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457A -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457A
KR20000017457A KR1019990034959A KR19990034959A KR20000017457A KR 20000017457 A KR20000017457 A KR 20000017457A KR 1019990034959 A KR1019990034959 A KR 1019990034959A KR 19990034959 A KR19990034959 A KR 19990034959A KR 20000017457 A KR20000017457 A KR 2000001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audio
encoding
en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262B1 (ko
Inventor
도미타요시노리
이시츠카시게키
우에노가츠히코
오노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1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상기 엔코드된 MPEG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MPEG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I화상을 발생하기 위해서 프레임내 엔코딩 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는 I화상 발생수단, 및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이 되게 하고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화상이 엔코드된 화상으로서 복제되게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P화상 또는 B화상을 발생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I화상, 상기 P화상 혹은 B화상, 및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카메라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Digital camera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영된 정지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로피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디지털 화상정보를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일반화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한 화상을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화상신호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화상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디지털 카메라는 정지화상뿐만 아니라 동화상도 기록할 수 있다.
정지화상을 압축하기 위한 형식인 JPEG(정지화상 전문가 그룹) 형식 및 MPEG(동화상 전문가 그룹)은 ISO에 의해 채택된 범용 엔코딩 형식이다. 이들 형식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 적합하므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JPEG 형식에서, 컬러 정지화상은 DCT(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에 의해 압축-엔코드된다. 계수 데이터는 양자화된다. 양자화된 출력은 가변길이 부호로 엔코드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MPEG 형식에서는 컬러 동화상이 압축-엔코드된다. 즉, 입력된 화상과 움직임 보상된 예측 화상간 프레임 차이가 DCT 방법에 의해 압축-엔코드된다. 디지털 카메라가 정지화상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을 때, 정지화상의 메모는 오디오 신호로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JPEG 형식은 정지화상의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정지화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는 동시에 기록되어 전송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다른 정지화상 형식(GIF, TIFF, BMP, 등)에서, 정지화상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는 동시에 기록되어 전송될 수 없다. 정지화상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동시에 기록하여 전송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공지되어 있어도(예를 들면 Exif V.20), 일반적이지 않다.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데이터가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형식으로 생성될지라도,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쉽게 이용할 수 없다.
MPEG 형식에는 3가지 유형의 화상으로서 I 화상(내 부호화된 화상), P 화상(예측 부호화된 화상), 및 B 화상(양방향 예측 부호화된 화상)이 있다.
MPEG 형식에서, P화상 혹은 B화상이 처리될 때, 이들 화상은 프레임간 움직임 보상 예측 처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엔코더/디코더의 회로 규모가 커지게 되고 소프트웨어 처리단계 수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소형, 경량의 저렴한 기록/재생 장치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지 I화상만으로 구성된 MPEG 스트림을 발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MPEGI(ISO-1172-2) 표준은 최소 프레임 속도가 23.97MHz임을 정하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 속도의 제약 때문에 P화상 혹은 B화상 없이 I화상만으로 구성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규모 및 처리단계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MPEG형식에 대응하는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범용 형식인 MPEG 형식에서 정지화상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엔코드하는 카메라 장치 및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화상 신호를 MPEG 형식으로 정지화상을 JPEG 형식으로 엔코드하는 엔코더/디코더의 구조를 단순화되게 하는 카메라 장치 및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된 정지화상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동시에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 및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크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딩 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딩 장치의 출력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동작에서 엔코딩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에서 엔코딩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엔코더/디코더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부 2 : CCD
4 : 카메라 신호 처리부 5 : 메모리 제어기
6 : 버퍼 메모리 7, 19 : D/A 변환기
8 : LCD 9 : DRAM
10 : 인터페이스 11 : 외부 저장 매체
12 : CPU 13 : 조작 및 입력부
15 : 엔코더/디코더 16 : 마이크
17 : 증폭기 18 : A/D 변환기
20 : 증폭기 21 : 스피커
24 : I화상 엔코더 26 : MPEG 오디오 엔코더
27 : P/B 화상 발생기 28 : MPEG 시스템 엔코더
32 : DCT부 33 : 주사부
34a, 34b : 양자화부 36a, 36b : 허프만 테이블
37a, 37b : 헤더 가산부
상기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촬영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상기 엔코드된 MPEG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MPEG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I화상을 발생하기 위해서 프레임내 엔코딩 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는 I화상 발생수단; 및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이 되게 하고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화상이 엔코드된 화상으로서 복제되게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P화상 또는 B화상을 발생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I화상, 상기 P화상 혹은 B화상, 및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카메라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여 이 엔코드된 신호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제1 엔코딩 방법 혹은 제2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여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제2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발생하는 비디오 엔코딩 수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처리를 제어하며, 선택된 기록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엔코딩 방법 혹은 상기 제2 엔코딩 방법을 선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비디오 데이터만을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2 엔코딩 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상기 엔코드된 MPEG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MPEG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I화상을 발생하기 위해서 프레임내 엔코딩 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는 단계;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이 되게 하고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화상이 엔코드된 화상으로서 복제되게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P화상 또는 B화상을 발생하는 단계;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단계;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I화상, 상기 P화상 혹은 B화상, 및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여 이 엔코드된 신호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에 있어서, 제1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만을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3 특징에 따라,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처리가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하드웨어 규모 및 소프트웨어 처리단계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MPEG 형식 혹은 그에 상당하는 형식으로 엔코드된 출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엔코드된 출력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쉽게 사용될 수 있다. 소규모의 하드웨어 혹은 적은 수의 소프트웨어 처리단계로, 디지털 정지 카메라의 기능으로서, 동화상 기록기능은 정지화상 기록 기능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발생되는 부호량이 작기 때문에, 촬영된 동화상은 외부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및 제4 특징에 따라, 정지화상 및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기록하는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로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이 기록될 때, 정지화상만이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응용에 대응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의 모드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정지화상,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및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촬영부는 렌즈부(1) 및 CCD(전하 결합 소자)(2)로 구성된다. 제어신호는 CPU(12)에서 렌즈부(1)로 공급된다. 렌즈부(1)에서, 자동 조리개 제어동작 및 자동 초점 제어동작은 CPU(12)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CCD(2)는 촬영모드 및 라인 성김(thin-out) 모드(E-E 모드라 함)를 갖는다. 촬영모드에서는 모든 화소가 읽혀진다. 라인 성김 모드에서는 라인수가 3만큼 성기게 된다. CCD(2)는 CPU(12)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모드와 라인 성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CCD(2)의 화소수는 XGA(확장 그래픽스 어레이)에 대응하여 1034 x 768이다.
