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708A - 지지부를갖는마루패널및그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지부를갖는마루패널및그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708A
KR20000029708A KR1019997000809A KR19997000809A KR20000029708A KR 20000029708 A KR20000029708 A KR 20000029708A KR 1019997000809 A KR1019997000809 A KR 1019997000809A KR 19997000809 A KR19997000809 A KR 19997000809A KR 20000029708 A KR20000029708 A KR 20000029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portions
floor
fl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928B1 (ko
Inventor
가네사카미노루
구무라가즈오
이시이미츠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미노루
교도 가이텍크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467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04425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16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205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6794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미노루, 교도 가이텍크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미노루
Publication of KR2000002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94Supporting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base plates or like, each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destals upstanding therefrom to receive the 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은, 주지지부(14)와 보조지지부(16)로 구성되는 지지부군(14, 16)에 의하여, 각 기둥부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다각형상을 형성하며, 연결부(22)가 소정 폭을 가지고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고, 이 다각형상 한쪽의 두 변쪽의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연결부에 결합용 지지부(24)가, 다른쪽의 2변쪽의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연결부에 결합용 끼워맞춤부(26)가 각각 설치되어 마루패널(10)을 구성한다. 이 마루패널(10)을 결합용 지지부(24)와 결합용 끼워맞춤부(26)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복수, 결합하여 부설함으로써, 주지지부(14)와 보조지지부(16)의 각 지지부가 연결부(22)에 의하여 서로 등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된다. 또한, 각 지지부 위에, 주지지부(14)에서는 귀퉁이부에서 1/4 면적씩, 보조지지부(16, 24)에서는 중앙부에서 지지되도록 패널(30)을 복수, 연속적으로 부설하여 2중 바닥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FLOOR PANEL HAVING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2> 최근, 사무실 공간 내에 있어서 OA 기기가 그 다양화에 따라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바닥면에 있어서의 다종 다양하고, 또한 대량의 배선처리가 문제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바닥배선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른 것으로서 2중 마루패널의 이용이 기대되고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3> 최근, 2중 마루패널도 배선홈형이나 지지다리 일체 또는 분리형 등 다종 다양화되어 갱신에도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깔개식이고 경량이며 누구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요철이 있는 바닥면에서도 잘 적응하여 덜거덕거림이 적은 2중 마루패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4> 특히 배선홈형 패널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패널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 소62-284854호에 기재된 마루패널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성형수지시트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배선홈 형성 블록으로 구성되어 내(耐)하중성, 중량이 있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 등도 없고 블록끼리를 맞대어 부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성형수지시트의 유연성에 의하여 불규칙한 바닥면에도. 잘적응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복합재이고 중량도 무겁고, 또 배선홈을 덮는 배선커버를 많이 필요로 하며 따라서 부품점수도 많아, 부설할 때의 시공이나 시공시의 반출입에도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5> 이에 대하여, 지지다리 일체형 패널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패널은, 분리형에 대비하는 타입이며, 복수의 지지다리를 연결부로 결합하고 일체화하여 유닛 패널을 구성하고 그 지지다리 위에 패널을 부설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 소60-164537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4-124366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5-28834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6> 이들은, 복수의 지지다리로 이루어지는 유닛 패널이 깔개식이며, 따라서 부설시공에 있어서 유닛 패널끼리의 연결구조가 없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거나, 또 패널이 강도 확보를 위하여 강판(鋼板)으로 만들어져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무겁다는 난점이 있어, 결국 시공에 수고가 들고 시공성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패널은 대형판이 되는 일이 많으며, 가령 지지다리쪽에서 불규칙한 바닥면에 잘 적응하는 성질이나 흡수성이 있더라도 패널이 대형판이므로 불규칙한 바닥면에 적응하지 믓한다는 결점이 있고, 결국 보행시에 덜거덕거림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7>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支柱)와 패널 사이의 끼워맞춤을 패스너 등의 체결부재로 강제적으로 꼭 끼워 강고하게 결합하는 구조 등, 여러 가지 고정수단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모두 부품 점수의 증가, 고정력의 신뢰성이 부족하고, 또 오히려 시공성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8> 한편, 패널의 연결구조는,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는 일본국 실개 평6-8584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존재한다. 이들 중 걸어맞추게 하여 연결하는 타입의 것은, 패널의 각부(脚部)와는 전혀 다른 걸어맞춤구조를 사용하여 다시 각부 사이의 미소간격을 비워 두고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착탈이 곤란하며, 연결 부설의 시공성도 나쁘고 또한 각부 사이가 매우 근접한 구조이기 때문에, 불규칙한 바닥면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9> 또,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 평6-322947호 공보 등에 기재된 링체(體) 및 그것에 끼우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연결구조에서는, 그 연결작업의 시공성은 그 링체를 지지부의 높이보다 위쪽으로부터 꿰어 나가게 하여 끼우도록 작업해야만 하므로 연결시공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10>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로는, 상기한 어떤 타입의 2중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깔개식이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며, 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잘 적응할 수 있어 덜거덕거림이 적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양 요구를 만족하는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은 존재하지 않고 있다.
<1> 본 발명은,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지지부가 연결부로 연결되어 다각형상으로 구성되고,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 다각형상의 각 변쪽에 결합용 지지부 및 결합용 끼워맞춤부가 설치된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지지부 면에 복수의 패널이 부설되어 바닥 아래 공간을 형성하는 2중 바닥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바닥 아래 공간에 이설 및 증설이 가능하도록 배선 및 배관 등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마루패널의 부설시공이 용이한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19>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의 기본구성의예를 나타낸 평면도,
<20>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일점쇄선 1B-1B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21> 도 2A는 복수의 마루패널을 부설한 상태를 나타내며, 그 시공방법의 이해에 유용한 명면도,
<22>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구조체를 횡방향에서 본 측면도,
<23>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수의 마루패널 상호를 결합할 때의 결합부(결합용 지지부와 결합용 끼워맞춤의 걸어맞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며, 그 결합방법의 이해에 유용한 확대 측면 확대도,
<2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구조의 연결부의 형태가 다른 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2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마루패널 구조를 벽 사이 주위에 시공하였을 때, 보더부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26>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마루패널 구조에 사용되는 패널 구조의 윗면쪽의 평면도,
<27>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구조체를 한 변쪽에서 본 측면도,
<28> 도 7은 완충재를 개재시킨 지지부와 패널의 걸어맞춤, 끼워맞춤 구조의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29>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도 7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완충재를 개재시킨 지지부와 패널의 걸어맞춤, 끼워맞춤상태를 선 Ⅷ-Ⅷ에 있어서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8A는 바닥면에 불규칙함이 없는 경우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며, 도 8B 및 도 8C는 바닥면에 불규칙함이 있는 경우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고,
<30> 도 9A 및 도 9B는 도 7 및 도 8과 다른 형태의 완충재를 개재시킨 지지부와 패널의 걸어맞춤, 끼워맞춤 구조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31> 도 1O은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특히 패널쪽에 관통구멍을, 또 지지부쪽에는 돌기부를 가지는 걸어맞춤,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32> 도 1l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구조체를 이면(裏面)쪽에서 본 평면도,
<33>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A에 나타낸 지지부와는 다른 구조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평면 및 측면도,
<34>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마루패널유닛의 절제 시공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35> 도 14 내지 도 14D는 도 13A 내지 도 14D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마루패널을 절제하여 분할유닛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1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젓으로서, 간단한 구성이며 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잘 적응할 수 있고, 마루패널의 부설시공이 용이한,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본 발명은 또, 저비용이고 경량이며, 또한 충분한 내하중성 및 강도를 얻을수 있는,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마루패널의 연결결합을 상하 방향의 삽입식 요철 끼워맞춤으로 행하는 마루패널이 제공된다. 이 마루패널은, 평면적으로 대략 다각형상을 형성하는 지지부군(群)과, 한쪽의 적어도 1변에 상기 지지부와 대략 동일형태로 밑면에 오목부를 가지는 결합용 지지부가 설치되고, 다른쪽의 적어도 1변에 상기 결합지지부의 오목부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가지는 결합용 끼워맞춤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마루패널의 연결결합이 상하 방향의 삽입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14> 본 발명에 의하면 또, 지지부군과 연결부와 결합용 지지부와 결합용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마루패널이 제공된다. 이 마루패널은, 상기 지지부군과,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소정 폭을 가지고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각 지지부가 서로 대략 등간격을 비워 두고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지지부군의 한쪽의 적어도 한 변쪽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제 1 결합부와, 지지부군의 다른쪽의 적어도 한 변쪽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결합부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복수의 마루패널을 결합함으로써 마루패널을 부설하고, 그 때 지지부군의 각 지지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세로 등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된다.
