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874Y1 -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874Y1
KR200178874Y1 KR2019970002923U KR19970002923U KR200178874Y1 KR 200178874 Y1 KR200178874 Y1 KR 200178874Y1 KR 2019970002923 U KR2019970002923 U KR 2019970002923U KR 19970002923 U KR19970002923 U KR 19970002923U KR 200178874 Y1 KR200178874 Y1 KR 200178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wall
thickness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501U (ko
Inventor
전주한
Original Assignee
전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한 filed Critical 전주한
Priority to KR2019970002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87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5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9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completely or partially of insulating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or foamed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36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 E04C5/064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the reinforcing elements in each plane being formed by, or forming a, mat of longitunal and transvers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층건물의 하중을 지탱할 만한 강도의 내력용 벽체를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공장제작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공사기간을 감축시키고 거푸집설치공사를 대폭적으로 생략시키며 철근공사를 간편하계 하여 주기 위하여. 철선트러스(11)들의 앙측에 횡철선(12)들을 용착하여서 된 3차원철선구조체(10)와,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열판부(20)와,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10)의 양측 외면에 결속되는 구조용종철근(30)들과, 상기 단열판부(20) 및 3차원철선구조체(10)를 감싸고 구조용종철근(30)들의 중간부를 매립시키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마감층(40)으로 구성되는 벽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구조 전체를 공장에서 완전히 제작하여 상기 콘크리트마감층(40)을 PC콘크리트부(40A)로 형성하되, 상기 구조용종철근(30)은 PC콘크리트부(40A)로부터 그 상하단부가 해당층 슬라브 두께만큼 노출된 이음부(31)를 가지도록하고, 상기 PC콘크리트부(40A)에는 상단부에서 상부층 슬라브 두께만큼 상향 연장되는 돌출판부(41)를 구비시켜서, 그 이음부(31) 및 돌출판부(41)가 상층부벽체관넬(200) 및 해당층 슬라브판넬(300)을 시공할 때에 이음철근 및 거푸집판으로서 사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본고안은 공장에서 전체구조가 완전히 제작되는 건축용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콘크리트부에 돌출판부를 구비시켜 외측 거푸집판으로서 사용되도록 하고 PC콘크리트부로부터 상하노출되는 종철근이 상하벽체 및 해당층 슬라브의 이음철근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습식공법과 PC공법을 혼합하여 양 공법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며, 단점을 서로 보완하는 새로운 시공방식으로 이용되는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용 와이어 벽계판넬은 철선으로 정형워렌트러스형, 변형워렌트러스형, 2중워렌트러스형등의 형체를 갖추는 철선트러스를 제작하고, 이 트러스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정렬하여 그 양측 외면에 횡철선들을 가로로 용착시켜 제작한 3차원 철선구조체의 중앙부에 폴리스틸렌, 폴리우레탄. 기포콘크리트 등으로 채운, 내측판넬을 공장제작하고, 이 제품을 현장으로 반입하여 벽체가 설치될 부분에 배치한 후에 구조용 철근들을 조립하고 그 양면에 시멘트몰탈을 발라 현장에서 마감하는 기술을 통하여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벽체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 4-258434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평행하여 마주보게 배치된 철망판(7)들을 래티스재(9)로 연결하고 철망판(7)사이의 중앙부에 단열판(8)을 배치하여서 된 철망판넬(1)과, 이 철망판넬(1)의 표면상에 세로근(2), 가로근(3) 및 평망(4)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서 된 보강재층(5)과, 이 보강재층(5)에 수경성조성물을 도착시켜서된 경화물층(6)으로 구성된 벽체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 벽체를 시공하는 공법은 재래식 조적공법이나 철근콘크리트공법에 비하여 자재와 노임을 절약하고 건물의 무게를 경량화시키며 공기를 단축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벽체의 내부구조를 이루는 내부판넬부분만 공작제작하고, 그밖의 배근 및 몰탈바름작업은 현장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시공상의 여러 문제점이 따랐고, 현장시공에 수반되는 노동력과 자재관리상의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또 현장시공의 한계성 때문에 벽체의 양면에 몰탈두께를 고층건축물의 하중을 지탱할 만큼 두껍게 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구조내력벽으로 사용하는 것이 극도로 제한될 뿐만 아니라, 상,하층 벽체 및 해당층 슬라브와 연결시키기 위한 미경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별도의 거푸집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거푸집설치공사부분에서 공사기간 및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안은 종래 와이어 벽체판넬을 이용한 현장시공에서 수반되는 상기한 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첫째 고층건물의 하중을 지탱할 만한 강도의 내력용 벽체를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공장제작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공사기간을 감축시켜 주고, 둘째 상부층 슬라브 두께만큼의 높이로 상향 연장되는 돌출판부를 구비시켜서 해당층 슬라브와 상,하층 벽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미경화 콘크리트 타설공사시 거푸집판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설치공사를 대폭적으로 생략하여 주며, 셋째 구조용 종철근의 상하단부를 PC콘크리트로부터 해당층슬라브 두께만큼의 높이로 노출시켜서 해당층 슬라브와 상,하층 벽체를 연결하기 위한 배출시 이음철근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철근공사를 간편하게 하여 주는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l(a)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C콘크리트 벽체판넬의 일부절결사시도.
