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616A -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616A
KR20000017616A KR1019990036061A KR19990036061A KR20000017616A KR 20000017616 A KR20000017616 A KR 20000017616A KR 1019990036061 A KR1019990036061 A KR 1019990036061A KR 19990036061 A KR19990036061 A KR 19990036061A KR 20000017616 A KR20000017616 A KR 2000001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rea
nonvolatile memory
microcomputer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524B1 (ko
Inventor
다나카기이치
후루타노리아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0001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작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7)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에 대해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RAM 영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5)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는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전체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제1 영역 및 각 파일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파일의 개시 어드레스에 적어도 정보 및 파일의 사용 가능 공백 영역에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이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의 정상 동작 중에,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되는 관리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 또는 이 제1 영역에서 독출되지 않지만,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에 기록 또는 이 RAM 영역에서 독출되며;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전원(1)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관리 정보가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기록 및 재생 장치{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작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5에서,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배터리 등으로 형성된 전원(21), 승압기(22), 감결합 커패시터(34),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플래시 메모리(27), 마이크로컴퓨터(25), 디스플레이(33), 음성 신호 프로세서(28), 마이크로폰(31) 및 스피커(32)를 포함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28)는 압축 및 확장 제어기(29) 및 A/D 및 D/A 변환 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21)은 승압기(22)를 통해 전체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고정 전압(VDD)을 공급한다. 감결합 커패시터(34)는 부하 변화로 인한 고정 전압(VDD)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승압기(22)의 출력에 제공된다.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기록 키, 재생 키, 소거 키 및 정지 키와 같은 여러 개의 동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록 키가 작동된 때에는, 마이크로폰(31)에 의해 픽업된 음성이 A/D 및 D/A 변환 수단(30)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그 디지털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25)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27)에 기록되도록 압축 및 확장 제어기(29)의 압축 기능에 의해 압축된다. 반면에, 재생 키가 작동된 때에는, 플래시 메모리(27)에 기록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가 플레시 메모리(27)에서 독출된 후, 압축 및 확장 제어기(29)의 확장 기능에 의해 확장되도록 마이크로컴퓨터(25)에 의해 압축 및 확장 제어기(29)에 송달된다. 계속해서, 확장된 디지털 데이터는 A/D 및 D/A 변환 수단(30)에 의한 D/A 변환에 따라서 스피커(32)에 의해 재생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파일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파일의 개시 어드레스 등을 집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 테이블(이하 「FMT」라고 칭함) 영역(파일 관리 영역)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27)에 제공되어 플래시 메모리(27)의 데이터 영역내에 기록된 파일 정보를 관리한다.
플래시 메모리(27)가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파일 관리가 FMT의 보통 관리에 의해 수행되는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는, 이하의 결점이 초래된다. 즉, 배터리가 기록 중의 진동으로 인해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로부터 순간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기록 중인 데이터가 무효로 된다. 한편, 배터리가 FMT 영역의 재기록 중에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로부터 순간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전체 나머지 파일 정보도 또한 무효로 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기록 및 재생이 반복되는 경우, 소거 및 기록시의 손상이 FMT 영역에 집중되며, 그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27)의 서비스 수명이 극도로 짧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전술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전원의 전압 감소 또는 순간적인 차단시에도 기록된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플래시 메모리의 특정 부분으로의 빈번한 액세스를 제거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서비스 수명도 연장될 수 있는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 및 마이크로컴퓨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3a, 도 3b 및 도 3d의 플로우차트내의 서브루틴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종래 기술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종래 기술의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작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대해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RAM 영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전체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제1 영역 및 각 파일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은 파일의 개시 어드레스에 적어도 정보 및 파일의 사용 가능 공백 영역에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관리 테이블이고;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의 정상 동작 중에,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1 영역에 기록되는 관리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1 영역에 기록 또는 이 제1 영역에서 독출되지 않지만, 마이크로컴퓨터의 RAM 영역에 기록 또는 이 RAM 영역에서 독출되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전원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관리 정보가 마이크로컴퓨터의 RAM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의 제1 영역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의 전압 감소 또는 순간적인 차단이 발생할 때에도,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한 최후 관리 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적절히 기록되어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가 무효로 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휘발성 메모리의 특정 부분으로의 빈번한 액세스가 제거되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의 서비스 수명도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첨부하는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함에 유의하라.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및 재생 장치(K)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의 종래 기술의 기록 및 재생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및 재생 장치(K)는 배터리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전원(1), 승압기(2), 감결합 커패시터(14),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플래시 메모리(7), 마이크로컴퓨터(5), 디스플레이(13), 음성 신호 프로세서(8), 마이크로폰(11) 및 스피커(12)를 포함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8)는 플래시 메모리(7)에 디지탈화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 및 확장하는 압축 및 확장 제어기(9)와 A/D 및 D/A 변환을 실행하는 A/D 및 D/A 변환 수단(10)으로 구성되고, A/D 및 D/A 변환을 통해 음성을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 제공된다.
