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765A -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 - Google Patents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765A
KR19990076765A KR1019980704888A KR19980704888A KR19990076765A KR 19990076765 A KR19990076765 A KR 19990076765A KR 1019980704888 A KR1019980704888 A KR 1019980704888A KR 19980704888 A KR19980704888 A KR 19980704888A KR 19990076765 A KR19990076765 A KR 19990076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lture substrate
medium
layer
solu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436B1 (ko
Inventor
마사시 우시야마
Original Assignee
고토 기치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토 기치, 칫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토 기치
Publication of KR1999007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14Scaffolds; Matr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05Test p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수용성 중합체 층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 및 이를 사용하는 배지. 이러한 배지는 액체 시료의 검사, 식품 검사, 환경 검사, 직접 접촉에 의한 검사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미생물 검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이 곡면이거나 다소의 요철이 있더라도, 직접 접촉에 의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
종래의 미생물 배양 방법을 식품 검사에서의 총 생균수의 측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우선, 분말 한천 배지를 용해, 멸균한 후, 약 45℃의 온도로 유지하여 둔다. 이 한천 배지의 일정량을, 미리 식품의 현탁액 등의 시료의 일정량을 넣은 멸균한 페트리 디시(Petri dish) 등에 분주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한 후, 한천을 고화시키고, 일정 온도로 배양 후, 생긴 미생물의 콜로니 수를 계수한다. 따라서, 종래의 미생물 배양 방법은, 미리 배지를 조제, 멸균한 후, 배지가 고화되지 않는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을 보다 많이 필요로 한다. 또한, 통상, 다수의 플라스틱제 페트리 디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양 후, 다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한다. 세균 검사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고와 시간이 걸리는 배지의 조제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경 검사는, 통상, 검사 대상의 일정 면적을 면봉 등으로 닦아내고, 이 면봉 등을 멸균수 또는 생리 식염수 속에서 세척하여, 면봉 등에 부착한 균체를 멸균수 또는 생리 식염수 중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수를 미리 제조하여 둔 한천 배지에 도포시키거나 상기의 방법과 같이 한천 배지에 혼합하여 섞이게 하여 배양한 후, 균체수를 측정하여 검사한다.
이러한 여러가지의 목적에 맞추어, 사용하기 쉽도록 만들어진 여러 가지 타입의 간이 배지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시판되는 간이 배지를 편의적으로 분류하면 스탬프 타입(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117299호), 필터 타입, 필름 타입(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2-497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15379호), 시험지 타입 등으로 나누어진다.
스탬프 타입은 플라스틱 용기에 한천 배지를 쌓아 올린 상태로 분주한 배지로, 한천 배지면를 직접 검사 대상에 접촉시켜 미생물을 배지에 부착시켜 배양을 하여 검사하는 것이다. 이 배지는, 환경의 미생물 오염을 간편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기 쉬운 것이지만, 배지 면적이 작기 때문에 정량성이 모자라고, 곡면 또는 요철이 있는 검사 대상의 검사는 곤란하다. 또한, 배지를 직접 검사 대상에 접촉시키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식품 검사 등에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결점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배양 후, 다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생기는 점에 관해서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필터 타입은 액체 시료의 검사에는 적합하지만, 액체 이외의 시료의 검사는 어렵다. 시험지 타입은 정량성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다. 필름 타입은 식품의 검사에는 정량성도 있고, 사용하기 쉽지만, 환경 등의 검사를 할 때에는, 스탬프 타입과 같이 검사 대상에 직접 접촉시켜 검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와 같이 시판되는 여러 가지 타입의 간이 배지는, 한 종류의 간이 배지로 식품 검사, 액체 시료의 검사, 검사 대상에의 직접 접촉에 의한 검사 등의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또는 환경 중의 미생물을 간편히 배양 검출하기 위한 배지 및 이러한 배지에 사용되는 배양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 검사, 액체 시료의 검사, 검사 대상에의 직접 접촉에 의한 검사 등 많은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이 배지 및 이러한 배지에 사용되는 배양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 현탁액 또는 환경의 오염물 현탁수를 피험시료로서 사용하여, 식품이나 환경 중의 미생물을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배지 및 이에 사용되는 배양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멸균수를 가하여 습도화하여 직접 검사 대상에 접촉시켜, 피험시료 중의 미생물을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배지 및 이에 사용되는 배양 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분 보존력을 갖고, 함수량이 50중량% 이하이고, 50℃ 이하의 물에 불용성인 미생물 배양 기재 및 이를 사용하는 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이나 환경 속 등의 미생물을 간편하게 배양 검출하기 위한 배지 및 이러한 배지에 사용되는 배양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배지는 수분을 가함으로써 미생물을 생육할 수 있는 배지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의 구체예의 평면, 단면 및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의 구체예의 평면, 단면 및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의 다른 구체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지지체, 2는 흡수성 층, 3은 미생물의 콜로니, 4는 수용성 중합체 층, 5는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 있어서의 생육균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4의 배지와 데옥시콜레이트 배지에 있어서의 생육 대장균군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5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 있어서의 생육균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9의 배지와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에 있어서의 생육균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0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 있어서의 생육균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는, 수분 보존력을 가지며, 함수량이 50중량% 이하이고, 50℃ 이하의 물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다. 