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376A -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376A
KR19990087376A KR1019980706788A KR19980706788A KR19990087376A KR 19990087376 A KR19990087376 A KR 19990087376A KR 1019980706788 A KR1019980706788 A KR 1019980706788A KR 19980706788 A KR19980706788 A KR 19980706788A KR 19990087376 A KR19990087376 A KR 1999008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holesterol
composition according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스 헨릭 회이에
Original Assignee
라르스 헨릭 회이에
뉴트리 파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911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8737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르스 헨릭 회이에, 뉴트리 파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라르스 헨릭 회이에
Publication of KR1999008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3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Confectione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대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한 조성물은 (a) 단리된 콩 단백질, (b) 대두 섬유, 및 임의로, 부가적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방 공급원, 향미제, 비타민, 무기질, 전해질, 미량 원소 및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단백질 함량이 조성물의 총 에너지 함량의 15 % 이상을 제공하고 (a)와 (b)의 중량비를 2 이상인 양으로 함유한다. 조성물은 과체중 또는 비만 문제에 있어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규정식으로서 유용하고, 또한 콜레스테롤 수준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저하시키고, 혈청 중의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을 증가시키는데 보다 유용하다.

Description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본 발명은 대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과체중 또는 비만 문제를 위한 체중-감량 규정식으로서 유용한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혈청 지질을 저하시키기에 유용한 영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방과다증 또는 비만 및 과체중은 세계 많은 곳에 널리 퍼져있는 문제이다. 동시에,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날씬한 체형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촉진시키고 있다. 따라서, 수많은 다른 규정식이 빠른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하여 시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규정식 중 몇몇은 매우 빨리 필수 영양소 결핍을 초래할 불균형한 영양 섭취량을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적인 측면에서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규정식은 저칼로리 함량으로 필요한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영양 제제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제제 중 몇몇은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 또한 임의로, 향미제, 보존제, 비타민, 무기질 및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분말 형태이다. 섭취 전에 분말을 물에 넣어 젓고 나서, 음료나 죽처럼 마신다. 그러나, 공지된 제제는 많은 성분이 결핍되어 있다. 공지된 많은 분말이 물에 넣어 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으며, 젖은 제제는 섭취하기에 매우 불괘하게 하는 덩어리지고 거칠은 컨시스턴시 (consistency)를 갖는다. 동시에, 침전이 매우 빨리 일어나서, 아까운 수용성 무기질과 같은 필수 성분이 섭취되지 못하고, 유리 바닥에 침전물로서 남아있을 위험이 있다. 결국, 제제는 섭취 후 오래 동안 뒷맛으로서 지속하는 불유쾌한 풍미를 갖는다. 이러한 단점들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곧 규정식을 중단하곤 하였다.
유럽 특허 제0425423 B1호에는 특히, 지방과다증의 치료에 주요 또는 유일한 영양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분말성 저칼로리 영양 제제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제제는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 및 임의로, 향미제, 보존제, 비타민, 무기질, 및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 공급원의 균형적인 조성을 갖는다. 단백질 공급원은 콩 단백질 농축물 및 탈지 분유의 배합물이다. 콩 단백질 농축물은 오일 및 수용성 비-단백질 구성분을 대부분 제거함으로써 껍질 벗긴 대두로부터 제조된 생성물이다. 콩 단백질 농축물은 전형적으로 단백질 66.0 %, 탄수화물 17.0 %, 물 6.0 %, 회분 5.6 %, 목재 물질 4.0 % 및 지방 1.4 %를 함유한다. 탄수화물 함량은 전형적으로 수불용성 섬유로서 존재한다. 전형적인 콩 단백질 농축물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충분한 양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다. 특히, 히스티딘 및 트립토판이 대두 단백질 농축물 중 제한 아미노산이다.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공급하기 위해서, 공지된 영양 제제는 또한 탈지 분유를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포함한다. 그러나, 탈지 분유는 세계 특정 지역, 특히 유당 분해 효소인 락타제의 결핍으로 인한 유당 분해가 불가능한 통상적인 남부 유럽, 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는 바람직한 단백질 공급원이 아니다. 과체중 및 비만은 종종 혈액 중 증가된 지방 함량에 의해서 수반되며, 지질 프로파일을 변경하기 위하여 유럽 특허 제0425423 B1호에 영양 제제와 함께 다중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어류 오일을 포함하는 별도 캡슐의 공급을 제안하고 있다. 지질 프로파일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어류 오일 캡슐의 섭취를 피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그 자체에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유익한 효과를 가진 영양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체중 감량을 위하여 현재 유통되고 있는 규정식들 중 몇몇은 불균형한 영양소 섭취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는 필수 영양소의 결핍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필수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임의의 모든 체중 감량 치료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과체중의 22 내지 36 %가 제지방 체중 (LBM), 즉 근육 조직과 같은 지방이 없는 체중이다. 예를 들어, 근육과 같은 단백질의 손실은 신체로부터 질소의 제거를 초래하며, 이는 혈청 중 요산 농도의 측정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체중 감소 동안 요산 농도가 실질적으로 증가하면, 그로 인해 너무 많은 근육 조직이 분해될 수 있다.
문헌[New England Journal of Medical, Vol. 333, August 3, 1995]에는 혈청 지질에 대한 대두 단백질 섭취 효과의 메타-분석을 기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저자는 사람의 콩 단백질 소비와 혈청 지질 농도와의 관계를 시험하였다. 콩 단백질을 함유하는 규정식의 섭취가 대조 표준 규정식과 비교할 때,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상당한 감소를 동반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콩 단백질 섭취는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콩 단백질 섭취의 효과는 초기 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라 달랐다. 정상 콜레스테롤 수준의 환자는 3.3 %로 크지 않은 감소를 보였고,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도 4.4 %로 크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단지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와 심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만이 각각 7.4 % 및 19.6 %의 콜레스테롤 수준의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 농도의 변화 패턴은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패턴과 유사하였다. 또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변화는 초기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와 크게 관련되어 있다. 콩 단백질의 여러 가지 유형, 예를 들어 단리된 콩 단백질, 조직상 콩 단백질, 또는 임의의 배합물을 연구하였고, 콩 단백질의 유형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전체 변화에 대하여 어떤 큰 효과도 주지 않았음을 알았다. 이 연구는 콩 섬유와 함께 다양한 유형의 콩 단백질의 동시 섭취를 고려하지 않았다. 혈청 지질에 대한 콩 단백질 섭취 효과의 이러한 메타-분석은 콩 단백질이 혈청 콜레스테롤를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선풍적인 발견으로서 국제 출판물로 발표되었고, 그 기사가 문헌[International Herald Tribune on August 4, 1995, Chicago Tribune on August 3, 1995 및 New York Times on August 3, 1995]에 기재되었다.
