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301A -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301A
KR19990037301A KR1019980044331A KR19980044331A KR19990037301A KR 19990037301 A KR19990037301 A KR 19990037301A KR 1019980044331 A KR1019980044331 A KR 1019980044331A KR 19980044331 A KR19980044331 A KR 19980044331A KR 19990037301 A KR19990037301 A KR 1999003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ute
moving object
destin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661B1 (ko
Inventor
신 고이께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3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10Operations, e.g. scheduling or time tables
    • B61L27/12Preparing sched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2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n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complete route is shown to the dri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교차점에서의 경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교통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 차량의 현재 위치, 차속 및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차량의 경로 후보를 나타내는 벡터를 작성하며, 각 차량의 경로를 나타내는 벡터끼리를 조합시킨 행렬을 작성한다. 이 행렬 중, 복수의 차량이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에 도달하는 상황이 생기지 않는 것이나, 그런 종류의 상황이 생겨도 그 교차점에서 어떤 차량의 경로가 타차량의 경로를 지나가지 않는 것만을 채택한다. 채택한 행렬 중, 각 차량이 그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평균적인 값이 최소가 되는 경로 조합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한다.

Description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복수의 이동체 예를 들면 차량의 교통을 제어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VICS(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는 도로측 비이콘이나 FM 다중 방송을 통하여 도로 상의 차량에 도로의 혼잡 상태이나 교통 규칙에 관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시스템이다. 도로 교통 제어의 측면에서 본 이 시스템의 이점 중 하나는, 정체되어 있는 도로를 우회하여 정체하지 않는 도로를 이용하도록,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각 차량의 운전자에게 재촉할 수 있어, 정체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각 차량의 운전자 측에서 본다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가 여러개 있을 때, 비교적 비어 있는 도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신속하고 또한 쾌적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그러나, VICS에서는 개개의 차량의 경로 결정이 각 차량의 운전자의 의도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정체 완화의 효과나 차량 운행의 신속화·쾌적화의 효과에는 스스로의 한계가 있다.
어떻게 하면 각 차량이 교차점을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것은 정체 완화나 차량 운행의 신속화·쾌적화의 효과를 높이고자 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의 하나이다. 이것과 관련한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62-12540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교통 관제 방법이 있다. 이 교통 관제 방법의 적용 대상은, 제어 대상인 복수의 무인 이동 차량 및 이들 복수의 무인 이동 차량을 제어하는 관제국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무인 이동 차량이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에 이르렀을 때, 관제국이 어느 하나의 무인 이동 차량에 대해 그 교차점으로의 진입을 허가함과 동시에 다른 무인 이동 차량을 대기시켜, 진입 허가를 얻은 무인 이동 차량이 그 교차점을 통과한 후에 대기하고 있는 다른 무인 이동 차량 중 어느 하나에 그 교차점으로의 진입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해서,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에 도달한 복수의 무인 이동 차량을 순조롭게 통과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들 무인 이동 차량끼리 교차점에서 충돌·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교통 관제 방법을 VICS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교통 관제 방법을 VICS와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볼 때 다수의 차량의 교통을 제어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첫째, 상기 공보에 따른 교통 관제 방법의 적용 대상은 비교적 소수의 차량이 구내(構內)를 주행하는 시스템이다. 이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해서 동일한 교차점에 도달하는 차량의 대수는 비교적 적기 때문에, 교차점에서 진입 허가/대기 제어를 행했다고 하더라도 목적지로의 도달이 현저하게 지연되는 일은 없다. 이에 반해, 일반 도로 교통과 같이 종종 다수의 차량이 도로 상에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에 도달하는 차량의 대수가 다수가 될 수 있다. 상기 조합에 따른 시스템, 즉 복수의 차량이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에 도달했을 때 그 교차점을 1대씩 통과시키는 시스템에서는 이 교차점에 도달해 있는 차량의 대수가 다수 증가되어 있을 때, 대부분의 차량에 대해서는 그 교차점에서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나아가서는 목적지로의 도달이 지연되게 된다.
둘째, 상기 공보에 따른 교통 관제 방법에서의 관제 대상은 무인 이동 차량이며 원래 탑승자가 없기 때문에, 교차점에서 대기하게 되어도 탑승자가 초조해지는 일도 없다. 이에 반해, 일반 도로 교통과 같이 탑승자를 태운 차량이 주행하는 환경에서는 교차점에서 대기해야만 했을 때, 그에 따라 초초한 탑승자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합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특히 다수의 차량이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에 이르렀을 때, 교차점에서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탑승자의 초조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다수의 교차점을 갖는 경로를 주행할 때 대부분의(종종 모든) 교차점에서 대기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어, 이 점에서도 탑승자가 초조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셋째, 일반 도로에서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에 다수의 교차점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가솔린차 등의 경우, 정지/발진이나 가감속의 반복 나아가서는 엔진 회전수가 빈번한 변동에 따라, 그 차량에서의 에너지 이용 효율이 나빠지며, 또한 차량으로부터의 에미션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조합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경로 상의 많은 교차점에서 대기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 차량에서의 에너지 이용 효율이 나빠지며 또한 각 차량으로부터의 에미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넷째, 상기 조합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교차점으로의 진입은 관제되어 있지만, 교차점 이외의 장소에 관해서는 혼잡 정도 등의 정보가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될 뿐이며 관제의 대상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교차점 이외의 장소 예를 들면 교차점끼리를 연결하는 도로에서 정체가 발생할 여지가 상존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알 수 있는 것은 혼잡한 도로 (또는 비어 있는 도로)는 어떤 도로인지에 대한 정보이며, 어느 도로를 주행하면 가장 신속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조합에 따른 시스템은 목적지로의 신속한 도달이라는 면에서 차량 탑승자에게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교차점에서의 이동체(예를 들면, 차량)의 경로끼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각 이동체의 경로를 제어 (탑승자에게로의 통지에 의한 간접적인 제어를 포함한다)하는 것이나, 각 이동체의 발진 대기 시간을 제어하는 것 등에 의해, 교차점에서의 대기, 정지/발진의 반복 나아가서는 목적지로의 도달 지연이나 에너지 효율·에미션의 열화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교차점에서의 간섭을 없앰와 동시에 교통량이나 발진 대기 시간에 적응한 제어를 도입함으로써, 양호한 에너지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교통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 이동체의 발진 대기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도로 또는 궤도가 각 처에서 교차하고 있는 구획에 관해, 그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체가 금후 취할 수 있는 경로의 조합을 구하고, 구해진 조합을 경로 패턴의 후보로 하는 경로 후보 결정 수단과, 상기 후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교차점을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통과하는 다른 이동체의 경로를 지나가는 경로 간섭이 어느 이동체에 대해서도 또한 어느 교차점에서도 생기지 않은 후보를 선택하는 경로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선택된 후보로써 상기 구획 내에서 각 이동체가 채택해야 할 경로를 지령하는 경로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교차점에서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각 이동체의 장래의 경로를 정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교차점에서의 대기, 정지/발진의 반복 나아가서는 목적지로의 도달의 지연이나 에너지 효율·에미션의 열화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경로 간섭이 생기지 않은 후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가 각각 그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요하는 시간의 평균치를 각 후보 각각에 관해 구하고, 구해진 평균치가 비교적 작은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구획 내에서 각 이동체가 채택해야 할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패턴을 결정하는 평균 소요 시간 판별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각 이동체가(평균적으로 보아서) 목적지에 빠른 시기에 도착할 수 있도록 경로 패턴을 결정함으로써, 목적지로의 도달 지연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 간섭이 어느 이동체에 대해서도 또한 어느 교차점에서도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르는 제어 대상 이동체로서 현시점에서 미발진인 것에 대해, 또한 각 후보마다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도 제어 대상으로 함으로써, 교차점에서의 대기, 정지/발진의 반복 나아가서는 목적지로의 도달의 지연이나 에너지 효율·에미션의 열화 등이 더욱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적어도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르는 제어 대상 이동체에 관해, 그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에 대해 그 목적지를 각 이동체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으로써 또는 그 이동체의 거동에 기초하는 추정으로써 검출하는 목적지 검출 수단과, 검출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및 각 도로 혹은 궤도에서 채택해야 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체의 경로를 구하는 경로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구해진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이 상기 조합을 구한다. 이와 같이, 각 이동체의 현재 위치, 목적지 및 채택해야 할 속도에 따라서 각 이동체가 채택할 수 있는 경로를 결정하도록 한 경우, 이들 현재 위치, 목적지 및 채택해야 할 속도의 공급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더욱 부가적인 작용 효과가 생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교통량이 비교적 많아진다고 인정되는 도로 또는 궤도에 관해 상기 속도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하는 교통량 적응형 속도 설정 수단,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비교적 발진 대기 시간이 긴 이동체가 비교적 많이 통과할 것이라고 인정되는 도로 또는 궤도에 관해 상기 속도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하는 대기 시간 적응형 개별 속도 설정 수단, 및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발진 대기 시간의 평균치가 비교적 길어진다고 인정될 때 각 도로 또는 궤도에서의 상기 속도를 증대시키는 대기 시간 적응형 속도 설정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한다. 