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195A -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 Google Patents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195A
KR19990044195A KR1019980701431A KR19980701431A KR19990044195A KR 19990044195 A KR19990044195 A KR 19990044195A KR 1019980701431 A KR1019980701431 A KR 1019980701431A KR 19980701431 A KR19980701431 A KR 19980701431A KR 19990044195 A KR19990044195 A KR 19990044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concrete
panel
concrete
cas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안 쿠
Original Assignee
쿠 아 킴
푸아 비 홍
티안 쿠
오-스테이블패널에스디엔비에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 아 킴, 푸아 비 홍, 티안 쿠, 오-스테이블패널에스디엔비에치디 filed Critical 쿠 아 킴
Publication of KR1999004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19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04B5/043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having elongated hollow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02/005Appearance of panels
    • E04C2002/008Panels with the appearance of a natural ston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건축산업에서 건축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와 이러한 프리-캐스트 패널 몸체를 사용하는 구조물의 건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는 상부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빔(3)과 세로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6)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6)은 스타터바(16), 보강 강철바(19), 전선, 파이프 또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패널 몸체의 상부 가장자리는 패널 몸체의 캐스팅과 동시에 성형된 코니스(4)를 포함한다. 모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26)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부터 연장된 링크(8)들을 통하여 강철바(28)를 도입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상에 철망(38)과 상측바(40)를 부가설치하며, 강철바, 철망 및 상측바 위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함께 인터록킹되며, 견고한 구조물을 제작하게 된다.

Description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건축구조물에 있어서는, 흔히 구조적인 얼개와 층 슬랩을 제작한 후 내부가 채워진 패널(통상적으로 벽돌 벽체)을 수직으로 세워 건설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전선, 가스 및 배수관의 가설이 부가적으로 수행되며, 건물의 외부 벽체의 마무리시공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것은 숙련공을 필요로 하며, 장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그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산업을 위한 몰드 구조물 세트는 특정의 몰드가 단지 특별한 목적에만 이용되었기 때문에 그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산업에서 건축물의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마무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코니스(cornice)(4) 및 강철링크(8)를 구비하여 완성된 I자형(횡단면에서 직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1B는 측면도이며, 도1C도는 구멍(6)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D는 내부에 어떤 길이방향의 구멍도 없는 I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2A 및 도2B는 도1A 내지 도1D에서 언급된 I자형 패널에 문(10)이 구비된 형태를 각기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도1A 내지 도1D에서 언급된 I자형 패널에 창문(12)이 구비된 형태를 각기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마무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코니스(4)를 갖는 L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4B는 측면도이며, 도4C는 구멍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도4A 내지 도4C에서 언급된 L자형 패널에 문(10)이 외측으로 연장된 아암상에 구비된 형태를 각기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6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마무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코니스(4)를 갖는 T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6B는 측면도이며, 도6C는 구멍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7A 및 도7B는 도6A 내지 도6C에서 언급된 T자형 패널에 문(10)이 외측으로 연장된 아암상에 구비된 형태를 각기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8A 및 도8B는 도6A 내지 도6C에서 언급된 T자형 패널에 두 개의 문(10)이 두 개의 외측으로 연장된 아암상에 구비된 형태를 각기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9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코니스(4)를 갖는 십자(cross)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9B는 측면도이며, 도9C는 구멍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0은 전술한 한 쌍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성형시키기 위한 수직 성형 몰드구조물 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나타난 수직 성형몰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11A는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양측 가장자리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연장가능한 어댑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11B는 도10의 수직 성형몰드 구조물 세트를 위한 조정가능한 하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 내지 도14는 다양한 폭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패널의 단면도들이다.
도15A는 지층 콘크리트 슬랩(slab)이 성형되고 스타터바(starter bar)들이 설정위치에 놓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사용하여 벽체를 축조하는 제 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B는 콘크리트 키커(kicker)가 축조되고 수준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조정된 상기 도15A 이후의 제 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C는 도15B의 A-A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16은 상기 도1A, 도1B, 도1C; 도4A, 도4B, 도4C 및 도6A, 도6B, 도6C에서 보여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완성된 건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A는 도16에서 보여지는 부분완성된 건물 벽체의 평면도이다.
