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232A - 콘크리트제배수구블록의덮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제배수구블록의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232A
KR20000011232A KR1019990011603A KR19990011603A KR20000011232A KR 20000011232 A KR20000011232 A KR 20000011232A KR 1019990011603 A KR1019990011603 A KR 1019990011603A KR 19990011603 A KR19990011603 A KR 19990011603A KR 20000011232 A KR20000011232 A KR 2000001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lock
plates
longitudinal direction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509B1 (ko
Inventor
마사츠구 요네무라
소 히라이
기요시 즈츠미
Original Assignee
시게모리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야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모리 기요시, 가부시키가이샤 야막스 filed Critical 시게모리 기요시
Publication of KR2000001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에 관한 것이며, 예컨대 측구 블록, U형 블록 등의 덮개에 적합하고 덮개가 단면이 동일 형상 또는 단면이 다른 형상의 덮개 구성판을 공용의 그레이팅부재에 대하여 용도에 따라서 공장 등에서의 조립이 쉽게 행해져 도로에 내리는 빗물 등의 집수를 효율적으로 한다.
배수구 블록의 덮개(2)이 길이방향(X)에 설치한 슬릿(3)을 통하여 평행하게 배치한 복수의 덮개구성판(4,4; 4,4A…)과, 슬릿에 끼워맞춤되어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는 덮개구성판을 지지가능하게 돌출한 복수의 지지레버를 원하는 간격마다 갖는 그레이팅부재(5)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구성판을 현장상황이나 용도에 따라 선택사용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COVER FOR CONCRETE DRAINAGE BLOCK}
본 발명은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에 관한 것이며, 예컨대 측구 블록, U형 블록, 수로 블록, 진흙 블록등의 덮개로서 알맞고, 덮개가 단면 같은 형상 또는 단면 다른 형상의 덮개구성판을 공용의 그레이팅부재에 대하여 용도에 따라서 공장등에서의 조립이 쉽게 행해지고 선택적인 부착을 행할 수 있는 다기능성을 발휘하여, 도로에 내리는 빗물 등의 집수를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 도로에 내리는 빗물 등을 집수하여, 배수하기위한 배수설비에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부설되거나, 도로를 횡단하여 부설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이 있다.
이 측구 블록에 덮혀지는 측구덮개에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즉, 덮개(a)는, 운반성을 고려하여 길이 L'2가 500mm 정도로 비교적 짧고,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로써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며, 더구나 길이방향(X)에서의 측단에는 손걸이구멍(a1)이 설치된다. 또한 덮개(a)의 내부에는 철근이 배근되어 덮개(a)가 구조적인 강도를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측구 블록본체(b)의 윗쪽의 개구부(c)에 여러개의 덮개(a)가 박고 뽑기 가능하게 덮혀진다. 더구나 측구 블록본체(b) 서로는, 소정간격마다 배치되는 측구 블록 본체(b)보다도 폭이 넓은 집수용기 블록을 통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예컨대 도로(D)의 노견(E)에 따라 측구 블록 본체(b)를 부설한 경우에, 집수용기 블록이나 덮개(a)에 설치된 손걸이구멍(a1)을 통하여 도로(D)의 노면에 내린 빗물 등을 모아서, 측구 블록본체(b) 내에 도입시켜, 배수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측구덮개에는 도로(D)에 내린 빗물이 도로(D)의 노면에서의 횡단구배(θ)에 따라 노견(E)에 흘러 내려 노면에 고이지 않고 배수하는 것과, 한정된 면적에서의 도로부설용지에서 도로(D)의 폭원폭(幅員幅)을 확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주행을 행할 수 있는 등의 요청이 있다.
또한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D)에 평행하여 보도(J)를 부설하는 경우에, 도로(D)의 노견(E)에 연속하여 부설되는 U형블록(d)에 덮혀지고, 도로(D)의 횡단구배(θ)에 합치하는 경사면(e1)이 상면에 형성되어, 보도(J)의 부설측의 한측에는 연석부(緣石部)(f)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L형측 괴블록(e)이 있다.
