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800A -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800A
KR19990040800A KR1019970061279A KR19970061279A KR19990040800A KR 19990040800 A KR19990040800 A KR 19990040800A KR 1019970061279 A KR1019970061279 A KR 1019970061279A KR 19970061279 A KR19970061279 A KR 19970061279A KR 19990040800 A KR19990040800 A KR 1999004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ensor
vehicle door
moving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805B1 (ko
Inventor
한영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80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0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는 차량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동부재(10)와,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이동부재(10)의 이동경로상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10)가 통과시 차례로 이를 감지하는 2 개의 고정센서(40)와, 상기 두 고정센서(4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20)와, 상기 두 고정센서(40)의 신호를 받아 얻어지는 상기 이동부재(10)의 이동속도를 기초로 상기 이동부재(10)가 부착된 도어의 닫힘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험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닫을 때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10)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도어담힘성능을 측정하며, 이 때 종래 장치과 비교하여 그 설치 및 측정이 용이하고, 1 인만으로도 측정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본 발명은 차량 성능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설치된 각종 도어가 부드럽게 닫히는지를 측정함에 있어, 차량 도어 이동속도를 기준으로 측정하며 그 외 설치가 간편하고 측정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기본적으로 주행성능이 뛰어날 것이 요구되지만, 그 외 차량 정지후 도어를 개페할 때 발생하는 충격량 역시 차량 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 현재 차량의 각종 도어, 즉 프론트 및 리어 도어외 테일 게이트와 후드 등을 개폐할 때 탑승객이 갖는 느낌은 이미 상품 수준의 급수로 따질 만큼 차량 개발시 신경을 쓰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차량 설계시 이러한 각종 차량의 도어들이 가볍고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차량 성능시험시에는 이러한 도어 개폐 성능을 측정하여 비교평가하고 있다.
도 1 은 이러한 성능을 측정하는 종래의 장치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코일 스프링(1)의 장력을 이용하여 줄(2)에 연결된 하중계의 하중을 읽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예측한 하중값이 되면 문을 일정한 각도만큼 열었다가 놓았을 때 그 닫힘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하중값을 보통 0.2 kg 단위로 수십번 시행하여 그 값을 결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시험시 2 사람 이상이 필요하며, 장치고정이 어려울 뿐 아니라 밀폐된 차량에서 장시간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시험자의 피로가 가중되며, 그 외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지 않고 사용이 번거로운 점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차량 도어의 개페성능 측정에 있어서, 1인만으로도 시험이 가능하고, 그 장치 고정이 간편하며 그 외 차량의 각종 도어에의 적용이 용이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 도어 닫힘성능을 측정하는 장치의 설치 및 작동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 와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를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로,
도 2는 테일 게이트, 도 3은 프론트 도어에 적용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 중 센서 고정부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4 는 센서 고정부의 정면도, 도 5 는 측면도, 도 6 은 평면도,
도 7 은 도 4 의 a - a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 은 이동부재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8 은 정면도, 도 9 는 평면도, 도 10 은 도 8 의 b - b 단면도,
도 11 은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이동부재 11 : 지지대
12,13a,13b : 홈 14 : 이동판
15 : 고정수단 20 : 센서 고정부
21 : 받침판 22 : 수직 고정대
23 : 수직 고정봉 24 : 수직 파이프
25 : 조정핸들 27 : 수평대
30 : 힌지고정부 31 : 수직고정몸체
32 : 결합홀 40 : 고정센서
41 : 제 1 센서 42 : 제 2 센서
43 : 센서 몸체 44 : 케이블
45 : 결합홀 46 : 결합나사
50 : 속도 측정기 51 : 케이스
52 : 전원 스위치 53 : 표시부
60 : 프론트 도어 70 : 테일 게이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동부재와,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경로상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통과시 차례로 이를 감지하는 2 개의 고정센서와, 상기 두 고정센서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와, 상기 두 고정센서의 신호를 받아 얻어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속도를 기초로 상기 이동부재가 부착된 도어의 닫힘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양끝단과 중앙에 홈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홈에 일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판과,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가 차량도어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도어 표면에 부착시 내부에 진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압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컵형상의 탄성체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고정된다.
