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590A - 육불화인산리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불화인산리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590A
KR20000046590A KR1019980063278A KR19980063278A KR20000046590A KR 20000046590 A KR20000046590 A KR 20000046590A KR 1019980063278 A KR1019980063278 A KR 1019980063278A KR 19980063278 A KR19980063278 A KR 19980063278A KR 20000046590 A KR20000046590 A KR 2000004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ion
lipf
lithiu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825B1 (ko
Inventor
나두찬
우병원
박순홍
이준호
Original Assignee
박대치
울산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치, 울산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대치
Priority to KR101998006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825B1/ko
Priority to DE19963399A priority patent/DE19963399A1/de
Priority to US09/475,074 priority patent/US6387340B1/en
Priority to CN99122984A priority patent/CN1108985C/zh
Priority to JP2000000036A priority patent/JP3456934B2/ja
Publication of KR2000004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7/00Rubidium, caesium or franc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01D15/005Lithium hexafluorophosph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화인(PCl5), 염화리튬(LiCl), 및 불산(HF)을 원료로하여 육불화인산리튬(LiPF6)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염화인을 불산과 반응시켜 오불화인(PF5)을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반응)와 오불화인을 불산용액중에서 염화리튬과 반응시켜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반응)로 구성시키고, 상기 1, 2단계 반응에서 불소가스로 처리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무수불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제2단계 반응에서 F2개스를 처리하여 반응계 중의 LiPOxFy를 배제시켜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Cl5및 LiCl등 중저가의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반응계중에 전해로 얻어지는 고순도의 F2개스를 이용하므로서 고수율 고순도의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리튬폴리머 전지를 구성하는 필수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육불화인산리튬(LiPF6)을 고수율, 고순도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전지나 리튬폴리머전지는 기본적으로 Li금속의 산화물(LiCoO2, LiNiO2, LiMn2O4등)의 양극(Anode)과 흑연(Graphite)과 같은 탄소재의 음극(Cathode) 및 전해질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서 된 전해액으로 구성되며, 유기용매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 이하 EC라 한다)와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이하 DMC라 한다)의 혼합용매나 E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 이하 DEC라 한다)의 혼합용매 등 비수용성 혼합용매가 사용되며 대표적인 전해질로서는 육불화인산리튬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지는 충전시 양극의 Li이온이 음극의 카본재의 공극사이로 삽입부착되며 방전시는 음극의 Li이온이 양극으로 되돌아간다. 이때 Li이온은 전해액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전지의 수명(Life cycle)등 성능유지를 위하여 여기에 사용되는 전해질인 육불화인산리튬의 순도 등 규격은 매우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육불화인산리튬(Lithium Hexafluoro Phosphate)은 오염화인(PCl5)과 불화수소(HF)를 반응시켜서 얻는 오불화인(PF5)과 불화리튬(LiF)을 고농도의 불산(액상의 HF) 중에서 반응시켜 제조되는데 이때 반응계가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 옥시불화인산리튬(LiPOxFy)이 부생되며 또한 육불화인산리튬이 LiF로 분해되어 이것이 육불화인산리튬 중에 불순물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하는 반응계 중에는 수분이 없을수록 좋다.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원료가 함유하고 있는 금속성분이나 장치의 부식으로 인해 유입되는 금속 성분은 Li 금속과 이온화 포텐셜(Ionic potential)이 서로 달라 이것이 전해질 중에 함유되게 되면 전지의 수명(Cycle Life)를 단축시킨다.