그렇지만,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상기 종래의 측구 덮개는, 운반성을 고려하여, 길이L'2가 500mm 정도를 이루고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에 형성되기 때문에, 1개의 측구 블록 본체(b)에 대하여 윗쪽의 개구부(c)에 여러개의 덮개(a)을 측구 블록본체(b)에 덮혀져야만하고, 부설현장에서 복공(覆工)에 요하는 작업능률이 나쁘고 작업성이 낮았다. 더구나 덮개(a)는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로써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배수에는 소정간격마다 배치되는 집수용기 블록과 측구블록본체(b)의 개구부(c)에 덮혀지는 덮개(a)에 설치한 손걸이구멍(a1)을 통하여 빗물 등을 배수하기때문에, 도로(D)의 횡단구배(6)에 따라서 가장자리(E)에 흘러 내리는 빗물의 배수효율이 낮고, 배수성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강우량이 많은 경우에는, 측구 블록본체(b)에서의 배수가 충분하지않고, 가장자리(E)에는 빗물이 넘치기 시작함으로써 도로(D)의 노면이 빗물로 채워지고, 차량의 주행에 지장을 초래하여, 안전성을 저해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종래의 측구덮개는, 부설후에는 손걸이구멍(a1)이 도로(D)의 노견(E)에 따라 단속적으로 부설되기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 눈에 거슬리게 되어 전방의 시인성(視認性)을 손상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덮개(a)의 상면에 실린 경우에는, 차량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측구 블록 본체(b)에 대하여 덮개(a)이 충돌함으로써 소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덮개(a)의 단부에는 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파편이 생기는 것이 있었다.
또한 도15 내지 도17에 나타내는 상기 종래의 측구 덮개나 도18에 나타내는 L형측 괴블록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성형하기위해서는 전용의 성형형(成形型)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있다. 이때문에 도로의 부설용지의 넓고 좁음, 지형, 지반의 단단함과 무름이나 강우량의 다소 등의 기상적 요인, 또 교통량의 다소 등의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용도에 맞는 배수설비를 선정할 필요가 있지만, 이들 배수설비를 모두 갖추기위해서는 비싼 성형형을 모두 준비해야만 하고, 막대한 설비비가 필요하게 되어, 제품코스트도 고가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부적합을 해결하여, 공용의 그레이팅부재에 대하여 단면이 동일 형상 또는 단면이 다른 형상의 덮개구성판을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용도에 들어 맞도록 공장 등에서 쉽게 조립하고 선택적으로 설치를 행할 수 있는 다기능성을 발휘하여, 배수효율이 좋고, 또한 운전자의 전방시인성을 손상하지않고 차량의 안전주행에 기여하며, 또한 소음을 발생하지않고 구조가 견고한 단부에 파편이 생기는 등 부적합이 없고, 또 성형형도 염가이며 설비비가 많이 필요로 하지않고 제품의 제작코스트가 저렴한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배수구 블록으로서의 측구 블록 본체에 덮개를 덮혀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한 덮개를 측구 블록본체의 윗쪽부에 덮혀진 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구성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덮개구성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그레이팅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한 그레이팅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배수블록본체와 이 배수블록본체에 덮혀지는 덮개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덮개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일한 덮개를 측구 블록 본체에 덮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덮개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시공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덮개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시공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덮개의 제5변형예를 나타내는 시공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측구덮개를 측구 블록 본체에 덮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동일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동일한 부설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L형측 괴블록을 나타내는 부설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측구 블록 본체 2: 덮개 3: 슬릿
4: 덮개구성판 4': 덮개구성판 4A: 덮개구성판
4'A: 덮개구성판 4a: 부착구멍 5: 그레이팅부재
6: 지지 레버 6a: 지지부 19: 걸림통체
16: 부착구멍 17: 부착구멍 18: 연락구멍
20: 걸림핀체 20A: 소직경부 21B: 대직경부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청구항1은 배수구 블록에 덮혀지는 덮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을 통하여 좌우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매의 덮개구성판과, 상기 슬릿내에 끼워맞춤되어 길이방향으로 교차 하는 방향에는 상기 덮개구성판을 지지가능하게 돌설한 복수의 지지레버를 원하는 간격으로 갖는 그레이팅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구성판은 단면이 동일 형상 또는 단면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2는 청구항1에 있어서 복수매의 덮개구성판은, 모두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를 이루고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3은 청구항1에 있어서 복수매의 덮개구성판은, 한 쪽 단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를 이룬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이 슬릿에 향한 내려가는 구배의 경사면부를 상면에 설치한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는 평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4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복수매의 상기 덮개구성판중, 도로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의 측면에는 배수블록본체내에 있는 배수로에 연통하는 적당한 복수개의 투수창구멍이 설치된다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5는 청구항l, 또는 청구항2, 청구항3, 청구항4 중의 어느 하나에서 복수매의 상기 덮개구성판중, 보도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의 상면에는 연석 블록이 길이방향으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6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복수매의 상기 덮개구성판은,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폭방향으로 넓고 좁음이 다른 폭의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폭방향의 중앙에서 변위하여 형성된다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7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복수매의 덮개구성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걸쳐 전역에 형성된다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8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복수매의 덮개구성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원하는 간격을 두고어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9는 청구항1에서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상기 슬릿보다도 돌출하여 형성된다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10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9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복수매의 횡판재와 이 횡판재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교차하고 원하는 간격마다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용의 복수매의 종판재에 의해 평면격자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횡판재의 하면에는 덮개구성판의 하면에 끼워맞춤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레버가 지지부에 좌우를 장출하여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폭방향으로 원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11은 청구항1에서 상기 배수구 블록 본체가, 측구블록, U형 블록, 빗물 블록, 수로 블록, 진흙 블록의 어느 하나인 수단을 채용하였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을 측구덮개에 적용한 경우의 1실시예를 나타낸다.
