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289B1 - 수납 백 - Google Patents
수납 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289B1 KR101232289B1 KR1020080005094A KR20080005094A KR101232289B1 KR 101232289 B1 KR101232289 B1 KR 101232289B1 KR 1020080005094 A KR1020080005094 A KR 1020080005094A KR 20080005094 A KR20080005094 A KR 20080005094A KR 101232289 B1 KR101232289 B1 KR 1012322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ge
- bag
- intersection
- intersection point
- inner e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삼방 백(10-1)의 수납부(13)는, (1)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경사 내연(13b)과, (3) 각 경사 내연(13b)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측변 외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측변 내연(13a)과 경사 내연(13b)의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경사 내연(13b)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다.
수납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단 개구에 수납부를 갖는 봉투 타입의 수납 백에 관한 것이다.
봉투 타입의 수납 백으로서 주지의 삼방(三方) 백은 동일 형상의 2장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실 폭을 갖는 종향인 2개의 측변 및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을 갖고 있다. 또한 봉투 타입의 수납 백으로서 주지의 합장(合掌) 백은 소정 형상의 1장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실 폭을 갖는 종향인 한 개의 등변 및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삼방 백 및 합장 백의 수납부는 모두 양측변 내연과 하변 내연에 의해 그 윤곽(통상 장방형)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삼방 백 및 합장 백의 수납부의 상단 개구는 수납부 내에 액체 및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에 히트 실 처리된다.
내용물 수납후의 삼방 백 및 합장 백을 상품으로서 진열할 때는, 뒤 및 좌우의 지지판을 이용하여 상품을 뉘운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적재하는 방법이나, 전측의 상품이 후측의 상품에 순차로 기대도록 세워서 늘어놓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느 진열 방법에서도, 진열 후의 상품을 구매자가 꺼내면 남은 상품의 자세가 변화하기 쉬우므로 상품의 진열 형태가 헝클어지기 쉽다. 봉투 타입의 수납 백으로서 주지의 이방(二方) 백도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품의 진열 형태가 헝클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내용물 수납후의 자립을 가능하게 한 스탠딩 파우치를 상기 봉투형 백을 대신해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스탠딩 파우치는 바닥면 형성용 필름이 필요하기 때문에 삼방 백이나 합장 백을 포함한 봉투형 백에 비해 재료비가 높아짐과 동시에, 제조 공정도 삼방 백이나 합장 백이나 이방 백을 포함한 봉투형 백에 비해 복잡해져서 그 단가가 봉투형 백보다도 높다.
즉 삼방 백이나 합장 백이나 이방 백을 포함한 봉투형 백으로서 스탠딩 파우치와 같이 내용물 수납후의 자립을 가능하게 한 것이 제공가능 할 경우, 상품 판매를 위해 수납 백을 사용하는 제조회사 입장에서는 비용 측면에서 유리해짐과 동시에, 이 비용면의 효과가 상품 가격에 반영되어 구매자에게도 유리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수납 후의 자립(自立)가능하게 한 삼방 백, 합장 백 및 이방 백을 포함한 봉투 타입의 수납 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전체 세로 치수 및 전체 가로 치수와 상단 개구의 수납부를 갖는 삼방 백, 합장 백 및 이방 백을 포함한 봉투 타입의 수납 백으로서, 상기 수납부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과 각 측변 내연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경사 내연과, 각 경사 내연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전체 세로 치수를 A로 하고 상기 전체 가로 치수를 B로 하며, 측변 외연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BP로 하고, 상기 측변 내연과 상기 경사 내연의 교점을 IPa로 하고, 상기 경사 내연과 상기 하변 내연의 교점을 IPb라고 했을때,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 수납 백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수납 백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전체 세로 치수 및 전체 가로 치수와 상단 개구의 수납부를 갖는 삼방 백, 합장 백 및 이방 백을 포함한 봉투 타입의 수납 백으로서, 상기 수납부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과, 각 측변 내연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1 경사 내연과, 각 제 1 경사 내연의 하단에서 각 제 1 경사 내연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2 경사 내연과, 각 제 2 경사 내연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전체 세로 치수를 A로 하고 상기 전체 가로 치수를 B로 하며, 측변 외연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BP로 하고, 상기 측변 내연과 상기 제 1 경사 내연의 교점을 IPa로 하고, 상기 제 2 경사 내연과 상기 하변 내연의 교점을 IPb라고 하고, 상기 제 1 경사 내연과 제 2 경사 내연의 교점을 IPc라고 했을때,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교점(BP)를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으며, 동시에, 상기 교점(IPc)은 상기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0.01∼0.70A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이익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백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0.48의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교점(IPc)을 교점(IPa)과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교점(BP)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를 0.01A∼0.70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를 0.01B∼0.47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수납 백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을 삼방 백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은 동일 형상의 2장의 필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삼방 백(10-1)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상부(12a)와, 거의 삼각형 실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변 하부(12b)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12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삼방 백(10-1)은 상단 개구(부호 12d)의 내측에 수납부(13)를 갖고 있다.
각 필름(11)은 히트 실을 가능하게 한 다층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알루미늄박 및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한 3층 구성의 다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는, (1) 각 측변 상부(12a)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경사 내연(13b)과, (3) 하변(12c)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경사 내연(13b)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도 1 중에서 A는 삼방 백(10-1)의 전체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삼방 백(10-1)의 전체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BP는 삼방 백(10-1)의 측변 외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IPa는 측변 내연(13a)과 경사 내연(13b)의 교점을 나타내며, IPb는 경사 내연(13b)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에 있어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1)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이하에 설명하는 시험 및 시험 결과에 의거해 산정된다.