도17B는 중공(hollow) 구멍의 일부에 보강용 강철바(steel bar)를 형성시킨 부분완성된 건물 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두 개의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 사이의 연결 조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A는 중공 구멍상에 캡(cap)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의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18B는 중공 구멍상에 놓여지도록 설계, 구성된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상의 프리-캐스트 층 슬랩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보강용 강철바가 도19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프리-캐스트 빔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크들을 통과하여 도입된 부분완성된 건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0A는 복수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 상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층 슬랩의 조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1A는 두 개의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층 슬랩의 위치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21B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상에 놓여지는 두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층 슬랩상에 철망 및 상측바(top bar)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A는 도22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3은 단층의 건물에 위치하여 맞붙쳐서 직선적으로 정렬시킨 두 개의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4A는 I 자형 패널의 길이가 건축학적 및 구조학적 요구에 부응하여 캐스팅 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는 하나의 I 자형 및 두 개의 L 자형을 결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4B는 도24A에서 보여지는 패널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5A는 도24A에서 I 자형 패널의 길이가 건축학적 및 구조학적 요구에 부응하여 캐스팅 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는 두 개의 I 자형, 두 개의 L 자형 및 하나의 T 자형을 사용하여 결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5B는 도25A에서 보여지는 패널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6A는 I 자형 패널의 길이가 캐스팅 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는 하나의 십자형, 하나의 T 자형, 하나의 L 자형 및 두 개의 I 자형을 사용하여 결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6B는 도26A에서 보여지는 패널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7A는 하나의 I 자형 패널, 하나의 L 자형 및 문이 형성된 하나의 L 자형 패널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7B는 도27A에서 보여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결합의 측면도이다.
도28A 및 도28B 내지 도32A 및 도32B는 도24A, 도24B 내지 도27A, 도27B에서 설명된 같은 결합방법을 사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다양한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33A는 패널의 양측부에 함몰부(recess)가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나의 I 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두 개의 십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3B는 도33A에서 보여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33C는 도33A 및 도33B에서 보여지는 결합에서 I 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34A, 도34B 및 도34C는 도33A, 도33B 및 도33C에서와 같은 결합이지만 십자형 패널에 하나의 구멍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사용, 범용적인 몰드 구조물 세트의 적용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사용하는 건축물을 건설함에 있어 새로운 시스템의 적용에 의하여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은,
1. I 자형 패널(그 횡단면 폭을 갖는 직선)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I자형 패널,
2. L 자형 패널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L 자형 패널,
3. T 자형 패널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T 자형 패널,
4. 십자형 패널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에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십자형 패널.
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및 하나의 가장자리에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코니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강철링크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으로부터 연장된다. 보강용 콘크리트 빔의 인터록킹 시스템이 상기 링크 속으로 보강용 강철바를 삽입시키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에 의해 형성된 조인트에 콘크리트를 인-시튜로 타설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르면, I 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길이는 몰드 구조물 세트의 가장자리 구조물을 조정함으로써 건축학적 및 공학적 요구에 부응하여 캐스팅단계에서 조정되어질 수 있다. L 자형, T 자형 및 십자형 패널의 아암은 필요하다면 또한 조정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이들은 단일 크기로 일정하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은 슬랩 패널의 중앙부에 함몰부와 슬랩 패널의 변부를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패널의 크기는 건축학적 및 구조학적 요구에 부응하여 성형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패널의 프리-캐스트 빔의 높이는 구조공학적 요구에 부응하여 성형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다.
중공 구멍이 프리-캐스트 벽체와 프리-캐스트 슬랩 패널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중공 구멍는 구조적, 기계적 및 전기적 요구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보강된 콘크리트 기둥이 보강용 강철바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중공 구멍 속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인-시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함으로써 구멍 내에 형성된다.
벽체들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양단에서 구멍 속으로 보강용 강철바를 삽입한 후 인-시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두 개의 프리-캐스트 벽체가 서로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정렬될 때 구멍를 형성하는 세로방향의 함몰부에 보강용 강철바를 삽입하고 인-시튜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직립되고 지지되어진다.
