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934A -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934A
KR20000047934A KR1019990055105A KR19990055105A KR20000047934A KR 20000047934 A KR20000047934 A KR 20000047934A KR 1019990055105 A KR1019990055105 A KR 1019990055105A KR 19990055105 A KR19990055105 A KR 19990055105A KR 20000047934 A KR20000047934 A KR 20000047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oner
developing
unit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541B1 (ko
Inventor
신하세가와
토모지이시카와
다케로쿠레노마
마코토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4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2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91Optical detection
    • G03G2215/0894Optical detection through a light transmissive window in the developer container wall

Abstract

본 발명은 수광부의 감도 불균일 등에 관계없이 토너카트리지의 토너엔드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광체드럼(1)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4a,4b,4c,4d)와, 각 현상기에 각각 보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복수의 토너카트리지(53)와, 각 토너카트리지(53)의 벽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토너잔량검지용의 반사편광판(58)과, 반사편광판(58)의 빛입사구에 대해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60) 및 반사편광판(58)의 빛출사구로부터 되돌아온 빛을 받는 수광부(61)를 구비하는 빛센서(200)를 설치한다. 빛센서(200)는 광로형성부에서 형성되는 광로에 존재하는 토너잔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 화상형성장치 및 이 장치에 이용되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토너수용부내의 토너엔드를 검지하는 빛센서를 구비한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로서는 토너수용부의 내부를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형성하도록 이 토너수용부의 벽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토너잔량검지용의 광로형성부와, 이 광로형성부의 빛 입사구에 대해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 및 이 광로형성부의 빛 출사구로부터 되돌아온 빛을 받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빛 투과형의 빛센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9-120209호 공보 참조) . 그리고 동 공보에서는 상기 수광부에서 받은 빛 강도가 기준보다도 큰가 작은가에 의해 2값(High 레벨/Low레벨)의 출력신호 어느 한쪽을 출력하는 빛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High 레벨 및 Low레벨의 2값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빛센서를 이용한 경우, 상기 수광부의 감도(感度) 불균일, 토너수용기에 수용하는 토너 종류, 토너엔드시에 있어 센서의 토너에 의한 오점 등에 의해 이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오류판정하는 우려가 있다. 예컨대, 상기 수광부의 감도가 소정감도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토너수용부에 토너가 잔류하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너수용부가 토너엔드로 되었다고 토너잔량을 오류검지함으로써 이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오류판정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서 빛센서 수광부의 감도 불균일 등에 관계없이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2는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
도3은 토너카트리지의 벽부분에 설치된 반사편광판을 나타낸 설명도.
도4는 도3의 반사편광판의 사시도.
도5는 현상유닛의 회전타이밍, 현상타이밍, 발광부의 점멸타이밍 및 수광부의 출력신호의 출력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차트.
도6은 빛센서의 신호처리부와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토너엔드판정을 행하는 토너엔드판정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7은 토너엔드검지를 개시한 후 CPU가 토너엔드를 판정할 때까지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8은 광로형성부의 광로에 존재하는 토너잔량과 빛센서의 출력신호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9는 리볼버현상유닛에 있어서의 기준반사편광판의 설치위치 설명도.
도10은 도9의 기준반사편광판의 사시도.
도11은 발광부의 광원으로서 지향각이 넓은 광원을 채용한 경우에, 수광부로 도달하기까지 취할 수 있는 주요 전파경로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감광체드럼 3 대전기
4 리볼버현상유닛 53 토너카트리지
58 반사편광판 58a 발광부대향오목부
58b 수광부대향오목부 60 발광부
61 수광부
62 발광부와 수광부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
65 발광부와 수광부에 각각 대향하여 있는 외벽부분
66a 발광부대향오목부의 투명부
66b 수광부대향오목부의 투명부
67a 발광부대향오목부의 반사부
67b 수광부대향오목부의 반사부
70 차광부재 71(C) 컬러 토너용 기준반사편광판
71(BK) 흑토너용 기준반사편광판
72a,72b 기준반사편광판의 광로면
73 감광(減光)부재 200 빛센서
300 복사기 본체측의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이 현상기로 보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수용부와, 이 토너수용부의 내부를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형성하도록 이 토너수용부의 벽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토너잔량검지용의 광로형성부와, 이 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에 대해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 및 이 광로형성부의 빛출사구멍으로부터 되돌아온 빛을 받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빛센서를 구비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가 상기 광로형성부에서 형성되는 광로에 존재하는 토너잔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빛센서가 상기 광로형성부에서 형성되는 광로에 존재하는 토너잔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신호, 즉 토너수용부내의 토너잔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이 빛 센서의 출력신호는 화상형성장치본체측에서 토너엔드 판정용의 기준치와 비교되어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가 판정된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에 대향할 수 있는 위치에 토너엔드 판정시의 토너잔량에 대응한 소정의 투과율로 이 빛센서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구비하는 기준광로형성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기준광로형성부를 상기 빛센서에 대향시켜, 이 기준광로형성부를 소정의 투과율로 통과하여 온 빛을 이 빛센서로 검지한다. 이 빛센서의 출력신호는 화상형성장치본체측에서 토너엔드 판정용의 기준치 설정에 이용된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상기 토너수용부 및 상기 광로형성부를 복수조 구비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화상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위치에 각 현상기를 대응하는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키도록 이 현상유닛을 구동하는 유닛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광로 형성부가 상기 빛센서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광로형성부가 상기 빛센서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각 광로형성부에 대해 이 빛센서에 의한 검지를 행한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3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에 대향할 수 있는 토너엔드 판정시의 토너잔량에 대응한 소정의 투과율로 이 빛센서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구비하는 기준광로형성부를 각 토너수용부에 수용하는 토너 종류에 응하여 복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기준광로형성부가 상기 빛센서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각 기준광로형성부에 대해 이 빛센서에 의한 검지를 행한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4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광로형성부를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현상기를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킬 때에 상기 빛센서에 대향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현상기를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킬 때에 상기 기준광로형성부가 상기 빛센서에 대향하는 타이밍으로 일단 정지시키고 이 기준광로형성부에 대해 이 빛센서에 의한 검지를 행한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1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대향하여 있는 상기 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 및 빛출사구멍 주위의 대향면에 차광부재를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토너잔량검지용의 광로형성부에 있어서의 소정광로를 통하지 않고서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 도달하는 빛을 이 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 및 빛출사구멍 주위의 대향면에 붙인 차광부재로 차단한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2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빛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대향하여 있는 상기 기준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 및 빛출사구멍 주위의 대향면에 차광부재를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기준광로형성부에 있어서의 소정광로를 통하지 않고서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 도달하는 빛을 이 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 및 빛출사구멍 주위의 대향면에 붙인 차광부재로 차단한다.