<15> 또한, 패널을 지지부 윗면 및 귀퉁이부로 지지되도록 복수 매를 시설함으로써 패널의 시공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똑같은 지지면의 형성에 의하여 지지강도가 안정된다.
<16>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와 패널의 걸어맞춤에 의한 끼워맞춤구조를 가지는 마루패널이 제공된다. 이 마루패널은, 복수의 지지부를 가지는 지지부군과, 각 지지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지지부군의 각 지지부 윗면에 올려놓여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이 지지부 윗면에 올려놓여졌을 때, 지지부의 윗면과 패널의 대략 귀퉁이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와 패널의 걸어맞춤이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되고, 또한 착탈이 용이해진다.
<17>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패널의 부설과 지지부의 절제(切除)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 마루패널은, 정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각 지지부의 상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지지부의 세로 방향의 절단에 의하여 복수로 대략 등분하여 분단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부 분리의 대략 기준위치로서 상기 지지부의 윗면쪽, 측면쪽 및 안쪽 중의 적어도 하나에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복수의 커팅부가 형성된 유닛체를 포함한다. 이 유닛체는, 커팅부에 의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절제된 복수의 분할유닛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분할유닛체를 서로 결합하여 그 유닛체와 다른 형태의 결합유닛체를 형성한다.
<18> 이에 따라, 부설면적에 따라 패널을 절제할 때나 배선기구 등을 수납할 때, 지지부를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는 동시에, 벽 사이 등의 바닥 부설면적의 잔여부분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결합유닛체를 구성할 수 있다.
<36> 이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37>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형태 중 하나는, 상하 방향의 삽입식 요철 끼워맞춤으로 복수의 마루패널을 연결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지지부군과 연결부와 결합용 지지부와 결합용 끼워맞춤부의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다른 하나는 지지부와 패널의 걸어맞춤에 의한 끼워맞춤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형태는 패널의 부설과 지지부의 절제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38> 마루패널 및 패널의 기본, 전체 구성의 설명
<39>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마루패널은 기본적으로는 주각부(主脚部) (14) 및 보조각부(16)로 구성된 지지부군과,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고 소정 폭으로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각 지지부가 서로 대략 등간격을 비우고 배치되는 연결부(18 및 22)와, 이 연결부(18 및 22)에 설치되어 지지부군의 한쪽 및 다른쪽의 적어도 한 변쪽의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제 1 결합부(24) 및 제2 결합부(26)를 포함하는 것이다.
<40> 또한, 패널(30)을 각 지지부(14 및 16)의 윗면 및 귀퉁이부로 지지되도록 복수 부설함으로써 2중 바닥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루패널(10)은, 바닥마무리재로서의 예를 들어 타일 카펫의 크기에 의거하여 약 400mm 내지 약 600m 각(角)의 크기로 설정되고, 연결부(18 및 22)를 대략 X자 형상 또는 멜빵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X자의 교차부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주각부(14) 보조각부(16)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마루패널 윗면의 지지 강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41> 또, 제 1 및 제 2 결합부(24 및 26)는, 보조각부(16)와 동일한 구성으로 바닥면이 대략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제 1 결합부(24)와, 이보다 높이가 낮고, 예를들어 상하 방향의 삽입식으로 걸어맞춤 또는 끼워맞춤 가능한, 예를 들어 상기 대략 오목형상으로 걸어맞추거나 또는 끼워맞추는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제 2결합부(26)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결합부(24 및 26)의 걸어맞춤또는 끼워맞춤에 의한 복수의 마루패널(10) 상호의 결합이나 위치 결정 고정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마루패널 상호의 결합부(24 및 26)가 외관상 눈에 띄지 않고 바닥면 위에 다수의 마루패널(10)을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부설할 수있으며, 마루패널의 부설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 지지부(14,16 및 24)가 연결부(18 및 22)에 의하여 서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충분히 적응하게 할 수 있다.
<42> 이 마루패널(10)은 일체성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설계, 제조상 용이하기 때문에 적합하고, 예를 들어 난연(難燃)·불연성 수지성형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들 연결부(18 및 22) 및 제 1 및 제 2 결합부(24 및 26)는, 마루패널(10)을 최소한 적은 양의 수지로 일체형성하고, 또 패널(30)에 부품공통화를 위하여 동일 형상의 얇은 판 강판을 사용하여, 펀칭, 벤딩만의 가공으로 보강성을 얻고 있다. 따라서, 경량이고 운반이나 부설시의 시공이 용이하며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43> 지지부군은, 다른 지름의 주각부(14) 및 보조각부(16)로 구성되며, 주각부(14)는, 패널(30)의 4귀퉁이부를 각각 그 1/4과 동일 면적 부분으로 지지하도록 4개소에서 패널(30)을 지지한다. 이에 대한 보조각부(16)는, 패널(30)의 대략 중앙 근방에서 전체면으로 지지하나, 주각부(14)가 4개소의 패널(30)을 지지하는 데 대하여, 보조각부(16)는, 어떤 일정한 하중이 걸렸을 때 지지하도록 보조적으로 기능한다.
<44> 주각부(14) 및 보조각부(16)의 구조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등의 임의의 형태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윗면(14a)에는 패널(30)이 걸어맞춤, 끼워맞춤에 의하여 설치 가능하게 되도록 걸어맞춤부(또는 끼워맞춤부)(14b 및 14c)가 형성되어 있다. 대응하는 패널(30)에도, 그 4귀퉁이부(36)(도 6A)에는 걸어맞춤부(또는 끼워맞춤부)(32, 38 및 34)(도 6B)가 형성되어 있다.
<45> 한편, 패널(3O)은, 예를 들어 타일 카펫 또는 마루패널(1O)(본 실시예에서는 약 400mm 내지 약 600mm 각) 면적의 1/6 내지 1/3 정도로 동일 면적이 적절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마루패널(10)을 복수로 구획 분할하도록 대략 정사각형상으로 약 100mm 내지 200mm 각(표준적으로는 165mm)의 크기로 설정하고, 강판으로 만든 판 두께(t)가 약 1.0mm 내지 2.5mm(표준적으로는 2.3mm)인 얇은 판이다.
<46> 이에 따라, 이 패널(30)을 각 지지부(14 및 16)의 윗면 및 귀퉁이부로 지지되도록 복수 매 부설함으로써, 이 패널(30)의 시공이 용이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로 균일한 지지면의 형성에 의하여 지지강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패널(30) 크기의 설정에 의하여, 다수 부설된 마루패널(10)의 불규칙한 면에 잘 적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7> 이 패널(30)은, 동일 형상이고, 또 지지부가 동일한 끼워맞춤구조이며, 또한 얇은 판이면서도 펀칭 벤딩 가공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저감 및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48> 적절한 실시예의 설명
<49>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2중 바닥 구조의 구축에 적용한 예이며, 본 발명은 이들만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50>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D는 2중 바닥용 마루패널(10)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들은 각부의 형상 및 각부 상호를 접속하는 접속부의 구성이 다른 예이다. 도 1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루패널(10)은, 두 종류의 각부인 주각부(14)와 주각부(14)보다 지지면의 면적이 좁은 보조각부(16)를 가지고 있다. 이들 주각부(14) 및 보조각부(16)는 소정 폭의 띠 형상의 접속부재(18)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루패널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51>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난 주각부(14)는, 대략 8각형의 평면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 주각부(1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형의 평면형상이어도 된다. 또, 각 각부 상호를 접속하는 접속부재(18)는,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의 마루패널보다 다수의 접속부재(18)를 설치하여 접속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52>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주각부(14)가 9개, 또 보조각부(16)가 4개 설치되어, 보조부재(16)는 주각부(14) 상호간으로 이들 각부 위에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로서의 패널(30)을 지지할 수 있다.