상기 속도 측정기는 전원 스위치와, 센서간의 거리가 입력되는 거리 입력부와, 상기 이동판이 제 1 센서에서 제 2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이 입력되는 시간 입력부와, 상기 거리 입력부와 상기 시간 입력부의 신호를 받아들여 도어의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 계산부와, 상기 속도 계산부에서 얻어진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 고정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수직 고정대와, 상기 수직 고정대의 상부에 전후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수평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센서는 2 개의 U 자형의 형상을 하고 상기 속도 측정기에 케이블로 연결된 센서몸체와, 상기 센서몸체의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상기 수평대가 끼워진 후 이를 조여 고정하는 결합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와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를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로, 도 2는 테일 게이트에 적용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3 은 프론트 도어에 적용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4 내지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 중 센서 고정부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4 는 센서 고정부의 정면도, 도 5 는 측면도, 도 6 은 평면도, 도 7 은 도 4 의 a - a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 은 이동부재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8 은 정면도, 도 9 는 평면도, 도 10 은 도 8 의 b - b 단면도, 도 11 은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는 크게 차량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동부재(10)와, 고정센서(20)와, 상기 고정센서(2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40)와, 상기 고정센서(20)의 신호를 받아 얻어지는 상기 이동부재(10)의 이동속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이동부재(10)가 부착된 도어(60)의 닫힘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기(5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0)는 개페되는 도어(60)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지대(11)와, 이동판(14)과, 고정수단(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좌우로 긴 형상의 몸체로서 중앙에는 몸체와 수직방향으로 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끝단에도 홈(13a,1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홈(12,13a,13b)에 일부분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된 이동판(14)이 구비되는데, 이 이동판(14)은 상기 홈(12,13a,13b)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상태에서 외부로 어느 정도의 면적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1)를 차량 도어(60)에 부착하는 고정수단(15)으로서 컵형상의 탄성체(16)가 지지대(11) 양측에 구비된다. 이 컵형상의 탄성체(16)는 그 하단이 홀더(17)에 의해 고정되고, 다시 고정나사(19)에 의해 상기 지지대(11)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홀더(17)는 상기 탄성체(16)의 전후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운데에 공간이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 지지대(11)가 끼워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컵형상의 탄성체(16)는 그 외주면에는 도어(60)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그 공간부(18)가 진공이 됨으로써 압력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충분히 밀폐된 재질이어야 한다.
한편, 상기 센서 고정부(20)는 받침판(21)과, 수직 고정대(22)와, 수평대(27)로 구성되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판(21)은 그 위에 설치된 구조물이 충분히 지지되도록 다소 무게가 있는 재질로 구비하고, 그 중앙에는 수직 고정봉(23)이 고정된다. 이 수직 고정봉(23)은 내부에 통공이 구비된 수직 파이프(24)내에 밑에서부터 삽입되는데, 이 때 상기 수직 파이프(24)를 상하로 움직인 후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이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수직 파이프(24)의 하부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조정핸들(25)이 부착된 조정나사(26)를 상기 수직 파이프(24)의 외부로부터 삽입시킨다.
