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209A -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209A
KR20000005209A KR1019980707887A KR19980707887A KR20000005209A KR 20000005209 A KR20000005209 A KR 20000005209A KR 1019980707887 A KR1019980707887 A KR 1019980707887A KR 19980707887 A KR19980707887 A KR 19980707887A KR 20000005209 A KR20000005209 A KR 2000000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boom
link
bracke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237B1 (ko
Inventor
카주요시 아사노
타케시 하세가와
마사유키 무카이노
Original Assignee
수케토모 도시타케
고마츠 멕쿠 가부시키가이샤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케토모 도시타케, 고마츠 멕쿠 가부시키가이샤,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수케토모 도시타케
Publication of KR2000000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2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with a jib extension b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으로서,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작업의 힘절약화가 도모된다. 이것 때문에, 장치는 붐(3)의 전방 하단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선단 시브(23)와, 회전브래킷(30)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장치(80)와, 회전브래킷(30)을 붐(3) 전방에 회전운동하여 진출하는 때 선단 시브(23)와 붐(3)의 선단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선단 시브(23)를 붐(3)의 전방 상방에 위치시키는 링크(1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
이동식 크레인에는 신축이 자유로운 붐(boom) 외에 지브(jib)를 가지는 것이 있고, 이와 같은 지브장착의 크레인은 예컨대 도 32에서 나타내진다. 이하, 도 32에 의하여 종래의 지브장착의 이동식 크레인을 설명한다. 이동식 크레인은 차륜(車輪)을 가지는 하부주행체(1)의 위에 선회가 자유로운 상부선회체(8)를 가지며, 상부선회체(8)의 대략 중앙에 신축이 자유로운 붐(3)을 기복이 자유롭게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크레인 작업시의 차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주행체(1)의 전후좌우에 아우트리거(outrigger)(2)를 설치하고 있다. 붐(3)은 예컨대 3단 신축붐인 때는 기초단 붐(4)과 중간 붐(5)과 톱 붐(top boom)(6)으로 구성되어 있다.
톱 붐(6)의 선단부에 매어 달은 주훅용 와이어 로프(wire rope)(11)의 선단에 주훅(hook)(10)을 보유하고, 주훅(10)에 의해서 짐을 매달아 올린다. 그리고, 윈치(winch)조작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11)의 감아올림, 감아내림을 행하던가, 혹은 붐(3)의 신축, 기복 및 선회를 행하여 매다는 짐을 소정의 높이 및 위치에 이동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동식 크레인을 설치하고 있는 작업현장의 주위상황에 의해서는 붐(3)만의 작업범위가 좁으므로 더욱 작업범위를 확대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작업범위의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톱 붐(6)의 선단부에 지브(7)를 연결하여 지브(7)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브(7)는 미사용시는 톱 붐(6)과의 연결을 벗기고, 예컨데 도 32의 예에서는 기초단 붐(4)의 좌측쪽에 격납되어 있다. 사용할 때는 지브(7)를 회전운동시켜서 톱 붐(6)의 전방(前方)에 돌출한다. 이를 위해, 먼저 톱 붐(6) 및 지브(7)를 톱 붐(6)의 선단부의 좌측면의 상하에 설치된 연결핀(35a)(35b)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한다. 다음에, 지브(7)는 톱 붐(6)의 측방향으로부터 전방에 걸치는 각도범위에서 연결핀(35a)(35b)의 주위에 회전운동시켜서 톱 붐(6)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있다.
지브(7)는 지브본체(40)와, 지브본체(40)를 톱 붐(6)의 선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지브 브래킷(30)과, 지브본체(40)를 지브 브래킷(30)에 대하여 기복시키기 위한 지브기복실린더(50)로 구성되어 있다. 지브 브래킷(30)과 지브본체(40)는 수평면내에 있어서 지브본체(40)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수직한 추축(樞軸)핀(31)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 지브기복실린더(50)와 지브 브래킷(30)은 추축핀(31)에 평행한 추축핀(51)에 의하여, 또 지브기복실린더(50)와 지브본체(40)는 추축핀(31)에 평행한 추축핀(52)에 의하여, 각각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지브기복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하여, 지브 브래킷(30)에 대하여 지브본체(40)가 추축핀(31)의 주위에 기복된다.
톱 붐(6)의 선단부 상면에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를 안내하는 가이드 시브(guide sheave)(22)가 설치된다. 톱 붐(6)의 선단부 앞면에는 가이드 시브(22)로부터의 와이어 로프(21)를 보조훅(20)에 인도하는 선단 시브(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지브 브래킷(30)의 상면에는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를 가이드하여 지브본체(40)의 선단에 인도하는 가이드 시브(32)를 설치하고 있다. 지브(7)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는 선단 시브(23)를 경유하여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의 감아올림 및 감아내림이 행하여진다. 지브(7)에서는 짐을 매다는 작업시에는 보조훅(20)을 사용하므로 와이어 로프(21)를 바꾸어 걸 필요가 있다. 와이어 로프(21)는 선단 시브(23)로부터 벗겨지고, 지브 돌출후에 톱 붐(6)의 선단부의 가이드 시브(22)로부터 이 가이드 시브(32)를 경유하며 지브본체(40)의 선단부의 시브(23)까지 인도되어, 지브(7)작업용으로서 사용된다.
통상, 지브(7)는 미사용시에는 기초단 붐(4)의 측면에 격납되어 있다. 지브(7)가 기초단 붐(4)의 좌측면에 격납되고 있을 때에 지브본체(40)를 고정하기 위해, 기초단 붐(4) 및 지브본체(40)에 브래킷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도 33에 있어서, 지브본체(40)의 우측면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걸림핀(46a) (46b)을 가지는 브래킷(46)이 붙박이되고, 지브본체(40)의 우측면의 선단부(40b)에는 브래킷(47b)이 붙박이되어 있다. 또, 기초단 붐(4)의 좌측면에는 상기한 브래킷(46) 및 브래킷(47b)에 각각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 브래킷(45)과 브래킷(47a)을붙박이하고 있다.
브래킷(47a) 및 브래킷(47b)에는 각각 고정핀(48)이 삽입되는 구멍이 설치되고, 지브 격납시는 양자의 구멍을 맞추어서 고정핀(48)으로 고정하고 있다. 도 34는 도 33에 있어서의 브래킷(45) 및 브래킷(46)의 34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브래킷(45)은 기초단 붐(4)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45a)(45b)을 가지고 있다. 또, 브래킷(46)은 구멍(45a)(45b)에 각각 기초단 붐(4)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걸어맞추는 걸림핀(46a)(46b)을 가지고 있다. 지브격납시는 걸림핀(46a)(46b)이 구멍(45a)(45b)에 각각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지브본체(40)가 기초단 붐(4)에 고정되어 있다.