여기서, 「수분 보존력을 가진다」란, 이 미생물 배양 기재의 10㎠ 당 0.2 내지 1.5㎖의 물(영양 성분을 포함한다)을 가할때, 최적 생육 온도에서 5시간 이내에, 운동성을 갖는 미생물이 이동하여 배양 기재 표면상에서 이동하는 것 및 표면에서 내층부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이 배양 기재 표면상에서 하나의 미생물이 단일의 콜로니를 형성하는 정도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운동성을 갖는 미생물이 분열을 개시하기 전에, 수분이 배양 기재의 구성 재료로 유지되거나, 고점도 용액이 되어 미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수분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분 보존력을 가짐에 의해서, 운동성을 갖는 미생물이 배양 기재의 표면 및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고, 또한 시료를 첨가하였을 때에 배양 기재 표면에 분산시킨 미생물이 배양 기재 표면에 주로 콜로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50℃ 이하의 물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란, 이러한 배양 기재에 50℃ 이하의 물을 가할 경우, 또는 물을 가하여 50℃ 이하로 유지하였을 때, 30분 이상 동안은 원래의 배양 기재의 형상을 거의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배양 기재의 구성 성분(후술하는 흡수성 재료, 수용성 중합체 등)이 물이 흡수됨에 따라 팽윤되거나 용해되더라도, 원래의 배양 기재의 형상을 거의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배양 기재는 「50℃ 이하의 물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배양 기재에서는, 그 표면에 수분을 첨가하면, 수분은 흡수성 재료에 흡수되고(경우에 따라, 이것을 팽윤시키고), 원래의 배양 기재의 형상은 수분의 흡수에 의해 두께가 두꺼워지지만, 거의 유지된다. 또한, 후술하는 다공질 매트릭스 층과 수용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배양 기재에, 수분을 다공질 매트릭스 층측에서 첨가하면, 수분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킴과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확산시켜 수용성 중합체 층에 도달하여, 수용성 중합체를 용해시키고, 수용성 중합체 용액은 다공질 매트릭스 중에 침투하여, 양층은 외관상 일체화된다. 이 때,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원래의 형상은 거의 유지된다. 이러한 배양 기재도 「50℃ 이하의 물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양 기재를 50℃ 이하의 물에 실질적으로 불용성으로 함으로써, 직접 검사 대상의 도말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같이,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배양 기재의 함수량은 50중량% 이하이다. 보존성을 고려하면, 함수량은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함수량은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하한치는 배양 기재의 구성 재료, 보존 방법에 의해서 변동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에 의하면, 수 흡수성(또는 수 팽윤성)이고 수 불용성이며, 물을 흡수하거나 물에 의해 팽윤될 때 조차도 실질적으로 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시트상 재료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의하면, 수용성 중합체 층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흡수성 재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 흡수성(또는 수 팽윤성)이고 수 불용성이며, 물을 흡수하거나 물에 의해 팽윤될 때에, 실질적으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시트 재료(이하 「흡수성 재료」라고 한다)로서는, 이하의 재료를 들 수 있다.
(1) 수용성 중합체의 가교물,
(2) 전분계 흡수성 중합체,
(3) 셀룰로스계 흡수성 중합체,
(4) 아크릴계 흡수성 중합체,
(5) 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6) 비닐피롤리돈계 공중합체,
(7) 폴리에테르계 흡수성 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가교 중합체),
(8) 아크릴 섬유 가수분해물 또는
(9) 기타의 흡수성 중합체.
이러한 재료는 모두 공지되었고, 이들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문헌[참조: 「기능 재료」 13권 5호(1993년 5월) 43 내지 50페이지; 「공업 재료」 42권 4호(1994년 4월) 18 내지 52페이지; 교리츠(共立) 출판 발행, 고분자학회편, 마스다 후사요시 저 「고흡수성 중합체」]에 기재되어 있다.
(1)의 수용성 중합체의 가교물을 제조하기 위한 수용성 중합체로서는, 폴리비닐 알콜(PVA)(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0 내지 200,000, 비누화도 75 내지 99%의 것); 변성 PVA(비닐 아세테이트의 중합시에, 불포화 디카복실산[예를 들면,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타콘산, 아릴 말론산, 이들의 무수물, 또는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을 공중합한 것(중합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1-42002호 참조), PVA에 환상 산 무수물을 반응시킨 것, PVA를 염기성 치환기로 변성시킨 것(예: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주)제, 「고세파이머 C 시리즈」, 「고세파이머 F 시리즈」, 「고세파이머 L 시리즈」); 셀룰로스 유도체(예: 카복시메틸 셀룰로스(CMC),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스(예: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전분 및 이의 유도체(예를 들면, 가용성 전분, 카복시메틸화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전분 및 이의 유도체 이외의 다당류(예: 히알루론산, 구아 검, 아라비아 검);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예: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염, 아크릴산(염)-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단백질(예: 콜라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중합체의 가교물을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로서는, 글리옥살 등의 디알데히드류, 트리메틸올멜라닌 등의 메틸올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에폭시 화합물, 디페닐메탄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유기산 금속염, 금속 알콕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카복실산 무수물 등의 카복실산 무수물, 보란, 붕산, 인원자 함유 화합물, 광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2)의 전분계 흡수성 중합체로서는,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물, 전분-아크릴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스티렌설폰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비닐설폰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아미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3)의 셀룰로스계 흡수성 중합체로서는, 셀룰로스-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셀룰로스-스티렌설폰산 그라프트 공중합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가교물 등을 들 수 있다.
(4)의 아크릴계 흡수성 중합체로서는, 나트륨 아크릴레이트-비닐알콜 공중합체(메틸 아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하이드록시알킬(예를 들면, 메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중합체 층을 형성하는 수용성 중합체로서는, PVA(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만 내지 20만, 비누화도 75 내지 90%의 것); 변성 PVA(비닐 아세테이트의 중합시에, 불포화 디카복실산[예: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타콘산, 아릴 말론산, 이들의 무수물, 또는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을 공중합한 것(중합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1-42002호 참조), PVA에 환상 산 무수물을 반응시킨 것, PVA를 염기성 치환기로 변성시킨 것(예를 들면,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주)제, 「고세파이머 C 시리즈」, 「고세파이머 F 시리즈」, 「고세파이머 L 시리즈」); 셀룰로스 유도체(예: 카복시메틸 셀룰로스(CMC),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스(예: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전분 및 이의 유도체(예: 가용성 전분, 카복시메틸화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전분 및 이의 유도체 이외의 다당류(예: 히알루론산, 구아 검, 아라비아 검);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예: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염, 아크릴산(염)-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단백질(예: 콜라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중합체 층을 구성하는 수용성 중합체의 점도는, 오스트발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20℃에서 4중량% 수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10cp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cps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하면, 미생물이 배지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분열을 개시한 미생물이 배지 표면를 이동하는 일 없이, 주로 이의 표면에 콜로니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의 계수가 용이하다.