시험에 있어서는, 전체 세로 치수(A)가 240㎜, 전체 가로 치수(B)가 160㎜, 실 폭(w)이 5㎜, 수납부(13)의 최대 수납량이 800㏄이며, 각 필름(11)이 두께 12㎛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과 두께 7㎛인 알루미늄박과 두께 50㎛인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이 접착제층을 통하여 적층된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삼방 백으로서, 또한 도 4에 × 표시, △ 표시 및 ○ 표시를 한 개소의 수치 조합에 대응한 종류의 삼방 백을 제조했다. 그리고 각각의 삼방 백의 수납부(13) 내에 600㏄의 수도물을 수납한 후, 공기를 뺀 다음, 수납부(13)의 상단 개구를 히트 실(실폭 5㎜) 처리하여 밀봉상태로 만든 시험백을 준비했다.
시험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시험백의 상변 중앙 개소(도면의 ● 표시 개소)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다음, 해당 시험백을 수평면(FS)로부터의 높이(H)가 50㎜인 곳에서부터 해당 수평면(FS)에 자중 낙하시키는 시행을 각각 5회씩 행하여 착지상태를 각각 육안으로 평가했다.
도 4는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의 × 표시는 5회의 시행중 1회라도 시험백이 착지 후에 쓰러져 자립하지 못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면의 △ 표시는 5회의 시행중 모두가 쓰러지지 않고 자립하였으나 자립 자세가 불균일했던 경우를 나타내며, ○ 표시는 5회의 시행중 모두가 쓰러지지 않고 자립하여 자립 자세가 균일했던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의 세로 치수(a)는 전체 세로 치수(A)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되며, 가로 치수(b)는 전체 가로 치수(B)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되어 있다. 백분율의 단위는 0.05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 표시와 △ 표시의 경계 및 △ 표시와 ○ 표시의 경계에 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이보다 작은 수치의 단위를 사용해서 경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시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 표시의 수치 범위, 즉 교점(IPa)의 세로 치수(a)가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가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으면 시험백을 문제없이 자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 표시의 수치 범위, 즉 교점(IPa)의 세로 치수(a)가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가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으면 시험백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자립시킬 수 있다.
상기 시험에서는 수납부(13)에 수납하는 내용물로서 액체 중에서도 가장 자립하기 어렵다고 생각되는 수도물을 이용했으므로, 수도물보다도 점도가 높은 액체나 액체보다도 유동성이 떨어지는 분체 등을 수납하여 시험을 행해도 도 4와 동등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수치 범위에 있어서 자립이 가능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자립이 확인된 시험백의 시험 공정을 관찰하면, 시험백의 상변 중앙 개소(도면의 ● 표시 개소)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수납부(13) 내의 수도물이 스스로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해당 수납부(13)의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불룩해지고 또한 그 불룩해짐에 수반하여 시험백의 하부 표면, 특히 내연에 비직선 개소가 위치한 부분에 있어서 주름(개념으로서 오목함에 따른 주름이나 절곡에 수반된주름)이 생긴다. 이 상태에서 시험백을 수평면(FS)에 낙하시키면, 주름의 성장을 수반하면서 해당 시험백의 하단부가 눌린 형태가 되어, 해당 시험백이 거의 면접촉 상태하에서 수평면(FS)상에 자립한다.
이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를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1)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의 범위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1)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을 삼방 백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삼방 백(10-2)이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다른 점은, 각 측변 하부(12b)를 측변 상부(12a)와 거의 동일한 실폭(w)을 갖는 형상(부호 12b' 참조)으로 한 점에 있다. 다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삼방 백(10-2)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마찬가지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 다. 또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2)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에 의거해서 산정되어 있고, 해당 시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도 5에 나타낸 삼방 백(10-2)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2)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의 범위 내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2)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을 합장 백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합장 백(10-3)은 소정 형상의 한 장의 필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합장 백(10-3)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세로 방향의 1개의 등변(12a')과 거의 삼각형의 실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변 하부(12b)와, 소정의 실 폭(w)을 갖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12c)을 갖는다. 또한, 이 합장 백(10-3)은 상단 개구(부호 12d)의 수납부(13)를 내측에 갖고 있다.
이 합장 백(10-3)에는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같은 측변 상부(12a)는 존재하지 않고, 필름(11')의 좌우단 접힘 개소의 상부 내측에 의해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11')은 히트 실을 가능하게 한 다층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알루미늄박 및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한 삼층 구성의 다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는 (1)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경사 내연(13b)과, (3) 하변(12c)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경사 내연(13b)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도 6 중에서 A는 합장 백(10-3)의 전체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는 합장 백(10-3)의 전체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BP는 합장 백(10-3)의 측변 내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IPa는 측변 내연(13a)과 경사 내연(13b)의 교점을 나타내며, IPb는 경사 내연(13b)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합장 백(10-3)에 있어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합장 백(10-3)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에 의거해 산정되며, 그 시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도 6에 나타낸 합장 백(10-3)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합장 백(10-3)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를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합장 백(10-3)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을 이방 백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이방 백(10-4)은 소정 형상의 한 장의 필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방 백(10-4)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상부(12a)와, 거의 삼각형의 실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변 하부(12b)를 갖는다. 그리고, 이 이방 백(10-4)은 상단 개구(부호 12d)의 수납부(13)를 내측에 갖고 있다.