청구항8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이 화상담지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수단과, 이 화상담지체위의 잠상을 현상하여 현상(顯像)을 형성하는 현상수단과, 이 화상담지체위의 현상을 전사체에 전사하는 전사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으로서 청구항1,2,3,4,5,6 또는 7의 현상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판정하는 토너엔드 판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토너엔드판정수단에 의해 토너수용부내의 토너잔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빛센서의 출력신호와,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가 비교된다. 그리고 이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가 판정된다.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8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상기 토너수용부 및 상기 광로형성부를 복수조 구비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화상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위치에 각 현상기를 대응하는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키도록 이 현상유닛을 구동하는 유닛구동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엔드판정수단이 상기 빛센서의 출력신호와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와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토너엔드를 판정하는 것이며, 각 토너수용부내에 수용하는 토너 종류에 응하여 각 토너수용부별로 이 기준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광로형성부가 상기 빛센서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 때에 각 광로형성부에 대해 이 빛센서에 의한 검지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토너엔드판정수단에 의해 이 빛센서의 출력신호와 토너엔드판정용 기준치가 비교되고 이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가 판정된다.
이하,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이하 복사기라고 한다.)에 적용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 전체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컬러 화상판독장치(이하 주사기부(1)이라고 한다.)와 컬러 화상기록장치(이하 프린터부라고 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복사기에 있어서의 주사기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주사기부에 있어서는 콘택트 유리위에 놓인 원고의 화상을 조명램프,미러 군, 및 렌즈 등 조명·미러광학계를 개재하여 컬러 센서에 결상(結像)하고 이 원고의 컬러 화상정보를 예컨대 Blue(이하 B로 기록한다), Green(이하 G로 기록한다), Red(이하 R로 기록한다)의 색 분해광별로 판독하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컬러 센서는 B,G,R의 색 분해수단과 C C D 와 같은 광전변환소자로 구성되며 3색 동시 판독을 행할 수 있다. 이 주사기부에서 얻은 B, G, R의 각 화상신호는 그 강도레벨에 의거하여 미도시한 화상처리부에서 색 변환 처리가 행해진다. 이 색 변환처리에 의해 Black(이하 Bk로 기록한다), Cyan(이하 C로 기록한다), Magenta(이하 M로 기록한다), Yellow(이하 Y로 기록한다)의 컬러화상 데이터가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사기부의 조명·미러광학계가 프린터부에 연동(連動)하는 스타트 신호를 받아서 원고를 주사하여 컬러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조명·미러광학계의 1 회의 원고주사에 대해 1 색의 화상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Bk. C, M, Y인 4색의 컬러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원고주사를 합계 4 회 반복하게 된다.
