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038B1 -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038B1
KR100667038B1 KR1020040106556A KR20040106556A KR100667038B1 KR 100667038 B1 KR100667038 B1 KR 100667038B1 KR 1020040106556 A KR1020040106556 A KR 1020040106556A KR 20040106556 A KR20040106556 A KR 20040106556A KR 100667038 B1 KR100667038 B1 KR 10066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urine
cholesterol
soy protein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988A (ko
Inventor
장경자
정선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10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03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마늘(Allium sativum L), 대두단백(soy protein) 추출물 및 타우린으로 구성되는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은 혈중 지질농도를 개선시키고 특히 폐경기 이후 노인의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므로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 고지혈증, 복부비만

Description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The mixture composition containing the garlic, isolated soy protein and taurine for the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and visceral obesity}
도 1은 72 마리의 래트를 9 마리씩 8 개 군으로 나누고 8 주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각 군별로 혈장의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총콜레스테롤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HFD: high fat diet(a) GP: galic powder(b) TR: taurine(c) SP: soy protein(d)
도 2는 8 주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각 군별로 혈장의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8 주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각 군별로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8 주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각 군별로 래트의 간, 복부 지방조직 및 근육 조직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8 주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현미경을 통하여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를 관찰하여 나타낸 현미경 사진이고,
도 6은 각각의 실시예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래트의 중성지방(triglyceride), 총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각각의 실시예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래트의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각각의 실시예로 실험식이를 실시한 후, 래트의 간, 복부 지방조직 및 근육 조직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Allium sativum L), 대두단백(soy protein) 및 타우린의 생리활성 효과로 폐경기 이후 노인의 고지혈증 뿐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노화를 방지하고 노화로 인한 각종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 영양 보충용 식품 조성물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점점 연장됨에 따라 노년기에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노년기는 보통 65세 이상을 말하며 이 시기에는 신체적, 정신적 노화현상 즉, 체력과 면역력의 저하가 나타나고 감각기와 신경계의 노화도 동반된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노인병은 외상과 전염성질환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생활의 향상과 의학발달로 인해 외상과 전염성질환은 줄어들고 스트레스나 음주, 흡연, 비만증, 운동부족 등에 의한 만성 비전염성 질환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에 난소폐쇄(follicular atresia)로 인한 난소 기능 부전으로 인해 에스트로겐 합성과 분비가 감소되고, 뇌하수체로부터 분비되는 성선 자극 호르몬 수치의 상승으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i Y, Yoon S et al., Korean J. Nutr. 34(3): 322-329, 2001). 특히 폐경으로 인한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ung K.A. et al., Korean Med. Sci. 17: 307-315, 2002); Lee J.H. et al., Korean J. Nutr. 36(6): 603-612, 2003). 최근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로 비만 뿐 아니라 지방의 분포가 더욱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폐경 후 여성의 경우 여성 호르몬 부족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복부지방 조직이 증가하게 되며 복부비만은 둔부비만보다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urcato E. et al., J Intern Med 241(5): 363-372, 1997; Willet W.C. et al., N. Engl. J. Med. 341(6): 427-434, 1999; Lee E.Y. et al., Korean J. Nutr. 37(5): 352-363, 2004). 복부지방세포는 또한 당불내성 (glucose intolerance)에 영향을 미쳐 체내 당대사과 지질대사에 영향을 주므로 복부 비만이 혈중 지질농도에 주는 영향이 크다는 점으로 볼 때 폐경기 여성이 특히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큼을 알 수 있다(Kim S.Y. et al., Korean J. Nutr. 32(6): 713-725, 1999). 폐경 이전에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이 남자의 1/4 - 1/5 에 불과하지만 폐경 이후에는 여성호르몬인 체내 에스트로겐이 부족하게 되어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율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남자와 비슷한 수준에 까지 이르게 된다.