다음에, CCD(2)의 실제 동작을 기술한다. 정지화상 촬영모드에서, 신호 전기전하는 혼합되지 않고 포토센서로부터 수직 전하 전송 레지스터로 직접 읽혀진다. 모든 화소의 신호 전기전하는 연속해서 수평 전하 전송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E-E 모드 혹은 동화상 촬영모드에서(후술함)는 포토센서의 신호 전기전하가 전송 게이트로 공급되는 라인 수가 분할되기 때문에, 라인수는 예를 들면 3만큼 성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라인수를 성기게 하는 고체상태 이미지 픽업소자(CCD로 한정되지 않음), 수평방향으로 화소수를 성기게 하는 고체상태 이미지 픽업 소자, 혹은 수직 방향으로 라인수를 성기게 하며 수평방향으로 화소수를 성기게 하는 고체상태 이미지 픽업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E-E 모드에서,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는 메모리(DRAM(9))에 저장되지 않고 표시부(LCD(8))에 표시된다. E-E 모드에서, 화상이 촬영될 때, 사용자는 시야각을 설정한다. 더욱이, E-E 모드에서, 초점, 노출, 및 화이트 밸랜스가 적절히 조정된다. 즉, 셔터버튼을 누르기 전에 사용자가 피사체를 체크하는 상태가 E-E 모드이다. E-E 모드에서, 촬영된 1024 x 256화소의 신호가 CCD(2)로부터 얻어진다. 예를 들면,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초당 16.67 프레임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E-E 모드에서는 초당 50 프레임의 촬영된 신호가 출력된다.
CCD(2)의 출력신호는 샘플 홀드 및 A/D 변환부(3)에 공급된다. 샘플홀드 및 A/D 변환부(3)는 샘플당 10비트의 디지털 촬영된 신호를 발생한다. 샘플 및 A/D 변환부(3)는 잡음을 제거하고 파형을 잘라내고, 결함이 있는 화소를 보상하기 위해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로 구성된다.
디지털 촬영된 신호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4)에 공급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4)는 디지털 클램핑 회로, 휘도 신호 처리회로, 컬러 신호 처리회호, 윤곽 보상회로, 결함 보상회로, 자동 조리개 제어회로, 자동초점 제어회로, 자동 화이트 밸랜스 보상회로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4)는 RGB 신호를 변환하는 디지털 성분신호(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구성된)를 발생한다.
디지털 촬영된 신호의 성분은 카메라 신호 처리부(4)에서 메모리 제어기(5)로 공급된다. 메모리 제어기(5)는 표시 버퍼 메모리(6) 및 CPU(12)의 버스(14)로 공급된다. 버퍼 메모리(6)는 성분 신호를 처리하고, RGB 신호를 발생하여, D/A 변환기(7)에 RGB 신호를 출력한다. D/A 변환기(7)는 아날로그 신호를 LCD(8)에 공급한다. 버퍼 메모리(6)는 RGB 신호를 LCD(8)의 표시 타이밍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출력한다.
버스(14)는 DRAM(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9), CPU(12), 엔코더/디코더(15), 및 인터페이스(10)에 접속된다. DRAM(9)은 메모리 제어기(5) 혹은 CPU(12)로부터 각각 수신된 주소 신호 혹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메모리 제어기(5)는 화소크기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화소수를 변환하는 화소수 변환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카메라로, 화상은 화상형식 XGA, VGA(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640 x 480 화소), CIF(공통 중간 형식: 320 x 240 화소), 및 QCIF(쿼터 CIF: 160 x 120 화소) 중 하나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MPEG 형식의 각각의 매크로 블록의 크기는 16 x 16화소이기 때문에, 화상형식 QCIF의 화상은 160 x 112 화소로 구성된다. 즉, 화상형식 QCIF의 화상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제거된다. 화상형식 XGA에서, CCD(2)의 촬영된 신호는 직접 기록된다. 화상 형식 XGA 및 VGA는 정지화상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화상형식 CIF는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화상형식 CIF 및 QCIF는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엔코더/디코더(15)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엔코드) 혹은 압축해제(디코드)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이 처리될 때, JPEG(정지화상 전문가 그룹) 형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동화상이 처리될 때, MPEG(동화상 전문가 그룹) 형식이 사용된다. 엔코더/디코더(15)는 두 엔코딩 형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제로, 동화상을 압축하기 위한 형식으로서, MPEG1 형식이 사용된다.
MPEG1 형식에서, I화상, P화상, 및 B화상인 3가지 유형이 있다. I화상이 엔코드될 때, 이의 정보만이 사용된다. 따라서, I화상은 이의 정보만으로 디코드될 수 있다. P화상이 엔코드될 때, 예측화상(즉 차이를 얻기 위한 기준화상)으로서, 시간적으로 현재의 P화상 전에 디코드된 I화상이 사용된다. 대안으로, P화상은 이의 정보만으로 엔코드된다. P화상이 엔코드될 때, 이들 엔코딩 처리 중 하나가 유효한 것 중 어느 것이든 각각의 매크로 블록에 대해 선택된다. B화상이 엔코드될 때, 시간적으로 현재의 B화상 전의 예측화상으로서 디코드된 I화상 혹은 P화상, 시간적으로 현재의 B화상 다음의 예측화상으로서 디코드된 I화상 혹은 P화상, 혹은 이들 예측화상의 보간된 화상이 사용된다. 대안으로, B화상은 이의 정보만으로 엔코드된다. 4개의 엔코딩 처리 중 하나가 가장 유효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각각의 매크로 블록에 대해 선택된다.
따라서, 내 매크로 블록(프레임 내 정보만으로 엔코드된), 미래의 매크로 블록이 과거의 매크로 블록으로 예측되는 순방향 프레임간 예측 매크로 블록, 과거의 매크로 블록이 미래의 매크로 블록으로 예측되는 역방향 프레임간 예측 매크로 블록, 및 현재의 매크로 블록이 미래의 매크로 블록과 과거의 매크로 블록으로 예측되는 보간 프레임간 예측 매크로 블록이라는 4가지 유형의 매크로 블록이 있다. I화상의 모든 매크로 블록은 내 매크로 블록이다. P화상은 내 매크로 블록 및 순방향 프레임간 예측 매크로 블록을 포함한다. B화상은 4가지 유형의 매크로 블록 모두를 포함한다.