도 35에 톱 붐(6)과 지브 브래킷(30)의 연결부의 평면도를 표시하고 있고, 이하, 도 35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톱 붐(6)의 선단부의 좌측면(6a)에 상하로 각각 브래킷(27a)(27b)을 설치하고, 우측면(6b)에 상하로 각각 브래킷(28a)(28b)을 설치하고 있다. 또, 지브(7)가 기초단 붐(4)의 좌측면에 격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붐(3)의 전방을 보아서 지브 브래킷(30)의 선단부의 우측면에는 상하로 각각 브래킷(33a)(33b)을 설치하고, 좌측면에는 상하로 각각 브래킷(34a)(34b)을 설치하고 있다. 각 브래킷에는 연결구멍이 설치되어 있어서, 각 브래킷(27a)과 (33a)(27b)와 (33b)(28a)와 (34a)(28b)와 (34b)는 각각 연결핀(35a)(35b)(36a) 및 (36b)에 의하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핀(35a)(35b)의 심(芯)을 연결하는 축선은 연직면 내에 포함됨과 동시에, 붐(3)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지브(7)를 톱 붐(6)에 대하여 연결핀(35a)(35b)의 둘레에 대략 180도 회전운동하기 위한 회전운동실린더(55)를 구비하고 있다. 지브 브래킷(30)의 후단부(지브본체(40)근처)의 우측면에 브래킷(37)을 설치하고, 회전운동실린더(55)의 일단측은 추축핀(38)에 의해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브래킷(37)에 부착된다. 회전운동실린더(55)의 타단측은 브래킷(56)의 일단에 부착된다. 브래킷(56)의 타단은 링크부재(57) 및 링크부재(58)의 일단에 추축핀(59)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톱 붐(6)의 선단부의 좌측면(6a)에 브래킷(25)을 설치하고, 링크부재(57)의 타단이 브래킷(25)에 추축핀(26)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링크부재(58)의 타단은 지브 브래킷(30)의 선단부 우측면의 상부에 있는 상기한 브래킷(33a)의 선단부가까이에 추축핀(39)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추축핀(26)(59)(39) 및 연결핀(35a)은 4절링크를 구성하고 있다. 지금 회전운동실린더(55)가 신장하면 추축핀(59)이 톱 붐(6)의 전방으로 눌려지고, 상기한 4절링크는 링크부재(57) 및 링크부재(58)가 이루는 각도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서, 추축핀(26) 및 추축핀(39)은 연결핀(35a)을 중심으로하여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따라서 지브 브래킷(30)은 톱 붐(6)의 전방에 연결핀(35a)의 둘레를 회전운동하게 된다. 회전운동실린더(55)가 축소하면 상기와 반대로 추축핀(59)이 톱 붐(6)의 후방으로 잡아당겨지고, 4절링크는 링크부재(57) 및 링크부재(58)의 이루는 각도가 작게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지브 브래킷(30)은 톱 붐(6)의 측방향으로 연결핀(35a)의 둘레를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지브(7)를 사용할 때는 톱 붐(6)의 선단부에 지브(7)를 돌출하여 연결하고, 이후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를 톱 붐(6)의 선단부로부터 지브본체(40)의 선단부까지 인도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21)를 바꾸어 걸 필요가 있다. 도 36에 지브(7)의 돌출 및 와이어 로프(21)의 바꾸어 거는 방법의 순서를 표시하고 있고, 또한 도 37부터 도 40은 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도 36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순서의 각 스텝을「S」로 나타낸다. 예컨대,「S21」은 「스텝21」이다.
도 37은 순서의 초기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지브 돌출작업의 준비로서 하부주행체(1)의 아우트리거(2)를 최대길이로 돌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S21 : 붐(3)을 대략 수평에서 또한 최대한 축소상태로 한다.
S22 : 윈치를 감아내려서 보조훅용의 와이어 로프(21)를 늦추고(도 37의 와이어 로프(21a)의 상태), 보조훅(20)을 지면(GL)에 접지시켜서 누인다.
S23 : 지브(7)의 고정핀(48)(도 33참조)을 뽑고, 인력(人力)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actuator)등에서 지브 브래킷(30)을 톱 붐(6)측으로 민다. 이 조작을「지브를 진출시킨다고 한다」고 한다.
S24 : 톱 붐(6)의 선단부의 좌측면(6a)에 있는 브래킷(27a)(27b)의 연결구멍과, 지브 브래킷(30)의 전방 우단부에 있는 브래킷(33a)(33b)의 연결구멍을 걸어맞추어서, 연결핀(35a)(35b)을 각각 삽입하여 연결한다.
S25 : 선단 시브(23)로부터 보조훅용의 와이어 로프(21)를 벗기고, 톱 붐(6)의 우측면에 늘어뜨린다. 도 37의 와이어 로프(21)의 상태이다.
S26 : 붐(3)을 서서히 소정각도까지 일으킨다. 이때, 보조훅(20)이 지면에 접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와이어 로프(21)를 늦추면서 붐(3)을 일으켜간다.
S27 : 붐길이를 최대한 축소상태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신장한다.
도 38은 이때의 이동식 크레인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붐(3)이 일어나는 것에 수반해서 와이어 로프(21)는 톱 붐(6)의 선단부 상면의 가이드 시브(22)로부터 톱 붐(6)의 우측면에 늘어뜨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붐길이를 최대한 축소상태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신장하면, 지브 브래킷(30)의 선단부는 연결핀(35a)(35b)에 의해서 톱 붐(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브본체(40)가 붐(3)의 신장에 따라서 붐 전방에 끌어올려진다. 따라서, 지브(7)의 걸림핀(46a)(46b)이 브래킷(45)의 구멍(45a)(45b)으로부터 뽑혀진다(도 34참조). 이 상태에서는 지브기복실린더(50)는 정지상태에서 작동로크되어 있으므로, 지브본체(40)는 지브 브래킷(30)에 지브기복실린더(5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S28 : 지브기복실린더(50)를 작동시켜서 지브본체(40)를 엎드리게 하고, 붐(3)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한다.
이때의 모양을 도 39에 표시한다. 지브본체(40)는 지브기복실린더(50)에 의하여 추축핀(31)의 주위에 회전운동되어서 (40a)위치로 되고 붐(3)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을 향한다. 이때 붐(3)이 소정 각도만큼 일어나서 또한 소정 붐길이만큼 신장하고 있으므로, 지브(7) 선단부가 지면(GL)의 근방으로 된다.
S29 : 회전운동실린더(55)를 신장시켜서 지브 브래킷(30) 및 지브본체(40)를 연결핀(35a)(35b)의 둘레에 180도 회전운동시키고, 톱 붐(6)의 전방(도 39의 (40b)의 위치)에 지브본체(40)를 돌출한다.
S30 : 지브기복실린더(50)를 작동시켜서 지브본체(40)를 추축핀(31)의 둘레에 회전시켜서 일으키면서 붐(3)을 서서히 엎드리게 하고, 지브본체(40)와 붐(3)을 대략 수평의 상태로 한다.
도 40은 이 모양을 표시하고 있다. 지브본체(40)와 붐(3)이 대략 수평으로 된 때에, 보조훅(20)은 순서의 초기단계에서 지면(GL)에 위치한 때와 동일한 위치(20a), 즉 톱 붐(6)의 선단부 근방에 누여지고 있다.
S31 : 톱 붐(6)의 선단부의 우측면(6b)에 있는 브래킷(28a)(28b)의 구멍과, 지브 브래킷(30)의 브래킷(34a)(34b)의 구멍과의 위치를 맞추고, 연결핀 (36a)(36b)을 각각 삽입하여 연결한다(도 35참조).
S32 : 보조훅(20)이나 와이어 로프(21)를 지브(7)의 선단부 근방에 이동시키고, 지브 브래킷(30)의 상면의 가이드 시브(32)나, 지브본체(40)의 선단부에 있는 로드(rod) 시브(41) 및 가이드 시브(42)에 와이어 로프(21)를 삽입한다.
