 시트(12, 14)가 서로 결합되기 전 또는 후에 행하여질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파우치(10)가 예를 들어 돌출형 튜브로부터 형성된다면 시트를 결합하는 단계는 없게 된다.
경사진 선단 부위(56, 60)를 마련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지지면과 경사진 선단 부위 사이에 각(angle)(62)이 형성될 것이다. 제 1 및 제 2 경사부(56, 60)가 대칭적일 때 상기 각(62)도 파우치(10)의 오른쪽과 왼쪽 모두에서 동일할 것이다.
만일 3/4인치의 길이 및 1/8의 깊이로 절단된 부분이 파우치의 바닥면에 만들어진다면 각(62)은 다음 공식에 의하여 알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9.83°의 각이 제시되었지만, 상기 각은 4 ~ 25°의 범위가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8 ~ 15°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외륜(34)의 바닥면이 너무 많이 절단되면 격실(16)의 저부 밀봉에 영향을 주게 되거나 방열부(44) 부위가 방해받게 된다. 반면에 너무 적게 절단되면 절단된 부분 즉, 토막을 주형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각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파우치(10)의 크기에 의존적인 경사진 선단(46, 48)을 절단하는 크기에 따라 상기 각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선단(46, 48)의 절단부가 곧게 잘려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휘어진 절단부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톱니형, 파도형, 기타 어느 형태의 절단부도 가능하다. 단지 파우치가 바닥에 놓여졌을 때 접합선(18)의 최외곽 테두리가 바닥에 닫지 않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도 2에는 파우치(10)가 납작한 상태로 나타나 있다. 바닥면(64)은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접힘선(crease line)(64)을 따라 반으로 접혀져 있다. 격실(16)의 바닥면(32)을 형성하는 시트 혹은 피막은 제 1 , 제 2 외륜부(36, 38)의 중앙부위(58) 일부에 고착되어 있다. 그 다음에 격실(16)의 바닥면(32)의 피막은 경사져 가로지르는 접합선(40, 42)을 따라서 제 1 및 제 2 시트(12, 14)에 밀폐되어 있다. 격실이 채워지게 되면 격실의 바닥면(32)에 하강압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다. 접혀진 부위(64)는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서 바닥면 피막을 그릇 모양으로 형성시킬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파우치(10)의 외부에서 바닥면 피막을 관찰할 때 피막이 U자형 모양을 갖게 될 것이다. 다만 도 1에는 파우치의 설명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바닥면 피막이 일반적인 평평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도 5에 파우치(10)의 바닥면을 보이고 있다. 선들(66)이 바닥면(32)의 피막에서 평평한 부위(가장 낮은 부위)의 테두리가 외륜에 대해서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 접힘으로 형성된 선(64)이 도 5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 선은 실제로는 사라지게 되거나 파우치가 채워지게 되면 격실(16)의 바닥면(32)과 적어도 같은 높이를 유지하는게 일반적이다.
격실(16)의 바닥면(32) 피막이 제 1 및 제 2 시트 양쪽의 경사진 접합선(40)을 따라 밀폐되기 때문에 작은 공간 혹은 구석(68, 70)이 파우치(10)의 바닥면(32) 양쪽에 형성된다. 격실(16)의 바닥면(32) 피막 재료는 유연성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바닥면 피막의 정확한 모양은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파우치를 한쪽으로 쥐어짜게 되면 바닥면의 평탄 부위의 바깥둘레를 나타내는 선들(66)이 이동할 수도 있다. 다만 도 5에는 대부분의 바닥면 피막이 파우치(10)가 채워지게 되면 일반적으로 평탄하며 펼쳐지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격실(16)의 바닥면(32) 피막은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나듯이 지지면과 공간을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외륜(34)은 격실(16)이 채워지게 되면 격실의 바닥면(32)을 지지면(50)으로부터 떨어져 위치시킨다.
