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59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591A
KR20000035591A KR1019990051576A KR19990051576A KR20000035591A KR 20000035591 A KR20000035591 A KR 20000035591A KR 1019990051576 A KR1019990051576 A KR 1019990051576A KR 19990051576 A KR19990051576 A KR 19990051576A KR 20000035591 A KR20000035591 A KR 20000035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decorative frame
engagement
air conditioner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군지
아키마사 시라이
마사미쯔 사하라
Original Assignee
야기 추구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기 추구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filed Critical 야기 추구오
Publication of KR2000003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5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16Roof and ceiling located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볼트를 통해 천장슬래브에 연결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면측에 장착되는 패널베이스를 포함하는 천장매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장착위치 변경수단을 통해 장식틀을 패널베이스의 측벽의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케이스본체를 설치하는 천장 내부의 높이공간이 좁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부분이 천장면에서 돌출되는 경우에도, 전면패널을 보기 좋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구성요소의 대부분이 천장 내부의 공간내에 수납된 모서리 절취부, 전면패널만이 천장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내부의 높이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전면패널을 보기 좋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천장매입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기와, 실외공기로 방열 또는 실외공기로부터 흡열하는 실외기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는 벽에 설치되거나, 바닥면 상에 설치되지만, 특히 빌딩이나 점포 등에 있어서는 바닥면이나 벽면을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 실내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외관이 중요시된다. 따라서, 천장매입형으로서 천장 내부의 공간내에 실내기를 설치하도록 하고, 그 일례를 도 30의 사시도 및 도 31의 설치상태의 단면도를 통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를 가리킨다.
공기조화기(실내기)(1)는, 실내측의 하면이 개방된 박스체 케이스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본체(2)내의 중앙부분에는, 원심팬(21) 및 그 구동모터(22)가, 회전축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심팬(21)의 주위에는 열교환기(23)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23)의 하방에는 결로수를 담는 드레인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본체(2)의 하면측의 중앙에는, 원심팬(21)의 흡기구를 형성하는 벨마우스(25)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본체(2)의 하면측의 주변부에는, 열교환기(23)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본체(2)의 하면측에는, 전면패널(장식패널이라고도 한다)(3)이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전면패널(3)은, 중앙에 벨마우스(25)와 연통하는 공기흡입구(31)를 구비하며, 공기흡입구(31)내에는 흡입그릴(32)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흡입그릴(32)의 내측에는 필터(33)가 배치되어 있고, 전면패널(3)의 주변부에는, 케이스본체(2)측의 송풍구(26)와 연통하는 공기토출구(34)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기토출구(34)내에는 풍향판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에 전면패널(3)을 장착한 상태에서, 연결볼트(4)를 이용하여 케이스본체(2)를 천장슬래브(5)에 매달고, 전면패널(3)이 천장판(6)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연결볼트(4)로 케이스본체(2)의 높이를 조정하였다. 천장판(6)은 케이스본체(2)의 높이를 조정한 후에 도시되지 않은 지지골격을 따라 설치되었다.
그런데, 각 건물에 있어 천장 내부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다. 그 때문에,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볼트(4)를 이용하여 케이스본체(2)를 매달도록 하고 있지만, 연결볼트(4)에 의한 조정은, 천장 내부의 높이가 케이스본체(2)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실내환경을 좋게 하기 위해 최근에는 천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천장 내부의 높이가 낮아지고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공기조화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열교환기 등이 대형화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본체(2)의 높이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연결볼트(4)로 끝까지 조정했다 하더라도, 케이스본체(2)를 천장 내부로 완전히 수용할 수 없고, 그 하방의 일부분이 천장면에서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면패널(3)과 천장판(6)과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므로, 보기가 좋지 않고 제품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쩔 수 없이 기종변경을 하게 되므로, 막대한 손해를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과제가 해결되며,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본체를 설치하는 천장 내부의 높이가 좁아,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부분이 천장면에서 돌출되는 경우에도, 전면패널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천장에 설치된 제 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부분단면도,
도 3은 제 1실시예의 케이스본체 및 패널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의 케이스본체, 흡입그릴 및 장식틀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패널베이스에 장식틀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패널베이스에 장식틀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요부확대사시도,
도 9는 제 1실시예의 장식틀의 흔들림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 1실시예의 풍향판구동부의 설치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제 1실시예의 공기토출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본체, 흡입그릴 및 장식틀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제 2실시예의 흡입그릴 및 장식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상기 제 2실시예에 있어서, 패널베이스의 모서리 절취부와 코너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모서리 절취부와 코너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도 14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7은 상기 모서리 절취부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패널베이스와 장식틀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제 3실시예의 제 1 및 제 2계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20은 제 3실시예의 패널베이스와 장식틀을 각각 병설한 평면도,
도 21은 제 3실시예의 제 3계합수단을 구성하는 틀유지부재의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패널베이스와 장식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23은 상기 제 1계합수단의 계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상기 제 1계합수단이 계합할 때 상기 제 3계합수단의 계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도 20의 상태에서 상기 장식틀을 90。회전시켜서 패널베이스와 병설한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패널베이스와 장식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27은 상기 제 2계합수단의 계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8은 상기 제 2계합수단이 계합할 때 상기 제 3계합수단의 계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공통되는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0은 종래의 천장매입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31은 천장 내부에 설치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기조화기 110 : 케이스본체
116 : 송풍구 130 : 패널베이스
136 : 측벽 150 : 흡입그릴
170 : 장식틀 191 : 훅
195, 197 : 홈 210 : 모서리 절취부
230 : 코너부재 212, 234, 235, 236, 172 : 나사삽통공
310 : 제 1계합수단 320 : 제 2계합수단
311, 331 : 돌기 313, 333 : 계합편
335 : 문형프레임 314, 334 : 감합공
355, 356 : 계지공 351 : 틀유지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내측의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박스체로 되어 있으며, 연결볼트에 의해 높이조정가능하게 천장 내부에서 지지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면측에 장착되는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된 패널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는 원심팬 및 그 구동용 모터와 상기 원심팬의 주위에 배치된 열교환기가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면측에는 상기 원심팬의 흡기구를 형성하는 벨마우스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송풍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풍향판과, 상기 벨마우스의 흡기구와 연통하는 흡입그릴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장착위치 변경수단을 통해 장식틀이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의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패널은 흡입그릴과 장식틀의 두 가지 부재로 이루어지며 흡입그릴은 패널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지만, 장식틀은 패널베이스에 대하여 높이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의 크기에 대하여 천장 내부가 높은 경우에는, 장식틀을 실질적으로 흡입그릴의 연장면 상에 높이 위치하는 높이 위치(정상위치)에 조합함으로써, 흡입그릴과 장식틀이 외관상 하나로 인식된다.