포터 (Potter) 등의 문헌[Am J Nutr Clin 1993; 58; 501-6]에는 콩 섬유의 유무하에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혈장 지질에 대한 콩 단백질 소비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처리 규정식은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규정식과 함께 콩 밀가루로부터 단백질 50 g 및 식이 섬유 20 g, 단리된 콩 단백질/콩 떡잎 섬유, 단리된 콩 단백질/셀룰로오스, 및 비-지방 건조 밀크/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단백질 및 식이 섬유를 구운 생성물로서 제조하여 음식물로 대체하였다. 실험에서, 단리된 콩 단백질과 콩 떡잎 섬유를 사용하여, 환자는 하루에 동물성 단백질 36 g 및 식물성 단백질 14 g을 포함하여, 단리된 콩 단백질 50 g, 다른 단백질 50 g, 에너지 섭취 55 %에 해당하는 탄수화물, 콩 떡잎 섬유 20 g, 총 에너지 함량 <30 %에 해당하는 지방, 및 콜레스테롤 200 mg을 섭취하였다. 연구 결과,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는 식이 단백질의 50 %를 콩 단백질로 대체한 것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았다. 단리된 콩 단백질이 콩 떡잎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섬유와 결합하여 소비되든 되지 않든지 유사한 혈액 지질 감소가 나타났다.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는 기사에 서술된 여러 식이 처리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이 연구는 단리된 콩 단백질과 떡잎 콩 섬유의 동시 섭취에 대한 임의의 부가적인 콜레스테롤-저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특히 저자는 "사람에 있어서 콩 단백질 및 섬유의 증가된 동시 섭취로부터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부가적인 유익이 있는지 없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고 언급하였다.
배킷 (Bakhit) 등의 문헌[J Nutr(in press) 1993]에 또한, 4 개 실험적 처리와 결합하여 기본적 규정식을 받고 있는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를 연구하였다. 각 규정식 처리에 대하여, 4 가지 유형의 머핀을 제조하여 굽고, 각각 포장하여 냉동시켜 일주일 기준으로 환자에게 분배될 때까지 - 20 ℃에서 보관하였다. 적당한 시험 단백질 및 섬유를 함유하는 4 개의 머핀을 총 2.51 MJ의 환자의 정상 섭취량을 대신하여 기본 규정식에 더하였다. 사용된 시험 단백질은 단리된 콩 단백질과 나트륨 카제나이트와 같은 카제인이었다. 섬유는 콩 떡잎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였다. 단백질과 섬유를 머핀으로 혼입하여 매일 4 개의 머핀 중 단백질 25 g 및 식이 섬유 20 g을 제공하였다. 단백질 및 섬유의 중량비는 모든 경우에 1.25였고, 단백질의 양은 총 에너지 함량의 20 %에 해당하였다. 연구 목적은 콩 떡잎 섬유를 포함 또는 포함하지 않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대두 단백질 섭취(25 g ≒ 1 일 당 5 % 에너지 섭취)의 효과를 평가하고, 전형적인 저-지질 식이와 함께 섭취시 혈장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었다. 결과로서, 대두 단백질 25 g을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식이에 더하는 것이 혈액 지질이 높은 사람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보다 낮은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5.7 mmol/l)를 가지는 환자에 있어서, 이러한 수준의 대두 단백질 섭취는 혈액 지질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이는 대두 섭취 후에 몇몇 환자에 있어서 혈장 지질이 높아질 수조차 있다. 또한 다른 선행 연구에서는, 통상적으로 이미 전에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갖고 있던 사람은 대두 단백질에 반응하는 반면, 정상 콜레스테롤 값을 갖는 사람은 대두 단백질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배킷 등은 대두 단백질과 대두 섬유의 동시 섭취의 부가적인 효과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저자에 따르면, 대두 단백질은 가능한 내분비 현상 조절을 통하여 콜레스테롤 대사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반면, 대두 섬유는 담즙의 장간 순환을 방해함으로써 거의 유사하게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논의된 포터 등과 배킷의 연구에서는 5.7 mmol/l 미만의 정상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를 갖는 환자의 임의의 혈청 지질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혈청 농도는 몸 전체 동맥 중에 아테롬성동맥 경화성 플라크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질병과 죽음을 유발시킨다. 높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환자는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하거나 스타틴과 같은 의약으로 처리하고, 또는 두 가지를 조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절하는 효소인 HMG-CoA-환원 효소를 선택적으로 저해한다. 효소는 LDL 수용체의 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중 LDL-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킨다. 일단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이 정상치로 저하되면,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정상값,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5.7 mmol/l 미만의 값으로 더 낮게 보유할 수 있는 규정식을 각 사람에게 적용시킴으로써 추가 약물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많은 의사들은 특히 심장혈관 질병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5.7 mmol/l의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은 너무 높다는 것을 알았고, 5.7 mmol/l보다 더 낮은 콜레스테롤 수준이 심근 경색과 죽음을 상당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정상 혈청 지질 농도를 갖는 환자에 있어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조성물이 필요하다.