도 5에서 보듯이 제 1시트(12) 및 제 2 시트(14)은 모두 외륜(34)을 제 1 경사부(56), 중앙부(58) 및 제 2 경사부(60)로 분할시킨다. 이러한 배열은 이미 언급되었다. 제 1 및 제 2 경사부(56, 60)는 보통 코너(72) 부위 앞에서 끝나게 된다. 상기 코너(72) 부위는 코너로 언급되었지만 실제로는 격실(16)의 바닥면(32) 재료와 파우치의 유연성에 기인하여 유동적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파우치의 한쪽이 압축되면 상기 코너(72)는 다른 쪽으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의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코너(72)는 경사부(56, 60) 최대 안쪽의 끝(74)과 간격을 유지할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코너(72)는 실제로 정방형 코너가 아니라 파우치의 측면과 정면사이 및 파우치의 측면과 후면사이에서 변이(transition)를 형성하는 원형부임을 이해해야 한다. 격실(16)의 바닥면(32) 피막 뿐만 아니라 제 1 시트(12) 및 제 2 시트(14)도 동일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 덮힌 알루미늄 시트 같은 유연성 라미네이트나 기타 적당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격실(16)의 바닥면(32) 피막은 상기 시트(12, 14)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종래의 파우치가 채워진 채로 세워져 있는 모습의 일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경사진 선단 부위(56, 60)는 외륜의 바깥 테두리로부터 절단되어 있지 않다. 도 3의 파우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와 동등하지 않다. 특히 상기 파우치는 예를 들어 8자 모양 혹은 모래시계 모양의 형태나 포켓(28)이 구비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와 동일하게 측면 접합선(18)을 가지고 있다.
외륜(76)도 도 3에 나타난 파우치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는 부풀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파우치의 격실은 채워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파우치의 최하부가 접합선(18)의 최외곽 테두리에 형성된다. 상기 최하부는 지지면(50)과 접촉점(78)을 형성한다. 외륜(76)의 외곽 테두리와 지지면(50) 사이의 거리(80)는 도 3에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상기 거리는 실제로는 불과 수 밀리미터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파우치는 지지면(50)에 놓여 있을 때 일반적으로 두 개의 접촉점(78)에 지탱되며 외륜의 나머지 부분은 들려 있는 채로 지지면(50)과 접촉하지 않는다. 단지 두 개의 접촉점(78)만이 있으므로 파우치는 뒤뚱거리거나 앞, 뒤로 흔들리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파우치는 접촉점(78)을 축 중심으로하여 도 3의 그림 안과 밖으로 움직일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파우치가 충분히 앞쪽으로 기울어지면 외륜(76)의 앞 부분이 지지면(50)에 닿게 되어 세 개의 접촉점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세 접촉점은 외륜 앞쪽의 접촉점과 상기 두 개의 접촉점(78)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우치가 놓여질 수 있지만 불안정하게 될 것이다. 뒤쪽으로 작은 힘만 가하여도 파우치는 접촉점(78)을 중심으로 뒤로 움직이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외륜 뒤쪽의 한 점이 지지면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종래의 파우치는 지지면(50)에 놓여질 때 불안정하고, 흔들리며 뒤뚱거린다. 이러한 불안정한 배치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파우치를 쉽게 쓰러지게 한다. 그러한 경우 내용물이 파우치로부터 흘러나와 제품을 버리게 되고 오물을 야기한다.
외륜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의 잠재적인 접촉점은 상기 접촉점(78)과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으므로 파우치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뒤뚱거릴 것이다. 외륜(76)의 앞과 뒤 부분에 관하여 설명될 때, 도 3에 나타난 파우치는 두 개의 분리된 시트 또는 튜브형 시트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어떠한 배치에서도 도 3에 보이듯이 앞쪽으로 치우친 외륜(76)이 형성될 것이다. 뒤쪽 외륜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쪽의 외륜(76)과 공간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두 외륜부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외륜부(36, 38)와 동일하게 격실의 바닥면을 둘러싸고 있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가 채워진 채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그림은 파우치 앞쪽에 제 1 시트 또는 제 2 시트를 보이고 있다. 어떠한 배치에서도 외륜(34)은 이미 언급된 제 1 경사부(56), 중앙부(58), 제 2 경사부(60)와 함께 마련되어 있다. 역시 앞에서 기술된 대로 파우치 주위에 네 개의 코너(72)가 일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코너(72)가 도 4에 나타나 있고 대응하는 두 개의 코너는 도면에 나타난 두 코너의 뒤쪽에 위치해 있다.
