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869A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869A
KR19990067869A KR1019990000643A KR19990000643A KR19990067869A KR 19990067869 A KR19990067869 A KR 19990067869A KR 1019990000643 A KR1019990000643 A KR 1019990000643A KR 19990000643 A KR19990000643 A KR 19990000643A KR 19990067869 A KR19990067869 A KR 1999006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contact
coaxial connec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863B1 (ko
Inventor
우라타니지카라
구리야마도시타카
마루야마유이치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6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실하고 안정한 접촉 및 접속을 달성할 수 있으며, 또 소형화 및 박형화를 충분하게 실현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를 제공한다. 가동단자(movable terminal)는, 스프링 가동 기능을 갖도록 설치된 가동기구부(可動機構部); 및 상기 가동기구부에 연결되며, U자 형상으로 굽힘공정이 수행된 인출부(lead part)를 갖는다. 상기 가동기구부는,
상기 인출부로부터 양측으로 신장하는 기부(base part);
상기 기부의 양단부(兩端部에)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 지지부(spring supporting parts);
상기 스프링 지지부들 사이에 기부과 평행으로 신장하는 스프링 가동부; 및
상기 스프링 가동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접촉부(contacting part)
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가동부는 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양단에서 지지·고정되어, 중앙부가 상방으로 부풀어진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접촉부는 원호상의 스프링 기구(spring mechanism)의 탄성으로부터 유도된 힘에 의해 고정단자의 접촉부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어서, 고정단자와 가동단자가 접촉·접속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휴대용의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단자 및 고정단자가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부착 또는 분리에 따라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에 가동단자와 고정자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사용될 종래의 동축 커넥터로서, 도10 및 도11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것이 제시될 수 있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 11은, 직사각형상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 절연성 케이스 12의 오목부 13내에, 탄성을 갖는 금속성 재료로 구성된 가동단자 15와 금속제 고정단자 14를 구비한다. 외부단자 16은 케이스 12의 주요부를 덮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고정단자 14는, 오목부 13의 내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다른 말단의 가동단자 15는, 금속판을 펀칭한 후 굽힘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가동단자 15는, 오목부 13에 대하여 고정단자 14의 돌출위치의 대향측상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또, 고정단자 14의 하면과 접촉하는 거의 수평인 선단부위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 12의 오목부 13은 직립의 관(column)형상의 공간이다.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중심 접촉이 도입구 17로부터 아랫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상측은 원형의 도입구 17로서 개방된다.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동단자 15는 고정단자 14와 자기자신의 탄성에 의해 접촉·접속한다. 한편,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장착된 경우, 이것이 고정단자 14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대물 중심 접촉과 접촉·접속하도록, 도입구 17로부터 오목부 13내로 도입된 중심 접촉에 의해 압박된다. 더욱이,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장착된 경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부단자 16과 외도체가 접촉·접속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동축 커넥터 11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 15는 외팔보(cantilever)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팔보 구조에 있어서, 가동단자 15의 일단측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단자 14에 대하여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타단측(他端側)은 움직일 수 있다.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장착된 경우, 필요이상의 부하(load)가 인가된 경우나, 또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을 반복함으로써, 가동단자 15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에 의해, 가동단자 15의 스프링 기능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상대물 동축 커넥터를 분리한 이후에, 고정단자 14와 가동단자 15의 안정한 접촉 및 접속이 보장될 수 없다. 몇몇 경우에, 접촉없이 개방된 채로 있을 위험이 있다. 특히, 최근의 소형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두께가 극도로 얇아지기 때문에, 스프링 기능의 악화가 중대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가동단자 15가 외팔보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가동단자의 변위에 의해 이탈(분리)되는 경우에도, 분리를 느끼기가 곤란하다. 더욱이,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단자접촉부에 먼지가 붙어있는 경우, 상기 단자들 사이에 접촉불량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하고 안정한 접촉·접속을 가질 수 있으며, 소형화와 박형화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의 동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2는 상기 구현예의 동축 커넥터의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구현예에 따라서 고정단자와 가동단자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의 접촉부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상기 구현예에 따라서 가동 단자가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구현예에 따라서 동축 커넥터의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구현예에 따라서 동축 커넥터의 상면 외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7은 또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가동단자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가동단자의 스프링 가동부의 스프링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동축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0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의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동축 커넥터2: 케이스
