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73U -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73U
KR19990021273U KR2019970034770U KR19970034770U KR19990021273U KR 19990021273 U KR19990021273 U KR 19990021273U KR 2019970034770 U KR2019970034770 U KR 2019970034770U KR 19970034770 U KR19970034770 U KR 19970034770U KR 19990021273 U KR19990021273 U KR 199900212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checker
connecting pin
strap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용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73U/ko
Publication of KR19990021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73U/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체커와 도어 체커를 바디패널에 고정시킬 때에 사용하는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랩의 연결공과 연결핀의 섭동부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며, 도어의 개폐시 조작감을 부드럽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도어 체커(20)의 스트랩(26)에 형성된 연결공(26a)과 고정 브라켓(40)에 형성된 제 2체결공(44)에 끼워져 도어 체커(20)와 고정 브라켓(40)을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핀(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10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저유홈(10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 체크의 스트랩과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핀의 외주연에 저유홈을 구비하여 섭동부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며, 도어의 개폐시 조작감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체커와 도어 체커를 바디패널에 고정시킬 때에 사용하는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도어(door)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의 개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운전석의 전방에는 계기판이나 에어 벤트 등이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이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프론트 도어(6)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도어(6)는 통상, 2개의 힌지(8, 9)에 의해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6)와 바디 패널(1)의 사이에는 상기한 도어 체커(20)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6)를 닫으면, 하단은 사이드 실(4) 위에 배치된다.
도 2는 일반적인 도어 체커 설치상태 및 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 체커와 고정 브라켓의 연결부만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어 체커의 구성을 도 2를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도어 체커(20)의 일단은 볼트(10)와 너트(12)에 의해 도어 패널(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핀(30)에 의해 고정 브라켓(40)에 고정시킨 다음, 이 고정 브라켓(40)을 볼트(46)에 의해 바디 패널(1)에 체결한다.
한편, 도어 체커(2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어 체커(20)는 크게 하우징(21)과, 하우징(21)을 중심을 관통하여 내부로 출입가능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양측면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러버(22)가 고정되며, 러버(22)의 일측에는 일측면 중앙에 삽입홈(23a)을 갖는 홀더(23)가 배치된다. 또한, 홀더(23)의 삽입홈(23a)에는 스트랩(26)의 폭 만큼의 폭을 갖는 롤러(24)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홀더(23)사이에는 스트랩(26)이 출입가능하도록 출입공간(27)이 형성된다.
스트랩(26)은 일단에는 연결공(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고정공(26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공(26a)에는 연결핀(30)이 끼워져 고정 브라켓(4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트랩(26)이 하우징(21)의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된 스트랩(26)의 선단에는 스트랩(26)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판(28)이 끼워지며 아울러 고정공(26b)에는 이탈방지 판(28)을 고정시키는 고정핀(29)이 삽입된다. 또한, 소정의 폭을 갖는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2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26c)에는 스트랩(26)이 하우징(21)의 출입공간(27)으로 출입 할 때에 홀더(23)의 롤러(24)가 걸리도록 하였다.