파우치(10)가 도 2에 보여진 것처럼 납작한 상태에 있으면 외륜(34)의 중앙부(58)는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일반적으로 곧고 납작하게 된다. 그러나 격실(16)이 채워지게 되면 파우치는 부풀고 코너(72)를 형성한다. 이 코너(72)는 파우치의 유연한 속성상 외륜의 외면 주변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5에 도시되고 논의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네 개의 코너가 형성된다. 이러한 코너(74)는 도 4에 나타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동일면상의 받침(84)을 형성한다. 각각의 코너에 동일면상의 받침(84)이 형성될 것이다. 각각의 받침(84)들은 동일한 평면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받침들은 외륜(34)의 바깥 테두리의 가장 낮은 부위이다. 이 받침들은 지지면(50)과 맞닿게 되고 안정한 지지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84)이 파우치(10)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이 받침(84)들은 동일 평면상에 있고 채워져 있는 파우치(10)를 안정하게 위치시킨다. 외륜(34)의 중앙부(58)는 이와 반대로 도 4의 간격(82)에서 보여지듯이 지지면(50)과 공간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간격은 도 3의 간격(80)과 마찬가지로 과장되어 있으며 실제로는 단지 수 밀리미터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10)는 일반적으로 지지면(50)과 접촉하는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만을 갖는다.
상기 파우치는 두 시트(12, 14)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으로 기술되었기 때문에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마련되는 것으로 고려한다. 그러나 파우치가 삼각형 모양을 가지게 되면 세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마련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제공됨으로써 파우치에 안정한 지지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 요구될 뿐이다. 상기 받침은 동일 평면상에 있기 때문에 지지면(50) 위의 파우치가 뒤뚱거리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도 2에 있어서는 파우치가 납작한 경우에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이 일반적으로 외륜(34)의 최외곽 테두리와 같은 높이를 갖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외륜의 일부가 경사진 선단 부위(56, 60)에서 절단되기 때문에 접합선(18)의 최외곽 테두리는 지지면(50)에 닿지 않는다. 오히려 동일면상의 받침(84)이 유연성 파우치(10)가 지지면(50)과 맞닿는 유일한 부위가 될 것이다. 본 파우치(10)는 도 3에 도시된 외곽 접촉점(78)을 갖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미 언급되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는 안정하게 위치할 것이다.
물론 외륜의 한 쪽만이 절단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양 외륜부(36, 38)의 제 2 경사부(60)가 생략되어 제 1 경사부(56)만이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의 제 1 외륜부(36)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두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파우치의 앞과 뒤에 제공되고 세 번째 동일면상의 받침은 절단부가 없는 접합선(18)이 지지면과 맞닿는 점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 접촉점은 도 3의 종래 파우치에 있는 두 접촉점(78) 중의 하나를 갖고 있는 본 발명과 동일하게 될 것이다. 어떠한 배치에서도 외륜(34)에 있는 동일면상의 받침(84)이 파우치를 안정하게 한다.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 때문에 파우치의 종축(86)은 일반적으로 지지면(50)과 수직이 될 것이다. 만일 상기 축(86)이 기울어져 있다면 파우치는 쉽게 쓰러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특히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은 비교적 긴 파우치의 경우에 해당된다. 디시 말하면 길쭉한 원통형 파우치는 곧고 똑바로 세워지지 않으면 쉽게 쓰러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을 제공함으로써 회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연성 파우치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는 파우치(10)에 격실(16)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격실은 바닥면(32)을 가지게 된다. 외륜(34)이 상기 격실의 바닥면 주위로 마련된다. 상기 외륜(34)은 격실(16)의 바닥면(32)과 떨어져 있어 그 외곽 테두리를 격실로부터 떨어져있게 한다. 외륜(34)의 일부(56, 60)가 제거되어 외륜에 다수의 동일면상의 받침(84)이 형성된다.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84)은 파우치가 지지면(50)에 놓여있을 때 파우치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정한 배치를 이루는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파우치는 쓰러질 염려없이 지지면(50) 위에 견고하게 놓여 있을 수 있다. 동일면상의 받침(84)을 제공함으로써 지탱을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파우치는 뒤뚱거리거나 흔들리거나 또는 쓰러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파우치 안의 제품이 버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기술함으로써 동일한 발명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한 변경이 본 발명의 본질과 범주로부터 이탈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해지는 모든 개량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되도록 할 것이다.