2a: 내저면2b: 배면
2c: 단자 가이드부3: 오목부(내부공간)
4: 고정단자41: 접촉부
42: 인출부42a: 접속단부
5: 가동단자51: 가동기구부
51a: 기부51b: 스프링 지지부
51c: 스프링 가동부51d: 접촉부
52: 인출부52a: 접속단부
6: 외부단자6a: 평면부
6b, 6c: 접속단부6d: 관통홀
7: 도입구9: 중심 접촉
따라서, 동축 커넥터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counterpart coaxial connector)의 중심 접촉(central contact)을 도입하기 위한 오목부(concave part)가 설치되어 있는 절연성 케이스(insulating case);
상기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중심 접촉의 도입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고정단자(fixed terminal) 및 가동단자(movable); 및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와 접촉·접속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외측(外側)에 배치된 외부단자(external terminal)
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단자는, 중앙부가 변위가능한 탄성(spring property)을 갖는, 양단 지지구조의 스프링 가동부(spring movable part)와, 상기 스프링 가동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접촉부(contacting part)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비장착시에는,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중심 접촉의 도입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힘이 주어짐으로써, 상기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에 접촉·접속되는 한편,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는, 상기 오목부내로 도입된 상기 중심 접촉에 의해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중앙부가 상기 오목부의 저면측(底面側)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양단(兩端)에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가동부에 평행으로 형성된 기부(base part)에서 상기 한쌍의 스프링 지지부가 결합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케이스에 매설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동부가 상기 기부를 구부림으로써, 원호(圓弧)상으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으로 위치결정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 및 상기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의 내벽면상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직사각형상의 평행 육면체이고,
인출부(lead parts)가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를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배면(背面)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의 제1의 접속단부(connecting end parts)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된 판상체(板狀??)이며, 길이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U자형상의 단면(斷面)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로 상기 중심도체를 도입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상에 형성된 상기 중심 평면부가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에 끼워질 관통홀(through cylinder)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 평면부의 양측에 설치된 굽힘부가 상기 케이스의 측벽의 외표면상에 케이스의 하측으로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배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의 제2의 접속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단자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가동단자가 양단 지지구조의 스프링 가동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실하고 안정한 접촉 및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여러차례 장착되는 경우나, 또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스프링 가동부의 스프링 기능의 악화가, 외팔보형의 종래 것에 비하여 대폭으로 저하되어, 가동단자의 스프링 기능의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가동부가, 상기 기부를 구부림으로써, 원호(圓弧)상으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즉,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소성변형에 의해서가 아니라 평면부를 구부림으로써 굴곡된 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여러차례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소성변형이 거의 발생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스프링 기능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양단부인 스프링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내벽면으로 위치결정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도 스프링 가동부의 스프레드(spread)가 방지될 수 있어서, 스프링 가동부가 확실하게 반전(反轉)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반전에 의해 클릭감(click feeling)을 얻을 수 있다. 즉,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분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들 사이에 예를 들어,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된 경우에도, 상기 접촉부의 습동 기능에 의해 이물이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확실한 접촉 및 접속을 얻을 수 있다. 2개 점(點)에서 접촉 위치를 가짐으로써, 접촉 및 접속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양단 지지 구조의 가동부가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단 지지의 스프링 구조가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조립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기 때문에,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수직으로 간격을 크게 두고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박형화를 더욱 실현할 수 있다.
