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949A - 관통통체및그의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관통통체및그의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949A
KR19990087949A KR1019990014165A KR19990014165A KR19990087949A KR 19990087949 A KR19990087949 A KR 19990087949A KR 1019990014165 A KR1019990014165 A KR 1019990014165A KR 19990014165 A KR19990014165 A KR 19990014165A KR 19990087949 A KR19990087949 A KR 19990087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insertion path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cylinde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미즈쇼하치
Original Assignee
야마다 아키오
미라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아키오, 미라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아키오
Publication of KR1999008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94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구획부에 대한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의 삽입지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관통통체 및 그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관통통체(13)는,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통(14)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되고, 각 통(14)에 의해 피관통체로서의 케이블(16) 등을 독립적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삽입로의 양측 개구 단부를 독립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18, 22)을 구비하고, 관통통체(13)의 외주면에는, 팽창상태에 있어서 내화충전재(19)를 형성하며,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충전하는 내화충전 형성재로서의 무기발포 전구체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관통통체 및 그의 사용방법{A box structure for supporting a member such as a cable, a pipe, etc. passing through a partition member of a building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마루 등의 구획부에 전기배선 등의 피관통체를 관통지지시키기 위한 관통통체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 형상의 래크(rack)(61)에 지지된 케이블(62)의 건축물의 벽, 마루 등의 구획부(63)에 대한 관통지지는, 다음과 같이 실행되었다. 먼저, 구획부(63)에 형성된 관통구멍(64)에 케이블(62)을 지지하기 위한 래크(61)를 관통지지시킨다. 그리고, 케이블(62)을 관통구멍(64)에 삽입하는 동시에, 래크(61) 상에 지지시킨다. 이어서, 케이블(62) 및 래크(61)의 외주면과 관통구멍(6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에 록 울(rock wool) 등의 내화재(65)를 충전한다.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64)으로부터 돌출된 래크(61) 및 케이블(62)에 대응하도록 시공현장에서 내화칸막이판(66)에 다수의 구멍(67)을 펀칭(punching)형성하여, 그들 구멍(67)에 래크(61) 및 케이블(62)을 삽입하는 동시에, 내화칸막이판(66)을 구획부(63)의 외측면에 고정시켜 내화재(65)가 충전된 관통구멍(64)을 피복폐쇄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멍(67)과 래크(61) 및 케이블(62)과의 사이의 틈을 내화밀봉재(68)에 의해 메웠다.
그런데, 관통구멍(64)의 내주면과 래크(61) 및 케이블(62)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은 상당히 크며, 래크(61) 및 케이블(62)을 공중에 매단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코킹(calking) 머신 등을 사용하여 내화재(65)를 충전하거나, 인력에 의해 충전작업을 행하거나 하여도, 한번에 충전할 수 있는 내화재(65)의 양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충전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동시에, 내화재(65)가 충전작업 중에 그의 자중(自重)에 의해 가라앉게 되어, 내화재(65)를 빈틈없이 충전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곤란했다.
또한, 관통구멍(64)으로부터 돌출되는 래크(61) 및 케이블(62)에 대응하도록, 시공현장에서 내화칸막이판(66)에 다수의 구멍(67)을 형성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작업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설비증설 등을 위해 새롭게 케이블(62)을 증설할 때는, 먼저, 내화밀봉재(68), 내화칸막이판(66) 및 내화재(65)를 모두 제거하고, 케이블(62)을 래크(61) 상에 추가로 삽입한다. 그후,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관통구멍(64)을 다시 충전폐쇄했다. 따라서, 케이블(62)의 증설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동시에,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에 주목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획부에 대한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의 삽입지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관통통체 및 그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밖의 목적은, 피관통체의 증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그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관통통체 및 그의 사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건축물의 벽, 마루 등의 구획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를 삽입시키기 위한 관통통체에 있어서, 적어도 그의 개구 단부(端部)를 다수의 삽입로로 구획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로를 독립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2개 이상의 통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그의 외주면에 팽창상태에 있어서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에 충전되는 내화충전 형성재를 구비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l 내지 청구항 4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l 내지 청구항 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그의 외주면에 구획부의 외면(外面)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부착물을 갖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통은 인접하는 다른 통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에 충전되는 내화재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뚜껑체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틀체로 이루어지고, 그의 내부에 내화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틀체는 다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분할체의 내측 바닥부는 휠 수 있는 탄성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관통통체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관통통체로부터 돌출된 피관통체를 지지하기 위한 래크를 연결하도록 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건축물 등의 벽, 마루 등의 구획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적어도 개구 단부가 다수의 삽입로로 구획된 관통통체를 삽입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메워 관통통체를 관통구멍에 관통지지시킨 후,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를 각 삽입로에 삽입하며, 피관통체의 외주면과 삽입로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내화재를 충전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5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를 2개 이상의 통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6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7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l4 내지 청구항 1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인접하는 다른 통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8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는 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9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뚜껑체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0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에 