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956A -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956A
KR19990034956A KR1019970056672A KR19970056672A KR19990034956A KR 19990034956 A KR19990034956 A KR 19990034956A KR 1019970056672 A KR1019970056672 A KR 1019970056672A KR 19970056672 A KR19970056672 A KR 19970056672A KR 19990034956 A KR19990034956 A KR 1999003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ubber
protrusion
preven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956A/ko
Publication of KR1999003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956A/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닫을때 도어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치하여 도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RUBBER)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는, 인너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림 고정부를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게 한 것이어서, 차량에 탑승자가 타고 내릴 때 탑승자의 몸이 러버에 접촉되어질 경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비포장도로는 물론, 노면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서의 주행시 도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10)의 인너패널(11) 소정위치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볼트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진 경사면(113)을 가지는 돌부(112)를 구비한 러버(100)와; 필러바디(30)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볼트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100)의 돌부(112)가 맞물림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러버(100)의 돌부(112) 경사면(113)과 대응하는 내측벽(213)을 가지는 요입부(212)를 구비한 가이드 브래킷(200)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러버가 쉽게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닫힘 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비포장도로 또는, 노면이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서의 흔들림에 의한 도어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닫을때 도어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치하여 도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RUBBER)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에 러버를 설치하고, 필러바디에 도어의 러버가 맞물림 되어지는 가이드브래킷을 설치하여 충격흡수는 물론, 도어의 상,하방향 흔들림과 도어 닫히는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량의 성격, 구조, 디자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로서, 대부분의 승용차 도어에는 앞힌지 뒷열림 타입이 채용되고 있으나 특수한 타입의 도어로서는 차체의 측면을 따라서 이동 개폐되는 슬라이드 도어, 루프 또는 프런트 필러에 힌지가 있어서 상,하 개폐되는 걸윙도어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패널은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이 헤밍결합되는데, 상기 아우터 패널은 통상 강판을 사용하고, 디자인에 따라서 면의 강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뒷면에 보강재를 붙이는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박판으로 하거나 알루미늄 또는 수지를 쓰는 예도 있다.
또한 인너 패널은 상기 아우터 패널과 거의 같은 두께의 강판이 쓰이며, 아우터 패널과는 대조적인 짙은 가공의 성형품으로서 도어 레귤레이터, 도어 힌지 및 도어 섀시 등이 설치되고, 각 부품의 설치부나 벨트라인 개구부는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보강한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 시스템은 도어 힌지, 도어 체크링크, 도어 핸들, 도어 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어 힌지는 무거운 도어를 받치기 때문에 통상 위,아래로 2 개 설정하여 도어의 지지와 도어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힌지는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내구 신뢰성이 있어야 하며, 충돌 등 과대한 충격입력이 가해지더라도 힌지의 본체가 분리되지 않는 등 높은 강도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힌지 본체의 재료, 공법은 강판 프레스제 또는 주철제이며 부쉬로는 힌지핀의 미끄러운 회전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함유소결합금 등을 사용한다.
또한 도어 체크링크는 도어가 반개일 때의 유지기능과 도어가 전개일 때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며, 도어힌지와 마찬가지로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내구신뢰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도어 핸들은 차밖으로부터의 개폐를 위한 아웃사이드 핸들과 차 내에서의 개폐를 위한 인사이드 핸들이 있으며, 어느 것이나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기능과 링크계를 통하여 도어록을 해정하는 기능이 있다.
이 밖에 차체에 대해 도어를 유지하는 기능 및 자물쇠를 여는 기능을 하는 도어록과 키가 삽입될 수 있는 키 실린더 등이 있다.