<53>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주각부(14)의 상단면인 지지면(14a)에는 십자형상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4b)은 패널(30)을 설치할 때에 이 홈 내에 그 패널부재를 걸어멈추게 하기 위한 것이다.
<54> 이와 같이 주각부(14) 및 보조각부(16)를 접속부재(18)로 접속한 상태로 각부군(群)이 형성되고, 이 각부군에는 다시 연결용 아암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용 아암부(22)는,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주각부(14)로부터 접속부재(18)와 동일한 구성으로 한 연결용 아암(22)을 돌출시키고, 연결용 아암(22)의 끝단에 연결용 각부(24) 또는 연결용 작은 돌기(26)를 형성하여 평면형상이 대략 V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55> 이것은, 돌출하는 연결용 아암부(22)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으로서, 시공시 등에 생기는 스트레스에 견디기 위하여 유효하다. 또, 이들 연결용아암(22)의 끝단부는 각부군을 둘러싸는 대략 사각형의 각 변(동 도면에 있어서 파선 100으로 나타내고 있음)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그 사각형상의 각각 서로 이웃하는 2변씩에 연결용 각부(24)와 연결용 작은 돌기(26)가 나뉘어 배치, 형성되어 있다.
<56> 또, 도 1B 및 도 2B(도 1A의 구성에서 본 형상을 나타낸 도)로부터 이해되는바와 같이, 주각부(14)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보조각부(16)는, 예를 들어 주각부(14)의 높이보다 조금만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각부(14) 사이에 가교 지지되는 후기하는 패널(3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보조각부(16)는, 그 위쪽 바닥부재의 중앙위치에 하중이 걸린 경우 등에 보조적으로 이것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57> 또, 연결용 각부(24)는, 그 형상 및 높이가 보조각부(16)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주각부(14)로부터의 거리도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있다. 연결용 작은 돌기(26)는, 주각부(14) 및 보조각부(16)의 높이에 비하여 매우 낮은 높이,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대략 3분의 1 이하의 높이로 설정되고, 그 상단부는 각을 떼어 낸 R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58> 도 2A는 도 1A의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마루패널(10)(10-1,10-2)이 연결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마루패널(10-1 및 10-2)은, 2개의 연결용 작은 돌기(26)에 연결용 각부(24)를 삽입식으로 덮어 걸어맞추게 하여 연결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대략 사각형상의 각 2변을 사용하여 각각 연결 걸어맞춤 가능한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지지다리유닛패널(10)(10-1, 10-2, 10-3,3 ……, 10-n)을 평면적 퍼짐을 가지고 연속 설치하는 경우에, 차례로 간단하게, 복잡한 배치를 생각하는 일 없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59> 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30)은 4개의 주각부(14)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패널(30)은, 예를 들어 금속제로 구성되고, 네 귀퉁이에는 내(耐)하중강도 향상을 위하여 아래쪽으로 구부린 굴곡부(34)를 가지며, 굴곡부(34)가 주각부(14)의 지지면의 홈(14b)에 걸어맞추어져 설치되어 있다.
<60> 도 2A와 같이, 2매의 마루패널(10), 즉 10-1 및 10-2를 연결한 상태에서, 양자의 연결부분은, 주각부(14)와 연결용 각부(24)가 연결부분이 아닌 주각부(14)와 보조각부(16)의 위치관계 및 패널(30)의 지지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조부재가 노출되어 눈에 띄는 일이 없고, 또 2중 바닥 구조의 배선공간에도 불규칙한 변화를 주는 일 없이 균일하게 각 각부(14 및 16)가 일정 간격으로 바닥면위에 형성되는 것이 이해된다.
<61> 마루패널(10) 상호의 연결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즉,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한쪽의 마루패널(10-1)을 기초가 되는 바닥면위에 설치한다. 그 후에, 이웃하는 마루패널(10-2)을 설치하는 동작을 행하고, 그때, 마루패널(10-1)의 2개의 연결용 작은 돌기(26)에 마루패널(10-2)의 대응하는 연결용 각부(24)를 그 바닥면쪽으로부터 덮도록 설치한다.
<62> 또한, 예를 들어 주각부(14)와, 보조각부(16) 및 연결용 각부(24)를 그 위치를 반대로 배치한 마루패널(10)의 구성으로 하고, 주각부(14)와 연결용 작은돌기(26)로 마루패널(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63> 이어서, 연결용 아암부(22), 연결용 각부(24) 및 연결용 작은 돌기(26)로 구성되는 연결구조의 예를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의 마루패널의 연결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루패널(10)의 적어도 접속부재(18)는 예를 들어, 일체성형수지제로 얇은 두께로 함으로써 가요성(可撓性)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연결용 아암부(22) 부분은 간단하게 위쪽으로 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마루패널(10-2)을 일단 바닥면 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서 연결용 각부(24)를 마루패널(10-1)의 연결용 작은 돌기(26)에 덮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즉, 각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연결용 작은 돌기의 높이 위치)에서 덮는 동작을 행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마루패널(10) 전체를 들어 올려 연결하는 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으며, 그 연결동작은 용이한 작업이 된다.
<6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각부의 구성을 지지면적이 넓은 주각부(14)와 지지면적이 좁은 보조각부(16)로 구성된 예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각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부군이 공통의 지지면을 가지는 주각부(32)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도 3B는 그와 같은 주각부(32)만으로 각부군을 구성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65> 이 경우, 연결용 작은 돌기(36)는 주각부(32) 높이의 2분의 1 이하의 낮은 높이로 설정되고, 연결용 각부(34)는 주각부(32)와 공통의 높이 및 외형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은 리브(35)가 설치되어 그 강도 보강이 도모되고 있다. 연결동작은, 도 3A에 나타낸 구조의 경우와 동일하게, 연결용 작은 돌기(36)에 이 연결용 각부(34)를 덮도록 걸어맞춤 설치하여 행하여진다.
<66> 도 3C 및 도 3D는 연결부의 연결용 각부 및 연결용 작은 돌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3C에 나타낸 예는 연결용 작은 돌기의 구성을 변화시킨 것이머, 연결용 각부(24)의 구성은 도 3A에 나타낸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용 작은 돌기(40)는 대략 중앙에서 2개로 분리되고, 약간 멀어진 2개의 분리부분이 바닥부의 개방된 중공(中空)형상의 연결용 각부(24)를 위쪽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눌러붙여져 걸어맞춤동작이 행하여진다. 이에 따라, 연결용 작은 돌기(40)의 2개의 분리부분은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연결용 각부(24)를 가세하므로, 양자의 연결 걸어맞춤상태는 보다 강고한 것으로 된다.
<67> 도 3D는 또다른 연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용 작은 돌기(42)가 2개의 피스(42a 및 42b)로 구성되고, 2개의 피스(42a 및 42b)는 소정 크기의 힘을 가함으로써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휘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2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해도 된다. 각각의 피스의 바깥쪽면에는 바깥쪽으로 지름이 넓어진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68> 한편, 연결용 각부(24) 에는, 상기 한 돌출부(43)가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로서 측벽부에 구멍(25)이 각각 돌출부(43)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용 각부(24)를 연결용 작은 돌기(42)의 위쪽으로부터 덮어 감으로써, 연결용 작은 돌기(42)의 2개의 피스(42a 및 42b)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그 덮는 동작의 종료시에는 연결용 작은 돌기(42)의 돌출부(43)가 구멍(25)에 걸어맞춘 상태로 마무리된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순히 연결용 작은 돌기에 연결용 각부를 덮어씌운 상태의 걸어맞춤상태보다 강고한 연결상태가 확보된다.
<69> 또한, 상기한 연결용 작은 돌기(40 및 42)는 도 3C 및 도 3D에 예시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요는 엠보싱이나 펀칭 가공 등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고 장착시에는 걸어맞출 수 있어, 위치 결정 목표가 가능한 구조이면 된다.