다음에 도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 프린터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부에는 미도시한 노광수단으로서의 기록광학유닛과,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록광학유닛은 상술한 주사부로부터의 컬러화상 데이터를 빛 신호로 변환시켜 균일하게 음극성으로 대전된 감광체드럼(1)에 원고화상에 대응한 음의 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기록광학유닛으로서는 예컨대 반도체레이저와, 이것의 발광 및 구동을 제어하는 미도시한 발광구동제어부와, 폴리건 미러와, 이것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모터와, f/θ렌즈와, 반사미러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감광체드럼(1)은 도1에 있어서 화살표A 방향 즉 역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상기 감광체드럼(1)의 주위에는 미도시한 노광수단으로서의 기록광학유닛과, 클리닝수단으로서의 감광체클리닝장치(2)와, 대전수단으로서의 대전기(3)와, 현상수단으로서의 회전형현상장치인 리볼버현상유닛(4)과, 중간전사장치로서의 중간전사유닛(1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2)는 모피브러시(2a) 와 감광체클리닝블레이드(2b)를 구비하여 1 차전사 후의 감광체드럼(1)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또 상기 기록광학유닛 및 대전기(3)등에 의해 감광체드럼(1)위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볼버현상유닛(4)은 Bk현상기(4a)와, C현상기(4b)와, M현상기(4c)와, Y현상기(4d)를 구비하며 이 리볼버현상유닛이 회전함으로써 각 색 현상기에 있어서의 감광체(1)와 대향하는 현상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들 각 현상기는 현상제를 퍼 내고 또한 교반을 행하는 미도시한 교반수단으로서의 현상패들(Paddle)과, 이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지하는 미도시한 토너농도검지수단으로서의 토너농도검지센서와, 이 현상제로 구성되는 이삭(현상제가 자계를 따라서 이삭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가리킴)을 상기 감광체드럼(1)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미도시한 현상제담지체로서의 현상슬리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4 개의 현상기(4a, 4b, 4c, 4d) 의 내부구조는 완전히 같다. 이들 4 개의 현상기(4a, 4b, 4c, 4d)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고 이 현상제중의 토너는 음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 이 토너가 현상에 의해 소비되어 현상기내 현상제의 토너농도가 저하한 경우, 이 정보는 상기 토너농도검지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이 경우, 미도시한 토너보급장치의 현상제수납용기로서의 토너병으로부터 보급용 토너가 상기 현상기내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현상기내의 토너농도는 소정의 농도로 유지되어 있다. 또 토너가 소비되어 적어졌을 경우에는, 미도시한 빛센서에 의해 토너잔량을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사유닛(10)은 중간전사체로서의 중간전사벨트(11)를 전하부여수단으로서의 1 차 전사바이어스롤러(12)와, 이것에 접속한 전원으로서의 1 차 전사전원(17)과, 1 차전사전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지롤러(13)와, 벨트구동수단으로서의 구동롤러(14)와, 텐션롤러(15)와, 2차전사대응롤러(16)에 팽팽하게 씌운 구성을 취하고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1)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전부의 롤러는 대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전사바이어스롤러(12)이외의 각 롤러는 각각 접지되어 있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1)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1차전사바이어스롤러(12)는 이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감광체드럼(1)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닙부로 되는 1차전사벨트에 대해 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이동방향 즉 벨트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1차전사바이어스롤러(12)에는 상기 1차전사전원(17)에 의해 1차전사바이어스가 가해진다. 또 상기 1차전사영역에 대해 벨트회전방향 상류측에는 접지된 접지롤러(1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1차전사바이어스롤러(12) 및 접지롤러(13)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1)는 상기 감광체드럼(1)에 눌려져 상기 닙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1)는 표면층, 중간층 및 바닥층으로 되는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감광체드럼(1)에 접촉하는 외주면측에 표면층이 위치하며 내주면측에 바닥층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중간층과 바닥층과의 사이에는 양 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다. 이 중간전사벨트(11)는 JIS(일본 공업 규격) K 6911에 기재되어 있는 측정방법에 의해 체적저항율 ρv이 1011Ωcm정도의 중저항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체적저항율ρv이 1012Ωcm이상의 중간전사벨트를 사용하면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2차전사후에 이 중간전사벨트를 방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체적저항율ρv이 1014Ωcm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내구성(耐久性) 등 면으로부터 볼 때 중간전사벨트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1)의 표면층측에 있어서의 표면저항율은 1013Ω/cm정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1)의 뒷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양끝부분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부재는 벨트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 보강부재에 의해 1차전사시, 상기 중간전사벨트(11)의 폭방향 양끝부분 부근과 상기 감광체드럼(1)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닙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전사벨트(11)의 뒷면에는 그 폭방향 양끝부분 부근에 맞붙어 상기 틈을 메우기 위한 백업(back up)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1)의 주위에는 윤활제도포수단으로서의 윤활제도포장치(20)와, 클리닝수단으로서의 벨트클리닝장치(30)와,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각각 상기 중간전사벨트(11)로부터 접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장치(20)는 윤활제도포부재로서의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와, 윤활제수용케이스(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제수용케이스(22)내에는 고체형 윤활제 및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다. 이 고체형 윤활제로서는 예컨대 판 모양으로 성형된 미립자로 되는 스테아린산아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형 윤활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측에 부세(付勢)되어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와 맞붙어 있다. 또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는 미도시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차전사후 상기 중간전사벨트(11)에 윤활제를 도포할 때는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가 회전하여 상기 고체형 윤활제를 긁어 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해진 윤활제는 분말 형상으로 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11)에 도포된다. 이 때,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는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1)의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있다. 또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와 상기 중간전사벨트(11)가 접촉한 부분 즉 윤활제도포영역에 있어서 그 선속도(線速)가 상기 중간전사벨트(11)보다도 빨라지도록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는 회전구동되어 있다.
상기 벨트클리닝장치(30)는 클리닝부재로서의 벨트클리닝블레이드(31)와, 밀봉수단으로서의 입구시일부재(32)와, 케이싱(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클리닝블레이드(31)에 의해 긁혀 떨어진 토너는 상기 케이싱(33)내에 수용된다. 이 때 상기 입구시일(32)은 긁혀 떨어진 토너가 기내로 튀기지 않도록 이 토너를 받아서 상기 케이싱내로 안내한다.
상기 전사유닛(40)은 상기 중간전사유닛(10)의 2차전사대응롤러(16)에 대향하는 2차전사바이어스롤러(41)와, 이것에 접속한 전원으로서의 2차전사전원(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프린터부에는 더 나아가, 상기 전사유닛(40)의 2 차 전사바이어스롤러(41)와 상기 중간전사유닛(10)의 2차전사대응롤러(16)의 사이에 형성되는 2 차 전사영역에 전사재로서의 전사지(100)를 공급하는 미도시한 급지롤러와, 미도시한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와, 각 종 사이즈의 전사지(100)를 수납하는 전사지카세트와, OHP용지나 두꺼운 종이 등을 사용하기 위한 미도시한 수동급지트레이와, 미도시한 용지이송유닛과, 정착수단으로서의 정착기(50)와 미도시한 카피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착기(50)는 상기 전사지(100)위의 미정착토너상을 소정온도로 제어된 정착롤러(51)와 가압롤러(52)로 되는 정착롤러쌍 사이에서 융해하여 이 미정착토너상의 정착을 행한다.