심혈관계 질환은 혈청 내 콜레스테롤 중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이 산화되어 그 산화산물이 동맥 내 피하조직에 축적되고 여러 염증 반응이 증가하여 초래되는 만성질환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사망원인 중 암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의 종류에는 고지혈증, 고혈압, 고혈압성 망막증, 동맥경화증, 부정맥, 심근경색증, 심부정맥 혈전증, 저혈압, 정맥류, 지주막하출혈, 편두통, 혈관부종, 혈관종, 협심증 등이 있으며 이 중에 뇌졸중과 같은 뇌혈관 질환과 협심증, 심근 경색 등의 심장혈관 질환(관상동맥질환)이 노인 사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의 혈청 지질 가운데 하나 이상의 혈청 내 농도가 공복 시 혈청 지질의 정상범위는 중성지방 50~150 mg/dl, 인지질 150~250 mg/dl, 콜레스테롤 130~230 mg/dl, 유리지방산 5~10 mg/dl보다 높은 상태이다. 고지혈증을 방치할 경우 고혈압, 관상동맥 경화증(협심증, 심근경색), 뇌동맥 경화증(뇌경색) 등의 위독한 합병 증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폐경기 이후의 고지혈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칼로리를 제한하거나 동물성지방의 섭취를 제한하는 식이요법이나 약물요법을 시행하고 있고 혈중 지질농도 개선을 위한 에스트로겐 투여를 통한 치료 또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호르몬 치료에 따른 암 발생 위험을 포함한 다양한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이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Lissin L.W. and Cooke J.P., J. Am. Coll. Cardiol. 35: 1403-1410, 2000).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성분인 마늘(Allium sativum L)은 백합과의 ‘파’ 속(Allium 속)에 속하는 인경채소로서 알리신(allicin), 스코르디닌(scordinin), 크레아틴(creatine), 게르마늄(germanium), 셀레늄(selenium)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인지질의 산화를 억제하여 노화방지 작용을 하며, 동맥경화, 고혈압, 백일해, 폐결핵, 해독 등에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두단백(soy protein)은 혈청 지질 농도 및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Lissin L.W. and Cooke J.P., J. Am. Coll. Cardiol. 35: 1403-1410, 2000).
타우린(taurine, 2-aminoethane sulfonic acid)은 체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이용되지 않고 산화되어 에너지를 낼 수 있는 황(sulfer, S)을 포함한 아미노산으로서 주로 뇌, 심장, 근육 및 간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신경조절작용, 세포막의 안정화, 해독 작용, 항산화작용을 나타내고 고혈압 개선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Chang K.J., Korean J. Nutr. 32(3): 213-220. 1999; Kishida T. et al., J. Nutr. 133(8): 2616-2621, 2003; Chen W. et al., Life Sci. 74(15): 1889-1898, 2004).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폐경기 이후 노인의 고지혈증 예방을 목적으로 혈중 지질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노인들이 쉽고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장기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고지혈증 예방 물질을 연구한 결과, 천연물 소재인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혼합조성물이 혈중 지질농도를 개선하며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과 영양 보충에 효과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 ~ 20 중량부의 마늘 가루, 10 ~ 50 중량부의 대두단백, 0.1 ~ 10 중량부의 타우린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부의 마늘 가루, 10 ~ 30 중량부의 대두단백 추출물 및 0.1~ 2 중량부의 타우린을 함유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의 마늘 가루, 20 중량부의 대두단백 추출물 및 1 중량부의 타우린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래그 돌리 래트(Sprague-Dawley rats, female) 72 마리를 구입하여 1 군당 9 마리씩 8 군으로 분류하고 동결건조한 마늘 가루,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첨가한 실험식이를 8 주간 급여하였다.