이때, 도 40과 같이 오퍼레이터는 보조훅(20)을 지브(7)의 선단부 근방의 (20b)의 위치까지 가지고 이동한다. 또, 와이어 로프(21)의 바꾸어 걸기를 위해 오퍼레이터는 와이어 로프(21)도 가지고 이동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브 돌출방법에 있어서는 지브(7)의 돌출종료후에 오퍼레이터는 보조훅(20)을 붐(3)의 선단부 근방으로부터 지브(7)의 선단부 근방까지 가지고 이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오퍼레이터는 무거운 보조훅(20)을 가지고 이동함으로서 작업성이 좋지 않고, 또한 오퍼레이터의 피로도가 크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와이어 로프(21)를 바꾸어 걸을 때 이 로오프(21)가 무거우므로 오퍼레이터는 와이어 로프(21)를 지면에 접촉시킨 채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때, 와이어 로프(21)가 오염되어 버리므로 와이어 로프(21)의 수명의 저하나, 다른 부분의 마모 등을 발생하기 쉽다. 또, 보조훅(20)을 지면에 놓아둔 채로 와이어 로프(21)를 풀어내는 작업시 와이어 로프(21)에 텐션(tension)을 가하지 않고 윈치를 풀기 때문에 윈치드럼으로의 권취시에 어지럽게 감김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또한, 지브(7)의 돌출종료후에 와이어 로프(21)를 상기한 틀체의 가이드 시브(32), 지브(7)의 가이드 시브(42) 및 지브(7)의 로드 시브(41)에 바꾸어 걸 필요가 있다. 이 바꾸어 거는 작업은 사다리를 사용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되어 오퍼레이터에 있어서는 위험하고, 대단히 고통스러운 작업으로 되고 있다. 이들 작업은 오퍼레이터가 직접 와이어 로프(21)에 손을 대는 중작업으로 되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21) 독특의 기름이나 더러움이 손에 묻는 외에 부상의 원인으로도 되어 있다. 더욱이 전체를 통하여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나쁘고 오퍼레이터의 부담이 크다. 또, 지브(7)를 진출시켜 지브 브래킷(30)의 일측과 톱 붐(6)의 일측을 연결하는 경우,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구멍의 걸어맞춤이 어렵고 연결구멍 걸어맞춤후에도 오퍼레이터는 핀의 삽입을 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품이 든다.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브 돌출, 격납장치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를 장착한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브의 선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톱 붐의 선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붐을 소정의 각도 기립시켜서 축소시키고, 보조훅을 매달은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조훅을 싱글 톱 하면에 접하게 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싱글 톱을 들어올린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지브를 부복시키고 회전운동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대를 싱글 톱의 하면에 접하게 하여 지브를 돌출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조훅을 지브의 선단보다 아래의 위치까지 매달은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11화살표에서 본 도면으로 보조훅 매달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작업완료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지브회전운동장치의 지브격납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지브회전운동장치의 구성부품의 설명도로서 로크 실린더가 단축상태이다.
도 16은 도 15의 로크 실린더의 단축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로크 실린더의 후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로크 실린더의 18-18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지브회전운동장치의 지브진출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로크 실린더가 신장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상태에 대하여, 회전실린더를 신장하여 지브 돌출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24-24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의 구성부품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싱글 톱부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싱글 톱부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싱글 톱의 격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순서2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순서3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싱글 톱 링크의 이용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에 있어서 기초단 붐에 지브본체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중의 34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35는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의 지브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7은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방법으로 순서의 초기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8은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방법으로, 붐길이를 최대한 축소상태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신장한 상태(S27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9는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방법으로, 지브본체를 붐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는 상태(S28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0은 종래기술의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방법으로, 지브본체와 붐을 대략 수평의 상태(S30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조훅 및 와이어 로프를 가지고 이동함이 없이 용이하게 보조훅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작업의 힘절약화가 도모되고, 또 지브진출시의 회전브래킷과 붐선단과의 연결구멍의 걸어맞춤이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크레인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는 붐의 측면에 병렬로 설치하여 격납되는 지브와, 지브를 기복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붐의 선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회전브래킷을 구비하고, 지브의 사용시 회전브래킷을 회전운동시켜서 지브를 붐의 전방에 진출시켜 붐과 지브를 붐의 선단부에서 연결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에 있어서, 붐의 전방 하단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선단 시브와, 회전브래킷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장치와, 회전브래킷을 붐 전방에 회전운동하여 진출시킬 때 선단 시브와 붐의 선단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선단 시브를 붐의 전방 상방에 위치시키는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단 시브는 지브를 돌출할 때 보조훅용의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시브로서 겸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붐 전방 하단의 선단 시브와 붐의 선단 상부를 링크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도록 하였으므로, 선단 시브를 붐의 전방 상방으로 회전운동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보조훅용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시브를 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회전브래킷과 지브를 연결하는 지브기복실린더를 구비하고, 지브기복실린더가 지브의 격납위치에서 지브를 부복(俯伏)시킨 후 회전운동장치가 지브를 붐 전방으로 회전운동한 때에, 지브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고 또한 지브와 붐과의 상대각도가 약 85°이하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지브가 부복하여 회전운동할 때에 지브의 중심위치는 붐에 대한 회전브래킷의 대략 회전운동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브의 중심위치가 회전브래킷의 회전축중심선상에 위치하므로 지브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력이 작아도 된다.
또, 지브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자세인 때 선단 시브와, 지브선단부에 부착되는 가이드 시브와, 지브선단에 부착되는 로드 시브는 전방에서 보아서 대략 일직선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브를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자세로 한 때에 선단 시브와 가이드 시브를 전방에서 보아서 대략 일직선상에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선단 시브를 통해서 지면가까이까지 보조훅을 매달아서 지브를 기립시키면 와이어 로프는 자동적으로 가이드 시브에 삽입된다. 따라서, 보조훅이나 와이어 로프를 지면에 끌고다니던가 오퍼레이터가 들고 운반할 필요가 없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작업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 붐의 선단부에 링크를 회전운동하는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는 붐과 회전브래킷과의 좌우방향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로크 실린더(lock cylinder)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간레버와, 링크와 중간레버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rod)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링크를 상방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운동한 때에 링크의 선단부와 붐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 회전운동장치는 회전브래킷과, 회전브래킷의 상면에 고착되는 핀에 일단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1링크와, 제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2링크와, 붐과 회전브래킷의 좌우방향의 일단부를 신장한 상태에서 연결하는 로크 실린더와, 로크 실린더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선단이 제2링크의 타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제3링크와, 일단이 회전브래킷에 타단이 제1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링크의 타단의 위치가 안정하게 고정되므로, 붐의 측면에 병렬로 설치하여 격납하고 있던 지브를 진출시킨 경우 톱 붐과 회전브래킷의 걸어맞춤부를 용이하게 걸어맞춤할 수가 있다.