Claims (31)

  1. 바닥면을 가지는 유연성 격실과,
    상기 격실의 바닥면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격실 바닥면과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륜과,
    상기 외륜에 마련되어 있고 파우치가 외륜으로 지탱되고 있을 때 파우치를 안정하게 하는 셋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
    으로 구성되는 유연성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은 제 1 외륜부 및 제 2 외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륜부 및 제 2 외륜부는 격실의 바닥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각각의 외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있는 유연성 파우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격실이 비어 있으면 납작하고 격실이 채워지면 팽창하며, 상기 각각의 외륜부는 중앙부와 두 경사진 선단부를 포함하는데 격실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깥 테두리를 가지며, 외륜부의 중앙부위의 바깥 테두리는 격실이 비고 파우치가 납작할 때 일반적으로 곧게 뻗은 유연성 파우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륜부 중앙에는 받침이 있고 상기 받침은 각 외륜부의 경사진 선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유연성 파우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경사진 선단부의 바깥 테두리가 인접한 중앙부의 곧게 뻗은 바깥 테두리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각은 4 ~ 25°의 범위를 갖는 유연성 파우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은 8 ~ 15°의 범위를 갖는 유연성 파우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접합선이 격실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각 접합선은 외륜부에 연장되어 맞닿게 되는데, 접합선 중의 하나는 제 1 경사진 선단부에서 제 1 및 제 2 외륜부와 만나게 되며, 다른 접합선은 제 2 경사진 선단부에서 제 1 및 제 2 외륜부와 만나게 되고, 제 1 및 제 2 경사진 선단부는 각 외륜부의 중앙 부위의 반대편 끝에 위치하는 유연성 파우치.
  8. 제 5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두 접합선과 격실 바닥면을 가로 지르는 중앙면에 대하여 대칭적이고, 한 쌍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상기 중앙면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유연성 파우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륜부는 격실이 비어있어 파우치가 납작할 때는 서로 맞닿을 수 있고, 각 외륜부의 중앙 부위는 격실이 채워지게 되면 서로 공간을 유지하여 떨어지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마련되어 있고 각 외륜부에 두 개의 받침이 있으며, 상기 받침들은 일반적으로 격실이 비어 있어 파우치가 납작한 경우에는 외륜부의 중앙 부위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격실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종축을 가지는데, 적어도 셋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파우치가 외륜에 지탱되어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종축이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는 유연성 파우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파우치가 외륜에 지탱되어 놓여 질 때 동일면상의 받침들 모두 외륜이 닿아 있는 바닥의 지지면에 맞닿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격실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종축을 가지는데, 상기 종축은 동일면상의 받침이 지지면과 맞닿아 있을 때 지지면에 직각을 이루는 유연성 파우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외륜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받침들은 외륜 주위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유연성 파우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격실이 비어 있으면 납작하고 격실이 채워지면 팽창하게 되며, 외륜이 격실의 바닥면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외륜은 제 1 외륜부 및 제 2 외륜부를 포함하고, 제 1 외륜부와 제 2 외륜부는 서로 연결되며, 각각의 외륜부는 중앙부와 두 경사진 선단부를 포함하고 격실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깥 테두리를 가지며, 파우치가 외륜을 지지하여 놓여 있을 때 적어도 셋 이상의 받침이 지지면에 닿아 있고, 각 외륜부의 각 중앙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이 있으며,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은 경사진 선단부를 지나서 연장됨으로써 경사진 선단부가 파우치가 놓여지는 지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유연성 파우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두 개의 측면 테두리가 있고, 외륜이 상기 측면 테두리에 연장되어 있으며, 외륜과 하나 이상의 측면 테두리가 접합되는 위치에서 90°이상의 각이 외륜의 끝부분과 파우치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연성 파우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두 개의 측면 테두리가 있고, 측면 접합선이 상기 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선이 외륜에 인접한 파우치의 바닥면에서 최소한 파우치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유연성 파우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파우치의 각 측면 테두리에는 외륜에 인접한 파우치 바닥면으로부터 파우치 상부 인접지역까지 연장되는 측면 접합선이 있는 유연성 파우치.