MPEG1 형식에서, DCT 처리는 (8 x 8 화소)로 구성된 각각의 블록마다 수행된다. 매크로 블록은 4개의 휘도(Y) 블록과 3개의 색차(Cb 및 Cr) 블록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층은 소정 개수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성된다. 화상층은 복수의 슬라이스층으로 구성된다. 매크로 블록층은 매크로 블록유형을 나타내는 부호, 매크로 블록 주소의 증가, 움직임 벡터의 수평 및 수직 성분을 나타내는 부호, 현재의 6개의 매크로 블록이 계수를 갖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 등을 포함한다. MPEG1 형식은 슬라이스의 첫 번째 매크로 블록과 마지막 매크로 블록은 스킵될 수 없다는 것을 정하고 있다. 슬라이스층은 현재의 슬라이스층의 시작을 나타내는 부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혹은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이 기록될 때, 비디오 데이터는 MPEG 형식으로 엔코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엔코더/디코더(15)는 발생되는 부호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 처리를 생략하고 MPEG 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10)는 외부의 저장매체(11)와 CPU(12)간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의 저장매체의 예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및 메모리 카드이다. 조작신호는 조작 및 입력부로부터 CPU(12)로 공급된다. 조작 및 입력부(13)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셔터버튼 및 여러 가지 스위치를 포함한다. 더욱이, 조작 및 입력부(13)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기록) 모드 스위치 및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화상의 크기를 지정하는 화상 크기 스위치를 포함한다. 조작 및 입력부(13)는 각각의 버튼 및 각각의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를 조작신호로서 CPU(12)에 공급한다. 셔터속도 및 조리개는 피사체 및 촬영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설정된다.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모드뿐만 아니라 복수의 촬영모드를 가질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로 화상을 촬영할 때, CCD(2)는 E-E 모드로 설정된다. E-E 모드에서, 시야각이 설정된다. 더욱이, E-E 모드에서, 초점 및 노출이 적절히 설정된다. E-E 모드에서, CCD(2)는 렌즈부(1)를 통해 초점이 맞추어진 화상신호가 수직방향으로 3만큼 성긴 촬영된 신호(1024 x 256 화소)를 출력한다. 촬영된 신호는 S/H 및 H/D 변환부(3)를 통해 카메라 신호 처리부(4)로 공급된다. 디지털 성분신호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4)에서 메모리 제어기(5)로 공급된다. 촬영된 신호는 메모리 제어기(5)를 통해 버퍼 메모리에 기입된다. 촬영된 신호는 LCD(8)의 표시 타이밍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읽혀져 D/A 변환기(7)에 공급된다. D/A 변환기(7)는 디지털신호로서 촬영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LCD(8)에 표시된다. 이 때, 디지털 카메라는 버퍼 메모리(6)에 기입된 1024 x 256 화소의 영역으로부터 960 x 240 화소를 잘라내고, 2배속으로 버퍼 메모리(6)로부터 상기 잘라낸 영역의 데이터를 읽어, 버퍼 메모리(6)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LCD(8)에 표시한다.
다음에, 셔터버튼을 눌렀을 때, 화상이 촬영된다. 촬영모드로서 정지화상 촬영모드(화상형식 XGA 혹은 VGA로)에서, 셔터버튼을 눌렀을 때, 디지털 카메라는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정지화상 촬영모드에 놓이게 된다. 정지화상 촬영모드에서, CPU(12)는 CCD(2)가 촬영모드에서 동작되게 한다. 따라서, CCD(2)는 고해상도 화상(화상형식 XGA)을 초당 10프레임의 속도로 출력한다. 메모리 제어기(5)의 제어하에서, 촬영된 화상(원화상 데이터(화상형식 XGA 혹은 VGA)은 DRAM(9)에 직접 저장된다.
원화상 데이터가 DRAM(9)에 저장될 때, CPU(12)의 제어하에서, 원화상 데이터는 엔코더/디코더(15)에 의해서 압축된다. 압축된 화상 데이터(JPEG 데이터)는 DRAM(9)에 저장된다. 이 경우, JPEG 데이터는 원화상 데이터의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저장된다. 그후, CPU(12)의 제어하에서, JPEG 데이터는 DRAM(9)으로부터 읽혀진다. JPEG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0)을 통해서 외부 저장매체(11)(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의 특정 영역에 기입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된 정지화상 혹은 촬영된 동화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트리거로서, 셔터버튼이 눌려졌을 때, 오디오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기간 동안에 기록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6은 마이크이다.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16)에서 A/D 변환기(18)로 증폭기(17)를 통해 공급된다. A/D 변환기(18)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샘플된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32KHz의 주파수로 오디오 신호를 샘플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18)로부터 메모리 제어기(5)로 공급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제어기(5)의 버퍼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된다.
CPU(12)는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버퍼 메모리의 내용을 읽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MPEG 오디오 레이어2 형식(ISO 1172-3)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압축한다. MPEG 오디오 레이어2 형식으로 엔코딩하는 처리는 서브대역 엔코딩처리, 스케일링 처리, 및 비트할당 처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엔코딩 처리는 MPEG 오디오 레이어1 형식 혹은 MPEG 오디오 레이어3 형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압축처리에 의해 발생된 MPEG 오디오 스트림은 DRAM(9)에 기입된다. MPEG 오디오 스트림이 DRAM(9)에 기입될 때, CPU(12)의 제어하에서, MPEG 오디오 스트림 및 MPEG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처리가 수행되고 결과적인 스트림은 DRAM(9)에 시스템 스트림으로서 기입된다. DRAM(9)으로부터 읽혀진 시스템 스트림은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와 같은 인터페이스(10)를 통해 범용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외부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모드에서, 셔터버튼을 눌렀을 때, 디지털 카메라는 동화상을 촬영하는 동화상 촬영모드에 놓이게 된다. 동화상 촬영모드에서, CCD(2)는 상기 기술된 정지화상 촬영모드와는 달리 E-E 모드에서 동작한다. CCD(2)는 라인수가 3만큼 성긴 촬영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은 동화상 촬영모드에서, 화상의 움직임을 추종하고 화상 데이터의 양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동화상 촬영모드에서, 셔터버튼을 눌렀을 때, 화상들은 소정의 시간기간(예를 들면, 5초)의 간격으로 촬영된다. 그러나, 셔터버튼의 조작으로, 동화상을 촬영하는 시간기간은 늘어날 수 있다.
동화상 촬영모드에서, 화상형식 CIF 및 QCIF 중 하나가 화상크기로서 설정된다. 메모리 제어기(5)는 선택된 크기에 대응하는 화소수 변환처리를 수행한다. 엔코드/디코더(15)는 메모리 제어기(5)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한다. 압축된 화상 데이터(MPEG 데이터)는 DRAM(9)에 저장된다. 화상 압축처리 및 화상 저장처리가 완료된 후에, 정지화상 촬영모드에서처럼, CPU(12)의 제어 하에, MPEG 데이터는 외부 저장매체(11)의 소정의 영역에 기입된다. 예를 들면, 화상형식(화상크기) CIF에서, 15초의 동화상은 하나의 플로피 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화상형식 QCIF에서, 60초의 동화상이 하나의 플로피 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정지화상(화상형식 XGA 혹은 VGA에서)이 외부 저장매체(11)로부터 재생될 때, CPU(12)는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11)로부터 JPEG 데이터를 읽는다. 엔코더/디코더(15)는 JPEG 데이터를 압축해제한다. CPU(12)는 압축해제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DRAM(9)에 기입한다. 메모리 제어기(5)는 DRAM(9)으로부터 정지화상 데이터를 읽는다. 정지화상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6)에 전송되어 LCD(8)에 표시된다. 이 경우, 메모리 제어기(5)는 정지화상의 화소수를 변환한다. 따라서, 재생된 화상은 E-E 모드와 동일한 화소수로 표시된다.