이에 반하여, 천장 내부의 높이가 낮아서 케이스 본체를 완전히 수용할 수 없어 흡입그릴과 천장판과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장식틀을 상기 정상위치 보다도 높은 조정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천장판과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외관이 보기 좋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는, 장식틀을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설정하기 위한 몇 가지 특징적인 장착위치변경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그 하나로서, 상기 장식틀의 서로 대향하는 소정의 두 변에 설치되는 훅과, 상기 패널베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측에 있어서 상기 훅과 계합하도록 형성된 깊이가 얕은 제 1홈과, 상기 패널베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타방의 두 변측에 있어서 상기 훅과 계합하도록 형성된 깊이가 깊은 제 2홈을 구비한 제 1장착위치변경수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훅을 상기 제 1홈 또는 상기 제 2홈의 어딘가에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패널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장식틀을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 1장착위치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훅은, 상기 각 홈에 대하여 상방에서 계합하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홈 및 상기 제 2홈의 하방에는, 상기 훅의 양측 변에 당접하는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훅의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브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훅을 부드럽게 상기 각 홈에 계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제 2장착위치변경수단에 따르면, 상기 패널베이스의 각 코너에는 모서리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서리 절취부의 형상을 보완하면서 상기 모서리 절취부에 고정되는 코너부재가 이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식틀이 상기 코너부재를 통해 상기 패널베이스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제 2장착위치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직각형상으로 절곡된 좌우의 측판을 가지고, 상기 코너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패널베이스의 코너에 대하여 나사결합되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측판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이한 높이 위치에 나사삽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장식틀이 그 어딘가의 나사삽통공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코너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너부재의 측면과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면을 동일면으로 맞추기 위해, 상기 코너부재의 각 측판의 단부에, 상기 모서리 절취부의 내면에 계합하는 L자 형상의 단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제 3장착위치 변경수단은, 상기 패널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장식틀을 실내측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감입하였을 때, 소정 위치에서 계합하는 제 1계합수단과, 상기 제 1계합수단의 계합위치보다 높은 높이 위치에서 계합하는 제 2계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3장착위치변경수단의 바람직한 모습에 따르면, 상기 패널베이스에 상기 장식틀을 감입하는 데 있어서, 상기 장식틀을 수평면내에서 90。 회전시킴으로써, 어느 일방의 상기 계합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3장착위치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계합수단이,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측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감합하는 감합공을 가지며, 상기 장식틀의 내벽측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계합편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장착위치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와 상기 장식틀과의 사이에는, 각 변마다 좌우양측의 두 개소에 제 1계합수단과 제 2계합수단이 인접한 상태에서 그 변의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설치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과 타방의 두 변에서는, 제 1계합수단과 제 2계합수단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장식틀을 수평면내에서 90。 회전시킴으로써, 어느 일방의 상기 계합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3장착위치변경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계합수단의 돌기는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하여, 상기 제 2계합수단의 돌기는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문형프레임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계합수단의 계합편은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계합수단의 계합편은 상기 문형프레임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3장착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계합수단과 동시에 상기 장식틀의 중앙부분을 유지하는 제 3계합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3계합수단은, 상기 패널베이스의 각 측벽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동일 높이 위치에 병설된 두 개의 계지조와, 상기 장식틀의 각 내벽의 중앙부분에서 상이한 높이 위치에 병설된 두 개의 계지공을 가지며, 상기 제 1계합수단이 선택되면, 높은 위치에 있는 상기 일방의 계지공이 상기 일방의 계지조에 감입되고, 상기 제 2계합수단이 선택되면, 낮은 위치에 있는 상기 타방의 계지공이 상기 타방의 계지조에 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장식틀의 각 내벽의 중앙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틀을 상기 패널베이스에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몇 가지의 바람직한 모습이 포함되어 있다. 먼저,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풍향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구동부를 보호커버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관리시에 흡입그릴을 분리했을 때에, 작업자가 구동부를 부주의하게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향판의 중간부가 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베이스에 풍향판의 배면측 중앙부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수를 설치해도 좋다.