상기 구멍는 T 자형, L 자형 및 십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제공될 수 있지만, 구멍은 I 자형(횡단면에서 직선)과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에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I 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내부에 어떤 구멍도 없이 패널의 양단에 세로방향의 함몰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패널의 구조적 연결은 상기 벽체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크 속으로 보강용 강철바를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슬랩 패널 및 프리-캐스트 빔의 상측 표면상에 각기 철망 및 상측바를 부가설치한 후, 구조적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에 의해 형성된 홈통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수행된다. 단층 건물을 위해서는 U 자형 강철바가 두 개의 인접하여 직선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로부터 서로에 인접하는 인-시튜 성형된 콘크리트 기둥 속으로 삽입되어진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모서리 사이 또는 두 개의 원하는 지점 사이의 채워진 벽체 패널은 단일 패널 또는 서로 직선 정렬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I 자형 직선 벽체 패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어떤 패널의 길이도 몰드 구조물 세트의 변경없이도 어댑터를 슬라이딩 함으로써 성형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모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그 상부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코니스(4)가 구비되거나 혹은 구비되지 않는 I 자형의 평탄한 벽체이다(도1A, 1B 및 1C). 상기 벽체는 벽체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에 이르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구멍(6)과 강철링크(8)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길이(X)는 건물의 구조적 설계 및 건축학적 요구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도1A 및 도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자형이지만 문(10)을 구비하는 평탄한 벽체이다(도2A 및 도2B). 제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도1A, 도1B 및 도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 자형이지만 창문(12)을 구비하는 평탄한 벽체이다(도3A 및 도3B). 제 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L 자형 패널이다(도4A, 4B 및 도4C). L 자형 패널의 각 아암은 세로방향의 구멍(6)을 포함한다. 그 외측벽(14)은 평탄하거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상부 가장자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 및 처마장식인 코니스(4)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도4A, 도4B 및 도4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 자형 유니트이지만 연장된 하나의 아암을 구비한다(도5A 및 도5B). 상기 연장된 아암은 문(10) 또는 창문(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 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도1A, 도1B 및 도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및 프리-캐스트 코니스를 구비하는 T 자형이다(도6A, 도6B 및 도6C). 제 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도1A, 1B 및 도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10) 또는 창문(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다른 아암에 대하여 직교관계에 있는 중간 아암이 연장되어지는 다른 T 자형 유니트이다. 제 8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두 개의 창문(12)을 구비하는 T 자형 벽체구조이다(도8A 및 도8B). 제 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패널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6)을 구비하는 십자형 단면을 갖는 기둥 유니트이다(도9A, 도9B 및 도9C). 전술한 모든 콘크리트 패널은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콘크리트 빔(2)에서 보강용 강철바(3)에 고정된 강철링크(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모든 패널들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및 코니스를 구비하거나 혹은 구비하지 않고 성형되어질 수 있다.
패널의 높이, 길이 및 두께, 문 또는 창문의 형상 및 디자인, 측벽에 형성된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개별적인 치수는 건축학적인 요구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들로부터 선택되는 조합은, I 자형 패널의 길이 일부가 캐스팅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크기나 디자인의 건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횡단면 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또다른 요구에 부응하여 착상되어질 수 있다. 그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들도 본 발명의 범위안에 포함된다.
도10에서 몰드(100)는 몰드 구조물 세트의 쌍을 구비한다. 각 세트의 몰드 구조물은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02)와 한쌍의 측벽 패널 플레이트(104)를 구비한다. 성형되어지는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수직길이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수단을 사용하여 하부의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높이를 상,하향으로 조정함으로써 다양하게 될 수 있다(도11B).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하부 가이드 플레이트(102)는 슬롯과 볼트 수단에 의해 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다(도 11B).
상기 몰드(100)는 성형되는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하부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으로부터 상부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 어댑터(10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샤프트(108)가 상부 및 하부의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102) 내의 홀(110)들을 통하여 설치된다. 복수개의 연장가능한 아암(112)들이 상기 샤프트와 수직 어댑터(106) 사이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장가능한 아암(112)은 하나의 수직 어댑터로부터 다른 어댑터로 연장되어지며, 상기 수직 어댑터 사이의 이격거리는 설정된 범위에 걸쳐 가변되어질 수 있다. 접철가능한 원통튜브(114)들이 상기 수평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홀들 속으로 삽입되어진다. 상기 철망이 제위치에 설치된 후, 역 V자형 돌출부(116)를 가로질러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몰드 속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된다.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몰드가 콘크리트로 충전될 때까지 상기 역 V자형 돌출부(116)의 양측으로 유입되어진다.