동화상이 외부 저장매체(11)로부터 재생될 때, CPU(12)는 플로피 디스크로부터 DRAM(9)에 읽혀진 MPEG 데이터(동화상 파일)를 기입한다. CPU(12)는 MPEG 형식으로 DRAM(9)으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엔코더/디코더(15)로 하여금 압축해제하게 한다. 메모리 제어기(5)는 기록된 화상의 크기에 대응하는 압축해제된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변환한다. 결과적인 데이터는 LCD(8) 상에 표시된다. 동화상(화상형식 CIF 혹은 QCIF)이 재생되어 표시될 때, 감소된 크기의 동화상이 LCD(8)에 표시된다.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과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재생될 때, CPU(12)는 외부 저장매체(11)로부터 DRAM(9)에 재생된 시스템 스트림을 저장한다. CPU(12)는 DRAM(9)으로부터 읽은 시스템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MPEG 오디오 형식으로 디코드한다. 결과적인 오디오 스트림은 메모리 제어기(5)의 버퍼 메모리로 전송된다. D/A 변환기(19)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결과적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1)에 의해 증폭기(20)를 통해 재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지화상이 촬영될 때, 원화상 데이터는 DRAM(9)에 저장된다. 그후, 엔코더/디코더(15)는 화상 데이터를 JPEG 형식으로 압축하고 결과적인 데이터를 JPEG 데이터로서 DRAM(9)의 다른 영역에 저장한다. 그후, 디지털 카메라는 JPEG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11)에 저장한다. 동화상이 촬영될 때, 디지털 카메라는 하나의 촬영된 화상을 DRAM(9)의 작업영역에 저장한다. 엔코더/디코더(15)는 화상을 MPEG1 형식으로 압축한다. MPEG 데이터로서 결과적으로 압축된 데이터는 DRAM(9)의 다른 영역에 저장된다. 이 처리는 동화상의 각각의 프레임마다 수행된다. 디지털 카메라는 MPEG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11)에 저장한다. 동화상이 촬영될 때, 오디오가 동화상과 함께 기록되는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디지털 카메라는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정지화상이 촬영될 때, 셔터버튼이 눌려진 후 혹은 셔터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 소정 시간기간 동안 오디오 신호로, 디지털 카메라는 MPEG 오디오 스트림을 발생한다. 더욱이, 디지털 카메라는 MPEG 오디오 스트림 및 정지화상의 MPEG 비디오 스트림이 멀티플렉스된 시스템 스트림을 DRAM(9)에 기입하고 또한 시스템 스트림을 외부 저장매체(11)에 기록한다.
다음에,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을 기술한다. 촬영모드에서 CCD(2)에 의해 촬영된 고해상도(화상포맷 XGA 혹은 VGA)의 하나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는 DRAM(9)에 저장된다. CPU(12)는 DRAM(9)으로부터 원화상 데이터를 읽어,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변환하여, 화상형식 CIF의 감소된 화상을 발생한다. 엔코더/디코더(15)는 감소된 화상을 MPEG 형식으로 압축한다. 엔코더/디코더(15)는 원래의 감소된 화상으로 I화상을 발생하여 DRAM(9)에 기입한다.
I화상 다음에, P 혹은 B화상으로서 고정된 데이터를 스트림 내에 둔다. 고정된 데이터는 하나의 전체 프레임의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임을 나타낸다. 더욱이, 고정된 데이터는 선행 프레임의 예측 부호를 나타낸다. P화상 혹은 B화상의 시간기간은 오디오 신호의 시간기간과 거의 같다. 이러한 비디오 스트림이 디코드되어 표시될 때, 선행 프레임의 화상이 복제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맹백하게, P화상 혹은 B화상의 시간기간 동안, 정지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셔터버튼이 트리거로서 눌려진 후 소정의 시간기간 동안(예를 들면, 셔터버펀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16), 증폭기(17), 및 A/D 변환기(18)를 통해 메모리 제어기(5)의 버퍼 메모리에 공급된다. CPU(12)는 MPEG 오디오 스트림을 발생하기 위해서 MPEG 오디오 형식에 대응하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엔코드한다.
CPU(12)는 MPEG 비디오 스트림 및 MPEG 오디오 스트림을 멀티플렉스하여 결과적인 스트림을 MPEG 시스템 스트림으로서 멀티플렉스한다. CPU(12)는 MPEG 시스템 스트림을 DRAM(9)의 기록 데이터 영역에 저장한다. DRAM(9)의 기록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시스템 스트림은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에 기록된다.
MPEG 시스템 스트림이 외부 저장매체(11)에 기록된 후, CPU(12)는 원화상 데이터(화상형식 XGA 혹은 VGA)를 DRAM(9)으로부터 읽고 엔코더/디코더로 하여금 원화상 데이터를 JPEG 형식으로 압축하게 한다. 그후, CPU(12)는 JPEG 정지화상을 DRAM(9)의 기록 데이터 영역에 재기입한다. DRAM(9)의 기록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정지화상 스트림은 인터페이스(10)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11)(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에 기록된다. 따라서,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에서, 정지화상만을 포함하는 JPEG 파일 및 I화상(정지화상과 동시에 촬영된) 및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MPEG 파일이 동시에 발생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에서 사용되는 MPEG 엔코딩 처리를 상세히 기술한다. 하나의 정지화상의 화상 데이터(화상형식 XGA 혹은 VGA의 정지화상의 화소수가 변환된 화상형식 CIF 혹은 QCIF의)는 비디오 신호 처리장치의 입력단자(23)에서 I화상 엔코더(24)로 입력된다. I화상 엔코더(24)는 입력된 화상신호를 MPEG 비디오 형식에 대응하는 I화상으로 변환한다. 더욱이,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16) 혹은 라인입력 단자에서 입력단자(25)로 입력된다. 입력단자(25)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MPEG 오디오 엔코더(26)로 공급된다. MPEG 오디오 엔코더(26)는 오디오 신호를 MPEG 오디오 형식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한다.
P/B 화상 발생기(27)는 움직임 검출 처리와 같은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화상 크기에 대응하는 고정된 데이터를 발생한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를 P/B 화상 발생기(27)에 공급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체 프레임의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임을 나타낸다. 더욱이, 고정된 데이터는 선행 프레임의 예측 부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고정된 데이터는 선행 프레임의 화상이다. 실제로는 화상형식 CIF 혹은 QCIF의 화상은 하나의 슬라이스로서 취급된다. 첫 번째 매크로 블록 및 마지막 매크로 블록 이외의 모든 매크로 블록은 스킵된다. 첫 번째 매크로 블록 및 마지막 매크로 블록은 움직임 벡터가 0이 되는 방식으로 엔코드된다. 하나의 화상이 복수의 슬라이스로 분할될 수 있을 지라도, 헤더 정보가 증가할 것이다.