가동단자와, 고정단자 및 외부단자의 접속단부들을 케이스의 배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표면실장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상면에 외부단자의 평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자동 실장기(automatic mounting machine)에 의한 실장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단자의 상면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물 동축 커넥터와의 안정하고 확실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단자들과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제조와 동시에 케이스 및 각 단자와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동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2는,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은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접속부들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가동단자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은 상면 외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4에서, 상기 케이스는 단면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6은,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 구현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 1은,
직사각형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 합성 수지성의 절연성 케이스 2;
상기 케이스 2의 오목부(내부공간) 3에 설치된 탄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구성된 가동단자 5와 금속성의 고정단자 4; 및
상기 케이스 2의 주요부를 덮도록 설치된 외부단자(외도체) 6
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2의 오목부 3은, 실질적으로 직립(直立)의 각주(角柱)형상의 공간이다. 상기 케이스 2의 오목부 3은,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중심 접촉이 도입구 7로부터 아랫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측에 원형으로 개방된 도입구 7을 갖는다.
고정단자 4는, 평판상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굽힘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자 4는,
가동단자 5와의 접점(接點)이 될 접촉부 41; 및
상기 접촉부 41에 연결되며, U자 형상으로 굽힘공정이 수행된 인출부(lead part) 42
를 포함한다. 접촉부 41은, 소정의 폭을 갖는 금속판의 양측을 대략 45°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이에 의해 수평면 41a와, 상기 수평면 41a의 양측에 경사면 41b, 41b를 갖는다. 상기 접촉부 41은 상기 케이스 2내에 형성된 오목부 3의 내저면 2a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상방 위치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인출부 42는 측벽의 외표면을 따라서 케이스의 하측(下側)으로 신장하여, 이에 의해 이것의 선단부위에서 상기 케이스 2의 배면(背面) 2b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의 접속단부(接續端部) 42a를 갖는다. 인출부 42의 일부분의 폭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은 케이스 2의 측벽에 매설(埋設)된다.
스프링 가동 기능을 갖도록 설치된 가동기구부(可動機構部) 51; 및
상기 가동기구부 51에 연결되며, U자 형상으로 굽힘공정이 수행된 인출부 52를 포함하는 상기 가동단자 5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한 후, 굽힘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가동기구부 51은,
상기 인출부 52에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는 기부(base part) 51a;
상기 기부 51a의 양단부 상에서 상기 인출부 52와 평행으로 신장하는, 두 개의 스프링 지지부 51b, 51b;
상기 스프링 지지부들 51b와 51b를 연결하도록, 상기 기부 51a와 평행으로 신장하는 스프링 가동부 51c; 및
상기 스프링 가동부 51c의 중앙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접촉부 51d
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가동부 51c는, 상방으로 부풀려진 원호(圓弧)상으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가동부 51c의 굽혀진 상태를 형성·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부 51a를 두 개의 위치 A, B에서 굽혀서, 이것의 중앙부를 아랫쪽으로 부풀린다. 즉, 스피링 가동부 51c를 굽히고 상기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부 51a는 굽힘부 A, B를 갖는다.
따라서, 이 구현예의 상기 가동단자 5의 스프링 가동부 51c가 소성 변형에 의해 굽혀지지 않으나, 평판을 구부려서 상기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어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 최초 평판 상태를 복위하도록 상기 스프링 가동부 51c만이 반전되며, 따라서,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반복하여 장착되는 경우에도, 스프링 가동부 51c의 소성변형이 발생될 수 없다.