다공질 매트릭스 층 형성 재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특히, 친수화 처리한 것),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올레핀(특히, 친수화 처리한 것), 폴리우레탄 등], 반합성 섬유(예를 들면, 레이욘 등), 천연 섬유(예를 들면, 셀룰로스, 면, 비단, 양모(수모(獸毛) 등), 무기 섬유(예를 들면, 유리 섬유 등) 등으로 형성된 편직포, 부직포; 이러한 섬유의 구성 소재로 만들어진 다공질 필름, 스폰지; 다공질 세라믹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미생물 배양 기재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는, 단독의 구성 성분 또는 복수의 구성 성분이 혼합되거나 복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단독의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배양 기재는, 예를 들면, 적당한 지지체(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 위에, 구성 성분(흡수성 중합체)을 현탁시킨 현탁액을 도포하고,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미생물의 영양 성분을 도포액 중에 함유시켜 놓으면,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중합체와 수용성 중합체를 혼합하여 시트 또는 필름으로 성형시켜도 좋고, 적당한 시트 또는 필름 위에 흡수성 중합체를 가교시켜 성형해도 좋고, 또한, 적당한 섬유 재료에 흡수성 중합체를 가교시키고, 이어서 시트화해도 좋고, 또는 흡수성 중합체를 섬유상으로 성형한 후, 섬유상을 시트화해도 좋다.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위의 수용성 중합체 층(필름상 또는 시트상 생성물)의 구성 성분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섬유 등)의 구성 성분을 혼합한 후, 필름 또는 시트로 성형하는 방법,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구성 성분인 섬유 또는 부직포, 편직포 등의 섬유 가공품을 위의 수용성 중합체 층의 구성 성분의 용액에 함침시켜 건조시키는 방법, 위의 수용성 중합체 층의 구성 성분의 용액에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구성 성분인 섬유 또는 섬유 가공품을 중복시켜 건조시키는 방법, 또는 위의 수용성 중합체 층의 구성 성분으로 제조한 필름 또는 시트에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구성 성분인 섬유 또는 섬유 가공품을 접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섬유 가공품과 위의 수용성 중합체 층의 구성 성분으로 제조한 필름 또는 시트를 적층시켜 미생물 배양 기재를 제조하면, 수득되는 미생물 배양 기재의 강도가 높아지고, 당해 기재를 배지로서 사용하면 검사 대상에 직접 접촉하여 검사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의, 수분을 가하기 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간 절약성, 발생한 콜로니의 계수의 편의를 고려하면, 4㎜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배양 기재의 물과의 친화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실용적으로는 10㎛ 이상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는, 영양 성분을 함유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배지로 되고, 이것에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첨가함에 따라 미생물 배양에 사용가능한 배지가 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는, 통상 평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정방형, 직사각형, 삼각형, 이외의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일 수 있지만, 제조상, 사용상의 관점에서, 원형, 정방형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판상의 경우, 검사 대상과 직접 접촉시키는 부분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6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3000㎟이다.
본 발명의 배양 기재 및 배지의 제1 실시 양태의 구체예의 평면, 단면 및 사용 양태를 도 1에 도시한다. 이의 구체예로서는, 지지체(1)에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층(2)이 설치되어 있다. 피험시료를 흡수성 층(2)의 표면에 적하하거나, 흡수성 층(2)의 표면에 피험시료를 직접 도말하거나 또는 흡수성 층(2)의 표면을 피험시료에 직접 접촉시킴에 의해, 미생물을 흡수성 층(2)의 표면에 부착시켜 배양을 한다. 수분은 흡수성 층(2)의 내부로 침투하지만, 미생물은 내부로 침입할 수 없고, 이의 표면에 잔존하여 흡수성 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 성분을 섭취하며 표면에서 생육하여 콜로니(3)를 형성한다.
흡수성 층(2)의 평균 두께는 0.01 내지 4㎜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이다.
지지체(1)는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용하는 경우, 이의 두께는 0.03 내지 2㎜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2㎜이다.
본 발명의 배양 기재 및 배지의 제2 실시 양태의 구체예의 평면, 단면 및 사용 양태를 도 2에 도시한다. 이의 구체예로서는, 지지체(1)에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중합체 층(4) 및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이 적층되어 있다. 피험시료를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에 적하하거나,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에 피험시료를 직접 도말하거나, 또는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을 피험시료에 직접 접촉시킴에 따라, 미생물을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에 부착시켜 배양을 한다. 수분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내부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확산시켜 수용성 중합체 층(4)에 도달하고, 수용성 중합체 및 영양 성분을 용해시킨다. 용해시킨 수용성 중합체 및 영양 성분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내부로 서서히 침입하고, 수용성 중합체 용액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은 외관상 일체화한다. 이 때,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에 부착시킨 미생물의 일부는 수분과 함께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내부로 이동하지만, 수용성 중합체 용액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수용성 중합체 용액의 상단부가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에 도달하면, 미생물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표면에서 생육하여 콜로니(3)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따르는, 수용성 중합체 층(4)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 층(4)의 평균 두께는 0.01 내지 3㎜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이고,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평균 두께는, 0.2 내지 4㎜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2.5㎜이다. 수용성 중합체 층(4)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의 평균 두께는 0.2 내지 4㎜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5㎜이다.
지지체(1)는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용하는 경우, 이의 두께는 0.03 내지 2㎜ 정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2㎜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의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수분 보존량은, 바람직하게는 15m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mg/㎠이다. 또한,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면적당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g/㎡이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50kg/㎥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의 수용성 중합체 층(4)의 면적당 중량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면적당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0.5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성 중합체 층(4)에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침입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용성 중합체 층(4)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5)이 겹치는 부분은 매트릭스 층의 두께의 90% 이하인 것이 적당하다.