송풍구는 단열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송풍구에 연통하는 공기토출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공기토출개구의 측벽과의 사이에, 송풍구를 형성하고 있는 단열재의 하단을 긴밀히 들어가게 함으로써, 공기토출부분의 단열성을 향상시켜서, 냉기누설에 의한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토출개구의 측벽을 패널베이스의 측벽하단측을 향하여 만곡하는 곡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송풍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베이스 및 흡입그릴(전면패널)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지만, 천장매입형의 경우, 흡입그릴은 다소 대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널베이스에, 송풍구에 대응하는 제 1개구부 및 벨마우스의 흡기구에 대응하는 제 2개구부를 갖는 전면패널을 일체성형하여 강성이 높은 전면패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흡입그릴은 제 2개구부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전면패널과는 별개로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2는 천장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기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작성의 편의상, 그 우측 반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좌측부분은 우측부분과 좌우대칭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공기조화기(100)는, 연결볼트(4)에 의해 천장슬래브(5)에 매달린 케이스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본체(110)는 실내측의 하면이 개방된 금속제의 박스체로 되어 있으며, 그 내벽에는 단열재(113)가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10)의 내부중앙에는, 원심팬(111) 및 그 구동모터(112)가 회전축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10)에는, 열교환기(114)가 원심팬(11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114)의 하방에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드레인판(115)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판(115)은 예를 들면 발포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드레인판(115)에는 열교환기(114)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1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116)는 직사각형의 개구로써, 케이스본체(110)의 각 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10)의 하면측의 중앙부분에는, 원심팬(111)의 흡기구를 갖는 벨마우스(117)가 원심팬(111)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0)의 하면에는, 사각틀형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패널베이스(130)가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패널베이스(130)에는 풍향판(131)이 장착된다. 이 경우, 풍향판(131)은 네 개이며, 각각이 케이스본체(110)의 각 송풍구(116)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패널베이스(130)에는 각 풍향판(131)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수가 설치되어 있다. 각 풍향판(131)은,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조인트(13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조인트(132)로는 만능 조인트나 유연성 축 등이 이용된다.
각 조인트(132)는 패널베이스(130)의 네 각에 배치되며 그 중 하나의 조인트(132)에 풍향판구동부(133)가 연결된다. 풍향판구동부(13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4)와, 모터(134)의 회전운동을 왕복회전으로 변환하여 조인트(132)에 전달하는 연동변환기구(135)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각 풍향판(131)이 소정 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된다.
케이스본체(110)에 패널베이스(130)가 장착된 후에는, 도 4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에 대하여, 흡입그릴(150)이 그 틀 내부를 덮도록 장착된다. 또한, 패널베이스(130)의 외측에 장식틀(170)이 감입된다. 흡입그릴(150)과 장식틀(170)은 모두 전면패널의 요소이며, 이들에 의해 전면패널이 형성된다.
즉, 공기조화기(100)에 있어서, 전면패널은 흡입그릴(150)과 장식틀(170)의 두 부재로 이루어진다. 흡입그릴(150)은, 하나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에는 케이스본체(110)측의 벨마우스(117)내로 연통하는 다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공기흡입구(1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그릴(150)의 네 변에는, 케이스본체(110)측의 송풍구(116)와 연통하는 공기토출구(15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식틀(170)은 천장 내부의 높이에 따라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설정가능하며, 이를 위한 장착위치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장착위치 변경수단(190)은 장식틀(170)측에 장착된 훅(191)과, 패널베이스(130)측에 형성된 깊이가 상이한 두 종류의 홈(195, 197)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훅(191)은, 개구단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 역U자형으로 장식틀(170)의 내벽(171)측에 장착된다(도 9참조). 장식틀(170)은 네 개의 변을 갖고 있지만, 훅(191)이 장착되는 곳은 그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이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그 하나의 변에 대하여 두 개의 훅(191, 191)이 좌우양측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홈(195, 197)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에 형성된다. 측벽(136)은 케이스본체(110)의 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8의 깊이가 깊은 제 1홈(195)은 패널베이스(130)의 네 변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에 배치되며, 도 7의 깊이가 얕은 제 2홈(197)은 서로 대향하는 타방의 두 변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틀(170)에는 하나의 변에 두 개의 훅(191, 191)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 1홈(195) 및 제 2홈(197)은 설치될 변의 좌우양측의 두 개소에 형성된다.
따라서, 장식틀(170)을 수평면내에서 90。회전시켜서, 도 5와 같이 케이스본체(110)의 상방부터 삽입하고, 훅(191)을 깊이가 깊은 제 1홈(195)이나 깊이가 얕은 제 2홈(197)에 계합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틀(170)을 하방의 A위치 또는 상방의 B위치 어디라도 설정할 수 있다.
A위치는 흡입그릴(150)의 면과 거의 같은 위치이다. 천장 내부의 높이가 케이스본체(110)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넓이인 경우에, 장식틀(170)은 A위치에 설정된다. 이 때, 외관상 장식틀(170)은 흡입그릴(150)과 일체로 보인다.
B위치는 A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다. 천장 내부의 높이가 낮고, 케이스본체(110)의 하방의 일부분이 천장면에서 돌출되는 경우에, 장식틀(170)은 천장판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B위치에 설정된다.
실제의 설치 작업에서는, 천장 내부의 높이를 측정하고, 그에 맞게 장식틀(170)을 A 혹은 B위치에 설정한 뒤에, 케이스본체(110)를 연결볼트(4)로 천장슬래브(5)에 매달고, 그 후, 연결볼트(4)를 미세조정하여 장식틀(170)이 천장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수평면내에서 장식틀(17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의 이면측에 리브(137)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37)는, 훅(191)의 양측 변에 당접할 수 있도록 각 홈(195, 197)의 바닥의 하면에 쌍으로 배치된다.