콘크리트 빔(2)과 코니스(4) 및 패턴(14)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들이 상기 몰드의 측면 패널(104)상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 패널 속으로 결합된 패턴의 예가 도6B 및 도6C에 나타난다. 상기 코니스(4) 및 패턴된 측면(14)이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12 내지 도14는 다른 길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들을 보여준다.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은 변부를 따라 콘크리트 빔이 구비되는 직사각형 슬랩이다. 상기 콘크리트 빔은 필요하다면 중공 구멍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부 가장자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빔의 높이와 함몰부의 대응하는 깊이는 건축학적 및 공학적 필요에 따라 캐스팅단계에서 조정될 수 있다.
건축과정에서 전술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직립되고, 지지되며 함께 인터록이 된다.
단계 1) 지층 콘크리트(13)를 성형시키고 설정된 기둥위치에서 스타터바(16)들을 연장시킨다(도15A).
단계 2) 콘크리트 키커(18)를 축조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 및 인-시튜로 성형되는 기둥을 수용하기 위한 수준을 조정한다(도15B)(도15C).
단계 3)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들어올려서 각 위치에 직립시킨다.
단계 4) 기둥위치에서 상기 각 구멍속으로 보강용 강철바(19)를 삽입시키고, 콘크리트를 충전한다(도17A)(도17B).
단계 5) 직선적으로 정렬된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 사이에 피.브이.시(P.V.C) 가스켓(20)을 고정시키고, 밀봉화합물(22)을 주입하고 이어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갭을 밀봉시킨다(도18).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에서 사용하지 않은 구멍들은 상기 몰드 속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전에 피.브이.시 캡(24)을 삽입시켜 덮어준다(도18A)(도18B).
단계 6)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26)을 들어올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상에 놓는다(도19).
단계 7)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2)으로부터 연장되는 링크(8) 속으로 보강용 강철바(28)를 삽입한다(도20)(도20A).
단계 8)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층 슬랩의 상측에 철망(38)을 부가 설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의 상측에 상측바(40)를 부가 설치한다(도22)(도22A).
단계 9) 도22A의 조립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모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이 내부연결 및 인터록되어 단일화된 전체 구조물이 제작된다.
단계 10) 다음 층에 대하여 상기 단계 3) 내지 단계 9)를 반복수행한다.
단층 건물에 대하여는, 직선적으로 정렬된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것 사이에 위치하는 기둥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들은 U 자형 강철바(42)를 삽입시킴으로써 함께 내부연결 및 인터록되어질 것이다(도23).
콘크리트 슬랩의 한 가장자리는 두 개의 콘크리트 슬랩을 서로 인접되게 위치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을 강철바(33)에 의해 내부연결시킴으로써 다른 인접하는 콘크리트 슬랩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두 개의 콘크리트 슬랩의 연결부에서 어떠한 틈이나 갭도 적절한 밀봉재(32)로 밀봉되어진다(도21A).
보강용 콘크리트 빔이 두 개의 인접하는 콘크리트 슬랩 사이에 설치되거나, 벽체가 한 층으로부터 다음 층으로 직립설치되면, 상기 각 콘크리트 슬랩(26)은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콘크리트 빔(2) 상에 놓여진다. 콘크리트 슬랩의 한 측면이 인접하는 콘크리트 슬랩의 한 측면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홈통이 콘크리트 슬랩의 측면 가장자리와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상측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강철바(28)가 상기 홈통내로 놓여지며 강철 케이즈를 형성하기 위해 강철링크(8)들에 고정된다. 콘크리트가 상기 홈통으로 주입되어 보강용 콘크리트 빔을 형성하게 된다. 만약 원한다면 부가적인 콘크리트 벽체가 상기 보강용된 콘크리트 위로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용된 콘크리트 빔 위로 직립설치될 수 있다(도22).
본 발명의 이점은 다양한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조립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기둥들이 보강용 강철바와 콘크리트를 원하는 구멍 속으로 도입시킴으로써 축조되며, 인-시튜 성형되는 보강용 콘크리트 빔들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인접한 콘크리트 슬랩 패널의 상측에 축조되며, 모든 보강용 강철바가 견고하며 강건한 건축물을 형성하도록 내부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 시스템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적절한 형태를 선택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건물을 축조함에 있어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I 자형 콘크리트 패널의 길이는 건축학적 요구와 범용의 몰드 구조물 세트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된 길이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도24 내지 도32는 건축학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의 다양한 형태의 조합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벽체 패널 코니스, 문 프레임, 창문 프레임 및 다른 구조물의 표면에 대한 특정의 디자인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캐스팅을 수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캐스팅 및 건설을 하는 것은 용이하며, 품질은 끈임없는 인간적 요소에 의존하는 대신에 캐스팅 공장에서 조정된다. 벽체와 천정 마무리가 몰드 구조물 세트를 통하여 캐스팅 과정 동안에 형성되기 때문에 석고세공 및 천정공정이 없다.