케이스 2의 오목부 3의 내벽면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부 51b, 51b의 선단부위의 측단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향하는 내벽들간의 치수가 스프링 지지부 51b, 51b의 측단면들간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단자 가이드부(terminal guide parts) 2c, 2c가 형성된다. 가동단자 5는, 가동기구부 51을 케이스 2의 오목부 3내의 저면(底面) 2a상에 배치시키고, 스프링 지지부 51b, 51b의 측단면을 케이스 2내의 단자 가이드부 2c와 2c와의 사이에 유지함으로써, 케이스 2에 부착된다. 즉, 가동단자 5는, 단자 가이드부 2c, 2c에 의해 스프링 지지부 51b, 51b의 선단부위에서 위치결정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가동부 51c가 아랫쪽으로 압박될 때에도 스프링 가동부 51c의 스프레드(spread)를 방지하도록 케이스 2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서는, 스프링 가동부 51c의 양단부가 될 스프링 지지부 51b, 51b가 케이스 2의 단자 가이드부 2c, 2c에 의해 위치결정 되고 또한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 스프링 가동부 51c의 반전(反轉)에 의해 클릭감(click feeling)을 얻을 수 있으며, 그러므로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분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 과도한 힘이 스프링 가동부 51c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스프링 가동부 51c의 최하부는 케이스 2내의 저면(底面) 2a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프링 가동부 51c는 소정의 변위량을 초과할 수 없으며, 따라서 스프링 가동부 51c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 가동부 51c의 원호상(圓弧狀)으로 굴곡된 스프링 기구의 탄성으로부터 유도된 힘(탄성력)에 의해, 가동단자 5의 접촉부 51d가 고정단자 4의 접촉부 41에 접촉함으로써, 고정단자 4와 가동단자 5가 확실하고 안정하게 접촉·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단자 5의 접촉부 51d의 폭 C는 고정단자 4의 접촉부 41의 수평면 41a의 폭 D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며, 가동단자 5의 접촉부 51d 상면의 양능선부(both ridgeline parts)와, 고정단자 4의 접촉부 41의 경사면 41b, 41b의 하면이 선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구현예에서는, 가동단자에 대한 고정단자 4의 접촉면(경사면) 41b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짐으로써, 가동단자 5가 상기 탄성력에 의해 고정단자 4의 접촉부 4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동단자 5의 접촉부 51d가 고정단자 4의 경사면 41b를 수직으로 습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양단자 접촉부의 습동 구조에 따라서, 상기 단자들 사이에 예를 들어,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된 경우에도, 습동 기능에 의해 이물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단자 4와 가동단자 5와의 확실한 접촉 및 접속을 얻을 수 있다.
가동단자 5는, 오목부 3에 대하여 고정단자 4의 돌출위치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신장하는 가동기구부 51을 갖는다. 선단부위인 접촉부 51d는, 고정단자 4의 접촉부 41의 하면과 접촉한다. 인출부 52가 케이스 2의 하측 부근으로 측벽의 외표면상에서 신장하며, 상기 인출부 52의 선단부위는 케이스 2의 배면 2b와 거의 동일평면상에 있는 접속단부 52a로서 작용한다. 인출부 52의 일부분의 폭은 넓게 형성되며,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은 케이스 2의 측벽에 매설된다.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와 접촉될 외부단자 6은, 인청동(phosphor bronze) 등의 스프링용 금속판을 펀칭한 후, 굽힘가공, 제도공정(drawing process) 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단면이 대략 U자형상인 판상체(plate-like member)이다. 판상체의 중앙에 있는 외부단자 6의 평면부 6a는 케이스 2의 상면부에 부착된다. 상기 평면부 6a의 양측에 설치된 굽힘부(각부)는,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의 외표면상에 케이스 2의 하측 부근으로 신장하며, 이에 의해 이 부분은, 케이스 2의 배면 2b와 거의 동일평면상의 접속단부 6b, 6c로서 작용한다. 더욱이, 평면부 6a에 있어서,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에 끼우며, 또 중심 접촉 도입을 위한 관통홀 6d가, 케이스 2의 도입구 7에 대응함과 함께, 관통홀 6d가 도입구 7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된다. 외부단자 6은 통상 접지(ground)로서 기능하며, 외부단자 6의 외표면은 필요에 따라서 도금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들 4, 5의 접속단부 42a, 52a 및 외부단자 6의 접속단부 6b, 6c가 케이스 2의 배면 2b와 거의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표면 실장가능한 구조로 된다. 또한, 외부단자 6에는 관통홀 6d가 형성되어, 상대물 동축 커넥터와의 안정하고 확실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본 구현예의 동축 커넥터 1은, 길이 3.0㎜, 폭 3.0㎜, 높이 1.75㎜이며, 고정단자 4 및 가동단자 5로서, 0.05㎜ 두께의 스프링용 SUS301, SUS304 또는 구리합금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더욱이, 고정단자 4, 가동단자 5 및 외부단자 6은, 케이스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2는,
고정단자 4와 외부단자 6을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형성된 부분; 및
가동단자 5를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형성된 부분