부착되었을 때, 그의 내부에 내화재가 충전되는 틀체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1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관통통체로부터 돌출된 피관통체를 지지하기 위한 래크를 관통통체에 연결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2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관통통체의 외주면과 관통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그 틈에 마련된 내화충전 형성재를 팽창시켜 메우는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관통통체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2의 (a)는 통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통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통과 폐쇄수단으로서의 뚜껑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관통통체를 관통구멍에 관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6은 관통통체의 삽입로에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관통통체와 구획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틀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틀체를 끼워맞춘 관통통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의 (a)는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b)는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뚜껑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내화재(耐火材)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14는 종래기술의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구획부 12 : 관통구멍
13 : 관통통체 14 : 통
15 : 연결부재 16 : 케이블
17 : 삽입로 18 : 내화재(耐火材)
20 : 무기(無機)발포 전구체(前驅體) 21 : 연결구멍
22 : 뚜껑체 23 : 래크(rack)
26 : 고정부재 31 : 틀체
31a, 31b : 분할체 33 : 탄성편(片)
36 : 폐쇄부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부(11)는 건축물의 벽, 마루, 대들보 등이다. 관통구멍(12)은 구획부(11)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12)에 삽입되는 관통통체(13)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통(14)을 그들의 양단부에 있어서 클립 형상의 연결부재(15)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되고, 각 통(14)에 의해 피관통체로서의 케이블(16) 등을 독립적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로(1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삽입로(17)의 양측 개구 단부를 독립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후술하는 폐쇄수단(18, 22)을 구비하고, 관통통체(13)의 외주면에는, 팽창상태에 있어서 내화충전재(19)를 형성하며,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충전하는 내화충전 형성재(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14)은 금속재료에 의해 단면이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양단(兩端)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 한쌍의 연결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5)는 금속재료에 의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쌍의 걸림돌기(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통(14)을 각 연결구멍(21)이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연결부재(15)의 걸림돌기를 연결구멍(21)에 결합시킴으로써, 인접하는 통(14)을 연결하여 관통통체(13)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내화충전 형성재로서의 무기발포 전구체(20)(가부시키가이샤 토키와(常盤) 덴키 제조 GRANDEX FJ515)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통체(13)의 외주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각 통(14)의 대향하는 둘레면 또는 3개의 둘레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무기발포 전구체(20)는, 합성팽윤성 운모를 알칼리염의 수용액에 분산시킨 것을 주성분으로 한 것이다. 상기 합성팽윤성 운모는 고상(固相) 반응에 의해 합성된 미분(微粉) 나트륨·불소 운모로서, 평균 입경(粒徑)이 1∼5㎛이고, 층의 두께는 10Å인 것이다. 그리고, 층의 사이에 무기·유기물을 통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알칼리염으로서는 규산 소다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무기발포 전구체(20)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합성팽윤성 운모를 규산 소다의 수용액에 분산시킬 경우, 합성팽윤성 운모는 수분을 층간(層間)에 흡착하여 팽윤하고, 층간의 나트륨 이온 또는 리튬 이온 등의 양이온이 수중에 용해되어 미세하게 벽개(劈開)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합성팽윤성 운모의 결정은 층간부분이 음이온으로 대전(帶電)하고, 인편(鱗片)의 반대측 면이 양이온으로 대전한다. 이 상태에서, 규산 소다의 나트륨 이온이 합성팽윤성 운모의 음이온으로 대전하고 있는 층간에 전기적으로 흡인되어 통합됨으로써 복합화되어, 액상(液狀)의 무기발포 전구체(20)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합성팽윤성 운모와 규산 소다의 혼합액을 건조시켜 수분을 증발시킬 경우, 농축에 의해 합성팽윤성 운모의 결정 인편 상호가 물을 내부에 포함하면서 접근하여 겔(gel)화된다. 이때, 벽개된 합성팽윤성 운모의 결정 인편은 층간부분이 음이온으로, 반대면이 양이온으로 대전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가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결정 인편의 평면부와 단면부가 임의적으로 맞닿아 접하여 카드 하우스 형상으로 조립된 구조로 결합하여, 겔 상태의 무기발포 전구체(20)가 얻어진다. 그리고, 겔 상태의 무기발포 전구체(20)를 통(14)의 원하는 위치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고화(固化)시킴으로써 관통통체(13)에 무기발포 전구체(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무기발포 전구체(20)는, 150∼200℃, 필요할 경우에는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그의 체적이 가열전의 3∼5배로 팽창발포하고, 10∼15분 후에 경화(硬化)되어 내화충전재(19)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내화충전재(19)에 의해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을 충전하여, 관통통체(13)를 관통구멍(12)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기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 등에 의해 탄화(炭化)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수단으로서의 내화재(18)는, 각 삽입로(17)에 케이블(16)을 삽입했을 때, 삽입로(17)의 양측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케이블(16)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을 폐쇄하기 위해서 충전된다. 이 내화재(18)는, 퍼티(putty) 등의 난연성(難燃性)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클로로프렌 고무에 함수(含水) 규산 소다(물유리)를 포함시킨 것이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16)이 삽입되지 않는 삽입로(17)의 양측 개구 단부는, 폐쇄수단으로서의 뚜껑체(22)에 의해 폐쇄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뚜껑체(22)는 금속재료에 의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통(14)의 개구 단부내에 끼워 맞출 수 있는 결합부(22a)와, 그의 대향하는 단부 둘레에 형성된 한쌍의 부착편(片)(22b)을 구비하며, 한쌍의 구멍(22c)은 부착편(22b)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내에 뚜껑체(22)의 결합부(22a)를 끼워 맞추고, 구멍(22c)에 있어서 비스(22d)에 의해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삽입로(17)를 결합부(22a)에 의해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설비증설 등을 위해 케이블(16)을 증설할 때는, 구멍(22c)에 삽입된 비스(22d)를 빼내고, 뚜껑체(22)를 삽입로(17)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새롭게 삽입로(17)를 개방하여 케이블(16)을 삽입시키는 동시에, 내화재(18)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23)는, 금속재료에 의해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통체(13)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수단으로서의 연결구멍(21)에, 개장(介裝)부재(24)를 통하여 나사(24a)에 의해 부착된다. 이 래크(23)는, 전기기구 등의 배선, 수도관 또는 에어컨 냉매의 배관 등의 피관통체(16)를 구획부(11)에 관통시켜 설치할 때, 그들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구조물이다.