이들 가운데 교통량 적응형 속도 설정 수단을 설치한 경우, 붐비기 쉬운 도로 내지 궤도의 교통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획 전체에서의 교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대기 시간 적응형 개별 속도 설정 수단을 설치한 경우, 대기 시간이 긴 이동체를 우선하여 목적지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구획 전체에서의 교통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시간 적응형 속도 설정 수단을 설치한 경우,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을 억제할 수 있어, 다수의 이동체가 발진을 대기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르지 않는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관해서도 그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상기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제어 대상 이동체에 대해서는 그 탑승자에 의한 입력으로써,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대해서는 그 이동체의 거동에 기초하는 추정으로써 그 목적지를 검출하는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의 경로를 상기 조합에 포함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관해서도 그 목적지의 추정을 통해서 경로 패턴의 결정에 반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외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상기 구획에 진입하는 것이 예상되는 월경 진입 이동체에 관해, 그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는 월경 진입 이동체 산입 수단을 구비하고, 월경 진입 이동체의 경로를 상기 조합에 포함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구획에 각각 관제국을 설치한 교통 제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는 데도 불구하고, 각 이동체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제어를 적합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과 다른 구획을 커버하는 다른 관제국과의 사이에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설치하고, 월경 진입 이동체 산입 수단이 상기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해, 월경 진입 이동체의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는 한편,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상기 다른 구획으로 진입하는 것이 예상되는 월경 퇴출 이동체의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다른 관제국에 공급하도록 하면, 관제국 간 통신이라는 비교적 간소한 방법으로 전술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을 가지며, 각 제어 대상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다른 제어 대상 이동체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과 관련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 처리의 중간 결과 내지 결과 중 일부(예를 들면, 검출된 현재 위치 및 목적지나, 결정된 경로 패턴 중 자기의 경로에 관한 부분)를 상기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다른 제어 대상 이동체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이동체 간 통신에 의해 본 발명을 실현한 경우, 관제국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프라 스트럭쳐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 이동체에서의 처리 시에는, 다른 이동체의 결정된 경로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산 처리량이 적게 끝난다. 또한, 이동체 간에 전송해야 할 정보는 현재 위치나 목적지 혹은 결정된 경로 패턴 중 자기의 경로에 관한 부분과 같은 적은 량의 정보이기 때문에,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의 혼잡도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와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과의 사이에 설치된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갖으며, 각 제어 대상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관제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과 관련하는 처리 중 일부 (예를 들면, 자기의 위치나 목적지를 검출하는 처리까지, 혹은 자기의 경로의 후보를 결정하는 처리까지)를 실행하고, 이 처리의 중간 결과 내지 결과 중 일부(예를 들면 자기의 위치나 목적지, 혹은 자기 경로의 후보)를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관제국에 송신하고, 관제국이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제어 대상 이동체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 중 나머지 부분을 실행하고, 이 처리의 중간 결과 내지 결과 중 일부 (예를 들면, 결정된 경로 패턴 중 각 제어 대상 이동국의 경로를 나타내는 부분)를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제어 대상 이동체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연산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관제국에서 실행하도록 하면 각 이동체에서의 연산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내에는 상기 제어 대상 이동체가 이동하기 위한 궤도를, 궤도옆에 이용자가 승하차하기 위한 역을, 궤도의 교차점에는 그 분기 연결 조작을 담당하는 스케쥴러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을, 역에 존재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에 따라 상기 스케쥴러에 대응하는 교차점의 분기 연결 조작을 지시한다. 혹은, 상기 구획 내에는 상기 제어 대상 이동체가 이동하기 위한 궤도를, 궤도옆에 이용자가 승하차하기 위한 역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이 역에 존재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에 따라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의 주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면, 다수의 교차점(분기점)을 갖으며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궤도식 교통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교차점과 브랜치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임의의 차량이 채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복수의 경로를 나타낸 공간도.
도 3은 경로의 간섭이 생기지 않은 것과 같은 교차점 통과 패턴, 즉 허용 통과 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a)는 대향 통행, (b) 및 (c)는 직진 대 좌회전, (d) ∼ (f)는 좌회전 대 좌회전, (g)는 좌회전 대 우회전의 허용 통과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경로의 간섭이 생기는 교차점 통과 패턴, 즉 금지 통과 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a)는 교차, (b)는 직진 대 좌회전, (c) ∼ (e)는 직진 대 우회전, (f) 및 (g)는 좌회전 대 우회전, (h) ∼ (j)는 우회전 대 우회전의 금지 통과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주행 중인 차량에 관한 경로 선택 논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발진 대기 중인 차량에 관한 경로 선택 논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2는 도로 상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무선 관제를 이용한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 및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 및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 및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2는 궤도식 교통 시스템에서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궤도식 교통 시스템에서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 및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 및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의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차(自車)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
12 : 타차(他車)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
14 : 목적지 입력부
16, 55 : 위치 차속 검출부
22 : 경로 벡터 작성부
24 : 경로 행렬 작성부
26 : 주행중/미발진 판별부
28 : 소요 시간 연산부
30 : 경로 간섭 제거부
32 : 소요 시간 최적화부
34 : 경로 시각 표시부
36 : 차량 주행 제어부
38 : 교통량 적응 차속 설정부
40 : 대기 시간 적응 차속 설정부
42 : 자차 경로 송신부
44 : 타차 경로 수신부
46 :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
48 :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
56 : 무선 불사용 차량 추출부
58 : 목적지 추정부
60 : 국간 유선 링크
62 : 인터페이스
64 : 타국(他局) 구획 진입 판별부
66 : 월경(越境) 정보 송신부
68 : 월경 정보 수신부
70 : 자국 구획 진입 판별부
72 : 경로 송신부
74 : 경로 수신부
76 : 목적지 경로 추정부
78 : 자차 경로 후보 송신부
80 : 자차 경로 수신부
82 : 경로 지령 송신부
84 : 경로 후보 수신부
86 : 위치 차속 불송신 차량 추출부
88 : 목적지 송신부
90 : 요청 단말
92 : 스케쥴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 실시 형태 간에 공통되는 또는 대응하는 부재(部材)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지만,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재의 기능이 완전히 동일한 것을 시사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을 교통 제어의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도로 내지 궤도를 통행하는 이동체 일반(인간을 포함한다)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T자로나 궤도의 분기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교차점」이라는 용어를 이용하고 있다.
(1) 원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교통 제어의 대상으로 하는 구획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교차점과, 이들 교차점끼리를 접속하는 도로 또는 궤도(이하, 「브랜치」)를 포함하고 있다(도 1 참조). 이 구획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차원 좌표계가 설정되어 있으면, 각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는 좌표값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각 차량의 경로는 현재 위치를 나타낸 점과 그 부근의 교차점을 잇는 브랜치, 이 교차점과 다음 교차점을 잇는 브랜치 … 및 최후의 교차점과 목적지를 나타내는 점을 잇는 브랜치의 집합·연쇄로서 표현할 수 있다. 또, 도 1에서는 설명의 간편화를 위해 입체 교차가 존재하지 않은 구획을 표기했지만, 본 발명의 입체 교차의 어느 구획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삼차원 좌표계를 사용해도 좋고, 차량 경로의 간섭이 생길 수 없는 것을 나타낸 속성을 입체 교차에 관한 교차점에 부여하여 간섭 제거 처리(후술)의 대상으로부터 벗어나게 해도 좋다. 또한, 도 1에는 각 브랜치의 경사를 표기하지 않고 있지만, 경사의 영향을 평면 상의 거리로 환산하여 표현해도 좋으며, 각 브랜치의 속성으로서 표현해도 좋다. 브랜치를 표현하는 데이타의 형식에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시각 t1으로부터 장래의 시점 t2,t3,t4, … 에 걸쳐서 차량의 위치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는 현재지를 나타낸 점으로부터 목적지를 나타낸 점으로 단조롭게 올라가는 꺽은선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 꺽은선, 즉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차량 경로의 후보는, 일반적으로 복수개 존재한다(도 2, 도 5 및 도 6 참조). 예를 들면, 도 2, 도 5 및 도 6의 각 예에서는 현재 시각 t1에서의 경로 후보가 각 4개(코스 1 ∼ 4) 존재하고 있다. 현재 시각 t1이후 차량의 주행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경로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경로 선택). 종래의 VICS에서는 도로의 혼잡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각 차량에 대해 무선 회선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각 차량의 운전자에 의한 경로 선택을 원조하고 있으며, 그것만으로 목적지로의 신속한 도달이나 정체의 회피 등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VICS만으로는 어느 정도 넓이를 갖는 구획 내를 다수 주행하고 있는(또는 주행하고자 하는) 차량의 교통을 최적화하여, 각 차량 모두가 정체되는 일 없이 또한 빈번하게 정지/발진을 행하는 일 없이 목적지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한계를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는 복수의 차량의 경로를 관제하는 기능도, 또한 각 차량이 타차량의 경로에 따라서 자차의 경로를 결정·조정하는 기능도 제공되어 있지 않은 점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해서 제공하고 있다.