또한 최종 제품에 수분이 함유되게 되면 LiPF6가 수분에 의해 LiF, HF, PF5로 분해되며 이들은 개스상태로 전이 되기 때문에 전지내에 내압이 형성되며, 특히 HF는 유기용매와 반응을 할뿐만 아니라 전지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case)의 부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전지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해질로 사용되는 육불화인산리튬(LiPF6)은 순도, 수분, 금속함량, 유리불산 등의 규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육불화인산리튬 제조원료의 하나인 HF를 F2가스를 이용하여 HF중에 함유된 수분을 철저히 건조시켜 사용함으로써 옥시불화인산리튬(LiPOxFy)의 부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수분에 의한 육불화인산리튬(LiPF6)의 분해를 방지하여 수율 감소를 수반하지 않으면서 고순도의 육불화인산리튬(LiPF6)을 제조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또한 반응 중에 고순도의 F2개스를 일정량 도입함으로써 PCl5및 LiX(여기에서 X=F, Cl, Br, I이다) 등의 고체형 원료가 지니고 있는 수분 및 반응 중에 유입될 수 있는 수분에 의해 형성되는 옥시불화인산리튬(LiPOxFy)의 부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고순도의 육불화인산리튬염(LiPF6)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불산 제조 공정에서는 수분을 조절하기 위해 기초 원료를 철저히 건조한 후 불산을 제조하지만, 마지막 공정에서 불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무수황산에 통과시킨다. 이 건조 공정을 통과한 불산은 통상적으로 100ppm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황산을 통과했기 때문에 고비물(高沸物)인 황산이 일정량(50ppm정도)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급의 전해질은 금속성분 함량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HF 제조공정의 모든 설비는 철(Steel)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불산 자체에 금속성분이 많이 함유하게 된다.
수분, 황산, 금속성분 등의 함량이 높은 이유로 공정에서 나온 무수불산은 전지급 전해질 제조 원료로 직접 사용하기에는 적합치 않으며, 다시 한 번 건조 및 정제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무수불산을 전지급으로 철저히 건조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F2개스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는 아직 알려져 있는 건조방법이 없다.
본 발명에서 무수불산 중의 잔류 수분이 건조되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2O(in HF) + 2F2→ 2HF + OF2(↑)
건조조건 : 버블링시간 : 1∼3hr
온도 : -10∼-30℃
유량 : 1∼1000g/hr
불산중의 수분은 F2가스와 반응하여 불산으로 전환되면 불화산소(OF2)를 방출하게 되며 이 불화산소는 비점(-145℃)이 매우 낮아 반응후 쉽게 휘발 제거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은 고체 원료인 PCl5와 LiCl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모든 화합물들은 순도, 수분함량, 금속성분 등 그들 고유의 특정 규격(specification)을 가지고 있다. 특정 규격을 높여 고순도의 원료를 사용하면 최종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지만, 제조 단가가 높아져서 상업적인 경쟁력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PCl5와 LiCl을 일정한 수분등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는 중저가 원료를 사용하였다.
앞에서 지적한 대로 원료에 수분이 있으면 옥시불화인산리튬(LiPOxFy)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재결정으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계 중에 F2개스를 도입시킴으로써 고체 원료에서 혼입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옥시불화인산리튬(LiPOxFy)의 형성을 막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반응 중에 생성된 옥시불화인산리튬(LiPOxFy)이 있다면 F2개스에 의해 육불화인산리튬(이하 LiPF6라 한다.)및 불화산소(OF2)로 전환되기 때문에 수율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은 금속성분 관리를 위해서 공정의 모든 장치들을 불소수지(Polytetrafluoroethylene : 이하 PTFE라 한다.)로 피복한 것이나 PFA수지(Tetrafluoroethylene Perfluoroalkylvinylether Copolymer) 제 배관을 사용한 점과 반응기를 2개 채택했다는 점이다.
먼저 모든 장치를 불소수지 피복이나 PFA수지제 배관을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무수불산(HF)에 견딜수 있는 재질 즉, 모넬금속(Monel metal), Ni, Cr 등의 합금 재질 반응기를 사용했지만, 이들 재질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만약 공정상의 문제점, 즉 누설(Leak)이나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등, 재질들이 수분과 만나 무수불산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높다.
반응장치가 부식되면 필연적으로 제품이 부식된 물질에 의해 오염되게 되며, 이들 오염물질은 제품의 금속 성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장치가 오염되면 전공정을 다시 보수해야 되으로 유지 보수비가 크게 증가하게 되며, 이것은 결국 공정의 비효율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반응기 두 개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중저가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상업적 장점과 금속성분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때문이다.
LiPF6를 제조함에 있어서 기본 원료로 PF5나PCl5을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PF5는 PCl5에 비해 고가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PCl5를 채택했다. 제1반응기에서 고체인 PCl5에 F2개스로 처리하여 건조시킨 HF를 투입하게 되면 즉각적으로 개스상의 PF5와 HCl로 전환된다.