1은 배수구 블록으로서의 측구 블록 본체이고, 이 측구 블록 본체(1)는 콘크리트에 의해 성형되고, 내부에는 원호상의 유수바닥(流水底)(1a1)을 갖는 단면 U형의 유수로(1a)가 설치된다. 또한 측구 블록본체(1)의 길이(L1)는 이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2000mm 정도로 형성된다. 이 유수로(1a)의 윗쪽은 개구부로 이루어져 있다. 1b는 좌우대향하여 설치된 측벽이고, 1b1는 측벽(1b,1b)의 윗쪽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이다.
2는 측구 블록 본체(1)에 덮혀지는 덮개가다.
이 덮개(2)은 공장에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고, 길이방향(X)으로 신장하는 슬릿(3)을 통하여 좌우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매, 이 실시예에서는 2매의 덮개구성판(4,4)과, 이 덮개구성판(4,4)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내에 끼워맞춤되고, 길이방향X에 교차하는 방향에는 상기 덮개구성판(4,4)을 지지가능하게 돌설된 복수,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레버(6)를 소정간격(K)마다 갖는 공용의 그레이팅부재(5)에 의해 형성된다.
2매의 상기 덮개구성판(4,4)은, 예컨대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를 이룬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 덮개구성판(4,4)은 측구 블록 본체(1)를 2분할하는 1000mm 정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길이(L2)로 형성되고, 2매로 l조에 조립부착이 행해지고 1장의 덮개(2)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구성판(4,4)의 두께(t)는, 예컨대 100mm 정도로 형성된다. 이 2매의 덮개구성판(4,4)을 이용하여 l매의 덮개(2)을 형성한 경우에는 슬릿(3)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구성판(4,4) 사이로 길이방향(X)에 걸쳐 전역에 형성된다. 또한, 단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를 이룬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덮개구성판이 형성되는 경우이더라도 도면에는 나타내지않지만 폭방향(Y)으로 넓고 좁음이 다른 폭(W1,W2)에 2매의 덮개구성판(4,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슬릿(3)은 폭방향(Y)의 중앙에서 변위하고 길이방향(X)의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 슬릿(3)의 폭(W)은, 이 실시예에서는 50mm 정도로 형성된다.
또한 덮개(2)는 도10 및 도11에 나타내는 제2변형예 및 도12에 나타내는 제3변형예와 같이 2매의 덮개구성판이, 상기 설명한 것에 한하지 않는 한편, 예컨대 도로(D)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은 상기 설명과 같이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를 이룬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지만, 다른쪽 측 예컨대 도로D에 가깝게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4A)는 도로(D)의 횡단구배(θ)에 연속하여 슬릿(3)으로 향한 내리막 구배(61)의 경사면부(7)를 상면에 설치한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는 평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이 제2변형예 및 제3변형예에 있어서는, 도로(D)의 노면에 내린 빗물은, 덮개(2)에서 도로(D)에 가까이 설치되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의 덮개구성판 (4',4A)의 상면에 갖는 경사면부(7)가 도로(D)의 횡단구배(θ)에 연속하여 대략 합치하기 때문에, 도로(D)의 노면에 내린 빗물이 횡단구배(θ)에 따라 흘러 내린다. 이어서 빗물은 이 횡단구배(θ)에 합치하도록 덮개구성판(4A)의 상면에 설치한 경사면부(7 )위를 흘러 내려, 노견(E)에 고이지않고 빠르게 슬릿(3)을 통하여 측구 블록본체(1)내에 도입되어, 배수로(1a)에 의해 효율적으로 배수를 하도록 한다. 또한 도10 및 도11에 나타내는 제2변형예에 있어서는, 2매의 덮개구성판(4,4')이 폭방향(Y)에 넓고 좁음이 다른 폭(W1,W2)에 형성한 것에 의해 슬릿(3)이 폭방향의 중앙에서 변위하여 대략 전역에 형성된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덮개(2)의 제4변형예와 같이 2매의 덮개구성판중, 도로(D) 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A)은, 그 측면에 배수구블록으로서의 측구 블록본체(1)내에 갖는 배수로(la)에 연통하는 적당한 복수개의 투수창구멍(8)이 설치된 것도 있고, 이 덮개구성판(4'A)은 도로D의 포장으로서 불투수성층(9)의 상부에 도로(D)의 횡단구배(θ)에 따라 투수성포장부(10)를 부설함으로써, 도로(D)의 노면에 내린 빗물의 일부가 노면상을 횡단구배(θ)에 따라서 노견(E)에 향해서 흘러내리고, 더구나 내린 빗물의 일부는 투수성포장부(10)내에 침투하여, 불투수성층(9)의 상면을 노견(E)에 향해서 흘러 내려 배수하는데 알맞게 사용된다.