한편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 흡수용 러버가 설치된 도어를 보인 부분 평면 단면도로서, 도어(10)의 인너패널(11)에 형성된 관통구멍(1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외부면(22)으로 이루어진 걸림 고정부(21)를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12)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과, 인너패널(11)의 두께 길이로 형성되어진 환봉(23)이 걸림 고정부(21)와 쿠션부(24) 사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부(24)는 외주면(25)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한 걸림 고정부(21)의 외부면(2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의 걸림 고정부(21)를, 도어(10)의 인너패널(11)에 형성된 관통구멍(12)에 밀어 넣으면, 걸림 고정부(21)가 수축되어지면서 삽입되어지다가 환봉(23)이 관통구멍(12)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 고정부(21)는 자체 신축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러버(20)가 걸림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인너패널(11)에 러버(20)가 고정되어진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 러버(20)의 쿠션부(24)가 필러바디(30)에 형성된 딤플홈(31)에 위치하면서 도어(10)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는, 인너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림 고정부를 억지 끼움하여 걸림 고정되게 한 것이어서, 차량에 탑승자가 타고 내릴 때 탑승자의 몸이 러버에 접촉되어질 경우, 쉽게 이탈되어 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비포장도로는 물론, 노면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서의 주행시 도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인너패널에 러버를 설치하고, 도어 인너패널과 대응하는 필러바디의 면에 도어의 러버가 맞물림 되어지는 가이드 브래킷을 설치하여서 러버가 쉽게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닫힘 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비포장도로 또는, 노면이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서의 흔들림에 의한 도어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양쪽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돌부를 구비한 러버를 도어의 인너패널에 설치하고,러버가 맞물림 고정되어질 수 있게 러버의 돌부 경사면과 대응하게 경사진 내측벽을 가지는 요입부를 구비한 가이드 브래킷을 필러바디에 설치함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패널에 설치된 러버의 돌부가 필러바디에 설치된 가이드 브래킷의 요입부에 맞물림 고정되게 함에 따라, 러버가 쉽게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닫힘 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비포장도로 또는, 노면이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성의 흔들림에 의한 도어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 흡수용 러버가 설치된 도어를 보인 부분 평면 단면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가 설치된 도어를 보인 부분 사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호의 설명
100 : 러버 110 : 본체
111 : 볼트공 112 : 돌부
113 : 경사면 200 : 가이드 브래킷
210 : 본체 211 : 볼트공
212 : 요입부 213 : 내측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 리가 설치된 도어를 보인 부분 사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도어(10)의 인너패널(11) 소정위치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볼트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진 경사면(113)을 가지는 돌부(112)를 구비한 러버(100)와 필러바디(30)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볼트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100)의 돌부(112)가 맞물림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러버(100)의 돌부(112) 경사면(113)과 대응하는 내측벽(213)을 가지는 요입부(212)를 구비한 가이드 브래킷(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200)은 스틸재인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어(10)의 인너패널(11) 내측면의 소정위치에 러버(1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본체(110)의 볼트공(111)을 통해 볼트조인 한다.
이때, 러버(100)의 돌부(112)가 프론트 쪽을 향하고 있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10)에 러버(100)가 설치되어지면, 상기 러버(100)의 설치 위치와 동일하도록 가이드 브래킷(200)을 필러바디(30)에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 브래킷(200)의 요입부(212)가 러버(100)의 돌부(112)와 마주보도록 필러바디(30)에 위치 시킨다.
이처럼 필러바디(30)에 가이드 브래킷(2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본체(210)에 형성된 볼트공(211)을 통해 볼트 조인 한다.
이와 같이 도어(10)에 설치된 러버(100)는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 러버(100)의 돌부(112)가 필러바디(30)에 설치된 가이드 브래킷(200)의 요입부(212)로 맞물림 되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패널에 러버를 설치하고, 도어 인너패널과 대응하는 필러바디의 면에 도어의 러버가 맞물림 되어지는 가이드 브래킷을 설치하여서 러버가 쉽게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닫힘 방향에 대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비포장도로 또는, 노면이 양호하지 못한 도로에서의 흔들림에 의한 도어 상,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도어(10)의 인너패널(11) 소정위치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볼트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에서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진 경사면(113)을 가지는 돌부(112)를 구비한 러버(100)와 필러바디(30)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볼트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100)의 돌부(112)가 맞물림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러버(100)의 돌부(112) 경사면(113)과 대응하는 내측벽(213)을 가지는 요입부(212)를 구비한 가이드 브래킷(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200)은 스틸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1019970056672A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19990034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672A KR19990034956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672A KR19990034956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56A true KR19990034956A (ko) 1999-05-15

Family

ID=6604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672A KR19990034956A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9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479A (ko)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중앙 바닥 패널의 측면 보강구조
KR20220138586A (ko) * 2021-04-06 2022-10-1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텔레 리미트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479A (ko)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중앙 바닥 패널의 측면 보강구조
KR20220138586A (ko) * 2021-04-06 2022-10-1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텔레 리미트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4956A (ko)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200147675Y1 (ko) 보강재가 구비된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KR200149111Y1 (ko) 자동차의 백도어 열림방지구
KR19980068125U (ko) 충격흡수용 도어 스트라이커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200145032Y1 (ko) 충격흡수용 댐퍼가 구비된 도어 스트라이커
KR0128656Y1 (ko) 자동차 도어잠금 장치의 소음방지 구조
KR200147676Y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200205048Y1 (ko) 자동차용 본넷트 록크부의 취부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19990041161A (ko) 자동차 도어록 자동 잠금장치
KR100193663B1 (ko) 자동차 도어 진동 방지 장치
KR940000843Y1 (ko)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RU2138610C1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KR100195042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10020703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0183175B1 (ko) 자동차의 안전강화용 브래킷
KR970001071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90021273U (ko) 차량용 도어 체커 연결핀
KR970001063A (ko) 자동차 후면기둥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