다음, 현상 순서를 Bk, C, M, Y의 순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복사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화상형성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사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Bk공정이 개시하여 상기 주사기부에 있어서 원고의 컬러화상 정보가 판독되며 이 화상정보로부터 얻은 Bk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기록광학유닛의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드럼위에 Bk잠상이 형성된다. 이 Bk잠상은 상기 Bk현상기(4a)에 의해 Bk토너가 부착되어 Bk토너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현상된다. 이 때 Bk잠상의 현상을 확실히 행하기 위해 상기 Bk현상기(4a)의 현상슬리브를 이 Bk잠상의 선단부분이 상기 Bk현상기(4a)의 현상위치로 도달하기전에 미리 회전시켜 둔다. 이것에 의해 Bk잠상의 선단부분이 상기 현상위치로 도달했을 때는 현상제가 이삭 일어선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Bk잠상의 전체를 확실히 현상할 수 있다. 또 상기Bk현상기(4a)에서는 Bk잠상의 후단부분이 상기 현상위치를 통과한 시점에서 신속히 현상슬리브(15a)상에 형성된 현상제의 이삭절단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이 Bk현상기(4a)는 불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 적어도 다음에 현상되는 C잠상의 선단부분이 상기 Bk현상기(4a)의 현상위치로 도달하기 전에 완전히 불동작상태로 되도록 한다. 또한 현상제의 이삭절단은 상기Bk현상기(4a)의 현상슬리브를 현상동작중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k현상기(4a)에 의해 감광체드럼(1)위에 형성된 Bk토너상은 이 감광체드럼과 등속 구동하는 중간전사벨트(11)의 표면에 1 차 전사되며 이것으로 Bk공정이 끝난다.
상기 Bk토너상의 1 차 전사와 병행(竝行)하여 상기 감광체드럼(1)측에서는 다음의 C공정이 개시된다. 즉 소정의 타이밍으로 재차 원고의 컬러화상 정보를 판독하며 이 화상정보로부터 얻은 C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드럼(10)위에 C잠상을 형성하며 C현상기(4b)에 의해 C토너상을 형성한다. 이 C현상기(4b)에 있어 현상슬리브의 회전은 이 C현상기의 현상위치에 상기 Bk 잠상 후단부분이 통과한 후 또한 C잠상의 선단부분이 도달하기 전에 개시된다. 그리고 C 잠상 후단부분이 통과한 시점에서 상술한 Bk현상기(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상슬리브(16a)에 형성된 현상제의 이삭절단이 행해져 상기 C현상기(4b)는 불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 역시 다음의 M잠상의 선단부분이 도달하기 전에 완전히 불동작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현상되어 감광체드럼(1)위에 형성된 C토너상은 상기 중간전사벨트(11)에 있어 Bk토너상이 전사된 화상면에 위치를 맞추어 1 차 전사된다.
이후, M공정 및 Y공정에 있어서도 상기한 C공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잠상형성, 현상, 1 차전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전사벨트(11)위에 있어서의 동일 화상면에 상기 감광체드럼(1)위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Bk, C, M, Y의 각 토너상을 1 차전사함으로써 이 중간전사벨트위에는 이들 4색이 겹쳐진 토너상이 형성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1)위에 토너상이 형성될 때까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제1색의 Bk토너상을 1차전사한 후부터 제4색의 Y토너상의 1차전사가 종료할 때까지의 사이는 상기 윤활제도포장치(20)의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21)와, 벨트클리닝장치(30)의 벨트클리닝블레이드(31) 및 입구시일부재(32)와, 전사유닛(40)의 2차전사바이어스롤러(41)를 각각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1)로부터 이탈시켜 둔다.
이상과 같이 하여 중간전사벨트(11)위에 1차전사된 토너상은 전사지(100)위에 2차전사하기 위해 상기 2차전사영역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전사유닛(40)의 2차전사바이어스롤러(41)는 통상 상기 토너상이 전사지(100)에 전사되는 타이밍으로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1)에 눌려진다. 그 후 이 2차전사바이어스롤러(41)에는 상기 2차전사전원(42)에 의해 소정의 2차전사바이어스가 가해져 상기 2차전사영역에 2차전사전계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1)위의 토너상은 상기 전사지(100)위에 전사된다. 또한 이 전사지(100)는 미도시한 조작패널로 지정된 사이즈의 전사지카세트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롤러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2차전사영역으로 급지된다. 이 전사지(100) 급지시, 이 전사지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1)위의 토너상 선단부가 2차전사영역으로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이 2차전사영역으로 급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11)위에 4색이 중첩되어 형성된 토너상이 일괄적으로 전사된 전사지(100)는 그 후 용지이송유닛에 의해 정착기(50)로 이송되어 상기 전사지(100)위의 미정착토너상 정착을 행한다. 그리고 이 전사지(100)는 카피트레이로 송출되어 적재된다.