또한, 관통통체(13)를 사용할 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통(14)을 연결부재(15)에 의해 연결하여, 다수의 삽입로(17)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관통통체(13)를 구성한다. 이때,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통체(13)의 외주면에는 미리 무기발포 전구체(2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통체(13)를 관통구멍(12)에 삽입하고, 무기발포 전구체(20)를 관통구멍(12)의 내주면에 대응시킨다. 관통통체(13)를 그의 내측으로부터 버너(25)에 의해 가열한다. 그 결과, 무기발포 전구체(20)가 가열된다.
이때, 무기발포 전구체(20)의 결정 사이에 잔류되어 있던 수분이 완전히 증발하고, 결정 사이가 급격하게 팽창하여, 수분의 비산(飛散) 후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미세한 틈이 남는다. 이와 같은 무기발포 전구체(20)의 균등한 연속 발포에 의해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 관통통체(13)와의 사이의 틈이 무기발포체에 의해 충전폐쇄되고, 수십분 후에 경화되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화충전재(19)로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소량의 무기발포 전구체(20)에 의해 내화충전재(19)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 관통통체(13)와의 사이의 틈이 내화충전재(19)에 의해 충전폐쇄되는 동시에, 관통통체(13)가 내화충전재(19)를 통하여 관통구멍(12)에 관통지지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통체(13)의 상면 또는 상하 양면에 L자 형상의 고정부재(26)를 미리 용접해 두고, 고정부재(26)에 형성된 구멍(26a)으로부터 구획부(11)에 볼트(27) 등을 삽입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화충전재(19)와 고정부재(26)에 의해 관통통체(13)를 구획부(11)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2)에 관통지지된 관통통체(13)의 양측 연결구멍(21)에 개장부재(24)를 통하여 래크(23)를 부착시킨다. 게다가, 케이블(16)의 삽입로(17)내에 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삽입로(17)의 하부에 로울러(28)를 부착시킨다. 이 로울러(28)는 클립(28a)에 있어서 통(14)의 하측둘레에 부착된다. 케이블(16)의 삽입작업이 종료된 후, 로울러(28)를 떼어낸다.
이때,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는 뚜껑체(22)를 부착시켜 폐쇄한다. 마지막으로, 각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케이블(16)과의 사이에 내화재(18)를 충전한다. 이때, 이 틈에는 내화재(18)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관통구멍(12)과 관통통체(13)와의 사이의 틈에는 내화충전재(19)가, 삽입로(17)와 케이블(16)과의 사이의 틈에는 내화재(18)가 충전된다. 따라서, 관통통체(13)가 시공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관통구멍(12) 또는 관통통체(13)가 불길 또는 연기의 경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관통통체(13)에는 각 통(14)에 의해 독립적으로 삽입로(1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삽입로(17)에 케이블(16)을 삽입했을 때,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케이블(16)의 외주면과의 틈은 좁기 때문에, 내화재(18)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관통통체(13)는 다수의 통(14)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케이블(16)을 삽입로(17)마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통(14)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14)을 그의 내측으로부터 가열했을 때, 열이 통(14)을 통하여 무기발포 전구체(20)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무기발포 전구체(20)가 확실하게 발포하여, 내화충전재(19)에 의해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빈틈없이 충전폐쇄할 수 있다.