<70>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마루패널(10)을 건물 바닥 위에 설치하여 2중바닥 구조를 구축한 예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는 부설영역의 끝단가장자리부, 예를 들어 플로어 벽 사이의 설치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마루패널(10)은 차례로 연결되어 복수 설치되고, 벽 사이의 소정 위치까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벽 사이에는 절제함으로써 그 폭을 조정할 수 있는 보더 패널(50)이 설치되어 있다. 가장 벽쪽의 보더 패널(50) 위에는 보더커버(52)가 설치되고, 보더 패널(50)의 그 외의 영역에는 보더 시트(54)가 설치되어 있다.
<71> 한편, 마루패널(10)의 끝단부는 연결용 각부(24)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더 패널(50)은 연결용 각부(24)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닿도록 위치 조정되어있다. 이에 따라, 보더 패널(50)과 주각부(14) 부분에 패널(30)을 가교하여 설치함으로써 패널(30)은 보더 패널(50)과 가장 바깥쪽의 주각부(14)의 일부 및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용 각부(24)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된다. 이 연결용 각부(24)가 패널(30)의 대략 중앙위치에서 지지한다는 지지구조는 마루패널의 둘레가장자리부 이외의 부분과 동일한 구조이고, 따라서 마루패널(10) 설치의 말단부에 있어서의 패널(30) 설치상태의 안정성도 동일하게 확보된다.
<72> 이와 같이, 패널(30)의 설치상태는, 보더 패널(5O)과 마루패널(10)의 연결부영역에 있어서도, 패널(30)의 네 귀퉁이가 보더 패널(50)로 주각부(14)와 서로 어울려 지지되고, 그 대략 중앙위치에는 보조각부(16) 또는 연결용 각부(24)가 지지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지지 가능한 상태란, 보조각부(16) 및 연결용 각부(24)의 높이가 주각부(14)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패널(30)의 중앙위치에 기기의 설치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거나 또는 사람의 보행에 의한 하중이 가해진 경우 등에 그 하중에 의하여 휘어진 패널(30)의 중앙을 지지하는 것이다.
<73> 이에 따라, 내하중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패널(3O)의 강판의 판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할 수 있게 되고, 그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판 두께 2.3t보다 얇은, 예를 들어 1.6t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대폭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74> 한편, 벽 사이를 처리하는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용 각부(24)가 아니라 연결용 작은 돌기(26)쪽이 보더 패널(50)쪽에 위치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는, 패널(30)을 지지부(14)와 보더 패널(50)에 가교함으로써 벽 사이의 잔여공간을 메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용 작은 돌기(26)쪽은 높이가 낮기 때문에 패널(30)의 이면 대략 중앙을 지지할 수 없어 강도 부족이 된다.
<75> 이와 같은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용 각부(24)나 지지부(14)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동일한 부재의 제 3 지지부(45)를 연결용 작은 돌기(26)에 삽입하여 연결용 각부(24)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에 따라, 마루패널의 연결과 동일하도록 상하 방향의 삽입작업으로 용이하게 보더의 시공을 할 수 있다.
<76>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부군을 구성하는 지지다리부의 수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수 및 형상을 설정해도 된다.
<77> 또, 각각의 다리부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중실(中實)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모든 각부를 중공구조로 하여 내부에 리브를 설치하여 강도보강을 도모하고 경량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7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마루패널의 부설시공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연결작업이 용이한 마루패널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연결상태의 안정화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착탈도 용이하고, 일단 바닥면 위에 설치한 상태에서조차도 그 간단한 동작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다. 또, 패널을 지지하는 각 부사이에 연결을 위한 부재가 돌출하는 일도 없으므로, 연결접속부분이 눈에 띄는 일이 없다. 또, 2중 바닥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각부 사이에서도 배선공간을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다.
<79> 도 6A 및 도 6B는 상기한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난 패널의 설명에 유용한 도면이고, 도 6A는 그 정면을, 또 도 6B는 측면을 나타낸다. 패널(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에 의하여 평판형상으로 구성되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밑면의 각 귀퉁이부(36)의 영역위치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32)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돌출쪽 바깥쪽면(32)이 대략 반구면(半球面)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있다.
<80> 또,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은, 강판제일 경우, 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 변의 소정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소정 높이(h)를 이루도록 접어 구부려 형성된 굴곡부인 측벽부(34)를 각 변에 각각 가지고 있다. 측벽부(34)는, 패널(30)의 4귀퉁이(36)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간된 위치에 설치되고, 다시 그 양단에는 상기한 주각부(14)의 노치홈부(14b) 안으로 삽입되는 삽입벽부(38)를 가지고 있다. 삽입벽부(38)의 높이는, 노치홈부(14b)로부터의 착탈이 용이한 높이이면 되고, 측벽부(34)보다 약간 짧은 정도로부터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4)의 대략 절반의 높이까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81> 또한, 주각부(14)의 홈부(14b)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걸어맞추는 힘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있는 것이, 측벽부(34)를 소정량, 계단형상으로 절결하여 형성한 삽입벽부(38)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벽부(38)의 높이 및/또는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걸어맞추는 힘을 조정할 수 있어 임의이다.
<82> 이어서, 주각부(14)와 패널(30)의 끼워맞춤구조에 관하여, 완충시트(40)의 구성 및 완충시트(40), 마루패널(10), 주각부(14) 및 패널(30)의 각각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마루패널(10) 위에 1매의 패널(30)을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내고, 요부를 분해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완충시트(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30)과 마루패널(10)의 주각부(14)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완충부재이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쿠션성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구성되고, 예를 들어 가요성의 합성수지, 발포체, 고무, 부직포 등의 평탄한 재료를, 예를 들어 0.5mm 내지 2.5mm 정도 두께의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이 사용된다.
<83>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완충시트(40)는, 그 외형을 주각부(14)의 지지면(14a)의 형상에 맞추어 대략 8각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면(14a) 위에 완충시트(40)를 올려놓았을 때에 노치홈부(14b)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팅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시트(40)는, 주각부(14)의 지지면(14a) 위에 관통구멍(14c)을 막도록 하여 중첩적으로 올려놓여지고, 양면접착테이프 등(도시생략)의 양면접착부재에 의하여 지지면(14a)에 고착된다.
<84> 패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에 완충시트(30)를 개재하여 4개의 주각부(14) 및 하나의 보조각부(16)의 윗면에 올려놓여진다. 그 때, 패널(30)의 귀퉁이부(36)는 주각부(14)의 지지면(14a)의 대략 4분의 1을 차지하는 부분에 올려놓여지고 각 패널(30)의 귀퉁이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미소간격을 비워 두고 부설된다.
<85> 패널(30)의 돌기부(32)는, 완충시트(40)의 윗면으로부터 지지면(14a)의 관통구멍(14c) 안으로 투입한다. 이에 따라, 패널(30)은 마루패널(10) 위의 걸어맞춤 상태에 기인하는 덜거덕거림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올려놓여진다. 또, 그 때에 패널(30)의 삽입벽부(38)는 커팅부(41)를 통하여 노치홈부(14b) 안으로 삽입되어, 패널(30)을 마루패널(10) 위에 확실하게 걸어멈추게 할 수 있다.
<86> 여기서, 패널(3O)의 귀퉁이부(36)의 영역에는 귀퉁이부보다 소정 길이에 걸쳐 벽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평판부분이 형성되고, 주각부(14)의 지지면(14a) 위에 완충시트(40)를 거쳐 중첩적으로 올려놓여진다. 이와 같은 귀퉁이부(36)의 평판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삽입벽부(38)의 노치홈부(14b) 안으로의 침입량을 억제할수 있다.