또, 회전브래킷은 회전브래킷의 기초단의 좌우의 일측에 수직방향의 제1연결핀 및 제3연결핀에 의하여 각각 붐의 선단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관통핀구멍 및 제2관통핀구멍과, 기초단의 좌우의 타단에 수직방향의 연결핀에 의하여 붐의 선단의 좌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관통핀구멍 및 제4관통핀구멍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 제2링크의 타단은 제2연결핀에 의하여 붐의 선단의 좌우의 일측 및 제3링크선단에 연결하는 제5관통핀구멍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로크 실린더는 로크 실린더의 실린더의 후단부 및 로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의 선단부에 각각 회전브래킷의 기초단의 좌우의 일측의 제1관통핀구멍 및 제2관통핀구멍에 걸어맞추는 제1연결핀 및 제3연결핀과, 제3링크의 선단에 제2링크의 타단의 제5관통핀구멍에 걸어맞추는 제2연결핀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 회전실린더를 단축한 때에 제3링크선단의 제2연결핀을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실린더를 단축한 상태에서 제3링크의 제2연결핀과 회전브래킷의 걸어맞춤부는 제2위치조정수단에 의하에 용이하게 정합할 수 있다.
또, 붐 전방으로의 진출시의 회전브래킷과 붐의 선단과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제1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실린더를 신장하여 회전브래킷을 붐에 대하여 회전시켜 지브를 진출시킨 때에, 붐선단과 회전브래킷의 걸어맞춤부는 제1위치조정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정합되어서 회전브래킷과 붐의 선단을 로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는 붐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선단 시브에 의하여 인도되는 보조훅용의 와이어 로프를 장착하고, 지브를 붐 측면에 격납할 때 또는 붐 측면으로부터 돌출할 때, 와이어 로프를 바꾸어 거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방법에 있어서, 지브의 돌출시 선단 시브를 붐의 전방 상방으로 회전운동시킨 후 지브를 격납위치에서 부복시켜, 부복후에 지브를 붐의 전방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부복시 붐 전방으로 회전운동후의 지브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으로 되도록 부복시키고, 붐 전방으로의 회전운동후 지브를 전방으로 기립하여 와이어 로프를 지브의 선단의 가이드 시브에 자동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의 발명에 의하여, 상기 장치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와이어 로프 등을 들고 운반할 필요가 없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이하에 상술한다.
도 1에 있어서, 톱 붐(6)의 전방 하단에는 선단 시브(Sheave)(23)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보조훅(20)의 와이어 로프(21)는 톱 붐(top boom)(6)의 선단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시브(22)를 거쳐서 선단 시브(23)에 삽입되어 있다. 도 2는 지브(7)의 선단부의 사시도이고, 지브(7)의 선단부에는 로드 시브(41) 및 가이드 시브(42)가 장착되어 있고, 와이어 로프(21)를 인도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1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톱 붐(6)의 전방 하단에 설치된 브래킷(125)에는 싱글 톱(single top)(121)이 고정핀(126)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싱글 톱(121)에는 선단 시브축(122)에 의하여 선단 시브(2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싱글 톱(121)에는 싱글 톱 링크(링크)(123)의 일단이 고착되고, 싱글 톱 링크(123)의 타단은 톱 붐(6)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시브(22)의 가이드 시브축(12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거나, 또는 이 근방에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톱 붐(6)의 선단에서 보조훅(20)을 사용하여 화물(짐) 등의 매다는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표시에서는 다단식 신축붐(3)을 표시하였으나 1단만의 붐에 지브(7)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도 좋다.
회전브래킷(30)의 도면표시의 우측의 선단 상부에는 지지대(127)가 붙박이되어 있다. 지지대(127)는 싱글 톱(121)을 톱 붐(6)의 전방 상방에 들어올리고 회전브래킷(30)을 톱 붐(6)의 전방으로 180˚회전시킨 때에, 싱글 톱(121)의 하면(M)에 접하여 싱글 톱(121) 및 선단 시브(3)를 지지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작동 및 지브 돌출, 격납시의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방법에 대하여, 도 4에 표시하는 순서에 따라 도 5∼도 12를 사용하여 상술한다. 순서의 스텝은「T」로 표시한다. 즉「스텝1」은「T1」이다.
T1 : 고정핀(126)을 뽑고 톱 붐(6)과 싱글 톱(121)과의 걸어맞춤을 벗긴다.
T2 :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붐(3)을 소정의 각도 기립시키고, 또한 축소상태로 한다. 보조훅(20)은 매달린 상태에 있다.
T3 : 다음에 도 6에 표시하듯이, 와이어 로프(21)를 감아올리고, 보조훅(20)을 싱글 톱(121)의 하면(N)에 접하게 한다.
T4 :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다시 와이어 로프(21)를 감아올리고, 싱글 톱(121) 및 싱글 톱 링크(123)를 축(1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켜, 싱글 톱(121)을 톱 붐(6)의 전방 상방에 위치시킨다.
T5 : 다음에, 지브기복실린더(50)를 단축하여 도 8에 표시하는 2점쇄선과 같이 지브(7)를 부복시킨다. 그리고, 후술의 회전운동장치(80)에 의하여 회전브래킷(30)을 180°회전운동시켜, 지브(7)를 도 8에 표시하는 실선위치로 한다. 이때 지브(7)는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으로 된다. 따라서, 붐(3)과 지브(7)와의 상대각도(α)는 약 85°이하로 된다. 지브기복실린더(50)는 지브(7)를 이 자세로 하는 데에 충분한 스트로크(stroke)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의 지브(7)의 중심(G)의 위치는 대략 회전브래킷(30)의 회전운동중심선 X-X선상에 있다. 따라서, 회전중심선 X-X주위의 회전모멘트는 종래의 것보다 작아지고 회전브래킷(30)을 작은 힘으로 회전운동시킬 수가 있다. 회전브래킷(30)을 180°회전운동시킨 상태에서는 회전브래킷(30)의 선단에 설치한 지지대(127)는 싱글 톱(121)의 하면(M)에 온다. 지지대(127)가 하면(M)에 오면서 보조훅(20)을 이완하면, 도 9에 표시하듯이 지지대(127)는 싱글 톱(121)의 하면(M)에 접하여 이를 지탱한다.
T6 : 다음에,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훅(20)을 지브(7)의 선단보다 아래의 위치까지 매단다. 이때 지브(7)를, 전방에서 본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21)의 중심과 지브(7)선단의 로드 시브(41) 및 가이드 시브(42)의 중심과는 대략 일치하고, 와이어 로프 가이드(12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이 경우, 와이어 로프(21)의 중심이 다소 어긋나도 와이어 로프 가이드(120)에 가이드되어서 로드 시브(41) 및 가이드 시브(42)의 중심과 일치한다.
T7 : 도 12에 표시하듯이, 지브기복실린더(50)를 신장시켜서 지브(7)를 기립시킨다. 보조훅(20)의 와이어 로프(21)는 자동적으로 지브(7)선단에 설치된 로드 시브(41) 및 가이드 시브(42)에 삽입된다.