따라서 고상의 PCl5가 함유하고 있던 불순물들은 반응기 1내에 잔존하게 되며 고순도의 PF5와 HCl만 제2반응기로 도입되기 때문에 저가의 PCl5를 원료로 하면서도 고순도의 LiPF6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제2반응기에서는 다음 2, 3단계의 반응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반응식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반응식
▶ 1단계 : PCl5+ 5HF → PF5+ 5HCl
▶ 2단계 : PF5+ LiCl/HF 용액 → LiPF6/HF 용액
▶ 3단계 : LiPF6용액 + F2개스
▶ 반응조건
1단계 ; 반응온도 : -80℃∼상온, 압력 : 6∼28kg/cm2G, 반응시간 : 10분∼3시간
2단계 : 반응온도 : -30℃∼상온, 압력 : 1∼20kg/cm2G, 반응시간 : 1∼4시간
3단계 : F2개스 유량 : 1∼1000g/hr, 반응온도 -10∼0℃, 접촉시간 : 10∼30분
나 정제 : LiPF5를 HF중에서 재결정
▶ 정제조건 : -80℃∼0℃에서 재결정
앞에서 언급된 3가지 큰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은 고수율(90%이상), 고순도(99.8% 이상), 저수분(20ppm이하), 저유리 HF(150ppm) 및 고순도의 불화인산리튬(LiPF6)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75216호는 PCl5와 HF와 반응시켜 PF5gas를 합성하고, 다른 용기에 HF와 LiF 용액을 만들고, 여기에 PF5gas를 도입시켜 LiPF6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반응조건은 HF : LiF의 mole비는 10∼20이며, 온도는 -30℃∼0℃, PF5개스의 도입유량은 5∼30L/hr이며, 생성되는 LiPF6의 입경은 1∼6mm 정도이다. 이 방법의 문제점은 사용하는 원료가 고가인 LiF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과 PCl5와 HF의 반응에서 PF5와 HCl이 생성되는데, 반응의 압력을 낮출려는 목적에서 HCl 개스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HCl과 비점이 비슷한 주원료인 PF5개스를 많이 잃어버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반응물의 수율이 70%를 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최종 생성물인 LiPF6의 수분 함량이 10ppm을 넘지 않는다고 하나, 사용원료인 HF 자체를 건조시켰다는 언급이 없으므로 분명히 생성물 내에 LiPOxFy의 불순물을 함유할 것으로 추정되며, 최종 제품이 10ppm 이하의 수분을 함유하기 위해서는 진공 건조 시간이 매우 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51109호에서는 PCl5와 HF + LiX(X=Cl, F, I, Br) 등을 1개의 반응기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HF/LiX의 사용비율은 20∼50wt/wt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이미 설명했듯이 반응기 1개를 사용하기 때문 PCl5LiX등이 원천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금속 성분이 LiPF6최종 제품에 많이 함유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금속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재결정을 여러번 시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수율이 82%를 넘지 못했고, 순도도 99% 밖에 되지 않아서 전지급으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수분 함량에 대한 언급, 금속 성분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순도가 낮음을 반증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79003호에서는 PCl5와 HF 개스를 반응시켜 PF5와 HCl 개스를 생성시키고, -40∼-80℃로 냉각된 탑을 통과시켜, 통과된 PF5/HCl 개스를 HF에 LiF가 녹아 있는 반응기로 도입시켜 LiPF6를 생성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 다.