우선, 어떤 구획 내에 N개의 교차점이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임의의 차량의 경로 후보는 그 차량이 그 경로 후보를 선택했을 때 이들 N개의 교차점 중 어느 것을 통과할 것인지, 또한 통과하면 어느 시각에 통과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i 번째의 차량이 ji번째의 경로 후보를 선택했을 때에 k 번째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예상 시각을 Ti, ji, k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통과하지 않은 교차점에 대해서는 Ti, ji, k= 0으로 해 두도록 하면 각 경로를 N차원 벡터 Ti, ji= [Ti, ji, k]로써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가까운 장래에 그 구획에서의 차량 교통의 상태는 1 번째의 차량이 채택하는 경로, 2 번째의 차량이 채택하는 경로 … 및 n 번째의 차량이 채택하는 경로의 조합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가까운 장래에 그 구획에서의 차량 교통의 상태는 N차원 벡터 Ti, ji를 각 행으로 하는 n행 N열 행렬,
단, TC: n대의 차량이 N개의 교차점을 갖는 서비스 구획 내에 존재할 때, 전 차량이 채택할 수 있는 경로의 조합을 나타낸 n행 N열 행렬
Ti·ji: i 번째의 차량이 채택할 수 있는 경로 중 ji 번째의 것을 나타낸 N차원 벡터
Ti·ji·k: i 번째의 차량이 ji번째의 경로를 채택했을 때 k 번째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예상 시각. 통과하지 않을 경우 0으로 둔다
i = 1, 2, …, n
ji = 1, 2, …, jimax
k = 1, 2, …, N
n : 서비스 구획 내에 존재하는 차량의 대수 (자연수)
jimax : i 번째의 차량을 채택할 수 있는 경로의 갯수 (자연수)
N : 서비스 구획 내에 존재하는 교차점의 갯수 (자연수)
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이 행렬 TC는 경로 후보의 조합을 나타낸 행렬이며, 그 개수는 i 번째의 차량의 경로 후보의 개수를 jimax로 나타낸다고 하면,
Nc=j1max×j2max×‥‥×jnmax
이 된다. 차량의 교통을 최적화한다고 하는 과제는 NC그대로의 조합 TC중에서 각 차량 중 어느 하나도 정체되는 일 없이, 또한 빈번하게 정지/발진을 행하는 일 없이 목적지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 조합을 시각 t1, t2, t3, t4, …에서 차례 차례 선택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차량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에 요하는 시간이 전차량 평균해 보면 가장 짧아지는 조합을, NC그대로의 조합 TC중에서부터 선택하고 있다. 선택된 조합에 따른 경로를 각 차량이 주행하면 구획 내의 차량이 모두 비교적 짧은 시간에 또한 정체없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정체나 빈번한 정지/발진을 없애기 위해서,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복수대의 차량이 동일한 교차점을 통과하는 상황을 야기하는 조합에 대해서는 원칙으로서 전술한 선택의 대상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고 있다. 선택된 조합에 따른 경로를 각 차량이 주행하는 것이면, 복수대의 차량이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을 통과하는 일이 없게 되며, 교차점에서의 정지/발진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목적지로의 신속한 도달, 에너지 효율의 개선, 에미션의 저감(가솔린차 등의 경우)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복수대의 차량이 동일한 교차점을 통과하는 상황을 야기하는 조합에서도 생기는 것이 허용 통과 패턴만이고 금지 통과 패턴은 생기지 않은 조합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외의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선택 가능한 조합의 개수를 확보하고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허용 통과 패턴이란 간섭이 생기지 않는 차량 통과 패턴(도 3 참조)이며, 금지 통과 패턴이란 간섭이 생기는 차량 통과 패턴(도 4 참조)이다. 도 3 및 도 4는 단순한 십자로에 2대의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를 예로서 그리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현재 시각 t1에서 미발진의 차량에 대해서는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에 대해서도 제어 내지 지시의 대상으로 하고, 당해 미발진 차량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발진시켜서 그 차량이 정체되는 일이 없이 교차점에서의 정지/발진을 행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본 발명에서는, 또한 예상 통과 시각 Ti, ji, k를 산출할 때 등에 필요하게 되는 차속을 각 브랜치마다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구획 전체에서의 교통량을 최대화하는 것이나, 발진전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나, 대기 시간이 비교적 긴 차량의 주행 시간을 우선적으로 단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2) 처리의 개요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전술한 벡터 Ti, ji를 작성하여 다시 행렬 TC를 작성한다. 이 행렬 TC의 성분인 예상 통과 시각 Ti, ji, k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위치, 목적지, 각 브랜치에서의 차속 및 주행중/미발진과 같은 별도의 정보가 필요하다. 이들 중 현재 위치는 검츨 혹은 차량 탑승자의 입력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목적지는 차량 탑승자의 입력 혹은 현재 위치 및 차속에 기초해서 추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주행 중인지 미발진인지에 대해서는 검출 혹은 차량 탑승자의 입력에 따라 알 수 있다.
각 브랜치에서의 차속에 대해서는, 다음의 식
vok(k+1)=vo 또는 vi
단, vok(k+1) : 브랜치 Lk(k+1)에서 차량이 채택해야 할 차속
Lk(k+1): k 번째의 교차점과 k+1 번째의 교차점을 연결하는 도로(브랜치)
vo : 정수
v1 : 현재 시각 t1에서의 각 차량의 차속(미발진인 경우 vo로 한다)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수 v0를 이용하거나, 혹은 현재 시각 t1에서의 각 차량의 차속의 검출치 또는 입력치 vi를 이용하면 된다. 특히, 상수 v0를 차속으로서 이용하도록 하면 행렬 TC를 결정하는 연산 처리가 쉬워진다. 또한, 현재의 차속 vi를 그 차량에 대한 처리에 이용하도록 하면, 각 차량의 현실인 차량 주행 상태에 의해 들어맞은 내용의 행렬 TC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식,
vok(k+1)=vok(k+1)+F(nk(k+1))+G(nwk(k+1))+H(Swk(k+1)
단, F(·), G(·), H(·) : 함수
nk(k+1) : 브랜치 Lk(k+1)을 통과할 예정인 차량의 대수
nwk(k+1) : 브랜치 Lk(k+1)을 통과할 예정인 차량 중 발진 대기 시간이 소정치를 상회하는 차량의 대수
Swk(k+1) : 브랜치 Lk(k+1)을 통과할 예정인 차량의 발진 대기 시간의 (가중) 가산치
를 이용해서 차라차례 각 브랜치에서의 차속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식 중 F는 차량의 교통량이 많은 브랜치에서의 차속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전체로서의 교통량을 (혼잡없이) 증대시키기 위한 항이며, G는 긴 발진 대기 시간이 강해진 차량을 발진 후에는 가능한 한 고속으로 주행시켜서 목적지로의 도달에 요하는 시간을 평균적으로 보아서 단축하기 위한 항이며, H는 각 차량의 발진 대기 시간을 평균적으로 보아서 가능한 한 짧게 하여 목적지로의 도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대기에 의한 초조함을 억제하기 위한 항이다. 또, 항 F, G 및 H를 전부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도 교통 제어의 대상으로 하기 위해서, 행렬 TC의 성분인 소요 통과 시간 Ti, ji, k에는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미지수 부분으로서 포함시킨다. 단, 주행 중 차량에 대해서는 모든 ji에 대해 twi, ji= 0으로 한다. 또한, 소요 시간에 기초하는 경로 조합 선택을 위해 j1max+ j2max+ … + jnmax개인 벡터 Ti, ji모두에 대해 소요 시간 Tgi, ji를 연산해 둔다. 소요 시간 Tgi, ji에도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미지수 부분으로서 포함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작성한 행렬 TC를 이용해서 각 교차점에서의 각 차량의 경로끼리의 간섭을 검출하고 있다. 즉, i 번째의 차량이 ji번째의 경로를 채택하는 경우에 k 번째의 교차점에 있어서,
단, i = 1, 2, …, n
ji = 1, 2, …, jimax
k = 1, 2, …, N
ΔTk=(차간 간격 하한치)/(진입원의 브랜치로 채택해야 할 차속)
이라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면, 1 번째의 차량이 j1번째의, 2 번째의 차량이 j2번째의, … n 번째의 차량이 jn번째의 경로를 채택하였다고 해도 적어도 k 번째의 교차점에서는 i 번째의 차량의 경로와 타차량의 경로 사이의 간섭은 생기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간섭이란, 차간 간격이 소정의 하한치를 하회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때라도 해당 k 번째의 교차점에 당도하고 있는 복수대의 차량의 경로의 상대 관계가 허용 통과 패턴에 해당하고 있을 때는 간섭이 생기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고 간주된 조합은 이후의 처리에서 선택 결정의 대상 내지 후보가 된다.