도 13은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장치의 제2실시에로서,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즉, 링크(123)와 톱 붐(6)을 유압실린더(128) 등에 의하여 연결하고, 유압실린더(128) 등의 신축에 의하여 싱글 톱(121)의 회전운동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당초 톱 붐(6)과 싱글 톱(121)을 걸어맞춤하고 있는 고정핀(126)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이후는 운전석에 있어서 지브(7)의 기복이나 돌출조작 및 보조훅(20)의 와이어 로프(21)의 조작을 행하면, 자동적으로 와이어 로프(21)의 바꾸어 거는 것이 된다. 따라서 무거운 보조훅(29)이나 와이어 로프(21)를 들고 운반하던가, 와이어 로프(21)를 가이드 시브(42)에 삽입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지브(7)의 돌출, 격납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지브 돌출, 격납장치의 회전운동장치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4는 회전브래킷(30) 및 붐(3)의 톱 붐(6)의 평면도이고, 지브(7)를 붐(3)의 측면에 병렬로 설치하여 격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5는 지브 브래킷(30) 및 톱 붐(6)의 사시도이고, 회전운동장치(80)의 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에서는 숨어있는 부재(예컨데 브래킷(84))는 그 부호(84)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도 15를 참조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톱 붐(6)의 선단의 좌우방향의 일측 측면(지브와 붐의 병렬설치시의 붐선단 근방측면)의 상부에는 톱 붐 제1핀구멍(82a)과 톱 붐 제2핀구멍(82b)을 가지는 브래킷(82)이 고착된다. 브래킷(82)의 상면에는 가이드(83a)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일측 측면의 하부에는 톱 붐 제3핀구멍(84a)을 가지는 브래킷(84)이 고착되고, 브래킷(84)의 하면에는 가이드(83b)가 고착되어 있다. 톱 붐(6)의 선단의 다른측 측면(지브와 붐과의 병렬설치시의 붐선단 먼방향 측면측)은 상부에 톱 붐 제4핀구멍(85a) 및 상용(上用)조정볼트(제1위치조정수단)(87a)를 가지는 브래킷(85)이 고착되고, 하부에는 톱 붐 제5핀구멍(86a) 및 하용(下用)조정볼트(제1위치조정수단)(87b)를 가지는 브래킷(86)이 고착되어 있다.
회전브래킷(30)의 기초단의 일측 상부에는 톱 붐(6)의 톱 붐 제1핀구멍(82a)에 걸어맞추는 제1관통핀구멍(91c)을 가지는 쌍갈래브래킷(91a)(91b)이 설치되어 있다. 쌍갈래브래킷(91a)의 상면에는 원통부재(92a)가 고착되어 있다. 또, 회전브래킷(30)의 기초단의 일측 하부에는 톱 붐(6)의 톱 붐 제3핀구멍(84a)에 걸어맞추는 제2관통핀구멍(93c)을 가지는 쌍갈래브래킷(93a)(93b)이 설치된다. 쌍갈래브래킷(93b)의 하면에는 원통부재(92b)가 고착되어 있다.
회전브래킷(30)의 기초단의 다른 측은 상부에는 톱 붐(6)의 톱 붐 제4핀구멍(85a)에 걸어맞추는 제3관통핀구멍(94c) 및 상용(上用)스토퍼(stopper)(96a)를 가지는 쌍갈래브래킷(94a)(95b)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톱 붐(6)의 톱 붐 제5핀구멍(86a)에 걸어맞추는 제4관통핀구멍(95c) 및 하용스토퍼(96b)를 가지는 쌍갈래브래킷(95a)(95b)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브래킷(30)의 상면에 고착된 제1핀(101)에는 제1링크(102)의 일단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제1링크(102)의 타단에는 제2핀(103)에 의하여 제2링크(10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2링크(104)의 타단에는 제5관통핀구멍(105c)을 가지는 쌍갈래브래킷(105a)(105b)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브래킷(30)의 상면에 고착된 제3핀(107)과 제1링크(102)의 중앙부와는 회전실린더(10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회전브래킷(30)의 상면에 설치된 브래킷(97)에는 조정볼트(제2위치조정수단)(98)가 부착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로크 실린더(110)의 실린더(111)의 후단부(111a)에는 제3링크(112)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제3링크(112)의 후부에는 회전브래킷(30)의 제1관통핀구멍(91c)(도 15참조)에 걸어맞추는 제1연결핀(113)이 실린더(111)의 후단부(111a)에 삽입되고, 제1연결핀(113)은 제4핀(119a)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제1연결핀(113)과 실린더(111)의 후단부(111a)의 사이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제3링크(112)가 끼워져 있다.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11)가 회전브래킷(30)의 회전중에 따라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111)의 외주에는 회전방지부재(118a)가 고착되어 있다. 회전방지부재(118a)는 U자형상으로 슬릿(slit)(Q)이 설치되고, 이 슬릿(Q)의 사이에는 회전브래킷(30)의 판부재(90a)가 삽입되어 있다.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3링크(112)의 선단에는 제2링크(104)의 타단의 제5관통핀구멍(105c)에 걸어맞추는 제2연결핀(114)이 고착되어 있다. 로크 실린더(110)의 피스톤 로드(115)의 선단에는 플랜지부(116)를 설치하고, 그 선단에는 회전브래킷(30)의 제2관통핀구멍(93c)에 걸어맞추는 제3연결핀(117)이 제5핀(119b)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피스톤 로드(115)가 회전브래킷(30)의 회전중에 따라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111)의 외주에는 회전방지부재(118b)가 고착되어 있다. 회전방지부재(118b)에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슬릿(Q)이 설치되고, 이 슬릿(Q)의 사이에는 회전브래킷(30)의 판부재(90a)가 삽입되어 있다.
로크 실린더(110)를 단축한 상태에서는 실린더(111)의 선단은 회전브래킷(30)에 고착된 스토퍼(99)의 상면에 접하고, 제1연결핀(113)의 선단은 회전브래킷(30)의 쌍갈래브래킷(91b)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제1관통핀구멍(91c)에 관통하고 있지 않다. 또, 제3링크(112)의 선단의 제2연결핀(114)의 선단은 제2링크(104)의 쌍갈래브래킷(105b)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제5관통핀구멍(105c)에 관통하고 있지 않다. 피스톤 로드(115)의 플랜지부(116)의 후단은 스토퍼(99)의 하면에 접하고, 제3연결핀(117)의 선단은 지브 브래킷(30)의 쌍갈래브래킷(93b)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제2관통핀구멍(93c)에 관통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브래킷(30)과 제1링크(102)와 제2링크(104)와 제3링크(112)와는 연결되어 4절링크를 형성하고 있다. 제1링크(102)는 회전실린더(106)에서 회전브래킷(30)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톱 붐(6)으로부터 회전브래킷(30)이 이탈하여도 각 링크 상호의 위치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또 4절링크의 위치는 회전실린더(36)의 실린더 스트로크(실린더핀 사이거리)에서 결정되고, 이 실린더 스트로크는 조정볼트(98)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1링크(102)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에 의하여 톱 붐 제1핀구멍(82a) 및 톱 붐 제2핀구멍(82b)과 제1연결핀(113) 및 제2연결핀(114)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러한 회전운동장치(3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톱 붐(6)에 대하여 지브(7)를 돌출한 경우에는, 지브(7)를 가로안음장치(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진출시킨다. 도 19는 지브(7)를 진출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브래킷(30)과 톱 붐(6)과의 관계를 표시하고, 도 16은 그 상태에 있어서의 로크 실린더(110)의 단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19에서는 숨겨져 있는 부재는 그 부호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도 15를 참조한다.
즉, 톱 붐(6)의 브래킷(82) 및 브래킷(84)은 각각 지브 브래킷(30)의 쌍갈래브래킷(91a)(91b) 및 쌍갈래브래킷(93a)(93b)에 삽입된다. 톱 붐 제1핀구멍(82a) 및 톱 붐 제3핀구멍(84a)은 각각 제1관통핀구멍(91c) 및 제2관통핀구멍(93c)에 정합한다. 위치가 밀린 경우에는 브래킷(82)에 설치된 가이드(83a) 및 브래킷(84)에 설치된 가이드(83b)가, 쌍갈래브래킷(91a)에 설치된 원통부재(92a) 및 쌍갈래브래킷(93b)에 설치된 원통부재(92b)를 가이드하여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킨다. 동시에 톱 붐(6)의 브래킷(82)은 제2링크(104)의 쌍갈래브래킷(105a)(105b)에 삽입된다.