1 군은 고지방식이군, 2 군은 2% 마늘 가루 첨가군, 3 군은 1% 타우린 첨가군, 4 군은 20% 대두단백 첨가군, 5 군은 2% 마늘 가루+1% 타우린 첨가군, 6 군은 2% 마늘 가루+20% 대두단백 첨가군, 7 군은 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 8 군은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으로 분류하고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식이조성은 AIN-76을 기본으로 한 정제식이(semi-purified diet)로 조제하였으며, 고지방식이는 우지(beef tallow) 15% +1%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험 식이의 조성(g/100g diet)
1.고지방 식이군 2.마늘 가루 2% 3.타우린 1% 4.대두 단백 20%
카세인(Casein) 20 20 20 0
대두 단백 0 0 0 20
옥수수녹말 55 52.7 54.7 54.7
옥수수 기름 0 15 15 15
우지(Beef tallow) 15 0 0 0
콜레스테롤 1 0 0 0
Α-셀룰로스(Cellulose) 5 5 5
5
미네랄 복합제1) 4 4 4 4
비타민 복합제2) 1 1 1 1
DL-메티오닌(Methionine) 0.3 0.3 0.3 0.3
마늘 가루(g) 0 2 0 0
타우린(mg) 0 0 1000 0
5.마늘 가루 2% + 타우린 1% 6.타우린 1% +대두단백 20% 7.마늘 가루 2% + 대두단백 20% 8.마늘 가루 2% +타우린1%+ 대두단백 20%
카세인(Casein) 20 0 0 0
대두 단백 0 20 20 20
옥수수녹말 52.7 54.7 52.7 52.7
옥수수 기름 15 15 15 15
우지(Beef tallow) 0 0 0 0
콜레스테롤 0 0 0 0
Α-셀룰로스(Cellulose) 5 5 5 5
미네랄 복합제1) 4 4 4 4
비타민 복합제2) 1 1 1 1
DL-메티오닌(Methionine) 0.3 0.3 0.3 0.3
마늘 가루(g) 2 0 2 2
타우린(mg) 1000 1000 0 1000
1) 미네랄 복합제(g/kg) ; 제2인산 칼슘(calcium phosphate dibasic) 500g, 염화 나트륨(sodium chloride) 74g, 구연산 칼륨(potassium citrate monohydrate) 220g, 황산 칼륨(potassium sulfate) 52g,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24g, 탄산 망간(manganous carbonate)(43-48% Mn) 3.5g, 구연산 철(ferric citrate)(16-17% Fe) 6g, 탄산 아연(zinc carbonate)(70% ZnO) 1.6g, 탄산 동(cupric carbonate)(53-55% Cu) 0.3g, 옥소산 칼륨(potassium iodate) 0.01g, 아셀렌산 나트륨(sodium selenite) 0.01g, chromium potassium sulfate 12 hydrate 0.55g, 미세하게 빻은 수크로스(sucrose) 118g
2) 비타민 복합제(g/kg);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thiamin hydrochloride) 600mg, 리보플라빈(riboflavin) 600mg,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pyridoxine hydrochloride) 700mg, 니코틴 산(nicotinic acid) 3g, D-판토텐산 칼슘(calcium pantothenate) 1.6g, 엽산(Folic acid) 200mg, D-바이오틴(biotin) 20mg,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1mg, retinyl palmitate 사전 배합(레티닐 팔미테이트 pre-mix)(250,000IU/g) 1.6g, DL-알파-토코페롤 아세테이트(alpha-tocopherol acetate)(250IU/g) 20g, 콜레칼키페롤(cholecalciferol)(400,000IU/g) 250mg, 메나퀴논(menaquinone) 5mg, 미세하게 빻은 수크로오스(sucrose) 972.9g
그 결과,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 식이의 고지혈증 예방 효과가 다른 실험 식이에 비하여 매우 높았으므로 2% 마늘 가루, 1% 타우린, 20% 대두단백의 조성을 가진 조성물이 고지혈증 예방에 가장 효과가 높으며, 마늘 가루, 타우린, 대두단백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현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 콜레스테롤 수치의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의 농도,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주 동안 실험 식이를 실시한 래트의 혈액 중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농도를 측정하는 혈액 분석을 실시하였다. 래트를 희생시키고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혈중 지질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장의 HDL-콜레스테롤은 분석 키트로 546 nm와 500 nm에서 정량하였다. LDL-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LDL-콜레스테롤 = 총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중성지방/5)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표 2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성지방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2% 마늘 가루+1% 타우린+ 20% 대두단백 첨가군도 고지방 식이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단위(mg/dl) 고지방식이 마늘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 타우린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타우린+ 대두단백
중성지방 157.6 106.8 105.9 93 86.1 97.5 77.4 68.2
전체 콜레스테롤 142.3 107.6 114.4 97.2 95.9 109.3 98.3 106.2
표 3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장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 마늘 가 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mg/dl) 고지방식이 마늘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 타우린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타우린+ 대두단백
HDL 콜레스테롤 28.8 55.6 41.2 55.9 55.3 66.9 64.1 72.1
LDL 콜레스테롤 123.4 94.1 84.8 73.4 65.8 82.3 64.9 62.1
표 4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LDL-콜레스테롤의 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 마늘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 타우린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타우린+ 대두단백
HDL 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0.2 0.5 0.4 0.6 0.6 0.7 0.8 0.8
LDL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2.8 1.4 2.1 1.2 1.1 1 0.9 0.5