또한, 소요 통과 시간 Ti, ji, k에는 발진 대기 시간 twi, ji가 변수로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교차점에서 간섭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교차점의 통과 타이밍에 기초해서 판단하기 위해서는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앞서서 확정해 두어야만 한다. 반대로 말하면,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서서히 바꿔 보아서 간섭 불발생의 통과 타이밍을 찾아서 그와 같은 통과 타이밍이 발견되었으면 그 때의 발진 대기 시간 Twi, ji로서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확정한다는, 시행 착오적인 처리로서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 twi·ji : i번째의 차량이 ji번째의 경로를 채택한 경우의 발진 대기 시간
α :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최소의 플러스값
에 기초해서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확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해서, 간섭이 발생하는 조합을 선택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한 후에, 소요 통과 시간 Ti, ji k를 확정된 발진 대기 시간 twi, ji에 기초해서 확정하고, 확정한 소요 통과 시간 Ti, ji, k를 이용한 경로 선택을 실행한다. 즉, 소요 시간 Tgi, ji의 평균치 Tm, j1, j2, …, jn이 다음의 식,
Tmin=min(Tm·j1·j2 …jn)
단, min(·) : j1, j2, …, jn의 전 조합 중 간섭이 생기지 않은 조합에 대한 최소치
Tm·j1·j2…jn= (Tg1·j1+ Tg2·j2+ ‥‥ + Tgn·jn)/n : i 번째의 차량이 j1 번째의, 2 번째의 차량이 i2 번째의, ‥‥, n번째의 차량이 jn 번째의 경로를 채택했을 때의 전 차량의 소요 시간의 평균치
Tgi·ji: i 번째의 차량이 ji 번째의 경로를 채택했을 때의 소요 시간
에 의해 나타낸 최소의 평균 소요 시간 Tmin과 같은 조합을, NC그대로의 행렬 TC중에서 선택함으로써, 구획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채택해야 할 경로의 조합을 나타내는 n행 N열 행렬
단, Tt: 경로의 전 조합 중에서, ① 교차점에서의 간섭이 없고(또는 적고), ② 그 Tm·j1·j2…jn이 Tmin인 조합을 나타내는 n행 N열 행렬
이 조건을 만족하는 조합이 복수인 경우는, ⓐ 특정한 차량의 twi·ji를 최소로 하는 것, ⓑ 전 차량의 twi·ji의 평균치를 최소로 하는 것 등을 선택한다.
Tti: i 번째의 차량이 채택되어야 할 경로(지령)를 나타내는 N 차원 벡터
Ttik: i 번째의 차량이 k 번째의 교차점을 통과해야 할 시각(0일 때는 통과하지 않음)
을 얻을 수 있다. 또, Tt가 복수 존재할 때는 발진 대기 시간 twi, ji에 기초해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해서 결정된 행렬 Tt또는 그 각 행 성분인 N 차원 벡터 Tti를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차량에서 구하고 또는 관제국에서 각 차량으로 송신하고,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고 또는 차량 주행 제어계에 제어 지령으로서 공급함으로써, 그 구획 내에서의 차량 교통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의 개선 등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행렬 Tt또는 그 각 행 성분인 N 차원 벡터 Tti에는 각 차량의 발진 대기 시간 twi, ji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미발진 차량에 대해서는 다시 발진 대기 시간 twi, ji의 조정 내지 제어를 행하여 차량 교통의 최적화, 에너지 효율의 개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과 대수가 많은 브랜치의 차속을 증대시키는 처리에 의해서 구획 전체에서의 교통량을 (정체없이)증대시킬 수 있고, 발진 대기 시간 twi, ji가 긴 차량이 많이 통행하는 브랜치의 차속을 증대시킴으로써 혹은 구획 전체에서의 발진 대기 시간이 평균적으로 봐서 짧아지도록 각 브랜치의 차속을 결정함으로써 대기에 따른 불만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교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3)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는 도로 교통 시스템을 그 적용 대상으로 하는 실시 형태와, 궤도식 교통 시스템을 그 적용 대상으로 하는 실시 형태가 있다. 또한, 도로 교통 시스템을 그 적용 대상으로 하는 실시 형태에는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실시 형태와, 무선에 의한 차량 관제를 행하는 실시 형태와, 이들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 및 무선에 의한 차량 관제를 병용하는 실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로 교통 시스템에서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실시 형태, 도로 교통 시스템에서 무선에 의한 차량 관제를 행하는 실시 형태(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 및 무선에 의한 차량 관제를 병용하는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궤도식 교통 시스템을 그 적용 대상으로 하는 실시 형태의 순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을 각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교통 시스템에서 본 발명을 실시할 때는 각 차량에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체 장치를 탑재해 두고, 차량 대 차량 및/또는 차량 대 관제국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관제국을 설치하지 않고 오로지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할 때는 각 이동체 장치를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우선, 도 8에 도시되는 제1 실시 형태의 이동체 장치는 자차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10) 및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를 갖고 있다. 자차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10)는 자차의 탑승자가 목적지 입력부(예를 들면, 키패드나 음성 입력 장치 ; 14)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목적지나, 위치 차속 검출부(예를 들면, 항법 장치나 속도 센서 ; 16)에서 검출되는 자차의 현재 위치 및 차속을 공용기(18)를 통하여 안테나(20)로부터 무선 송신한다.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는 타차에 탑재되어 있는 이동체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정보 즉 당해 타차의 목적지, 현재 위치 및 차속을 나타내는 정보를 공용기(18)를 통하여 안테나(20)에 의해 수신한다. 이들 기능 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자차 및 타차 양 쪽에 대해 그 목적지, 현재 위치 및 차속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집된다. 통신 제어부(21)는 자차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10) 및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에 의한 무선 통신을, 차량과 차량을 무선 접속하는 회선에서 정보끼리의 충돌이 생기지 않도록, 또한 정보의 수신이 오류없이 행해지도록 제어한다. 이 제어에는 종래 공지의 이동 무선 통신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는 경로 벡터 작성부(22)에서 전술한 N차원 벡터 Ti, ji의 작성에 이용되며, 작성된 벡터 Ti, ji는 경로 행렬 작성부(24)에서 n행 N열 행렬 TC의 작성에 이용된다(수학식 1 참조). 또한, 주행중/미발진 판별부(26)는 위치 차속 검출부(16)나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에 의해 얻어진 정보 중 차속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각 차량마다 그 차량이 주행중인지 아니면 미발진인지를 판별한다. 경로 벡터 작성부(22)에서는 그 결과에 따라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0(주행 중인 경우) 또는 미지수(미발진인 경우)로서 취급하여 벡터 Ti, ji를 작성한다. 또한, 각 브랜치에서 채택해야 할 차속에 대해서는 (수학식 3)에 따라서 결정하고, 그 결과를 벡터 Ti, ji의 작성에 이용한다. 또한, 소요 시간 연산부(28)는 벡터 Ti, ji에 기초해서, 각 차량이 각각 그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요하는 시간 Tgi, ji를 연산한다. 단, 현재 시각 t1에서 미발진 차량의 발진 대기 시간 Twi, ji는 미지수 그대로 한다.
경로 간섭 제거부(30)는 NC그대로(수학식 2 참조) 존재하는 행렬 TC중 교차점에서의 경로 간섭이 생길 수 있는 경로 조합을 나타낸 것을, 각 차량이 최종적으로 채택해야 할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패턴의 후보로부터 제외한다. 즉, 수학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차량이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동일한 교차점을 통과하는 경로 조합을 나타낸 것 중, 그 교차점의 통과 패턴이 금지 통과 패턴(도 4 참조)에 해당하는 것을 후보로부터 제외한다. 그 때, 경로 간섭 제거부(30)는 수학식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발진 차량에 대해 각 경로 후보마다 발진 대기 시간twi, ji를 결정한다. 소요 시간 최적화부(32)는 소요 시간 연산부(28)에서 얻어진 소요 시간 Tgi, ji중 미지수 부분에 경로 간섭 제거부(30)에서 얻어진 발진 대기 시간 twi, ji를 대입하여 소요 시간 Tgi, ji를 결정하고, 이 소요 시간 Tgi, ji를 이용해서 수학식 7에 나타낸 연산을 행한다. 소요 시간 최적화부(32)는 또한 소요 시간 Tgi, ji의 평균치 Tm, j1, j2, …, jn이 최소치 Tmin과 같아지는 것을, 이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복수 그대로 존재하는 행렬 TC중에서 선택한다. 이에 따라, 수학식 8에 나타낸 행렬 Tt가 얻어진다.
따라서, 얻어진 행렬 Tt중 적어도 자차의 경로(발진 대기 시간을 포함한다) 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경유해야 할 교차점을 나타낸 지도나 각 교차점의 추정(예정) 통과 시각을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경로 시각 표시부(예를 들면, 소형 CRT나 LCD 등의 표시 장치 ; 34)의 화면 상에 표시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알맞은 경로를 시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구동 계통, 제동 계통, 조타 계통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주행 제어부(36)에 마찬가지의 정보를 공급하여, 차량의 (반)자동 운전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반)자동 운전을 행할 때는 위치 차속 검출부(16)에서 검출된 현재 위치나 차속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차점에서의 경로 간섭이 없도록 각 차량의 경로 및 발진 대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제국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하부 구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덧붙여, 가감속이 가능한 한 생기지 않도록 벡터 Ti, ji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교통 시스템 전체에서의 에너지 효율이 좋아진다. 가솔린차 등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에미션도 적어진다.