스킵될 매크로 블록 수가 엔코드되기 때문에, P/B 화상 발생기(27)에 의해 발생된 화상의 데이터량은 화상 크기에 대응하여 변한다. 실제로, 화상형식 CIF의 MPEG1 형식에 대응하는 P 화상의 데이터량은 28바이트이다. 화상형식 QCIF의 MPEG1 형식에 대응하는 P 화상의 데이터량은 19바이트이다. 따라서, 동일한 화상이 반복하여 스트림 내에 배치되고 디코드된 화상이 정지화상으로서 명백하게 이러한 P 혹은 B 화상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데이터량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28은 MPEG 시스템 엔코더이다.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I화상 엔코더(24)로부터 수신된 신호, P/B 화상 발생기(27), 및 MPEG 시스템 형식에 대응하는 MPEG 오디오 엔코더(26)를 멀티플렉스하여 이 멀티플렉스된 신호를 MPEG 시스템 스트림으로서 출력단자(29)에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PEG 시스템 스트림은 DRAM(9)에 저장된다. I화상 엔코더(24)는 엔코더/디코더(15)에 포함된다. P/B 화상 발생기(27), MPEG 오디오 엔코더(26), 및 MPEG 시스템 엔코더(28)은 CPU(12)의 소프트웨어 처리로서 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구조는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뿐만 아니라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동작에서, 촬영된 동화상의 하나의 프레임에 상당하는 비디오 신호(CCD(2)의 촬영된 신호의 화소수가 변환된 화상형식 CIF 혹은 QCIF의)는 I화상 엔코더(24)에 공급된다. 더욱이, P/B 화상 발생기(27)는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고정된 데이터를 발생한다.
도 4는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동작에서 I화상 엔코더(24)로부터 수신된 I화상 다음에 P/B 화상 발생기로부터 수신된 P 혹은 B 화상이 놓이게 되는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I화상 다음에는 두 개의 P화상이 온다. 2개의 P화상은 P/B 화상 발생기(27)에 의해 발생된다. P화상의 데이터량은 I화상보다 훨씬 작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 3개의 프레임 중 하나가 성기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속도는 3만큼 감소된다. 결국, MPEG 표준의 최소 프레임 속도를 만족하는 예를 들면 26Hz의 프레임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I화상들 사이에 놓인 P 혹은 B화상의 개수는 원하는 프레임 속도에 따른다. 적어도 하나의 P 혹은 B 화상이 I화상들 사이에 놓일 때, 프레임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MPEG 시스템 엔코더(28)에 의해 발생된 시스템 스트림의 구조(팩 구조)의 예를 기술한다. 도 5는 오디오가 첨부된 동화상 촬영동작에서 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에서 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동화상 촬영동작에서 팩 구조는 MPEG1 형식에 대응하는 시스템 스트림에 기초한다. 더욱이, 효과적으로 데이터 스트림들을 멀티플렉스하기 위해서, 팩 구조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하나의 팩의 크기는 일정하다. 하나의 팩은 오디오 액세스 단위의 시간기간이 비디오 액세스 단위의 시간기간과 같도록 오디오 액세스 단위 및 비디오 액세스 단위를 포함한다.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예를 들면 10개의 오디오 프레임의 정보와 예를 들면 9개의 비디오 프레임의 정보를 하나의 팩 내에 둔다. 하나의 비디오 프레임의 시간기간은 1/25초이다. MPEG 오디오 레이어2 형식의 액세스 단위는 프레임당 1152 샘플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는 32kHz이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정보의 시간기간은 0.36초와 같다.
더욱이,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하나의 패킷 내에 복수의 액세스 단위의 데이터를 둔다. 더욱이,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팩의 시작에 일정길이의 오디오 패킷을 둔다. 더구나,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매 3개의 비디오 프레임(예를 들면, 하나의 I화상과 2개의 P화상)마다 하나의 패킷을 둔다.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팩의 길이가 일정하도록 팩의 끝에 패딩 스트림 패킷(더미 데이터)를 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킷은 10프레임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제3, 제3 패킷 각각은 3프레임의 비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마지막 패킷은 패딩 스트림을 포함한다.
이러한 팩 구조에서, 화상이 촬영될 때, 오디오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및 비디오 엔코더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버퍼되지 않고 실시간으로 멀티플렉스될 수 있다. 더욱이, I화상은 속도 제어에 의해서 일정길이의 팩 내에 포함된다. 팩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SCR(시스템 클럭 기준)의 값 및 PTS(프리젠테이션 시간 스탬프)는 단순한 가산 처리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 촬영동작에서 팩 구조를 기술한다. 팩 1(제1 팩)은 정지화상(I화상)을 포함한다. 즉, 팩 1은 오디오 패킷, 정지화상이 엔코드된 I화상을 갖는 비디오 패킷, 및 동일한 PTS를 갖는 P 또는 B 화상(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포함한다. 팩 2는 오디오 패킷 및 P 혹은 B화상(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포함한다.
화상이 엔코드될 때,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디코더가 정지화상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팩 1을 갖는 화상에 대해 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나중의 팩들에서, 데이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팩 2의 구조를 둔다. 따라서, 정지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재생될 수 있다. 비디오 정보는 기록될 오디오 정보와 동일한 시간기간 동안 요구되기 때문에,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팩 2의 구조의 시간기간 동안 비디오 패킷을 둔다. 그러나, 부호량을 줄일 필요가 없을 때, MPEG 시스템 엔코더(28)는 단지 팩 1의 구조의 시스템 스트림을 형성할 수도 있다.
팩의 구조의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팩 3과 같이, 팩당 패킷수는 팩 1 및 팩 2의 구조와는 달리 1일 수 있다. 팩 4 및 팩 5에서 처럼, I화상 및 P 혹은 B 화상은 2개의 연속한 팩 내에 두어질 수 있다. 더욱이, 표시될 복수의 정지화상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팩 1이 소정의 시간기간의 간격으로 스트림 내에 두어질 때, 상이한 정지화상들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슬라이드 보기처럼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엔코더/디코더(15)는 JPEG 형식 및 MEPG 형식에 대응하는 화상을 엔코드/디코드해야 한다. 도 7은 엔코더/디코더(15)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상이 MPEG 형식에 대응하여 엔코드될 때, 프레임간 움직임 보상 예측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결국, JPEG 엔코더와 MPEG 엔코더간 DCT 처리를 공유하는 구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서, 블록(각각 (8x 8 화소)로 구성된)으로서 화상 데이터가 입력단자(31)에 공급된다. 화상 데이터는 입력단자(31)에서 DCT부(32)로 공급된다. DCT부(32)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코사인 변환처리를 수행하여, 각 블록의 개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계수(하나의 DC 성분과 63개의 AC 성분)를 발생한다. 계수 데이터는 주사부(33)에 공급된다. 주사부(33)는 두 개의 주사방법(지그재그 주사방법 및 교번 주사방법)에 대응하는 계수 데이터를 주사한다.
주사부(33)의 출력신호는 양자화부(34a, 34b)에 공급된다. 양자화부(34a, 34b)는 각각의 스케일링 인자를 사용하여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출력 중 하나는 스위치 회로(SW1)에 의해 선택된다. JPEG 엔코딩 처리가 수행될 때, 스위치 회로(SW1)는 양자화부(34a)의 양자화된 출력을 선택한다. MPEG 엔코딩 처리가 수행될 때, 스위치 회로(SW1)는 양자화부(34b)의 양자화된 출력을 선택한다.