  19. 파우치에 격실이 있고 상기 격실은 바닥면이 있는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격실의 바닥면 주위로 외륜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외륜을 상기 격실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하며 외륜의 바깥 테두리를 격실로부터 간극을 유지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외륜의 바깥 테두리에서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외륜에 다수의 동일면상의 받침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어 있는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외륜의 선단부를 절단하여 중앙부와 두 개의 경사진 선단부를 외륜에 형성시키고 외륜 중앙부에 상기 동일면상의 받침이 위치하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은 외륜을 절단함으로써 외륜의 바깥 테두리에서 중앙부와 각각의 경사진 선단부 사이에 4 ~ 25°범위의 각을 형성시키는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파우치는 두 시트를 밀폐시켜서 격실의 서로 반대쪽 측면에 접합선을 형성시키며, 각 접합선은 외륜에 연장되어 닿아 있고 각각의 경사진 선단부가 하나의 접합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외륜을 제거하여 외륜에 네 개의 동일면상의 받침을 형성시키는 유연성 파우치의 제조방법.
  24. 제 1 및 제 2 테두리가 있는 제 1시트와,
    제 1 및 제 2 테두리가 있는 제 2 시트에서 제 1 및 제 2 시트의 제 1 테두리는 서로 밀폐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시트의 제 2 테두리도 서로 밀폐되어 있는 제 2 시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시트에 의하여 각 시트의 밀폐된 제 1 및 제 2 테두리 사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이 있는 격실과,
    제 1 및 제 2 시트의 테두리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무른 요소로서 격실 부분과 입구를 정의하고 격실입구가 직접 형성가능하도록 하는 무른 요소와,
    격실의 바닥면 주변에 형성된 외륜으로서 격실 바닥면과 떨어져 있고 격실 바닥면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륜과,
    외륜에 마련되어 있고 파우치가 외륜으로 지탱되어 있을 때 파우치를 안정하게 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동일면상의 받침
    으로 이루어지는 유연성 파우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른 요소는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마련된 유연한 가싯(gusset)이며, 제 1시트의 제 1 및 제 2 테두리가 각각 제 1 테두리와 제 2 테두리에 같은 모양을 같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싯은 제 1 및 제 2 시트 사이에서 그 가운데 접힘자국(crease)이 있을 때 접혀지고, 격실입구가 접힘자국에 형성가능한 유연성 파우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싯은 즉각 파열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가싯의 대부분은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에 담겨 있는 유연성 파우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제 1시트와 제 2 시트의 일부분은 서로를 향해 붙거나 반대로 떨어져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 시트와 제 2 시트가 서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가싯이 노출되도록 하며, 제 1 및 제 2 시트의 제 1 테두리와 제 2 테두리가 가싯에 밀폐되어 있어 가싯은 상기 주머니와 격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제 1 시트의 제 1 테두리는 제 2시트의 제 1 테두리보다 짧으며 제 1 시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 2 시트의 제 1 테두리에 이르기까지 밀폐되어 있고, 제 1 시트의 제 2 테두리는 제 2시트의 제 2 테두리보다 짧으며 제 1 시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 2 시트의 제 2 테두리에 이르기까지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가싯은 제 1 및 제 2 시트보다 짧은 유연성 파우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싯은 제 1 가싯이고 격실의 바닥면은 제 2 가싯으로부터 형성되며, 제 2 가싯은 제 1가싯으로부터 격실의 반대쪽 끝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 시트에 이르기까지 밀폐되어 있고, 격실은 전체적으로 제 1 시트, 제 2 시트, 제 1 가싯 및 제 2가싯에 의해 형성되는 유연성 파우치.
  3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른 요소는 하나의 조각 시트이고, 제 1 및 제 2 시트의 제 1 테두리와 제 2 테두리는 파우치의 측면을 형성하며, 파우치의 측면은 커브형태를 띠고 8자 모양을 닮게 되는 유연성 파우치.