기록 및 재생 장치(K)는 보조 전원(3), 전압 검출기(4),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전원을 승압기(2)의 출력 및 보조 전원(3)의 출력중 하나로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 수단(6), 그리고 기록 키(15a), 재생 키(15b), 소거 키(15c) 및 정지 키(15d)와 같은 여러 개의 동작 스위치를 가지는 동작 패널(15)을 더 포함한다.
주 전원(1)은 승압기(2)를 통해 전체 기록 및 재생 장치(K)에 고정 전압(VDD)을 공급한다. 보조 전원(3)은 2차 배터리 등을 통합하고, 주 전원(1)이 기록 및 재생 장치(K)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을 때 보조 전원으로서 작용하도록 승압기(2)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다. 보조 전원(3)은 마이크로컴퓨터(5) 및 플래시 메모리(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압 검출기(4)는 주 전원(1)에 접속되어 주 전원(1)의 전압을 모니터하고 그 모니터 결과를 마이크로컴퓨터(5)에 출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5)는 예컨대, 전압 검출기(4)의 출력이 주 전원(1)의 전압 감소를 검출했을 때 전원 스위칭 수단(6)에 전원 스위칭 신호(5a)를 출력하는 명령을 발한다.
전원 스위칭 수단(6)은 마이크로컴퓨터(5)로부터 전원 스위칭 신호(5a)에 의해 제어되어 승압기(2)의 출력을 정상적으로 선택한다. 플래시 메모리(7)에 대한 기록, 독출 및 소거는 마이크로컴퓨터(5)에 의해 제어된다. 음성 신호 프로세서(8)로의 음성의 입력은 마이크로폰(11)에 의해 실행되지만, 음성 신호 프로세서(8)로부터의 음성의 출력은 스피커(12)에 의해 실행된다. 디스플레이(13)는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동작 상태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7)의 기록 및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공된다. 감결합 커패시터(14)는 부하 변화로 인한 고정 전압(VDD)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승압기(2)의 출력에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구조의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기록 키(15a)가 작동된 때에는, 마이크로폰(11)에 의해 픽업된 음성이 A/D 및 D/A 변환 수단(10)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그 디지털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5)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7)에 기록되도록 압축 및 확장 제어기(9)의 압축 기능에 의해 압축된다. 그 후, 재생 키(15b)가 작동된 때에는, 플래시 메모리(7)에 기록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가 마이크로컴퓨터(5)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7)에서 독출된 후, 압축 및 확장 제어기(9)의 확장 기능에 의해 확장되도록 압축 및 확장 제어기(9)에 송달된다. 계속해서, 확장된 디지털 데이터는 A/D 및 D/A 변환 수단(10)에 의한 D/A 변환에 따라서 스피커(12)에 의해 재생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후, 주 전원(1)을 형성하는 배터리 등이 기록 및 재생 장치(K) 등의 하강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차단되었을 때의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동작을 설명한다. 주 전원(1)이 순간적으로 차단되었을 때, 전원은 승압기(2)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승압기(2)의 출력도 또한 사라진다. 동시에, 전압 검출기(4)는 주 전원(1)의 전압 감소 상태를 검출하여 이 검출 결과를 마이크로컴퓨터(5)에 송신한다. 전압 검출기(4)에 의해 주 전원(1)의 전압 감소 상태를 검출할 때, 마이크로컴퓨터(5)는 전원 스위칭 수단(6)에 전원 스위칭 신호(5a)를 출력한다. 마이크로컴퓨터(5)로부터의 전원 스위칭 신호(5a)에 응답하여, 전원 스위칭 수단(6)은 주 전원(1)에 접속된 승압기(2)의 출력으로부터 보조 전원(3)의 출력으로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고정 전압(VDD)의 공급을 변화시킨다. 보조 전원(3)은 일반적으로 고정 전압(VDD)을 출력할 수 있도록 승압기(2)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다. 한편, 기록 및 재생 장치(K) 등의 하강으로 인한 주 전원(1)의 순간적인 차단에 추가하여, 주 전원(1)을 형성하는 배터리 등의 출력이 소모로 인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도 또한 주 전원(1)의 전압 감소의 검출이 유사하게 실행된다.