각 리브(137)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훅(191)을 리브(137, 137) 사이에 원활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양측변이 리브(137, 137)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수평면내에서 장식틀(17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앞서 설명한 풍향판구동부(133)는, 일반적으로 흡입그릴(150)에 의해 덮여 있지만, 필터를 교환하거나 세정하기 위해 흡입그릴(150)을 분리한 때에는 노출상태가 되므로, 서비스맨 등이 부주의하게 만지거나 톱니바퀴 등의 맞물림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판구동부(133)를 보호커버(141)로 덮도록 하고 있다. 보호커버(141)는, 패널베이스(130)와는 별개로 형성되며, 계합편 등의 공지된 계합수단으로 패널베이스(13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에는 케이스본체(110)의 송풍구(116)와 연통하는 공기토출개구(13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구측벽(139)을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의 하단에서 케이스본체(110)의 송풍구(116)내로 들어가도록 형성하여, 측벽(136)과 개구측벽(139)과의 사이에 거의 V자 형상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내에, 송풍구(116)를 형성하고 있는 발포합성수지(단열재)의 하단을 긴밀히 삽입함으로써, 공기토출부분의 단열성이 향상되며, 이로써 냉매누설에 따른 결로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구측벽(139)을 패널베이스(130)의 측벽하단측을 향하여 만곡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송풍저항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판(131)에는 양면에는 물론, 그 배면측의 중앙부에도 회전축(131a)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개구측벽(139)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31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수판(142)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풍향판(131)의 중간부가 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지지구조는, 특히 풍향판(131)이 긴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패널베이스(130)측 및 장식틀(170)측에 있어서, 소정의 변에 대하여, 훅(191)과 홈(195, 197)을 각각 두 개씩 설치하고 있지만, 그들을 각각 하나로 하여 변 중앙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제 2실시예와 상기 제 1실시예의 상이한 점은 패널베이스에 대한 장식틀의 장착위치 변경수단이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케이스본체(110) 및 흡입그릴(150)에 대해서는, 상기 제 2실시예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상기 제 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인데 앞에서 설명한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의 패널베이스(130)와 장식틀(170)을 나타낸 사시도이지만, 그 높이 위치 관계는 도 12에 대하여 상하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13에 서, 패널베이스(130)는, 그 골격만이 크게 모식적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패널베이스(130)에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풍향판(131) 및 그 구동부(133) 등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제 2실시예의 장착위치 변경수단에 의하면, 패널베이스(130)의 각 코너에는 모서리 절취부(210)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장식틀(17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모서리 절취부(210)에 장착되는 네 개의 코너부재(230)가 이용된다. 모서리 절취부는 직각의 코너(각부)를 예를 들어 45。의 경사면으로 자른 부분을 말한다.
코너부재(230)는, 모서리 절취부(210)를 보완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모서리 절취부(210)는, 코너부재(230)가 장착됨에 따라 원래의 직각인 각부로 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재(230)는, 직각형상으로 절곡된 좌우의 측판(231, 23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측판(231, 231)에 의해, 패널베이스(130)의 각 코너가 직각으로 된다(도 15 참조).
코너부재(230)를 모서리 절취부(210)에 장착함에 있어서, 코너부재(230)의 측면과 패널베이스(130)의 측면을 동일면에 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을 모서리 절취부(210)내로 소정 길이 돌설함과 동시에, 코너부재(230)의 각 측판(231)의 단부에, 측벽(136)의 내면에 계합하는 L자 형상의 단부(232)를 각각 형성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232)를 측벽(136)의 단부에 계합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코너부재(230)는 다음과 같이 패널베이스(130)의 모서리 절취부(210)에 고정된다. 도 1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재(230)는, 그 좌우의 측판(231, 231)에 좁아진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장착판(233)을 가지며, 장착판(233)에는 나사삽통공(234)이 소정의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패널베이스(130)의 모서리 절취부(210)측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33)과 같이 수평으로 연재하는 고정판(21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211)에는, 코너부재(230)가 모서리 절취부(210)의 적정장착위치에 설정되면, 장착판(233)측의 나사삽통공(234)과 동축으로 위치맞춤되는 나사삽통공(21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판(233)을 고정판(211) 상의 적정위치에 배치한 다음, 나사삽통공(234, 212)에 나사를 삽통하여 장착판(233)을 고정판(211)에 고정시키며, 이로써 패널베이스(130)의 모서리 절취부(210)에 코너부재(230)가 고정되게 된다.
코너부재(230)의 측판(231)에는, 높이가 상이한 두 군데에 나사삽통공(235, 236)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장식틀(170)의 내벽(171)에는 적어도 소정 위치의 한 개소에 나사삽통공(17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내벽(171)에는, 나사삽통공(235, 236)과 같은 간격을 갖고서 두 개의 나사삽통공(17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장식틀(170)의 나사삽통공(172, 172)을 모두 코너부재(230)의 나사삽통공(235, 236)에 맞추어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장식틀(170)이 예를 들어 도 2의 A위치에 설정된다.
반대로, 장식틀(170)을 상방으로 올려서 하방의 나사삽통공(172)을 코너부재(230)측의 상방에 있는 나사삽통공(236)에 맞추어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장식틀(170)이 도 2의 B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이들 나사삽통공의 고정방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장식틀(170)의 상방의 나사삽통공(172)을, 코너부재(230)의 하방의 나사삽통공(235)에 맞추어 고정시킴으로써, 장식틀(170)이 도 2의 A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베이스(130)에 대하여 장식틀(170)을 하방(실내측)에서 감입하여,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실시예에 있어서도, 케이스본체(110) 및 흡입그릴(150)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상기 제 3실시예의 패널베이스(130)와 장식틀(170)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 3실시예는, 패널베이스(130)에 대하여 장식틀(170)을 실내측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감입했을 때에, 낮은 위치(도 2의 A위치)에서 계합하는 제 1계합수단(310)과, 그것보다도 높은 위치(도 2의 B위치)에서 계합하는 제 2계합수단(330)을 구비하고 있다.