이 반응의 수율이 65%를 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유럽특허공보 EP 0643433 Al에서는 초기원료를 NH4PF6를 EC나 DEC 등의 전지급 용매에녹이고, 여기에 LiH와 반응시켜 LiPF6(EC/DEC) 용액을 직접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반응에서 NH3와 H2개스가 발생하게 되며, 암모니아 개스는 용매에 녹아있기 때문 필연적으로 NH3를 제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초기에 사용한 EC/DEC 용매의 감소가 발생하여 원하는 농도를 맞추기 위해 용매를 보충해야 한다. 또한 이 반응의 경우 반응율이 100% 라는 것을 가정해야만 성립한다. 미반응 물질(NH4PF6, LiH)이 존재할 개연성이 매우 높고, NH4PF6및 LiH 등이 지니고 있는 금속성분 제거 등의 과정이 없어서 전해액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발명과 기존 방법과의 대비
특징 본 발명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175216)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251109)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79003) 유럽 특허공보(FP 0643433 A1)
원료 물질 ①F2로 건조된 HF②PCl5③LiCl④F2개스 ① HF② PCl5③ LiF ① HF② PCl5③ LiF ① HF② PCl5③ LiF ① NH4PF6② EC/DEC등유기용매③ LiH
반응기 갯수 2개 2개 1개 2개 1개
핵심기술 F2개스사용 PCl5와 HF반응시 액상 반응 PCl5와 HF반응시 기상반응 냉각탑사용POxFy제거 유기용매 사용전해액을 직접제조
수율 90%이상 70% 82% 65% -
순도 99.8%이상 언급 없음 99% 언급 없음 언급 없음
장점 고수율, 고순도 LiPF6제조가능, 금속성분 제어가능, 수분 제어가능 - - - -
단점 - 저수율, 고가의 원료(LiF), 저순도, 수분 조절 불가능 저수율,저순도, 금속성분 제어 불가능,수분제어 불가능 저수율, 저순도, 수분제어 불가능 NH4PF6및 LiH 미반응 물질 분리 불가능, 부족한 유기용매 보충, 금속성분 제어 불가능
〈실시예 1〉
〈무수불산의 건조〉
20kg들이 탄소강(Carbon steel) 용기 내부에 PFA수지제의 버블링튜브(Bubbling tube)를 장치하고, 여기에 불산(Bp : 19.2℃, 수분함량 100ppm) 18kg를 투입한다.
이 용기를 수욕(Water bath)에 담그고 0℃∼10℃ 사이로 유지시킨다.
F2전해조를 가동시켜 발생시킨 순도가 99% 이상이고 농도도 99% 이상인 F2개스를 용기내로 도입 버블링하여 불산과 접촉시킨다.
이때 반응조건은 F2개스유량 61g/hr, 접촉시간은 30분 정도이다.
〈무수불산의 증류〉
F2로 건조된 HF가 들어있는 용기를 60∼130℃로 가열한다.
용기내의 압력을 1kg/cm2G 내외로 유지하여 HF를 증발응축시켜 증류된 HF를비탁법으로 수분 분석한 결과 10ppm 미만의 수분 함량을 보였으며, 1ppm 미만인 극미량의 금속성분(Fe, Mn, Ca, Na, K, Pb, Zn, Cd, Ni, Mg, Ca, Al)을 함유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건조, 정제된 HF를 전기한 1, 2단계를 통하여 LiPF6를 합성하는데 반응용매로 사용하였다.
〈육불화인산리튬(LiPF6)의 제조〉
PTFE로 피복된 1.5ℓ 압력 반응기(제1반응기)에 자기회전 막대(magnetic stirring bar)를 넣고, 여기에 PCl5를 52.93g을 넣은 다음 반응기 분위기를 질소가스(N2) 치환하고, 이 반응기를 HF 공급파이프와 연결시킨다.
별도로 1.5ℓ들이 PTFE 피복 압력 반응기(제2반응기)에 LiCl 6.53을 넣고 반응기 내부를 질소개스를 치환하고, 건조 된 HF 300g을 투입한다.
제1반응기와 제2반응기를 서로 연결하고 두 반응기를 모두 냉각시킨다.
제1반응기의 온도는 -30℃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무수불산 100g을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하면 순간적으로 발열하면서 반응기 내부의 압력이 약 28kg/cm2G 상승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13kg/cm2G까지 강하한다.
반응기 1의 온도를 0℃까지 승온시킨 후 밸브를 열고 제2의 반응기로 생성된 PF5개스와 HCl 개스를 도입시키고, 두 반기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둔다.
PF5개스 도입이 완료된 후 반응기 2의 온도를 상온까지 상승시키고, 그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상온에서 제2반응기의 최종 압력은 9kg/cm2G로 유지시킨다.