이 이방 백(10-4)에는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같은 하변(12c)은 존재하지 않고, 필름(11'')의 하단 접힘 개소의 중앙 내측에 의해 세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11'')은 히트 실을 가능하게 한 다층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알루미늄박 및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한 삼층 구성의 다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는 (1) 각 측변 상부(12a)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경사 내연(13b)과, (3) 각 경사 내연(13b)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도 7 중에서 A는 이방 백(10-4)의 전체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는 이방 백(10-4)의 전체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BP는 이방 백(10-4)의 측변 외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IPa는 측변 내연(13a)과 경사 내연(13b)의 교점을 나타내며, IPb는 경사 내연(13b)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는 교점(BP)을 기준 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이방 백(10-4)에 있어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이방 백(10-4)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에 의거해 산정되며, 그 시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도 7에 나타낸 이방 백(10-4)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이방 백(10-4)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의 범위 내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이방 백(10-4)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변형예]
[제 1 변형예]
도 8에 나타낸 상방백(10-1)이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다른 점은, 각 경사 내연(13b)의 하부에 해당 경사 내연(13b)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한 점과, 각 측변 내연(13a)의 하부에 해당 측변 내연(13a)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형성부(16)를 형성한 점이다. 각 주름형성부(15,16)의 정각은 모두 수납부(13)를 향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중 "자립이 가능해지는 이유"에 기재하였듯이, 시험백의 자립에는 해당 시험백의 하부 표면에 생기는 주름이 바람직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서는 삼방 백(10-1)의 각 경사 내연(13b)의 하측 개소와 각 측변 내연(13a)의 하측 개소의 각각에 주름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각 경사 내연(13b)의 하부에 주름 형성부(15)를 형성함과 함께 각 측변 내연(13a)의 하부에 주름 형성부(16)를 형성하고 있다.
각 경사 내연(13b)의 하부에 형성된 주름 형성부(15)는 삼방 백(10-1)의 각 주름 형성부(15)의 근방 개소에 주름을 형성하는데 유효하다. 한편 각 측변 내연(13a)의 하부에 형성한 주름 형성부(16)는 삼방 백(10-1)의 각 주름 형성부(16)의 근방 개소에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는데 유효하다.
그리고 도 8에는 각 경사 내연(13b)에 1개의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하고, 또한 각 측변 내연(13a)에 1개의 주름형성부(16)를 형성한 것을 나타냈으나, (1) 각 경사 내연(13b)에 2 이상의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하고, 또한 각 측변 내연(13a)에 2 이상의 주름형성부(16)를 형성하거나, (2) 주름형성부(15)와 주름형성부(16)의 한쪽 만을 채용하여 다른 쪽을 배제하거나, (3) 편측의 경사 내연(13b)에만 주름형성부(15)를 1 또는 2 이상 형성하거나, (4) 편측의 측변 내연(13a)에만 주름형성부(16)를 1 또는 2 이상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측변 내연(13a)과 경사 내연(13b)의 적어도 한쪽에 주름형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삼방 백(10-1)의 자립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물론 상기 동일한 주름형성부를 도 5에 나타낸 삼방 백(10-2)과, 도 6에 나타낸 합장 백(10-3)과, 도 7에 나타낸 이방 백(10-4)에 적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변형예]
도 9A에 나타낸 삼방 백(10-1)이 도 8에 나타낸 삼방 백(10-1)과 다른 점은, 각 주름형성부(15)로부터 하변 외연(14b)에 달하는 2개의 접은 선(17)을 각 측변 하부(12b)에 형성한 점과, 각 경사 내연(13b)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으로부터 하변 외연(14b)에 달하는 2개의 접은 선(18)을 각 측변 하부(12b)에 형성한 점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중에 "자립이 가능해지는 이유"에 기재했듯이 시험백의 자립에는 해당 시험백의 하부 표면에 생기는 주름이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명백하므로, 여기서는 삼방 백(10-1)의 각 측변 하부(12b) 각각에 주름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각 측변 하부(12b)에 2개의 접은 선(17,18)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각 측변 하부(12b)에 2개의 접은 선(17,18)을 각각 형성할 경우에는 각 접은 선(17,18)에 의해 각 측변 하부(12b)가 단면 Z형으로 깨끗하게 접히도록, 도 9B에 나타내듯이 인접하는 2개의 접은 선(17,18)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B에는 접은 선(17,18)으로서 단면 반원형인 것을 도시했으나, 단면 V자형인 것을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각 접은 선(17,18)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한쪽 접은 선(17)이 하변 외연(14b)과 이루는 각도(θ1)를 21도∼79도의 범위 내로 하고 다른 쪽의 접은 선(18)이 하변 외연(14b)과 이루는 각도(θ2)를 51도∼119도의 범위 내로 하면, 각 접은 선(17,18)을 따라서 주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각 측변 하부(12b)를 깨끗하게 접을 수 있다. 각 접은 선(17,18)은 다른 것에 비해 접기 쉬운 선형 부분이므로, 각 각도(θ1,θ2)가 상기 각도 범위에서 다소 벗어나도 각 접은 선(17,18)을 따른 주름 형성은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에는 각 측변 하부(12b)에 2개의 접은 선(17,18)을 형성한 것을 도시했으나, (1) 각 측변 하부(12b)에 3 이상의 접은 선을 형성하거나, (2) 각 측변 하부(12b)에 접은 선(17)과 접은 선(18)의 한쪽 만을 형성하거나, (3) 편측의 측면 하부(12b)에만 접은 선(17,18)의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즉, 2개의 측변 하부(12b)의 적어도 한쪽에 적어도 1개의 접은 선이 형성되어 있으면, 삼방 백(10-1)의 자립에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물론, 상기와 동일한 접은 선을 도 5에 나타낸 삼방 백(10-2)과, 도 6에 나타낸 합장 백(10-3)과, 도 7에 나타낸 이방 백(10-4)에 적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 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은 선을 대체하여, 예를 들어 (1) 단장 슬릿을 파선형으로 위치시킨 선형 부분이나, (2) 두께가 얇은 선형 부분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선형 부분은 상기 접은 선과 같이 접힘 방향을 규정할 수 없으나, 다른 것에 비해서 접기 쉬운 선형 부분이므로 주름 형성에는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1)과 (2)의 선형 부분도 상기 접은 선과 마찬가지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제 1 ∼ 제 4 실시형태에서는 각 경사 내연(13b)으로서 직선형인 것을 도시했으나, 각 경사 내연(13b)은 정확한 직선일 필요는 없고, 각 경사 내연(13b)아 다소 만곡되어 있어도, 또 각 경사 내연(13b)이 히트 실의 공차 등에 의해서 다소 사행되어 있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을 삼방 백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은 동일 형상의 2장의 필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삼방 백(10-5)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상부(12a)와, 거의 삼각형 실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변 하부(12b)와, 측변 상부(12a)와 동일한 실폭(w)을 갖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12c)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삼방 백(10-5)은 상단 개구(부호 12d)의 수납부(13)를 내측에 갖고 있다.