한편, 상기 수직 고정대(22)의 상부에 전후회전이 가능하도록 수평대(27)가 힌지고정된다. 도 7 은 이 수평대(27)의 힌지고정부(30)의 구조를 상세히 보이고 있다. 즉 우선 상기 수평대(27)가 상기 수직 파이프(24)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고정몸체(31)가 구비되는데, 이 수직고정몸체(31)의 하단 및 상기 수직 파이프(24)의 상단에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는 결합홀(32)이 형성되고, 이를 레버형 고정나사(33)로 결합시킴으로써 그 착탈이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위를 힌지축으로 앞뒤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수직고정몸체(31) 상부에는 수평대(27)가 직접 고정되는 고정몸체(35)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그 전방에는 수평대(27)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고 내부에 결합홀이 형성된 돌출부(36)가 구비되고, 후방은 상기 수직고정몸체(31)를 관통하여 핀(37)으로 고정된다. 또 상기 돌출부(36) 상부에는 수평대를 고정하는 고정나사(38)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대(27)를 일단 삽입 후 단단히 조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센서 고정부(20)에 고정되는 고정센서(40)는 2 개의 U 자형 형상을 한 센서 몸체(43)가 상기 속도 측정기(50)에 케이블(44)로 연결된 것인데, 상기 센서몸체(43)의 후방에는 결합홀(45)이 각각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수평대(27)가 끼워지고, 이후 결합나사(46)를 사용하여 수평대(27)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센서(40)는 케이블(44)에 의해 속도 측정기(50)와 연결되는데, 상기 속도 측정기(50)를 이루는 케이스(51)의 내부에는 두 센서간의 거리가 입력되는 거리 입력부와, 상기 이동판(14)이 제 1 센서(41)에서 제 2 센서(42)를 통과하는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 입력부 및 상기 거리 입력부와 상기 시간 입력부의 신호를 받아들여 도어의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가 구비되고, 케이스(51)의 외부에는 전원 스위치(52) 및 상기 속도계산부에서 얻어진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53)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를 테일 게이트에 설치하여 적용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보인 바와 같이 우선 이동부재(10)를 테일 게이트(70)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동판(14)을 상기 지지대(11) 중앙에 형성된 홈(12)에 끼운다. 이후 센서 고정부(20)를 상기 테일 게이트(70)의 후방에 위치시킨다. 이후 받침판 (21)위에 설치된 수직 고정대(22) 중 수직 파이프(24)를 상기 조정핸들(25)을 돌려 상하로 이동하여 적당한 높이로 맞춘 후 조정나사(26)로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수직 고정대(22) 위에 설치된 수직고정몸체(31)를 힌지축(34)을 중심으로 돌려서 전후 방향을 맞추고, 상기 수평대(27)를 좌우로 돌려 조정하고, 수평대(27) 상에 설치된 제 1 센서 (41) 및 제 2 센서(42)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테일 게이트(70)를 개폐할 때 상기 테일 게이트(70)에 부착되어 함께 이동되는 상기 이동부재(1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동부재(10)에 설치된 이동판(14)이 상기 두 센서(41,4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20)를 조정한다.
그런 후 속도 측정기(50)의 전원 스위치(52)를 켠다. 그러면 상기 속도 측정기(50)는 우선 상기 두 센서(41,42)간의 거리가 입력된다. 이 때 상기 테일 게이트(70)를 위에서 살짝 밀어 닫게 되면 상기 이동판(14)이 상기 두 센서(41,42)의 내부 공간부를 지나게 되고, 이 때 상기 이들 센서간을 통과하는 시간이 입력되게 된다. 이들 거리 및 시간 입력정보를 기초로 하여 속도 계산부에서는 테일 게이트(70)의 닫힘속도를 계산하게 되고, 여기서 얻어진 값은 상기 속도 측정기(50)의 외부에 설치된 표시부(53)를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도 3 은 프론트 도어에 적용한 것을 보인 것으로 이 때는 상기 이동부재(10)를 프론트 도어(60)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테일 게이트(70)와는 달리 프론트 도어(60)의 이동경로는 좌우로 움직이므로 상기 이동부재(10)의 지지대(11) 중 끝단에 형성된 홈(13a 또는 13b)에 끼우고, 상기 센서 고정부(20)중 수평대(27)의 위치도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조정한다. 이로서 프론트 도어(60)를 닫을 때 상기 이동판(14)이 수평으로 놓여지는 두 센서(41,42)를 지나게 된다.
속도 측정기(50)의 전원 스위치(52)를 켠 후, 도어의 닫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은 도 2 에 보인 경우와 같다.