반응이 종류되면 제2반응기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고, 반응기를 0℃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F2개스를 (35ℓ/hr, 30분) 도입한다. 잔류 F2개스를 제거하기 위해 N2로 내부를 치환한 후, 반응물을 PTFE로 제작한 필터에 옮겨 여과하고, 용매로 사용된 HF를 진공 건조하며 LiPF632.7g(93%)을 얻었다.
조(Crude) LiPF6를 재결정 장치에 옮기고 HF 100g을 가해 -40℃에서 재결정하여 순수한 LiPF6를 얻었으며, 모액에 남아있는 LiPF6는 모액을 농축하여 다시 재결정하여 85%이상 수득하였다.
재결정된 LiPF6를 진공 건조한후 분석한 결과 순도(99.8% 이상, Substrating method), 수분함량(13∼18ppm, Karl Fischer Coulometer 법), free HF(130ppm Alkalimetry법)의 고순도 LiPF6를 얻었으며, 이것을 전해액(EC/DEC, 1:1wt/wt, IM) 용액을 제조하여 전기전도를 측정한 결과(7.6∼7.9 x mS/cm)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합성한 LiPF6의 구조 분석을 NMR(19F-NMR,31P-NMR,7Li-NMR) 등으로 했으며 그 결과 표준 물질과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반응기에는 PF5와 함께 HCl이 도입되지만 염소(Cl)는 불소(F)보다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LiPF6를 제조하는데는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Cl5및 LiCl등 중저가의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반응계중에 전해로 얻어지는 고순도의 F2개스를 이용하므로서 고수율 고순도의 LiPF6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오염화인(PCl5), 염화리튬(LiCl), 및 불산(HF)을 원료로하여 육불화인산리튬(LiPF6)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염화인을 불산과 반응시켜 오불화인(PF5)을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반응)와 오불화인을 불산용액중에서 염화리튬과 반응시켜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반응)로 구성시키고, 상기 1, 2단계 반응에서 F2개스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한 무수불산을 사용하고 제2단계 반응계에 F2개스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분을 제거한 무수불산은 F2개스의 접촉시간이 1∼3시간이고 유량이 1∼1000g/hr이고, -10∼-30℃에서 F2개스로 처리하여서 얻은 무수불산인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오불화인과 염화리튬을 불산용액 중에서 반응시키는 반응계(2단계 반응계)에 1∼20Kg/cm2·G의 압력과 상온∼-30℃의 온도에서 1∼1000g/hr의 유량으로 F2개스를 유입시켜 이 반응계 중의 옥시불화인산리튬을 제거하는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오불화인을 제조하는 반응(1단계 반응)과 육불화인산리튬을 제조하는 반응(2단계 반응)을 각각의 반응기에서 시행하는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KR1019980063278A 1998-12-31 1998-12-31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KR10028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78A KR100288825B1 (ko) 1998-12-31 1998-12-31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DE19963399A DE19963399A1 (de) 1998-12-31 1999-12-28 Herstellungsverfahren für Hexafluorphosphat
US09/475,074 US6387340B1 (en) 1998-12-31 1999-12-29 Manufacturing method for lithium hexafluoro phosphate
CN99122984A CN1108985C (zh) 1998-12-31 1999-12-30 六氟磷酸锂的制备方法
JP2000000036A JP3456934B2 (ja) 1998-12-31 2000-01-04 六フッ化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78A KR100288825B1 (ko) 1998-12-31 1998-12-31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90A true KR20000046590A (ko) 2000-07-25
KR100288825B1 KR100288825B1 (ko) 2001-05-02

Family

ID=1956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278A KR100288825B1 (ko) 1998-12-31 1998-12-31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7340B1 (ko)
JP (1) JP3456934B2 (ko)
KR (1) KR100288825B1 (ko)
CN (1) CN1108985C (ko)
DE (1) DE199633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2387A (zh) * 2022-03-24 2022-06-10 福建省龙德新能源有限公司 法LiF/无水HF混合生产装置的自动化控制方法
CN114701874A (zh) * 2022-04-11 2022-07-05 福建省龙德新能源有限公司 五氟化磷连续自动化生产装置的自动化控制方法
CN115924881A (zh) * 2022-12-30 2023-04-07 四川大学 以黄磷为原料生产六氟磷酸盐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2517B1 (fr) * 1998-08-21 2000-09-29 Atochem Elf Sa Procede de fabrication d'hexafluorophosphate de lithium