각 필름(11)은 히트 실을 가능하게 한 다층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알루미늄박 및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한 삼층구성의 다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는 (1) 각 측변 상부(12a)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1 경사 내연(13b1)과, (3)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하단에서 각 제 1 경사 내연(13b1)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2 경사 내연(13b2)과, (4) 하변(12c)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도 10 중에서 A는 삼방 백(10-5)의 전체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는 삼방 백(10-5)의 전체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BP는 삼방 백(10-5)의 측변 외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IPa는 측변 내연(13a)과 제 1 경사 내연(13b1)의 교점을 나타내며, IPb는 제 2 경사 내연(13b2)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IPc는 제 1 경사 내연(13b1)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1은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1은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즉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은 도 1에 나타낸 삼방 백(10-1)의 경사 내 연(13b)을 둔각을 이루어 연속하는 2개의 선분(13b1, 13b2)으로 구성한 점에서 상이하다.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에 있어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그리고 교점(IPc)은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0.01A∼0.70A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교점(BP)를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5)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 중 교점(IPa)의 세로 치수(a)의 범위 및 교점(IPb)의 가로 치수(b)의 범위는 도 4에 나타낸 시험 결과에 의거한 것으로, 즉 교점(IPa)의 세로 치수(a)가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교점(IPb)의 가로 치수(b)가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으면 액체 및 분체 등을 수납한 후의 시험백을 문제없이 자립시킬 수 있는 것을 그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치 범위 중 교점(IPc)의 세로 치수(a1) 및 가로 치수(b1)의 범위는 이하에 설명하는 시험 및 시험 결과에 의거해서 산정된다.
시험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삼방 백으로, 또한 도 11에 ○표시 한 개소의 수치 조합에 대응하는 종류의 삼방 백을 제조했다. 그리고 각각의 삼방 백의 수납부(13) 내에 600㏄의 수도물을 수납한 후, 공기를 뺀 다음 수납부(13)의 상단 개구를 히트 실(실폭 5㎜)처리하여 밀봉 상태로 만든 시험백을 준비했다.
시험 방법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방법과 마찬가지로 시험백의 상변 중앙 개소(도면에서 ●표시 개소)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후, 해당 시험백을 수평면(FS)에서의 높이(H)가 50㎜ 인 곳에서 해당 수평면(FS)에 자중 낙하시키는 시험을 각각 5회씩 행하여 착지 상태를 각각 육안으로 평가했다.
도 11은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서 ―표시는 교점(IPc)을 설정할 수 없는 포인트를 나타내며, ○표시는 교점(IPc)을 설정할 수 있는 포인트이며, 또한 자립도 가능한 포인트를 나타낸다.
도 11의 세로 치수(a1)는 전체 세로 치수(A)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며, 가로 치수(b1)는 전체 가로 치수(B)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 백분율의 단위는 0.05 또는 0.04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표시와 ○표시의 경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이들 보다도 작은 수치의 단위를 사용하여 경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교점(IPa)의 세로 치수(a)의 최대치(0.71A)를 초과하지 않으며,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교점(IPb)의 가로 치수(b)의 최대치(0.48B)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의 최대치를 0.71A로 하고, 가로 치수(b1)의 최대치를 0.48B로 했다.
도 11에 나타낸 시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표시된 수치 범위, 즉 교점(IPc)의 세로 치수(a1)가 0.01A∼0.70A의 범위 내에 있고, 가로 치수(b1)가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으면, 시험백을 문제없이 자립시킬 수 있다. 단, 상기 삼방 백(10-5)에 있어서 제 1 경사 내연(13b1) 및 제 2 경사 내연(13b2)을 얻으려면 교점(IPc)은 교점(IPc)과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교점(BP)에 가깝게 위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범위에는 교점(IPc)이 교점(IPa)과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교점(BP)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된다는 조건이 붙는다.