중성지방 농도,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LDL-콜레스테롤의 비가 낮을수록, HDL-콜레스테롤 농도,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의 비가 높을수록 고지혈증 예방에 효과적이므로 상기 결과에 따라,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성분 개선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간, 복부 지방조직 무게 측정 및 복부 지방세포 크기 관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 및 복부 지방조직, 간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8 주간 실험식이를 실시하여 희생시킨 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해 둔 복부 지방조직 세포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방세포 크기는 고지방식이군이 가장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작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8 주간 실험식이를 실시하여 희생시킨 후 적출한 지방조직과 간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표 5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의 무게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 및 복부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g) 고지방식이 마늘 타우린 대두단백 마늘+ 타우린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대두단백 마늘+타우린+ 대두단백
7.7 8.1 7.7 7.8 6.9 7.5 7 6.3
지방조직 1 1.3 0.9 0.8 0.7 0.7 0.6 0.5
Gastric nemus 2 2.2 2 2.5 1.9 2 1.9 2.2
허리근육 1.8 1.8 1.7 1.6 1.5 1.7 1.7 1.8
3) 체중 및 근육 조직의 무게 관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 및 근육 조직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8주 동안 실험식이를 실시한 래트의 체중, 간, 근육 조직(gastricnemus, psoas)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5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중 및 근육조직 무게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늘, 타우린 및 대두단백 첨가 식품 조성물이 영양분 공급에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 혈중 콜레스테롤, 간ㆍ복부 지방조직 무게, 복부 지방세포 크기 모든 면에 있어서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 세 가지를 함께 첨가한 것이 마늘, 대두단백, 타우린을 각각 첨가하거나 두 가지를 혼합하여 첨가한 것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성분인 상기 조성물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및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한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본 발명의 제제로는 탕제, 환제,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산제, 과립제 등으로 제조하여 경구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lactose monohydrate), 옥수수 전분 (cornstarch), 콩기름 (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 (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나톨 (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 (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polyvinyipyr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 (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 (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 (sorbitol) 또는 아스파탐 (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N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 (beta-cyclodextrin), 백 납 (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 (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 (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이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탄수화물, 단백질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콜,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 일에 1 회 내지 여러 차례 나누어 복용할 수 있으며 체중 60 ㎏ 성인을 기준으로 1 일 총량이 0.1 ~ 10 g이 되도록 임의로 수회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용 생쥐를 대상으로 실시한 급성독성검사 결과, 경구투여시 반치사량 (LD50)은 10,000 ㎎/㎏ 이상으로 전혀 독성효과를 나타 내지 않음으로써 생체 안전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에 대해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식품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또는 음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유효 성분은 독성 검사 결과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이 각각의 중량부의 동결건조한 마늘가루, 대두단백(동방유량), 타 우린(동아제약)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마늘 2 0.5 1 5 10
대두단백 20 5 10 30 40
타우린 1 0.2 0.6 1.4 1.8
<실시예 6> 건강식품용 조성물의 제조
2 중량부의 마늘가루, 20 중량부의 대두단백, 1 중량부의 타우린, 52.7 중량부의 옥수수녹말 12 중량부의 옥수수 기름 5 중량부의 A-셀룰로스, 4 중량부의 미네랄 복합제, 1 중량부의 비타민 복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 동물 사육
본 발명자들은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혼합조성물이 혈중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 및 지방조직 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체중이 약 200g인 Sprague-Dawley 암컷 쥐 6 군으로 나누어 실험식이를 8 주간 급여하였다. 실험식이는 isocalorie diet로 설계하였으며, AIN-76실험식이를 기준으로 공급하였다. 8 주간의 실험식이 공급 후 희생시켜 체중, 식이섭취량, 간, 근육조직(gastricnemus, psoas),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혈액 분석(혈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현미경을 통한 복부 지방세포 크기 관찰을 실시하였다.