이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주 전원(1)의 순간적인 차단 또는 주 전원(1)을 형성하는 배터리 등의 소모로 인해 전압 감소가 발생할지라도,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고정 전압(VDD)은 안정될 수 있다. 한편, 기록 및 재생 장치(K)에서는, 전압 검출기(4)가 별개의 회로 소자로서 제공되지만, 마이크로컴퓨터(5)에 주어진 A/D 변환 기능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이하, 디지털 데이터가 마이크로컴퓨터(5)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7)에 대해 기록 및 재생될 때 플래시 메모리(7)의 파일 관리를 설명한다. 도 2의 상부는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마이크로컴퓨터(5) 및 플래시 메모리(7)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플래시 메모리(7)는 각각 최소 기록 단위로서 작용하는 섹터 No. 01의 집합으로 형성된다. 플래시 메모리(7)는 제1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파일 관리 영역 및 제2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섹터 No. 01로 형성되지만, 제2 영역은 섹터 No. 02 등으로 형성된다. 제2 영역은 데이터량에 따라서 복수의 섹터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파일(기록 데이터)로 구성된다.
제1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파일 관리 영역은 파일 관리 테이블(이하 「FMT」라고 칭함)로서 형성되고, 플래시 메모리(7)의 사용 가능 섹터중 선두 섹터, 즉, 섹터 No. 01에 제공된다. FMT는 도 2의 하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 가능 공백 영역 및 개시 어드레스에 대한 최소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 전체 플래시 메모리(7)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은 제1 파일 관리 테이블(이하 「FMT1」로 표시함)로 표시된다. 따라서, 도 2의 하부는 플래시 메모리(7)의 섹터 No. 01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의 하부에서, 「ADR」은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한편, 섹터 No. 02 등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는, 제2 파일 관리 테이블(이하 「FMT2」로 표시함)이 각 파일들의 섹터중 선두 섹터에 제공된다. 도 2의 수직 중앙부는 플래시 메모리(7)의 섹터 No. 07의 제2 파일 관리 테이블(FMT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의 수직 중앙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파일 관리 테이블(FMT2)은 각 파일의 섹터들에 대한 링크 정보로 주로 구성된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그러므로, 플래시 메모리(7)내에 형성된 파일 관리 테이블(FMT)은 제1 및 제2 파일 관리 테이블(FMT1, FMT2)로 분류된다.
한편, 도 2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5)는 RAM 영역 및 ROM 영역을 가진다. 편의상,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되는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이 RAM 영역에 제공되고,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파일 관리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과 동일한 방식으로 플래시 메모리(7)에 기록된 데이터의 각 파일의 사용 가능 공백 영역 및 개시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전체 플래시 메모리(7)의 관리 정보를 주로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이 관리 정보(FMT1)는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7)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될 때,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에 기록되는데 적합하다.
이하, 기록, 소거, 재생 및 전압 감소의 검출시에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동작을 파일 관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에서, 초기화가 실행되며, 여기에서 (1) 플래시 메모리(7)의 선두 섹터 No. 01에 배치된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파일 관리 영역이 초기화되고, (2)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공백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및 현재 공백 영역의 어드레스가 플래시 메모리(7)의 선두 섹터 No. 01 이후의 섹터에 설정되며, (3) 링크된 공백 영역이 없도록 설정되고, (4) 필요한 기록 기간,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7)가 제공된 기록 및 재생 장치(K)에 설정된 최대 기록 기간에 대응하는 영역이 확보된다.