직선 정렬된 콘크리트 벽체 패널 사이의 갭은 도18에서 처럼 중앙에 대한 정렬/조정을 제공하며, 구조적인 요구에 대한 팽창용 접합의 목적에 기여한다. 상기 갭은 또한 인접하여 위치한 콘크리트 벽체 패널에 의해 형성된 구멍 속으로 강철바와 콘크리트를 주입시킴으로써 인-시튜 성형된 기둥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8)

  1. 상부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패널 몸체; 및
    스타터바(starter bar)(16), 보강용 강철바(19), 와이어, 파이프 또는 콘크리트 등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의 성형과 동시에 성형된 코니스(corn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는 그 평탄면 상에 문(10) 또는 창문(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는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성형과 동시에 성형되는 코니스, 패턴, 인각, 교대(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는 그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는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된 세로방향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6. 슬랩의 변부를 따라 형성된 콘크리트 빔(34)과 상기 콘크리트 슬랩의 중심부에 형성된 함몰부를 구비하는 직사각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a) 그 횡단면이 I 자형인 I 자형 패널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I 자형 패널, b) L 자형 패널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L 자형 패널, c) T 자형 패널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T 자형 패널, d) 십자형 패널 및 문 또는 창문을 가지는 십자형 패널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되어지며,
    상기 패널은 그 상부 가장자리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 및 스타터바(16), 보강용 강철바(19), 와이어, 파이프 또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는 콘크리트 패널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축구조 시스템.
  8. 양측의 단부에 적어도 둘 이상의 인-시튜(in-situ)로 성형되는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몸체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축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패널의 복수개의 구멍은 인-시튜로 성형되는 기둥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용 철강바 및 콘크리트로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들은 단일의 대형 기둥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 시스템.
  1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건축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패널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함몰부가 직선적으로 정렬된 이전의 다른 패널의 대응하는 함몰부에 대향하여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에서 청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청구항 6에서 청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건축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으로부터 연장된 링크를 통하여 강철바를 유입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상에 철망 및 상측바를 설치한 후 상기 강철바, 철망 및 상측바 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시킴으로써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구조 시스템.
  12. (a) 설정위치에 스타터 강철바와 함께 지층 콘크리트를 캐스팅하는 단계;
    (b) 설정위치에 콘크리트 키커를 축조하는 단계;
    (c) 상기 성형된 콘크리트 키커 및 스타터 강철바 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를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선택된 구멍속으로 보강용 강철바를 삽입시키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선택된 구멍속으로 콘크리트를 주입시키는 단계;
    (f)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을 위치시키는 단계;
    (g)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으로부터 연장된 강철 링크에 강철바를 삽입시키는 단계;
    (h)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 상부에 철망을 설치하고, 상기 (g) 단계에서 설치된 강철바 위로 그리고 두 개의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을 가로질러 상측 강철바를 설치하는 단계; 및
    (i) 상기 철망 및 상측바가 덮여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시키는 단계;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건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서 두 개의 인접하는 구멍를 연결하는 U자형 강철바를 설치하고, 그후 상기 구멍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건축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된 위치 사이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횡단면이 I 자형인 I 자형 패널 및/또는 문 또는 창문을 구비한 I 자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I 자형 패널들은 그 길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같은 몰드 구조물로부터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건축방법.
  15. 보강된 콘크리트 빔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으로 이루어진 제 1 부분과 인-시튜로 성형되는 콘크리트 빔으로 이루어진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독립된 콘크리트 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건축구조물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된 콘크리트 빔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랩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빔으로 이루어진 제 3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부분은 독립된 콘크리트 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건축구조물 시스템.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패널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구비하는 구조물.
  18.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4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구비하는 구조물.