을 포함하며, 양자(兩者)를 맞추어서 형성한다. 상기 단자들 4, 5, 6과 수지 케이스 2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예에서는, 가동단자 5의 스프링 지지부 51b의 전면이 평판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 2의 재료에 의존하여 스프링 지지부 51b가 외력으로 케이스에 끼워지는 경우, 케이스 2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스프링 지지부의 부분에 도7에 나타낸 굽힘부 51e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스프링 지지부 51b가 케이스 2의 단자 가이드부 2c에 끼워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구현예의 동축 커넥터의 동작을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a 및 도8b는 스프링 가동부의 스프링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a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미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8b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의 단면도이며, 도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본 구현예의 동축 커넥터 1에서는, 스프링 가동부 51c가 양단에서 지지·고정된다.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미장착시에는,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가동부 51c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부풀어진 상태이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중심 접촉 9에 의해 중앙부가 아랫쪽으로 압박·반전되며, 이에 의해 중앙부가 아랫쪽으로 부풀어진 원호상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제거된 경우, 중심부는, 이것이 상방으로 부풀어진 상태를 복구하는 탄성을 갖는다. 스프링 가동부 51c의 수직 이동에 따라서 동요하도록, 스프링 가동부 51c의 중앙부와 결합된 가동단자 5의 접촉부 51d가 설치된다.
즉,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미장착시에는, 가동단자 5는 스프링 가동부 51c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단자 4와 접촉하여, 상기 단자들 4, 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는, 상방의 관통홀 6d 및 도입구 7로부터 도입된 중심 접촉 9에 의해 스프링 가동부 51c가 아랫쪽으로 압박되며, 이에 의해 가동단자 5의 접촉부 51d가 고정단자 4의 접촉부 4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고정단자 4와 가동단자 5간의 전기적 접속이 단절된다.
한편, 중심 접촉 9와 가동단자 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시에,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도시하지 않았음)가 외부단자 6에 끼워지서, 외도체가 외부단자 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지금까지, 본 구현예의 동축 커넥터 1에 따르면, 가동단자 5에는 양단 지지구조의 스프링 가동부 51c가 설치되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탄성력이 얻어짐으로써, 확실하고 안정한 접촉·접속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상대물 동축 커넥터가 여러차례 장착되는 경우나, 또는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스프링 가동부 51c의 스프링 기능의 악화가, 외팔보 구조를 갖는 종래 것에 비하여 대폭으로 저감되며, 따라서 가동단자 5의 스프링 기능의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단자 4와 가동단자 5가 두 부분에서 선접촉되며, 또 이 접촉부분이 습동기능를 갖기 때문에, 상기 단자들의 접촉·접속의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현예의 설명에 있어서, 케이스 2가 대략 직사각형상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또 오목부 3이 대략 각주형상을 갖지만, 케이스 2의 형상 및 오목부가 예를 들어, 원주형상(columnar shape) 등의 다른 형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서는, 외부단자 6과 케이스 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케이스 2와 외부단자 6을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 이들을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더욱이, 고정단자 4와 가동단자 5의 접속단부 및 외부단자 6의 접속단부는 동일평면상에 있지 않은 케이스 2로부터 돌출된 비표면실장형일 수 있다. 또한, 가동단자 5의 가동기구부 51과 인출부 52를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 용접등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측면에 있어서도, 이것은 상기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응용 또는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에 따르면, 가동단자는 양단이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가동단자의 스프링 기능의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습동기능을 갖기 때문에, 단자들간의 접촉·접속의 신뢰성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양단 지지구조의 가동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또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양단 지지의 스프링 구조를 경제적으로 형성함과 함께, 조립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게다가,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수직으로 간격을 크게 두고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동축 커넥터의 소형화를 크게 실현할 수 있다.