도 9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의 이동체 장치에서는 경로 벡터 작성부(22)에서 사용하는 차속 즉 각 브랜치에서 채택해야 할 차속을, 교통량이나 발진 대기 시간에 따라서 설정하기 위해 교통량 적응 차속 설정부(38) 및 대기 시간 적응 차속 설정부(40)를 설치하고 있다. 교통량 적응 차속 설정부(38)는 수학식 4 중의 F항을, 대기 시간 적응 차속 설정부(40)는 G항 및 H항을 행렬 Tt에 기초해서 구하고, 그 결과에 의해 차속 v0k(k+1)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소의 가감속을 허용하는 대신에 교통량이 많은 브랜치의 차속을 빠르게 하고, 발진 대기 시간이 긴 차량이 많이 통과하는 브랜치의 차속을 빠르게 하고, 구획 전체로 보아서 발진 대기 시간의 평균치가 길어질 것 같을 때 각 브랜치의 차속을 빠르게 하는 처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교통량을 많게 하고 또 발진 대기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정되는 차속 vok(k+1)을 경로 시각 표시부(34)에 공급함으로써, 현재의 교통 상황 하에서의 각 브랜치에서의 추천 내지 예정 차속을 탑승자에게 알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주행 제어부(36)에 공급함으로써 차량 주행 제어부(36)가 가감속을 가능한 한 억제하면서 그 차속을 실현하는 처리가 가능해진다.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의 이동체 장치에서는 각 차량의 목적지, 현재 위치 및 차속 대신에 각 차량의 경로를 무선 통신에 제공하고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차 경로 송신부(42) 및 타차 경로 수신부(44)가 설치되어 있고, 각 차량의 자차 경로 송신부(42)가 그 공용기(18)를 통해서 그 안테나(20)로부터 자차의 경로를 나타낸 정보를 송신하고, 차량과 차량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통신 회선으로써 전송되는 정보를 다른 차량의 타차 경로 수신부(44)가 그 공용기(18)를 통하여 그 안테나(20)에서 수신한다. 자차 경로 송신부(42)로부터 송신하는 정보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순서로써 얻은 행렬Tt중 자차의 경로를 나타낸 벡터(발진 대기 시간 포함한다)이다. 타차 경로 수신부(44)에서 수신하는 정보는, 타차에서 결정된 당해 타차의 경로를 나타내는 n차원 벡터 Tti이며 경로 행렬 작성부(24)에 공급된다. 경로 행렬 작성부(24)에서는 행렬 TC를 작성할 때에, 다음 식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차에 관해서는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벡터 Tti를 이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로 벡터 작성부(22)에서 타차의 경로의 후보를 나타내는 벡터 Ti, ji를 작성하는 것을 그만 두고, 타차에서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벡터 Tti를 이용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제어부(21)는 자차 경로 송신부(42) 및 타차 경로 수신부(44)를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행렬 TC의 개수가 수학식 2에 나타낸 개수로부터 다음 식,
Nc=jimax
로 나타낸 개수까지 감소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비해, 경로 벡터 작성부(22) ∼ 소요 시간 최적화부(32)에서의 연산 처리량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차에 관한 정보만을 송신하면 되기 때문에, 차량과 차량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회선으로써 전송되는 정보의 량도 억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차에서 결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각 차량의 경로를 각 차량에서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각 차량에서의 경로의 결정에는 약간 지연이 생긴다. 그러나, 연산 처리량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경로의 선택 결정의 빈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이 지연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2 실시 형태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변형을 본 실시 형태에 실시하고, 도 11에 도시된 구성(제4 실시 형태)으로 할 수도 있다.
(4) 무선에 의한 차량 관제를 행하는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떤 넓이를 갖는 구획(복역)을 커버하는 관제국을 설치하고,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 대신에 혹은 이것과 함께, 차량 대 관제국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도로 교통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 때, 도 8 ∼ 도 1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 ∼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체 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이동체 장치를 각 차량에 탑재하고, 관제국에 설치하는 관제국 장치는 도 13에 도시되는 구성(제5 실시 형태) 또는 도 14에 도시되는 구성(제6 실시 형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제5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 및/또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체 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이동체 장치를 각 차량에 탑재하고, 각 관제국에 설치하는 관제국 장치를 도 13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 실시 형태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제국 장치는,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 및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를 갖고 있다.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는 자국의 서비스 구획(복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으로부터 차량과 관제국을 접속하는 무선 통신 회선으로 송출되는 정보를 안테나(50)에서 공용기(52)를 통하여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로부터 공용기(52)를 통하여 안테나(50)에서 차량과 관제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회선으로 송출된다. 통신 제어부(54)는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 및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에 의한 통신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각 차량으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정보 즉 그 차량의 목적지, 현재 위치 및 차속에 관한 정보를 관제국으로부터 재복사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 관제국의 복역 내에 존재하면서도 직접 무선 통신은 할 수 없는 상황 하에 놓여진 복수대의 차량 사이에서도 각각 그 목적지, 현재 위치 및 차속에 관한 정보를 서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차량 대 차량의 무선 통신 회선과 차량 대 관제국의 무선 통신 회선은 동일한 회선이라도 좋으며 별도의 회선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체 장치의 자차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10) 및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는 양 회선에 억세스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제국 장치는 자국의 복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차속을 예를 들면 도로측의 위치 센서에서 검출하는 위치 차속 검출부(55)를 갖고 있다. 무선 불사용 차량 추출부(56)는 위치 차속 검출부(55)에서 검출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에서 수신한 각 차량의 현재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자국의 복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 중 현재 차량 관제국 간 의 무선 통신 회선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차량, 예를 들면 이동체 장치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차량이나 탑재하고 있는 이동체 장치를 동작시키지 않은 차량을 특정하고, 특정한 차량의 위치 및 차속[위치 차속 검출부(55)의 출력]을 목적지 추정부(58)에 공급한다. 목적지 추정부(58)는 무선 불사용 차량 추출부(56)에서 특정된 차량의 위치를 시계열적으로 감시함으로써 및/또는 그 차량의 차속에 기초하여, 그 차량의 장래의 동향을 추정하고, 그 결과 얻어진 그 차량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에 공급한다.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는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로부터의 정보와 함께, 이 정보를 차량 관제국 간 무선 통신 회선으로 송출하고, 이동체 장치의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는 이것을 수신하여 경로 벡터 작성부(22) 등에 공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차의 목적지, 현재 위치, 차속 등의 정보를 무선 송신하지 않은 차량의 동향을 고려해서 서비스 구획 내의 차량 교통을 제어 및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제국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국간 유선 링크(6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62)를 갖고 있다. 다른 쪽, 타국 구획 진입 판별부(64)는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에서 수신한 정보 및 위치 차속 검출부(55) ∼ 목적지 추정부(58)에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해서, 현시점에서 자국의 복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 중에서 가까운 장래 타국의 복역 내에 진입할 예정인 차량을 검출한다. 월경 정보 송신부(66)는 타국 구획 진입 판별부(64)에서 검출한 차량에 관한 정보를 월경 정보로서 다른 관제국에 송신하도록 인터페이스(62)를 통하여 국간 유선 링크(60)에 송출한다. 월경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진입원의 구획 혹은 이것을 커버하는 관제국(자국)을 특정하는 정보, 진입처의 구획 혹은 이것을 커버하는 관제국을 특정하는 정보, 진입하는 차량의 목적지, 현재 위치 혹은 차속, 혹은 이들로부터 추정한 월경 시각 등을 송신한다. 월경 정보 수신부(68)는 타국의 월경 정보 송신부(66)에 의해 국간 유선 링크(60)에 송출된 월경 정보를 인터페이스(62)를 통하여 수신하고, 자국 구획 진입 판별부(70)는 수신된 월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국의 복역 내에 곧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한다. 자국 구획 진입 판별부(70)는 검출한 차량에 따른 월경 정보에 기초해서 그 차량의 목적지, 현재 위치 및 차속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여,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는 이것을 전술한 정보와 함께, 각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동체 장치의 타차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12)는 이것을 수신하여 경로 벡터 작성부(22) 등에 공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차가 현재 속해 있는 구획과는 별도의 구획에 존재하는 차량의 동향을 고려해서 서비스 구획 내의 차량 교통을 제어 및 최적화할 수 있다.