US6824754B2 (en) * 2002-03-13 2004-11-3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olid state thermal method for the synthesis of lithium hexafluoro phosphate (LiPF)6 as battery electrolyte
JP4047817B2 (ja) * 2002-03-21 2008-02-13 カウンシル・オブ・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アンド・インダストリアル・リサーチ 固体加熱反応によるヘキサフルオロ燐酸リチウムの合成方法
JP4810867B2 (ja) * 2005-04-19 2011-11-0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
JP5230904B2 (ja) * 2005-06-17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971065B1 (ko) * 2005-12-06 2010-07-20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리튬이온전지용 전해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리튬이온전지
CN100383036C (zh) * 2006-05-30 2008-04-23 天津化工研究设计院 六氟磷酸锂的纯化方法
JP5254555B2 (ja) * 2007-02-08 2013-08-07 ステラケミファ株式会社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JP5307409B2 (ja) * 2007-08-16 2013-10-02 ステラケミファ株式会社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JP2010042937A (ja) * 2008-08-08 2010-02-25 Stella Chemifa Corp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JP5609283B2 (ja) * 2010-06-08 2014-10-2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8883707B2 (en) * 2010-06-30 2014-11-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 of PF5 and HF
JP5849383B2 (ja) * 2010-07-28 2016-01-27 宇部興産株式会社 過フッ化無機酸リチウムの水/有機溶媒混合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5862094B2 (ja) * 2010-08-17 2016-02-1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ヘキサ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濃縮液の製造方法
JP5862015B2 (ja) * 2011-02-17 2016-02-16 宇部興産株式会社 六フッ化リン酸リチウム・カーボネート錯体及びその前駆体の製造方法
CN102170023A (zh) * 2011-03-18 2011-08-31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六氟磷酸锂电解液的制备方法
CN102153064A (zh) * 2011-03-29 2011-08-17 张家港市亚源高新技术材料有限公司 一种六氟磷酸锂非水溶剂法的合成方法
CN102275894A (zh) * 2011-05-23 2011-12-14 中南大学 一种六氟磷酸锂的制备方法
US20130004402A1 (en) * 2011-06-28 2013-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urifying phosphorus pentafluoride
CN102320588B (zh) * 2011-09-05 2013-03-13 贵州省化工研究院 六氟磷酸锂合成装置
RU2489349C2 (ru) * 2011-11-15 2013-08-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СЕРВИС"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ексафторфосфата лития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223384B1 (ko) * 2012-06-01 2013-01-16 오씨아이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3253643B (zh) * 2013-03-25 2014-12-03 中山市华玮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相转移催化法制备六氟磷酸锂的方法
CN103553009B (zh) * 2013-10-11 2016-03-09 浙江巨化凯蓝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六氟磷酸锂的化学深度纯化方法
KR102542990B1 (ko) * 2015-06-23 2023-06-12 가부시기가이샤 닛뽕쇼꾸바이 도전성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정제방법, 및 이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 비수전해액 및 대전방지제
CN105236380B (zh) * 2015-09-28 2017-07-18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高纯度二氟磷酸盐的制备方法
CN105460893B (zh) * 2016-01-04 2018-01-02 江苏九九久科技有限公司 六氟磷酸锂合成尾气处理方法及专用装置
CN106197527B (zh) * 2016-08-19 2019-03-08 高精科技(苏州)有限公司 装配产品检测系统
CN108147386B (zh) * 2017-12-25 2020-06-09 衢州北斗星化学新材料有限公司 一种动态结晶六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08946769A (zh) * 2018-07-20 2018-12-07 森田新能源材料(张家港)有限公司 六氟磷酸钠制备方法