회전실린더(106)가 단축된 상태에서 제1링크(102)는 조정볼트(98)에 접하고 있다. 또 조정볼트(98)의 길이는 이 접한 상태에서 제2링크(104)의 제5관통핀구멍(105c)과 브래킷(82)의 톱 붐 제2핀구멍(82b)이 정합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톱 붐 제2핀구멍(82b)과 제5관통핀구멍(105c)은 정합한다.
다음에 도 2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실린더(110)를 신장하여 제1연결핀(113)을 톱 붐 제1핀구멍(82a) 및 제1관통핀구멍(91c)에 관통시킨다. 그와 동시에 이 신장에 의하여 제2연결핀(114)을 톱 붐 제2핀구멍(82b) 및 제5관통핀구멍(105c)에 관통시킨다. 또한, 로크 실린더(110)의 신장에 의하여 제3연결핀(117)을 톱 붐 제3핀구멍(84a) 및 제2관통핀구멍(93c)에 관통시킨다. 이들의 관통에 의하여 연결브래킷(30)과 톱 붐(6)의 일측을 연결한다.
다음에 회전실린더(106)를 신장하면,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브래킷(30)은 제1연결핀(1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도 21에서는 숨어있는 부재는 부호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도 15를 참조한다. 상기한 회전운동에 의하여, 톱 붐(6)의 다른 측의 브래킷(85) 및 브래킷(86)은 회전브래킷(30)의 다른 측의 쌍갈래브래킷(94a)(94b) 및 쌍갈래브래킷(95a)(95b)에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브래킷(30)의 스토퍼(96a)(96b)는 브래킷(85)(86)에 설치된 상용조정볼트(87a) 및 하용조정볼트(87b)에 접한다. 이때 톱 붐 제4핀구멍(85a)이 제3관통핀구멍(94c)에 또, 톱 붐 제5핀구멍(86a)이 제4관통핀구멍(95c)에 각각 정합하도록 상용조정볼트(87a) 및 하용조정볼트(87b)는 그 길이가 조정된다. 다음에 로크장치(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톱 붐(6)과 회전브래킷(30)의 다른 측은 로크되어 지브(7)의 돌출은 완료한다.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실린더(110)에는 유압호오스(도면에 표시가 생략됨)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브래킷(3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방지부재(118a)(118b)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브회전시에 로크 실린더(110)는 회전브래킷(30)과 마찬가지로 톱 붐(6)의 톱 붐 제1핀구멍(82a)의 주위를 회전한다. 또, 제3링크(112)의 위치는 톱 붐(6)에 대하여 지브회전중에도 상대움직임이 없다. 이들의 이유에 의하여, 제3링크(112)는 로크 실린더(1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나, 별도의 방법으로서 로크 실린더(110)를 회전브래킷(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면 제3링크(112)는 로크 실린더(110)에 고착하여도 좋다. 이때 유압호오스는 톱 붐(6)으로부터 꺼내는 것이 필요하다.
회전브래킷(30)의 회전운동장치(80)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실린더(106)를 단축한 상태에서 지브(7)를 진출시킨 때에, 톱 붐(6)의 일측의 톱 붐 제1핀구멍(82a)과 회전브래킷(30)의 일측의 제1관통핀구멍(91c)과의 위치 및 톱 붐(6)의 톱 붐 제2핀구멍(82b)과 제2링크(104)의 선단의 제5관통핀구멍(105c)과의 위치는 자동적으로 정합한다. 그리고 회전실린더(106)를 신장하여 회전브래킷(30)을 180°회전운동한 후, 톱 붐(6)의 타측의 톱 붐 제4핀구멍(85a)과 회전브래킷(30)의 타측의 제3관통핀구멍(94c)과의 위치는 자동적으로 정합한다.
따라서, 지브(7)의 돌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22는 와이어 로프 바꾸어 거는 장치의 제3실시예로서, 톱 붐(6)의 전방 하단에 부착된 브래킷(130)에는 싱글 톱(131)이 고정핀(132)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싱글 톱(131)에는 선단 시브축(122)에 의하여 선단 시브(2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선단 시브축(122)에는 싱글 톱 링크(123)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싱글 톱 링크(123)의 타단은 톱 붐(6)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시브(22)의 가이드 시브축(12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싱글 톱 링크(123)는 상부링크(123a)와 하부링크(123b)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연결핀(123c)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톱 붐(6)의 선단부에는 싱글 톱 링크(123)를 회전운동하는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톱 붐(6)의 선단에서 선단 시브(23)에 와이어 로프(21)를 걸고 보조훅(20)을 사용하여 화물의 매다는 작업이 가능하다.
회전브래킷(30)의 도면표시의 우측의 선단상부에는 싱글 톱(131)을 톱 붐(6)의 전방 상방에 들어올리고 회전브래킷(30)을 톱 붐(6)의 전방에 180°회전운동시킨 때에 싱글 톱(131)의 하면(P)에 접하여 싱글 톱(131) 및 선단 시브(23)를 지지하는 지지대(133)가 붙박이되어 있다.
도 23,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톱 붐(6)의 선단부에는 제1레버(142)에 붙박이된 레버축(143)이 축받이되어서, 제1레버(142)의 선단부에는 롤러(144)가 부착되어 있다. 레버축(143)의 선단부에는 제2레버(145)의 일단이 세레이션(serration) 또는 키(key)에 의하여 붙박이된다. 제2레버(145)는 플레이트(146) 및 볼트(147)에 의하여 조여붙이기되어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하여 중간레버(141)가 구성되어 있다. 톱 붐(6)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시브축(124)에는 싱글 톱 링크(123)의 상부링크(123a)의 기초단부에 붙박이된 쌍갈래레버(123d)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제2레버(145)의 타단은 쌍갈래레버(123d)와 연결로드(148)를 통하여 핀(14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레버(142)의 롤러(144)의 하단은 로크 실린더(110)를 단축한 때에 로크 실린더(110)에 붙박이된 제3링크(112)의 하부플레이트(112a)의 상면에 근접하고 있다. 로크 실린더(110)를 신장하면 하부플레이트(112a)는 롤러(144)에 접하여 밀어올려지고, 제1레버(142)를 회전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싱글 톱 링크(123)를 회전운동시킨다. 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선단 시브(23)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에 있어서, 톱 붐(6)의 선단 하부에는 브래킷(130)이 좌우1쌍의 핀(134)(134)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130)은 한쪽의 핀(134)(예컨데, 도 27의 상방의 핀)을 벗기면, 다른쪽의 핀(134)(도 27의 하방의 핀)을 중심으로 하여 도 27의 화살표(Y)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다. 브래킷(130)에는 선단 시브(23) 및 하부링크(123b)를 선단 시브축(122)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한 싱글 톱(131)이 고정핀(132)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싱글 톱 링크(123)의 하부링크(123b)의 일단은 연결핀(123c)에 의하여 상부링크(123a)와 결합되어 있으나, 타단은 위치결정핀(135)에 의하여 싱글 톱(131)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연결핀(123c)을 뽑아서 상부링크(123a)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위치결정핀(135)을 뽑아서 하부링크(123b)를 2점쇄선(도 26)에 표시하는 위치에 회전운동시키고, 위치결정핀(135)을 싱글 톱(131)의 핀구멍(136) 및 하부링크(123b)의 핀구멍(123e)에 정합시켜서 끼워넣는 것에 의하여, 하부링크(123b)를 2점쇄선에 표시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하부링크(123b)를 도 26의 2점쇄선과 같이 위치결정한 후, 브래킷(130)의 한쪽의 핀(134)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다른쪽의 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도 27에 표시하는 화살표(Y)와 같이 브래킷(130)을 회전운동시키면, 도 2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싱글 톱(131)은 격납자세로 된다. 이때, 상부링크(123a)는 2점쇄선의 위치로부터 실선의 위치에 화살표와 같이 회전운동하여 격납자세로 된다.