한편, 도 3을 참고로하여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 체커와 고정 브라켓의 연결부를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고정 브라켓(40)에는 제 1체결공(42)과 제 2체결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체결공(42)에는 볼트(46)가 끼워져 바디 패널(1)과 체결되며, 제 2체결공(44)에는 스트랩(26)의 연결공(26a)에 끼워진 연결핀(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핀(30)이 연결공(26a)에 끼워질 때에는 오일을 도포하여 삽입됨은 물론이다. 이들 제 1체결공(42) 및 제 2체결공(44)이 형성된 단부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어 체커는 도어를 여닫을 시에 스트랩(26)은 일단이 바디 패널(1)에 고정되므로 하우징(21)내를 출입한다. 이 때, 홀더(23)의 롤러(24)는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을 압착하며 회전하게 되고, 롤러(24)가 스트랩(26)의 걸림홈(26c)의 위치하였을 때에 스트랩(26)은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고정되며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롤러(24)가 걸림홈(26c)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트랩(26)은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21)의 러버(22)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홀더(23)를 스트랩(26)의 상면, 하면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차량의 도어 체커는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연결핀에 도포된 오일이 건조되어 부품간의 마모가 발생됨으로써 연결핀의 내구력이 저하되고, 도어의 개폐시 잡음이 발생되어 조작감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랩의 연결공과 연결핀의 섭동부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며, 도어의 개폐시 조작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체커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도어 체커 연결핀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어 체커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 체커와 고정 브라켓의 연결부만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 체커와 고정 브라켓의 연결부만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도어 체커 26: 스트랩
26a: 연결공 40: 고정 브라켓
44: 제 2체결공 100: 연결핀
102: 저유홈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체커의 스트랩에 형성된 연결공과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제 2체결공에 끼워져 도어 체커와 고정 브라켓을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저유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체커 연결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도어 체커와 고정 브라켓의 연결부만을 발췌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바디 패널에 장착된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어 체커(20)의 스트랩(26) 선단에는 연결공(2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 패널(1)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40)은 제 1체결공(42)과 제 2체결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체결공(42)에는 볼트(46)가 끼워져 바디 패널(1)과 체결되며, 제 2체결공(44)에는 스트랩(26)의 연결공(26a)에 끼워진 연결핀(10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연결핀(100)은 외주면 둘레에 다수개의 저유홈(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유홈(102)은 연결핀(100)의 외주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핀(100)은 스트랩(26)의 연결공(26a)과 고정 브라켓(40)의 제 2체결공(44)에 끼워지며, 그 일단을 압착하여 연결공(26a)과 제 2체결공(4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핀(30)이 연결공(26a)에 끼워질 때에는 점성이 큰 오일을 도포함과 아울러 연결핀(10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된 저유홈(102)에도 오일을 충전시킨 후 삽입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여닫을 시에 도어 체커(20)의 스트랩(26)이 연결핀(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핀(100)에 도포되어 있는 오일 때문에 회전이 원활하게 되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저유홈(102)으로 인해 오일이 건조되지 않고 연결공(26a)와 연결핀(100)사이의 섭동부에 오일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어체커 장착구조는 도어 체크의 스트랩과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핀에 저유홈을 구비하여 섭동부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부품간의 마모를 방지하며, 도어의 개폐시 조작감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 체커(20)의 스트랩(26)에 형성된 연결공(26a)과 고정 브라켓(40)에 형성된 제 2체결공(44)에 끼워져 도어 체커(20)와 고정 브라켓(40)을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핀(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10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저유홈(10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체케 연결핀.
KR2019970034770U 1997-11-29 1997-11-29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KR199900212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70U KR19990021273U (ko) 1997-11-29 1997-11-29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70U KR19990021273U (ko) 1997-11-29 1997-11-29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73U true KR19990021273U (ko) 1999-06-25

Family

ID=6967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70U KR19990021273U (ko) 1997-11-29 1997-11-29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090A1 (ko) * 2013-05-27 2014-12-04 주식회사 일진 도어 체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090A1 (ko) * 2013-05-27 2014-12-04 주식회사 일진 도어 체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19990021273U (ko)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KR19990021271U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9990020983A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19990021272U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821007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도어핸들조립체
KR19990021228U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9990034956A (ko)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100243638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장착구조
KR20017540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의 노브조립구조(arrangement for fixing knob of inner handle assembly in a vehicle door)
KR100471777B1 (ko) 도어체커의 체커암 형상구조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0115714Y1 (ko) 차량용 서비스 홀 커버의 고정구조
KR100196186B1 (ko)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200141343Y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구조
KR10048379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KR10046105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소음 방지구조
KR20040053421A (ko) 자동차용 키실린더설치구조
KR0139608Y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19990021274U (ko) 차량의 도어 체커 고정구조
KR100506649B1 (ko) 글로브박스의 결합구조
KR19980062945A (ko) 짚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9990028464U (ko) 도어체크기능이 부여된 자동차의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