체중이 약 200g인 암컷 스프래그 돌리 래트(Sprague-Dawley rats, female, 대한 biolink)를 구입하여 1 마리당 1개의 shoe-box cage를 사용하여 사육하였다. 동물실험실의 사육환경은 온도 22±2℃, 상대습도 65±5%, 조명 AM 6:00 ~ PM 6:00로 12시간 명암주기의 소음이 없는 환경이고 실험동물 전용 깔집은 2일마다 교환하였다. 급여한 물은 탈 이온수로써 완전 자유급식(ad libitum)형태로 공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사육한 상기의 래트를 2 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양쪽 난소를 절제하는 난소 적출 수술(ovariectomy)을 실시하여 폐경과 동일한 효과를 유도하였다. 상기 래트를 6군으로 분류하고 혼합조성물을 8 주간 급여하였다.
<실험예 2> 혈액 분석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은 <실험예 1>에서 8주 동안 실험 식이를 실시한 래트의 혈액 중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의 농도를 측정하는 혈액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식이섭취 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래트를 희생시키기 전 하룻밤 절식시킨 후, 에틸 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하고 심장 천자(cardiac puncture)로 혈액을 취해 헤파린(heparin) 처리한 후 진공 채혈관에 채혈을 하고 3000 rpm에서 20 분간 원심분리 후 혈장을 분리하여 혈중 지질 분석에 사용하였다. 혈장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분석 키트(영동제약, Korea)로 546 nm와 500 nm에서 각각 비색 정량하였다. LDL-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Friedwald et al.(1972)의 계산법인 LDL-콜레스테롤 = 총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중성지방/5)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중성 지방 농도,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LDL-콜레스테롤의 비가 낮을수록, HDL-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가 높을수록 고지혈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상기의 혈장 중성 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농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HDL-콜레스테롤 대두단백 첨가군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6 표 7).
혈장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반면, 혈장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 첨가군, 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도 6 표 7).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와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LDL-콜레스테롤의 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LDL-콜레스테롤의 비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도 7 표 7).
따라서,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성분 개선 가장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고지방식이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중성지방 157.6 86 80.1 68.2 76.3 81 68.2
전체 콜레스테롤 142.3 95 97 106.2 101 92 106.2
HDL 콜레스테롤 28.8 55 61.1 72.1 64.3 58 72.1
LDL 콜레스테롤 123.4 72 69.8 62.1 65.2 67 62.1
HDL 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 0.2 0.5 0.6 0.8 0.6 0.5 0.8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2.8 1.0 0.8 0.5 0.7 0.9 0.5
<실험예 3> 현미경을 통한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 관찰
본 발명자들은 8 주간 실험식이를 실시한 래트를 희생시킨 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해 둔 복부 지방조직 세포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는 다음과 같았다.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는 고지방식이군이 가장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2% 마늘 가루 첨가군, 2% 마늘 가루+1% 타우린 첨가군 및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작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부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4> 체중 및 간, 근육 조직, 복부 지방조직의 무게 측정
본 발명자들은 <실험예 1>에서 8주 동안 실험식이를 실시한 래트의 체중, 간, 근육 조직(gastricnemus, psoas), 복부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체중측정은 8주간 매주 1회씩 오전 10-12시 일정시간에 측정하였고 간, 근육 조직, 복부 지방 조직 무게 측정은 간, 근육조직(gastricnemus, psoas)과 복부 지방 조직을 바로 적출하여 생리적 식염수로 혈액을 세척한 후 거름종이로 수분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패키지(ANOVA 사)로 평균과 표준오차를 나타낸 후 측정 결과에 대해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을 실시하여 던칸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검증하였다(p<0.05).