또한 도14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덮개(2)의 제5변형예이고,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t)를 이루고 평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2매의 덮개구성판(4,4)을 조립하는 그레이팅부재(5)가, 덮개구성판(4,4)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보다도 돌출하여 형성하고, 덮개구성판(4,4)이 평탄한 상면에는 그레이팅부재(5)의 돌출부분(5a)을 끼는 것 같이 채색이나 천연사(天然砂)를 표면에 시행함으로써 화장이 이루어지거나, 투수성을 발휘하도록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인터로킹블록(11)을 부설함으로써 공원, 경기장, 공장 등의 광장이나 공공 시설, 또 콘크리트건축물의 베란다 등에 배수로를 부설하는데 알맞다.
상기 그레이팅부재(5)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X)에 평행하게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복수매, 도1에서는 3장의 횡판재(12)와, 이 횡판재(12)에 대하여 길이방향(X)에 교차하고 원하는 간격(K1)마다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용의 복수매, 예컨대 7매의 종판재(13)에 의해 평면격자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횡판재(12)의 하면에는 덮개구성판(4,4)의 하면이 대응하는 홈내에 끼워맞춤지지되는 복수, 도면에서는 4개의지지 레버(6)가 지지부(6a,6a)를 길이방향(X)에 교차하는 폭방향(Y)에 좌우로 장출하도록 원하는 간격(K1)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9에 있어서 14는 시공현장에서 측구 블록 본체(1)에 씌워지는 덮개(2)을 고정하기위한 일예로서의 고정수단이고, 이 고정수단(14)은 측구 블록본체(l)의 윗쪽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1b1,1b1)에 아래쪽 부분(15A)이 매설되고, 이 아래쪽 부분(15A)내에는 복수의 분할 홈(16a)을 방사방향에 갖는 소직경인 부착구멍(16)이 설치되고, 윗쪽 부분(15B)내에는 복수의 분할 홈(17a)을 방사방향으로 갖는 대직경인 부착구멍(17)이 설치되며, 소직경인 부착구멍(16)과 대직경인 부착구멍(17)은 중간직경인 연락구멍(18)에 의해 연통된 걸림통체(19)와,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통체(19)내에 설치한 소직경인 부착구멍(16)내에 압입되는 소직경부(20A)와 윗쪽 부분에는 대직경인 상기 부착구멍(17)내에 압입되는 대직경부(20B)를 설치한 걸림핀체(20)로 형성되는 걸림구를 이용하여 측구 블록 본체(1)에 덮개(2)을 씌워, 부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걸림통체(19)와 걸림핀체(20)는 금속이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통체(19)의 연락구멍(18)은 부착구멍(16)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부착구멍(17)은 연락구멍(18)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걸림핀체(20)의 대직경부(20B)는 소직경부(20A)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또 걸림핀체(20)의 소직경부(20A)는, 걸림통체(19)의 상기 연락구멍(18)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지만, 부착구멍(16)보다도 약간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걸림핀체(20)의 대직경부(20B)는 걸림통체(19)의 부착구멍(17)보다도 약간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도4에 있어서 22a,22b는 측구 블록 본체(1)가 대향하는 어깨부(1b1,1b1)의 상면과 덮개구성판(4,4 ;4,4' ;4,4A ; 4,4'A)의 대응하는 곳에 원하는 여러조가 설치된 볼록부분과 해당 오목부분이 삽입되는 오목부이다. 이 볼록부(22a)가 오목부(22b)내에 삽입됨으로써 측구 블록 본체(1)에 대하여 덮개(2)가 어긋나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덮개(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걸림통체(19)와 걸림핀체(20)에의한 고정수단에 대신해 매입 볼트나 이 매입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공장 또는 필요시에는 시공현장에서 덮개(2)의 조립을 하기위해서는, 도로(D)의 부설용지의 넓고 좁음, 지형, 지반의 단단하고 무름이나 강우량의 다소 등의 기상적요인, 차량의 교통량의 다소 등의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이하에 서술하는 용도에 있던 덮개구성판을 선택하여 조립을 한다.