제1(b)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PC콘크리트 벽체판넬의 일측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콘크리트 벽체판넬의 일측단면도.
제3(a)도는 본고안에 따른 벽체판넬의 일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3(b)도는 본고안에 따른 벽체판넬의 다른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3차원철선구조체 11 : 철선트러스
11a : 사현재철선 11b : 상,하현재철선
12 : 횡철선 20 : 단열판부
30 : 구조용종철근 31 : 이음부
40 : 콘크리트마감층 40A : PC콘크리트부
41 : 돌출판부 100 : 하층부벽체판넬
200 : 상층부벽체판넬 300 : 슬라브판넬
301 : 채움콘크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은 철선트러스들의 양측에 횡칠선들을 용착하여서 된 3차원철선구조체와, 3차원철선구조체의 내측에 위치되는 단열판부와, 3차원철선구조채의 양측 외면에서 그 상하단부가 연장되게 세워져서 결속되는 구조용종철근들과 상기 단열판부 및 3차원철선구조체를 감싸고 구조용종철근들의 중간부를 매립시키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마감층으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벽계에 있어서,
상기 벽체 전체를 공장에서 완전히 제작하여 상기 콘크리트마감층을 PC콘크리트부로 형성하되, 상기 PC콘크리트부에는 그 일측외면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두께로 상층부 슬라브 높이만큼 상향 연장되는 돌출판부를 구비시키고, 상기 구조용종철근은 PC콘크리트부로부터 해당층 슬라브두께만큼 상하노출되는 이음부를 가지도록 하여서, 그 돌출판부 및 이음부가 상층부 벽체 및 해당층 슬라브를 시공할 때에 이음철근 및 거푸집판으로서 사용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기술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 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은 제1(a), 제1(b)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현재철선(11a) 및 상,하현재철선(l1b)으로 이루어지는 철선트러스(11)들을 일렬로 배치하고 그 철선트러스(11)들의 양측에 횡칠선(12)들을 용착하여서 된 3차원철선구조체(10)와,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열판부(20)와,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10)의 양측 외면에 그 상하단부가 일정부분 연장되게 세워져서 결속되는 구조용종철근(30)들과, 상기 단열판부(20) 및 3차원철선구조체(10)를 감싸고 구조용종철근(30)들의 중간부를 매립시키면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마감층(40)으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 전체를 공장에서 완전히 제작하여 상기 콘크리트마감층(40)을 PC콘크리트부(40A)로 형성하되, 상기 구조용종철근(30)은 PC콘크리트부(40A)로부터 상부중 슬라브두께만큼 그 상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이음부(31)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PC콘크리트부(40A)에는 그 일측외면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두께로 해당층 슬라브두께 만큼 상향 연장되는 돌출판부(41)를 구비시킨 기술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본고안의 실시예는 단열판부로 경량단열재 등을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요구되는 벽두께를 유지시키면서 건물의 무게를 줄이도록 배려한다.