상기 시험에서는 수납부(13)에 수납하는 내용물로서 액체 중에서도 가장 자립하기 어렵다고 생각되는 수도물을 사용했으므로 수도물보다도 점도가 높은 액체나 액체보다도 유동성이 떨어지는 분체 등을 수납하여 시험을 행해도 도 11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시험백의 자립이 가능해지는 이유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와같이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교점(IPc)을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를 0.01∼0.70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를 0.01B∼0.47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5)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5)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을 삼방 백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삼방 백(10-6)이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다른 점은, 각 측변 하부(12b)를 측변 상부(12a)와 거의 동일한 실 폭(w)을 갖는 형상(부호 12b1, 12b2 참조)으로 한 점에 있다. 다른 구성은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낸 삼방 백(10-6)에 있어서도,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마찬가지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그리고 교점(IPc)은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하며, 또한 교점(BP)를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0.01A∼0.70A의 범위 내에 있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6)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와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에 의거해서 산정되어 있고, 해당 시험 결과는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도 12에 나타낸 삼방 백(10-6)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교점(IPc)을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를 0.01A∼0.70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를 0.01B∼0.47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6)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의 범위 내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삼방 백(10-6)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을 합장 백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합장 백(10-7)은 소정 형상의 한 장의 필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합장 백(10-7)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세로 방향의 1개의 등 변(12a')과 거의 삼각형의 실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변 하부(12b)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12c)을 갖는다. 또한, 이 합장 백(10-7)은 상단 개구(부호 12d)의 수납부(13)를 내측에 갖고 있다.
이 합장 백(10-7)에는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같은 측변 상부(12a)는 존재하지 않고, 필름(11')의 좌우단 접힘 개소의 상부 내측에 의해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11')은 히트 실을 가능하게 한 다층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알루미늄박 및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한 삼층구성의 다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는 (1)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경사 내연(13b)과, (3)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하단에서 각 제 1 경사 내연(13b1)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2 경사 내연(13b2)과, (4) 하변(12c)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도 13 중에서 A는 합장 백(10-7)의 전체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는 합장 백(10-7)의 전체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BP는 합장 백(10-7)의 측변 내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IPa는 측변 내연(13a)과 제 1 경사 내연(13b1)의 교점을 나타내며, IPb는 제 2 경사 내연(13b2)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IPc는 제 1 경사 내연(13b1)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1은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1은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합장 백(10-7)에 있어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그리고 교점(IPc)은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하며,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0.01A∼0.70A의 범위 내에 있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합장 백(10-7)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와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에 의거해 산정되며, 그 시험 결과는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도 13에 나타낸 합장 백(10-7)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교점(IPc)을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를 0.01A∼0.70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를 0.01B∼0.47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합장 백(10-7)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합장 백(10-7)의 자립을 더욱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을 이방 백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이방 백(10-8)은 소정 형상의 한 장의 필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방 백(10-8)은 소정의 실폭(w)을 갖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상부(12a)와, 거의 삼각형의 실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변 하부(12b)를 갖는다. 또한, 이 이방 백(10-8)은 상단 개구(부호 12d)의 수납부(13)를 내측에 갖고 있다.
이 이방 백(10-8)에는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같은 하변(12c)은 존재하지 않고, 필름(11'')의 하단 접힘 개소의 중앙 내측에 의해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a)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11'')은 히트 실을 가능하게 한 다층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필름, 알루미늄박 및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포함한 삼층 구성의 다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는 (1) 각 측변 상부(12a)의 내측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2)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1 경사 내연(13b1)과, (3) 각 측변 하부(12b)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하단에서 각 제 1 경사 내연(13b1)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2 경사 내연(13b2)과, (4)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도 14 중에서 A는 이방 백(10-8)의 전체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는 이방 백(10-8)의 전체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BP는 이방 백(10-8)의 측변 내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그 연장선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IPa는 측변 내연(13a)과 제 1 경사 내연(13b1)의 교점을 나타내며, IPb는 제 2 경사 내연(13b2)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IPc는 제 1 경사 내연(13b1)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교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고, b는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또한 a1은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를 나타내며, b1은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이방 백(10-8)에 있어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바람직하게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A∼0.65A의 범위 내에 있다. 또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바람직하게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B∼0.40B의 범위 내에 있다. 그리고 교점(IPc)은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하며,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0.01A∼0.70A의 범위 내에 있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수치 범위는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이방 백(10-8)의 자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수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와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시험에 의한 결과에 의거해 산정되며, 그 시험 결과는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같이 도 14에 나타낸 이방 백(10-8)에 의하면,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08A∼0.71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12B∼0.48B의 범위 내로 함과 동시에, 교점(IPc)을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를 0.01A∼0.70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를 0.01B∼0.47B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이방 백(10-8)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a)의 세로 치수(a)를 0.15A∼0.65A의 범위 내로 하고,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교점(IPb)의 가로 치수(b)를 0.20B∼0.40B로 하면, 수납부(13) 내에 액체나 분체 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후의 이방 백(10-8)의 자립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제 5 ∼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변형예]
[제 1 변형예]
도 15에 나타낸 삼방 백(10-5)이 도 10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다른 점은,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중간부에 해당 제 1 경사 내연(13b1)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 형성부(15)를 형성한 점과,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부에 그 제 2 경사 내연(13b2)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 형성부(15)를 형성한 점과, 각 측변 내연(13a)의 하부에 해당 측변 내연(13a)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 형성부(16)를 형성한 점이다. 각 주름 형성부(15,16)의 정각은 모두 수납부(13)를 향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설명 중 "자립이 가능해지는 이유"에 기재하였듯이, 시험백의 자립에는 해당 시험백의 하부 표면에 생기는 주름이 바람직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서는 삼방 백(10-5)의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중간 개소와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측 개소와 각 측변 내연(13a)의 하측 개소의 각각에 주름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중간부와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부에 주름 형성부(15)를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각 측변 내연(13a) 의 하부에 주름 형성부(16)를 형성하고 있다.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부에 형성된 주름 형성부(15)는 삼방 백(10-5)의 각 주름 형성부(15)의 근방 개소에 주름을 형성하는데에 유효하다. 한편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중간부와 각 측변 내연(13a)의 하부에 각각 형성한 주름 형성부(15,16)는 삼방 백(10-5)의 각 주름 형성부(15,16)의 근방 개소에 잘록한 부분을 형성하는데 유효하다.
