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261B1 -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 Google Patents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261B1
KR100224261B1 KR1019970045218A KR19970045218A KR100224261B1 KR 100224261 B1 KR100224261 B1 KR 100224261B1 KR 1019970045218 A KR1019970045218 A KR 1019970045218A KR 19970045218 A KR19970045218 A KR 19970045218A KR 100224261 B1 KR100224261 B1 KR 10022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strip
force
displacement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645A (ko
Inventor
최우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2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6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ement of force, e.g. for preventing influence of transverse components of force,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 웨더 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핸들(92)을 통해 전달되는 시험자의 가압력을 설정된 일정한 힘으로만 전달되게 하기 위해 내부에 로드 셀(50)을 결합한 작용 수단(90)과, 작용 수단(90)에 삽입/결합되어 발생되는 힘을 타단에 전달하는 로드부(100)와, 로드부(100)의 중간 부위에 결합/설치되어 로드의 변위량(측정된 웨더스트립의 변위량)을 측정/표시하는 변위계(40)와, 로드부(100)의 끝단에 형성된 요크(120)를 통해 결합되어 전달되는 힘을 각 끝단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전달 수단(110)과, 전달 수단(110)의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어 접촉되는 벨트 웨더스트립(30)을 직접 가압하며 가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량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고 측정시 기구를 웨더스트립의 각 부위에 고정하는 감지 수단(130)과, 로드 셀(50)과 변위계(40)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측정된 웨더스트립의 변위량 및 마찰력을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앰프(60)로 구성하여 설치된 벨트 웨더스트립으로부터 탄성계수 및 마찰력을 측정하는 기구임.