지지체(보강층) 또는 보강재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는, 또한 지지체(보강층) 또는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보강층) 또는 보강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수 불용성의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올레핀 등)로부터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 등이 적당하다. 이러한 지지체(보강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2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2㎜ 정도가 적당하다. 제2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보강층)(1)는 다공질 매트릭스 층(5)과 직면하는 수용성 중합체 층(4)의 한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는 상기 재료로 구성된 고형물을 미생물 배양 기재에 접착, 흡착 또는 부착 등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미생물 배지에, 보강층으로서 고형물을 접착, 흡착 또는 부착 등을 행하여 보강한 미생물 배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미생물 배양 기재의 1종 이상의 구성 성분(흡수성 재료, 수용성 중합체 및 다공질 매트릭스 재료)과 보강재를 혼합 등을 행한 후, 성형하여 보강된 미생물 배양 기재 또는 미생물 배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 또는 미생물 배지에는 플라스틱 등의 필름 등의 보호 커버를 설치하더라도 무방하다.
미생물 배지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에 1종 이상의 영양 성분을 함유시키면,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가 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미생물 배지의 함수량은 50중량% 이하이지만, 보존성면에서 함수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는 수분 및 영양 성분을 가함에 따라, 미생물을 생육할 수 있는 배지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는 건조 배지이고, 수분을 가함에 의해, 미생물을 생육할 수 있는 배지가 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는 상기의 미생물 배양 기재에 미생물을 생육하는 데 필요한 영양 성분을 함침, 부착 또는 흡착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한다. 또는, 미생물 배양 기재의 1종 이상의 구성 성분(흡수성 재료, 수용성 중합체 및 다공질 매트릭스 재료)과 영양 성분을 혼합 후, 소정의 형상(필름상, 시트상, 섬유상, 편직포상 등)으로 성형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배양 기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공질 매트릭스 층과 수용성 중합체 층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양 기재 또는 미생물 배지에 피험액를 첨가하는 경우, 피험액를 이의 양 쪽 중 어느 한 쪽에 첨가해도 좋지만, 다공질 매트릭스 층측으로부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피험액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내를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확산시켜 수용성 중합체 층에 도달하고, 수용성 중합체를 용해시키고, 용액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 중에 침입한다. 이러한 용액의 점도는 높고, 미생물의 이동(용액 내부로의 이동)을 유효하게 방해한다. 수용성 중합체 층이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는, 수용성 중합체 층으로부터 영양 성분이 방출되어 미생물의 생육 분열이 개시된다.
피험액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미생물 배양 기재 또는 미생물 배지에 첨가되었을 때, 다공질 매트릭스 층 전체에 분포하지만, 수용성 중합체가 서서히 용해하기 때문에 수용성 중합체 층 내부까지는 침입하지 않고, 수용성 중합체가 서서히 용해하여 다공질 매트릭스 층과 일체화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은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표면으로 압상되고(도 2 참조),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표면에 콜로니를 형성시켜 콜로니의 계측이 용이하게 된다. 콜로니가 다공질 매트릭스 층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여과지를 사용한 배지와 같이 콜로니가 여과지층 내부에 형성되어 미생물의 계수가 불가능하거나 부정확하게 되는 일은 없다.
배지의 영양 성분
본 발명의 배지에 사용되는 영양 성분은 배양하는 미생물에 알맞은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 사용되는 액체 배지 또는 한천 배지로부터 한천을 제외한 배지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영양 성분의 예로서는, 일반 생균 검사용으로서, 효모 엑스·펩톤·포도당 혼합물, 육즙·펩톤 혼합물, 펩톤·대두 펩톤·포도당 혼합물 등 또는 이들에 인산1수소칼륨 및/또는 염화나트륨을 가한 것 등이 있고, 대장균·대장균군 검사용으로서는, 나트륨 데옥시콜레이트·펩톤·암모늄 철 시트레이트·염화나트륨·인산1수소칼륨·락토스·뉴트럴 레드 혼합물, 펩톤·락토스·인산1수소칼륨·에오신 Y·메틸렌 블루 혼합물 또는, β-글루크로니다제 및/또는 β-갈락토시다제의 형광 및/또는 발색 기질을 가한 펩톤·락토스·염화나트륨·담즙산 염 혼합물 및 인산수소칼륨·트립토판 혼합물 등의 대장균·대장균군이 생육할 수 있는 영양 성분 혼합물 등이 있고, 포도상구균 검사용으로서는, 육즙·펩톤·염화나트륨·만니톨·페놀 레드·난황 혼합물, 펩톤·육즙·효모 엑스·나트륨 피루베이트·글리신·염화리튬·아텔루르산 난황액 혼합물 등이 있으며, 비브리오균 검사용으로서는, 효모 엑스·펩톤·슈크로스·티오황산나트륨·나트륨 시트레이트·나트륨 콜레이트·철(II) 시트레이트·염화나트륨·소담즙·브로모티몰 블루·티몰 블루 혼합물 등이 있고, 장구균 검사용으로서는, 소 뇌 엑스·하트 엑스·펩톤·포도당·인산1수소칼륨·질화나트륨·브로모티몰 블루·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혼합물 등이 있으며, 진균 검사용으로서는 펩톤·포도당 혼합물, 감자 엑스·포도당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배지에 발생한 콜로니를 보이기 쉽게 하기 위한 염료, 특정한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발색 또는 형광 효소 기질, 또는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미생물 이외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을 가할 수 있다.
영양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미생물 배양 기재에 영양 성분을 함침시키거나 첨가함으로써 미생물 배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기재에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수분을 첨가하여 배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미생물 배지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균질기(homogenizer) 등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 등의 현탁액 또는 환경의 오염수 등을 적절히 희석하여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에 가한다. 이러한 미생물 배지를 봉지에 넣거나, 페트리 디시에 넣거나, 플라스틱과 같은 필름 사이에 샌드위치시키는 등,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처치를 시행하고 미생물을 생육시킨다.