그리고 도 15에는 각 제 1 경사 내연(13b1)과 각 제 2 경사 내연(13b2)에 1개의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하고, 또한 각 측변 내연(13a)에 1개의 주름형성부(16)를 형성한 것을 나타냈으나, (1) 각 제 1 경사 내연(13b1)과 각 제 2 경사 내연(13b2)에 2 이상의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하고, 또한 각 측변 내연(13a)에 2 이상의 주름형성부(16)를 형성하거나, (2) 주름형성부(15)와 주름형성부(16)의 한쪽 만을 채용하여 다른 쪽을 배제하거나, (3) 주름형성부(15)를 제 1 경사 내연(13b1)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하거나, (4) 편측의 제 1 경사 내연(13b1)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적어도 한쪽에만 주름형성부(15)를 1 또는 2 이상 형성하거나, (5)편측의 경사 내연(13a)에만 주름 형성부(16)를 1 또는 2 이상 형성해도 된다. 즉, 측변 내연(13a)과 제 1 경사 내연(13b1)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적어도 한쪽에 주름형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삼방 백(10-5)의 자립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물론 상기 동일한 주름형성부를 도 12에 나타낸 삼방 백(10-6)과, 도 13에 나타낸 합장 백(10-7)과, 도 14에 나타낸 이방 백(10-8)에 적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은 도 12에 나타낸 삼방 백(10-6)에 상기와 동일한 주름형성부를 적용한 것으로,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중간부에 해당 제 1 경사 내연(13b1)을 삼각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형성부(15)가 형성되며,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부에 해당 제 2 경사 내연(13b2)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하며, 각 측변 내연(13a)의 하부에 해당 측변 내연(13a)을 삼각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시킨 듯한 주름 형성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변형예]
도 17A에 나타낸 삼방 백(10-5)이 도 15에 나타낸 삼방 백(10-5)과 다른 점은 제 2 경사 내연(13b2)의 주름형성부(15)로부터 하변 외연(14b)에 달하는 2개의 접은 선(17)을 각 측변 하부(12b)에 형성한 점과, 각 제 2 경사 내연(13b2)과 하변 내연(13c)의 교점으로부터 하변 외연(14b)에 달하는 2개의 접은 선(18)을 각 측변 하부(12b)에 형성한 점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설명 중에 "자립이 가능해지는 이유"에 기재했듯이 시험백의 자립에는 해당 시험백의 하부 표면에 생기는 주름이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명백하므로, 여기서는 삼방 백(10-1)의 각 측변 하부(12b) 각각에 주름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각 측변 하부(12b)에 2개의 접은 선(17,18)을 각각 형성한다.
각 측변 하부(12b)에 2개의 접은 선(17,18)을 각각 형성할 경우에는, 각 접 은 선(17,18)에 의해 각 측변 하부(12b)가 단면 Z형으로 깨끗하게 접히도록, 도 17B에 나타내듯이 인접하는 2개의 접은 선(17,18)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7B에는 접은 선(17,18)으로서 단면 반원형인 것을 도시했으나, 단면 V자 형인 것을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각 접은 선(17,18)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한쪽 접은 선(17)이 하변 외연(14b)과 이루는 각도(θ1)를 21도∼79도의 범위 내로 하고 다른 쪽의 접은 선(18)이 하변 외연(14b)과 이루는 각도(θ2)를 51도∼119도의 범위 내로 하면, 각 접은 선(17,18)을 따라서 주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각 측변 하부(12b)를 깨끗하게 접을 수 있다. 각 접은 선(17,18)은 다른 것에 비해 접기 쉬운 선형 부분이므로, 각 각도(θ1,θ2)가 상기 각도 범위에서 다소 벗어나도 각 접은 선(17,18)을 따른 주름 형성은 충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7A 및 도 17B에는 각 측변 하부(12b)에 2개의 접은 선(17,18)을 형성한 것을 도시했으나, (1) 각 측변 하부(12b)에 3 이상의 접은 선을 형성하거나, (2) 각 측변 하부(12b)에 접은 선(17)과 접은 선(18)의 한쪽 만을 형성하거나, (3) 편측의 측면 하부(12b)에만 접은 선(17,18) 중 적어도 하나를 1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즉, 2개의 측변 하부(12b)의 적어도 한쪽에 적어도 1개의 접은 선이 형성되어 있으면, 삼방 백(10-5)의 자립에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물론, 상기와 동일한 접은 선을 도 12에 나타낸 삼방 백(10-6)과, 도 13에 나타낸 합장 백(10-7)과, 도 14에 나타낸 이방 백(10-8)에 적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은 선을 대체하여, 예를 들어 (1) 단장 슬릿을 파선형으로 위치시킨 선형 부분이나, (2) 두께가 얇은 선형 부분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선형 부분은 상기 접은 선과 같이 접힘 방향을 규정할 수 없으나, 다른 것에 비해서 접기 쉬운 선형 부분이므로 주름 형성에는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1)과 (2)의 선형 부분도 상기 접은 선과 마찬가지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18에 나타낸 삼방 백(10-6)이 도 16에 나타낸 삼방 백(10-6)과 다른 점은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부에 도 16에 나타낸 삼방 백(10-6)의 주름형성부(15)보다도 큰 삼각 형상의 주름형성부(15)를 형성한 점과,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부에 형성한 주름형성부(15)의 윤곽을 따른 삼각 형상의 오목부(凹部)(19)를 각 측변 하부(12b1)의 외연에 형성한 점이다.