가동단자와, 고정단자 및 외부단자의 접속단부들을 케이스의 배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표면실장형의 동축 커넥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상면에 외부단자의 평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자동 실장기(automatic mounting machine)에 의한 실장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단자의 상면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물 동축 커넥터와의 안정하고 확실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동단자, 고정단자, 외부단자 및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제조와 동시에 케이스 및 각 단자와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3)

  1. 상대물 동축 커넥터(counterpart coaxial connector)의 중심 접촉(central contact)을 도입하기 위한 오목부(concave part)가 설치되어 있는 절연성 케이스(insulating case);
    상기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중심 접촉의 도입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고정단자(fixed terminal) 및 가동단자(movable);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外側)에 배치된 외부단자(external terminal)
    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로서,
    상기 가동단자는, 중앙부가 변위가능한 탄성(spring property)을 갖는, 양단 지지구조의 스프링 가동부(spring movable part)와, 상기 스프링 가동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접촉부(contacting part)를 구비하며,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비장착시에는,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중심 접촉의 도입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힘이 주어짐으로써, 상기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에 접촉·접속되며,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장착시에는, 상기 오목부내로 도입된 상기 중심 접촉에 의해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중앙부가 상기 오목부의 저면측(底面側)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중심접촉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외부단자는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external conductor)에 접촉·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구성된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스프링 가동부의 양단(兩端)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스프링 가동부에 평행으로 형성된 기부(base par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부는 상기 한쌍의 스프링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에 매설·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동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기부를 구부림으로써, 원호(圓弧)상으로 굴곡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으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으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가지며, 또 상기 가동단자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경사면에 이를 습동하기 위해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의 접촉부 및 상기 가동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의 내벽면상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직사각형상의 평행 육면체이고,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고정단자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인출부(lead parts)를 상기 케이스의 하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배면(背面)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의 제1의 접속단부(connecting end parts)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된 길이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U자형상의 단면(斷面)을 갖는, 판상체(板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上面)에 배치된 중심 평면부(central flat part), 및 상기 중심 평면부의 양측(兩側)에 배치된 굽힘부(bent parts)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로 상기 중심도체를 도입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 평면부가 상기 상대물 동축 커넥터의 외도체에 끼워질 관통홀(through cylinder)을 구비하며, 상기 굽힘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의 외표면을 따라서 연장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측(下側)으로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배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의 제2의 접속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단자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19990000643A 1998-01-13 1999-01-13 동축 커넥터 KR100330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883 1998-01-13
JP488398 1998-01-13
JP10-190694 1998-07-06
JP19069498A JP3551770B2 (ja) 1998-01-13 1998-07-06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69A true KR19990067869A (ko) 1999-08-25
KR100330863B1 KR100330863B1 (ko) 2002-04-03

Family

ID=2633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643A KR100330863B1 (ko) 1998-01-13 1999-01-13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68492A (ko)
EP (1) EP0929128B1 (ko)
JP (1) JP3551770B2 (ko)
KR (1) KR100330863B1 (ko)
CN (1) CN1116718C (ko)
DE (1) DE69938628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64B1 (ko) * 1999-12-21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부품, 동축 커넥터 및 통신 장치
KR100984899B1 (ko) * 2008-06-25 2010-10-0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906B2 (ja) * 1996-06-12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3473531B2 (ja) 2000-01-07 2003-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TW488116B (en) * 2000-03-31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eptacle for coaxial plug connector
JP3473560B2 (ja) 2000-07-21 2003-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この同軸コネクタを備えた通信機装置
JP3473559B2 (ja) 2000-07-21 2003-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通信機装置