KR1019980701431A 1995-09-08 1996-09-07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9990044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9502668 1995-09-08
MYPI9502668 1995-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195A true KR19990044195A (ko) 1999-06-25

Family

ID=1974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431A KR19990044195A (ko) 1995-09-08 1996-09-07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223480B1 (ko)
EP (1) EP0848772A4 (ko)
JP (1) JPH11512502A (ko)
KR (1) KR19990044195A (ko)
CN (1) CN1080800C (ko)
AP (1) AP1026A (ko)
AR (1) AR003528A1 (ko)
AU (1) AU727062B2 (ko)
BR (1) BR9610515A (ko)
CA (1) CA2231463A1 (ko)
EA (1) EA000593B1 (ko)
ID (1) ID16004A (ko)
NZ (1) NZ320768A (ko)
TW (1) TW352398B (ko)
WO (1) WO1997011237A1 (ko)
ZA (1) ZA967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6776B1 (it) * 2000-02-18 2003-05-12 Sergio Zambelli Pannello prefabbricato in calcestruzzo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in costruzioni civili o industriali
US6637162B1 (en) * 2001-12-19 2003-10-28 William F. Holland Modular precast spa system
BE1015668A3 (nl) * 2003-09-01 2005-07-05 Cornelis Paul Alfons Mathilde Vloerelement.
US20080005990A1 (en) * 2003-10-06 2008-01-10 Oscar Marty Modular system of permanent forms for ca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on site
US7472520B2 (en) * 2005-03-17 2009-01-06 Steve Eugene Everett Structural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same
FR2889548B1 (fr) * 2005-08-04 2007-10-05 Bernard Millet Modules prefabriques en beton architectonique moule portant huisseries, isolation, fluides et parement, destines a la realisation de maisons individuelles ou de locaux professionnels
KR100926140B1 (ko) * 2007-08-21 2009-11-10 이완영 Pc부재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US20090313924A1 (en) * 2008-06-18 2009-12-24 Gillespie Hubert R Concrete building structures
IT1395506B1 (it) * 2009-07-24 2012-09-28 B B Bonelli Building S R L Elemento di parete prefabbricato
RU2421580C1 (ru) * 2009-12-21 2011-06-20 Дахир Курманбиевич Семенов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ой
CN102959162B (zh) 2010-08-24 2015-03-18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预制墙板
WO2012024814A1 (en) 2010-08-24 2012-03-01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Reinforced concrete dense column structure systems
CN102720360B (zh) * 2011-05-19 2015-04-01 陈永生 高楼托吊浇灌水泥模架建材吊运外墙吊箱的组合装置
CN103088922A (zh) * 2011-11-01 2013-05-08 长沙远大住宅工业有限公司 预制空心板键式整体连接结构
WO2014022884A1 (en) 2012-08-07 2014-02-13 Nandor Koszo A wall assembly and a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the wall assembly
CN103233520B (zh) * 2013-01-21 2017-03-22 宿迁市明远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结构自防水施工方法
US9487943B2 (en) * 2013-03-16 2016-11-08 Thuan Bui Component building system
CN103711245B (zh) * 2013-12-20 2017-02-22 魏琏 无梁空心楼盖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711308B (zh) * 2014-01-17 2016-05-04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工具式钢柱支撑钢平台爬升系统及其使用方法
CN104481052A (zh) * 2014-12-05 2015-04-01 湖北全洲扬子江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聚乙烯丙纶外墙抗裂防渗漏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695557B (zh) * 2015-01-31 2017-04-19 陕西建工安装集团有限公司 钢结构建筑预埋地脚螺栓一次到位施工方法
CN104675014B (zh) * 2015-03-17 2017-08-01 西安建筑科技大学 基于马牙槎连接的装配式钢纤维污泥陶粒混凝土墙体及其施工方法
CN104675012B (zh) * 2015-03-17 2017-09-05 西安建筑科技大学 基于马牙槎连接的装配式聚丙烯纤维污泥陶粒混凝土墙体及其施工方法
WO2017219063A1 (en) 2016-06-23 2017-12-28 Hickory Design Pty Ltd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loor in a multistorey building
CN106522552B (zh) * 2016-12-16 2018-09-14 刘祥锦 一种装配式板柱结构楼板及其划分方法以及楼板单元构件
CN108978967A (zh) * 2018-09-10 2018-12-11 哈尔滨学院 一种全截面预制局部叠合连接混凝土楼板的方法
CN109518889A (zh) * 2018-12-06 2019-03-26 东莞市建安集团有限公司 一种亚刚性屋面结构板构造及防裂漏施工方法
CN110219372A (zh) * 2019-05-29 2019-09-10 苏州良浦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墙板与建筑主体的快速连接结构
CA3047467A1 (en) * 2019-06-20 2020-12-20 Adam FARHADKHANI Concrete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CN110905117B (zh) * 2019-12-06 2021-09-24 山东平安建筑工业化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墙板
US11692341B2 (en) * 2020-07-22 2023-07-04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Lightweight concrete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MIC) system
CN114261014B (zh) * 2022-01-19 2024-03-08 湖南明湘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水泥基纳米复合材料人防门门扇生产方法
CN114833925A (zh) * 2022-05-18 2022-08-02 济南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型楼层内部非承重隔断墙板结构及其制造方法
CN114888928B (zh) * 2022-06-29 2024-05-24 济南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组合的墙面浇筑铝合金模板模块
CN115853136A (zh) * 2023-02-28 2023-03-28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室内预制梁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368A (en) * 1908-11-04 1910-07-05 Thomas Hall Concrete structure.