또한 1차전사후의 감광체드럼(1)은 그 표면을 상기 감광체클리닝유닛(2)에 의해 클리닝되고 미도시한 방전수단으로서의 방전램프에 의해 균일하게 방전된다. 또 2차전사후의 중간전사벨트(11)는 벨트클리닝장치(30)가 접리기구에 의해 이 중간전사벨트에 눌려짐으로써 그 표면이 클리닝되어 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특징부분인 빛센서를 이용한 토너카트리지의 토너엔드 판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토너카트리지의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빛센서 및 광로형성부로서의 반사편광판의 개략구성도를 나타낸다. 또 도4는 반사편광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빛센서는 동일 기판(62)위에 설치된 발광부(적외LED)(60)와 수광부(원격조작용 수광소자)(6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광로형성부로서의 반사편광판(58)은 발광부(60)와 수광부(61)에 각각 대향하고 있는 토너카트리지(53)의 외벽부를 중첩한 외벽부분 (65)으로부터 토너카트리지(53)내측으로 돌출시킨 중간이 빈 발광부대향오목부(58a) 및 수광부대향오목부(58b)를 구비함과 동시에 적어도 이 한쌍의 중간이 빈 오목부의 호상 대향하는 벽면부분에는 발광부(60)로부터의 빛을 투과하는 투명부(66a,66b)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발광부대향오목부(58a)에는 발광부(60)로부터의 빛을 발광부대향오목부(58a)에 있어서의 투명부(66a)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부(67a)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광부대향오목부(58b)에는 발광부대향오목부(58a)에 있어서의 투명부(66b)를 투과해 온 빛을 수광부(61)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반사부(67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오목부(58a,58b)를 예컨대 폴리스티렌과 같은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적어도 상기 한쌍의 중간이 빈 오목부의 호상 대향하는 벽면부분, 즉 상기 투명부(66a,66b)만을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면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너엔드의 판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우선 빛센서의 발광부(60)로부터 발사되는 빛은 이 발광부(60)에 대향하는 상기 발광부대향오목부(58a)의 반사부(67a)에서 반사하여 투명부(66a)를 투과한다. 여기서 토너카트리지(53)내의 토너량이 소정량 이상이면 상기 투명부(66a)를 투과한 빛은 토너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수광부대향오목부(58b)의 투명부(66b)로 입사하지 않아 수광부(61)로는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토너량이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투명부(66a)를 투과한 빛은 토너에 의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수광부대향오목부(58b)의 투명부(66b)로 입사한 후 더 나아가 반사부(67b)에서 반사하여 수광부(61)에서 수광된다. 이와 같이 반사편광판(58)의 2개의 투명부(66a) 및 투명부(66b)의 사이에 존재하는 토너량에 응하여 감쇄되어 수광부(61)에서 수광되기 때문에 수광부(61)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토너엔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부대향오목부(58a)를 그 반사부(67a)로부터의 빛이 그 투명부(66a)로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부대향오목부(58b)를 발광부대향오목부(58a)에 있어서의 투명부(66a)를 통과해 온 빛이 수광부대향오목부(58b)에 있어서의 투명부(66b)로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상기 도3의 예에서는 발광부(60)로부터 발사된 빛이 발광부대향오목부(58a)의 반사부(67a)로 입사하는 입사각도 및 수광부대향오목부(58b)의 반사부(67b)에 있어서의 수광부(61)로 반사하는 빛의 반사각도가 동시에 45도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부(60)로부터 발사된 빛이 각 투명부(66a,66b)를 투과할 때의 빛 투과율이 각 투명부(66a,66b)에 대해 수직 이외의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높아지기 때문에 광량을 될 수 있는 한 저감시키도록 하여 수광부(61)로 도달시킬 수 있어 수광부(61)에 있어서의 수광광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엔드의 판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도3에 있어서 미도시한 상기 각 오목부(58a,58b)의 반사부(67a,67b)에 있어서의 토너와 접촉해 있는 면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빛 반사율이 높은 부재로서 예컨대 은색의 반사테이프가 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반사테이프를 붙이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높은 빛 반사율로 빛을 반사시켜 수광부(61)에서 수광되는 수광 광량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발광부(60)의 광원으로서 지향각이 넓은 광원을 채용한 경우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 수광부(61)에서 수광되어야 할 빛 (63)이외에 발광부(60) 및 수광부(61)가 대향하고 있는 토너카트리지(53)의 외벽부분(65)으로 입사하여 두께부분을 전파하여 결과적으로 수광부(61)에서 수광되는 전파광(64)이 생겨 버린다. 그리고 이 빛도 수광부(61)에서 검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 전파광(64)이 검지출력에 있어 노이즈로 나타나 토너가 있음에도 불과하고 없다고 토너잔량을 오류검지해 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편광판(58)의 외벽부분(65)에 빛을 차단하는 재료인 차광부재(70)를 미도시한 양면테이프로 붙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차광부재(70)로서는 차광시이트(예컨대 일본의 TORAY사제의 르미러(Lumirror) X30: 재질PET)을 이용할 수 있다.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엔드검지에 불필요한 빛 중 상기 전파광(64)을 잘라서 이 빛이 수광부(61)에서 수광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토너엔드검지에 불필요한 빛이 수광부(61)에서 검지됨에 의한 토너잔량의 오류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광부재(70)가 빛 흡수성도 발휘하므로 상기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외벽부분(65)에서의 반사광(68)이 발생되지 않게 하며, 이 반사광(68)이 수광부(61)에서 검지됨에 의한 토너잔량의 오류검지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엔드검지에서 이용되는 타이밍신호 중, 현상유닛의 회전타이밍, 현상타이밍, 발광부의 점멸타이밍 및 수광부의 출력신호의 출력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현상유닛은 유닛구동수단으로서의 스텝 모터(400)가 보내는 구동펄스에 따라 회전하며 이 회전이 멈추어 현상을 개시하면 동시에 토너엔드의 판정이 행해진다. 발광부(60)로부터의 빛은 기본주파수38㎑의 펄스발광을 600μs의 간각으로 ON/OFF를 반복하는 이른바 버스트(burst)발광이다. 또 1회의 토너엔드검지에서 ON/OFF의 동작을 20회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빛센서로부터 토너카트리지(53)내의 토너잔량에 응하여 강도가 변화하는 출력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복사기 본체측에서 상기 빛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와 토너엔드 판정용의 기준치가 비교되어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토너카트리지(53)의 토너엔드가 판정된다.