<87> 이에 따라, 패널(3O)을 마루패널(10) 위에 올려놓은 후에 다시 떼어 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의 패널착탈지그를 사용하여 패널(30)을 들어올리고 마루패널(10)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88> 다음으로, 마루패널(1O)의 주각부(14)와 패널(30)의 걸어맞춤상태에 대하여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도 8B 및 8C는 도 7에 있어서 패널을 설치한 경우의 선 Ⅷ-Ⅷ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먼저 맨 처음에 건물의 기초바닥면에 불규칙함이 생기지 않는 평평한 상태에 있어서 완충시트(40)를 개재시킨 주각부(14)와 패널(30)의 걸어맞춤 관계의 경우를,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89>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의 돌기부(32)는 주각부(14)의 관통구멍(14c)의 위쪽으로부터 그 내부로 투입한다. 그 때, 관통구멍(14c)의 안쪽면의 지지면(14a)쪽에는 걸어멈춤부로서의 테이퍼부(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32)의 관통구멍(14c) 안으로의 투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90> 또, 관통구멍(14c)의 아래쪽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투입한 돌기부(32)는 바닥을 찌르는 일 없이 관통구멍(14c)의 테이퍼부(15)만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돌기부(32)는 관통구멍(14c)에 확실하게 걸어멈춰져, 예를 들어 하중이 가해지는 등에 의하여 패널(30)이 일시적으로 만곡한 경우 등에도 돌기부(32)를 관통구멍(14c) 위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91> 또한, 돌기부(32)에는 완충시트(40)에 의하여 싸여지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완충시트(4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양호한 완충작용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완충시트(40)는 돌기부(32)의 바깥쪽면(32a)과 테이퍼부(15) 사이에 끼워 지지되기 때문에 완충시트(40)의 절단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92> 여기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의 삽입벽부(38)는 완충시트(40)의 커팅부(41)를 통하여 노치홈부(14b) 안으로 삽입되고, 커팅부(41)는 아래쪽으로 만곡하여 그 끝단부(41a)는 삽입벽부(38)와 항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패널(30) 위를 보행하는 등에 의하여 패널(30)로부터 발생하는 보행음의 울림 등, 특히 사람의 청각에 불쾌함을 주기 쉬운 고주파음을 억제할 수 있다.
<93> 이어서, 기초바닥면에 불규칙함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주각부(14)와 패널(30)의 걸어맞춤관계에 대하여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B에나타낸 바와 같이, 마루패널(10)이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잘 적응하여 주각부(14)의 위치가 편위(偏位)하면, 패널(30)의 돌기부(32)와 주각부(14)의 관통구멍(14c)이 걸어맞추어지지 않고 서로가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어긋남량이 적은 경우, 돌기부(32)의 바깥쪽면(32a)은 테이퍼부(15)와의 사이에 있는 완충시트(40)에 침입하게 되어, 돌기부(32)를 주각부(14)와 확실하게 걸어멈출 수 있고, 동시에 패널(30)의 마루패널(10)에 대한 쿠션성도 얻을 수 있다.
<94> 동 도면에 있어서 부호(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O)과 지지면(14a) 사이에는 완충시트(40)가 개재하기 때문에, 양자의 직접적인 맞닿음을 방지할 수 있고 패널(30)의 쿠션성을 유지할 수 있다.
<95> 한편, 도 8C는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의하여 패널(30)이 주각부(14)의 지지면(14a)으로부터 약간 위쪽에 뜬 경우에 있어서의 패널설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시트(40)의 관통구멍(14c) 안으로 가라앉아 있는 부분(32a)은 그 탄력성 즉 쿠션성에 의하여 패널(30)의 돌기부(32)와 접촉하고 이것을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에 기인한 패널(30)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30)의 삽입벽부(38)나 측벽부(34)에 완충시트(40)의 커팅부(41)의 끝단부(41a)가 접하는 것과 더불어, 보행시에 따라 생기는 보행음이 상승적(相乘的)으로 저감된다.
<96> 또, 예를 들어 마루패널(10)이 기초바닥면의 큰 불규칙함에 의하여 돌기부(32)가 관통구멍(14c)으로 걸어멈추어지지 않고 지지면(14a) 위에 있는 경우에도, 노치홈부(14b) 안으로 삽입벽부(38)가 삽입됨으로써 패널(30)을 확실하게 걸어멈출 수 있고, 또 그 사이에 완충시트(40)가 개재하기 때문에 쿠션성을 유지할수 있다.
<97>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중 마루패널 구조에 의하면, 마루패널(10)이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잘 적응하여 흡수한 경우에도, 그 윗면 위에 올려 놓여지는 패널(30)을 마루패널(10) 위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또 패널(30)은, 마루패널(10) 위에 있어서 덜거덕거리는 일 없이 확실하게 걸어 멈춘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패널(30) 위의 보행 등에 있어서 패널(30)로부터 생기는 반향음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98> 또, 패널(30)의 돌기부(32)의 구조는, 도시한 실시예의 것만으로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요지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강판으로 만든 것인 경우, 펀칭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포올 형상 또 혀 형상의 돌기 등을 형성해도 된다. 요는, 패널의 위치 결정 고정과 완충시트(40)에 의한 불규칙함 흡수성이 있고, 또한 관통구멍(14c)과 걸어맞출 수 있는 것이면 된다.
<99> 또한, 모식도인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돌기부(32)와, 돌기부(32)의 일부가 투입되는 관통구멍(14c)을 설치하지 않는 형식의 것(도 9A)에 대해서도, 커팅부(41)의 끝단부(41a)가 삽입벽부(38)와 항상 접촉하도록 하는 것(도 9B)에 의하여 패널(30)로부터 발생하는 보행음의 울림 등을 감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각부(14)의 지지면(14a)과 패널(30)은 완충시트(40)를 사이에 끼워 중첩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패널(30)의 덜거덕거림도 억제할 수 있다.
<1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0)에 부설된 패널(30)의 측면에는, 완충재(20)의 끝단부를 적어도 접촉시키거나 또는 끼워 지지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지지부(10)의 윗면에 형성된 홈부(16)에 보행음을 저감시키는 상기한 완충부재(20)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을 부설한 경우에, 그 4귀퉁이의 패널끝단부(38)가 지지부(14)의 홈부(14b)에 끼워져 완충부재(40)의 끝단(41a)(도 7에서는 커팅부 41 부분)이 패널끝단부(38)의 측면에 적어도 접촉하거나 또는 그 끝단부의 양쪽면을 유지하여 이 상태에서 지지부 위에 패널(30)이 유지된다.
<101> 이 패널(30)의 유지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부재(40)의 끝단(41a)이 패널끝단부(38)의 양쪽면 안쪽에 이르러 끼워 지지되므로, 이에 따라 보행시의 보행음의 울림, 특히 사람의 귀로 느끼기 쉬운 고주파성분을 억제할 수 있다.
<102> 마루패널(10)을 종래대로 지지부 윗면의 홈부에 끼우는 것만으로 완충재(40)가 패널 측면 끝단부에 접촉하여 유지되므로 보행음의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완충재(40)를 지주 윗면의 홈부(14b)에 끼워맞추어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103> 보행시 또는 패널 윗면에 하중이 걸렸을 때, 패널 한쪽 끝단의 적어도 하나의 끝단부가 홈부(14b)에 끼워짐으로써 그 홈부분을, 완충부재(40)를 패널(30)의 끝단부에 적어도 접촉시킴으로써 지지부 위에 패널(30)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닥면에 불규칙한 면이 있더라도 확실하게 패널(30)의 덜거덕거리는 소리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104> 상기한 도 7, 도 8A, 도 8B, 도 8C, 도 9A 및 도 9B의 주각부(14)와 패널(30)의 걸어맞춤 또는 끼워맞춤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초바닥면 위에 부설되는 마루패널(50)의 지지부(54)에 돌기부(51)를 설치하고, 한편 그 마루패널(50) 위에 올려 놓여지는 패널(60)에 관통구멍(65)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형태는, 상기한 실시예의 도 8A에 나타낸 관통구멍(14c)을 상하 반대로 설치한 경우에 상당하는 예이며,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 및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5> 지지부(54)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배치위치에 따라 크기가 다르고, 그 내부에는 소정 위치에 소정 개수의 돌기부(5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51)의 형상은,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A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돌기부(32)를 상하 반대로 한 형상에 상당한다.
<106> 패널(6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61)와 그 귀퉁이부 영역보다 각각 아래쪽으로 형성된 4개의 각부(62)를 포함한다. 각 각부(62)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벽부(63)와 벽부(63)의 하단부 위치에 의하여 플레이트부(61)와 평행하게 소정 폭만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바닥면부(6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바닥면부(64)는, 그 밑면쪽에 지지부(54)에 설치된 돌기부(51)와 걸어맞춤 가능한 관통구멍(65)이 각각 2개, 소정의 개소에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5)은 바닥면부(64)를 관통하고 있다.