이 조립의 상세를 서술하면, 예컨대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를 이룬 평면 대략 장방형의 덮개구성판(4,4)을 선택하여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덮개구성판(4,4)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내에 아래쪽에서 공용의 그레이팅부재(5)를 끼워맞춤한다. 이 때, 그레이팅부재(5)의 횡판재(12)의 하면에 원하는 간격(K1)마다 일체로 고착한 지지 레버(6)의 좌우에 장출한 지지부 (6a,6a)를 덮개구성판(4,4)의 하면의 대응 부분에 설치한 홈 부분내에 끼워맞춤함으로써 덮개(2)을 쌓아올린다.
이렇게하여 조립된 덮개(2)은, 창고에 보관되어 쌓아 올리거나, 시공현장까지 운반되지만, 2매의 덮개구성판(4,4)에 그레이팅부재(5)가 조립부착됨으로써 일체화되기때문에, 운반중에 차량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부주의하게 그레이팅부재(5)가 떼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그레이팅부재(5)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X)에 평행하게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복수매, 도면에서는 3매의 횡판재(12)와, 해당 횡판재(12)에 대하여 길이방향(X)에 교차하고 원하는 간격(K1)마다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용의 복수매, 예컨대 7장의 종판재(13)에 의해 평면격자상으로 형성되기때문에, 구조가 견고하게 되고, 길이방향(X)과 폭방향(Y)과 높이방향의 어느 쪽 방향에서의 인장, 압축, 비틀어짐에 대하여 강고하게 덮개구성판(4,4)을 지지할 수 있다.
이렇게하여 공장 등에서 조립된 덮개(2)을 측구 블록본체(1)의 개구부에 덮어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구 블록본체(1)의 윗쪽에 대향하는 어깨부(1b1,1b1)에 매설한 걸림통체(19)의 윗쪽 부분(15B)에 설치한 부착구멍(17)내에 걸림핀체(20)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걸림핀체(20)를 해머를 이용하여 타격하면, 걸림핀체(20)의 선단부에 설치한 소직경부(20A)는 걸림통체(19)내에 설치되는 대직경인 부착구멍(17)에 연통하는 연락구멍(18)을 통하여 소직경인 부착구멍(16)내에 압입된다. 이 때, 아직 덮개(2)은 측구 블록 본체(1)에 덮혀지지 않는다.
그 후 걸림핀체(20)를 해머에 의해 더 타격하던지 또는 타격을 가하지않고 덮개(2)을 측구 블록 본체(1)에 씌우면, 해머의 타격력에 의하던지 덮개(2)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걸림핀체(20)의 대직경부(20B)는 걸림통체(19)의 윗쪽 부분(15B)내에 설치한 대직경인 부착구멍(17)내에 압입됨으로써 걸림핀체(20)는 걸림통체 (19)에 결합된다. 또한 덮개(2)이 측구 블록 본체(1)에 덮혀진 경우에는, 덮개(2)의 하중에 의해 걸림통체(19)의 윗쪽 부분(15B)은 덮개(2)의 대응 개소에 설치한 부착구멍(4a)내에 끼워맞춤되고 덮개(2)는 측구 블록본체(1)에 고정된다. 이 외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매입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덮개(2)을 측구 블록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구 블록 본체(1)를 도로(D)에 따라 연속하여 부설하고, 덮개(2)을 피관하여, 고정하면, 노면에 내린 빗물은 노견(E)에 흘러 내리고 덮개(2)의 폭방향(Y)의 대략 중앙에 길이방향(X)에 걸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슬릿(3)에서 그레이팅부재(5)를 통하여 측구 블록 본체(1)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도로(D) 등의 노면에 내리는 빗물 등이 고이지않고 효율적으로 측구 블록본체(1)내에 설치된 배수로(1a)에 의해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강우량이 많더라도 도로(D)가 침수하거나, 노견(E)에 빗물 등이 넘치지않고 배수가 행해진다.
