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843Y1 -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843Y1
KR940000843Y1 KR2019870023279U KR870023279U KR940000843Y1 KR 940000843 Y1 KR940000843 Y1 KR 940000843Y1 KR 2019870023279 U KR2019870023279 U KR 2019870023279U KR 870023279 U KR870023279 U KR 870023279U KR 940000843 Y1 KR940000843 Y1 KR 940000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holder
door
catch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023U (ko
Inventor
손규덕
최양규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3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843Y1/ko
Publication of KR890013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7Latches with wedg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충격 방지 사용시의 측면도.
제3도는 고정시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범퍼홀더
3 : 축 6, 6' : 고무재
7 : 범퍼 8 : 지지구
9 : 홀더 10 : 캐쳐몸체
11 : 캐쳐
본 고안은 여닫이문의 사용시에 대한 충격방지장치와 비사용시의 고정장치를 겸할수 있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여닫이문 자체가 진동을 받을수 있는 대상, 예를들면 철도 차량의 출입문이나 승합차량의 문에 유용한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이러한 차량들은 주행시 끊임없는 관성을 받기 때문에 승객이 출입하기 위하여 문을 여는 순간 과도하게 젖혀지면서 상대편 벽에 강하게 부딪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고무재로된 범퍼(Bumbper5)를 벽에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 완화시켜 왔으며 대체로 적절하다.
한편, 여닫이문을 계속해서 개방시켜두는 경우도 있으며, 승객이 문을 꼭 닫지 않으므로서 개방된 상태에 놓여져 진동을 가져오기도하므로 이를 개방시켜 두기 위하여 잠궈두기도 한다.
상기 실시예는 결국 여닫이문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 범퍼와 고정구를 각각 구비하는 것으로서 2개의 부분품을 각기 부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비관이 좋지않고 설치비용(제품 가격, 작업성)이 높은 단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여닫이문에 대하여 필요한 기능을 부여시키되, 2가지의 부품을 단품화시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하나의 구조물로 개선시킨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효과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로서 좌측부분은 벽에 부착되는 홀더 및 범퍼 몸체이며 우측부분은 문에 부착되는 캐쳐몸체를 도시한 것이다.
벽에 부착되는 몸체(1)는 통상의 나사식으로 부착되며 그 전방 상부에는 판스프링을 굴곡시킨 범퍼홀더(2)가 전방을 향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한 그 전방에는 축관(3)을 형성하여 양편으로 범퍼의 힌지부(4)(4')가 끼워지고 핀(5)으로 회전축을 형성하며 범퍼(7)의 전방에는 양편으로 고무제(6)(6')가 부착된다.
상기한 범퍼(7)의 후부에는 지지구(8)가 연장되어 있고 몸체의 중앙에는 판 스프링을 절곡한 홀더(9)가 부착되는 한편, 상대측 문에는 캐쳐 몸체(10)가 설치되어 그 중앙에 돌출된 캐쳐(11)가 범퍼몸체측 홀더(9)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여닫이문을 사용할 경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범퍼(7)를 전방에 위치시켜두게 되므로 캐쳐(11) 및 몸체(10)가 범퍼 즉, 고무재(6)(6')에 부딪쳐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며, 이때 강한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범퍼(7)의 후부에 있는 지지구(8)가 몸체(1)에 밀착된 상태에 놓여져 있으므로 축 부분이 보호될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을 열어둘 경우에는 범퍼(7)를 들어올려서 중앙 부분이 범퍼홀더(9)에 끼워지게 하면 스프링력이 작용 하여 범퍼(7)가 제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에 캐쳐(11)를 밀어 넣으면 스프링력을 갖는 홀더(9)가 채쳐(11)를 양편에서 탄력적으로 밀착하므로 문이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문을 닫고저하면 강하게 잡아당겨 캐쳐(11)가 홀더(9)로 부터 이탈되게 한후 범퍼(7)를 원상태로 내려놓으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몸체내에 여닫이문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와 고정시키는 2가지의 기능이 갖추어지므로서 제작단가를 절감하고 외관을 승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제공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단일 몸체(1)의 전방에 판스프링으로된 범퍼홀더(2)를 설치하고 그 말단에 축관(3)을 형성하여 한쌍의 고무재(6)(6')를 갖는 범퍼(7)를 축으로 설치하며 그 후단에는 지지구(8)를 돌출시켜 몸체(1)에 접, 탈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판스프링으로된 홀더(9)를 내설하는 한편, 상대축 캐쳐몸체(10)의 중앙에 돌출된 캐쳐(11)가 홀더(9)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 장치.
KR2019870023279U 1987-12-28 1987-12-28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KR940000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279U KR940000843Y1 (ko) 1987-12-28 1987-12-28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279U KR940000843Y1 (ko) 1987-12-28 1987-12-28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23U KR890013023U (ko) 1989-08-08
KR940000843Y1 true KR940000843Y1 (ko) 1994-02-18

Family

ID=1927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279U KR940000843Y1 (ko) 1987-12-28 1987-12-28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8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023U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843Y1 (ko) 여닫이문의 충격방지 겸용 고정장치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200146223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스토퍼
KR0158810B1 (ko) 해치 백 도어의 완충구조
KR960001132Y1 (ko) 자동차 뒷 트렁크의 완충 범퍼
KR0173030B1 (ko) 자동차용 도어 장착 구조
KR19980068125U (ko) 충격흡수용 도어 스트라이커
KR100217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식 잠금장치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19990034956A (ko) 자동차의 도어충격 흡수용 러버 어셈블리
KR950004171Y1 (ko) 버스의 화물실 도아 잠금장치
KR970001256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흡수 구조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KR100747027B1 (ko) 선글라스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의 루프 트림 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970001980Y1 (ko) 대형차량의 게이트 개폐보조구조
KR100405607B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조립체
KR970001533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개폐각도 제한구조
KR950004341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개방시의 스톱퍼장치
KR0117915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글로브 박스
KR970041648A (ko) 차량의 후드잠금장치
KR0112378Y1 (ko) 자동차의 쿼터 윈도우(Quater window)용 핸들구조
KR200148181Y1 (ko) 상용차량용 리어도어의 스토퍼
KR100471313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JPH0666060A (ja) ドアクロ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