JP3446726B2 (ja) * 2000-08-11 2003-09-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動端子、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3711002B2 (ja) * 2000-08-31 2005-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552357B2 (ja) * 2001-05-28 2010-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3881863B2 (ja) * 2001-10-18 2007-02-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059138B2 (ja) 2003-05-16 2008-03-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2007242802A (ja) * 2006-03-07 2007-09-20 Kokusan Denki Co Ltd 点火コイル
JP4424519B2 (ja) * 2007-08-09 2010-03-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実装型コネクタ
CN101847795B (zh) * 2009-03-23 2014-06-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端子
CN101873782B (zh) * 2009-04-24 2012-07-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弹片结构及应用该弹片结构的壳体组件
ATE540452T1 (de) * 2009-05-29 2012-01-15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Miniatur-schaltverbinder
CN101707318A (zh) * 2009-11-20 2010-05-12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利于焊脚焊接的同轴电连接器
CN101707317A (zh) * 2009-11-20 2010-05-12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具有改良绝缘本体结构的同轴电连接器
JP5126310B2 (ja) 2010-07-22 2013-01-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検査用同軸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
CN202076457U (zh) * 2010-12-20 2011-12-14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改进的高频信号连接器
JP5720409B2 (ja) * 2011-05-11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532041B2 (ja) 2011-10-21 2014-06-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472272B2 (ja) * 2011-12-05 2014-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5979407B2 (ja) * 2012-02-23 2016-08-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US9312621B2 (en) 2013-05-15 2016-04-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axial connector having a static terminal and a movable terminal
CN104183939A (zh) * 2013-05-27 2014-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
TWI543479B (zh) 2013-09-13 2016-07-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開關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04752850B (zh) * 2013-12-31 2017-11-07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低配信号连接器
JP2016213073A (ja) * 2015-05-11 2016-12-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264Y2 (ja) * 1989-10-12 1995-12-06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源ソケット
US5108299A (en) * 1991-04-18 1992-04-28 Polaroid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s for semiconductor chip packages
JPH06349550A (ja) * 1993-06-14 1994-12-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5490033A (en) * 1994-04-28 1996-02-06 Polaroid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JP3455605B2 (ja) * 1995-04-06 2003-10-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のプラグコネクタ
FR2733348B1 (fr) * 1995-04-19 1997-06-06 Connexion Soc Nle Connecteur interrupteur ou inverseur coaxial miniature a lames de contact actives
FR2743200B1 (fr) * 1995-12-28 1998-01-23 Alcatel Mobile Comm France Connecteur a commutation pour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s, et prise de raccordement associee
JP3064906B2 (ja) * 1996-06-12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5741146A (en) * 1996-10-29 1998-04-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swi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64B1 (ko) * 1999-12-21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부품, 동축 커넥터 및 통신 장치
KR100984899B1 (ko) * 2008-06-25 2010-10-0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US8066516B2 (en) 2008-06-25 2011-11-2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8628D1 (de) 2008-06-19
EP0929128B1 (en) 2008-05-07
JP3551770B2 (ja) 2004-08-11
KR100330863B1 (ko) 2002-04-03
US6068492A (en) 2000-05-30
EP0929128A1 (en) 1999-07-14
CN1223489A (zh) 1999-07-21
CN1116718C (zh) 2003-07-30
JPH11265761A (ja)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863B1 (ko) 동축 커넥터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US7481686B2 (en) Connector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3473531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EP3196989A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6241541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2002056916A (ja) コネクタ
US2008004508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etal spring
JP4220446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0556571B1 (ko) 커넥터
KR101105965B1 (ko)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JP685193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9930A (ko) 커넥터
KR20120100736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21153070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110088346A (ko) 커넥터
JP697887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684955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3859907B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CN114336114B (zh) 同轴开关连接器
JP2000058166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79837Y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