이와같은 오목부(19)를 형성하면, 주름형성부(15)의 크기와의 관계에서 각 측변 하부(12b1)의 실 폭이 국부적으로 커지는 경우에도 각 측변 하부(12b1)의 실 폭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재료 비용의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주름 형성부의 크기에 따라서는,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주름형성부(15)에 대응한 오목부나, 각 측변 내연(13a)의 주름형성부(16)에 대응한 오목부를 각 측변 하부(12b1)의 외연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 4 변형예]
제 5 ∼ 제 8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 1 경사 내연(13b1) 및 각 제 2 경사 내연(13b2)으로서 직선형인 것을 나타냈으나 각 제 1 경사 내연(13b1) 및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은 정확한 직선일 필요는 없고, 각 제 1 경사 내연(13b1) 및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이 다소 만곡되어 있어도, 또 각 제 1 경사 내연(13b1) 및 제 2 경사 내연(13b2)이 히트 실의 공차 등에 의해서 다소 사행(蛇行)되어 있어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며, 이들 청구범위의 의미 속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삼방 백의 측면도.
도 2는 시험 방법의 설명도.
도 3은 시험 방법의 설명도.
도 4는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삼방 백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합장 백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이방 백의 측면도.
도 8은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삼방 백의 측면도.
도 11은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 삼방 백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 합장 백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낸 이방 백의 측면도.
도 15는 제 5 ∼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 5 ∼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제 5 ∼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도 18은 제 5 ∼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제 3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1: 삼방 백 10-2: 삼방 백
10-3: 합장 백 10-4: 이방 백
13: 수납부 13a: 측변 내연
13b: 경사 내연 13c: 하변 내연
Claims (12)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소정의 전체 세로 치수 및 전체 가로 치수와 상단 개구(12d)의 수납부(13)를 갖는 삼방 백, 합장 백 및 이방 백을 포함한 봉투 타입의 수납 백(10-5)으로서,상기 수납부(13)는 세로 방향의 2개의 측변 내연(13a)과, 각 측변 내연(13a)의 하단에서 각 측변 내연(13a)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1 경사 내연(13b1)과, 각 제 1 경사 내연(13b1)의 하단에서 각 제 1 경사 내연(13b1)과 둔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2개의 제 2 경사 내연(13b2)과, 각 제 2 경사 내연(13b2)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1개의 하변 내연(13c)에 의해 그 윤곽을 형성하고 있고,상기 전체 세로 치수를 A로 하고 상기 전체 가로 치수를 B로 하며, 측변 외연(14a) 또는 그 연장선과 하변 외연(14b) 또는 연장선의 교점을 BP로 하고, 상기 측변 내연(13a)과 상기 제 1 경사 내연(13b1)의 교점을 IPa로 하고, 상기 제 2 경사 내연(13b2)과 상기 하변 내연(13c)의 교점을 IPb라고 하고, 상기 제 1 경사 내연(13b1)과 상기 제 2 경사 내연(13b2)의 교점을 IPc라고 했을 때,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a)의 세로 치수(a)는 0.08A∼0.71A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b)의 가로 치수(b)는 0.12B∼0.48B의 범위 내에 있음과 동시에,상기 교점(IPc)은 상기 교점(IPa)과 상기 교점(IPb)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상기 교점(BP) 가까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교점(BP)을 기준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세로 치수(a1)는 0.01A∼0.70A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교점(BP)을 기준 으로 한 상기 교점(IPc)의 가로 치수(b1)는 0.01B∼0.47B의 범위 내에 있는 수납 백.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측변 내연(13a)과 상기 제 1 경사 내연(13b1)과 상기 제 2 경사 내연(13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내연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주름형성부(15,16)가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수납 백.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주름형성부(15,16)는 정각이 상기 수납부(13)를 향하는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는 수납 백.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측변 외연(14a)과 상기 제 1, 제 2 경사 내연(13b1,13b2)의 사이에는 실 부분인 측변 하부(12b)가 존재하며,상기 측변 하부(12b) 중 적어도 한쪽에는, 내연에서 외연으로 연장되는 주름형성용 접은 선(17,18)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수납 백.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접은 선(17,18)은 단면 반원형 또는 단면 V자형을 이루고 있는 수납 백.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측변 외연(14a)과 상기 제 1, 제 2 경사 내연(13b1,13b2)의 사이에는 실 부분인 측변 하부(12b)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측변 외연(14a)과 상기 측변 내연(13a)의 사이에는 실 부분인 측변 상부(12a)가 존재하며, 상기 측변 하부(12b)와 상기 측변 상부(12a)는 거의 동일한 실폭을 갖는 수납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010060 | 2007-01-19 | ||