정상 혈청 지질 농도를 갖는 환자의 혈청 지질 농도가 대두 성분들의 특별한 배합을 기초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서 상당히 저하된다는 사실을 놀랍게도 이제서야 알아내었다. 또다른 잇점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지 정상 혈청 지질 농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증가된 혈청 지질 농도를 갖는 환자에게 있어서 지질-저하 효과를 갖는다. 지질-저하 효과는 보다 높은 초기값에서 보다 뚜렷이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타틴과 같은 콜레스테롤 저하성 의약으로 처리된 환자의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사가 추천한 저지방 및 저칼로리 섭취의 규정식에 의해서 콜레스테롤 수준이 부분적으로 저하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총 콜레스테롤 및 총 트리글리세리드의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혈청 중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이 또한 개선된다. 또한, 단리된 콩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의 증가시킨 양을 조성물에 가함으로써 그러한 조성물의 지질-저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식품 중 지방의 양이 증가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책임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지방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청 지방 농도가 낮아진다고 하는 것은 특히 놀랍다. 또한 놀라운 사실로서, 조성물이 전체 식이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요산 농도의 증가률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이 매우 자주 증가되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질 위험에 있는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 대한 체중 감량 치료에서의 영양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은 영양학적, 즉 의약으로서 사용된 영양 조성물로서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성물은 혈액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낮추고, 혈청 중의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천연 발생 생물질을 기초로 하는 일종의 의약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a) 단리된 콩 단백질,
(b) 대두 섬유, 및
임의로, 부가적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방 공급원, 향미제, 비타민, 무기질, 전해질, 미량 원소 및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단백질 함량이 조성물의 총 에너지 함량의 15 % 이상을 제공하고 (a)와 (b)의 중량비가 2 이상인 양으로 함유되는, 대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영양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a)와 (b)의 중량비가 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이다.
단리된 콩 단백질이 대두의 주요 단백질 분획이다. 고품질의 흠이 없고 깨끗하고 껍질을 벗긴 대두로부터, 우세한 비-단백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며 건조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90 %의 단백질(N x 6.25)을 포함한다. 대두 단백질 부분이 대두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다. 탄수화물을 제거함으로써 향미가 본질적으로 부드러운 생성물을 얻고, 따라서 사람을 위한 영양 조성물에 있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단리된 콩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사람이 요구하는 양의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공급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문헌[Th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World Health Organisation and United Nations University(FAO/WHO, UNU)]에 발표된 바와 같이, 단리된 콩 단백질은 어린이 및 성인을 위한 필수 아미노산 요구 패턴을 충족시키거나 능가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단리된 콩 단백질은 우유, 고기, 생선 및 달걀 단백질의 소화력과 비교해서 소화력이 매우 높아야 한다. 결국, 바람직한 단리된 콩 단백질은 추천된 단백질 섭취 수준으로 소비시에 질소 발란스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앞선 요구들을 충족시키는 바람직한 단리된 콩 단백질 생성물은 프로테인 테크놀로지즈 인터네셔날(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사에 의해서 SUPRO (등록상표) 상표명 하에 공급된다. SUPRO (등록상표) 단리된 콩 단백질은 많은 다른 품질로 공급된다. 하나의 특별히 바람직한 제품은 SUPRO PLUS (등록상표) 2100이며, 이는 단리된 콩 단백질, 달콤한 유장(dairy whey) 및 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진 단백질 제품이다. 이는 우수한 영양 특성, 상쾌한 향미 및 부드러운 입안 느낌을 제공한다. 우수한 분산성 및 현탁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분무-건조되고, 특히, 물, 쥬스 또는 우유와 혼합되도록 고안된 건조 혼합된 음료가 특별히 추천된다. 또하나의 특별히 바람직한 단리된 콩 단백질은 SUPRO (등록상표) 661이며, 이는 우수한 분산성, 상쾌한 향미 및 우수한 영양 특성을 제공하는 단백질이다. 이는 높은 부피 밀도를 가지며, 따라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특정 물질을 얻기 위하여 고밀도 단백질 공급원을 요구하는 건조 혼합 적용물에 추천된다.
바람직하게는, 단리된 콩 단백질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양 조성물 중 주요한 또는 유일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그러나, 단백질 공급원의 일부는 콩 단백질 농축물, 탈지 분유와 같은 다른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분말로서 또한 기타 식물성 또는 동물성 단백질, 낙농 단백질에 의해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공급원의 90 중량% 이상이 단리된 콩 단백질이며, 덜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공급원의 50 중량% 이상의 단리된 콩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두 섬유는 대두로부터 수많은 다른 방식으로 단리될 수 있는 섬유이다. 하나의 유용한 공급원은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콩 단백질 농축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섬유는 대두의 떡잎으로부터 단리된다. 특히, 그러한 섬유는 껍질을 벗기고 탈지된 대두 떡잎으로부터 유도되며, 셀룰로오스 또는 비-셀룰로오스성 내부 세포벽 구조 성분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그러한 섬유는 콩껍질 뿐 아니라 다른 섬유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 콩 섬유와는 뚜렷하게 다르다. 콩 떡잎 섬유는 상쾌한 맛을 내고,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으며, 지방 및 나트륨의 함량이 낮다. 이들은 우수한 수-결합성 및 저칼로리 함량을 가지며, 이런 특성들은 그들로 하여금 벌크제로서 이상적이게 한다. 지방-조성되고 저-칼로리 규정식에 공급된 콩 떡잎 섬유 및 저-칼로리 식이가 높은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의 환자에 있어서 혈액 콜레스테롤 수준을 보다 저하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효과는 혈청 총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LDL-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HDL-콜레스테롤 및 총 트리글리세리드는 콩 떡잎 섬유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대두 떡잎으로부터의 대두 섬유는 정상 및 높은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를 갖는 환자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단리된 콩 단백질과 조합하여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고 믿어진다. 대두 섬유의 양은 단리된 콩 단백질의 최대 50 중량%이 될 것이며, 바람직한 양은 25 내지 33 중량%이다. 대두 섬유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물을 기준으로 영양 조성물 총 중량의 5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이 전체 식이로서 사용될 때 바람직한 1 일 복용량은 대두 섬유 20 내지 30 g이다. 특별히 바람직한 대두 떡잎 섬유 제품은 프로테인 테크놀로지즈 인터네셔날사에 의해서 FIBRIM (등록상표) 상표명 하에 제조되고, FIBRIM (등록상표)의 상표하에 제조된 다양한 콩 섬유들 중에서, FIBRIM (등록상표) 1020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건조 혼합 음료 적용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입안 느낌 및 분산성을 갖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단리된 콩 단백질이 바람직하게는 주요한 또는 유일한 단백질 공급원이지만 다른 단백질도 존재할 수 있다. 단백질 함량은 조성물의 총 에너지 함량의 15 % 이상 제공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은 조성물의 총 에너지 함량의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제공한다. 중량의 차원에서, 단리된 콩 단백질은 조성물의 총 단백질 함량 중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단백질의 중량 비율은 포터 등 및 배킷 등에 의해 연구된 규정식에서보다 더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 탄수화물 공급원, 지방 공급원, 향미제, 비타민, 무기질, 전해질, 미량 원소 및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의 성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보충물로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에 규정대로 공급되어야 하며, 모든 필수 영양소의 알맞은 공급이 확실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환자의 식품 섭취의 본질적인 부분을 공급한다면, 임의의 성분들이 바람직하게 존재하므로 별도의 섭취를 피할 수 있다. 이것은 과체중 또는 비만한 환자의 체중 감량 치료에 있어서 특별히 중요하며, 모든 필수 영양소가 추천되는 양으로 공급되는 것이 중요하다.