또, 통신 제어부(54)는 월경 정보 송신부(66) 및 월경 정보 수신부(68)에서의 통신 동작도 제어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관제국 배치에서는 복수의 관제국에 의해 중복하여 커버되는 지역도 존재하지만, 이 지역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어느 관제국에 의한 관제를 받는 것인지를 예를 들면, 무선 수신 상태에 따라 차량측에서 결정하도록 해도 좋으며, 동일한 관제국에 의한 관제를 가능한 한 길게 계속하도록 차량측에서 결정하도록 해도 좋으며, 혹은 월경 정보 중의 월경 시각에서 관제권을 관제국 간에서 위양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제6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 및/또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체 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이동체 장치를 각 차량에 탑재하고, 각 관제국에 설치하는 관제국 장치를 도 14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 실시 형태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관제국 장치는 경로 송신부(72) 및 경로 수신부(74)를 갖고 있다. 경로 송신부(72) 및 경로 수신부(74)의 기능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위치 차속 목적지 송신부(46) 및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와 마찬가지이다. 단, 송수신하는 정보가 각 차량의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인 점이 차이가 난다. 또한, 목적지 경로 추정부(76)의 기능은 목적지뿐만 아니라 경로까지도 추정하는 점을 제외하면, 목적지 추정부(58)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그 외의 부재의 기능도 취급하는 정보가 경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5 실시 형태 중 대응하는 부재와 마찬가지이다. 통신 제어부(54)는 경로 송신부(72), 경로 수신부(74), 월경 정보 송신부(66) 및 월경 정보 수신부(68)의 동작에 의한 통신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경로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향수할 수 있다. 더욱,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월경 정보를 송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어느 관제국의 복역(진입원)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다른 관제국의 복역(진입처) 내에서 채택해야 할 경로를 진입원에 따른 관제국에서 결정하고, 그 결과를 월경 정보의 일부로서 진입처의 관제국으로 보내고, 진입처의 관제국 또는 그 복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으로써 경로 간섭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진입원의 관제국으로 돌려 보내서 경로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7 실시 형태는 제5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체 장치측에 설치된 연산 처리 기능 중 경로 행렬 작성 이후의 처리를 관제국으로 옮긴 실시 형태이며, 각 차량에 탑재되는 이동체 장치를 도 15에 도시된 구성으로 하고, 관제국에 설치된 관제국 장치를 도 16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한 실시 형태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통신 제어부(21)의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은 경로 벡터 작성부(22)나 소요 시간 연산부(28)에서 얻어진 정보 즉 자차의 경로의 후보에 관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자차 경로 후보 송신부(78)의 동작이나 관제국에서 결정된 정보 즉 자차의 경로에 관한 정보를 무선 수신하는 자차 경로 수신부(80)의 동작이다. 또한, 통신 제어부(54)의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은 경로 행렬 작성부(24) ∼ 소요 시간 최적화부(32)에서 얻어지는 정보 즉 자국의 복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채택해야 할 경로에 관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경로 지령 송신부(82)의 동작이나, 각 차량으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정보 즉 그 차량의 경로의 후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 후보 수신부(84)의 동작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차량에서의 연산 처리의 부담이 가벼워진다.
또한, 제8 실시 형태는 제5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서 이동체 장치측에 설치되어 있던 연산 처리 기능 중 목적지의 입력이나 자차의 현재 위치 및 차속의 검출에 관한 처리를 제외한 부분을 관제국으로 옮긴 실시 형태이며, 제9 실시 형태는 관제국 장치에 교통량 적응 차속 설정부(38) 및 대기 시간 적응 차속 설정부(40)를 더 추가한 실시 형태이다. 이들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체 장치를 각 차량에 탑재한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한 제9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관제국 장치를 각 관제국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 처리의 대부분을 관제국 장치에서 제공함으로써, 각 이동체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8 실시 형태 및 제9 실시 형태에서는 관제국 장치에 위치 차속 불송신 차량 추출부(86)를 설치하고 있다. 위치 차속 불송신 차량 추출부(86)는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해서 자차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는 무선 송신하고 있지만 자차의 현재 위치나 차속에 관한 정보는 무선 송신하지 않는 차량, 즉 위치 차속 불송신 차량을 추출한다. 다른 한편, 이 종류의 차량은 자차의 목적지에 관해서는 차량 관제국 간 무선 통신 회선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불사용 차량 추출부(56)에서는 차량 관제국 간 무선 통신 회선을 사용하고 있는 차량으로서 추출된다. 목적지 경로 추정부(76)는 무선 불사용 차량 추출부(56)에서 차량 대 관제국의 무선 통신 회선을 사용하고 있는 차량이라고 판별되어 있으며, 또한 위치 차속 불송신 차량 추출부(86)에서 위치 차속 불송신 차량이라고 판정되어 있는 차량에 대해서 위치 차속 검출부(55)에서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차속과 위치 차속 목적지 수신부(48)에서 수신된 목적지에 기초해서 그 경로를 추정한다. 이 추정의 결과는 경로 벡터 작성부(22)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들 제8 실시 형태 및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체 장치의 구성을 도 17에 도시된 구성과 비교하여 더욱 간소화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에 도시된 구성 중의 위치 차속 검출부(16)를 폐지하여 자차 위치 속도 목적지 송신부(10) 대신에 목적지 송신부(88)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목적지 송신부(88)는 통신 제어부(21)의 제어 아래, 목적지 입력부(14)에 의해 입력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관제국으로 무선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 가능하게 되는 것은, 관제국 장치에서 위치 차속 송신 차량을 추출하고 그 경로를 추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 나아가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부(14) 및 목적지 송신부(88)를 폐지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간소화된 구성의 이동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각 관제국 장치에서 무선 불사용 차량을 추출하고, 그 경로를 추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제8 실시 형태 및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체 장치의 구성의 간소화를 더욱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5) 궤도식 차량 교통 시스템에 관한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궤도 상을 각 차량이 주행하는 궤도식 차량 교통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시스템 전체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구성(제10 실시 형태) 혹은 도 23에 도시된 구성(제11 실시 형태)이 된다. 이들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처에 분기를 갖는 궤도 상을 차량을 주행하고 있다. 또한, 이 궤도를 따라서 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궤도에는 이 역으로의 인입선을 설치하기 위한 분기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각 역에는 이용자가 배차를 요구하기 위한 요청 단말(90)이 설치되고 있으며, 요청 단말(90)은 관제국(엄밀하게는 관제국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의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된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요청 단말(9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관제국 장치가 각 분기점의 스케쥴러(92)에 차량의 통과 시각이나 통과하는 차량을 특정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각 스케쥴러(92)가 대응하는 분기점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되는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요청 단말(9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관제국(60)이 각 차량에 그 경로를 지령한다. 또, 각 관제국 장치는 궤도를 따라 설치된 위치 차속 센서를 이용하거나 혹은 각 차량과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 차량의 현재 위치나 차속을 검출한다.
도 24 및 도 25에 이들 제10 실시 형태 및 제11 실시 형태에서 사용 가능한 관제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 실시 형태 및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는 제8 실시 형태 및 제9 실시 형태에서의 관제국 장치와 거의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만, 궤도식 교통 시스템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차량에 대해 그 경로를 지령하는 장치나 각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차속을 입력하는 수단이나 각 이용자의 목적지를 수신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변형이 필요하다.