통(14)의 외주면에 부착된 소량의 무기발포 전구체(20)는 가열과 동시에 발포하고, 그것이 급속하게 경화된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케이블(16)과의 사이의 틈에는 내화재(18)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통체(13)가 설치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불길 또는 연기의 경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에는 뚜껑체(22)가 부착됨으로써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그 뚜껑체(22)를 떼어냄으로써, 새롭게 삽입로(17)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6)의 증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수의 통(14)은, 그들에 형성된 연결구멍(21)에 연결부재(15)의 걸림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12)에 삽입되는 케이블(16)의 개수에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 등에 의해 관통통체(13)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시공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되는 래크(23)의 폭에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통(14)에는, 삽입로(17)로부터 돌출된 케이블(16)을 지지시키기 위한 래크(23)를 연결하도록 한 연결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23)를 관통통체(13)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된 래크(23)에 의해 케이블(16)을 지지할 수 있고, 케이블(16)의 자중(自重)에 의해,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의 내측과 케이블(16)과의 사이의 틈에 충전된 내화재(18)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틈에 내화재(18)를 다시 충전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의 향상 및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통체(13)는 편평한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루는 1개의 통(14)으로 구성되고, 그의 개구 단부에는 다수의 삽입로(17)를 구획하기 위해서 구획부재(29)가 끼워 맞춰진다. 이 구획부재(29)는,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다수의 구획벽(3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관통통체(13)의 외주면 중앙에는 무기발포 전구체(2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통체(13)의 양측 개구 단부에 구획부재(29)를 끼워 맞춰 구획벽(30)에 의해 관통통체(13)의 개구 단부를 다수의 삽입로(17)로 구획한다.
그 결과, 구획부재(29)에 의해 관통통체(13)의 개구 단부를 다수의 삽입로(17)로 독립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벽(30)의 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삽입로(17)의 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통체(13)는 편평한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루는 1개의 통(14)으로 구성되고, 그의 개구 단부를 다수의 삽입로(17)로 구획하기 위해서 다수의 틀체(31)가 사용된다. 이 틀체(31)는, 합성수지에 의해 한쪽이 개방된 바닥부를 갖는 사각형의 상자모양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분할체(31a, 31b)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틀체(31)의 한쪽 끝의 개구 단부 둘레에는 플랜지(flange)(32)가 형성되고, 다른쪽 끝의 바닥부에는 탄성변형가능한 다수의 탄성편(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편(33)은, 틀체(31)의 바닥부 중앙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각 분할체(31a, 31b)에 형성되어 있다. 분할체(31a, 31b)의 둘레벽에는, 사각형상의 빠짐방지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분할체(31a, 31b)로 이루어진 다수의 틀체(31)를 관통통체(13)의 양측 개구 단부내에 각각 삽입하고, 플랜지(32)를 관통통체(13)의 개구 단부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틀체(31)내에 케이블(16)을 삽입시킨다. 이때, 탄성편(33)은 케이블(16)에 의해 퇴피(退避)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케이블(16)은 틀체(31)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충전공간(34)내에 내화재(18)를 충전한다. 이때, 빠짐방지 개구부(35)를 통하여 내화재(18)가 관통통체(13)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틀체(31)의 빼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틀체(31)에 의해 형성된 삽입로(17)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틀체(31)의 충전공간(34)내에 내화재(18)를 충전해 두고, 케이블(16)의 증설 시에 각각의 틀체(31)를 관통통체(13)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삽입로(17)를 새롭게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도 9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31)의 개구 단부 둘레에 텅(tongue)(32a)을 형성해 둘 수도 있고, 텅(32a)을 잡음으로써 틀체(31)를 관통통체(13)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 결과, 틀체(31)에 의해 관통통체(13)의 양측 개구 단부를 다수의 삽입로(17)로 독립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6)과 삽입로(17)와의 사이의 틈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내화재(18)의 충전작업을 용이하게 즉시 행할 수 있다. 또한, 틀체(31)의 탄성편(33)에 의해 케이블(16)을 삽입로(17)의 대략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철근 등에 의해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된 구획부재(29)를 관통통체(13)의 개구 단부에 끼워 맞출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14)의 양측 개구부를 폐쇄부(36)에 의해 일체로 폐쇄하는 동시에, 폐쇄부(36)의 4개의 둘레에 절취용의 절삭(切削)깊이(36a)를 형성해 둔다. 그리고, 관통통체(13)를 형성했을 때, 이 통(14)을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로서 배치해 두고, 케이블(16)의 증설 시에 절삭깊이(36a)에 의해 폐쇄부(36)를 절취하여, 삽입로(17)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수의 통(14)을 용접에 의해 미리 연결하여 관통통체(13)를 구성할 수도 있다.