탄수화물 공급원이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5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의 양은 조성물의 2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 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탄수화물은 글루코스, 프럭토스 및(또는) 말토덱스트린이다. 탈지 분유 및 코코아가 가능한 다른 탄수화물 공급원이다.
지방 공급원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경우,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3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지방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및 단일불포화 지방산 뿐 아니라 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것이다. 필수 지방산을 포함하여, 다중불포화 지방산 및 단일불포화 지방산의 양은 지방 공급원 총량의 3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4 중량%범위일 수 있다. 또한, 필수 지방산은 오메가-6 및 오메가-3 지방산이라고 불리며, 리놀산 및 리놀렌산을 포함한다. 포화 지방산의 양은 총 지방량의 2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 중량%일 수 있다.
정상적으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향미제, 예를 들어 코코아, 바닐라, 라임, 딸기, 또는 스프 향미, 예를 들어 버섯, 토마토, 육즙(bouillon)을 포함할 수 있다.
보건당국에 의해서 제시된 제한에 따라서 비타민과 무기질을 조성물에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천되는 모든 비타민과 무기질을 포함할 것이다. 비타민은 전형적으로 A, B1, B2 및 B12, 엽산, 니아신, 판토텐산, 비오틴, C, D, E 및 F가 있다. 무기질은 전형적으로 철, 아연, 요오드, 구리, 망간, 크롬 및 셀레늄이 있다. 전해질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및 염소, 미량 원소 및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가 또한 추천되는 양으로 가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이 소비하기에 적당한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물, 커피, 차 또는 과일 쥬스와 같은 수-함유 액체 중에 현탁가능하거나 분산가능하거나 유화가능한 혼합물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조성물이 바람직하게는 3 일 또는 일주일과 같은 한정된 기간 동안 총 영양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의도된 포장체 중에 포장시킴으로써 조성물은 매일 복용량의 적당한 하위 단위로 분할시킬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 일 복용량 당, 여자의 경우는 4 내지 5 개의 하위-단위로, 남자의 경우는 6 개의 하위-단위로 각각 포장하여 포장체 중에 포장되거나, 포장체가 그러한 하위-단위를 나누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될 것이다.
또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함유 액체 중의 액상 영양 제제이며, 그 안에 고상 성분이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현탁, 분산 또는 유화되어 있다. 액상 영양 제제가 음료용으로 의도된 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향미제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액상 영양 제제는 또한 정맥 투여용 또는 프로브 투여용으로 사용될 것이다.
또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영양바, 과일바, 쿠키, 케익, 빵 또는 머핀과 같은 고상 제제 형태일 수 있다.
또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를 위한 부분적 또는 전체 규정식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과체중 또는 비만한 사람들은 자주 증가된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 및 증가된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가지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변수들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매우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정상 지질 프로파일을 갖는 사람에 있어서 총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 및 총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초기 총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이 5.7 mmol/l 이하의 환자는 정상 또는 저콜레스테롤 수준을 갖는 것으로 생각되는 반면, 총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이 5.7 mmol/l를 초과하는 환자는 고콜레스테롤 수준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갖는 환자에 대한 상당한 지질 감소 효과가 단리된 콩 단백질 및 콩 떡잎 섬유와 같은 대두 섬유를 포함하는, 대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처리한 결과로서 이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혈액 콜레스테롤 수준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저하시키고, 혈청 중의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의약적 용도는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게 제한되지 않고, 또한 증가된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갖는 정상 체중의 환자들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단백질이 지방이 없는 체중, 예를 들어 근육 조직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는, 체중 감소 치료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요산 농도의 증가률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전체 식사 대용물로 사용될 경우 증대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 있어서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기 위한 부분적인 식사 대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내지 3 번의 보통 식품의 매일 식사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당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감소 뿐 아니라 개선된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을 얻을 수 있다.
체중 감량 치료에 사용을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일 복용량은 400 내지800, 특히 450 내지 800 kcal/일의 에너지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극저칼로리 규정식 (VLCD)으로 간주되고, 또는 800 내지 1200 kcal/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저칼로리 규정식(LCD)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의약적 측면에서, 에너지 함량은 정상인의 1 일 에너지 요구량에 일치하거나, 조성물이 격리된 지역에서 비상 식량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의 에너지 함량은 2000 내지 2500 kcal/일에 해당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흡연 중단 후 체중 증가를 피하기 위한 흡연방지 프로그램에서 유용할 것이다. 그러한 목적으로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니코틴 츄잉검 또는 상응하는 니코틴 패치(patch)와 같은 니코틴 대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이 체중 증가를 반작용할 수 있으므로, 흡연 중단에 있어서 보다 높은 성공 가능성으로 흡연가들이 담배를 끊기 위하여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보다 입증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단리된 콩 단백질 60 g
지방 8 g
탄수화물 50 g
콩 섬유 20 g
비타민, 무기질, 전해질 및 미량 원소 5 g
혼합물을 약 1000 ml 물 중에 현탁시켜 VLCD 제제의 1 일 복용량에 해당하는 약 530 kcal를 함유하는 음료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2>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였다:
단리된 콩 단백질 75 g
지방 22 g
탄수화물 100 g
콩 섬유 20 g
비타민, 무기질, 전해질 및 미량 원소 5 g
혼합물을 약 1000 ml 물 중에 현탁시켜 LCD 제제의 1 일 복용량에 해당하는 약 880 kcal를 함유하는 음료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2의 생성물을 스웨덴 스톡홀름 소재의 카롤린스카(Karolinska) 병원에서 임상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표준 편차 추정치 12 및, 유의 수준 5 %/3 = 1.7 % 및 파워 80 %를 사용하여, VLCD/530 및 LCD/880 처리군들 간에 4 kg의 참된 처리 차를 검출하기 위해서 각 처리군에서 요구된 환자의 수는 27명이었다.