도6은 상기 빛센서(200)의 기판(62)위에 형성된 신호처리부와,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토너엔드판정을 행하는 토너엔드판정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토너엔드판정수단으로서는 복사기 본체측에 설치된 제어부(300)가 겸용되어 있다. 제어부(300)에 있어서의 CPU(77)와 ROM(78), RAM(79) 및 I/O(81)가 도면중 굵은 화살표로 도시한 어드레스버스 및 데이터버스로 접속되어 있고 방형파발진회로(86)로부터 CPU(77)로 소정주기의 클록이 공급되어 있다. 또 빛센서(200)의 방형파발진회로(86)에서 발생시킨 신호는 발광부(60)를 점멸시키기 위한 타이밍신호로서도 이용된다. 그리고 이 신호를 분주기1(87)로 38㎑의 펄스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분주기2(88)로 1.2ms 주기의 펄스신호를 생성하며 이들의 신호를 AND게이트(90)에서 가산하여 얻어진 신호를 LED드라이버(91)로 공급하고 I/O인터페이스(8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부(60)의 LED(92)를 20회 버스트점멸시키고 있다. 그리고 토너카트리지(53)내부가 토너엔드인 상태에서는LED(92) 의 빛이 발광부대향오목부(58a)의 투명부(66a)로부터 수광부대향오목부(58b)의 투명부(66b)로 입사하므로 수광부대향오목부(58b)의 반사부(67b)에서 반사되어 수광부(61)의 포트다이오드(94)로 도달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증폭기(95)에서 증폭하고 콘덴서(96)에서 신호성분만 통과시킨다. 더 나아가 밴드패스필터(99)에 의해38㎑의 펄스신호만 통과시킨 후 복조기(100)로 복조하고 적분기(101)로 적분하며 장치본체측에 있어서의 제어부(300)의 I/O인터페이스부(81)에 빛센서(200)의 출력신호(아날로그신호)로서 보낸다. I/O인터페이스부(81)는 빛센서(20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CPU(77)로 보낸다. CPU(77)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토너엔드 판정용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토너카트리지(53)가 토너엔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토너엔드로 판정했을 때는 토너엔드표시부(82)에 토너엔드로 되었다는 뜻을 표시시켜 이용자에 대해 토너엔드로 된 색의 토너카트리지를 교환할 것을 재촉한다.
도7은 본 실시예에 따른CPU(77)가 토너엔드검지를 개시한 후 상기 토너카트리지내부가 토너엔드인지 여하를 판단할 때까지의 플로차트이다. 우선 현상유닛이 현상위치에서 정지하여 현상을 개시하면 CPU(77)는 발광부(60)의 LED(92)를 점멸시킨다(스텝S1). 그리고 LED(92)가 20회 버스트점멸했는지 여하를 판단한다(스텝S2). 여기서 20회 버스트점멸하지 않았으면 20회 점멸할 때까지 이 판정을 계속한다. 그리고 20회 버스트점멸했다고 판정되면, CPU(77)는 빛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변환된 측정치Vm와,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Vref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토너카트리지(53)가 토너엔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스텝S4). 그리고 측정치Vm가 기준치Vref이상일 때는 그 색의 토너엔드표시부(82)에 토너엔드로 된 뜻을 표시시키고, 측정치Vm가 기준치Vref보다 작을 때는 메인 루틴(main routine)으로 복귀한다(스텝S5). 그리고 토너엔드표시에 의거하여 토너카트리지가 교환되었는지 여하를 판정한다(스텝S6). 이 스텝에 있어서는 토너카트리지가 교환될 때까지 상기 토너엔드표시부(82)에 토너엔드로 된 신호를 표시한 채로 하여 두며, 교환되었으면 토너엔드표시등을 끄고(스텝S7)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도8은 상기 반사편광판(58)의 투명부(66a,66b)사이의 오목부분(66)에 남아 있는 토너량(도4참조)과, 상기 빛센서의 출력신호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도8에서 알 수 있는 바, 상기 반사편광판(58)의 투명부(66a,66b)사이의 오목부분(66)에 남아 있는 토너량이 많을수록 빛센서의 발광부(60)로부터 발사하는 빛이 차단되어 수광부(61)에서 수광하는 광량이 감소하며 빛센서의 출력신호의 크기가 저하한다. 이 빛센서의 출력신호는 컬러토너Y,M 및 C와 흑토너BK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토너카트리지내의 토너잔량이 얼마 안되었을 때에 반사편광판(58)의 투명부(66a,66b)사이의 오목부분(66)에 남아 있는 토너량이 같더라도 이 광로면을 투과하는 광량이 달라 센서출력에 차가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색에 응하여 적절한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를 개별로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컬러토너Y,M 및 C의 경우와 흑토너BK의 경우로, 각 토너에 대응한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Vref(컬러) 및 기준치Vref(흑)을 설정하고 빛센서의 출력신호의 측정치Vm가 각각의 기준치Vref이상으로 되었을 때는 토너엔드로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흑토너의 경우도 컬러토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토너엔드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상기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Vref(컬러) 및 기준치Vref(흑)은 다음과 같이 하여 차차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볼버현상유닛의 토너카트리지 사이에 사방으로 튀기는 토너 등에 의해 광로가 더러워지지 않는 구조를 한 기준광로형성부로서의 기준반사편광판(71)(C) 및 기준반사편광판(71)(BK)을 설치한다. 이 기준반사편광판(71)(C) 및 (71)(BK)의 광로면(72a),(72b)에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엔드판정시의 토너잔량에 대응한 소정의 투과율(예컨대 1%: 컬러토너, 0.3%: 흑토너)로 빛센서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감광(減光)부재(7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기준반사편광판(71)(C) , (71)(BK)의 빛센서에 대향하는 외벽부분에는 상기 토너잔량검지용의 반사편광판(5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는 재료의 차광부재(70)를 미도시한 양면테이프로 붙이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리볼버현상유닛을 회전시켜 기준반사편광판(71)(C)이 빛센서에 대향하는 위치로 된 상태에서 정지시킨다.이 상태에서 빛센서를 ON상태로 하고 그 때의 빛센서 출력신호의 값을 제어부(300)의 기억부에 기억하며 그 후의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Vref(컬러)로 한다. 흑토너용의 기준반사편광판(71)(BK)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여 기준치Vref(흑)를 기억한다. 이것에 의해 빛센서의 감도 불균일을 보정할 수 있어 항상 정밀도 높게 토너엔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리볼버현상유닛이 홈포지션위치에 있을 때, 즉 4색의 현상롤러의 전부가 감광체에 대항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대기하고 있은 기준반사편광판(71)(C) 및 기준반사편광판(71)(BK)이 빛센서에 대항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토너엔드용의 기준치Vref(컬러) 및 기준치Vref(흑)을 설정하는 동작을 행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토너잔량의 오류검지를 방지할 수 있는 저코스트의 토너엔드검지수단을 구비한 현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토너카트리지(53)의 외측에 배치된 발광부(60) 및 수광부(61)에서 토너잔량의 유무를 검지하므로 토너카트리지(53)의 내측에 상기 발광부(60) 및 수광부(61)를 구비하는 장치에 비하여 토너카트리지(53)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빛센서가 토너카트리지(53)내의 토너잔량에 응하여 변화하는 출력신호Vm를 출력하므로 복사기본체측에서 이 빛센서의 출력신호Vm를 비교하는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Vref를 토너 종류 등에 응하여 변경함으로써 이 빛센서 수광부의 감도 불균일 등에 관계없이 토너카트리지(53)의 토너엔드를 정확히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빛센서의 발광부로부터 출사하는 빛으로서 상기 버스트광 대신에 펄스변조광을 이용할 수도 있다.