그 결과, 간의 무게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근육조직 무게는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복부 지방조직 무게는 고지방식이군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도 8 표 8). 한편 간세포 내에 중성지방이 쌓여 간이 비대해진 상태를 지방간이라 하는데 고지혈증 등이 지방간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간의 무게가 낮다는 것은 지방간이 아닌 정상적인 간의 상태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혈액 내의 중성지방 함량도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 마늘 가루 + 1% 타우린 + 20% 대두단백 첨가군은 간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복부지방조직 무게를 줄임으로써 복부비만을 예방하며 근육조직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영양을 보충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지방식이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7.7 7.0 6.9 6.3 6.9 7.1 6.3
근육조직 1.8 1.6 1.7 1.8 1.5 1.7 1.8
복부 지방조직 1 0.8 0.7 0.5 0.8 0.8 0.5
이상으로 체중, 식이섭취량, 간, 근육조직(gastricnemus, psoas), 복부 지방조직 무게를 측정하고 혈액 분석(혈중 TG,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현미경을 통한 복부 지방세포 크기 관찰을 실시한 결과 혈중 지질 농도 및 복부 지방세포 크기, 간, 근육조직, 지방조직의 무게의 모든 결과에 있어 2% 마늘 가루+1% 타우린+20% 대두단백 첨가군이 다른 군에 비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생쥐에 대한 경구 또는 복강 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생체 내 급성 독성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군 당 생쥐(C57BL/6 mouse) 6 마리씩 사용하여,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을 최대 10,000 ㎎/㎏의 용량으로 각 용량 단계별로 경구투여하여 2주간 관찰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고 현미경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 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추출물은 생쥐에서 경구투여 또는 복강내 주사시 반치사량(LD50)은 10,000㎎/㎏ 이상으로 전혀 독성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생체 안전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의 조성물 0.5 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의 조성물 0.5 g을 락토오스 17.6 g, 감자전분 18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 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조성물 ············ 0.5 g
락토오스 ·················17.69 g
감자전분 ·················18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젤라틴 용액················10 %
감자전분 ·················16 g
활석 ···················5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0.5 g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1의 조성물 200 ㎎이 함유된 캅셀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 200 mg, 질산치아민 8 g, 리보플라빈 8 g, 염산피리독신 8 g, 니코틴산아미드 24 g, 판토텐산칼슘 16 g, 시아노코빌라민 2.4 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85 g 및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7 g을 혼합하여 캅셀제로 만들었다.
상기 캅셀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조성물 ········· 200 mg
질산치아민 ··········· 8 g
리보플라빈 ·········· 8 g
염산피리독신 ·· ······· 8 g
니코틴산아미드 ······· · 24 g
판토텐산칼슘 ········ 16 g
시아노코빌라민 ······· 2.4 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 0.85 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 0.17 mg
<제제예 3> 정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6의 조성물 ··· ·· 33.3 %
비타민 C ·········· 1.3 %
결정셀룰로오스 ····· ·· 3.0 %
말리톨(Maltitol)·· · ··· 35.0 %
유당 ············· 23.4 %
전분 ····· ······ 3.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 1.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의 제조방법
실시예 6의 조성물 ······ 1g
글루코오스········· ·· 10mg
비타민 C ··········· 8mg
벌꿀 ··········· 10mg
설탕 ··········· 15mg
시트르산 ·········· 10mg
천연향료 ········· 4mg
여기에 증류수를 넣어 총 50ml로 만든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늘, 대두단백 추출물 및 타우린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조성물 및 복부 비만 예방용 조성물은 마늘(Allium sativum L), 대두단백(soy protein) 및 타우린의 생리활성 효과로 인하여 폐경기 이후 노인의 고지혈증 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노화 방지 및 노화로 인한 각종 질환을 개선할 수 있고 체중이나 간, 근육 조직 무게 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고 재료의 획득이 용이한 천연물 성분이므로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 영양 보충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0.1 ~ 20 중량부의 마늘 가루, 10 ~ 50 중량부의 대두단백, 0.1 ~ 2 중량부의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조성물.