하기 포함 목록에 따라서 환자들을 선택하였다.
- 비만 지수(BMI) <30 /kgm2의 보통 내지 심한 과체중인 사람들
- 남녀 성별
- 20 내지 65 세의 나이
- 지난 2 개월 내에 자기-기록된 안정된 체중
연령(년)에 대한 설명
처리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530 kcal/1일 32 40.84 12.54 22 65
880 kcal/1일 31 39.39 10.15 24 65
성별 분포에 대한 설명
530 kcal/1일 880 kcal/1일
남자 10 10
여자 22 21
비만 지수(kg/m2)에 대한 설명
처리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530 kcal/1일 32 39.0 5.3 33.0 60.56
880 kcal/1일 31 38.4 4.3 32.5 50.7
체중
매 방문 마다 3 개군 모두의 환자의 체중을 기록하였다. 체중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체중 (kg)에 대한 설명
주 530 kcal/1일 880 kcal/1일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0 32 113.8 18.0 81.0 158.9 31 113.8 18.7 85.6 157.1
6 28 99.0 15.5 72.7 127.9 29 103.1 15.6 80.1 136.7
콜레스테롤 (mmol/kg)에 대한 설명
주 530 kcal/1일 880 kcal/1일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0 32 5.6 1.0 3.6 8.0 31 5.6 1.0 3.5 7.4
6 28 4.2 0.8 3.1 5.8 29 4.1 0.7 2.8 5.4
상기 표로부터 VLCD/530은 6 주만에 25 %의 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고, LCD/880은 6 주만에 26.8 %의 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낸 것으로 측정될 수 있었다. VLCD/530에서 1 일 지방 섭취는 8 g이고, LCD/880은 22 g이었다. 두 개의 처리군에서 5.6 mmol/l의 초기 콜레스테롤 수준은 정상 콜레스테롤 수준과 일치하며, 기록된 바와 같이, 6 주 후에 콜레스테롤의 상당한 감소가 있었고, 이는 지방, 탄수화물 및 콩 단백질 섭취가 증가될 때 보다 높았다.
트리글리세리드 (mmol/1)에 대한 설명
주 530 kcal/1일 880 kcal/1일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0 32 2.0 1.0 0.8 5.9 31 1.8 1.0 0.7 4.5
6 28 1.4 0.8 0.7 3.1 27 1.0 0.3 0.8 2.3
상기 표의 값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농도가 LCD/530을 받은 군에서 30 % 저하하였고, LCD/880을 받은 군에서 44.5 % 저하하였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감소가 최대 지방, 탄수화물 및 단리된 콩 단백질을 섭취한 군에서 가장 높았음을 볼 수 있었다.
요산(μmol/1)에 대한 설명
주 530 kcal/1일 880 kcal/1일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 편차 최소 최대
0 32 338.3 66.8 182 466 30 316.2 78.8 109 457
6 28 413.1 118.3 148 803 29 364.3 111.4 73 539
상기 표로부터 요산 농도가 LCD/530을 받은 군에서 22.1 % 증가하였고, LCD/880을 받은 군에서 15.2 % 증가하였다. 유럽 특허 제425423B1호에 따라서 제조되고, 섬유와 함께 대두 농축물을 포함하는 VLCD/420 생성물과의 비교 연구에서, 요산 농도는 동일한 6 주 기간에 27.9 % 증가하였다.
<실시예 4 (비교예)>
유럽 특허 제425423B1호에 따라서 제조된 영양 분말은 상표명 NUTRILETT(등록상표) VLCD/420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 조성물은 420 kcal/일를 제공하고, 다중불포화 지방 2.0 g, 탄수화물 30.5 g 및 콩 단백질 농축물로부터 유도된 섬유 17.5 g을 포함하여, 콩 단백질 농축물 및 탈지 분유의 배합물로서 단백질 61.5 g, 지방 6.0 g을 제공한다. 생성물은 필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어류 오일 캡슐, 및 영양 분말 내에 충분히 존재하지 않는 비타민, 무기질 및 미량 원소의 놀딕 (Nordic) 추천 하루 허용량(RDA)을 함유하는 정제와 함께 공급되었다. VLCD/420을 실시예 1 (VLCD 530) 및 실시예 2 (LCD 880)의 생성물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I 및 II에 나타내었다.