KR1019997004687A 1996-11-27 1997-11-26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91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57,822 1996-11-27
US08/757,822 US5860743A (en) 1996-11-27 1996-11-27 Stable flexible pouch and method for making the po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155A true KR20000069155A (ko) 2000-11-25

Family

ID=2504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687A KR20000069155A (ko) 1996-11-27 1997-11-26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5860743A (ko)
EP (1) EP0942878B1 (ko)
JP (1) JP3418873B2 (ko)
KR (1) KR20000069155A (ko)
CN (1) CN1238730A (ko)
AR (1) AR010315A1 (ko)
AT (1) ATE213220T1 (ko)
AU (1) AU722849B2 (ko)
BR (1) BR9713137A (ko)
CA (1) CA2272309C (ko)
CO (1) CO4770869A1 (ko)
DE (1) DE69710487T2 (ko)
ES (1) ES2169441T3 (ko)
HU (1) HUP9904651A3 (ko)
IL (1) IL130132A (ko)
NO (1) NO992568D0 (ko)
NZ (1) NZ335872A (ko)
RU (1) RU2181097C2 (ko)
SI (1) SI9620143A (ko)
TR (1) TR199901181T2 (ko)
WO (1) WO1998023499A1 (ko)
ZA (1) ZA97106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89B1 (ko) * 2007-01-19 2013-02-12 다이와 그라비어 가부시키가이샤 수납 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822A (en) 2000-02-10 2000-12-26 Fres-Co System Usa, Inc. Dual compartment stand-up pouch
US6581764B1 (en) * 2000-02-11 2003-06-24 Cory Hillebrand Convenient, disposable article for food packaging
US6589195B1 (en) * 2000-05-26 2003-07-08 Orthomerica Products, Inc. Modular adjustable prophylactic hip orthosis and adduction/abduction joint
AR034176A1 (es) 2000-11-08 2004-02-04 Graham Packaging Pet Tech Metodo de produccion de un envase plastico de forma en tubo comprimible, articulo intermedio para utilizacion en la formacion de un envase plastico de forma en tubo comprimible, y envase plastico de forma en tubo comprimible
NO315644B1 (no) * 2002-01-21 2003-10-06 Kolbjoern Naesje Tetningsanordning ved en drikkebeholder samt fremgangsmåte for å lage tetningsanordningen
EP1501733A2 (en) * 2002-05-08 2005-02-02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queezable two-piece stand-up tube
US20030230377A1 (en) * 2002-06-14 2003-12-18 Turvey Robert R.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splicing of closer tape
US20030236158A1 (en) * 2002-06-24 2003-12-25 Pawloski James 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reclosable pouch
US20040078938A1 (en) * 2002-10-23 2004-04-29 Pawloski James C. Closure device for a reclosable pouch
US6921203B2 (en) 2002-11-12 2005-07-26 Sonoco Development, Inc. Stand-up pouch with legs
BR0317054A (pt) * 2002-12-04 2005-10-25 Graham Packaging Co Tampa oca, dispensador, método para fabricar um dispensador, mecanismo de vedação e fechamento para recipientes
US7055683B2 (en) * 2002-12-20 2006-06-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ple compartment pouch and beverage container with smooth curve frangible seal
US20040136620A1 (en) * 2003-01-14 2004-07-15 Derek Wilson Stand-up pouch
EP1442991A1 (en) * 2003-01-22 2004-08-04 Chun Yip Plastics Limited A bag
US7036692B2 (en) * 2003-02-19 2006-05-02 Graham Packaging Company, L.P. Dispenser with an integrally molded neck finish
EP1656302A2 (en) * 2003-08-20 2006-05-17 Graham Packaging Company, L.P. Low profile cap for stand-up tube
US20050047687A1 (en) * 2003-08-28 2005-03-03 Hershey Friedman Bakery ba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EP1675099B1 (en) * 2003-09-26 2008-01-09 Bocingo, S.L. Horn
US20080142085A1 (en) * 2003-10-07 2008-06-19 Sika Technology Ag Method for processing a material and packing container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US20050098582A1 (en) * 2003-11-12 2005-05-12 Graham Packaging Company Stand-up tube with a dispensing nose