또한, 직접 접촉시켜 검사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에 멸균수를 가하여, 습도화한 후, 검사 대상에 직접 접촉시킨다. 그 다음, 이러한 미생물 배지를 봉지에 넣거나, 페트리 디시에 넣거나, 플라스틱과 같은 필름 사이에 샌드위치시키는 등,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처치를 시행하고, 미생물을 생육시킨다.
당해 미생물 배지를 플라스틱과 같은 필름 사이에 샌드위치시켜 배양하는 경우는, 미리 한쪽의 필름에 배지를 부착시키거나 접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생물 배지는 통상의 식품이나 환경의 검사 이외에 검사 대상에 직접 접촉시키는 검사도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1L에, 폴리비닐 알콜(중합도 1800, 비누화도 88%) 80g, 육즙 2g, 펩톤 6g, 염화나트륨 2g, 인산1수소칼륨 2g,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10mg을 가하여 가열 용해후, 20㎛ 두께 1×1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서 건조시켜 필름화하고,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작한다. 당해 폴리비닐 알콜 필름에, 1중량% 펩톤수에 침지시킨 후 짜낸 나일론 멜트-블론(melt-blown) 부직포(90g/㎡)를 맞대어서 건조시킨다. 이것을 45㎜ 평방으로 절단하고, 100㎛ 두께 70×8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접착시키고,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하고 배지를 제조한다.
다음에, 식용육, 커트 야채, 부식물(반찬) 등의 각종 식품 10g을 멸균 완료된 봉지에 넣고, 100ml의 멸균수를 가하여 스토마커로 균질화한다. 멸균수로서 이의 10배 희석액을 제조하고, 희석시킨 용액 1ml를 위와 같이 수득한 배지에 가한 후, 0.04㎜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덮고, 35℃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동시에 희석한 용액 1㎖를 멸균완료된 페트리 디쉬에 가하고, 이것에 멸균후 4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 배지를 가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하고,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생육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서의 생육균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물 1L에, 폴리비닐 알콜(중합도 2000, 비누화도 80%) 90g, 펩톤 8.5g, 대두 펩톤 1.5g, 염화나트륨 2.5g, 포도당 1.25g, 인산1수소칼륨 1.25g을 가하여 가열 용해 후, 1중량%의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의 에탄올 용액을 1ml 가하여 혼합하고, 1×1m 20μL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으로 중층하여 건조 필름화한 후, 물을 함침시킨 친수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혼합 부직포(80g/㎡)를 중층하여 건조 후, 45㎜ 평방으로 절단하고, 0.1㎜ 두께 60㎜ 평방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중앙에 접착하고,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하여 배지를 제조한다. 당해 배지에 멸균수 1ml를 가하고, 당해 배양 기재에 물을 침투시킨다. 손가락 등 검사 대상물에 당해 배양 기재를 접촉시킨 후, 0.05㎜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피복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미생물이 생육되는 영역은 적색을 보였다.
실시예 3
멸균 면봉으로 피험체(도마, 작업대, 바닥 등)의 100㎠의 범위를 닦아내고, 닦은 균을 2ml의 멸균수에 현탁시킨 후, 현탁액으로부터 10배 희석된 액체 계열을 멸균수로 제작하고, 희석한 용액 1ml를 실시예 2에 준거하여 제조한 배지에 가하고, 0.08㎜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피복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동시에 희석수 1ml를 멸균완료된 페트리 디시에 가하고, 멸균 후 4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 배지를 가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하고,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생육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서의 생육균수는, 실시예 1과 같이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물 1.5L에, 폴리비닐 알콜(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 75g, 나트륨 데옥시콜레이트 0.5g, 펩톤 5g, 암모늄 철 시트레이트 1g, 염화나트륨 2.5g, 인산1수소칼륨 1g, 락토스 5g, 뉴트럴 레드 0.0165g을 가하여 가열 용해시킨 후, 20㎛ 두께 1×1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서 건조, 필름화하여,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작한다. 당해 폴리비닐 알콜 필름에, 물에 침지시킨 후 짜낸 레이욘 부직포(80g/㎡)를 맞대어 건조한다. 이것을 직경 50㎜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70×80㎜의 폴리에틸렌 피복지에 접착시키고,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하여 대장균군용 배지를 제조한다.
식용육, 커트 야채, 부식물 등의 각종 식품 10g을 멸균완료된 봉지에 넣어, 100ml의 멸균수를 가하여 스토마커로 균질화한다. 이것의 10배 희석액을 멸균수로서 제조하고, 희석한 용액 1㎖를 대장균군용 배지에 가한 후, 0.04㎜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덮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동시에 희석한 용액 1㎖를 멸균완료된 페트리 디시에 가하고, 멸균 후 45℃로 유지시킨 데옥시콜레이트 배지를 가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고, 적색 혼탁 콜로니 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데옥시콜레이트 배지에서의 생육 대장균군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카복실 변성 폴리비닐 알콜(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주)제 아쿠어리저브 GP-01)(「공업재료」42권, 31 내지 35페이지(1994), 특허 제1495223호, 특허 제1633875호) 85g, 육즙 2.5g, 펩톤 7.5g, 염화나트륨 2.5g, 인산1수소칼륨 2.5g을 물 1.5L에 가하여 제조한 수 현탁액을 균질화한 후, 카복실 변성 폴리비닐 알콜이 85g/m2이 되도록 필름상으로 건조시키고 직경 50㎜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미생물 배지를 제조한다. 이러한 미생물 배지에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한다.