스위치 회로(SW1)에 의해 선택된 양자화된 출력은 JPEG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35a) 및 MPEG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35b)에 공급된다. JPEG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 처리 및 MPEG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 처리가 서로 상이한 허프만 테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허프만 테이블(35a, 35b)가 제공된다. JPEG 엔코딩 처리가 수행될 때, 계수 데이터의 AC 성분은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35a) 및 허프만 테이블(36a)에 의한 가변길이 부호로 엔코드된다. 엔코드된 출력은 스위치 회로(SW2)에 의해 선택된다. MPEG 엔코딩 처리가 수행될 때, 계수 데이터의 AC 성분은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35b) 및 허프만 테이블(36b)에 의한 가변길이 부호로 엔코드된다. 엔코드된 출력은 스위치 회로(SW2)에 의해 선택된다.
스위치 회로(SW2)는 헤더 가산부(37a, 37b)에 접속된다. 헤더 가산부(37a)는 JPEG 형식에 대응하는 헤더를 스트림에 더한다. 헤더 가산부(37b)는 MPEG 형식에 대응하는 헤더를 스트림에 더한다. 결과적인 스트림은 JPEG 엔코딩 처리 혹인 MPEG 엔코딩 처리가 수행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스위치(SW3)를 통해 출력단자(38)로부터 얻어진다.
양자화부(34a, 34b)를 상이한 구성요소로서 보였으나, 이들 중 많은 부분은 공통의 하드웨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헤더 가산부(37a, 37b), JPEG 가변길이 엔코딩부(35a), 및 MPEG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35b)의 많은 부분이 공통의 하드웨어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허프만 테이블(36a, 36b)은 상이한 하드웨어부로서 별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도 7은 엔코더/디코더(15)의 엔코더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디코더부는 헤더 분리부, 가변길이 부호 디코딩부, 역양자화부, 및 역DCT부로 구성된다. 엔코더부처럼, 디코더부의 많은 부분이 공통의 하드웨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간 움직임 보상 예측처리가 MPEG 형식 엔코딩 처리에서 생략되기 때문에, 엔코더/디코더의 하드웨어 규모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코더/디코더를 집적한 회로를 쉽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저장매체(11)의 예로서, 착탈가능한 카드 및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여러 가지 유형의 디스크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엔코딩 처리는 네트워크, RS232C, 비접촉식 IrDA, 등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3 특징에 따라서,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처리가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하드웨어 규모 및 소프트웨어 처리단계수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MPEG 형식 혹은 그에 상당하는 형식으로 엔코드된 출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엔코드된 출력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쉽게 사용될 수 있다. 소규모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적은 수의 처리단계로, 디지털 정지 카메라의 기능으로서, 동화상 기록기능은 정지화상 기록 기능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발생되는 부호량이 작기 때문에, 촬영된 동화상은 외부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및 제4 특징에 따라, 정지화상 및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기록하는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로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오디오가 첨부된 정지화상이 기록될 때, 정지화상만이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응용에 대응하여, 기록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의 최상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형태 및 상세에 전술한 것 및 여러 가지 다른 변경, 생략, 및 부가를 행할 수 있음을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알 것이다.

Claims (48)

  1.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촬영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상기 엔코드된 MPEG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MPEG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로서,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I화상을 발생하기 위해서 프레임내 엔코딩 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는 I화상 발생수단; 및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이 되게 하고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화상이 엔코드된 화상으로서 복제되게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P화상 또는 B화상을 발생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I화상, 상기 P화상 혹은 B화상, 및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일정길이의 팩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팩은 MPEG 비디오 데이터 및 MPEG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은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과 동일한 것인 카메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팩 각각은 N개의 비디오 프레임 및/또는 N개의 오디오 프레임(N은 임의의 정수)을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복수의 팩으로 구성되며,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I화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팩들은 소장의 간격으로 배치된 것인 카메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복수의 팩으로 구성되며, 최상위 팩은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의 I화상을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수단이 눌려지고 있는 시간기간 내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카메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조작수단이 눌려진 후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카메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비디오 디코딩 수단;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하여금 저장하게 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의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며,
    상기 비디오 디코딩 수단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의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은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정지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XGA 혹은 VGA 형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촬영수단은 동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가 약 3만큼 thin out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
  11.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여 이 엔코드된 신호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로서,
    제1 엔코딩 방법 혹은 제2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고,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제2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발생하는 비디오 엔코딩 수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처리를 제어하며, 선택된 기록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엔코딩 방법 혹은 상기 제2 엔코딩 방법을 선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비디오 데이터만을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2 엔코딩 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드하기 위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을 제어하는 카메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코딩 방법은 JPEG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에 대응하는 엔코딩 방법이며,
    상기 제2 엔코딩 방법은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에 대응하는 엔코딩 방법인 것인 카메라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엔코드하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스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멀티플렉스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제1 영역에 저장하게 하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제2 영역에 저장하게 하는 카메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입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읽으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읽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하며, 상기 제1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이 비디오 신호를 엔코드하게 하며,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로서 상기 엔코드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입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읽으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하는 카메라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은,
    입력된 화상신호에 대해 코사인 변환처리를 수행하는 DCT부;
    상기 DCT부로부터 수신된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제1 엔코딩 테이블 혹은 제2 엔코딩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부의 출력신호를 가변길이 부호로 엔코딩하는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길이 부호 엔코딩부의 상기 제1 엔코딩 테이블 혹은 상기 제2 엔코딩 테이블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된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선택된 것인 카메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제1 헤더 혹은 제2 헤더 중 하나를 더하는 헤더 가산부를 갖는 카메라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일정길이의 팩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팩은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은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과 동일한 것인 카메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팩 각각은 N개의 비디오 프레임 및/또는 N개의 오디오 프레임(N은 임의의 정수)을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수단이 눌려지고 있는 시간기간 내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카메라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조작수단이 눌려진 후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카메라 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비디오 디코딩 수단;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된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하여금 저장하게 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며,
    상기 비디오 디코딩 수단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은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정지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XGA 혹은 VGA 형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촬영수단은 동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가 약 3만큼 thin out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
  25.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며, 상기 엔코드된 MPEG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MPEG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으로서,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I화상을 발생하기 위해서 프레임내 엔코딩 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는 단계;
    모든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0이 되게 하고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화상이 엔코드된 화상으로서 복제되게 상기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의 P화상 또는 B화상을 발생하는 단계;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MPEG 오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단계;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I화상, 상기 P화상 혹은 B화상, 및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일정길이의 팩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팩은 MPEG 비디오 데이터 및 MPEG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은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과 동일한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팩 각각은 N개의 비디오 프레임 및/또는 N개의 오디오 프레임(N은 임의의 정수)을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복수의 팩으로 구성되며,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I화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팩들은 소장의 간격으로 배치된 것인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복수의 팩으로 구성되며, 최상위 팩은 상기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MPEG 비디오 데이터의 I화상을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이 눌려지고 있는 시간기간 내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2. 제25항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이 눌려진 후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3. 제25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의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의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정지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XGA 혹은 VGA 형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촬영수단은 동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가 약 3만큼 솎아낸(thin out)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5.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여 이 엔코드된 신호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으로서,
    제1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만을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엔코딩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 수단에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코딩 방법은 JPEG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에 대응하는 엔코딩 방법이며,
    상기 제2 엔코딩 방법은 MPEG 비디오 형식 혹은 동등한 형식에 대응하는 엔코딩 방법인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엔코드하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신호를 멀티플렉스하며,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멀티플렉스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제1 영역에 저장하게 하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의 제2 영역에 저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입하며,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읽으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읽은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며, 상기 제1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비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며,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로서 상기 엔코드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입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읽으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기록하는 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코딩 단계는,
    (a) 입력된 화상신호에 대해 코사인 변환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단계; 및
    (c) 제1 엔코딩 테이블 혹은 제2 엔코딩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단계 (b)에서 가변길이 부호를 갖는 출력신호를 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1 엔코딩 테이블 혹은 상기 제2 엔코딩 테이블은 상기 선택된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선택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엔코딩 방법에 대응하여 제1 헤더 혹은 제2 헤더 중 하나를 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2. 제37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스된 데이터는 일정길이의 팩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팩은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은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의 시간기간과 동일한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팩 각각은 N개의 비디오 프레임 및/또는 N개의 오디오 프레임(N은 임의의 정수)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5. 제35항에 있어서,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이 눌려지고 있는 시간기간 내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6. 제35항에 있어서,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카메라 장치로 하여금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수단이 눌려진 후에 오디오 신호를 엔코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7. 제35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 혹은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4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정지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XGA 혹은 VGA 형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촬영수단은 동화상 촬영모드가 상기 카메라 장치에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비디오 신호가 약 3만큼 thin out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장치의 기록방법.