Description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도어 글라스에 뭍은 오물이나 물기를 제거하고 우천시 도어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탄성 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게 하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도어에는 도어 글라스와 접촉되는 도어의 아웃트림 패널(DR OTR PNL) 상단부에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또는 아웃사이드 웨더스트립, 또는 벨트 웨더스트립)을 설치하여 우천시 도어 패널의 내측으로 침입되는 빗물을 방지하게 하고, 도어 글라스가 상승 및 하강되는 작동 상태 시에 도어 글라스에 뭍은 오물이나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웨더스트립의 일반적인 용도는 바디 개구부 주변에 발생하는 비, 바람, 먼지, 소음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대개 창유리의 웨더스트립에는 불건성 실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웨더스트립과 같이 도어를 구성하는 각종 부분품들은 부품의 정도, 취부시의 정도가 좋아야 함을 요구하며, 특히 도어는 설치된 웨더스트립이 불량하여 도어의 내판으로 빗물이 흘러들어도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출정도를 배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예시된 도 1a는 설치된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과 도어 글라스의 개폐시 설치된 웨더스트립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패널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어 글라스의 표면과 접촉되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은 적당한 탄성계수와 강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재질의 선택과 탄성되는 정도가 중요시되며, 자칫 부품의 조립을 잘못하거나 혹은 재질의 선택이 잘못되어 소정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는 흔히 발생한다.
특히 선택된 재질의 탄성계수가 작을 경우에는 글라스 표면의 물방울이나 오물을 제거하지 못하며, 탄성계수가 클 경우에는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내구성이 문제되어 수명이 짧아지게 됨으로써 자주 교체하는 문제를 초래하고 강성이 클 경우에는 개폐되는 도어 글라스의 표면에 흔적을 남기거나 글라스의 표면을 훼손하는 경우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된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은 탄성계수에 상응한 만큼 도어 글라스의 표면과 마찰하여 개폐되는 도어 글라스에 일정한 마찰력 혹은 상승 제지력을 발휘하게 되며, 상기한 마찰력 혹은 상승 제지력에 의해 글라스 표면의 오물이나 물기는 제거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설치된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으로부터 도어 글라스를 누르는 누름압 즉, 마찰력이나 상승 제지력을 측정하기는 그리 간단하지 못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측정 기구는 사실상 체계화되어 이용 및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설치된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이 도어 글라스의 표면을 누르는 누름압이나 글라스의 표면과 마찰되는 마찰력, 혹은 개폐되는 도어로부터 마찰력에 따른 상승 제지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기구가 개발/활용되지 못함으로써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개발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설치된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으로부터 도어 글라스를 누르는 누름압이나 혹은 글라스의 표면과 마찰되는 마찰력이나 혹은 개폐되는 글라스로부터 상승 제지력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된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상태도로써,
도 1a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설치 및 작용 상태도.
도 1b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상세한 설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측정 기구에 의해 웨더스트립의 탄성계수(변위량)가 일축으로부터 측정되는 상태를 간략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측정 기구에 의해 웨더스트립의 탄성계수가 측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정 기구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도어 글라스 20 : 도어 글라스 채널 웨더스트립
30 :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 (벨트 웨더스트립)
40 : 변위계(potentiometer)
50 : 로드 셀(LOAD CELL)(하중계) 60 : 앰프
70 : 클립(CLIP) 80 : 도어 패널
90 : 작용 수단 92 : 핸들
100 : 로드부 110 : 전달 수단
112 : 분배 프레임 114 : 감지 프레임
116 : 프랜지 120 : 요크
122 : 피벗트 핀(힌지핀) 130 : 감지 수단
X : 변위량
따라서, 본 발명의 측정 기구는 핸들을 통해 전달되는 시험자의 가압력을 설정된 일정한 힘으로만 전달되게 하기 위해 내부에 로드 셀을 결합한 작용 수단과, 상기 작용 수단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작용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을 타단에 전달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중간 부위에 결합/설치되어 로드의 변위량(측정된 웨더스트립의 변위량)을 측정/표시하는 변위계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형성된 요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로드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각 끝단에 균등하게 전달하고 각 끝단으로부터 감지된 벨트 웨더스트립의 변위량을 상기 변위계가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전달 수단과, 상기 전달 수단의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어 접촉되는 벨트 웨더스트립을 직접 가압하며 가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량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고 측정시 기구를 웨더스트립의 각 부위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로드 셀과 변위계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측정된 웨더스트립의 변위량 및 마찰력을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앰프로 구성하여 웨더스트립으로부터 탄성계수 및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 1 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된 글라스 웨더스트립(30)의 상태도로써, 도 1a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30)(이하; 벨트 웨더스트립)의 설치 및 작용 상태도이며, 도 1b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30)이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설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의 측정 기구에 의해 웨더스트립(30)의 탄성계수(변위량)를 일축으로 하여 측정하는 상태를 간략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측정 기구에 의해 웨더스트립(30)의 탄성계수(변위량)가 측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정 기구 상세도이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크게는 예시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시험자가 장치를 붙들 수 있게 하고 가해진 가압력이 설정된 일정한 압력으로만 작용되게 하는 작용 수단(90)과, 상기 작용 수단(90)으로부터 작용되는 압력을 전달하는 로드부(100)와, 상기 로드부(100)의 변위량을 측정/표시하는 변위계(40)와, 상기 로드부(100)로부터 작용되는 힘을 소정의 방법으로 벨트 스트립의 각부위에 균등 분배하여 전달하는 전달 수단(110)과, 상기 전달 수단(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작용압력을 접촉되는 벨트 웨더스트립(30)에 직접 가압하고 측정시 기구가 웨더스트립(30)과 접촉될 수 있도록 고정하며 변위량을 직접 감지하는 감지 수단(130)과, 상기 로드 셀(50) 및 변위계(40)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측정된 변위량 및 마찰력을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앰프(60)로 구성한다.
상기 작용 수단(90)은 장치를 시험자가 붙들 수 있게 하고 시험시 시험자가 장치에 직접 가압 할 수 있도록 외주면의 양측에는 핸들(92)부분이 돌설되게 하고 상기 핸들(92) 부분이 양측으로 돌설된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92)부분으로부터 가압되는 시험자의 가압력을 설정된 일정한 힘으로만 전달되게 하는 로드 셀(50)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작용 수단(90)의 하단부 중앙 부근에 작용 수단(90)으로 전달되는 작용 힘을 끝단에 전달하는 로드부(100)를 결합하며 로드부(100)의 끝단에는 요크(120)를 형성하여 후술할 전달 수단(110)이 피벗트 핀(힌지핀)(122)으로 결합 될 수 있게 하되, 전달 수단(110)이 결합되는 요크(120) 및 피벗트 핀(pivot pin)(122)은 발생되는 결합에 의한 마찰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100)의 중간 부위에는 상기 작용 수단(90)으로부터 가압되는 작용 압력에 따라 시험 측정시 미세하게 변위되는 벨트 웨더스트립(30)의 변위량 즉, 로드부(100)의 변위량을 측정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변위계(40)를 결합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100)의 끝단에 형성된 요크(120)를 통해 피벗트 핀(힌지핀)(122)으로 중심축부가 결합되며 양단은 프랜지(116)를 형성하고 프랜지(116)의 각 끝단은 요크(120)가 형성된 분배 프레임(112)과, 상기 분배 프레임(112)의 양 끝단에 형성된 요크(120)에 중심축부가 피벗트 핀(힌지핀)(12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분배 프레임(112)으로부터 전달되는 작용 압력을 양단의 프랜지(116) 끝단에 전달하는 감지 프레임(114)으로 구성되는 전달 수단(110)을 설치한다.
특히, 상기 전달 수단(110)에 형성된 각각의 요크(120) 부분은 정교하게 하여 측정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무시할 수 있게 하며 측정시에는 상기 로드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작용 힘이 양끝단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전달 수단(110)에 설치된 감지 프레임(114)의 각 끝단에 결합되어 설치된 벨트 웨더스트립(30)에 전달되는 작용 힘을 전달하고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변화되는 벨트 웨더스트립(30)의 변위량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감지 수단(13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로드 셀(50)과 변위계(4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입력하여 측정된 벨트 웨더스트립(30)의 변위량 및 마찰력을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앰프(60)를 연결하여 측정된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하거나 관련 장치를 통해 인쇄물로 확인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기구에 의해, 도어 패널(80) 상단부에 클립(70)을 통해 결합된 벨트 웨더스트립(30)의 각 부위에 작용 압력을 가하여 발생하는 변위량을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전달 수단(110)의 감지 프레임(114) 양측에 각각 형성된 총4개의 프랜지(116)가 프랜지(116)의 끝단에 설치된 감지 수단(130)을 통해 웨더스트립(30)을 작용 압력만큼 균등하게 가압하면 웨더스트립(30)은 변위되어 변위량을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변위량은 변위계(40)를 통해 측정되며, 변위계(40)를 통해 측정된 변위량은 표시창 및 지침계를 통해 그 량을 표시하지만 동시에 측정된 신호를 앰프(60)에 출력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앰프(60)는 측정된 웨더스트립(30)의 변위량에 대한 변위계(40)의 측정 신호를 입력하며, 동시에 작용 수단(90)에 내설된 로드 셀(하중계)(50)로부터 설정된 압력 즉, 신호를 입력하여 측정된 결과를 소정의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연결되는 관련 장치에 신호를 출력하여 측정에 대한 결과 값을 확인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기구는 도어 패널(80) 상단부에 결합/설치된 벨트 웨더스트립을 직접 가압하여 가압되는 여러 압력에 따른 웨더스트립의 변위량을 측정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벨트 웨더스트립의 탄성계수 또는 마찰력이나 혹은 개폐되는 도어 글라스에 작용하는 웨더스트립의 상승 제지력도 측정이 가능하게 하여 종래에 비해 웨더스트립의 개발을 편리하게 한다.