다음에, 지브(7)의 돌출, 격납시의 와이어 로프(21)의 바꾸어 거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순서1 : 도 2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링크(123a)와 하부링크(123b)를 연결핀(123c)으로 연결 후, 고정핀(132)을 벗겨서 브래킷(130)과 싱글 톱(131)을 떼어놓는다.
순서2 : 도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브(7)를 진출시키고, 도 2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실린더(110)를 신장하여 제1연결핀(113) 및 제3연결핀(117)으로 톱 붐(6)의 한쪽과 회전브래킷(30)의 한쪽을 연결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싱글 톱 링크(123)는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140)에 의하여 도 2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운동한다.
순서3 : 도 3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브(7)를 부복시키고, 회전브래킷(30)을 180°회전운동시켜서 톱 붐(6)의 전방으로 돌출하게 한다. 이때 회전브래킷(30)의 지지대(133)는 싱글 톱(131)의 하면(P)에 접하여 이것을 지지한다.
이상의 작업에 있어서, 로크 실린더(110)를 신장함과 동시에 싱글 톱 링크(123)는 소정의 위치에 상승하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다.
도 31은 싱글 톱 링크(123)의 선단에 장착된 선단 시브(23)의 다른 이용방법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즉, 싱글 톱 링크(123)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시켜서 선단 시브(23)를 들어올리고, 선단 시브축(122)과 톱 붐(6)의 선단부를 지지링크(150)로 연결한다. 이에 의하여 선단 시브(23)를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메다는 데가 적은 현장에 있어서의 올림범위상승에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지브(7)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선단 시브(23)를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의 가이드 시브(23)로서 겸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톱 붐(6)의 선단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장착한 선단 시브(23)를 전방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지브(7)를 부복(엎드리게 함)하여 톱 붐(6)의 전방으로 180°회전운동한 때에, 지브(7)를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보조훅(20)을 지상근방까지 늘어뜨리고 지브(7)를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와이어 로프(21)를 지브(7)의 선단 시브(23)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오퍼레이터는 보조훅(20)이나 와이어 로프(21)의 운반이나, 와이어 로프(21)를 선단 시브(23)에 삽입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용이하게 단시간에 와이어 로프(21)의 바꾸어 거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회전실린더(106)의 단축시에 있어서의 제2링크(104)의 제5관통핀구멍(105c)위치가 고정되어 지브(7)를 진출시킨 때에, 톱 붐(6)의 일측의 톱 붐 제1핀구멍(82a) 및 톱 붐(6)의 톱 붐 제3핀구멍(84a)과, 회전브래킷(30)의 일측의 제1관통핀구멍(91c) 및 제2관통핀구멍(93c)이 정합한다. 또한, 톱 붐(6)의 다른 측의 톱 붐 제4핀구멍(85a) 및 톱 붐 제5핀구멍(86a)과, 회전브래킷(30)의 다른 측의 제3관통핀구멍(94c) 및 제4관통핀구멍(95c)이 정합한다. 이들에 의하여, 톱 붐(6)과 회전브래킷(30)과의 연결은 용이하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훅 및 와이어 로프를 들고서 이동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보조훅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바꾸어 거는 작업의 힘절약화가 도모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7)

  1. 붐(3)의 측면에 병렬로 설치하여 격납되는 지브(7)와, 상기한 지브(7)를 기복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상기한 붐(3)의 선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회전브래킷(30)을 구비하고, 상기한 지브(7)의 사용시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을 회전운동시켜서 상기한 지브(7)를 상기한 붐(3)의 전방에 돌출하고, 상기한 붐(3)과 상기한 지브(7)를 상기한 붐(3)의 선단부에서 연결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붐(3)의 전방 하단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선단 시브(23)와,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을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장치(80)와,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을 상기한 붐(3)전방에 회전운동하여 진출시킬 때 상기한 선단 시브(23)와 상기한 붐(3)의 선단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상기한 선단 시브(23)를 상기한 붐(3)의 전방 상방에 위치시키는 링크(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단 시브(23)는 상기한 지브(7)를 돌출한 때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의 가이드 시브(23)로서 겸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브래킷(30)과 상기한 지브(7)를 연결하는 지브기복실린더(50)를 구비하고, 상기한 지브기복실린더(50)가 상기한 지브(7)의 격납위치에서 상기한 지브(7)를 부복시킨 후 상기한 회전운동장치(80)가 상기한 지브(7)를 상기한 붐(3)전방에 회전운동한 때에, 상기한 지브(7)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이고, 또한 상기한 지브(7)와 상기한 붐(3)과의 상대각도(α)가 약 8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브(7)가 부복하여 회전운동할 때에, 상기한 지브(7)의 중심위치(G)는 상기한 붐(3)에 대한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의 대략 회전운동중심선(X-X)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브(7)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자세인 때, 상기한 선단 시브(23)와, 상기한 지브(7)선단부에 부착되는 가이드 시브(42)와, 상기한 지브(7)선단에 부착되는 로드 시브(41)는 전방에서 보아서 대략 일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붐(3)의 선단부에 상기한 링크(123)를 회전운동하는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123)를 상방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운동한 때에 상기한 링크(123)의 선단부와 상기한 붐(3)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운동장치(80)는 상기한 회전브래킷(30)과,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의 상면에 고착되는 핀(101)에 일단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1링크(102)와, 상기한 제1링크(102)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2링크(104)와, 상기한 붐(3)과 상기한 회전브래킷(30)과의 좌우방향의 일단부를 신장한 상태에서 연결하는 로크 실린더(110)와, 상기한 로크 실린더(1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서 선단이 상기한 제2링크(104)의 타단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제3링크(112)와, 일단이 상기한 회전브래킷(30)에 타단이 상기한 제1링크(102)에 연결되는 회전실린더(1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140)는 상기한 붐(3)과 상기한 회전브래킷(30)과의 좌우방향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로크 실린더(1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간레버(141)와, 상기한 링크(123)와 상기한 중간레버(141)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회전운동구동장치(140)는 상기한 로크 실린더(1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간레버(141)와, 상기한 링크(123)와 상기한 중간레버(141)를 연결하는 연결로드(1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은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의 기초단의 좌우의 일측에 수직방향의 제1연결핀(113) 및 제3연결핀(117)에 의하여 각각 상기한 붐(3)의 선단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1관통핀구멍(91c) 및 제2관통핀구멍(93c)과, 상기한 기초단의 좌우의 다른 측에 수직방향의 연결핀에 의하여 상기한 붐(3)의 선단의 좌우의 다른 측에 연결하는 제3관통핀구멍(94c) 및 제4관통핀구멍(95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링크(104)의 타단은 제2연결핀(114)에 의하여 상기한 붐(3)의 선단의 좌우의 일측 및 상기한 제3링크(112)선단에 연결하는 제5관통핀구멍(105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크 실린더(110)는 상기한 로크 실린더(110)의 실린더(111)의 후단부 및 상기한 로크 실린더(110)의 피스톤 로드(115)의 선단부에 각각 상기한 회전브래킷(30)의 기초단의 좌우의 일측의 제1관통핀구멍(91c) 및 제2관통핀구멍(93c)에 걸어맞추는 제1연결핀(113) 및 제3연결핀(117)과, 상기한 제3링크(112)의 선단에 상기한 제2링크(104)의 타단의 제5관통핀구멍(105)에 걸어맞추는 제2연결핀(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실린더(106)를 단축한 때에 상기한 제3링크(112)선단의 제2연결핀(114)을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위치조정수단(9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붐(3) 전방으로의 진출시의 상기한 회전브래킷(30)과 상기한 붐(3)의 선단과의 상대위치를 조정하는 제1위치조정수단(87a, 87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16. 붐(3)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선단 시브(23)에 의하여 인도되는 보조훅(20)용의 와이어 로프(21)를 장착하고, 지브(7)를 상기한 붐(3)측면에 격납할 때 또는 상기한 붐(3)측면으로부터 돌출할 때, 상기한 와이어 로프(21)를 바꾸어 거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지브(7)의 돌출시 상기한 선단 시브(23)를 상기한 붐(3)의 전방 상방으로 회전운동시킨 후 상기한 지브(7)를 격납위치에서 부복시키고, 부복후에 상기한 지브(7)를 상기한 붐(3)의 전방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복시 상기한 붐(3)전방으로 회전운동후의 상기한 지브(7)가 지면에 대하여 대략 연직으로 되도록 부복시키고, 상기한 붐(3)전방으로 의 회전운동 후 상기한 지브(7)를 전방으로 기립하여 상기한 와이어 로프(21)를 상기한 지브(7)의 선단의 가이드 시브(42)에 자동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방법.