고기, 커트 야채, 부식물 등의 각종 식품 10g을 멸균완료된 봉지에 넣고, 식품의 10배량의 멸균수를 가하여 스토마커로 균질화한다. 멸균수로서 10배 희석액을 제조하고, 이러한 희석액 1ml를 멸균완료된 페트리 디시에 넣은 미생물 배지에 가한 후, 0.03㎜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러한 미생물 배지를 덮고,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한다. 동시에, 상기와 같은 희석액 1ml를 멸균완료된 패트리 디쉬에 가하고, 멸균 후 4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 배지를 가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하고,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생육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서의 생육균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물 1L에, 폴리비닐 알콜(중합도 2400, 비누화도 88%) 60g, 펩톤 8.5g, 대두 펩톤 1.5g, 염화나트륨 2.5g, 포도당 1.25g, 인산1수소칼륨 1.25g을 가열 용해한다. 이 혼합 수용액을 폴리비닐 알콜이 60g/m2이 되도록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중층한 후, 레이욘 폴리에스테르 혼합 부직포(80g/㎡)를 중층, 건조한 후, 45㎜ 평방으로 절단하여 미생물 배지를 제조하고, 0.1㎜ 두께 60㎜ 평방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중앙에 이 미생물 배지를 접착시킨다. 이러한 미생물 배지에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한다. 에탄올 용액중의 1중량%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의 1000분의 1을 가한 멸균수 1ml를 이의 미생물 배지에 가하고 물을 침투시킨다. 손가락 등의 검사 대상물에 미생물 배지의 섬유층측을 접촉시킨 후, 이의 미생물 배지에 0.05㎜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피복시켜 35℃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미생물의 콜로니는 적색을 나타낸다. 이 배지를 사용하면, 섬유층 표면에 콜로니가 형성되어 계측이 용이하다.
실시예 7
물 1.5L에, 폴리비닐 알콜(중합도 1700, 비누화도 88%), 전분 아크릴산 그라프트계 흡수성 중합체(산요가세이고교(주)제 삼푸렛슈 ST100MPS), 육즙, 펩톤, 염화나트륨, 인산1수소칼륨(6:2:1:3:1:1(중량비))을 가열 용해한다. 이 수용액을 폴리비닐 알콜이 75g/m2이 되도록 레이욘 부직포(80g/㎡)에 함침시킨 후 건조하여 45㎜ 평방으로 절단하여 미생물 배지를 제조한다. 이 미생물 배지에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한다. 멸균 면봉으로 피험체(도마, 작업대, 바닥 등)의 100㎠의 범위를 닦고, 1ml의 멸균수에 현탁시킨 후, 멸균수로서 10배 희석액 계열을 제조하여, 이의 1ml를 미생물 배지를 넣은 0.04㎜ 두께 폴리에틸렌제 봉지에 가하고, 봉지를 밀봉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동시에 1ml를 멸균완료된 페트리 디시에 가하여, 멸균 후 4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 배지를 가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하고,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생육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서의 생육균수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배지를 사용하면, 콜로니의 분산성이 좋고, 섬유층 표면에 콜로니가 형성되어 계측이 용이하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레이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대신에 친수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70g/㎡)를 사용하여 배지를 제조한다. 실시예 6에 준거하여, 손가락 등의 검사를 한 바, 실시예 6과 같은 결과를 수득한다.
실시예 9
(주)닛폰쇼쿠바이제 흡수성 중합체 시트 D-420(전분-폴리아크릴산 복합가교계 중합체)에 시트 1㎡당 2g의 감자 엑스와 10g의 포도당을 수용액으로서 함침 시킨후, 건조한다. 직경 50㎜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0.3㎜ 두께 80㎜ 평방의 폴리에틸렌 피복지의 중앙에 접착시켜 진균 검사용 미생물 배지를 제조한다. 이 진균 검사용 미생물 배지에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한다. 멸균 면봉으로 작업대, 바닥 등의 10×20cm의 범위를 닦고, 2ml의 멸균수에 현탁시킨 후, 멸균수로서 10배 희석액 계열을 제조하고, 이의 1㎖를 제조한 진균 검사용 미생물 배지에 가하여 25℃에서 5일간 배양한다. 0.2ml를 미리 제조하여 둔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에 도포하고, 25℃에서 5 내지 7일간 배양하여 생육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에서의 생육균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물 1L에 폴리비닐 알콜(비누화도 88%, 중합도 1800) 90g, 육즙 2.4g, 펩톤 7.2g, 염화나트륨 2.4g, 인산1수소칼륨 2.4g,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 10mg을 가하여 가열 용해한 후, 20㎛ 두께 1×1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서 건조, 필름화하여,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작한다. 면적당의 중량 95g/m2, 평균 섬유 직경 2.5㎛, 두께 1㎜의 나일론 멜트-블론 부직포를 3중량% 펩톤수에 침지시킨 후 짜내고, 폴리비닐 알콜 필름에 맞대어 건조한 후, 지름 50㎜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미생물 배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미생물 배지를, 100㎛ 두께, 70×8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접착시킨 후,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을 수행한다.
식용육, 커트 야채, 부식물 등의 각종 식품 10g을 멸균완료된 봉지에 넣고, 100ml의 멸균수를 가하여 스토마커로 균질화한다. 멸균수로서, 10배 희석액 계열을 제조하고, 희석액 1ml를 미생물 배지에 가한 후, 멸균한 0.04㎜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피복시키고, 35℃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동시에 희석액 1ml를 멸균완료된 페트리 디시에 가하고, 멸균 후 4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 배지를 가하여 혼합하여 섞이게 하고,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생육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본 발명의 배지와 표준 한천 배지에서의 생육균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배지를 사용하면 콜로니의 분산성이 좋고, 섬유층 표면에 콜로니가 형성되어 계측이 용이하다.