Claims (3)

  1. 핸들을 통해 전달되는 시험자의 가압력을 설정된 일정한 힘으로만 전달되게 하기 위해 로드 셀을 내부에 설치한 작용 수단과, 상기 작용 수단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작용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을 타단에 전달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중간 부위에 결합/설치되어 로드의 변위량(측정된 웨더스트립의 변위량)을 측정/표시하는 변위계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형성한 요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로드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연결된 각부위의 끝단에 균등하게 전달하고 각 끝단으로부터 감지된 벨트 웨더스트립의 변위량을 상기 변위계가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전달 수단과, 상기 전달 수단의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어 접촉되는 벨트 웨더스트립을 직접 가압하며 가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량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고 측정시 기구를 웨더스트립과 접촉하여 패널의 각 부위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로드 셀과 변위계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측정된 웨더스트립의 변위량 및 마찰력을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앰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수단은 설치된 벨트 웨더스트립의 변위량 측정시 시험자가 장치를 잡아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가압되는 가압력이 결합된 상기 로드부의 상단에 설정된 일정한 힘으로만 전달되게 하는 로드셀(하중계)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110)은 상기 로드의 끝단에 형성한 요크(120)를 통해 중심축부가 결합되어 작용되는 힘을 양측단의 프랜지(116)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분배 프레임(112)과, 상기 분배 프레임의 양끝 단에 형성된 요크(120)에 중심축부가 각각 결합되어 양단에 형성된 프랜지(116)의 끝단에 전달되는 힘을 균등하게 전달하는 각각의 감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KR1019970045218A 1997-08-30 1997-08-30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KR10022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218A KR100224261B1 (ko) 1997-08-30 1997-08-30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218A KR100224261B1 (ko) 1997-08-30 1997-08-30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645A KR19990021645A (ko) 1999-03-25
KR100224261B1 true KR100224261B1 (ko) 1999-10-15

Family

ID=1952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218A KR100224261B1 (ko) 1997-08-30 1997-08-30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2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645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8054A (zh) 用于测量车辆的密封间隙的装置
AU8547098A (en) Device for testing analyte concentration in a fluid
WO1999056790A3 (en) 13c glucose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diabetes
HK1041919A1 (en) Multichemistry measuring device and test strips
US7066013B2 (en) Hardness tester
KR100224261B1 (ko) 도어 글라스 웨더스트립의 누름압 측정 기구
KR100439805B1 (ko) 차량도어닫힘성능측정장치
JPH10281958A (ja) 材料試験機
KR19980045880A (ko) 프레임레스 도어 글래스 오프셋 측정장치
KR200190979Y1 (ko) 클램핑로드의테스타
US20030192384A1 (en) In-mold pressure verification device
KR20030013895A (ko) 타이어의 주행소음 측정장치
KR100376841B1 (ko) 차량용 도어의 처짐 변위 측정장치와 그 방법
CN216284037U (zh) 基于光纤光栅的可自复位增敏型压力监测装置
CN218973725U (zh) 压力校验仪
KR100230955B1 (ko) 자동차용 정적 폐력 측정 장치
KR100559312B1 (ko) 와이퍼 진단 장치
KR100635762B1 (ko) 강도 검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의 강도 검사방법
GB2385938A (en) Load cell
KR20030044232A (ko) 가스홀더설비의 씰검 마모도 측정장치
KR970048083A (ko) 부싱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9990021679A (ko) 차량용 후드 및 트렁크 리드의 밴딩 시험장치
SU116319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механических испытаний материалов
KR19980034252U (ko) 공기압 측정용 타이어 니플캡
KR200164589Y1 (ko) 동적변형률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