(6) 보유(補遺)
이상의 설명에서는, 적용 대상이 되는 교통 시스템이 순수한 도로 교통 시스템인 실시 형태와, 순수한 궤도식 교통 시스템인 실시 형태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로와 궤도가 혼재하는 교통 시스템에서 도로 상의 이동체 및 궤도 상의 이동체의 양쪽의 교통을 제어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복잡해진 복도 내지 통로를 갖는 건축물 안 등으로 인간이나 차량을 안내하는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대 차량 또는 차량 대 관제국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전파를 이용하는 실시 형태를 기재하였지만, 가능한 경우에는 광 등 다른 종류의 반송파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관제국에 안테나를 설치하여 차량 관제국 간 무선 통신을 행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도로나 궤도를 따라서 각 소(所)에 무선기를 배치해 두고 이 무선기를 관제국에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 무선기는, 사인 포스트나 누설 동축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관제국을 복수 설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냈지만, 관제국은 1개라도 좋다. 관제국 간의 통신은 유선 회선이 아닌 무선 회선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차량 탑승자에게 경로 등을 알게 하는 수단으로서 표시 장치를 이용했지만, 음향 출력 장치나 음성 합성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더욱, 각 교차점에서 경로 간섭이 생기지 않는 행렬 TC가 반드시 존재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그와 같은 행렬 T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의 대처로서, 경로 간섭의 발생 빈도가 낮은 행렬 TC를 선택하는 순서를 마련해도 좋다. 경로 간섭의 발생 빈도는 경로 간섭이 발생하는 교차점의 개수, 경로 간섭에 관한 차량의 대수 등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경로 간섭이 발생하는 교차점의 주변에서의 차량의 대수가 가장 적어지는 행렬 TC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도로 또는 궤도가 각 소에서 교차하고 있는 구획에 관해, 그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체가 금후 취할 수 있는 경로의 조합을 구하고, 구해진 조합 즉 경로 패턴의 후보 중에서 경로 간섭이 어느 이동체에 대해서도 또한 어느 교차점에서도 생기지 않은 후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로서 상기 구획 내에서 각 이동체가 채택해야 할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패턴으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교차점에서의 대기, 정지/발진의 반복 나아가서는 목적지로의 도달의 지연이나 에너지 효율·에미션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로 간섭이 생기지 않은 후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목적지로의 도달에 요하는 시간의 평균치를 각 후보 각각에 관해 구하고, 구해진 평균치가 비교적 작은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목적지로의 도달의 지연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간섭이 어느 이동체에 대해서도 또한 어느 교차점에서도 생기지 않도록, 현시점에서 미발진의 제어 대상 이동체에 대해서 또한 각 후보마다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도록 하면, 교차점에서의 대기, 정지/발진의 반복 나아가서는 목적지로의 도달의 지연이나 에너지 효율·에미션의 열화 등이 보다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적어도 제어 대상 이동체에 관해 그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에 관해 그 목적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및 각 도로 혹은 궤도에서 채택해야 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체의 경로를 구하도록 하면 이들 현재 위치, 목적지 및 채택해야 할 속도의 공급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더욱 부가적인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된 경로 패턴에 따라서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교통량이 비교적 많아진다고 인정되는 도로 또는 궤도에 관해 상기 속도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서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비교적 발진 대기 시간이 긴 이동체가 비교적 많이 통과할 것이라고 인정되는 도로 또는 궤도에 관해서 상기 속도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에 따라서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서의 발진 대기 시간의 평균치가 비교적 길어진다고 인정될 때 각 도로 또는 궤도에서의 상기 속도를 증대시키는 처리가 가능해지며, 그 결과로서 구획 전체에서의 교통량을 증대시키는 구획 전체에서의 교통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을 억제하고, 발진까지의 대기 시간을 억제하여 다수의 이동체가 발진을 대기하지 않고 끝나도록 하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관해서도 그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또한 목적지를 추정하도록 하면,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관해서도 그 목적지의 추정을 통하여 경로 패턴의 결정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외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상기 구획에 진입하는 것이 예상되는 월경 진입 이동체에 관해 그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낸 정보를 입력하고, 월경 진입 이동체의 경로를 상기 조합에 포함시키도록 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구획에 각각 관제국을 설치한 교통 제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에도 상관없이, 각 이동체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제어를 적합하게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과 다른 구획을 커버하는 다른 관제국과의 사이에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설치하고, 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월경 진입 이동체의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여 월경 후퇴 이동체의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낸 정보를 해당 다른 관제국에 공급하도록 하면, 관제국 간 통신이라는 비교적 간소한 방법으로 전술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끼리의 사이에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을 설치하고, 제어 대상 이동체끼리 이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면, 관제국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부 구조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 이동체에서의 처리 시에서는 다른 이동체의 결정된 경로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산 처리량이 적게 끝난다. 또한, 이동체 간에서 전송해야 할 정보는 현재 위치나 목적지 혹은 결정된 경로 패턴 중 자기의 경로에 관한 부분이라고 한 적은 량의 정보이기 때문에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의 혼잡도 생기기 어렵다.
또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와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이동체와의 사이에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설치하고, 제어 대상 이동체와 관제국과의 사이에서 이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공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면 각 이동체에서의 연산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내에는 상기 제어 대상 이동체가 이동하기 위한 궤도를 궤도에 따라서는 이용자가 승하차하기 위한 역을, 궤도의 교차점에는 그 분기 연결 조작을 담당하는 스케쥴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이 역에 존재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서 상기 스케쥴러에 대응하는 교차점의 분기 연결 조작을 지시하는 모양으로 하거나 제어 대상 이동체의 주행을 제어하도록 하면, 다수의 교차점(분기점)을 갖고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궤도식 교통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도로 또는 궤도가 각 소(所)에서 교차하고 있는 구획에 관해서, 그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체가 금후 취할 수 있는 경로의 조합을 구하고, 구해진 조합을 경로 패턴의 후보로 하는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후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교차점을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 하여 통과하는 다른 이동체의 경로를 지나가는 경로 간섭이 어느 이동체에 대해서도 또한 어느 교차점에서도 생기지 않는 후보를 선택하는 경로 결정 수단
    을 구비하고,
    선택된 후보로서, 상기 구획내에서 각 이동체가 채택해야 할 경로를 지시하는 경로 패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경로 간섭이 생기지 않은 후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가 각각 그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요하는 시간의 평균치를 각 후보 각각에 관해서 구하고, 구해진 평균치가 비교적 작은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구획 내에서 각 이동체가 채택해야 할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패턴을 결정하는 평균 소요 시간 판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간섭이 어느 이동체에 대해서도 또한 어느 교차점에서도 생기지 않도록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르는 제어 대상 이동체로서 현시점에서 미발진한 것에 대해, 또한 각 후보마다, 발진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적어도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르는 제어 대상 이동체에 관해 그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에 관해 그 목적지를 각 이동체의 탑승자에 의한 입력으로써 또는 그 이동체의 거동에 기초하는 추정으로써 검출하는 목적지 검출 수단; 및
    검출된 현재 위치 및 목적지 및 각 도로 혹은 궤도에서 채택해야 하는 속도에 기초해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체의 경로를 구하는 경로 산출 수단
    을 구비하고,
    구해진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이 상기 조합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교통량이 비교적 많아진다고 인정되는 도로 또는 궤도에 관해 상기 속도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하는 교통량 적응형 속도 설정 수단;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비교적 발진 대기 시간이 긴 이동체가 비교적 많이 통과할 것이라고 인정되는 도로 또는 궤도에 관해 상기 속도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하는 대기 시간 적응형 개별 속도 설정 수단; 및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각 이동체가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발진 대기 시간의 평균치가 비교적 길어진다고 인정될 때에 각 도로 또는 궤도에서의 상기 속도를 증대시키는 대기 시간 적응형 속도 설정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르지 않는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관해서도, 그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상기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제어 대상 이동체에 대해서는 그 탑승자에 의한 입력으로써,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에 대해서는 그 이동체의 거동에 기초하는 추정으로서 그 목적지를 검출하는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대상 이외의 이동체의 경로까지도 상기 조합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밖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상기 구획으로 진입할 것이 예상되는 월경 진입 이동체에 관해서 그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는 월경 진입 이동체 산입 수단을 구비하고, 월경 진입 이동체의 경로까지도 상기 조합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과 다른 구획을 커버하는 다른 관제국과의 사이에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월경 진입 이동체 산입 수단이, 상기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월경 진입 이동체의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는 한편,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중 상기 다른 구획으로 진입할 것이 예상되는 월경 후퇴 이동체의 예상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다른 관제국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끼리의 사이에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제어 대상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다른 제어 대상 이동체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이 처리의 중간 결과 내지 결과의 일부를 상기 이동체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다른 제어 대상 이동체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와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과의 사이에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제어 대상 이동체가,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관제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 중 일부를 실행하고, 이 처리의 중간 결과 내지 결과의 일부를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관제국으로 송신하고,
    관제국이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해 제어 대상 이동체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 중 나머지 부분을 실행하고, 이 처리의 중간 결과 내지 결과의 일부를 상기 이동체 관제국 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제어 대상 이동체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에는 상기 제어 대상 이동체가 이동하기 위한 궤도가, 궤도를 따라서는 이용자가 승하차하기 위한 역이, 궤도의 교차점에는 그 분기 연결 조작을 담당하는 스케쥴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이, 역에 존재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상기 스케쥴러에 대하여 대응하는 교차점의 분기 연결 조작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내에는 상기 제어 대상 이동체가 이동하기 위한 궤도가, 궤도를 따라서는 이용자가 승하차하기 위한 역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을 커버하는 관제국이, 역에 존재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상기 위치 검출 수단, 상기 목적지 검출 수단, 상기 경로 산출 수단, 상기 경로 후보 결정 수단 및 상기 경로 결정 수단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결정된 경로 패턴을 따라 상기 구획 내에 존재하는 제어 대상 이동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교통 제어 시스템.