실시예 11
(주)닛폰쇼쿠바이제의 흡수성 중합체 시트 D-420을 직경 50㎜의 원형으로 절단하고, 0.3㎜ 두께, 80㎜ 평방의 폴리에틸렌 피복지의 중앙에 접착시킨 후,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로 멸균하여 배양 기재를 제조한다. 2g의 감자 엑스와 10g의 포도당을 물 1L에 용해시키고, 오토클레이브 멸균한 용액을 1ml 첨가 후, 세정한 도마 등을 직접 닦고(도말하고), 멸균한 0.04㎜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피복시켜 25℃에서 배양한다. 약 20%의 배지에서 곰팡이의 생육이 확인되었다. 즉, 피험시료의 약 20%에 곰팡이가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배양 기재를 사용한 배지는 하나의 타입으로 액체 시료의 검사, 식품 검사, 환경 검사, 직접 접촉에 의한 검사 등, 거의 모든 용도로 사용가능하고, 이러한 배지를 사용하면, 미생물 검사를 간편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지를 사용하면, 검사 대상이 곡면이거나 다소의 요철이 있더라도, 직접 접촉에 의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지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배양시에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지지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의 폐기물도 통상의 미생물 검사의 경우와 비교하여 대폭 감소한다. 또한, 다공질 매트릭스 층과 수용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 또는 미생물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검사면을 직접 도말하는 검사를 할 수 있고, 또한, 콜로니가 배지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하기 쉬워 콜로니의 계수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13)

  1. 수분 보존력을 갖고, 함수량이 50중량% 이하이며, 50℃ 이하의 물에 불용성인 미생물 배양 기재.
  2. 제1항에 있어서, 수 흡수성(또는 수 팽윤성)인 동시에 수 불용성이고, 물을 흡수하거나 물에 의해 팽윤될 때, 실질적으로 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시트상 재료를 포함하는 층(흡수성 층)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양 기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 흡수성(또는 수 팽윤성)인 동시에 수 불용성이고, 물을 흡수하거나 물에 의해 팽윤될 때, 실질적으로 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시트상 재료가, 수용성 중합체의 가교물, 전분계 흡수성 중합체, 셀룰로스계 흡수성 중합체, 아크릴계 흡수성 중합체, 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공중합체, 폴리에테르계 흡수성 중합체, 아크릴 섬유 가수분해물 및 기타의 흡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
  4.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가, 폴리비닐 알콜(PVA), 변성 PVA, 셀룰로스 유도체, 전분 및 이의 유도체, 셀룰로스 유도체 및 전분 이외의 다당류,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 폴리에테르 및 단백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 배양 기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두께가 0.01 내지 4㎜인 미생물 배양 기재.
  6.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 층과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
  7. 제6항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의 4중량% 수용액의 점도(20℃)가 10 내지 80cps인 미생물 배양 기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가 폴리비닐 알콜(PVA), 변성 PVA, 셀룰로스 유도체, 전분 및 이의 유도체, 셀룰로스 유도체, 전분 및 이의 유도체 이외의 다당류, 아크릴산 및 이의 유도체, 폴리에테르 및 단백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미생물 배양 기재.
  9.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다공질 매트릭스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천연 섬유 및 무기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편직포, 부직포, 다공질 필름, 스폰지상 재료 및 다공질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 배양 기재.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수분 보존량이 15 내지 200mg/㎠이고, 면적당 중량이 10 내지 200g/㎡이고, 밀도가 3 내지 600kg/㎥인 미생물 배양 기재.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중합체 층의 면적당 중량이 다공질 매트릭스 층의 면적당 중량의 0.5 내지 4배인 미생물 배양 기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층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 기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미생물 배양 기재에 1종 이상의 영양 성분을 함유시킨 미생물 배지.
KR10-1998-0704888A 1995-12-27 1996-12-26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 KR100499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53701 1995-12-27
JP35370195 1995-12-27
JP96-032900 1996-01-26
JP3290096 1996-01-26
JP96-205379 1996-07-16
JP20537996 1996-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65A true KR19990076765A (ko) 1999-10-15
KR100499436B1 KR100499436B1 (ko) 2005-12-16

Family

ID=2728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88A KR100499436B1 (ko) 1995-12-27 1996-12-26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65203B1 (ko)
EP (1) EP0877081B8 (ko)
JP (1) JP3148250B2 (ko)
KR (1) KR100499436B1 (ko)
DE (1) DE69638059D1 (ko)
TW (1) TW554041B (ko)
WO (1) WO1997024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1578B2 (en) 1997-04-09 2002-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devices for partitioning biological sample liquids into microvolumes
US6174699B1 (en) 1999-03-09 2001-0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c assay device with inoculation pad and methods of use
JP2002538815A (ja) * 1999-03-17 2002-11-19 バイオダイバーシティ・リミテッド 生化学合成装置
US6287870B1 (en) * 1999-08-20 2001-09-11 Robert A. Levine Method and assembly for separating formed constituents from a liquid constituent in a complex biologic fluid sample
JP4396078B2 (ja) 1999-12-17 2010-01-13 チッソ株式会社 微生物培養器、及びこれを用いた微生物培地
US20060263473A1 (en) * 2005-05-23 2006-11-23 Cadbury Adams Usa Llc Compressed delivery system for active components as part of an edible composition
FR2885912B1 (fr) * 2005-05-18 2007-07-13 Biomerieux Sa Milieu reactionnel pour les bacteries vibrio
EP2562169B1 (en) 2010-04-19 2016-11-30 JNC Corporation Tetrazolium compound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reagent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method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US8785167B2 (en) 2010-05-27 2014-07-2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Biocompatible article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production of energy
US8906645B2 (en) 2010-12-29 2014-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bial detection article having a water-absorbent filter assembly