이 때 이 장치는 상기 도면에 보인 프론트 도어 및 테일 게이트에 한하지 않고, 후드 등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값은 차량급별로 마련한 기준에 의해 도어 개폐시의 탑승객이 느끼는 충격정도를 평가하는 수단이 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는 차량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동부재와,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경로상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통과시 차례로 이를 감지하는 2 개의 고정센서와, 상기 두 고정센서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와, 상기 두 고정센서의 신호를 받아 얻어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속도를 기초로 상기 이동부재가 부착된 도어의 닫힘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시험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닫을 때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도어담힘성능을 측정하며, 이 때 종래 장치과 비교하여 그 설치 및 측정이 용이하고 1 인만으로도 측정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차량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이동부재와,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경로상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통과시 차례로 이를 감지하는 2 개의 고정센서와, 상기 두 고정센서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와, 상기 두 고정센서의 신호를 받아 얻어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속도를 기초로 상기 이동부재가 부착된 도어의 닫힘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양끝단과 중앙에 홈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홈에 일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판과,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가 차량도어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도어 표면에 부착시 내부에 진공부가 형성됨으로써 압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컵형상의 탄성체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측정기는 전원 스위치와, 센서간의 거리가 입력되는 거리 입력부와, 상기 이동판이 제 1 센서에서 제 2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을 입력받는 시간 입력부와, 상기 거리 입력부와 상기 시간 입력부의 신호를 받아들여 도어의 속도를 계산하는 속도 계산부와, 상기 속도 계산부에서 얻어진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수직 고정대와, 상기 수직 고정대의 상부에 전후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수평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센서는 2 개의 U 자형의 형상을 하고 상기 속도 측정기에 케이블로 연결된 센서몸체와, 상기 센서몸체의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평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상기 수평대가 끼워진 후 이를 조여 고정하는 결합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닫힘성능 측정장치.
KR1019970061279A 1997-11-19 1997-11-19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KR10043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79A KR100439805B1 (ko) 1997-11-19 1997-11-19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79A KR100439805B1 (ko) 1997-11-19 1997-11-19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00A true KR19990040800A (ko) 1999-06-05
KR100439805B1 KR100439805B1 (ko) 2004-09-30

Family

ID=3735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279A KR100439805B1 (ko) 1997-11-19 1997-11-19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70B1 (ko) * 2002-09-30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 차량 도어 폐속도 측정장치
KR20210047420A (ko) * 2019-10-21 2021-04-3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CN113418722A (zh) * 2021-06-30 2021-09-21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汽车滑移门开关门速度测试台架及测试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170B1 (ko) * 2002-09-30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 차량 도어 폐속도 측정장치
KR20210047420A (ko) * 2019-10-21 2021-04-3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CN113418722A (zh) * 2021-06-30 2021-09-21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汽车滑移门开关门速度测试台架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9805B1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141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시험장치
KR100439805B1 (ko)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JP3066391B2 (ja) コンプライアンステスター
KR100418757B1 (ko) 도어 프레임 횡강성 시험용 무빙 지그
SG135044A1 (en) Colorimetric test device with reduced error
KR100861048B1 (ko) 자동차의 계기판넬 머리충격부위 및 충격각도 측정 시스템
KR100189423B1 (ko) 차량용 스피도미터 케이블의 흔들림 측정장치
KR20070068602A (ko) 도어체커 시험장치
CN216717828U (zh) 车辆天窗防夹力测试辅助治具
KR100197211B1 (ko) 도어 외측 부압 측정장치
KR100218184B1 (ko) 각도조절형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고정 지그
KR20190006768A (ko) 스트라이커 정렬 측정장치
KR19990027379A (ko) 도어 고정용 지그
KR100235881B1 (ko) 도어 프레임 변형량 측정장치
KR100224261B1 (ko)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KR970047878A (ko) 트럭의 센터 오나먼트 장착용 브라켓 측정장치
KR970022270A (ko) 자동차 트렁크 개폐내구 시험기
KR100207920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 인너 검사 장치
CN208206082U (zh) 一种轴距差或轮距差的机械式检定装置
CN206469990U (zh) 固定装置和空调器
KR0179698B1 (ko) 자동차 실내의 수평 및 수직 간격 겸용 측정장치
KR100255600B1 (ko) 자동차의 도어 슬램 효과 측정장치
KR0179702B1 (ko) 자동차 실내의 수평 및 수직간격 측정의 마네킨 이용 장치
JPH03110411A (ja) 車体変形測定装置
KR0123749Y1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량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