US20050147329A1 (en) * 2004-01-07 2005-07-07 Sports Pouch Beverage Company, Inc. Beverage container
US20050238765A1 (en) * 2004-04-23 2005-10-27 Weaver Rodney M Flexible carbonated beverage pouch
US7850368B2 (en) 2004-06-04 2010-12-14 S.C. Johnson & Son, Inc. Closure device for a reclosable pouch
US20060051491A1 (en) * 2004-09-03 2006-03-09 Levitt Kenneth E Protein beverage mixing container
US20060056744A1 (en) * 2004-09-10 2006-03-16 Berman Ronald H Sealed beverage container
DE102005006827A1 (de) * 2004-11-04 2006-05-24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aschen- oder schlauchartigen Behälters, insbesondere Schlauchbeutels, mit einem eingesiegelten Boden sowie entsprechend hergestellter Schlauchbeutel
JP4780373B2 (ja) * 2005-04-21 2011-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立袋の製造方法
JP4793543B2 (ja) * 2005-04-21 2011-10-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立袋
JP5007742B2 (ja) * 2006-06-01 2012-08-2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易壊性シールを備えた複室パウチ
EP1947023B1 (en) 2007-01-19 2010-10-20 Daiwa Gravure Co., Ltd. Storage bag
US7874731B2 (en) 2007-06-15 2011-01-25 S.C. Johnson Home Storage, Inc. Valve for a recloseable container
US7967509B2 (en) 2007-06-15 2011-06-28 S.C. Johnson & Son, Inc. Pouch with a valve
AU2009332244B2 (en) * 2008-12-25 2013-08-29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container having inverted, folded back bottom wall
JP5540232B2 (ja) * 2009-05-08 2014-07-02 株式会社悠心 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JP5401369B2 (ja) * 2010-03-19 2014-01-29 株式会社細川洋行 自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内容物入り自立袋
US8550716B2 (en) 2010-06-22 2013-10-08 S.C. Johnson & Son, Inc. Tactile enhancement mechanism for a closure mechanism
US11180286B2 (en) 2010-10-29 2021-11-23 S. 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loud sound during closing
US9327875B2 (en) 2010-10-29 2016-05-03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loud sound during closing
US8974118B2 (en) 2010-10-29 2015-03-10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sound producing zipper
US8469593B2 (en) 2011-02-22 2013-06-25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press-to-vent zipper
US8568031B2 (en) 2011-02-22 2013-10-29 S.C. Johnson & Son, Inc. Clicking closure device for a reclosable pouch
US20140248005A1 (en) * 2013-03-01 2014-09-04 Stokely-Van Camp, Inc. Stand-Up Pouch
US20140349045A1 (en) * 2013-05-24 2014-11-27 Alter Eco Americas, Inc. Compostable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US10131468B2 (en) * 2013-11-06 2018-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856064B2 (en) 2014-09-29 2018-01-02 Bemis Company, Inc. Packaging container for liquids with frangible flap
USD781718S1 (en) 2016-04-25 2017-03-21 Mott's Llp Flexible pouch
USD793865S1 (en) 2016-04-25 2017-08-08 Mott's Llp Flexible pouch
WO2018156308A1 (en) 2017-02-21 2018-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making vented flexible containers
US11111036B2 (en) 2017-02-22 2021-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making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support frames
US10689177B2 (en) * 2017-10-11 2020-06-23 Frito-Lay North America, Inc. Resealable packages for snack products
PL3724094T3 (pl) * 2017-12-11 2022-05-16 Goglio S.P.A. Hermetycznie uszczelniony płaski pojemnik do przechowywania materiałów objętościowych w postaci cieczy, pasty, granulatu albo proszku
US11338975B2 (en) 2018-05-16 2022-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blanks for flexible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flexible packages
RU200192U1 (ru) * 2019-03-07 2020-10-12 Светла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Кубата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 отрывным носиком