CN109911852B (zh) * 2019-03-14 2023-08-04 青海聚之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制备六氟磷酸锂时废母液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WO2021115316A1 (zh) * 2019-12-10 2021-06-17 中化蓝天集团有限公司 一种LiPF6生产工艺和生产系统,及含LiPF6的混合物晶体、组合物、电解液、锂电池
KR102521086B1 (ko) * 2022-06-15 2023-04-12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디플루오로인산 리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56246C (de) * 1930-05-17 1932-08-05 Ig Farbenindustrie Ag Herstellung von wasserfreier Flusssaeure
US3455650A (en) * 1967-03-08 1969-07-15 Continental Oil Co Production of hydrogen fluoride
US3501268A (en) * 1967-05-18 1970-03-17 Ethyl Corp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hydrous hydrogen fluoride
US3607020A (en) * 1970-03-19 1971-09-21 Foote Mineral Co Preparation of lithium hexafluorophosphate
JPS61151024A (ja) * 1984-12-25 1986-07-09 Hashimoto Kasei Kogyo Kk 高純度フツ化リチウム錯塩の製造法
JPS6345108A (ja) * 1986-08-12 1988-02-26 Hashimoto Kasei Kogyo Kk 6−フツ化りん酸カリウムの製造方法
JP2987713B2 (ja) * 1990-11-09 1999-12-06 株式会社トーケムプロダクツ 高純度六フツ化リン酸化合物の製造方法
JPH05279003A (ja) * 1992-03-31 1993-10-26 Morita Kagaku Kogyo Kk 6フッ化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法
US5378445A (en) * 1993-12-23 1995-01-03 Fmc Corporation Preparation of lithium hexafluorophosphate solutions
DE19625448A1 (de) * 1996-06-26 1998-01-02 Solvay Fluor & Derivat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PF¶6¶
FR2768427B1 (fr) * 1997-06-06 1999-10-29 Atochem Elf Sa Procede de fabrication d'hexafluorophosphate de lithiu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2387A (zh) * 2022-03-24 2022-06-10 福建省龙德新能源有限公司 法LiF/无水HF混合生产装置的自动化控制方法
CN114701874A (zh) * 2022-04-11 2022-07-05 福建省龙德新能源有限公司 五氟化磷连续自动化生产装置的自动化控制方法
CN115924881A (zh) * 2022-12-30 2023-04-07 四川大学 以黄磷为原料生产六氟磷酸盐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825B1 (ko) 2001-05-02
CN1263047A (zh) 2000-08-16
CN1108985C (zh) 2003-05-21
JP2000211907A (ja) 2000-08-02
DE19963399A1 (de) 2000-07-13
US6387340B1 (en) 2002-05-14
JP3456934B2 (ja) 200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825B1 (ko)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KR101628417B1 (ko) 5불화인 및 6불화인산염의 제조 방법
CN105731399B (zh) 一种双氟磺酰亚胺锂的制备方法
KR101519683B1 (ko) 5불화인 및 6불화인산염의 제조방법
US9059480B2 (en) Process for production hexafluorophosphates
CA2621794C (en) High purity lithium polyhalogenated boron cluster salts useful in lithium batteries
KR101603376B1 (ko) 4불화붕산염의 제조 방법
EP1630895A2 (en) High purity lithium polyhalogenated boron cluster salts useful in lithium batteries
CN111646453B (zh)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和纯化工艺
CN101570328B (zh) 一种制备六氟磷酸锂的方法
CN101570326A (zh) 六氟磷酸锂的制备方法
WO2012023534A1 (ja) ヘキサフルオロリン酸リチウム濃縮液の製造方法
CN113912028B (zh) 一种双氟磺酰亚胺的纯化方法
JP2014001136A (ja)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CN106430257A (zh) 一种多孔高活性氟化锂的制备方法及双(氟磺酰)亚胺锂的制备方法
KR100288826B1 (ko) 사불화붕산리튬의 제조방법
JP2013237612A (ja) 五フッ化リン及び六フッ化リン酸塩の製造方法
CN113816352B (zh) 一种废旧磷酸铁锂正极材料锂铁磷全回收方法
CN114621289A (zh) 一种环状磷酸酯的制备工艺及其应用
JP2011258371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DE10027211A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Lithiumhexafluorphosphat
KR101395860B1 (ko) 육불화인산리튬의 제조방법
CN116365033A (zh) 低水高纯电解质亚胺锂盐的制备方法
CN115215316A (zh)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CN116282085A (zh) 一种六氟磷酸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