<107> 완충시트(80)는, 지지부(54) 내의 바닥부(53) 위에 올려놓아 위치 결정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완충시트(80)는, 지지부(54)의 바닥부(53)에 단순히 놓는 것만으로 장착할 수 있고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접착할 필요가 없고, 또 패널(30)의 삽입벽부(38)가 통과하는 커팅부(41)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108>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패널(30 및 60)의 돌기(32) 또는 지지부(54)의 돌기(51)에 의하여 패널(30 및 60)의 설치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고정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2중 바닥의 시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09> 또한, 본 실시예의 마루패널구조는, 상기한 각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관통구멍(14c)은 관통한 구멍으로서 설정되어 있으나, 이 형태로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몰입한 돌기부(32)에 의하여 눌려넣어진 완충시트(40)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바닥부를 설치한 오목구멍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110> 또, 마루패널(10 및 50)은, 주로 난연성·불연성 수지로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매당 크기는 적합하게는 카펫 크기에 의거하여 약 450 내지 600mm 각의 크기로 설정된다.
<111> 또, 패널(30 및 60)은, 마루패널(10)을 복수로 분할하여 구획한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예를 들어 약 100 내지 200mm 각, 판 두께는 약 1.0 내지 2.5mm로 형성한 얇은 판 강판제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잘 적응하면서도 이것을 흡수할 수 있고 경량이며, 따라서 운반, 부설시의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내하중성을 만족하는 2중 마루패널 구조가 제공된다.
<112> 또, 완충시트(40 및 80)의 소재에 대해서는, 상기한 각 실시예의 것에 구속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진재(制振材), 흡음재(吸音材)를 사용해도 되고,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에 의한 패널(30)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여 보행시에 패널(30)로부터 발생하는 반향음 등을 저감할 수 있는 쿠션성이 있는 탄성소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11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마루패널(10 및 50)에 의하면, 패널(30 및 60)을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어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초바닥면의 불규칙함 등에 영향받는 일 없이 패널(30 및 60)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보행시에 패널(30 및 60)로부터 생기는 반향음을 억제할 수 있다.
<114> 다음으로, 지지다리부(14)의 세부구조, 절단용 커팅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lA는 주각부로서의 제 1 지지부(14)의 확대 사시도, 또 도 11B는 그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주각부로서의 제 1 지지부(14)는, 슬릿형상에 연결되어 형성된 이 지지부(14)의 분리위치의 가이드가 되는 홈부(14b)를 가지며, 홈부(14b)에 연결되어 지지부(14)의 바깥쪽 아래쪽 및 윗면쪽 위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커팅부(14d)가 형성되고, 이 커팅부(14d)에 커터 등의 절단구를 닿게 하여 상하 방향 힘의 작용에 의하여 지지부(14)를 분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지부(14)는, 4각(角)에 4개의 중공블록(14-1, 14-2, 14-3 및 14-4)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블록은 윗면(14a), 바깥쪽 측면(15) 및 안쪽 내벽(13)이 소정의 두께(t)를 가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14)가 2개 또는 4개로 분리되더라도 각각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115> 도시한 것은 커팅부(14d)를 지지부(14)의 바깥쪽 아래쪽의 결합부(17)와 윗면쪽(14a)의 위치에 설치한 형태이다. 그러나, 바깥쪽만, 안쪽만의 위치에 설치해도 되고, 또 이것의 특정한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이 이의에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조합도 가능하다.
<116> 한편,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것에 대하여, 상기한 4개의 블록(14-1, 14-2, 14-3 및 14-4)을 모식적으로 사선 빗금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각각에 있어서, 위쪽의 도면은 평면도이고, 아래쪽의 도면은 측면도이다. 이 제 1 지지부(14)에는, 상기한 패널(30)의 측벽부(34) 또는 삽입벽부(38)가 끼워지는 홈부(14b)와, 지지부(14)의 절단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하는 커팅부(14d)가 설치되어 있다. 커팅부(14d)는, 홈부(14b)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 12A에서는 지지부(14)의 바깥쪽에, 또 도 12B에서는 지지부(14)의 안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117> 이렇게 하여, 지지부(14)의 아래쪽 바깥쪽(결합부 17), 안쪽 및 윗면쪽(14a)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수의 커팅부(14d)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커터나 손도끼 등의 절단구를 그 커팅부(14d)에 닿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절삭하는 힘의 작용에 의해서만 간단히 절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배선기구 등의 수납공간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118> 또한, 도시한 지지부 윗면(14a) 중앙에 있는 둥근 구멍(19)은, 예를 들어 배선기구 등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 지지부(14)의 윗면을 1/4 면적으로 컷할 필요가 있을 때, 컷에 의한 절삭이 다른 3/4 면적 부분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119> 예를 들어, 지지부(14)의 폭보다 긴 폭의 칼을 사용하면, 아래쪽 바깥쪽, 안쪽 및 윗면쪽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커팅부(14d)에 이것을 닿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절제 또는 펀칭하는 힘의 작용에 의하여 간단하게 지지부(14)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 동시에 절제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다.
<120> 이어서,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지지부(14 및 24)와, 결합부(26)와, 제 1 및 제 2 연결부(18 및 22)와, 절단 가능으로 되는 상기 슬릿형상으로 연결 형성된 커팅부(14d)를 포함하는 마루패널(10)의 지주부 컷에 있어서의 유닛식 조합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121> 먼저, 제 1 시공스텝에서는, 마루패널(10)을 커팅부(14d)에 의하여 도 13A 내지 도 13D에 굵은 실선(101, 103 및 10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절제하여 소정의 크기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유닛체(a1 내지 a4, b1 내지 b4, c1 내지 c4 및 d1 내지 d3)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체(a1, a2, a3 및 a4)로 분할하고,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체(b1, b2, b3 및 b4)로 분할하며,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체(c1, c2, c3 및 c4)로 분할하거나 또는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체(d1, d2 및 d3)로 분할할 수 있다. 이들 분할유닛체는, 마루패널(10)을, 예를 들어 십자로 4분할하고, 가로로 4분할하며, L자 형상으로 3분할하고, 가로로 3분할하며, 귀퉁이도 절제하여, 도 13A 내지 도 13D에 굵은 실선(101, 103 및 10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절제되어 형성된다.
<122> 다음으로, 제 2 시공스텝에서는, 각 분할유닛체를, 연결용 각부(24) 및 연결용 작은 돌기(26)가 지지부(14)의 바깥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연결용 각부(24)와 연결용 작은 돌기(26)를 서로 연결하여 유닛체(1)와 다른 형태의 연결유닛체를 형성한다.
<123>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13A의 경우는, 십자형상으로 컷한 분할유닛체(al, a2, a3 및 a4) 각각을 180도 회전시켜, 각각 서로 연결용 각부(24)와 연결용 작은돌기(26)로 연결하여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유닛체를 형성한다.
<124> 이어서 도 13B에 나타낸 예는, 횡 방향으로 3분할하여 컷한 분할유닛체(b1, b2, b3 및 b4) 각각을 횡 방향으로 이어서 연결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것은, 연결용 각부(24)와 연결용 작은 돌기(26)로, 먼저 유닛체(b2와 b3)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 다음으로 유닛체(b1과 b4)를 서로 대향시켜 연결한 것을 다시 유닛체(b3)에 횡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가 긴 연결유닛체를 형성한다. 이 경우, 패널(30) 1매분 폭의 잔여공간이나 벽 사이 처리에 있어서 유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25> 또, 도 13C에 나타낸 예는, 우변 및 밑변을 컷한 분할유닛체(c1, c2, c3 및 c4) 각각을 컷 위치와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연결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것은, 각부(24)와 작은 돌기(26)로, 먼저 유닛체(c1와 c2)를 좌변에서 연결하고, 다음으로 유닛체(c1과 c3)를 한 변에서 연결하고, 남은 잔여의 유닛체(c4)를 도면에서의 왼쪽 위 위치에 놓음으로써,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유닛체를 형성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도 14A의 연결유닛체와 동일한 형태가 된다.