KR1019990034959A 1998-08-24 1999-08-23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 KR100616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37311 1998-08-24
JP98-237312 1998-08-24
JP23731298 1998-08-24
JP23731198 199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57A true KR20000017457A (ko) 2000-03-25
KR100616262B1 KR100616262B1 (ko) 2006-08-28

Family

ID=2653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959A KR100616262B1 (ko) 1998-08-24 1999-08-23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690881B1 (ko)
EP (1) EP0982950A3 (ko)
KR (1) KR100616262B1 (ko)
CN (1) CN1223175C (ko)
MY (1) MY1240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420B1 (en) 1997-07-15 2004-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form of ink dots on cards
US6618117B2 (en) 1997-07-12 2003-09-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S7110024B1 (en) 1997-07-15 2006-09-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motion deblurring means
US6879341B1 (en)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6624848B1 (en) 1997-07-1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scading image modification u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image processing
US7551201B2 (en) 1997-07-15 2009-06-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device for a print on demand digital camera system
US6690419B1 (en)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tilising eye detection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image camera
EP0982950A3 (en) * 1998-08-24 2004-09-2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video camera comprising an MPEG encoder
AUPP702098A0 (en)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3)
JP4287538B2 (ja) * 1999-04-30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信号切替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撮像カメラ及び監視システム
AUPQ056099A0 (en)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EP1243141B1 (en) * 1999-12-14 2011-10-19 Scientific-Atlanta,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decoding of a video signal with coordinated resource allocation
US6647369B1 (en) 2000-10-20 2003-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Reader to decode sound and play sound encoded in infra-red ink on photographs
US8270820B2 (en) * 2001-02-23 2012-09-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chiving and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US6859500B2 (en) * 2001-03-20 2005-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un-length coding of non-coded macroblocks
JP4068333B2 (ja) * 2001-11-13 2008-03-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記録制御プログラム及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
CN100357966C (zh) * 2001-11-16 2007-12-26 夏普株式会社 记录媒体、内容记录/再现系统、内容再现装置、内容记录装置以及内容再编码装置
US7274857B2 (en) * 2001-12-31 2007-09-25 Scientific-Atlanta, Inc. Trick modes for compressed video streams
US7149360B2 (en) * 2002-01-09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using a JPEG engine to assist in efficiently constructing MPEG I-frames
JP2003249003A (ja) 2002-02-25 2003-09-05 Canon Inc 記録装置
KR20040022736A (ko) * 2002-09-05 2004-03-18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Mpeg-4 기술을 이용한 휴대용 엔코더
US7113219B2 (en) * 2002-09-12 2006-09-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s for digital cameras for capturing images and sound
JP4392179B2 (ja) * 2003-03-19 2009-12-24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装置
US7966642B2 (en) * 2003-09-15 2011-06-21 Nair Ajith N Resource-adaptive management of video storage
JP4054917B2 (ja) * 2003-09-17 2008-03-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動画撮影方法、プログラム
KR20050090800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음향기록방법
JP4328260B2 (ja) * 2004-04-21 2009-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TWI238651B (en) * 2004-04-30 2005-08-21 Benq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rame status of video data
US8600217B2 (en) * 2004-07-14 2013-12-03 Arturo A. Rodriguez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displayed picture during trick modes
JP4203756B2 (ja) * 2004-11-05 2009-01-0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
US20060104351A1 (en) * 2004-11-15 2006-05-18 Shu-Wen Teng Video/image processing devices and methods
CN101204015B (zh) * 2005-04-26 2010-11-03 迪宝克技术公司 一起提供运动信号和声音信号的方法和装置
KR100714697B1 (ko) * 2005-08-25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0685302B1 (ko) * 2005-11-02 2007-02-22 엠텍비젼 주식회사 수직 동기 신호 지연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JP2007281727A (ja) * 2006-04-04 2007-10-25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8005112A (ja) * 2006-06-21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トリームエンコーダ及びストリームデコーダ
JP4853199B2 (ja) * 2006-09-25 2012-01-11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圧縮方法、装置、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033791A1 (en) * 2007-07-31 2009-02-05 Scientific-Atlanta, Inc. Video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WO2009023120A2 (en) * 2007-08-09 2009-02-19 Inlet Technologies Preserving captioning through video transcoding
US8300696B2 (en) * 2008-07-25 2012-10-30 Cisco Technology, Inc. Transcoding for systems operating under plural video coding specifications
US8259797B2 (en) * 2008-09-15 2012-09-04 Florida Atlantic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conversion of digital video
US10511649B2 (en) * 2012-11-20 2019-12-17 Pel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rioritizing elements in a video stream for low-bandwidth transmission
US9998750B2 (en) 2013-03-15 2018-06-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ed conversion of video from a first to a second compression format
WO2015108326A1 (en) 2014-01-14 2015-07-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CN104954796B (zh) * 2014-03-28 2019-06-11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处理装置与其视频处理电路
CN104683779B (zh) * 2015-03-17 2017-08-29 上海兆芯集成电路有限公司 自动白平衡补偿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724A (ko) * 1974-07-23 1976-01-31 Nippon Electric Co
JPS57170674A (en) * 1981-04-13 1982-10-20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camera
JPS583384A (ja) * 1981-06-29 1983-01-10 Fuji Photo Film Co Ltd スチル/ム−ビ−兼用電子カメラ
JPS58137377A (ja) * 1982-02-09 1983-08-15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ビデオ信号伝送装置
US4663669A (en) * 1984-02-01 1987-05-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MX158466A (es) * 1984-11-01 1989-02-03 Sony Corp Aparato registrador y/o reproductor de senales
US4714963A (en) * 1986-07-03 1987-12-22 Eastman Kodak Company Asynchronous still timing for a video camera producing movie or still images
US4837628A (en) * 1986-07-14 1989-06-0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still camera for recording still picture on memory card with mode selecting shutter release
US5032927A (en) * 1988-03-01 1991-07-16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compressed image data together with audio data
JPH02280484A (ja) * 1989-04-20 1990-11-16 Minolta Camera Co Ltd 映像および音声の記録・再生可能なカメラ
FR2651629B1 (fr) * 1989-09-05 1991-11-15 France Etat Procede de multiplexage d'un signal de sequences sonores dans un signal d'image video analogique et systeme de distribution d'images fixes sonorisees.