KR1019980707887A 1996-04-05 1997-04-02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 KR100283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74396 1996-04-05
JP96-108743 1996-04-05
JP96-224356 1996-08-07
JP8224356A JP2883860B2 (ja) 1996-04-05 1996-08-07 クレーンのジブ張出、格納装置及びその張出、格納方法
PCT/JP1997/001141 WO1997037927A1 (fr) 1996-04-05 1997-04-02 Procede et dispositif de deploiement et de rangement de bras de fleche de gr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209A true KR20000005209A (ko) 2000-01-25
KR100283237B1 KR100283237B1 (ko) 2001-04-02

Family

ID=2644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887A KR100283237B1 (ko) 1996-04-05 1997-04-02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36035A (ko)
JP (1) JP2883860B2 (ko)
KR (1) KR100283237B1 (ko)
DE (1) DE19781687T1 (ko)
WO (1) WO19970379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37B1 (ko) * 2004-05-28 2006-08-0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로프의 권선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붐헤드와후크조립체를 갖는 크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2181A (ja) * 2000-04-24 2001-10-31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ジブ張出格納装置
US7878346B1 (en) * 2008-08-25 2011-02-01 Link-Belt Construction Equipment Co., L.P., Lllp Adaptable boom extension for a mobile crane having a telescoping boom
JP5248952B2 (ja) * 2008-08-29 2013-07-31 株式会社タダノ ジブ付きクレーン車のジブ格納装置
CN101880012A (zh) * 2010-07-21 2010-11-10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一种起重机臂架过渡结构
US8443936B1 (en) 2010-11-15 2013-05-21 Timothy James Raymond Self-contained work platform attachment for mobile cranes
JP5765270B2 (ja) * 2012-03-01 2015-08-19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装置のジブ張出装置
US8857567B1 (en) 2012-06-14 2014-10-14 Timothy James Raymond Self-contained powered jib boom and optional work platform attachment for mobile cranes
US9815674B2 (en) * 2013-02-21 2017-11-14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Pin puller for crane connections
JP6531448B2 (ja) * 2015-03-20 2019-06-19 株式会社タダノ ジブ連結構造
JP6519403B2 (ja) * 2015-08-21 2019-05-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ジブ張出格納装置、およびジブ張出格納方法
ITUB20153881A1 (it) * 2015-09-24 2017-03-24 Euro Pipeline Equipment S P A Sistema di aggancio e sgancio rapido di una unita' cingolata ad un telaio di una macchina cingolata, particolarmente di una macchina cingolata posa-tubi.
WO2017216944A1 (ja) 2016-06-17 2017-12-21 株式会社前田製作所 移動式クレーン
DE202017101042U1 (de) 2017-02-24 2017-03-24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Sas Verbolzungseinheit
US10589966B2 (en) 2017-03-02 2020-03-17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Jib coupling system for jib stow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396A (ja) * 1986-07-21 1988-02-05 株式会社タダノ 伸縮ブ−ムに継ぎ足されるジブ
CA2015519C (en) * 1989-08-10 1994-09-27 Yukio Koizumi Jib stretching and folding device for crane
JPH04125297A (ja) * 1990-09-13 1992-04-24 Kobe Steel Ltd 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格納装置
JPH05139693A (ja) * 1991-11-21 1993-06-08 Kobe Steel Ltd クレーン
JP2583846Y2 (ja) * 1993-04-02 1998-10-27 住友建機株式会社 クレ−ンにおけるジブの振出・格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37B1 (ko) * 2004-05-28 2006-08-0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로프의 권선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붐헤드와후크조립체를 갖는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37927A1 (fr) 1997-10-16
DE19781687T1 (de) 1999-04-15
US6036035A (en) 2000-03-14
KR100283237B1 (ko) 2001-04-02
JP2883860B2 (ja) 1999-04-19
JPH09323892A (ja) 199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237B1 (ko) 크레인의 지브 돌출, 격납장치 및 방법
US7096963B2 (en) Swing arm crane and method
EP0254510A1 (en) Extension jib for a boom
JP4683971B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ジブ連結構造
JP2003201089A (ja) 自走式クレーンおよびその自力着脱方法
EP0728695A1 (en) Device for extending and storing horizontal boom
JP4191955B2 (ja) クレーン装置のジブ格納機構
JP4467691B2 (ja) 高所作業車
JP3537233B2 (ja) ジブ張出、格納時のワイヤロープ掛換え装置及び方法
JP4688303B2 (ja) ケーブル架渉用高所作業車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架渉方法
JP3229743B2 (ja) ジブ先端構造
JP7208821B2 (ja) 作業車
JPH0967081A (ja) ジブ張出、格納時のワイヤロープ掛換え装置及び方法
JP2541696Y2 (ja) 装柱補助装置
JP6443017B2 (ja) ジブの着脱機構
JP3364186B2 (ja) 建設機械のトレッド固定装置
JPH0995965A (ja) バックホウ装着用の巻上げ装置
JP6788359B2 (ja) クレーン
JPS6032072Y2 (ja) 車両形クレ−ン
JPS5935498Y2 (ja) 補助ジブの連結チルト装置
JP3640323B2 (ja) クレーン用ジブの張り出し、格納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541697Y2 (ja) 装柱補助装置
JP2797136B2 (ja) 自走式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ブームの基台支承装置
JP3451862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のジブ格納装置
JPS6032070Y2 (ja) 車両形ク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