<126> 또한, 도 13D에 나타낸 예는, 상하 및 4귀퉁이부분을 컷한 분할유닛체(d1, d2 및 d3) 각각을 연결용 각부(24)와 연결용 작은 돌기(26)로 유닛체(d1)의 양쪽에 분할유닛체(d2 및 d3)로 연결하고, 나머지 4귀퉁이 부분은 연결하지 않고 형성한 것이다. 이것은,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사각형상의 연결유닛체를 형성한다.
<127>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하여, 연결유닛체를 바닥면에 복수 균일하게 부설하여 마루패널구조를 형성한다.
<128> 여기서, 제 2 시공스텝 후, 다시 다음과 같은 제 3 시공스텝을 추가한다. 즉 제 3 시공스텝에서는, 각 연결유닛체 위에, 제 1 및 제 2 지지부로서의 주각부(14)와 보조각부(16)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각 지지부 위에 패널(30)을 복수매 균일하게 부설하여 마루패널 구조를 형성한다.
<129> 이와 같은 지지부(14)를, 도 13A 내지 도 13D와 같이 소정의 규칙에 따른 절제부(14d)의 임의의 절제 방법으로 절제함으로써, 도 14A 내지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루패널(10)과 다른 형태 및/또는 면적의 연결용 각부(24) 및 연결용 작은 돌기(26)가 연재되지 않는 각 분할유닛체를 얻을 수 있다.
<130> 이에 따라, 소정의 잔여공간부분 또는 다른 마루패널, 예를 들어 벽 사이 시공용 보더 패널과 맞대어 접속시키고 싶은 경우, 연속적으로 부설시공할 수 있고, 벽 사이의 잔여공간부분을 메우는 처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31> 또,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설면적이나 벽 사이의 잔여면적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다.
<132> 또한,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4가지 절제방법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둥 둘레의 모자란 부분을 따르도록 절제하는 시공방법이나 그 외 여러 가지 절제, 연결방법이 있다.
<133> 또한,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는 일 없이 당업자가 가능한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3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은, 건물의 실내나 옥외의 바닥 슬래브 위에 깔기에 의하여 부설되는 조립식 매트나 타일등의 마루패널로서, 또는 사무실의 OA기기 등의 전기배선 또는 배관, 바닥 밑 공조(空調) 등을 부설하기 위한 이중 바닥, 즉 프리 액세스 플로어로서 유용하며, 특히 바닥 밑 공간을 형성하여 그곳에 수납물 또는 부설물을 설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22)

  1. 평면적으로 대략 다각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지지부군(14, 16)과, 한쪽의 적어도 한 변에 설치된 상기 지지부(16)와 대략 동일 형태로 밑면에 대략 오목부를 가지는 결합용 지지부(24)와, 다른쪽의 적어도 한 변에 설치된 상기한 결합용 지지부(24)의 대략 오목부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상기한 대략 오목부에 대응하는 대략 볼록부를 가지는 결합용 끼워맞춤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용 지지부(24)와 상기한 결합용 끼워맞춤부(26)는, 서로 삽입식에 의하여 결합되어 바닥면에 부설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마루패널(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각 지지부(14, 16)의 윗면에 올려놓여지는 패널(30)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30)은, 그 귀퉁이부가 지지부 윗면의 적어도 대략 1/4 면적으로 지지되고, 그 대략 중앙부가 지지부 윗면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군(14,16)은,
    복수,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주지지부(14)와,
    상기 주지지부(14)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상기 주지지부(14)와 다른 지름의 보조지지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 16)는, 커팅부(14d)를 경계로 상기 패널(30)의 귀퉁이부(36)가 지지되는 지지면 근방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블록체(14-1, 14-2, 14-3, 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6. 다각형상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지지부(14, 16)가 배치된 지지부군(14, 16)과,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소정의 폭을 가지고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각 지지부가 서로 대략 균등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된 연결부(22)와,
    상기 지지부군(14, 16)의 한쪽의 적어도 한 변쪽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제 1 결합부(24)와,
    상기 지지부군(14, 16)의 다른쪽의 적어도 한 변쪽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제 2 결합부(26)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결합부(24, 26)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결합부(24, 26) 상호의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부설되면, 상기 지지부군(14, 16)의 각 지지부(14, 16)가 연결부(22)에 의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각 지지부(14, 16)의 윗면에 올려놓여지는 패널(30)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30)은, 그 귀퉁이부가 지지부 윗면의 적어도 대략 1/4 면적으로지지되고, 그 대략 중앙부가 지지부 윗면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군(14, 16)은,
    복수,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주지지부(14)와,
    상기 주지지부(14)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상기 주지지부(14)와 다른 지름의 보조지지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 16)는, 상기 커팅부(14d)를 경계로, 상기 패널(30)의 귀퉁이부(36)가 지지되는 지지면 근방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블록체(14-1, 14-2, 14-3, 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0. 다각형상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지지부(14, 16)가 배치된 지지부군(14, 16)과,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소정의 폭을 가지고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각 지지부가 서로 대략 균등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된 연결부(22)와, 상기 지지부군(14, 16)의 한쪽의 적어도 한변쪽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제 1 결합부(24)와, 상기 지지부군(14, 16)의다른쪽의 적어도 한 변쪽의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제 2 결합부(26)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결합부(24, 26)를 포함하는 마루패널(10)을 준비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마루패널(10)을 제 1 및 제 2 결합부(24, 26)에 의하여 결합하여 복수 부설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지지부의 윗면(14a, 16a)에 올려놓여지고, 귀퉁이부 및 그 대략 중앙부가 지지부 윗면으로 지지되도록 패널(30)을 복수 부설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14, 16) 위에, 상기 패널(30)이 군일하게 배치되어 2중 바닥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의 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3 공정에 계속해서, 벽 사이, 기둥 둘레 등의 끝단부 처리된 보더부(50)를 가교하는 패널(30)을, 상기 지지부에 부설된 패널(30)과 연속하여 복수 부설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의 시공방법.