0 주에서의 콜레스테롤값에 대한 설명
0 주에서의 콜레스테롤값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받은 처리 연구 시작시의 콜레스테롤값 성별 1 4.80 4.80 4.80
VLCD 420 KCAL < 5 mmol/l 남자
여자 4 4.50 0.38 4.00 4.80
> 5 mmol/l 남자 9 5.86 0.73 5.00 6.80
여자 15 5.83 0.72 5.00 7.00
VLCD 530 KCAL, 6W < 5 mmol/l 남자 2 4.65 0.21 4.50 4.80
여자 5 4.18 0.37 3.60 4.60
> 5 mmol/l 남자 8 6.01 1.02 5.00 8.00
여자 17 5.89 0.62 5.00 7.50
LCD 880 KCAL < 5 mmol/l 남자 2 4.60 0.28 4.40 4.80
여자 8 4.40 0.47 3.50 4.90
> 5 mmol/l 남자 8 6.25 0.68 5.30 7.20
여자 13 5.97 0.66 5.20 7.40
6 주에서의 콜레스테롤값에 대한 설명
0 내지 6 주 동안 콜레스테롤 변화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받은 처리 연구 시작시의 콜레스테롤값 성별 1 1.40 1.40 1.40
VLCD 420 KCAL < 5 mmol/l 남자
여자 4 0.65 0.67 - 0.30 1.20
> 5 mmol/l 남자 9 1.50 0.92 0.30 2.80
여자 14 1.13 0.56 0.10 2.00
VLCD 530 KCAL, 6W < 5 mmol/l 남자 2 1.05 0.49 0.70 1.40
여자 3 1.00 0.26 0.70 1.20
> 5 mmol/l 남자 8 1.73 1.96 0.40 3.40
여자 15 1.51 0.73 -0.10 2.40
LCD 880 KCAL < 5 mmol/l 남자 2 0.95 0.35 0.70 1.20
여자 7 0.83 0.83 -0.40 1.80
> 5 mmol/l 남자 8 2.05 0.73 1.00 3.20
여자 12 1.34 0.82 -0.20 3.20
표 I 및 표 II의 결과로부터, 6 주 처리 동안 VLCD 530은 25 %의 콜레스테롤를 저하시키고, LCD 880은 27 %의 콜레스테롤를 저하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22 g/일인데 대조적으로 VLCD 420 생성물은 단지 6 g 지방/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LCD 880이 상기 VLCD 420 생성물보다 콜레스테롤 감소에 대하여 20 %가 넘게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보다 높은 초기 콜레스테롤값을 갖는 환자가 보다 높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얻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LCD 880으로 6 주 치료된, 초기 콜레스테롤값이 6.25인 사람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저하률은 32.8 %이었다.
<실시예 5 (비교예)>
또다른 연구에서, 실시예 4에서 언급한 조성물과 함께 NUTRILETT(등록상표) VLCD 420을 15 내지 72 세(평균 41.6)의 여자 152 명과 남자 101의 집단에게 주었다. 그들의 체중은 70 내지 177 kg(평균 99.7)이고, 비만 지수 (BEM)는 25 내지 51 kg/m2(평균 33.2)의 범위였다. 환자는 평균 총 콜레스테롤이 6.0 mmol/l인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이었고, 제제로 8 주 처리 후의 평균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4.8 mmol/l로 저하된 것을 알았다. 동일한 8 주 기간 동안의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는 3.1 mmol/l 내지 1.2 mmol/l로 낮아졌다.
약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들 중 6.0 mmol/l에서 4.8 mmol/l까지의 평균 총 콜레스테롤 감소률이 20 %에 해당하였다.
<실시예 6>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를 Zocor(등록상표)(스타틴 중의 하나)로 처리함으로써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이 6 mmol/l로 감소하였다. 후속해서, 그 환자의 저녁 식사를 1 개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LCD 880로 대체함으로써, 콜레스테롤 수준은 5.3 mmol/l(= 12 % 감소)로 더 감소되었고,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은 2.66 내지 2.15 mmol/l(= 19 % 감소)로 더 감소되었다. 이는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추가의 감소가 이미 콜레스테롤 저하성 의약으로 처리된 환자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음을 보였다.
<실시예 7>
환자는 감소된 지방 및 칼로리 섭취량의 의약 규정식에 의하여 콜레스테롤 수준이 10 mmol/l에서 8.3 mmol/l으로 감소되었다. 매일 2 회 식사를 본 발명에 따른 LCD 880로 대체함으로써, 콜레스테롤 수준은 3 개월 동안 6.5 mmol/l로 더 감소되었다. 이는 의학적으로 추천되는 규정식으로 가능하였던 콜레스테롤 수준과 비교하여 22 % 감소되었다.

Claims (30)

  1. (a) 단리된 콩 단백질,
    (b) 대두 섬유, 및
    임의로, 부가적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방 공급원, 향미제, 비타민, 무기질, 전해질, 미량 원소 및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단백질 함량이 조성물의 총 에너지 함량의 15 % 이상을 제공하고 (a)와 (b)의 중량비가 2 이상인 양으로 함유되는, 대두 성분을 주성분으로 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와 (b)의 중량비가 2.5 이상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와 (b)의 중량비가 3 이상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와 (b)의 중량비가 3 내지 4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두 섬유가 대두의 떡잎으로부터 단리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에너지 함량의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을 제공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리된 콩 단백질이 조성물의 총 단백질 함량의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50 중량% 미만의 양의 탄수화물을 더 함유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공급원이 글루코스, 프럭토스 및(또는) 말토덱스트린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3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양의 지방 공급원을 더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지방 공급원이 필수 다중불포화 지방산, 단일불포화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두 섬유의 양이 건조중량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수 비타민, 무기질 및 미량 원소를 함유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커피, 차 또는 과일 쥬스와 같은 수-함유 액체 중에 현탁가능하거나, 분산가능하거나 유화가능한 분말성 혼합물인 조성물.
  15. 수-함유 액체 중에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상 영양 제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4항의 조성물이 제제의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현탁, 분산 또는 유화되어 있는 액상 영양 제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의 제제 및 항미제, 예를 들어 코코아, 바닐라, 라임, 딸기 또는 스프 향미제, 예를 들어 버섯, 토마토, 육즙(bouillon)을 함유하는 음료성 영양 조성물.
  18. 정맥 투여 또는 프로브 투여를 위한, 제15항 또는 제16항의 액상 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상 조성물의 형태인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영양바, 과일바, 쿠키, 케익, 빵 또는 머핀 형태의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흡연방지 니코틴 제제와 배합 사용하기 위한 용도.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 대한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규정식으로서의 용도.
  23. 제22항에 있어서,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가 5.7 mmol/l 이하의 총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갖는 용도.
  24. 제22항에 있어서,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가 증가된 총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 및(또는) 증가된 총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갖는 용도.
  25.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지질 감소용 의약과 배합한 전체 또는 부분적인 식사 대용물로서의 용도.
  26. 제25항에 있어서, 지질 감소용 의약이 스타틴인 용도.
  27.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전체 식사 대용물로서의 용도.
  28.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증가된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 및(또는) 증가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갖는 정상 체중 환자를 위한 의약으로서의 용도.