이와 같은 본고안의 실시에는 제3(a)도의 도시와 같이, 하층부벽체판넬(100)에서 해당층 슬라브의 두께만큼 PC콘크리트부(40A)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용종철근(30)의 상단 이음부(31)와 상층부벽체판넬(200)에서 노출되는 구조용종철근의 하단 이음부(31)와 해당층 슬라브판넬(300)로부터 연장되는 구조용종철근들을 겹쳐서 용착시키고, PC콘크리트부(40A)의 외측상부로 연장된 돌출판부(41)를 거푸집판으로 이용하여서 미 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고안의 실시예는 벽체판넬의 양면을 PC콘크리트부로 형성함으로써 현장시공에 따르는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상하층 벽체판넬의 상하로 연장노출되는 구조용종철근을 슬라브판넬에서 연장노출되는 구조용종철근에 용착시키고 돌출판부를 이용하여 미경화콘크리트로 현장타설함으로써,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일체화시킨다는 점에서 본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는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현재철선(11a) 및 상,하현재철선(11b)으로 이루어지는 철선트러스(11)들을 일렬로 배치하고 그 철선트러스(11)들의 양측에 횡철선(12)들을 용착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3차원철선구조체(10)는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니트로 만들어지는 벽체판넬 내부에 배치되어서, 그 양측에서 형성되는 PC콘크리트부(40A)를 상호 견고하게 결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철선트러스는 필요에 따라 정형워렌트러스, 변형워렌트러스, 2중워렌트러스 등의 형체를 갖게 제작된다.
상기 단열판부(20)는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3차원철선구조체의 중심에 소정두께로 형성되며 그 소재가 경량재질 및 단열재질로 만들어져서 부재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실내의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단열판부(20)는 경량콘크리트, 우레탄 스티로폴 등 여러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겠으나, 본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 소재가 가벼우면서 단열성이 우수한 우레탄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상기 구조용종철근(30)은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10)의 좌우측에 일정간격마다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결속되며 그상하끝부분들은 이음부(31)들이 상하방으로 각각 연장돌출되고, 그 가운데부분은 상기 PC콘크리트부(40A) 매립된다.
이와 같은 구조용종철근(30)은 벽체판넬의 좌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그 상하부에 연장돌출되는 이음부(31)를 통하여 상하층 벽체판넬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건물 전체를 하나의 구조체로 묶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용종철근(30)은 그 상하끝부분들이 상하방으로 각각 연장돌출되는 이음부(31)들을 가지므로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층부벽체판넬(100)의 상단 이음부(31)와 상층부벽체판넬(200)의 하단 이음부(31)간을 서로 겹쳐서 용접함으로써 상하층 벽체판넬들을 연속적으로 적층조릴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PC콘크리트부(40A)는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판부(20)의 내,외측면에 형성되며, 그 단열판부(20)와 3차원철선구조체를 감싸면서 상기 구조용종철근(30)의 중간부를 매립하여서 본고안 벽체판넬의 마감층을 이룬다
이렇게 3차원철선구조체와 일체가 되게 타설되어 양생되는 PC콘크리트부(40A)는 소재가 구조용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상부에 걸리는 적재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처럼 본고안의 벽체판넬에서 PC콘크리트부(40A)가 내력구조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C콘크리트판넬의 양쪽부분을 서로 견고하게 결착시켜 주는 역할을 3차원철선구조체(10)가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PC콘크리트부(40A)는 제1(a), 제1(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외측 상단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판부(41)가 구비된다. 이 돌출판부(41)는 그 높이가 시공되는 해당층 슬라브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 돌출판부(41)는 제3(a)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층 슬라브를 시공할 때 외측거푸집판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의 외측거푸집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에 따르면 외측거푸집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해당층 슬라브판넬(300)은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한 3차원철선구조체로 형성되는 슬라브판넬(300)의 하측에만 PC콘크리트를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는 경량콘크리트를 처리한 후에 현장에서 상,하층부벽체판넬(200)(100)과 함께 시공한 후에 그 위에 채움론크리트(301)를 현장타설하여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고안은 종래 와이어 벽체판넬을 이용한 현장시공에서 수반되는 상기한 제 문제점들을 해결한 것으로, 전체적인 구조를 공장에서 완전히 제작한 내력용 벽체판넬을 구현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고, 해당층 슬라브 두께만큼의 높이로 상향연장되는 돌출판부가 미경화콘크리트 타설공사시 거푸집판으로 사용됨으로써 거푸집설치공사의 생략으로 인해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크게 감축되며, PC콘크리트로부터 노출된 구조용종철근의 상하단부가 이음철근으로 사용됨으로써 철근공사가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를 일체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사현재철선(l1a) 및 상,하현재철선(l1b)으로 이루어지는 철선트러스(11)들을 일렬로 배치하고 그 철선트러스(11)들의 