편평한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루는 통(14)의 내부에, 그의 길이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삽입로(17)가 형성되도록 관통통체(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로(17)로부터 돌출된 케이블(16)을 지지하기 위한 래크(23)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의 폐쇄수단으로서, 내화재(18)를 삽입로(17)내의 개구 단부에 충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삽입로(17)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는 동시에, 관통통체(13)가 설치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불길 또는 연기의 경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틀체(31)를,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의 개구 단부를 폐쇄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틀체(31)를 통(14) 또는 관통통체(13)의 개구 단부에 끼워 맞추고, 틀체(31)의 충전공간(34)에 내화재(18)를 충전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의 개구 단부를 틀체(31) 및 내화재(18)에 의해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6)의 증설 시에는, 각각의 틀체(31)를 떼어냄으로써 내화재(18)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삽입로(17)를 새롭게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도 9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31)의 개구 단부 둘레에 텅(32a)을 형성함으로써, 관통통체(13)로부터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로(17)의 폐쇄수단으로서의 뚜껑체(22)를, 통(14)의 개구 단부와 유사한 형태인 결합부(22a)와, 그의 일면에 접합된 핸들부(22e)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내에 뚜껑체(22)의 결합부(22a)를 끼워 맞추고, 결합부(22a)와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내에 내화재(18)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삽입로(17)를 내화재(18)에 의해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6)의 증설 시에는,핸들부(22e)를 잡아 앞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뚜껑체(22)를 떼어낼 수 있는 동시에, 내화재(18)를 삽입로(17)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로(17)의 폐쇄수단으로서 내화재 지지부재(46)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내화재 지지부재(46)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한쪽 끝에는 통(14)에 부착시키기 위한 클립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구멍(49)은 클립부(48)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의 개구 단부에 클립부(48)를 부착시키는 동시에, 결합구멍(49)에 있어서 결합핀(50)으로 고정시킨다. 게다가, 다른쪽 끝의 개구로부터 내화재(18)를 충전하여, 삽입로(17)를 폐쇄한다. 또한, 내화재 지지부재(46)의 다른쪽 끝의 개구부 둘레에 텅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내화재 지지부재(46)내에 충전된 내화재(18)에 의해 삽입로(17)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결합핀(50)을 빼내고, 내화재 지지부재(46)를 삽입로(17)로부터 떼어내는 동시에, 내화재(18)를 제거하여, 새롭게 삽입로(17)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텅을 잡음으로써 내화재 지지부재(46)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화칸막이판(45)에 관통통체(13)에 대응하는 구멍(45a)을 펀칭형성하여, 관통통체(13)를 구멍(45a)에 삽입하고, 내화칸막이판(45)을 볼트(45b) 등에 의해 구획부(11)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내화칸막이판(45)에 의해 관통구멍(12)으로부터 내화충전재(19)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통통체(13)를 관통구멍(12)에 강고하게 관통지지시킬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화충전 형성재로서의 액상 또는 겔 상태의 무기발포 전구체(20)를 시공 시에 관통통체(13) 또는 통(14)의 외주면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고화시킴으로써 무기발포 전구체(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도, 무기발포 전구체(20)를 발포시켜, 관통구멍(12)의 내주면과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의 틈을 내화충전재(19)에 의해 충전폐쇄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화충전 형성재(20)로서, 예를 들어, 기포(氣泡) 콘크리트와 같이 화학반응에 의해 팽창 및 경화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포틀랜드 시멘트, 생석회, 규석, 물, 알루미늄, 거품안정제 및 파편을 혼합하여 교반(攪拌)한다. 그리고, 얻어진 슬러리를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 관통구멍(12)과의 사이의 틈에 충전한다.
이때, 슬러리 중에서는, 생석회(CaO)의 수화(水和) 및 포틀랜드 시멘트 중의 규산삼석회(3CaO·SiO2) 또는 규산이석회(2CaO·SiO2)의 수화에 의해 수산화칼슘{Ca(OH)2}이 생성된다. 게다가, 이 수산화칼슘, 알루미늄(2Al) 및 물과의 반응 또는 알루미늄과 물과의 반응에 의해 수소 가스(H2)가 발생한다. 이 수소 가스의 발생에 의해 슬러리 중에 기포가 생성되어, 소정의 체적으로 슬러리가 팽창한다.
또한, 발포와 동시에, 포틀랜드 시멘트 중의 규산삼석회 또는 규산이석회의 수화에 의해 생성되는 콜로이드상(狀) 광물질의 아교(3CaO·2SiO2·3H2O)에 의해 슬러리의 경화가 생긴다.
그 결과, 관통통체(13)의 외주면과 관통구멍(12)과의 사이의 틈을 화학반응에 의해 형성된 기포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폐쇄할 수 있는 동시에, 관통통체(13)를 관통구멍(12)에 강고하게 관통지지시킬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기발포 전구체(20)를 관통구멍(12)의 내주면에 도포할 수도 있다. 이때, 무기발포 전구체(20)를 직접 가열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무기발포 전구체(20)를 관통통체(13)의 외주면에 미리 끼워 부착시키거나, 또는 시공 시에 무기발포 전구체(20)를 관통통체(13)의 외주에 끼워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시공 시에 판 형태의 무기발포 전구체(20)를 관통통체(13)의 외주면에 감아 장착할 수도 있다.