JPJP-P-2007-00010060 | 2007-01-19 | ||
JPJP-P-2007-00307427 | 2007-11-28 | ||
JP2007307427A JP5244375B2 (ja) | 2007-01-19 | 2007-11-28 | 収納袋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8563A KR20080068563A (ko) | 2008-07-23 |
KR101232289B1 true KR101232289B1 (ko) | 2013-02-12 |
Family
ID=3975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5094A KR101232289B1 (ko) | 2007-01-19 | 2008-01-16 | 수납 백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244375B2 (ko) |
KR (1) | KR101232289B1 (ko) |
CN (1) | CN101229859B (ko) |
DE (1) | DE602008003037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33110A1 (ja) * | 2014-03-03 | 2015-09-11 | 株式会社アスラビット | 手提げ用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0561A (ja) * | 1992-05-25 | 1993-12-14 | Isao Hirata | 瓶代替用の簡易容器 |
KR20000069155A (ko) * | 1996-11-27 | 2000-11-25 | 더 코카콜라 컴파니 |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40055619A (ko) * | 2002-12-17 | 2004-06-26 |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 거싯 백 |
JP2006204529A (ja) * | 2005-01-27 | 2006-08-10 | Fuji Seal International Inc | 医療用薬液バッグ収容袋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18638U (ja) * | 1984-01-19 | 1985-08-10 | 日本製箔株式会社 | 調理用アルミ箔袋 |
JPH0411985Y2 (ko) * | 1985-09-21 | 1992-03-24 | ||
JPH0640118Y2 (ja) * | 1988-04-14 | 1994-10-19 | 押尾産業株式会社 | 安定に自立し得る熱接着袋 |
JPH0612345U (ja) * | 1991-12-27 | 1994-02-15 | 玄房 松田 | 包装用容器 |
JP3045513U (ja) * | 1997-07-22 | 1998-02-03 | 日本特許管理株式会社 | 漬け物の包装構造 |
CN2491366Y (zh) * | 2001-06-28 | 2002-05-15 | 上海吉龙经济发展有限公司 | 一种压缩收纳袋 |
CN2598899Y (zh) * | 2002-12-26 | 2004-01-14 | 苏福隆 | 可排气的收纳袋 |
JP2005007053A (ja) * | 2003-06-20 | 2005-01-13 | Fuji Seal Inc | 輸液バッグ保存用外装袋 |
JP4387761B2 (ja) * | 2003-10-31 | 2009-12-24 |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 フィルムバッグ |
CN2767375Y (zh) * | 2005-01-19 | 2006-03-29 | 汤文清 | 衣物收纳袋 |
-
2007
- 2007-11-28 JP JP2007307427A patent/JP5244375B2/ja active Active
-
2008
- 2008-01-16 KR KR1020080005094A patent/KR1012322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1-16 DE DE602008003037T patent/DE602008003037D1/de active Active
- 2008-01-18 CN CN2008100039400A patent/CN10122985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0561A (ja) * | 1992-05-25 | 1993-12-14 | Isao Hirata | 瓶代替用の簡易容器 |
KR20000069155A (ko) * | 1996-11-27 | 2000-11-25 | 더 코카콜라 컴파니 | 안정한 유연성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40055619A (ko) * | 2002-12-17 | 2004-06-26 |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 거싯 백 |
JP2006204529A (ja) * | 2005-01-27 | 2006-08-10 | Fuji Seal International Inc | 医療用薬液バッグ収容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29859A (zh) | 2008-07-30 |
JP2008195455A (ja) | 2008-08-28 |
CN101229859B (zh) | 2011-05-04 |
JP5244375B2 (ja) | 2013-07-24 |
KR20080068563A (ko) | 2008-07-23 |
DE602008003037D1 (de) | 2010-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02982B2 (ja) | パウチ容器 | |
ES2716227T3 (es) | Construcción de envasado y métodos para fabricar dicha construcción de envasado | |
JP5690694B2 (ja) | 複合容器 | |
JP7249534B2 (ja) | パウチ及びチューブ | |
EP1947023B1 (en) | Storage bag | |
BR112020012454B1 (pt) | Pacote que compreende mangas de embalagem e uma embalagem externa | |
KR101232289B1 (ko) | 수납 백 | |
JP5636917B2 (ja) | 自立性袋 | |
JP4417503B2 (ja) | 底ガセット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のシール形状及びシール方法 | |
JP5323045B2 (ja) | 複合容器 | |
JP2005022741A (ja) |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 |
JP6095048B2 (ja) | 包装構造体 | |
EP2269918B1 (en) | Liquid storage bag | |
JP7112683B2 (ja) | パウチ、蓋付容器及びチューブ | |
KR200322697Y1 (ko) | 자립형 파우치의 구조 | |
WO200613798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ackaging a product | |
JP7384024B2 (ja) | 包装袋 | |
JP2011063325A (ja) | 複合容器 | |
JP6857323B2 (ja) | 袋 | |
JP5266305B2 (ja) | 複合容器 | |
JP6950145B2 (ja) | シュリンクフィルム付台紙、製造方法 | |
KR20230167075A (ko) | 포장 용기용 부형 부재, 포장 용기, 내용물이 함유 포장 용기 및 내용물 함유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 | |
JP7069704B2 (ja) | パウチ | |
JP5970665B2 (ja) | ガゼット袋 | |
JP5120445B2 (ja) | 複合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