또한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 두께(t,t)에 형성되는 덮개(2)은 전술과 같이하여 측구 블록 본체(1)에 덮혀져, 설치되기 때문에, 자동차가 주행함으로써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덮개(2)이 측구 블록 본체1에 충돌하는 충돌음은 발생하지않는다.
더구나 덮개(2)은 덮개구성판(4,4)이 동일두께(t,t)의 단면이 대략 장방형에 형성되고,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한정된 면적의 도로부설용지에 대하여 신설도로를 형성하는 경우나 도로(D)를 개수하는 경우에, 도로(D)의 폭원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이 안전주행될 수 있다.
더구나 덮개(2)의 덮개구성판(4,4) 사이에 형성되어, 그레이팅부재(5)가 끼워맞춤되는 슬릿(3)은, 도로(D)에 따라 덮개(2)에 연속하여 설치되기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에 눈에 거슬리게 되지않고 전방의 시인성은 확보되어,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은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한 쪽의 덮개구성판(4)을 상기 설명한 것보다 얇은 동일두께(t1)로 형성함으로써 조립부착시에 그레이팅부재(5)의 윗쪽 부분을 약간 돌출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덮개구성판(4')이 슬릿(3)을 향한 경사면부 (7)를 상면에 설치한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함으로써 덮개구성판(4,4')은 길이방향(X)으로 교차하는 폭방향(Y)에 넓고 좁음이 다른 폭(W1,W2)의 평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슬릿(3)를 덮개구성판(4,4')의 길이방향(X)에 걸쳐 대략 중앙보다도 변위하여 형성하는 외에, 2매의 덮개구성판(4,4')중, 보도(J)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의 상면에는 연석 블록(30)을 길이방향(X)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측구 블록 본체(1)를 도로(D)에 따라 부설하고, 한정된 도로부설용지를 유효활용하여 연석블록 (30)에 의해 도로(D)와 보도(J)를 구분하여 부설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상기 변형예와는 다른 구성이고, 작용, 효과로 한다.
또한 도12는, 이종, 이형의 덮개구성판을 공용의 그레이팅부재(5)를 이용하여 쌓아올린 덮개(2)의 제3변형예이다.
즉, 도로(D)에서 먼 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은, 도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단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를 이룬 평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지만, 반대측의 도로(D)에서 가까운 측에는 슬릿(3)을 향한 내리막 구배(θ1)의 경사면부(7)를 상면에 설치한 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다른 형상의 평면이 대략 장방형의 덮개구성판(4A)을 상기 덮개구성판(4)에 대하여 슬릿(3)을 끼워 평행하게 배치하고, 슬릿(3)내에 감입되는 공용의 그레이팅부재(5)에 원하는 간격(K1)마다 설치한 지지레버(6)를 덮개구성판(4,4A)의 하면의 대응 부분에 설치한 홈내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도1 및 도3에 도시된 덮개(2)과는 이종, 이형의 덮개(2)을 조립한다.
그리고, 이렇게하여 조립된 덮개(2)은, 도로(D)의 횡단구배(θ)에 대략 합치하는 내리막 구배(θ1)의 경사면부(7)를 상면에 갖는 덮개구성판(4A)을 도로(D)측에 배치하므로, 도로(D)의 노면에 내린 빗물은 도로(D)의 횡단구배(6)에 따라서 노견(E)로 향해서 흘러 내리고, 이어서 도로(D)측에 가깝게 도로(D)를 따라 설치된 덮개구성판(4A)의 상면의 내리막 구배(θ1)의 경사면부(7)를 슬릿(3)에 향해서 흘러내림으로써 슬릿(3)을 끼워 측구 블록 본체(l)내로 노견(E)에 고이지않고 도입되고, 배수로(1a)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배수되는 점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 두께(t,t)를 이루고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2매의 덮개구성판(4,4)을 슬릿(3)을 끼워 평행하게 배치한 상기 덮개(2)와는 다르다.