이하, 키 입력 및 전압 감소를 검출하는 주 처리가 도 3a의 단계 S20, S2, S8 및 S14로 구성된다. 단계 S20은 주 전원(1)의 전압 감소가 주 전원(1)의 순간적인 차단 또는 배터리의 소모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 검출기(4)의 출력을 모니터함으로써 검출된 때 처리가 실행되는 도 4의 서브루틴이다. 이 서브루틴에서는, 먼저 단계 S23에서 전압 감소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에서 「NO」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흐름은 도 3a의 단계 S2로 진행한다. 반면에, 단계 S23에서 「YES」의 경우에는, 현재의 동작 예컨대, 기록 또는 재생이 단계 S24에서 종료된다. 그후, 단계 S25에서는, 전원 스위칭 신호(5a)가 전원 스위칭 수단(6)으로 출력되어, 승압기(2)의 출력으로부터 보조 전원(3)의 출력으로의 고정 전압(VDD)을 변화시킨다. 계속해서, 단계 S26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된 최종 관리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7)의 파일 관리 영역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되며, 마이크로컴퓨터(5)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내의 정보는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정보와 동등하다. 그후, 프로그램 흐름은 도 3a의 단계 S2로 진행한다.
이하, 단계 S2에서 기록 키(15a)가 입력된 것으로 밝혀진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도 3b의 단계 S3으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1」이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최종 파일의 수에 가산된다. 그후, 단계 S4에서, 기록 영역이 공백 영역의 선두 영역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확보된다. 공백 영역이 동시에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기록 영역은 링크된 공백 영역으로부터 확보된다. 계속해서, 단계 S5에서는, 음성 신호 프로세서(8)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및 링크 포인트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7)의 대응 섹터에 기록된다. 후속 단계 S21은 도 3a의 단계 S20과 동일하며, 여기에서 도 4의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전압 감소가 기록 중에도 검출된 경우, 그 때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된 최종 관리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7)의 파일 관리 영역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되며, 마이크로컴퓨터(5)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내의 정보는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정보와 동등하다. 계속해서, 단계 S6에서, 기록 종료 요구가 이루어졌는지, 즉, 정지 키(15d)의 동작, 후미단 등의 검출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6에서 「NO」의 경우, 섹터 어드레스는 단계 S7에서 갱신된 후, 프로그램 흐름은 기록이 계속되는 단계 S5로 복귀한다. 반대로, 단계 S6에서 「YES」의 경우, 기록 동작은 종료되고, 프로그램 흐름은 도 3a의 단계 S20으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S2에서 「NO」의 경우, 단계 S8에서 소거 키(15c)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8에서 「YES」의 경우, 도 3c의 단계 S9에서 파일이 완전히 소거되었는지, 즉, 파일이 완전히 또는 개별적으로 소거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9에서 「YES」의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단계 S12로 진행하여, 여기에서 공백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가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영역(FMT1)에 설정된다. 그후, 「1」이 단계 S13에서 현재의 공백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에 가산된 후, 프로그램 흐름은 도 3a의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단계 S9에서 「NO」의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여기에서 소거될 대응 파일의 링크 정보가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링크된 공백 영역의 종료부에 부가된다. 계속해서, 「1」이 단계 S11에서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최종 파일의 수에서 감산되어,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의 데이터를 갱신한 후, 프로그램 흐름은 도 3a의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단계 S8에서 「NO」의 경우, 재생 키(15b)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4에서 「YES」의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도 3d의 단계 S15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재생 개시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가 대응 파일로부터 인출된다. 그후, 단계 S16에서,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7)로부터 독출되고, 데이터의 하나의 섹터가 음성 신호 프로세서(8)에 의해 재생된다. 후속 단계 S22는 도 4의 처리가 실행되는 도 3a의 단계 S20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전압 감소가 재생 중에도 검출된 경우,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된 최종 관리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7)의 파일 관리 영역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에 기록되며, 마이크로컴퓨터(5)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내의 정보는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과 동등하다. 그후, 단계 S17에서, 재생 종료 요구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7에서 「NO」의 경우, 섹터 어드레스가 단계 S18에서 갱신된 후, 프로그램 흐름은 재생이 계속되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단계 S17에서 「YES」의 경우, 재생은 종료되고 프로그램 흐름은 도 3a의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4에서 「NO」의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단계 S20을 직접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7)의 데이터 영역에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의 정상 동작 중에, 관리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서 독출되지도 거기에 기록되지도 않지만,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로부터만 독출 및 거기에 기록된다. 한편, 주 전원(1)의 전압 감소시에,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된 내용은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 기록된다. 따라서, 관리 정보가 플래시 메모리(7)의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에서 독출 및 거기에 기록되고, 매시간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7)의 데이터 영역에 대해 기록 및 재생되는 동작, 즉, 플래시 메모리(7)의 특정 부분으로의 빈번한 접속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7)의 서비스 수명이 플래시 메모리(7)의 섹터의 사용의 빈도를 균등화시킴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관리 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서 독출 및 거기에 기록되고, 매시간 데이터가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대해 기록 및 재생되는 동작, 즉, 비휘발성 메모리의 특정 부분으로의 빈번한 접속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의 서비스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그러한 현저한 효과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최종 관리 정보가 전원의 순간적인 차단 또는 전압 감소시에도 비휘발성 메모리의 파일 관리 테이블에 적절하게 및 명확하게 기록되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가 무효화되지 않는 경우 얻어질 수 있다.