US5206730A (en) * 1989-11-10 1993-04-27 Konica Corporation Still video camera having one-shot and serial shot modes
US5497194A (en) * 1990-01-11 1996-03-05 Ricoh Company, Ltd. Electronic camera for photographing and recording an image an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voice
GB2281807B (en) * 1990-11-14 1995-06-28 Asahi Optical Co Ltd Recording method for a still video appartus
JP3235903B2 (ja) * 1992-06-11 2001-12-04 株式会社リコー スチルカメラ
JPH0678293A (ja) 1992-08-28 1994-03-18 Olympus Optical Co Ltd 符号化装置
US5982437A (en) * 1992-10-26 1999-11-09 Sony Corporation Coding method and system, and decoding method and system
US5377051A (en) * 1993-01-13 1994-12-27 Hitachi America, Ltd. Digital video recorder compatible receiver with trick play image enhancement
JP3438205B2 (ja) * 1993-02-25 2003-08-1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電子カメラ装置
US5758180A (en) * 1993-04-15 1998-05-26 Sony Corporation Block resizing function for multi-media editing which moves other blocks in response to the resize only as necessary
JP3372289B2 (ja) * 1993-04-28 2003-01-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US5467413A (en) * 1993-05-20 1995-11-14 Radi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ector quantization for real-time playback on low cost personal computers
JP3097014B2 (ja) * 1993-07-08 2000-10-1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787444A (ja) * 1993-07-16 1995-03-31 Pioneer Electron Corp 圧縮符号化データ記録方法
DE69426894T2 (de) * 1993-09-16 2001-07-26 Toshiba Kawasaki Kk Digitales Videosignal
JPH07202820A (ja) *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ットレート制御システム
US5440343A (en) * 1994-02-28 1995-08-08 Eastman Kodak Company Motion/still electronic image sensing apparatus
JP3182289B2 (ja) 1994-04-06 2001-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US5583652A (en) * 1994-04-28 1996-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ized, variable-speed playback of digitally recorded audio and video
US5768539A (en) * 1994-05-27 1998-06-1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ownloading applications softwar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S5708473A (en) * 1994-08-30 1998-01-13 Hughes Aircraft Company Two stage video film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JP3304634B2 (ja) 1994-09-21 2002-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5815201A (en) * 1995-02-21 1998-09-29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and assembling audio and image information for transfer out of a digital camera
JPH08280009A (ja) 1995-04-06 1996-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KR100219133B1 (ko) 1996-01-06 1999-09-01 윤종용 변환부호화시스템의 변환계수선택방법및그장치
DE19610010A1 (de) * 1996-03-14 1997-09-18 Sel Alcatel Ag Einrichtung und Dienst zur Übertragung von Videobilddaten sowie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Anforderungssignalen
JP3480777B2 (ja) * 1996-03-15 2003-1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CN1189956A (zh) 1996-03-19 1998-08-05 索尼公司 数据多路复用装置及其方法
JPH09284705A (ja) 1996-04-18 1997-10-31 Hitachi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3740213B2 (ja) * 1996-05-22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
AU716228B2 (en) * 1996-06-06 2000-0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version apparatus
JPH1042295A (ja) 1996-07-19 1998-02-13 Sony Corp 映像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映像信号符号化装置
JPH1075420A (ja) 1996-08-30 1998-03-17 Sony Corp 静止画動画記録装置
WO1998009436A1 (en) * 1996-08-30 1998-03-05 Sony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still picture and animation
JPH10108121A (ja) 1996-09-25 1998-04-24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3787398B2 (ja) * 1996-11-27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6108027A (en) * 1996-12-17 2000-08-22 Netergy Networks, Inc. Progressive still frame mode
JPH10210409A (ja) 1997-01-16 1998-08-07 Sony Corp 半導体メモリを用いた画像および音声記録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H09284718A (ja) 1997-01-20 1997-10-31 Hitachi Ltd 画像記録再生装置
JPH10224782A (ja) 1997-02-10 1998-08-21 Hitachi Ltd 画像音声圧縮装置および画像音声圧縮用半導体集積回路
US6327423B1 (en) * 1997-04-18 2001-12-04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937273B1 (en) * 1997-05-28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Integrated motion-still capture system with indexing capability
KR100261607B1 (ko) * 1997-06-30 2000-07-15 이중구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US5987179A (en) * 1997-09-05 1999-11-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high-fidelity still images in MPEG bitstreams
US6788345B1 (en) * 1998-07-22 2004-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EP0982950A3 (en) * 1998-08-24 2004-09-2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video camera comprising an MPEG enco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94143B2 (en) 2012-06-05
EP0982950A3 (en) 2004-09-29
KR100616262B1 (ko) 2006-08-28
MY124088A (en) 2006-06-30
EP0982950A2 (en) 2000-03-01
US20040096114A1 (en) 2004-05-20
US6690881B1 (en) 2004-02-10
CN1223175C (zh) 2005-10-12
CN1246644A (zh) 200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262B1 (ko)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기록 방법
JP3012698B2 (ja) 画像データの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JP4806515B2 (ja) 符号化装置、こ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装置及び符号化方法
US614803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235903B2 (ja) スチルカメラ
KR19980063690A (ko) Dct 베이스 기술을 사용하여 압축된 정보를 기억함에 의해 압축해제에 필요한 메모리를 감축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코더
US78899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3221785B2 (ja) 撮像装置
JP3713067B2 (ja) 画像信号圧縮符号化装置および伸長再生装置
JP4306035B2 (ja)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
JPH10271498A (ja) 圧縮データ変換方法、画像圧縮データの情報量変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適用した画像記録装置
JP4359966B2 (ja) 画像信号符号化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3384910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H11289515A (ja)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333130A (ja) 動画データの記録方法及び装置
JP4001946B2 (ja) 再生装置
JP350150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H1169347A (ja) 画像データの符号化/復号装置、及び、画像データの符号化装置
JP5034717B2 (ja)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JP3038022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H0865565A (ja) 撮像記録装置
WO1999067947A1 (en) Image sensing/storing method and image sensing device
JPH07162853A (ja) 撮像装置
JP3526272B2 (ja) 画像処理装置
JPH05161108A (ja) 符号量制御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