패널베이스(130)에 장식틀(170)을 감입하는 데 있어서, 장식틀(107)을 수평면내에서 90。회전시킴으로써, 제 1계합수단(310) 또는 제 2계합수단(330)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각 계합수단(310, 330)은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측에 형성된 돌기와, 장식틀(170)의 내벽(171)측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계합편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패널베이스(130) 및 장식틀(170)의 네 개의 각 변마다 설치되어 위치적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 1계합수단(310)은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측에 형성된 돌기(311)와, 장식틀(170)의 내벽(171)측에 형성된 계합편(313)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2계합수단(330)은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측에 형성된 돌기(331)와, 장식틀(170)의 내벽(171)측에 형성된 계합편(333)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 1계합수단(310)측의 돌기(311)는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에 바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 2계합수단(330)측의 돌기(331)는 돌기(311) 위에서 사선으로 위치하면서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에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즉,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은 돌기(331)가 배치될 위치에 문형프레임(335)을 가지며, 돌기(331)는 문형프레임(335)의 내면, 즉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하방의 실내측에서 보면, 돌기(331)는 돌기(311)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더구나 상하방향에서 돌기(31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계합수단(310)측의 계합편(313) 및 제 2계합수단(330)측의 계합편(333)에는, 각각 대향하는 돌기(311, 331)에 감합하는 감합공(314, 33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계합편(313)과 계합편(333)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장식틀(170)의 내벽(171)측에서 보면, 일방의 계합편(313)은 타방의 계합편(333) 보다도 바깥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패널베이스(130)에 장식틀(170)을 감입했을 때에, 제 1계합수단(310)측의 계합편(313)은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에 접촉한다. 이에 반해, 제 2계합수단(330)측의 계합편(333)은 문형프레임(335)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어, 계합편(333)과 측벽(136)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한다.
패널베이스(130) 및 장식틀(170)의 각 평면이 도시되어 있는 도 20을 아울러 참조하면, 계합수단(310, 330)이 각 변마다 그 좌우 양측의 두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패널베이스(130)에 대하여 말하면, 각 변마다 그 일방의 측부에 돌기(311)와 돌기(331)가 인접하여 배치되면서 타방의 측부에도 돌기(311)와 돌기(331)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일방의 돌기(311)와 타방의 돌기(311) 사이의 거리와, 일방 돌기(331)와 타방 돌기(33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지만, 돌기(311, 311) 및 돌기(331, 331)는 패널베이스(130)의 중심선 C-C에 대하여 각각 비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311)와 돌기(331)의 배치순서에 대해서는,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136a, 136b)과, 서로 대향하는 타방의 두 변(136c, 136d)에서 서로 다른 배치순서로 되어 있다. 또한, 변(136a)과 변(136b) 상의 돌기의 배치순서는, 패널베이스(130)의 중심점(0)에 대하여 대칭이고 마찬가지로 변(136c)과 변(136d) 상의 돌기의 배치순서도 중심점(0)에 대하여 대칭의 관계에 있다.
여기서, 변(136a) 상의 돌기의 배치순서와 변(136c) 상의 돌기의 배치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있어서, 돌기의 배치순서를 반시계방향으로 보면, 변(136a)에 있어서는 311→331→311→331로 되어 있는 데 반하여, 변(136c)에 있어서는 331→311→331→311로 되어 있다.
또한, 변(136a, 136b)에서는 각 돌기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중심선 C-C에 대하여 시계방향측으로 편향되어 있는 데 반하여, 변(136c, 136d)에서는 각 돌기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중심선 C-C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장식틀(170)측에 있어서도, 각 변마다 그 일방의 측부에 제 1계합수단(310)측의 계합편(313)과 제 2계합수단(330)측의 계합편(333)이 인접하여 배치되면서 타방의 측부에도 마찬가지로 계합편(313)과 계합편(333)이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일방의 계합편(313)과 타방의 계합편(313)과의 사이의 거리와, 일방 계합편(333)과 타방 계합편(333)과의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지만, 계합편(313, 313) 및 계합편(333, 333)은 장식틀(170)의 중심선 C-C에 대하여 각각 비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심선 C-C는 패널베이스(130)와 공통이다.
계합편(313)과 계합편(333)의 배치순서에 대해서는,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171a, 171b)과, 서로 대향하는 타방의 두 변(171c, 171d)이 서로 다른 배치순서로 되어 있다. 변(171a)과 변(171b) 상의 계합편의 배치순서는, 장식틀(170)의 중심점(0)에 대하여 대칭이고, 마찬가지로, 변(171c)과 변(171d)의 계합편의 배치순서도 중심점(0)에 대하여 대칭의 관계에 있다.
여기서, 변(171a)과 변(171c)의 계합편의 배치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있어서, 계합편의 배치순서를 반시계방향으로 보면, 변(171a)에 있어서는 313→333→313→333으로 되어 있는 데 반하여, 변(171c)에 있어서는 333→313→333→313으로 되어 있다.
패널베이스(130)측과 마찬가지로, 변(171a, 171b)에서는 각 계합편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중심선 C-C에 대하여 시계방향측으로 편향되어 있는 데 반하여, 변(171c, 171d)에서는 각 계합편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중심선 C-C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상기 제 3실시예서는, 제 1 및 제 2계합수단(310, 330) 외에, 장식틀(170)의 중앙부분을 유지하는 제 3계합수단(35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 3계합수단(350)은 패널베이스(130)의 각 변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는 네 개의 틀유지부재(351)와, 장식틀(170)의 각 변의 중앙부 네 개소의 각각에 형성된 두 개의 계지공(355, 356)으로 구성되어 있다.