또한 도13에 나타내는 제4변형예에서는, 그레이팅부재(5)에 의해 쌓아올려지는 2매의 덮개구성판중 도로(D)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A)은, 그 측면에 측구 블록본체(1)내에 갖는 배수로(1a)에 연통하는 적당한 복수개의 투수창구멍(8)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도로(D)의 포장재로서 불투수성층(9)의 상부에 도로(D)의 횡단구배(θ)로 되어 투수성포장부(10)를 부설하면, 도로(D)의 노면에 내린 빗물의 일부는 노면상을 횡단구배(θ)에 따라서 노견(E)에 향하여 흘러 내린다. 더구나 내린 빗물의 일부는, 투수성포장부(10)내에 침투하여, 불투수성층(9)의 상면을 노견(E)에 향해서 흘러내리고 투수성 포장부(10)의 단면(10a)에서 도로(D)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4'A)의 측면에 설치된 투수성창구멍(8)으로부터 측구 블록 본체(1)내에 도입되어 배수로(1a)에 의해 배수되는데 적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도로(D)의 포장재로서 아스팔트 등의 부투수재를 쓰는 경우에 비하여 도로(D)의 노면이 관수되지않고 배수되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투수성포장부(10)에서는, 자갈, 쇄석(碎石), 슬러지(sludge) 등의 골재를 합성수지접착제나 시멘트 등의 결합제를 이용하여 연속하는 틈을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투수성을 발휘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도14에 도시된 제5변형예에서는,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t,t)를 이루고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2매의 덮개구성판(4,4)을 조립하는 그레이팅부재(5)는, 덮개구성판(4,4)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보다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상면에 그레이팅부재(5)의 돌출부분을 끼도록 평탄면을 상면에 갖는 2매의 덮개구성판(4,4)의 상에 노면포장재로서 채색이나 천연석을 상면에 실시함으로써 화장이 이루어지거나, 투수성을 발휘하도록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인터로킹블록(11,11…)을 부설할 수 있어, 인터로킹블록(11,11…)에 내리는 빗물 등을 측구 블록 본체(1)내에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원, 경기장, 공장 등의 광장이나 공공 시설, 또는 콘크리트건축물의 베란다 등에 배수로를 부설하는데 알맞다.
상기 설명에서는 덮개(2)이 2매의 덮개구성판(4,4; 4,4'; 4,4A; 4,4'A)에 의해 형성되고, 슬릿(3)은 이들 덮개구성판(4,4; 4,4'; 4,4A,4,4'A) 사이에 1열로 설치됨으로써 이 슬릿(3)내에 그레이팅부재(5)가 끼워맞춤되어 있지만, 덮개구성판과 그 사이에 설치되는 슬릿의 설치갯수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덮개(2)은 3장 이상의 덮개구성판이 길이방향(X)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이 덮개구성판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내에 그레이팅부재(5)를 끼워맞춤하면 이 그레이팅부재(5)의 길이방향(X)에 교차하는 폭방향(Y)으로 원하는 간격마다 돌설된 지지레버(6)에 덮개구성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덮개구성판(4,4; 4,4'; 4,4A; 4,4'A)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은 길이방향(X)에 걸쳐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슬릿은 길이방향(X)에 원하는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여러개가 형성되는 것이더라도 좋고, 그 형상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배수구 블록으로서 측구 블록 본체(1)에 관해서 대표적으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배수구 블록으로서는 측구 블록 본체(1)에 한정되지 않고 U형 블록, 빗물 블록, 수로 블록 등에 피관하는 덮개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수블록본체에 덮혀지는 덮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을 통하여 단면이 동일 형상 또는 단면이 다른 형상의 덮개구성판을 공용의 그레이팅부재에 대하여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용도에 맞도록 공장 등에서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성이 발휘됨과 동시에 공장 등에서의 조립이 작업효율이 좋고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매의 덮개구성판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기때문에, 도로에 내린 빗물 등은 노면에서 횡단구배로 한 도로가장자리에 향해서 흘러 내리고 슬릿을 통하여 배수구 블록내에 도입되어, 효율적으로 배수된다.
또한 슬릿은 도로를 따라 부설되는 덮개에 연속하여 형성되기때문에, 운전자는 손걸이구멍을 갖는 종래의 측구덮개와 같이 손걸이구멍이 불연속으로 됨으로써 눈에 거슬리게 되어 전방시인성을 손상하지않고 차량의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덮개는 배수홈 블록에 피관되어 설치되기때문에, 배수구 블록에 대한 충돌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덮개구성판의 단부에 파편이 생기는 등의 결함은 발생되지 않는다. 더구나, 덮개구성판의 성형형은 종래보다도 형상이 단순화되고, 더구나, 1장의 덮개는 종래의 측구 덮개의 몇개인가에 상당하는 길이로 형성되기때문에, 염가로 제작된다. 또한, 그레이팅부재는, 형상이 이종, 이형의 덮개구성판에 대하여 공용되어 덮개가 조립되므로, 자재비 및 설비비가 염가로 되어, 제품의 제작코스트는 저렵하게 된다.