KR1019980044331A 1997-10-23 1998-10-22 이동체교통제어시스템 KR100309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075397A JP3653954B2 (ja) 1997-10-23 1997-10-23 移動体交通制御システムの移動体装置、移動体交通制御システムの管制局、移動体交通制御システム
JP97-290753 1997-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01A true KR19990037301A (ko) 1999-05-25
KR100309661B1 KR100309661B1 (ko) 2001-11-15

Family

ID=1776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331A KR100309661B1 (ko) 1997-10-23 1998-10-22 이동체교통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9495B1 (ko)
EP (1) EP0911778B1 (ko)
JP (1) JP3653954B2 (ko)
KR (1) KR100309661B1 (ko)
DE (1) DE6982143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685B1 (ko) * 2010-08-20 2012-04-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노선의 예측 혼잡도를 이용한 소형궤도차량의 경로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300B2 (en) * 2001-07-10 2003-03-25 Makor Issues And Rights Ltd. Method for regional system wide optimal signal timing for traffic control based on wireless phone networks
US6865480B2 (en) * 2002-06-19 2005-03-08 Alpine Electronics, Inc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US7188025B2 (en) * 2003-12-18 2007-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using peer to peer networking
US20080243321A1 (en) * 2005-02-11 2008-10-02 Econtrols, Inc. Event sensor
US9052717B1 (en) 2004-02-11 2015-06-09 Enovation Controls, Llc Watercraft speed control device
US9207675B1 (en) 2005-02-11 2015-12-08 Enovation Controls, Llc Event sensor
JP4933055B2 (ja) 2005-05-06 2012-05-16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ワーク搬送システム、経路設定方法及び経路設定プログラム
JP4438095B2 (ja) * 2005-05-26 2010-03-24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US8972161B1 (en) * 2005-11-17 2015-03-03 Invent.Ly, Llc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devices
US11186174B2 (en) 2005-11-17 2021-11-30 Invently Automotive Inc. Vehicle power management system
US8712650B2 (en) * 2005-11-17 2014-04-29 Invent.Ly, Llc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designs
WO2007102367A1 (ja) 2006-02-28 2007-09-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物体進路予測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自動運転システム
JP4211794B2 (ja) * 2006-02-28 2009-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干渉評価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395648B (zh) * 2006-03-01 2011-05-1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本车路线确定方法和本车路线确定设备
JP4254844B2 (ja) 2006-11-01 2009-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制御計画評価装置
JP4525670B2 (ja) 2006-11-20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制御計画生成システム
US9302678B2 (en) 2006-12-29 2016-04-05 Robotic Research, Llc Robotic driving system
US20080204277A1 (en) * 2007-02-27 2008-08-28 Roy Sumner Adaptive traffic signal phase change system
EP2144217B1 (en) 2007-03-29 2013-08-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llision possibility acquiring device, and collision possibility acquiring method
JP4450023B2 (ja) 2007-07-12 2010-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車両危険度取得装置
JP4985232B2 (ja) * 2007-08-27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判定装置
JP4748232B2 (ja) 2009-02-27 2011-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5262986B2 (ja) * 2009-03-05 2013-08-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走行経路生成装置、走行経路生成方法、及び運転操作支援装置
EP2280386B1 (en) * 2009-07-27 2012-11-28 Clarion Co., Ltd. Method and a device for scheduling vehicles at intersections
US8340894B2 (en) 2009-10-08 2012-12-25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dynamic intersection mapping
US8818641B2 (en) 2009-12-18 2014-08-26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intersection estimation for a vehicle safety system
US8686845B2 (en) * 2010-02-25 2014-04-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advising a driver therein
EP2402229A1 (en) * 2010-06-22 2012-01-04 Universität Stuttgart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ing, planning and/or controlling operating processes in a track guided transportation system
EP2593932B1 (en) * 2010-07-16 2021-08-25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s and systems for coordinating vehicular traffic using in-vehicle virtual traffic control signals enabled by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US8823556B2 (en) 2010-09-02 2014-09-02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estimating intersection control
DE102010045461A1 (de) * 2010-09-14 2012-03-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der Gleisbelegung
US8618951B2 (en) 2010-09-17 2013-12-31 Honda Motor Co., Ltd. Traffic control database and distribution system
JP5789268B2 (ja) * 2010-11-26 2015-10-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経路選択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8952B2 (en) 2011-01-21 2013-12-31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intersection identification for collision warning system
US10850616B2 (en) * 2011-04-08 2020-12-01 Invently Automotive Inc. Using vehicle systems to generate a route database
WO2013030906A1 (ja) * 2011-08-26 2013-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JP2013069084A (ja) * 2011-09-22 2013-04-18 Hitachi Ltd 制御情報装置、制御情報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9020660B2 (en) * 2012-05-10 2015-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fficient intersection autonomous driving protocol
CN103258440B (zh) * 2013-05-02 2015-04-15 同济大学 一种基于道路属性和实时路况的行车轨迹还原算法
US8930060B1 (en) * 2013-07-15 2015-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Post-impact path assist for vehicles
JP6174423B2 (ja) * 2013-08-28 2017-08-02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3次元列車位置表示方法及び装置
EP2930581B1 (en) * 2014-04-11 2022-06-08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urface vehicle trajectory description
CN105427586B (zh) * 2015-12-16 2018-06-12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多轨迹碰撞的车辆落脚点分析方法
JP6650635B2 (ja) * 2016-02-29 2020-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US9672734B1 (en) * 2016-04-08 2017-06-06 Sivalogeswaran Ratnasingam Traffic aware lane determination for human driver and autonomous vehicle driving system
US9975547B2 (en) * 2016-08-03 2018-05-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responding to dangerous road conditions
CN111882895A (zh) * 2020-06-24 2020-11-03 淮阴工学院 一种用于现代有轨电车信号优先控制下的交叉口延误确定方法
CN112634488B (zh) * 2020-12-01 2022-10-14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行程融合方法、装置以及车辆
JP7051164B1 (ja) * 2021-06-14 2022-04-11 祐次 廣田 自動運転ト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5267A (fr) 1972-02-10 1973-05-29 Secretary Environment Brit Systemes de transport
DE2945852A1 (de) 1979-11-13 1981-05-2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verkehrserfassung in einem leit- und informationssystem fuer den individualverkehr
JPS62125407A (ja) 1985-11-26 1987-06-06 Komatsu Ltd 交通管制方法
US5428544A (en) 1990-11-05 1995-06-27 Norm Pacific Automation Corporation Traffic information inter-vehicle transference and navigation system
SE501095C2 (sv) 1992-08-31 1994-11-14 Carrnovo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tyrning av ett antal rullande enheter i en bananläggning
DE69415067T2 (de) 1993-04-02 1999-07-08 Shinko Electric Co Ltd Methode und Steuervorrichtung für ein Transportverwaltungssystem mit fahrerlosen Fahrzeugen
JPH06336161A (ja) * 1993-05-28 1994-12-06 Komatsu Ltd 地下交通ネットワーク
JP3009014B2 (ja) * 1993-06-24 2000-02-14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車走行制御装置
US5983161A (en) * 1993-08-11 1999-11-09 Lemelson; Jerome H. GPS vehicle collision avoidance warn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364021B2 (ja) * 1993-12-10 2003-01-08 神鋼電機株式会社 運行管理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604676A (en) 1994-07-25 1997-02-18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personal transportation
US5623413A (en) 1994-09-01 1997-04-22 Harris Corporation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US5610821A (en) * 1994-11-18 1997-03-11 Ibm Corporation Optimal and stable route planning system
JP3191621B2 (ja) * 1995-03-14 2001-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誘導システム
JP3620093B2 (ja) * 1995-04-13 2005-02-16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H08292988A (ja) * 1995-04-21 1996-11-05 N T T Data Tsushin Kk 交通流管理装置および交通流管理方法
DE19726542B4 (de) 1997-05-07 2004-04-22 Schwanhäußer, Wulf, Prof. Dr.-Ing. Verfahren zur Steuerung und Sicherung eines fahrplangebundenen Verkehrs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685B1 (ko) * 2010-08-20 2012-04-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노선의 예측 혼잡도를 이용한 소형궤도차량의 경로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53954B2 (ja) 2005-06-02
KR100309661B1 (ko) 2001-11-15
DE69821437T2 (de) 2004-12-16
DE69821437D1 (de) 2004-03-11
JPH11126294A (ja) 1999-05-11
EP0911778B1 (en) 2004-02-04
EP0911778A2 (en) 1999-04-28
US6169495B1 (en) 2001-01-02
EP0911778A3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661B1 (ko) 이동체교통제어시스템
CN109564728A (zh) 无线通信系统、信息获取终端、计算机程序、用于确定是否采用提供的信息的方法
JP5304409B2 (ja) 経路選定装置及び方法、交通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111346A (ja) 移動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車両
CN107305737A (zh) 一种车辆优先排序系统
JP2008305084A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交通信号制御装置、車載装置及び交通信号制御方法
CN111830961A (zh) 路径设定装置、路径设定方法以及存储介质
US20190180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lays in road traffic
JP4867479B2 (ja) 車両減速判定システム、信号制御装置、車載装置、信号制御方法、車両減速判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338596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90049092A (ko) 적응적 교차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JP3865337B2 (ja) 車両速度制御装置
KR20110127520A (ko)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신호 제어 방법
JP2005222144A (ja) バスの自動運行支援システム及び運行情報センタ
CN110514217A (zh) 用于辅助自动驾驶的方法和装置
WO2022145379A1 (ja) 車両の走行制御システム、これに用いら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車両
JP3555461B2 (ja) 経路決定方法及び移動体交通制御システム
JPH10334391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KR20040022306A (ko) 신호제어기와 차량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46333A (ja) 車両走行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H0656036A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JP2008102738A (ja) 信号機制御方式及び信号機制御方法
JP2018076004A (ja) 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装置
JP2001266286A (ja) 車両運行方法および車両運行システム
JP4117964B2 (ja) 車両運行システムおよび車両運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