  29.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콜레스테롤 수준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저하시키고, 혈청 중의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
  30.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콜레스테롤 수준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저하시키고, 혈청 중의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두유 또는 대두 마가린과 같은 영양 제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
KR1019980706788A 1996-02-29 1997-02-12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9990087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22796 1996-02-29
DK227/96 1996-0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376A true KR19990087376A (ko) 1999-12-27

Family

ID=809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788A KR19990087376A (ko) 1996-02-29 1997-02-12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6136367A (ko)
EP (1) EP0902624B1 (ko)
JP (1) JP3545423B2 (ko)
KR (1) KR19990087376A (ko)
CN (1) CN1104855C (ko)
AT (1) ATE198405T1 (ko)
AU (1) AU715424B2 (ko)
BR (1) BR9707713A (ko)
CA (1) CA2247138A1 (ko)
CZ (1) CZ265698A3 (ko)
DE (2) DE69703839T2 (ko)
DK (1) DK0902624T3 (ko)
EA (1) EA000821B1 (ko)
ES (1) ES2149140T3 (ko)
GR (1) GR3035302T3 (ko)
HK (1) HK1016842A1 (ko)
HU (1) HUP9902145A3 (ko)
IL (1) IL125729A (ko)
NO (1) NO314875B1 (ko)
NZ (1) NZ331507A (ko)
PL (1) PL184852B1 (ko)
PT (1) PT902624E (ko)
TR (1) TR199801709T2 (ko)
UA (1) UA63901C2 (ko)
WO (1) WO199703154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04A (ko) * 2002-10-22 2004-04-29 이환업 해독, 항산화 기능 작용, 흡연 억제 기능 작용을 하는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0515923B1 (ko) * 2002-10-22 2005-09-21 이환업 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0667038B1 (ko) * 2004-12-15 2007-01-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KR101876471B1 (ko) * 2009-05-26 2018-07-16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 및 혈관 건강 증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7933A (en) * 1998-06-04 1999-12-08 Stephen Bloor Treating or prophylaxis of smoking related diseases
US6150399A (en) 1998-06-30 2000-11-21 Abbott Laboratories Soy-based nutritional products
WO2000021391A1 (en) * 1998-10-09 2000-04-20 Sanacare Aps Diet food
EP1133307B1 (en) * 1998-11-25 2003-06-11 Nutri Pharma ASA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soy protein, dietary fibres and a phytoestrogen compound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ulmonary diseases
US6630178B1 (en) 1998-11-25 2003-10-07 Nutri Pharma Asa Composition comprising soy protein, dietary fibres and a phytoestrogen compound and use thereof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US6241996B1 (en) 1999-04-09 2001-06-05 Novartis Nutrition Ag Liquid soy nutritional products
US6355295B1 (en) 2000-02-29 2002-03-12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oy functional food ingredient
US6465037B1 (en) 2000-02-29 2002-10-15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producing a novel soy functional food ingredient
US8642051B2 (en) 2000-03-21 2014-02-04 Suzanne Jaffe Stillman Method of hydration; infusion packet system(s), support member(s),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with business model(s) and Method(s)
US7118873B2 (en) 2000-12-12 2006-10-10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Polynucleotides encoding cellular transport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30082647A1 (en) * 2000-12-12 2003-05-01 Reenan Robert A. Transporter protein
DE60218822T2 (de) * 2001-02-09 2007-07-12 Unilever N.V. Nahrungsmittel enthaltend sojaprotein und statin
US6582746B2 (en) 2001-02-28 2003-06-24 Solae, Llp Meat product
US6355296B1 (en) 2001-02-28 2002-03-12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unctional food ingredient
US6423364B1 (en) 2001-02-28 2002-07-23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unctional food ingredient
US20040234631A1 (en) * 2001-07-03 2004-11-25 Hoie Lars Henrik Composition comprising soy and use thereof in the provention and/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US20030104033A1 (en) * 2001-07-13 2003-06-05 Lai Chon-Si Enteral formulations
US20030170371A1 (en) * 2002-01-10 2003-09-11 Cargill, Inc. High fat/fiber composition
WO2003070018A2 (en) * 2002-02-22 2003-08-28 Nutri Pharma Asa Food products comprising soy protein
NZ536466A (en) * 2002-04-18 2008-04-30 Monsanto Technology Llc Oil body associated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US20030211207A1 (en) * 2002-05-07 2003-11-13 Newman Michael 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eatment to a continuous supply of food product using a vacuum process
DE10303900A1 (de) * 2003-01-31 2004-08-12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Cholesterinsenkendes Mittel, enthaltend Levane
US20040022877A1 (en) * 2002-07-30 2004-02-05 Nancy Green Cardiovascular health enhancement with soy fortified orange juice compositions
US20040022876A1 (en) * 2002-07-30 2004-02-05 Nancy Green Cardiovascular health enhancement with soy fortified citrus juice compositions
WO2004020977A2 (en) * 2002-08-29 2004-03-11 University Of Massachusetts Utilization of emulsion interface engineering to produce oxidatively stable lipid delivery systems
MXPA05002095A (es) * 2002-09-03 2005-06-06 Biovail Lab Int Srl Formulaciones farmaceuticas de pravastatina y metodos de su uso.