틀유지부재(351)는,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의 측벽(136)의 상연부에서 나사결합되는 기부(352)를 가지며, 기부(352)에는 두 개의 계지조(353, 354)가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계지조(353, 354)는 제 1계합수단(310)의 돌기(311)와 동일한 위치에 있으며, 그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병설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의 제 1계지조(353)는 패널베이스(130)의 중심선 C-C 상에 배치되며, 타방의 제 2계지조(354)는 중심선 C-C에서 떨어져 있다. 즉, 중심점(0)에서 보면, 제 2계지조(354)는 변(136a, 136b)에서는 중심선C-C 보다도 좌측에 배치되고, 변(136c, 136d)에서는 중심선C-C 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식틀(170)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제 1계지공(355, 356) 중의 제 1계지공(355)은 중심선 C-C 상에 배치된다. 타방의 제 2계지공(356)은, 제 1계지공(355)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중심선 C-C에서 떨어져 있다. 제 2계지공(356)은, 제 2계지조(354)와 마찬가지로 중심점(0)에서 보면, 변(171a, 171b)에서는 중심선 C-C 보다도 좌측에 배치되고, 변(171c, 171d)에서는 중심선C-C 보다도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136a)과 변(171a), 변(136b)과 변(171b), 변(136c)과 변(171c) 및 변(136d)과 변(171d)을 각각 맞춘 상태에서, 패널베이스(130)에 장식틀(170)을 하방에서 감입하면, 장식틀(170)은 도 2의 A높이 높이 위치에 조립된다.
이 때의 변(136c)과 변(171c)의 대응관계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계합수단(310)측의 돌기(311)와 계합편(313), 제 2계합수단(330)측의 돌기(331)와 계합편(333), 또한 제 3계합수단(350)의 제 1계지조(353)와 제 1계지공(355)이 각각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 장식틀(170)을 밀어 올리면, 제 2계합수단(330)측의 돌기(331)와 계합편(333) 보다도 먼저 제 1계합수단(310)측의 돌기(311)와 계합편(313)이 계합한다(도 23 참조). 또한, 제 3계합수단(350)에 대해서도, 하측의 제 1계지공(355) 보다도 먼저 상측의 제 2계지공(356)이 제 2계지조(354)에 감입된다(도 24 참조). 이렇게 하여, 장식틀(170)이 도 2의 A위치에 조립된다.
한편, 도 20의 상태에서 패널베이스(130)에 대하여 장식틀(170)을, 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측으로 90。회전시켜서 도 25의 상태로 하면,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변(136c)과 변(171a)의 대응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제 2계합수단(330)측의 돌기(331)와 계합편(333)이 대응하지만, 제 1계합수단(310)측의 계합편(313)은 계합 상대가 없어진다. 또한, 제 3계합수단(350)에 있어서도, 제 1계지조(353)와 제 1계지공(355)이 대응하지만, 제 2계지공(356)의 계지 상대가 없어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장식틀(170)을 밀어 올리면, 도 2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계합수단(330)측의 돌기(331)와 계합편(333)이 계합함과 동시에, 도 2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계합수단(350)의 제 1계지조(353)에 제 1계지공(355)이 감입되고, 이에 따라 장식틀(170)이 도 2의 B위치에 조립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패널베이스(130)의 개구부를 하나의 흡입그릴(150)로 덮도록 하여, 흡입그릴(150)이 전면패널로도 이용된다. 그러나, 천장매입형의 경우, 흡입그릴(150)은 매우 대형이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울 뿐 아니라, 휘거나 변형이 발생되기 쉽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와 전면패널(145)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전면패널(145)은 케이스본체(110)의 송풍구(116)에 대응하는 제 1개구부(143) 및 벨마우스(117)의 흡입구에 대응하는 제 2개구부(144)를 갖는다.
이와 같이, 패널베이스(130)에 전면패널(145)을 몰드수지로 일체성형함으로써, 강성이 높은 전면패널 겸용의 패널베이스가 생긴다. 이 경우에 있어서, 흡입그릴(150a)은 제 2개구부(144)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전면패널과는 따로 성형된다. 또한 패널베이스(130)를 이처럼 변형하더라도, 장식틀(170)을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설정하는 데 아무런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위치 변경수단을 통해 장식틀을 패널베이스 측벽 상의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케이스본체를 설치하는 천장 내부의 높이가 좁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부분이 천장면에서 돌출되는 경우에도, 전면패널을 보기 좋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변형 등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실내측의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박스체로 되어 있으며, 연결볼트에 의해 높이조정가능하게 천장 내부에 지지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면측에 장착되는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된 패널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는 원심팬 및 그 구동용 모터와 상기 원심팬의 주위에 배치된 열교환기가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면측에는 상기 원심팬의 흡기구를 형성하는 벨마우스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송풍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풍향판과, 상기 벨마우스의 흡기구에 연통하는 흡입그릴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페널베이스의 측벽에는, 장식틀이 장착위치 변경수단을 통해 상이한 높이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위치 변경수단은, 상기 장식틀의 서로 대향하는 소정의 두 변에 설치되는 훅과, 상기 패널베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측에 있어서 상기 훅과 계합하도록 형성된 깊이가 얕은 제 1홈과, 상기 패널베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타방의 두 변측에 있어서 상기 훅과 계합하도록 형성된 깊이가 깊은 제 2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훅을 상기 제 1홈 또는 상기 제 2홈의 어딘가에 계합시킴으로써, 상기 패널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장식틀이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상기 각 홈에 대하여 상방에서 계합하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홈 및 상기 제 2홈의 하방에는, 상기 훅의 양측 변에 당접하여 상기 훅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의 각 코너에는 모서리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위치 변경수단이, 상기 모서리 절취부의 형상을 보완하면서 상기 모서리 절취부에 고정되는 코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장식틀이, 상기 코너부재를 통해 상기 패널베이스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직각형상으로 절곡된 좌우의 측판을 가지며, 상기 코너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패널베이스의 코너에 대하여 나사결합되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측판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이한 높이 위치에 나사삽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틀이 그 어딘가의 나사삽통공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의 측면과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면을 동일면으로 맞추기 위해, 상기 코너부재의 각 측판의 단부에는, 상기 모서리 절취부의 내면에 계합하는 L자 형상의 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위치 변경수단이, 상기 패널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장식틀을 실내측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감입했을 때에, 소정 위치에서 계합하는 제 1계합수단과, 상기 제 1계합수단의 계합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계합하는 제 2계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에 상기 장식틀을 감입하는 데 있어서, 상기 장식틀을 수평면내에서 90。 