  12. 복수의 지지부를 가지는 지지부군(14, 16)과,
    각 지지부(14, 16)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각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와,
    지지부군(14, 16)의 각 지지부의 윗면에 올려놓여지는 패널(30)과,
    상기 패널(30)이 지지부의 윗면(14a, 16a)에 올려놓여졌을 때, 상기 지지부의 윗면(14a)과 패널의 대략 귀퉁이부(36)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14b, 14c ; 38, 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또한, 상기 지지부(14, 16)와 상기 패널(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30)의 걸어맞춤부분에 적어도 접촉하도록 그 걸어맞추어지는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츰부(14b, 14c ; 38, 34)는,
    상기 패널(30, 60)의 귀퉁이부의 지지면(36) 또는 지지부(54)의 패널지지면에 형성된 돌기부(32, 51)와,
    상기 돌기부(32, 51)가 관통하는 지지부의 패널지지면(14a) 또는 패널의 귀퉁이부의 지지면(64)에 형성된 관통부(14c, 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14b, 14c ; 38, 34)는,
    상기 지지부(14)의 패널지지면에 형성된 홈부(14b)와,
    상기 홈부(14b)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패널(30)의 각 귀퉁이부의 옆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6. 제 12 항, 제 13 항 또는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상기 패널(30)이 지지부 윗면(14a)에 올려놓여졌을 때, 상기 패널(30)의 한쪽의 걸어맞춤부(38)가 지지부 윗면에 설치된 홈부(14b)와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상기 패널(30)의 다른쪽의 걸어맞춤부(38)가 보더부(50) 윗면에 설치된 홈부(50b)와 걸어맞추어져 올려놓여지고, 상기 지지부(14)와 보더부(S0) 사이의 공간을 상기 패널(30)로 가교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l4, 16)는, 상기 커팅부(14d)를 경계로, 상기 패널(30)의 귀퉁이부(36)가 지지되는 지지면 근방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블록체(14-1, 14-2, 14-3, 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8. 제 13 항, 제 15 항 또는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0)는,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패널(30)이 지지부의 윗면에 올려놓여졌을 때, 상기 패널(30)에 적어도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19. 복수 정렬 배치되는 지지부(14, 16)와,
    각 지지부의 상호를 연결하는 연결부(22)와,
    상기 지지부(14)를 상기 지지부(14)의 종 방향의 절단에 의하여 복수 대략등분하여 분단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부 분리의 대략 기준위치로서 상기 지지부의 윗면쪽(14a), 측면쪽(15) 및 안쪽(1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커팅부(1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의 유닛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에는, 상기 지지부(14)의 윗면에 올려놓여지는 패널(30)의 끝단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4b)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14b)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14)의 걸어맞춤부(14b)와 패널 끝단부를 걸어맞추어 상기 패널(30)을 지지부(14) 위에 올려놓고 고정함과 동시에,상기 걸어맞춤부(14b)는, 상기한 복수의 커팅부(14d)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를 분리하기 위한 대략 기준위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의 유닛체.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 16)는, 상기 커팅부(14d)를 경계로, 상기 패널(30)의 귀퉁이부(36)가 지지되는 지지면 근방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블록체(14-1, 14-2, 14-3, 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
  22. 복수 정렬 배치되는 지지부(14, 16)와, 각 지지부의 상호를 연결하는 연결부(22)와, 상기 지지부(14)를 상기 지지부(14)의 종 방향의 절단에 의하여 복수 대략 등분하여 분단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부 분리의 대략 기준위치로서, 상기 지지부의 윗면쪽(14a), 측면쪽(15) 및 안쪽(1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복수의 커팅부(14d)와, 상기한 각 지지부(14, 16)의 바깥쪽에 연재하여 설치된 결합부(24, 26)를 포함하는 마루패널의 유닛체(10)를 준비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유닛체(10)를 상기한 복수의 커팅부(14d)에 의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절제하여 소정의 크기로 복수 분할된 분할유닛체(a1 내지 a4, b1 내지 b4, c1 내지 c4, d1 내지 d3)를 형성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분할유닛체(a1 내지 a4, b1 내지 b4, c1 내지 c4, d1 내지 d3)를, 상기 결합부(24, 26)가 지지부의 바깥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서로 상기 결합부(24, 26)로결합하여 상기 유닛체(10)와 다른 형태의 결합유닛체(도 14A 내지 도 14D)를 형성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결합유닛체가 복수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패널의 시공방법.
KR10-1999-7000809A 1996-07-31 1997-07-14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469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02114 1996-07-31
JP20211496A JPH1046794A (ja) 1996-07-31 1996-07-31 支持脚ユニットパネル
JP9-44251 1997-02-27
JP04425197A JP3231653B2 (ja) 1997-02-27 1997-02-27 二重床パネル構造
JP9-82054 1997-03-14
JP08205497A JP3236794B2 (ja) 1997-03-14 1997-03-14 二重床パネルユニット体、二重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708A true KR20000029708A (ko) 2000-05-25
KR100469928B1 KR100469928B1 (ko) 2005-02-02

Family

ID=2729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809A KR100469928B1 (ko) 1996-07-31 1997-07-14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0469928B1 (ko)
AU (1) AU4687897A (ko)
GB (1) GB2330595B (ko)
HK (1) HK1018296A1 (ko)
TW (1) TW387028B (ko)
WO (1) WO19980047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86B1 (ko) * 2008-08-26 2009-10-06 (주)원광티에프에스 내진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악세스 플로어
KR20190057520A (ko) * 2017-11-20 2019-05-29 전명자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2785A (en) 1997-03-13 2000-12-19 Auburn University Recombinant vasoactive protein from salivary gland of the black fly
US7211652B2 (en) 2003-11-25 2007-05-01 Auburn University Protein from horn fly saliva that disrupts hemostasis
NL1027424C2 (nl) * 2004-11-04 2006-05-08 Soluflex B V Vloer en samenstel.
KR100590409B1 (ko) 2005-10-04 2006-06-19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립식 건축용 바닥패널
KR100745471B1 (ko) 2006-12-26 2007-08-02 (주)건축사사무소예도세림 공동주택용 거실 층간 소음방지구조
DE202016100279U1 (de) * 2016-01-21 2017-04-24 Ardex Anlagen Gmbh Höhenverstellbares Stützlager
EP3337936B1 (en) 2016-02-25 2020-07-15 Isinnova S.r.l. System, method and ki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ITUB20161040A1 (it) * 2016-02-25 2017-08-25 Isinnova S R L Sistema modulare per la costruzione a secco di strutture portanti
ITUB20161053A1 (it) * 2016-02-25 2017-08-25 Isinnova S R L Sistema modulare per la costruzione a secco di strutture portanti
WO2017145108A1 (en) * 2016-02-25 2017-08-31 Isinnova S.R.L. System, method, kit and modular elemen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ITUB20161071A1 (it) * 2016-02-25 2017-08-25 Isinnova S R L Sistema modulare per la costruzione a secco di strutture portanti
ITUB20161075A1 (it) * 2016-02-25 2017-08-25 Isinnova S R L Sistema modulare per la costruzione a secco di strutture portanti
IT201600098004A1 (it) * 2016-09-29 2018-03-29 Isinnova S R L Sistema modulare per la costruzione a secco di strutture portanti
KR102115733B1 (ko) * 2018-06-11 2020-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396B2 (ja) * 1984-10-25 1985-09-21 則男 尾崎 下向通風式キユポラ火室床面上の投入装置
JPH0414594Y2 (ko) * 1986-04-08 1992-04-02
US4905437A (en) * 1988-04-21 1990-03-06 Cablefloor (Australia) Pty. Ltd. Floor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5184438A (en) * 1988-10-31 1993-02-09 Kabushiki Kaisha Toshiba Interior panel unit for permitting arrangement of cables and devices on room floor
JPH0414594A (ja) * 1990-04-30 1992-01-20 Maeda Corp トンネル構築工法
JPH0493460A (ja) * 1990-08-08 1992-03-26 Itooki:Kk 二重床用ボーダー材
EP0488312B1 (en) * 1990-11-29 1995-01-1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manufacturing system floor and floor base for system floor
JPH06117080A (ja) * 1992-10-08 1994-04-26 Toshiba Corp 押出し成形支柱
GB9507707D0 (en) * 1995-04-13 1995-05-31 Caveney Thomas M Flooring
DE69604538T2 (de) * 1995-07-14 2000-07-20 Hitachi Metals Techno Ltd Freizugänglicher Fussbod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86B1 (ko) * 2008-08-26 2009-10-06 (주)원광티에프에스 내진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악세스 플로어
KR20190057520A (ko) * 2017-11-20 2019-05-29 전명자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01165D0 (en) 1999-03-10
KR100469928B1 (ko) 2005-02-02
TW387028B (en) 2000-04-11
GB2330595B (en) 2001-03-14
GB2330595A (en) 1999-04-28
AU4687897A (en) 1998-02-20
HK1018296A1 (en) 1999-12-17
WO1998004795A1 (en) 1998-02-05
GB2330595A8 (en)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928B1 (ko) 지지부를 갖는 마루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H10252249A (ja) 二重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7437547B1 (ja) 天井構造
KR102669278B1 (ko) 건축물 외벽용 석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14105509A (ja) 床パネル
JP2001342735A (ja) 置敷二重床構造
JP2528500Y2 (ja) 二重床の構造
JP2616145B2 (ja) 床部材の連結用部材
JP2524646B2 (ja) フロアパネル
JP2591151B2 (ja) 床構成体
JPH10238083A (ja) 二重床パネル構造
JP2546042B2 (ja) 床部材の連結用部材
JP2589234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ーのアクセス路形成方法
JP2896171B2 (ja) フロアベース
JPH03107060A (ja) フロアベースユニット
JPH11131757A (ja) 床用枠材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床
JPH01207565A (ja) 配線床構造体
JPH02125063A (ja) システムフロア
JPH0830384B2 (ja) 床構造
JPS62291361A (ja) 床支持装置
JPH10219981A (ja) 二重床の架設床板
JP2000054606A (ja) 二重床及び二重床におけるベースの敷設方法
JPH07139140A (ja) アクセスフロア及び床パネル
JP2000054602A (ja) 補強台と複合床板
JPH02161060A (ja) Oa床のフロア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