양측에 횡철선(12)들을 용착하여서된 3차원철선구조체(10)와, 상기 3차원칠선구조체(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열판부(20)와, 상기 3차원철선구조체(10)의 양측 외면에 그 상하단부가 일정부분 연장되게 세워져서 결속되는 구조용종철근(37)들과, 상기 단열판부(20) 및 3차원철선구조체(10)를 감싸고 구조용종철근(30)들의 중간부를 매립시키면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마감층(40)으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 전체를 공장에서 완전히 제작하여 상기 콘크리트마감층(40)을 PC콘크리트부(40A)로 형성하되, 상기 구조용종철근(30)은 PC콘크리트부(40A)로부터 해당층 슬라브두께만큼 그 상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이음부(31)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PC콘크리트부(40A)에는 그 일측외면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두께로 상부층 슬라브두께 만큼 상향 연장되는 돌출판부(41)를 구비시켜서, 그 이음부(31) 및 돌출판부(41)가 상층부벽체판넬(200) 및 해당층 슬라브판넬(300)을 시공할 때에 이음철근 및 거푸집판으로서 사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KR2019970002923U 1997-02-24 1997-02-24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KR200178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23U KR200178874Y1 (ko) 1997-02-24 1997-02-24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23U KR200178874Y1 (ko) 1997-02-24 1997-02-24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01U KR19980058501U (ko) 1998-10-26
KR200178874Y1 true KR200178874Y1 (ko) 2000-05-01

Family

ID=1949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923U KR200178874Y1 (ko) 1997-02-24 1997-02-24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477A (ko)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누리가온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40A (ko) * 2001-03-10 2001-07-25 전주한 PC Wire Wall Panel의 석재 시공 기술
KR20030003808A (ko) * 2001-07-04 2003-01-14 김미자 두루마리 철근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방법및 그 시공수단
KR101214980B1 (ko) * 2011-08-16 2013-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331599B1 (ko) * 2011-08-24 2013-11-21 이승영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시설물
KR101630235B1 (ko) * 2015-02-09 2016-06-1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110700420B (zh) * 2018-07-10 2024-10-29 周兆弟 一种装配式建筑的预制墙体和装配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477A (ko)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누리가온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01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702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EP2021555B1 (en) Concrete beam
US4590729A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the erection of buildings
CN113026965A (zh) 预制梁与免支撑预制板连接节点及施工方法
EP0048728B1 (en) Construction system based on thin concrete boards and cassette el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KR20050054407A (ko) ㄱ형강 콘크리트구조
KR20017887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EP0584093B1 (en) Building elements
US2151399A (en) Building construction
CN112538915A (zh) 一种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US4228625A (en) Construction system
CN117403934A (zh) 面向低层住宅的新型装配式混凝土结构体系
CN212001599U (zh) 一种大跨度可变空间的装配式建筑
CN104594671A (zh) 高海拔、高烈度震区500kV变电站全装配式主控楼
EP3719229B1 (en) Concrete floor panel, method of production of such panel and floor made of this panel
CN210164103U (zh) 混合式预制多腔钢筋混凝土墙、地下空间结构体系
KR200153041Y1 (ko) 하프pc 콘크리트 슬라브판넬
CN203475599U (zh) 耐震、预制的钢管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EP4481129A1 (e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kit, the method of making said kit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said construction kit
CN111021544A (zh) 一种大跨度可变空间的装配式建筑及其建造方法
RU2745262C1 (ru) Сбор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кровельных панелей, карнизных панелей и стеновых плит и способ её соединения
CN115977275B (zh) 预制剪力墙体系及其施工方法
CN110700468A (zh) 预制拼装式箱型免拆模密肋叠合楼板施工方法
CN220620635U (zh) 一种双向密肋钢筋桁架混凝土空心楼盖组合板
CN220433898U (zh) 装配式肋格构建筑结构及建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2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2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2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