회전시킴으로써, 어느 일방의 상기 계합수단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계합수단이,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측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감합하는 감합공을 가지며, 상기 장식틀의 내벽측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계합편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9항, 제 10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와 상기 장식틀과의 사이에는, 각 변마다 좌우양측의 두 개소에 제 1계합수단과 제 2계합수단이 인접한 상태에서 그 변의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설치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일방의 두 변과 타방의 두 변에서는, 제 1계합수단과 제 2계합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및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계합수단의 돌기는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반하여, 상기 제 2계합수단의 돌기는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문형프레임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계합수단의 계합편은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계합수단의 계합편은 상기 문형프레임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제 12항 및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위치 변경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계합수단과 동시에 상기 장식틀의 중앙부분을 유지하는 제 3계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3계합수단은, 상기 패널베이스의 각 측벽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병설된 두 개의 계지조와, 상기 장식틀의 각 내벽의 중앙부분에서 상이한 높이 위치에 병설된 두 개의 계지공을 가지며, 상기 제 1계합수단이 선택되면 높은 위치에 있는 상기 일방의 계지공이 상기 일방의 계지조에 감입되고, 상기 제 2계합수단이 선택되면 낮은 위치에 있는 상기 타방의 계지공이 상기 타방의 계지조에 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항, 제 2항,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틀의 상이한 높이 위치가, 실질적으로 상기 흡입그릴의 연장면 상에 위치하는 하방위치와, 실내측에서 보면 그것보다도 상방에 설정되는 상방위치의 두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항, 제 2항,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풍향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가 보호커버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항, 제 2항,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풍향판의 배면측 중앙부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 1항, 제 2항,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단열재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송풍구에 연통하는 공기토출개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과 이것과 대향하는 상기 공기토출개구의 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송풍구를 형성하고 있는 단열재의 하단이 긴밀히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항, 제 2항,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개구의 측벽이, 상기 패널베이스의 측벽하단측을 향하여 만곡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항, 제 2항, 제 6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베이스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베이스에는, 상기 송풍구에 대응하는 제 1개구부 및 상기 벨마우스의 흡기구에 대응하는 제 2개구부를 갖는 전면패널이 일체성형되며, 상기 제 1개구부내에 풍향판이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2개구부내에 상기 흡입그릴이 착탈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90051576A 1998-11-20 1999-11-19 공기조화기 KR20000035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43198 1998-11-20
JP10-330431 1999-03-05
JP5780899 1999-03-05
JP11-57808 1999-03-05
JP11-302339 1999-10-25
JP30233999A JP4462389B2 (ja) 1998-11-20 1999-10-25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591A true KR20000035591A (ko) 2000-06-26

Family

ID=2729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576A KR20000035591A (ko) 1998-11-20 1999-11-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393856B1 (ko)
EP (1) EP1003002B1 (ko)
JP (1) JP4462389B2 (ko)
KR (1) KR20000035591A (ko)
CN (1) CN1131970C (ko)
AR (1) AR021291A1 (ko)
AT (1) ATE317531T1 (ko)
AU (1) AU775469C (ko)
CA (1) CA2289896A1 (ko)
DE (1) DE69929760T2 (ko)
EG (1) EG22352A (ko)
ES (1) ES2258314T3 (ko)
ID (1) ID25772A (ko)
MY (1) MY122479A (ko)
NZ (1) NZ501107A (ko)
SG (1) SG83161A1 (ko)
TW (1) TW42679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399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279B2 (ja) * 1999-01-18 2002-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6598413B2 (en) * 1999-01-25 2003-07-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embedded-type air conditioner
TR199903058A3 (tr) * 1999-12-09 2001-07-23 Akdeniz Elek.Elektr.Bilgi Islem Hiz.Ith.Ihr. San.Dis Dokunmatik hafizali kredili elektronik su sayaci.
US6802361B2 (en) 2000-06-22 2004-10-12 Air Techno Company Limited Ceiling panel structure for a ceiling-mounted air-conditioning apparatus or the like
NL1023640C2 (nl) * 2003-06-11 2004-12-14 Ind En Handelmij Bergschenhoek Leidingstelsel en bij dit leidingstelsel te gebruiken vulstuk.