내화충전 형성재(20)로서 고무 등의 연질(軟質)재료를 함유하는 열팽창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뚜껑체(22)의 개구 단부 둘레에 돌기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17)에 끼워 맞춰진 뚜껑체(22)를 떼어낼 때, 돌기를 잡음으로써 뚜껑체(22)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14)을, 양측이 평면 형태를 이루는 대략 단면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각 평면부들의 접합에 의해 통(14)을 안정적인 상태에서 연결하여 관통통체(13)를 구성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통통체(13)의 외주면의 무기발포 전구체(20)가 대응하는 위치에 요철(凹凸)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내화충전재(19)가 형성되었을 때, 그의 빼냄 강도를 향상시켜, 관통통체(13)가 관통구멍(1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있어서, 상기 통은, 그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평면부에 의해 통을 안정적인 상태에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삽입로의 개구 단부의 하측둘레에 피관통체를 삽입로내로 안내하기 위한 로울러를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피관통체를 삽입로내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 형성재는 가열에 의해 발포하는 무기질 재료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관통통체를 가열함으로써 발포하여, 관통통체의 외주면과 관통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틈을 충전폐쇄할 수 있다. 또한, 무기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통체가 설치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탄화되지 않고, 필요한 방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그를 떼어내기 위한 텅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삽입로에 부착된 틀체를 삽입로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있어서, 상기 통은, 그의 단부에 폐쇄부를 일체로 갖고, 폐쇄부의 주위에는 절취용의 절삭깊이를 마련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폐쇄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를 미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절삭깊이에 의해 폐쇄부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동시에, 삽입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구획부에 대한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의 삽입지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삽입로의 폐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폐쇄된 삽입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로를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관통체를 삽입로마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피관통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내화충전 형성재를 팽창시킴으로써,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을 확실하게 충전폐쇄하는 동시에, 관통통체를 관통구멍에 강고하게 관통지지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를 가열했을 때, 열이 관통통체를 통하여 내화충전 형성재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내화충전 형성재가 효율적으로 팽창하여,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을 내화충전재에 의해 확실하게 충전폐쇄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를 관통구멍에 강고하게 고정시켜, 피관통체를 구획부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피관통체의 개수에 대응시켜 통의 증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접 등에 의해 관통통체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시공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삽입로의 개구 단부의 내주면과 피관통체와의 사이의 틈에는 내화재가 충전된다. 따라서, 관통통체가 설치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불길 또는 연기의 경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에 부착된 뚜껑체를 떼어냄으로써, 새롭게 삽입로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피관통체의 증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틀체를 삽입로에 부착시켜, 그의 내부에 내화재를 충전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틀체를 삽입로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내화재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삽입로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틀체의 삽입로의 개구 단부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분할체에 의해 구성된 틀체를 삽입로에 부착시키고, 틀체내에 피관통체를 삽입했을 때, 탄성편에 의해 피관통체를 삽입로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관통통체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삽입로로부터 돌출된 피관통체를 지지시키기 위한 래크를 관통통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된 래크에 의해 피관통체를 지지하고, 피관통체 자중에 의해, 삽입로의 개구 단부의 내측과 피관통체와의 사이의 틈에 충전된 내화재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틈에 내화재를 다시 충전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의 향상 및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구획부에 대한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의 삽입지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5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로를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피관통체를 삽입로마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피관통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6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를 가열했을 때, 열이 관통통체를 통하여 내화충전 형성재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내화충전 형성재가 효율적으로 팽창하여,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을 내화충전재에 의해 확실하게 충전폐쇄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7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6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피관통체의 개수에 대응시켜 통의 증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접 등에 의해 관통통체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시공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8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삽입로의 폐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폐쇄된 삽입로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9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에 부착된 뚜껑체를 떼어냄으로써, 새롭게 삽입로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피관통체의 증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0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틀체를 삽입로에 부착시켜, 그의 내부에 내화재를 충전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틀체를 삽입로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내화재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삽입로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1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삽입로로부터 돌출된 피관통체를 지지시키기 위한 래크를 관통통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된 래크에 의해 피관통체를 지지하고, 피관통체 자중에 의해, 삽입로의 개구 단부의 내측과 피관통체와의 사이의 틈에 충전된 내화재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틈에 내화재를 다시 충전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의 향상 및 시공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2에 기재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관통통체의 외주면과 관통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용이하게 단시간으로 빈틈없이 충전폐쇄할 수 있다.

Claims (22)

  1. 건축물의 벽, 마루 등의 구획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를 삽입시키기 위한 관통통체에 있어서, 적어도 그의 개구 단부(端部)를 다수의 삽입로로 구획한 관통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상기 삽입로를 독립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구비한 관통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2개 이상의 통을 연결하여 구성한 관통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그의 외주면에 팽창상태에 있어서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틈에 충전되는 내화(耐火)충전 형성재를 구비한 것인 관통통체.
  5. 제 l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인 관통통체.
  6. 제 l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그의 외주면에 구획부의 외면(外面)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부착물을 갖는 관통통체.
  7. 제 3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은 인접하는 다른 통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구비한 관통통체.
  8. 제 2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에 충전되는 내화재인 관통통체.
  9. 제 2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뚜껑체인 관통통체.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틀체로 이루어지고, 그의 내부에 내화재를 충전할 수 있는 관통통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다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진 관통통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의 내측 바닥부는 휠 수 있는 탄성편으로 구성되는 관통통체.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관통통체로부터 돌출된 피관통체를 지지하기 위한 래크(rack)를 연결하도록 한 연결수단을 구비한 관통통체.