  2. 0.1 ~ 20 중량부의 마늘 가루, 10 ~ 50 중량부의 대두단백, 0.1 ~ 2 중량부의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부비만 예방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 5 중량부의 마늘 가루, 10 ~ 30 중량부의 대두단백 및 0.1 ~ 1.8 중량부의 타우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 중량부의 마늘 가루, 20 중량부의 대두단백 및 1 중량부의 타우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 중 중성지방(triglyceride), 전체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전체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복부 지방의 세포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0106556A 2004-12-15 2004-12-15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KR10066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556A KR100667038B1 (ko) 2004-12-15 2004-12-15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556A KR100667038B1 (ko) 2004-12-15 2004-12-15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988A KR20060067988A (ko) 2006-06-20
KR100667038B1 true KR100667038B1 (ko) 2007-01-12

Family

ID=3716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556A KR100667038B1 (ko) 2004-12-15 2004-12-15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2471B2 (en) 2021-11-29 2024-05-28 Amorepacific Corporation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8336A (ja) * 1991-05-15 1992-11-25 Riken Health Kk 抗肥満剤
JPH08208464A (ja) * 1994-12-02 1996-08-13 Taisho Pharmaceut Co Ltd 高脂血症の治療及び予防薬
KR19990087376A (ko) * 1996-02-29 1999-12-27 라르스 헨릭 회이에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8336A (ja) * 1991-05-15 1992-11-25 Riken Health Kk 抗肥満剤
JPH08208464A (ja) * 1994-12-02 1996-08-13 Taisho Pharmaceut Co Ltd 高脂血症の治療及び予防薬
KR19990087376A (ko) * 1996-02-29 1999-12-27 라르스 헨릭 회이에 식품 보충제 또는 혈청 지질 감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2471B2 (en) 2021-11-29 2024-05-28 Amorepacific Corporation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988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dmaev et al. Piperine, an alkaloid derived from black pepper increases serum response of beta-carotene during 14-days of oral beta-carotene supplementation
US7744930B2 (e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enhancing weight loss while inhibiting loss of lean body mass
KR100591045B1 (ko) 당뇨병용 조성물
US7786175B2 (en) Anti-atherosclerosis composition containing carotenoids and method for inhibiting LDL oxidation
KR20180075504A (ko) 플라보노이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US20100190708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body lipid
US2019004651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mitochondrial toxicity
EP2648741B1 (en) Cardio-protective agents from kiwifruits
JP2009525990A (ja) 医薬組成物
KR20100015595A (ko) 하이드록시타이로솔 및 이를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농축물의 신규한 용도
KR101488612B1 (ko) 흑색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0096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45991B1 (ko) 거품세포 형성 억제 및 혈관 병변형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67038B1 (ko)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마늘, 대두단백 및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
JPWO2005082390A1 (ja) 脂肪蓄積抑制剤
KR101895972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016330A (ja) 脂肪燃焼促進剤
KR20110121239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441643B (zh) 調整血脂及保護心血管之組合物
JP5706142B2 (ja) フユボダイジュ花のエタノール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グルコース低下剤、内臓脂肪蓄積抑制剤、tg低下剤、糞中脂肪排泄促進剤
JP2003169633A (ja) 血圧降下、心臓強化、動脈硬化防止、血管保護、抗疲労、運動機能向上、エネルギー代謝効率向上、抗酸化などの諸効果を有する栄養補助食品。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49344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iron deficiency anaemia
EP4338731A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muscle m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