US1072293A (en) * 1912-04-25 1913-09-02 Carlo Zeimet Sectional concrete building.
US1726169A (en) * 1927-12-14 1929-08-27 Edwin M Winter Building construction
US1982217A (en) * 1928-11-08 1934-11-27 Henry H Luehrs Unit concrete wall construction
US1924801A (en) * 1931-01-02 1933-08-29 Russell C Olmsted Concrete building
US2043697A (en) * 1933-02-23 1936-06-09 Otto A Deichmann Building structure
US2218694A (en) * 1936-07-03 1940-10-22 Mstislav N Egoroff Building construction
FR938349A (fr) * 1946-12-26 1948-09-10 Entpr S Soc Gen Procédé de construction au moyen d'éléments préfabriqués
FR1006076A (fr) * 1947-11-10 1952-04-18 Plancher en béton armé
GB650634A (en) * 1948-06-11 1951-02-28 Ariosto Semeraro Improved method of erecting houses or other structures from prefabricated elements
US2708359A (en) * 1952-09-02 1955-05-17 Clarence B Henry Expansion joint for masonry walls
US3035375A (en) * 1959-08-20 1962-05-22 Lloyd H Williams Method of making a sealed joint masonry block wall structure
CH447543A (it) * 1965-10-11 1967-11-30 Taranto Sergio Procedimento di costruzione con elementi prefabbricati
DE1609630A1 (de) * 1966-02-17 1970-04-30 Becker Franz Josef Fertigteil-Wandelement fuer die Herstellung von Fertigbauten
BE697557A (ko) * 1966-05-03 1967-10-02
US3803788A (en) * 1968-06-19 1974-04-16 P Artmann Building constr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tructural elements for such construction
US3535841A (en) * 1969-03-10 1970-10-27 Howard A Lorenz Building systems
US3604169A (en) * 1969-06-02 1971-09-14 J D Distributing Co Sealing strips
US3662506A (en) * 1970-01-12 1972-05-16 Thomas J Dillon Unitized building structure utilizing precase components
US3685241A (en) * 1971-04-19 1972-08-22 Russell C Cooper Wall construction
US3759002A (en) * 1971-06-16 1973-09-18 E Cornella Building construction of spaced panels with weather seals
GB1402259A (en) * 1971-10-13 1975-08-06 Hollandsche Betongroep Nv Building method and structure using prefabricated elements
DE2155456A1 (de) * 1971-11-08 1973-05-17 Siegfried Bezold Bausatz aus betonfertigteilen zum aufbau eines kellers fuer ein gebaeude
FR2467923A2 (fr) * 1971-11-15 1981-04-30 Olle Jean Louis Procede de construction a l'aide de panneaux prefabriques et construction ainsi realisee
US3821869A (en) * 1972-03-02 1974-07-02 B Morgan Joint construction for concrete structures
US3891178A (en) * 1973-07-16 1975-06-24 Paul S Kelsey Precast panels with corner-divider projections
US3919820A (en) * 1973-12-13 1975-11-18 Johns Manville Wall structure and device for sealing thereof
DE2430635A1 (de) * 1974-06-26 1976-01-15 Johann Trou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hlbeton-skelettbaues fuer gebaeude aller art sowie betonfertigteile
US3952471A (en) * 1974-08-05 1976-04-27 Mooney Edward L Precast wall panel and building erected on site therefrom
US4147009A (en) * 1975-12-04 1979-04-03 Watry C Nicholas Precast panel building construction
IT1091801B (it) * 1976-08-05 1985-07-06 Igeco Pontello Prefab Elemento di parete prefabbricate per costruzioni edili
FR2441127A1 (fr) * 1978-11-09 1980-06-06 Falicon Pierre Assemblage d'elements porteurs prefabriques
FR2488930A1 (fr) * 1980-08-19 1982-02-26 Kamal Ahmed Procede et ensemble d'elements prefabriques auto-coffrants et auto-bloquants pour l'erection d'un batiment a chainage continu incorpore et a armature integree et batiments obtenus
US4398378A (en) * 1980-09-24 1983-08-16 Auto-Cast International, Ltd.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component part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FR2495207A1 (fr) * 1980-12-03 1982-06-04 Michael Gold Batiment prefabrique a plusieurs etages