  14. 건축물 등의 벽, 마루 등의 구획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적어도 개구 단부가 다수의 삽입로로 구획된 관통통체를 삽입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통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메워 관통통체를 관통구멍에 관통지지시킨 후, 케이블 등의 피관통체를 각 삽입로에 삽입하며, 피관통체의 외주면과 삽입로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내화재를 충전하는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를 2개 이상의 통을 연결하여 구성한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인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17. 제 l4 항 내지 제 1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체는 인접하는 다른 통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인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삽입로는 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는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뚜껑체인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각 삽입로에 부착되었을 때, 그의 내부에 내화재가 충전되는 틀체인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21. 제 14 항 내지 제 1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통체로부터 돌출된 피관통체를 지지하기 위한 래크를 관통통체에 연결하는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관통통체의 외주면과 관통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그 틈에 마련된 내화충전 형성재를 팽창시켜 메우는 관통통체의 사용방법.
KR1019990014165A 1998-05-15 1999-04-21 관통통체및그의사용방법 KR19990087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33719 1998-05-15
JP13371998 1998-05-15
JP05883599A JP3824803B2 (ja) 1998-05-15 1999-03-05 貫通筒体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貫通構造
JP11-58835 1999-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949A true KR19990087949A (ko) 1999-12-27

Family

ID=2639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165A KR19990087949A (ko) 1998-05-15 1999-04-21 관통통체및그의사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390135B1 (ko)
JP (1) JP3824803B2 (ko)
KR (1) KR19990087949A (ko)
DE (1) DE19921403B4 (ko)
FR (1) FR2778723B1 (ko)
TW (1) TW394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3777C2 (sv) * 2002-05-08 2004-05-18 Roxtec Int Ab Brandskyddsanordning
SE0301258L (sv) * 2003-04-30 2004-10-31 Roxtec Ab Täckanordning
DE102004032869B4 (de) * 2004-07-07 2009-03-26 Hilti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bdichten einer Durchführung für Leitungen in einem Bauteil
DE102004043970B4 (de) * 2004-09-11 2007-12-13 Hilti Ag Durchführungsvorrichtung
US7658042B2 (en) * 2004-10-25 2010-02-09 Composite Support & Solutions, Inc. Fire-protection walls of cementitious composite materials
DE102005056214B3 (de) * 2005-11-25 2007-06-21 Rittal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ühren von Kabeln oder Leitungen
DE102005056215B4 (de) * 2005-11-25 2013-05-23 Rittal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ühren von Kabeln oder Leitungen
DE102006000189A1 (de) * 2006-04-20 2007-10-25 Hilti Ag Brandschutzschlauch
DE102006021296A1 (de) * 2006-05-08 2008-01-10 ARMBRÜSTER, Michael Löschwasserweiterleitungsanschluss und Schlauchdurchführungsschacht für die Umgehung von Feuer- und Rauchschutzabschlüssen sowie als Durchführung durch Feuer- und Rauchschutzabschlüsse
KR100676472B1 (ko) 2006-11-15 2007-01-30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진화장치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US8003889B2 (en) * 2007-08-02 2011-08-2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nduit sleeve pass through for concrete construction
JP4725897B2 (ja) * 2007-08-06 2011-07-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配線用スリーブの密封穴仕舞方法および密封穴仕舞治具
DE102007047367B4 (de) * 2007-08-31 2010-08-05 Volker Rodenberg Kabelabschottung mit modularem Aufbau
SE533541C2 (sv) * 2009-02-04 2010-10-19 Roxtec Ab Smörjning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SE533818C2 (sv) * 2009-02-04 2011-01-25 Roxtec Ab Excentrisk del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SE535015C2 (sv) * 2009-02-04 2012-03-13 Roxtec Ab Komprimerbar tätning eller genomföring samt tätningssystem
JP5503229B2 (ja) * 2009-09-08 2014-05-28 株式会社古河テクノマテリアル 防火構造体、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および防火構造体へのケーブルの追加方法
JP5608108B2 (ja) * 2011-01-17 2014-10-15 未来工業株式会社 耐火構造の形成方法及び耐火材
US9441367B2 (en) 2011-10-28 2016-09-13 Wladimir de Freitas Silvestre Supporting element for pipes in buildings and application method of a pipe supporting element in a flagstone
BRPI1106760A2 (pt) * 2011-10-28 2013-11-05 Wladimir De Freitas Silvestre Suporte de tubulação e método de aplicação de um suporte de tubulação em uma laje
US9046194B2 (en) * 2013-08-13 2015-06-02 Specifiedtechnologies Inc. Protective conduit for a structural panel opening
US20160097559A1 (en) * 2014-10-02 2016-04-07 Richard Dean McFarland Access port