펄스변조광을 이용한 빛센서는 펄스변조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펄스변조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이 수광부의 출력신호에 동기(同期)하고 펄스변조광의 펄스휴지시간에 응하여 수광부 출력신호의 통과를 금지하는 게이트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는 수광부로부터 펄스변조광에 의한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펄스변조광의 펄스휴지시간내는 게이트회로가 OFF로 되어 그 시간내에 외난광을 수광해도 그 외난광에 의한 노이즈를 게이트회로로부터 출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토너잔량의 오류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 내지 청구항9의 발명에 의하면, 토너수용부내의 토너잔량에 응하여 변화하는 출력신호를 빛센서로부터 출력하므로 화상형성장치본체측에서 이 빛센서의 출력신호와 비교하는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를 변경함으로써 이 빛센서의 수광부의 감도 불균일 등에 관계없이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본체측에서 상기 기준광로형성부에 대한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를 변경함으로써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더욱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특히 청구3 및 9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 토너수용기 각자에 대해 토너엔드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특히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본체측에서 각 토너수용부에 대응하는 기준광로형성부에 대하는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각 토너수용부에 대하는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를 변경함으로써 각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더욱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특히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준광로형성부에 대한 검지만을 위해 상기 현상유닛을 구동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상기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 설정변경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특히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토너잔량검지용의 광로형성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광로이외를 통하여 수광부로 도달하는 빛에 의한 오류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특히 청구항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준광로형성부에 있어서의 소정광로 이외를 통하여 수광부로 도달하는 빛에 의한 오류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이 현상기로 보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수용부와, 이 토너수용부의 내부를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형성하도록 이 토너수용부의 벽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토너잔량검지용의 광로형성부와, 이 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에 대해 빛을 발사하는 발광부 및 이 광로형성부의 빛출사구멍으로부터 되돌아온 빛을 받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빛센서를 구비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가 상기 광로형성부에서 형성되는 광로에 존재하는 토너잔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에 대향할 수 있는 위치에 토너엔드 판정시의 토너잔량에 대응한 소정의 투과율로 이 빛센서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구비하는 기준광로형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상기 토너수용부 및 상기 광로형성부를 복수조 구비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화상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위치에 각 현상기를 대응하는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 현상유닛을 구동하는 유닛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광로 형성부가 상기 빛센서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에 대향할 수 있는 토너엔드 판정시의 토너잔량에 대응한 소정의 투과율로 이 빛센서의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로를 구비하는 기준광로형성부를 각 토너수용부에 수용하는 토너 종류에 응하여 복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광로형성부를 상기 현상유닛의 구동에 의해 각 현상기를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킬 때에 상기 빛센서에 대향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대향하여 있는 상기 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 및 빛출사구멍 주위의 대향면에 차광부재를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빛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대향하여 있는 상기 기준광로형성부의 빛입사구멍 및 빛출사구멍 주위의 대향면에 차광부재를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화상담지체와, 이 화상담지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수단과, 이 화상담지체위의 잠상을 현상하여 현상(顯像)을 형성하는 현상수단과, 이 화상담지체위의 현상을 전사체에 전사하는 전사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으로서 제1,2,3,4,5,6 또는7항의 현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빛센서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토너수용부의 토너엔드를 판정하는 토너엔드 판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상기 토너수용부 및 상기 광로형성부를 복수조 구비하는 현상유닛과,상기 화상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위치에 각 현상기를 대응하는 토너수용부와 함께 이동시키도록 이 현상유닛을 구동하는 유닛구동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엔드판정수단이 상기 빛센서의 출력신호와 토너엔드판정용의 기준치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토너엔드를 판정하는 것이며,
    각 토너수용부내에 수용하는 토너 종류에 응하여 각 토너수용부별로 이 기준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55105A 1998-12-07 1999-12-06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KR10037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47326 1998-12-07