CN110481096A (zh) * 2019-09-02 2019-11-22 鹤山市兴龙彩印有限公司 液体立袋热压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2088A (en) * 1938-01-18 1941-02-18 Harry F Waters Container
FR1128387A (fr) * 1955-08-02 1957-01-04 Sachet en matière plast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BE570955A (ko) * 1957-09-10
AT215885B (de) * 1958-07-12 1961-06-26 Papro A G Beut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3337117A (en) * 1964-04-17 1967-08-22 Lehmacher Michael Beverage package
DE1436818A1 (de) * 1964-04-17 1969-01-30 Bertoglio S A Off Trinkbeu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3405859A (en) * 1966-07-26 1968-10-15 Archer Products Inc Package and blank therefor
US3474789A (en) * 1967-05-08 1969-10-28 Ricardo Hurtado Soto Flexible ampoule
US3765309A (en) * 1971-08-16 1973-10-16 Universal Machinery Corp Bag bottom construction
US4094457A (en) * 1977-10-17 1978-06-13 Consolidated Packaging Corporation Collapsible drum-type container
US4363345A (en) * 1980-06-02 1982-12-14 Union Carbide Corporation Reclosable container
GB8612868D0 (en) * 1986-05-27 1986-07-02 Mars G B Ltd Beverage packages
EP0408929B2 (de) * 1989-07-20 1997-10-29 Düring Ag Faltbare Kunststoff-Flasche
AU7958191A (en) * 1991-05-30 1993-01-08 Packart Holding Self stable bag intended to contain a liquid, pasty or powder product
JP3410142B2 (ja) * 1993-03-30 2003-05-26 株式会社平野屋物産 開封容易とした自立可能な合成樹脂製袋
JP2688734B2 (ja) * 1994-04-26 1997-12-10 株式会社シマヤ 電子レンジ用調理袋
US5830118A (en) * 1995-09-15 1998-11-03 Klockner Bartelt, Inc. Packaging machine for forming free-standing pouches
JP3035452U (ja) 1996-09-04 1997-03-18 炳華 南 外観がよく底の安定性に優れた改良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89B1 (ko) * 2007-01-19 2013-02-12 다이와 그라비어 가부시키가이샤 수납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0743A (en) 1999-01-19
HUP9904651A3 (en) 2000-06-28
BR9713137A (pt) 2000-02-08
TR199901181T2 (xx) 1999-09-21
AR010315A1 (es) 2000-06-07
CA2272309C (en) 2005-11-15
CO4770869A1 (es) 1999-04-30
NO992568L (no) 1999-05-27
EP0942878B1 (en) 2002-02-13
RU2181097C2 (ru) 2002-04-10
ATE213220T1 (de) 2002-02-15
JP3418873B2 (ja) 2003-06-23
IL130132A (en) 2002-05-23
CN1238730A (zh) 1999-12-15
DE69710487T2 (de) 2002-10-17
AU722849B2 (en) 2000-08-10
IL130132A0 (en) 2000-06-01
JP2000513684A (ja) 2000-10-17
ZA9710687B (en) 1998-06-12
US6077208A (en) 2000-06-20
EP0942878A1 (en) 1999-09-22
NO992568D0 (no) 1999-05-27
NZ335872A (en) 2000-09-29
HUP9904651A2 (hu) 2000-05-28
DE69710487D1 (de) 2002-03-21
AU7409798A (en) 1998-06-22
SI9620143A (sl) 1999-10-31
CA2272309A1 (en) 1998-06-04
ES2169441T3 (es) 2002-07-01
WO1998023499A1 (en) 199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155A (ko)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US6164825A (en) Stable, flexible, easy open pouch
US6652144B2 (en) Beverage container pouch
US6245367B1 (en) Bowl bag
CN102947199B (zh) 分配瓶盖
JP2720106B2 (ja) 可撓性の収納袋
GB1598843A (en) Flexible bag
US6796712B1 (en) Butt-ended bag with a buckle-over closing element
US6921203B2 (en) Stand-up pouch with legs
US20040118859A1 (en) Fluid container pouch
US5495982A (en) Paper cup with a straw
US4832188A (en) Flexible film package for carry-out meal items
KR20210039613A (ko)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우치
EP1501735B1 (en) A package and a method of filling thereof
JP2008143599A (ja) 手提げ型容器保持袋体
JP3138000U (ja) 包装袋ホルダー
JP3731948B2 (ja) 自立性容器
JP3130627U (ja) 包装袋ホルダー
JP3187834U (ja) レトルトパウチ及びレトルト食品
JP3799009B2 (ja) 内容物を収納した軟質容器体
JP4275240B2 (ja) 注出具付き容器
KR200322697Y1 (ko) 자립형 파우치의 구조
JP2006282206A (ja) 流動物絞り出し二重袋
JPH10167286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JPH10250772A (ja) 醗酵食品の容器の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