US7744930B2 (en) * 2002-11-22 2010-06-29 Shaklee Corporatio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enhancing weight loss while inhibiting loss of lean body mass
AU2003297568A1 (en) * 2002-11-22 2004-06-18 Shaklee Corporatio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weight loss and inhibiting the loss of lean body mass
US20040258825A1 (en) * 2003-06-17 2004-12-23 Ndife Louis I. Nutri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spray dried fiber
US20050186306A1 (en) * 2004-02-19 2005-08-25 Susanne Sonneveld Low carbohydrate cereal-like food product
US20060024391A1 (en) * 2004-07-30 2006-02-02 Lak Zarahmehran S Dietary nutritional suppliments for persons smoking tobacco products
US20060088639A1 (en) * 2004-10-25 2006-04-27 Lewis Karen M Food additive, baked food composition and method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CN101166425A (zh) * 2005-03-09 2008-04-23 卡吉尔股份有限公司 大豆子叶纤维和生产所述纤维的方法
ES2281270B1 (es) 2005-11-30 2008-07-01 La Morella Nuts, S.A. Alimento funcional con efectos positivos en la prevencion de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US20070202215A1 (en) * 2006-02-28 2007-08-30 Zahramehran Salari Lak Dietary nutritional supplements for persons consuming alcohol products
US20070207226A1 (en) * 2006-03-03 2007-09-06 Mowrey Daniel B Composition for enhancing muscle mass development in animals
EP2060263A4 (en) * 2006-08-21 2012-01-25 Calpis Co Ltd AGENT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JP2009034018A (ja) * 2007-07-31 2009-02-19 Ajinomoto Co Inc トマト風味栄養組成物
CZ302771B6 (cs) * 2007-10-11 2011-11-02 Adler Wellness Produkte, S.R.O. Potravinárská proteinová smes a zpusob její výroby
MX2007014944A (es) * 2007-11-28 2009-05-28 Kyu Il Lee Composicion de extractos de soya, arroz, ajonjoli y tuna para suplemento alimenticio.
WO2011146442A1 (en) * 2010-05-18 2011-11-24 Abbott Laboratories Ultrasonically-treated nutritional products having extended shelf life
US8685918B1 (en) * 2011-01-05 2014-04-01 Marco Gasparotti Weight loss regimen comprising enteral and oral feeding segment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CA2942555A1 (en) 2014-03-26 2015-10-01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supplement powder
US9392814B2 (en) 2014-06-06 2016-07-19 Nicholas J. Singer Delivery system for drinks
USD773313S1 (en) 2015-06-23 2016-12-06 Nicholas J. Singer Package
RU2612776C1 (ru) * 2015-12-04 2017-03-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БОРН" Концентрат для вегетариан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CN108697139A (zh) 2016-02-29 2018-10-23 雅培制药有限公司 营养补充粉
CN106729616A (zh) * 2016-12-05 2017-05-31 郑州诚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肥胖症的西药组合物
CN106729600A (zh) * 2016-12-05 2017-05-31 郑州诚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肥胖症的西药组合物
WO2021064107A1 (en) 2019-10-02 2021-04-08 Norvia Nutrition Ltd. Composition comprising soy and use thereof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microvascular or lipoprotein related diseases, microcardiovascular diseases, atherosclerosis, hypertension, and in patients with such cardiovascular disorders suffering from alzheimer and dementia, overweight and obesity, type 2 diabetes, asthma and other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0782A (en) * 1993-05-28 1997-12-23 Abbott Laboratories Enteral nutritional produc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04A (ko) * 2002-10-22 2004-04-29 이환업 해독, 항산화 기능 작용, 흡연 억제 기능 작용을 하는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0515923B1 (ko) * 2002-10-22 2005-09-21 이환업 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100667038B1 (ko) * 2004-12-15 2007-01-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KR101876471B1 (ko) * 2009-05-26 2018-07-16 (주)아모레퍼시픽 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 및 혈관 건강 증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5424B2 (en) 2000-02-03
DE69703839D1 (de) 2001-02-08
IL125729A (en) 2001-09-13
US6268011B1 (en) 2001-07-31
NZ331507A (en) 1999-03-29
NO983971D0 (no) 1998-08-28
PL328634A1 (en) 1999-02-15
ES2149140T1 (es) 2000-11-01
EA000821B1 (ru) 2000-04-24
EA199800779A1 (ru) 1999-02-25
DE69703839T2 (de) 2001-05-31
HK1016842A1 (en) 1999-11-12
DE902624T1 (de) 2000-11-02
CN1212605A (zh) 1999-03-31
PL184852B1 (pl) 2002-12-31
DK0902624T3 (da) 2001-05-21
HUP9902145A3 (en) 2000-04-28
UA63901C2 (en) 2004-02-16
PT902624E (pt) 2001-04-30
US6136367A (en) 2000-10-24
CN1104855C (zh) 2003-04-09
ATE198405T1 (de) 2001-01-15
ES2149140T3 (es) 2001-04-16
WO1997031546A1 (en) 1997-09-04
GR3035302T3 (en) 2001-04-30
CZ265698A3 (cs) 1998-12-16
TR199801709T2 (xx) 1998-12-21
NO983971L (no) 1998-10-28
BR9707713A (pt) 2000-01-04
CA2247138A1 (en) 1997-09-04
JP3545423B2 (ja) 2004-07-21
HUP9902145A2 (hu) 1999-11-29
NO314875B1 (no) 2003-06-10
EP0902624B1 (en) 2001-01-03
EP0902624A1 (en) 1999-03-24
JP2000505308A (ja) 2000-05-09
IL125729A0 (en) 1999-04-11
AU1615397A (en) 1997-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6367A (en) Composition and its use as a food supplement or for lowering lipids in serum
EP0482715B1 (en) Nutritional composition
RU2380983C2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для диабетиков
US20030143287A1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management of weight
US20060159724A1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management of weight
US20230132388A9 (en) Intact Pea Protein-Based Nutrient Composition
KR20040105737A (ko) 우유 미네랄과 카세인 분절을 사용하는 체중 상태 치료용조성물 및 방법
JP2011505870A (ja) 卵黄に基づく機能性食物製品の生産方法およびこれによって得られる製品
RU2428062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EP1383525A2 (en) Nutritional supplement to alleviate symptoms associated with stress and reduced levels of serotonin
WO2012050434A1 (en) Dairy based smoothie for stimulating growth in children
JP2006022068A (ja) 血清脂質代謝改善剤
EP0425423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low-calorie nutritional preparation
WO2002094039A1 (en) Food or beverage for ameliorating poor protein/energy nutrition
KR20160075431A (ko) 노인 환자의 노쇠 및 노인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균형 영양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516946A (ja) 消化管の適応の間における増殖応答を向上させる組成物および短腸症候群における使用
Ginsberg et al. Nutrition and Lipids
KR20050011988A (ko) 토마토를 함유한 발효유 조성물
Sterner Six foods to help you lose weight and feel better
LEAST et al. Select Meal®
Vinegar Apple Cider Vinegar vs Lemon Juice For Weight Loss Quick Links
IES970234A2 (en) Foo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