JP34732698 1998-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934A true KR20000047934A (ko) 2000-07-25
KR100370541B1 KR100370541B1 (ko) 2003-01-30

Family

ID=1838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105A KR100370541B1 (ko) 1998-12-07 1999-12-06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56459B1 (ko)
KR (1) KR100370541B1 (ko)
CN (1) CN1122196C (ko)
DE (1) DE1995892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885A (ja) 2000-11-01 2002-05-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50717B2 (en) * 2001-07-17 2005-02-01 Oki Data Corporation Medium thickness detecting apparatus
US7177555B2 (en) 2003-01-15 2007-02-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proces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452931A1 (en) * 2003-02-28 2004-09-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CN100349073C (zh) * 2003-03-05 2007-11-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2005024665A (ja) * 2003-06-30 2005-01-27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173101A (ja) * 2003-12-10 2005-06-3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とトナー補給方法
JP4532986B2 (ja) 2004-05-19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TW200732870A (en) 2005-04-27 2007-09-01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DE202006020942U1 (de) 2005-06-07 2011-03-10 Ricoh Co., Ltd. Tonerbehälter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JP4804067B2 (ja) * 2005-08-10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666766B2 (en) * 2005-09-27 2010-0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ilm formation apparatus, method for form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JP5371287B2 (ja) * 2008-05-2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84163B2 (ja) * 2009-03-27 2014-0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フレーム
EP3695279B1 (en) 2018-04-13 2023-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ant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253A (en) * 1977-05-17 1986-04-01 Savin Corporation Toner control system
JPS60257459A (ja) * 1984-06-01 1985-12-19 Canon Inc 回転現像装置
FR2668595B1 (fr) * 1990-10-26 1994-09-02 Intertechniqu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du niveau de liquide.
US5899597A (en) * 1993-12-22 1999-05-04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with an external reflector for a developer apparatus capable of optically end-detecting
KR0132011B1 (ko) * 1994-02-28 1998-10-01 김광호 현상제 보유 레벨 검출 장치
JP3263533B2 (ja) * 1994-05-17 2002-03-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残量検出装置及びそのトナー収納装置
JP3413314B2 (ja) 1994-10-21 2003-06-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8137175A (ja) * 1994-11-11 1996-05-3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160698A (ja) 1994-11-30 1996-06-21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574527A (en) * 1995-09-25 1996-11-12 Xerox Corporation Multiple use of a sensor in a printing machine
JP3393965B2 (ja) 1995-10-25 2003-04-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21974A (ja) 1997-02-07 1998-08-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327287A (ja) * 1998-05-11 1999-1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56459B1 (en) 2001-07-03
DE19958924B4 (de) 2009-10-22
DE19958924A1 (de) 2000-06-21
CN1256440A (zh) 2000-06-14
KR100370541B1 (ko) 2003-01-30
CN1122196C (zh)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541B1 (ko)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9063501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with light guide member for detecting remaining toner amount
JPH10142857A (ja) 画像形成装置
US75552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generates a different light pattern for different development apparatuses
JP200327102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US7742708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artridge in which an amount of developer is detectable
EP154208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 method
JP2000231254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149572A (ja) 画像形成装置
JP4832685B2 (ja) 画像形成装置
US6122459A (en) Developer amount detecting apparatus
JP3393965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80892A (ja) 現像装置
JP3362094B2 (ja) 現像装置
JPH10142885A (ja) 現像装置
JP2008256876A (ja) トナー残量検知装置
JP200400491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トナーパターン像濃度検出装置
JP3419136B2 (ja) 現像装置
JP2898449B2 (ja) 複写機用像担持体の位置検出装置
US5991560A (en) Determining an amount of toner in a reservoir by determining a time interval for the transmission of light between a first light guide and a second light guide
JPH08202136A (ja) 現像装置、並びに現像装置のトナー残量検知手段における発光部及び受光部の位置設定方法
JPH09185191A (ja) トナー濃度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H0830047A (ja) 画像形成装置
JP398478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21959A (ja) 液体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