WO2012149088A1 (en) 2011-04-29 2012-11-01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Encapsulated aci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hewing gum comprising same
US9920350B2 (en) 2011-12-28 2018-03-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detecting a salmonella microorganism
JP6192658B2 (ja) 2011-12-28 2017-09-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サルモネラ微生物の検出方法
JP2013236554A (ja) * 2012-05-11 2013-11-28 Nissui Pharm Co Ltd 簡易選択培地
JP2013236553A (ja) * 2012-05-11 2013-11-28 Nissui Pharm Co Ltd 簡易培地
PL2895595T3 (pl) * 2012-09-14 2019-07-31 Charm Sciences, Inc. Sposób i urządzenie dla podłoży hodowlanych
JP6206412B2 (ja) 2012-10-04 2017-10-04 Jnc株式会社 微生物培養器、微生物検査キット、透析液の検査方法、微生物の培養方法、微生物の検査方法、及び微生物培養器の製造方法
US11427849B2 (en) 2012-10-25 2022-08-30 Charm Sciences, Inc. Culture medium method and device
ES2535583B1 (es) * 2013-11-11 2016-02-25 Marhlidy MONCADA AMAYA Control microbiológico para recuento de microorganismos y aislamiento de patógenos
US10407654B1 (en) 2014-03-21 2019-09-10 Charm Sciences, Inc. Growth plate devices, kits and assemblies
JP6380003B2 (ja) * 2014-10-29 2018-08-29 Jnc株式会社 微生物培養器材及び微生物検出法
WO2016209721A1 (en) * 2015-06-22 2016-12-29 Bryan Sims Biomolecular zon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situ biological exfoliation of contaminated surfaces
JP6589648B2 (ja) * 2016-01-18 2019-10-16 Jnc株式会社 腸球菌検出用培地及び腸球菌検出法
JP2017139981A (ja) * 2016-02-09 2017-08-17 Jnc株式会社 微生物検出用培地
CN109996861A (zh) 2016-11-28 2019-07-09 捷恩智株式会社 微生物的培养设备以及利用所述设备对微生物数量进行计数的方法
JP7052797B2 (ja) 2017-08-08 2022-04-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硬化物、単層樹脂シート、積層樹脂シート、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封止用材料、繊維強化複合材料及び接着剤
JP6911660B2 (ja) 2017-09-13 2021-07-28 Jnc株式会社 クロストリジウム属細菌選択分離用培地
JP2019180369A (ja) 2018-04-17 2019-10-24 Jnc株式会社 微生物の培養器材およびそれを用いる微生物数の計測方法
CN110527657A (zh) * 2019-08-28 2019-12-03 广东中良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培养材料的制备配方
WO2021170606A1 (en) 2020-02-26 2021-09-02 Merck Patent Gmbh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differential growth of microorganis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993A (en) * 1971-03-16 1975-05-06 Miles Lab Testing device for microorganisms
JPS54132292A (en) 1978-03-31 1979-10-15 Eiken Kizai Kk Bacteria distinguishing sheet and use
US5223403A (en) 1985-05-31 1993-06-29 University Of Michigan Device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JPS6346096A (ja) 1986-08-13 1988-02-26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
EP0348343A3 (de) 1988-06-20 1991-08-28 Ciba-Geigy Ag Synergistisches Mittel und Verfahren zur selektiven Unkrautbekämpfung in Getreide, Mais und Reis
JPH0261976A (ja) 1988-08-26 1990-03-01 Murata Mfg Co Ltd 面状発熱体
US5089413A (en) 1989-05-19 1992-0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uring with microbiological dry culture medium
EP0443040B1 (en) 1989-09-11 1995-06-07 Nitto Denko Corporation Carrier for culturing microorganism, carrier for controlling insect pest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 of controlling insect pest
JPH04117299A (ja) 1990-09-05 1992-04-17 Duskin Co Ltd 細菌検出方法
US5232838A (en) 1991-12-09 1993-08-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lture media device and method of use
JPH06181745A (ja) * 1992-08-21 1994-07-05 Showa Yakuhin Kako Kk 化学的及び微生物学的試験用用具
WO1994004703A1 (en) * 1992-08-21 1994-03-03 Showa Yakuhin Kako Co., Ltd. Chemical and microbial test device
JP3485944B2 (ja) * 1993-04-27 2004-01-13 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ョン フィルム状微生物培養用乾燥培地とその製造方法
JPH07289285A (ja) 1994-04-20 1995-11-07 Showa Yakuhin Kako Kk 化学的又は微生物学的試験用用具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7081A4 (en) 2005-04-13
DE69638059D1 (de) 2009-12-03
EP0877081B8 (en) 2009-12-02
EP0877081B1 (en) 2009-10-21
US6265203B1 (en) 2001-07-24
TW554041B (en) 2003-09-21
WO1997024432A1 (fr) 1997-07-10
JP3148250B2 (ja) 2001-03-19
KR100499436B1 (ko) 2005-12-16
EP0877081A1 (en)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436B1 (ko) 미생물 배양 기재 및 배지
CA2015496C (en) Microbiological dry culture medium
US8357498B2 (en) Microorganism culture device and microorganism culture medium comprising the same
WO1994004703A1 (en) Chemical and microbial test device
EP0816513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
JP3115002B2 (ja) 微生物培地
JP3146078B2 (ja) 微生物を培養する装置
JP7181894B2 (ja) 脱水多糖ヒドロゲルのシートを備える微生物培養デバイス
EP2895595B1 (en) Culture medium method and device
JPH08280377A (ja) 培養装置
JP3850465B2 (ja) 簡易培地及び微生物の検出方法
JPH09206062A (ja) 培養装置
FI71164C (fi) Anordningar foer paovisning av aemnen som haemmar tillvaexten av mikroorganismer
JPH08336381A (ja) 培養装置
JP2001245693A (ja) 一般生菌検出用シート状培地
JPH0937765A (ja) 培養装置
JP2001333796A (ja) 微生物の拭き取り検査方法
JP2001169772A (ja) シート状培養器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培地
WO2024013652A1 (en) Cellulose-based microbiological culture device
JPH08266268A (ja) 微生物培養具
JPH08228758A (ja) 培養装置
FR3094722A1 (fr) Dispositif de culture microbiologique
PL231850B1 (pl) Żelatynowe matryce hydrożelowe, sposób ich wytwarzania oraz ich zastosowanie
JPH08256758A (ja) 培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425

Appeal identifier: 2005101001233

Request date: 200502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3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5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2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41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06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