Claims (7)

  1.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작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7)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에 대해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RAM 영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5)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는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전체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제1 영역 및 각 파일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파일의 개시 어드레스에 적어도 정보 및 파일의 사용 가능 공백 영역에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이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2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의 정상 동작 중에,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되는 관리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 또는 이 제1 영역에서 독출되지 않지만,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에 기록 또는 이 RAM 영역에서 독출되며;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전원(1)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관리 정보가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으로부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사용 가능 선두 섹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의 파일 관리 테이블은 제1 파일 관리 테이블(FMT1)로서 작용하는 반면에,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각 파일의 링크 정보에 의해 형성된 추가의 파일 관리 테이블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2 영역에 데이터의 각 파일을 형성하는 섹터중 선두 섹터에 기록되고 제2 파일 관리 테이블(FMT2)로서 작용하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는 상기 제1 및 제2 파일 관리 테이블(FMT1, FMT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4.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작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7)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에 대해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RAM 영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5)와;
    주 전원(1)과;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전원(3)과;
    상기 주 전원(1)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에 출력하는 전압 검출기(4)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전원을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에서 상기 보조 전원(3)의 출력으로 스위칭시키는 전원 스위칭 수단(6)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변환을 실행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에 대해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신호 프로세서(8)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검출기(4)가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이 소정 레벨 미만임을 검출할 때, 상기 전원 스위칭 수단(6)이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전원을 정상 동작 중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주 전원의 출력에서 상기 보조 전원(3)의 출력으로 스위치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5.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작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7)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에 대해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RAM 영역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5)와;
    주 전원(1)과;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 전원(3)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전원을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에서 상기 보조 전원(3)의 출력으로 스위칭시키는 전원 스위칭 수단(6)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변환을 실행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에 대해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신호 프로세서(8)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전체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제1 영역 및 각 파일들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파일들의 사용 가능 공백 영역상의 정보 및 상기 파일들의 개시 어드레스상에 최소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관리 테이블(FMT1)이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2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의 정상 동작 중에,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될 관리 정보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으로부터 독출되지도 이 제1 영역에 기록되지도 않지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에서 독출 및 이 RAM 영역에 기록되며;
    상기 주 전원(1)의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전원 스위칭 수단(6)은 기록 및 재생 장치(K)의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로부터의 명령(5a)에 응답하여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에서 상기 보조 전원(3)의 출력으로 변경하고,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에 기록되는 관리 정보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의 RAM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7)의 제1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원(1)은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을 승압시키는 승압기(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원(1)은 상기 주 전원(1)의 출력을 승압시키는 승압기(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 장치(K).