SE539322C2 (en) * 2015-11-18 2017-07-04 Roxtec Ab Transition and module
DE202016103494U1 (de) * 2016-06-30 2017-07-06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Kabelwanddurchführung und Bausatz
FI130665B1 (en) * 2020-02-07 2024-01-09 Flow Modules Oy Method of providing a pipeline, pipeline assembly and pipeline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091A (en) * 1897-06-08 Automatic valve for beer-taps
US376893A (en) * 1888-01-24 Ernest chaeles lindemam
US2459370A (en) * 1946-05-15 1949-01-18 Presstite Engineering Company Packing assembly
US3592956A (en) * 1969-05-07 1971-07-13 Robertson Co H H Electrical raceway wiring distribution system
US3793793A (en) * 1971-11-17 1974-02-26 M Dobbins Multiple service decking unit
BE788705A (fr) * 1971-12-03 1973-01-02 Formex Mfg Inc Termineur de conduit
US3853127A (en) * 1973-04-03 1974-12-10 R Spademan Elastic sealing member
US3895830A (en) * 1974-04-01 1975-07-22 John R Madlem Conduit adapter
US4093818A (en) * 1974-12-20 1978-06-06 Dufaylite Developments Limited Fire-protective cellular service ducting
US4147449A (en) * 1977-09-27 1979-04-03 Toyokon Kaihatsu Co., Ltd. Protection conduit line for laying underground cables
US4304079A (en) 1980-01-11 1981-12-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Fire retardant modular floor penetration structure
US4329857A (en) * 1980-05-16 1982-05-18 Deere & Company Coupler cover
US4355664A (en) * 1980-07-31 1982-10-26 Raychem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nal pipe protection
US4347998A (en) * 1981-04-15 1982-09-07 The Boeing Company Multiple wire bundle support assembly
US4419535A (en) 1981-07-31 1983-12-06 Hara Robert J O Multi-cable conduit for floors and walls
JPS61154679A (ja) * 1984-12-28 1986-07-14 テルモ株式会社 体内導入套管
US4902043A (en) * 1985-09-17 1990-02-20 John T. Hoskins Fluid coupling and seal assembly
US4717160A (en) * 1986-04-21 1988-01-05 Microdot Inc. High pressure rotary shaft seal
NL8700204A (nl) 1987-01-28 1988-08-16 Pidou Bv Afdichtinrichting.
US4746023A (en) * 1987-07-29 1988-05-24 Dana Corporation Puncturable oil seal
SE460509B (sv) 1988-08-01 1989-10-16 Studsvik Fire Seal Ab Anordning foer kabelgenomfoering
DE3902238A1 (de) 1989-01-26 1990-08-02 Jones Parker & Co Ltd Aufschaeumbare vergussmasse mit einstellbarer vorzugsweise laengerer verarbeitungszeit
US4964438A (en) * 1989-10-02 1990-10-23 Ronald S. Welty Air duct plug
DE9301863U1 (de) 1993-02-10 1993-04-15 Wichmann, Walter, 5952 Attendorn Vorrichtung für die feuersichere Abschottung einer Kabeldurchführung
US5363881A (en) * 1993-09-27 1994-11-15 Larkin Brent H Plumbing tool for temporarily plugging a pipe with field-replaceable gasket
US5415155A (en) * 1993-11-08 1995-05-16 Cohen; Jacques Modular element with multiple conduits
US5560397A (en) * 1993-12-03 1996-10-01 Miller; Albert J. Conduit assembly
US5738147A (en) * 1994-05-06 1998-04-14 Ipex Inc. Modular, conduit-engaging end-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78723B1 (fr) 2002-07-05
JP2000033128A (ja) 2000-02-02
US6390135B1 (en) 2002-05-21
DE19921403A1 (de) 1999-11-25
FR2778723A1 (fr) 1999-11-19
JP3824803B2 (ja) 2006-09-20
US20010037835A1 (en) 2001-11-08
TW394697B (en) 2000-06-21
US6668864B2 (en) 2003-12-30
DE19921403B4 (de)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949A (ko) 관통통체및그의사용방법
KR19990082762A (ko) 관통부의폐쇄장치,폐쇄구(閉鎖具)및폐쇄방법
JP5779435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AU2012281945A1 (en) Fir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fire-resistant reinforcement architectural member, fire-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for architectural member
JP2011250553A (ja) 船舶の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4287384B2 (ja) 貫通部閉鎖具
JPH1119242A (ja) 区画貫通部の防耐火パイプ、区画貫通部の防耐火構造および区画貫通部の防耐火措置工法
JP5903354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0170282A (ja) 貫通穴部の防火装置、防火構造及び防火工法
JPH087779Y2 (ja) 建物耐火スラブの貫通部防火構造
CN214834288U (zh) 建筑外墙用的匀质改性防火保温板
EP2034102A1 (en) Self-supporting sandwich panel of plasterboard with polyurethane core
JPH0552122B2 (ko)
JPH07259211A (ja) 閉塞性防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JP3836297B2 (ja) 防火区画用の貫通筒体及びその防火区画部への固設方法
JPH0545322Y2 (ko)
JP2001252367A (ja) 防火区画貫通ダクト及びその使用方法
CN218060827U (zh) 一种易于施工的建筑防火保温结构
EP4006248B1 (en) Firestop board, firestop element and fire separating element
KR200493223Y1 (ko) 방화용 관통 구조체
JP2018109283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H0310270Y2 (ko)
PL240059B1 (pl) Kształtownik aluminiowy systemów ognioodpornych wewnętrznych i zewnętrznych
KR200317112Y1 (ko) 건축용 벽돌
KR20210088878A (ko) 친환경 고강도 경량 내화단열 패널을 포함하는 경량 벽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