IT1143450B (it) * 1981-11-30 1986-10-22 Francesco Ruscica Compoinente edile modulare per la costruzione di edifici e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sua fabbricazione
DE3424430A1 (de) * 1984-07-03 1986-01-16 Anton 2000 Hamburg Swiatopelk-Mirski Kombinationssystem aus vorgefertigten bausegmenten fuer die errichtung vollstaendiges wandsaetzes eines gebaeudes
FR2625915B1 (fr) * 1988-01-15 1990-05-25 Degremont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planchers pour filtres, et planchers ainsi realises
US4942707A (en) * 1988-02-22 1990-07-24 Huettemann Erik W Load-bearing roof or ceiling assembly made up of insulated concrete panels
GB9209063D0 (en) * 1992-04-27 1992-06-10 Colebrand Ltd A method of connection
BE1006516A3 (nl) * 1993-01-25 1994-10-04 Marmorith Betonindustrie Betonnen vloerplaa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deze vloerplaat.
DE4323011A1 (de) * 1993-07-09 1995-01-12 Martin Dipl Ing Wochner Stahlbetonfertigbauteil und damit errichtetes Gebäude
JPH0748879A (ja) * 1993-08-05 1995-02-21 Takeshige Shimonohara 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H07229203A (ja) * 1994-02-21 1995-08-29 Oak Sekkei:Kk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の接合部
US5758461A (en) * 1995-07-17 1998-06-02 Robert D. Holmes Lightweight,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s
US5761862A (en) * 1995-10-03 1998-06-09 Hendershot; Gary L.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8772A1 (en) 1998-06-24
AP1026A (en) 2001-11-19
ZA967555B (en) 1997-06-20
AR003528A1 (es) 1998-08-05
AU727062B2 (en) 2000-11-30
US20020005021A1 (en) 2002-01-17
CN1080800C (zh) 2002-03-13
WO1997011237A1 (en) 1997-03-27
CA2231463A1 (en) 1997-03-27
EA000593B1 (ru) 1999-12-29
AU7357196A (en) 1997-04-09
ID16004A (id) 1997-08-28
EA199800277A1 (ru) 1998-10-29
TW352398B (en) 1999-02-11
CN1196104A (zh) 1998-10-14
BR9610515A (pt) 1999-03-30
EP0848772A4 (en) 1998-12-30
NZ320768A (en) 1999-08-30
AP9801189A0 (en) 1998-03-31
JPH11512502A (ja) 1999-10-26
US6223480B1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4195A (ko) 건물축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US5553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building structures
CA1147977A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component part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RU2418917C2 (ru) Структурные элемен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8887466B2 (en) System for constructing walls using blocks equipped with coupling means
GB2062062A (en) Building blocks wall structur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0777983A (zh) 一种混凝土填充墙与现浇结构同步施工结构及方法
US6098367A (en) Constructive system applied for buildings
CN113529956A (zh) 一种剪力墙盒式装配式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61959B1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GB2188079A (en) Building structure
GB2159849A (en) Open frame box unit and casting facility for its production
KR102197994B1 (ko)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5907293U (zh) 一种免粉刷排气烟道及装配式烟道安装结构
KR20017887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KR100653259B1 (ko)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CN111749395B (zh) 一种空心隔墙板及其竖向连接方法
CN110700468A (zh) 预制拼装式箱型免拆模密肋叠合楼板施工方法
CN217299310U (zh) 一种预制楼板与预制楼板连接节点
JPH07217020A (ja) プレキャスト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接合構造
CN217299404U (zh) 一种预制楼板结构
CN217299267U (zh) 一种全装配式建筑
CN220100289U (zh) 一种超高alc墙板与砖砌体复合隔墙结构
RU2105849C1 (ru) Способ поточного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гаражей боксового типа
US6829870B2 (en) Building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