JP2006132893A (ja) *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込型エアコン
KR100606733B1 (ko) * 2004-11-23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292312A (ja) * 2005-04-13 2006-10-26 Daikin Ind Ltd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KR100782197B1 (ko) * 2006-08-03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1631958B (zh) * 2007-03-14 2012-04-04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器
KR101442109B1 (ko) 2008-01-22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21544B1 (ko) 2008-01-28 201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DE102009035711A1 (de) * 2009-07-31 2011-02-03 Kampmann Gmbh Klimatisierungsvorrichtung
DE112010003904T5 (de) 2009-10-02 2013-03-07 Imra America, Inc. Optische Signalverarbeitung mit modengekoppelten Lasern
US8844301B2 (en) * 2010-02-10 201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2840653B (zh) * 2011-06-23 2015-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装饰条固定结构
JP5440639B2 (ja) * 2012-03-26 2014-03-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157339B2 (ja) * 2013-12-13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6270645B2 (ja) * 2013-12-26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機器取付装置及び室内機
JP6134855B2 (ja) 2014-02-18 2017-05-2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1541102S (ko) * 2014-06-06 2017-12-18
USD759222S1 (en) * 2014-09-23 2016-06-14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USD759223S1 (en) * 2014-09-23 2016-06-14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1536295S (ko) * 2015-01-29 2015-10-26
JP1536294S (ko) * 2015-01-29 2015-10-26
JP1535863S (ko) * 2015-01-29 2015-10-26
JP1535861S (ko) * 2015-01-29 2015-10-26
JP1536293S (ko) * 2015-01-29 2015-10-26
JP1535862S (ko) * 2015-01-29 2015-10-26
JP6504349B2 (ja) * 2015-03-31 2019-04-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10288302B2 (en) * 2015-03-31 2019-05-14 Fujitsu General Limite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with airflow guide vane
CN106051911B (zh) * 2015-04-02 2020-10-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风扇装置和天花板吊挂式空调设备
KR102396941B1 (ko)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077951B2 (en) * 2015-11-20 2018-09-18 Hamilton Substrand Corporation Heat exchanger
KR102629023B1 (ko) * 2017-02-01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US11085652B2 (en) * 2017-02-09 2021-08-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eiling concealed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JP6879458B2 (ja) * 2017-03-15 2021-06-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7062408B (zh) * 2017-04-28 2019-08-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板组件和空调器
CN107490060A (zh) * 2017-08-21 2017-12-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散风结构和空调器
CN107345692B (zh) * 2017-08-21 2023-1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7883560A (zh) * 2017-12-01 2018-04-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结构及包括其的出风设备
ES2959400T3 (es) * 2017-12-13 2024-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Unidad de intercambio de calor y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que tiene la misma montada en él
CN108507021A (zh) * 2018-04-20 2018-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及室内机
US11614257B2 (en) * 2019-11-29 2023-03-28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Housing assembly for air handling apparatus and air handling apparatus
JP7066018B2 (ja) * 2020-02-27 2022-05-1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および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087A (en) * 1985-03-29 1987-10-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US4895066A (en) * 1988-01-15 1990-01-23 Glen C. Podell Roof jack
US5029451A (en) * 1988-09-12 1991-07-09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0553327B1 (en) * 1991-08-20 1996-10-23 Helmut KÖSTER Cooling system
JPH05264059A (ja) * 1992-03-19 1993-10-12 Toshiba Corp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JP3361172B2 (ja) * 1994-03-07 2003-01-07 松下精工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調機のパネル枠取付装置
US5522768A (en) * 1994-09-13 1996-06-04 American Standard Inc. Acoustic attenuating curb
JPH0886462A (ja) * 1994-09-20 1996-04-0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US5669229A (en) * 1995-05-30 1997-09-2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eiling-mounted type air conditioner
US5595068A (en) * 1995-12-15 1997-01-21 Carrier Corporation Ceiling mounted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3141764B2 (ja) * 1995-12-22 2001-03-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式空気調和機
JPH10205879A (ja) * 1997-01-20 1998-08-0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取付装置
US5987908A (en) * 1997-09-25 1999-11-23 Floratech Industries Self-contained air conditioner with discharge-air filter
JP2000039174A (ja) * 1998-07-27 2000-02-0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399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047972B2 (en) 2013-10-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197298B2 (en) 2013-10-0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0203150B2 (en) 2013-10-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10203124B2 (en) 2014-01-27 2019-02-12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49999A (en) 2000-05-25
DE69929760T2 (de) 2006-09-28
NZ501107A (en) 2001-08-31
AU775469C (en) 2005-04-07
ID25772A (id) 2000-11-02
EP1003002B1 (en) 2006-02-08
CN1131970C (zh) 2003-12-24
EP1003002A3 (en) 2002-04-24
AU775469B2 (en) 2004-08-05
ES2258314T3 (es) 2006-08-16
EP1003002A2 (en) 2000-05-24
AR021291A1 (es) 2002-07-03
EG22352A (en) 2002-12-31
SG83161A1 (en) 2001-09-18
US6393856B1 (en) 2002-05-28
ATE317531T1 (de) 2006-02-15
TW426796B (en) 2001-03-21
CN1254817A (zh) 2000-05-31
CA2289896A1 (en) 2000-05-20
MY122479A (en) 2006-04-29
JP2000320888A (ja) 2000-11-24
JP4462389B2 (ja) 2010-05-12
DE69929760D1 (de)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5591A (ko) 공기조화기
EP201754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19481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2163831B1 (en) Air conditioner
JP3806536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JP200123517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N21559742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3118543B2 (ja)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
JP2007205589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3463430B2 (ja) 空気調和機
JP201700316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20958687U (zh) 一种天花机及空调
JPS5844272Y2 (ja) 空気調和機の垂直羽根取付構造
JP399148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510546A (ja) 空気調和機
JP421462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0249363A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US20220412604A1 (en) Sealing assembly for window air conditioner, and window air conditioner having same
JP3901323B2 (ja) 天井用換気扇
JP2001099481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078250A (ja) 給気装置
KR0120865Y1 (ko) 캐비넷형 에어컨의 실내기
JPS5818603Y2 (ja) 空気調和機の吹出ル−バ−調節装置
JP3460444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節装置
JP200126371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