KR1019990036061A 1998-08-31 1999-08-28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332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44896 1998-08-31
JP24489698A JP3239854B2 (ja) 1998-08-31 1998-08-31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16A true KR20000017616A (ko) 2000-03-25
KR100332524B1 KR100332524B1 (ko) 2002-04-17

Family

ID=1712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061A KR100332524B1 (ko) 1998-08-31 1999-08-28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84455A1 (ko)
JP (1) JP3239854B2 (ko)
KR (1) KR100332524B1 (ko)
CN (1) CN1121037C (ko)
TW (1) TW440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8525A1 (en) * 2000-05-18 2001-11-28 STMicroelectronics S.r.l. Voice message managing method, in particular for voice data recording/playing/editing electronic devices
AUPR181800A0 (en) * 2000-11-30 2001-01-04 Mee, Anthony John A display device
KR20040028469A (ko)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US7233550B2 (en) 2002-09-30 2007-06-19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ATE462184T1 (de) 2002-12-11 2010-04-15 Lg Electronics Inc Überschreibverfahren und informationsaufzeichnungsverfahren für eine einmalig beschreibbare optische diskette
US7355934B2 (en) 2003-01-27 2008-04-08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c
TWI334595B (en) 2003-01-27 2010-12-1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on an optical disc
EP2068322A3 (en) 2003-05-09 2009-09-23 LG Electronics Inc. Write 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isc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write once optical disc
MXPA05012044A (es) 2003-05-09 2006-02-03 Lg Electronics Inc Disco optico de una sola escritura, metodo y aparato par recuperacion de informacion de administracion de disco del disco optico de una sola escritura.
US7313065B2 (en) 2003-08-05 2007-12-25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KR101024916B1 (ko) * 2004-03-19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장치
JP4496938B2 (ja) * 2004-11-26 2010-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書き込み回路、携帯型情報端末及び不揮発性メモリ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JP4682725B2 (ja) * 2005-07-11 2011-05-11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情報端末
US7411757B2 (en) * 2006-07-27 2008-08-12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Disk drive with nonvolatile memory having multiple modes of operation
JP4472010B2 (ja) * 2006-08-09 2010-06-02 株式会社日立超エル・エス・アイ・システムズ 記憶装置
JP2008059007A (ja) * 2006-08-29 2008-03-13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JP5638892B2 (ja) * 2010-09-17 2014-12-1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JP6019678B2 (ja) * 2012-04-03 2016-11-0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端末装置
WO2014081719A1 (en) * 2012-11-20 2014-05-30 Peddle Charles I Solid state drive architectur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062B2 (ja) * 1994-11-22 1998-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H09284707A (ja) * 1996-04-12 1997-10-31 Sony Corp 記録装置
US6572819B1 (en) * 1996-06-28 2003-06-03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Instrument sterilization container having improved drainage and support for an instrument mat
KR100287366B1 (ko) * 1997-11-24 2001-04-16 윤순조 엠피이지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9854B2 (ja) 2001-12-17
CN1121037C (zh) 2003-09-10
CN1246707A (zh) 2000-03-08
KR100332524B1 (ko) 2002-04-17
TW440815B (en) 2001-06-16
JP2000076148A (ja) 2000-03-14
EP0984455A1 (en) 200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2524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US6269434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a nonvolatile memory which includes a first area for file management tables and a second area for data and a control unit
US6882493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eras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restoration when power supply malfunction occurs during recording or erasing
JP3593814B2 (ja) 記録再生装置
US7787339B2 (en) Reproducing position control circuit and reproducing system
JP2001236095A (ja) 音声記録装置
KR100740225B1 (ko) 전원의 재공급에 따른 동작상태를 복구할 수 있는 콤보시스템 및 방법
US7099562B1 (en)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KR100960194B1 (ko) 멀티소스오디오장치용 백업시스템
JPH1165941A (ja) 記憶装置
JP3948062B2 (ja) 記憶装置
JPH11203828A (ja) 記録装置
JP4058776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0307987A (ja)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4374728B2 (ja) 情報再生装置
JPH10124404A (ja) 記録再生装置
JP417856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368202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502711B1 (ko) 휴대용 정보 기록재생장치의 기록 데이터 복구방법
JP2004094625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5313725A (ja) 車載用機器及び車載用機器の電源回路
JP2003091438A (ja) 情報再配置装置、情報再配置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1013997A (ja) 録音再生装置
JPH08305504A (ja) 固体記録再生装置
JPH06131894A (ja) 音声録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