Claims (11)

  1. 배수구 블록 본체에 덮혀지는 덮개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을 통햐여 좌우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매의 덮개구성판과, 상기 슬릿내에 끼워맞춤되어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덮개구성판을 지지가능하게 돌설한 복수의 지지레버를 원하는 간격으로 갖는 그레이팅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구성판은 단면이 동일형상 또는 단면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덮개구성판은, 어느 쪽도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를 이루고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덮개구성판은 한쪽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동일두께를 이루는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이 슬릿을 향한 내리막 구배의 경사면부를 상면에 설치한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는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상기 덮개구성판중, 도로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의 측면에는 배수구 블록 본체내에 있는 배수로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투수창구멍이 적당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상기 덮개구성판중, 보도측에 설치되는 덮개구성판의 상면에는 연석 블록이 길이 방향으로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상기 덮개구성판은,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폭방향에 넓고 좁은 다른 폭의 평면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폭방향의 중앙에서 변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복수매의 덮개구성판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걸쳐 전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복수매의 덮개구성판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상기 슬릿보다도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복수매의 횡판재와 이 횡판재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고 원하는 간격마다에 설치된 강재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용의 복수매의 종판재에 의해 평면격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횡판재의 하면에는 덮개구성판의 하면에 끼워맞춤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레버가 지지부를 좌우로 장출하여 길이 방향으로 교차 하는 폭방향으로 원하는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블록본체가, 측구 블록, U형 블록, 빗물블록, 수로블록, 진흙 블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KR10-1999-0011603A 1998-07-16 1999-04-02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KR10046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8998A JP3190619B2 (ja) 1998-07-16 1998-07-16 コンクリート製排水溝ブロックの蓋
JP98-202189 1998-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32A true KR20000011232A (ko) 2000-02-25
KR100467509B1 KR100467509B1 (ko) 2005-01-24

Family

ID=1645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603A KR100467509B1 (ko) 1998-07-16 1999-04-02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90619B2 (ko)
KR (1) KR100467509B1 (ko)
TW (1) TW400403B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4193U (ko) * 1981-05-16 1982-11-22
JPS5943582U (ja) * 1982-09-10 1984-03-22 東京戸張株式会社 側溝用甲蓋
JP3177127B2 (ja) * 1995-05-16 2001-06-18 照夫 羽取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道路側溝蓋版
JP3721526B2 (ja) * 1996-05-15 2005-11-30 照夫 羽取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暗渠側溝
JP3188950B2 (ja) * 1997-06-25 2001-07-16 株式会社宝機材 溝ブロック用受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1793A (ja) * 1997-08-29 1999-03-16 Toto Ltd グレーチングタイプの溝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509B1 (ko) 2005-01-24
JP2000034771A (ja) 2000-02-02
JP3190619B2 (ja) 2001-07-23
TW400403B (en)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38707A (ja)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JP3477633B2 (ja) 排水性舗装用集水装置及び排水性舗装における集排水構造
KR100467509B1 (ko) 콘크리트제 배수구 블록의 덮개
KR10177026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03074008A (ja) 排水性舗装用境界ブロック
JPH10266111A (ja) 道路構造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KR200324301Y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JP3119258U (ja) 側溝用蓋板ブロック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JP2764544B2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JPH08109673A (ja) 側溝用ブロック及び道路の構造
JPH0711691A (ja) 地下貯水槽
JP2001172906A (ja) 道路舗装構造
JP2004244911A (ja) 透水舗装の排水構造及び縁石ブロック
JP3067453U (ja) 縁石部を備えた排水溝ブロックの蓋
JP3066227U (ja) コンクリ―ト製排水溝ブロックの蓋
JP2000328641A (ja) 縁石付き蓋版を備えた側溝
JP3127873U (ja) 側溝及び枡の蓋構造
JP2000345508A (ja)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JP2000179034A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JP3061722U (ja) コンクリ―ト製排水溝ブロック
JP3334947B2 (ja) 透水性舗装用街渠の構造及び街渠用ブロック
JP3232407U (ja) 上下分割型側溝
JP4587430B2 (ja) 道路用側溝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